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20331A - 지적재산권 거래 시스템 - Google Patents

지적재산권 거래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20331A
KR20230120331A KR1020220016773A KR20220016773A KR20230120331A KR 20230120331 A KR20230120331 A KR 20230120331A KR 1020220016773 A KR1020220016773 A KR 1020220016773A KR 20220016773 A KR20220016773 A KR 20220016773A KR 20230120331 A KR20230120331 A KR 2023012033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ft
intellectual property
information
unit
transa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1677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권혁선
김경민
지선
Original Assignee
권혁선
김경민
지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권혁선, 김경민, 지선 filed Critical 권혁선
Priority to KR102022001677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120331A/ko
Publication of KR2023012033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20331A/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18Legal services
    • G06Q50/184Intellectual property managemen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1/00Security arrangements for protecting computers, components thereof, programs or data against unauthorised activity
    • G06F21/10Protecting distributed programs or content, e.g. vending or licensing of copyrighted material ; Digital rights management [DRM]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3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 G06Q20/36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using electronic wallets or electronic money safes
    • G06Q20/367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using electronic wallets or electronic money safes involving electronic purses or money safes
    • G06Q20/3678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using electronic wallets or electronic money safes involving electronic purses or money safes e-cash details, e.g. blinded, divisible or detecting double spend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6Buying, selling or leasing transactions
    • G06Q30/0601Electronic shopping [e-shopping]
    • G06Q30/0613Third-party assisted
    • G06Q30/0619Neutral agen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6Buying, selling or leasing transactions
    • G06Q30/08Auc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01Social network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30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9/00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 H04L9/50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using hash chains, e.g. blockchains or hash tree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Fina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Economics (AREA)
  • Marketing (AREA)
  • Technology Law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Multimedia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재적재산권에 대한 논리적인 또는 실질적인 지분을 나누어 다수가 소유하고 개인이 소유한 개별 지분에 대한 경매, 거래 및 양도가 가능하여 용이한 거래 및 이전에 따른 금전적 수익을 얻을 수 있고, 지적재산권에 대한 다수의 지분에 따른 개인의 재산 가치를 블록체인 기술을 통해 암호화하여 안정적으로 보호하며, 각 지분에 대한 로열티에 따른 수익 분배와 납부 의무를 이행하도록 관리하는데 있다.
일례로, 지적재산권에 대한 정보를 등록하는 지적재산권 등록부; 상기 지적재산권 등록부를 통해 등록된 지적재산권 별로 다수의 NFT를 발행하는 NFT 발행부; 상기 NFT 발행부를 통해 발행된 NFT와 해당 NFT와 매칭된 지적재산권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는 NFT 및 지적재산권 정보 제공부; 및 상기 NFT 발행부를 통해 발행된 NFT 및 NFT 거래를 통해 제3자가 소유하고 있는 NFT 중 적어도 하나의 NFT에 대한 거래 서비스를 제공하는 NFT 거래 서비스 제공부를 포함하는 지적재산권 거래 시스템을 개시한다.

Description

지적재산권 거래 시스템{SYSTEM FOR TRANSACTING INTELLECTUAL PROPERTY RIGHT}
본 발명의 실시예는 지적재산권 거래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지적재산권이란 특허권, 실용신안권, 상표권, 디자인권을 총칭하는 개념으로 개개의 권리는 특허법, 실용신안법, 상표법, 디자인보호법, 저작권법, 부정경쟁방지 및 영업비밀보호에 관한 법률, 민법, 상법 등에 의하여 규율되고 보호된다.
지적재산권은 자신이 현재 또는 미래 실시하는 사업과 연관되거나, 아이디어 보호 목적으로 등록한 후 현재 누군가 실 시하고 있거나 또는 아직 아무도 실시하고 있지 않은 경우로 볼 수 있다. 자신의 현재 사업을 보호하는 목적 이외에는 라이센싱 활동이나 투자 유치 및 지적재산권 판매를 목적으로 사용될 수밖에 없다.
그러나, 현재 특허를 거래할 수 있는 시장이나 플랫폼이 마련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일반인들은 지적재산권 자체에 대한 거래가 쉽지 않고, 금전적 수익으로 연결시키는 경우 또한 흔치 않다. 또한, 지적재산권을 사고 팔 수 있다고 하더라도 극소수의 지적재산권에 국한되어 있고, 1:1 거래가 이루어짐에 따라 큰 돈이 요구되기 때문에 거래가 활발한 상황은 아니다.
학문적인 분류를 떠나서 현실적인 관점에서 본다면, 등록된 특허를 기준으로 본다면 특허는, 현재 사업에서 직접 특허권자가 실시하고 있는 발명(이하 1번 경우), 특허권자가 직접 실시하고 있지는 않지만, 현재 제 3자가 실시하고 있는 발명(이하 2번 경우), 현재 누구도 실시하고 있지 않지만, 특허권자가 향후 사업에 실시하기 위해서 미리 등록 받은 발명(이하 3번 경우), 현재 사업에 실시되지 않고 향후 실시 계획도 없지만 언젠가는 제 3자의 실시할 가능성이 있다고 판단되기 때문에 아이디어 선점을 위한 발명(이하 4번 경우)이 있다고 할 수 있다. 특허 자체는 자신이 현재 또는 미래 실시하는 사업과 연관되거나, 아이디어 보호 목적으로 등록한 후 현재 누군가 실시하고 있거나, 아직 아무도 실시하고 있지 않은 경우로 볼 수 있다. 자신의 현재 사업을 보호하는 목적 이외에는 라이센싱 활동이나 투자 유치 및 특허 판매를 목적으로 사용될 수밖에 없다. 그러나, 현재 특허를 거래할 수 있는 시장이 형성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특허 자체의 거래도 어렵고, 금전적 수익으로 연결시키는 경우는 흔하지 않다. 또한, 지금도 특허를 사고 팔 수 있다고 하더라도 극소수의 특허에 국한되어 있고, 1:1 거래가 이루어지다 보니 큰 돈이 요구되기 때문에 거래가 활발하다고 볼 수는 없다.
