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20460A - Temperature Adjustable Tumlber - Google Patents

Temperature Adjustable Tumlbe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20460A
KR20230120460A KR1020220017044A KR20220017044A KR20230120460A KR 20230120460 A KR20230120460 A KR 20230120460A KR 1020220017044 A KR1020220017044 A KR 1020220017044A KR 20220017044 A KR20220017044 A KR 20220017044A KR 20230120460 A KR20230120460 A KR 2023012046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ner cup
heat
heat conduction
unit
fra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17044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고성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메이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메이드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메이드
Priority to KR102022001704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120460A/en
Publication of KR2023012046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20460A/en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41/00Thermally-insulated vessels, e.g. flasks, jugs, jars
    • A47J41/0038Thermally-insulated vessels, e.g. flasks, jugs, jars comprising additional heating or cooling means, i.e. use of thermal energy in addition to stored material
    • A47J41/005Thermally-insulated vessels, e.g. flasks, jugs, jars comprising additional heating or cooling means, i.e. use of thermal energy in addition to stored material comprising heat or cold producing means, i.e. energy transfer from outside the vessel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41/00Thermally-insulated vessels, e.g. flasks, jugs, jars
    • A47J41/0055Constructional details of the elements forming the thermal insulation
    • A47J41/0072Double walled vessels comprising a single insulating layer between inner and outer wall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41/00Thermally-insulated vessels, e.g. flasks, jugs, jars
    • A47J41/02Vacuum-jacket vessels, e.g. vacuum bott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5/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 B65D85/7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D85/72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edible or potable liquids, semiliquids, or plastic or pasty material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2202/00Devices having temperature indicating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able Devices Or Equipment (AREA)
  • Devices That Are Associated With Refrigeration Equip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수용된 음료의 온도를 조절할 수 있는 텀블러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르면, 음료를 수용하는 내부컵; 내부컵을 보호하는 프레임; 내부컵의 음료가 냉각 또는 가열되도록 내부컵의 밑면과 외주면을 통해 내부컵과 열교환이 이루어지는 열전도장치 및 열전도장치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장치를 포함하므로 텀블러의 열효율과 사용상의 편의성을 증진시켜줄 수 있는 기술이 개시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tumbler capable of adjusting the temperature of a beverage received, an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 inner cup for receiving a beverage; A frame protecting the inner cup; It includes a heat conduction device that exchanges heat with the inner cup through the bottom and outer circumference of the inner cup so that the beverage in the inner cup is cooled or heated, and a control device that controls the operation of the heat conduction device, thereby improving the thermal efficiency and convenience of use of the tumbler. technology is initiated.

Description

온도조절이 가능한 텀블러{Temperature Adjustable Tumlber}Temperature adjustable tumbler {Temperature Adjustable Tumlber}

본 발명은 텀블러에 저장되는 음료에 대하여 냉온 온도조절이 가능한 텀블러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tumbler capable of controlling hot and cold temperatures for beverages stored in the tumbler.

텀블러는 음료를 음용하는데 사용되는 컵의 한 형태를 지칭하는데, 근래에 커피 등의 음료의 보급 및 확산에 따라 그 사용이 늘어나고 있다. 특히 최근 환경문제를 고려하여 1회용품의 사용을 자제하는 사회적 분위기에 따라 더욱 더 텀블러의 수요는 증가하고 있는 추세에 있다.A tumbler refers to a type of cup used for drinking a beverage, and its use has recently increased with the spread and spread of beverages such as coffee. In particular, the demand for tumblers is increasing more and more according to the social atmosphere of refraining from using disposable products in consideration of recent environmental problems.

텀블러는 보통 플라스틱, 유리-세라믹, 스테인리스 등의 재질로 제작이 되며, 뜨겁거나 찬 음료를 일정 시간 보관하는 경우 외부와의 열교환을 통해 열기나 냉기가 사라지는 것이 일반적이므로 뜨거운 음료나 차가운 음료를 적정한 온도에서 음용하는데 있어서 불편함이 있었다.Tumblers are usually made of materials such as plastic, glass-ceramic, or stainless steel. When hot or cold drinks are stored for a certain period of time, heat or cold air usually disappears through heat exchange with the outside. There was some discomfort in drinking.

이러한 불편함을 해결하기 위하여 다양한 기술로 보온 또는 보냉을 실시하고 있으나, 장시간 음료의 온도를 일정하게 유지하면서 이용하기에는 여전히 어려움이 있었다.In order to solve this inconvenience, various technologies have been used to keep warm or cool, but it is still difficult to use while maintaining a constant temperature of the beverage for a long time.

특히 사용자가 원하는 음료의 설정온도에 맞게 음료를 데우거나 냉각시키는데 소요되는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으며 열효율이 개선된 텀블러에 대한 기술이 요구되고 있었다.In particular, a technology for a tumbler with improved thermal efficiency and which can shorten the time required to heat or cool a beverage according to the set temperature of the beverage desired by the user has been demanded.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냉온 온도조절이 가능한 텀블러를 제공함에 있다.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solve the conventional problems as described above, to provide a tumbler capable of controlling hot and cold temperatures.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텀블러는, 음료를 수용할 수 있는 공간을 형성하며, 열전도성이 있는 소재로 이루어진 내부컵; 상측단이 상기 내부컵의 상측 테두리와 체결되어 상기 내부컵을 수용하는 형태로 지지하며, 외부로부터 상기 내부컵을 보호하는 프레임; 상기 프레임의 내측에 장착되고, 상기 내부컵의 밑면 및 외주면을 통해 상기 음료 측으로 열을 제공하거나 상기 내부컵으로부터 열을 전달받는 열전도 장치; 및 상기 프레임의 내측에 장착되고, 상기 내부컵 내에 수용된 상기 음료가 사용자의 선택에 따른 온도를 갖추도록 상기 열전도장치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하나의 특징으로 할 수도 있다.A tumbl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forms a space capable of accommodating beverages, and includes an inner cup made of a thermally conductive material; a frame whose upper end is fastened to an upper rim of the inner cup to support the inner cup and to protect the inner cup from the outside; a heat conduction device mounted inside the frame and providing heat to the beverage side or receiving heat from the inner cup through a lower surface and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inner cup; And a control device mounted inside the frame and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heat conduction device so that the beverage accommodated in the inner cup has a temperature according to the user's selection.

