KR20230122731A - Automatic fire-extinguishing apparatus to facilitate spraying of extinguishing agent in case of fire - Google Patents
Automatic fire-extinguishing apparatus to facilitate spraying of extinguishing agent in case of fire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230122731A KR20230122731A KR1020220019295A KR20220019295A KR20230122731A KR 20230122731 A KR20230122731 A KR 20230122731A KR 1020220019295 A KR1020220019295 A KR 1020220019295A KR 20220019295 A KR20220019295 A KR 20220019295A KR 20230122731 A KR20230122731 A KR 20230122731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valve
- fire
- valve piston
- fire extinguishing
- communication passage
- Prior art date
Links
- 238000005507 spraying Methods 0.000 title claims description 5
- 239000003795 chemical substances by application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2
- 239000003814 drug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8
- 239000007921 spray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8
- 229940079593 drug Drug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7
- 238000004891 communica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27
- 239000011521 glass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21
- 238000007789 seal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3
- 238000002347 injec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8
- 239000007924 injection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8
- 230000000149 penetrating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30000008878 coupling Effects 0.000 abstract description 6
- 238000010168 coupling process Methods 0.000 abstract description 6
- 238000005859 coupling reaction Methods 0.000 abstract description 6
- 238000009499 grossing Methods 0.000 abstract 1
- 238000009434 instal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1629 suppres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5611 electricity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7257 malfun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155 mel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5/00—Permanently-installed equipment
- A62C35/02—Permanently-installed equipment with containers for delivering the extinguishing substance
- A62C35/10—Containers destroyed or opened by flames or heat
-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7/00—Control of fire-fighting equipment
- A62C37/08—Control of fire-fighting equipment comprising an outlet device containing a sensor, or itself being the sensor, i.e. self-contained sprinklers
- A62C37/10—Releasing means, e.g. electrically released
- A62C37/11—Releasing means, e.g. electrically released heat-sensitiv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Fire-Extinguishing By Fire Departments, And Fire-Extinguishing Equipment And Control Thereof (AREA)
Abstract
Description
본 발명은 소화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화재시 소화약제 분사가 원활하도록 하는 자동소화장치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fire extinguishing device, and more particularly, to an automatic fire extinguishing device for smooth injection of an extinguishing agent in case of fire.
각종 대형 건물 또는 시설물 등에는 소방법 및 건축법에 따라 소화전, 스프링클러, 살수장비 등과 같은 각종 화재진압용 소화 설치를 필수적으로 갖추도록 하고 있다. 그러나 법적으로 소방 설비를 강제하지 않는 소(小)공간, 특히 EPS, TPS 등 전기 또는 통신 시설이 들어가는 피트 공간의 경우에 화재 발생시 화재 진압에 취약할 수밖에 없었다. 이와 같은 문제로 소공간에서 화재 발생위험이 높은 위치로 별도의 소공간용 자동 소화장치를 설치하여 화재에 대비하고 있다. Various large buildings or facilities are required to be equipped with various fire extinguishing installations such as fire hydrants, sprinklers, and watering equipment in accordance with the Fire Protection Act and Building Act. However, in the case of a small space where firefighting equipment is not legally compulsory, especially a pit space where electricity or communication facilities such as EPS and TPS are entered, it was inevitably vulnerable to fire suppression in the event of a fire. Due to this problem, a separate automatic fire extinguishing device for small spaces is installed in a location with a high risk of fire in small spaces to prepare for fire.
일반적으로 소공간에 설치되는 소화기는 소화약제가 수납된 소화기 본체용기가 구비되고, 본체용기 내부에는 약제방출관(사이폰관)이 내입되어 본체용기 상단의 밸브의 하단과 체결된다. 밸브의 측면에는 분사노즐을 화재발생 위험지역을 향하도록 설치된다. 아울러 화재발생시 자동으로 소화기가 작동하도록 스프링클러에 장치된 유리벌브가 열기에 녹거나 파손됨에 따라 스프링의 힘을 받는 밸브피스톤이 상부로 이동함에 따라 소화물질이 분사되어 화재를 신속히 진압한다. In general, a fire extinguisher installed in a small space has a fire extinguisher body container in which a fire extinguishing agent is stored, and a drug discharge pipe (siphon pipe) is inserted into the body container and fastened with the lower end of the valve at the top of the body container. A spray nozzle is installed on the side of the valve to face the fire hazard area. In addition, as the glass bulb installed in the sprinkler melts or is damaged in the heat so that the fire extinguisher automatically operates in the event of a fire, the valve piston receiving the force of the spring moves upward, and the extinguishing material is sprayed to quickly extinguish the fire.
