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21782A - 임플란트 전달 디바이스 - Google Patents

임플란트 전달 디바이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21782A
KR20230121782A KR1020237022816A KR20237022816A KR20230121782A KR 20230121782 A KR20230121782 A KR 20230121782A KR 1020237022816 A KR1020237022816 A KR 1020237022816A KR 20237022816 A KR20237022816 A KR 20237022816A KR 20230121782 A KR20230121782 A KR 2023012178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eedle
implant
delivery device
housing
electrode lea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702281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존 멀린스
페르갈 워드
도미닉 헤가티
에이단 존스
Original Assignee
카프리 메디컬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카프리 메디컬 리미티드 filed Critical 카프리 메디컬 리미티드
Publication of KR2023012178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2178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1/00Electrotherapy; Circuits therefor
    • A61N1/18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 A61N1/32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alternating or intermittent currents
    • A61N1/36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alternating or intermittent currents for stimulation
    • A61N1/372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the implantation of stimulators
    • A61N1/37205Microstimulators, e.g. implantable through a cannul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34Trocars; Puncturing needles
    • A61B17/3468Trocars; Puncturing needles for implanting or removing devices, e.g. prostheses, implants, seeds, wir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68Arrangements of 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means, e.g. sensors, in relation to patient
    • A61B5/6846Arrangements of 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means, e.g. sensors, in relation to patient specially adapted to be brought in contact with an internal body part, i.e. invasive
    • A61B5/6847Arrangements of 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means, e.g. sensors, in relation to patient specially adapted to be brought in contact with an internal body part, i.e. invasive mounted on an invasive device
    • A61B5/686Permanently implanted devices, e.g. pacemakers, other stimulators, biochip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68Arrangements of 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means, e.g. sensors, in relation to patient
    • A61B5/6846Arrangements of 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means, e.g. sensors, in relation to patient specially adapted to be brought in contact with an internal body part, i.e. invasive
    • A61B5/6867Arrangements of 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means, e.g. sensors, in relation to patient specially adapted to be brought in contact with an internal body part, i.e. invasive specially adapted to be attached or implanted in a specific body part
    • A61B5/6877Nerv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1/00Electrotherapy; Circuits therefor
    • A61N1/02Details
    • A61N1/04Electrodes
    • A61N1/05Electrodes for implantation or insertion into the body, e.g. heart electrode
    • A61N1/0521Genital electrod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1/00Electrotherapy; Circuits therefor
    • A61N1/02Details
    • A61N1/04Electrodes
    • A61N1/05Electrodes for implantation or insertion into the body, e.g. heart electrode
    • A61N1/0551Spinal or peripheral nerve electrod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1/00Electrotherapy; Circuits therefor
    • A61N1/18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 A61N1/32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alternating or intermittent currents
    • A61N1/36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alternating or intermittent currents for stimulation
    • A61N1/3605Implantable neurostimulators for stimulating central or peripheral nerve system
    • A61N1/36053Implantable neurostimulators for stimulating central or peripheral nerve system adapted for vagal stimula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1/00Electrotherapy; Circuits therefor
    • A61N1/18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 A61N1/32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alternating or intermittent currents
    • A61N1/36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alternating or intermittent currents for stimulation
    • A61N1/3605Implantable neurostimulators for stimulating central or peripheral nerve system
    • A61N1/36057Implantable neurostimulators for stimulating central or peripheral nerve system adapted for stimulating afferent nerv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1/00Electrotherapy; Circuits therefor
    • A61N1/18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 A61N1/32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alternating or intermittent currents
    • A61N1/36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alternating or intermittent currents for stimulation
    • A61N1/3605Implantable neurostimulators for stimulating central or peripheral nerve system
    • A61N1/3606Implantable neurostimulators for stimulating central or peripheral nerve system adapted for a particular treatment
    • A61N1/36071Pain
    • A61N1/36075Headache or migrain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1/00Electrotherapy; Circuits therefor
    • A61N1/18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 A61N1/32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alternating or intermittent currents
    • A61N1/36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alternating or intermittent currents for stimulation
    • A61N1/372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the implantation of stimulators
    • A61N1/375Constructional arrangements, e.g. casing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2560/00Constructional details of operational features of apparatus; Accessories for medical measuring apparatus
    • A61B2560/06Accessories for medical measuring apparatus
    • A61B2560/063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delivering implantable medical measuring apparatu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1/00Electrotherapy; Circuits therefor
    • A61N1/02Details
    • A61N1/04Electrodes
    • A61N1/05Electrodes for implantation or insertion into the body, e.g. heart electrod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Radiology & Medical Imaging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Surger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Pathology (AREA)
  • Neurology (AREA)
  • Neurosurge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Biophysics (AREA)
  • Pain & Pain Management (AREA)
  • Cardiology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Electrotherapy Devices (AREA)
  • Refuse Collection And Transfer (AREA)
  • Feeding, Discharge, Calcimining, Fusing, And Gas-Generation Devices (AREA)
  • Vending Machines For Individual Products (AREA)

Abstract

본 출원은 환자에게 의료용 임플란트(1)를 이식하기 위한 임플란트 전달 디바이스(10)를 제공한다. 의료용 임플란트(1)는 임플란트 하우징(2)과, 임플란트 하우징으로부터 연장되는 세장형 전극 리드(3)를 포함한다. 임플란트 전달 디바이스(10)는 핸들(11), 제1 바늘(12), 및 제2 바늘(13)을 포함한다. 제1 바늘(12)은 핸들(11)에 고정되어 길이 방향으로 연장된다. 제1 바늘(12)은 의료용 임플란트(1)의 임플란트 하우징(2)을 수용하는데 적합한 루멘을 포함한다. 제2 바늘(13)은 제1 바늘(12)보다 높은 게이지를 가지며 의료용 임플란트(1)의 세장형 전극 리드(3)를 운반하는데 적합하다. 제2 바늘(13)은, 사용 동안 제1 바늘(12)과 제2 바늘(13)이 임플란트 하우징(2)을 제1 깊이에 위치시키고 동시에 전극 리드(3)를 제1 깊이보다 더 깊은 제2 깊이에 위치시키도록 제2 바늘(13)이 길이 방향으로 제1 바늘(12)을 넘어 연장되는 연장 위치와, 제2 바늘(13)이 핸들(11)을 향해 후퇴하여 제2 바늘(13)에서 전극 리드(3)를 해제하는 후퇴 위치 사이에서, 제2 바늘(13)이 이동 가능하도록 핸들(11)에 후퇴 가능하게 장착된다.

Description

임플란트 전달 디바이스
본 발명은 신경조정술 임플란트와 같은 의료용 임플란트를 환자에게 이식하기 위한 임플란트 전달 디바이스에 관한 것이다.
하우징과 전극을 포함하는 이식형 신경자극기를 제공하는 것은 공지되어 있다. 전력 안테나, 마이크로컨트롤러, 및 통신 안테나는 외부 소스로부터 전력을 수신하고 전극과 관련된 센서 정보를 수신/송신 하기 위해 하우징에 배치된다. 전달 시스템은 환자에게서 개구를 절단하고 이식형 신경자극기를 위치시키기 위해 전달 시스템을 개구에 통과시키는 것에 의해 환자에게서, 특히 신경에 근접하게 신경자극기를 위치시키도록 사용될 수 있다.
본 개시내용에 따르면, 환자에게 의료용 임플란트를 이식하기 위한 임플란트 전달 디바이스가 제공되며, 의료용 임플란트는 임플란트 하우징 및 임플란트 하우징으로부터 연장되는 세장형 전극 리드를 포함하고, 임플란트 전달 디바이스는:
핸들,
상기 핸들에 고정되고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며, 상기 의료용 임플란트의 임플란트 하우징을 수용하는데 적합한 루멘을 포함하는 제1 바늘, 및
제1 바늘보다 더 높은 게이지를 갖고, 의료용 임플란트의 세장형 전극 리드를 운반하는데 적합한 제2 바늘을 포함하며, 상기 제2 바늘은,
사용 동안 제1 바늘과 제2 바늘이 동시에 임플란트 하우징을 제1 깊이에 위치시키고 전극 리드를 제1 깊이보다 더 깊은 제2 깊이에 위치시킬 수 있도록 제2 바늘이 길이 방향으로 제1 바늘을 넘어 연장되는 연장 위치와,
제2 바늘로부터 전극 리드를 해제하기 위하여 제2 바늘이 핸들을 향해 후퇴하는 후퇴 위치 사이에서, 제2 바늘이 이동 가능하도록 핸들에 후퇴 가능하게 장착된다.
예에서, 제1 바늘과 제2 바늘은 각각 전극을 해제하기 위해 제1 바늘과 제2 바늘을 위치시키도록 사용 동안 환자의 피부를 뚫고 조직을 관통하는데 적합한 날카로운 팁, 예를 들어 경사 팁을 포함한다. 예에서, 제1 바늘은 사용 동안 피부와 밑에 있는 지방 조직만을 관통하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더 큰 제1 바늘은 필요한 최소한의 깊이까지만 환자를 관통하여 조직 손상을 줄인다.
예에서, 제2 바늘은 의료용 임플란트의 세장형 전극 리드를 수용하는데 적합한 루멘을 포함한다. 예에서, 제2 바늘은 한쪽 측면을 따라서 연장되고 루멘 내로 연장되는 슬롯을 포함한다. 슬롯은 제2 바늘의 팁까지 연장될 수 있다. 슬롯은 제2 바늘이 연장 위치에 있을 때 제2 바늘의 팁으로부터 제1 바늘의 루멘으로 연장될 수 있다. 예에서, 제1 바늘 및 제2 바늘은 전극 리드의 일부가 사용 동안 제2 바늘의 루멘으로부터 슬롯을 통해 임플란트 하우징으로 연장되도록 비동심적으로 배열된다.
예에서, 제2 바늘은 제2 바늘의 원위 단부에 또는 그 근처에 있는 부착 지점을 포함하고, 부착 지점은 세장형 전극 리드가 제2 바늘의 측면을 따라서 운반되도록 세장형 전극 리드에 부착되는데 적합하다. 예를 들어, 부착 지점은 세장형 전극 리드의 단부를 수용하는데 적합한 구멍을 포함할 수 있다. 구멍은 제2 바늘의 원위 단부에 또는 원위 단부에 근접한 제2 바늘의 측면에 형성될 수 있다.
예에서, 제2 바늘은 제1 바늘의 루멘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배치된다. 예를 들어, 제2 바늘은 제1 바늘의 루멘 내에서 임플란트 하우징을 따라서 연장된다. 예에서, 제1 바늘의 루멘은 임플란트 하우징을 수용하는데 적합한 주요 부분 및 제2 바늘을 수용하는데 적합한 보조 부분을 포함할 수 있고, 주요 부분 및 보조 부분은 각각 부분적으로 원형 단면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바늘은 눈물 방울 단면 프로파일을 가질 수 있다. 예에서, 주요 및 보조 부분의 단면적은 대략 원형이고 부분적으로 중첩되도록 배열된다.
예에서, 임플란트 하우징은 임플란트 하우징이 제1 바늘의 루멘 밖으로 빼내질 수 있도록 제1 바늘의 루멘에 배열된다. 따라서, 전극 리드가 해제된 후에 전극 리드와 환자의 조직 사이에 제공되는 유지력은 임플란트 전달 디바이스가 환자로부터 제거됨에 따라서 제1 바늘의 루멘 밖으로 임플란트 하우징을 당길 것이다.
예에서, 임플란트 전달 디바이스는 임플란트 하우징을 제1 바늘의 루멘에 해제 가능하게 고정하도록 구성된 유지 부재를 추가로 포함한다. 유지 부재는 수술자에 의해 작동되어, 임플란트 하우징을 해제하고 임플란트 하우징이 제1 바늘로부터 환자 내의 전개 위치로 이동하게 할 수 있다.
예에서, 유지 부재는, 제1 바늘의 벽에 형성되고 제1 바늘의 루멘에서 임플란트 하우징과 맞물리도록 구성된 유지 탭을 포함할 수 있다. 유지 탭은 제1 바늘의 루멘 내로 부분적으로 변형된 제1 바늘에서의 U자 형상 절개부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임플란트 하우징은 유지 탭과 일치하도록 배열된 오목부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바늘은, 제1 바늘 주위에 길이 방향 및/또는 원주 방향으로 분포되고 임플란트 하우징과 맞물리도록 구성된 다수의 유지 탭을 포함할 수 있다.
예에서, 임플란트 하우징은 예를 들어 구멍과 같은 부착 지점을 포함할 수 있다. 유지 부재는 핸들의 일부로부터 임플란트 하우징의 부착 지점으로 연장될 수 있으며, 유지 부재는 임플란트 하우징을 해제하기 위해 분리 가능할 수 있다.