여기서, 상기 열전도장치는, 상기 내부컵의 하측에 위치하여 상기 내부컵의 밑면 또는 외주면의 적어도 일부분에 접하며 상기 내부컵과 열전도가 이루어지는 제1 열전도부; 및 상기 제1 열전도부의 외면 적어도 일부분에 접하며, 상기 제1 열전도부로 열을 제공하거나 상기 제1 열전도부로부터 열을 흡수할 수 있는 펠티어소자부;를 포함하는 것을 또 하나의 특징으로 할 수도 있다.Here, the heat conduction device may include: a first heat conduction unit located below the inner cup, in contact with at least a portion of the bottom surface or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inner cup, and conducting heat conduction with the inner cup; and a Peltier element part contacting at least a portion of the outer surface of the first heat-conducting part and capable of providing heat to the first heat-conducting part or absorbing heat from the first heat-conducting part.

여기서, 상기 열전도장치는, 일측면이 상기 제1 열전도부의 외면에 접하는 상기 펠티어소자부의 타측면에 배치되고 열전도핀이 다수 마련된 제2 열전도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또 하나의 특징으로 할 수도 있다.Here, the heat conduction device may further include a second heat conduction unit having a plurality of heat conduction pins disposed on the other side of the Peltier element unit, one side of which is in contact with the outer surface of the first heat conduction unit.

여기서, 상기 열전도장치는, 일측에 배치된 상기 제2 열전도부를 냉각시켜줄 수 있는 냉각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또 하나의 특징으로 할 수도 있다.Here, the heat conduction device may further include a cooling unit capable of cooling the second heat conduction unit disposed on one side.

여기서, 상기 내부컵과 상기 제1 열전도부 사이에 상기 내부컵과 상기 제1 열전도부 사이의 열전도를 매개하는 써멀그리스(Thermal Grease) 또는 써멀패드(Thermal Pad)가 개재된 것을 또 하나의 특징으로 할 수도 있다.Here, another feature is that a thermal grease or a thermal pad is interposed between the inner cup and the first heat-conducting part to mediate heat conduction between the inner cup and the first heat-conducting part. You may.

여기서, 상기 내부컵의 외주면에는 상기 써멀그리스가 수용될 수 있는 그리스홈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또 하나의 특징으로 할 수도 있다.Here, another feature may be that a grease groove in which the thermal grease can be accommodated is form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inner cup.

여기서, 상기 프레임은, 상기 내부컵의 상측 테두리와 결합되어 상기 내부컵을 지지하는 상단프레임; 및 상기 상단프레임의 하측단에 결합되고, 내측에 상기 제2 열전도부가 배치되는 공간을 형성하는 하단프레임;을 포함하는 것을 또 하나의 특징으로 할 수도 있다.Here, the frame may include an upper frame coupled to an upper rim of the inner cup to support the inner cup; And a lower frame coupled to the lower end of the upper frame and forming a space in which the second heat conduction unit is disposed therein.

여기서, 상기 상단프레임의 내측에는, 상기 제1 열전도부가 상기 내부컵의 밑면 또는 외주면의 적어도 일부분에 접하고 있는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상기 제1 열전도부의 외측 주변에 배치되어 상기 제1 열전도부를 지지하여 주며, 상기 상단프레임에 결합된 서포트홀더가 배치되어 있는 것을 또 하나의 특징으로 할 수도 있다.Here, on the inside of the upper frame, the first heat conduction part is disposed around the outer periphery of the first heat conduction part to support the first heat conduction part so that the first heat conduction part can maintain a state in contact with at least a part of the bottom surface or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inner cup, , Another feature may be that a support holder coupled to the upper frame is disposed.

여기서, 상기 서포트홀더와 상기 상단프레임 사이에는, 상기 내부컵 또는 상기 제1 열전도부를 외부로부터 단열시켜주기 위하여 밀폐된 빈 공간이 마련되어 있는 것을 또 하나의 특징으로 할 수도 있다.Here, another feature may be that a sealed empty space is provided between the support holder and the upper frame to insulate the inner cup or the first heat conductive part from the outside.

여기서, 상기 서포트홀더의 하측에는, 상기 펠티어소자부의 일측면 적어도 일부분이 상기 제1 열전도부와 접한 상태를 유지하면서 위치가 고정되도록 안착되는 상기 펠티어소자부를 홀딩시켜주는 펠티어홀더가 마련되어 있는 것을 또 하나의 특징으로 할 수도 있다.Here, on the lower side of the support holder, at least a portion of one side surface of the Peltier element is provided with a Peltier holder for holding the Peltier element to be seated so that the position is fixed while maintaining a state in contact with the first heat conducting part. may be characterized as

여기서, 상기 열전도장치는, 일측에 배치된 상기 제2 열전도부를 냉각시켜줄 수 있는 냉각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하단프레임의 내측에는 상기 냉각부가 내재되며, 상기 냉각부에 의해 공기가 통풍될 수 있도록 상기 하단프레임에 제1통풍구가 마련된 것을 또 하나의 특징으로 할 수도 있다.Here, the heat conduction device further includes a cooling unit capable of cooling the second heat conduction unit disposed on one side, and the cooling unit is built inside the lower frame so that air can be ventilated by the cooling unit. Another feature may be that a first ventilation hole is provided in the lower frame.

여기서, 상기 제어장치는, 상기 사용자로부터 상기 음료에 대한 설정온도를 입력받는 입력부; 상기 내부컵에 수용된 상기 음료의 현재온도 또는 상기 입력부를 통해 입력된 상기 설정온도를 상기 사용자가 인식할 수 있도록 출력하는 출력부; 및 상기 입력부를 통해 입력된 상기 설정온도로 상기 음료의 온도가 맞추어지도록 상기 열전도장치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또 하나의 특징으로 할 수도 있다.Here, the control device includes an input unit for receiving a set temperature for the beverage from the user; an output unit that outputs the current temperature of the beverage accommodated in the inner cup or the set temperature input through the input unit so that the user can recognize; And a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heat conduction device so that the temperature of the beverage is adjusted to the set temperature input through the input unit.

