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21883A -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 Google Patents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21883A
KR20230121883A KR1020237024550A KR20237024550A KR20230121883A KR 20230121883 A KR20230121883 A KR 20230121883A KR 1020237024550 A KR1020237024550 A KR 1020237024550A KR 20237024550 A KR20237024550 A KR 20237024550A KR 20230121883 A KR20230121883 A KR 2023012188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astening
display
display device
display panel
fastening pa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702455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허진하
최동헌
정동준
박용남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ublication of KR2023012188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2188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9/0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 G09F9/3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in which the desired character or characters are formed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 G09F9/302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in which the desired character or characters are formed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form or geometrical disposition of the individual elements
    • G09F9/3026Video wall, i.e. stackable semiconductor matrix display modul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4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4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 G06F3/1423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controlling a plurality of local displays, e.g. CRT and flat panel display
    • G06F3/1446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controlling a plurality of local displays, e.g. CRT and flat panel display display composed of modules, e.g. video wall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9/0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 G09F9/3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in which the desired character or characters are formed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 G09F9/302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in which the desired character or characters are formed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form or geometrical disposition of the individual el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ultimedia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Abstract

격자모양으로 배치된 복수개의 디스플레이 패널; 상기 복수개의 디스플레이 패널의 배면에 각각 결합하는 체결브라켓; 상기 체결브라켓과 레진을 통해 결합하는 모듈홀더; 상기 모듈홀더의 배면에 위치하는 제어부; 및 상기 제어부를 커버하며 상기 모듈홀더에 체결되는 백커버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는 디스플레이 모듈의 체결브라켓과 모듈홀더 사이의 결합 위치를 디스플레이 모듈마다 달리 설정할 수 있어, 디스플레이 모듈간의 단차와 갭을 줄일 수 있다.

Description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본 발명은 복수개의 디스플레이 모듈이 격자형으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에 관한 것이다.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는 영상을 출력하는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며, 디스플레이의 크기에 따라 다양한 형태의 디스플레이 디바이스가 출시되고 있다. 특히 최근에는 디스플레이의 두께가 얇아지고 다양한 소재를 이용하여 제조함으로써, 보다 다양한 형태의 디스플레이 디바이스가 등장하고 있다.
휴대 가능한 형태의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실내에서 사용하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및 실외에서 사용하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등 그 종류가 다양하다. 휴대용 디스플레이 경우 크기가 작으며 작은 화면에서 다양한 영상을 출력하기 위해 고해상도의 얇고 가벼운 형태의 디스플레이가 이용된다.
실내용의 경우 디스플레이 기술이 개발됨에 따라 과거에 비해 크기가 커지고 얇아지고 있다. 플렉서블한 형태의 디스플레이가 개발되면서 곡선의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나 롤러블 디스플레이도 개발되고 있다.
최근 옥외 광고용 간판이나 포스터와 같이 하드웨어 매체가 아닌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를 통해 각종 콘텐츠와 메시지를 제공하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가 이용되고 있다. 최근 LED 및 OLED등을 기반으로 하는 지능형 디지털 영상장치의 급속한 발전으로 대형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에 대한 니즈가 있다.
대형 디스플레이의 대표적인 예로 디지털 사이니지(Digital Signage)를 들 수 있으며, 기업들의 마케팅, 광고, 트레이닝 효과, 및 고객 경험을 유도할 수 있는 커뮤티케이션 툴(communication tool)로 공항, 호텔, 병원, 지하철역 등의 공공 장소에서 방송 프로그램뿐만 아니라 특정 정보를 제공하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이다.
발광 소자(Light emitting diode, LED)를 이용하는 엘이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LED display apparatus)는 다른 타입(예를 들어, LCD 타입)의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와 비교하여 밝기 및 컬러 특성이 우수하여 실내/실외 광고판, 실내/실외 안내판, 경기장의 전광판 또는 실내/실외 배경 화면(backdrop)으로 많이 사용된다. 또한, 발광 소자를 이용하여 M x N(M, N 은 자연수)인 매트릭스 형태로 LED패널을 배치하여 크기의 확장이 쉽다.
