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22542A - The kiosk mounted on a window. - Google Patents

The kiosk mounted on a window.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22542A
KR20230122542A KR1020230015256A KR20230015256A KR20230122542A KR 20230122542 A KR20230122542 A KR 20230122542A KR 1020230015256 A KR1020230015256 A KR 1020230015256A KR 20230015256 A KR20230015256 A KR 20230015256A KR 20230122542 A KR20230122542 A KR 2023012254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kiosk
window
wireless charging
short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015256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김하정
Original Assignee
김하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하정 filed Critical 김하정
Publication of KR2023012254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22542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FCOIN-FREED OR LIKE APPARATUS
    • G07F17/00Coin-freed apparatus for hiring articles; Coin-freed facilities or services
    • G07F17/40Coin-freed apparatus for hiring articles; Coin-freed facilities or services for devices for accepting orders, advertisements, or the lik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08Payment architectures
    • G06Q20/18Payment architectures involving self-service terminals [SST], vending machines, kiosks or multimedia terminal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3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 G06Q20/34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using cards, e.g. integrated circuit [IC] cards or magnetic card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FCOIN-FREED OR LIKE APPARATUS
    • G07F7/00Mechanisms actuated by objects other than coins to free or to actuate vending, hiring, coin or paper currency dispensing or refunding apparatus
    • G07F7/08Mechanisms actuated by objects other than coins to free or to actuate vending, hiring, coin or paper currency dispensing or refunding apparatus by coded identity card or credit card or other personal identification mean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FCOIN-FREED OR LIKE APPARATUS
    • G07F9/00Details other than those peculiar to special kinds or types of apparatus
    • G07F9/002Vending machines being part of a centrally controlled network of vending machine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GREGISTERING THE RECEIPT OF CASH, VALUABLES, OR TOKENS
    • G07G5/00Receipt-giving machin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50/0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50/2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using microwaves or radio frequency wav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80Services using short range communication, e.g. near-field communication [NFC], radio-frequency identification [RFID] or low energy communic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Fina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Cash Registers Or Receiving Machines (AREA)

Abstract

본원발명은, 윈도우에 장착되는 키오스크에 있어서, 상기 키오스크에는 중앙처리장치, 메모리부, 무선충전 송신 모듈 및 근거리 통신 모듈이 구비되고, 상기 키오스크는 윈도우 안쪽에 장착되고, 상기 키오스크 밖에는 카드 결제기와 영수증 출력기가 구비되므로서, 윈도우 밖에서도 주문 및 결제를 실시하여 매장내에 키오스크가 차지하는 공간을 최소화 할 수 있으며, 또한 윈도우 밖에서도 카드 결제 혹은 영수증 출력이 가능하도록 카드 결제기와 영수증 출력기에 에너지가 전될되고 데이터도 전달 되도록 한다. In the present invention, in a kiosk mounted on a window, the kiosk is provided with a central processing unit, a memory unit, a wireless charging transmission module and a short-range communication module, the kiosk is mounted inside the window, and a card payment machine and a receipt are outside the kiosk. Since the printer is provided, it is possible to minimize the space occupied by the kiosk in the store by performing orders and payments even outside the window, and energy is transmitted to the card payment machine and receipt printer so that card payment or receipt output is possible even outside the window. to be transmitted as well.

Description

윈도우에 장착되는 키오스크{The kiosk mounted on a window.} The kiosk mounted on a window.}

본 발명은 윈도우에 장착되는 키오스크에 관한 것으로서, 더 자세하게는 키오스크가 유리창(윈도우) 안쪽에 장착되고 유리창(윈도우) 밖에서 키오스크가 터치 되어 주문이나 결제가 이루어지도록 하는 윈도우에 장착된 키오스크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kiosk mounted on a window, and more particularly, the kiosk is mounted inside a glass window (window) and touches the kiosk outside the window (window) to make an order or payment. It relates to a kiosk mounted on a window.

코로나 이전에도 점차 확대되던 무인 단말기는 코로나 이후 폭발적으로 늘어나고 있는 실정이며, 이제는 공공장소를 비롯해 주유소, 매표소, 상점 등 일상생활에서 쉽게 접하게 된다. 영어로 ‘신문, 음료를 파는 매점’이라는 뜻의 ‘키오스크(Kiosk)’는 비대면 시대의 대표적인 트렌드이자, 무인화 시대를 앞당기는 매개체로 주목받고 있다. Unmanned terminals, which were gradually expanding even before COVID-19, are explosively increasing after COVID-19, and are now easily encountered in daily life, such as public places, gas stations, ticket offices, and stores. ‘Kiosk’, which means ‘a store selling newspapers and drinks’ in English, is a representative trend in the non-face-to-face era and is attracting attention as a medium that advances the unmanned era.

특히, 2030 세대에게는 이미 익숙한 비대면 주문 결제 시스템은, 코로나 19 상황이 지속되면서 수요가 급증했고, 검색에 익숙한 연령층의 성향과 시장의 인건비 절감 요구가 맞물리면서 핵심 대면 채널로 떠오르고 있다.In particular, the non-face-to-face order payment system, which is already familiar to the 20s and 30s, is emerging as a key face-to-face channel as demand surges as the COVID-19 situation continues, and the trend of the age group accustomed to searching and the demand for labor cost reduction in the market mesh.

키오스크가 가장 크게 자리 잡은 업계는 패스트푸드이고, 예를들면 KFC와 롯데리아는 이미 전체 매장의 80~100%에 키오스크를 설치해 운영 중이다. The industry where kiosks are the largest is fast food. For example, KFC and Lotteria have already installed and operated kiosks in 80-100% of their stores.

아울러, 소형 매장에서도 키오스크는 채용되고 있는 실정이며, 이러한 소형 매장에서도 키오스크를 사용할 때 주문을 하는 고객 이외에 줄을 서게 되는 고객도 존재하게 된다. In addition, a kiosk is adopted even in a small store, and when using a kiosk in such a small store, there are customers who stand in line in addition to customers who order.

따라서 키오스크를 매장 내에 설치하게 되면, 키오스크 앞에 일정 공간도 함께 확보되어야 하는 문제점이 존재하게 된다. Therefore, when the kiosk is installed in the store, there is a problem in that a certain space in front of the kiosk must also be secured.