본 발명에 따른 텀블러는, 텀블러 내에 수용된 음료를 가열시키거나 냉각시키는데 소요되는 시간을 단축시켜주며, 텀블러 내에 음료의 하측과 상측 사이의 온도차이 발생을 억제시켜줄 수 있으며, 사용상의 편의성을 증대시켜주는 효과가 있다.The tumbl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hortens the time required to heat or cool the beverage contained in the tumbler, suppresses the occurrence of a temperature difference between the lower and upper sides of the beverage in the tumbler, and increases convenience in use It works.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온도조절이 가능한 텀블러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tumbler capable of temperature contro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대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이해할 수 있도록 첨부된 도면을 참조한 바람직한 실시 예를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a preferred embodiment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so that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more specifically understood.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 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 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Since the present invention can make various changes and have various embodiments, specific embodiments will be illustrated in the drawings and described in detail. However, this is not intended to limit the present invention to specific embodiments, and should be understood to include all modifications, equivalents, and substitutes included in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Terms such as first and second may be used to describe various components, but the components should not be limited by the terms. These terms are only used for the purpose of distinguishing one component from another. For example, a first element may be termed a second element, and similarly, a second element may be termed a first element,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terms and/or include any combination of a plurality of related recited items or any of a plurality of related recited items.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It is understood that when an element is referred to as being "connected" or "connected" to another element, it may be directly connected or connected to the other element, but other elements may exist in the middle. It should be. On the other hand, when an element is referred to as “directly connected” or “directly connected” to another element,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no other element exists in the middle.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Terms used in this application are only used to describe specific embodiments, and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present invention. Singular expressions include plural expressions unless the context clearly dictates otherwise. In this application, the terms "include" or "have" are intended to designate that there is a feature, number, step, operation, component, part, or combination thereof described in the specification, but one or more other features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presence or addition of numbers, steps, operations, components, parts, or combinations thereof is not precluded.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진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Unless defined otherwise, all terms used herein, including technical or scientific terms, have the same meaning as commonly understood by on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belongs. Terms such as those defined in commonly used dictionaries should be interpreted as having a meaning consistent with the meaning in the context of the related art, and unless explicitly defined in the present application, they should not be interpreted in an ideal or excessively formal meaning. don't

이하,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전체적인 이해를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도면상의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사용하고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 중복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In order to facilitate overall understanding in describing the present invention,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re used for the same components in the drawings, and redundant descriptions of the same components will be omitted.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온도조절이 가능한 텀블러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온도조절이 가능한 텀블러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정단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온도조절이 가능한 텀블러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측단면도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temperature controllable tumbl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front cross-sectional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temperature controllable tumbl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the present invention It is a side cross-sectional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tumbler capable of temperature contro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도 1 내지 도 3에서 참조되는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온도조절이 가능한 텀블러(이하 간단히 '텀블러'라 칭하기로 한다)(10)는 내부컵(100), 프레임(200), 열전도장치(400, 도 5 참조) 및 제어장치(700, 도 7 참조)를 포함한다. 이하, 도 1 내지 도 3을 기본으로 참조하되 각 부분별로 따로 나타낸 도 4 내지 도 7의 도면을 추가적으로 더 참조하면서 차례로 설명하기로 한다.As referenced in FIGS. 1 to 3, the temperature-controllable tumbler (hereinafter simply referred to as a 'tumbler') 1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n inner cup 100, a frame 200, and a heat conduction device (400, see FIG. 5) and a control device (700, see FIG. 7). Hereinafter, reference will be made to FIGS. 1 to 3 as a basis, but descriptions will be made in turn with further reference to the drawings of FIGS. 4 to 7 shown separately for each part.

먼저, 텀블러(10)의 내부컵(100)은 음료를 수용할 수 있는 공간(110)을 형성한다. 그리고 내부컵(100)에 수용되는 음료의 온도를 조절하기 위하여 내부컵(100)은 열전도성이 있는 소재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내부컵(100)은 내부식성이 있는 소재인 것이 바람직하다.First, the inner cup 100 of the tumbler 10 forms a space 110 capable of accommodating a beverage. In addition, in order to adjust the temperature of the beverage accommodated in the inner cup 100, the inner cup 100 is preferably made of a thermally conductive material. In addition, the inner cup 100 is preferably made of a corrosion-resistant material.

도 4a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텀블러의 내부컵(100)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4a에서 참조되는 바와 같이 내부컵(100)의 외주면(外周面)(105)이 곡면의 형태로 된 것도 가능하며, 후술할 열전도장치의 제1 열전도부(410)가 접하게 된다.Figure 4a is a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showing the inner cup 100 of the tumbl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referenced in FIG. 4A , it is also possible that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105 of the inner cup 100 has a curved shape, and is brought into contact with the first heat conducting part 410 of the heat conducting device to be described later.

따라서, 제1 열전도부(410)를 통해 전도되어 오는 열을 전달받아서 내부컵(100) 내에 수용된 음료를 가열하거나 반대로 제1 열전도부(410) 측으로 열전도가 이루어지면서 내부컵(100) 내에 수용된 음료가 냉각될 수 있다.Therefore, the beverage accommodated in the inner cup 100 is heated by receiving the heat conducted through the first heat conduction unit 410, or conversely, the beverage accommodated in the inner cup 100 is conducted toward the first heat conduction unit 410. can be cooled.

그리고, 도 4의 b에 나타낸 바와 같이, 내부컵의 응용된 형태도 충분히 가능하다.And, as shown in b of FIG. 4, the applied form of the inner cup is also sufficiently possible.

도 4b는 본 발명의 실시 예의 텀블러의 내부컵(100)의 응용적인 형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이다.Figure 4b is a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showing the applied form of the inner cup 100 of the tumbler of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b에서 참조되는 바와 같이 내부컵(100`)의 외주면(105`)에 열전도 효율을 증가시키기 위하여 써멀그리스(thermal grease)가 채워질 그리스홈(109)이 다수 형성되어 있는 형태도 충분히 가능하다.As shown in FIG. 4B, a form in which a plurality of grease grooves 109 to be filled with thermal grease are form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105' of the inner cup 100' to increase heat conduction efficiency is also possible.