작은 LED패널을 이용하여 대형화면을 구현할 수 있어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제조비용이 절감되고, 임시로 설치하거나 필요에 따라 위치 및 배열을 변경해야 하는 경우 분해 및 조립이 용이하다는 장점이 있다.
디지털 사이니지는 복수 개의 디스플레이 패널 또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들을 이용하여 단일 화면을 구성할 때, 상하방향 또는 좌우방향으로 이웃하는 디스플레이 패널들 간의 단차로 인해 화면의 왜곡현상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이웃하여 배치되는 디스플레이 모듈 간의 높낮이 차 또는 고저차를 조정할 수 있는 멀티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할 수 있다.
격자모양으로 배치된 복수개의 디스플레이 패널; 상기 복수개의 디스플레이 패널의 배면에 각각 결합하는 체결브라켓; 상기 체결브라켓과 레진을 통해 결합하는 모듈홀더; 상기 모듈홀더의 배면에 위치하는 제어부; 및 상기 제어부를 커버하며 상기 모듈홀더에 체결되는 백커버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를 제공한다.
상기 체결브라켓은,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배면에 결합하는 제1 체결부와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배면 방향으로 돌출되어 상기 모듈홀더와 상기 레진을 통해 결합하는 제2 체결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복수 개의 디스플레이 모듈은 전면이 동일 평면을 이루며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복수개의 디스플레이 패널은 제1 두께를 가지는 제1 디스플레이 패널과 상기 제1 두께보다 두꺼운 제2 두께를 가지는 제2 디스플레이 패널을 포함하며, 상기 제1 디스플레이 패널의 배면에 위치하는 체결브라켓의 제1 체결부와 상기 제2 디스플레이 패널의 배면에 위치하는 체결브라켓의 제2 체결부는 단차를 이루며 배치되고 상기 모듈홀더와 두께 방향으로 상이한 위치에서 결합할 수 있다.
상기 제2 체결부는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배면 둘레에 위치하고, 상기 모듈홀더는 상기 제2 체결부의 측방향에 나란히 배치되는 제3 체결부를 포함하며, 상기 레진은 상기 제2 체결부와 상기 제3 체결부 사이에 주입될 수 있다.
상기 제2 체결부는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둘레를 따라 복수개로 분절되고, 상기 제3 체결부는 상기 제2 체결부가 관통하는 체결홀을 포함하며, 상기 체결홀은 상기 제2 체결부의 길이에 상응하는 길이를 가질 수 있다
상기 체결홀은 배면이 넓고 전면이 좁은 경사면 또는 단차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체결부와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 사이에 위치하는 접착 테이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 체결부는 상기 제1 체결부와 직각을 이룰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효과에 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실시 예들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하면, 디스플레이 모듈의 체결브라켓과 모듈홀더 사이의 결합 위치를 디스플레이 모듈마다 달리 설정할 수 있어, 디스플레이 모듈간의 단차와 갭을 줄일 수 있다.