물론, 대한민국 등록 특허 제 10-2215213호(2021년02월05일)에서는 "터치 스크린부와 상기 터치 스크린부로부터 입력받은 신호에 기초하여 제어명령을 송출시키는 제어부와 상기 제어부의 제어신호를 송출시키는 통신부를 포함하는 키오스크 본체; 상기 키오스크 본체와 간섭되지 않는 위치에, 보행자의 머리가 닿지 않는 제1위치와 관리자에 의한 용지 교체가 용이한 제2위치 사이에서 상하방향으로 승강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키오스크 본체의 통신부로부터 송출된 제어명령을 수신받아 그 제어명령에 기초한 인쇄를 수행하여 인쇄용지를 배출시키는 프린터; 내측에 상하방향으로 길게 인쇄용지 이동통로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키오스크 본체와 벽면 사이에 배치되고, 상측에는 상기 프린터로부터 출력된 인쇄용지가 유입되는 유입구가 형성되고 하측에는 상기 인쇄용지 수납을 가능하게 하는 수납구가 형성되어 있는 용지배출덕트; 및 상기 프린터를 승강시키기 위한 승강 장치;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림화된 키오스크"를 제시하고, Of course, in Korean Registered Patent No. 10-2215213 (February 5, 2021), "a touch screen unit and a control unit that transmits a control command based on a signal input from the touch screen unit and a control unit that transmits a control signal from the control unit A kiosk body including a communication unit; Installed at a position that does not interfere with the kiosk body and is capable of moving up and down between a first position where a pedestrian's head does not reach and a second position where paper replacement by a manager is easy, A printer that receives a control command sent from the communication unit of the kiosk body, performs printing based on the control command, and discharges the printing paper; A long upward and downward moving passage for printing paper is formed inside, and is formed between the kiosk body and the wall surface and a paper discharge duct having an inlet through which the printing paper output from the printer flows in at the upper side and a receiving hole for storing the printing paper at the lower side thereof; and an elevating device for lifting the printer. Presenting a "slimned kiosk" characterized in that made by

대한민국 공개 특허 제 10-2021-0113849(2021.09.17)호에서는 "사용자의 휴대통신단말에 설치되고, 온라인을 통해 객실예약 및 무인 체크인 시 객실 키를 발급 받기 위한 사용자 프로그램부; 무인숙박업체에 설치되고, 사용자의 객실예약을 확인하고, 결제를 요청하며, 객실 키 발급을 진행하기 위한 키오스크; 상기 키오스크의 결제 요청에 따른 결제를 진행하며, 결제완료 시 객실 키 지급을 요청하는 관리서버; 및 관리자 통신단말에 설치되고, 객실의 도어락과 동기화되어 도어락에 사용되는 키 값을 관리하고, 상기 관리서버의 객실 키 지급 요청에 따라 상기 키오스크 또는 상기 사용자 프로그램부로 객실예약기간에 따라 유효한 객실 키를 발급하는 관리자 프로그램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키오스크를 이용한 무인 숙박 업체 체크인 관리 시스템."을 제시하고 있다. Republic of Korea Patent Publication No. 10-2021-0113849 (2021.09.17) describes "a user program unit installed on a user's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receiving a room key upon online reservation and unmanned check-in; installed in an unmanned lodging company. a kiosk for confirming a user's room reservation, requesting payment, and issuing a room key; a management server that proceeds with payment according to the payment request of the kiosk and requests payment of the room key upon payment completion; and a manager Installed in a communication terminal, synchronizing with the door lock of the room to manage the key value used for the door lock, and issuing a valid room key to the kiosk or the user program unit according to the room reservation period in response to the request for payment of the room key from the management server An unmanned lodging company check-in management system using a kiosk, characterized in that it includes a manager program unit."

그러나, 상기의 기술은 키오스크를 설치하는 데 필요한 매장내에 공간을 본질적으로 줄이는 효과적인 방법이 제시된 것은 것은 아니다.However, the above technique does not suggest an effective method of essentially reducing the space in the store required to install the kiosk.

따라서, 키오스크로 인하여 차지되는 매장 내에 공간이 획기적으로 줄어들도록 하는 기술 개발이 절실한 실정이다. Therefore, there is an urgent need to develop a technology that dramatically reduces the space occupied by the kiosk in the store.

인용문헌 1:대한민국 등록 특허 제 10-2215213, 등록일(2021년02월05일)Citation 1: Korean Registered Patent No. 10-2215213, registration date (February 05, 2021) 인용문헌 2:대한민국 공개특허 제 10-2021-0113849, 공개일(2021년09월17일)Citation 2: Korean Patent Publication No. 10-2021-0113849, publication date (September 17, 2021)

본 발명의 목적은, 키오스크의 디스플레이가 윈도우에 밀착되는 방법으로 키오스크가 윈도우에 장착되도록 하여 윈도우 밖에서도 상기 디스플레이에 장착된 입력장치를 통하여 주문 및 결제가 이루어지도록 하므로서 매장 내에 설치 공간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하는 키오스크를 제공하기 위함이다.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minimize the installation space in the store by enabling the kiosk to be mounted on the window in such a way that the display of the kiosk adheres to the window so that orders and payments can be made through the input device mounted on the display even outside the window. This is to provide a kiosk that allows

상기 목적은, 윈도우에 장착되는 키오스크에 있어서, 상기 키오스크에는 중앙처리장치, 메모리부, 무선충전 송신 모듈 및 근거리 통신 모듈이 구비되고, 상기 키오스크는 윈도우 안쪽에 장착되고, 상기 키오스크 밖에는 카드 결제기와 영수증 출력기가 구비되므로서 달성된다.For the above object, in a kiosk mounted on a window, the kiosk is provided with a central processing unit, a memory unit, a wireless charging transmission module and a short-range communication module, the kiosk is mounted inside the window, and the card payment machine and receipt are outside the kiosk. This is achieved by providing an output device.

그리고 윈도우에 장착되는 키오스크에 있어서, 상기 키오스크에는 중앙처리장치, 메모리부, 무선충전 송신 모듈 및 근거리 통신 모듈이 구비되고, 상기 키오스크는 윈도우 안쪽에 장착되고, 상기 키오스크 밖에는 카드 결제기와 영수증 출력기가 구비된다. And in the kiosk mounted on the window, the kiosk is provided with a central processing unit, a memory unit, a wireless charging transmission module and a short-range communication module, the kiosk is mounted inside the window, and a card payment machine and a receipt printer are provided outside the kiosk. do.

