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20354A - Prefabricated molding block set for 3D printing - Google Patents

Prefabricated molding block set for 3D printing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20354A
KR20230120354A KR1020220016823A KR20220016823A KR20230120354A KR 20230120354 A KR20230120354 A KR 20230120354A KR 1020220016823 A KR1020220016823 A KR 1020220016823A KR 20220016823 A KR20220016823 A KR 20220016823A KR 20230120354 A KR20230120354 A KR 2023012035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e
block
printing
assembly
block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16823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박찬교
Original Assignee
전남대학교병원
주식회사 쓰리디시스템즈코리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전남대학교병원, 주식회사 쓰리디시스템즈코리아 filed Critical 전남대학교병원
Priority to KR102022001682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120354A/en
Publication of KR2023012035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20354A/en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2CASTING; POWDER METALLURGY
    • B22FWORKING METALLIC POWDER; MANUFACTURE OF ARTICLES FROM METALLIC POWDER; MAKING METALLIC POWDER; APPARATUS OR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METALLIC POWDER
    • B22F12/00Apparatus or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additive manufacturing; Auxiliary means for additive manufacturing; Combinations of additive manufacturing apparatus or devices with other processing apparatus or devices
    • B22F12/30Platforms or substrat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3ADDITIVE MANUFACTURING TECHNOLOGY
    • B33YADDITIVE MANUFACTURING, i.e. MANUFACTURING OF THREE-DIMENSIONAL [3-D] OBJECTS BY ADDITIVE DEPOSITION, ADDITIVE AGGLOMERATION OR ADDITIVE LAYERING, e.g. BY 3-D PRINTING, STEREOLITHOGRAPHY OR SELECTIVE LASER SINTERING
    • B33Y10/00Processes of additive manufactur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3ADDITIVE MANUFACTURING TECHNOLOGY
    • B33YADDITIVE MANUFACTURING, i.e. MANUFACTURING OF THREE-DIMENSIONAL [3-D] OBJECTS BY ADDITIVE DEPOSITION, ADDITIVE AGGLOMERATION OR ADDITIVE LAYERING, e.g. BY 3-D PRINTING, STEREOLITHOGRAPHY OR SELECTIVE LASER SINTERING
    • B33Y30/00Apparatus for additive manufacturing; Details thereof or accessories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3ADDITIVE MANUFACTURING TECHNOLOGY
    • B33YADDITIVE MANUFACTURING, i.e. MANUFACTURING OF THREE-DIMENSIONAL [3-D] OBJECTS BY ADDITIVE DEPOSITION, ADDITIVE AGGLOMERATION OR ADDITIVE LAYERING, e.g. BY 3-D PRINTING, STEREOLITHOGRAPHY OR SELECTIVE LASER SINTERING
    • B33Y40/00Auxiliary operations or equipment, e.g. for material handling
    • B33Y40/20Post-treatment, e.g. curing, coating or polishing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3D printing용 조립식 성형 블록 세트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개별적으로 조립 및 분리가 가능한 복수 개의 조립블록으로 형성된 3D 프린팅을 위한 성형공간을 제공할 수 있어 3D 프린팅 후 다양한 크기의 출력물이 적재된 조립블록만 분리하여 후처리 가공을 수행할 수 있으며, 조립블록이 분리된 영역에 동일한 형상으로 제작된 별도의 조립블록을 조립하여 바로 새로운 3D 프린팅 작업을 수행할 수 있기 때문에 작업의 생산성을 높이고 효율성 또한 향상시킬 수 있는 3D printing용 조립식 성형 블록 세트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et of prefabricated molding blocks for 3D printing, and more specifically, it is possible to provide a molding space for 3D printing formed of a plurality of assembling blocks that can be individually assembled and separated, so that outputs of various sizes can be produced after 3D printing. Post-processing can be performed by separating only the loaded assembly blocks, and a new 3D printing job can be performed immediately by assembling a separate assembly block manufactured in the same shape in the area where the assembly blocks are separated, increasing work productivity. It is about a set of prefabricated molding blocks for 3D printing that can increase and increase efficiency.

Description

3D printing용 조립식 성형 블록 세트{Prefabricated molding block set for 3D printing}Prefabricated molding block set for 3D printing}

본 발명은 3D printing용 조립식 성형 블록 세트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개별적으로 조립 및 분리가 가능한 복수 개의 조립블록으로 형성된 3D 프린팅을 위한 성형공간을 제공할 수 있어 3D 프린팅 후 다양한 크기의 출력물이 적재된 조립블록만 분리하여 후처리 가공을 수행할 수 있으며, 조립블록이 분리된 영역에 동일한 형상으로 제작된 별도의 조립블록을 조립하여 바로 새로운 3D 프린팅 작업을 수행할 수 있기 때문에 작업의 생산성을 높이고 효율성 또한 향상시킬 수 있는 3D printing용 조립식 성형 블록 세트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et of prefabricated molding blocks for 3D printing, and more specifically, it is possible to provide a molding space for 3D printing formed of a plurality of assembling blocks that can be individually assembled and separated, so that outputs of various sizes can be produced after 3D printing. Post-processing can be performed by separating only the loaded assembly blocks, and a new 3D printing job can be performed immediately by assembling a separate assembly block manufactured in the same shape in the area where the assembly blocks are separated, increasing work productivity. It is about a set of prefabricated molding blocks for 3D printing that can increase and increase efficiency.

3D 프린터란, 제작하고자 하는 3차원의 대상물을 아주 얇은 층으로 구조화(슬라이싱)한 디지털화된 도면의 3차원 정보를 바탕으로 재료를 한 층씩 쌓아 올려서 실제 조형물을 구현하는 장치로서, 목합 제작방식, CNC 밀링 등의 방식과 비교하여 용이하게 입체물을 제작할 수 있다.A 3D printer is a device that implements an actual sculpture by stacking materials layer by layer based on the three-dimensional information of a digitized drawing in which a three-dimensional object to be produced is structured (sliced) into very thin layers. Compared to methods such as milling, three-dimensional objects can be easily produced.

본래의 3D 프린터는 대량생산 이전의 모델링이나 샘플 제작과 같은 용도로 개발되었으나, 최근에는 3D 프린터를 통해 다품종 소량 생산이 가능하여, 시제품을 개발을 위한 금형 제작 등을 생략할 수 있기 때문에 시간과 비용을 절감할 수 있고, 주문량에 제한을 두지 않고 생산이 가능하며, 제품의 시장 출시 기간을 조절할 수 있고, 특별한 기술 없이도 복잡한 형태의 제품을 제작할 수 있어 의학, 산업, 생활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되고 있다.Originally, 3D printers were developed for purposes such as modeling or sample production prior to mass production, but recently 3D printers have enabled low-volume production of a variety of products, eliminating mold production for prototype development, reducing time and cost. It is used in various fields such as medicine, industry, and life because it can reduce production, can be produced without limiting the amount of orders, can adjust the time to market, and can manufacture complex products without special skills. .

이러한 3D 프린팅 기술은 제품 성형방식에 따라 재료압출방식(Matrial Extrusion,ME), 광중합방식(Photo Polymerizaion,PP), 분말적층용융방식(Power Bed Fusion,PBF), 고에너지 직접조사방식(Direct Energy Deposition,DED) 등으로 나누어지며, 각 방식에 따라 장치 및 재료가 달라진다.Depending on the product molding method, these 3D printing technologies are classified into Material Extrusion (ME), Photo Polymerization (PP), Power Bed Fusion (PBF), and Direct Energy Deposition (Direct Energy Deposition). ,DED), etc., and the device and material are different according to each method.

그 중에서도 분말 적층용융방식(Power Bed Fusion,PBF)의 3D 프린팅은 분말 형태의 재료를 도포한 후 레이저를 재료에 선택적으로 조사하여 금속분말을 용융시키고, 다시 분말 재료를 한층 도포한 후 레이저를 조사하는 과정을 반복함으로써 인쇄하고자 하는 3D 입체 출력물을 프린팅한다.Among them, power bed fusion (PBF) 3D printing applies a powdered material, selectively irradiates a laser to the material to melt the metal powder, and then applies a layer of powder material again and then irradiates the laser. By repeating the process, the 3D stereoscopic output to be printed is printed.

또한, 분말 적층용융방식(Power Bed Fusion,PBF)으로 3D 프린팅 후에는 적재된 출력물의 이물질 제거, 열처리, 표면 가공, 도색 등의 후처리 가공을 수행하여 3D 프린팅 출력물을 완성한다.In addition, after 3D printing by power bed fusion (PBF), post-processing such as removing foreign substances from the loaded output, heat treatment, surface processing, and painting is performed to complete the 3D printed output.

