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21271A - 디지털 창작물 가치평가 시스템 - Google Patents

디지털 창작물 가치평가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21271A
KR20230121271A KR1020220017921A KR20220017921A KR20230121271A KR 20230121271 A KR20230121271 A KR 20230121271A KR 1020220017921 A KR1020220017921 A KR 1020220017921A KR 20220017921 A KR20220017921 A KR 20220017921A KR 20230121271 A KR20230121271 A KR 2023012127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gital
creator
valuation
creations
register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1792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민영
이강민
민정기
Original Assignee
이민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민영 filed Critical 이민영
Priority to KR102022001792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121271A/ko
Publication of KR2023012127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2127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6Buying, selling or leasing transactions
    • G06Q30/0601Electronic shopping [e-shopping]
    • G06Q30/0613Third-party assisted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01Market modelling; Market analysis; Collecting market data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78Product appraisal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83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18Legal services
    • G06Q50/184Intellectual property management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Finance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Marketing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conom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Technology Law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디지털 창작물의 가치를 평가하는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마켓 운영자 요청에 따라 고유 URL 정보를 가지는 온라인 마켓을 상기 거래 플랫폼 서버상에 개설해 주는 마켓 개설부와; 인증된 창작자 단말로부터 전송되는 디지털 창작물과 그 부가정보를 창작자가 지정한 온라인 마켓에 등록 게시하는 디지털 창작물 등록 게시부와; 상기 등록 게시된 디지털 창작물의 예술적 가치평가를 등록된 전문가 단말로 요청하는 전문가 평가 요청부와; 상기 등록 게시된 디지털 창작물에 대한 대중의 호응도 정보를 상기 온라인 마켓을 통해 수집하여 팬덤 기반의 대중성을 평가하는 대중성 평가부와; 상기 등록 게시된 디지털 창작물에 대한 예술적 가치평가 결과와 대중성 가치평가 결과에 기반하여 초기 거래 추정가를 산출해 상기 온라인 마켓에 등록 게시하는 가치평가 추정부;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디지털 창작물 가치평가 시스템{A system for evaluating the value of digital creations}
본 발명은 디지털 창작물의 가치를 평가하는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특히 팬덤에 기반하여 디지털 창작물의 가치를 평가하는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메타버스(Metaverse)는 초월을 의미하는 '메타(Meta)'와 세계를 의미하는 '유니버스(Universe)'의 합성어로, 가상과 현실이 융합된 공간에서 사람, 사물이 상호작용하며 경제, 사회, 문화적 가치를 창출하는 세계(플랫폼)로 이해할 수 있다.
메타버스는 데이터, 네트워크, 인공지능, 가상융합기술(XR), 디지털 트윈 등 정보통신기술(ICT)의 집약체로 ICT 생태계의 패러다임 변화를 불러올 새로운 웹 플랫폼으로 부상하고 있다.
ICT 산업은 새로운 기술의 출현과 새로운 가치 창출을 통해 기업이 성장하고 파괴적 혁신이 이뤄지며 발전해 왔다. 기술적으로는 5G 네트워크의 고도화, 디바이스의 대중화, 컴퓨팅 성능의 향상 등 전방위적으로 기술이 성숙해 가면서 메타버스 구현에 대한 기대감 역시 높아지고 있다.
사회적으로는 코로나로 인한 비대면 시대의 도래로 시공간 제약 없는 메타버스가 주목받기 시작했으며, 특히 디지털 네이티브 세대 중심으로 적극적인 소통과 현실을 뛰어넘는 자아실현의 수단으로 메타버스가 급부상하고 있다.
이러한 기술발전추세 및 사회적 추세에 따라 누구나 온라인, 특히 메타버스 상에서 자신을 표현하거나 자신의 재능을 표출하기 위한 창작물들을 공개하는 크리에이터가 되어 가고 있다. 이에 디지털 공간상에는 수많은 크리에이터들에 의해 창작된 창작물들이 공개되고 있으나, 이러한 디지털 창작물은 너무나 쉽게 복제되어 원본을 확인하기 어렵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기술로서 디지털 창작물의 원본성을 입증해 주는 NFT(Non-Fungible Token:대체불가토큰) 기술이 도입되어 사용되기에 이르렀다. NFT는 디지털 공간에 존재하는 파일이나, 예술품과 같은 디지털 자산들의 원본성을 입증하는 수단으로 활용되면서, 실물이 존재하지 않는 디지털 자산들에 경제적 가치를 부여해 주고 있다. 좋은 예로서, 전통 미술품 경매 거래소인 크리스티에서 디지털 작품이 약 700억 원에 거래된 사례가 있으며, NBA Top Shot 역시 25억 원에 거래된 사례가 있다.
그러나 현재의 디지털 창작물들에 대한 거래가격은 창작자, 구매자, 제3자 모두에게 있어 과연 합리적 가격으로 인정받을 수 있는가 하는 의구심을 자아낸다. 이는 누구나 동의할 수 있는 객관적인 가치평가기준으로 가격이 책정되지 않기 때문이다. 이에 디지털 창착물들이 거래되는 시장은 일부 거래 당사자들에 의해 가격이 왜곡될 소지가 많아 일반인들에게 있어 투기 시장으로 오인 받을 가능성이 크다. 이는 곧 디지털 창착물의 거래를 대중화하는데 있어 하나의 장애요인으로 작용할 수 있다.
