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22142A - 헤어케어 기기 - Google Patents

헤어케어 기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22142A
KR20230122142A KR1020237025084A KR20237025084A KR20230122142A KR 20230122142 A KR20230122142 A KR 20230122142A KR 1020237025084 A KR1020237025084 A KR 1020237025084A KR 20237025084 A KR20237025084 A KR 20237025084A KR 20230122142 A KR20230122142 A KR 2023012214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outlet
airflow
treatment chamber
hair
attachm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702508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아일턴 필
로버트 코울톤
데이비드 티베츠
안나 로브
마리아 페르난다 로드리게즈 아리즈페
Original Assignee
다이슨 테크놀러지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다이슨 테크놀러지 리미티드 filed Critical 다이슨 테크놀러지 리미티드
Publication of KR2023012214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22142A/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20/00Hair drying devices; Accessories therefor
    • A45D20/04Hot-air producers
    • A45D20/08Hot-air producers heated electrically
    • A45D20/10Hand-held drying devices, e.g. air douches
    • A45D20/12Details thereof or accessories therefor, e.g. nozzles, stands
    • A45D20/122Diffusers, e.g. for variable air flow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20/00Hair drying devices; Accessories therefor
    • A45D20/04Hot-air producers
    • A45D20/08Hot-air producers heated electrically
    • A45D20/10Hand-held drying devices, e.g. air douche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20/00Hair drying devices; Accessories therefor
    • A45D20/04Hot-air producers
    • A45D20/08Hot-air producers heated electrically
    • A45D20/10Hand-held drying devices, e.g. air douches
    • A45D20/12Details thereof or accessories therefor, e.g. nozzles, stands

Landscapes

  • Cleaning And Drying Hair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헤어케어 기기(10)용 부착물(100, 200, 300, 400, 500, 600)이 개시되며, 부착물(100, 200, 300, 400, 500, 600)은 기류를 수용하기 위한 공기 유입구(101); 기류를 방출하기 위한 공기 배출구(102); 및 모발을 수용하고 공기 배출구(102)와 유체 연통하는 모발 처리 챔버(103)를 포함하며, 모발 처리 챔버(103)는 벽(104), 모발이 모발 처리 챔버(103) 내로 삽입될 수 있는 개구부(105), 및 벽(104)에 형성된 어퍼처(106)를 포함하고, 공기 배출구(102)는 사용 시 개구부(105)로부터 어퍼처(105)를 향해 기류를 지향시키도록 구성된다.

Description

헤어케어 기기
본 발명은 헤어케어 기기 및 헤어케어 기기용 부착물에 관한 것이다.
헤어케어 기기는 일반적으로 모발을 처리하거나 스타일링하는 데 사용되며, 일부 헤어케어 기기는 기류를 사용하여 모발을 처리하거나 스타일링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1 양태에 따르면 헤어케어 기기용 부착물이 제공되며, 부착물은 기류를 수용하기 위한 공기 유입구; 기류를 방출하기 위한 공기 배출구; 및 모발을 수용하고 공기 배출구와 유체 연통(fluid communication)하는 모발 처리 챔버를 포함하고, 모발 처리 챔버는 벽, 모발이 모발 처리 챔버 내로 삽입될 수 있는 개구부, 및 벽에 형성된 어퍼처(aperture)를 포함하고, 공기 배출구는 사용 시 개구부로부터 어퍼처를 향해 기류를 지향시키도록 구성된다.
모발 처리 챔버는 사용자의 모발이 모발 처리 챔버로의 기류에 의해 방해받지 않도록 사용 중에 사용자의 모발을 제자리에 고정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의 모발을 크게 손상시키지 않고 상대적으로 높은 유속의 공기를 사용할 수 있다. 유속은 초당 6리터 이상, 초당 10리터 이상 또는 초당 13리터 이상일 수 있다.
개구부를 통해 모발을 삽입하고, 기류가 개구부로부터 멀어지므로, 기류는 모근(roots of the hair)으로부터 멀어질 수 있다. 사용 시, 사용자는 모발을 모발 처리 챔버에 넣고, 개구부 주변부를 머리에 대고 사용할 수 있다. 모발 처리 챔버 내의 기류는 개구부로부터 어퍼처 쪽으로 향하게 된다. 따라서, 처음에는 기류가 사용 중인 사용자의 머리에서 멀어질 수 있다. 이렇게 하면 사용자의 머리에 직접적으로 가해지는 열의 양이 줄어들어 특히 장시간 헤어케어 기기를 사용할 때 편안함을 높일 수 있다.
모발 처리 챔버의 개구부는 모발 처리 챔버의 길이 방향 축, 예를 들어 모발 처리 챔버의 중앙 길이 방향 축에 직교하는 평면에 제공될 수 있고, 개구부는 길이 방향 축으로부터 방사상으로 배치될 수 있다. 사용 시, 기류는 모발 처리 챔버의 길이 방향 축에 평행한 방향으로 공기 배출구로부터 또는 공기 배출구에 근접할 수 있다. 어퍼처는, 예를 들어 모발 처리 챔버의 길이 방향 축이 개구부의 중심점을 통과하는 것과 같이, 길이 방향 축을 따라 연장될 수 있다.
공기 배출구는 실질적으로 사용 중인 벽의 표면을 따라 기류를 지향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다. 모발 처리 챔버의 벽은 사용 시 기류를 더욱 지향시키도록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벽은 곡선형일 수 있고 기류는 벽의 곡선을 따라 흐르도록 할 수 있다. 이로 인해 기류가 벽에 계속 접촉하여 개구부에서 더 멀리 지향될 수 있다. 기류는 공기 배출구로부터 사용 중인 모발 처리 챔버 내부로 흐를 수 있다.
모발 처리 챔버, 예를 들어 모발 처리 챔버의 벽은 반구형(hemi-spherical) 내부를 정의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모발 처리 챔버의 벽은 다공성 재료를 포함할 수 있다. 다공성 재료는 어퍼처를 정의할 수 있다. 다공성 재료는 예를 들어, 메쉬(mesh)일 수 있다. 다공성 재료는 공기가 투과성 재료를 통해 흐를 수 있도록 공기 투과성일 수 있다. 다공성 재료는 모발 처리 챔버 내에 사용자의 모발을 고정시키면서 동시에 모발 처리 챔버 내의 공기를 가두는 데 도움이 될 수 있다. 따라서, 모발 처리 챔버 내의 공기는 더 높은 온도로 가열되어 사용자의 모발 건조의 효율성 및/또는 속도를 높일 수 있다.
모발 처리 챔버의 벽은 복수의 어퍼처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2개, 4개, 6개, 8개, 10개, 100개, 1000개 또는 10,000개의 어퍼처가 있을 수 있다. 복수의 어퍼처는 모발 처리 챔버의 주변부에 간격을 두고 배치될 수 있다. 복수의 어퍼처는 사용 중인 모발 처리 챔버로부터 보다 확산된 기류를 제공할 수 있다.
공기 배출구는 모발 처리 챔버의 주변부의 적어도 일부에 대해 연장될 수 있다. 공기 배출구는 모발 처리 챔버의 전체 주변부 주위로 확장될 수 있다. 공기 배출구는 모발 처리 챔버의 주변부의 적어도 일부에 대해 제공되는 환형 슬롯일 수 있다. 모발 처리 챔버는 개구부를 획정하는 림을 포함할 수 있고, 공기 배출구는 사용 중인 개구부의 주변으로부터 멀리 기류가 지향되도록 림에 위치할 수 있다. 림은 모발 처리 챔버의 벽에 돌출부에 의해 형성될 수 있으며, 공기 배출구는 돌출부에 형성될 수 있다.
