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21495A - 가스 터빈 엔진의 배기 노즐 구조체 - Google Patents

가스 터빈 엔진의 배기 노즐 구조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21495A
KR20230121495A KR1020220018472A KR20220018472A KR20230121495A KR 20230121495 A KR20230121495 A KR 20230121495A KR 1020220018472 A KR1020220018472 A KR 1020220018472A KR 20220018472 A KR20220018472 A KR 20220018472A KR 20230121495 A KR20230121495 A KR 2023012149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lider
link
exhaust nozzle
flap
gas turbi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1847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허제열
Original Assignee
한화에어로스페이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화에어로스페이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화에어로스페이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2001847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121495A/ko
Publication of KR2023012149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2149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KJET-PROPULSION PLANTS
    • F02K1/00Plants characterised by the form or arrangement of the jet pipe or nozzle; Jet pipes or nozzles peculiar thereto
    • F02K1/06Varying effective area of jet pipe or nozzle
    • F02K1/12Varying effective area of jet pipe or nozzle by means of pivoted flap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DNON-POSITIVE DISPLACEMENT MACHINES OR ENGINES, e.g. STEAM TURBINES
    • F01D25/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not provided for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other groups
    • F01D25/30Exhaust heads, chambers, or the lik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5INDEXING SCHEMES RELATING TO ENGINES OR PUMPS IN VARIOUS SUBCLASSES OF CLASSES F01-F04
    • F05DINDEXING SCHEME FOR ASPECTS RELATING TO NON-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OR ENGINES, GAS-TURBINES OR JET-PROPULSION PLANTS
    • F05D2220/00Application
    • F05D2220/30Application in turbines
    • F05D2220/32Application in turbines in gas turbin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Supercharger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배기 노즐 하우징부와, 제1 플랩부와, 제1 슬라이더 가이드부와, 제1 슬라이더 링크부와, 제1 링크 부재와, 제1 로드부와, 제1 액추에이터부와, 제2 플랩부와, 제2 슬라이더 가이드부와, 제2 슬라이더 링크부와, 제2 링크 부재와, 제2 로드부와, 제2 액추에이터부와, 제1 회전축과 제2 회전축이 회동 가능하도록 설치되며 상기 배기 노즐 하우징부에 설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지지부를 포함하는 가스 터빈 엔진의 배기 노즐 구조체를 제공한다.

Description

가스 터빈 엔진의 배기 노즐 구조체{Exhaust nozzle structure for gas turbine engine}
본 발명은 가스 터빈 엔진의 배기 노즐 구조체에 대한 것이다.
가스 터빈 엔진의 배기 가스를 배출하는 배기 노즐은, 엔진의 성능에 영향을 줄 수 있는 중요한 부분이다.
특히, 가변 배기 노즐은 노즐 면적을 변화시켜 추력의 크기를 조절할 수 있고, 더 나아가 추력의 방향을 조절할 수 있는 배기 노즐도 다양하게 개발되고 있다.
등록특허공보 10-2182103호에는 배기 면적을 정밀하게 조정할 수 있는 가스 터빈 엔진용 가변 배기 노즐이 개시되어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개선된 배기 노즐 구조체를 구현하는 것을 주된 과제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배기 노즐 하우징부;와, 상기 배기 노즐 하우징부에 회동 가능하도록 설치된 제1 플랩부;와, 상기 제1 플랩부에 설치된 제1 슬라이더 가이드부;와, 상기 제1 슬라이더 가이드부에서 슬라이딩하는 제1 슬라이더 링크부;와, 상기 제1 슬라이더 링크부와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되고 제1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도록 설치된 제1 링크 부재;와, 상기 제1 링크 부재와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된 제1 로드부;와, 상기 제1 로드부를 움직이며, 상기 배기 노즐 하우징부에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된 