예에서, 유지 부재는 임플란트 하우징의 부착 지점을 통해 루핑되는 실을 포함할 수 있고, 실은 임플란트 하우징을 해제하기 위해 예를 들어 절단 또는 풀림과 같이 수술자에 의해 분할될 수 있다. 예에서, 실은 예를 들어 나일론, 모노크릴, 비크릴, 실크 또는 프롤렌을 포함하는 봉합사, 또는 강 와이어와 같은 금속 와이어, 또는 케블러와 같은 다른 재료를 포함할 수 있다.
예에서, 유지 부재는 임플란트 하우징의 부착 지점과 맞물리는데 적합한 후크형 단부를 가지는 형상 기억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형상 기억 하우징의 반대편 단부는 임플란트 하우징을 해제하기 위해 후크형 단부를 변형시키기 위해 이동되도록 배열될 수 있다. 형상 기억 부재의 반대편 단부는 후크형 단부를 변형시키기 위해 수술자에 의해 슬라이딩되도록 배열된 슬라이딩 탭에 부착될 수 있다.
예에서, 유지 부재는 임플란트 하우징의 단부에 밀어 끼워맞춤(push-fit)되는데 적합한 클램핑 캡을 포함한다. 임플란트 전달 디바이스는 임플란트 하우징으로부터 클램핑 캡을 분리하도록 작동 가능한 스프링 장착 해제 메커니즘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예에서, 임플란트 전달 디바이스는 핸들에 인접하게 배열된 작동 탭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작동 탭은 제2 바늘에 부착되거나 제2 바늘의 일부일 수 있다. 대안적으로, 작동 탭은 제2 바늘에 작동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작동 탭은 후퇴 위치로 제2 바늘을 이동시키기 위해 사용자에 의한 작동을 위해 구성될 수 있다. 일부 예에서, 작동 탭은 후퇴 위치로 제2 바늘을 이동시키기 위해 핸들로부터, 그리고 환자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 가능할 수 있다. 다른 예에서, 작동 탭은 후퇴 위치로 제2 바늘을 이동시키기 위해 핸들 및 환자를 향하는 방향으로 이동 가능할 수 있다.
예에서, 임플란트 전달 디바이스는 연장 위치에서 제2 바늘을 잠그는데 적합한 잠금 메커니즘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잠금 메커니즘은 제2 바늘을 연장 위치에 직접 잠글 수 있거나, 또는 잠금 메커니즘은 제2 바늘이 또한 연장 위치에 잠기도록 작동 탭을 잠글 수 있다.
예에서, 임플란트 전달 디바이스는 핸들에 있는 잠금 슬롯을 포함한다. 제2 바늘은, 핸들에 대한 제2 바늘의 하나의 회전 위치에서, 제2 바늘이 핸들에 대해 축 방향으로 잠기고, 하우징에 대한 제2 바늘의 또 다른 회전 위치에서, 제2 바늘이 핸들에 대해 축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잠금 슬롯과 맞물리는데 적합할 수 있다. 예에서, 잠금 슬롯은 L자 형상 또는 J자 형상 슬롯을 포함할 수 있다. 예에서, 핸들은 잠금 링을 포함할 수 있고, 잠금 슬롯은 잠금 링에 형성될 수 있다.
예에서, 작동 탭은 제1 방향과 반대인 제2 방향으로 제2 바늘을 이동시키기 위해 제1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다. 임플란트 전달 디바이스는 작동 탭과 제2 바늘 사이에 작동 가능하게 결합된 랙 및 피니언 메커니즘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예에서, 핸들은 안내 부재를 포함할 수 있고, 작동 탭은 안내 부재를 따라서 이동 가능할 수 있다. 잠금 메커니즘운 안내 부재를 따르는 위치에서 작동 탭을 잠그도록 구성될 수 있다. 잠금 메커니즘은 안내 부재를 따르는 작동 탭의 이동을 위해 잠금 메커니즘을 해제하도록 배열된 버튼을 포함할 수 있다.
예에서, 임플란트 전달 디바이스는 제1 바늘의 루멘에서 임플란트 하우징을 해제 가능하게 고정하는데 적합한 유지 부재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고, 유지 부재는 임플란트 하우징을 해제하기 위해 작동 탭에 의해 작동될 수 있다. 일부 예에서, 제1 방향으로 제1 거리를 통한 작동 탭의 이동은 제2 바늘을 후퇴 위치로 이동시키고, 제1 방향으로 제2 거리를 통한 작동 탭의 추가 이동은 유지 부재를 작동시켜 임플란트 하우징을 해제한다. 예에서, 유지 부재는 임플란트 하우징에 밀어 끼워맞춤되는데 적합한 클램핑 캡을 포함하고, 임플란트 전달 디바이스는 작동 탭에 의해 작동될 때 임플란트 하우징으로부터 클램핑 캡을 분리하도록 작동 가능한 스프링 장착 해제 메커니즘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특히, 제2 거리를 통한 작동 탭의 이동은 임플란트 하우징으로부터 클램핑 캡을 분리하기 위해 스프링 장착 해제 메커니즘을 작동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거리를 통한 작동 탭의 이동은 스프링 장착 해제 메커니즘 상의 걸쇠(catch)를 해제할 수 있다.
예에서, 임플란트 전달 디바이스는 핸들에 인접한 곳으로부터 제1 바늘의 루멘으로 연장되는 푸셔를 포함하는 임플란트 전개 부재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임플란트 전개 부재는 임플란트 하우징을 제1 바늘 밖으로 밀어내기 위해 제1 바늘에 대해 슬라이딩 가능할 수 있다. 임플란트 전개 부재는 중공일 수 있고, 임플란트 하우징 유지 부재는 임플란트 전개 부재를 통해 연장될 수 있다. 임플란트 전개 부재는 수술자가 임플란트 전개 부재를 작동시키기 위한 탭을 포함할 수 있다. 임플란트 하우징 유지 부재는 임플란트 전개 부재의 탭으로부터 해제될 수 있다.
예에서, 임플란트 전달 디바이스는, 제1 바늘의 루멘에 배치된 임플란트 하우징 및 임플란트 하우징으로부터 연장되고 제2 바늘에 의해 운반되는 전극 리드를 포함하는 의료용 임플란트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전극 리드는 제2 바늘의 루멘에서 운반될 수 있거나, 또는 원위 단부 또는 그 근처의 부착 지점에서 제2 바늘에 부착되고 제2 바늘의 측면을 따라서 연장될 수 있다.
조합된 임플란트 전달 디바이스 및 의료용 임플란트는 단일 사용을 위해 포장될 수 있다.
예에서, 의료용 임플란트는 이식형 신경자극 디바이스이다. 의료용 임플란트는 환자의 신경, 예를 들어 큰 후두 신경을 자극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다른 예에서, 의료용 임플란트는 비자극 임플란트, 예를 들어 진단 임플란트일 수 있다. 진단 임플란트는 임플란트 하우징, 및 외부 디바이스와 무선 통신을 위한 안테나를 포함할 수 있다. 자극 임플란트는 임플란트 하우징이 제1 바늘에 의해 제1 깊이에 위치되고, 안테나가 제2 바늘에 의해 실질적으로 동일한 깊이, 예를 들어 피부의 외부 표면으로부터 실질적으로 균일한 거리에 위치되도록 이식될 수 있다. 이를 달성하기 위해, 제1 및 제2 바늘은 피부와 실질적으로 평행하게 환자에게 밀어 넣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이하에서 추가로 설명된다:
도 1은 의료용 임플란트를 도시하며;
도 2는 환자에게서의 위치, 특히 피하 위치에 있는 의료용 임플란트를 도시하며;
도 3은 의료용 임플란트를 환자에게 이식하기 위한 전달 디바이스의 일부, 특히 전달 디바이스의 제1 바늘 및 제2 바늘의 개략적인 단면도를 도시하며;
도 4는 의료용 임플란트를 이식하기 전의 구성에서 핸들을 포함하는 전달 디바이스의 개략적인 단면도를 도시하며;
도 5는 의료용 임플란트의 전극 리드가 해제된 후 전달 디바이스의 개략적인 단면도를 도시하며;
도 6은 의료용 임플란트가 해제된 후 전달 디바이스의 개략적인 단면도를 도시하며;
도 7은 제1 바늘 및 제2 바늘의 단부, 및 제1 및 제2 바늘에 의해 유지되는 의료용 임플란트의 사시도를 도시하며;
도 8a는 제2 바늘을 도시하며;
도 8b는 제1 바늘을 도시하며;
도 9는 의료용 임플란트를 환자에게 이식하기 위한 예시적인 전달 디바이스를 도시하며;
도 10은 작동 탭을 가지는 도 9의 전달 디바이스의 제2 바늘을 도시하며;
도 11은 도 9의 전달 디바이스의 대안적 도면을 도시하며;
도 12는 도 9의 전달 디바이스의 제2 바늘 및 작동 탭을 위한 잠금 메커니즘을 도시하며;
도 13a 및 도 13b는 제1 바늘에서 의료용 임플란트의 임플란트 하우징을 해제 가능하게 유지하기 위한 유지 메커니즘의 예를 도시하며;
도 14a 내지 도 14c는 제1 바늘에서 의료용 임플란트의 임플란트 하우징을 해제 가능하게 유지하기 위한 유지 메커니즘의 추가 예를 도시하며;
도 15a 내지 도 15c는 제1 바늘에서 의료용 임플란트의 임플란트 하우징을 해제 가능하게 유지하기 위한 유지 메커니즘의 추가 예를 도시하며;
도 16은 제2 바늘이 초기에 후퇴 위치에 있는 예시적인 임플란트 전달 디바이스를 도시하며;
도 17a 내지 도 17e는 의료용 임플란트를 환자에게 이식하기 위한 전달 디바이스의 작동을 도시하며;
도 18a 및 도 18b는 의료용 임플란트를 환자에게 이식하기 위한 추가적인 예시적인 전달 디바이스의 일부에 대한 개략적인 단면도를 도시하며, 여기에서 작동 탭은 사용 동안 핸들을 향해 이동되며;
도 19는 도 18a 및 도 18b의 예시적인 전달 디바이스의 사시도를 도시하며;
도 20은 랙 및 피니언 메커니즘을 도시하는, 도 19의 전달 디바이스의 부분 단면도를 도시하며;
도 21a 및 도 21b는 의료용 임플란트를 환자에게 이식하기 위한 추가적인 예시적인 전달 디바이스의 일부에 대한 개략적인 단면도를 나타내며, 여기에서 제2 바늘은 초기에 후퇴 위치에 있으며;
도 22a 및 도 22b는 사용 동안 필요한 제1 바늘로부터 임플란트 하우징을 해제하기 위한 도 18a 내지 도 21b의 예시적인 전달 디바이스의 해제 메커니즘을 도시하며;
도 23a 내지 도 23e는 의료용 임플란트를 환자에게 이식하기 위한 도 18a 내지 도 22b의 전달 디바이스의 작동을 도시하며;
도 24는 전극 리드의 부착을 위한 부착 지점을 가지는 대안적인 예의 제2 바늘을 도시하며;
도 25는 예리한 돌출부를 가지는 대안적인 예의 제1 바늘을 도시하며;
도 26은 제1 바늘 내의 임플란트 하우징에 대응하는 윈도우를 가지는 대안적인 예의 제1 바늘을 도시한다.
도 1 및 도 2는 의료용 임플란트(1) 및 환자에게서의 의료용 임플란트(1)의 사용을 도시한다. 이후에 추가로 설명되는 바와 같이, 의료용 임플란트(1)는 환자에게 이식 가능하고, 신경을 감지 및/또는 자극하도록 작동할 수 있다. 일부 예에서, 의료용 임플란트(1)는 큰 후두 신경을 감지 및/또는 자극하기 위해 이식 가능할지라도, 동일하거나 유사한 임플란트가 다른 신경, 특히 말초 신경계의 다른 말초 신경을 감지 및/또는 자극하기 위해 이식 가능할 수 있다. 예에서, 의료용 임플란트(1)는 경골 신경, 천골 신경(예를 들어, 요실금을 치료하기 위해) 또는 미주 신경(예를 들어, 췌장 분비를 조절하기 위해)을 감지 및/또는 자극하기 위해 이식 가능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의료용 임플란트(1)는 임플란트 하우징(2) 및 세장형 전극 리드(3)를 포함한다. 임플란트 하우징(2)은 예를 들어 인쇄 회로 기판, 수신기/송신기, 무선 전력 수신기 및/또는 센서 전자 기기를 포함하는 의료용 임플란트(1)의 전자 구성요소를 수용할 수 있다. 예에서, 임플란트 하우징은 기밀하게 밀봉된다.
전극 리드(3)는 임플란트 하우징(2)으로부터 연장되고 유연하다. 전극 리드(3)는 적어도 하나의 전극(4), 일부 예에서는 전극 리드(3)의 길이를 따라서 이격된 다수의 전극(4)을 포함한다. 전극(4)들은 임플란트 하우징(2) 내의 전자 기기에 연결된다.
