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20863A - 저전압 직류 배전 시스템 - Google Patents

저전압 직류 배전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20863A
KR20230120863A KR1020220017625A KR20220017625A KR20230120863A KR 20230120863 A KR20230120863 A KR 20230120863A KR 1020220017625 A KR1020220017625 A KR 1020220017625A KR 20220017625 A KR20220017625 A KR 20220017625A KR 20230120863 A KR20230120863 A KR 2023012086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wer
converter
unit
current
fu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1762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덕수
이종현
김성일
Original Assignee
에이치디현대일렉트릭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이치디현대일렉트릭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이치디현대일렉트릭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2001762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120863A/ko
Publication of KR2023012086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2086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HEMERGENCY PROTECTIVE CIRCUIT ARRANGEMENTS
    • H02H7/00Emergency protective circuit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types of electric machines or apparatus or for sectionalised protection of cable or line systems, and effecting automatic switching in the event of an undesired change from normal working conditions
    • H02H7/26Sectionalised protection of cable or line systems, e.g. for disconnecting a section on which a short-circuit, earth fault, or arc discharge has occured
    • H02H7/268Sectionalised protection of cable or line systems, e.g. for disconnecting a section on which a short-circuit, earth fault, or arc discharge has occured for dc system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HEMERGENCY PROTECTIVE CIRCUIT ARRANGEMENTS
    • H02H3/00Emergency protective circuit arrangements for automatic disconnection directly responsive to an undesired change from normal electric working condition with or without subsequent reconnection ; integrated protection
    • H02H3/02Details
    • H02H3/05Details with means for increasing reliability, e.g. redundancy arrangement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HEMERGENCY PROTECTIVE CIRCUIT ARRANGEMENTS
    • H02H3/00Emergency protective circuit arrangements for automatic disconnection directly responsive to an undesired change from normal electric working condition with or without subsequent reconnection ; integrated protection
    • H02H3/08Emergency protective circuit arrangements for automatic disconnection directly responsive to an undesired change from normal electric working condition with or without subsequent reconnection ; integrated protection responsive to excess current
    • H02H3/087Emergency protective circuit arrangements for automatic disconnection directly responsive to an undesired change from normal electric working condition with or without subsequent reconnection ; integrated protection responsive to excess current for dc appl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HEMERGENCY PROTECTIVE CIRCUIT ARRANGEMENTS
    • H02H9/00Emergency protective circuit arrangements for limiting excess current or voltage without disconnection
    • H02H9/02Emergency protective circuit arrangements for limiting excess current or voltage without disconnection responsive to excess current
    • H02H9/021Current limitation using saturable react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Rectifi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빠른 시간 내에 고장 구간만 분리하여 고장전류의 전달을 차단하고 정전없이 건전한 구간에 전력 공급을 지속할 수 있는 저전압 직류 배전 시스템을 제공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저전압 직류 배전 시스템은 계통 교류 전력을 사전에 설정된 제1 전압 레벨을 갖는 제1 직류 전력으로 변환하는 교류/직류 변환부, 상기 교류/직류 변환부로부터의 제1 직류 전력을 사전에 설정된 제2 전압 레벨을 갖는 제2 직류 전력으로 변환하여 배전하는 직류/직류 변환부, 상기 교류/직류 변환부로부터의 상기 제1 직류 전력이 사전에 설정된 고장 상태에 해당하는 경우 사전에 설정된 전류 레벨로 고장 전류의 전류 레벨을 제한하는 제1 보호부, 상기 직류/직류 변환부로부터의 상기 제2 직류 전력이 사전에 설정된 고장 상태에 해당하는 경우 전력 전달 경로를 차단하는 제2 보호부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저전압 직류 배전 시스템{SYSTEM FOR DISTRIBUTNG LOW VOLTAGE DIRECT CURRENT}
본 발명은 저전압 직류 배전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저전압 직류(LVDC: Low Voltage Direct Current) 배전 시스템은 1500Vdc 이하 직류 형태의 전압으로 구성되며, 교류에 비해 같은 전압을 사용할 때 동일한 선로로 더 많은 전력을 송배전할 수 있다. 또한, 신재생 에너지 및 분산 전원의 연계가 교류(AC: Alternating Current) 배전 시스템에 비해 전력변환장치의 변환 단계를 줄일 수 있어 시스템 효율이 높은 장점을 가지고 있다.
