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20268A - 필터 어셈블리 - Google Patents

필터 어셈블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20268A
KR20230120268A KR1020220016634A KR20220016634A KR20230120268A KR 20230120268 A KR20230120268 A KR 20230120268A KR 1020220016634 A KR1020220016634 A KR 1020220016634A KR 20220016634 A KR20220016634 A KR 20220016634A KR 20230120268 A KR20230120268 A KR 2023012026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lter
raw water
filtering
bracket
filter assembl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1663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휘동
이현우
황필강
채보경
엄지용
윤석정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마이크로필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마이크로필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마이크로필터
Priority to KR102022001663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120268A/ko
Priority to PCT/KR2022/019810 priority patent/WO2023153605A1/ko
Publication of KR2023012026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20268A/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5/00Filtering devices having feature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or for application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Auxiliary devices for filtration; 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01D35/14Safety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filtration; Devices for indicating clogging
    • B01D35/147Bypass or safety valv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5/00Filtering devices having feature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or for application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Auxiliary devices for filtration; 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01D35/30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7/00Processes of filtration
    • B01D37/04Controlling the filtr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7/00Processes of filtration
    • B01D37/04Controlling the filtration
    • B01D37/043Controlling the filtration by flow measuring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4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ion-exchange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5/00Softening water; Preventing scale; Adding scale preventatives or scale removers to water, e.g. adding sequestering agents
    • C02F5/08Treatment of water with complexing chemicals or other solubilising agents for softening, scale prevention or scale removal, e.g. adding sequestering ag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201/00Details relating to filtering apparatus
    • B01D2201/30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01D2201/301Details of removable closures, lids, caps, filter heads
    • B01D2201/302Details of removable closures, lids, caps, filter heads having inlet or outlet port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Water Treatment By Sorp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유량 가변형 바이패스 유로를 구비하여 경도성 물질의 함유량의 조절이 가능한 필터 어셈블리에 관한 것으로, 필터 어셈블리는 원수를 유입하여 여과하여 배출하는 파이패스 유로관이 형성되는 필터; 및 상기 필터가 하부로 수용되며, 상기 바이패스 유로관에 유입되는 상기 원수의 유입량을 조절할 수 있는 유량 제어수단을 포함하는 필터 헤드;를 포함하고,
상기 필터는 상기 원수가 유입되는 유입구와 여과된 정수가 외부로 유출되는 유출구가 형성되고 단차 구조가 형성되어 상기 필터 헤드와 결합되는 하우징; 및 상기 하우징 내부에서 상기 유입구를 통해 유입된 원수를 여과하는 여과부;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Description

필터 어셈블리{FILTER ASSEMBLY}
본 발명은 필터 어셈블리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필터의 여과효율이 상승되고 바이패스 유로를 구비하여 경도성 물질의 함유량의 조절이 가능한 필터 어셈블리에 관한 것이다.
근래 환경오염 특히, 수질오염이 사회적으로 문제가 되면서, 물리적 또는 화학적으로 물을 걸러 불순물을 제거하는 정수장치의 사용이 증가하고 있다.
이와 같은 정수장치는 수도물이나 지하수 등의 원수에 포함되어 있는 인체에 유해한 각종 유해성분을 여과화여, 안전하고 위생적인 음용수로 전환시키는 장치이다. 통상의 정수장치는 원수를 여과하여 정수로 제공하기 위하여 복수의 필터를 구비하여 원수에 포함된 유해 성분을 제거하고 부유물을 여과하게 된다.
이러한 정수 장치는 원수를 여과하기 위하여 다양한 필터가 구비될 수 있고, 필터는 일반적으로 중공 원통형 형태로 형성된 하우징에 원수를 여과하기 위하여 다양한 여과재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필터는 주로 프리 카본 필터(Pre Carbon Filter), 중공사막 필터 (Ultrafiltration Filter), 역삼투압 필터 (Reverse Osmosis Filter), 세디먼트 필터(Sediment Filter), 포스트 카본 필터(Post Carbon Filter) 등이 사용되고 있다. 다양한 필터 중 카본 필터는 작은 오염물, 잔류 염소, 휘발성 유기 화합물이나 냄새 발생 입자들을 흡착하기 위한 필터이다. 이러한 종래의 카본 필터는 활성탄을 사용하여 활성탄의 흡착능력의 한계가 있고, 중금속 등의 미세한 불순물을 제거하지 못한다는 문제가 있다.