이에 누구나 소액으로도 참여하기 쉽고, 보다 객관적인 가치평가기준을 적용하여 디지털 창작물에 대한 가격을 평가하여 줄 수 있는 새로운 개념의 시스템 도입이 절실히 요구되는 바이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20-0011853호
이에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안된 발명으로서, 본 발명의 주요 목적은 객관적인 가치평가기준을 적용하여 디지털 창작물에 대한 가치를 평가하여 줄 수 있는 디지털 창작물의 가치평가 시스템을 제공함에 있다.
더 나아가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객관적인 가치평가기준을 적용하여 디지털 창작물에 대한 가치를 평가하되, 창작분야의 전문성, 팬덤 기반의 대중성, 창작자의 작품 희소성, 거래 내역의 특이성 등을 종합 평가하여 디지털 창작물의 현재 가치를 객관적으로 평가해 줄 수 있는 시스템을 제공함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디지털 창작물의 대중성 평가에 기여한 참여자들에게 디지털 창작물에 대한 분할 소유권을 선택 제공해 줄 수 있는 디지털 창작물의 가치평가 시스템을 제공함에 있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창작물 가치평가 시스템은 디지털 창작물에 대한 NFT를 발급하는 블록체인 관리 서버와 정보 송수신 가능한 디지털 창작물 거래 플랫폼 서버에 설치되어 실행 가능한 응용 프로그램 코드 데이터의 집합체로서,
마켓 운영자 요청에 따라 고유 URL 정보를 가지는 온라인 마켓을 상기 거래 플랫폼 서버상에 개설해 주는 마켓 개설부와;
인증된 창작자 단말로부터 전송되는 디지털 창작물과 그 부가정보를 창작자가 지정한 온라인 마켓에 등록 게시하는 디지털 창작물 등록 게시부와;
상기 등록 게시된 디지털 창작물의 예술적 가치평가를 등록된 전문가 단말로 요청하는 전문가 평가 요청부와;
상기 등록 게시된 디지털 창작물에 대한 대중의 호응도 정보를 상기 온라인 마켓을 통해 수집하여 팬덤 기반의 대중성을 평가하는 대중성 평가부와;
상기 등록 게시된 디지털 창작물에 대한 예술적 가치평가 결과와 대중성 가치평가 결과에 기반하여 초기 거래 추정가를 산출해 상기 온라인 마켓에 등록 게시하는 가치평가 추정부;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구성을 포함하는 디지털 창작물 가치평가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가치평가 추정부는,
창작자의 경력 이력, 창작자의 디지털 창작물 등록 수, 창작자의 생존 여부를 포함하는 창작자 정보를 수집 평가한 창작자 가치평가 결과를 상기 초기 거래 추정가에 가산하여 산출함을 또 다른 특징으로 한다.
더 나아가 상술한 디지털 창작물 가치평가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가치평가 추정부는 판매 등록 게시되어 있는 디지털 창작물에 대한 거래 추정가 산출 요청에 응답하여 창작자의 경력 이력, 창작자의 디지털 창작물 등록 수, 창작자의 생존 여부를 포함하는 창작자 정보를 수집 평가한 창작자 가치평가 결과와, 상기 예술적 가치평가 결과 및 상기 대중성 가치평가 결과에 기반하여 현재의 거래 추정가를 산출해 제공함을 또 다른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가치평가 추정부는,
판매 등록 게시되어 있는 디지털 창작물에 대한 거래 추정가 산출 요청에 응답하여 창작자의 경력 이력, 창작자의 디지털 창작물 등록 수, 창작자의 생존 여부를 포함하는 창작자 정보를 수집 평가한 창작자 가치평가 결과와, 상기 예술적 가치평가 결과 및 상기 대중성 가치평가 결과에 기반하여 현재의 거래 추정가를 산출해 제공할 수도 있으며,
더 나아가 상기 가치평가 추정부는 판매 등록 게시되는 디지털 창작물의 소유권 정보 이력을 평가한 거래 내역의 특이성 가치평가 결과를 현재의 거래 추정가에 가산하여 제공할 수도 있다.
변형 가능한 또 다른 실시예로서, 상기 대중성 평가부는,
상기 온라인 마켓의 하나인 팬 마켓에 등록 게시된 디지털 창작물에 대한 팬들의 호응도 정보를 수집하여 팬덤 기반의 대중성을 평가하고, 상기 호응도 정보 생성에 기여한 팬에게 상기 등록 게시된 디지털 창작물의 소유권 지분 일부(분할 소유권)를 지급할 수도 있다.
상술한 기술적 과제 해결 수단에 따르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창작물 가치평가 시스템은 일반 창작자, 유명 연예인 등이 창작한 디지털 창작물에 대한 예술적 가치평가, 대중의 호응도에 따른 팬덤 기반의 대중성 가치평가, 더 나아가 창작자의 작품 희소성 가치평가, 거래 내역의 특이성 가치평가 기준을 적용함으로서, 거래 대상인 디지털 창작물에 대한 가치를 보다 객관적으로 평가할 수 있는 장점이 있으며, 이를 통해 창작물 구매자는 보다 합리적인 가격으로 디지털 창작물을 구매할 수 있는 장점이 있어, 누구나 편리하게 디지털 창작물 거래시장에 참여하여 디지털 창작물을 거래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창작물 거래 플랫폼 서버(200)의 주변 구성 예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한 디지털 창작물 거래 플랫폼 서버(200)에 설치되어 실행되는 디지털 창작물 가치평가 시스템(210)의 구성 예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창작물 가치평가 흐름 예시도.