모듈홀더와 디스플레이 모듈을 레진으로 체결하므로 오차를 손쉽게 보상할 수 있고 조립이 간편한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의 적용 가능성의 추가적인 범위는 이하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명백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경 및 수정은 해당 기술 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으므로, 상세한 설명 및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와 같은 특정 실시 예는 단지 예시로 주어진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과 관련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모듈과 모듈홀더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5 내지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에 조립방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체결브라켓과 모듈홀더의 체결태양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되,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요소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 및 "부"는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거나 혼용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서로 구별되는 의미 또는 역할을 갖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첨부된 도면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일 뿐,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적 사상이 제한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한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과 관련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상기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는 무선 통신부(110), 입력부(120), 센싱부(140), 출력부(150), 냉각부(160)메모리(170), 제어부(180) 및 전원 공급부(190)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a에 도시된 구성요소들은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를 구현하는데 있어서 필수적인 것은 아니어서, 본 명세서 상에서 설명되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는 위에서 열거된 구성요소들 보다 많거나, 또는 적은 구성요소들을 가질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구성요소들 중 무선 통신부(110)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와 무선 통신 시스템 사이,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와 다른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 사이, 또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와 외부서버 사이의 무선 통신을 가능하게 하는 하나 이상의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무선 통신부(110)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를 하나 이상의 네트워크에 연결하는 하나 이상의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무선 통신부(110)는, 이동통신 모듈, 무선 인터넷 모듈, 근거리 통신 모듈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입력부(120)는, 영상 신호 입력을 위한 카메라(121) 또는 영상 입력부, 오디오 신호 입력을 위한 마이크로폰(microphone, 122), 또는 오디오 입력부, 사용자로부터 정보를 입력받기 위한 사용자 입력부(123, 예를 들어, 터치키(touch key), 푸시키(mechanical key) 등)를 포함할 수 있다. 입력부(120)에서 수집한 음성 데이터나 이미지 데이터는 분석되어 사용자의 제어명령으로 처리될 수 있다.
사용자 입력부로서 디스플레이(151) 전면에 위치하는 터치센서를 포함할 수 있으며, 터치센서는 디스플레이(151) 전면 전체에 배치될 수도 있으나, 디스플레이의 크기가 큰 경우 사용자의 손이 닿는 범위를 고려하여 디스플레이의 일부에 터치센서가 배치될 수 있다.
센싱부(140)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 내 정보,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를 둘러싼 주변 환경 정보 및 사용자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센싱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센싱부(140)는 근접센서(proximity sensor), 조도 센서(illumination sensor), 터치 센서(touch sensor), RGB 센서, 적외선 센서(IR 센서: infrared sensor), 지문인식 센서(finger scan sensor), 초음파 센서(ultrasonic sensor), 광 센서(optical sensor, 예를 들어, 카메라(121 참조)), 마이크로폰(microphone, 122 참조), 배터리 게이지(battery gauge), 환경 센서(예를 들어, 기압계, 습도계, 온도계, 방사능 감지 센서, 열 감지 센서, 가스 감지 센서 등), 화학 센서(예를 들어, 전자 코, 헬스케어 센서, 생체 인식 센서 등)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본 명세서에 개시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는, 이러한 센서들 중 적어도 둘 이상의 센서에서 센싱되는 정보들을 조합하여 활용할 수 있다.
출력부(150)는 시각, 청각 또는 촉각 등과 관련된 출력을 발생시키기 위한 것으로, 디스플레이부(151), 음향 출력부(152)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51)는 터치 센서와 상호 레이어 구조를 이루거나 일체형으로 형성됨으로써, 터치 스크린을 구현할 수 있다. 이러한 터치 스크린은,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와 사용자 사이의 입력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사용자 입력부(123)로써 기능함과 동시에,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와 사용자 사이의 출력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냉각부(160)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의 내부의 열을 배출하는 구성을 의미하며, 히트파이프나 냉각핀, 및 내부의 공기순환을 촉진하는 순환팬, 벤트홀등이 모두 포함될 수 있다.
전시 광고를 목적으로 설치되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는 장시간 구동하며, 외부에서 잘 보이도록 고휘도록 출력한다. 따라서, 디스플레이(151) 및 제어부(180)에서 발생하는 열이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의 각 부품에 영향을 주어 고장 등의 원인이 될 수 있는 바, 내부의 열을 배출하는 방열구조가 매우 중요하다.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에 있어서 방열은 다양한 방식으로 구현된다. 방열 과정에서 열전달을 수행하는 대상에 따라 공랭식 또는 수냉식으로 나누어 질 수 있으며, 공랭식의 경우 방열핀 등을 이용하여 표면적을 최대한으로 하여 방열 효율을 높일 수 있고, 수냉식과 같은 경우 히트 파이프 등의 구조를 이용하여 열전달 수행 물질의 경로 및 밀폐 등을 가이드 하여 방열 효율을 높일 수 있다.