(1)번의 경우로 등록된 특허의 경우, 대부분 기업체에서 나오는 직무 발명일 가능성이 크다. 기업체는 자신의 사업을 보호하기 위한 목적에서 특허를 등록 받고 연차료를 납부하여 특허 권리를 유지한다. 기업체는 특허를 보유하고 있음으로써 자신의 사업을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다. 그러나, 자신이 실시하고 있는 사업을 보호하기 위한 목적으로 특허 등록을 받았지만, 기업체는 자신의 특허를 제 3자가 실시하고 있다면 라이센싱 활동을 통해 특허 로열티 수익을 기대할 수 있다. 그러나, 경쟁사의 사용 여부나 주 사업 목적에서 벗어나기 때문에 라이센싱 활동을 한다거나, 수익화 활동에 적극적이지 못한 경우가 대부분이다. 특히, 대기업의 경우 라이센싱 활동을 하고 싶더라도 추가적인 특허 공격을 받을 수 있는 상황을 우려하여 공격적인 라이센싱 활동을 할 수가 없는 경우가 많다. 또한, 대기업의 경우 많은 특허가 누적되어 있어 상당한 유지료를 지불하고 있지만 기업의 이미지 관리를 위해서 직접적 라이센싱 활동을 포기하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특허를 이용한 수익화 활동이 불가능해질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도 만약 특허를 시장에 공개하여 매매가 이루어지게 하고, 브로커를 통해 라이센싱 활동을 할 수 있다면 기업은 사업 본연의 목적에 충실하면서도 특허를 통한 2차 수익이 충분히 가능하다.
(2)번의 경우, 특허권자는 적극적으로 라이센싱 활동을 하기를 원한다. 그러나, 대부분 경쟁사 실시 관련 정보 부족, 라이센싱 경험 부족, 비싼 대리인 선임비용 등으로 특허 활용을 포기하게 된다. 만약 특허 거래가 가능한 시장이 존재하고 전 세계 관련 분야 사람들에게 정보를 제공받고, 라이센싱 경험이 풍부한 브로커와 연결이 수월하다면 특허권자는 특허를 통한 수익화 활동이 가능해지는 장점이 생길 수 있다.
(3)번의 경우, 자신의 아이디어를 특허로 내고, 자신이 직접 사업을 준비하는 경우가 될 수 있다. 그러나, 아이디어에 불과한 상황에서 사업에 필요한 투자를 받기는 쉬운 일이 아니다. 결국 발명자는 적절한 투자자를 구하지 못해서 사업을 포기하는 경우가 발생하고, 비싼 특허 연차료를 부담할 수 없어 특허를 포기하게 되는 경우가 속출한다. 특허권리가 소멸된 후 경제력이 있는 누군가가 실시를 하더라도 특허권자는 아무런 보상을 받을 수는 없다. 이러한 경우에도 특허 공개 시장에서 특허의 지분을 쪼개서 개인 투자자들도 접근을 쉽게 만들어준다면, 특허의 장래성을 보고 투자하는 개인 투자자들에게 투자를 받기 수월해질 수 있다. 이런 경우 특허권자는 사업 개시 후 발생되는 수익에 대해서 일정부분 투자자들에게 공유를 해줄 수도 있다.
(4)번의 경우, 자신이 실시할 계획도 없지만 누군가가 실시할 경우 로열티를 받고자 하는 기대감에 아이디어를 특허 등록 받는 경우에 해당할 수 있다. 그러나, 아이디어를 먼저 선점한 특허권자도 비싼 연차료를 지불하면서 실제 실시자가 나타나기를 기다리는 일은 특허권자에게 매우 소비적인 일이고 지루한 시간일 수밖에 없다. 또한, 이러한 아이디어를 알 수 없기 때문에 제 3자가 사업을 실시할 가능성도 낮다. 상술한 (2)번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결국 특허 권리를 포기하게 되고, 권리가 소멸된 이후 제 3자가 실시하더라도 특허권자에게는 보상이 없다. 상술한 (3)번의 다른 경우는 기업에서 종업원이 아이디어 발명을 출원하였으나, 실제 기업체의 사업과 직접적인 관련은 없는 경우이다. 실제 기업체에서 실시 계획은 없지만 타사가 사용할 가능성이 높은 특허를 출원해 두고는 있지만, 유지 비용이 나갈 뿐 실제 활용되지 않는 경우가 많다.
이외에도 현재 특허는 부동산 등기부 등본처럼 특허청에 등록된 특허권자만 특허의 소유권을 가질 수 있기 때문에 한번의 거래도 소유권이 이전되어야 하기 때문에 특허 매매 거래가 성사되는 일은 흔하지 않다. 팔고자 하는 사람도 구매자를 찾기 어렵고, 어렵게 찾은 구매자와도 금액 합의가 쉽지 않은 경우가 많다.