후술하는 본 발명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의 목적들, 기술적 해법들 및 장점들을 분명하게 하기 위하여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는 특정 실시예를 예시로서 도시하는 첨부 도면을 참조한다. 이들 실시예는 통상의 기술자가 본 발명을 실시할 수 있기에 충분하도록 상세히 설명된다.
또한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 및 청구항들에 걸쳐, '포함하다'라는 단어 및 그 변형은 다른 기술적 특징들, 부가물들, 구성요소들 또는 단계들을 제외하는 것으로 의도된 것이 아니다. 통상의 기술자에게 본 발명의 다른 목적들, 장점들 및 특성들이 일부는 본 설명서로부터, 그리고 일부는 본 발명의 실시로부터 드러날 것이다. 아래의 예시 및 도면은 실례로서 제공되며,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으로 의도된 것이 아니다. 더욱이 본 발명은 본 명세서에 표시된 실시예들의 모든 가능한 조합들을 망라한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는 서로 다르지만 상호 배타적일 필요는 없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각각의 개시된 실시예 내의 개별 구성요소의 위치 또는 배치는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변경될 수 있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따라서, 후술하는 상세한 설명은 한정적인 의미로서 취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범위는, 적절하게 설명된다면, 그 청구항들이 주장하는 것과 균등한 모든 범위와 더불어 첨부된 청구항에 의해서만 한정된다.
한편, 본 명세서에서 달리 표시되거나 분명히 문맥에 모순되지 않는 한, 단수로 지칭된 항목은, 그 문맥에서 달리 요구되지 않는 한, 복수의 것을 아우른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창작물 거래 플랫폼 서버(200)의 주변 구성도를 예시한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창작물 가치평가 시스템은 응용 프로그램 코드 데이터의 집합체로서 도 1에 도시한 디지털 창작물 거래 플랫폼 서버(200)에 설치되어 실행 가능하다.
디지털 창작물 거래 플랫폼 서버(200)는 통신망을 통해 디지털 창작물(디지털 이미지, 캐릭터, 아바타, 사진, 그림, 폰트 등)을 창작한 창작자 혹은 디지털 창작물을 판매하고자 하는 판매자의 단말(100)은 물론, 디지털 창작물이 속하는 카테고리(음악, 미술, 사진, 웹툰 등) 분야에서 전문가로 인증 등록된 전문가의 단말(150), 그리고 디지털 창작자의 팬 혹은 동호회 회원으로 등록된 팬 혹은 창작물 구매자 단말(130)과 연결 가능하다.
또한 디지털 창작물 거래 플랫폼 서버(200)는 디지털 창작자 단말(100)로부터 제공되는 디지털 창작물과 그 디지털 창작물에 대한 부가정보를 블록체인 관리 서버(300)로 제공하여 디지털 창작물에 대한 소유권 정보, 즉 NFT의 발급을 요청하고, 그에 응답하여 제공되는 블록체인 기반의 NFT를 등록 게시된 디지털 창작물과 매칭하여 관리한다. 블록체인 관리 서버(300)는 디지털 창작물 거래 플랫폼 서버(200)와는 격리된 별도의 블록체인 기반의 네트워크상에 존재할 수도 있고, 상기 거래 플랫폼 서버(200)와 동일 플랫폼 상에 위치하여 운영될 수도 있다.
한편, 디지털 창작물 거래 플랫폼 서버(200)는 창작자 혹은 판매자가 제공하는 디지털 창작물 및 그 부가정보를 창작자 혹은 판매자가 지정한 하나 이상의 온라인 마켓에 등록하여 거래가 이루어지도록 관리하며, 거래 체결에 따른 소유권 변동 사항을 블록체인 기법으로 암호화하여 분산 저장 및 관리가 이루어지도록 지원한다.
더 나아가 디지털 창작물 거래 플랫폼 서버(200)는 디지털 창작물 가치평가 시스템(210)을 이용하여 디지털 창작물의 가치(초기 등록시의 가치, 거래 이후의 현재 가치)를 객관적으로 평가하고 이를 디지털 창작물과 함께 게시하거나, 평가 요구한 자의 단말로 제공한다.