이러한 방열 냉각 방식은 단독으로 사용될 수도 있으며, 필요에 따라 두 개 이상 복합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또한, 메모리(170)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의 다양한 기능을 지원하는 데이터를 저장한다. 메모리(170)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에서 구동되는 다수의 응용 프로그램(application program 또는 애플리케이션(application)),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의 동작을 위한 데이터들, 명령어들을 저장할 수 있다. 이러한 응용 프로그램 중 적어도 일부는, 무선 통신을 통해 외부 서버로부터 다운로드 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응용 프로그램 중 적어도 일부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의 기본적인 기능(예를 들어, 전화 착신, 발신 기능, 메시지 수신, 발신 기능)을 위하여 출고 당시부터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상에 존재할 수 있다. 한편, 응용 프로그램은, 메모리(170)에 저장되고,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 상에 설치되어, 제어부(180)에 의하여 상기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의 동작(또는 기능)을 수행하도록 구동될 수 있다.
제어부(180)는 상기 응용 프로그램과 관련된 동작 외에도, 통상적으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제어부(180)는 위에서 살펴본 구성요소들을 통해 입력 또는 출력되는 신호, 데이터, 정보 등을 처리하거나 메모리(170)에 저장된 응용 프로그램을 구동함으로써, 사용자에게 적절한 정보 또는 기능을 제공 또는 처리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80)는 메모리(170)에 저장된 응용 프로그램을 구동하기 위하여, 구성요소들 중 적어도 일부를 제어할 수 있다. 나아가, 제어부(180)는 상기 응용 프로그램의 구동을 위하여,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에 포함된 구성요소들 중 적어도 둘 이상을 서로 조합하여 동작시킬 수 있다.
전원 공급부(190)는 제어부(180)의 제어 하에서, 외부의 전원, 내부의 전원을 인가 받아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에 포함된 각 구성요소들에 전원을 공급한다. 이러한 전원 공급부(190)는 배터리를 포함하며, 상기 배터리는 내장형 배터리 또는 교체가능한 형태의 배터리가 될 수 있다.
상기 각 구성요소들 중 적어도 일부는, 이하에서 설명되는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의 동작, 제어, 또는 제어방법을 구현하기 위하여 서로 협력하여 동작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의 동작, 제어, 또는 제어방법은 상기 메모리(170)에 저장된 적어도 하나의 응용 프로그램의 구동에 의하여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 상에서 구현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복수개의 디스플레이 모듈(210)이 격자형으로 배치되며 대화면의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를(100) 구현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모듈(210)은 영상을 출력하는 디스플레이 패널(211) 이외에 디스플레이 패널(211)의 구동을 담당하는 드라이브 IC(212), 디스플레이 모듈(210)을 고정하기 위한 체결브라켓(213) 등의 구성을 포함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디스플레이 패널(211)에 대해 LED 패널(Light Emitting Diode, LED)을 일례로 들어 설명하지만, 본 발명에 적용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 패널이 LED 패널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유기 표시 패널(Organic Light Emitting Diode, OLED),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Plasma Display Panel, PDP), 전계 방출 표시 패널(Field Emission Display, FED), 액정 패널(Liquid Crystal Display, LCD)인 것도 가능하다.