공기 배출구의 폭은 모발 처리 챔버의 주변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이 경우, 기류 생성기로부터의 거리에 관계없이 전체 공기 배출구에 대해 기류 속도가 일정하게 유지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공기 배출구의 폭은 기류 생성기로부터 모발 처리 챔버의 가장 먼 지점에서 가장 클 수 있다. 부착물은 모발 처리 챔버의 제1 측면에 위치한 도관을 포함할 수 있다. 도관은 공기 유입구로부터 공기 배출구까지의 유로를 제공할 수 있다. 공기 배출구는 모발 처리 챔버의 제1 측면에 대향하는 제2 측면에서 최대 폭을 가질 수 있다. 제1 측면과 제2 측면은 모발 처리 챔버의 길이 방향 축의 대향하는 측면에 배치될 수 있다.
부착물은 사용 중인 모발 처리 챔버 내에서 모발의 속성을 나타내는 신호를 출력하도록 구성된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이 신호는 사용자의 모발이 충분히 건조되었음을 나타낼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사용자는 신호에 따라 헤어케어 기기의 사용을 중단하라는 표시를 제공받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신호가 사용자의 모발이 충분히 건조되었음을 나타내는 경우, 사용자에게 조명과 같은 시각적 표시가 제공될 수 있다. 기류 생성기는 신호가 사용자의 모발이 충분히 건조되었음을 나타낼 때 기류를 수정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기류 생성기는 신호에 반응하여 유량을 줄이거나 기류 발생을 중지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또는 추가적으로, 가열기는 신호에 반응하여 기류에 제공되는 열의 양을 수정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가열기는 신호에 반응하여 기류에 제공되는 열의 양을 줄이거나 기류의 가열을 중지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는 과도하거나 불필요한 건조 및/또는 가열로 인해 발생할 수 있는 사용자의 모발 손상을 방지하는 데 도움이 될 수 있다.
센서는 모발 처리 챔버 내부 또는 인접한 곳에 위치할 수 있다. 센서가 고장날 경우 중복성을 제공하기 위해 다수의 센서가 제공될 수 있다.
센서는 습도 센서, 스펙트럼 분석이 가능한 센서, 적외선 또는 온도 센서, 근접 센서 또는 수분에 대한 정전 용량 감지가 가능한 센서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공기 배출구로부터 이격된 벽의 일부는 모발 처리 챔버 내의 기류를 개구부로 지향시키도록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벽의 일부는 개구부를 향해 돌출되어 모발 처리 챔버가 실질적으로 도넛형(toroidal) 내부 형상을 포함하도록 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예를 들어, 공기 배출구로부터 빠져나가는 가열된 공기가 처음에는 모발 처리 챔버 내의 모근으로부터 멀어지다가, 약간 냉각된 후 모발 처리 챔버 내의 모근 쪽으로 향하는 등, 기류가 사용 중인 모발 처리 챔버 내의 모근 쪽으로 향하도록 할 수 있다.
부착물은 공기 배출구에 의해 지향되는 기류와 다른 방향으로 기류를 지향시키도록 구성된 추가적인 공기 배출구를 포함할 수 있다. 이는 예를 들어, 단일 방향으로 기류를 지향시키도록 구성된 단일 공기 배출구만을 포함하는 부착물에 비해 모발의 상이한 부분들을 건조하는 데 있어서 유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추가적인 공기 배출구는 공기 배출구에 의해 기류가 지향되는 방향에 직교하거나 반대 방향으로 기류를 지향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는 모발 처리 챔버 내의 벽에 인접한 모발의 일부로부터 기류의 방향을 멀어지게 할 수 있으며, 이는 표적 건조를 가능하게 하고 건조 효율을 증가시킬 수 있다.
추가적인 공기 배출구는 어퍼처를 통과하여 개구부를 향하는 방향으로 기류를 지향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는 어퍼처가 추가적인 공기 배출구로부터 개구부를 향해 공기를 확산시키도록 할 수 있다.
모발 처리 챔버가 개구부를 획정하는 림을 포함하는 경우, 공기 배출구는 기류가 개구부의 주변부로부터 모발 처리 챔버 내로 지향되도록 림에 위치할 수 있고, 추가적인 공기 배출구는 기류가 개구부의 주변으로부터 모발 처리 챔버로부터 멀어지도록 림에 위치할 수 있다. 이는 모발 처리 챔버 내에 위치하지 않는 모발의 일부, 예를 들어 모발 처리 챔버 내에 위치한 모근의 건조를 가능하게 할 수 있다.
부착물은 개구부로부터 떨어진 방향으로 연장되는 돌출부를 포함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공기 배출구는 돌출부에 위치할 수 있다. 이는 사용 시 모발 처리 챔버로부터 이격된 위치에 추가적인 공기 배출구를 배치할 수 있으며, 이는 여러 위치에서 건조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돌출부는 림에 대해 고정될 수 있으며, 이는 사용 시 모발과 돌출부의 결합을 통해 스타일링 기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돌출부는 림에 대해 움직일 수 있으며, 예를 들어 확장된 위치와 축소된 위치 사이에서 움직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이는 확장된 위치에서 추가적인 공기 배출구를 통해 기류를 제공하지만 수축된 위치에서는 기류를 제공하지 않을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사용 중인 모근을 선택적으로 건조시킬 수 있다.
부착물은 개구부의 주변에 대해 간격을 두고 배치된 복수의 추가적인 공기 배출구를 포함할 수 있으며, 복수의 추가적인 공기 배출구 각각은 공기 배출구에 의해 지향되는 기류와 다른 방향으로 기류를 지향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는 공기 배출구의 주변부 주위에서 기류가 고르게 분포되도록 할 수 있으며, 이는 모발 건조에 대한 예측 가능성을 상승시킬 수 있다.
부착물은 공기 배출구를 통한 기류가 제한되지 않고 추가적인 공기 배출구를 통한 기류가 제한되는 제1 구성 및 공기 배출구를 통한 기류가 제한되고 추가적인 공기 배출구를 통한 기류가 제한되지 않는 제2 구성을 포함할 수 있다. 이를 통해 공기 배출구와 추가적인 공기 배출구를 통한 기류를 선택적으로 제공할 수 있으므로, 건조에 더 큰 유연성을 제공할 수 있다.
부착물은 제1 구성과 제2 구성 사이를 전환하기 위한 밸브를 포함할 수 있다. 밸브는 공기 배출구에서 추가적인 공기 배출구로 또는 그 반대로 기류를 전환하기 위한 간단한 메커니즘을 제공할 수 있다. 밸브는 사용자가 작동시킬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사용자가 헤어케어 기기를 제1 구성과 제2 구성 사이에서 전환할 수 있다.
부착물은 부착물의 제1 부분을 부착물의 제2 부분에 대해 회전시킴으로써 제1 구성과 제2 구성 사이에서 전환 가능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사용자는 제1 구성과 제2 구성 사이에서 부착물을 비교적 쉽게 전환할 수 있다.