참고적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창작물 가치평가 시스템(210)은 전문가에 의한 예술성(전문성) 평가, 대중 혹은 팬들의 호응도에 따른 대중성 평가, 시간 경과에 따라 창작자의 가치가 변화될 수 있는 창작자 관련 희소성 평가, 창작물의 이전 소유자에 따라 그 가치가 변화될 수 있는 거래 내역의 특이성 평가 등을 가치평가지표로 활용함으로써, 디지털 창작물에 대해 보다 객관적인 가치평가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이하 상술한 디지털 창작물 거래 플랫폼 서버(200)에 설치되어 실행 가능한 디지털 창작물 가치평가 시스템의 구성을 보다 구체적으로 부연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도 1에 도시한 디지털 창작물 거래 플랫폼 서버(200)에 설치되어 실행되는 디지털 창작물 가치평가 시스템(210) 및 창작물 거래관리 시스템(220)의 구성도를 예시한 것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창작물 가치평가 시스템(210)은,
마켓 운영자 요청에 따라 고유 URL 정보를 가지는 온라인 마켓을 디지털 창작물 거래 플랫폼 서버(200, 이하 거래 플랫폼 서버라 함)상에 개설해 주는 마켓 개설부(211)와,
인증된 창작자 단말(100)로부터 전송되는 디지털 창작물과 그 부가정보를 창작자가 지정한 온라인 마켓에 등록 게시하는 디지털 창작물 등록 게시부(213)를 포함한다.
참고적으로, 마켓 운영자란 거래 플랫폼 서버(200)에 온라인 마켓을 개설하여 운영하는 자로서 디지털 창작물을 창작한 창작자 본인일 수 있다. 창작자는 아티스트, 방송인, 스포츠인, 일반인일 수 있으며, 창작자가 공인일 경우 해당 공인의 팬클럽, 동호회 운영을 맡고 있는 자 역시 마켓 운영자가 될 수 있다. 이에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설명되는 온라인 마켓은 팬 클럽 운영자가 개설하는 팬 마켓을 포함하는 개념으로 해석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디지털 창작물의 부가정보란 창작자의 정보는 물론 디지털 창작물의 생성일시, 장소, 생성 히스토리 등 디지털 창작물의 진위여부를 검증하기 위해 필요한 정보를 포함한다.
마켓 개설부(211), 디지털 창작물 등록 게시부(213) 외에, 디지털 창작물 가치평가 시스템(210)은,
등록 게시된 디지털 창작물의 예술적(전문성) 가치평가를 등록된 전문가 단말(150)로 요청하는 전문가 평가 요청부(215)와,
상기 등록 게시된 디지털 창작물에 대한 대중(혹은 팬)의 호응도 정보를 상기 온라인 마켓 및 온라인상에서 수집하여 팬덤 기반의 대중성을 평가하는 대중성 평가부(217)와,
상기 등록 게시된 디지털 창작물에 대한 예술적 가치평가 결과와 대중성 가치평가 결과에 기반하여 초기 거래 추정가를 산출해 상기 온라인 마켓에 등록 게시하는 가치평가 추정부(219)를 포함한다.
참고적으로, 디지털 창작물에 대한 대중의 호응도 정보는 게시된 온라인 마켓은 물론, 온라인상에서 해당 디지털 창작물과 관련된 정보들을 웹 크롤링하여 수집할 수 있고, 수집된 정보들을 텍스트 마이닝 기법을 활용하여 디지털 창작물에 대한 호응도 정도를 분석(감성 분석)할 수 있다.
한편, 변형 가능한 또 다른 실시예로서, 디지털 창작물의 가치는 창작자의 이력에도 영향을 받기 때문에 창작자의 이력을 가치 평가에 가산할 필요성이 있으며, 시간이 지나면서 창작자의 이력 역시 변화되고 그 변화로 인해 디지털 창작물의 가치 역시 새롭게 평가받을 수 있기에 이를 반영할 필요가 있다.
이에 가치평가 추정부(219)는 창작자의 경력 이력, 창작자의 디지털 창작물 등록 수, 창작자의 생존 여부를 포함하는 창작자 정보를 수집 평가한 창작자 가치평가 결과를 상기 초기 거래 추정가에 가산하여 산출할 수도 있다.
또한 가치평가 추정부(219)는 온라인 마켓에 (판매) 등록 게시되어 있는 디지털 창작물에 대한 거래 추정가 산출 요청에 응답하여 창작자의 경력 이력, 창작자의 디지털 창작물 등록 수, 창작자의 생존 여부를 포함하는 창작자 정보를 수집 평가한 창작자 가치평가 결과와, 상기 예술적 가치평가 결과 및 상기 대중성 가치평가 결과에 기반하여 현재의 거래 추정가를 산출해 제공할 수도 있다.