등록특허공보 제10-2309819호(등록일자: 2021년09월30일) 등록특허공보 제10-2323722호(등록일자: 2021년11월03일)
본 발명의 실시예는, 재적재산권에 대한 논리적인 또는 실질적인 지분을 나누어 다수가 소유하고 개인이 소유한 개별 지분에 대한 경매, 거래 및 양도가 가능하여 용이한 거래 및 이전에 따른 금전적 수익을 얻을 수 있고, 지적재산권에 대한 다수의 지분에 따른 개인의 재산 가치를 블록체인 기술을 통해 암호화하여 안정적으로 보호하며, 각 지분에 대한 로열티에 따른 수익 분배와 납부 의무를 이행하도록 관리하는 지적재산권 거래 시스템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지적재산권 거래 시스템은, 지적재산권에 대한 정보를 등록하는 지적재산권 등록부; 상기 지적재산권 등록부를 통해 등록된 지적재산권 별로 다수의 NFT를 발행하는 NFT 발행부; 상기 NFT 발행부를 통해 발행된 NFT와 해당 NFT와 매칭된 지적재산권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는 NFT 및 지적재산권 정보 제공부; 및 상기 NFT 발행부를 통해 발행된 NFT 및 NFT 거래를 통해 제3자가 소유하고 있는 NFT 중 적어도 하나의 NFT에 대한 거래 서비스를 제공하는 NFT 거래 서비스 제공부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지적재산권 등록부는, 지적재산권자의 신원정보, 지적재산권의 기본정보와 등록증빙정보를 입력 받고, 입력된 신원정보와 등록증빙정보에 대하여 국가기관서버와 연동하여 인증 절차를 진행하고, 인증 결과에 따라 지적재산권을 등록할 수 있다.
또한, 상기 NFT 발행부는, NFT에 고유 키 값, 지적재산권 별 총 발행 개수, 지적재산권 별 발행순번 및 지적재산권 별 식별정보를 포함시켜 발행하고, 상기 지적재산권 거래 시스템은, 상기 지적재산권 별 식별정보를 기반으로 동일한 지적재산권에 대한 소유자 간의 커뮤니티 서비스를 제공하는 NFT 커뮤니티 서비스 제공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NFT 및 지적재산권 정보 제공부는, 상기 NFT 발행부를 통해 발행된 NFT의 메타정보 및 NFT 메인정보를 제공하는 NFT 정보 제공부; 및 상기 지적재산권 등록부를 통해 등록된 지적재산권의 기본정보와 증빙정보를 제공하는 지적재산권 정보 제공부를 포함하고, 상기 NFT 메타정보는, NFT에 고유 키 값, 지적재산권 별 총 발행 개수, 지적재산권 별 발행순번 및 지적재산권 별 식별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NFT 메인정보는, 지적재산권의 기본정보와 증빙정보, NFT의 소유자 변경에 따른 소유이력정보와 최종 소유자 정보, 및 NFT 시세정보 중 적어도 하나의 정보를 제공하고, 상기 NFT 시세정보는, 현재가격정보와 전일 대비 가격증감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NFT 거래 서비스 제공부는, 상기 NFT 발행부를 통해 발행된 NFT에 대하여 경매 방식 및 고정 시장가 거래 방식 중 선택된 어느 하나의 방식으로 최초 발행된 NFT 소유자와 제3자 간의 거래 서비스를 제공하는 제1 NFT 거래 서비스 실행부; 및 NFT의 소유자가 소유한 NFT에 대하여 해당 NFT 소유자와 제3자 간의 개인 간 거래 방식 및 개인 간 유/무상 양도 방식 중 선택된 어느 하나의 방식으로 거래 서비스를 제공하는 제2 NFT 거래 서비스 실행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지적재산권 등록부에 등록된 지적재산권의 라이센싱을 통해 발생되는 로열티를 관리하고, 해당 로열티를 해당 지적재산권에 대한 NFT의 소유자에게 분배하는 로열티 관리부; 및 상기 지적재산권 등록부에 등록된 지적재산권의 연차료를 해당 NFT의 보유개수 및 보유기간에 따라 각 NFT의 소유자에게 청구하고 입금 받아 납부 관리하는 연차료 납부 관리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연차료 납부 관리부는, 연차료 추가 납부 기간의 미리 설정된 시간 이전까지 지적재산권의 연차료를 입금하지 않은 NFT 소유자를 대상으로 해당 납부금액을 대납한 후, 대납 이행 조건에 따라 NFT 소유권을 대납 이행 주체인 지적재산권 거래 시스템의 강제 변경하고, 상기 NFT 거래 서비스 제공부를 통해 제3자에게 경매, 판매 또는 유/무상 양도 방식 중 적어도 하나의 방식을 통해 처분되도록 연차료 미납자에 대한 스마트 컨트랙트를 이행할 수 있다.