돌출부가 추가적인 공기 배출구를 포함하고 돌출부가 림에 대해 이동 가능한 경우, 돌출부를 접힌 위치에서 확장 위치로 이동하면 부착물이 제1 구성에서 제2 구성으로 이동하고, 그 반대의 경우도 마찬가지이다. 돌출부의 움직임은 기류 또는 사용자가 가하는 힘에 의해 제어될 수 있다. 돌출부의 움직임은 작동이 자동화된 모터에 의해 제어될 수도 있다. 모터는 센서에서 수신한 신호에 반응하여 작동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센서의 신호는 사용자의 머리가 부착물에 근접했음을 나타낼 수 있으며, 모터는 이 신호에 반응하여 돌출부를 움직이기 위해 작동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2 양태에 따르면, 제1 양태에 따른 부착물; 및 공기 유입구로부터 공기 배출구로 기류를 생성시키기 위한 기류 생성기를 포함하는 헤어케어 기기가 제공된다.
헤어케어 기기는 모발 처리 챔버에 수용된 모발을 가열하기 위한 가열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가열기는 기류를 가열하기 위한 가열기일 수 있다. 모발 처리 챔버가 한정된 공간을 정의함에 따라, 가열된 공기가 한정된 공간으로 통과하여 모발 처리 챔버 내의 주변 온도가 상승하는 것이 유리하다. 이는 사용자의 모발 건조의 효율성 및/또는 속도를 높이는 데 도움이 될 수 있다.
헤어케어 기기는 기류 생성기가 배치되는 핸들 유닛을 포함할 수 있으며, 제1 양태에 따른 부착물은 핸들 유닛에 제거 가능하게 부착될 수 있다. 전술된 공기 유입구, 모발 처리 챔버 및 공기 배출구를 제거 가능한 부착물의 일부로 제공함으로써, 본 명세서에 기술된 기능이 사용자에 의해 선택적으로 제공될 수 있다.
부착물은 핸들 유닛과 통신하여 헤어케어 기기의 작동을 수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부착물은 기류 생성기와 통신하여 부착물에 제공되는 기류를 수정할 수 있다. 부착물은 헤어케어 기기와 통신하여 원하는 공기 유량을 나타내는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기류 생성기는 원하는 기류 속도를 제공하기 위해 해당 정보를 기반으로 작동할 수 있다. 부착물은 부착물에 대해 원하는 공기 유량을 나타내는 정보를 포함하는 RFID 태그를 포함할 수 있다. 이 정보는 RFID 태그에서 판독되어 기류 생성기로 전송되어 기류 생성기가 원하는 유속으로 기류를 생성하도록 할 수 있다. 또는 추가적으로, 부착물은 블루투스TM 또는 기타 적절한 무선 통신 표준 및/또는 유선 연결을 통해 헤어케어 기기와 통신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3 양태에 따르면, 헤어케어 기기가 제공되며, 기기는 공기 유입구; 공기 배출구; 공기 유입구로부터 공기 배출구로 기류를 생성하기 위한 기류 생성기; 및 모발을 수용하고 공기 배출구와 유체 연통(fluid communication)하는 모발 처리 챔버를 포함하며, 모발 처리 챔버는 벽, 모발이 모발 처리 챔버 내로 삽입될 수 있는 개구부, 및 벽에 형성된 어퍼처(aperture)를 포함하고, 공기 배출구는 사용 시 개구부로부터 어퍼처를 향해 기류를 지향시키도록 구성된다.
본 발명의 양태들의 선택적 특징들은 적절한 경우, 본 발명의 다른 양태들에도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도 1은 일 예에 따른 헤어케어 기기를 도시한다.
도 2는 도 1의 헤어케어 기기의 핸들 유닛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3은 도 1의 헤어케어 기기의 부착물의 개략도를 도시한다.
도 4는 도 3의 부착물의 개략적인 단면도를 도시한다.
도 5는 도 1의 헤어케어 기기의 부착물의 개략도를 도시한다.
도 6은 도 1의 헤어케어 기기의 부착물의 개략도를 도시한다.
도 7은 도 6의 부착물의 개략적인 단면도를 도시한다.
도 8은 도 1의 헤어케어 기기의 부착물의 개략도를 도시한다.
도 9는 도 8의 부착물의 개략적인 단면도를 도시한다.
도 10은 도 1의 헤어케어 기기의 부착물의 개략도를 도시한다.
도 11a 및 11b는 도 10의 부착물의 개략적인 단면도를 도시한다.
도 12a 및 12b는 도 10의 부착물의 개략도를 도시한다.
도 13은 도 1의 헤어케어 기기의 부착물의 개략도를 도시한다.
도 14는 도 13의 부착물의 개략도를 도시한다.
도 15a 및 15b는 도 13의 부착물의 개략적인 단면도를 도시한다.
일반적으로 10으로 표시된 본 발명에 따른 헤어케어 기기는 도 1에 개략적으로 도시되어 있다.
헤어케어 기기(10)는 핸들 유닛(12) 및 핸들 유닛(12)에 제거 가능하게 부착될 수 있는 부착물(100)을 포함한다.
핸들 유닛(12)은 도 2에서 개략적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하우징(14), 기류 생성기(16), 가열기(18) 및 제어 유닛(20)을 포함한다.
하우징(14)은 관형이며, 기류 생성기(16)에 의해 기류가 하우징(14)으로 유입되는 공기 유입구(22)와 기류가 하우징(14)으로부터 배출되는 공기 배출구(24)를 포함한다. 기류 생성기(16)는 하우징(14) 내에 수용되며, 전기 모터(28)에 의해 구동되는 임펠러(26)를 포함한다. 가열기(18)는 또한 하우징(14) 내에 수용되며, 선택적으로 기류를 가열하기 위한 가열 요소(30)를 포함한다.
제어 유닛(20)은 사용자 인터페이스(32), 제어 모듈(34) 및 RFID 리더(24)를 위한 전자 회로를 포함한다. 사용자 인터페이스(32)는 하우징(14)의 외부 표면에 제공되며, 헤어케어 기기(10)의 전원을 켜고 끄고, 유량(예를 들어, 높음, 중간 및 낮음)을 선택하고, 기류 온도(예를 들어, 고온, 중간 또는 저온)를 선택하는 데 사용된다. 도 1의 예에서,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복수의 슬라이딩 스위치를 포함하지만, 다른 형태의 사용자 인터페이스(32), 예를 들어 버튼, 다이얼 또는 터치스크린도 상정될 수 있다. RFID 리더(24)는 부착물(100)의 일부를 형성하는 RFID 태그를 조사하기 위한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는 RFID가 논의되었지만, 다른 형태의 무선 또는 유선 통신이 사용될 수 있다.
제어 모듈(34)은 사용자 인터페이스(32)로부터의 입력에 대응하여 기류 생성기(16) 및 가열기(18)를 제어한다. 예를 들어, 사용자 인터페이스(32)로부터의 입력에 응답하여, 제어 모듈(34)은 기류의 기류 속도를 조정하기 위해 기류 생성기(16)의 전력 또는 속도를 제어하고, 기류의 온도를 조정하기 위해 가열기(18)의 전력을 제어할 수 있다.
부착물(100)의 예는 도 3 및 도 4에 개략적으로 도시되어 있다.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예에서, 부착물(100)은 공기 유입구(101), 공기 배출구(102) 및 모발 처리 챔버(103)를 포함한다. 모발 처리 챔버(103)는 모발을 수용하기 위한 것으로, 공기 배출구(102)와 유체 연통한다. 모발 처리 챔버(103)는 벽(104), 모발이 모발 처리 챔버(103)로 삽입될 수 있는 개구부(105) 및 벽(104)에 형성된 어퍼처(106)를 포함한다. 공기 배출구(102)는 사용 중 기류를 개구부(105)로부터 어퍼처(106)로 지향시키도록 구성된다.
