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20964A - 냉장고 및 냉장고의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냉장고 및 냉장고의 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20964A
KR20230120964A KR1020220110359A KR20220110359A KR20230120964A KR 20230120964 A KR20230120964 A KR 20230120964A KR 1020220110359 A KR1020220110359 A KR 1020220110359A KR 20220110359 A KR20220110359 A KR 20220110359A KR 20230120964 A KR20230120964 A KR 2023012096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supply
ice
supply device
water
refrigera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1035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진
강성구
손봉수
송용선
이관열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PCT/KR2023/000534 priority Critical patent/WO2023153654A1/ko
Publication of KR2023012096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2096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9/00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 F25D29/005Mounting of control devi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CPRODUCING, WORKING OR HANDLING ICE
    • F25C1/00Producing ice
    • F25C1/22Construction of moulds; Filling devices for moulds
    • F25C1/24Construction of moulds; Filling devices for moulds for refrigerators, e.g. freezing tray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CPRODUCING, WORKING OR HANDLING ICE
    • F25C1/00Producing ice
    • F25C1/22Construction of moulds; Filling devices for moulds
    • F25C1/25Filling devices for mould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 F25D23/12Arrangements of compartments additional to cooling compartments; Combinations of refrigerators with other equipment, e.g. stov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9/00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 F25D29/008Alarm devi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CPRODUCING, WORKING OR HANDLING ICE
    • F25C2400/00Auxiliary features or devices for producing, working or handling ice
    • F25C2400/14Water supply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CPRODUCING, WORKING OR HANDLING ICE
    • F25C2600/00Control issues
    • F25C2600/02Tim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CPRODUCING, WORKING OR HANDLING ICE
    • F25C2600/00Control issues
    • F25C2600/04Control mea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CPRODUCING, WORKING OR HANDLING ICE
    • F25C2700/00Sensing or detecting of parameters; Sensors therefor
    • F25C2700/04Level of wat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400/00General features of, or devices for 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or for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covered by any other subclass
    • F25D2400/36Visual displays

Abstract

얼음의 품질을 유지하는 냉장고는, 적어도 하나의 저장실을 갖는 본체;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저장실의 내부에 마련되는 제빙트레이;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저장실을 냉각시키는 냉각장치; 상기 제빙트레이에 물을 공급하는 급수장치; 상기 급수장치의 급수량을 감지하는 유량센서; 및 상기 급수장치를 동작시킨 후 기준시간 동안 상기 유량센서로부터 감지된 급수량이 제1 임계값 이상이면 상기 감지된 급수량이 제1 기준값에 도달한 것에 응답하여 상기 급수장치의 동작을 중단하고, 상기 기준시간 동안 상기 감지된 급수량이 상기 제1 임계값보다 작고 제2 임계값 이상이면 상기 감지된 급수량이 상기 제1 기준값보다 작은 제2 기준값에 도달한 것에 응답하여 상기 급수장치의 동작을 중단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냉장고 및 냉장고의 제어방법{REFRIGERATOR AND CONTROLLING METHOD FOR THE SAME}
본 개시는 제빙장치가 구비된 냉장고 및 냉장고의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냉장고는 압축기와, 응축기와, 팽창밸브와, 증발기로 이루어진 냉동사이클을 이용하여 음식물을 냉각해 보관하는 장치로서 이러한 냉장고의 내부에 얼음을 생성하는 제빙장치가 구비되는 경우가 있다.
종래에는 사용자가 직접 제빙장치에 물을 공급하였으나, 최근에 개발된 냉장고는 제빙장치에 물을 자동으로 급수하는 급수장치를 구비한다.
또한, 얼음의 형상 및 품질에 대한 사용자의 요구에 따라 냉장고는 다양한 종류의 얼음을 생성하기 위한 제빙장치를 포함한다.
특히, 구형 얼음의 경우 얼음의 형상 및 투명도가 매우 중요한 요소로 작용하는데, 급수장치에 의해 제빙트레이로 물이 과도하게 공급되면 만들고자 하는 얼음의 형상 외 불필요한 부분이 생성되거나, 얼음의 투명도가 저해될 수 있다.
개시된 발명의 일 측면은, 다양한 조건에 대응하여 얼음의 형상을 유지할 수 있는 냉장고 및 냉장고의 제어방법을 제공한다.
개시된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냉장고는, 적어도 하나의 저장실을 갖는 본체;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저장실의 내부에 마련되는 제빙트레이;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저장실을 냉각시키는 냉각장치; 상기 제빙트레이에 물을 공급하는 급수장치; 상기 급수장치의 급수량을 감지하는 유량센서; 및 상기 급수장치를 동작시킨 후 기준시간 동안 상기 유량센서로부터 감지된 급수량을 식별하고, 상기 식별된 급수량이 제1 임계값 이상이면 상기 유량센서로부터 감지된 급수량이 제1 기준값에 도달한 것에 응답하여 상기 급수장치의 동작을 중단하고, 상기 식별된 급수량이 상기 제1 임계값보다 작고 제2 임계값 이상이면 상기 유량센서로부터 감지된 급수량이 상기 제1 기준값보다 작은 제2 기준값에 도달한 것에 응답하여 상기 급수장치의 동작을 중단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식별된 급수량이 상기 제2 임계값보다 작으면 소정의 시간이 경과한 것에 응답하여 상기 급수장치의 동작을 중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급수장치는 급수밸브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급수밸브를 개방함으로써 상기 급수장치를 동작시키고, 상기 급수밸브를 폐쇄함으로써 상기 급수장치의 동작을 중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유량센서는, 임펠러의 회전에 따라 펄스를 출력하고, 상기 급수량은, 상기 출력된 펄스의 개수에 의해 정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급수장치의 동작 시점부터 상기 기준시간을 카운트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냉장고는 디스플레이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식별된 급수량이 상기 제1 임계값보다 작고 상기 제2 임계값 이상인 것에 기초하여 저수압 조건임을 알리는 시각적 표시를 출력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냉장고는 디스플레이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식별된 급수량이 상기 제2 임계값보다 작은 것에 기초하여 상기 유량센서가 고장 난 것을 알리는 시각적 표시를 출력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냉장고는 디스플레이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식별된 급수량이 상기 제1 임계값보다 작은 것에 기초하여 얼음의 품질이 저하될 수 있음을 알리는 시각적 표시를 출력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임계값은 180 내지 220 중 어느 하나의 자연수이고, 상기 제2 임계값은 45 내지 55 중 어느 하나의 자연수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기준값은 1015 내지 1055 중 어느 하나의 자연수이고, 상기 제2 기준값은 960 내지 1000 중 어느 하나의 자연수일 수 있다.
개시된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냉장고의 제어방법은, 제빙트레이에 물을 공급하는 급수장치의 급수량을 감지하는 유량센서를 포함하는 냉장고의 제어방법에 있어서, 상기 급수장치를 동작시킨 후 기준시간 동안 상기 유량센서로부터 감지된 급수량을 식별하고, 상기 식별된 급수량이 제1 임계값 이상이면 상기 유량센서로부터 감지된 급수량이 제1 기준값에 도달한 것에 응답하여 상기 급수장치의 동작을 중단하고; 상기 식별된 급수량이 상기 제1 임계값보다 작고 제2 임계값 이상이면 상기 유량센서로부터 감지된 급수량이 상기 제1 기준값보다 작은 제2 기준값에 도달한 것에 응답하여 상기 급수장치의 동작을 중단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냉장고의 제어방법은, 상기 식별된 급수량이 상기 제2 임계값보다 작으면 소정의 시간이 경과한 것에 응답하여 상기 급수장치의 동작을 중단시키는 것;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급수장치는 급수밸브를 포함하고, 상기 급수장치를 동작시키는 것은 상기 급수밸브를 개방하는 것을 포함하고, 상기 급수장치의 동작을 중단시키는 것은 상기 급수밸브를 폐쇄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유량센서는 임펠러의 회전에 따라 펄스를 출력하고, 상기 급수량은, 상기 출력된 펄스의 개수에 의해 정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냉장고의 제어방법은, 상기 급수장치의 동작 시점부터 상기 기준시간을 카운트하는 것;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냉장고의 제어방법은, 상기 식별된 급수량이 상기 제1 임계값보다 작고 상기 제2 임계값 이상인 것에 기초하여 저수압 조건임을 알리는 시각적 표시를 출력하는 것;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냉장고의 제어방법은, 상기 식별된 급수량이 상기 제2 임계값보다 작은 것에 기초하여 상기 유량센서가 고장 난 것을 알리는 시각적 표시를 출력하는 것;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냉장고의 제어방법은, 상기 식별된 급수량이 상기 제1 임계값보다 작은 것에 기초하여 얼음의 품질이 저하될 수 있음을 알리는 시각적 표시를 출력하는 것;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임계값은 180 내지 220 중 어느 하나의 자연수이고, 상기 제2 임계값은 45 내지 55 중 어느 하나의 자연수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기준값은 1015 내지 1055 중 어느 하나의 자연수이고, 상기 제2 기준값은 960 내지 1000 중 어느 하나의 자연수일 수 있다.
개시된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다양한 급수 조건에 대응하여 얼음의 형상을 유지함으로써 사용자의 만족을 도모할 수 있다.
개시된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다양한 급수 조건에 대응하여 얼음의 품질을 유지함으로써 사용자의 만족을 도모할 수 있다.
개시된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불필요한 부분의 얼음이 제빙트레이에 잔존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일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냉장고의 도어가 열린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도 1의 냉장고에서 내상과, 내상에 배치된 급수장치와 제빙유닛 및 급수유로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도 3의 제빙유닛 부분을 확대하여 도시한 투시도이다.
도 5는 도 4의 제빙유닛을 구성하는 제빙장치의 일 예를 도시한다.
도 6은 도 4의 제빙유닛을 구성하는 제빙장치의 다른 예를 도시한다.
도 7은 일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의 제어 블록도이다.