디스플레이 패널(211)은 복수 개의 픽셀들(R,G,B)을 포함할 수 있다. 복수 개의 픽셀들(R,G,B)은 다수의 데이터라인들과 다수의 게이트라인들이 교차되는 영역마다 형성될 수 있다. 복수 개의 픽셀들(R,G,B)은 매트릭스 형태로 배치 또는 배열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복수 개의 픽셀들(R,G,B)은 적색(Red, 이하 'R') 서브 픽셀, 녹색(Green, 'G') 서브 픽셀 및 청색(Blue, 'B') 서브 픽셀을 포함할 수 있다. 복수 개의 픽셀들(R,G,B)은 화이트(White, 이하 'W') 서브 픽셀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패널(211)은 화상을 표시하는 쪽을 전방 또는 전면이라 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패널(211)은 화상을 표시할 때, 화상을 관측할 수 없는 쪽을 후방 또는 후면이라 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패널(211)은 화상을 출력하고 격자로 배치한 디스플레이 패널(211)은 배면에 위치하는 모듈홀더(220)의 전면에 결합하여 격자형태의 배치를 유지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패널(211) 후면에 위치하는 드라이브 IC는 각 디스플레이 패널(211)의 구동을 담당한다. 드라이브 IC에 의한 디스플레이 패널(211)과의 갭을 커버하기 위해 모듈홀더(220)는 외주면에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전후 방향으로 소정이 두께를 가지는 측벽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복수개의 디스플레이 패널(211)이 하나의 디스플레이처럼 구동할 수 있도록 각 드라이브 IC(212)에 동기화된 신호를 제공하는 제어부(250)는 모듈홀더(220)의 배면에 위치할 수 있다. 모듈홀더(220)의 배면에 위치하는 제어부(250)는 통신부 등을 통해 수신한 영상정보를 결합된 디스플레이 패널의 개수 및 배열에 따라 분할하고 이를 각 디스플레이 디바이스(211)의 드라이브 IC(212) 전송하여 각 디스플레이 디바이스(211)을 구동할 수 있다.
제어부(250)를 커버하며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의 배면 외관을 형성하기 위해 모듈커버(240)를 포함할 수 있으며, 모듈커버(240)는 모듈홀더(220)에 결합할 수 있다.
모듈커버(240)는 방열을 위해 복수개이 방열홀을 포함할 수 있으며, 다른 장치 또는 이웃하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와 연결하는 커넥터를 배치하기 위한 개구부가 형성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모듈(210)과 모듈홀더(220)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로서 배면방향에서 바라본 도면이다. 도면상 디스플레이 모듈(210) 4개가 2x2로 배열된 형태의 실시예를 도시하고 있으나, 디스플레이 모듈(210)의 개수는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디스플레이 모듈(210)은 전면에 영상을 출력하는 디스플레이 패널과 그 배면에 위치하며 모듈홀더(220)와 체결되는 체결브라켓(213)을 포함한다. 체결브라켓(213)은 디스플레이 패널(211)과 결합하는 제1 체결부(2131)와 모듈홀더(220)와 결합하는 제2 체결부(2132)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체결부(2131)는 도 4에 도시된 것처럼 디스플레이 패널(211)의 배면을 전체적으로 커버하는 형태를 가질 수도 있고, 액자형태를 가질 수도 있으며 부분적으로 생략된 개구부를 포함하는 형태를 가질 수 있다. 디스플레이 패널(211)과 제1 체결부(2131)는 접착테이프(214)를 통해 결합할 수 있다.
제2 체결부(2132)는 제1 체결부(2131)에서 배면 방향으로 돌출되며, 디스플레이 패널(211)의 둘레를 따라 형성될 수 있다.
도 4의 확대도A를 참고하면, 제2 체결부(2132)는 디스플레이 패널(211)의 둘레를 따라 분절될 수 있다.
모듈홀더(220)는 디스플레이 패널(211)의 둘레를 따라 액자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제2 체결부(2132)와 상응하는 위치에 제3 체결부(222)를 포함할 수 있다.
제3 체결부(222)는 제2 체결부(2132)와 측방향으로 중첩되도록 배치될 수 있으며, 본 실시예에서는 제3 체결부(222)는 제2 체결부(2132)가 삽입되는 체결홀(222) 형상을 가질 수 있다.