교류 배전 시스템의 경우에는 단락 및 지락 고장 발생시 충분한 고장전류 공급 능력을 가지고 있어서, 고장 감지, 선택 차단 및 후비 보호 동작 등의 보호 측면에서 어려움이 없었으나, 저전압 직류 배전 시스템의 경우 교류/직류 컨버터의 전압 제어를 위한 커패시터, 전력 변환 장치 및 시스템의 토폴로지에 따라 수백 마이크로초(㎲)동안 높은 레벨의 고장 전류가 흘렀다가 수 밀리초(㎳) 이내에 감소하는 특성으로, 저전압 직류 시스템의 안정적인 전력공급을 위해서는 직류 고장전류 공급 특성을 고려하여 적절한 보호 시스템을 구성할 필요가 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21-0095198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빠른 시간 내에 고장 구간만 분리하여 고장전류의 전달을 차단하고 건전한 구간에 전력공급을 지속할 수 있는 저전압 직류 배전 시스템이 제공된다.
상술한 본 발명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저전압 직류 배전 시스템은 계통 교류 전력을 사전에 설정된 제1 전압 레벨을 갖는 제1 직류 전력으로 변환하는 교류/직류 변환부, 상기 교류/직류 변환부로부터의 제1 직류 전력을 사전에 설정된 제2 전압 레벨을 갖는 제2 직류 전력으로 변환하여 배전하는 직류/직류 변환부, 상기 교류/직류 변환부로부터의 상기 제1 직류 전력이 사전에 설정된 고장 상태에 해당하는 경우 사전에 설정된 전류 레벨로 고장 전류의 전류 레벨을 제한하는 제1 보호부, 상기 직류/직류 변환부로부터의 상기 제2 직류 전력이 사전에 설정된 고장 상태에 해당하는 경우 전력 전달 경로를 차단하는 제2 보호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빠른 시간 내에 고장 구간만 분리하여 고장전류의 전달을 차단하고 정전없이 건전한 구간에 전력공급을 지속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저전압 직류 배전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저전압 직류 배전 시스템의 제1 보호부의 의한 고장 전류 특성 변화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직류/직류 컨버터의 보다 상세한 구성도이다.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저전압 직류 배전 시스템에 의한 동작 특성을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저전압 직류 배전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저전압 직류 배전 시스템(100)은 교류/직류 변환부(110), 직류/직류 변환부(120), 제1 보호부(140) 및 제2 보호부(150)를 포함할 수 있고, 직류 계량기(130), 다이오드부(160), 제1 고속 퓨즈부(170), 제2 고속 퓨즈부(180) 및 리액터부(190) 중 적어도 일부를 추가적으로 더 포함할 수 있다.
교류/직류 변환부(110)는 계통 교류 전력을 사전에 설정된 제1 전압 레벨을 갖는 제1 직류 전력으로 변환할 수 있다. 상기 제1 전압 레벨은 예를 들어, 1500V (±750V)일 수 있다. 교류/직류 변환부(110)는 복수의 교류/직류 컨버터(AC/DC 컨버터)를 포함할 수 있다.