더 나아가 변형 가능한 또 다른 실시예로서, 소장 가치가 높은 창작물들은 소유 이전에 유명인이 소지하였다는 사실만으로도 그 가치가 높게 평가될 수 있다. 이러한 가치평가기준을 반영하는 것 역시 디지털 창작물에 대한 객관적 가치평가를 위해 필요한 것이기에, 가치평가 추정부(219)는 판매 등록 게시되는 디지털 창작물의 소유권 정보 이력을 평가한 거래 내역의 특이성 가치평가 결과를 현재의 거래 추정가에 가산하여 제공할 수도 있다. 여기서 현재의 거래 추정가는 예술적 가치평가 결과, 대중성 가치평가 결과가 반영된 거래 추정가 혹은 창작자 가치평가 결과가 더 반영된 거래 추정가 혹은 직전에 거래되었던 거래가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변형 가능한 또 다른 실시예로서, 대중성 평가부(217)는 온라인 마켓의 하나인 팬 마켓에 등록 게시된 디지털 창작물에 대한 팬들의 호응도, 소셜 활동 정보들을 수집하여 팬덤 기반의 대중성을 평가하고, 상기 호응도, 소셜 활동 정보 생성에 기여한 팬에게 상기 등록 게시된 디지털 창작물의 소유권 지분 일부를 나누어 지급할 수 있다. 창작자는 디지털 창작물의 홍보를 위해 디지털 창작물 등록 게시시에 소유권 지분 일부(예를 들면 소유권의 10%)를 보상 지분으로 책정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구성을 포함하는 디지털 창작물 가치평가 시스템(210)과 동일한 서버 혹은 연동 가능한 외부 서버에 구축한 창작물 거래 관리 시스템(220)은,
디지털 창작자, 구매자 혹은 판매자, 팬들의 개인정보를 통해 회원 인증하고 회원의 개인정보와 거래화폐와 같은 자산정보, 회원이 온라인 마켓에서 활동한 소셜 활동정보(호응도 정보로 활용됨)를 저장 관리하는 회원 관리부(221)와,
온라인 마켓에 등록 게시된 디지털 창작물에 대하여 구매자와 판매자 사이의 거래 여부와 거래에 따른 장부정리, 거래화폐의 이체 등을 관리하는 거래 관리부(223)와,
디지털 창작물과 그 부가정보, 디지털 창작물의 소유권/거래관련정보, 디지털 창작물과 그와 매칭되는 NFT 정보, 각 디지털 창작물의 지분관련정보가 저장되는 정보 저장부(225)와,
디지털 창작물을 거래하기 위해 필요한 거래화폐의 충전이 이루어지도록 안내하며, 충전이 이루어진 거래화폐 충전정보를 회원의 자산정보로서 상기 회원 관리부(221)로 전송하여 저장 관리되도록 하는 거래화폐 생성 관리부(227)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거래화폐는 현금, 또는 블록체인에 기반하여 생성 및 관리되는 가상화폐를 포함하는 개념으로 이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상술한 구성을 포함하는 디지털 창작물 거래 플랫폼 서버(200)내의 디지털 창작물 가치평가 시스템(210)의 동작을 도 3을 참조하여 부연 설명하기로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창작물 가치평가 흐름도를 예시한 것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우선 디지털 창작물 거래 플랫폼상에 자신의 온라인 마켓을 개설하여 자신이 창작한 디지털 창작물을 판매하려는 자, 혹은 방송 혹은 스포츠 스타가 창작한 창작물이 팬 클럽 회원들 사이에서 거래될 수 있도록 희망하는 팬 클럽 운영자 등은 회원 인증후 창작물 거래 플랫폼 서버(200)에 마켓 개설을 요청한다.
이러한 마켓 개설 요청에 따라 마켓 개설부(211)는 온라인 마켓 혹은 온라인 팬 마켓을 식별할 수 있는 고유 URL 정보를 가지는 온라인 마켓을 창작물 거래 플랫폼 서버(200)상에 개설(S100단계)해 준다.
온라인 마켓이 개설되면, 이후 창작자는 자신이 창작한 디지털 창작물과 그 부가정보, 예를 들면 창작자 정보, 작품명, 창작물 생성일시, 창작물에 대한 창작 히스토리(창작 배경) 등을 입력하고, 게시하고자 하는 온라인 마켓을 추가 지정하여 창작물 신규 등록 게시를 요청한다.
창작물 신규 등록 게시 요청(S110단계)이 있으면, 디지털 창작물 등록 게시부(213)는 등록 게시 요청된 디지털 창작물에 식별정보를 부여하고, 디지털 창작물과 그 부가정보를 블록체인 관리서버(300) 측으로 전송하여 창작물에 대한 NFT 발급을 요청(S120단계)한다.
이러한 요청에 따라, 블록체인 관리서버(300)는 창작물에 대한 소유권을 증명할 수 있는 창작물의 NFT를 발급하여 창작물 거래 플랫폼 서버(200)로 전달한다. 이에 디지털 창작물 등록 게시부(213)는 디지털 창작물과 그 부가정보, 디지털 창작물의 소유권(NFT) 정보를 정보 저장부(225)에 매칭 저장(S130단계)한다.
아울러 디지털 창작물 등록 게시부(213)는 창작자가 지정한 온라인 마켓에 해당 디지털 창작물과 그 부가정보 일부(작품명, 창작자 등)를 게시(S140단계)한다. 이로써 일반 구매자 혹은 팬 클럽 회원들은 온라인 마켓에 등록 게시된 디지털 창작물과 그 부가정보 내용을 확인할 수 있다. 이에 일반 구매자, 팬 클럽 회원들은 등록 게시된 디지털 창작물에 대하여 긍정적 혹은 부정적 반응(호응도 정보라 함), 지인과의 공유, 추천과 같은 소셜 활동 정보를 남길 수 있다.
한편, 디지털 창작물 가치평가 시스템(210)은 디지털 창작물의 거래 당사자 편의를 제공하기 위해서, 최초 등록 게시되는 디지털 창작물의 가치를 평가하기 위한 '등록 게시물의 거래 추정가 산출 프로세스'를 진행(S150단계)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전문가 평가 요청부(215)는 등록 게시된 디지털 창작물의 초기 거래 추정가를 산출하기 위해서 그 디지털 창작물 혹은 디지털 창작물과 부가정보를 함께 전문가 단말(150)로 전송하여 예술적 가치평가(V1)를 요청한다.
