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19813A - 사이드 확장모듈을 구비한 다용도 랜턴 - Google Patents

사이드 확장모듈을 구비한 다용도 랜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19813A
KR20230119813A KR1020220016014A KR20220016014A KR20230119813A KR 20230119813 A KR20230119813 A KR 20230119813A KR 1020220016014 A KR1020220016014 A KR 1020220016014A KR 20220016014 A KR20220016014 A KR 20220016014A KR 20230119813 A KR20230119813 A KR 2023011981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ntern
main
light
coupled
part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1601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석호
Original Assignee
(주)프리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프리즘 filed Critical (주)프리즘
Priority to KR102022001601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119813A/ko
Publication of KR2023011981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1981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L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BEING PORTABLE OR SPECIALLY ADAPTED FOR TRANSPORTATION
    • F21L4/00Electric lighting devices with self-contained electric batteries or cells
    • F21L4/08Electric lighting devices with self-contained electric batteries or cells characterised by means for in situ recharging of the batteries or cel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21/00Supporting, suspending, or attaching arrangements for lighting devices; Hand grips
    • F21V21/06Bases for movable standing lamps; Fixing standards to the bas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23/00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 F21V23/06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the elements being coupling devices, e.g. connect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THE FORM OR THE KIND OF THE LIGHT SOURCES OR OF THE COLOUR OF THE LIGHT EMITTED
    • F21Y2115/00Light-generating elements of semiconductor light sources
    • F21Y2115/10Light-emitting diodes [L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Non-Portable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AREA)
  • Arrangement Of Elements, Cooling, Sealing, Or The Like Of Lighting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캠핑 등의 다양한 야외 활동 중에 사용되는 다용도 랜턴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내장된 배터리를 이용하여 전면으로 엘이디 점등 빛이 조사되도록 한 메인랜턴의 양측에 별도 구비의 확장모듈을 결합 사용할 수 있도록 구성하되, 상기 메인랜턴과 확장모듈은 USB포트를 통해 상호 전원 공급 및 제어가 이루어지도록 하고, 상기 확장모듈은 사이드랜턴 또는 파티라이트로 구성하여 이들에 대한 선택 연결 및 사용이 가능하도록 구성함에 따라,
메인랜턴 단독으로 사용이 가능한 것은 물론 필요에 따라 메인랜턴의 일측 혹은 양측에 사이드랜턴을 장착하여 더욱 넓고 밝은 형태로 확장 사용할 수 있는 것이고, 상기의 사이드랜턴 대신 파티라이트를 연결하여 메인랜턴이 파티라이트의 파워뱅크로 사용되게 하거나 상기 메인랜턴의 양측에 사이드랜턴과 파티라이트를 각기 연결 사용할 수도 있을 것이며, 메인랜턴에 대하여 USB포트로 연결되는 사이드랜턴과 파티라이트는 상기 메인랜턴으로부터 전원공급 및 설정 및 제어가 가능하여 매우 효율적인 동시에 사용상의 편리함이 우수한 것이다.

Description

사이드 확장모듈을 구비한 다용도 랜턴 {Multi-purpose lantern with side extension module}
본 발명은 캠핑 등의 다양한 야외 활동 중에 사용되는 다용도 랜턴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내장된 배터리를 이용한 자체 점멸구조를 갖는 메인랜턴의 양측에 개별적으로 사이드랜턴이나 파티라이트를 간편하게 결합 사용할 수 있도록 하여, 메인랜턴 단독으로의 사용은 물론 일측 또는 양측으로 사이드랜턴이 결합된 확장형 랜턴으로 사용되게 하거나 상기 파티라이트를 점등시키기 위한 파워뱅크로 사용되도록 한 다용도 랜턴에 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캠핑이나 낚시 또는 등산이나 트레킹 등의 야외 활동을 하는 경우 야간이나 어두운 장소에서 필수적으로 랜턴이 사용되고 있는 것으로서, 상기와 같은 랜턴은 전원을 직접 공급받아 점등되도록 하는 형태의 것과 내장된 배터리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점등되도록 하는 형태로 만들어지게 된다.
또한, 상기와 같은 다양한 형태의 랜턴은 통상적으로 전구를 광원으로 주로 채택하고 있으나, 근자에 들어서는 수용 수명의 연장 및 광량의 증대를 목적으로 엘이디를 광원으로 주로 사용하고 있는 것이다.