도 8은 일실시예에 따른 제빙장치에서 자동으로 얼음이 생성되는 과정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9는 일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의 제어방법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10은 유량센서에 의해 기준시간 동안 감지된 급수량에 따라 급수장치의 동작이 제어되는 다양한 예를 시간의 흐름에 따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1은 일실시예에 따른 급수장치가 저수압 조건에 해당하는 경우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되는 시각적 표시의 일 예를 도시한다.
도 12는 일실시예에 따른 유량센서에 이상이 있는 경우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되는 시각적 표시의 일 예를 도시한다.
도 13은 일실시예에 따른 급수장치가 저수압 조건에 해당하거나 유량센서에 이상이 있는 경우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되는 시각적 표시의 일 예를 도시한다.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개시된 발명의 바람직한 일 예에 불과할 뿐이며, 본 출원의 출원시점에 있어서 본 명세서의 실시예와 도면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개시된 발명을 제한 및/또는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예를 들어, 본 명세서에서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의 조합이 존재함을 표현하고자 하는 것이며,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의 조합의 추가적인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배제하지 않는다.
또한, "제1 ", "제2 "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기 위하여 사용되며, 상기 하나의 구성요소들을 한정하지 않는다.
또한, "~부", "~기", "~블록", "~부재", "~모듈"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용어들은 FPGA (field-programmable gate array)/ ASIC (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 등 적어도 하나의 하드웨어, 메모리에 저장된 적어도 하나의 소프트웨어 또는 프로세서에 의하여 처리되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스를 의미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개시된 발명의 일 실시예가 상세하게 설명된다. 첨부된 도면에서 제시된 동일한 참조번호 또는 부호는 실질적으로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는 부품 또는 구성요소를 나타낼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작용 원리 및 실시예들에 대해 설명한다.
도 1은 일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냉장고의 도어가 열린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도 1의 냉장고에서 내상과, 내상에 배치된 급수장치(50)와 제빙유닛(1000) 및 급수유로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일실시예에 따른 냉장고(1)는 본체(10)와, 본체(10)의 내부에 마련되는 복수의 저장실(21, 22, 23)과, 복수의 저장실(21, 22, 23)을 개폐하는 복수의 도어(31, 32, 33, 34)와, 적어도 하나의 도어(31, 32, 33, 34)에 마련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부와, 복수의 저장실(21, 22, 23)에 냉기를 공급하는 냉각장치(520)를 포함할 수 있다.
냉장고(1)는 물품을 저온에서 보관할 수 있는 장치를 의미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냉장고(1)는 물품을 저온에서 보관할 수 있도록 냉매(refrigerant)의 증발 및 압축을 반복함으로써 저장실(21, 22, 23)의 온도를 사용자가 원하는 수준 이하로 유지시킬 수 있는 장치를 의미한다.
본체는 저장실을 형성하는 내상(11)과, 내상(11)의 외측에 결합되어 외관을 형성하는 외상(12)과, 저장실(21, 22, 23)을 단열하도록 내상(11)과 외상(12) 사이에 마련되는 단열재(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저장실(21, 22, 23)은 수평격벽(15)과 수직 격벽(16)에 의해 복수 개로 구획될 수 있다. 복수의 저장실(21, 22, 23)은 수평격벽(15)에 의해 상부의 저장실인 제1 저장실(21)과, 하부의 저장실인 제2 저장실(22) 및 제3 저장실(23)로 구획될 수 있고, 하부의 저장실은 수직 격벽(16)에 의해 제2 저장실(22)과 제3 저장실(23)로 구획될 수 있다.
제1 저장실(21)인 상부의 저장실은 냉장실로 사용될 수 있다. 제2 저장실(22) 및 제3 저장실(23)인 하부의 저장실은 냉동실로 사용될 수 있다. 다만, 상기와 같은 복수의 저장실(21, 22, 23)의 분할 용도는 하나의 예에 불과하며,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이하에서, 상부의 저장실인 제1 저장실(21)을 냉장실이라 칭하고, 하부의 저장실인 제2 저장실(22) 및 제3 저장실(23)을 냉동실이라 칭한다.
냉장실은 대략 영상 3 ℃의 온도로 유지되어 식품을 냉장 보관할 수 있고, 냉동실은 대략 영하 18.5 ℃의 온도로 유지되어 식품을 냉동 보관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와 달리 냉장고(1)는 저장실이 수직 격벽(16)에 의해 좌측과 우측으로 구획되는 SBS(SIDE BY SIDE)타입, 저장실이 수평격벽(15)에 의해 상측의 냉장실과 하측의 냉동실로 구획되는 FDR(FRENCH DOOR REFRIGERATOR)타입일 수도 있다.
복수의 저장실(21, 22, 23)의 내부에는 식품을 올려놓는 선반(26)과, 식품을 보관하는 저장용기(27)가 마련될 수 있다.
냉각장치(520)는 냉매를 압축하고, 응축하고, 팽창시키고, 증발시키는 냉각 순환 사이클을 이용하여 냉기를 생성하고, 생성된 냉기를 복수의 저장실(21, 22, 23)에 공급할 수 있다. 이를 위해, 냉각장치(520)는 압축기와, 응축기와, 팽창기와 증발기를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라, 냉각장치(520)는 복수의 저장실(21, 22, 23) 중 적어도 하나에 마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냉각장치(520)는 상부의 저장실(21)에만 마련되거나, 하부의 저장실(22, 23)에만 마련되거나, 상부의 저장실(21) 및 하부의 저장실(22, 23) 각각에 마련될 수도 있다.
이에 따라, 냉각장치(520)는 적어도 하나의 저장실(21, 22, 23)을 냉각시킬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저장실(21, 22, 23)의 내부에는 온도센서(T11, T22)가 마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온도센서는 제1 저장실(21)의 온도를 감지하는 제1 온도센서(T11)와, 제2 저장실(22) 및/또는 제3 저장실(23)의 온도를 감지하는 제2 온도센서(T22)를 포함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온도센서(T11, T22)는 냉각장치(520)를 구성하는 증발기의 하류에 배치된 온도센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온도센서(T11, T22)는 제빙유닛(1000) 내에 마련될 수 있으며, 제빙장치 내부의 공기 온도를 감지할 수도 있다.
냉장실은 한 쌍의 도어에 의해 개폐될 수 있다. 한 쌍의 도어는 본체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한 쌍의 도어는 제1 도어(31)와 제2 도어(32)를 포함할 수 있다.
한 쌍의 도어 중 제1 도어(31)에는 한 쌍의 도어가 닫힐 시에 한 쌍의 도어 사이로 냉기가 유출되는 것을 방지하는 필러(43)가 마련될 수 있다.
좌측 냉동실인 제2 저장실(22)은 제3 도어(33)에 의해 개폐될 수 있으며, 제3 도어(33)는 본체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우측 냉동실인 제3 저장실(23)은 제4 도어(34)에 의해 개폐될 수 있으며, 제4 도어(34)는 본체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복수의 도어(31, 32, 33, 34)는 식품을 저장하는 도어 저장 공간을 갖는 도어바스켓(39, 40)을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도어(31, 32, 33, 34)의 배면에는 복수의 저장실(21, 22, 23)을 밀폐하도록 본체의 전면에 밀착되는 가스켓이 마련될 수 있다.
복수의 도어(31, 32, 33, 34)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내부도어(35)와 외부도어(36)를 갖는 이중 도어로 구성될 수 있다. 일례로, 제1 도어(31)는 내부도어(35)와 외부도어(36)를 포함할 수 있다.
내부도어(35)는 힌지를 통해 본체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내부도어(35)는 도어내부공간을 가질 수 있다. 도어내부공간은 내부도어(35)의 테두리부분을 제외한 중앙부에 형성될 수 있다. 도어내부공간은 내부도어(35)의 전면과 배면 사이에 연장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내부도어(35)가 닫힐 시에 도어내부공간은 냉장실에 연통될 수 있다.
도어내부공간에는 도어바스켓(39, 40)이 장착될 수 있다.
도어내부공간에는 디스펜서(미도시)가 마련될 수 있다. 또한, 도어내부공간에는 물통이 장착될 수 있는 물통장착공간(72)과 물통장착공간(72)에 물통이 장착될 시 물통의 수위를 감지하는 수위센서(미도시)를 포함하는 자동급수장치가 마련될 수 있다.
자동급수장치를 통해 물통이 물통장착공간(72)에 장착될 시 물통에 소정 량의 물이 채워질 수 있다. 즉, 자동급수장치는 오토필(auto-fill)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저장실(21, 22, 23)에는 급수장치(50)가 배치될 수 있다.
급수장치(50)는 외부 급수원(미도시)으로부터 공급되는 물을 정수 및 저장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급수장치(50)는 필터 및 물탱크 등을 포함할 수 있다.
급수장치(50)는 냉장실(21)의 일 측에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면, 급수장치(50)는 냉장실 내에 좌우로 나란하게 배치되는 한 쌍의 저장용기(27)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다만, 급수장치(50)의 위치는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급수장치(50)는 냉장실 내부에서 적절한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냉장고(1)의 냉동실에는 제빙유닛(1000)이 배치될 수 있다. 제빙유닛(1000)은 냉동실의 냉기를 이용하여 얼음을 생성할 수 있다. 제빙유닛(1000)은 저장실의 내부에 마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빙유닛(1000)은 좌측 냉동실인 제2 저장실(22)에 배치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제빙유닛(1000)은 좌측 냉동실의 좌측 상단에 배치될 수 있다. 다만, 제빙유닛(1000)의 설치 위치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제빙유닛(1000)은 우측 냉동실인 제3 저장실(23)에 배치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빙유닛(1000)은 적어도 하나의 제빙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빙유닛(1000)은 한 쌍의 제빙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한 쌍의 제빙장치(200, 400)는 제1 제빙장치(200)와 제2 제빙장치(400)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제빙장치(200)와 제2 제빙장치(400)는 좌우로 나란하게 배치될 수 있다.
다만, 일실시예에서 제빙유닛(1000)은 제1 제빙장치(200) 또는 제2 제빙장치(400) 중 어느 하나만을 포함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제빙유닛(1000)이 복수 개의 제빙장치를 포함하는 경우, 예를 들어, 제빙유닛(1000)이 제1 제빙장치(200)와 제2 제빙장치(400)를 포함하는 경우, 제1 제빙장치(200)와 제2 제빙장치(400)는 서로 다른 형태의 얼음을 생성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제1 제빙장치(200)와 제2 제빙장치(400) 중 어느 하나로부터 원하는 형태의 얼음을 선택할 수 있다.