예에서, 임플란트 하우징(2)은 약 0.5 ㎜ 내지 약 5 ㎜, 예를 들어 약 1 ㎜ 내지 약 3 ㎜의 직경을 가질 수 있다. 임플란트 하우징(2)은 약 10 ㎜, 예를 들어 약 5 ㎜ 정도의 길이를 가질 수 있다. 예에서, 전극 리드(3)는 약 0.3 ㎜ 내지 약 1.5 ㎜, 예를 들어 약 0.5 ㎜ 내지 1.3 ㎜의 직경을 가질 수 있다. 전극 리드(3)는 최대 약 100 ㎜, 예를 들어 최대 약 50 ㎜, 예를 들어 약 50 ㎜의 길이를 가질 수 있다. 그러나, 임플란트 하우징(2)의 치수는 임플란트 하우징(2) 내에 수용된 전자 기기의 크기에 대응하고, 전극 리드(3)의 길이는 표적 신경을 둘러싸는 해부학적 구조에 대응하여서, 더 짧거나 또는 더 긴 전극 리드(3)는 근육 조직 내 신경의 깊이에 적절히 의존할 수 있다는 것이 이해될 것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단 환자에게 이식되면, 의료용 임플란트(1)는 피부의 표면 아래, 특히 표피(5) 아래에 위치된다. 임플란트 하우징(2)은 진피(6) 또는 피하 조직(7)에 위치될 수 있다. 피하 조직(7)에 임플란트 하우징(2)을 위치시키는 것은 환자에게 손상 및/또는 자극을 덜 유발하는데 유리할 수 있다.
예시된 바와 같이, 전극 리드(3)는 임플란트 하우징(2)으로부터 밑에 있는 조직, 특히 근육(8)을 통해 표적 신경(9)에 근접한 위치까지 연장된다. 전극 리드(3)는 전극(4, 도 1 참조)이 신경(9)과 접촉하거나 근접하도록 위치되어서, 전극(4)은 신경(9)을 감지 및/또는 자극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외부 디바이스(도시되지 않음)는 의료용 임플란트(1), 특히 임플란트 하우징(2) 내의 전자 기기에 무선으로 전력을 공급하고 이와 무선으로 통신할 수 있다. 외부 디바이스는 의료용 임플란트(1)에 근접한 피부에 위치될 수 있다. 외부 디바이스는 의료용 임플란트(1)의 근위 피부에 접착될 수 있다.
예에서, 의료용 임플란트(1)는 환자의 큰 후두 신경을 표적으로 이식되는 신경자극 임플란트이며, 전극(4)들은 큰 후두 신경을 자극하기 위해 전류와 같은 전기적 신호가 제공된다. 예에서, 전기 신호는 전압 조절된 자극일 수 있다. 이러한 자극은 만성 통증, 예를 들어 후두 신경통, 난치성 편두통 및/또는 기타 치료 이점을 완화할 수 있다.
도 3 내지 도 22e는 도 2에 도시된 위치에 도 1에 도시된 의료용 임플란트(1)를 이식하기 위한 임플란트 전달 디바이스(10)의 예를 도시한다.
도 3 내지 도 16d는 제1 예시적인 임플란트 전달 디바이스(10)를 도시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임플란트 전달 디바이스(10)는 제1 바늘(12) 및 제2 바늘(13)을 포함한다. 제1 및 제2 바늘(12, 13)은 평행하고, 둘 모두 길이 방향으로 연장된다. 제2 바늘(13)은 제1 바늘(12)보다 더 연장된다. 특히, 제1 바늘(12)은 경사 팁과 같은 팁(14)을 갖고, 제2 바늘(13)은 제2 바늘의 팁(14)을 지나 연장된다. 제2 바늘(13)은 또한 팁(15), 특히 경사 팁을 가진다. 제2 바늘(13)은 제1 바늘(12)보다 높은 게이지를 갖고, 특히 제2 바늘(13)은 제1 바늘(12)보다 작은 직경을 가진다.
사용 동안, 임플란트 하우징(2)은 제1 바늘(12), 특히 제1 바늘(12)의 루멘에 수용된다. 사용 동안, 전극 리드(3)는 제2 바늘(13), 특히 제2 바늘(13)의 루멘에 수용된다. 전극 리드(3)는 도시된 바와 같이 팁(15)을 향하여 제2 바늘(13)의 상당한 부분을 따라서 연장된다. 임플란트 하우징(2)에 인접한 전극 리드(3)의 일부는 도 7을 참조하여 추가로 설명되는 바와 같이 제2 바늘(13)에 있는 개구를 통해 연장된다. 따라서, 사용 동안, 의료용 임플란트(1)는 전달 디바이스(10)의 제1 및 제2 바늘(12, 13) 내에 수용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바늘(12)과 제2 바늘(13)은 축 방향으로 오프셋된다. 특히, 제1 바늘(12)의 중심축은 제2 바늘(13)의 중심축으로부터 오프셋된다. 예시된 예에서, 제2 바늘(13)은 제1 바늘(12) 내로(특히 제1 바늘의 루멘 내로) 연장되어서, 제2 바늘(13)은 임플란트 하우징(2)과 나란히 제1 바늘(12) 내에 부분적으로 수용된다.
도 7을 참조하면, 제2 바늘(13)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극 리드(3)의 일부가 제2 바늘(13) 밖으로 연장되어 임플란트 하우징(2)에 연결되도록 하는 슬롯(18)을 포함한다. 슬롯(18)은 이후에 추가로 설명되는 바와 같이 제2 바늘(13)의 팁(15)까지 연장될 수 있다.
일부 예에서, 제2 바늘(13)은 전체적으로 또는 실질적으로 한쪽 측면을 따라서 연장되는 개구를 가지는 덮개를 포함할 수 있다.
이후에 더 상세히 설명되는 바와 같이, 사용 동안, 제1 바늘(12)과 제2 바늘(13)은 모두 환자의 피부를 관통하여 임플란트 하우징(2)을 환자 내의 제1 깊이에, 전극 리드(3)를 제2 깊이에 동시에 위치시킨다. 임플란트 전달 디바이스(10)는 그런 다음 의료용 임플란트(1)를 해제하고 전개하여, 의료용 임플란트(1)를 도 2에 도시된 위치에 남겨둔다. 제1 및 제2 바늘(12, 13)의 팁(14, 15)은 각각 환자의 피부를 천공하고 조직을 관통하여 제1 및 제2 바늘(12, 13)을 적절한 깊이에 위치시키는데 적합한 날카로운 팁이다. 팁(14, 15)은 당업자에게 알려진 바와 같이 경사 팁일 수 있다.
예에서, 제1 바늘(12)은 6 게이지 내지 15 게이지, 예를 들어 10 게이지의 게이지를 가질 수 있다. 예에서, 제2 바늘(13)은 15 게이지 내지 25 게이지, 예를 들어 20 게이지의 게이지를 가질 수 있다.
후술하는 다양한 예에서, 제2 바늘(13)은 전극 리드(3)를 전개하기 위해 제1 바늘(12)에 대해 후퇴 가능하다. 제2 바늘(13)을 따르는 슬롯(18)(도 7 참조)은 전극 리드(3)의 전개를 허용한다.
예에서, 임플란트 하우징(2)은 제1 바늘(12)(또는 임플란트 전달 디바이스(10)의 다른 부분)에 해제 가능하게 부착되고, 전개 전에 해제된다.
예에서, 임플란트 하우징(2)은 환자로부터 멀어지게 임플란트 전달 디바이스를 당기고, 의료용 임플란트를 제자리에서 홀딩하고 제1 바늘(12)로부터 임플란트 하우징(2)을 당기도록 전극 리드(3)와 환자의 조직 사이의 마찰에 의존하는 것에 의해 제1 바늘(12)으로부터 간단히 전개될 수 있다. 다른 예에서, 임플란트 전달 디바이스(10)는 적절한 해부학적 부위에서 임플란트 하우징(2)을 전개하기 위해 제1 바늘(12) 밖으로 임플란트 하우징(2)을 밀어내는데 적합한 전개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도 4 내지 도 6은 예시적인 임플란트 전달 디바이스(10)의 추가 부품을 도시하고, 또한 의료용 임플란트(1)를 환자에게 전개하기 위한 임플란트 전달 디바이스(10)의 작동을 도시한다.
예시된 바와 같이, 예시적인 임플란트 전달 디바이스(10)는 핸들(11)을 추가로 포함한다. 핸들(11)은 수술자가 파지하는데 적합하다. 제1 바늘(12)은 핸들(11)에 고정된다.
제2 바늘(13)은 제1 바늘(12) 및 핸들(11)을 통해 연장된다. 작동 탭(16)이 팁(15) 반대쪽의 제2 바늘(13)의 단부에 제공된다. 특히, 작동 탭(16)은 수술자가 잡을 수 있는 파지 핸들일 수 있거나 또는 이와 유사한 것일 수 있다.
제2 바늘(13)은 제1 바늘(12)에 대해 후퇴 가능하다. 특히, 제2 바늘(13)은 도 4에 도시된 위치 및 도 5에 도시된 위치로부터 제1 바늘(12) 및 핸들(11)을 통해 슬라이딩 가능할 수 있다. 이 예에서, 제2 바늘(13)은 작동 탭(16)을 환자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당기는 것에 의해 후퇴 가능하다. 이러한 방식으로 제2 바늘(13)을 후퇴시키는 것은 전극 리드(3)를 전개한다. 제2 바늘(13)을 따르는 슬롯(18)(도 7 참조)은 임플란트 하우징(2)에 연결되는 전극 리드(3)의 일부를 제공한다. 슬롯(18)은 제2 바늘(13)의 팁(15)으로 연장된다.
잠금 디바이스(17)는 제2 바늘(13)을 핸들(11) 및/또는 제1 바늘(12)에 잠그기 위해 제공된다. 도시된 바와 같이, 잠금 디바이스(17)는 작동 탭(16)에 또는 그 근처에 제공될 수 있고, 예에서 작동 탭(16)을 핸들(11)에 잠근다. 잠금 디바이스(17)는 도 4에 도시된 연장 위치에서 제2 바늘(13)을 잠근다.
도 4에 도시된 위치에서, 수술자는 임플란트 전달 디바이스(10)를 환자에게 삽입할 수 있다. 제2 바늘(13)의 위치는 핸들(11)에 대해 잠겨져서, 수술자는 핸들(11)에 의해 임플란트 전달 디바이스(10)를 환자에게 밀어넣을 수 있다.
도 4 및 도 2를 참조하면, 임플란트 전달 디바이스(10)가 환자에게 밀어넣어짐에 따라서, 제2 바늘(13)이 먼저 피부(5)를 관통하고, 임플란트 전달 디바이스(10)가 더 밀어넣어짐에 따라서, 제1 바늘(12)이 피부(5)를 관통한다. 이에 따라 제1 및 제2 바늘(12, 13)이 환자에게서 적절한 깊이에 위치되고, 임플란트 하우징(2)과 전극 리드(3)가 또한 동시에 적절한 깊이에 위치된다.
예에서, 수술자는 표적 신경(9)을 향해 제2 바늘(13)을 안내하기 위해 제1 바늘, 특히 제2 바늘(13)의 위치를 모니터링하기 위해 초음파 영상 디바이스를 사용할 수 있다.
일단 임플란트 전달 디바이스(10)가 제자리에 있으면, 제2 바늘(13)의 팁(15)(및 제2 바늘(13) 내의 전극 리드(3))은 신경에 인접하게 위치되고, 제1 바늘(12)의 팁(14)(및 제1 바늘(12) 내의 임플란트 하우징(2))은 피하 조직에 위치되며, 제2 바늘(13)은 도 5에 도시된 위치로 후퇴될 수 있다.
제2 바늘(13)은 잠금 메커니즘(17)을 잠금 해제하고 도 5에 도시된 후퇴 위치로 제2 바늘(13)을 슬라이드시키기 위해 핸들(11)에 대해 작동 탭(16)을 잡아당기는 것에 의해 후퇴된다. 작동 탭(16)은 환자에게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당겨진다. 제2 바늘(13)의 후퇴 동안, 핸들(11)과 제1 바늘(12)은 정지 상태를 유지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바늘(13)이 후퇴되면, 전극 리드(3)는 전개되어 주변 조직(및 신경)에 노출된다.
다음으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임플란트 전달 디바이스(10)가 환자로부터 인출되고, 임플란트 하우징(2)이 제1 바늘(12)로부터 전개된다. 이 예에서, 전극 리드(3)와 조직(도 2에서 근육(9) 참조) 사이의 마찰은 임플란트 전달 디바이스(10)가 인출됨에 따라서 의료용 임플란트(1)를 제자리에 홀딩하기에 충분하고, 이에 의해 임플란트 전달 디바이스(10)가 환자로부터 인출됨에 따라서 제1 바늘(12) 밖으로 임플란트 하우징(2)을 전개한다.