제1 액추에이터부;와, 상기 제1 플랩부에 회동 가능하도록 설치된 제2 플랩부;와, 상기 제2 플랩부에 설치된 제2 슬라이더 가이드부;와, 상기 제2 슬라이더 가이드부에서 슬라이딩하는 제2 슬라이더 링크부;와, 상기 제2 슬라이더 링크부와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되고 제2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도록 설치된 제2 링크 부재;와, 상기 제2 링크 부재와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된 제2 로드부;와, 상기 제2 로드부를 움직이며, 상기 배기 노즐 하우징부에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된 제2 액추에이터부;와, 상기 제1 회전축과 상기 제2 회전축이 회동 가능하도록 설치되며, 상기 배기 노즐 하우징부에 설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지지부를 포함하는 가스 터빈 엔진의 배기 노즐 구조체를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 제1 슬라이더 링크부는, 압축 공기를 도입하는 제1 공기 유입부;와, 상기 제1 플랩부와 마주보는 부분에 형성되어 상기 제1 공기 유입부로 도입된 압축 공기를 배출하는 복수의 제1 배출 구멍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2 슬라이더 링크부는, 압축 공기를 도입하는 제2 공기 유입부;와, 상기 제2 플랩부와 마주보는 부분에 형성되어 상기 제2 공기 유입부로 도입된 압축 공기를 배출하는 복수의 제2 배출 구멍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가스 터빈 엔진의 배기 노즐 구조체는, 플랩부와의 연결을 슬라이더 링크부와 슬라이더 가이드부로 구성함으로써 플랩부의 움직임 제어를 용이하게 하여, 배기 노즐 구조체의 배기 면적 및 추력 방향의 조절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스 터빈 엔진의 배기 노즐 구조체의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배기 노즐 구조체의 상부 쪽 부분의 확대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스 터빈 엔진의 배기 노즐 구조체의 측면을 투시하여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스 터빈 엔진의 배기 노즐 구조체의 제1, 2 슬라이더 가이드부와 제1, 2 슬라이더 링크부의 일부를 절개하여 도시한 개략적인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스 터빈 엔진의 배기 노즐 구조체의 제1 링크 부재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스 터빈 엔진의 배기 노즐 구조체의 제2 링크 부재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또한, 본 명세서 및 도면에 있어서, 실질적으로 동일한 구성을 갖는 구성 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사용함으로써 중복 설명을 생략하며, 도면에는 이해를 돕기 위해 크기, 길이의 비율 등에서 과장된 부분이 존재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한편,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는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구성요소들은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스 터빈 엔진의 배기 노즐 구조체의 개략적인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배기 노즐 구조체의 상부 쪽 부분의 확대 사시도이다. 또한,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스 터빈 엔진의 배기 노즐 구조체의 측면을 투시하여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스 터빈 엔진의 배기 노즐 구조체의 제1, 2 슬라이더 가이드부와 제1, 2 슬라이더 링크부의 일부를 절개하여 도시한 개략적인 도면이다. 또한,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스 터빈 엔진의 배기 노즐 구조체의 제1 링크 부재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스 터빈 엔진의 배기 노즐 구조체의 제2 링크 부재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배기 노즐 구조체(100)는, 배기 노즐 하우징부(110), 제1 플랩부(121), 제1 슬라이더 가이드부(122), 제1 슬라이더 링크부(123), 제1 링크 부재(124), 제1 로드부(125), 제1 액추에이터부(126), 제2 플랩부(131), 제2 슬라이더 가이드부(132), 제2 슬라이더 링크부(133), 제2 링크 부재(134), 제2 로드부(135), 제2 액추에이터부(136), 지지부(140)를 포함한다.
배기 노즐 하우징부(110)는 배기 노즐의 프레임을 구성하며 애프터 버너 하우징부와 연결되어 구성될 수 있다.
배기 노즐 하우징부(110)는 액추에이터 설치부(111)를 포함하고 있는데, 액추에이터 설치부(111)는 제1 액추에이터부(126)와 제2 액추에이터부(136)를 힌지 구조(H)로 회동 가능하도록 지지한다.
제1 플랩부(121)는 상하로 한 쌍으로 설치되며 배기 노즐 하우징부(110)에 제1 힌지(121a)로 회동 가능하도록 설치되는데, 제1 플랩부(121)는 컨버전트 플랩(Convergent Flap)의 기능을 수행한다.
제1 슬라이더 가이드부(122)는 제1 플랩부(121)에 설치되며, 제1 슬라이더 링크부(123)의 슬라이딩 움직임을 가이드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슬라이더 링크부(123)는 제1 슬라이더 가이드부(122)의 레일부(R)의 하부 면을 따라 슬라이딩 운동을 수행한다. 제1 슬라이더 링크부(123)는 제1 링크 연결부(123a), 제1 링크 본체부(123b), 제1 공기 유입부(123c), 제1 배출 구멍(123d)를 포함한다.