확대도 B를 참고하면 체결홀(222)의 길이가 너무 길어지면 모듈홀더(220)의 강성이 약해지므로 체결홀(222)의 길이는 제한된 길이를 가지고 복수개를 형성할 수 있다.
따라서, 체결홀(222)의 길이에 상응하게 제2 체결부(2132)는 분절될 수 있으며, 체결홀(222) 사이의 연결부(223)는 제2 체결부(2132)의 분절부(2133)에 위치할 수 있다. 제2 체결부(2132)는 제3 체결부(222)에 삽입되는 형태로 모듈홀더(220)는 체결브라켓(213)과 결합할 수 있다.
제2 체결부(2132)는 체결홀(222)에 삽입이 용이하도록 제1 체결부(2131)와 수직을 이루는 방향으로 제1 체결부(2131)로부터 연장될 수 있다.
도 5 내지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에 조립방법을 도시한 도면이다. 디스플레이 패널(211)은 복수개의 층으로 형성되어 있어, 각 층의 공차가 누적되면 복수개의 디스플레이 패널(211)은 두께가 상이할 수 있다.
따라서 배면 방향부터 조립하면 전면의 디스플레이 패널(211)의 높이가 상이할 수 있어, 도 5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면방향에서 배면 방향으로 조립할 수 있다. 먼저 디스플레이 모듈(210)의 전면이 작업대(1000)에 접하도록 작업대(1000) 상에 복수개의 디스플레이 모듈(210)을 격자형상으로 배치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모듈(210)은 전술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 패널(211)과 그 배면에 접착테이프(214)를 통해 결합된 체결브라켓(213)을 포함하며, 체결브라켓(213)의 제2 체결부(2132)는 디스플레이 모듈(210)의 배면방향으로 돌출된 형태를 가질 수 있다.
디스플레이 모듈(210)은 얇은 판형의 부재로 평면을 이루는 것이 바람직하나, 복수개의 레이어를 적층하는 과정에서 각 층의 열변형 등의 문제로 도 5의 (b)처럼 곡선으로 휘어질 수 있다.
도면상으로 과도하게 표현되었으나, 디스플레이 모듈(210a)의 가운데 부분이 들뜨는 현상이 발생할 수도 있고, 디스플레이 모듈(210b)의 단부가 들뜰 수 있다.
이렇게 휘어진 디스플레이 모듈(210)을 편평하게 만들기 위해 작업대(1000)에 형성된 흡착홀을 통해 디스플레이 모듈(210)을 흡입하여 도 5의 (c)와 같이 편평한 상태를 만들 수 있다.
편평도가 개선되 디스플레이 모듈(210)의 배면에 도 6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모듈홀더(220)를 안착한다. 모듈홀더(220)는 복수개의 디스플레이 모듈(210)을 동시에 커버하여 디스플레이 모듈(210)이 격자모양으로 배치된 상태를 고정할 수 있다.
모듈홀더(220)의 제3 체결부(222)에 각 디스플레이 모듈(210)의 제2 체결부(2132)가 삽입되도록 모듈홀더(220)는 디스플레이 모듈(210)의 배면에서 안착될 수 있다.
제2 체결부(2132)와 제3 체결부(222)는 측방향으로 나란히 배치되고, 제2 체결부(2132)와 제3 체결부(222) 사이에 소정의 갭이 형성될 수 있다.
도 7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체결홀(222)에 레진(225)을 주입하여 체결홀(222)에 삽입된 제2 체결부(2132)와 제3 체결부(222) 사이의 갭을 채우며 모듈홀더(220)를 체결브라켓(213)에 결합할 수 있다.
도 7의 (b)는 (a)의 C-C' 단면도로, 확대도 D를 확인하면 레진(225)은 디스플레이 모듈(210)의 둘레를 따라 주입되어 모듈홀더(220)와 체결브라켓(213)이 고정될 수 있다.