모발 처리 챔버(103)는 사용자의 모발이 놓이는 한정된 공간을 정의한다. 가열된 공기가 한정된 공간으로 통과함에 따라, 모발 처리 챔버(103) 내의 주변 온도가 상승하여 사용자의 모발을 건조시키는 데 도움이 될 수 있다. 또한, 모발 처리 챔버(103)는 사용 중에 사용자의 모발을 제자리에 고정하기 때문에, 모발 처리 챔버(103)로의 기류에 의해 사용자의 모발이 흐트러질 가능성이 적다. 따라서, 상대적으로 높은 유량의 공기가 사용자의 모발을 크게 방해하지 않고 사용될 수 있으며, 이는 사용자의 모발 건조의 효율성 및/또는 속도를 증가시키고 사용자의 최종 헤어 스타일을 개선할 수 있다. 유량은 초당 최소 6리터, 초당 최소 10리터 또는 초당 최소 13리터일 수 있다.
도 1과 결합된 도 3 및 도 4의 예에서, 부착물(100)의 공기 유입구(101) 및 공기 배출구(102)는 하우징(14)의 제1 단부에 제공된다. 따라서, 공기 유입구(101)는 기류 생성기(16)와 공기 배출구(102) 사이의 기류 경로에 배치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핸들 유닛(12)은 또한 하우징(14)으로의 자체 공기 유입구(22)를 갖는다. 기류 생성기(16)는 핸들 유닛(12)의 공기 유입구(22)로부터 부착물(100)의 공기 유입구(101)를 거쳐 사용 중인 공기 배출구(102)로 기류를 생성하도록 구성된다.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개구부(105)는 일반적으로 원형 형상이지만, 다른 형태 및 모양의 개구부가 상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개구부(105)는 실질적으로 타원형 또는 반원형일 수 있다.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예에서, 모발 처리 챔버(103)는 반구형 내부를 정의하도록 형성된다. 다른 예들에서, 모발 처리 챔버(103)는 모발이 수용될 수 있는 다른 적합한 중공형 내부를 정의하도록 형성된다.
모발 처리 챔버(103)는 개구부(105)를 획정하는 림(116)을 포함한다. 공기 배출구(102)는 기류가 개구부(105)의 주변부(117)로부터 모발 처리 챔버(103)로 지향되도록 림(116) 상에 위치한다.
개구부(105)를 통해 모발이 삽입되고, 기류가 개구부(105)로부터 멀어지므로, 기류는 사용 중인 모발 처리 챔버(103) 내에 위치한 모근으로부터 멀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 시 사용자는 모발 처리 챔버(103) 내에 모발을 배치하고 림(116)을 머리에 대고 배치하여 개구부(105)의 주변부(117)가 모발 처리 챔버(103) 내에 포함된 모근에 인접하게 위치하도록 할 수 있다. 모발 처리 챔버(103) 내의 기류가 개구부(105)로부터 어퍼처(106)를 향해 향하기 때문에, 기류는 처음에는 사용 중인 사용자의 머리로부터 멀어질 수 있다. 이는 사용자의 머리에 직접적으로 가해지는 열의 양을 감소시킬 수 있으며, 이는 특히 장시간 동안 헤어케어 기기(10)를 사용하는 편안함을 증가시킬 수 있다.
공기 배출구(102)는 화살표(114)에 표시된 바와 같이 사용 중인 벽(104)의 표면(107)을 따라 기류를 지향시키도록 구성된다.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모발 처리 챔버(103)의 벽(104)은 구부러져 있다. 공기 배출구(102)는 곡선형 벽(104)을 따라 모발 처리 챔버(103)의 정점을 향해 기류를 유도한다.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모발 처리 챔버(103)의 벽(104)은 복수의 어퍼처(106)를 포함한다. 복수의 어퍼처(106)는 모발 처리 챔버(103)의 벽(104)에 균등한 간격을 두고 배치된다.
모발 처리 챔버(103)의 벽(104)은 다공성 재료(119)을 포함한다.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다공성 재료(119)은 어퍼처(106)에 배치되어, 비다공성인 벽(104)과 다공성 재료(119)가 총체적으로 모발 처리 챔버(103)의 경계 벽을 정의하도록 한다. 도 3에서, 다공성 재료(119)는 단일 어퍼처(106)에 도시되어 있다. 일부 예들에서, 다공성 재료(119)는 모든 어퍼처(106)에 배치된다. 또는, 다공성 재료(119)는 선택된 수의 어퍼처(106)에 배치된다. 다공성 재료(119)의 기공은 벽(104) 내의 추가적인 어퍼처를 정의한다. 도 3 및 도 4의 예에서, 다공성 재료(119)은 메쉬이다. 또는, 다른 적절한 다공성 재료가 사용될 수 있다.
다공성 재료(119)은 모발 처리 챔버(103) 내에 사용자의 모발을 고정하는 동시에 모발 처리 챔버(103) 내의 공기를 제한하는 데 도움이 된다. 따라서, 모발 처리 챔버(103) 내의 공기는 사용자의 모발 건조의 효율 및/또는 속도를 증가시키기 위해 더 높은 온도로 가열될 수 있다.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예에서, 공기 배출구(102)는 모발 처리 챔버(103)의 전체 주변부(108)에 걸쳐 연장된다. 다른 예들에서, 공기 배출구(102)는 모발 처리 챔버(103)의 주변부(108)의 약 일부에 걸쳐 연장된다.
공기 배출구(102)의 폭은 모발 처리 챔버(103)의 주변부(108)에 따라 달라진다. 이는 기류 생성기(16)로부터의 거리에 관계없이 전체 공기 배출구(102)에 대해 기류 속도가 일정하게 유지되도록 할 수 있다. 도관(109)은 모발 처리 챔버(103)의 제1 측면(110)에 위치한다. 도관(109)은 공기 유입구(101)로부터 공기 배출구(102)로의 유로(111)를 제공한다. 공기 배출구(102)는 모발 처리 챔버(103)의 제1 측면(110)에 대향하는 제2 측면(112)에서 최대 폭을 갖는다. 일부 예들에서, 공기 배출구(102)는 모발 처리 챔버(103)의 전체 주변부(108) 주위에 균일한 폭을 갖는다.
부착물(100)은 사용 중인 모발 처리 챔버(103) 내에서 모발의 속성을 나타내는 신호를 출력하도록 구성된 센서(113)를 포함한다. 도 4에 도시된 센서(113)는 수분 센서이다. 다른 예들에서, 센서(113)는 온도 센서 또는 습도 센서이다. 센서(113)에 의해 출력되는 신호는 센서(113)로부터의 신호에 응답하여 헤어케어 기기(10)를 제어하도록 구성되는 제어 모듈(34)에 의해 수신된다. 일부 예들에서, 센서(113)는 RFID를 통해 RFID 리더(24)로 정보를 전송하기 위한 RFID 태그를 포함한다. 일부 예들에서, 예를 들어, 블루투스(BluetoothTM) 또는 근거리 통신(NFC)을 포함하는 다른 형태의 통신이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마찬가지로, 지금까지 센서(113)와 제어 모듈(34) 사이의 통신의 무선 방법에 대해 논의되었지만, 물리적 통신 연결을 활용하는 예들도 상정될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어, 핸들 유닛(12)과 부착물(100)은 대응하는 접점을 포함할 수 있으며, 부착물(100)가 핸들 유닛(12)에 연결될 때 연결될 때 통신 경로를 정의한다.