여기서, 출력물이 적재된 성형판은 후처리 가공을 위해 3D 프린터로부터 분리하여 후처리 가공하는 장치 또는 장소로 운반되며, 후처리 가공 후 성형으로부터 출력물만을 절삭 공구 등을 통해 제거하게 되면, 성형판에 미세하게 남는 잔여 출력물을 제거하기 위해 성형판의 상면을 연삭하고 평면 가공하는 과정이 수행된다.Here, the mold plate loaded with the output is separated from the 3D printer for post-processing and transported to a post-processing device or place, and when only the output is removed from the molding after post-processing through a cutting tool, In order to remove the remaining fine print, the upper surface of the molding plate is ground and planarized.

한편, 종래에는 위에 설명한 작업이 모두 완료된 후에 성형판을 다시 3D 프린터에 조립하여 새로운 3D 프린팅 작업을 수행하였으나, 이는 후가공 및 성형판을 보정하는 작업에 드는 시간이 많이 소요되어 시간대비 출력물의 생산량이 낮고 작업의 효율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On the other hand, in the past, after all the above-described tasks were completed, the molded plate was re-assembled in the 3D printer to perform a new 3D printing job, but this requires a lot of time for post-processing and correcting the molded plate, resulting in a decrease in the amount of output compared to the time. There is a problem of low and low work efficiency.

또한, 3D 프린팅의 출력물 크기가 작을 경우, 성형판의 일정 부분만 사용하여도 성형판 상면의 수평을 맞추기 위해 성형판 상면의 전체 영역을 연삭하고 평면 가공을 수행해야하기 때문에 비효율적인 소모가 발생하며, 소모품인 성형판을 다시 제작하고 교체하는데 드는 비용이 많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다.In addition, when the size of the output of 3D printing is small, even if only a certain portion of the molded plate is used, inefficient consumption occurs because the entire upper surface of the molded plate must be ground and flattened to level the upper surface of the molded plate. However, there is a problem in that a lot of cost is incurred in remanufacturing and replacing the molded plate, which is consumable.

따라서, 3D 프린팅 과정에 비효율적으로 소요되는 시간을 줄여서 3D 프린팅 출력물의 생산량을 높이고 작업의 효율성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3D 프린팅을 위한 성형판의 비효율적인 소모를 최소화할 수 있어 성형판에 드는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3D 프린터용 성형공간이 필요하다.Therefore, it is possible to increase the production of 3D printed output and improve work efficiency by reducing the inefficient time spent in the 3D printing process, and to minimize the inefficient consumption of the molding plate for 3D printing, thereby reducing the cost of the molding plate. The molding space for 3D printers that can be reduced is needed.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3D 프린팅 출력물이 적재된 영역만을 활용하여 후처리 가공을 수행할 수 있어 후처리 가공에 의해 사용되지 않은 영역까지 소모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기 때문에 소모품인 성형공간의 사용 수명을 늘릴 수 있어 성형공간 교체 및 보정에 드는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3D printing용 조립식 성형 블록 세트를 제공하는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mentioned problems, and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erform post-processing processing using only the area where the 3D printing output is loaded, preventing consumption of unused areas by post-processing processing It is to provide a set of prefabricated molding blocks for 3D printing that can reduce the cost of replacing and correcting molding spaces by extending the lifespan of consumable molding spaces.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3D 프린팅 작업이 끝난 후 2~3일 이상 소요되는 후처리 가공을 수행한 뒤 새로운 3D 프린팅 작업을 수행하지 않고 3D 프린팅 출력물이 적재된 영역만 교체하여 바로 새로운 작업을 수행할 수 있어 비효율적으로 낭비되는 작업 시간을 절감할 수 있는 3D printing용 조립식 성형 블록 세트를 제공하는 것이다.In addition,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erform a post-processing process that takes 2 to 3 days or more after the 3D printing job is finished, and then replace only the area where the 3D printing output is loaded without performing a new 3D printing job. It is to provide a set of prefabricated molding blocks for 3D printing that can be performed to reduce inefficiently wasted work time.

한편, 본 발명의 목적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Meanwhile, the obj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objects mentioned above, and other objects not mentioned will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description below.

상술한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3D 프린터 내부에 조립되며, 3D 프린팅을 위한 재료가 용융되어 적층될 수 있는 성형공간으로, 3D 프린터 내부에 결합되는 다이와 상기 다이의 상면에 조립된 복수 개의 조립블록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3D 프린팅된 출력물이 적재된 조립블록만을 상기 다이로부터 분리하여 운반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3D printing용 조립식 성형 블록 세트를 제공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s, the present invention is assembled inside a 3D printer, a molding space in which materials for 3D printing can be melted and stacked, a die coupled inside the 3D printer and a plurality of assemblies assembl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die It is made up of blocks, and provides a prefabricated molding block set for 3D printing, characterized in that only the assembly block loaded with the 3D printed output can be separated from the die and transported.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다이에는, 상기 다이 상면의 끝단으로부터 내측 방향으로 소정의 길이를 가지며, 상기 다이의 둘레를 따라 일정 간격으로 돌출 형성된 복수 개의 제1 결합바와 각 제1 결합바를 기준으로 동일 선상에서 서로 이격되어 소정의 직경을 가지고 형성된 복수 개의 홀 및 서로 인접하는 홀의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다이 상면에 돌출되도록 체결되는 복수 개의 제2 결합바가 형성되고, 상기 조립블록은 중심이 상기 홀에 위치하도록 배치되며, 상기 조립블록의 하면에는 각 홀을 중심으로 인접하게 배치된 상기 제1,2 결합바가 삽입될 수 있는 결합홈이 형성되고, 상기 제2 결합바는 일측과 타측이 서로 인접하게 배치되는 각 조립블록의 결합홈에 각각 소정 영역 삽입 결합할 수 있는 길이를 갖는다.In a preferred embodiment, the die has a predetermined length in an inward direction from the end of the upper surface of the die, and a plurality of first coupling bars protruding at regular intervals along the circumference of the die are the same based on each first coupling bar. A plurality of second coupling bars are formed between a plurality of holes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on a line and formed with a predetermined diameter and holes adjacent to each other and fastened so as to protrude from the upper surface of the die, and the assembly block has a center located in the hole. On the lower surface of the assembly block, a coupling groove into which the first and second coupling bars disposed adjacent to each hole can be inserted is formed, and one side and the other side of the second coupling bar are disposed adjacent to each other. It has a length capable of inserting and coupling a predetermined area into the coupling groove of each assembly block.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복수 개의 조립블록은 상기 다이의 코너 부근에 배치되어 상기 다이 상면에 조립되는 코너조립블록 및 배치된 코너조립블록들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다이 상면에 조립되는 내측조립블록을 포함하며, 상기 코너조립블록과 상기 다이에는 핀이 삽입될 수 있도록 서로 대응되는 위치에 연통되어 형성된 가이드홀이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홀에 상기 핀을 삽입하여 상기 다이의 각 단부에 조립될 코너조립블록들이 동일 선상에 배치되어 조립되도록 가이드할 수 있다.In a preferred embodiment, the plurality of assembly blocks include a corner assembly block disposed near a corner of the die and assembl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die and an inner assembly block disposed between the disposed corner assembly blocks and assembl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die. The corner assembly block and the die are formed with guide holes formed in communication with each other at positions corresponding to each other so that pins can be inserted, and the corner assembly to be assembled at each end of the die is formed by inserting the pin into the guide hole. Blocks can be arranged on the same line and guided to be assembled.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다이에는 상기 다이 코너의 양쪽 외측면에서 상기 코너조립블록의 노출된 면을 수직 방향으로 가압하여 상기 다이에 조립된 복수 개의 조립블록을 밀착 고정시킬 수 있는 블록 위치조정부가 더 형성되며, 상기 블록 위치조정부는 상기 다이 코너의 각 모서리를 기준으로 양쪽 외측면에 소정 거리 이격되어 형성되며, 상기 다이의 상부 외측면에서 내측 방향으로 소정 깊이를 가지고 형성된 홈 및 상기 홈에서 상기 다이의 외측면과 평행한 상기 홈의 내측면에 소정 거리 이격되도록 삽입되어 상기 코너조립블록을 내측 방향으로 접촉 가압할 수 있는 조정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조정부재는 상기 홈에 삽입 안착되며, 나사가 관통 삽입될 수 있는 나사홀이 형성된 몸체 및 상기 몸체의 상면 외측 끝단에서 수직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며 상기 코너조립블록에 접촉되는 가압면을 포함하며, 상기 홈의 내측면에는 나사가 체결될 수 있는 체결홈이 형성되고, 상기 나사홀에 나사를 삽입하여 상기 체결홈에 체결되도록 가압하면서 조이면, 상기 조정부재가 상기 홈의 내측면에 접촉되도록 이동하므로 상기 가압면이 상기 코너조립블록을 내측으로 압착 가압할 수 있다.In a preferred embodiment, the die has a block positioning unit capable of tightly fixing a plurality of assembly blocks assembled to the die by pressing the exposed surface of the corner assembly block in the vertical direction from both outer surfaces of the die corner. Further, the block positioning unit is formed spaced apart from both outer surfaces by a predetermined distance based on each edge of the die corner, and in a groove formed having a predetermined depth from the upper outer surface of the die in an inward direction, and the groove An adjustment member inserted into the inner surface of the groove parallel to the outer surface of the die at a predetermined distance from each other to press the corner assembly block inwardly in contact with the groove, wherein the adjustment member is inserted into the groove and seated with a screw. It includes a body having a screw hole into which a screw hole can be inserted and a pressing surface extending in a vertical direction from the outer end of the upper surface of the body and in contact with the corner assembly block, and a screw can be fastened to the inner surface of the groove When a fastening groove is formed and a screw is inserted into the screw hole and pressurized and tightened so as to be fastened to the fastening groove, the adjustment member moves to come into contact with the inner surface of the groove, so that the pressing surface compresses the corner assembly block inwardly. can be pressurized.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다이에는 각 조립블록을 가압하여 상기 다이로부터 개별적으로 분리시키는 블록 분리부가 형성되고, 상기 다이에 형성된 홀의 내측면에는 나사산이 형성되며, 상기 블록 분리부는 상기 복수 개의 홀에 각각 삽입되는 스프링과 상기 스프링의 상단과 연결되고 상기 홀에 인접한 제1,2 결합바에 안착되어 각 조립블록의 결합홈에 삽입 결합될 수 있도록 상기 결합홈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형성된 라이너 및 상기 스프링 하단에 배치되되, 외측면에 나사산이 형성되어 상기 홀에 체결되고 상기 스프링이 상기 다이의 상면에 돌출되도록 지지하고 가압하는 가압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가압부재에는 상기 가압부재를 조이기 위해 공구가 삽입될 수 있는 관통홀이 형성되어 상기 가압부재를 조임에 따라 상기 가압부재가 상측으로 이동하면서 스프링을 압축시키고, 압축된 스프링의 반발력으로 인해 상기 라이너가 각 조립블록의 하부면을 가압하여 각 조립블록을 상기 다이로부터 분리할 수 있다.In a preferred embodiment, a block separator is formed on the die to individually separate each assembly block from the die by pressing, a screw thread is formed on an inner surface of a hole formed in the die, and the block separator is formed in the plurality of holes. Springs to be inserted respectively, a liner formed in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coupling groove so that it is connected to the upper end of the spring, seated on the first and second coupling bars adjacent to the hole, and inserted into the coupling groove of each assembly block, and the lower end of the spring It is disposed on the outer surface, and includes a pressing member for supporting and pressurizing the spring so that it protrudes from the upper surface of the die and is fastened to the hole with a screw thread formed on the outer surface, and a tool is inserted into the pressing member to tighten the pressing member. As a through-hole is formed to tighten the pressing member, the pressing member moves upward and compresses the spring, and due to the repulsive force of the compressed spring, the liner presses the lower surface of each assembly block to form each assembly block. It can be separated from the die.