그러나 도 1(도 1a 내지 동 1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반적인 자동소화장치(2)에 결합된 스프링클러의 구조를 나타낸 것으로서, 그 내부 구조를 살펴보면 밸브캡(56)의 하방돌출부(56a)가 밸브피스톤(20)의 상부에 형성된 홈에 끼워진다. 그런데 화재시 유리벌브(58) 파손으로 밸브피스톤(20) 상승시 밸브피스톤(20)의 상단 홈에 밸브캡(56)의 돌출연장부(56a)가 끼워진 상태로 상승 됨에 따라 밸브캡(56)에 의한 상부이동이 제한되어 밸브피스톤(20)의 하부 밀폐부(20a)가 소화약제의 분출통로를 일부 막아 소화약제의 신속한 분사 작동을 저해하는 문제가 발생되었다. However, as shown in FIG. 1 (FIGS. 1A to 1C), the structure of a sprinkler coupled to a general automatic fire extinguishing
그러나 지금까지는 이러한 문제를 인식하지 못하였으며, 그에 따라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은 구조의 스프링클러를 결합 사용하여 왔다. However, until now, such a problem has not been recognized, and accordingly, a sprinkler having a structure as shown in FIG. 1 has been used in combination.
따라서 본 발명은 화재시 유리벌브(58) 파손으로 밸브피스톤(20)이 상부로 이동시 밸브피스톤(20)의 하단 밀착부(20a)가 분출통로를 막지 않도록 하여 소화약제가 원활하게 분사되어 신속한 화재진압이 되게 하는 자동소화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Therefore, in the case of a fire, when the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자동소화장치를 구성함에 있어서, In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in configuring an automatic fire extinguishing device,
본체용기(4) 상부에는 약제방출관(6)의 상단과 연결되는 밸브(10)를 구비하고, A
상기 밸브(10)는 상하로 관통되는 수직통로(12)가 형성되고 밸브(10)의 측부에는 수직통로(12)와 연결되는 수평연통로(14a)를 형성하여, 수직통로(12) 내부에는 밸브피스톤(20)이 삽입되어 상하로 이동되게 하되 밸브피스톤(20)은 하부의 탄성스프링(22)에 의해 상부로 힘을 받도록 하고, 수평연통로(14a)에는 분사노즐(30)이 연결되게 하며, The
수직통로(12)의 상부에는 스프링클러(50)를 결합하여 유리벌브(58)의 버팀에 의하여 밸브캡(56)이 밸브피스톤(20)의 상부 이동을 제한함으로 밸브피스톤(20)의 밀폐부(20a)가 상기 수평연통로(14a)의 높이 대비 하부에 위치되게 하여 평상시 소화약제의 방출을 차단토록 하고, 화재시 스프링클러(50)의 유리벌브(58) 제거로 버팀해제 되어 밸브피스톤(20)이 탄성스프링(22)의 힘에 의해 상부로 이동하여 수평연통로(14)에 경유하여 분사노즐(30)로 소화약제가 분사되게 하되, The
상기 스프링클러(50)를 구성하는 헤드본체(52)의 밀착관통공(52a)에는 밸브캡(56)의 돌출연장부(56a)가 밀착끼움되게 하고, The
상기 밸브피스톤(20)은 상부봉체(20b)의 외경이 헤드본체(52)의 밀착관통공(52a)의 내에서 밀착되어 상하로 이동될 수 있도록 하여 평상시 상부봉체(20b)의 상단면이 상기 밸브캡(56)의 돌출연장부(56a) 하단면에 맞닿아 밸브피스톤(20)의 상부로 이동을 제한토록 하고, The
화재시 유리벌브(58)가 제거됨에 따라 밸브피스톤(20) 상승시 밸브캡(56)의 돌출연장부(56a)가 헤드본체(52)의 밀착관통공(52a)의 내부로부터 노출되면서 자연스레 탈락되어 밸브피스톤(20)의 하단 밀폐부(20a)가 상기 수평연통로(14a)의 높이 대비 상부에 위치되어 수평연통로(14a)의 완전개방으로 분사노즐로 소화약제가 신속하고 원활하게 분사되게 함을 특징으로 한다. As the
본 발명은 화재시 유리벌브(58) 제거에 의해 밸브피스톤(20) 상승시 밸브캡(56)이 완전 탈락되어 밸브피스톤(20)의 상승에 제한을 가하지 않으므로 밸브피스톤(20)의 밀폐부(20a)가 상기 수평연통로(14a)의 높이 대비 상부로 이동됨에 따라 소화약제에 분사에 방해를 주지 않아 원활한 소화약제의 분사로 화재진압에 보다 효과적이다. In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도 1(도 1a 내지 도 1c)은 종래의 자동소화장치에 결합되는 스프링클러의 결합구조를 도시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자동소화장치에서 밸브와 스프링클러 간의 결합구조를 도시한 분해도,