또한, 제빙장치가 복수로 마련됨에 따라, 제빙유닛(1000)이 생성하는 얼음의 양이 증가할 수 있다. 사용자는 제빙장치가 1개인 냉장고(1) 대신 상대적으로 충분한 양의 얼음을 취출할 수 있다.
급수장치(50)는 제빙유닛(1000)에게 물을 공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급수장치(50)는 제빙유닛(1000)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제빙장치의 제빙트레이에 물을 공급할 수 있다.
급수장치(50)는 외부 급수원으로부터 공급된 물을 제1 제빙장치(200)로 연결하는 제1 연결호스(51)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급수장치(50)는 외부 급수원으로부터 공급된 물을 제2 제빙장치(400)로 연결하는 제2 연결호스(52)를 포함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라, 급수장치(50)는 제1 제빙장치(200)에 물을 공급하는 제1 급수장치(53)와, 제2 제빙장치(400)에 물을 공급하는 제2 급수장치(54)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급수장치(53)는 제1 연결호스(51)를 개폐하는 제1 급수밸브(51a)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급수밸브(51a)는 제1 제빙장치(200)와 연결된 급수유로를 개폐할 수 있다.
또한, 제2 급수장치(54)는 제2 연결호스(52)를 개폐하는 제2 급수밸브(52a)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급수밸브(52a)는 제2 제빙장치(400)와 연결된 급수유로를 개폐할 수 있다.
급수장치(50)는 제1 급수밸브(51a)를 개방함으로써 제1 연결호스(51)를 통해 제1 제빙장치(200)에게 물을 공급할 수 있다. 또한, 급수장치(50)는 제2 급수밸브(52a)를 개방함으로써 제2 연결호스(52)를 통해 제2 제빙장치(400)에게 물을 공급할 수 있다.
냉장고(1)는 급수장치(50)의 급수량을 감지하는 유량센서(51b, 52b)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급수장치(50)는 급수량을 감지하는 유량센서(51b, 52b)를 자체적으로 포함할 수도 있다.
유량센서(51b, 52b)는 제1 급수밸브(51a)의 하류에 마련되어 제1 제빙장치(200)에 급수되는 급수량을 감지하는 제1 유량센서(51b) 및/또는 제2 급수밸브(52a)의 하류에 마련되어 제2 제빙장치(400)에 급수되는 급수량을 감지하는 제2 유량센서(52b)를 포함할 수 있다.
유량센서(51b, 52b)는 제빙장치(200, 400), 보다 구체적으로는 제빙장치(200, 400)의 제빙트레이(170 및 270, 410)에 공급되는 물의 양을 감지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서, 유량센서(51b, 52b)는 임펠러를 포함할 수 있으며, 임펠러의 회전에 따라 펄스(=펄스 신호)를 발생하는 회로 구성을 포함할 수 있다.
유량센서(51b, 52b)에 물이 통과하면 물의 압력에 의해 임펠러가 회전하고, 임펠러의 회전에 따라 펄스가 발생되고, 펄스의 개수에 따라 유량센서(51b, 52b)를 통과하는 물의 양이 측정될 수 있다.
도 4는 도 3의 제빙유닛 부분을 확대하여 도시한 투시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외부 급수원으로부터 공급된 물은 제1 급수장치(53)를 거쳐 제1 제빙장치(200)로 공급될 수 있고, 외부 급수원으로부터 공급된 물은 제2 급수장치(54)를 거쳐 제2 제빙장치(400)로 공급될 수 있다. 제1 급수장치(53)와 제2 급수장치(54)는 내상(11)을 관통하여 제빙하우징(100)의 상부에 마련될 수 있다.
제1 급수장치(53)와 제2 급수장치(54)는 제1 연결호스(51)와 제2 연결호스(52)의 물을 제1 제빙장치(200)와 제2 제빙장치(400)로 각각 안내하는 제1 급수관(51c) 및/또는 제2 급수관(52c)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급수관(51c)과 제2 급수관(52c)은 메탈 재질로 형성될 수 있고, 일 예로, 알루미늄 재질로 마련될 수 있다. 제1 급수관(51c)과 제2 급수관(52c)의 적어도 일부분을 커버하도록 단열부(미도시)가 마련될 수 있다. 또한, 도면에 구체적으로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제1 급수관(51c)과 제2 급수관(52c)은 히터(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제1 급수관(51c)과 제2 급수관(52c) 내부의 물이 얼어 제1 급수관(51c)과 제2 급수관(52c)의 입출구를 막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제빙유닛(1000)은 제1 제빙장치(200) 및/또는 제2 제빙장치(400)를 수용하는 제빙하우징(100)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제빙장치(200) 및/또는 제2 제빙장치(400)는 급수장치(50)로부터 공급된 물을 냉각시켜 얼음을 생성할 수 있다.
또한, 제빙유닛(1000)은 제1 제빙장치(200) 및/또는 제2 제빙장치(400)로부터 생성된 얼음을 저장하도록 마련되는 아이스버킷(60)을 포함할 수 있다.
아이스버킷(60)은 제빙하우징의 일 면에 장착될 수 있으며, 제1 제빙장치(200)로부터 생성된 얼음을 저장하는 제1 아이스버킷과, 제2 제빙장치(400)로부터 생성된 얼음을 저장하는 제2 아이스버킷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제빙장치(200)와 제2 제빙장치(400)는 서로 상이한 형상 및/또는 크기의 얼음을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제빙장치(200)는 구형 얼음을 생성할 수 있다. 구형 얼음은 크래프트 얼음이라고도 호칭될 수 있다.
또한, 제2 제빙장치(400)는 구형 얼음이 아닌 다른 형태의 얼음을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제빙장치(400)는 각얼음을 생성할 수 있다.
다만, 제1 제빙장치(200) 및 제2 제빙장치(400)가 생성하는 얼음의 종류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5는 도 4의 제빙유닛을 구성하는 제빙장치의 일 예를 도시한다.
도 5를 참조하면, 제1 제빙장치(200)는 커버프레임(120)을 포함할 수 있다. 커버프레임(120)은 제빙하우징(100, 도 3 참조)의 내부에서 제빙하우징(100)과 결합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커버프레임(120)은 대략 일 측면과 하면이 개방된 박스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다.
제1 제빙장치(200)는 워터패스(130)를 포함할 수 있다. 워터패스(130)는 커버프레임(120)의 일 면에 장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워터패스(130)는 커버프레임(120)의 상면에 장착될 수 있다. 워터패스(130)는 급수장치(50)로부터 공급된 물이 커버프레임(120) 내측으로 이동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다시 말해, 워터패스(130)는 급수장치(50)로부터 공급된 물을 제빙트레이(170, 270)로 전달할 수 있다.
제빙트레이(170, 270)는 제1 제빙트레이(170) 및 제2 제빙트레이(270)를 포함할 수 있다.
즉, 워터패스(130)는 급수장치(50)로부터 공급된 물을 제1 제빙트레이(170) 및 제2 제빙트레이(270) 내부로 이동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제1 제빙장치(200)는 커버프레임(120)에 형성되는 제1 케이스(140)와, 제1 케이스(140)에 수용되는 제1 제빙트레이(170)와 제1 고정프레임(190) 및 제1 가열장치(160)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케이스(140)는 커버프레임(120)의 일 면에 형성될 수 있다. 제1 케이스(140)는 커버프레임(120)과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으나, 별도의 부재로 커버프레임(120)의 일 면에 결합되는 형태로 마련될 수 있다.
제1 케이스(140)는 제1 제빙트레이(170)를 수용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이러한 제1 케이스(140)의 상세한 구조에 관하여는 이후 도 8의 설명에서 후술하도록 한다.
제1 제빙트레이(170)는 제빙하우징(100)의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제1 제빙트레이(170)는 커버프레임(120)의 내부에 장착될 수 있다. 제1 제빙트레이(170)는 탄성을 갖는 재질로 마련될 수 있다.
제1 제빙트레이(170)는 급수장치(50)로부터 물을 공급받을 수 있다. 제1 제빙트레이(170)는 공급받은 물이 제1 제빙트레이(170) 내부의 제빙셀로 유입되도록 하는 제1 가이드부(172)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가이드부(172)는 제1 제빙트레이(170)의 상측에 형성될 수 있다.
제1 제빙트레이(170)는 얼음의 일부를 형성하도록 마련되는 제1 제빙셀(173)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제빙셀(173)은 대략 원형의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 제빙장치(200)에서 생성되는 얼음은 구형으로 마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1)의 제1 제빙장치(200)에서 제1 제빙셀(173)은 3개로 마련되는 것으로 도시 및 설명하였으나, 제1 제빙셀(173)의 개수는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제1 제빙트레이(170)는 제1 삽입홀(171)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삽입홀(171)은 복수로 마련될 수 있다.
제1 삽입홀(171)은 제1 고정프레임(190)의 제1 결합돌기(191)가 삽입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제1 고정프레임(190)이 제1 제빙트레이(170)를 제1 케이스(140)에 고정시킬 수 있다. 다시 말해, 제1 고정프레임(190)이 제1 제빙트레이(170)를 커버프레임(120)의 일 면에 고정시킬 수 있다.
제1 고정프레임(190)은 제1 결합돌기(191)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결합돌기(191)는 제1 삽입홀(171)의 개수에 대응하여 복수로 마련될 수 있다. 제1 결합돌기(191)는 제1 고정프레임(190)의 일 면에서 제1 제빙트레이(170)를 향해 연장될 수 있다. 제1 결합돌기(191)는 후술할 제1 케이스(140)의 제1 관통홀(142)에도 삽입되어 제1 케이스(140)와 결합될 수 있다.
제1 고정프레임(190)은 제1 제빙트레이(170)의 제1 제빙셀(173) 테두리를 지지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제1 제빙트레이(170)의 재질이 탄성을 갖는 재질로 마련되므로 제1 제빙트레이(170)의 부족한 강성을 제1 고정프레임(190)을 통해 보강할 수 있다.