또한 상기 키오스크에 무선충전부가 구비되고, 상기 카드 결제기와 영수증 출력기를 제어하는 단말기가 더 구비되고, 상기 단말기에는 무선충전 수신부가 더 구비되며, 상기 무선충전부가 상기 무선충전 수신부에 전력 에너지를 공급한다.In addition, the kiosk is provided with a wireless charging unit, a terminal for controlling the card payment machine and a receipt output machine is further provided, the terminal is further provided with a wireless charging receiving unit, and the wireless charging unit supplies power energy to the wireless charging receiving unit. .

아울러 상기 키오스크와 상기 단말기는 근거리 통신이 실시된다.In addition, short-range communication is performed between the kiosk and the terminal.

본 발명에 따르면, 윈도우 밖에서도 주문 및 결제를 실시하여 매장내에 키오스크가 차지하는 공간을 최소화 할 수 있으며, 또한 윈도우 밖에서도 카드 결제 혹은 영수증 출력이 가능하도록 카드 결제기와 영수증 출력기에 에너지가 전될되고 데이터도 전달 되도록 한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space occupied by the kiosk in the store can be minimized by ordering and payment even outside the window, and energy is transferred to the card payment machine and receipt printer so that card payment or receipt output is possible even outside the window, and data to be conveyed

도 1은 본원 발명의 키오스크를 나타낸 실시예의 도면이다.
도 2와 도3은 본원 발명의 키오스크의 배치를 나타낸 실시예의 도면이다.
도 4는 윈도우 밖에 터치 패널이 구비되는 경우의 실시예의 도면이다.
도 5는 서버와 연결된 키오스크를 나타낸 실시예의 도면이다.
도 6은 키오스크가 서버와 연결되는 방법을 나타낸 실시예의 도면이다.
도 7은 키오스크의 구성을 나타낸 실시예의 도면이다.
도 8은 무선충전 안테나와 근거리 통신 1 안테나를 나타낸 실시예의 도면이다.
도 9는 단말기의 구성을 나타낸 실시예의 도면이다,
도 10은 무선충전과 근거리 통신이 이루어지는 원리를 나타낸 실시예의 도면이다.
1 is a diagram of an embodiment showing a kiosk of the present invention.
2 and 3 are views of an embodiment showing the arrangement of the kiosk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diagram of an embodiment when a touch panel is provided outside a window.
5 is a diagram of an embodiment showing a kiosk connected to a server.
6 is a diagram of an embodiment illustrating how a kiosk is connected to a server.
7 is a diagram of an embodiment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kiosk.
8 is a diagram of an embodiment showing a wireless charging antenna and one short-range communication antenna.
9 is a diagram of an embodiment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terminal,
10 is a diagram of an embodiment illustrating a principle of wireless charging and short-range communication.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실시 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의 구성 및 그에 따른 작용 효과는 이하의 상세한 설명을 통해 명확하게 이해될 것이다. Hereinafter, embodiment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The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its operational effects will be clearly understood through the following detailed description.

그리고, 공지된 기술 구성에 대해서는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할 수도 있다.Further, detailed descriptions of well-known technical configurations may be omitted.

한편, 본원 발명의 키오스트에 대한 기술과 구성은 일반적인 방법을 따를 수 있다. Meanwhile, the technology and configuration of the kiosk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follow a general method.

물론, 통상의 모든 키오스크는 본원 발명에 적용될 수 있다. Of course, all conventional kiosks can be applied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은 본원 발명의 키오스크를 나타낸 실시예의 도면이다. 1 is a diagram of an embodiment showing a kiosk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키오스크(10)의 디스플레이(13)가 윈도우(20)에 밀착되는 방법으로 키오스크(20)가 윈도우(10)에 장착되도록 하여 윈도우 밖에서도 상기 디스플레이(13)에 장착된 입력장치(14)를 통하여 주문 및 결제가 이루어지도록 하게 되고, 따라서 매장 내에 키오스트(10)의 설치 공간을 최소화할 수 있게 된다. As shown in FIG. 1, the kiosk 20 is mounted on the window 10 in such a way that the display 13 of the kiosk 10 adheres to the window 20, so that the display 13 is mounted outside the window. Orders and payments are made through the input device 14, and thus the installation space of the kiosk 10 in the store can be minimized.

즉, 투명한 윈도우(유리창)(20) 밖에서 디스플레이(13)에 표시된 정보를 볼 수 있고, 상기 투명한 윈도우(유리창)(20) 밖에서 윈도우(20)(혹은 윈도우(20) 위에 장착된 입력장치 표면) 표면을 터치하므로서 주문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That is, information displayed on the display 13 can be seen outside the transparent window (glass window) 20, and the window 20 (or the surface of the input device mounted on the window 20) outside the transparent window (glass window) 20 The ordering function can be performed by touching the surface.

한편, 상기 윈도우(유리창)(20) 밖에 구비된 카드 리더기(25)를 통하여 카드 결제가 가능하고, 영수증 출력기(30)를 통하여 영수증 출력도 가능하게 된다. 판현, 상기 카드 리더기(25)와 영수증 출력기(30)는 통상의 기기와 방법이 사용된다. Meanwhile, card payment is possible through the card reader 25 provided outside the window (window) 20, and receipt output through the receipt printer 30 is also possible. Panhyeon, the card reader 25 and the receipt printer 30 are used in common devices and methods.

도 2와 도3은 본원 발명의 키오스크의 배치를 나타낸 실시예의 도면이다.2 and 3 are views of an embodiment showing the arrangement of the kiosk of the present invention.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왼도우(20) 밖에는 카드 리더기(25)와 영수증 출력기(30)가 장착되고, 윈도우(20) 안쪽에는 키오스트(10)가 장착되며, 상기 키오스크(10)의 디스플레이(13)와 윈도우(20) 사이에는 중간 필름(22)이 구비된다.As shown in FIG. 2, a card reader 25 and a receipt printer 30 are mounted outside the window 20, and a kiosk 10 is mounted inside the window 20. An intermediate film 22 is provided between the display 13 and the window 20 .