직류/직류 변환부(120)는 교류/직류 변환부(120)로부터의 상기 제1 직류 전력을 사전에 설정된 제2 전압 레벨을 갖는 제2 직류 전력으로 변환하여 부하에 배전할 수 있다. 상기 제2 전압 레벨은 예를 들어, 380V(±190V)일 수 있다. 직류/직류 변환부(120)는 복수의 직류/직류 컨버터(DC/DC 컨버터)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보호부(140)는 교류/직류 변환부(110)의 후단에 위치하여 교류/직류 변환부(110)로부터의 상기 제1 직류 전력이 사전에 설정된 고장 상태에 해당하는 경우 사전에 설정된 전류 레벨로 고장 전류의 전류 레벨을 제한할 수 있다. 제1 보호부(140)는 복수의 고장 전류 제한기(Fault Current Limiter;FCL)을 포함할 수 있으며, 복수의 고장 전류 제한기(FCL)는 복수의 교류/직류 컨버터(AC/DC 컨버터)에 일대일 대응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복수의 고장 전류 제한기(FCL) 각각은 해당 교류/직류 컨버터(AC/DC 컨버터)의 써멀 캐퍼빌리티(Thermal Capability) 수용 범위내에서 적정 고장 전류를 지속적으로 4~5초 이상 공급할 수 있다. 즉, 해당 교류/직류 컨버터(AC/DC 컨버터)가 고장 상태시 정격 대비 150~300% 정도 전류를 공급하도록 전류 레벨을 제한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저전압 직류 배전 시스템의 제1 보호부에 의한 고장 전류 특성 변화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1과 함께 도 2를 참조하면, 좌측의 그래프와 같이 직류 배전 시스템에서 고장 전류를 제한하지 않는 경우 고장 전류가 급격하게 증가했다가 감소하는 특성으로 인해, 고장 구간만을 선택적으로 차단할 수 없었으나, 우측의 그래프와 같이 복수의 고장 전류 제한기(FCL) 각각은 해당 교류/직류 컨버터(AC/DC 컨버터)가 고장 상태시 정격 대비 150~300% 정도 전류를 공급하도록 전류 레벨을 제한하여, 교류/직류 컨버터 소손없이 고장 구간만을 차단할 수 있다.
제2 보호부(150)는 직류/직류 변환부(120)의 후단에 위치하여 직류/직류 변환부(120)로부터의 상기 제2 직류 전력이 사전에 설정된 고장 상태에 해당하는 경우 전력 전달 경로를 차단할 수 있다. 제2 보호부(150)는 복수의 솔리드 스테이트 회로 차단기(Solid State Circuit Breaker; SSCB)를 포함할 수 있으며, 복수의 솔리드 스테이트 회로 차단기(SSCB)는 복수의 직류/직류 컨버터(DC/DC 컨버터)에 일대일 대응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복수의 솔리드 스테이트 회로 차단기(SSCB) 각각은 해당 직류/직류 컨버터(DC/DC 컨버터)의 고장 전류를 50~100us 이내에 차단할 수 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저전압 직류 배전 시스템(100)은 직류 계량기(DC 계량기)(13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직류 계량기(DC 계량기)(130)는 교류/직류 변환부(110)로부터 직류/직류 변환부(120)에 공급되는 제1 직류 전력을 계량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저전압 직류 배전 시스템(100)은 교류/직류 변환부(110)와 직류 계량기(DC 계량기)(130), 직류 계량기(DC 계량기)(130)와 직류/직류 변환부(120) 사이에 배치되는 기중 차단기(Air Citcuit Breaker; ACB)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기중 차단기(ACB)는 제1 보호부(140)가 고장 전류의 전류 레벨을 제한하는 동안 전력 전달을 차단하여 상기 제1 직류 전력이 전달되는 구간을 보호할 수 있다.