제1 링크 연결부(123a)는 제1 링크 부재(124)와 힌지 구조(H)로 연결되는 부분이다.
제1 링크 본체부(123b)의 하부의 내부 공간(C)은 비어 있어 공기 유동 통로의 기능을 수행한다.
제1 공기 유입부(123c)는 내부 공간(C)으로 압축 공기를 도입한다. 제1 공기 유입부(123c)는 압축 공기를 공급하는 튜브(T)와 연결되어 있다.
복수개의 제1 배출 구멍(123d)은 제1 링크 본체부(123b)의 하면에 형성된다. 즉, 제1 배출 구멍(123d)은 제1 플랩부(121)와 마주보는 부분에 형성되고, 내부 공간(C)과 연통되어 있으므로, 내부 공간(C)의 압축 공기는 제1 배출 구멍(123d)을 통해 배출된다.
제1 슬라이더 링크부(123)의 이러한 구성에 의해, 튜브(T)를 통해 냉각 압축 공기가 제1 공기 유입부(123c)로 유입되고, 제1 공기 유입부(123c)로 유입된 냉각 압축 공기는 내부 공간(C)을 경유하여 제1 배출 구멍(123d)으로 배출된다. 그렇게 되면 배출되는 압축 공기에 의해 제1 링크 본체부(123b)의 하면과 제1 플랩부(121)가 냉각될 뿐만 아니라, 배출되는 압축 공기가 작용하는 힘에 의해 제1 슬라이더 링크부(123)의 슬라이딩 시 제1 플랩부(121)와의 마찰이 줄어들게 된다. 즉 제1 배출 구멍(123d)으로 배출되는 압축 공기에 의해 반작용력이 발생하여 제1 링크 본체부(123b)의 하면과 제1 플랩부(121) 사이의 간격이 유지되게 됨으로써, 슬라이딩 움직임 시 마찰력을 줄일 수 있게 된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제1 플랩부(121)에 3개의 제1 슬라이더 가이드부(122)가 소정의 간격을 두고 설치되며, 설치된 각각의 제1 슬라이더 가이드부(122)에 제1 슬라이더 링크부(123)가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설치되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 즉, 본 발명에 따르면 제1 플랩부(121)에 설치되는 제1 슬라이더 가이드부(122)의 개수에는 특별한 제한이 없다. 예를 들면 제1 플랩부(121)에 설치되는 제1 슬라이더 가이드부(122)의 개수는 1개, 2개, 4개, 5개 등이 될 수 있고, 각각의 제1 슬라이더 가이드부(122)에는 제1 슬라이더 링크부(123)가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설치될 수 있다.
한편, 제1 링크 부재(124)는 제1 슬라이더 링크부(123)와 회동 가능하도록 힌지 구조(H)로 연결되고 제1 회전축(C1)을 중심으로 회전하도록 설치된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링크 부재(124)는 로드 연결부(124a), 슬라이더 링크 연결부(124b), 제1 회전축(C1)을 포함한다.
제1 링크 부재(124)는 1개의 로드 연결부(124a), 3개의 슬라이더 링크 연결부(124b)를 포함하고 있으며, 로드 연결부(124a)와 슬라이더 링크 연결부(124b)는 제1 회전축(C1)에 연결 고정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제1 링크 부재(124)는 1개의 로드 연결부(124a), 3개의 슬라이더 링크 연결부(124b)를 포함하고 있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 즉, 본 발명에 따른 제1 링크 부재(124)의 구성에는 특별한 제한이 없다. 예를 들어 슬라이더 링크 연결부(124b)는 제1 슬라이더 링크부(123)의 개수에 따라 1개, 2개, 4개, 5개 등으로 구성될 수도 있다.
제1 회전축(C1)의 양 단부는 지지부(140)에 회동 가능하도록 설치된다. 이를 위해 제1 회전축(C1)의 양 단부의 회동 연결부에 축-베어링 구조가 사용될 수 있다.
한편, 제1 로드부(125)는 제1 링크 부재(124)의 로드 연결부(124a)와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된다.
제1 액추에이터부(126)는 제1 로드부(125)를 움직이며, 배기 노즐 하우징부(110)에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된다.