또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윈도우(20) 안쪽에는 키오스크(10)의 디스플레이(13)가 밀착되도록 하는 방법으로 윈도우에 키오스카(10)가 장착된다. 그리고 키오스크(10)의 디스플레이(13)와 윈도우(20) 사이에 중간 필름(22)이 구비되게 된다. In addition, as shown in FIG. 3 , the kiosk 10 is mounted on the window in such a way that the display 13 of the kiosk 10 adheres to the inside of the window 20 . In addition, an intermediate film 22 is provided between the display 13 of the kiosk 10 and the window 20 .

이때, 상기 중간 필름(22)의 역할은 키오스크의 디스플레이(13)와 윈도우(20) 사이에 존재하는 공기층을 제거하기 위함이다. 즉, 상기 중간 필름(22)은 탄성력을 가지는 점착 필름으로서, 디스플레이(13)와 윈도우(20) 사이에 존재하여 공기층이 제거된다.At this time, the role of the intermediate film 22 is to remove the air layer existing between the display 13 and the window 20 of the kiosk. That is, the intermediate film 22 is an adhesive film having elasticity, and exists between the display 13 and the window 20 to remove the air layer.

한편, 본원 발명에서는 키오스크(10)에서 정보를 표시하는 역할을 하는 디스플레이(13)가 존재하며, 상기 디스플레이 바로 상단에 입력장치(14)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상기의 경우에는 상기 중간 필름(22)이 입력장치(14) 상단, 즉 윈도우(22)와 입력장치(14) 사이에 위치하게 된다. Meanwhile, in the present invention, a display 13 serving to display information in the kiosk 10 exists, and an input device 14 may be further provided right above the display. In this case, the intermediate film 22 is located on top of the input device 14, that is, between the window 22 and the input device 14.

한편, 상기 도면에서와 같이 무선충전부(11)가 키오스크(10) 표면에 구비된다. 상기 무선충전부(11)는 통상의 무선으로 전력을 송신하는 무선충전기를 위미하며, 상기 무선충전부(11) 표면의 바로 안쪽에는 무선송신 안테나(무선으로 전력을 송신하는 안테나)가 구비된다. On the other hand, as shown in the drawing, the wireless charging unit 11 is provided on the surface of the kiosk 10. The wireless charging unit 11 refers to a wireless charger that transmits power wirelessly, and a wireless transmission antenna (an antenna that wirelessly transmits power) is provided just inside the surface of the wireless charging unit 11.

따라서, 본원 발명에서는 상기 무선충전부(11)에 의하여, 카드 리더기, 영수증 출력기 등의 기능이 수행되는 데에 필요한 전력이 공급되게 된다. Therefore, in the present invention, power necessary for performing functions such as a card reader and a receipt printer is supplied by the wireless charging unit 11.

도 4는 윈도우 밖에 터치 패널이 구비되는 경우의 실시예의 도면이다.4 is a diagram of an embodiment when a touch panel is provided outside a window.

윈도우(20)가 너무 두꺼운 경우 예를들면 그 두께가 10 mm 혹은 15 mm 이상이 되면, 윈도우 밖에서 터치의 방법으로 디스플레이 상단에 구비된 입력장치(14)에 주문 명령을 실시하기 어려울 수도 있게 된다. If the window 20 is too thick, for example, if the thickness is more than 10 mm or 15 mm, it may be difficult to issue an order command to the input device 14 provided at the top of the display by touch outside the window.

이럴 경우에는 윈도우(20) 밖에 터치 패널(35)을 더 구비하게 된다. 상기 터치 패널(35)도 디스플레이 상단에서 정보가 입력되는 통상의 입력장치이지만, 본원 발명에서는 디스플레이(13) 상단에 바로 정보를 입력하는 입력장치(14)와 구별하기 위하여 터치 패널이라고 하였다. In this case, the touch panel 35 is further provided outside the window 20 . The touch panel 35 is also a normal input device for inputting information at the top of the display, but in the present invention, it is called a touch panel to distinguish it from the input device 14 for directly inputting information at the top of the display 13.

도 5는 서버와 연결된 키오스크를 나타낸 실시예의 도면이다.5 is a diagram of an embodiment showing a kiosk connected to a server.

본원 발명에서 서버(100)는 지역별로 분산된 키오스크(10-n)를 통합적으로 관리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server 100 provides a method for integrally managing the kiosks 10-n distributed by region.

통신 시스템 내에서의 서버(100)는 유무선 인터넷을 통하여 각종 정보 제공 서비스를 운영하기 위한 시스템을 구성하고 있는 장치이다. 상기 서버(100) 관리자 혹은 운영자들이 정보를 입력 관리하는 입력부(103), 정보를 출력하거나 디스플레이 할 수 있는 출력부(105), 각종 정보와 서비스 운영에 관한 정보를 저장하는 데이터 베이스부(104) 및 인터넷 혹은 통신망을 통해 접속자와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는 인터페이스부(102)가 구성되어 있다. 한편, 정보는, 이미지, 동영상, 텍스트 등 모든 정보를 의미한다.The server 100 in the communication system is a device constituting a system for operating various information providing services through wired/wireless Internet. An input unit 103 for inputting and managing information by managers or operators of the server 100, an output unit 105 for outputting or displaying information, and a database unit 104 for storing various information and service operation information. and an interface unit 102 capable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data with a visitor through the Internet or a communication network. On the other hand, information means all information such as images, videos, and texts.

그리고, 키오스크(10)(혹은 10-n)는 다양한 정보를 유무선 인터넷(혹은 통신망)을 통하여 송 수신할 수 있는 일종의 컴퓨터 단말기이다.And, the kiosk 10 (or 10-n) is a kind of computer terminal capable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various information through the wired and wireless Internet (or communication network).

그러므로 상기 키오스트(10-n)에는 중앙처리장치의 역할을 하는 CPU(12), 정보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13), 각종 정보를 저장하는 메모리부(16), 정보를 입력하는 입력장치(14) 및 정보 혹은 데이터를 입출력 할 수 있는 데이터 입출력부(15)가 구성되어 있다. Therefore, the kiosk 10-n includes a CPU 12 serving as a central processing unit, a display unit 13 displaying information, a memory unit 16 storing various information, and an input device ( 14) and a data input/output unit 15 capable of inputting/outputting information or data.