이와 같은 엘이디 랜턴은 주로 텐트 내,외부를 밝게 비추기 위한 용도 및 낚시를 하는 경우 바늘 및 어종 확인과 주변을 밝게 하기 위한 용도로 사용되는 것이고, 등산이나 트레킹 등의 야외 활동시에도 야간 및 어두운 환경에서 흔히 사용되고 있는 것이다.
또한, 지하 공간 및 어두운 실내에서도 내부 조명만으로 충분한 광량의 확보가 이루어지지 않거나 내부 조명수단이 없는 경우에도 상기와 같은 다양한 형태 및 구조로 된 랜턴을 이용하여 주변 및 해당 작업공간을 밝게 하여 소정의 작업을 수행하게 되는 것이다.
이어, 근자에 들어서는 등록실용신안 제20-0480874호와 같이 외측 케이스의 내측에 LED 소자가 설치되는 내부 몸체를 구성하고 LED 소자가 위치하는 곳엔 LED 소자와 이격된 위치에 빛을 투과하는 투과부를 갖추어 이루어지되, 외측 케이스의 외부에 고리부를 다수 형성하고 이들 고리부엔 끈이나 밴드 형태의 손잡이 부재를 끼워 결합하고, 상기 몸체는 LED 소자가 설치되는 각각의 발광유니트를 설치각도가 서로 다르게 형성되고 서로 인접한 위치에 형성된 부분설치부에 각각 결합 설치하여 구성이 이루어지는 캠핑용 LED 랜턴이 안출 및 등록된 바 있다.
또한, 등록특허 제10-1580245호와 같이 배터리를 내장하고, 조작버튼이 구비되는 본체; 상기 본체의 상부측 양면에 각각 상하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회전체; 상기 회전체의 단부에 수평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LED모듈을 내장하는 조명바디; 상기 본체의 하부에 인출입 가능하게 구비되는 걸이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으로, 바닥에 놓거나 줄 등에 걸어 놓은 상태에서도 조명각도의 조절이 자유로워서 사용자가 원하는 방향을 조명할 수 있는 조명각도 조절이 자유로운 캠피용 LED 랜턴이 안출 및 등록된 바 있는 것이다.
또한, 등록특허 제10-1954958호와 같이 지면에 안착하여 사용하거나 천장등 또는 손전등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벨트와 고리부 및 복수의 지지부가 구비된 본체를 포함하는 캠핑용 엘이디 랜턴에 있어서, 본체의 전면 상측에는 텐트 내부의 일산화탄소량을 감지하는 일산화탄소 감지서와 동작감지센서가 구비되어, 텐츠의 내부에 일산화탄소량이 기준값을 넘거나, 외부인이 텐트 내부로 침입하면 제어부를 통해 엘이디 및 경보음발생부를 동작시켜 사용자의 주의를 환기시키며, 본체의 전면에는 내측에 구비된 엘이디의 조명을 외부로 확산하여 방출할 수 있도록 투명 또는 불투명의 합성수지로 이루어진 확산부가 양 측면에 결합된 브라켓에 의해 용도에 따라 교체할 수 있도록 착탈가능하게 나사 결합되고, 상기 확산부의 내측 면 또는 외측 면에는 직진성을 갖는 엘이디의 빛을 넓은 각도로 펼침으로써 조명범위를 더욱 확대할 수 있도록 확산렌즈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캠핑용 엘이디 랜턴이 안출 및 등록된 바 있는 것이다.
그러나, 기존의 엘이디 랜턴은 랜턴 자체에 내장된 배터리를 이용하여 전면의 엘이디 광원을 점등시키는 단순 구조를 갖고 있는 동시에 상기 배터리의 전압을 조절하여 점등 빛의 밝기를 제어하는 형태로 만들어지기 때문에 더욱 넓은 면적에 대한 광원이 필요한 경우에는 복수 개의 엘이디 랜턴을 추가로 구비하여야 하는 번거로움이 뒤따르게 된다.
또한, 복수 개의 엘이디 랜턴을 동시에 운용하고자 하는 경우 각각의 엘이디 랜턴이 모두 분리되어 있어 각기 서로 다른 점등 방향을 연출할 뿐만 아니라 이들을 모두 개별적으로 충전 및 보관하여야 하는 등 취급이 매우 번거로운 것이다.