또한, 상기 NFT 발행부는, 지적재산권에 도면이 존재하는 경우, 대표도면을 추출하고, 추출된 대표도면을 NFT 아트 이미지로 변환하여 지적재산권 별 식별 가능한 NFT 아이콘을 생성하여 지적재산권 별 공통식별정보로서 NFT에 추가하고, 상기 NFT 및 지적재산권 정보 제공부는, 상기 NFT 발행부를 통해 생성된 NFT 아이콘을 지적재산권에 대한 정보와 링크되도록 표시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재적재산권에 대한 논리적인 또는 실질적인 지분을 나누어 다수가 소유하고 개인이 소유한 개별 지분에 대한 경매, 거래 및 양도가 가능하여 용이한 거래 및 이전에 따른 금전적 수익을 얻을 수 있고, 지적재산권에 대한 다수의 지분에 따른 개인의 재산 가치를 블록체인 기술을 통해 암호화하여 안정적으로 보호하며, 각 지분에 대한 로열티에 따른 수익 분배와 납부 의무를 이행하도록 관리하는 지적재산권 거래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지적재산권 거래 시스템의 주요 기능과 동작 프로세스를 나타내는 개요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지적재산권 거래 시스템의 전체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지적재산권 등록부의 기능과 동작 프로세스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NFT 발행부의 기능을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NFT 및 지적재산권 정보 제공부를 통해 제공되는 정보의 예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NFT 발행부와 NFT 및 지적재산권 정보 제공부의 연동 기능을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NFT 거래 서비스 제공부의 세부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8 및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1 NFT 거래 서비스 실행부를 통해 제공되는 정보의 예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연차료 납부 관리부의 스마트 컨트랙트 구성을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도면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에 대해 간략히 설명하고, 본 발명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면서 가능한 현재 널리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들을 선택하였으나, 이는 당 분야에 종사하는 기술자의 의도 또는 판례, 새로운 기술의 출현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또한, 특정한 경우는 출원인이 임의로 선정한 용어도 있으며, 이 경우 해당되는 발명의 설명 부분에서 상세히 그 의미를 기재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순한 용어의 명칭이 아닌, 그 용어가 가지는 의미와 본 발명의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정의되어야 한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 "모듈"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로 구현되거나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지적재산권 거래 시스템의 주요 기능과 동작 프로세스를 나타내는 개요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지적재산권 거래 시스템의 전체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지적재산권 등록부의 기능과 동작 프로세스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도면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NFT 발행부의 기능을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도면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NFT 및 지적재산권 정보 제공부를 통해 제공되는 정보의 예시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NFT 발행부와 NFT 및 지적재산권 정보 제공부의 연동 기능을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도면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NFT 거래 서비스 제공부의 세부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고, 도 8 및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1 NFT 거래 서비스 실행부를 통해 제공되는 정보의 예시를 나타낸 도면이며,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연차료 납부 관리부의 스마트 컨트랙트 구성을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도면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지적재산권 거래 시스템(1000)은 지적재산권 등록부(100), NFT 발행부(200), NFT 및 지적재산권 정보 제공부(300), NFT 거래 서비스 제공부(400), NFT 커뮤니티 서비스 제공부(500), 로열티 관리부(600) 및 연차료 납부 관리부(700)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지적재산권 등록부(100)는 지적재산권자(특허, 실용신안, 상표, 디자인 등의 권리자)로부터 지적재산권에 대한 정보를 등록 받아 저장 관리할 수 있다.
좀 더 구체적으로, 지적재산권 등록부(10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적재산권자의 신원정보 지적재산권의 기본정보와 등록증빙정보를 입력 받고, 입력된 지적재산권자의 신원정보와 지적재산권의 등록증빙정보에 대하여 국가기관서버(30)(ex. 특허청 등)와 본인 인증 시 통신사 서버(미도시)와 연동하여 인증 절차를 진행하고, 인증 결과에 따라 신청자의 지적재산권 지분 판매를 위한 등록 절차를 진행할 수 있으며, 등록된 지적재산권 관련 정보는 NFT 발행부(200)로 전달될 수 있다. 이 뿐만 아니라, 등록증빙정보는 국가에서 발행된 공신력 있는 증빙 서류와 국가 특허관리기관의 확인 또는 인증된 정보를 이용하여 인증 절차를 진행할 수도 있으며, 지적재산권자가 제공한 정보를 이용하여 인증 절차를 수행할 수도 있다.
여기서, 지적재산권자의 신원정보는 성명, 성별, 나이, 주민번호 또는 운전면허증번호, 휴대폰번호, 출원인코드 등을 포함할 수 있고, 지적재산권의 기본정보는, 출원일, 공개일, 등록일, 출원인, 발명자, 패밀리정보, 선행 특허, 선사용 자료, 실시 관련 증거 등등 잠재적 거래 참여자가 참고하여 경매나 구매할 수 있도록 하는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으며, 지적재산권 등록증빙정보는 지적재산권 등록증 원본 또는 사본, 등록번호 등 신청자가 자신의 명의로 지적재산권을 소유하고 있음을 증빙할 수 있는 자료나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지적재산권의 기본정보는, NFT 거래 서비스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잠재적 거래 참여자에게 각각의 지적재산권이 어떤 권리라는 것을 소개해주거나 그에 대한 상세한 정보를 제공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NFT 발행부(200)는, 지적재산권 등록부(100)를 통해 등록된 지적재산권 별로 다수의 NFT를 발행(생성)할 수 있다. NFT(Non-Fungible Token)를 발행 개수는 해당 지적재산권의 가치평가 또는 시장평가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며, 해당 지적재산권자의 선택 또는 임의의 개수로도 선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등록특허 A건에 대하여 100개의 NFT를 발행(생성)할 수 있으며, 이렇게 발행된 NFT는 1번에서부터 100까지의 발행순번을 지니게 되며 모든 NFT 간은 서로 동일하지 않으며, 본 실시예의 거래 시스템(100)에서 보증할 수 있다.