본원 발명의 키오스트(10)에서 상기 데이터 입출력부(15)는 카드 리더기(25)와 영수증 출력부(30)가 해당된다고 할 수 있다. In the kiosk 10 of the present invention, it can be said that the data input/output unit 15 corresponds to the card reader 25 and the receipt output unit 30.

도 6은 키오스크가 서버와 연결되는 방법을 나타낸 실시예의 도면이다.6 is a diagram of an embodiment illustrating how a kiosk is connected to a server.

도 6에서처럼 본원 발명의 서버(100)는 다수의 키오스크(10-n)(n은 1부터 n까지)와 연결되게 된다. 그리고 통상적으로 결제 기능을 하는 결제 서버(150)는 별도로 구비되게 된다. As shown in Figure 6, the server 100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onnected to a plurality of kiosks 10-n (n is from 1 to n). In addition, the payment server 150 that normally performs a payment function is provided separately.

도 7은 키오스크의 구성을 나타낸 실시예의 도면이다. 7 is a diagram of an embodiment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kiosk.

중앙처리장치(CPU)(1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사용되는 키오스크(10) 전체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수단이다. The central processing unit (CPU) 12 is a control means for controlling the entire operation of the kiosk 10 used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그리고 정보를 저장하는 메모리부(16)가 구비되고, 상기 메모리부(16)에는 통상적으로 표시장치의 수행프로그램을 제어하는 롬, 프로그램 수행시에 발생하는 데이타를 저장하는 램, 사용자가 필요로 하는 데이터 및 이를 처리하는 데에 필요한 데이타를 보관하는 이이피롬이 존재한다. In addition, a memory unit 16 for storing information is provided, and the memory unit 16 typically includes a ROM for controlling the execution program of the display device, a RAM for storing data generated during program execution, and a user-needed There is an EPROM that stores data and data necessary to process it.

통신부(17)는 유무선 인터넷을 통사여 키오스크와 서버간에 정보를 송수신하도록 하는 기능을 한다. 그리고, 무선주파수(Radio Frequency)로서, RF 채널에 동조하고, 입력되는 음성신호를 증폭하며, 안테나에서 수신된 RF 신호를 중간주파수 신호로 변경하는 기능도 포함된다. The communication unit 17 functions to transmit/receive information between the kiosk and the server via wired/wireless Internet. In addition, as a radio frequency, a function of tuning to an RF channel, amplifying an input voice signal, and changing an RF signal received from an antenna into an intermediate frequency signal is also included.

입력장치(14)는 디스플레이(13) 상단에 위치하여 정보를 입력하는 통상의 입력장치를 의미한다. 상기 입력장치(14)는 입력장치 구동부를 통하여 중앙처리장치(12)의 제어가 수행된다. The input device 14 is a normal input device that is located on the top of the display 13 and inputs information. The input device 14 is controlled by the central processing unit 12 through the input device driver.

한편, 본원 발명에서는 카드 리더기(25)와 영수증 츨력기(30)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무선충전부(11)가 구비되며, 상기 무선충전부(11)는 무선충전 송신 모듈(19)과 무선충전 안테나(19a)로 이루어진다. 상기 무선충전 모듈(19)은 중앙처리장치(12)의 제어에 의하여 작동이 되며, 상기 무선충전 모듈의 제어에 의하여 무선충전 안테나를 통하여 전력 에너지가 송신된다. 이때 본원 발명의 무선충전기(11), 무선충전 모듈(19) 및 무선충전 안테나(19a)는 통상의 방법이 사용된다. On the other hand, in the present invention, a wireless charging unit 11 is provided to supply power to the card reader 25 and the receipt printer 30, and the wireless charging unit 11 includes a wireless charging transmission module 19 and a wireless charging antenna (19a). The wireless charging module 19 is operated under the control of the central processing unit 12, and power energy is transmitted through the wireless charging antenna under the control of the wireless charging module. At this time, a conventional method is used for the wireless charger 11, the wireless charging module 19, and the wireless charging antenna 19a of the present invention.

또한, 본원 발명에서는 키오스크(10) 본체에서 카드 리더기(25) 및 영수증 츨력기(30)와의 통신 방법으로 근거리 통신 방법을 사용한다. 즉, 키오스크(10)는 윈도우(20) 안쪽에 구비되고, 카드 리더기(25) 및 영수증 츨력기(30)는 윈도우(20) 밖에 존재한다. 따라서 키오스크(10) 본체에서 카드 리더기(25) 및 영수증 츨력기(30)와의 통신은 근거리 통신이 사용되게 된다. 이때 근거리 통신 방법으로는 불루투스, NFC 처럼 통상의 근거리 통신의 방법이 사용된다, In addition, in the present invention, a short-distance communication method is used as a communication method between the card reader 25 and the receipt printer 30 in the kiosk 10 body. That is, the kiosk 10 is provided inside the window 20, and the card reader 25 and the receipt printer 30 exist outside the window 20. Accordingly, short-distance communication is used for communication between the card reader 25 and the receipt printer 30 in the body of the kiosk 10 . At this time, as a short-range communication method, a normal short-range communication method such as Bluetooth or NFC is used.

중앙처리장치(12)의 제어에 의하여 근거리 통신 모듈 1(18)이 제어되고, 상기 근거리 통신 모듈1(18)에는 근거리 통신 모듈 1 안테나(18a)를 통하여 무선으로 데이터가 전송되게 된다. The short-distance communication module 1 (18) is controlled by the control of the central processing unit 12, and data is wirelessly transmitted to the short-distance communication module 1 (18) through the short-distance communication module 1 antenna (18a).

도 8은 무선충전 안테나와 근거리 통신 1 안테나를 나타낸 실시예의 도면이다.8 is a diagram of an embodiment showing a wireless charging antenna and one short-range communication antenna.

키오스크(10)의 무선충전부(11)(본원 발명의 도 2 실시예 참조)에 도 7의 실시예에 따른 무선충전 안테나(19a)와 근거리 통신 안테나(18a)가 구비된다.A wireless charging antenna 19a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FIG. 7 and a short-range communication antenna 18a are provided in the wireless charging unit 11 of the kiosk 10 (refer to the embodiment of FIG. 2 of the present invention).