더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저전압 직류 배전 시스템(100)은 기중 차단기(ACB)와 직류/직류 변환부(120)의 복수의 직류/직류 컨버터(DC/DC 컨버터) 간에 배치되는 배선용 차단기(Molded Case Circuit Breaker; MCCB)와 고속 퓨즈(High Speed Fuse;HS Fuse)을 더 포함할 수 있다. 기중 차단기(ACB)와 직류/직류 변환부(120)의 복수의 직류/직류 컨버터(DC/DC 컨버터) 간에는 복수의 제1 배선용 차단기(MCCB)가 병렬 배치될 수 있고, 복수의 제1 배선용 차단기(MCCB)에는 각각 제2 배선용 차단기(MCCB)와 서로 직렬 연결된 고속 퓨즈(HS Fuse)를 갖는 제1 차단기 모듈이 복수개 병렬 배치되어, 복수의 제1 배선용 차단기(MCCB)와 상기 제1 차단기 모듈은 제1 보호부(140)가 고장 전류의 전류 레벨을 제한하는 동안 전력 전달을 차단하여 상기 제1 직류 전력이 전달되는 구간을 보호할 수 있다. 또한, 직류/직류 변환부(120)의 복수의 직류/직류 컨버터(DC/DC 컨버터)와 제2 보호부(150) 사이에 배치되고 서로 직렬 연결되는 제3 배선용 차단기(MCCB) 및 고속 퓨즈(HS Fuse)를 각각 갖는 복수의 제2 차단기 모듈이 병렬 배치될 수 있고, 병렬 배치된 복수의 제2 차단기 모듈에 각각 연결되는 복수의 제1 고속 퓨즈를 갖는 제1 고속 퓨즈부(170)가 더 포함될 수 있다. 복수의 제2 차단기 모듈의 제3 배선용 차단기(MCCB) 및 고속 퓨즈(HS Fuse)와 제1 고속 퓨즈부(170)는 제2 직류 전력 구간에서 해당 배전 라인의 전력 전달 경로의 차단을 보조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저전압 직류 배전 시스템(100)은 상기 복수의 제1 차단기 모듈과 직류/직류 변환부(120)의 복수의 직류/직류 컨버터(DC/DC 컨버터) 간에 배치되는 다이오드부(16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직류/직류 컨버터의 보다 상세한 구성도이다.
도 1과 함께, 도 3을 참조하면, 직류/직류 변환부(120)의 복수의 직류/직류 컨버터(DC/DC 컨버터) 각각은 제1 프리 차징부(121), IGBT부(122) 및 제2 프리 차징부(123)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프리 차징부(121)는 복수의 IGBT 입력 측에 각각 연결되는 복수의 저항 연결 및 직결 회로를 포함할 수 있으며, 전압 변환 및 양방향 제어가 가능하도록 구성된 복수의 IGBT부(122) 및 제2 프리 차징부(123)는 복수의 IGBT 출력 측에 연결되는 복수의 저항 연결 및 직결 회로를 포함할 수 있다.
다이오드부(160)는 복수의 직류/직류 컨버터(DC/DC 컨버터)에 각각 연결되는 복수의 다이오드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복수의 다이오드 각각은 교류/직류 변환부(110)의 고장 시 해당 직류/직류 컨버터(DC/DC 컨버터)로부터 전류가 역류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복수의 다이오드 각각의 캐소드는 해당 직류/직류 컨버터(DC/DC 컨버터)측에 연결되고, 애노드는 교류/직류 변환부(110) 측(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제1 차단기 모듈측)에 연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저전압 직류 배전 시스템(100)은 제2 고속 퓨즈부(180)을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제2 고속 퓨즈부(180)는 복수의 고속 퓨즈(HS Fuse)를 포함할 수 있고, 제2 고속 퓨즈부(180)는 복수의 고속 퓨즈(HS Fuse)는 부하와 제2 보호부(150)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제2 직류 전력 구간에서 해당 배전 라인의 전력 전달 경로의 차단을 보조할 수 있다. 고속 퓨즈(HS Fuse)는 500μs 이내로 신속한 차단이 이루어지므로, 고속 퓨즈(HS Fuse)가 연속으로 2개 이상 직렬 연결되는 경우 2개 이상의 퓨즈가 거의 동시에 차단되어 선택 차단이 불가능할 수 있으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저전압 직류 배전 시스템(100)은 고속 퓨즈(HS Fuse)-솔리드 스테이트 회로 차단기(SSCB)-고속 퓨즈(HS Fuse) 구성으로 이루어져 고장 시 해당 구간을 선택적으로 차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저전압 직류 배전 시스템(100)은 리액터부(190)를 더 포함할 수 있고, 리액터부(190)는 제2 보호부(150)의 복수의 솔리드 스테이트 회로 차단기(SSCB)와 제2 고속 퓨즈부(180) 사이에 배치되는 리액터(Reactor)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리액터(Reactor)는 제2 보호부(150)의 복수의 솔리드 스테이트 회로 차단기(SSCB)의 동작에 협조하여 고장 전류의 전류 레벨을 저감할 수 있다.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저전압 직류 배전 시스템에 의한 동작 특성을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먼저,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저전압 직류 배전 시스템(100)은 고장시 제1 직류 전력 구간을 선택 차단할 수 있고, 제2 직류 전력 구간을 선택 차단할 수 있다.