이후에 설명되는 다른 예에서, 임플란트 전달 디바이스(10)는 임플란트 하우징(2)을 제1 바늘(12) 밖으로 밀도록 구성된 전개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이후에 설명되는 일부 예에서, 임플란트 전달 디바이스(10)는 임플란트 하우징(2)을 제1 바늘(12) 및/또는 핸들(11)에 해제 가능하게 부착하도록 배열된 유지 부재를 가질 수 있고, 유지 부재는 제2 바늘(13)이 후퇴된 후, 그리고 제1 바늘(12)이 환자로부터 제거되기 전에 임플란트 하우징(2)을 해제할 수 있다.
도 7, 도 8a 및 도 8b는 제1 바늘(12) 및 제2 바늘(13)을 도시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전극 리드(3)는 제2 바늘(13)에 수용되고, 제2 바늘(13)은 제1 바늘(12)에서 임플란트 하우징(2)에 연결하기 위한 슬롯(18)을 포함한다. 슬롯(18)은 팁(15)으로부터 제2 바늘(13)을 따라서 부분적으로 연장된다. 슬롯(18)은 제2 바늘(13)의 전체 길이로 연장될 수 있다. 제2 바늘(13)은 덮개의 형태일 수 있다. 제1 바늘(12)은 임플란트 하우징(2)을 수용한다.
제1 바늘(12)은 경사 팁(14)을 포함하고, 제2 바늘은 경사 팁(15)을 포함한다. 경사 팁(14, 15)은 사용 동안 환자의 피부를 천공하고 조직을 관통하기 위해 날카롭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바늘(13)은 제1 바늘(12)의 루멘을 통해 연장된다. 특히, 도 8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바늘(12)은 주요 부분(19A) 및 보조 부분(19B)을 포함한다. 주요 및 보조 부분(19A, 19B)은 제1 바늘(12)이 단일 루멘을 가지도록 병합된다. 주요 및 보조 부분(19A, 19B)은 2개의 개별 부분(19A, 19B)을 한정하도록 형상화된다.
주요 부분(19A)은 임플란트 하우징(2)을 수용하도록 형상화된다. 특히, 주요 부분(19A)은 임플란트 하우징(2)을 수용하는 크기를 갖고, 임플란트 하우징(2)을 주요 부분(19A) 내에서 축 방향 정렬로 유지하는 실질적으로 원형 단면을 가진다.
보조 부분(19B)은 제2 바늘(13)을 수용하도록 형상화된다. 특히, 보조 부분(19B)은 제2 바늘(13)을 수용하는 크기이고, 제2 바늘(13)을 보조 부분(19B) 내에서 축 방향 정렬로 유지하는 실질적으로 원형 단면을 가진다.
예에서, 보조 부분(19B) 및 주요 부분(19A)은 각각 실질적으로 원형 단면을 갖고, 단면은 적어도 부분적으로 중첩된다. 이러한 예에서, 임플란트 하우징은 보조 부분(19B)에 있는 제2 바늘(13)의 존재에 의해 주요 부분(19A)의 한쪽 측면으로 밀려날 수 있다.
따라서, 제1 바늘(12)은 임플란트 하우징(2)과 제2 바늘(13)을 수용하고 제2 바늘(13)이 후퇴 위치를 향해 슬라이딩하는 것을 허용하도록 형상화된다. 제1 바늘(1)의 루멘 내의 제2 바늘(13)의 위치는 유익하게 제1 바늘(12)이 사용 동안 제2 바늘(13)에 의해 형성된 찔린 상처를 확대할 것임에 따라서 환자의 피부에서 형성되는 단 하나의 찔린 상처가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대안적인 예에서, 제2 바늘(13)은 제1 바늘(12)의 루멘을 통과하거나 통과하지 않는다. 대신에, 제2 바늘(13)은 핸들(11)의 다른 부분을 통해 연장될 수 있다.
도 9 내지 도 11은 예시적인 임플란트 전달 디바이스(10)를 도시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임플란트 전달 디바이스(10)는 도 3 내지 도 8b를 참조하여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으로 핸들(11), 제1 바늘(12) 및 제2 바늘(13)을 포함한다. 특히, 제1 바늘(12)은 핸들(11)에 고정되고, 제2 바늘(13)은 제1 바늘(12)의 단부를 지나 연장되는 연장 위치(도 9에 도시됨) 및 제2 바늘(13)이 핸들(11)을 향해 후퇴되어 전극 리드(3, 도 3 참조)를 해제하는 후퇴 위치(도 16d 참조)로부터 후퇴 가능하다.
도 9 및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바늘(13)은 핸들(11)을 통해 연장되고, 제2 바늘(13)의 부분(13a)은 작동 탭(16)에 부착된다.
또한 도 9에는 파지 탭(21)을 포함하는 임플란트 전개 부재(20)가 도시되어 있다. 이후에 추가로 설명되는 바와 같이, 임플란트 전개 부재(20)는 제1 바늘(12) 내로 슬라이딩하여 임플란트 하우징(2)을 제1 바늘(12) 밖으로 밀어내도록 배열된 튜브 또는 플런저의 형태일 수 있다.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핸들(11)은, 제1 바늘(12)이 장착되고 제2 바늘(13) 및 임플란트 전개 부재(20)가 통과하는 개구(22)를 포함한다.
도 12는 도 4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설명된 잠금 메커니즘(17)의 예를 도시한다. 잠금 메커니즘은 핸들(11) 및 제1 바늘(12)에 대한 제2 바늘(13)의 위치를 해제 가능하게 잠그도록 배열된다. 이 예에서, 잠금 메커니즘은 핸들(11) 상의 잠금 링(24)에 형성된 잠금 슬롯(23)을 포함한다. 잠금 링(24)은 핸들(11)의 일체형 부품이거나 핸들(11)에 부착될 수 있다. 잠금 슬롯(23)은 제2 바늘(13)의 일부, 특히 작동 탭(16)이 부착되는 제2 바늘(13)의 부분(13a)을 수용하도록 형상화된 L-슬롯 또는 J-슬롯일 수 있다. 부분(13a)은 슬롯에 들어갈 수 있고, 제2 바늘(13)의 회전(작동 탭(16)에 의한)은 부분(13a)을 잠금 슬롯(23)의 단부로 이동시키며, 이는 제2 바늘(13)의 축 방향 이동을 제한한다. 따라서, 제2 바늘(13)은 부분(13a)을 잠금 슬롯(23) 안팎으로 이동시키기 위해, 제2 바늘(13), 특히 작동 탭(16)을 회전시키는 것에 의해 잠금 위치와 잠금 해제 위치 사이에서 이동될 수 있다.
도 13a 및 도 13b는 제1 바늘(12)에서 임플란트 하우징(2)을 해제 가능하게 고정하도록 구성된 유지 부재의 예를 도시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이 예에서, 제1 바늘(12)은 임플란트 하우징(2, 도 7 참조)과 접촉하고 제1 바늘(12)에서 임플란트 하우징을 유지하도록 배열된 유지 탭(25)의 형태를 하는 유지 부재를 포함한다. 유지 탭(25)은, 유지 탭(25)의 위치에서 제1 바늘(12)의 내경을 좁히기 위해 안쪽으로 부분적으로 구부러진 유지 탭(25)을 형성하는 제1 바늘(12)에 있는 U-자 형상 절개부에 의해 형성된다.
일부 예에서, 임플란트 하우징(2)은 유지 탭(25)과 일치하도록 배열된 오목부를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예에서, 유지 탭(25)은 임플란트 하우징(2)의 측벽과 접촉한다.
유지 탭(25)은 임플란트 하우징(2)이 제1 바늘(12)으로부터 임플란트 하우징(2)을 전개하기 위해 상대적으로 낮은 힘으로 제1 바늘(12)으로부터 당겨질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따라서, 전극 리드(3)와 환자의 조직 사이의 마찰은 전술한 바와 같이 제2 바늘(13)을 후퇴시킨 후에 환자로부터 임플란트 전달 디바이스(10)를 당기는 것에 의해 극복될 유지 탭(25)의 유지력에 대해 충분한 유지력을 제공할 수 있다.
다른 예에서, 임플란트 전달 디바이스(10)는 도 1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임플란트 전개 부재(20)를 추가로 포함한다. 임플란트 전개 부재(20)는 핸들에 있는 개구(22)를 통해 제1 바늘(12) 안으로 연장된다. 여기로부터, 임플란트 전개 부재(20)는 임플란트 하우징(2)을 제1 바늘(12) 밖으로 밀어내는 플런저로서 기능할 수 있다. 임플란트 전개 부재(20)는 임플란트 전개 부재(20)의 작동을 위한 파지 탭(21)을 구비한다.
예에서, 임플란트 전개 부재(20)는 예를 들어 임플란트 전개 부재(20) 또는 파지 탭(21)의 회전에 의해 잠금 탭이 결합 해제될 때까지 임플란트 하우징(2)을 향한 임플란트 전개 부재(20)의 축 방향 이동을 방지하도록 배열된 잠금 탭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4a 내지 도 14c는 임플란트 하우징(2)을 제1 바늘(12)에 해제 가능하게 고정하도록 구성된 유지 부재의 다른 예를 도시한다. 이 예에서, 유지 부재는 핸들(11)을 통해, 특히 파지 탭(21)과 임플란트 하우징(2) 사이에서 임플란트 전개 부재(20)를 통해 연장되는 형상 기억 부재(26)를 포함한다.
도 1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임플란트 하우징(2)은 형상 기억 부재(26)의 단부가 제1 바늘(12)에 임플란트 하우징(2)을 홀딩하기 위해 걸리는 부착 지점(27), 예를 들어 구멍 또는 후크를 포함한다.
도 14c에 도시된 바와 같이, 후크(27)에 대한 형상 기억 부재(26)의 반대편 단부(26a)는 파지 탭(21)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장착된 작동 탭(28)에 부착된다. 따라서, 파지 탭(21)에 대해 작동 탭(28)을 이동시키는 것은 형상 기억 부재(26)를 당긴다. 작동 탭(28)을 당기는 것은 형상 기억 부재(26)의 단부에 있는 후크를 변형시키고, 부착 지점(27)으로부터 이를 분리하고, 이에 의해 임플란트 하우징(2)을 해제한다.
예에서, 형상 기억 부재(26)는 형상 기억 폴리머 또는 니티놀 바와 같은 형상 기억 합금을 포함한다. 다른 예에서, 형상 기억 부재(26)는 바이메탈 스트립, 스프링 와이어 또는 피아노 와이어를 포함할 수 있다. 형상 기억 부재(26)는 임플란트 하우징(2)의 부착 지점(27)과 맞물리는 후크형 단부를 가진다. 후크형 단부는 형상 기억으로서 형성될 수 있고, 작동 탭(28)이 부착 지점(27)으로부터 후크형 단부를 분리하기 위해 당겨질 때까지 임플란트 하우징(2)이 제1 바늘(12) 밖으로 이동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작용한다.
작동 탭(28)은 제1 바늘(12)로부터 임플란트 하우징(2)의 의도하지 않은 해제를 방지하기 위해 파지 탭(21)에 대해 해제 가능하게 잠길 수 있다.
형상 기억 부재(26)가 부착 지점(27)으로부터 분리되면, 임플란트 하우징(2)은 전극 리드(3)와 환자의 조직 사이의 마찰에 의해 제1 바늘(12) 밖으로 빼내질 수 있고, 및/또는 임플란트 전개 부재(20)는 전술한 바와 같이 플런저로서 작용할 수 있다.
도 15a 내지 도 15c는 임플란트 하우징(2)을 제1 바늘(12)에 해제 가능하게 고정하도록 구성된 유지 부재의 또 다른 예를 도시한다. 이 예에서, 유지 부재는 제1 바늘(12)에서 파지 탭(21)으로부터 임플란트 하우징(2)으로 연장되는 실(29)을 포함한다. 실(29)은 임플란트 하우징(2)의 부착 지점(27)을 통해 루핑되고, 양쪽 단부(29a, 29b)는 파지 탭(21)에 고정된다. 예를 들어, 단부(29a, 29b))는 서로 또는 파지 탭(21)의 일부에 묶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 단부(29a, 29b)는 단부(29a, 29b)가 쉽게 해제될 수 있도록 또는 실(29)의 일부에 쉽게 접근하여 절단될 수 있도록 파지 탭(21)에 고정된다.
따라서, 실(29)은 실(29)이 절단되거나 풀려서 실(29)이 제거되는 것을 허용할 때까지 제1 바늘(12)에서 임플란트 하우징(2)을 홀딩하도록 작용한다.