또한, 필터는 스케일 생성을 유발하는 칼슘 이온, 마그네슘 이온 등과 같은 이온성 물질을 제거하는 제거수단을 더 구비하여 필터를 구성하는 부품수가 증가하여 제조공정 및 제조비용이 증가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최근 들어 칼슘 이온, 마그네슘 이온 등의 경도성 물질을 완전히 제거하기보다는 함유량을 조절하여 사용하기를 원하는 소비자가 늘어나고 있다. 종래의 필터는 유로에 의해 원수가 순차적으로 여과되어 경도성 물질의 함유량의 제어에 어려움이 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10-2019-0052178 (공개일 2021년 03월 26일)
본 발명의 목적은 필터의 여과 성능이 개선된 필터 어셈블리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제조공정 및 제조비용이 감소되어 생산성이 향상된 필터 어셈블리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스케일의 발생을 억제하는 필터 어셈블리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바이패스 유로를 형성하여 경도성 물질의 함유량을 조절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들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필터 어셈블리는, 원수를 유입하여 여과하여 배출하는 파이패스 유로관이 형성되는 필터; 및 상기 필터가 하부로 수용되며, 상기 바이패스 유로관에 유입되는 상기 원수의 유입량을 조절할 수 있는 유량 제어수단을 포함하는 필터 헤드;를 포함하고,
상기 필터는 상기 원수가 유입되는 유입구와 여과된 정수가 외부로 유출되는 유출구가 형성되고 단차 구조가 형성되어 상기 필터 헤드와 결합되는 하우징; 및 상기 하우징 내부에서 상기 유입구를 통해 유입된 원수를 여과하는 여과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여과부는 상기 하우징 내측에 포함되고 상기 원수를 제1 여과부재를 통해 경도성 스케일 유발물질을 제거하는 제1 여과부; 및 상기 원수 및 상기 경도성 스케일 유발물질이 제거된 상기 원수 중 하나 이상을 여과하는 제2 여과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2 여과부는 상기 원수관이 관통 삽입되는 관통부가 포함되고, 상기 제1 여과부를 통해 상기 경도성 스케일 유발물질 제거된 상기 원수가 통과하는 유로가 형성된 제2 필터 브라켓;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2 필터 브라켓은 상기 원수관이 삽입 관통되고, 상기 유출구와 유체 연통된 정수부를 포함하는 상부캡; 및 상기 상부캡이 결합되는 결합부;를 포함하고,
상기 상부캡은 상기 제2 여과부재를 고정하는 제2 고정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상부 캡과 상기 제2 필터 브라켓은 상기 유량 제어수단에 의해 원수가 유입되는 바이패스유로;가 포함되고, 상기 유량 제어수단에 의해 상기 바이패스유로로 원수가 유입되어 상기 경도성 스케일 유발물질의 제거율이 조절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필터는 상기 하우징 내부 하단부에 포함되어 상기 원수관이 삽입되는 제1 필터 브라켓;을 포함하고,
상기 제1 필터 브라켓은 상기 원수관에서 배출되는 상기 원수가 상기 제1 여과부로 흐르도록 유로가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1 필터 브라켓은 상기 제1 필터 브라켓의 처짐을 방지하는 스토퍼;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 2 여과부는 스케일의 발생을 억제하는 스케일억제부;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2 여과부재는 염소, 유기화합물, 중금속 등을 여과하는 카본 블록으로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1 여과부재는 상기 경도성 스케일 유발물질을 제거하는 이온교환수지로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2 필터 브라켓은 일측면에 상기 제2 여과부를 고정하는 제1 고정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필터는 원수관을 감싸는 튜브;를 포함하고,
상기 튜브는 일측단부가 상기 제2 필터 브라켓에 삽입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상기 스케일억제부는 배관을 코팅하여 스케일 생성을 억제하는 인산염으로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필터는 카본 블록을 포함하여 여과 성능이 개선된 필터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필터는 스케일의 발생을 억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필터는 하우징의 구조가 개선되어 생산성이 개선된 정수필터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필터 어셈블리는 경도성 물질의 함유량을 제어하는 필터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필터 어셈블리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필터의 단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필터 부분확대 단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2 필터 브라켓의 단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2 필터 브라켓의 평면도와 지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원수관과 제2 브라켓 및 상부캡의 결합구조를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필터의 하부 단면도이고,