상술한 제1 직류 전력 구간을 살펴보면, 교류/직류 변환부(110)의 후단의 메인 전력 라인에는 장한시, 단한시 및 순시 차단 각각의 개별 세팅이 가능한 기중 차단기(ACB)가 배치될 수 있고, 전체 보호 영역에서 동작 시간 협조가 가능하도록 직류 계량기(DC 계량기)(130)의 후단에 2개의 분기선에도 각각 장한시, 단한시 및 순시 차단 각각의 개별 세팅이 가능한 기중 차단기(ACB)가 배치될 수 있다. 기중 차단기(ACB)에서 분기되어 직류/직류 변환부(120)로 연계되는 분기선에는 100A 이하의 전류가 흐르므로, 낮은 전류에서 적절한 보호가 이루어지고, 기중 차단기(ACB)와 동작 협조하여 선택 차단이 가능한 제1 배선용 차단기(MCCB)가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직류/직류 변환부(120)의 각 직류/직류 컨버터(DC/DC 컨버터)의 입력단에는 배선용 차단기(MCCB)와 고속 퓨즈(HS Fuse)가 직렬 연결된 제1 차단기 모듈가 배치되어, 제1 배선용 차단기(MCCB)와 보호 협조를 수행할 수 있다.
상술한 제1 직류 전력 구간의 보호 기기를 살펴보면, 기중 차단기(ACB)-기중 차단기(ACB)-제1 배선용 차단기(MCCB)-배선용 차단기(MCCB)와 고속 퓨즈(HS Fuse)가 직렬 연결된 제1 차단기 모듈 순서로 제1 직류 전력 전체 구간 별 동작 시간 협조, 즉 선택 차단이 가능할 수 있다. 상술한 기중 차단기(ACB)-기중 차단기(ACB)-제1 배선용 차단기(MCCB)-배선용 차단기(MCCB)와 고속 퓨즈(HS Fuse)가 직렬 연결된 제1 차단기 모듈(MCCB+HS Fuse)은 하기의 표1과 같이 사양 및 트립(Trip) 전류가 선정될 수 있다.
보호기기 사양선정 차단전류 비고
교류/직류 컨버터 및 제1 보호부 1000A, 200~300A - 고장전류는 컨버터 정격전류의 150~300% 지속 공급 가능
ACB 1250A 1000AT 장한시, 단한시, 순시 차단 개별 세팅 가능
ACB 800A 500AT 장한시, 단한시, 순시 차단 개별 세팅 가능
MCCB 160A 100AT 차단전류 정격에 따라동작 특성 곡선이 고정됨
MCCB+HS Fuse 100A, 40A 40AT, 40AT 차단전류 정격에 따라 동작 특성 곡선이 고정됨
상술한 표1에 도시된 보호기기의 보호동작곡선을 도식화 하면 도 4의 그래프와 같을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기중 차단기(ACB)-기중 차단기(ACB)-제1 배선용 차단기(MCCB)-배선용 차단기(MCCB)와 고속 퓨즈(HS Fuse)가 직렬 연결된 제1 차단기 모듈(MCCB+HS Fuse) 까지 적정한 동작 시간차가 확인되며, 이에 따라 선택 차단 성능이 확보됨을 확인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1을 다시 참조하여 상술한 제2 직류 전력 구간을 살펴보면, 먼저, 고속 퓨즈(HS Fuse) 간에는 사고 구간을 선택적으로 차단하기 위해 하위의 고속 퓨즈(HS Fuse)가 완전히 녹아서 전력 전달 경로를 개방시킬때 까지 상위의 고속 퓨즈(HS Fuse)는 손상이나 녹아서는 안된다. 상술한 제2 직류 전력 구간에서는 직류/직류 변환부(120)의 각 직류/직류 컨버터(DC/DC 컨버터)의 후단에는 배선용 차단기(MCCB)와 고속 퓨즈(HS Fuse)가 직렬 연결된 제2 차단기 모듈(MCCB+HS Fuse)-제1 고속 퓨즈부(170)의 고속 퓨즈(HS Fuse)-솔리드 스테이트 회로 차단기(SSCB)-제2 고속 퓨즈부(180)의 고속 퓨즈(HS Fuse) 순으로 보호 기기가 배치될 수 있다. 상술한 제2 차단기 모듈(MCCB+HS Fuse), 제1 고속 퓨즈부(170)의 고속 퓨즈(HS Fuse), 솔리드 스테이트 회로 차단기(SSCB), 제2 고속 퓨즈부(180)의 고속 퓨즈(HS Fuse)의 사양은 하기의 표2와 같을 수 있다. 고속 퓨즈(HS Fuse)의 차단 동작 곡선은 도 5의 그래프와 같을 수 있다.