제1 제빙장치(200)는 제1 가열장치(160)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가열장치(160)는 제1 제빙트레이(170)와 제1 케이스(140)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제1 가열장치(160)는 제1 제빙트레이(170)와 커버프레임(120)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제1 제빙트레이(170)의 일 면에 제1 가열장치(160)를 배치함으로써 제1 제빙트레이(170)의 제1 제빙셀(173)에서 얼음 형성이 완료된 후, 제1 제빙셀(173)로부터 얼음을 용이하게 분리할 수 있다.
따라서, 커버프레임(120)의 일 면에 형성되는 제1 케이스(140)와, 제1 가열장치(160), 제1 제빙트레이(170) 및 제1 고정프레임(190)은 커버프레임(120)의 일 측에 고정되도록 마련된다.
제1 제빙장치(200)는 제2 케이스(240)와, 제2 케이스(240)에 수용되는 제2 제빙트레이(270)와 제2 고정프레임(290) 및 제2 가열장치(260)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케이스(240)는 커버프레임(120)의 내부에서 이동 가능하게 마련될 수 있다.
제2 케이스(240)는 제2 제빙트레이(270)를 수용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제2 케이스(240)는 제2 트레이수용부(241)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트레이수용부(241)는 제2 제빙트레이(270)의 제2 제빙셀(273)이 수용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제2 트레이수용부(241)는 제2 제빙셀(273)의 개수에 대응하여 3개로 마련될 수 있다.
제2 케이스(240)는 제2 관통홀(242)을 포함할 수 있다. 제2 관통홀(242)은 제2 트레이수용부(241)에 절개되어 형성될 수 있다. 제2 관통홀(242)은 후술할 제2 이젝터(250)의 가압부가 관통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제2 케이스(240)는 제2 고정부(243)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고정부(243)는 후술할 제2 고정프레임(290)의 제2 결합돌기(291)가 삽입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제2 케이스(240)는 제2 탄성부재장착부(244)를 포함할 수 있다. 후술할 랙기어(330)와 제2 케이스(240)를 연결하는 탄성부재(335)가 제2 탄성부재장착부(244)에 장착될 수 있다.
제2 케이스(240)는 돌기부(245)를 포함할 수 있다. 돌기부(245)는 제2 케이스(240)의 측면에서 외측으로 연장될 수 있다. 돌기부(245)는 후술할 제1 이젝터(150)의 레그부(153)에 삽입될 수 있다. 이와 관련한 자세한 내용은 후술한다.
제2 제빙트레이(270)는 제빙하우징(100)의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제2 제빙트레이(270)는 커버프레임(120)의 내부에 장착될 수 있다. 제2 제빙트레이(270)는 탄성을 갖는 재질로 마련될 수 있다. 제2 제빙트레이(270)는 제1 제빙트레이(170)와 맞물려 얼음의 나머지 부분을 형성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제2 제빙트레이(270)는 급수장치(50)로부터 물을 공급받을 수 있다. 제2 제빙트레이(270)는 공급받은 물이 제2 제빙트레이(270) 내부의 제2 제빙셀(273)로 유입되도록 제2 가이드부(272)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가이드부(272)는 제2 제빙트레이(270)의 상측에 형성될 수 있다.
제2 제빙트레이(270)는 얼음의 나머지 일부를 형성하도록 마련되는 제2 제빙셀(273)을 포함할 수 있다. 제2 제빙셀(273)은 대략 원형의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 제빙장치(200)에서 생성되는 얼음은 구형으로 마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1)의 제1 제빙장치(200)에서 제2 제빙셀(273)은 3개로 마련되는 것으로 도시 및 설명하였으나, 제2 제빙셀(273)의 개수는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제2 제빙트레이(270)는 제2 삽입홀(271)을 포함할 수 있다. 제2 삽입홀(271)은 복수로 마련될 수 있다.
제2 삽입홀(271)은 제2 고정프레임(290)의 제2 결합돌기(291)가 삽입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제2 고정프레임(290)이 제2 제빙트레이(270)를 제2 케이스(240)에 고정시킬 수 있다. 다시 말해, 제2 고정프레임(290)과 제2 제빙트레이(270) 및 제2 케이스(240)는 일체로 구동될 수 있다.
제2 고정프레임(290)은 제2 결합돌기(291)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결합돌기(291)는 제2 삽입홀(271)의 개수에 대응하여 복수로 마련될 수 있다. 제2 결합돌기(291)는 제2 고정프레임(290)의 일 면에서 제2 제빙트레이(270)를 향해 연장될 수 있다. 제2 결합돌기(291)는 제2 케이스(240)의 제2 관통홀(242)에도 삽입되어 제1 케이스(140)와 결합될 수 있다. 즉, 제2 결합돌기(291)는 제2 제빙트레이(270)의 제2 삽입홀(271)을 관통하여 제2 케이스(240)의 제2 관통홀(242)에 결합될 수 있다.
제2 고정프레임(290)은 제2 제빙트레이(270)의 제2 제빙셀(273) 테두리를 지지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제2 제빙트레이(270)의 재질이 탄성을 갖는 재질로 마련되므로 제2 제빙트레이(270)의 부족한 강성을 제2 고정프레임(290)을 통해 보강할 수 있다.
제1 제빙장치(200)는 제2 가열장치(260)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가열장치(260)는 제2 제빙트레이(270)와 제2 케이스(240)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제2 제빙트레이(270)의 일 면에 제2 가열장치(260)를 배치함으로써 제2 제빙트레이(270)의 제2 제빙셀(273)에서 얼음 형성이 완료된 후, 제2 제빙셀(273)로부터 얼음을 용이하게 분리할 수 있다.
따라서, 제2 케이스(240)와, 제2 가열장치(260), 제2 제빙트레이(270) 및 제2 고정프레임(290)은 커버프레임(120)의 타 측에서 일체로 거동되도록 마련된다. 또한, 제2 케이스(240)와 제2 가열장치(260), 제2 제빙트레이(270) 및 제2 고정프레임(290)은 커버프레임(120)에 대해 수평하게 이동하도록 마련된다. 다시 말해, 얼음을 형성하도록 마련되는 제2 제빙트레이(270)는 제1 제빙트레이(170)에 대해 수평하게 이동하도록 마련된다.
제1 제빙장치(200)는 제1 이젝터(150) 및 제2 이젝터(250)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이젝터(150)는 제1 제빙트레이(170)를 가압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제1 이젝터(150)는 제1 제빙트레이(170)의 제1 제빙셀(173)을 가압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제1 이젝터(150)는 제1 바디(151)와, 제1 가압부(152) 및 레그부(153)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바디(151)는 제2 케이스(240)와 나란한 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다. 즉, 제1 바디(151)는 제1 이젝터(150)의 이동 방향에 대해 수직한 방향을 따라 연장될 수 있다.
제1 가압부(152)는 제1 바디(151)로부터 연장되어 마련될 수 있다. 제1 바디(151)는 제1 가압부(152)를 지지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제1 이젝터(150)는 제1 케이스(140)에 형성되는 제1 관통홀(142)을 통과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 이젝터(150)의 제1 가압부(152)가 제1 관통홀(142)을 통과하여 제1 제빙트레이(170)를 가압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제1 이젝터(150)는 커버프레임(120)에 대해 이동 가능하게 마련될 수 있다. 제1 이젝터(150)는 제2 케이스(240)의 이동에 기반하여 이동 가능하게 마련될 수 있다.
제2 이젝터(250)는 커버프레임(120)의 일 측에 고정될 수 있다. 제2 이젝터(250)는 제2 제빙트레이(270)를 가압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제2 이젝터(250)는 제2 제빙트레이(270)의 제2 제빙셀(273)을 가압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제2 이젝터(250)는 제2 바디(251), 제2 가압부(252) 및 프레임결합부(253)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바디(251)는 제2 케이스(240)와 나란한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제2 가압부(252)는 제2 바디(251)로부터 제2 케이스(240)를 향해 연장될 수 있다. 프레임결합부(253)는 제2 바디(251)의 양 단부에 형성되어 커버프레임(120)과 결합될 수 있다.
제2 이젝터(250)는 제2 케이스(240)에 형성되는 제2 관통홀(242)을 통과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2 이젝터(250)의 제2 가압부(252)가 제2 관통홀(242)을 통과하여 제2 제빙트레이(270)를 가압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즉, 제2 이젝터(250)는 커버프레임(120)에 고정되고, 제2 제빙트레이(270)가 커버프레임(120)에 대해 이동함으로써 제2 이젝터(250)가 제2 제빙트레이(270)를 가압할 수 있다.
제1 제빙장치(200)는 구동부(300), 피니언(310), 바(320), 랙기어(330) 및 탄성부재(335)를 포함할 수 있다.
구동부(300)는 동력을 발생시키도록 마련될 수 있다. 구동부(300)의 내부에는 모터 및 회로기판 등의 각종 전장품이 배치될 수 있다. 구동부(300)는 커버프레임(120)에 결합될 수 있다.
피니언(310)은 구동부(300)에 결합되어 구동부(300)로부터 발생하는 동력을 전달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피니언(310)은 한 쌍으로 마련될 수 있다. 한 쌍의 피니언(310)은 바(320)에 의해 연결될 수 있다. 피니언(310)은 구동부(300)의 구동에 따라 회전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피니언(310)은 랙기어(330)와 맞물리도록 톱니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다.
랙기어(330)는 커버프레임(120)에 대해 이동 가능하게 마련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피니언(310)의 회전운동에 기반하여 랙기어(330)가 선형으로 이동될 수 있다.
랙기어(330)는 커버프레임(120)에 지지되는 지지부(332)를 포함할 수 있다. 랙기어(330)는 지지부(332)의 상면에 형성되는 톱니부(331)를 포함할 수 있다. 랙기어(330)의 톱니부(331)와 피니언(310)이 맞물려 랙기어(330)가 커버프레임(120)에 대해 수평으로 이동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랙기어(330)는 지지부(332)로부터 연장되는 제1 탄성부재장착부(333)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탄성부재장착부(333)에 탄성부재(335)가 장착될 수 있다.