또한, 본 발명은 3차원 출력물이 적재되는 조립식 성형 블록 세트와 3D 프린팅을 위한 재료를 상기 조립식 성형 블록 세트의 상면에 도포하는 도포장치 및 상기 조립식 성형 블록 세트의 상부에 배치되며 재료가 도포된 조립식 성형 블록 세트의 상면에 레이저를 조사하여 재료를 용융하는 조사장치를 포함하는 3D 프린터를 더 제공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a prefabricated molding block set on which a three-dimensional output is loaded, a coating device for applying a material for 3D printing to the upper surface of the prefabricated molding block set, and a prefabricated molding block set disposed on top of the prefabricated molding block set and coated with the material It is possible to further provide a 3D printer including an irradiation device for melting a material by irradiating a laser onto the upper surface of the molding block set.

본 발명은 다음과 같은 우수한 효과가 있다.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following excellent effects.

본 발명의 3D printing용 조립식 성형 블록 세트에 의하면, 3D 프린팅 출력물이 적재되는 성형공간이 복수 개 조립블록의 조립으로 형성되어 상기 출력물이 적재된 조립블록만 탈거하여 후처리 가공을 수행할 수 있기 때문에 사용되지 않은 조립블록이 후처리 가공에 의해 소모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자주 자용되지 않는 조립블록의 사용 수명을 늘릴 수 있고, 소모된 성형공간의 교체 영역이 줄어들어 교체시 드는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According to the prefabricated molding block set for 3D printing of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molding space in which the 3D printing output is loaded is formed by assembling a plurality of assembly blocks, post-processing can be performed by removing only the assembly block loaded with the output. It is possible to prevent unused assembly blocks from being consumed by post-processing, thereby increasing the lifespan of assembly blocks that are not frequently used, and reducing replacement costs by reducing the replacement area of the wasted molding space. There are advantages.

또한, 본 발명의 3D printing용 조립식 성형 블록 세트에 의하면, 다이 상면에 서로 인접하게 조립된 조립블록이 같이 맞물리도록 제2 결합바가 형성되어 복수 개의 조립블록을 조립시 서로 인접하게 배치되어 조립되는 조립블록 간의 공차를 최소화할 수 있기 때문에 공차로 인해 인접하는 조립블록들 사이에 생길 수 있는 미세한 틈 또는 다단으로 인해 조립식 성형 블록 세트 상면에 출력되는 출력물의 불량을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fabricated molding block set for 3D printing of the present invention, a second coupling bar is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die so that the assembling blocks assembled adjacent to each other are engaged together, so that a plurality of assembling blocks are disposed adjacent to each other and assembled. Since the tolerance between blocks can be minimized, there is an advantage in preventing defects in the output print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prefabricated molding block set due to fine gaps or multi-levels that may occur between adjacent assembly blocks due to tolerance.

또한, 본 발명의 3D printing용 조립식 성형 블록 세트에 의하면, 다이 코너의 외측면에 코너조립블록의 노출된 외측면을 내측 방향으로 가압할 수 있는 블록 위치조정부가 형성되어 다이 상면에 조립된 복수 개의 조립블록을 밀착 고정시킬 수 있기 때문에 조립된 복수 개의 조립블록 사이의 미세한 틈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assembly type molding block set for 3D printing of the present invention, a block positioning unit capable of pressing the exposed outer surface of the corner assembly block inward is form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die corner, and a plurality of pieces assembl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die are formed. Since the assembly blocks can be fixed in close contact, there is an advantage in preventing the occurrence of minute gaps between a plurality of assembled assembly blocks.

또한, 본 발명의 3D printing용 조립식 성형 블록 세트에 의하면, 상기 다이에는 각 조립블록의 중심부가 배치되는 영역마다 다이의 하부에서 상측방향으로 힘을 가압할 수 있는 블록 분리부가 형성되어 3D 프린팅시 가해지는 열로 인해 팽창된 조립블록을 적은 힘을 가지고 용이하게 다이로부터 개별적으로 분리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fabricated molding block set for 3D printing of the present invention, a block separating portion capable of pressing a force upward from the lower part of the die is formed in the die in each area where the center of each assembly block is disposed, which is applied during 3D printing There is an advantage in that the assembly blocks expanded by the losing heat can be easily separated from the die individually with little force.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3D printing용 조립식 성형 블록 세트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3D printing용 조립식 성형 블록 세트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분해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3D printing용 조립식 성형 블록 세트의 다이 상면을 보여주는 평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3D printing용 조립식 성형 블록 세트의 조립블록의 종류와 형상을 보여주는 조립블록의 저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3D printing용 조립식 성형 블록 세트의 블록 위치조정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3D printing용 조립식 성형 블록 세트의 블록 분리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for explaining a prefabricated molding block set for 3D printing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n exploded view for explaining the configuration of a prefabricated molding block set for 3D printing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plan view showing a top surface of a die of a prefabricated molding block set for 3D printing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bottom view of the assembly block showing the type and shape of the assembly block of the assembly block set for 3D printing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view for explaining a block positioning unit of a prefabricated molding block set for 3D printing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view for explaining a block separator of a prefabricated molding block set for 3D printing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가능한 현재 널리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를 선택하였으나, 특정한 경우는 출원인이 임의로 선정한 용어도 있는데 이 경우에는 단순한 용어의 명칭이 아닌 발명의 상세한 설명 부분에 기재되거나 사용된 의미를 고려하여 그 의미가 파악되어야 할 것이다.The terms used in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selected from general terms that are currently widely used as much as possible, but in certain cases, there are terms arbitrarily selected by the applicant. Therefore, its meaning should be understood.

이하, 첨부한 도면에 도시된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구성을 상세하게 설명한다.Hereinafter, the technical configu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preferred embodiments shown in the accompanying drawings.