특히, 근자에 들어서는 캠핑과 같은 야외활동에 있어 감성과 낭만을 중요하게 생각하는 추세여서 텐트 입구나 차량 내,외부 혹은 어닝이나 타프 등의 테두리에 다양한 색상이나 모양 혹은 밝기를 갖는 파티라이트를 설치하고 있는데, 이와 같은 파티라이트는 대부분 파워뱅크라 일컬어지는 전원장치에 연결 사용되는 것으로, 전기한 바와 같은 엘이디 랜턴과 함께 파워뱅크 등의 다양한 축전수단을 다수 구비하여야 하므로 캠핑 등의 야외활동시 경제적 부담이 상당한 것은 물론 이들을 모두 보관하고 운반 및 사용하는 과정에서의 불편함이 매우 큰 것이다.
대한민국등록실용 20-0480874 (2016.07.11. 등록) 대한민국등록특허 10-1580245 (2015.12.18. 등록) 대한민국등록특허 10-1954958 (2019.02.27. 등록)
본 발명은 전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개선한 것으로서, 내장된 배터리를 이용하여 전면으로 엘이디 점등 빛이 조사되도록 한 메인랜턴의 양측에 별도 구비의 확장모듈을 결합 사용할 수 있도록 구성하되, 상기 메인랜턴과 확장모듈은 USB포트를 통해 상호 전원 공급 및 제어가 이루어지도록 하고, 상기 확장모듈은 사이드랜턴 또는 파티라이트로 구성하여 이들에 대한 선택 연결 및 사용이 가능하도록 구성함에 따라,
사이드랜턴의 일측 혹은 양측 결합을 통해 더욱 넓고 밝은 형태로 랜턴을 사용할 수 있도록 하거나, 파티라이트의 파워뱅크로 전용할 수 있는 것은 물론 메인랜턴과 사이드랜턴 및 파티라이트의 다양한 조합 형태로 빠르고 쉽게 변형 사용할 수 있는 특징을 갖는 사이드 확장모듈을 구비한 다용도 랜턴을 제공함에 본 발명의 목적이 있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내장된 배터리를 이용하여 전면으로 엘이디 점등 빛이 조사되도록 하고, 배면에는 조절부가 형성된 메인랜턴을 구비하여, 상기 메인랜턴의 양측부에 각기 별도 구비의 확장모듈이 결합 사용되게 하되,
상기 확장모듈은, 상기 메인랜턴으로부터 전원을 인가받아 점등되게 한 한 쌍의 사이드랜턴과; 역시 상기 메인랜턴으로부터 전원을 인가받아 점등되게 한 한 쌍의 파티라이트로 구성되어, 상기 메인랜턴 단독 사용은 물론 메인랜턴의 일측 혹은 양측에 사이드랜턴 및 파티라이트가 단독 혹은 복합 연결 사용되도록 구성하여 이루어지는 것이다.
본 발명은, 메인랜턴 단독으로 사용이 가능한 것은 물론 필요에 따라 메인랜턴의 일측 혹은 양측에 사이드랜턴을 장착하여 더욱 넓고 밝은 형태로 확장 사용할 수 있는 것이고, 상기의 사이드랜턴 대신 파티라이트를 연결하여 메인랜턴이 파티라이트의 파워뱅크로 사용되게 하거나 상기 메인랜턴의 양측에 사이드랜턴과 파티라이트를 각기 연결 사용할 수도 있을 것이며, 메인랜턴에 대하여 USB포트로 연결되는 사이드랜턴과 파티라이트는 상기 메인랜턴으로부터 전원공급 및 설정 및 제어가 가능하여 매우 효율적인 동시에 사용상의 편리함이 우수한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확장형 랜턴의 전체 구성을 보인 평면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확장형 랜턴의 전체 구성을 보인 저면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확장형 랜턴에 대한 사이드랜턴 결합 상태를 보인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확장형 랜턴에 대한 사이드랜턴 결합부 정면 확대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확장형 랜턴에 대한 사이드랜턴 결합부 배면 확대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확장형 랜턴에 대한 사이드랜턴의 전체 정면 분리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확장형 랜턴에 대한 사이드랜턴의 전체 배면 분리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확장형 랜턴에 대한 파티라이트 결합 상태를 보인 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확장형 랜턴에 대한 파티라이트 결합부에 대한 확대 사시도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확장형 랜턴에 대한 파티라이트의 개별점등부 평면 분리 사시도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확장형 랜턴에 대한 파티라이트의 개별점등부 저면 분리 사시도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확장형 랜턴에 대한 파티라이트의 개별점등부 결합 단면도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확장형 랜턴에 대한 파티라이트의 개별점등부에 대한 다른 실시예를 보인 분리 사시도
도 14는 도 13에 의한 파티라이트의 개별점등부에 대한 결합 상태 예시도
본 발명의 추가적인 목적들, 특징들 및 장점들은 다음의 상세한 설명 및 첨부 도면으로부터 보다 명료하게 이해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 앞서,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도모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 예를 가질 수 있는바, 아래에서 설명되고 도면에 도시된 예시들은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이어,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는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 "...유닛", "...모듈"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나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한 구성 요소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확장형 랜턴의 전체 구성을 보인 평면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확장형 랜턴의 전체 구성을 보인 저면 사시도이다.