도 8은 제1 필터 브라켓의 사시도이고,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필터 어셈블리의 유량 제어수단에 경도성 물질의 함유량 조절이 가능한 원수의 흐름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필터 어셈블리의 일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 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한 이해를 방해한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의 구성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1, 제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 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진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필터 어셈블리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필터의 단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필터 부분확대 단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2 필터 브라켓의 단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2 필터 브라켓의 평면도와 지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원수관과 제2 브라켓 및 상부캡의 결합구조를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필터의 하부 단면도이고, 도 8은 제1 필터 브라켓의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8을 따르면, 필터 어셈블리(1)는, 원수를 유입하여 여과하여 배출하는 바이패스 유로가 형성되는 필터(10) 및 필터(10)가 하부에 결합되어 수용되고, 바이패스 유입부(102)에 유입되는 원수의 유입량을 조절할 수 있는 유량 제어수단을 포함하는 필터 헤드(2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필터(10)는 원수가 유입되는 유입구와 여과된 정수가 외부로 유출되는 유출구가 형성되고 단차 구조가 형성되어 필터 헤드(20)와 결합되는 하우징(100) 및 하우징 내부에서 유입구를 통해 유입된 원수를 여과하는 여과부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하우징(100)은 수직으로 돌출되어 단차구조를 형성하여 필터 헤드(20)와 결합하는 헤드 결합부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하우징(100)은 내부가 중공된 원통형으로 구성될 수 있고, 여과부재가 수용될 수 있다. 헤드 결합부는 원수가 유입되는 유입구, 필터 헤드(20)에 포함된 유량 제어수단에 의해 제어되어 원수가 유입되는 바이패스 유입부(102) 및 정수가 배출되는 유출부가 형성될 수 있다.
필터(10)는 유입구 및 바이패스유입부(102)를 통해 유입된 원수를 여과하는 여과부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여과부는 하우징(100) 내부에 포함되고 원수를 제1 여과부재를 통해 경도성 스케일(Scale) 유발물질을 제거하는 제1 여과부(110) 및 제1 여과부(110) 상단에 위치하고 제2 여과부재를 포함하여 원수 및 경도성 스케일 유발물질이 제거된 원수 중 하나 이상을 여과하는 제2 여과부(12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필터(10)는 경도성 스케일 유발물질을 제거하는 제1 여과부(110)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여과부(110)는 경도성 스케일 유발물질을 제거하는 제1 여과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여과부재는 이온교환수지로 구성되어 칼슘이온, 마그네슘 이온과 같은 원수에 포함되어 있는 경도성 스케일 유발물질을 제거할 수 있다.
제1 여과부(110)는 경도성 스케일 유발 물질을 제거할 수 있다. 스케일(Scale)이란 물에 용해되어 있는 양이온과 음이온이 결합되고, 이온의 화학적 결합물인 염류가 침전되어 침전물을 형성하여 막 표면, 배관 등에 부착되어 생성되는 이물질이다. 예를 들어, 제1 여과부(110)를 구성하는 제1 여과부재는 이온교환수지로 포함될 수 있고, 이온교환수지는 원수에 포함될 수 있는 경도성 스케일 유발물질을 제거할 수 있다. 이온교환수지(Ion-exchange resin)은 이온 교환을 매개체 역할을 하는 수지로서, 음이온 또는 양이온을 포함하여 경도성 스케일 유발물질을 제거하는 수지이다. 제1 여과부(110)가 이온교환수지로 형성되어 원수에 포함된 경도성 스케일 유발물질을 제거할 수 있다.