그러나 본 발명은 여기서 설명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으며,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한 참조번호는 동일한 구성요소를 나타낸다.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herein and may be embodied in other forms, and like reference numerals denote like elements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3D printing용 조립식 성형 블록 세트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3D printing용 조립식 성형 블록 세트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분해도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for explaining a prefabricated molding block set for 3D printing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2 is an exploded view for explaining the configuration of a prefabricated molding block set for 3D printing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도 1 내지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3D printing용 조립식 성형 블록 세트(100)는 3D 프린터의 내부에 배치되도록 결합되어 3D 프린팅한 출력물이 적재될 수 있도록 성형공간을 제공한다.Referring to FIGS. 1 and 2 , the prefabricated molding block set 100 for 3D printing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oupled to be disposed inside a 3D printer to provide a molding space so that a 3D printed output can be loaded.

여기서, 3D 프린터는 도포된 분말 형태의 재료에 레이저를 선택적으로 조사하여 분말을 용융시키고, 다시 분말 재료를 한층 도포한 후 레이저를 조사하는 과정을 반복함으로써 인쇄하고자 하는 3D 입체 출력물을 출력하는 분말 적층용융방식(Power Bed Fusion,PBF)의 3D 프린팅 장치이다.Here, the 3D printer selectively irradiates the applied powder material with a laser to melt the powder, applies another layer of powder material, and then repeats the process of irradiating the laser to produce a 3D stereoscopic output to be printed. It is a 3D printing device of power bed fusion (PBF).

또한, 상기 3D 프린터는 크게 3D 프린팅 출력물이 적재되는 성형공간과 3D 프린팅을 위한 재료를 도포하는 도포장치 및 재료가 도포된 성형공간에 레이저를 조사하므로 재료를 용융시키는 조사장치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In addition, the 3D printer largely includes a molding space in which a 3D printing output is loaded, an application device for applying a material for 3D printing, and an irradiation device for melting the material by irradiating a laser beam to the molding space in which the material is applied.

즉, 본 발명의 3D printing용 조립식 성형 블록 세트(100)는 상기 조사장치 하부에 결합되어 3D 프린터로도 제공될 수 있다.That is, the prefabricated molding block set 100 for 3D printing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provided as a 3D printer by being coupled to the lower part of the irradiation device.

또한, 본 발명의 3D printing용 조립식 성형 블록 세트(100)는 다이(110) 및 복수 개의 조립블록(120)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복수 개의 조립블록(120)이 하나의 판을 이루도록 상기 다이(110) 상면에 조립하여 사용한다.In addition, the assembly block set 100 for 3D printing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die 110 and a plurality of assembly blocks 120, and the plurality of assembly blocks 120 form one plate. (110) Used by assembling on the upper surface.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3D printing용 조립식 성형 블록 세트의 다이 상면을 보여주는 평면도로,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다이(110)는 상기 복수 개의 조립블록(120)을 고정 지지하기 위해 조립 위치를 가이드하며, 제1 결합바(111), 홀(112), 제2 결합바(113)가 형성된다.3 is a plan view showing a top surface of a die of a prefabricated molding block set for 3D printing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ferring to FIG. 3, the die 110 is used to fix and support the plurality of assembly blocks 120. To guide the assembly position, the first coupling bar 111, the hole 112, the second coupling bar 113 is formed.

상기 제1 결합바(111)는 상기 다이(110)의 둘레를 따라 일정 간격으로 이격되어 복수 개 형성되며, 상세하게는, 상기 다이(110) 상면의 각 단부에 배치되는 조립블록(120)과 대응하는 갯수 및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The first coupling bar 111 is formed in plurality at regular intervals along the circumference of the die 110, and in detail, the assembly block 120 disposed at each end of the upper surface of the die 110 and It can be formed in a corresponding number and location.

또한, 상기 제1 결합바(111)는 상기 다이(110) 상면의 끝단에서 내측방향으로 소정 길이를 가지고, 상기 다이(110)의 상면에 돌출 형성된다.In addition, the first coupling bar 111 has a predetermined length inward from the end of the upper surface of the die 110 and protrudes from the upper surface of the die 110 .

상기 홀(112)은 각 제1 결합바(111)를 기준으로 동일 선상에서 일정 간격으로 서로 이격되어 복수 개 형성된다.The hole 112 is formed in plurality by being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t regular intervals on the same line based on each first coupling bar 111 .

이때, 각 조립블록(120)은 중심부가 각 홀(112)에 위치하도록 배치되어 상기 다이(110) 상면에 결합된다.At this time, each assembly block 120 is arranged so that its center is located in each hole 112 and coupl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die 110.

또한, 상기 홀(112)은 소정의 직경을 가지고 상기 다이(110)의 상하 방향으로 관통 형성되며, 이로 인해 3D 프린팅시 가해진 열이 빠르게 방출될 수 있어 상기 조립식 성형 블록 세트(100)의 열로 인한 변형을 최소화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hole 112 has a predetermined diameter and is formed through the die 110 in the vertical direction, so that heat applied during 3D printing can be quickly released, resulting in heat from the prefabricated molding block set 100. deformation can be minimized.

상기 제2 결합바(113)는 각 제1 결합바(111)를 기준으로 동일 선상에 서로 이격되도록 배치되어 상기 다이(110)에 형성되며, 상세하게는, 각 제1 결합바(111)를 기준으로 동일 선상에서 서로 인접하는 홀(112) 사이마다 배치되어 상기 다이(110) 상면에 돌출되도록 형성된다.The second coupling bars 113 are arranged to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on the same line based on each first coupling bar 111 and are formed in the die 110, and in detail, each first coupling bar 111 As a reference, it is disposed between the holes 112 adjacent to each other on the same line and is formed to protrude from the upper surface of the die 110.

즉, 상기 제1,2 결합바(111,113)는 상기 다이(110) 상에서 격자 배열로 배치되어 상기 다이(110) 상면에 돌출되도록 형성된다.That is, the first and second coupling bars 111 and 113 are arranged in a lattice arrangement on the die 110 and are formed to protrude from the upper surface of the die 110 .

또한, 상기 제2 결합바(113)는 별도의 고정부재(113a)에 의해 상기 다이(110)에 고정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second coupling bar 113 may be fixed to the die 110 by a separate fixing member 113a.

상세하게는, 상기 다이(110)에는 상기 제2 결합바(113)가 수용될 수 있는 수용홈이 형성되어 상기 제2 결합바(113)가 상기 다이(110) 상면에 소정 부분 돌출되도록 삽입되며, 상기 수용홈 측부에는 상기 제2 결합바(113)를 관통 삽입하여 상기 다이(110)에 고정시킬 수 있는 별도의 고정부재(113a)가 형성될 수 있다.In detail, an accommodation groove in which the second coupling bar 113 can be accommodated is formed in the die 110, and the second coupling bar 113 is inserted to protrude a predetermined portion from the upper surface of the die 110. , A separate fixing member 113a capable of being fixed to the die 110 by penetrating the second coupling bar 113 may be formed at a side of the receiving groove.

이에 따라, 상기 제2 결합바(113)가 파손되거나 변형될 경우, 상기 조립식 성형 블록 세트(100) 전체를 교체하거나 수리하지 않아도 파손되거나 변형된 제2 결합바(113)만 개별적으로 분리하여 수리하거나 교체할 수 있다.Accordingly, when the second coupling bar 113 is damaged or deformed, only the damaged or deformed second coupling bar 113 is individually separated and repaired without replacing or repairing the entire prefabricated molding block set 100. or can be replaced.

또한, 상기 제2 결합바(113)는 일측과 타측이 서로 인접하게 배치되어 조립되는 각 조립블록(120)에 소정 영역씩 결합할 수 있는 길이로 형성되며,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2 결합바(113)가 서로 인접하게 배치되는 각 조립블록(120)에 각각 상기 제2 결합바(113)의 1/2 영역만큼 결합할 수 있도록 배치되어 상기 다이(110)에 고정되고, 상기 제2 결합바(113)의 1/2 길이는 각 조립블록(120)의 끝단에서 중심까지의 길이보다 짧게 형성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second coupling bar 113 has one side and the other side disposed adjacent to each other and formed to a length capable of being coupled to each assembly block 120 to be assembled by a predetermined area, preferably the second coupling bar ( 113) is arranged to be coupled to each assembly block 120 disposed adjacent to each other by 1/2 area of the second coupling bar 113 and fixed to the die 110, and the second coupling bar 1/2 length of (113) may be formed shorter than the length from the end to the center of each assembly block (120).