도 3은 도 2의 밸브피스톤과 스프링클러 구조를 도시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자동소화장치의 구성으로 화재시 소화약제가 원활하게 분출되는 작동과정을 도시한 단면 구성도. 1 (FIGS. 1A to 1C) is a view showing a coupling structure of a sprinkler coupled to a conventional automatic fire extinguishing device;
2 is an exploded view showing a coupling structure between a valve and a sprinkler in an automatic fire extinguish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view showing the valve piston and sprinkler structure of FIG. 2;
4 is a cross-sectional configuration diagram showing an operation process in which an extinguishing agent is smoothly ejected in case of a fire with the configuration of an automatic fire extinguish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자동소화장치(2)의 일반적인 구성은 공지되어 있으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고, 도 2 내지 도 3을 함께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주요부의 구성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In the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general configuration of the automatic fire extinguishing
본 발명에 따른 자동소화장치(2)는 본체용기(4) 상부에 약제방출관(6)의 상단과 연결되는 밸브(10)를 구비한다. 밸브(10)를 약제방출관(6)에 원활하게 결합하기 위한 수단으로 통목(18)과 방출관 목(19)을 이용하여 나사체결할 수 있다.(도 1 참조) The automatic fire extinguishing device (2)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provided with a valve (10) connected to the top of the drug discharge pipe (6) on the top of the body container (4). As a means for smoothly coupling the
상기 밸브(10)는 상하로 관통되는 수직통로(12)가 형성되고 밸브(10)의 측부에는 수직통로(12)와 연결되는 수평연통로(14a)를 형성하여, 수평연통로(14a)에는 분사노즐(30)이 연결되게 한다. The
밸브(10)의 수직통로(12) 내부에는 밸브피스톤(20)이 삽입되어 상하로 이동될 수 있도록 하되 밸브피스톤(20)은 하부의 탄성스프링(22)에 의해 상부로 힘을 받도록 한다. 그리고 수직통로(12)의 상부에는 스프링클러(50)를 결합하여 스프링클러(50)를 구성하는 유리벌브(58)의 버팀에 의하여 밸브캡(56)이 밸브피스톤(20)이 상부 이동을 제한한다. 따라서 평상시 밸브피스톤(20)의 밀폐부(20a)는 수평연통로(14a)의 높이 대비 하부에 위치되어 소화약제의 방출을 차단한다. 밀폐부(20a)는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고무 오링을 결합하는 방식으로 밀폐되게 구현할 수 있다. The
본 발명에서 유리벌브(58)는 화재시 열에 의해 내부에 채워진 물질이 팽창함에 따라 파괴되는 구성을 가지는 것으로 스프링클러에 많이 사용되고 있으며, 유리벌브(58) 대신에 높은 온도에 녹는 ‘퓨즈블링크’등을 사용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유리벌브(58)의 범위는 ‘퓨즈블링크’등을 포함하는 것으로 정의한다.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화재시 유리벌브(58)가 파손되면 유리벌브(58)의 버팀이 해제되어 밸브피스톤(20)은 탄성스프링(22)의 힘에 의해 상부로 이동된다. 밸브피스톤(20)이 상부로 이동하면 밸브피스톤(20)의 밀폐부(20a)는 수평연통로(14a)의 높이 대비 상부에 위치됨에 따라 수평연통로(14a)에 결합된 분사분사노즐(30)로 소화약제가 분사된다. When the