다만, 전술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 패널(211)의 두께 차로 인하여 디스플레이 모듈(210)의 배면 높이가 상이하고, 따라서 도 6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체결부(2132)의 위치가 디스플레이 모듈(210) 별로 상이할 수 있다.
배면의 높이가 상이한 복수개의 디스플레이 모듈(210)과 하나의 모듈홀더(220)가 체결하기 때문에 모듈홀더(220)와 제2 체결부(2132)의 중첩되는 길이는 각 디스플레이 모듈(210)별로 차이가 발생할 수 있다.
제1 디스플레이 모듈(210a)의 두께가 제2 디스플레이 모듈(210b)의 두께보다 얇은 경우, 제1 디스플레이 모듈(210a)의 제2 체결부(2132)는 제3 체결부(222) 보다 a만큼 중첩되는 길이가 짧을 수 있다. 다만, 중첩되는 범위가 결합에 충분하며, 디스플레이 모듈(210)의 공차를 보상하여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의 배면도 동일한 높이를 가질 수 있다.
모듈홀더(220)를 스크류 등을 이용하여 체결하는 경우 회전수에 따라 공차가 다시 발생할 수 있어, 공차를 보상하기 어려우나, 레진(225)을 이용하는 경우 자연스럽게 두께 차를 반영하여 모듈홀더(220)가 결합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체결브라켓(213)과 모듈홀더(220)의 체결태양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제2 체결부(2132)와 제3 체결부(222)의 체결력을 높이기 위해 제3 체결부(222)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경사면 또는 단차부를 가질 수 있다. 이러한 제3 체결부(222)의 경사면 또는 단차는 레진(225)과 접촉면적을 확대하여 체결력이 높아질 수 있다.
레진(225)은 (a)와 같이, 제2 체결부(2132)의 바깥쪽과 제3 체결부(222) 사이에만 주입하거나, (b)와 같이 제2 체결부(2132)의 내측에만 주입할 수도 있으며, (c)와 같이 제3 체결부(222)인 체결홀(222)에 레진(225)이 모두 차도록 주입할 수도 있다. (d)와 같이 단차를 형성할 수도 있다.
또한, 제2 체결부(2132)에 미세한 홀을 형성하여 레진(225)이 주입되면 제2 체결부(2132)와 제2 체결부(2132)의 체결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들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하면, 디스플레이 모듈(210)의 체결브라켓(213)과 모듈홀더(220) 사이의 결합 위치를 디스플레이 모듈(210a, 210b)마다 달리 설정할 수 있어, 디스플레이 모듈(210a, 210b)간의 단차와 갭을 줄일 수 있다.
모듈홀더(220)와 디스플레이 모듈(210)을 레진(225)으로 체결하므로 오차를 손쉽게 보상할 수 있고 조립이 간편한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은 본 발명의 정신 및 필수적 특징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른 특정한 형태로 구체화될 수 있음은 해당 기술 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자명하다.