즉, 피니언(310)과 랙기어(330)가 맞물려 구동부(300)의 회전운동을 선형운동으로 변환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의 실시예는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회전 운동을 선형 운동으로 변환할 수 있는 구조라면 어느 것이든 적용될 수 있다.
탄성부재(335)는 랙기어(330)와 제2 케이스(240)를 연결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즉, 랙기어(330)와 제2 케이스(240)는 연결될 수 있다.
이를 통해 랙기어(330)가 구동부(300)로부터 동력을 전달받아 이동함으로써, 이에 연동하여 제2 케이스(240)가 커버프레임(120)에 대해 수평하게 이동할 수 있다. 다시 말해, 제2 제빙트레이(270) 및 제2 케이스(240)는 랙기어(330)에 의해 커버프레임(120)에 대해 선형 이동할 수 있다.
즉, 제2 케이스(240)의 이동은 제2 제빙트레이(270)와 제2 가열장치(260) 및 제2 고정프레임(290)과 일체로 거동되는 것으로써 제2 제빙트레이(270)가 제1 제빙트레이(170)에 대해 수평하게 이동할 수 있다.
제1 제빙장치(200)는 아이스버킷(60)에 저장된 얼음의 만빙을 감지하기 위한 만빙감지센서(301)를 포함할 수 있다.
아이스버킷(60)에 저장된 얼음의 만빙을 감지하는 것은, 아이스버킷(60)이 얼음으로 꽉 찼는지 여부를 감지하는 것을 의미한다.
일실시예에서, 만빙감지센서(301)는 아이스버킷(60)을 향해 빛을 조사하는 발광부와 및 아이스버킷(60)에 수용된 얼음에서 반사되는 빛을 수신하는 수광부를 포함할 수 있다. 만빙감지센서(301)는 수광부에서 수신된 빛의 세기에 기초하여 만빙여부를 감지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서, 만빙감지센서(301)는 아이스버킷(60)의 상단부의 얼음의 물리적인 접촉을 감지하는 감지 레버 형태로 구현될 수도 있다.
다만, 만빙감지센서(301)의 예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아이스버킷(60)이 만빙 상태인지 여부를 감지할 수 있는 센서라면 만빙감지센서(301)로서 제한 없이 채용될 수 있다.
구동부는 피니언(310)에 동력을 전달함으로써 제1 제빙트레이와 제2 제빙트레이를 분리시킬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제1 제빙트레이와 제2 제빙트레이의 내부에서 형성된 얼음이 아이스버킷(60)으로 낙하할 수 있다.
즉, 제1 제빙셀(173)과 제2 제빙셀(273)의 내부에서 얼음 형성이 완료되면 구동부(300)에 의해 피니언(310)과 바(320)가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고, 이를 통해, 랙기어(330) 및 이에 연결된 제2 케이스(240)는 커버프레임(120)의 타 측으로 이동한다. 제2 케이스(240)가 제1 케이스(140)와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함에 따라 제1 제빙트레이(170)와 제2 제빙트레이(270)가 분리될 수 있다.
이 때, 제1 제빙트레이(170)와 제2 제빙트레이(270)의 사이에서 형성된 얼음이 어느 하나의 제빙트레이(170, 270)에 붙어 있다면, 구동부(300)에 의해 피니언(310)과 바(320)가 반시계 방향으로 지속적인 회전함에 따라, 얼음이 이젝터(150, 250)에 의해 가압됨으로써 제빙트레이(170, 270)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얼음이 제1 제빙트레이(170)와 제2 제빙트레이(270)에서 분리되면 구동부(300)에 의해 피니언(310)과 바(320)가 시계 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고, 이를 통해, 랙기어(330) 및 이에 연결된 제2 케이스(240)는 커버프레임(120) 측으로 이동한다. 제2 케이스(240)가 제1 케이스(140)와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이동함에 따라 제1 제빙트레이(170)와 제2 제빙트레이(270)가 접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1 제빙셀(173)과 제2 제빙셀(273)의 내부에서 형성된 얼음을 제빙트레이(170, 270)로부터 분리하는 동작을 이빙 동작이라고 한다.
이에 따라, 이빙 동작을 수행하는 구동부(300)는 이빙장치(300)로 호칭될 수 있다.
요약하면, 제1 제빙장치(200)는 급수장치(50)를 통해 공급된 물을 냉각시켜 구형의 얼음을 생성하고, 이를 아이스버킷(60)에 제공할 수 있다.
도 6은 도 4의 제빙유닛을 구성하는 제빙장치의 다른 예를 도시한다.
제2 제빙장치(400)는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제빙장치로서, 제1 제빙장치(200)와 중복되는 구성(예: 워터패스(130))의 설명은 생략한다.
도 6을 참조하면, 제2 제빙장치(400)는 제빙트레이(410)를 포함할 수 있다.
제빙트레이(410)는 각얼음을 형성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제빙트레이(410)는 물을 저수하는 적어도 하나의 제빙셀을 포함할 수 있다. 각각의 제빙셀은 격벽부에 의해 구획될 수 있다.
제빙트레이(410)는 회전축(411)을 포함할 수 있다. 회전축(411)은 제빙트레이(410)의 전/후방에서 제빙트레이(410)의 외측으로 돌출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제2 제빙장치(400)는 구동부(420)를 포함할 수 있다.
구동부(420)는 회전축(411) 전방에 결합되어 제빙트레이(410)를 회전시키도록 마련될 수 있다.
구동부(420)는 동력을 발생시키는 모터, 동력전달기어 및 회로기판 등의 각종 전장품을 포함할 수 있다. 구동부(420)는 제빙하우징(100)의 내측에 고정될 수 있다.
제2 제빙장치(400)는 만빙감지레버(430) 및 제2 레버장착부(440)를 포함할 수 있다.
만빙감지레버(430)는 제2 제빙장치(400)의 하부에 배치되는 아이스버킷(60)에 얼음이 가득 찼는지 여부를 감지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만빙감지레버(430)는 제2 레버장착부(440)에 의해 구동부(420)의 케이스에 결합될 수 있다.
만빙감지레버(430)는 구동부(420)의 케이스에 대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만빙감지레버(430)는 구동부(420)의 케이스에 결합되는 제2 레버장착부(440)를 축으로 하여 상하 방향으로 회전 가능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레버장착부(440)는 구동부(420)의 케이스의 측부에 결합되어 만빙감지레버(430)와 구동부(420)의 케이스를 연결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레버장착부(440)는 구동부(420)의 케이스와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만빙감지레버(430)는 다른 종류의 만빙감지센서(301, 430)로 대체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만빙감지레버(430)는 발광부와 수광부를 포함하는 만빙감지센서(301, 430)에 의해 대체될 수 있다.
제빙트레이(410)는 모터결합부(412)를 포함할 수 있다. 모터결합부(412)는 제빙트레이(410)의 전방에 형성되어, 구동부(420)와 연결될 수 있다.
구동부(420)는 회전축(411)에 동력을 전달함으로써 제빙트레이(410)를 회전시킬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제빙트레이(410)에서 생성된 얼음이 아이스버킷(60)으로 낙하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빙트레이(410)에서 형성된 얼음을 제빙트레이(410)로부터 분리하는 동작을 이빙 동작이라고 한다.
이에 따라, 이빙 동작을 수행하는 구동부(420)는 이빙장치(420)로 호칭될 수 있다.
이상으로는 복수의 제빙장치를 포함하는 제빙유닛(1000)을 설명하였으나, 제빙유닛(1000)은 하나의 제빙장치의 개수 및 종류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7은 일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의 제어 블록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냉장고(1)는 상술하여 설명한 구성들과, 상술하여 설명한 구성들을 제어하는 제어부(500)를 포함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서, 냉장고(1)는 급수장치(50)와, 유량센서(51b, 52b)와, 만빙감지센서(301, 430)와, 제빙장치(200, 400)와, 사용자 인터페이스부(510)와, 냉각장치(520)와, 제어부(500)를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라, 사용자 인터페이스부(510)는 컨트롤 패널로 구현될 수 있으며,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기 위한 입력부(512)와, 냉장고(1)의 동작과 관련된 정보를 표시하기 위한 디스플레이부(511)를 포함할 수 있다.
입력부(512)는 택트 스위치(tact switch), 푸시 스위치, 슬라이드 스위치, 토클 스위치, 마이크로 스위치, 터치 스위치, 터치 스크린 또는 버튼 등의 다양한 입력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511)는 LCD(Liquid Crystal Display), LED(Light Emitting Diode), PDP(Plasma Display Panel), OLED(Organic Light Emitting Diode), CRT(Cathode Ray Tube) 등으로 기 공지된 다양한 종류의 디스플레이로 구현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냉장고(1)에 관한 각종 정보를 시각적으로 표시할 수 있고, 사용자로부터 각종 제어 명령을 입력 받을 수 있는 유저 인터페이스를 표시할 수 있는 장치라면 제한 없이 디스플레이부(511)로 채용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라, 냉장고(1)는 사용자로부터 각종 정보를 제공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냉장고(1)에 관한 각종 제어 명령을 입력 받을 수 있도록 구현된 유저 인터페이스를 디스플레이부(511) 상에 표시할 수 있다.
제어부(500)는 냉장고(1)의 동작에 관한 제어 신호를 생성하는 프로세서(501)와, 냉장고(1)의 동작을 위한 프로그램, 어플리케이션, 인스트럭션 및/또는 데이터를 저장하는 메모리(502)를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501)와 메모리(502)는 별도의 반도체 소자로 구현되거나, 단일의 반도체 소자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제어부(500)는 복수의 프로세서(501)들 또는 복수의 메모리(502)들을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500)는 냉장고(1) 내부의 다양한 위치에 마련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어부(500)는 컨트롤 패널 내부에 마련되는 인쇄 회로 기판에 포함될 수 있다.
프로세서(501)는 연산 회로, 기억 회로 및 제어 회로를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501)는 하나의 칩을 포함하거나 또는 복수의 칩들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501)는 하나의 코어를 포함하거나 또는 복수의 코어들을 포함할 수 있다.