여기서, 그리스홈(109)은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세로방향으로 형성된 형태는 물론이고, 가로방향이나 임의패턴 형태로 형성된 것 또한 충분히 가능하다.Here, the grease groove 109 may be formed in a horizontal direction or an arbitrary pattern as well as in a vertical direction as shown in FIG. 4B.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온도조절이 가능한 텀블러의 열전도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단면도이다.5 is a perspective cross-sectional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heat conduction device of a tumbler capable of temperature contro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에서 더 참조되는 바와 같은 열전도장치(400)는 프레임(200)의 내측에 장착되어 외부로부터 보호되며 내부컵(100)으로 열을 전달하거나 수거하여 내부컵(100)의 내측에 수용된 음료의 온도를 조절될 수 있도록 한다.The heat conduction device 400, as further referred to in FIG. 5, is mounted on the inside of the frame 200 to be protected from the outside, and transfers or collects heat to the inner cup 100 so that the beverage contained inside the inner cup 100 is stored. Allow the temperature to be regulated.

열전도장치(400)는 내부컵(100) 내에 수용된 음료의 온도를 증가시키기 위하여 내부컵(100)의 밑면 및 외주면(105)을 통해 음료 측으로 열을 제공하거나 음료의 온도를 낮추기 위하여 내부컵(100)으로부터 열을 전달받는다.The heat conduction device 400 provides heat to the beverage side through the bottom and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105 of the inner cup 100 in order to increase the temperature of the beverage accommodated in the inner cup 100 or the inner cup 100 to lower the temperature of the beverage. ) receives heat from

이러한 열전도장치(400)는 제1 열전도부(410), 펠티어소자부(440)를 포함하며, 제2 열전도부(420), 냉각부(430)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heat conduction device 400 includes a first heat conduction unit 410 and a Peltier element unit 440, and may further include a second heat conduction unit 420 and a cooling unit 430.

제1 열전도부(410)는 내부컵(100)의 하측에 위치하여 내부컵(100)의 밑면 또는 외주면(105)의 적어도 일부분에 접하며, 내부컵(100)과 열전도가 이루어진다. 즉, 음료를 가열하기 위하여 제1 열전도부(410)는 펠티어소자부(440)로부터 열을 전달받아서 내부컵(100)으로 열전도방식으로 열을 전달하여 내부컵(100)의 음료가 가열되도록 한다.The first heat conducting part 410 is located on the lower side of the inner cup 100 and comes into contact with at least a part of the bottom surface of the inner cup 100 or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105, and conducts heat with the inner cup 100. That is, in order to heat the beverage, the first heat conduction unit 410 receives heat from the Peltier element unit 440 and transfers the heat to the inner cup 100 in a heat conduction manner so that the beverage in the inner cup 100 is heated. .

또한 음료를 냉각시키기 위하여 제1 열전도부(410)는 내부컵(100)으로부터 열을 전달받아서 펠티어소자부(440)로 전달할 수도 있다.In addition, in order to cool the beverage, the first heat conduction unit 410 may receive heat from the inner cup 100 and transfer it to the Peltier element unit 440 .

그리고,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내부컵(100)과 제1 열전도부(410) 사이에 내부컵(100)과 제1 열전도부(410) 사이의 열전도를 매개하는 써멀그리스(Thermal Grease)(490) 또는 써멀패드가 개재된 것도 바람직하다.And, as mentioned above, thermal grease (490) mediating heat conduction between the inner cup 100 and the first heat-conducting part 410 between the inner cup 100 and the first heat-conducting part 410. ) or a thermal pad is also preferably interposed.

내부컵(100)과 제1열전도부(410) 사이에 써멀그리스가 개재된 경우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부컵(100)의 외주면(105)이 단순한 곡면형태인 것도 가능하고,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부컵(100`)의 외주면(105`)에는 써멀그리스가 수용될 수 있는 그리스홈(109)이 형성되어 있는 것도 충분히 가능하다.When thermal grease is interposed between the inner cup 100 and the first heat conducting part 410 As mentioned above, as shown in FIG. 4A,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105 of the inner cup 100 is a simple curved shape. It is also possible, as shown in FIG. 4B, that a grease groove 109 in which thermal grease can be accommodated is form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105' of the inner cup 100'.

제1 열전도부(410)가 내부컵(100)의 밑면은 물론이고 외주면을 통해서 내부컵(100)과 열교환 또는 열전도가 이루어지므로 내부컵(100) 내의 음료가 가열되거나 냉각되는 시간이 단축되며, 내부컵(100) 내에서 음료의 상측부분과 하측부분 사이의 온도편차가 커지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Since the first heat conduction unit 410 exchanges or conducts heat with the inner cup 100 through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as well as the bottom of the inner cup 100, the time for heating or cooling the beverage in the inner cup 100 is shortened, It is possible to suppress an increase in the temperature difference between the upper portion and the lower portion of the beverage in the inner cup 100 .

펠티어소자부(440)와 제1 열전도부(410), 내부컵(100) 사이에는 표면 밀착되어 있어 열전도에 의한 열교환 또는 열전달이 이루어지게 되는데, 이러한 열전달과정에서 열전도효율을 증가시키기 위해서 공기층의 생성이 억제되어야 한다.The Peltier element 440, the first heat conduction part 410, and the inner cup 100 are in close contact with each other, so that heat exchange or heat transfer is performed by heat conduction. In this heat transfer process, an air layer is created to increase the heat conduction efficiency. this should be suppressed.

즉, 펠티어소자부(440)와 제1 열전도부(410), 내부컵(100) 사이에 열전도 효율을 감소시키는 공기층의 생성이 억제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위해 제1 열전도부(410)와 내부컵(100) 사이에 공기보다 열전도율이 높은 써멀그리스(490)를 개재시킨다. 그리고 이와 같은 이유로 펠티어소자부(440)와 제1열전도부(410) 사이 그리고 펠티어소자부(440)와 제2 열전도부(420) 사이에도 써멀그리스가 개재된 것이 바람직하다.That is, it is preferable to suppress generation of an air layer that reduces heat conduction efficiency between the Peltier element unit 440, the first heat conductive unit 410, and the inner cup 100. To this end, thermal grease 490 having higher thermal conductivity than air is interposed between the first heat conducting part 410 and the inner cup 100 . For this reason, it is preferable that thermal grease is also interposed between the Peltier element unit 440 and the first heat conductive unit 410 and between the Peltier element unit 440 and the second heat conductive unit 420 .