상기의 상세한 설명은 모든 면에서 제한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고 예시적인 것으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의 합리적 해석에 의해 결정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등가적 범위 내에서의 모든 변경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

Claims (9)

  1. 격자모양으로 배치된 복수개의 디스플레이 패널;
    상기 복수개의 디스플레이 패널의 배면에 각각 결합하는 체결브라켓;
    상기 체결브라켓과 레진을 통해 결합하는 모듈홀더;
    상기 모듈홀더의 배면에 위치하는 제어부; 및
    상기 제어부를 커버하며 상기 모듈홀더에 체결되는 백커버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브라켓은,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배면에 결합하는 제1 체결부와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배면 방향으로 돌출되어 상기 모듈홀더와 상기 레진을 통해 결합하는 제2 체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 개의 디스플레이 패널은 전면이 동일 평면을 이루며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개의 디스플레이 패널은 제1 두께를 가지는 제1 디스플레이 패널과 상기 제1 두께보다 두꺼운 제2 두께를 가지는 제2 디스플레이 패널을 포함하며,
    상기 제1 디스플레이 패널의 배면에 위치하는 체결브라켓의 제1 체결부와 상기 제2 디스플레이 패널의 배면에 위치하는 체결브라켓의 제2 체결부는 단차를 이루며 배치되고 상기 모듈홀더와 두께 방향으로 상이한 위치에서 결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체결부는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배면 둘레에 위치하고,
    상기 모듈홀더는 상기 제2 체결부의 측방향에 나란히 배치되는 제3 체결부를 포함하며,
    상기 레진은 상기 제2 체결부와 상기 제3 체결부 사이에 주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체결부는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둘레를 따라 복수개로 분절되고,
    상기 제3 체결부는 상기 제2 체결부가 관통하는 체결홀을 포함하며,
    상기 체결홀은 상기 제2 체결부의 길이에 상응하는 길이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홀은 배면이 넓고 전면이 좁은 경사면 또는 단차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8.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체결부와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 사이에 위치하는 접착 테이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9.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체결부는 상기 제1 체결부와 직각을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KR1020237024550A 2021-02-02 2022-01-24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KR20230121883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10014599 2021-02-02
KR1020210014599 2021-02-02
PCT/KR2022/001202 WO2022169154A1 (ko) 2021-02-02 2022-01-24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21883A true KR20230121883A (ko) 2023-08-21

Family

ID=827413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7024550A KR20230121883A (ko) 2021-02-02 2022-01-24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20230121883A (ko)
WO (1) WO2022169154A1 (ko)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2523742A (en) * 2014-02-28 2015-09-09 Barco Nv Seamless tiled displays
US9513751B2 (en) * 2014-06-27 2016-12-06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Large-format display assembly
KR20170000096A (ko) * 2015-06-23 2017-01-02 임명관 투광커버 및 투광커버 고정장치를 구비한 베젤 프리 멀티 스크린 디스플레이 장치
KR102009663B1 (ko) * 2016-07-26 2019-10-21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의 결합 구조 및 디스플레이 장치
KR102500131B1 (ko) * 2018-08-06 2023-02-15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의 후면에 배치된 센서 및 탄성 부재 사이의 높이 차를 보상하는 구조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2169154A1 (ko) 2022-08-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841624B2 (en) Configurations for tileable display apparatus with multiple pixel arrays
US11054871B2 (en) Display device including radiant heat blocking layer
US9921361B2 (en) Display screen frame eliminating apparatus and display device
US7545341B2 (en) Double-sided electronic display
US11263996B2 (en) Display device
US20160350052A1 (en) Borderless display device
KR102049856B1 (ko) 디스플레이 장치
US20150169277A1 (en) Heat radiation unit and display device having the same
KR102650344B1 (ko) 디스플레이 장치
WO2021081862A1 (zh) 显示装置及电子设备
WO2012026163A1 (ja) 照明装置、表示装置、及びテレビ受信装置
KR20230121883A (ko)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US20210400853A1 (en) Display device
WO2019212089A1 (ko) 디스플레이 장치
US9268085B2 (en)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US20240049404A1 (en) Spliced box and spliced display screen
KR102419190B1 (ko) 3d 엘이디 디스플레이 큐브 장치
WO2012026162A1 (ja) 照明装置、表示装置、及びテレビ受信装置
KR101648403B1 (ko) 옥외용 조립식 엘이디 발광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시스템
WO2023140410A1 (ko)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JP2017072819A (ja) 表示システムおよび表示システムを備えた建物
TWI812358B (zh) 顯示模組及其影像顯示器
WO2023219182A1 (ko) 백라이트 유닛 및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TW202223856A (zh) 用以製造顯示模組的方法以及相關的全螢幕影像顯示器
WO2024095317A1 (ja) 映像表示装置及び映像表示装置の製造方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