일부 예들에서, 센서(113)로부터의 신호는 사용자의 모발이 충분히 건조되었음을 나타내며, 사용자는 신호에 기초하여 헤어케어 기기(10)의 사용을 중단하라는 표시를 제공받는다. 예를 들어, 신호가 사용자의 모발이 충분히 건조되었음을 나타내는 경우, 사용자에게 조명과 같은 시각적 표시가 제공된다. 일부 예들에서, 기류 생성기(16)는 신호가 사용자의 모발이 충분히 건조되었음을 나타낼 때 기류를 수정하도록 구성된다. 예를 들어, 기류 생성기(16)는 신호에 반응하여 유량을 감소시키거나 기류 발생을 중지하도록 구성된다. 일부 예들에서, 가열기(18)는 신호에 반응하여 기류에 제공되는 열의 양을 수정하도록 구성된다. 예를 들어, 가열기(18)는 신호에 반응하여 기류에 제공되는 열의 양을 줄이거나 기류의 가열을 중지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는 과도하거나 불필요한 건조 및/또는 가열로 인해 발생할 수 있는 사용자의 모발 손상을 방지하는 데 도움이 될 수 있다.
도 5는 또 다른 예시적인 부착물(200)의 단면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5의 부착물(100)은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부착물(100)와 실질적으로 동일하며, 유사한 특징은 유사한 참조 번호로 표시된다. 도 5의 부착물(200)의 벽(104)의 일부는 모발 처리 챔버(103) 내의 기류를 개구부(105)로 지향시키도록 형성된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벽(104)은 모발 처리 챔버(103) 내부에서 개구부(105)를 향해 연장되는 피크(201)를 갖도록 형성된다. 따라서, 공기 배출구(102)로부터의 기류는 벽(104)의 표면을 따라 벽(104)의 피크(201)에 의해 개구부(105)를 향해 지향된다.
도 5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벽(104)의 부분은 개구부(105)를 향해 돌출되어 모발 처리 챔버(103)가 실질적으로 도넛형 내부 형상을 포함하도록 한다. 이에 따라, 예를 들어, 공기 배출구(102)로부터 빠져나가는 가열된 공기가 처음에는 모발 처리 챔버(103) 내의 모근으로부터 멀어지다가 약간 냉각된 후 모발 처리 챔버(103) 내의 모근 쪽으로 향하는 등, 기류가 사용 중인 모발 처리 챔버(103) 내의 모근 쪽으로 향하게 할 수 있다.
도 6 및 도 7은 다른 부착물(300)의 또 다른 예를 도시한다. 도 3 및 도 4의 부착물(100)와 비교되는 유사한 특징은 유사한 참조 번호로 표시되어 있다. 부착물(300)는 공기 배출구(102)에 의해 지향되는 기류와 다른 방향으로 기류를 지향시키도록 구성된 추가적인 공기 배출구(301)를 포함한다. 이는, 예를 들어, 단일 방향으로 기류를 지향시키도록 구성된 단일 공기 배출구(102)만을 포함하는 헤어케어 기기(20)에 비해, 모발의 다른 부분을 건조하기 위한 향상된 유연성을 제공할 수 있다.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예에서, 추가적인 공기 배출구(301)는 공기 배출구(102)에 의해 기류가 지향되는 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기류를 지향시키도록 구성된다. 다른 예들에서, 추가적인 공기 배출구(301)는 공기 배출구(102)에 의해 기류가 지향되는 방향에 반대되는 방향으로 기류를 지향시키도록 구성된다. 이는 모발 처리 챔버(103) 내의 벽(104)에 인접한 모발의 일부로부터 기류의 방향이 멀어지도록 할 수 있으며, 이는 표적 건조 및 건조 효율을 증가시킬 수 있다.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추가적인 공기 배출구(301)는 림(116)에 위치하여 기류가 개구부(105)의 주변부(117)로부터 그리고 모발 처리 챔버(103)로부터 멀어지도록 지향시킨다. 이는 모발 처리 챔버(103) 내에 위치하지 않는 모발의 일부, 예를 들어 모근과 같은 부분의 건조를 가능하게 할 수 있다.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부착물(300)은 개구부(105)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돌출부(302)를 포함한다. 추가적인 공기 배출구(301)는 돌출부(302) 상에 위치한다. 이는 사용 중인 모발 처리 챔버(103)로부터 이격된 위치에 추가적인 공기 배출구를 배치할 수 있으며, 이는 여러 위치에서 건조가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도 6 및 도 7의 예에서, 돌출부(302)는 림(116)에 대하여 고정되어 있다. 일부 예들에서, 돌출부(302)는 돌출부(302)가 림(116) 내로 들어갈 수 있도록 이동 가능하게끔 구성된다.
부착물(300)은 개구부(105)의 둘레에 대해 간격을 두고 배치된 복수의 추가적인 공기 배출구(301)를 포함한다. 복수의 추가적인 공기 배출구(301) 각각은 공기 배출구(102)에 의해 지향되는 기류와 다른 방향으로 기류를 지향시키도록 구성된다. 이는 공기 배출구(102)의 주변부에 대한 기류를 균일하게 분배할 수 있게 하여, 모발 건조에 대한 예측 가능성을 높일 수 있다.
도 6 및 도 7의 부착물(300)은 제1 구성 및 제2 구성을 가질 수 있다. 제1 구성에서, 공기 배출구(102)를 통한 기류는 제한되지 않고, 추가적인 공기 배출구(301)를 통한 기류는 제한된다. 제2 구성에서는 공기 배출구(102)를 통한 기류가 제한되고 추가적인 공기 배출구를 통한 기류는 제한되지 않는다. 공기 배출구(102) 또는 추가적인 공기 배출구(301)는 각각의 제1 또는 제2 구성에서 공기 배출구(102) 또는 추가적인 공기 배출구(301) 중 각각의 것을 통한 기류를 제한하기 위해 막혀 있다. 이는 공기 배출구(102) 및 추가적인 공기 배출구(301)를 통해 기류를 선택적으로 제공할 수 있으며, 더욱 유연한 건조가 가능하게 한다.
일부 예들에서, 돌출부(302)는 제1 구성에서 추가적인 공기 배출구(301)를 막도록 이동 가능하다. 대안적으로 또는 추가적으로, 밸브가 부착물(300)에 제공되어 기류를 제1 또는 제2 구성 중 각각의 구성에서 공기 배출구(102) 또는 추가적인 배출구(301) 중 하나로 유도한다. 일부 예들에서, 부착물(300)은 핸들 유닛(12) 상의 사용자 인터페이스(32)를 통해 입력을 수신하면 제1 또는 제2 구성 중 하나에서 작동하도록 구성된다. 다른 예들에서, 부착물(300)은 센서(113)로부터의 신호에 응답하여 제1 또는 제2 구성 중 하나에서 작동하도록 구성된다.
도 8 및 도 9는 도 1의 헤어케어 기기에 대한 부착물(400)의 추가적인 실시예를 도시한다.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부착물과 유사한 특징은 유사한 참조 번호로 표시된다. 부착물(400)은 모발 처리 챔버(103)의 벽(104)에 구비된 2개의 어퍼처(106)를 포함한다. 일부 예들에서, 다공성 재료(도시되지 않음), 예를 들어 메쉬가 어퍼처(106)에 배치된다.