펠티어소자부(440)는 제1 열전도부(410)의 외면 적어도 일부분에 접하며, 제1 열전도부(410)로 열을 제공하거나 제1 열전도부(410)로부터 열을 흡수한다. 즉, 펠티어소자부(440)는 후술할 제어장치의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제1 열전도부(410)와 접하는 부분이 가열되거나 냉각된다.The Peltier element unit 440 contacts at least a portion of the outer surface of the first heat-conducting unit 410 and provides heat to the first heat-conducting unit 410 or absorbs heat from the first heat-conducting unit 410 . That is, a portion of the Peltier element unit 440 in contact with the first heat conducting unit 410 is heated or cooled under the control of a control unit of a control device to be described later.

음료를 설정온도로 가열하기 위하여 펠티어소자부(440)가 제1 열전도부(410)가 접하는 부분이 발열되는 경우에 는 펠티어소자부(440)가 제2 열전도부(420)가 접하는 부분은 냉각된다. 반대로 음료를 설정온도로 냉각시키기 위하여 펠티어소자부(440)가 제1 열전도부(410)가 접하는 부분이 냉각되면 반대로 펠티어소자부(440)가 제2 열전도부(420)가 접하는 부분은 발열된다.In order to heat the beverage to the set temperature, when the Peltier element 440 and the first heat conductive part 410 are heated, the Peltier element 440 and the second heat conductive part 420 are cooled. do. Conversely, if the portion where the Peltier element 440 contacts the first heat conductive portion 410 is cooled in order to cool the beverage to the set temperature, the portion where the Peltier element portion 440 contacts the second heat conductive portion 420 is heated. .

펠티어소자가 발열되거나 흡열되는 것에 대해서는 이미 알려져 있으므로 이에 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Since it is already known that the Peltier element generates heat or absorbs heat,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제2 열전도부(420)는, 일측면이 제1 열전도부(410)의 외면에 접하는 펠티어소자부(440)의 타측에 배치된다. 이러한 제2 열전도부(420)는 펠티어소자부(440)를 냉각시켜줄 수 있다. 제2열전도부(420)에는 열전도핀(422)이 다수 마련되어 있다. 다수의 열전도핀(422)이 마련되면 공기와 접하는 표면적이 증대되므로 공기에 의한 냉각효율이 증대된다.The second heat conducting part 420 is disposed on the other side of the Peltier element part 440 whose one side is in contact with the outer surface of the first heat conducting part 410 . The second heat conduction unit 420 may cool the Peltier element unit 440 . A plurality of heat conduction pins 422 are provided in the second heat conduction unit 420 . When a plurality of heat conduction fins 422 are provided, the surface area in contact with air increases, so cooling efficiency by air increases.

냉각부(430)는 일측에 배치된 제2 열전도부(420)를 냉각시켜주기 위하여 마련된다. 냉각부(430)에 의해 외부로부터 유입되는 공기는 제2열전도부(420)의 열전도핀(422)을 지나 외부로 다시 배출된다.The cooling unit 430 is provided to cool the second heat conducting unit 420 disposed on one side. Air introduced from the outside by the cooling unit 430 passes through the heat conduction fins 422 of the second heat conduction unit 420 and is discharged to the outside again.

이러한 냉각부(430)는 제2 열전도부(420)를 공냉시키기 위하여 회전되는 냉각팬과, 냉각팬을 회전시켜주는 냉각모터를 포함한다.The cooling unit 430 includes a cooling fan rotating to air-cool the second heat conducting unit 420 and a cooling motor rotating the cooling fan.

펠티어소자부(440)가 제1 열전도부(410)와 접하는 부분과 펠티어소자부(440)가 제2 열전도부(420)과 접하는 부분 사이의 온도 차이가 적을수록 열효율이 높게 된다. 따라서, 냉각부(430)는 후술할 제어장치의 제어에 따라 제2 열전도부(420)를 냉각시키는 작동을 하게 된다.The smaller the temperature difference between the portion where the Peltier element unit 440 contacts the first heat-conducting portion 410 and the portion where the Peltier device portion 440 contacts the second heat-conducting portion 420, the higher the thermal efficiency. Accordingly, the cooling unit 430 cools the second heat conducting unit 420 under the control of a control device to be described later.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온도조절이 가능한 텀블러의 프레임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단면도이다.6 is a perspective cross-sectional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frame of a tumbler capable of temperature contro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6에서 더 참조되는 바와 같이, 프레임(200)은 상측단이 내부컵(100)의 상측 테두리와 체결되어 내부컵(100)을 수용하는 형태로 지지하며, 외부로부터 내부컵(100)과 열전도장치 그리고 제어장치를 보호한다.As further referenced in FIG. 6 , the upper end of the frame 200 is fastened to the upper rim of the inner cup 100 to support the inner cup 100 in a form accommodating, and conducts heat with the inner cup 100 from the outside. Protect devices and controls.

이러한 프레임(200)은 상단프레임(210)과, 상단프레임(210)의 하측에서 체결된 하단프레임(220)을 포함한다.The frame 200 includes an upper frame 210 and a lower frame 220 fastened at a lower side of the upper frame 210 .

상단프레임(210)은 내부컵(100)의 상측 테두리와 결합되어 내부컵(100)을 지지한다. 이러한 상단프레임(210)은 내구성과 내부식성이 있는 소재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upper frame 210 is coupled to the upper rim of the inner cup 100 to support the inner cup 100 . The upper frame 210 is preferably made of a durable and corrosion-resistant material.

상단프레임(210)의 내측에는 제1 열전도부(410)가 내부컵(100)의 밑면 또는 외주면의 적어도 일부분에 접하고 있는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제1 열전도부(410)의 외측 주변에 배치되어 제1 열전도부(410)를 지지하여 주는 서포트홀더(230)가 배치되어 있다.Inside the upper frame 210, the first heat-conducting part 410 is disposed around the outer periphery of the first heat-conducting part 410 so that the first heat-conducting part 410 can maintain a state in contact with at least a part of the bottom surface or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inner cup 100. 1 The support holder 230 for supporting the heat conduction unit 410 is disposed.