제1 액추에이터부(126)는 유압으로 구동되어 제1 로드부(125)의 직선 운동을 일으킨다.
본 실시예에 따른 제1 액추에이터부(126)는 유압으로 구동되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 즉, 본 발명에 따른 제1 액추에이터부의 구동 형식에는 특별한 제한이 없다. 예를 들어 본 발명에 따른 제1 액추에이터부는 공압, 리니어 액추에이터, 전기 모터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제1 액추에이터부(126)의 연결부(126a)는 배기 노즐 하우징부(110)의 액추에이터 설치부(111)에 회동 가능하도록 힌지 구조(H)로 연결된다.
한편, 제2 플랩부(131)는 상하로 한 쌍으로 설치되며 제1 플랩부(121)에 제2 힌지(131a)로 회동 가능하도록 설치되는데, 제2 플랩부(131)는 다이버전트 플랩(Divergent Flap)의 기능을 수행한다.
제2 슬라이더 가이드부(132)는 제2 플랩부(131)에 설치되며, 제2 슬라이더 링크부(133)의 슬라이딩 움직임을 가이드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슬라이더 링크부(133)는 제2 슬라이더 가이드부(132)의 레일부(R)의 하부면을 따라 슬라이딩한다. 제2 슬라이더 링크부(133)는 제2 링크 연결부(133a), 제2 링크 본체부(133b), 제2 공기 유입부(133c), 제2 배출 구멍(133d)을 포함한다. 제2 슬라이더 링크부(133)의 구성은 제1 슬라이더 링크부(123)의 구성과 대동소이하므로, 도 4에는 제1 슬라이더 링크부(123)와 제2 슬라이더 링크부(133)의 구성의 참조 번호를 함께 표시하였다.
제2 링크 연결부(133a)는 제2 링크 부재(134)와 힌지 구조(H)로 연결되는 부분이다.
제2 링크 본체부(133b)의 하부의 내부 공간(C)은 비어 있어 공기 유동 통로의 기능을 수행한다.
제2 공기 유입부(133c)는 내부 공간(C)으로 압축 공기를 도입한다. 제2 공기 유입부(133c)는 압축 공기를 공급하는 튜브(T)와 연결되어 있다.
복수개의 제2 배출 구멍(133d)은 제2 링크 본체부(133b)의 하면에 형성된다. 즉, 제2 배출 구멍(133d)은 제2 플랩부(131)와 마주보는 부분에 형성되고, 내부 공간(C)과 연통되어 있으므로, 내부 공간(C)의 압축 공기는 제2 배출 구멍(133d)을 통해 배출된다.
제2 슬라이더 링크부(133)의 이러한 구성에 의해, 튜브(T)를 통해 냉각 압축 공기가 제2 공기 유입부(133c)로 유입되고, 제2 공기 유입부(133c)로 유입된 냉각 압축 공기는 내부 공간(C)을 경유하여 제2 배출 구멍(133d)으로 배출된다. 그렇게 되면 배출되는 압축 공기에 의해 제2 링크 본체부(133b)의 하면과 제2 플랩부(131)가 냉각될 뿐만 아니라, 배출되는 압축 공기가 작용하는 힘에 의해 제2 슬라이더 링크부(133)의 슬라이딩 시 제2 플랩부(131)와의 마찰이 줄어들게 된다. 즉 제2 배출 구멍(133d)으로 배출되는 압축 공기에 의해 반작용력이 발생하여 제2 링크 본체부(133b)의 하면과 제2 플랩부(131) 사이의 간격이 유지되게 됨으로써, 슬라이딩 움직임 시 마찰력을 줄일 수 있게 된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제2 플랩부(131)에 3개의 제2 슬라이더 가이드부(132)가 소정의 간격을 두고 설치되며, 설치된 각각의 제2 슬라이더 가이드부(132)에 제2 슬라이더 링크부(133)가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설치되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 즉, 본 발명에 따르면 제2 플랩부(131)에 설치되는 제2 슬라이더 가이드부(132)의 개수에는 특별한 제한이 없다. 예를 들면 제2 플랩부(131)에 설치되는 제2 슬라이더 가이드부(132)의 개수는 1개, 2개, 4개, 5개 등이 될 수 있고, 각각의 제2 슬라이더 가이드부(132)에는 제2 슬라이더 링크부(133)가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설치될 수 있다.