이로 인해, 상기 다이(110)에 서로 인접하도록 조립되는 조립블록(120)들 간에 발생할 수 있는 공차를 최소화할 수 있기 때문에 조립된 조립블록(120) 간의 미세한 틈이 생겨 이물질이 끼거나 층이 생겨 3D 프린팅이 이루어지는 성형공간에 수평, 수직이 맞지 않아 출력물에 불량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Due to this, it is possible to minimize the tolerance that may occur between the assembly blocks 120 assembled to be adjacent to each other on the die 110, so that a fine gap between the assembled assembly blocks 120 is generated and foreign matter is trapped or a layer is formed. It is possible to prevent defects from occurring in the output due to horizontal and vertical misalignment in the molding space where 3D printing is performed.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3D printing용 조립식 성형 블록 세트의 조립블록의 종류와 형상을 보여주는 조립블록의 저면도로,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복수 개의 조립블록(120)은 3D 프린팅을 위한 재료가 도포되어 레이저 조사에 의해 용융된 재료가 적층될 수 있는 영역을 제공하며, 코너조립블록(121) 및 내측조립블록(122)으로 구성된다.Figure 4 is a bottom view of the assembly block showing the type and shape of the assembly block of the assembly block set for 3D printing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ferring to Figure 4, the plurality of assembly blocks 120 are 3D printing The material for the is applied to provide an area where the material melted by laser irradiation can be laminated, and is composed of a corner assembly block 121 and an inner assembly block 122.

또한, 상기 복수 개의 조립블록(120)은 중심부가 각 홀(112)에 위치하도록 배치되어 상기 다이(110)에 결합된다.In addition, the plurality of assembly blocks 120 are arranged so that their centers are located in respective holes 112 and coupled to the die 110 .

또한, 상기 복수 개의 조립블록(120)은 각각 동일한 가로,세로 길이와 높이를 갖는 입체형상이며, 가로,세로 길이가 동일한 정사각형의 밑면을 갖는 직육면체이다.In addition, each of the plurality of assembly blocks 120 is a three-dimensional shape having the same horizontal and vertical lengths and heights, and is a rectangular parallelepiped having a square bottom surface having the same horizontal and vertical lengths.

상기 코너조립블록(121)은 상기 다이(110)의 코너 부근에 배치되어 상기 다이(110) 상면에 상기 복수 개의 조립블록(120)을 조립시 조립 위치를 가이드 해주는 조립블록으로, 제1 결합홈(121a), 가이드홀(121b) 및 분리홀(121c)이 형성되어 있다.The corner assembly block 121 is an assembly block disposed near the corner of the die 110 to guide the assembly position when assembling the plurality of assembly blocks 120 on the upper surface of the die 110, and has a first coupling groove. (121a), a guide hole (121b) and a separation hole (121c) are formed.

상기 제1 결합홈(121a)은 상기 코너조립블록(121)을 상기 다이(110) 상면에 결합하기 위해 상기 제1,2 결합바(111,113)의 돌출 부분이 삽입되는 홈으로, 상기 코너조립블록(121)이 상기 다이(110)에 접촉되는 면에 상기 다이(110)의 홀(112)을 중심으로 인접하게 형성된 제1,2 결합바(111,113)가 삽입될 수 있도록 형성된다.The first coupling groove 121a is a groove into which the protruding parts of the first and second coupling bars 111 and 113 are inserted to couple the corner assembly block 121 to the upper surface of the die 110, and the corner assembly block The first and second coupling bars 111 and 113 formed adjacent to each other around the hole 112 of the die 110 are inserted into the surface of the die 121 in contact with the die 110 .

이때, 상기 제1 결합홈(121a)은 상기 코너조립블록(121)이 상기 다이(110)에 접촉하는 면에 상기 홀(112)을 중심으로 인접하게 배치된 상기 제1,2 결합바(111,113)와 대응하는 형상과 위치로 형성된다. 즉, 상기 제1 결합홈(121a)은 상기 코너조립블록(121)의 중심을 기준으로 열십자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At this time, the first coupling groove 121a is the first and second coupling bars 111 and 113 disposed adjacent to the hole 112 on the surface where the corner assembly block 121 contacts the die 110. ) and is formed in a shape and position corresponding to That is, the first coupling groove 121a may be formed in a cross shape based on the center of the corner assembly block 121 .

상기 가이드홀(121b)은 상기 다이(110) 상면의 각 단부에 조립될 코너조립블록(121)들이 동일 선상에 배치되어 조립되도록 가이드할 수 있는 홀로, 상기 코너조립블록(121)의 외측 코너에 상하 방향으로 핀이 삽입되도록 관통 형성된다.The guide hole 121b is a hole capable of guiding the corner assembly blocks 121 to be assembled at each end of the upper surface of the die 110 to be assembled on the same line, and is located at the outer corner of the corner assembly block 121. It is formed through so that the pin is inserted in the vertical direction.

이때, 상기 다이(110)에도 상기 가이드홀(121b)과 대응하는 위치에 상기 가이드홀(121b)에 삽입 관통된 핀이 삽입될 수 있는 가이드홈 또는 가이드홀이 형성된다.At this time, a guide groove or a guide hole into which a pin inserted into the guide hole 121b can be inserted is formed in the die 110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guide hole 121b.

이에 따라, 상기 가이드홀(121b)은 상기 복수 개의 조립블록(120)을 상기 다이(110)에 조립시, 상기 복수 개의 조립블록(120)을 상기 다이(110) 상면에 초기 설계한 조립 위치로 조립할 수 있도록 기준 위치를 가이드할 수 있을뿐만 아니라 상기 다이(110) 상면의 각 단부에 조립될 코너조립블록(121)들이 동일 선상에 배치되어 조립되도록 가이드할 수 있다.Accordingly, when assembling the plurality of assembly blocks 120 to the die 110, the guide hole 121b moves the plurality of assembly blocks 120 to the initially designed assembly position on the upper surface of the die 110. Not only can a reference position be guided for assembly, but also corner assembly blocks 121 to be assembled at each end of the upper surface of the die 110 can be arranged and guided to be assembled on the same line.

상기 분리홀(121c)은 상기 코너조립블록(121)을 상기 다이(110)로부터 분리시키기 위해 나사가 체결되는 홀로, 상기 코너조립블록(121)의 중심으로부터 대칭되는 영역에 상하 방향으로 관통 형성되며, 상기 분리홀(121c)의 내측면에는 상기 나사가 체결될 수 있는 나사산이 형성되어 있다. The separation hole 121c is a hole to which a screw is fastened to separate the corner assembly block 121 from the die 110, and is formed through an area symmetrical from the center of the corner assembly block 121 in the vertical direction, , A screw thread into which the screw can be fastened is form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separation hole 121c.

여기서, 상기 나사는 상기 코너조립블록(121)의 높이보다 길게 형성되며, 상기 다이(110)에는 별도의 홀 또는 홈이 형성되어 있지 않다.Here, the screw is formed longer than the height of the corner assembly block 121, and no separate hole or groove is formed in the die 110.

이에 따라, 상기 복수 개의 조립블록(121)이 열팽창 또는 불량 조립 등으로 인해 상기 다이(110)로부터 분리가 어려울 경우, 상기 분리홀(121c)에 상기 나사를 하측 방향으로 가압하여 상기 다이(110)의 상면에 도달할 때까지 조이면, 상기 다이(110)에서 상기 코너조립블록(121)을 밀어내어 분리할 수 있어 상기 코너조립블록(121)을 상기 다이(110)로부터 적은 힘, 즉, 상기 나사를 조이는 힘으로 분리시킬 수 있다. Accordingly, when it is difficult to separate the plurality of assembly blocks 121 from the die 110 due to thermal expansion or poor assembly, the screws are pressed downward into the separation holes 121c to form the die 110. When tightened until reaching the upper surface of the die 110, the corner assembly block 121 can be pushed out and separated, so that the corner assembly block 121 is removed from the die 110 with little force, that is, the screw. can be separated by tightening force.

한편, 상기 다이(110)의 각 모서리 영역에는 볼트, 너트와 같은 체결수단에 의해 상기 출력장치와 결합될 수 있는 결합영역(114)이 형성되며, 이로 인해, 상기 코너조립블록(121)이 상기 다이(110) 상면의 코너 부근에 조립될 때, 상기 결합영역(114)에 간섭되지 않도록 소정 영역 절삭되어 형성된다.On the other hand, a coupling area 114 that can be coupled to the output device by a fastening means such as a bolt or a nut is formed at each corner area of the die 110, and due to this, the corner assembly block 121 is When assembled near the corner of the upper surface of the die 110, it is formed by cutting a predetermined area so as not to interfere with the coupling area 114.

상기 내측조립블록(122)은 상기 다이(110) 상면에 조립된 코너조립블록(121)들 사이에 배치되어 조립되는 조립블록으로, 제2 결합홈(122a)이 형성된다.The inner assembly block 122 is an assembly block disposed and assembled between the corner assembly blocks 121 assembl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die 110, and has a second coupling groove 122a formed therein.

상기 제2 결합홈(122a)은 상기 내측조립블록(122)을 상기 다이(110) 상면에 결합하기 위해 상기 제1,2 결합바(111,113)의 돌출 부분이 삽입되는 홈으로, 상기 내측조립블록(122)이 상기 다이(110)에 접촉되는 면에 상기 다이(110)의 홀(112)을 중심으로 인접하게 형성된 제1,2 결합바(111,113)가 삽입될 수 있도록 형성된다.The second coupling groove 122a is a groove into which the protruding parts of the first and second coupling bars 111 and 113 are inserted to couple the inner assembly block 122 to the upper surface of the die 110, and is the inner assembly block. The first and second coupling bars 111 and 113 formed adjacent to the hole 112 of the die 110 as a center are formed on the surface of the die 122 in contact with the die 110 to be inserted.