특히 본 발명에서는 유리벌브(58) 파손으로 밸브피스톤(20) 상승시 기존의 문제점으로 확인된 밸브피스톤(20)의 상단 홈에 밸브캡(56)의 돌출연장부(56a)가 끼워진 상태로 상승 됨에 따라 밸브캡(56)에 의한 상부이동이 제한되어 밸브피스톤(20)의 하부 밀폐부(20a)가 소화약제의 분출통로를 일부 막아 소화약제의 신속한 분사 작동을 저해하는 문제를 제거하도록 한다. In particular, in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즉, 도 2 내지 도 4를 참고하면, That is, referring to FIGS. 2 to 4,
스프링클러(50)는 헤드본체(52)의 하단부가 밸브(10)의 수직통로(12) 상단부에 나사체결된다. In the
그리고 헤드본체(52)의 밀착관통공(52a)에는 밸브캡(56)의 돌출연장부(56a)가 밀착끼움되게 한다. 밸브캡(56)은 상부에 안착되는 유리벌브(58)를 안정적으로 지지한다. In addition, the
상기 밸브피스톤(20)은 하단 밀폐부(20a)의 상방으로 상부봉체(20b)를 일체로 연장형성한다. 상부봉체(20b)의 외경은 헤드본체(52)의 밀착관통공(52a)의 내에서 밀착되어 상하로 이동될 수 있도록 하며, 평상시 상부봉체(20b)의 상단면이 상기 밸브캡(56)의 돌출연장부(56a) 하단면에 맞닿아 밸브피스톤(20)의 상부로 이동을 제한된다. The
상기 구성에 의하면, 화재시 유리벌브(58)가 제거되어 밸브피스톤(20)이 상승된다. 이때 밸브피스톤(20)에 밀려 밸브캡(56)의 돌출연장부(56a)가 헤드본체(52)의 밀착관통공(52a)의 내부로부터 노출되면서 자연스레 탈락된다. 따라서 밸브피스톤(20)은 상승시 완전 탈락된 헤드본체(52)의 영향을 전혀 받지 않게 되므로, 밸브피스톤(20)의 하단 밀폐부(20a)가 상기 수평연통로(14a)의 높이 대비 상부에 위치되어 수평연통로(14a)의 완전개방으로 분사노즐로 소화약제가 신속하고 원활하게 분사된다. According to the above configuration, in case of fire, the
상기 밸브피스톤(20)의 상부봉체(20b) 상단면은 홈이 형성되지 않고 막히도록 하며, 밸브캡(56)의 돌출연장부(56a)는 경사면(56b)이 형성되게 하여 상부봉체(20b) 상단면에 닿는 면적이 좁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The upper end surface of the
그리고 도 4를 참고하면, 밸브(10)의 수직통로(12)의 상부 내측에는 걸림돌부(17)를 형성하되 수평통로(14a)의 높이 기준으로 상부의 위치에 형성한다. 이는 화재에 의해 유리벌브(58)가 제거되어 밸브피스톤(20) 상승시 밸브피스톤(20)의 걸림턱(20d)이 밸브(10)의 걸림돌부(17)에 걸림되어 멈추게 한다. 걸림돌부(17)의 내경은 밸브피스톤(20)의 상부봉체(20b)의 외경에 밀착 근접토록 함에 따라 밸브피스톤(17)이 상하로 이동시 요동을 방지하는 가이드역할도 하게 된다. Referring to FIG. 4 , a
한편, 도 2를 참고하면 밸브(10)와 밸브피스톤(20)에는 각각 핀홀(16)(20c)을 형성하여 상기 핀홀(16)(20c)의 높이가 일치토록 한 후 핀홀(16)(20c) 모두를 관통하는 안전핀(24)을 끼움결합토록 하여 밸브피스톤(20)이 상하로 이동이 방지되게 하면 자동소화장치(2)의 이동이나 설치를 비롯하여 필요시 안전핀(24)에 의해 오작동이 방지된다. On the other hand, referring to FIG. 2,
그리고 수평연통로(14a)와 다른 또 하나의 수평연통로(14b)는 다 수개의 자동소화장치(2)를 연속적으로 작동되게 하기 위하여 이웃하는 자동소화장치(2) 간에 연결관으로 연결하여 소화약제 분사시 압력의 일부가 전달되어 연동적으로 자동소화장치(2)가 작동되게 한다. In addition, the
또한 수평연통로(14a)의 하부에는 2개의 연통로(15)를 형성하여 각각 압력계(70) 및 가스주입구(72)를 결합하면, 평상시 용기본체(4) 내의 압력을 체크하고 필요시 용기본체(4) 내부로 가스를 넣을 수 있게 된다. In addition, when two
또한 밸브(10)에 도시된 나사결합공(13)에는 나사가 체결되어 밸브(10)에 헤드본체(52)의 나사결합부 측부를 압박하여 헤드본체(52)가 밸브(10)에 견고하게 결합유지되게 한다. In addition, a screw is fastened to the