한편, 제2 링크 부재(134)는 제2 슬라이더 링크부(133)와 회동 가능하도록 힌지 구조(H)로 연결되고 제2 회전축(C2)을 중심으로 회전하도록 설치된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링크 부재(134)는 로드 연결부(134a), 슬라이더 링크 연결부(134b), 제2 회전축(C2)을 포함한다.
제2 링크 부재(134)는 1개의 로드 연결부(134a), 3개의 슬라이더 링크 연결부(134b)를 포함하고 있으며, 로드 연결부(134a)와 슬라이더 링크 연결부(134b)는 제2 회전축(C2)에 연결 고정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제2 링크 부재(134)는 1개의 로드 연결부(134a), 3개의 슬라이더 링크 연결부(134b)를 포함하고 있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 즉, 본 발명에 따른 제2 링크 부재(134)의 구성에는 특별한 제한이 없다. 예를 들어 슬라이더 링크 연결부(134b)는 제2 슬라이더 링크부(133)의 개수에 따라 1개, 2개, 4개, 5개 등으로 구성될 수도 있다.
제2 회전축(C2)의 양 단부는 지지부(240)에 회동 가능하도록 설치된다. 이를 위해 제2 회전축(C2)의 양 단부의 회동 연결부에 축-베어링 구조가 사용될 수 있다.
한편, 제2 로드부(135)는 제2 링크 부재(134)의 로드 연결부(134a)와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된다.
제2 액추에이터부(136)는 제2 로드부(135)를 움직이며, 배기 노즐 하우징부(110)에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된다.
제2 액추에이터부(136)는 유압으로 구동되어 제2 로드부(135)의 직선 운동을 일으킨다.
본 실시예에 따른 제2 액추에이터부(136)는 유압으로 구동되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 즉, 본 발명에 따른 제2 액추에이터부의 구동 형식에는 특별한 제한이 없다. 예를 들어 본 발명에 따른 제2 액추에이터부는 공압, 리니어 액추에이터, 전기 모터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제2 액추에이터부(136)의 연결부(136a)는 배기 노즐 하우징부(110)의 액추에이터 설치부(111)에 회동 가능하도록 힌지 구조(H)로 연결된다.
한편, 지지부(140)는 적어도 하나가 배기 노즐 하우징부(110)에 설치되는데, 지지부(140)에는 제1 회전축(C1)과 제2 회전축(C2)이 회동 가능하도록 설치된다.
본 실시예에서 지지부(140)는 한 쌍으로 구성되며, 배기 노즐 하우징부(110)의 양측에 각각 대칭으로 배치된다.
이하,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본 실시예에 따른 배기 노즐 구조체(100)가 작동하는 모습을 설명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배기 노즐 구조체(100)는 가스 터빈 엔진에 적용된다. 따라서 가스 터빈 엔진이 적용된 장치(항공기, 발사체 등)의 제어부(미도시)로부터 신호를 받아 제1 액추에이터부(126)와 제2 액추에이터부(136)가 제어됨으로써, 배기 가스의 추력의 방향과 배기 면적이 조절된다.
제1 액추에이터부(126)가 작동하게 되면 제1 로드부(125)가 직선으로 움직이는데, 그에 따라 제1 링크 부재(124)가 제1 회전축(C1)을 중심으로 회전하게 된다. 그렇게 되면 제1 링크 부재(124)의 슬라이더 링크 연결부(124b)가 회전하게 되므로, 슬라이더 링크 연결부(124b)에 연결된 제1 슬라이더 링크부(123)가 제1 슬라이더 가이드부(122)에서 슬라이딩된다. 그러한 제1 슬라이더 링크부(123)의 슬라이딩 움직임이 일어나면 제1 플랩부(121)가 제1 힌지(121a)를 중심으로 회동하게 되고, 그렇게 되면 제1 플랩부(121)의 각도가 조절된다. 이 때, 제1 슬라이더 링크부(123)의 제1 슬라이더 가이드부(122)에서의 슬라이딩 작용을 위해 제1 배출 구멍(123d)으로 압축 공기가 배출되고 그에 의해 제1 링크 본체부(123b)의 하면과 제1 플랩부(121) 사이의 간격이 유지되므로, 슬라이딩 작용 시 마찰력을 줄일 수 있어 제어 작용이 원활히 이루어지게 될 뿐만 아니라, 배출되는 압축 공기에 의한 냉각 작용도 수행된다. 아울러 제1 슬라이더 링크부(123)의 그러한 슬라이딩 작용은, 고정 링크 구조에 비해 제1 플랩부(121)와 제2 플랩부(131)의 상호 운동에 의한 각도 재보정의 필요성이 현저히 줄어들게 된다.