이때, 상기 제2 결합홈(122a)은 상기 내측조립블록(122)이 상기 다이(110)에 접촉하는 면에 상기 홀(112)을 중심으로 인접하게 배치된 상기 제1,2 결합바(111,113)와 대응하는 형상과 위치로 형성된다. 즉, 상기 제2 결합홈(122a)은 상기 내측조립블록(122)의 중심을 기준으로 열십자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At this time, the second coupling groove 122a is the first and second coupling bars 111 and 113 disposed adjacent to the hole 112 on the surface where the inner assembly block 122 contacts the die 110. ) and is formed in a shape and position corresponding to That is, the second coupling groove 122a may be formed in a cross shape based on the center of the inner assembly block 122 .

한편, 상기 내측조립블록(122)은 1×1인 정사각형 밑면을 갖는 직육면체 형상으로 도시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사용자의 목적에 따라 1×2, 1×3, 2×2, 2×3 등의 밑면을 갖는 직육면체 형상으로 제작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inner assembly block 122 is shown in the shape of a rectangular parallelepiped having a square bottom of 1×1, but is not limited thereto, and may be 1×2, 1×3, 2×2, or 2×3 depending on the user's purpose. It can be made in the shape of a rectangular parallelepiped with a base of the back.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3D printing용 조립식 성형 블록 세트의 블록 위치조정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3D printing용 조립식 성형 블록 세트(100)는 상기 다이(110)의 상면에 조립된 복수 개의 조립블록(120)을 밀착 고정시키고 조립된 위치를 미세 조정할 수 있는 블록 위치조정부(130)가 더 형성된다.5 is a view for explaining a block position adjusting unit of a prefabricated molding block set for 3D printing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ferring to FIG. 5, the prefabricated molding block set 100 for 3D printing of the present invention A block position adjusting unit 130 capable of tightly fixing the plurality of assembly blocks 120 assembl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die 110 and finely adjusting the assembled position is further formed.

상기 블록 위치조정부(130)는 상기 코너조립블록(121)의 노출된 면을 수직 방향으로 가압하여 상기 복수 개의 조립블록(120)을 밀착 고정시킬뿐만 아니라 상기 다이(110) 상면에 조립된 복수 개의 조립블록(120)의 전체 위치를 미세 조정할 수 있는 수단으로, 홈(131) 및 조정부재(132)로 이루어진다.The block positioning unit 130 presses the exposed surface of the corner assembly block 121 in a vertical direction to tightly fix the plurality of assembly blocks 120 and also presses the plurality of assembly blocks 120 assembl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die 110. As a means for finely adjusting the overall position of the assembly block 120, it is composed of a groove 131 and an adjustment member 132.

상기 홈(131)은 상기 다이(110) 코너의 각 모서리를 기준으로 양쪽 외측면에 소정 거리 이격되어 형성되며, 상기 다이(110)의 상부 외측면에서 내측으로 소정 깊이를 갖도록 형성된다.The grooves 131 are formed to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by a predetermined distance on both outer surfaces of each corner of the die 110 and have a predetermined depth from the upper outer surface of the die 110 to the inside.

상게하게는, 상기 다이(110) 코너의 각 모서리에 인접한 제1 결합바(111)가 형성된 위치의 다이(110) 상부 외측면에 소정 깊이를 갖도록 형성된다. Specifically, it is formed to have a predetermined depth on the outer surface of the upper portion of the die 110 at the position where the first coupling bar 111 adjacent to each corner of the die 110 is formed.

상기 조정부재(132)는 상기 홈(131) 내부에서 상기 다이(110)의 외측면과 평행한 상기 홈(131)의 내측면에 소정 거리 이격되도록 삽입되어 상기 코너조립블록(121)을 내측 방향으로 접촉 가압할 수 있는 수단으로, 몸체(132a) 및 가압면(132b)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The adjusting member 132 is inserted into the inner surface of the groove 131 parallel to the outer surface of the die 110 at a predetermined distance from the inside of the groove 131 to move the corner assembly block 121 inward. As a means capable of contact pressure, it includes a body (132a) and a pressing surface (132b).

또한, 상기 조정부재(132)는 상기 홈(131)에 삽입되어 상기 다이(110)의 외측면에서 내측을 향해 수직한 방향으로 소정 이격거리(a) 이동이 가능하다.In addition, the adjustment member 132 is inserted into the groove 131 and can move a predetermined separation distance (a) in a vertical direction from the outer surface of the die 110 toward the inner side.

여기서, 상기 이격거리(a)는 상기 조정부재(132)의 외측면이 상기 다이(110)의 외측면과 나란하게 배치되어 삽입되면, 상기 홈(131)의 내측면과 상기 홈(131)의 내측면과 마주보는 상기 조정부재(132)의 내측면 사이의 거리로, 상기 조정부재(132)가 상기 다이(110)의 외측면에서 내측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는 거리이며, 바람직하게는 상기 이격겨리(a)는 0.5mm 이내로 이격되도록 설계될 수 있다.Here, the separation distance (a) is the distance between the inner surface of the groove 131 and the groove 131 when the outer surface of the adjustment member 132 is disposed parallel to the outer surface of the die 110 and is inserted. It is the distance between the inner surface and the inner surface of the adjusting member 132 facing the inner surface, and is the distance that the adjusting member 132 can move in the inner direction from the outer surface of the die 110, preferably the separation distance (a) may be designed to be spaced within 0.5 mm.

상기 몸체(132a)는 상기 홈(131)에 삽입 안착되며, 나사를 체결할 수 있는 나사홀(132a-1)이 관통 형성된다.The body 132a is inserted and seated in the groove 131, and a screw hole 132a-1 through which a screw can be fastened is formed.

상기 나사홀(132a-1)은 상기 다이(120)의 외측면에서 수직 방향으로 관통 형성되어 있으며, 이때, 상기 홈(131)의 내측면에는 상기 나사홀(132a-1)에 관통 삽입된 나사가 체결될 수 있는 체결홈이 형성되어 있다.The screw hole 132a-1 is vertically formed through the outer surface of the die 120, and at this time, a screw inserted through the screw hole 132a-1 is form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groove 131. A fastening groove into which can be fastened is formed.

상기 가압면(132c)은 상기 몸체(132a)의 외측 끝단에서 수직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며, 상기 코너조립블록(121)의 외측면에 접촉하도록 형성된다.The pressing surface 132c extends in a vertical direction from the outer end of the body 132a and is formed to contact the outer surface of the corner assembly block 121.

즉, 상기 나사홀(132a-1)에 나사를 관통 삽입하여 상기 체결홈에 체결되도록 가압하면서 조이므로, 상기 조정부재(132)가 상기 홈(131)의 내측면에 접촉되도록 이동하면, 상기 가압면(132c)은 상기 코너조립블록(121)을 내측 방향으로 압착 가압할 수 있다.That is, since a screw is inserted into the screw hole 132a-1 and pressed while being fastened to the fastening groove, when the adjusting member 132 moves to come into contact with the inner surface of the groove 131, the pressing The surface 132c may compress and press the corner assembly block 121 in an inward direction.

이로 인해, 상기 다이(110)의 상면에 조립된 복수 개의 조립블록(120)을 밀착 고정시킬뿐만 아니라 상기 다이(110) 상에서 상기 복수 개의 조립블록(120)의 전체 위치를 미세 조정할 수 있다.Due to this, not only can the plurality of assembly blocks 120 assembl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die 110 be tightly fixed, but also the entire position of the plurality of assembly blocks 120 on the die 110 can be finely adjusted.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3D printing용 조립식 성형 블록 세트의 블록 분리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3D printing용 조립식 성형 블록 세트(100)는 상기 복수 개의 조립블록(120)을 상기 다이(110)로부터 개별적으로 분리시킬 수 있는 블록 분리부(140)가 더 형성될 수 있으며, 스프링(141), 라이너(142) 및 가압부재(143)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6 is a view for explaining a block separator of a prefabricated molding block set for 3D printing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ferring to FIG. 6, the prefabricated molding block set 100 for 3D printing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the plurality of A block separator 140 capable of individually separating the two assembly blocks 120 from the die 110 may be further formed, including a spring 141, a liner 142 and a pressing member 143. It is done.

상기 스프링(141)은 상기 다이(110)에 형성된 각 홀(112)에 각각 삽입된다.The spring 141 is inserted into each hole 112 formed in the die 110, respectively.