일단 임플란트 하우징(2)이 해제되었으면, 임플란트 하우징(2)은 전극 리드(3)와 환자의 조직 사이의 마찰에 의해 제1 바늘(12) 밖으로 빼내질 수 있고, 및/또는 임플란트 전개 부재(20)는 이전에 설명된 바와 같이 플런저로서 작용할 수 있다.
실은 Kevlar 실일 수 있다.
전술한 예에서, 제2 바늘(13)은 초기에 연장 위치에 있고, 제1 및 제2 바늘(12, 13)은 동시에 환자에게 위치될 수 있다. 도 16은 제2 바늘(13)이 초기에 후퇴 위치에 있는 대안적인 예를 도시한다. 이 예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작동 탭(4)은 핸들(11)로부터 연장된다. 후퇴 위치에서, 제2 바늘(13)은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바늘(12) 내에 있거나 또는 핸들(11) 내에서 제1 바늘(12) 옆에 있을 수 있다. 전극 리드(3)는 부분적으로 제2 바늘(13) 내에 있고 임플란트 하우징(2)과 제2 바늘(13) 사이에서 루핑된다.
사용 동안, 이후에 추가로 설명되는 바와 같이, 제1 바늘(12)은 도 16에 도시된 구성으로 임플란트 전달 디바이스(10)를 사용하여 환자에게 삽입되고, 그런 다음, 작동 탭(16)은 핸들(11) 쪽으로 밀려, 제1 바늘(12)을 넘어 제1 바늘(12)을 연장시키고 이 위치로 전극 리드(3)를 운반한다. 이 위치에서, 잠금 메커니즘(17)은 작동 탭(16)과 제2 바늘(13)이 제자리에서 잠기도록 맞물릴 수 있다.
일부 예에서, 임플란트 전달 디바이스(10)는 연장 위치에 있는 제2 바늘(13)과 함께 환자로부터 제거될 수 있고, 푸셔(상술한 바와 같은)는 의료용 임플란트(1)를 제1 및 제2 바늘(12, 13) 밖으로 압박하도록 제공될 수 있다. 다른 예에서, 연장된 후에, 제2 바늘(13)은 그런 다음 전극 리드(3)를 해제하기 위해 전술한 방식으로 핸들(11)로부터 멀어지게 작동 탭(16)을 당기는 것에 의해 후퇴될 수 있다.
도 17a 내지 도 17e는 의료용 임플란트(1)를 환자에게 전개하기 위해 임플란트 전개 디바이스(10)를 작동시키는 방법을 도시한다.
이러한 예에서, 임플란트 전달 디바이스(10)는 전술한 바와 같이 핸들(11), 임플란트 하우징(2)을 구비한 제1 바늘(12), 및 전극 리드(3)를 구비한 제2 바늘을 포함한다. 임플란트 전달 디바이스(10)는 또한 전술한 바와 같이 제2 바늘(13)을 후퇴시키기 위한 작동 탭(16), 및 임플란트 하우징(2)을 제1 바늘(12) 밖으로 밀기 위한 임플란트 전개 부재(20)를 포함한다.
도 17a 내지 도 17e의 임플란트 전달 디바이스(10)는 도 13a 내지 도 15c 중 어느 하나에 기술된 바와 같은 유지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명백해지는 바와 같이, 도 17a는 제2 바늘(13)이 초기에 후퇴 위치에 있는 도 16의 예와 관련되고, 도 17b 내지 도 17e는 도 3 내지 도 16의 모든 예와 관련된다.
도 17a는 초기 상태에 있는 임플란트 전달 디바이스(10)를 도시하며, 제2 바늘(13)은 도 16을 참조하여 기술된 바와 같이 후퇴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수술자는 환자의 피부를 통해 의료용 임플란트(1)를 전개하기 위한 위치로 제1 바늘(12)을 밀어낸다.
임플란트 전달 디바이스(10) 및 의료용 임플란트(1)는 사전 조립되어 일회용 유닛으로서 포장된다. 따라서, 수술자에게는 제1 및 제2 바늘(12, 13) 내에 이미 탑재된 의료용 임플란트(1)를 가지는 임플란트 전달 디바이스(10)가 제공된다.
그런 다음, 도 17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작동 탭(16)은 제2 바늘(13)을 제1 바늘(12)을 넘어 제2 깊이로 연장시키기 위해 핸들(11)을 향해 밀린다. 제2 바늘(13)은 전극 리드(3)를 운반한다. 수술자는 제2 바늘(13)을 신경(9) 쪽으로 안내하는 것을 돕기 위해 초음파 영상 디바이스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상태에서, 제1 바늘(12)은 환자의 조직 내의 적절한 깊이에 임플란트 하우징(2)을 위치시켰으며, 제2 바늘(13)은 환자의 조직 내의 적절한 깊이에 전극 리드(3)를 동시에 위치시켰다.
도 17b는 또한 초기 상태에 있는 도 3 내지 도 9의 임플란트 전달 디바이스(10)를 도시하고, 연장 위치에 있는 제2 바늘(13)은 전극 리드를 피복한다(도 17b에 도시되지 않음). 제2 바늘(13)은 예를 들어 도 12를 참조하여 설명된 잠금 슬롯(23)과 같은 잠금 메커니즘에 의해 핸들(11)에 잠긴다.
임플란트 전달 디바이스(10) 및 의료용 임플란트(1)는 사전 조립되어 일회용 유닛으로서 포장된다. 따라서, 수술자에게는 제1 및 제2 바늘(12, 13) 내로 이미 탑재된 의료용 임플란트(1)를 가지는 임플란트 전달 디바이스(10)가 제공된다.
이 상태에서, 수술자는 환자의 피부(5)를 통해 의료용 임플란트(1)를 전개하기 위한 위치로 제1 및 제2 바늘(12, 13)을 밀어넣는다. 수술자는 신경(9)을 향해 제2 바늘(13)을 안내하는 것을 돕도록 초음파 영상 디바이스를 사용할 수 있다.
도 17b에 도시된 적절한 위치에서, 제2 바늘(16)은 신경(9)에 근접한 근육 조직(8)에 있고, 임플란트 하우징(2)을 수용하는 제1 바늘(12)의 단부는 피하 조직(7)에 위치된다. 제1 및 제2 바늘(12, 13) 모두 표피(5) 및 진피(6)를 통과하였다. 제2 바늘(13)이 제1 바늘(12)의 루멘 내에 배열됨에 따라서, 표피(5) 및 진피(6)를 통과한 단일 천공만이 있다.
한 예에서, 제2 바늘(13)은 전극 리드 상의 전극(4, 도 1 참조)에 대응하는 하나 이상의 측면 개구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는 전극 리드의 위치가 제2 바늘(13)을 후퇴시키기 전에 테스트되는 것을 허용한다. 전극 리드가 신경(9)에 대해 정확한 위치에 있지 않다고 이러한 테스트가 나타내면, 임플란트 전달 디바이스(10)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제거될 수 있고, 제2 바늘(13)은 재위치될 수 있다.
일부 예에서, 도 26을 참조하여 추가로 설명되는 바와 같이, 제1 바늘(12)은 예를 들어 스테인리스강 또는 알루미늄과 같은 금속으로 만들어질 수 있다. 이러한 예에서, 제1 바늘(12)은 임플란트 하우징(2)이 제1 바늘(12) 내에 위치되는 동안 외부 디바이스와 임플란트 하우징(2) 사이의 무선 통신을 허용하기 위해 예를 들어 플라스틱 인서트 등에 의해 형성된 비전도성 윈도우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것은 전극 리드의 위치가 테스트되는 것을 가능하게 하고, 임플란트가 전개되기 전에 임플란트 하우징(2)에 제공된 전자 기기가 테스트되는 것을 또한 가능하게 한다.
도 17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음으로, 수술자는 제2 바늘(13)을 잠금 해제하고(예를 들어, 제2 바늘(13)을 회전시켜 도 12의 잠금 메커니즘을 해제하고), 작동 탭(16)을 환자로부터 멀리 후퇴시킨다. 이러한 것은 제2 바늘(13)을 제1 바늘(12) 내의 후퇴 위치로 이동시키고 전극 리드(3)를 해제한다.
한 예에서, 제2 바늘(13)은 전극(4, 도 1 참조)이 위치되는 전극 리드(3)의 단부만을 노출시키기 위해 부분적으로만 후퇴된다. 이러한 부분적인 후퇴는 신경(9)에 대한 전극 리드(3)의 위치의 테스트를 허용한다. 전극 리드가 신경(9)에 대한 정확한 위치에 있지 않다는 것을 이러한 테스트가 나타내면, 제2 바늘(13)은 다시 뒤로 밀려 전극 리드(3)를 다시 피복하고, 임플란트 전달 디바이스(10)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제거될 수 있고, 제2 바늘(13)은 재위치될 수 있다.
전극 리드(3)의 위치가 정확하면, 제2 바늘(13)은 완전히 후퇴되어 전극 리드(3)를 해제한다.
다음으로, 도 17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임플란트 하우징(2)은 제1 바늘(12)로부터 해제되고 전개된다. 특히, 임플란트 전달 디바이스(10)가 도 13a 내지 도 15c 중 임의의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은 유지 부재를 포함하면, 유지 부재는 임플란트 하우징(2)를 해제하도록 해제된다.
일부 예에서, 전극 리드(3)와 조직, 특히 근육(8) 사이의 마찰은 임플란트 전달 디바이스(10)가 바늘(12)로부터 인출될 때 임플란트 하우징(2)을 제1 바늘(12) 밖으로 당기기에 충분한 유지력을 제공한다.
다른 예에서, 도 17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임플란트 전개 부재(20)(및 파지 탭(21))는 임플란트 하우징(2)을 제1 바늘(12) 밖으로 밀어내도록 핸들(11)을 향해 밀린다. 임플란트 전개 부재(20)는 전극 리드(3)를 당기거나 밀지 않고 임플란트 하우징(2)을 전개하기 위해 핸들(11)을 피부(5)로부터 멀어지게 이동시키는 동시에 핸들(11)을 향해 밀릴 수 있다.
따라서, 의료용 임플란트(1)는 도 17e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개되고, 임플란트 전달 디바이스(10)는 환자로부터 제거될 수 있다.
도 18a 내지 도 21b는 이전에 기술된 바와 같이, 대안적인 예의 임플란트 전달 디바이스(10)를 도시한다. 이 예에서, 임플란트 전달 디바이스(10)는 핸들(11), 임플란트 하우징(2)을 홀딩하는 제1 바늘(12), 및 전극 리드(3)를 홀딩하는 제2 바늘(13)을 포함한다. 이 예에서, 작동 탭(16)은 제2 바늘(13)을 후퇴시키기 위해 핸들(11)과 환자 쪽으로 밀리도록 배열된다.
특히, 도시된 바와 같이, 임플란트 전달 디바이스(10)는 환자로부터 멀어지는 제2 바늘(13)의 후퇴로, 환자를 향한 작동 탭(16)의 이동을 변환하기 위한 랙 및 피니언 메커니즘을 가진다. 도시된 바와 같이, 랙 및 피니언 메커니즘은 제2 바늘(13)에 부착되거나 그 일부로서 형성된 제1 랙 부분(30A)을 포함한다. 랙 및 피니언 메커니즘은 작동 탭(16)에 부착되거나 그 일부로서 형성된 제2 랙 부분(30B)을 또한 포함한다. 피니언 기어(31)는 핸들(11) 내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고, 제1 및 제2 랙 부분(30A, 30B) 모두와 맞물린다. 피니언 기어(31)는 제1 바늘(12) 내에 또는 도시된 바와 같이 하우징(11) 내의 제1 바늘(12)의 단부 뒤에 장착될 수 있다. 따라서, 도 18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작동 탭(16)이 환자를 향해 밀림에 따라서, 랙 및 피니언 메커니즘은 전극 리드(3)를 해제하기 위해 제2 바늘(13)이 환자로부터 후퇴되게 한다.
유리하게, 작동 탭(16)을 당기는 것보다 작동 탭(16)을 미는 것이 임플란트 전달 디바이스(10)의 한 손 조작을 허용할 수 있다.
또한, 작동 탭(16)을 환자 쪽으로 미는 것은 도 22a 및 도 22b를 참조하여 이하에서 더 상세히 설명되는 바와 같이 제1 바늘(12)로부터 임플란트 하우징(2)을 해제할 수 있다.
도 19 내지 도 21b는 도 18a 및 도 18b를 참조하여 설명된 푸시 작동 탭(16)과 랙 및 피니언 메커니즘을 가지는 예시적인 임플란트 전달 디바이스(10)를 도시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임플란트 전달 디바이스(10)는 핸들(11), 제1 바늘(12) 및 제2 바늘(13)을 가지는 도 9의 예와 유사하다. 이 예에서, 도 20에 보다 명백하게 도시된 바와 같이, 안내 부재(32)는 핸들(11)로부터, 환자에게서 멀어지는 방향으로(바늘(12, 13) 반대 방향으로) 연장된다. 안내 부재(32)는 핸들(11)에 고정된다. 작동 탭(16) 및 제2 랙 부분(30B)은 전술한 바와 같이 제2 바늘(13)의 후퇴를 위해 핸들(11)을 향해 안내 부재(32)를 따라서 슬라이딩 가능하다.