좀 더 구체적으로, NFT 발행부(200)는, 고유 키 값, 지적재산권 별 총 발행 개수, 지적재산권 별 발행순번, 지적재산권 별 식별정보를 NFT에 포함시켜 발행할 수 있으며, 물론 NFT에 지적재산권에 대하여 지적재산권 등록부(100)에 등록된 모든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NFT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A_NFT_A12rq55_100_001_#001'라는 정보를 포함하는 NFT를 발행할 수 있는데, 여기서, 'A_NFT'는 본 실시예에서 임의로 정한 지적재산권 A의 이름, 'A12rq55'는 고유 키 값, '100'은 지적재산권 A에서 발행한 NFT의 총 개수, '001'은 지적재산권 A에서 발행된 NFT의 발행순번(여기서는 1번을 의미함), '#001'은 지적재산권 A라는 식별을 위한 정보로 100개의 NFT는 공통으로 갖고 있는 정보를 의미할 수 있으나, 이는 NFT에 포함된 정보의 형식 중 일례를 보여주고 있는 것이며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다양한 형태로 변경 또는 변형 가능하다. 이러한 NFT 정보(이하 NFT 메타정보와 동일함)는 특정 지적재산권의 지분에 대한 소유권을 증명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이와 같이 NFT의 고유 키 값은 해당 NFT에 대한 지적재산권 별 총 발행 개수, 지적재산권 별 발행순번, 지적재산권 별 식별정보를 확인하기 위한 키 값으로 사용될 수 있으며, 후술하는 NFT 및 지적재산권 정보 제공부(300)를 통해 제공되는 NFT 메인정보를 추가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NFT 및 지적재산권 정보 제공부(300)는, NFT 발행부(200)를 통해 발행된 NFT와 해당 NFT와 매칭된 지적재산권에 대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좀 더 구체적으로, NFT 및 지적재산권 정보 제공부(300)는, NFT 소유자가 보유하고 있는 NFT에 대한 정보 즉, NFT 발행부(200)를 통해 발행된 NFT의 메타정보 및 NFT 메인정보를 제공하는 NFT 정보 제공부(310)와, 지적재산권 등록부(100)를 통해 등록된 지적재산권의 기본정보와 증빙정보를 제공하는 지적재산권 정보 제공부(32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NFT 정보 제공부(310)를 통해 제공되는 NFT 메타정보는, NFT에 고유 키 값, 지적재산권 별 총 발행 개수, 지적재산권 별 발행순번 및 지적재산권 별 식별정보를 포함하고, NFT 메인정보는, 지적재산권의 기본정보와 증빙정보(도 5 참조), NFT의 소유자 변경에 따른 소유이력정보와 최종 소유자 정보, 및 NFT 시세정보(도 5 참조) 중 적어도 하나의 정보를 제공하며, 여기서 NFT 시세정보는, 현재가격정보와 전일 대비 가격증감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NFT 정보(NFT 메타정보 및 NFT 메인정보)는 본 실시예의 거래 시스템(1000)에 접속한 후 해당 NFT를 연결하면 해당 NFT가 어떤 지적재산권에 대한 지분을 나타내는 것이며, 해당 NFT를 소유하고 있는 다른 사람의 자산이 무엇인지도 확인할 수 있다.
한편, NFT 발행부(200)는, 지적재산권에 도면이 존재하는 경우, 해당 지적재산권의 공개문서 내에서 대표도면을 추출하고, 추출된 대표도면을 NFT 아트 이미지로 변환하여 지적재산권 별 식별 가능한 NFT 아이콘을 생성하고 지적재산권 별 공통식별정보로서 NFT에 추가할 수 있으며, 이때, NFT 및 지적재산권 정보 제공부(300)는, NFT 발행부(200)를 통해 생성된 NFT 아이콘을 지적재산권에 대한 정보와 링크되도록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적재산권 A, B, C, D'가 있고, 이들 모두 공개문서에 대표도면이 존재하는 것으로 확인되면 각각의 대표도면을 추출하고, 공지된 NFT 이미지 변환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각 대표도면을 고유의 이미지로 변환하고, 변환된 이미지를 아이콘화(NFT 아이콘 A, B, C, D)할 수 있으며, 각 NFT 아이콘 A, B, C, D는 해당 지적재산권 A, B, C, D의 정보와 링크되어 특정 NFT 아이콘을 클릭 또는 선택하면 고유 키 값, 지적재산권 별 총 발행 개수, 지적재산권 별 발행순번 및 지적재산권 별 식별정보뿐만 아니라, NFT 및 지적재산권 정보 제공부(300)에서 제공하는 정보제공화면으로 이동하여 다양한 정보(해당 지적재산권의 기본정보와 증빙정보, NFT의 소유자 변경에 따른 소유이력정보와 최종 소유자 정보, 및 발행된 NFT 또는 소유하고 있는 NFT의 시세정보 등)를 제공 받을 수 있다.
이러한 NFT 고유 키 값은 발행된 NFT와 NFT 발행부(200)가 공유하고 암호화 되어 있으며, 암호화된 NFT 고유 키 값을 이용하여 NFT의 진위를 판단할 수 있다. NFT 발행부(200)에서 발행된 NFT는 고유 키 값에 의해서 유일 무이한 대체 불가능한 토큰의 성질을 가지게 되며 복제가 불가능한 성질을 가지게 된다. 알려진 바와 같이, NFT는 블록체인 기술을 이용해서 디지털 자산의 소유주를 증명하는 가상의 대체 불가능한 토큰으로, 그림과 영상 등 디지털 파일이나 자산에 복제 및 위조가 불가능한 암호화된 고유 키를 증명서로 붙임으로써 그 고유한 원본성 및 소유권을 나타내는 용도로 사용되어, 일종의 가상 진품 증명서로 역할을 하게 된다.
상기 지적재산권 정보 제공부(320)는, 지적재산권 등록부(100)를 통해 등록된 지적재산권의 기본정보와 증빙정보를 제공할 뿐만 아니라, 지적재산권 등록부(100)를 통해 등록된 정보와 동일한 정보를 NFT 커뮤니티 서비스 제공부(500)의 커뮤니티에 참여하지 않고도 해당 정보를 확인할 수 있도록 보여주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해당 기능은 지적재산권 등록부(100)를 통해 등록된 지적재산권에 대한 선행특허 정보, 선사용자료 및 정보, 특허 내용 요약, 실시자 정보, 실시자의 실시 방법 및 실시 대상 제품, 실시 관련 매출, 동종 기술 분야 지적재산권의 과거 소송 정보 및 소송 결과, 해당 소송에서의 로열티 판결 정보, 동종 기술 분야의 로열티 체결 뉴스 및 정보 등과 투자 리스크, 예상 라이센싱 수입 등을 보여줄 수 있다.