상술한 본 발명의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 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여러 가지 변형이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고 실시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 예에 의하여 정할 것이 아니고 특허청구범위 및 그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에 의해 정해 져야 한다. In the above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specific embodiments have been described, but various modifications can be mad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fore,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not be determined by the described embodiments, but should be defined by the claims and their equivalents.
(2)--자동소화장치 (4)--본체용기
(6)--약제방출관
(10)--밸브 (12)--수직통로
(13)--나사결합공 (14a)(14b)--수평연통로
(15)--연통로 (16)--핀홀
(17)--돌출걸림부 (18)--통목
(19)--방출관 목
(20)--밸브피스톤 (20a)--밀폐부
(20b)--상부봉체 (20c)--핀홀
(20d)--걸림턱
(22)--탄성스프링 (24)--안전핀
(30)--분사노즐 (32)--노즐관
(50)--스프링클러
(52)--헤드본체 (52a)--밀착관통공
(56)--밸브캡 (56a)--돌출연장부
(56b)--경사면 (58)--유리벌브
(70)--압력계 (72)--가스주입구 (2)--automatic fire extinguishing device (4)--body container
(6)--drug release tube
(10)--valve (12)--vertical passage
(13)--screw coupling hole (14a) (14b)--horizontal communication passage
(15)--Communication path (16)--Pinhole
(17)--Protruding hanging part (18)--Tongmok
(19)--Discharge tube neck
(20)--valve piston (20a)--sealing part
(20b)--upper rod body (20c)--pin hole
(20d)--catch jaw
(22)--elastic spring (24)--safety pin
(30)--jet nozzle (32)--nozzle pipe
(50)--sprinkler
(52)--head body (52a)--close through hole
(56)--Valve cap (56a)--Protruding extension
(56b)--slope (58)--glass bulb
(70)--pressure gauge (72)--gas inlet
Claims (2)
상기 밸브(10)는 상하로 관통되는 수직통로(12)가 형성되고 밸브(10)의 측부에는 수직통로(12)와 연결되는 수평연통로(14a)를 형성하여, 수직통로(12) 내부에는 밸브피스톤(20)이 삽입되어 상하로 이동되게 하되 밸브피스톤(20)은 하부의 탄성스프링(22)에 의해 상부로 힘을 받도록 하고, 수평연통로(14a)에는 분사노즐(30)이 연결되게 하며,
수직통로(12)의 상부에는 스프링클러(50)를 결합하여 유리벌브(58)의 버팀에 의하여 밸브캡(56)이 밸브피스톤(20)의 상부 이동을 제한함으로 밸브피스톤(20)의 밀폐부(20a)가 상기 수평연통로(14a)의 높이 대비 하부에 위치되게 하여 평상시 소화약제의 방출을 차단토록 하고, 화재시 스프링클러(50)의 유리벌브(58) 제거로 버팀해제 되어 밸브피스톤(20)이 탄성스프링(22)의 힘에 의해 상부로 이동하여 수평연통로(14)에 경유하여 분사노즐(30)로 소화약제가 분사되게 하되,
상기 스프링클러(50)를 구성하는 헤드본체(52)의 밀착관통공(52a)에는 밸브캡(56)의 돌출연장부(56a)가 밀착끼움되게 하고,
상기 밸브피스톤(20)은 상부봉체(20b)의 외경이 헤드본체(52)의 밀착관통공(52a)의 내에서 밀착되어 상하로 이동될 수 있도록 하여 평상시 상부봉체(20b)의 상단면이 상기 밸브캡(56)의 돌출연장부(56a) 하단면에 맞닿아 밸브피스톤(20)의 상부로 이동을 제한토록 하고,
화재시 유리벌브(58)가 제거됨에 따라 밸브피스톤(20) 상승시 밸브캡(56)의 돌출연장부(56a)가 헤드본체(52)의 밀착관통공(52a)의 내부로부터 노출되면서 자연스레 탈락되어 밸브피스톤(20)의 하단 밀폐부(20a)가 상기 수평연통로(14a)의 높이 대비 상부에 위치되어 수평연통로(14a)의 완전개방으로 분사노즐로 소화약제가 신속하고 원활하게 분사되게 함을 특징으로 하는 화재시 소화약제 분사가 원활하도록 하는 자동소화장치.