이에 전문가는 요청받은 디지털 창작물에 대한 전문성, 즉 예술적 가치를 평가하되, 창작물 거래 플랫폼 운영자가 마련해 놓은 평가 매뉴얼상의 평가항목별 평가기준에 기반하여 예술적 가치를 평가한다. 평가항목별 평가결과는 취합되어 포인트, 혹은 거래화폐 가액으로 표시될 수 있다. 예술적 가치평가(V1) 결과와 평가항목별 평가결과는 전문가 평가 요청부(215)로 전달되어 정보 저장부(225)에 저장될 수 있다.
예술적 가치평가(V1) 외에 디지털 창작물 가치평가 시스템(210)의 대중성 평가부(217)는 등록 게시된 디지털 창작물에 대한 대중의 호응도 정보를 일정 기간 동안 온라인 마켓을 통해 수집하여 팬덤 기반의 대중성을 평가(V2)한다.
예를 들면, 대중의 호응도 정보에 기반하여 대중성을 평가할 경우 일반 회원, 팬 클럽 회원, 분야별 전문가 구매자 회원을 구분하고, 구분된 각 회원의 소셜 활동(팔로우 하기, 좋아요 하기, 즐겨찾기 하기, 게시글 쓰기, 댓글 쓰기, 링크 홍보 등) 내용에 따라 차등적으로 포인트를 부여하는 방식으로 적립된 호응도 정보를 대중성 평가부(217)가 수집하고, 그 수집된 포인트에 따라 대중성 가치평가(V2)를 포인트 혹은 거래화폐 가액으로 평가할 수 있다.
물론, 디지털 창작물에 대한 대중의 호응도 정보는 게시된 온라인 마켓은 물론, 온라인상에서 해당 디지털 창작물과 관련된 정보들을 웹 크롤링하여 수집할 수 있고, 수집된 정보들을 텍스트 마이닝 기법을 활용하여 디지털 창작물에 대한 호응도 정도를 분석(감성 분석)하여 이를 포인트화하고 이를 온라인 마켓을 통해 수집된 평가결과와 통합할 수도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등록 게시된 디지털 창작물에 대한 예술적 가치평가(V1) 결과와 대중성 가치평가(V2)가 얻어지면, 가치평가 추정부(219)는 상기 예술적 가치평가 결과(V1)와 대중성 가치평가(V2) 결과에 기반하여 초기 거래 추정가를 산출(S150단계)해 해당 온라인 마켓에 등록 게시(S160단계)한다. 참고적으로 초기 거래 추정가는 단순히 예술적 가치평가 결과와 대중성 가치평가를 가산하는 방법, 각각의 가치평가 결과에 설정되어 있는 가중치를 승산하여 서로 가산하는 방법을 선택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아울러 초기 거래 추정가가 포인트로 얻어진 경우라면 이를 거래화폐 가액으로 변환하는 과정이 필요할 것이다.
상술한 바에 따라 일반 구매자 혹은 팬 클럽 회원들은 신규 등록된 디지털 창작물에 대하여 추정된 초기 거래 추정가를 참조하여 해당 창작물에 대한 협상, 거래, 응찰에 임할 수 있다.
상술한 실시예에서는 창작물의 예술적 가치평가(V1) 결과와 대중성 가치평가(V2) 결과를 이용해 초기 거래 추정가를 산출하는 것을 설명하였으나, 창작자에 대한 가치를 평가하여 이를 초기 거래 추정가에 가산하는 방식을 이용할 수도 있다.
즉, 가치평가 추정부(219)는 창작자의 경력 이력(수상 이력, 창작 경력 등), 창작자의 디지털 창작물 등록 수, 창작자의 생존 여부를 포함하는 창작자 정보를 수집하고, 수집된 항목 각각에 대한 평가기준에 따라 항목별 포인트를 부여하는 방식으로 창작자 정보를 평가한 창작자 가치평가(V3) 결과를 상기 초기 거래 추정가에 가산하거나, 가중치 부여해 가산하는 방식으로 초기 거래 추정가를 산출할 수도 있다. 창작자 정보 역시 창작자가 입력한 정보와 온라인상에서 획득 가능한 정보를 이용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예술적 가치평가(V1) 결과와 대중성 가치평가(V2) 결과 혹은 예술적 가치평가(V1) 결과와 대중성 가치평가(V2) 결과 및 창작자 가치평가(V3) 결과를 기반으로 신규 등록한 디지털 창작물에 대한 초기 거래 추정가가 게시되면, 이를 참조하여 팬 클럽 회원들과 일반 구매자 회원들은 창작물 거래관리 시스템(220)을 이용해 거래화폐를 이용해 창작물을 거래한다.