필터(10)는 제1 필터 브라켓(140)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필터 브라켓(140)은 제1 여과부(110) 하단에 포함되어 하우징(100)에 결합될 수 있다. 제1 필터 브라켓(140)은 원수관(101) 및 튜브가 삽입되는 제1 원수관삽입부(143)가 포함될 수 있다. 제1 원수관삽입부(143)에 원수가 유입되는 원수관(101) 및 원수관(101)을 감싸는 튜브(170)가 삽입될 수 있고, 제1 원수관삽입부(143)를 통해 원수관(101)에서 배출되는 원수가 제1 여과부(110)로 향할 수 있도록 제1 필터 브라켓(140)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유로가 형성될 수 있다.
제1 필터 브라켓(140)은 원수관(101)과 유체 연통된 유로가 형성될 수 있다. 제1 필터 브라켓(140)은 하우징(100)과 결합하여 제1 여과부(110)를 지지할 수 있고, 원수관(101)에서 유출되는 원수가 제1 필터 브라켓(140)에 형성된 유로를 통해 제1 여과부(110)에 유입되어 경도성 스케일 유발물질이 제거될 수 있다.
제1 필터 브라켓(140)은 제1 필터 브라켓(140)의 처짐을 방지하는 스토퍼(141)를 포함할 수 있다. 스토퍼(141)는 제1 필터 브라켓(140)에 형성되어 하우징(100)과 결합되어 제1 필터 브라켓(140)을 지지하여 처짐을 방지할 수 있다. 스토퍼(141)는 원수관(101)에서 유출되는 원수가 빠져나가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1 여과유로(142)가 형성될 수 있고, 제1 여과유로(142)를 통해 원수관(100)에서 배출되는 원수가 제1 필터 브라켓(140)에 형성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유로를 통과하여 제1 여과부(110)에 유입될 수 있고, 제1 필터 브라켓(140)에 형성된 유로를 통과한 원수는 제1 여과부(110)에 의해 경도성 스케일 유발물질이 제거될 수 있다.
필터(10)는 제2 여과부(120)가 포함되어 원수 및 경도성 스케일 유발물질이 제거된 원수를 여과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여과부(120)는 카본 블록(Carbon Block)으로 구성될 수 있지만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카본 블록은 활성탄(Activated Carbon)을 압출하여 블록형태로 형성된 것으로, 활성탄은 물에 함유된 잔류 염소, 중금속, 유기화합물, 냄새 등을 흡착할 수 있다. 활성탄을 압출 또는 압축하여 형성된 카본 블록은 활성탄보다 상승된 여과 능력을 보유할 수 있고, 먼지 날림 등의 제조 현장 작업 환경이 개선될 수 있다.
필터(10)는 제2 필터 브라켓(150)을 포함할 수 있다. 제2 필터 브라켓(150)은 제1 여과부(110)와 제2 여과부(120)의 사이에 포함될 수 있다. 제2 필터 브라켓(150)이 제1 여과부(110)와 제2 여과부(120)의 사이에 포함되어 하우징(100) 내부를 상하로 구획할 수 있다. 하우징(100) 내부를 상하로 구획하여 하부에는 제1 여과부(110)가 위치되어 경도성 스케일 유발물질을 제거할 수 있고 상부에는 제2 여과부(120)가 포함되어 원수 및 경도성 스케일 유발물질이 제거된 원수를 여과할 수 있다. 제2 필터 브라켓(150)에 의해 하우징(100)이 상하로 구획되어 유량 제어수단이 포함된 필터 헤드(20)에 의해 원수의 유입이 제어되어 제1 여과부(110)로 향하는 원수의 양이 제어되어 경도성 물질의 함유량이 제어될 수 있다.
제2 필터 브라켓(150)은 제2 바이패스 유로(154)가 형성될 수 있다. 필터 헤드(20)의 유량 제어수단에 의해 필터(10)의 바이패스 유입부(102)를 통해 유입되는 원수의 양이 조절되어 제2 바이패스 유로(154)에 원수가 유입될 수 있고, 제1 여과부(110)를 통과하는 원수의 양이 조절될 수 있다.