이와 같이 서포트홀더(230)가 배치되어 제1 열전도부(410)를 지지하여 주므로 제1 열전도부(410)는 안정적으로 자세를 유지할 수 있다.In this way, since the support holder 230 is disposed to support the first heat-conducting part 410, the first heat-conducting part 410 can stably maintain its posture.

그리고, 서포트홀더(230)의 내주면에는, 적어도 일부분이 제1 열전도부(410)와 일정 간격 이격되도록 공간을 확보하여 제1 열전도부(410)의 열손실을 억제시켜 주는 스페이서(232)가 마련되어 있는 형태도 충분히 가능하다.In addition, a spacer 232 is provided on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support holder 230 to suppress heat loss of the first heat conducting part 410 by securing a space so that at least a part thereof is spaced apart from the first heat conducting part 410 by a certain distance. It is also possible to have a form that exists.

이와 같은 스페이서(232)가 있으면 제1 열전도부(410)를 받쳐주면서 서포트홀더(230)와 제1 열전도부(410) 사이에 접하는 면적을 감축시킬 수 있으므로 제1 열전도부(410)와 서포트홀더(230) 사이에 열전도에 의한 열손실을 억제할 수 있으므로 바람직하다.If such a spacer 232 is present, it is possible to reduce the contact area between the support holder 230 and the first heat-conducting part 410 while supporting the first heat-conducting part 410, so that the first heat-conducting part 410 and the support holder It is preferable because heat loss due to heat conduction between (230) can be suppressed.

그리고, 서포트홀더(230)와 상단프레임(210) 사이에는, 내부컵(100) 또는 제1 열전도부(410)를 외부로부터 단열시켜주기 위하여 밀폐된 빈 공간(250)이 마련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빈 공간(250)은 진공 상태인 것도 바람직하다. 이러한 빈 공간(250)이 마련되어 있으면, 내부컵(100) 또는 제1 열전도부(410)로부터 외부로의 열전달이 억제되므로 단열효율을 증대시킬 수 있다.And, between the support holder 230 and the upper frame 210, it is preferable that a sealed empty space 250 is provided to insulate the inner cup 100 or the first heat conducting part 410 from the outside. It is also preferable that this empty space 250 is in a vacuum state. When such an empty space 250 is provided, heat transfer from the inner cup 100 or the first heat conducting part 410 to the outside is suppressed, so that the insulation efficiency can be increased.

서포트홀더(230)의 하측에는, 펠티어소자부(440)의 일측면 적어도 일부분이 제1 열전도부(410)와 접한 상태를 유지하면서 위치가 고정되도록 펠티어소자부(440)를 홀딩시켜주는 펠티어홀더(240)가 마련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On the lower side of the support holder 230, a peltier holder holding the peltier element 440 so that the position is fixed while maintaining at least a portion of one side surface of the peltier element 440 in contact with the first heat conducting part 410. It is preferable that 240 is provided.

하단프레임(220)은 도면에서 참조되는 바와 같이 상단프레임(210)의 하측단에 결합되고, 내측에 제2 열전도부(420)가 배치되는 공간을 형성한다.As referred to in the drawing, the lower frame 220 is coupled to the lower end of the upper frame 210, and forms a space in which the second heat conducting unit 420 is disposed.

아울러, 하단프레임(220)의 내측에는 냉각부(430)가 내재될 수 있다. 하단프레임(220) 내측에는 냉각부(430)를 고정적으로 안착시켜줄 수 있는 냉각홀더(223)이 마련되어 있다. 냉각부(430)는 냉각홀더(223)에 의해 하단프레임(220)에 안정적으로 고정된다.In addition, a cooling unit 430 may be built into the lower frame 220 . Inside the lower frame 220, there is provided a cooling holder 223 capable of securely seating the cooling unit 430 thereon. The cooling unit 430 is stably fixed to the lower frame 220 by the cooling holder 223 .

그리고 냉각부(430)에 의해 공기가 통풍될 수 있도록 하단프레임(220)에 제1 통풍구(221)가 마련된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에 더하여 하단프레임(220)의 하측에 제2 통풍구(225)가 더 마련된 형태도 충분히 가능하다.In addition, it is preferable that the first ventilation hole 221 is provided in the lower frame 220 so that air can be ventilated by the cooling unit 430 . In addition to this, a form in which a second vent 225 is further provided on the lower side of the lower frame 220 is also possible.

참고로, 도면에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상단프레임(210)의 상측에 착탈 가능하도록 끼워져서 내부컵(100) 내의 음료를 외부로부터 밀폐된 형태로 격리시켜줄 수 있는 뚜껑이 마련된 것 또한 충분히 가능하며 바람직하다.For reference, although not shown in the drawings, it is also possible and preferable that a lid is detachably fitted to the upper side of the upper frame 210 to isolate the beverage in the inner cup 100 in a sealed form from the outside. do.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온도조절이 가능한 텀블러의 제어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록도이다.7 is a block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a control device for a tumbler capable of temperature contro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7에서 더 참조되는 바와 같이, 텀블러(10)의 제어장치(300)는 프레임(200)의 내측에 장착되고, 내부컵(100) 내에 수용된 음료가 사용자의 선택에 따른 온도를 갖추도록 열전도장치(400)의 작동을 제어한다.As further referenced in FIG. 7, the control device 300 of the tumbler 10 is mounted inside the frame 200, and the beverage contained in the inner cup 100 has a temperature according to the user's selection. Controls the operation of 400.

이러한 제어장치(300)는 외부로부터 유입될 수도 있는 물기나 수분으로부터 보호될 수 있도록 기본적으로 방수코팅, 밀봉 또는 밀폐되어 방수처리된 것이 바람직하다. 제어장치(300)는 입력부(320), 제어부(310) 및 출력부(330)를 포함한다.It is preferable that the control device 300 is basically waterproof coated, sealed, or sealed so as to be protected from water or moisture that may be introduced from the outside. The control device 300 includes an input unit 320, a control unit 310 and an output unit 330.