이와 같이 거래되는 디지털 창작물은 시간 경과에 따라, 그리고 창작자 정보의 변경(작품의 희소성, 창작자의 저명성과 관련)에 따라 그 가치가 변화되기에 주기적으로 혹은 구매자 혹은 팬 클럽 회원들의 요청에 따라 현재의 거래 추정가를 새로이 산출해 제공해 줄 필요가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가치평가 추정부(219)는 판매 등록 게시되어 있는 디지털 창작물에 대한 거래 추정가 산출 요청에 응답하여 창작자의 경력 이력(추가 수상 이력 포함), 창작자의 디지털 창작물 등록 수, 창작자의 생존 여부를 포함하는 창작자 정보를 새로이 수집 평가한 창작자 가치평가(V3') 결과, 상기 예술적 가치평가(V1) 결과 및 상기 대중성 가치평가(V2) 결과를 정해진 산출식에 적용하여 현재의 거래 추정가를 산출해 제공하거나 온라인 게시할 수 있다.
또 다른 변형 실시예로서, 디지털 창작물은 시간 경과에 따라 거래 내역의 특이성을 가질 수 있다. 즉, 디지털 창작물이 유명인에 의해 소장될 경우 그 가치는 한층 더 업그레이드될 수 있기에 이를 반영하여 현재의 거래 추정가를 새로이 산출해 제공해 줄 필요가 있다.
이에, 가치평가 추정부(219)는 판매 등록 게시되는 디지털 창작물의 소유권 정보 이력을 검색하여 사회적 인지도, 저명도가 높은 인사가 창작물을 거래한 이력이 있는 경우 그 보유기간에 따라 해당 창작물에 대한 거래내역의 특이성 가치평가(V4) 결과를 현재의 거래 추정가에 더 가산하여 제공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의 거래 추정가는 V1+V2+V4, V1+V2+V3+V4, V1+V2+V3'+V4와 같이 다양한 추정가 중 하나일 수 있다.
한편, 대중성 평가부(217)는 온라인 마켓의 하나인 팬 마켓에 등록 게시된 디지털 창작물에 대한 팬들의 호응도 정보를 수집하여 팬덤 기반의 대중성을 평가하되, 상기 호응도 정보 생성에 기여한 팬에게 상기 등록 게시된 디지털 창작물의 소유권 지분 일부를 창작자가 설정한 분할 소유권 범위 내에서 분할 지급할 수도 있다.
또한, 대중성 평가부(170)는 각 디지털 창작물의 거래 혹은 디지털 창작물의 분할 소유권 지분 거래가 많을 경우 호응도가 높은 것으로 간주하여 현재의 거래 추정가 산출시 이를 추가 반영해 현재의 거래 추정가를 새로이 산출 제공할 수 있으며, 일정 기간 호응도가 낮거나 회원들의 참여도가 낮아 호응도 변화가 설정범위 이내일 경우 이를 감점 요인으로 적용하여 현재의 거래 추정가를 갱신할 수도 있다.
즉, 대중성 평가부(170)는 초기 거래 추정가를 기본으로 하여 회원도의 호응도 정보에 따라 현재의 거래 추정가를 높이거나 낮게 조정해 줄 수 있고, 가치 평가 추정부(219) 역시 초기 거래 추정가를 기본으로 하여 일정 기간 동안 해당 디지털 창작물의 거래량 변화 추이, 대중의 호응도 변화, 창작자 정보의 변화에 따라 현재의 거래 추정가를 새로이 갱신해 줄 수 있다.
이에 구매자 회원, 팬 클럽 회원들은 게시된 디지털 창작물들에 대한 초기 거래 추정가를 확인해 볼 수 있음은 물론, 시간 경과에 따라 새로이 추정된 거래 추정가 정보를 제공받아 창작물 거래에 참고자료로 활용할 수 있으며, 더 나아가 직전에 거래된 혹은 판매자가 현재 요구하는 거래금액과의 차이를 인지하여 창작물 구매결정에 보조지표로 활용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은 일반 창작자, 유명 연예인 등이 창작한 창작물에 대한 예술적 가치평가, 대중의 호응도에 따른 팬덤 기반의 대중성 가치평가, 더 나아가 창작자의 작품 희소성 가치평가, 거래 내역의 특이성 가치평가 기준을 적용함으로서, 거래 대상인 디지털 창작물에 대한 가치를 보다 객관적으로 평가할 수 있는 장점이 있으며, 이를 통해 창작물 구매자는 보다 합리적인 가격으로 디지털 창작물을 구매할 수 있어, 결과적으로 본 발명은 디지털 창작물의 거래시장을 대중화시키는데 기여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 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 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Claims (6)

  1. 디지털 창작물에 대한 NFT를 발급하는 블록체인 관리 서버와 정보 송수신 가능한 디지털 창작물 거래 플랫폼 서버의 디지털 창작물 가치평가 시스템에 있어서,
    마켓 운영자 요청에 따라 고유 URL 정보를 가지는 온라인 마켓을 상기 거래 플랫폼 서버상에 개설해 주는 마켓 개설부와;
    인증된 창작자 단말로부터 전송되는 디지털 창작물과 그 부가정보를 창작자가 지정한 온라인 마켓에 등록 게시하는 디지털 창작물 등록 게시부와;
    상기 등록 게시된 디지털 창작물의 예술적 가치평가를 등록된 전문가 단말로 요청하는 전문가 평가 요청부와;
    상기 등록 게시된 디지털 창작물에 대한 대중의 호응도 정보를 상기 온라인 마켓을 통해 수집하여 팬덤 기반의 대중성을 평가하는 대중성 평가부와;
    상기 등록 게시된 디지털 창작물에 대한 예술적 가치평가 결과와 대중성 가치평가 결과에 기반하여 초기 거래 추정가를 산출해 상기 온라인 마켓에 등록 게시하는 가치평가 추정부;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창작물 가치평가 시스템.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가치평가 추정부는,
    창작자의 경력 이력, 창작자의 디지털 창작물 등록 수, 창작자의 생존 여부를 포함하는 창작자 정보를 수집 평가한 창작자 가치평가 결과를 상기 초기 거래 추정가에 가산하여 산출함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창작물 가치평가 시스템.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가치평가 추정부는,
    판매 등록 게시되어 있는 디지털 창작물에 대한 거래 추정가 산출 요청에 응답하여 창작자의 경력 이력, 창작자의 디지털 창작물 등록 수, 창작자의 생존 여부를 포함하는 창작자 정보를 수집 평가한 창작자 가치평가 결과와, 상기 예술적 가치평가 결과 및 상기 대중성 가치평가 결과에 기반하여 현재의 거래 추정가를 산출해 제공함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창작물 가치평가 시스템.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가치평가 추정부는,
    판매 등록 게시되어 있는 디지털 창작물에 대한 거래 추정가 산출 요청에 응답하여 창작자의 경력 이력, 창작자의 디지털 창작물 등록 수, 창작자의 생존 여부를 포함하는 창작자 정보를 수집 평가한 창작자 가치평가 결과와, 상기 예술적 가치평가 결과 및 상기 대중성 가치평가 결과에 기반하여 현재의 거래 추정가를 산출해 제공함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창작물 가치평가 시스템.