그리고, 키오스크(10)에서 상기 무선충전 안테나(19a)를 통하여 카드 리더기와 영수증 출력기의 작동에 필요한 전원을 공급한다. 또한 상기 키오스크(10)에서 상기 근거리 통신 안테나 1(18a)을 통하여 영수증 출력기(30)와 카드 리더기(25)의 작동에 필요한 데이터를 송수신하게 된다. Then, the kiosk 10 supplies power necessary for the operation of the card reader and the receipt printer through the wireless charging antenna 19a. In addition, the kiosk 10 transmits and receives data required for operation of the receipt printer 30 and the card reader 25 through the short-range communication antenna 1 (18a).

도 9는 단말기의 구성을 나타낸 실시예의 도면이다,9 is a diagram of an embodiment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terminal,

본원 발명에서 단말기(45)는 카드 리더기(25)와 영수증 출력기(30)를 제어하고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기능을 하기 위한 소형 컴퓨터이다. 따라서 단말기(45)의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정보가 저장되는 메모리부(27)도 구비된다.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terminal 45 is a small computer for controlling the card reader 25 and the receipt printer 30 and supplying power. Accordingly, a memory unit 27 for storing information for performing functions of the terminal 45 is also provided.

본원 발명의 단말기(45) 내에는 제어부(26)가 구비되어, 영수증 출력기(30) 및 카드 리더기(25)의 작동을 제어한다. 이때, 영수증 출력기(30)의 작동은 키오스크에서 수신된 데이터에 의하여 영수증을 출력하는 것을 의미하며, 카드 리더기(25)의 작동은 카드 리더기에서 입력된 카드 정보를 키오스크(10)에 전송하는 것을 의미한다.A controller 26 is provided in the terminal 45 of the present invention to control the operation of the receipt printer 30 and the card reader 25 . At this time, the operation of the receipt printer 30 means outputting a receipt based on the data received from the kiosk, and the operation of the card reader 25 means transmitting card information input from the card reader to the kiosk 10. do.

그리고 상기 단말기(45)의 전원은 키오스크의 무선충전부(11)로 부터 수신 받은 전력 에너지에 의하여 만들어진다. 이를 위하여 상기 단말기(45) 내에 무선충전 수신 모듈(29)과 무선충전 수신 안테나(29a)가 구비되게 된다. 따라서, 상기 무선충전 수신 안테나(29a)를 통하여 키오스트 무선충전부(11)에서 수신된 전력 에너지가 수신된다. And the power of the terminal 45 is made by the power energy received from the wireless charging unit 11 of the kiosk. To this end, a wireless charging receiving module 29 and a wireless charging receiving antenna 29a are provided in the terminal 45. Accordingly, power energy received from the wireless charging unit 11 of the kiosk is received through the wireless charging receiving antenna 29a.

또한 근거리 통신 모듈 2가 구비되어 키오스크(10)가 영수증 출력기(30) 및 카드 리더기(25)가 작동되기 의한 데이터를 송수신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데이터의 송수신은 제어부(26)의 제어에 의하여 이루어진다. In addition, a short-distance communication module 2 is provided so that the kiosk 10 transmits and receives data by operating the receipt printer 30 and the card reader 25 . In addition, transmission and reception of the data is performed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 unit 26 .

아울러, 본원 발명의 도 4의 실시예에서처럼 윈도우(20) 밖에 터치 패널(35)이 부착되는 경우에는 상기 터치 패널(35)을 상기 제어부(26)가 제어하게 되고, 상기 터치 패널(35)과 키오스트 사이에 데이터 송수신 및 전력 에너지 공급도 상기 무선충전 수신 안테나(29a)와 근거리 통신 안테나 2(28a)를 통하여 이루어지게 된다. 이때에도 제어부(26)의 제어로 수행되게 된다. 'In addition, when the touch panel 35 is attached outside the window 20 as in the embodiment of FIG. 4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trol unit 26 controls the touch panel 35, and the touch panel 35 and Data transmission and reception and power energy supply between kiosks are also performed through the wireless charging receiving antenna 29a and the short-range communication antenna 2 (28a). Even at this time, it is performed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 unit 26. '

도 10은 무선충전과 근거리 통신이 이루어지는 원리를 나타낸 실시예의 도면이다.10 is a diagram of an embodiment illustrating a principle of wireless charging and short-range communication.

키오스크(10) 표면에 구비된 무선충전부(11)는 윈도우(20)를 사이에 두고 무선충전 수신부(36)와 마주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무선충전부(11) 내에는 무선충전 송신 안테나(19a)와 근거리 통신 안테나 1(18a)가 구비되고, 상기 무선충전 수신부(36)에는 무선충전 수신 안테나(29a)와 근거리 통신 안테나 2(28a)가 구비된다.The wireless charging unit 11 provided on the surface of the kiosk 10 faces the wireless charging receiving unit 36 with the window 20 therebetween. In addition, a wireless charging transmitting antenna 19a and a short range communication antenna 1 (18a) are provided in the wireless charging unit 11, and a wireless charging receiving unit 36 includes a wireless charging receiving antenna 29a and a short range communication antenna 2 ( 28a) is provided.

그리고 단말기(45)에는 영수증 출력기(30) 및 카드 리더기(25)를 제어하는 제어부(26), 메모리부(27), 무선충전 수신부(29)(29a) 및 근거리 통신부(28)(28a)가 구비된다. 즉, 하나의 단말기(45)에 의하여 영수증 출력기와 카드 리더기가 제어된다. In addition, the terminal 45 includes a control unit 26 that controls the receipt printer 30 and the card reader 25, a memory unit 27, a wireless charging receiver 29 and 29a, and a short-range communication unit 28 and 28a. are provided That is, the receipt printer and the card reader are controlled by one terminal 45 .

한편, 도 4의 실시예에서처럼 윈도우 밖에 터치 패널(35)이 구비될 경우에도, 상기 단말기(45)가 상기 터치 패널(45)도 함께 제어한다, 즉, 상기 터체 패널(45)을 통하여 입력된 정보도 상기 단말기(45)를 통하여 키오스크(10)에 전달되게 된다.Meanwhile, even when the touch panel 35 is provided outside the window as in the embodiment of FIG. 4 , the terminal 45 also controls the touch panel 45 , that is, input through the touch panel 45 is received. Information is also transmitted to the kiosk 10 through the terminal 45 .