제2 필터 브라켓(150)은 제2 바이패스 유로(154)를 통해 공급된 원수 및 제1 여과부에서 경도성 스케일 유발물질이 제거된 원수가 제2 여과부(120)로 유입될 수 있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2 여과유로(151)가 형성될 수 있다. 제2 여과유로(151)가 형성되어 제2 바이패스 유로(154)를 통해 공급된 원수 및 경도성 스케일 유발물질이 제거된 원수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이 제2 여과부(120)에 유입될 수 있다.
제2 필터 브라켓(150)은 제2 여과부(120)가 삽입되어 고정되는 제1 고정부(152)가 포함될 수 있다. 제1 고정부(152)에 제2 여과부(120)가 삽입되어 고정될 수 있고, 제2 필터 브라켓(150)에 포함된 제2 여과유로(152)를 통해 원수 및 제1 여과부(110)에서 경도성 스케일 유발물질이 제거된 원수 제2 여과부(120)에 유입되어 정수로 여과될 수 있다.
제2 여과부(120)는 스케일억제부(130)가 포함될 수 있다. 스케일억제부(130)는 제2 여과유로(152)의 상단 및 제2 여과부(120) 외측면에 포함될 수 있다. 제2 필터 브라켓(150)에 포함되는 제2 여과유로(152)의 상단부에 포함되어 원수 및 제1 여과부(110)에서 여과된 원수의 스케일의 발생을 억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스케일억제부(130)는 인산염(PO4 3-)으로 구성될 수 있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인산염이 일정 농도가 투입되면 배관이 코팅되어 스케일의 생성이 억제될 수 있다.
제2 여과부(120)는 원수관(101)이 삽입 관통되고 유출구와 유체 연통되는 상부캡(160)을 포함할 수 있다. 상부캡(160)은 제2 필터 브라켓(150)에 핫 멜트(Hot-melt) 접합될 수 있고, 제2 여과부(120)가 삽입되어 결합되는 제2 고정부(161)가 포함될 수 있다. 상부캡(160)은 제2 필터 브라켓(150)과 결합되어 하우징(100)에 결합될 수 있다. 상부캡과 제2 필터 브라켓의 결합부는 오링(O-ring)이 포함되어 씰링될 수 있다. 오링에 의해 상부캡(160)과 제2 필터 브라켓(150)의 결합부가 씰링되어 원수가 여과되지 않고 유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부캡(160)은 유출부와 유체 연통되는 출수부(104)가 포함될 수 있다. 출수부(104)는 제2 여과부(120)와 인접하여 형성될 수 있고, 제2 여과부(120)에서 여과된 정수가 출수부(104)를 통해 외부로 유출될 수 있다.
상부캡(160)은 제1 바이패스 유로(103)가 포함될 수 있다. 제1 바이패스 유로(103)와 제2 바이패스 유로(154)는 유체 연통될 수 있고, 필터 헤드(20)의 유량 제어수단에 의해 필터(10)의 바이패스 유입부(102)를 통해 유입되는 원수의 양이 조절될 수 있다. 제1 바이패스 유로(103)를 통해 제2 바이패스 유로(154)에 원수가 유입되어 제1 여과부(110)를 통과하는 원수의 양이 조절될 수 있다. 원수관(101)을 통과하는 원수의 양이 제어될 수 있고, 원수관(101)을 통과하는 원수의 양이 제어됨에 따라 제1 여과부(110)를 통해 여과되는 원수가 제어될 수 있고, 그에 따라 필터(10)에서 여과되어 배출되는 정수에 포함되는 경도성 물질이 포함되는 함유량이 조절될 수 있다.