  5.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4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가치평가 추정부는,
    판매 등록 게시되는 디지털 창작물의 소유권 정보 이력을 평가한 거래 내역의 특이성 가치평가 결과를 현재의 거래 추정가에 가산하여 제공함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창작물 가치평가 시스템.
  6.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4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대중성 평가부는,
    상기 온라인 마켓의 하나인 팬 마켓에 등록 게시된 디지털 창작물에 대한 팬들의 호응도 정보를 수집하여 팬덤 기반의 대중성을 평가하고, 상기 호응도 정보 생성에 기여한 팬에게 상기 등록 게시된 디지털 창작물의 소유권 지분 일부를 지급함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창작물 가치평가 시스템.
KR1020220017921A 2022-02-11 2022-02-11 디지털 창작물 가치평가 시스템 KR2023012127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17921A KR20230121271A (ko) 2022-02-11 2022-02-11 디지털 창작물 가치평가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17921A KR20230121271A (ko) 2022-02-11 2022-02-11 디지털 창작물 가치평가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21271A true KR20230121271A (ko) 2023-08-18

Family

ID=878018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17921A KR20230121271A (ko) 2022-02-11 2022-02-11 디지털 창작물 가치평가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121271A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11853A (ko) 2018-07-25 2020-02-04 임성우 블록체인 기반 창작물 크라우드 펀딩 및 유통 시스템과 이를 사용한 창작물 크라우드 펀딩 및 유통 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11853A (ko) 2018-07-25 2020-02-04 임성우 블록체인 기반 창작물 크라우드 펀딩 및 유통 시스템과 이를 사용한 창작물 크라우드 펀딩 및 유통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Tan et al. Impact of live chat on purchase in electronic markets: The moderating role of information cues
US20190354945A1 (en) Real-time buying, selling, and/or trading blockchain-based goods using traditional currency
JP6423854B2 (ja) ドル預託証券、電子的会員取引、及びレポ取引
CN114616582A (zh) 具有智能合约架构的分布式分类账贷款系统及其方法
TW202007118A (zh) 基於區塊鏈的個人數據處理方法及電腦裝置
US20150310497A1 (en) Method and process for registration, creation and management of micro shares of real or intangible properties and advertisements in a network system
US20090070249A1 (en) Contingent event rights relating to team location
US20080109296A1 (en) Contingent rights exchange associated with a social network
US20080243532A1 (en) Contingent purchase rights associated with consumer products
US20080109322A1 (en) Rights exchange user interface
JP6967116B1 (ja) 電子チケット管理システムおよびプログラム
US20080109321A1 (en) Contingent forward rights exchange
US20100280879A1 (en) Gift incentive engine
US20080109345A1 (en) Contingent rights exchange relating to non-post season sporting events
US20080103801A1 (en) Contingent travel rights exchange
US20080103920A1 (en) Contingent rights relating to a weather phenomenon
US20080109323A1 (en) Associating media channels with a contingent rights exchange
US20080109297A1 (en) Methods and systems for pricing contingent rights
US20080103802A1 (en) Contingent rights exchange relating to music production
US20080109233A1 (en) Contingent rights exchange relating to a private event, good or service
US20100280913A1 (en) Gift credit matching engine
US20080103919A1 (en) Contingent consumer product rights exchange
US20080103803A1 (en) Contingent event rights relating to an event participant
US20220084015A1 (en) Methods and systems for ethical cryptocurrency management
KR20200011853A (ko) 블록체인 기반 창작물 크라우드 펀딩 및 유통 시스템과 이를 사용한 창작물 크라우드 펀딩 및 유통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