또한 도 2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잠금 메커니즘(17)은 작동 탭(16)을 안내 부재(32)에 잠그기 위해 제공된다. 잠금 메커니즘(17)은 제1 및 제2 바늘(12, 13)이 서로 잠겨진 상태에서 제1 및 제2 바늘(12, 13)이 환자에게 삽입되는 것을 허용하도록 작동 탭(16)(및 제2 랙 부분(30B))을 안내 부재(32)에, 그러므로 또한 핸들(11)에 잠근다.
일단 제1 및 제2 바늘(12, 13)이 환자에게 위치되면, 잠금 메커니즘(17)은 작동 탭(16) 및 제2 랙 부재(30B)를 해제하도록 분리되어, 안내 부재(32)를 따라서 핸들(11)을 향해 슬라이딩하여 제2 바늘(13)을 후퇴시킬 수 있다.
도 2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 예에서, 잠금 메커니즘(17)은, 작동 탭(16)에 장착되고 안내 부재(32) 상의 대응하는 구멍(34)과 맞물리도록 배열된 스프링 장착 핀(33)을 포함한다. 스프링(38)은 핀(33)을 구멍(34) 내로 압박한다. 버튼(35)은 사용자에 의해 조작되어, 구멍(34)으로부터 핀(33)을 분리하고, 이에 의해 안내 부재(32)를 따라서 이동시키기기 위해 작동 탭(16)을 해제할 수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버튼(35) 및 핀(33)은 버튼(35)이 눌려질 때 핀(33)을 구멍(34) 밖으로 이동시키는 반대로 향하는 각진 표면(37a, 37b)을 가진다. 버튼(35)은 제2 바늘(13)을 후퇴시키기 위해 작동 탭(16)이 이동되는 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환자를 향해 눌리도록 배열된다. 이러한 방식으로, 사용자는 버튼(35)을 누르고, 제2 바늘(13)을 후퇴시키는 한 번의 이동으로 핸들(11) 쪽으로 작동 탭(16)을 밀 수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안내 부재(32)는 구멍(34)과 핸들(11) 사이에 배치된 하나 이상의 중간 구멍(36a, 36b)을 포함하여, 작동 탭(16)이 상이한 위치들에서 안내 부재(32)에 잠기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예에서, 제1 중간 구멍(36a)은 전극 리드를 해제하기 위해 제2 바늘(13)이 인출되는 작동 탭(16)의 위치에 대응할 수 있다. 예에서, 이하에서 더 설명되는 바와 같이, 제2 중간 구멍(36b)은 해제 메커니즘이 임플란트 하우징을 해제한 작동 탭(16)의 위치에 대응할 수 있다.
도 21a 및 도 21b는 도 18a 내지 도 20에 도시된 것과 유사한 예시적인 임플란트 전달 디바이스(10)를 도시한다. 이 예에서, 임플란트 전달 디바이스(10)는 핸들(11), 임플란트 하우징(2)을 홀딩하는 제1 바늘(12), 전극 리드(3)를 홀딩하는 바늘(13), 및 제2 바늘(13)을 후퇴시키기 위해 핸들(11) 및 환자 쪽으로 밀리도록 배열된 작동 탭(16)을 포함한다. 임플란트 전달 디바이스(10)는 도 18a 내지 도 20을 참조하여 설명된 것과 동일한 방식으로 작동 탭(16)의 이동을 제2 바늘(13)의 이동으로 변환하는 랙 및 피니언 메커니즘을 가진다.
도 21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 예에서, 제2 바늘(13)은 초기에 후퇴 위치에 있다. 후퇴 위치는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바늘(12) 내에 있거나 핸들(11) 내에서 제1 바늘(12) 옆에 있을 수 있다. 전극 리드(3)는 부분적으로 제2 바늘(13) 내에 있고, 임플란트 하우징(2)과 제2 바늘(13) 사이에서 루핑된다. 이 위치에서, 잠금 메커니즘은 핀(33, 도 20 참조)이 제1 중간 구멍(36a, 도 20 참조)에 있도록 맞물린다.
사용 동안, 이후에 추가로 설명되는 바와 같이, 제1 바늘(12)은 도 21a에 도시된 구성으로 임플란트 전달 디바이스(10)를 사용하여 환자에게 삽입되고, 그런 다음, 작동 탭(16)은 핸들(11)로부터 멀어지게 후퇴되어, 제1 바늘(12)을 넘어 제2 바늘(13)을 연장시키고 전극 리드(3)를 제자리로 운반한다. 이 위치에서, 잠금 메커니즘은 핀(33, 도 20 참조)이 구멍(34, 도 20 참조)에 있도록 맞물린다. 제2 바늘(13)은 그런 다음 전극 리드(3)를 해제하기 위해 전술한 방식으로 작동 탭(16)을 핸들(11) 쪽으로 미는 것에 의해 후퇴된다.
도 18a 내지 도 20의 예에서와 같이, 도 21a 및 도 21b의 임플란트 전달 디바이스는 제1 바늘(12)로부터 임플란트 하우징(2)을 해제하기 위한 해제 메커니즘을 가질 수 있다.
도 22a 및 도 22b는 도 18 내지 도 21b의 임플란트 전달 디바이스(10)의 예시적인 해제 메커니즘(39)을 도시한다. 해제 메커니즘(39)은 제1 바늘(도 21a 및 도 21b에 도시되지 않음) 내에 임플란트 하우징(2)을 홀딩하고, 임플란트 하우징(2)을 해제하도록 작동 가능하여서, 전달 디바이스는 제거되어 임플란트(1)를 제자리에 남길 수 있다. 도 22a는, 임플란트 하우징(2)과 맞물리고 임플란트 하우징(2)을 제1 바늘 내에서 유지하는 해제 메커니즘(39)을 도시하고, 도 22b는 임플란트 하우징(2)이 해제되는 작동 후에 해제 메커니즘(39)을 도시한다. 해제 메커니즘(39)은 적어도 부분적으로 제1 바늘 내에 수용된다.
도시된 바와 같이, 해제 메커니즘(39)은 유지 부재, 이 예에서 클램핑 캡(40)을 포함한다. 클램핑 캡(40)은, 임플란트 하우징(2)의 단부 상으로 밀려 임플란트 하우징(2)에 클램핑될 수 있는 테이퍼형 오목부(41)를 가진다. 도 22a에 도시된 위치에서, 임플란트 하우징(2)은 클램핑 캡(40)에 부착되고, 이에 의해 제1 바늘 및 전달 디바이스 내에 임플란트 하우징(2)을 홀딩한다.
클램핑 캡(40)은 도 22b에 도시된 분리 위치로 이동 가능하며, 여기에서 클램핑 캡(40)은 임플란트 하우징(2)으로부터 분리되어 임플란트 하우징(2)을 해제하여서, 전달 디바이스(10)는 제거되어 임플란트를 제자리에 남길 수 있다. 설명된 바와 같이, 해제 메커니즘(39)은 작동 탭(16, 도 18 내지 도 21b 참조)의 이동에 의해 작동된다.
도 22a 및 도 2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클램핑 캡(40)은, 테이퍼형 오목부(41)로부터 멀리 연장되고 핀(44)을 통해 액추에이터 부재(43)에 부착되는 돌출부(42)를 추가로 포함한다. 액추에이터 부재(43)는 임플란트 하우징(2)으로부터 클램핑 캡(40)을 당기기 위해 임플란트 하우징(2)으로부터 멀어지게 축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작동 가능하다. 액추에이터 부재(43)의 이동은 전달 디바이스의 핸들(11)의 일부에 형성된 슬롯(46)을 통해 액추에이터 부재(43)로부터 연장되는 핀(45)에 의해 제한된다. 슬롯(46)은 해제 메커니즘(39)이 작동되기 전에 핀(45)이 위치되는 노치(46a)를 가진다. 스프링(47)은 제1 바늘에 고정된 앵커(50)와 액추에이터 부재(43) 사이에서 작용하여, 임플란트 하우징(2)으로부터 멀어지게 축 방향으로 액추에이터 부재(43)를 압박한다. 노치(46a)는 스프링(47)의 힘에 대항하여 축 방향으로 액추에이터 부재(43)를 유지한다. 이 위치에서, 도 2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해제 메커니즘(39)은 스프링 부하를 받는다.
작동 탭(16, 도 20 참조)이 핸들(11) 내로 이동함에 따라서, 작동 탭의 원위 단부(48)는 해제 메커니즘(39)에 접근하여 핀(45)과 맞물린다. 특히, 작동 탭(16)의 원위 단부(48)는 도 18a, 도 18b, 도 20, 도 21a 및 도 21b에 도시된 제2 랙부(30B) 상에 형성될 수 있다. 원위 단부(48)는 원위 단부(48)와 핀(45) 사이의 맞물림이 도 2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노치(46a) 밖으로 그리고 슬롯(46)의 축 방향 연장부(46b) 내로 핀(45)을 옆으로 밀도록 각이 진다. 이러한 것은 스프링의 힘 하에서 임플란트 하우징(2)으로부터 멀어지게 이동하도록 액추에이터 부재(43) 및 클램핑 부재(40)를 해제하고, 이에 의해 도 2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테이퍼형 오목부(41)를 임플란트 하우징(2)으로부터 분리한다.
도 22a 및 도 2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푸셔(49)는 클램핑 부재(40)가 이동됨에 따라서 임플란트 하우징(2)이 이동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제공된다. 특히, 푸셔(49)는 앵커(50)로부터 연장되고, 임플란트 하우징(2)의 단부와 맞물리도록 클램핑 부재(40)의 개구를 통과한다. 따라서, 클램핑 부재(40)가 스프링(47)에 의해 이동할 때, 임플란트 하우징(2)은 제자리에서 홀딩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해제 메커니즘(39)은 원위 단부(48)가 핀(45)을 슬롯(46) 밖으로 이동시킬 때까지 핸들(11) 내로의 작동 탭(16, 도 20 참조)의 이동에 의해 작동 가능하고, 이에 의해 스프링(47)이 액추에이터 부재(43) 및 클램핑 부재(40)를 이동시키고 임플란트 하우징(2)을 해제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제2 바늘이 인출된 후의 지점에서 해제 메커니즘(39)이 이러한 방식으로 작동된다는 것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도 18a 내지 도 20, 도 22a 및 도 22b의 실시예는 사용 동안 핸들(11) 쪽으로 밀리는 작동 탭(16)을 가지는 임플란트 전달 디바이스(10)를 제공한다. 작동 탭(16)의 이동의 제1 단계에서, 제2 바늘(13)은 후퇴되어 전극 리드(3)를 해제한다. 작동 탭(16)의 이동의 후속 제2 단계에서, 해제 메커니즘은 제1 바늘(12)로부터 임플란트 하우징(2)을 해제하도록 작동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초기에 전극 리드(3)를 해제하고, 그런 다음 임플란트 하우징(2)을 해제하기 위해 핸들(11) 쪽으로 작동 탭(16)을 미는 것에 의해 한 손으로 임플란트 전달 디바이스(10)를 작동시킬 수 있다. 임플란트 하우징(2)이 해제되었으면, 임플란트 전달 디바이스(10)는 환자로부터 제거될 수 있다.
유사하게, 도 21a 내지 도 22b는 초기에 제2 바늘(13)을 연장시키기 위해 작동 탭(16)이 핸들(11)로부터 멀리 당겨지고, 그런 다음 작동 탭(16)이 도 18a 내지 도 20 및 도 22a 및 도 22b의 예에 대해 위에서 기술된 것과 동일한 방식으로 제1 및 제2 단계를 통해 핸들(11)을 향해 밀리는 임플란트 전달 디바이스(10)를 제공한다.
도 23a 내지 도 23e는 의료용 임플란트(1)를 환자에게 전개하기 위해 도 18a 내지 도 22b의 임플란트 전달 디바이스(10)를 작동시키는 방법을 도시한다. 명백해지는 바와 같이, 도 23a는 도 22a 및 도 22b의 예에 관련되고, 도 23b 내지 도 23e는 도 18a 내지 도 22b의 모든 실시예에 관련된다.
도 23a는 초기 상태에 있는 도 22a 및 도 22b의 임플란트 전달 디바이스(10)를 도시하고, 제2 바늘(13)은 도 22a에 또한 도시된 바와 같이 후퇴 위치에 있다. 이 상태에서, 수술자는 환자의 피부(5)를 통해 의료용 임플란트(1)를 전개하기 위한 위치로 제1 바늘(12)을 민다.