메모리(502)는 급수 동작 및 제빙 사이클을 수행하기 위한 프로그램과, 급수 동작 및 제빙 사이클을 수행하기 위해 필요한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메모리(502)는 S-램(Static Random Access Memory, S-RAM), D-램(Dynamic Random Access Memory, D-RAM)과 같은 휘발성 메모리와, 롬(Read Only Memory: ROM), 이피롬(Erasable Programmable Read Only Memory: EPROM)과 같은 비휘발성 메모리를 포함할 수 있다. 메모리(502)는 하나의 메모리 소자를 포함하거나 또는 복수의 메모리 소자들을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501)는 메모리(502)로부터 제공되는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데이터 및/또는 신호를 처리할 수 있고, 처리 결과에 기초하여 냉장고(1)의 각 구성에 제어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프로세서(501)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부(510)를 통해 수신되는 사용자 입력, 유량센서(51b, 52b)로부터 감지되는 급수량에 대한 데이터(예: 펄스 신호), 만빙감지센서(301, 430)로부터 감지되는 만빙 정보 등을 처리할 수 있다.
급수장치(50), 사용자 인터페이스부(510), 냉각장치(520) 및 제빙장치(200, 400)는 제어부(500)의 제어 신호에 기초하여 동작될 수 있다.
일실시예에서, 제어부(500)는 각종 정보를 표시하도록 사용자 인터페이스부(510)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500)는 적어도 하나의 저장실(21, 22, 23)이 소정의 온도를 유지하도록 냉각장치(520)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500)는 제빙 사이클을 수행하도록 제빙장치(200, 400)를 제어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서, 제어부(500)는 소정의 조건이 만족된 것에 기초하여 제빙트레이(170 및 270, 410)에 물을 공급하도록 급수장치(50)를 동작시킬 수 있으며, 소정의 조건이 만족된 것에 기초하여 급수를 중단하도록 급수장치(50)의 동작을 중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500)는 제빙 사이클이 종료되고 아이스버킷(60)이 만빙 상태가 아닌 것에 기초하여 급수 동작을 시작할 수 있다.
제빙트레이(170 및 270, 410)에 물을 공급하도록 급수장치(50)를 동작시키는 것은, 급수밸브(51a, 51b)를 개방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급수를 중단하도록 급수장치(50)의 동작을 중단하는 것은, 급수밸브(51a, 51b)를 폐쇄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500)는 급수 동작 시, 급수장치(50)를 동작시키고 유량센서(51b, 52b)로부터 감지된 급수량에 기초하여 급수장치(50)의 동작 중단 시점을 결정할 수 있다.
도 8은 일실시예에 따른 제빙장치에서 자동으로 얼음이 생성되는 과정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8을 참조하면, 제어부(500)는 급수장치(50)를 동작시킴으로써 제빙장치(200, 400)에 급수를 수행할 수 있다(1000).
제어부(500)는 제빙장치(200, 400)에 미리 설정된 유량만큼 물이 공급된 것에 기초하여 급수 동작을 중단하고 제빙 사이클을 수행할 수 있다(1100).
이 때, 미리 설정된 유량은 메모리(502)에 저장되어 있을 수 있으며, 제빙장치(200, 400)에 따라 서로 상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제빙장치(200)와 제2 제빙장치(400)에 대한 미리 설정된 급수량은 서로 상이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500)는 유량센서(51b, 52b)로부터 감지된 급수량에 따라 제빙장치(200, 400)에 미리 설정된 유량만큼 물이 공급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급수 수행 시 급수장치(50)의 동작 중단 시점에 관해서는 도 9를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라, 제빙 사이클은 제빙장치(200, 400)의 종류에 따라 서로 상이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서, 제1 제빙장치(200)의 경우, 제어부(500)는 가열장치(160, 260)를 미리 설정된 패턴으로 동작시킴으로써 얼음의 투명도를 향상시킬 수 있으며, 이빙 동작 이전에 가열장치(160, 260)를 동작시킴으로써 얼음을 제빙트레이(170 및 270)에서 용이하게 분리시킬 수 있는 상태로 만든 후, 이빙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서, 제2 제빙장치(400)의 경우, 제빙 사이클은 냉각장치(520)로부터 제빙트레이(410)에 냉기가 공급되는 상태를 미리 설정된 시간동안 유지한 후, 이빙 동작을 수행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제빙트레이(170 및 270, 410)에 생성된 얼음이 분리되어 아이스버킷(60)에 수용되면, 제어부(500)는 만빙감지센서(301, 430)를 동작시켜 아이스버킷(60)의 만빙 여부를 감지할 수 있다.
제어부(500)는 아이스버킷(60)이 만빙 상태인 것(1200의 예)에 응답하여 급수 동작을 수행하지 않을 수 있다.
제어부(500)는 아이스버킷(60)이 만빙 상태인 경우, 미리 설정된 주기마다 만빙감지센서(301, 430)를 동작시켜 아이스버킷(60)의 만빙 여부를 감지할 수 있다.
제어부(500)는 아이스버킷(60)이 만빙 상태가 아닌 것(1200의 아니오)에 응답하여 급수 동작을 수행하도록 급수장치(50)를 제어할 수 있다(1000).
급수동작이 수행된 후 제빙 사이클이 수행됨으로써 새로운 얼음이 아이스버킷(60)에 저장될 수 있다.
이와 같은 흐름을 통해 아이스버킷(60)에는 항상 얼음이 가득 찬 상태가 유지될 수 있다.
도 9는 일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의 제어방법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9를 참조하면, 제어부(500)는 미리 설정된 조건이 만족된 것에 기초하여 급수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도 8의 1000).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제어부(500)는 제빙 사이클에서 이빙 동작 이후 아이스버킷(60)이 만빙 상태가 아닌 것에 기초하여 급수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급수 동작이 시작되면 제어부(500)는 급수장치(50)를 동작시킬 수 있다(1010).
제어부(500)는 급수장치(50)를 동작시킨 후 유량센서(51b, 52b)로부터 감지된 급수량을 누적할 수 있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유량센서(51b, 52b)는 임펠러의 회전에 따라 펄스를 발생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유량센서(51b, 52b)는 펄스 신호의 발생 횟수(= 펄스의 개수)를 카운트함으로써 급수량을 감지할 수 있다. 즉, 유량센서(51b, 52b)는 임펠러의 회전에 따라 펄스를 출력할 수 있으며, 감지된 급수량은 유량센서(51b, 52b)로부터 출력된 펄스의 개수에 의해 정의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라, 유량센서(51b, 52b)는 제어부(500)에게 급수량에 대한 정보(예: 펄스 신호의 발생 횟수)를 전송할 수도 있고, 급수량에 대한 데이터(예: 펄스 신호의 발생 사실)를 전송할 수도 있다.
본 명세서에서, 유량센서(51b, 52b)로부터 감지된 급수량은 급수 장치의 동작 개시 이후부터 카운트된 펄스 신호의 발생 횟수를 의미할 수 있다.
도 10은 유량센서에 의해 기준시간 동안 감지된 급수량에 따라 급수장치의 동작이 제어되는 다양한 예를 시간의 흐름에 따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제어부(500)는 급수장치(50)의 동작 시점(t0)을 기준으로 기준시간(t1)을 카운팅할 수 있다.
제어부(500)는 급수장치(50)를 동작시킨 후 기준시간(t1) 동안 유량센서(51b, 52b)로부터 감지된 급수량에 기초하여 급수장치(50)의 동작 중단 시점을 결정할 수 있다.
제어부(500)는 급수장치(50)를 동작시킨 후 기준시간(t1)이 경과한 것(1020의 예)에 응답하여 유량센서(51b, 52b)로부터 감지된 급수량을 식별할 수 있다(1030).
즉, 제어부(500)는 급수장치(50)를 동작시킨 후 기준시간(t1) 동안 유량센서(51b, 52b)로부터 감지된 급수량(예: 펄스 신호의 발생 횟수)을 식별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급수장치(50)를 동작시킨 후 기준시간(t1) 동안 유량센서(51b, 52b)로부터 감지된 급수량을 '기준 급수량'으로 정의한다.
도 10의 상단 그래프를 참조하면, 제어부(500)는 기준 급수량이 제1 임계값(d1) 이상인 것(1040의 예)에 기초하여 유량센서(51b, 52b)로부터 감지된 급수량(Pulse)이 제1 기준값(c1)에 도달하는 시점을 급수장치(50)의 동작 중단 시점으로 결정할 수 있다(1045).
즉, 제어부(500)는 기준 급수량이 제1 임계값(d1) 이상이면 유량센서(51b, 52b)로부터 감지된 급수량이 제1 기준값(c1)에 도달한 것에 응답하여 급수장치(50)의 동작을 중단할 수 있다.
도 10의 중간 그래프를 참조하면, 제어부(500)는 기준 급수량이 제1 임계값(d1)보다 작고 제2 임계값(d2) 이상인 것(1040의 아니오, 1050의 예)에 기초하여 유량센서(51b, 52b)로부터 감지된 급수량(Pulse)이 제2 기준값(c2)에 도달하는 시점을 급수장치(50)의 동작 중단 시점으로 결정할 수 있다(1055).
즉, 제어부(500)는 기준 급수량이 제1 임계값(d1)보다 작고 제2 임계값(d2) 이상이면 유량센서(51b, 52b)로부터 감지된 급수량이 제1 기준값(c1)보다 작은 제2 기준값(c2)에 도달한 것에 응답하여 급수장치(50)의 동작을 중단할 수 있다.
이 때, 제1 임계값(d1)은 제2 임계값(d2)보다 크고, 제1 기준값(c1)은 제2 기준값(c2)보다 클 수 있다.
도 10의 하단 그래프를 참조하면, 제어부(500)는 기준 급수량이 제2 임계값(d2)보다 작은 것(1050의 아니오)에 기초하여 유량센서(51b, 52b)로부터 감지된 급수량과 무관하게 기준시간(t1)을 기준으로 소정의 시간(t2)이 경과한 시점(t1+t2)을 급수장치(50)의 동작 중단 시점으로 결정할 수 있다(1060).