A valve 10 connected to the top of the drug discharge pipe 6 is provided on the top of the main container 4,
The valve 10 has a vertical passage 12 penetrating vertically, and a horizontal communication passage 14a connected to the vertical passage 12 is formed on the side of the valve 10, so that inside the vertical passage 12 The valve piston 20 is inserted and moved up and down, but the valve piston 20 is forced upward by the elastic spring 22 at the bottom, and the spray nozzle 30 is connected to the horizontal communication passage 14a. and
The sprinkler 50 is coupled to the upper part of the vertical passage 12, and the valve cap 56 restricts the upper movement of the valve piston 20 by the support of the glass bulb 58, so that the sealing part of the valve piston 20 ( 20a) is positioned lower than the height of the horizontal communication passage 14a to block the release of the fire extinguishing agent at normal times, and in case of fire, the sprinkler 50 is released by removing the glass bulb 58 and the valve piston 20 The force of the elastic spring 22 moves upward and the fire extinguishing agent is sprayed through the spray nozzle 30 via the horizontal communication passage 14,
The protruding extension part 56a of the valve cap 56 is tightly fitted into the through-hole 52a of the head body 52 constituting the sprinkler 50,
The valve piston 20 allows the outer diameter of the upper rod body 20b to move up and down in close contact within the close contact through hole 52a of the head body 52 so that the upper end surface of the upper rod body 20b is normally Contact the lower end surface of the protruding extension part 56a of the valve cap 56 to limit the movement to the upper part of the valve piston 20,
As the glass bulb 58 is removed in case of fire, when the valve piston 20 rises, the protruding extension part 56a of the valve cap 56 is exposed from the inside of the through-hole 52a of the head body 52, and naturally It is eliminated and the lower sealing part 20a of the valve piston 20 is located above the height of the horizontal communication passage 14a, and the fire extinguishing agent is quickly and smoothly sprayed through the spray nozzle with the horizontal communication passage 14a fully opened. An automatic fire extinguishing device that facilitates the injection of fire extinguishing agents in case of fire, characterized in that.
밸브(10)의 수직통로(12)의 상부 내측에는 걸림돌부(17)를 형성하되 수평통로(14a)의 높이 기준으로 상부의 위치에 형성하여,
화재에 의해 유리벌브(58)가 제거되어 밸브피스톤(20) 상승시 밸브피스톤(20)의 걸림턱(20d)이 밸브(10)의 걸림돌부(17)에 걸림되어 멈추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화재시 소화약제 분사가 원활하도록 하는 자동소화장치.