도 8 및 도 9에 도시된 부착물(400)에서, 모발 처리 챔버(103)의 벽(104)은 공기 유입구(101)와 공기 배출구(102) 사이의 기류 경로(120)를 포함한다. 부착물(400)은 공기 배출구(102)를 통해 공기 유입구(101)를 향하는 방향으로 기류를 유도하도록 형성된 림(116)을 포함한다.
도 10은 도 1의 헤어케어 기기(10)를 위한 부착물(500)의 추가적인 예를 도시한다.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부착물과 유사한 특징은 유사한 참조번호로 표시되어 있다. 부착물(500)은 공기 유입구(101)와 공기 배출구(102) 사이로 연장되는 복수의 매니폴드(manifold)(501)를 포함한다(도 11a 및 11b에 더 상세히 도시됨). 도 10에는 3개의 매니폴드(501)가 도시되어 있지만, 다른 실시예들에서는 더 많거나 더 적은 수의 매니폴드(501)가 제공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일부 예들(도 8 및 도 9의 예와 유사)에서는 2개의 매니폴드(501)가 제공된다. 다른 예들에서는, 4개, 5개 또는 6개의 매니폴드(501)가 제공될 수 있다.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어퍼처(106) 또는 구멍이 모발 처리 챔버(103)의 벽(104)에 형성된다. 복수의 어퍼처(106)는 공기 배출구(102)로부터 공기의 확산을 증가/개선하는 데 도움이 될 수 있다. 도 10의 모발 처리 챔버(103)의 벽(104)은 부착물(500)의 일부로서 일체적으로 형성된다. 다른 예들에서, 벽(104)은 벽(104)이 부착물(500)로부터 제거 가능하도록 개별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는 청소 또는 교체를 위해 벽(104)을 제거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도 10의 부착물의 공기 배출구(102)는 모발 처리 챔버(103)의 전체 주변부로 연장된다. 공기 배출구(102)로부터 전체 주변으로 일관된 기류를 보장하기 위해, 매니폴드(501)와 공기 배출구(102) 사이에 공기 지향 부재(air directing member)가 제공되어 모발 처리 챔버(103)의 주변으로 매니폴드(501)로부터 기류를 유도할 수 있다. 이는 모발 처리 챔버(103) 내의 사용자 모발의 위치에 관계없이 사용자 모발의 건조 및/또는 스타일링의 일관성을 향상시키는 데 도움이 될 수 있다. 다른 예들에서, 이는 모발 처리 챔버(103) 주변의 공기 배출구(102)의 형상(예를 들어, 폭)을 대체적으로 또는 추가적으로 변경함으로써 달성될 수 있다.
도 10의 부착물(500)는 제1 구성 및 제2 구성을 포함한다. 제1 및 제2 구성은 도 12a 및 12b를 참조하여 아래에서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도 11a는 도 10의 부착물(500)의 제1 구성에 대한 단면도를 도시한다. 화살표(X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구성에서, 공기 유입구(101)로부터의 기류는 매니폴드(501)의 통로(505)를 통해 공기 배출구(102)를 향해 흐른다. 공기 배출구(102)는 기류를 개구부(105)로부터 어퍼처(106)로 지향시키도록 구성된다. 도 11b는 제2 구성에서 도 10의 부착물(500)의 단면도를 도시한다. 모발 처리 챔버(103)의 벽(104)은 가독성을 돕기 위해 도 11b에 도시되지 않았다. 도 11b의 화살표(X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구성에서 기류는 공기 유입구(101)로부터 통로(505)를 통해 추가적인 공기 배출구(502)로 흐르도록 구성된다. 이 예에서, 추가적인 공기 배출구(502)는 제2 구성에서 어퍼처(106)을 통과하여 부착물(500)의 개구부(105)를 향하는 방향으로 기류를 유도하도록 구성된다. 이는 어퍼처(106)이 추가적인 공기 배출구(502)로부터 기류를 확산시킬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부착물(500)는 사용자에 의해 제1 구성과 제2 구성 사이에서 변경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자신의 요구사항(예를 들어, 사용자가 원하는 헤어 스타일링 방법에 따라)에 따라 정방향 흐름[예를 들어, 추가적인 공기 배출구(502)로부터 개구부(105)를 향해] 또는 역방향 흐름[예를 들어, 공기 배출구(102)로부터 어퍼처(106)를 향해]을 선택할 수 있다.
도 1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추가적인 공기 배출구(502)는 복수의 세장형 공기 배출구를 포함한다. 모발 처리 챔버(103)의 벽(104)은 추가적인 공기 배출구(502)로부터 이격되어 있으며, 벽(104)에 형성된 어퍼처(106)은 추가적인 공기 배출구(502)로부터의 기류를 확산시키는 데 도움이 될 수 있다. 이는 사용 중인 사용자의 모발의 건조 및/또는 스타일링의 품질을 향상시키는 데 도움이 될 수 있다.
도 12a 및 12b는 도 10의 부착물(500)의 개략적인 평면도를 도시한다. 도 12a는 제1 구성에서의 부착물(500)을 도시하고, 도 12b는 제2 구성에서의 부착물(500)을 도시한다.
도 1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구성에서, 추가적인 공기 배출구(502)는 실질적으로 차단되어 추가적인 공기 배출구(502)를 통한 기류가 제한된다. 제2 구성에서는, 추가적인 공기 배출구(502)를 통한 기류가 제한되지 않는다. 도 12a에 도시된 예에서, 공기 배출구(102)를 통한 기류는 제2 구성에서 제한되지 않지만, 다른 예들에서는 공기 배출구(102)를 통한 기류가 제2 구성에서 제한된다. 이는 기류가 제1 구성에서는 공기 배출구(102)를 통해서만 흐르고, 제2 구성에서는 추가적인 공기 배출구(502)를 통해서만 흐르도록 하는 데 도움이 될 수 있으며, 이는 사용자 모발의 건조 및/또는 스타일링을 개선하는 데 도움이 될 수 있다.
이 예에서, 부착물(500)은 부착물(500)의 제2 부분(504)에 대한 부착물(500)의 제1 부분(503)의 회전을 통해 제1 구성과 제2 구성 사이에서 변경될 수 있다. 도 1의 헤어케어 기기(10)의 일부일 때, 제2 부분(504)은 핸들 유닛(12)에 고정되어, 제1 부분(503)이 핸들 유닛(12)에 대해 회전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제1 부분(503)을 회전시키면서 제2 부분(504)을 보다 쉽게 제자리에 고정시킬 수 있다. 다른 예들에서, 제2 부분(504)은 핸들 유닛(12)에 고정되지 않고 핸들 유닛(12)에 대해 자유롭게 회전할 수 있다.