보호기기 사양선정 차단 전류 비고
MCCB+HS Fuse 350A 600A 차단 동작 곡선 도 5 참조
HS Fuse 160A 200A 차단 동작 곡선 도 5 참조
SSCB 100A 150~800A 150~800A의 전류가 SSCB를 통해 흐르게 되면 100마이크로초내에 고장 전류 차단
Reactor 0.1~0.9Ω - 케이블 길이가 짧은 경우 고장 전류 제한
HS Fuse 40A 45A 차단 동작 곡선 도 5 참조
고속 퓨즈(HS Fuse)를 3개 이상 직렬로 구성하는 경우, 상위단의 용량이 큰 고속 퓨즈(HS Fuse) 간에는 고장 전류가 확보되어 동작 협조가 이루어질 수 있으나, 하위단의 용량이 작은 100A, 40A의 고속 퓨즈(HS Fuse)간에는 일부 부하까지의 전력 케이블 길이가 짧은 경우, 매우 긴 경우 등 고장 전류에 따라 동작 협조가 안되는 경우가 발생하여 선택 차단 기능의 확보가 어려울 수 있다. 이를 위해, 솔리드 스테이트 회로 차단기(SSCB)가 제1 고속 퓨즈부와 제2 고속 퓨즈부 사이에 배치되고, 전력 케이블 길이가 매우 짧은 구간에 고장 전류가 크게 발생하는 것으로 제한하고, 상/하위 보호기기 간에 동작 시간 협조를 확보할 수 있도록 리액터부(190)가 추가될 수 있다.
허용 전류 용량 사양이 서로 상이한 고속 퓨즈(HS Fuse)와 신속한 고장 차단 기능을 갖는 솔리드 스테이트 회로 차단기(SSCB)와 고장 전류 제한용 리액터(Reactor)를 채용하여 상기 제2 직류 전력 구간의 전구간에서 고장 구간만을 선택적으로 차단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빠른 시간 내에 고장 구간만 분리하여 고장전류의 전달을 차단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한정되며, 본 발명의 구성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그 구성을 다양하게 변경 및 개조할 수 있다는 것을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쉽게 알 수 있다.
100: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저전압 직류 배전 시스템
110: 교류/직류 변환부
120: 직류/직류 변환부
121: 제1 프리 차징부
122: IGBT부
123: 제2 프리 차징부
130: 직류 계량기
140: 제1 보호부
150: 제2 보호부
160: 다이오드부
170: 제1 고속 퓨즈부
180: 제2 고속 퓨즈부
190: 리액터부

Claims (5)

  1. 계통 교류 전력을 사전에 설정된 제1 전압 레벨을 갖는 제1 직류 전력으로 변환하는 교류/직류 변환부;
    상기 교류/직류 변환부로부터의 제1 직류 전력을 사전에 설정된 제2 전압 레벨을 갖는 제2 직류 전력으로 변환하여 배전하는 직류/직류 변환부;
    상기 교류/직류 변환부로부터의 상기 제1 직류 전력이 사전에 설정된 고장 상태에 해당하는 경우 사전에 설정된 전류 레벨로 고장 전류의 전류 레벨을 제한하는 제1 보호부; 및
    상기 직류/직류 변환부로부터의 상기 제2 직류 전력이 사전에 설정된 고장 상태에 해당하는 경우 전력 전달 경로를 차단하는 제2 보호부
    를 포함하는 저전압 직류 배전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보호부의 전력 전달 경로를 차단시, 상기 직류/직류 변환부로부터 상기 교류/직류 변환부로의 전류 역류를 방지하는 다이오드부를 더 포함하는 저전압 직류 배전 시스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직류/직류부로부터의 상기 제2 직류 전력이 상기 고장 상태에 해당하는 경우 상기 제1 보호부를 보조하여 전력 전달 경로를 차단하는 제1 고속 퓨즈부를 더 포함하는 저전압 직류 배전 시스템.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직류/직류부로부터의 상기 제2 직류 전력이 상기 고장 상태에 해당하는 경우 상기 제1 고속 퓨즈부를 보조하여 전력 전달 경로를 차단하는 제2 고속 퓨즈부를 더 포함하는 저전압 직류 배전 시스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보호부로부터의 고장 전류를 제한하는 리액터부를 더 포함하는 저전압 직류 배전 시스템.