그런 다음, 도 2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작동 탭(16)은 제2 바늘(13)을 제1 바늘(12)을 넘어 제2 깊이까지 연장시키기 위해 핸들(11)로부터 멀어지게 후퇴된다. 제2 바늘(13)은 도 2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극 리드(3)를 운반한다. 이 상태에서, 제1 바늘(12)은 환자의 조직 내의 적절한 깊이에 임플란트 하우징(2)을 위치시켰고, 동시에 제2 바늘(13)은 환자의 조직 내의 적절한 깊이에 전극 리드(3)를 위치시켰다.
도 23b는 또한 전극 리드(도 23b에 도시되지 않음)를 피복하는 연장 위치에 있는 제2 바늘(13)을 가지는 도 18a 내지 도 20의 임플란트 전달 디바이스의 초기 상태를 도시한다. 제2 바늘(13)은 도 20에 도시된 잠금 메커니즘에 의해 핸들(11)에 잠긴다.
이 상태에서, 수술자는 제1 및 제2 바늘(12, 13)을 환자의 피부(5)를 통해 의료용 임플란트(1)를 전개하기 위한 위치로 민다. 수술자는 신경(9)을 향해 제2 바늘(13)을 안내하는 것을 돕도록 초음파 영상 디바이스를 사용할 수 있다.
도 23b에 도시된 위치에서, 제2 바늘(16)은 신경(9)에 근접한 근육 조직(8)에 있고, 임플란트 하우징(2)을 수용하는 제1 바늘(12)의 단부는 피하 조직(7)에 위치된다. 제1 및 제2 바늘(12, 13)은 모두 표피(5) 및 진피(6)를 통과하였다. 제2 바늘(13)이 제1 바늘(12)의 루멘 내에 배열됨에 따라서, 표피(5) 및 진피(6)를 통한 단일 천공만이 존재한다.
한 예에서, 제2 바늘(13)은 전극 리드 상의 전극(4, 도 1 참조)에 대응하는 하나 이상의 측면 개구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는 전극 리드의 위치가 제2 바늘(13)을 후퇴시키기 전에 테스트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전극 리드가 신경(9)에 대해 정확한 위치에 있지 않다는 것을 이러한 테스트가 나타내면, 임플란트 전달 디바이스(10)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제거될 수 있고, 제2 바늘(13)은 재위치될 수 있다.
일부 예에서, 제1 바늘(12)은 예를 들어 스테인리스강 또는 알루미늄과 같은 금속으로 만들어질 수 있다. 이러한 예에서, 도 26을 참조하여 추가로 설명된 바와 같이, 제1 바늘(12)은 외부 디바이스와 임플란트 하우징(2) 사이의 무선 통신을 허용하기 위해 예를 들어 플라스틱 인서트 등에 의해 형성된 비전도성 윈도우를 포함할 수 있는 한편, 임플란트 하우징(2)은 제1 바늘(12) 내에 위치된다. 이것은 전극 리드의 위치가 테스트되는 것을 가능하게 하고, 또한 임플란트 하우징(2)에 제공된 전자 기기가 임플란트가 전개되기 전에 테스트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도 23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음의 수술자는 안내 부재(32)를 따라서 핸들(11)을 향해 이것들을 이동시키기 위해 버튼(35) 및 작동 탭(16)을 눌러 제2 바늘(13)을 후퇴시킨다. 작동 탭(16)이 안내 부재(32)를 따라서 이동함에 따라서, 랙 및 피니언 메커니즘은 제2 바늘(13)을 후퇴시키고 전극 리드(3)를 해제한다.
한 예에서, 제2 바늘(13)은 전극(4, 도 1 참조)이 위치되는 전극 리드(3)의 단부만을 노출시키기 위해 부분적으로만 후퇴된다. 이러한 부분적인 후퇴는 신경(9)에 대한 전극 리드(3)의 위치의 테스트를 허용한다. 전극 리드가 신경(9)에 대한 정확한 위치에 있지 않다는 것을 이러한 테스트가 나타내면, 제2 바늘(13)은 전극 리드(3)를 다시 피복하도록 다시 밀리고, 임플란트 전달 디바이스(10)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제거될 수 있고, 제2 바늘(13)은 재위치될 수 있다.
전극 리드(3)의 위치가 정확하면, 제2 바늘(13)은 완전히 후퇴되어 전극 리드(3)를 해제한다.
다음으로, 도 23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임플란트 하우징(2)은 제1 바늘(12)로부터 해제되어 전개된다. 일부 예에서, 도 22a 및 도 22b를 참조하여 설명된 바와 같이, 해제 메커니즘(39)은 임플란트 하우징(2)을 해제하도록 작동된다.
일부 예에서, 전극 리드(3)와 조직, 특히 근육(8) 사이의 마찰은 임플란트 전달 디바이스(10)가 환자로부터 인출될 때 임플란트 하우징(2)을 제1 바늘(12) 밖으로 당기기에 충분한 유지력을 제공한다.
따라서, 의료용 임플란트(1)는 도 23e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개되고, 임플란트 전달 디바이스(10)는 환자로부터 제거될 수 있다.
도 24는 대안적인 예의 제2 바늘(13)을 도시한다. 전술한 예에서, 제2 바늘(13)은 전극 리드(3)가 제2 바늘(13)의 루멘을 통해 연장되도록 전극 리드(3)가 수용되는 루멘을 가진다. 루멘은 덮개와 유사한 제2 바늘(13)의 측면을 통해 개방될 수 있다. 도 24의 예에서, 제2 바늘(13)은 제2 바늘(13)의 원위 단부(52)에 있는 부착 지점을 포함한다. 이 예에서, 부착 지점은 원위 단부(52)에서 제2 바늘(13) 내로 적어도 부분적으로 연장되는 구멍(51)을 포함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전극 리드(3)의 단부는 구멍(51)에 수용되어서, 전극 리드(3)는 제2 바늘(13)의 측면을 따라서 운반된다. 제2 바늘(13)의 원위 단부(52)는 또한 경사 팁(15)을 가진다. 전극 리드(3)의 단부는 구멍(51)에 수용되고, 굴곡부(53)를 통해 연장되며, 그런 다음 제2 바늘(13)의 측면을 따라서 제1 바늘(12, 도 3 참조)에 수용된 임플란트 하우징까지 연장된다. 경사 팁(15)은 환자의 피부와 조직을 천공하도록 작용하고, 전극 리드(3)의 단부를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조직 내의 적절한 깊이까지 운반한다. 그런 다음 제2 바늘(13)은 도 2 내지 도 23e를 참조하여 상술한 바와 같이 후퇴되어, 전극 리드(3)를 제자리에 둔다.
도 24에 도시된 예에서, 전극 리드(3)의 단부는 전극 리드(3)의 굽힘 때문에 제2 바늘(13)이 환자 안으로 밀려 들어감에 따라서 구멍(51)에서 홀딩된다. 제2 바늘(13)이 후퇴될 때, 전극 리드(3)의 단부는 구멍(51) 밖으로 슬라이딩되어, 제자리에 남는다.
일부 다른 예에서, 구멍(51)은 제2 바늘(13)의 반대쪽 단부까지 연장되고, 푸셔 또는 유체 압력이 적용되어 전극 리드(3)의 단부를 구멍(51) 밖으로 압박할 수 있다.
예시된 예에서, 제2 바늘(13)의 원위 단부(52)는 경사 팁(15)이 환자의 피부 및 조직을 천공하기 위해 더 완전히 노출되도록 굴곡부(53)를 수용하기 위해 배열된 노치(54)를 추가로 포함한다.
일부 예에서, 제2 바늘(13)은 대안적으로 원위 단부(52)에 근접한 제2 바늘(13)의 측면에 구멍을 가진다. 전극 리드(3)의 단부는 제2 바늘(13)의 측면에 있는 구멍에 수용되어, 위에서 설명된 것과 동일한 방식으로 작업한다. 추가의 유사한 예에서, 제2 바늘(13)은 전극 리드(3) 상의 정합 특징부, 예를 들어 볼을 수용하도록 형상화된 소켓을 포함할 수 있다. 전극 리드 상의 소켓 및 정합 특징부는 전극 리드를 부착 지점에서 제2 바늘(13)에 부착할 수 있다.
도 24의 예시적인 제2 바늘(13)이 임의의 이전 예의 예시적인 제2 바늘(13) 대신에 사용될 수 있음을 이해할 것이다.
일부 예에서, 도 2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바늘(12)의 팁(14)은 환자의 피부 및 조직을 관통하기 위한 예리한 돌출부(56)를 포함한다. 예리한 돌출부(56)를 가지는 제1 바늘(12)은 본 명세서에 기술된 임의의 예시적인 임플란트 전달 디바이스(10)에서 사용될 수 있다.
도 2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부 예에서, 제1 바늘(12)은 제1 바늘(12) 내의 임플란트 하우징(2)의 위치에 대응하는 윈도우(55)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바늘(12)은 바람직하게 금속, 예를 들어 강 또는 알루미늄이다. 윈도우(55)는 개방될 수 있고, 예를 들어 제1 바늘(13)의 일부를 제거하는 것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윈도우(55)는 인서트, 예를 들어 플라스틱 인서트를 포함할 수 있다. 윈도우(55)는 임플란트 하우징(2)과 외부 디바이스 사이의 무선 통신 및 전력을 허용하여, 환자에게 전개되는 동안 의료용 임플란트가 현장에서 테스트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요약하면, 환자에게 의료용 임플란트를 이식하기 위한 임플란트 전달 디바이스가 제공되며, 의료용 임플란트는 임플란트 하우징, 및 임플란트 하우징으로부터 연장되는 세장형 전극 리드를 포함한다. 임플란트 전달 디바이스는 핸들, 핸들에 고정되고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 바늘, 및 제1 바늘보다 높은 게이지를 가지는 제2 바늘을 포함한다. 제1 바늘은 의료용 임플란트의 임플란트 하우징을 수용하는데 적합한 루멘을 갖고, 제2 바늘은 의료용 임플란트의 세장형 전극 리드를 운반하는데 적합하다. 제2 바늘은 제2 바늘이 연장 위치와 후퇴된 위치 사이에서 이동 가능하도록 핸들에 후퇴 가능하게 장착된다. 연장 위치에서, 제2 바늘은 사용 동안 제1 바늘과 제2 바늘이 동시에 임플란트 하우징을 제1 깊이에 위치시키고 전극 리드를 제1 깊이보다 더 큰 제2 깊이에 위치시킬 수 있도록 길이 방향으로 제1 바늘을 넘어 연장된다. 후퇴 위치에서, 제2 바늘은 제2 바늘로부터 전극 리드를 해제하기 위해 핸들을 향해로 후퇴된다.
임플란트 전달 디바이스(10)를 사용하여 의료용 임플란트(1)를 이식하는 방법이 또한 제공된다. 방법은 신경(9)에 대해 의료용 임플란트(1)를 위치시키기 위해 환자에게 제1 및 제2 바늘(12, 13)을 위치시키는 단계, 전극 리드(3)를 해제하기 위해 제2 바늘(13)를 후퇴시키는 단계, 및 선택적으로 동시에 임플란트 하우징(2)을 전개하고 임플란트 전달 디바이스(10)를 제거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일부 예에서, 방법은 제1 바늘(12)로부터 임플란트 하우징(2)을 해제하기 위해 유지 부재를 해제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예에서, 방법은 제2 바늘(13)을 후퇴시키기 전에 핸들(11)로부터 제2 바늘(13)을 잠금 해제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예에서, 방법은 제2 바늘(13)을 부분적으로 후퇴시키는 단계, 신경(9)에 대한 전극 리드(3)의 위치를 테스트하는 단계, 그런 다음 필요하면 제2 바늘(13)을 후퇴시키고 의료용 임플란트(1)를 전개하기 전에 전극 리드(3)를 다시 피복하고 재위치시키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설명 및 청구범위 전반에 걸쳐, 단어 "포함하다" 및 "수용하다" 및 이들의 변형은 "포함하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는"을 의미하며, 이들은 다른 구성요소, 정수 또는 단계를 배제하려는 것이 아니다(그리고 배제하지 않는다). 본 명세서의 설명 및 청구범위 전체에 걸쳐, 단수형은 문맥에서 달리 요구하지 않는 한 복수형을 포함한다. 특히, 부정 관사가 사용되는 경우, 본 명세서는 문맥상 달리 요구하지 않는 한 복수형 및 단수형을 고려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특정 양태, 실시예 또는 예와 관련하여 설명된 특징부, 정수, 특성 또는 그룹은 호환되지 않는 한 본 명세서에서 설명된 임의의 다른 양태, 실시예 또는 예에 적용 가능한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명세서(첨부된 청구범위, 요약 및 도면을 포함함)에 개시된 모든 특징부 및/또는 그렇게 개시된 임의의 방법 또는 공정의 모든 단계는 이러한 특징부 및/또는 단계 중 적어도 일부가 상호 배타적인 조합을 제외하면 임의의 조합으로 조합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임의의 전술한 실시예의 세부 사항으로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은 본 명세서(첨부된 청구범위, 요약 및 도면 포함)에 개시된 특징부 중 임의의 신규한 것 또는 임의의 신규한 조합, 또는 그렇게 개시된 임의의 방법 또는 공정의 단계 중 임의의 신규한 것 또는 임의의 신규한 조합으로 확장된다.