상부캡(160)은 걸림턱(162)이 포함될 수 있다. 제2 필터 브라켓(150)과 삽입되어 결합되는 결합부의 일측면이 외측으로 돌출되어 형성되어 걸림턱(162)이 형성될 수 있고, 걸림턱(162)에 제2 필터 브라켓에 형성된 상부캡삽입부(153)에 걸림으로써 상부캡(160)이 제2 필터 브라켓(150)에 과도하게 삽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필터(10)는 원수관(101)이 포함될 수 있고, 원수관(101)은 제2 필터 브라켓(150) 및 제1 필터 브라켓(140)에 삽입될 수 있다. 제2 필터 브라켓(150)은 원수관(101)이 관통 삽입되는 제2 원수관삽입부(156)가 형성될 수 있고, 제2 원수관삽입부(156)에 원수관(101)이 삽입되어 관통될 수 있다.
원수관(101)은 원수관(101)을 둘러싸는 튜브(170)를 포함할 수 있고, 제2 필터 브라켓(150)은 원수관(101)을 둘러싸는 튜브(170)의 일측단부가 삽입되는 튜브삽입부(155)가 포함될 수 있다. 원수관(101)에 포함된 튜브는 제2 필터 브라켓(150)에 포함된 튜브삽입부(155)에 일측 단부가 삽입되어 원수관(101) 및 제2 필터 브라켓(150)을 더 고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튜브(170)는 폴리프로필렌(Polypropylene, pp)으로 구성될 수 있다. 원수관(101)의 일측 단부는 입수구와 유체 연통 되도록 연결될 수 있고, 원수관의 타측 단부는 제1 필터 브라켓(140)에 포함되는 제1 원수관 삽입부(143)에 결합되어 원수가 제1 필터 브라켓(140)을 통해 제1 여과부(110)에 유입될 수 있다.
필터 헤드(20)는 필터(10)와 결합될 수 있고, 입수구 및 출수구가 형성되어 필터에 형성된 유입부, 바이패스유입부(102) 및 유출부와 유체 연통될 수 있다. 입수구는 원수가 유입되어 필터(10)에 유입시킬 수 있고, 출수구는 필터(10)에서 여과된 정수가 배출될 수 있다.
필터 헤드(20)는 유량 제어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유량 제어수단은 필터 헤드에 개폐 다이얼을 조작하여 바이패스 유입홀의 개폐범위를 조절하여 바이패스 유입부(102)에 유입되는 원수의 유입량을 단계적으로 조절할 수 있다. 유량 제어수단은 개폐 다이얼의 회전 반경에 따라 바이패스 유입부에 유입되는 원수의 양이 조절될 수 잇다. 유량 제어수단에 의해 바이패스 유입부(102)에 유입되는 원수의 양이 조절되고, 바이패스 유입부(102)에 유입되는 원수의 양에 따라 정수에 포함되는 경도성 물질의 함유량이 조절될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필터 어셈블리의 유량 제어수단에 경도성 물질의 함유량 조절이 가능한 원수의 흐름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9를 따르면, 유량 제어수단에 의해 경도성 물질의 함유량이 제어될 수 있다. 필터 어셈블리(1)에 입수된 원수는 필터 헤드(20)에 포함되는 유량 제어수단에 의해 제어되어 원수관(101) 및 바이패스 유입부(102)를 통해 유입될 수 있다.
원수관(101)을 통해 유입된 원수는 제1 필터 브라켓(140)에서 배출되어 제1 여과부(110)에 유입될 수 있고, 제1 여과부(110)에 의해 경도성 스케일 유발물질이 제거될 수 있다. 제1 여과부(110)를 통과한 원수는 제2 필터 브라켓(150)에 포함된 제2 여과유로(151)를 통해 제2 여과부(120)에 유입되어 정수로 여과될 수 있다. 정수는 출수부(104)를 통해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바이패스 유입부(102)를 통해 필터(10)에 유입된 원수는 제1 바이패스 유로(103)에 유입될 수 있고, 제1 바이패스 유로(103)를 통해 제2 바이패스 유로(154)를 통해 하우징(100) 내부로 유입되어 제2 여과유로(151)를 통해 제2 여과부(120)에 유입될 수 있다. 바이패스 유입부(102)를 통해 유입되는 원수가 많을수록 경도성 물질의 함유량이 높아질 수 있다. 바이패스 유입부(102)를 통해 유입된 원수는 제2 여과부(120)에 의해 정수로 여과되어 출수부(104)를 통해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가 반드시 상술한 일 실시예에 의하여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한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범위에서의 실시가 가능함은 당연하다고 할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진정한 권리범위는 후술하는 청구범위에 의하여 정해진다고 할 것이다.