상기 NFT 거래 서비스 제공부(400)는, NFT 발행부(200)를 통해 발행된 NFT 및 NFT 거래를 통해 제3자가가 이미 소유하고 있는 NFT 중 적어도 하나의 NFT에 대한 거래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이를 위해, NFT 거래 서비스 제공부(400)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NFT 거래 서비스 실행부(410)와 제2 NFT 거래 서비스 실행부(420)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NFT 거래 서비스 실행부(410)는, NFT 발행부(200)를 통해 발행된 NFT에 대하여 경매 방식 및 고정 시장가 거래 방식 중 선택된 어느 하나의 방식으로 최초 발행된 NFT 소유자(지적재산권자)와 제3자 간의 거래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각각의 지적재산권에 대한 NFT를 경매 방식으로 거래하기 위하여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옥션 마켓 페이지를 제공할 수 있으며, 해당 페이지를 통해 지적재산권 별 경매마감시간, 최고가, 시작 가격, 수익률, NFT 발행 총 수량 등의 정보가 제공되며, 특정 지적재산권에 대한 경매 정보를 선택하면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해당 지적재산권에 대한 기본정보, 경매종료까지 남은 시간, 입찰 수량, 시작 가격, 입찰 가격, 예상 결과 등 입찰정보와 입찰 주문 절차(최초 매매 시 높은 가격부터 낙찰되는 경매 방식)까지 진행할 수 있다.
한편, 제1 NFT 거래 서비스 실행부(410)는 NFT의 경매나 고정 시장가 등의 방식으로 거래하는 모든 제1 NFT 거래 서비스가 발생되는 경우에 대하여 스마트 컨트랙트를 생성하고, 생성된 스마트 컨트랙트의 이행 조건이나 관계가 충족되었을 때 제1 NFT 거래 또는 해당 거래 이후의 모든 계약이 실행되도록 한다.
상기 제2 NFT 거래 서비스 실행부(420)는, 해당 NFT의 현재가격정보 및 전일 대비 가격증감정보 등 시장에서 자유롭게 형성된 가격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며, NFT의 소유자가 소유한 NFT에 대하여 해당 NFT 소유자와 제3자 간의 개인 간 거래 방식 및 개인 간 유/무상 양도 방식 중 선택된 어느 하나의 방식으로 거래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이러한 개인 간 NFT 거래 방식은 자신이 거래하고 있는 NFT 거래소를 통해 NFT 소유자가 자신이 소유한 NFT의 판매 가격을 결정하여 직접 판매할 수 있다. 그리고, NFT 유/무상 양도 방식은 전자 지갑을 소유하고 있는 제3자에게 유상 또는 무상의 조건으로 직접 양도할 수 있다. 이때, NFT를 구매 또는 양도 받은 자는 본 실시예의 거래 시스템(1000)에 접속하여 자신이 새롭게 보유하게 된 NFT에 대한 정보 및 해당 NFT에 연결된 자산 관련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이러한 제1 NFT 거래 서비스 실행부(410)와 제2 NFT 거래 서비스 실행부(420)는 어느 하나만 선택적으로 동작할 수 있으나, 물론 두 구성요소 모두 함께 실행도 가능하다.
상기 NFT 거래 서비스 제공부(400)를 통해 NFT를 소유하게 된 소유자는 그 다음 거래부터는 NFT 거래 서비스 제공부(400)를 이용하지 않고 개개인의 디지털 지갑 등을 이용하여 개인간 직접 양도/양수 및 소유권 이전도 가능하다.
상기 NFT 커뮤니티 서비스 제공부(500)는, 지적재산권 별 식별정보를 기반으로 동일한 지적재산권에 대한 소유자 간의 커뮤니티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여기서, 지적재산권 별 식별정보는, 예를 들어, '지적재산권 A'라는 식별을 위한 정보로 '지적재산권 A'를 대상으로 발행된 NFT가 공통으로 갖고 있는 정보를 의미할 수 있다. 이러한 지적재산권 별 식별정보를 이용하여 특정 지적재산권에 대한 지분이 있는 NFT 소유자만이 입장 가능한 채팅방, 게시판 또는 정보방 등을 구비한 커뮤니티를 형성하여, 해당 지적재산권에 대한 라이센싱 진행 상황이나 관련 정보 등을 교환 및 공유할 수 있도록 한다. 좀 더 구체적으로, NFT 커뮤니티 서비스 제공부(500)는, 해당 지적재산권에 대해서 누구나 자유롭게 정보를 제공하고 정보를 공유할 수 있으며, 등록된 지적재산권에 대한 선행특허, 선사용자료, 특허 내용 요약, 실시자 정보, 실시자의 실시 방법 및 실시 대상 제품, 관련 매출, 동종 기술 분야 지적재산권의 소송 정보, 소송 결과, 로열티 판결 정보, 동종 기술 분야의 로열티 체결 뉴스 및 정보 등과 투자 리스크, 예상 라이센싱 수입 등을 누구나 자유롭게 제공 및 공유할 수 있다.
상기 로열티 관리부(600)는, 지적재산권 등록부(100)에 등록된 지적재산권의 라이센싱을 통해 발생되는 로열티를 관리하고, 해당 로열티를 해당 지적재산권에 대한 NFT의 소유자에게 분배할 수 있다. NFT 소유자들은 향후 지분이 있는 지적재산권으로 인해 수익이 발생되면 그에 따른 로열티 수익을 분배 받을 수 있으며, 수익 배분율은 각 소유자들의 지분에 따라 상이하게 책정될 수 있다.
한편, 지적재산권의 라이센싱 활동과 관련하여, 플랫폼 운영자가 직접 대리할 수도 있으나, 별도로 위임한 브로커(Broker)의 지원을 받아 라이센싱 활동의 일부를 맡길 수도 있다. 이러한 브로커는 지원 시에 자신의 과거 라이센스 이력, 소송 이력, 협상 타결 경험 등에 대한 자료를 제시해야 하며, 라이센싱 활동 계획(대상 회사 및 예상 로열티, 일정) 등을 제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실시예의 거래 시스템(1000)을 통해 선택된 브로커가 라이센싱 활동을 하여 라이센싱이 타결이 된 경우 발생된 로열티 수익에 대해서는 일정 부분의 수수료를 제외하고, 해당 지적재산권의 NFT 소유자에게 각자의 지분에 따라 로열티를 분배할 수 있다.