도 11은 본원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의 도면이다. 11 is a diagram of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1의 도면에서처럼, 본원 발명의 사용자는 테이블(205) 상단에 구비된 근거리 통신칩(210) 상단에 휴대용 단말기(220)(스마트 폰)를 올려 놓으므로서, 주문 및 결재가 가능하게 된다. As shown in the drawing of FIG. 11, the user of the present invention places the portable terminal 220 (smart phone) on the top of the short-range communication chip 210 provided on the top of the table 205, thereby enabling ordering and payment.

그리고, 도 12의 도면은 근거리 통신칩의 개요도를 나타낸 실시예의 도면이다, 본원 발명에서 근거리 통신 칩(210)은 수십 cm 이내로 통신이 가능한 통신 수단을 의미한다. 그리고, 또한 본원 발명에서는 근거리 통신칩(210)으로 NFC(Near Field Communication) 태그 형태의 근거리 통신 수단을 사용한다.And, the drawing of FIG. 12 is a diagram of an embodiment showing a schematic diagram of a short-distance communication chip.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short-distance communication chip 210 means a communication means capable of communicating within several tens of cm. Also, in the present invention, a short-range communication means in the form of a NFC (Near Field Communication) tag is used as the short-range communication chip 210 .

즉, 도 2의(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근거리 통신칩(210)은, 맨 아래에 접착제가 코팅된 필름 형태의 부착 필름(211)이 구비되어 근거리 통신칩(210)을 테이블 등에 부착하고, 상기 부착 필름 위에 NFC 태그 부품(212)이 구비되며, 다시 맨 위에 보호필름(213)(상기 보호 필름에 QR 코드가 인쇄될 수 있다.)이 구비되어, NFC 태그 부품을 보호한다.That is, as shown in (B) of FIG. 2, the short-range communication chip 210 is provided with an adhesive-coated film-type attachment film 211 at the bottom so that the short-range communication chip 210 can be placed on a table or the like. Attached, the NFC tag part 212 is provided on the attachment film, and a protective film 213 (QR code can be printed on the protective film) is provided on top again to protect the NFC tag part.

또한, 도 2의(A)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운데 중심에는 NFC 태그 부품(212)(메모리, CPU 등 부품이 포함된다)이 구비되고, 가장자리에는 NFC 태그 안테나(212a)가 구비된다. In addition, as shown in (A) of FIG. 2, an NFC tag part 212 (memory, CPU, etc. parts are included) is provided at the center, and an NFC tag antenna 212a is provided at the edge.

그리고, 본원 발명의 NFC 태그는 휴대용 표시장치(220)인 스마트폰을 통하여 정보가 읽혀질 수 있도록 만들어지는 것이 전제된다. 따라서, NFC 태그의 크기도 스마트폰으로 읽혀지지 쉽도록 만들어져야 한다. 도 2의(A)는 NFC 태그의 크기를 나타낸 실시예의 도면이다.And, it is premised that the NFC tag of the present invention is made so that information can be read through a smartphone, which is a portable display device 220. Therefore, the size of the NFC tag should also be made to be easily read by a smart phone. Figure 2 (A) is a diagram of an embodiment showing the size of the NFC tag.

본원 발명의 NFC 태그는 직사각형의 모양이며, 세로의 길이(도 2의 (A)에서 A)가 가로의 길이(도 2의 (A)에서 B)보다 더 길다. The NFC tag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a rectangular shape, and the vertical length (A in Fig. 2 (A)) is longer than the horizontal length (B in Fig. 2 (A)).

스마트폰의 주력 모델의 화면이 6 인치까지 커지고 있으므로, 도 2의 (A)에서 B(NFC 태그의 가로 길이)의 길이도 3cm 이상은 되어야 한다. 그리고 도 2의 (A)에서 A(NFC 태그의 세로 길이)의 길이도 4cm 이상은 되어야 한다. 즉, NFC 태그가 어느정도 크기를 가져야 스마트폰으로 NFC 태그의 위치를 확인하여 쉽게 정보를 받아 들일 수 있게 된다. 그리고, 너무 클 필요는 없으므로 상기 B 의 길이는 7 cm 이하, 상기 A의 길이는 9 cm 이하면 적당하다. Since the screen of the main smartphone model is up to 6 inches, the length of B (the horizontal length of the NFC tag) in FIG. 2 (A) must also be 3 cm or more. And the length of A (the vertical length of the NFC tag) in (A) of FIG. 2 should also be 4 cm or more. That is, the NFC tag must have a certain size so that the location of the NFC tag can be easily received by checking the location of the NFC tag with a smartphone. In addition, since it does not need to be too large, it is appropriate that the length of B is 7 cm or less and the length of A is 9 cm or less.

본원 발명의 특징은 어플리케이션을 다운로드 받지 않고, 주문 혹은 결재가 가능하도록 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띠라서, 근거리 통신칩(210)에 휴대용 단말기(220)가 접속될 때, 근거리 통신칩(210)으로부터 휴대용 단말기(220)에 주문 결제에 필요한 데이터가 전송된다. A fea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method for enabling an order or payment without downloading an application. Therefore, when the portable terminal 220 is connected to the short-distance communication chip 210, data required for order payment is transmitted from the short-range communication chip 210 to the portable terminal 220.

도 13은 제 2 서버와 연결된 실시예의 도면이다. 13 is a diagram of an embodiment connected to a second server.

휴대용 단말기(220)는 근거리 통신칩(210)으로부터, 제 2 서버(100-1)와 유무선 인터넷을 통하여 연결될 수 있는 URL 정보, 가맹점(식당이나 커피숍 혹은 판매점) 정보, 및 테이블(205) 위치 정보를 수신 받는다. The portable terminal 220 provides URL information that can be connected to the second server 100-1 through wired/wireless Internet from the short-range communication chip 210, affiliate store (restaurant, coffee shop, or retail store) information, and table 205 location receive information.