또한 제2 액추에이터부(136)가 작동하게 되면 제2 로드부(135)가 직선으로 움직이는데, 그에 따라 제2 링크 부재(134)가 제2 회전축(C2)을 중심으로 회전하게 된다. 그렇게 되면 제2 링크 부재(134)의 슬라이더 링크 연결부(134b)가 회전하게 되므로, 슬라이더 링크 연결부(134b)에 연결된 제2 슬라이더 링크부(133)가 제2 슬라이더 가이드부(132)에서 슬라이딩된다. 그러한 제2 슬라이더 링크부(133)의 슬라이딩 움직임이 일어나면 제2 플랩부(131)가 제2 힌지(131a)를 중심으로 회동하게 되고, 그렇게 되면 제2 플랩부(131)의 각도가 조절된다. 이 때, 제2 슬라이더 링크부(123)의 제2 슬라이더 가이드부(132)에서의 슬라이딩 작용을 위해 제2 배출 구멍(133d)으로 압축 공기가 배출되고 그에 의해 제2 링크 본체부(133b)의 하면과 제2 플랩부(131) 사이의 간격이 유지되므로, 슬라이딩 작용 시 마찰력을 줄일 수 있어 제어 작용이 원활히 이루어지게 될 뿐만 아니라, 배출되는 압축 공기에 의한 냉각 작용도 수행된다. 아울러 제2 슬라이더 링크부(133)의 그러한 슬라이딩 작용은, 고정 링크 구조에 비해 제1 플랩부(121)와 제2 플랩부(131)의 상호 운동에 의한 각도 재보정의 필요성이 현저히 줄어들게 된다.
본 실시예의 경우에 제1 액추에이터부(126)와 제2 액추에이터부(136)는 상하로 각각 2개씩 배치되어 있고, 제1 플랩부(121)와 제2 플랩부(131)도 상하로 각각 2개씩 배치되어 있으므로, 가스 터빈 엔진이 적용된 장치(항공기, 발사체 등)의 제어부(미도시)는 상하 추력의 방향과 배기 면적을 용이하게 조정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은 본 실시예에 따른 배기 노즐 구조체(100)에 따르면, 가스 터빈 엔진의 상하 추력의 방향과 배기 면적을 용이하게 조정할 수 있으며, 제1, 2 슬라이더 링크부(123)(133)의 슬라이딩 작용에 의해 제1, 2 플랩부(121)(131)의 움직임 제어가 용이하다. 또한 제1, 2 슬라이더 링크부(123)(133)의 슬라이딩 작용을 위해 압축 공기가 제1, 2 배출 구멍(123d)(133d)으로 배출되므로 슬라이딩 작용 시 마찰력을 줄일 수 있어 제어 작용이 원활히 이루어지게 될 뿐만 아니라 압축 공기에 의한 냉각 작용도 수행하게 된다.
본 발명의 일 측면들은 첨부된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들을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보호 범위는 첨부된 청구 범위에 의해서만 정해져야 할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의하면, 배기 노즐 구조체를 제조하거나 이용하는 산업에 적용될 수 있다.