입력부(320)는 사용자로부터 내부컵(100) 내에 수용된 음료에 대한 설정온도를 입력받는다. 입력부(320)를 통해 입력된 값이나 입력신호는 제어부(310)로 전달된다. 제어부(310)는 입력부(320)을 통해 입력된 설정온도에 따라 열전도장치(400)가 음료를 냉각시키거나 가열시키는 작동을 하도록 제어한다.The input unit 320 receives a set temperature for the beverage accommodated in the inner cup 100 from the user. A value or an input signal input through the input unit 320 is transmitted to the control unit 310 . The control unit 310 controls the heat conduction device 400 to cool or heat the beverage according to the set temperature input through the input unit 320.

출력부(330)는 내부컵(100)에 수용된 음료의 현재온도 또는 입력부(320)를 통해 입력된 설정온도를 제어부(310)의 제어에 따라 사용자가 인식할 수 있도록 외부로 출력 또는 표시한다. 이러한 출력부(330)의 예로서 LCD 나 OLED와 같은 디스플레이를 들을 수 있다.The output unit 330 outputs or displays the current temperature of the beverage accommodated in the inner cup 100 or the set temperature input through the input unit 320 so that the user can recognize it according to the control of the control unit 310. An example of such an output unit 330 may be a display such as an LCD or OLED.

예를 들어, 출력부(330)는 현재 내부컵(100)에 수용된 음료의 온도를 섭씨 또는 화씨 단위로 표시할 수 있다.For example, the output unit 330 may display the temperature of the beverage currently accommodated in the inner cup 100 in degrees Celsius or degrees Fahrenheit.

그리고, 사용자가 입력부(320)의 온도증가버튼 또는 온도감소버튼을 터치하면, 설정된 온도에 소정의 온도단위씩 증가 또는 감소된 값을 제어부(310)의 제어에 따라 출력부(330)가 출력할 수 있다.And, when the user touches the temperature increase button or temperature decrease button of the input unit 320, the output unit 330 outputs a value increased or decreased by a predetermined temperature unit to the set temperature according to the control of the control unit 310. can

예를 들어, 설정온도가 70.0도인 경우 사용자가 온도증가버튼을 1회 터치하면 설정온도 증감값 단위인 0.5도 만큼 증가된 70.5도를 표시할 수 있다는 것이다.For example, if the user touches the temperature increase button once when the set temperature is 70.0 degrees, 70.5 degrees, which is increased by 0.5 degrees, can be displayed.

마찬가지로 냉각시키기 위하여 설정온도가 10도 일 때 온도감소버튼을 1회 터치하면 9.5도를 표시할 수 있으며, 2회 터치되면 9.0도를 표시할 수 있다.Likewise, when the set temperature is 10 degrees for cooling, if the temperature decrease button is touched once, 9.5 degrees can be displayed, and if touched twice, 9.0 degrees can be displayed.

그리고 제어부(310)의 제어에 따라 내부컵(100) 내 음료가 설정온도가 되면, 사용자가 인식할 수 있도록 출력부(330)가 제어부(310)의 제어에 따라 표시할 수도 있다.When the beverage in the inner cup 100 reaches the set temperature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 unit 310, the output unit 330 may display it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 unit 310 so that the user can recognize it.

제어부(310)는 입력부(320)를 통해 입력된 설정온도로 음료의 온도가 맞추어지도록 열전도장치(400)의 작동을 제어한다. 이를 위해 제어부(310)는 입력부(320), 출력부(330), 펠티어소자부(44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온도센서와도 연결되어 온도센서로부터 측정된 온도를 전달받을 수 있다.The control unit 310 controls the operation of the heat conduction device 400 so that the temperature of the beverage is matched to the set temperature input through the input unit 320. To this end, the control unit 310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input unit 320, the output unit 330, and the Peltier element unit 440, and is also connected to a temperature sensor to receive the temperature measured from the temperature sensor.

온도센서는 내부컵 내의 음료의 온도를 센싱할 수 있도록 내부컵(100)에 배치될 수 있다. 제어부(310)는 온도센서로부터 센싱된 음료의 온도와 사용자로부터 입력받은 설정온도를 비교하고, 그에 따라 음료가 냉각 또는 가열되도록 펠티어소자부(440)의 작동을 제어한다.A temperature sensor may be disposed in the inner cup 100 to sense the temperature of the beverage in the inner cup. The control unit 310 compares the temperature of the beverage sensed by the temperature sensor with the set temperature input from the user, and controls the operation of the Peltier element unit 440 to cool or heat the beverage accordingly.

전원공급부는 펠티어소자부와 제어장치가 작동할 수 있는 전력을 공급하며, 하단프레임 내에 배터리 형태로 마련될 수도 있으며, 외부로부터 플러그를 통해 전력을 전달받는 형태도 가능하다.The power supply unit supplies power for the operation of the Peltier element unit and the control device, and may be provided in the form of a battery in the lower frame, or may be supplied with power from the outside through a plug.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온도조절이 가능한 텀블러는 제1 열전도부가 내부컵의 밑면은 물론이고 외주면을 통해서 내부컵과 열교환 또는 열전도가 이루어지므로, 내부컵 내의 음료가 가열되거나 냉각되는 시간이 단축되며, 내부컵 내에서 음료의 상측부분과 하측부분 사이의 온도편차가 발생하거나 커지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in the temperature controllable tumbl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eat exchange or heat conduction is performed with the inner cup through the outer circumference as well as the bottom of the inner cup by the first heat conduction unit, so the time for heating or cooling the beverage in the inner cup is reduced. It is shortened, and it is possible to suppress the occurrence or increase of the temperature difference between the upper part and the lower part of the beverage in the inner cup.

따라서, 텀블러 내에 수용된 음료를 가열시키거나 냉각시키는데 소요되는 시간을 단축시켜주며, 사용상의 편의성을 증대시켜주는 장점이 있다.Therefore, it reduces the time required to heat or cool the beverage accommodated in the tumbler, and has the advantage of increasing convenience in use.

이상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한 실시 예들에 의해서 이루어졌지만, 상술한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들어 설명하였을 뿐이기 때문에, 본 발명이 상기의 실시 예에만 국한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아니되며,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후술하는 청구범위 및 그 등가개념으로 이해되어져야 할 것이다.As described above, the specific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by the embodiments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but since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have only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the above It should not be understood as being limited only to the embodiments, and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understood as the following claims and equivalent concepts thereof.