즉, 제어부(500)는 기준 급수량이 제2 임계값(d2)보다 작으면 소정의 시간(t2)이 경과한 것에 응답하여 급수장치(50)의 동작을 중단할 수 있다.
제1 임계값(d1), 제2 임계값(d2), 제1 기준값(c1), 제2 기준값(c2) 및 소정의 시간(t2)은 미리 설정된 값으로, 메모리(502)에 저장되어 있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임계값(d1)은 펄스 신호의 발생 횟수를 기준으로, 180 내지 220 중 어느 하나의 자연수로 사전에 설정될 수 있다.
또한, 제2 임계값(d2)은 펄스 신호의 발생 횟수를 기준으로, 45 내지 55 중 어느 하나의 자연수로 사전에 설정될 수 있다.
제1 임계값(d1)과 제2 임계값(d2)은 실험적으로 획득된 값으로, 유량센서(51b, 52b)의 이상 및/또는 급수장치(50)의 이상을 판단하기 위한 최적의 값일 수 있다.
또한, 제1 기준값(c1)은 펄스 신호의 발생 횟수를 기준으로, 1015 내지 1055 중 어느 하나의 자연수로 사전에 설정될 수 있다.
또한, 제2 기준값(c2)은 펄스 신호의 발생 횟수를 기준으로, 960 내지 1000 중 어느 하나의 자연수로 사전에 설정될 수 있다.
제1 기준값(c1) 및 제2 기준값(c2)은 실험적으로 획득된 값으로, 제빙장치(200, 400)에 실제로 공급되는 물의 양이 소정의 양을 충족하도록 만들기 위한 최적의 값일 수 있다.
기준 급수량이 제1 임계값(d1) 이상이면 유량센서(51b, 52b) 및 급수장치(50)가 정상적으로 동작하고 있다는 사실이 강력하게 추정될 수 있다. 즉, 제1 임계값(d1)은 유량센서(51b, 52b) 및 급수장치(50)가 정상적으로 동작할 때 기준시간(t1) 동안 유량센서(51b, 52b)로부터 감지된 급수량의 실험적인 데이터를 통해 사전에 결정될 수 있다.
유량센서(51b, 52b) 및 급수장치(50)가 정상적으로 동작하고 있는 경우에는, 사전에 정의된 제1 기준값(c1)이 최적의 급수량을 대변한다. 이에 따라, 본 실시예에 따르면 유량센서(51b, 52b) 및 급수장치(50)가 정상적으로 동작하고 있는 경우 유량센서(51b, 52b)로부터 감지된 급수량이 제1 기준값에 도달하면 급수장치(50)의 동작이 중단된다.
기준 급수량이 제1 임계값(d1)보다 작고 제2 임계값(d2) 이상이면 유량센서(51b, 52b)는 정상적으로 동작하나, 급수장치(50)에 이상이 있다는 사실(예: 저수압 조건)이 강력하게 추정될 수 있다. 즉, 제2 임계값(d2)은 유량센서(51b, 52b)가 정상적으로 동작하고 급수장치(50)에 이상이 있을 때 기준시간(t1) 동안 유량센서(51b, 52b)로부터 감지된 급수량의 실험적인 데이터를 통해 사전에 결정될 수 있다.
유량센서(51b, 52b)가 정상적으로 동작하고 있으나, 급수장치(50)에 이상이 있는 경우, 특히, 저수압 조건인 경우(예: 시간 당 급수량이 작은 경우), 유속의 감소로 인해 유량센서(51b, 52b)의 임펠러에 대해 슬립 현상이 발생한다. 유량센서(51b, 52b)의 임펠러에 슬립 현상이 발생하는 경우, 펄스 신호가 발생하지 않으며, 이에 따라, 제빙장치(200, 400)에 공급되는 물의 양은 동일한데 펄스 신호의 발생 횟수가 줄어드는 현상이 발생한다.
즉, 급수장치(50)에 이상이 있는 경우에도 유량센서(51b, 52b)로부터 감지된 급수량이 제1 기준값에 도달할 때까지 급수장치(50)를 동작시킨다면 제빙장치(200, 400)에 공급되는 물의 양이 너무 많을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실시예에 따르면, 급수장치(50)에 이상이 있는 경우에는 감지된 급수량이 제1 기준값(c1)보다 작은 제2 기준값(c2)에 도달하면 급수장치(50)의 동작이 중단된다. 사전에 정의된 제2 기준값(c2)은 저수압 조건에서의 최적의 급수량을 대변한다.
기준 급수량이 제2 임계값(d2)보다 작으면 급수장치(50)는 정상적으로 동작하나, 유량센서(51b, 52b)에 이상이 있다는 사실이 강력하게 추정될 수 있다. 즉, 제2 임계값(d2)은 급수장치(50)가 정상적으로 동작하고 유량센서(51b, 52b)에 이상이 있을 때 기준시간(t1) 동안 유량센서(51b, 52b)로부터 감지된 급수량의 실험적인 데이터를 통해 사전에 결정될 수 있다.
급수장치(50)가 정상적으로 동작하고 있으나, 유량센서(51b, 52b)에 이상이 있는 경우, 유량센서(51b, 52b)로부터 획득되는 데이터 및/또는 정보를 신뢰할 수 없다.
즉, 유량센서(51b, 52b)에 이상이 있는 경우에도 유량센서(51b, 52b)로부터 감지된 급수량에 기초하여 급수장치(50)의 동작 시점을 결정한다면, 제빙장치(200, 400)에 실제로 공급되는 물의 양을 예측할 수가 없다.
이에 따라, 본 실시예에 따르면, 유량센서(51b, 52b)에 이상이 있는 경우에는 유량센서(51b, 52b)로부터 감지된 급수량과 무관하게 소정의 시간이 경과하면 급수장치(50)의 동작이 중단된다.
본 개시에 따르면, 두 개의 임계값(d1, d2)을 사용함으로써 유량센서(51b, 52b)에 이상이 있는 것인지 또는 급수장치(50)에 이상이 있는 것인지 여부를 추정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각각의 이상 상태에 걸맞도록 급수장치(50)를 제어할 수 있다.
특히, 구형 얼음을 만드는데 있어서 제빙트레이(170 및 270, 410)에 대한 급수량 및 급수시간은 얼음의 품질을 좌우한다. 얼음의 품질을 일정하게 유지하기 위해서는 제빙 사이클이 수행되기 이전에 항상 일정한 양의 물이 제빙장치(200, 400)에 공급되어야 한다.
본 개시에 따르면 두 개의 임계값(d1, d2)을 사용함으로써 항상 일정한 양의 물을 제빙장치(200, 400)에 공급할 수 있다.
또한, 본 개시에 따르면 항상 일정한 크기의 얼음을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도 11은 일실시예에 따른 급수장치가 저수압 조건에 해당하는 경우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되는 시각적 표시의 일 예를 도시한다.
제어부(500)는 기준 급수량이 제1 임계값(d1)보다 작고 제2 임계값 이상인 것에 기초하여 급수장치(50)에 이상이 있는 것으로 결정할 수 있다.
급수장치(50)에 이상이 있는 것은, 급수장치(50)로부터 공급되는 물에 의한 수압이 작은 것(저수압 조건)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1을 참조하면, 일실시예에서, 제어부(500)는 기준 급수량이 제1 임계값(d1)보다 작고 제2 임계값(d2) 이상인 것에 기초하여 저수압 조건임을 알리는 시각적 표시(V1)를 출력하도록 사용자 인터페이스부(510; 예: 디스플레이부(511))를 제어할 수 있다.
본 개시에 따르면, 사용자는 급수장치(50)가 저수압 조건에 해당한다는 점을 인지하고 이를 해결할 수 있다.
도 12는 일실시예에 따른 유량센서에 이상이 있는 경우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되는 시각적 표시의 일 예를 도시한다.
제어부(500)는 기준 급수량이 제2 임계값(d2)보다 작은 것에 기초하여 유량센서(51b, 52b)에 이상이 있는 것으로 결정할 수 있다.
유량센서(51b, 52b)에 이상이 있는 것은, 유량센서(51b, 52b)가 고장 난 것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2를 참조하면, 일실시예에서, 제어부(500)는 기준 급수량이 제2 임계값(d2)보다 작은 것에 기초하여 유량센서(51b, 52b)가 고장 난 것을 알리는 시각적 표시(V2)를 출력하도록 사용자 인터페이스부(510; 예: 디스플레이부(511))를 제어할 수 있다.
본 개시에 따르면, 사용자는 유량센서(51b, 52b)의 고장 사실을 인지하고 이를 해결할 수 있다.
도 13은 일실시예에 따른 급수장치가 저수압 조건에 해당하거나 유량센서에 이상이 있는 경우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되는 시각적 표시의 일 예를 도시한다.
급수장치(50)가 저수압 조건에 해당하거나 유량센서(51b, 52b)에 이상이 있는 경우, 급수장치(50)의 동작 중단 시점의 기준이 되는 제1 기준값(c1)을 제2 기준값(c2)으로 변경하거나, 급수장치(50)의 동작 중단 시점을 시간을 기준으로 결정하는 본 개시의 실시예를 통해 제빙장치(200, 400)에 실제로 공급되는 물의 양을 최적으로 유지할 수 있다.
다만, 급수장치(50)가 저수압 조건에 해당하거나 유량센서(51b, 52b)에 이상이 있는 경우 다양한 조건에 따라 제빙장치(200, 400)에 실제로 공급되는 물의 양이 다소 변경될 수 있다.
도 13을 참조하면, 일실시예에서, 제어부(500)는 기준 급수량이 제1 임계값(d1)보다 작은 것에 기초하여 얼음의 품질이 저하될 수 있음을 알리는 시각적 표시(V3)를 출력하도록 사용자 인터페이스부(510; 예: 디스플레이부(511))를 제어할 수 있다.
얼음의 품질이 저하되는 것은, 얼음의 투명도가 저하되거나 얼음의 크기가 변경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본 개시에 따르면, 사용자는 냉장고(1)의 문제가 아닌 다른 특정 문제로 인해 얼음의 품질이 저하될 수 있음을 인지하고, 냉장고(1)의 품질에 대해 불만을 가지지 않을 수 있다.