KR1020220017625A 2022-02-10 2022-02-10 저전압 직류 배전 시스템 KR2023012086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17625A KR20230120863A (ko) 2022-02-10 2022-02-10 저전압 직류 배전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17625A KR20230120863A (ko) 2022-02-10 2022-02-10 저전압 직류 배전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20863A true KR20230120863A (ko) 2023-08-17

Family

ID=878006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17625A KR20230120863A (ko) 2022-02-10 2022-02-10 저전압 직류 배전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120863A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95198A (ko) 2019-08-13 2021-07-30 엔알 일렉트릭 컴퍼니 리미티드 의사 바이폴라 직류 배전망 보호 방법, 장치, 시스템, 설비 및 매체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95198A (ko) 2019-08-13 2021-07-30 엔알 일렉트릭 컴퍼니 리미티드 의사 바이폴라 직류 배전망 보호 방법, 장치, 시스템, 설비 및 매체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475963B1 (en) Hybrid dc circuit breaker
AU2009268165B2 (en) High-speed circuit breaker for a high-performance battery in an isolated direct current network
RU2510092C2 (ru) Устройство и способ для прерывания тока в линии передачи или распределения энергии и компоновка ограничения тока
AU2010210191B2 (en) Short-circuit protection device and switching system having such short-circuit protection devices
US20130271888A1 (en) Photovoltaic System and Apparatus for Operating a Photovoltaic System
JP2022063228A (ja) 航空機搭載型高出力モジュール方式マルチストリング電池パックのためのスマート電池切断保護アーキテクチャ
EP0736949B1 (en) Protective equipment in a bipolar HVDC station
CN108879623B (zh) 一种多电压等级直流电网系统及控制保护方法
CN105493397A (zh) 用于借助短路开关进行断路器放电的光伏逆变器的电路布置和该电路布置的应用
KR20180096999A (ko) Dc 그리드용 고장 전류 제한기 및 그 제어방법
EP2909908B1 (en) Method of operate is-limiters in ring systems
US11870238B2 (en) Protection apparatus and protection method for photovoltaic power generation system
CN112514192A (zh) 交流/直流电转换装置
JP2011010483A (ja) 電流分離器及び電流遮断装置
DK2926455T3 (en) DEVICE FOR SWITCHING OF DC DIRECTIONS IN THE DEFINITIONS OF A DC TENSION
JP7366237B2 (ja) 断路器を用いた電流遮断装置及び方法
CN203722250U (zh) 光伏装置
KR20200037021A (ko) 직류 선상 전력 시스템
KR20230120863A (ko) 저전압 직류 배전 시스템
KR101996510B1 (ko) Dc 그리드용 고장 전류 제한기 및 그 제어방법
KR101802509B1 (ko) 캐스케이드 하프 브리지 sscb
JP4120618B2 (ja) 直流給電回路網の保護システム
CN220234197U (zh) 一种用于n-正则图接线的继电保护系统
CN214707152U (zh) 一种直流故障限流器
CN113922349B (zh) 一种智能电源管理系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