100: 배기 노즐 구조체 110: 배기 노즐 하우징부
121: 제1 플랩부 122: 제1 슬라이더 가이드부
123: 제1 슬라이더 링크부 124: 제1 링크 부재
125: 제1 로드부 126: 제1 액추에이터부
131: 제2 플랩부 132: 제2 슬라이더 가이드부
133: 제2 슬라이더 링크부 134: 제2 링크 부재
135: 제2 로드부 136: 제2 액추에이터부
140: 지지부

Claims (3)

  1. 배기 노즐 하우징부;
    상기 배기 노즐 하우징부에 회동 가능하도록 설치된 제1 플랩부;
    상기 제1 플랩부에 설치된 제1 슬라이더 가이드부;
    상기 제1 슬라이더 가이드부에서 슬라이딩하는 제1 슬라이더 링크부;
    상기 제1 슬라이더 링크부와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되고 제1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도록 설치된 제1 링크 부재;
    상기 제1 링크 부재와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된 제1 로드부;
    상기 제1 로드부를 움직이며, 상기 배기 노즐 하우징부에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된 제1 액추에이터부;
    상기 제1 플랩부에 회동 가능하도록 설치된 제2 플랩부;
    상기 제2 플랩부에 설치된 제2 슬라이더 가이드부;
    상기 제2 슬라이더 가이드부에서 슬라이딩하는 제2 슬라이더 링크부;
    상기 제2 슬라이더 링크부와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되고 제2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도록 설치된 제2 링크 부재;
    상기 제2 링크 부재와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된 제2 로드부;
    상기 제2 로드부를 움직이며, 상기 배기 노즐 하우징부에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된 제2 액추에이터부; 및
    상기 제1 회전축과 상기 제2 회전축이 회동 가능하도록 설치되며, 상기 배기 노즐 하우징부에 설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지지부를 포함하는, 가스 터빈 엔진의 배기 노즐 구조체.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슬라이더 링크부는,
    압축 공기를 도입하는 제1 공기 유입부; 및
    상기 제1 플랩부와 마주보는 부분에 형성되어 상기 제1 공기 유입부로 도입된 압축 공기를 배출하는 복수의 제1 배출 구멍을 포함하는, 가스 터빈 엔진의 배기 노즐 구조체.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슬라이더 링크부는,
    압축 공기를 도입하는 제2 공기 유입부; 및
    상기 제2 플랩부와 마주보는 부분에 형성되어 상기 제2 공기 유입부로 도입된 압축 공기를 배출하는 복수의 제2 배출 구멍을 포함하는, 가스 터빈 엔진의 배기 노즐 구조체.
KR1020220018472A 2022-02-11 2022-02-11 가스 터빈 엔진의 배기 노즐 구조체 KR2023012149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18472A KR20230121495A (ko) 2022-02-11 2022-02-11 가스 터빈 엔진의 배기 노즐 구조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18472A KR20230121495A (ko) 2022-02-11 2022-02-11 가스 터빈 엔진의 배기 노즐 구조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21495A true KR20230121495A (ko) 2023-08-18

Family

ID=878020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18472A KR20230121495A (ko) 2022-02-11 2022-02-11 가스 터빈 엔진의 배기 노즐 구조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121495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767294C (en) Craft and method for assembling craft with controlled spin
EP0331902A2 (en) Diffuser for a centrifugal compressor
EP1726813B1 (en) Axial divergent section slot nozzle
US11460047B2 (en) Throttle mechanism for centrifugal compressor and turbocharger
JP5951494B2 (ja) 独立制御を備えた可変ピッチステータ翼の段を有するタービンエンジン
EP2204549A2 (en) Variable position guide vane actuation system and method
KR960003684B1 (ko) 선택적 개스유동면적 조절용 베인 캐스케이드와 그 조절방법
JP4305518B2 (ja) チップタービン駆動ファン
EP1375826A1 (en) Radial turbine with guide vanes for reducing vibrations
CN1307172A (zh) 变容式涡轮机
US11891163B2 (en) Axial flow ducted fan with a movable section
EP1595059B1 (en) Turbine having a variable throat
KR20230121495A (ko) 가스 터빈 엔진의 배기 노즐 구조체
DE69918531T2 (de) Verstelleinrichtung für den Auslassquerschnitt einer konvergent-divergenten Schubdüse
CN100549365C (zh) 蒸汽阀
EP2904218B1 (en) Low compressor having variable vanes
JP2008196452A (ja) 可変容量型ターボチャージャ
EP3502483B1 (en) Supporting a turbomachine synchronising ring by vane levers
KR102311672B1 (ko) 컴프레서
JPH10299403A (ja) 可変容量形ラジアル式タービン
US5044553A (en) Sidewall deflection control for a two-dimensional nozzle
JP2021516745A (ja) 排気ガス過給機のための吸気流通部及び排気ガス過給機
CN214273825U (zh) 一种矢量喷管
CN215719133U (zh) 可调喷管装置
JP6642718B2 (ja) 可変容量型過給機