According to claim 1,
The locking member 17 is formed inside the upper part of the vertical passage 12 of the valve 10, but formed at the upper position based on the height of the horizontal passage 14a,
When the glass bulb 58 is removed by fire and the valve piston 20 rises, the locking jaw 20d of the valve piston 20 is caught by the locking portion 17 of the valve 10 and stops. An automatic fire extinguishing device that facilitates the spraying of extinguishing agents in case of fire.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20019295A KR102651264B1 (en) | 2022-02-15 | 2022-02-15 | Automatic fire-extinguishing apparatus to facilitate spraying of extinguishing agent in case of fire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20019295A KR102651264B1 (en) | 2022-02-15 | 2022-02-15 | Automatic fire-extinguishing apparatus to facilitate spraying of extinguishing agent in case of fire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30122731A true KR20230122731A (en) | 2023-08-22 |
KR102651264B1 KR102651264B1 (en) | 2024-03-26 |
Family
ID=877996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20019295A KR102651264B1 (en) | 2022-02-15 | 2022-02-15 | Automatic fire-extinguishing apparatus to facilitate spraying of extinguishing agent in case of fire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651264B1 (en) |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260783B1 (en) * | 2012-04-17 | 2013-05-06 | 이대규 | valve for fire extinguishing apparatus and fire extinguishing system using the same |
KR101489240B1 (en) * | 2014-09-16 | 2015-02-04 | 황연하 | Sprinkler head assembly |
KR101547227B1 (en) * | 2014-03-04 | 2015-08-25 | 티제이티(주) | Automatic peristaltic fire extinguishing device |
KR101717083B1 (en) | 2015-07-21 | 2017-03-24 | 주식회사 삼성테크 | Automatic fire extinguishing device for small space of pressure-chamber type device |
-
2022
- 2022-02-15 KR KR1020220019295A patent/KR102651264B1/en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260783B1 (en) * | 2012-04-17 | 2013-05-06 | 이대규 | valve for fire extinguishing apparatus and fire extinguishing system using the same |
KR101547227B1 (en) * | 2014-03-04 | 2015-08-25 | 티제이티(주) | Automatic peristaltic fire extinguishing device |
KR101489240B1 (en) * | 2014-09-16 | 2015-02-04 | 황연하 | Sprinkler head assembly |
KR101717083B1 (en) | 2015-07-21 | 2017-03-24 | 주식회사 삼성테크 | Automatic fire extinguishing device for small space of pressure-chamber type device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2651264B1 (en) | 2024-03-26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10556139B2 (en) | Network-type temperature-controlled hanging extinguishing system | |
KR101737005B1 (en) | Spray nozzle for fier-extinguishing prevention of smoke-proliferation | |
KR101717083B1 (en) | Automatic fire extinguishing device for small space of pressure-chamber type device | |
RU2216370C2 (en) | Holder for spraying head mounting and spraying head combined with holder | |
KR102009371B1 (en) | Percussion device of auto fire extinguisher system and auto fire extinguisher containing the same | |
KR101662590B1 (en) | Fire fighting device for building of sprinkler type | |
KR102209985B1 (en) | A dry pendent assembly | |
KR20230122731A (en) | Automatic fire-extinguishing apparatus to facilitate spraying of extinguishing agent in case of fire | |
KR102194180B1 (en) | Fire extinguisher with a gas adaptor | |
KR100936384B1 (en) | Water mist spray fire extinguishing equipment for wooden cultural properties | |
KR200344303Y1 (en) | A spray nozzle for a fire extinguisher | |
NL8500669A (en) | AUTOMATIC AND MANUAL OPERABLE PORTABLE FIRE EXTINGUISHER. | |
KR20160000059U (en) | Install in ceiling type extinguisher with multiple spout nozzle | |
KR200495771Y1 (en) | Fire extinguisher | |
KR101045660B1 (en) | Fire Fighting Equipment | |
KR102566677B1 (en) | Fire extinguisher interlocking fire extinguisher and fire extinguisher formed by combining thereof | |
KR102056472B1 (en) | Percussion device of auto fire extinguisher system and chain auto extinguisher containing the same | |
KR20170138828A (en) | CO2 cartridges for automatic fire extinguisher cabinet | |
KR100455897B1 (en) | Spraying device for fire extinguishing | |
US3771606A (en) | Automatic fire extinguishing system | |
KR102682366B1 (en) | Glass bulb with heat-sensitive rupture function | |
KR101537525B1 (en) | Mist spray type fire extinguishing system with automatic control and touch screen | |
KR200360261Y1 (en) | Installation in ceiling type extinguisher | |
KR200312628Y1 (en) | Diffusion Valve of a fire extinguisher | |
KR102146818B1 (en) | Firefighting safety mechanism box device of apartment house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