상기 연차료 납부 관리부(700)는, 지적재산권 등록부(100)에 등록된 지적재산권의 연차료를 해당 NFT의 보유개수 및 보유기간에 따라 각 NFT의 소유자에게 청구하고 입금 받아 납부하여 관리할 수 있다. NFT 소유자는 상술한 바와 같이 로열티 수익을 분배 받을 권리가 있는가 반면, 해당 지적재산권의 유지를 위해 연차료를 납부해야 하는 의미가 있으며, 이에 따라 보유 지분과 보유기간(보유날짜비율)에 따라 각 소유자 별 연차료를 계산하여 납부할 수 있도록 한다. 연차료를 납부하지 않은 경우 각 국가의 연차료 규정과 동일하게 추가납부기간이 주어질 수 있는데, 이러한 추납기간까지 연차료 납부가 이루어지지 않으면 해당 지적재산권이 소멸될 수 있다. 즉, 특정 지적재산권의 일정 지분을 소유한 자만 연차료를 납부하지 않음으로써 해당 지적재산권이 소멸됨에 따라 다른 지분 소유자의 불이익을 방지하기 위하여 NFT 거래 시 스마트 컨트랙트(smart contract)가 생성되어 특정 조건이 만족되면 이행될 수 있다.
좀 더 구체적으로, 연차료 납부 관리부(700)는,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차료 추가 납부 기간의 미리 설정된 시간 이전까지 지적재산권의 연차료를 입금하지 않은 NFT 소유자를 대상으로 해당 납부금액을 대납(거래 시스템(1000)에서 대납)한 후, 대납 이행 조건에 따라 NFT 소유권을 대납 이행 주체인 지적재산권 거래 시스템의 강제 변경하고, NFT 거래 서비스 제공부(400)를 통해 제3자에게 경매, 판매 또는 유/무상 양도 방식 중 적어도 하나의 방식을 통해 처분되도록 연차료 미납자에 대한 스마트 컨트랙트를 이행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즉, 특정 지적재산권의 일정 지분을 소유한 자만 연차료를 납부하지 않음으로써 해당 지적재산권이 소멸됨에 따라 다른 지분 소유자의 불이익을 방지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지적재산권의 지분의 다수 개로 나눔에 따라 투자자는 소액으로도 지적재산권에 대한 지분을 소유가 가능하고, 발명자나 고안자는 자신의 지적재산권을 이용하여 직접적인 수익화 활동이 가능하다.
또한, 지적재산권의 지분을 블록체인으로 암호화하여 개별 지권 권리를 안정적으로 보호할 수 있다.
또한, 지적재산권의 지분에 대한 NFT를 보유한 사람은 해당 지적재산권 전체가 아니라 자신의 지분만큼만 자유로운 개별 거래가 가능하다.
또한, 지적재산권의 지분에 대해서 연차료 지불 등 권리권자와 동일한 의무를 이행하고, 로열티 분배 받는 권리를 보유할 수 있다. 이때, 최초 발명자 또는 고안자는 자신의 지적재산권에 대해서 독점 실시권(Exclusive License)를 보유하고 있기 때문에, 사업 사실을 위해서 해당 지적재산권의 보유와 동일한 효과를 가질 수 있다.
또한, 대부분 기업체에서는 사업에 전념을 하면서 지적재산권을 이용한 금전적 수익이 가능하고 라이센싱 활동을 통해 지속적인 로열티 수익이 가능하며, NFT를 이용한 지분 판매를 통해 수익을 얻을 수 있으며, 향후 라이센싱 활동 후에는 로열티를 분배 받을 수 있다.
또한, 사업에 대한 초기 투자 비용을 확보하기가 쉽고, 제 3의 실시권자를 쉽게 구할 수 있으므로, 비싼 유지비용을 지 분대로 분할 부담하여 유지 비용에 대한 개인의 부담을 줄일 수 있고, 향후 실시권자로부터 손쉽게 로열티 수입을 얻을 수도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것은 본 발명에 의한 지적재산권 거래 시스템을 실시하기 위한 하나의 실시예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경 실시가 가능한 범위까지 본 발명의 기술적 정신이 있다고 할 것이다.
1000: 지적재산권 거래 시스템
100: 지적재산권 등록부
200: NFT 발행부
300: NFT 및 지적재산권 정보 제공부
400: NFT 거래 서비스 제공부
410: 제1 NFT 거래 서비스 실행부
420: 제2 NFT 거래 서비스 실행부
500: NFT 커뮤니티 서비스 제공부
600: 로열티 관리부
700: 연차료 납부 관리부

Claims (6)

  1. 지적재산권에 대한 정보를 등록하는 지적재산권 등록부;
    상기 지적재산권 등록부를 통해 등록된 지적재산권 별로 다수의 NFT를 발행하는 NFT 발행부;
    상기 NFT 발행부를 통해 발행된 NFT와 해당 NFT와 매칭된 지적재산권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는 NFT 및 지적재산권 정보 제공부; 및
    상기 NFT 발행부를 통해 발행된 NFT 및 NFT 거래를 통해 제3자가 소유하고 있는 NFT 중 적어도 하나의 NFT에 대한 거래 서비스를 제공하는 NFT 거래 서비스 제공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적재산권 거래 시스템.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지적재산권 등록부는,
    지적재산권자의 신원정보, 지적재산권의 기본정보와 등록증빙정보를 입력 받고, 입력된 신원정보와 등록증빙정보에 대하여 인증 절차를 진행하고, 인증 결과에 따라 지적재산권을 등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적재산권 거래 시스템.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NFT 발행부는,
    NFT에 고유 키 값, 지적재산권 별 총 발행 개수, 지적재산권 별 발행순번 및 지적재산권 별 식별정보를 포함시켜 발행하고,
    상기 지적재산권 거래 시스템은,
    상기 지적재산권 별 식별정보를 기반으로 동일한 지적재산권에 대한 소유자 간의 커뮤니티 서비스를 제공하는 NFT 커뮤니티 서비스 제공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적재산권 거래 시스템.