한편, 상술하여 설명한 시각적 표시들(V1, V2, V3)의 형태에는 제한이 없다. 예를 들어, 시각적 표시들(V1, V2, V3)은 텍스트, 문자, 도형, 아이콘, 그림, 영상 등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한편, 개시된 실시예들은 컴퓨터에 의해 실행 가능한 명령어를 저장하는 기록매체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명령어는 프로그램 코드의 형태로 저장될 수 있으며,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되었을 때, 프로그램 모듈을 생성하여 개시된 실시예들의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기록매체는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로 구현될 수 있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로는 컴퓨터에 의하여 해독될 수 있는 명령어가 저장된 모든 종류의 기록 매체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ROM(read only memory), RAM(random access memory), 자기 테이프, 자기 디스크, 플래쉬 메모리(502), 광 데이터 저장장치 등이 있을 수 있다.
또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비일시적(non-transitory) 저장매체의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여기서, '비일시적 저장매체'는 실재(tangible)하는 장치이고, 신호(signal)(예: 전자기파)를 포함하지 않는다는 것을 의미할 뿐이며, 이 용어는 데이터가 저장매체에 반영구적으로 저장되는 경우와 임시적으로 저장되는 경우를 구분하지 않는다. 예로, '비일시적 저장매체'는 데이터가 임시적으로 저장되는 버퍼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본 문서에 개시된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방법은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computer program product)에 포함되어 제공될 수 있다.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은 상품으로서 판매자 및 구매자 간에 거래될 수 있다.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은 기기로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예: compact disc read only memory (CD-ROM))의 형태로 배포되거나, 또는 어플리케이션 스토어(예: 플레이 스토어TM)를 통해 또는 두 개의 사용자 장치들(예: 스마트폰들) 간에 직접, 온라인으로 배포(예: 다운로드 또는 업로드)될 수 있다. 온라인 배포의 경우에,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예: 다운로더블 앱(downloadable app))의 적어도 일부는 제조사의 서버, 어플리케이션 스토어의 서버, 또는 중계 서버의 메모리와 같은 기기로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에 적어도 일시 저장되거나, 임시적으로 생성될 수 있다.
이상에서와 같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개시된 실시예들을 설명하였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도, 개시된 실시예들과 다른 형태로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음을 이해할 것이다. 개시된 실시예들은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1: 냉장고 50: 급수장치
51a, 52a: 급수밸브 51b, 52b: 유량센서
301, 430: 만빙감지센서 200, 400: 제빙장치
500: 제어부 510: 사용자 인터페이스부
520: 냉각장치

Claims (20)

  1. 적어도 하나의 저장실을 갖는 본체;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저장실의 내부에 마련되는 제빙트레이;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저장실을 냉각시키는 냉각장치;
    상기 제빙트레이에 물을 공급하는 급수장치;
    상기 급수장치의 급수량을 감지하는 유량센서; 및
    상기 급수장치를 동작시킨 후 기준시간 동안 상기 유량센서로부터 감지된 급수량을 식별하고,
    상기 식별된 급수량이 제1 임계값 이상이면 상기 유량센서로부터 감지된 급수량이 제1 기준값에 도달한 것에 응답하여 상기 급수장치의 동작을 중단하고,
    상기 식별된 급수량이 상기 제1 임계값보다 작고 제2 임계값 이상이면 상기 유량센서로부터 감지된 급수량이 상기 제1 기준값보다 작은 제2 기준값에 도달한 것에 응답하여 상기 급수장치의 동작을 중단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냉장고.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식별된 급수량이 상기 제2 임계값보다 작으면 소정의 시간이 경과한 것에 응답하여 상기 급수장치의 동작을 중단하는 냉장고.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급수장치는 급수밸브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급수밸브를 개방함으로써 상기 급수장치를 동작시키고, 상기 급수밸브를 폐쇄함으로써 상기 급수장치의 동작을 중단하는 냉장고.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량센서는,
    임펠러의 회전에 따라 펄스를 출력하고,
    상기 급수량은,
    상기 출력된 펄스의 개수에 의해 정의되는 냉장고.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급수장치의 동작 시점부터 상기 기준시간을 카운트하는 냉장고.
  6. 제1항에 있어서,
    디스플레이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식별된 급수량이 상기 제1 임계값보다 작고 상기 제2 임계값 이상인 것에 기초하여 저수압 조건임을 알리는 시각적 표시를 출력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제어하는 냉장고.
  7. 제1항에 있어서,
    디스플레이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식별된 급수량이 상기 제2 임계값보다 작은 것에 기초하여 상기 유량센서가 고장 난 것을 알리는 시각적 표시를 출력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제어하는 냉장고.
  8. 제1항에 있어서,
    디스플레이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식별된 급수량이 상기 제1 임계값보다 작은 것에 기초하여 얼음의 품질이 저하될 수 있음을 알리는 시각적 표시를 출력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제어하는 냉장고.
  9.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임계값은 180 내지 220 중 어느 하나의 자연수이고,
    상기 제2 임계값은 45 내지 55 중 어느 하나의 자연수인 냉장고.
  10.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기준값은 1015 내지 1055 중 어느 하나의 자연수이고,
    상기 제2 기준값은 960 내지 1000 중 어느 하나의 자연수인 냉장고.
  11. 제빙트레이에 물을 공급하는 급수장치의 급수량을 감지하는 유량센서를 포함하는 냉장고의 제어방법에 있어서,
    상기 급수장치를 동작시킨 후 기준시간 동안 상기 유량센서로부터 감지된 급수량을 식별하고;
    상기 식별된 급수량이 제1 임계값 이상이면 상기 유량센서로부터 감지된 급수량이 제1 기준값에 도달한 것에 응답하여 상기 급수장치의 동작을 중단하고;
    상기 식별된 급수량이 상기 제1 임계값보다 작고 제2 임계값 이상이면 상기 감지된 급수량이 상기 제1 기준값보다 작은 제2 기준값에 도달한 것에 응답하여 상기 급수장치의 동작을 중단하는 것;을 포함하는 냉장고의 제어방법.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식별된 급수량이 상기 제2 임계값보다 작으면 소정의 시간이 경과한 것에 응답하여 상기 급수장치의 동작을 중단시키는 것;을 더 포함하는 냉장고의 제어방법.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급수장치는 급수밸브를 포함하고,
    상기 급수장치를 동작시키는 것은 상기 급수밸브를 개방하는 것을 포함하고,
    상기 급수장치의 동작을 중단시키는 것은 상기 급수밸브를 폐쇄하는 것을 포함하는 냉장고의 제어방법.
  14.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유량센서는 임펠러의 회전에 따라 펄스를 출력하고,
    상기 급수량은,
    상기 출력된 펄스의 개수에 의해 정의되는 냉장고의 제어방법.
  15.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급수장치의 동작 시점부터 상기 기준시간을 카운트하는 것;을 더 포함하는 냉장고의 제어방법.
  16.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식별된 급수량이 상기 제1 임계값보다 작고 상기 제2 임계값 이상인 것에 기초하여 저수압 조건임을 알리는 시각적 표시를 출력하는 것;을 더 포함하는 냉장고의 제어방법.
  17.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식별된 급수량이 상기 제2 임계값보다 작은 것에 기초하여 상기 유량센서가 고장 난 것을 알리는 시각적 표시를 출력하는 것;을 더 포함하는 냉장고의 제어방법.
  18.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식별된 급수량이 상기 제1 임계값보다 작은 것에 기초하여 얼음의 품질이 저하될 수 있음을 알리는 시각적 표시를 출력하는 것;을 더 포함하는 냉장고의 제어방법.
  19.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임계값은 180 내지 220 중 어느 하나의 자연수이고,
    상기 제2 임계값은 45 내지 55 중 어느 하나의 자연수인 냉장고의 제어방법.
  20.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기준값은 1015 내지 1055 중 어느 하나의 자연수이고,
    상기 제2 기준값은 960 내지 1000 중 어느 하나의 자연수인 냉장고의 제어방법.
KR1020220110359A 2022-02-10 2022-08-31 냉장고 및 냉장고의 제어방법 KR2023012096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KR2023/000534 WO2023153654A1 (ko) 2022-02-10 2023-01-12 냉장고 및 냉장고의 제어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17804 2022-02-10
KR20220017804 2022-02-10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20964A true KR20230120964A (ko) 2023-08-17

Family

ID=878002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10359A KR20230120964A (ko) 2022-02-10 2022-08-31 냉장고 및 냉장고의 제어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120964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889414B2 (en) Carbonated water production unit, refrigerator having the same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US9901886B2 (en) Refrigerator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US20140157810A1 (en) Refrigerator
US10788252B2 (en) Ice making assembly for a refrigerator appliance
US10280061B2 (en) Refrigerator and control method thereof
US10947098B2 (en) Refrigerator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101649628B1 (ko) 디스펜서를 통한 급수량 제어방법 및 그를 이용한 냉장고
US8365548B2 (en) Ice dispensing technology
KR20230120964A (ko) 냉장고 및 냉장고의 제어방법
JP2008304155A (ja) 自動製氷機付き冷蔵庫
US20190285332A1 (en) Refrigerator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101707428B1 (ko) 제빙기
KR20120103260A (ko) 냉장고 및 그 제어방법
KR20230120963A (ko) 냉장고 및 냉장고의 제어방법
US11976867B2 (en) Ice maker appliance leak detection
US20230375245A1 (en) Ice maker appliance leak detection
US11796239B2 (en) Method for enhancing ice capacity in an ice making appliance
JP5523889B2 (ja) 冷蔵庫
JP4820710B2 (ja) 冷蔵庫
KR100661831B1 (ko) 제빙기의 급수감지방법
JP4869730B2 (ja) 製氷機
KR20200080536A (ko) 제빙기, 제빙기의 구동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냉장고
KR20170137453A (ko) 제빙 모듈의 제어 방법
JP2009243777A (ja) 冷蔵庫
JP2009243776A (ja) 冷蔵庫