다른 예들에서, 부착물(500)은 다른 적절한 방식으로 제1 구성과 제2 구성 사이에서 변경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부착물(500)은 부착물(500)의 제2 부분(504)에 대한 부착물(500)의 제1 부분(503)의 선형 이동을 통해 변경될 수 있다. 다른 예들에서, 부착물(500)은 사용자가 제어할 수 있는 액추에이터(예를 들어, 선형 액추에이터)를 사용하여 제1 구성과 제2 구성 사이에서 변경될 수 있다. 부착물(500)은 사용자가 부착물(500)의 일부, 예를 들어 림(116)을 머리에 대고 누르는 것에 반응하여 제1 구성으로부터 제2 구성으로의 이동으로 변경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사용 중에 제1 구성과 제2 구성 사이에서 부착물(500)을 쉽게 변경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돌출부가 림(116)으로부터 연장되어 돌출부에 힘이 가해질 때, 부착물(500)이 제1 및 제2 구성 사이를 전환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다른 예들에서, 림(116)은 림(116)에 가해지는 힘에 의해 부착물(500)이 제1 및 제2 구성 사이에서 전환되도록 이동 가능할 수 있다. 다른 예들에서, 센서[예를 들어, 변형 게이지(strain gauge)]는 부착물(500)의 일부에 제공될 수 있고, 림(116)에 가해지는 힘을 감지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림(116)에 가해지는 힘의 감지에 대응하여, 센서는 액추에이터와 통신하여 부착물(500)이 제1 구성과 제2 구성 사이에서 전환되도록 할 수 있다.
도 13 및 도 14는 도 1의 헤어케어 기기(10)를 위한 부착물(600)의 추가 예시를 도시한다.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부착물과 유사한 특징은 유사한 참조 번호로 표시된다. 부착물(600)은 복수의 제1 매니폴드(601)(이 예에서는 3개의 제1 매니폴드) 및 복수의 제2 매니폴드(602)(이 예에서는 3개의 제2 매니폴드)를 포함한다. 제1 매니폴드(601)는 공기 유입구(101)로부터 부착물(600)의 림(116)까지 연장된다. 제2 매니폴드(502)는 공기 유입구(101)로부터 림(116)을 향해 연장되지만, 림(116)까지 연장되지는 않는다.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매니폴드(602) 각각은 추가적인 공기 배출구(603)를 포함한다. 일부 예들에서, 제2 매니폴드(502)는 또한 부착물(600)의 림(116)으로 연장된다. 이러한 예들에서, 기류는, 예를 들어, 공기 배출구(102)로부터 제2 매니폴드(502)를 밀봉함으로써, 제2 매니폴드(502)로부터 공기 배출구(102)로 흐르는 것을 방지한다.
도 15a 및 15b는 도 13 및 도 14의 부착물(600)의 단면도를 도시한다. 도 15a는 제1 구성에서의 부착물(600)을 도시하고, 도 15b는 제2 구성에서의 부착물(600)을 도시한다. 제1 구성에서, 기류는 공기 유입구(101)로부터 제1 매니폴드(601)의 통로(606)를 통과하여 공기 배출구(102)로 지향된다. 제2 구성에서, 기류는 공기 유입구(101)로부터 제2 매니폴드(602)의 통로(607)를 통해 추가적인 공기 배출구(603)로 지향된다. 도 10의 부착물과 마찬가지로, 제1 구성에서는 공기 배출구(102)를 통한 기류가 제한되지 않고 추가적인 공기 배출구(603)를 통한 기류가 제한되며, 제2 구성에서는 추가적인 공기 배출구(603)를 통한 기류가 제한되지 않고 공기 배출구(102)를 통한 기류가 제한된다.
도 15a 및 1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부착물(600)은 부착물(600)의 제2 부분(605)에 대한 부착물(600)의 제1 부분(604)의 회전을 통해 제1 및 제2 구성 사이에서 전환될 수 있다. 도 1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구성에서, 제1 부분(604)은 제2 매니폴드(602)로의 기류가 제한되고 제1 매니폴드(601)[화살표(X3)으로 도시됨]로의 기류가 제한되지 않도록 회전된다. 제2 구성(도 15b에 도시됨)에서, 제1 부분(604)은 제1 매니폴드(601)로의 기류가 제한되고 제2 매니폴드(602)[화살표(X4)로 도시됨]로의 기류가 제한되지 않도록 회전한다. 제1 부분(604) 및 제2 부분(605)은 도 12a 및 12b의 부착물(500)와 관련하여 설명한 것과 동일한 방식으로 서로에 대하여 회전 가능하거나 다른 방식으로 이동 가능할 수 있다. 또한, 도 13의 부착물(600)은 도 12a 및 12b의 부착물(500)와 관련하여 설명된 바와 같은 임의의 방식으로 제1 및 제2 구성 사이에서 전환 가능할 수 있다.
헤어케어 기기(10)가 핸들 유닛(12)과 부착물(100, 200, 300, 400, 500, 600)을 포함하는 것이 아니라, 헤어케어 기기(10)가 단일 유닛인 경우, 예를 들어 전술된 핸들 유닛(12)과 부착물(100, 200, 300, 400, 500, 600)이 결합된 형태를 취하는 예들도 상정될 수 있다.

Claims (20)

  1. 헤어케어 기기용 부착물로서,
    기류를 수용하기 위한 공기 유입구;
    상기 기류를 방출하기 위한 공기 배출구; 및
    모발을 수용하고 상기 공기 배출구와 유체 연통(fluid communication)하는 모발 처리 챔버를 포함하며,
    상기 모발 처리 챔버는 벽, 모발이 상기 모발 처리 챔버 내로 삽입될 수 있는 개구부, 및 상기 벽에 형성된 어퍼처(aperture)를 포함하고, 상기 공기 배출구는 사용 시 상기 개구부로부터 상기 어퍼처를 향해 기류를 지향시키도록 구성되는, 부착물.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 배출구는 사용 중 상기 벽의 표면을 따라 기류를 지향시키도록 구성되는, 부착물.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벽은 다공성 재료를 포함하는, 부착물.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다공성 재료는 상기 어퍼처를 획정(define)하는, 부착물.
  5.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부착물은 상기 벽에 형성된 복수의 어퍼처를 포함하는, 부착물.
  6.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 배출구는 상기 모발 처리 챔버의 주변부의 적어도 일부 주위로 연장되는, 부착물.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 배출구는 상기 모발 처리 챔버의 전체 주변부 주위로 연장되는, 부착물.
  8. 제 6 항 또는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 배출구는 상기 모발 처리 챔버의 상기 주변부 주위에서 다양한 폭을 갖는, 부착물.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부착물은 상기 모발 처리 챔버의 제1 측면에 위치한 도관을 포함하고, 상기 도관은 상기 공기 유입구로부터 상기 공기 배출구까지의 유로를 제공하며, 상기 공기 배출구는 상기 제1 측면에 대향하는 상기 모발 처리 챔버의 제2 측면에서 최대 폭을 갖는, 부착물.
  10. 제 1 항 내지 제 9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부착물은 사용 중 상기 모발 처리 챔버 내의 모발의 특성을 나타내는 신호를 출력하도록 구성된 센서를 포함하는, 부착물.
  11. 제 1 항 내지 제 10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 배출구로부터 이격된 상기 벽의 일부는 상기 모발 처리 챔버 내의 기류를 상기 개구부를 향해 지향시키도록 성형되는, 부착물.
  12. 제 1 항 내지 제 11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부착물은 상기 공기 배출구에 의해 지향되는 기류와 상이한 방향으로 기류를 지향시키도록 구성된 추가적인 공기 배출구를 포함하는, 부착물.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추가적인 공기 배출구는, 상기 공기 배출구에 의해 기류가 지향되는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 또는 반대 방향으로 기류를 지향시키도록 구성되는, 부착물.