  4.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NFT 및 지적재산권 정보 제공부는,
    상기 NFT 발행부를 통해 발행된 NFT의 메타정보 및 NFT 메인정보를 제공하는 NFT 정보 제공부; 및
    상기 지적재산권 등록부를 통해 등록된 지적재산권의 기본정보와 증빙정보를 제공하는 지적재산권 정보 제공부를 포함하고,
    상기 NFT 메타정보는,
    NFT에 고유 키 값, 지적재산권 별 총 발행 개수, 지적재산권 별 발행순번 및 지적재산권 별 식별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NFT 메인정보는,
    NFT의 소유자 변경에 따른 소유이력정보와 최종 소유자 정보, 및 NFT 시세정보 중 적어도 하나의 정보를 제공하고,
    상기 NFT 시세정보는,
    현재가격정보와 전일 대비 가격증감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적재산권 거래 시스템.
  5.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NFT 거래 서비스 제공부는,
    상기 NFT 발행부를 통해 발행된 NFT에 대하여 경매 방식 및 고정 시장가 거래 방식 중 선택된 어느 하나의 방식으로 최초 발행된 NFT 소유자와 제3자 간의 거래 서비스를 제공하는 제1 NFT 거래 서비스 실행부; 및
    NFT의 소유자가 소유한 NFT에 대하여 해당 NFT 소유자와 제3자 간의 개인 간 거래 방식 및 개인 간 유/무상 양도 방식 중 선택된 어느 하나의 방식으로 거래 서비스를 제공하는 제2 NFT 거래 서비스 실행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적재산권 거래 시스템.
  6.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지적재산권 등록부에 등록된 지적재산권의 라이센싱을 통해 발생되는 로열티를 관리하고, 해당 로열티를 해당 지적재산권에 대한 NFT의 소유자에게 분배하는 로열티 관리부; 및
    상기 지적재산권 등록부에 등록된 지적재산권의 연차료를 해당 NFT의 보유개수 및 보유기간에 따라 각 NFT의 소유자에게 청구하고 입금 받아 납부 관리하는 연차료 납부 관리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적재산권 거래 시스템.
KR1020220016773A 2022-02-09 2022-02-09 지적재산권 거래 시스템 KR2023012033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16773A KR20230120331A (ko) 2022-02-09 2022-02-09 지적재산권 거래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16773A KR20230120331A (ko) 2022-02-09 2022-02-09 지적재산권 거래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20331A true KR20230120331A (ko) 2023-08-17

Family

ID=878005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16773A KR20230120331A (ko) 2022-02-09 2022-02-09 지적재산권 거래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120331A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09819B1 (ko) 2017-08-16 2021-10-08 블록체인랩스 주식회사 블록체인 기반의 거래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2323722B1 (ko) 2019-09-09 2021-11-08 정규용 블록체인을 이용한 저작권 보호 시스템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09819B1 (ko) 2017-08-16 2021-10-08 블록체인랩스 주식회사 블록체인 기반의 거래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2323722B1 (ko) 2019-09-09 2021-11-08 정규용 블록체인을 이용한 저작권 보호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90139136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trading, clearing and settling securities transactions using blockchain technology
US20190287175A1 (en) Investment Fund Token Ownership
US20200051166A1 (en) System and method for trading assets among parties through tokenization of assets
US20040138977A1 (en) Asset monetization
KR20180037136A (ko) 디지털적으로 암호화된 증권 플랫폼 및 이를 위한 방법들 및 시스템들
KR100675286B1 (ko) 디지털저작권관리 기반의 디지털 컨텐츠 거래하는 방법
US20220129980A1 (en) Intellectual property right trade system using blockchain, and operating method therefor
JP2014089745A (ja) 無体財産及び無体法律文書を価値評価及びトレーディングするためのシステム及び方法
CA3120302A1 (en) System and method for monetizing assets
CA3179003A1 (en) Multiple transfers of blockchain-based tokens
US20230115053A1 (en) Fundraising incubator for corporate capitalization
CN111445356A (zh) 一种基于区块链智能合约的商品房建设项目审批与商品房交易方法
Townsend et al. Technologies that replace a” central planner”
KR102468192B1 (ko) 블록체인 기반 크라우드펀딩 장치 및 방법
KR20230120331A (ko) 지적재산권 거래 시스템
KR20230011197A (ko) Nft를 이용한 실제 예술품 거래 방법
KR20220001690A (ko) 미술품 분할소유권 거래방법 및 미술품 분할소유권 거래 시스템
Danieley Meme Regulation: Analyzing the SEC's Concerns Regarding Digital Assets and Non-Fungible Tokens
JP7179254B1 (ja) 情報処理装置及びプログラム
Scharfman et al. Cryptocurrency regulatory framework and regulatory reporting
Sharma et al. Identifying factors for lack of e-commerce in developing countries
JP7357762B2 (ja) 受ける権利のオンライン共有システム及びオンライン共有方法
Ruzinazarov Modern Trends in Improving the Civil Legislation of the Republic of Uzbekistan
Kumar Escrow transactions and crypto governance
Gassmann et al. Successful Practices in Commercializing Patent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