또한 상기 제 2 서버(100-1)는 본원 발명의 키오스크(10)와도 유무선 인터넷을 통하여 연결된다. In addition, the second server 100-1 is also connected to the kiosk 10 of the present invention through wired or wireless Internet.

10 : 키오스크 11 : 무선충전부
12 : CPU(중앙처리장치) 13 : 디스플레이
14 : 입력장치 15 : 데이터 입출력부
16: 메모리부 17 : 통신부
18 : 근거리 통신 모듈 1 19 : 무선충전 송신 모듈
20 : 윈도우(유리창) 22 : 중간 필름
25 : 카드 리더기 26 : 제어부
27 : 메모리 28 : 근거리 통신 모듈 2
29 : 무선충전 수신모듈 30 : 영수증 출력기
35 : 터치 패널 36 : 무선충전 수신부
100 : 서버 100-1 : 결제 서버
205 : 테이블 210 : 근거리 통신 칩
220 : 휴대용 단말기 150 : 결제 서버
10: kiosk 11: wireless charging unit
12: CPU (central processing unit) 13: display
14: input device 15: data input/output unit
16: memory unit 17: communication unit
18: short-distance communication module 1 19: wireless charging transmission module
20: window (glass window) 22: intermediate film
25: card reader 26: control unit
27: memory 28: short-distance communication module 2
29: wireless charging receiving module 30: receipt printer
35: touch panel 36: wireless charging receiver
100: server 100-1: payment server
205 Table 210 Near Field Communication Chip
220: portable terminal 150: payment server

Claims (5)

윈도우에 장착되는 키오스크에 있어서,
상기 키오스크에는 중앙처리장치, 메모리부, 무선충전 송신 모듈 및 근거리 통신 모듈이 구비되고,
상기 키오스크는 윈도우 안쪽에 장착되고,
상기 키오스크 밖에는 카드 결제기와 영수증 출력기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윈도우에 장착되는 키오스크.
In the kiosk mounted on the window,
The kiosk is provided with a central processing unit, a memory unit, a wireless charging transmission module and a short-range communication module,
The kiosk is mounted inside the window,
A kiosk mounted on a window, characterized in that a card payment machine and a receipt printer are provided outside the kiosk.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키오스크에 무선충전부가 구비되고,
상기 카드 결제기와 영수증 출력기를 제어하는 단말기가 더 구비되고,
상기 단말기에는 무선충전 수신부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윈도우에 장착되는 키오스크.
According to claim 1,
A wireless charging unit is provided in the kiosk,
A terminal for controlling the card payment machine and the receipt output machine is further provided,
The terminal is a kiosk mounted on a window, characterized in that the wireless charging receiver is further provided.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충전부가 상기 무선충전 수신부에 전력 에너지를 공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윈도우에 장착되는 키오스크.
According to claim 2,
Kiosk mounted on a window, characterized in that the wireless charging unit supplies power energy to the wireless charging receiving unit.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키오스크와 상기 단말기는 근거리 통신이 실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윈도우에 장착되는 키오스크.
According to claim 2,
The kiosk mounted on the window, characterized in that the short-range communication is carried out between the kiosk and the terminal.
제 1항에 있어서,
휴대용 단말기, 근거리 통신 칩 및 제 2 서버가 더 구비되고, 상기 휴대용 단말기는 상기 근거리 통신 칩으로부터 URL 정보를 수신 받아 유무선 인터넷을 통하여 제 2 서버와 연결되고,
제 2 서버는 상기 키오스크와도 유무선 인터넷을 통하여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윈도우에 장착되는 키오스크.
According to claim 1,
A portable terminal, a short-range communication chip, and a second server are further provided, and the portable terminal receives URL information from the short-range communication chip and is connected to the second server through wired or wireless Internet.
The second server is a kiosk mounted on a window, characterized in that connected to the kiosk through wired and wireless Internet.
KR1020230015256A 2022-02-14 2023-02-05 The kiosk mounted on a window. KR20230122542A (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20018537 2022-02-14
KR1020220018537 2022-02-14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22542A true KR20230122542A (en) 2023-08-22

Family

ID=877995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015256A KR20230122542A (en) 2022-02-14 2023-02-05 The kiosk mounted on a window.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122542A (en)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15213B1 (en) 2019-12-04 2021-02-10 장관익 Slim type kiosk unit
KR20210113849A (en) 2020-03-09 2021-09-17 (주)아임게이트 System for managing check in of unmanned accommodation using kiosk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15213B1 (en) 2019-12-04 2021-02-10 장관익 Slim type kiosk unit
KR20210113849A (en) 2020-03-09 2021-09-17 (주)아임게이트 System for managing check in of unmanned accommodation using kiosk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2882841B (en) Method and system for client interaction
KR101837271B1 (en) Automatic parcel storage box system and management method thereof
EP3285228A1 (en) Unmanned mail/courier management system and method
KR20180104805A (en) System for providing accommodation ser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ystem thereof
US20220335388A1 (en) Apparatus, a method, and a nonvolatile storage medium
KR102168613B1 (en) Electronic Receipt Service System
KR20150130852A (en) Management system for guest room using wireless communication
KR20230122542A (en) The kiosk mounted on a window.
KR20120138534A (en) Method of servicing a waiting using smartphone
KR101260041B1 (en) Reservation system for providing customized booking service and using the same methods
US20020103707A1 (en) Data processing method, data processing apparatus and portable electronic terminal
KR101505995B1 (en) A intelligent order management system and its method
CN104426995A (en) Core components, terminal equipment, server, system and service providing method
JP4698882B2 (en) Reservation system, server, program, recording medium
US20210365911A1 (en) System and method for vending machine
KR101298206B1 (en) Management system for franchise stores
KR102309651B1 (en) An apparatus processing orders and a method for operating it
KR20210120425A (en) The integrated payment system using a plurality of kiosk terminals and pos terminals
KR102173832B1 (en) Ticket issuing machine based on tablet
KR20110108700A (en) Method for providing of coupon and system there
KR100837246B1 (en) Apparatus for advertising/reservation/purchasing service using a advertising frame capable of storing and changing information and method thereof
KR101685113B1 (en) delivery and management system for card slip
KR20200003508A (en) The Systems that connect to the server in real time
KR102473195B1 (en) Apparatus for collecting customer information in store
KR102099243B1 (en) Pos system using mobile termin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