1: 필터 어셈블리
10: 필터
20: 필터 헤드
100: 하우징
101: 원수관
102: 바이패스 유입부
103: 제1 바이패스 유로
104: 출수부
110: 제1 여과부
120: 제2 여과부
130: 스케일억제부
140: 제1 필터 브라켓
141: 스토퍼
142: 제1 여과유로
143: 제1 원수관삽입부
150: 제2 필터 브라켓
151: 제2 여과유로
152: 제1 고정부
153: 상부캡삽입부
154: 제2 바이패스 유로
155: 튜브삽입부
156: 제2 원수관삽입부
160: 상부캡
161: 제2 고정부
162: 걸림턱
170: 튜브

Claims (13)

  1. 원수를 유입하여 여과하여 배출하는 바이패스 유로관이 형성되는 필터; 및
    상기 필터가 하부로 수용되며, 상기 바이패스 유로관에 유입되는 상기 원수의 유입량을 조절할 수 있는 유량 제어수단을 포함하는 필터 헤드;를 포함하고,
    상기 필터는,
    상기 원수가 유입되는 유입구와 여과된 정수가 외부로 유출되는 유출구가 형성되고 단차 구조가 형성되어 상기 필터 헤드와 결합되는 하우징; 및
    상기 하우징 내부에서 상기 유입구를 통해 유입된 원수를 여과하는 여과부;를 포함하는, 필터 어셈블리.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여과부는,
    상기 하우징 내측에 포함되고 상기 원수를 제1 여과부재에 의해 경도성 스케일 유발물질을 제거하는 제1 여과부; 및
    상기 원수 및 상기 경도성 스케일 유발물질이 제거된 상기 원수 중 하나 이상을 여과하는 제2 여과부;를 포함하는, 필터 어셈블리.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여과부는,
    상기 원수관이 관통 삽입되는 관통부가 포함되고, 상기 제1 여과부를 통해 상기 경도성 스케일 유발물질 제거된 상기 원수가 통과하는 유로가 형성된 제2 필터 브라켓;을 포함하는, 필터 어셈블리.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필터 브라켓은,
    상기 원수관이 삽입 관통되고, 상기 유출구와 유체 연통된 정수부를 포함하는 상부캡; 및
    상기 상부캡이 결합되는 결합부;를 포함하고,
    상기 상부캡은,
    상기 제2 여과부재를 고정하는 제2 고정부;를 포함하는, 필터 어셈블리.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캡과 상기 제2 필터 브라켓은,
    상기 유량 제어수단에 의해 원수가 유입되는 바이패스유로;가 포함되고,
    상기 유량 제어수단에 의해 상기 바이패스 유로로 원수가 유입되어 상기 경도성 스케일 유발물질의 제거율이 조절되는, 필터 어셈블리.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는,
    상기 하우징 내부 하단부에 포함되어 상기 원수관이 삽입되는 제1 필터 브라켓;을 포함하고,
    상기 제1 필터 브라켓은,
    상기 원수관에서 배출되는 상기 원수가 상기 제1 여과부로 흐르도록 유로가 형성되는, 필터 어셈블리.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필터 브라켓은,
    상기 제1 필터 브라켓의 처짐을 방지하는 스토퍼;를 포함하는, 필터 어셈블리.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여과부는,
    스케일의 발생을 억제하는 스케일억제부;을 더 포함하는, 필터 어셈블리.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여과부재는,
    염소, 유기화합물, 중금속 등을 여과하는 카본 블록으로 포함되는, 필터 어셈블리.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여과부재는,
    상기 경도성 스케일 유발물질을 제거하는 이온교환수지로 포함되는, 필터 어셈블리.
  11.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필터 브라켓은,
    일측면에 상기 제2 여과부를 고정하는 제1 고정부;를 포함하는, 필터 어셈블리.