100 : 내부컵
200 : 프레임
100: inner cup
200: frame

Claims (1)

음료를 수용할 수 있는 공간을 형성하며, 열전도성이 있는 소재로 이루어진 내부컵;
상측단이 상기 내부컵의 상측 테두리와 체결되어 상기 내부컵을 수용하는 형태로 지지하며, 외부로부터 상기 내부컵을 보호하는 프레임;
상기 프레임의 내측에 장착되고, 상기 내부컵의 밑면 및 외주면을 통해 상기 음료 측으로 열을 제공하거나 상기 내부컵으로부터 열을 전달받는 열전도장치; 및
상기 프레임의 내측에 장착되고, 상기 내부컵 내에 수용된 상기 음료가 사용자의 선택에 따른 온도를 갖추도록 상기 열전도장치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열전도장치는,
상기 내부컵의 하측에 위치하여 상기 내부컵의 밑면 및 외주면의 적어도 일부분에 접하며 상기 내부컵과 열전도가 이루어지는 제1 열전도부;
상기 제1 열전도부의 외면 적어도 일부분에 접하는 펠티어소자부; 및
일측면이 상기 제1 열전도부의 외면에 접하는 상기 펠티어소자부의 타측면에 배치되고 열전도핀이 다수 마련된 제2 열전도부; 를 포함하고,
상기 프레임은,
상기 내부컵의 상측 테두리와 결합되어 상기 내부컵을 지지하는 상단프레임; 및
상기 상단프레임의 하측단에 결합되고, 내측에 상기 제2 열전도부가 배치되는 공간을 형성하는 하단프레임;을 포함하며,
상기 상단프레임의 내측에는,
상기 제1 열전도부가 상기 내부컵의 밑면 및 외주면의 적어도 일부분에 접하고 있는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상기 제1 열전도부의 외측 주변에 배치되어 상기 제1 열전도부를 지지하여 주며, 상기 상단프레임에 결합된 서포트홀더가 배치되어 있고, 상기 서포트홀더의 내주면에는 적어도 일부분이 제1 열전도부와 일정 간격 이격되도록 공간을 확보하여 제1 열전도부의 열손실을 억제시켜주는 스페이서가 마련되어 있으며,
상기 서포트홀더와 상기 상단프레임 사이에는,상기 내부컵 또는 상기 제1 열전도부를 외부로부터 단열시켜주기 위하여 밀폐된 빈 공간이 마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도조절이 가능한 텀블러.
An inner cup formed of a material having thermal conductivity and forming a space capable of accommodating beverages;
a frame whose upper end is fastened to an upper rim of the inner cup to support the inner cup and to protect the inner cup from the outside;
a heat conduction device mounted inside the frame and providing heat to the beverage side or receiving heat from the inner cup through a lower surface and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inner cup; and
A control device mounted on the inside of the frame and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heat conduction device so that the beverage accommodated in the inner cup has a temperature according to the user's selection; includes,
The heat conduction device,
a first heat conduction unit positioned below the inner cup and in contact with at least a portion of a bottom surface and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inner cup and conducting heat with the inner cup;
a Peltier element portion in contact with at least a portion of an outer surface of the first heat-conducting portion; and
a second heat conduction unit disposed on the other side of the Peltier element unit, one side of which is in contact with an outer surface of the first heat conduction unit, and having a plurality of heat conduction pins; including,
the frame,
an upper frame coupled to an upper rim of the inner cup to support the inner cup; and
A lower frame coupled to the lower end of the upper frame and forming a space in which the second heat conduction unit is disposed,
Inside the upper frame,
A support holder coupled to the upper frame and disposed around the outer periphery of the first heat conduction part to support the first heat conduction part so that the first heat conduction part can maintain a state in contact with at least a part of the bottom surface and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inner cup is disposed, and a spacer is provided on an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support holder to suppress heat loss of the first heat conducting part by securing a space so that at least a part thereof is spaced apart from the first heat conducting part at a predetermined interval,
Between the support holder and the upper frame, characterized in that a sealed empty space is provided to insulate the inner cup or the first heat conduction part from the outside.
Temperature adjustable tumbler.
KR1020220017044A 2022-02-09 2022-02-09 Temperature Adjustable Tumlber KR20230120460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17044A KR20230120460A (en) 2022-02-09 2022-02-09 Temperature Adjustable Tumlbe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17044A KR20230120460A (en) 2022-02-09 2022-02-09 Temperature Adjustable Tumlber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20460A true KR20230120460A (en) 2023-08-17

Family

ID=878003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17044A KR20230120460A (en) 2022-02-09 2022-02-09 Temperature Adjustable Tumlber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120460A (e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49784B1 (en) Temperature Adjustable Tumbler
CA2463810C (en) Container cooler and warmer
US20100307168A1 (en) Thermo-electric cooler
WO2006064432A1 (en) A thermoelectric cooling/heating appliance
CN106315028A (en) Receiving device for beverage containers
KR101816924B1 (en) Smart tumbler system
US20150230662A1 (en) Microwave-Heatable Thermal Storage Pad and a Food Heating Kit Having the Same
KR101756376B1 (en) cup holder device composed of selection type for cooling and heating
KR100775518B1 (en) Cup-holder for vehicles capable of automatic cooling/heat-retaining and method capable of automatic cooling/heat-retaining of a drink-vessel
KR101950751B1 (en) Apparatus for cooling and heating cup holder for vehicle
KR20230120460A (en) Temperature Adjustable Tumlber
KR101949960B1 (en) Cool and warm device of mask pack
CN213429441U (en) Cold and hot circulation control by temperature change pillow of sleeping well
KR102370440B1 (en) Temperature Adjustable Tumbler
KR101349723B1 (en) Cooling and heating cabinet for vehicle
JP2002282136A (en) Store for transportation
KR101471034B1 (en) Cold-insulating container using a thermoelectric device
KR20190049994A (en) Apparatus for cooling and heating cup holder for vehicle
KR20150075964A (en) Cup holder capable of controlling temperature
CN220494776U (en) Meal heat preservation box
JP2020019509A (en) Beverage supplying device
TW201529025A (en) Storage and thermal insulation assembly
KR20190070392A (en) A tumbler that uses water to keep water warm and cool
CN214341527U (en) Novel water cup device
JP2001130646A (en) Hot temperature and cold temperature keeping devic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