Claims (28)

  1. 임플란트 하우징 및 상기 임플란트 하우징으로부터 연장되는 세장형 전극 리드를 포함하는 의료용 임플란트를 환자에게 이식하기 위한 임플란트 전달 디바이스로서,
    핸들,
    상기 핸들에 고정되고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며, 상기 의료용 임플란트의 임플란트 하우징을 수용하는데 적합한 루멘을 포함하는 제1 바늘, 및
    상기 제1 바늘보다 더 높은 게이지를 갖고, 상기 의료용 임플란트의 세장형 전극 리드를 운반하는데 적합한 제2 바늘을 포함하며, 상기 제2 바늘은,
    사용 동안 상기 제1 바늘과 상기 제2 바늘이 동시에 상기 임플란트 하우징을 제1 깊이에 위치시키고 상기 전극 리드를 상기 제1 깊이보다 더 깊은 제2 깊이에 위치시킬 수 있도록 상기 제2 바늘이 상기 길이 방향으로 상기 제1 바늘을 넘어 연장되는 연장 위치와,
    상기 제2 바늘로부터 상기 전극 리드를 해제하기 위하여 제2 바늘이 상기 핸들을 향해 후퇴하는 후퇴 위치 사이에서, 상기 제2 바늘이 이동 가능하도록 상기 핸들에 후퇴 가능하게 장착되는, 임플란트 전달 디바이스.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바늘은 상기 의료용 임플란트의 세장형 전극 리드를 수용하는데 적합한 루멘을 포함하는, 임플란트 전달 디바이스.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바늘은, 한쪽 측면을 따라서 연장되고 상기 루멘 내로 연장되는 슬롯을 포함하는, 임플란트 전달 디바이스.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바늘 및 상기 제2 바늘은 상기 전극 리드의 일부가 사용 동안 상기 제2 바늘의 루멘으로부터 상기 슬롯을 통해 상기 임플란트 하우징으로 연장되도록 비동심적으로 배열되는, 임플란트 전달 디바이스.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바늘은 상기 제2 바늘의 원위 단부에 또는 그 근처에 있는 부착 지점을 포함하고, 상기 부착 지점은 상기 세장형 전극 리드가 상기 제2 바늘의 측면을 따라서 운반되도록 상기 세장형 전극 리드에 부착되는데 적합한, 임플란트 전달 디바이스.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부착 지점은 상기 세장형 전극 리드의 단부를 수용하는데 적합한 구멍을 포함하는, 임플란트 전달 디바이스.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바늘은 상기 제1 바늘의 루멘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배치되는, 임플란트 전달 디바이스.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바늘의 루멘은 상기 임플란트 하우징을 수용하는데 적합한 주요 부분 및 상기 제2 바늘을 수용하는데 적합한 보조 부분을 포함하며, 상기 주요 부분 및 상기 보조 부분은 각각 부분적으로 원형 단면을 포함하는, 임플란트 전달 디바이스.
  9.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임플란트 하우징을 상기 제1 바늘의 루멘에 해제 가능하게 고정하는데 적합한 유지 부재를 추가로 포함하는, 임플란트 전달 디바이스.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유지 부재는, 상기 제1 바늘의 벽에 형성되고 상기 제1 바늘의 루멘에서 상기 임플란트 하우징과 맞물리는데 적합한 유지 탭을 포함하는, 임플란트 전달 디바이스.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임플란트 하우징은 예를 들어 구멍과 같은 부착 지점을 포함하며, 상기 유지 부재는 상기 핸들의 일부로부터 상기 임플란트 하우징의 부착 지점으로 연장되며, 상기 유지 부재는 상기 임플란트 하우징을 해제하기 위해 분리 가능한, 임플란트 전달 디바이스.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유지 부재는 상기 임플란트 하우징의 부착 지점을 통해 루핑되는 실을 포함하며, 상기 실은 상기 임플란트 하우징을 해제하기 위해 분할, 예를 들어 절단 또는 풀리는, 임플란트 전달 디바이스.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유지 부재는 상기 임플란트 하우징의 부착 지점과 맞물리는데 적합한 후크형 단부를 가지는 형상 기억 부재를 포함하며, 형상 기억 하우징의 반대편 단부는 상기 임플란트 하우징을 해제하도록 상기 후크형 단부를 변형시키기 위해 이동되도록 배열되는, 임플란트 전달 디바이스.
  14.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유지 부재는 상기 임플란트 하우징의 단부로 밀어 끼워맞춤(push-fit)되는데 적합한 클램핑 캡을 포함하는, 임플란트 전달 디바이스.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임플란트 하우징으로부터 상기 클램핑 캡을 분리하도록 작동 가능한 스프링 장착 해제 메커니즘을 추가로 포함하는, 임플란트 전달 디바이스.
  16. 제1항 내지 제1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핸들에 인접하게 배열된 작동 탭을 추가로 포함하며, 상기 작동 탭은 상기 후퇴 위치로 상기 제2 바늘을 이동시키기 위해 사용자에 의한 작동을 위해 구성되는, 임플란트 전달 디바이스.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연장 위치에서 상기 제2 바늘을 잠그는데 적합한 잠금 메커니즘을 추가로 포함하는, 임플란트 전달 디바이스.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잠금 메커니즘은 상기 핸들에 있는 잠금 슬롯을 포함하며, 상기 제2 바늘은, 상기 핸들에 대한 상기 제2 바늘의 하나의 회전 위치에서, 상기 제2 바늘이 상기 핸들에 대해 축 방향으로 잠기고, 상기 하우징에 대한 제2 바늘의 또 다른 회전 위치에서, 상기 제2 바늘이 상기 핸들에 대해 축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상기 잠금 슬롯과 맞물리는데 적합한, 임플란트 전달 디바이스.
  19. 제16항 내지 제1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작동 탭은 상기 제1 방향과 반대인 제2 방향으로 상기 제2 바늘을 이동시키기 위해 상기 제1 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임플란트 전달 디바이스.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작동 탭과 상기 제2 바늘 사이에 작동 가능하게 결합된 랙 및 피니언 메커니즘을 추가로 포함하는, 임플란트 전달 디바이스.
  21. 제16항 내지 제2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핸들은 안내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작동 탭은 상기 안내 부재를 따라서 이동 가능한, 임플란트 전달 디바이스.
  22.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임플란트 전달 디바이스는 상기 안내 부재를 따르는 위치에서 상기 작동 탭을 잠그도록 구성된 잠금 메커니즘을 추가로 포함하는, 임플란트 전달 디바이스.
  23.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잠금 메커니즘은 상기 안내 부재를 따르는 상기 작동 탭의 이동을 위해 상기 잠금 메커니즘을 해제하도록 배열된 버튼을 포함하는, 임플란트 전달 디바이스.
  24. 제16항 내지 제2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바늘의 루멘에서 상기 임플란트 하우징을 해제 가능하게 고정하는데 적합한 유지 부재를 추가로 포함하며, 상기 유지 부재는 상기 임플란트 하우징을 해제하기 위해 상기 작동 탭에 의해 작동되는, 임플란트 전달 디바이스.
  25. 제2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방향으로 제1 거리를 통한 상기 작동 탭의 이동은 상기 제2 바늘을 상기 후퇴 위치로 이동시키고, 상기 제1 방향으로 제2 거리를 통한 상기 작동 탭의 추가 이동은 상기 유지 부재를 작동시켜 상기 임플란트 하우징을 해제하는, 임플란트 전달 디바이스.
  26. 제24항 또는 제25항에 있어서, 상기 유지 부재는 상기 임플란트 하우징에 밀어 끼워맞춤되는데 적합한 클램핑 캡을 포함하고, 상기 임플란트 전달 디바이스는 상기 작동 탭에 의해 작동될 때 상기 임플란트 하우징으로부터 상기 클램핑 캡을 분리하도록 작동 가능한 스프링 장착 해제 메커니즘을 추가로 포함하는, 임플란트 전달 디바이스.
  27. 제1항 내지 제2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핸들에 인접한 곳으로부터 상기 제1 바늘의 루멘으로 연장되는 푸셔를 포함하는 임플란트 전개 부재를 추가로 포함하며, 상기 임플란트 전개 부재는 상기 임플란트 하우징을 상기 제1 바늘 밖으로 밀어내기 위해 상기 제1 바늘에 대해 슬라이딩 가능한, 임플란트 전달 디바이스.
  28. 제1항 내지 제2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바늘의 루멘에 배치된 임플란트 하우징 및 상기 임플란트 하우징으로부터 연장되고 상기 제2 바늘에 의해 운반되는 전극 리드를 포함하는 의료용 임플란트를 추가하는, 임플란트 전달 디바이스.
KR1020237022816A 2020-12-15 2021-12-15 임플란트 전달 디바이스 KR20230121782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EP20214028.1 2020-12-15
EP20214028.1A EP4014903B1 (en) 2020-12-15 2020-12-15 Implant delivery device
PCT/EP2021/085998 WO2022129234A1 (en) 2020-12-15 2021-12-15 Implant delivery devic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21782A true KR20230121782A (ko) 2023-08-21

Family

ID=739431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7022816A KR20230121782A (ko) 2020-12-15 2021-12-15 임플란트 전달 디바이스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EP (2) EP4014903B1 (ko)
JP (1) JP2023554511A (ko)
KR (1) KR20230121782A (ko)
CN (1) CN116669617A (ko)
AU (1) AU2021399072A1 (ko)
CA (1) CA3200601A1 (ko)
ES (1) ES2953725T3 (ko)
WO (1) WO2022129234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098786A1 (en) 2020-11-04 2022-05-12 Invicta Medical, Inc. Implantable electrodes with remote power delivery for treating sleep apnea, and associated systems and methods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949395B2 (en) * 1999-10-01 2011-05-24 Boston Scientific Neuromodulation Corporation Implantable microdevice with extended lead and remote electrode
US9668690B1 (en) * 2001-05-01 2017-06-06 Intrapace, Inc. Submucosal gastric implant device and method
US7840281B2 (en) * 2006-07-21 2010-11-23 Boston Scientific Scimed, Inc. Delivery of cardiac stimulation devices
US10758262B2 (en) * 2011-06-20 2020-09-01 Medtronic, Inc. Medical assemblies and methods for implantation of multiple medical leads through a single entry
EP3347085B1 (en) * 2015-09-11 2023-07-26 Nalu Medical, Inc. Apparatus for peripheral or spinal stimulation
EP3616748A1 (en) * 2018-08-27 2020-03-04 National University of Ireland, Galway Implantable neurostimulato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4014903A1 (en) 2022-06-22
EP4262589A1 (en) 2023-10-25
EP4014903B1 (en) 2023-07-19
ES2953725T3 (es) 2023-11-15
CA3200601A1 (en) 2022-06-23
CN116669617A (zh) 2023-08-29
WO2022129234A1 (en) 2022-06-23
JP2023554511A (ja) 2023-12-27
AU2021399072A1 (en) 2023-06-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278719B2 (en) Delivery of implantable neurostimulators
CN111093760B (zh) 带有可缩回固定套管的可植入医疗装置
EP3405252B1 (en) Interventional medical systems
US8478431B2 (en) Slidable fixation device for securing a medical implant
US8532790B2 (en) Slidable fixation device for securing a medical implant
EP2788073B1 (en) Introduction and anchoring tool for an implantable medical device element
EP1719540A2 (en) Lead insertion tool
US11439833B2 (en) Implant-delivery tool
US20150258332A1 (en) Tissue fixation and repair systems and methods
EP3219357A1 (en) System, method and tool for implanting peripheral nerve electrode cuff
KR20230121782A (ko) 임플란트 전달 디바이스
US20180199937A1 (en) Device and method for suturing
CN108348752A (zh) 部署装置及相关的组件和方法
US20210361405A1 (en) Implant insertion device and implant
WO2023242367A1 (en) Neural implant system and method
US20230405309A1 (en) Method of percutaneously implanting a medical implant and a delivery device for percutaneous delivery of a medical implant
US20230404619A1 (en) Method of percutaneously implanting a medical implant and a delivery device for percutaneous delivery of a medical implant
US20230405346A1 (en) Delivery device and method for percutaneously implanting a medical implant
US20230405310A1 (en) Delivery device and method for percutaneously implanting a medical implant
WO2022246007A1 (en) System and methods for minimally invasive removal of implanted devic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