  14. 제 12 항 또는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모발 처리 챔버는 상기 개구부를 획정하는 림(rim)을 포함하고, 상기 공기 배출구는 기류가 상기 개구부의 주변부로부터 상기 모발 처리 챔버 내로 지향되도록 상기 림에 위치하며, 상기 추가적인 공기 배출구는 기류가 상기 개구부의 상기 주변부로부터 멀어지고 상기 모발 처리 챔버로부터 멀어지게끔 지향되도록 상기 림에 위치하는, 부착물.
  15. 제 12 항 내지 제 1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부착물은 상기 개구부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돌출부를 포함하고, 상기 추가적인 공기 배출구는 상기 돌출부 상에 위치하는, 부착물.
  16. 제 12 항 내지 제 1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부착물은 상기 개구부의 주변부 주위에 간격을 두고 배치된 복수의 추가적인 공기 배출구를 포함하며, 상기 복수의 추가적인 공기 배출구 각각은 상기 공기 배출구에 의해 지향되는 기류와 상이한 방향으로 기류를 지향시키도록 구성되는, 부착물.
  17. 제 12 항 내지 제 1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부착물은 상기 공기 배출구를 통한 기류가 제한되지 않고 상기 추가적인 공기 배출구를 통한 기류가 제한되는 제1 구성과, 상기 공기 배출구를 통한 기류가 제한되고 상기 추가적인 공기 배출구를 통한 기류가 제한되지 않는 제2 구성을 포함하는, 부착물.
  18. 헤어케어 기기로서,
    제 1 항 내지 제 17 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부착물; 및
    상기 공기 유입구로부터 상기 공기 배출구로 기류를 생성하기 위한 기류 생성기를 포함하는, 헤어케어 기기.
  19.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헤어케어 기기는 상기 기류 생성기가 내부에 배치되는 핸들 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부착물은 상기 핸들 유닛에 제거 가능하게 부착되는, 헤어케어 기기.
  20. 헤어케어 기기로서,
    공기 유입구;
    공기 배출구;
    상기 공기 유입구로부터 상기 공기 배출구로 기류를 생성하기 위한 기류 생성기; 및
    모발을 수용하고 상기 공기 배출구와 유체 연통(fluid communication)하는 모발 처리 챔버를 포함하며,
    상기 모발 처리 챔버는 벽, 모발이 상기 모발 처리 챔버 내로 삽입될 수 있는 개구부, 및 상기 벽에 형성된 어퍼처(aperture)를 포함하고, 상기 공기 배출구는 사용 시 상기 개구부로부터 상기 어퍼처를 향해 기류를 지향시키도록 구성되는, 헤어케어 기기.
KR1020237025084A 2020-12-23 2021-12-16 헤어케어 기기 KR20230122142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GB2020484.8 2020-12-23
GB2020484.8A GB2602322B (en) 2020-12-23 2020-12-23 Haircare appliance
PCT/GB2021/053324 WO2022136837A1 (en) 2020-12-23 2021-12-16 Haircare applianc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22142A true KR20230122142A (ko) 2023-08-22

Family

ID=742213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7025084A KR20230122142A (ko) 2020-12-23 2021-12-16 헤어케어 기기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20240065408A1 (ko)
EP (1) EP4266945A1 (ko)
JP (1) JP2024502284A (ko)
KR (1) KR20230122142A (ko)
CN (1) CN116648162A (ko)
AU (1) AU2021406544A1 (ko)
GB (1) GB2602322B (ko)
WO (1) WO2022136837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D1021238S1 (en) 2022-06-02 2024-04-02 Sharkninja Operating Llc Hair care appliance
GB2623576A (en) * 2022-10-21 2024-04-24 Dyson Technology Ltd Attachment for a haircare appliance
GB2626152A (en) * 2023-01-11 2024-07-17 Dyson Technology Ltd Hair care appliance
US20240245190A1 (en) 2023-01-19 2024-07-25 Sharkninja Operating Llc Identification of hair care appliance attachments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329990A (en) * 1928-11-30 1930-05-30 Eugene Francois Suter Improvements relating to hair driers applicable for other purposes
DE3433246A1 (de) * 1984-09-11 1986-03-13 Wella Ag, 6100 Darmstadt Haartrockenhaube und verfahren zur messung und regelung des feuchtigkeitsgehalts des haares
BRPI1000458A2 (pt) * 2010-02-05 2011-09-27 Da Silva Denivaldo Goncalves equipamento para secagem de cabelos com provisão de fluxos de ar com jatos dirigidos mediante acoplamento de um secador de cabelos elétrico e secador de cabelos com provisão de fluxo de ar com jatos dirigidos
US9237789B2 (en) * 2010-03-11 2016-01-19 Barry V Prehodka Hair dryer systems and methods and attachments for such hair dryer systems
US8959788B2 (en) * 2012-04-17 2015-02-24 Joan Hada Hair dryer and smoother
GB2525691B (en) * 2014-10-06 2016-05-25 Hair Flair Ltd A Hood Hair Dryer Attachment
CN205162247U (zh) * 2015-11-30 2016-04-20 浙江美森电器有限公司 风嘴及吹风机
US20180140070A1 (en) * 2016-11-21 2018-05-24 Helen Of Troy Limited Split Nozzle Hair Dryer
US10973298B2 (en) * 2017-09-12 2021-04-13 The Beachwaver Co. Digitally controlled hairdryer
CN208286601U (zh) * 2018-06-05 2018-12-28 浙江美森电器有限公司 感应吹风机
KR102200617B1 (ko) * 2020-06-06 2021-01-08 주식회사 로이테크 헤어드라이어용 노즐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240065408A1 (en) 2024-02-29
AU2021406544A1 (en) 2023-07-06
GB2602322A (en) 2022-06-29
CN116648162A (zh) 2023-08-25
GB2602322B (en) 2024-08-21
EP4266945A1 (en) 2023-11-01
GB202020484D0 (en) 2021-02-03
JP2024502284A (ja) 2024-01-18
WO2022136837A1 (en) 2022-06-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230122142A (ko) 헤어케어 기기
US11517091B2 (en) Hair dryer
US20240315417A1 (en) Hair dryer
US20210307472A1 (en) Hair dryer
KR101814567B1 (ko) 휴대용 기구를 위한 가열기
ES2319031B1 (es) Campo de coccion con un elemento de calentamiento movible.
EP3634171B1 (en) Hair care device with at least two attachments
US11425979B2 (en) Hair dryer
GB2586037A (en) Apparatus and method for drying and styling hair
US20230380565A1 (en) Haircare appliance
US20240065409A1 (en) Haircare appliance
CN116744818A (zh) 头发护理器具
EP1864640A4 (en) HEALTHCARE AND PHYSIOTHERAPY DEVICE FOR OBTAINING ENERGY
RU2005120364A (ru) Нагревательное устройство и способ приготовления пищи
US20240049859A1 (en) Haircare appliance
JP2023542019A (ja) ヘアケア器具
GB2627715A (en) Haircare appliance
WO2017197435A1 (en) Air jet forming device - hair dryer
KR102014436B1 (ko) 세밀한 풍량 및 온도 조절이 가능한 헤어드라이어
GB2183164A (en) Electrical bed heater
WO2024084334A1 (en) Attachment for a haircare appliance
WO2015015197A1 (en) Hairdryers
RU2021115930A (ru) Парикмахерский прибор с подвижной головкой и работой, автоматически регулируемой в зависимости от положения указанной головки
KR20230073009A (ko) 모발관리장치 및 그 부착물
ES2908486A1 (es) Metodo de secado de cabello y aparato asociad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