상기 라이너(142)는 상기 스프링(141)의 상단에 연결되고, 상기 홀(112)의 인접하게 형성된 제1,2 결합바(111,113)에 안착되어 각 조립블록(120)의 결합홈(121a,122a)에 삽입 결합된다.The liner 142 is connected to the upper end of the spring 141 and is seated on the first and second coupling bars 111 and 113 formed adjacent to the hole 112, and the coupling groove 121a of each assembly block 120, 122a).

또한, 상기 라이너(142)는 각 조립블록(120)의 결합홈(121a,122a)에 각각 삽입 결합될 수 있도록 상기 제1,2 결합홈(121a,122a)과 대응하는 형상으로 형성되며, 바람직하게는, 상기 라이너(142)는 상기 제1,2 결합홈(121a,122a)의 열십자 형태와 대응하는 열십자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liner 142 is formed in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first and second coupling grooves 121a and 122a so that it can be inserted into and coupled to the coupling grooves 121a and 122a of each assembly block 120, respectively. More specifically, the liner 142 may be formed in a cross shape corresponding to the cross shape of the first and second coupling grooves 121a and 122a.

상기 가압부재(143)는 상기 스프링(141) 하단에 배치되어 상기 스프링(141)이 상기 다이(110)의 상면에 돌출되도록 지지하고 가압한다.The pressing member 143 is disposed at the lower end of the spring 141 to support and press the spring 141 to protrude from the upper surface of the die 110 .

한편, 상기 홀(112)의 내측면과 상기 가압부재(143)의 외측면에는 나사산이 형성되어 상기 가압부재(143)가 상기 홀(112) 내에서 상하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체결될 수 있으며, 이 외에도, 상기 가압부재(143)를 상기 홀(112) 내에서 이동시킬 수 있는 다양한 방법으로 체결될 수 있다.Meanwhile, threads are form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hole 112 and the outer surface of the pressing member 143 so that the pressing member 143 can move vertically in the hole 112. In addition to this, the pressing member 143 may be fastened in various ways capable of moving within the hole 112 .

또한, 상기 가압부재(143)는 상기 가압부재(143)를 체결하기 위한 공구가 삽입될 수 있도록 상하 방향으로 관통된 공구 체결홀이 형성된다.In addition, the pressing member 143 is formed with a tool fastening hole penetrating in the vertical direction so that a tool for fastening the pressing member 143 can be inserted.

여기서, 상기 공구 체결홀은 상기 공구와 결합되는 목적 외에도 상기 다이(110)의 하방으로 개방되어 있어 3D 프린팅시 받게 되는 열을 빠르게 방출할 수 있기 때문에 상기 열로 인해 상기 다이(110)와 상기 조립블록(120)들의 열팽창 또는 변형 등을 최소화할 수 있다.Here, the tool fastening hole is opened downward of the die 110 in addition to being coupled with the tool, so that heat received during 3D printing can be quickly released, so that the die 110 and the assembly block can be dissipated due to the heat. Thermal expansion or deformation of the (120) can be minimized.

즉, 상기 분리부(140)는 상기 공구에 의해 상기 가압부재(143)를 조여서 상기 가압부재(143)를 상측으로 이동시키므로 상기 스프링(141)을 가압하여 압축시키고, 압축된 스프링(141)의 반발력을 받은 라이너(142)가 각 조립블록(120)의 하부면을 가압하여 각 조립블록(120)을 개별적으로 상기 다이(110)에서 분리할 수 있다.That is, the separating part 140 tightens the pressing member 143 with the tool and moves the pressing member 143 upward, thereby pressurizing and compressing the spring 141, and the spring 141 is compressed. The liner 142 subjected to the repulsive force presses the lower surface of each assembly block 120 to separate each assembly block 120 from the die 110 individually.

이에 따라, 각 조립블록(120)은 3차원 출력물을 인쇄시 가해지는 열에 의해 팽창되어 사람의 힘으로 분리하기가 어려울 경우 상기 분리부(140)를 통해 적은 힘 즉, 나사를 조이는 힘으로 용이하게 분리할 수 있다.Accordingly, when each assembly block 120 is expanded by heat applied during printing of a three-dimensional output product, and it is difficult to separate by human power, the separation unit 140 can easily be used with little force, that is, the force of tightening the screws. can be separated

따라서, 본 발명의 3D printing용 조립식 성형 블록 세트(100)는 상기 복수 개 조립블록(120)의 조립으로 형성되어 상기 출력물이 적재된 조립블록(120)만 탈거하여 후처리 가공을 수행할 수 있기 때문에 사용되지 않은 코너조립블록(121)이 후처리 가공에 의해 소모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자주 자용되지 않는 코너조립블록(121)의 사용 수명을 늘릴 수 있고, 자주 사용되어 빠르게 소모되는 내측조립블록(122)만 교체하면되기 때문에 교체시 드는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Therefore, the prefabricated molding block set 100 for 3D printing of the present invention is formed by assembling the plurality of assembling blocks 120, and post-processing can be performed by removing only the assembling block 120 on which the output is loaded. Therefore,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unused corner assembly block 121 from being consumed by post-processing, thereby increasing the lifespan of the corner assembly block 121 that is not frequently used, and the inner assembly block that is frequently used and quickly consumed. Since only (122) needs to be replaced, there is an advantage in that the cost of replacement can be reduced.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바람직한 실시예를 들어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의 정신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경과 수정이 가능할 것이다.As review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shown and described with preferred embodiments, but is not limited to the above embodiments, and to those skilled in the art within the scope of not departing from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Various changes and modifications will be possible.

100 : 조립식 성형 블록 세트 110 : 다이
111 : 제1 결합바 112 : 홀
113 : 제2 결합바 113a : 고정부재
114 : 결합영역 120 : 복수 개의 조립블록
121 : 코너조립블록 121a : 제1 결합홈
121b : 가이드홀 121c : 분리홀
122 : 내측조립블록 122a : 제2 결합홈
130 : 블록 위치조정부 131 : 홈
132 : 조정부재 132a : 몸체
132a-1 : 나사홀 132b : 가압면
140 : 블록 분리부 141 : 스프링
142 : 라이너 143 : 가압부재
a : 소정 거리
100: set of prefabricated molding blocks 110: die
111: first coupling bar 112: hole
113: second coupling bar 113a: fixing member
114: coupling area 120: a plurality of assembly blocks
121: corner assembly block 121a: first coupling groove
121b: guide hole 121c: separation hole
122: inner assembly block 122a: second coupling groove
130: block positioning unit 131: home
132: adjusting member 132a: body
132a-1: screw hole 132b: pressing surface
140: block separation unit 141: spring
142: liner 143: pressing member
a: predetermined distance

Claims (6)