  12.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는,
    상기 원수관을 감싸는 튜브;를 포함하고,
    상기 튜브는 일측 단부가 상기 제2 필터 브라켓에 삽입되는, 필터 어셈블리,
  13.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스케일억제부는,
    배관을 코팅하여 상기 스케일의 생성을 억제하는 인산염으로 구성되는, 필터 어셈블리.

KR1020220016634A 2022-02-09 2022-02-09 필터 어셈블리 KR20230120268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16634A KR20230120268A (ko) 2022-02-09 2022-02-09 필터 어셈블리
PCT/KR2022/019810 WO2023153605A1 (ko) 2022-02-09 2022-12-07 필터 어셈블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16634A KR20230120268A (ko) 2022-02-09 2022-02-09 필터 어셈블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20268A true KR20230120268A (ko) 2023-08-17

Family

ID=875644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16634A KR20230120268A (ko) 2022-02-09 2022-02-09 필터 어셈블리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20230120268A (ko)
WO (1) WO2023153605A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52178A (ko) 2009-09-16 2019-05-15 가부시키가이샤 한도오따이 에네루기 켄큐쇼 발광 장치 및 이의 제조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99072Y1 (ko) * 2005-07-15 2005-10-20 주식회사 피코그램 유로의 바이패스 기능을 구비한 정수필터용 커넥터
KR200433506Y1 (ko) * 2006-09-07 2006-12-13 주식회사 피코그램 정수용 역삼투막 필터 카트리지
KR101744615B1 (ko) * 2015-09-17 2017-06-08 엘지전자 주식회사 복합 필터
KR101899511B1 (ko) * 2016-11-04 2018-09-17 (주)청호시스템 정수필터용 헤드 어셈블리
KR102231895B1 (ko) * 2019-05-03 2021-03-26 주식회사 마이크로필터 유량 가변형 바이패스 유로를 구비하여 경도성 물질의 제거율 조절이 가능한 필터 어셈블리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52178A (ko) 2009-09-16 2019-05-15 가부시키가이샤 한도오따이 에네루기 켄큐쇼 발광 장치 및 이의 제조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3153605A1 (ko) 2023-08-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444863B2 (en) Microfiltration devices
KR200432225Y1 (ko) 정수시스템용 필터카트리지 고정장치
JP3250274B2 (ja) 濾過器
KR101954760B1 (ko) 역플러싱 전처리 필터를 구비한 정수시스템 및 그 정수방법
WO2016081024A1 (en) Modular multimedia fluid treatment system
JP2009525846A (ja) モジュール型逆浸透水処理システム
JP5017912B2 (ja) 浄水器用カートリッジおよび浄水器
JP2007289888A (ja) 浄水器
CN103553235A (zh) 一种自来水净化滤芯
KR100797051B1 (ko) 유로 변경이 가능한 정수기용 어댑터
CN104096408A (zh) 流体净化装置以及用于流体过滤系统的旁通装置
KR102445389B1 (ko) 측면유동형 ro필터를 갖는 복합필터
KR20230120268A (ko) 필터 어셈블리
CN111867700A (zh) 净水器用一体型复合过滤器模块
RU51521U1 (ru) Бытовой фильтр для очистки питьевой воды
KR200450896Y1 (ko) 하프 타입 정수장치의 역삼투압 필터구조
JP6028185B2 (ja) 濾過装置
CN203807251U (zh) 海水预处理装置
KR102006397B1 (ko) 유입튜브를 이용하여 전처리 침전 필터의 오염물질 배출이 가능한 정수시스템
KR20100106858A (ko) 화학반응에 의한 잔류염소 제거가 가능한 정수기
JP4688049B2 (ja) 浄水器及び浄水器の逆洗方法
JP7426478B2 (ja) 選択型両端集水機能を有するフィルタ構造体およびこれを利用した濾過方法
CN113816463A (zh) 介质过滤器到膜重力过滤器的转换
KR200242686Y1 (ko) 음용수 정수기
CN211521801U (zh) 滤芯组件和具有其的净水机