3D 프린터 내부에 조립되며, 3D 프린팅을 위한 재료가 용융되어 적층될 수 있는 성형공간으로,
3D 프린터 내부에 결합되는 다이; 및
상기 다이에 조립하고 분리할 수 있는 복수 개의 조립블록;을 포함하며,
3D 프린팅된 출력물이 적재된 조립블록만을 상기 다이로부터 분리하여 운반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3D printing용 조립식 성형 블록 세트.
It is assembled inside the 3D printer and is a molding space where materials for 3D printing can be melted and stacked.
A die coupled inside the 3D printer; and
It includes; a plurality of assembly blocks that can be assembled and separated from the die;
A prefabricated molding block set for 3D printing, characterized in that only the assembly block loaded with the 3D printed output can be separated from the die and transported.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다이에는,
상기 다이 상면의 끝단으로부터 내측 방향으로 소정의 길이를 가지며, 상기 다이의 둘레를 따라 일정 간격으로 돌출 형성된 복수 개의 제1 결합바;
각 제1 결합바를 기준으로 동일 선상에서 서로 이격되어 소정의 직경을 가지고 형성된 복수 개의 홀; 및
서로 인접하는 홀의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다이 상면에 돌출되도록 체결되는 복수 개의 제2 결합바;가 형성되고,
상기 조립블록은 중심이 상기 홀에 위치하도록 배치되며,
상기 조립블록의 하면에는 각 홀을 중심으로 인접하게 배치된 상기 제1,2 결합바가 삽입될 수 있는 결합홈이 형성되고,
상기 제2 결합바는 일측과 타측이 서로 인접하게 배치되는 각 조립블록의 결합홈에 각각 소정 영역 삽입 결합할 수 있는 길이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3D printing용 조립식 성형 블록 세트.
According to claim 1,
In the die,
a plurality of first coupling bars protruding at regular intervals along the circumference of the die and having a predetermined length inward from an end of the upper surface of the die;
A plurality of holes formed with a predetermined diameter and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on the same line based on each first coupling bar; and
A plurality of second coupling bars disposed between holes adjacent to each other and coupled to protrude from the upper surface of the die; are formed,
The assembly block is arranged so that the center is located in the hole,
On the lower surface of the assembly block, a coupling groove into which the first and second coupling bars disposed adjacent to each hole can be inserted is formed,
The second coupling bar is a set of prefabricated molding blocks for 3D printing, characterized in that one side and the other side have a length capable of being inserted into and coupled to a predetermined area in the coupling groove of each assembly block disposed adjacent to each other.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 개의 조립블록:은
상기 다이의 코너 부근에 배치되어 상기 다이 상면에 조립되는 코너조립블록; 및
배치된 코너조립블록들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다이 상면에 조립되는 내측조립블록;을 포함하며,
상기 코너조립블록과 상기 다이에는 핀이 삽입될 수 있도록 서로 대응되는 위치에 연통되어 형성된 가이드홀이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홀에 상기 핀을 삽입하여 상기 다이의 각 단부에 조립될 코너조립블록들이 동일 선상에 배치되어 조립되도록 가이드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3D printing용 조립식 성형 블록 세트.
According to claim 2,
The plurality of assembly blocks: silver
a corner assembly block disposed near a corner of the die and assembled to an upper surface of the die; and
Including; an inner assembly block disposed between the disposed corner assembly blocks and assembl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die;
The corner assembly block and the die are formed with guide holes formed in communication with each other at positions corresponding to each other so that pins can be inserted,
A prefabricated molding block set for 3D printing, characterized in that by inserting the pin into the guide hole, the corner assembly blocks to be assembled at each end of the die can be arranged and assembled on the same line.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다이에는 상기 다이 코너의 양쪽 외측면에서 상기 코너조립블록의 노출된 면을 수직 방향으로 가압하여 상기 다이에 조립된 복수 개의 조립블록을 밀착 고정시킬 수 있는 블록 위치조정부가 더 형성되며,
상기 블록 위치조정부:는
상기 다이 코너의 각 모서리를 기준으로 양쪽 외측면에 소정 거리 이격되어 형성되며, 상기 다이의 상부 외측면에서 내측 방향으로 소정 깊이를 가지고 형성된 홈; 및
상기 홈에서 상기 다이의 외측면과 평행한 상기 홈의 내측면에 소정 거리 이격되도록 삽입되어 상기 코너조립블록을 내측 방향으로 접촉 가압할 수 있는 조정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조정부재:는
상기 홈에 삽입 안착되며, 나사가 관통 삽입될 수 있는 나사홀이 형성된 몸체; 및
상기 몸체의 상면 외측 끝단에서 수직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며 상기 코너조립블록에 접촉되는 가압면;을 포함하며,
상기 홈의 내측면에는 나사가 체결될 수 있는 체결홈이 형성되고,
상기 나사홀에 나사를 삽입하여 상기 체결홈에 체결되도록 가압하면서 조이면, 상기 조정부재가 상기 홈의 내측면에 접촉되도록 이동하므로 상기 가압면이 상기 코너조립블록을 내측으로 압착 가압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3D printing용 조립식 성형 블록 세트.
According to claim 3,
The die is further formed with a block positioning unit capable of tightly fixing a plurality of assembly blocks assembled on the die by vertically pressing the exposed surface of the corner assembly block on both outer surfaces of the die corner,
The block positioning unit:
grooves formed on both outer surfaces of the die corner by a predetermined distance and having a predetermined depth in an inward direction from the upper outer surface of the die; and
Including; an adjustment member that is inserted into the inner surface of the groove parallel to the outer surface of the die at a predetermined distance from the groove and can contact and press the corner assembly block inward,
The adjusting member:
a body inserted into the groove and having a screw hole into which a screw can be inserted; and
A pressing surface extending in a vertical direction from the outer end of the upper surface of the body and contacting the corner assembly block; includes,
A fastening groove into which a screw can be fastened is form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groove,
When a screw is inserted into the screw hole and pressurized and tightened so as to be fastened to the fastening groove, the adjusting member moves to come into contact with the inner surface of the groove, so that the pressing surface can compress and press the corner assembly block inward. A set of prefabricated molding blocks for 3D printing.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다이에는 각 조립블록을 가압하여 상기 다이로부터 개별적으로 분리시키는 블록 분리부가 형성되고,
상기 다이에 형성된 홀의 내측면에는 나사산이 형성되며,
상기 블록 분리부:는
상기 복수 개의 홀에 각각 삽입되는 스프링;
상기 스프링의 상단과 연결되고 상기 홀에 인접한 제1,2 결합바에 안착되어 각 조립블록의 결합홈에 삽입 결합될 수 있도록 상기 결합홈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형성된 라이너; 및
상기 스프링 하단에 배치되되, 외측면에 나사산이 형성되어 상기 홀에 체결되고 상기 스프링이 상기 다이의 상면에 돌출되도록 지지하고 가압하는 가압부재; 를 포함하고,
상기 가압부재에는 상기 가압부재를 조이기 위해 공구가 삽입될 수 있는 관통홀이 형성되어 상기 가압부재를 조임에 따라 상기 가압부재가 상측으로 이동하면서 스프링을 압축시키고, 압축된 스프링의 반발력으로 인해 상기 라이너가 각 조립블록의 하부면을 가압하여 각 조립블록을 상기 다이로부터 분리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3D printing용 조립식 성형 블록 세트.
According to claim 4,
A block separation unit is formed on the die to individually separate each assembly block from the die by pressing,
A thread is form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hole formed in the die,
The block separator:
springs respectively inserted into the plurality of holes;
a liner formed in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coupling groove so as to be connected to the upper end of the spring and seated on the first and second coupling bars adjacent to the hole to be inserted into and coupled to the coupling groove of each assembly block; and
a pressure member disposed at a lower end of the spring, having a screw thread formed on an outer surface thereof, fastened to the hole, and supporting and pressurizing the spring so that the spring protrudes from the upper surface of the die; including,
A through hole into which a tool can be inserted to fasten the pressing member is formed in the pressing member, and as the pressing member is tightened, the pressing member moves upward while compressing the spring, and the liner due to the repulsive force of the compressed spring. Prefabricated molding block set for 3D printing, characterized in that each assembly block can be separated from the die by pressing the lower surface of each assembly block.
3차원 출력물이 적재되는 제 1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의 3D printing용 조립식 성형 블록 세트;
3D 프린팅을 위한 재료를 상기 조립식 성형 블록 세트의 상면에 도포하는 도포장치; 및
상기 조립식 성형 블록 세트의 상부에 배치되며 재료가 도포된 조립식 성형 블록 세트의 상면에 레이저를 조사하여 재료를 용융하는 조사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3D 프린터.
A set of prefabricated molding blocks for 3D printing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6, in which a three-dimensional output is loaded;
An application device for applying a material for 3D printing to the upper surface of the prefabricated molding block set; and
3D printer,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irradiation device disposed on top of the prefabricated molding block set and irradiating a laser to the upper surface of the prefabricated molding block set to which the material is applied to melt the material.
KR1020220016823A 2022-02-09 2022-02-09 Prefabricated molding block set for 3D printing KR20230120354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16823A KR20230120354A (en) 2022-02-09 2022-02-09 Prefabricated molding block set for 3D printing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16823A KR20230120354A (en) 2022-02-09 2022-02-09 Prefabricated molding block set for 3D printing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20354A true KR20230120354A (en) 2023-08-17

Family

ID=878006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16823A KR20230120354A (en) 2022-02-09 2022-02-09 Prefabricated molding block set for 3D printing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120354A (e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310376A (en) Welding apparatus
EP0272305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forming an integral object from laminations
US7703190B2 (en) Tooling system and method
US20110132162A1 (en) Method and device for producing precision blankings from a material strip
US5948342A (en) Rapid prototyping method of sintering powdery material and fabricating apparatus using the same
WO2017038254A1 (en) Resin molding devic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resin molded article
JPH02218598A (en) Releasing device for punched chip in paperware punching device
CN106001264A (en) Manufacturing method of metal plate bending part, product and special bending mold
US3124092A (en) Plastic mating dies and metallic holder supports therefor
KR20230120354A (en) Prefabricated molding block set for 3D printing
KR20120111766A (en) Method of manufacturing die for cutting tab ic
KR20190135280A (en) Apparatus for Manufacturing Half-finished Stacked Core
JP4866245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compensating stress deformation in press
KR20070110464A (en) Forging mold for manufacturing t-slot bolt
KR102154467B1 (en) Carbide jig mold for manufacturing ceramic moldings with assembly structure
US3822974A (en) Tool set for powder compacting press
CN110181858B (en) Shaping quality correction device and method
KR100621060B1 (en) Automatic separating system of blank for box
KR100422752B1 (en) Particular shaped press article's molding method and that device
JP2000135525A (en) Metallic gasket bead molding die
CN216027528U (en) Cover plate processing die with two-way die
KR101457871B1 (en) die for cutting tape
CN209850212U (en) Screen frame welding frock
JP4316448B2 (en) Press die equipment
WO2023067856A1 (en) Method for producing forming mold for resin molding, forming mold for resin molding, resin molding device, and method for producing resin molded articl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