도시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확장형 랜턴은, 내장된 배터리를 이용하여 전면으로 엘이디 점등 빛이 조사되도록 하고, 배면에는 조절부가 형성된 메인랜턴(100)을 구비하여, 상기 메인랜턴(100)의 양측부에 각기 별도 구비의 확장모듈이 결합 사용되게 만들어진 것으로, 상기와 같은 내장된 배터리 및 전면의 엘이디 점등 빛이 조사되도록 한 메인랜턴(100)은 통상의 다양한 랜턴과 동일한 구조를 갖는 것이고, 이러한 통상의 랜턴은 랜턴 몸체 내에 삽입된 배터리와 함께 엘이디 기판 및 투광판을 갖게 될 것이며, 상기 배터리의 전원을 엘이디 기판으로 공급 및 제어하는 조절부는 랜턴 몸체의 배면이나 측면 혹은 상면이나 저면에 형성될 수 있을 것이다.
이어, 상기 메인랜턴(100)의 양측부에 결합 사용되도록 만들어진 상기의 확장모듈은, 상기 메인랜턴(100)으로부터 전원을 인가받아 점등되게 한 한 쌍의 사이드랜턴(200)(200')과; 역시 상기 메인랜턴(100)으로부터 전원을 인가받아 점등되게 한 한 쌍의 파티라이트(300)(300')로 구성되는 것으로, 상기 메인랜턴(100)을 기존과 같이 단독으로 사용할 수도 있을 것이고, 필요에 따라 상기 메인랜턴(100)의 일측에 사이드랜턴(200)(200') 또는 파티라이트(300)(300')를 연결 사용할 수도 있을 것이며, 상기 메인랜턴(100)의 양측에 사이드랜턴(200)(200') 또는 파티라이트(300)(300')를 연결 사용할 수도 있을 것이고, 필요에 따라 상기 메인랜턴(100)의 양측에 각기 사이드랜턴(200)(200')과 파티라이트(300)(300')를 복합적으로 연결 사용할 수도 있을 것이다.
여기서, 상기와 같은 메인랜턴(100)에 대한 사이드랜턴(200)(200') 또는 파티라이트(300)(300')의 연결을 위한 상세한 구성요소로서, 상기 메인랜턴(100)의 본체(101) 양측에는 나사공(110)(110')과 USB포트(120)(120')를 각각 형성하고, 상기 사이드랜턴(200)(200')의 일측에는 상기 나사공(110)(110') 및 USB포트(120)(120')와 대응하는 회전볼트체(210) 및 USB잭(220)을 형성하며, 상기 파티라이트(300)(300')의 일측 끝단에는 상기 USB포트(120)(120')와 대응하는 또 다른 USB잭(310)을 각각 형성하여 구성한 것이다.
따라서, 상기 메인랜턴(100)에 사이드랜턴(200)(200')을 연결 사용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메인랜턴(100)의 본체(101)에 형성되어 있는 USB포트(120)(120')에 상기 사이드랜턴(200)(200')에 형성되어 있는 USB잭(220)을 상호 결합함에 따라 메인랜턴(100) 내의 배터리에 대한 사이드랜턴(200)(200') 내 엘이디 기판의 전기적인 연결이 이루어지는 것이고, 상기 사이드랜턴(200)(200')에 형성되어 있는 회전볼트체(210)를 회전 시킴에 따라 회전볼트체(210)가 메인랜턴(100)의 나사공(110)(110')에 견고하게 나사 체결됨으로써 상기 메인랜턴(100)과 사이드랜턴(200)(200')의 전기적, 물리적 연결 및 고정이 이루어지게 된다.
또한, 상기 메인랜턴(100)에 파티라이트(300)(300')를 연결 사용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메인랜턴(100)의 본체(101)에 형성되어 있는 USB포트(120)(120')에 상기 파티라이트(300)(300')의 끝단에 형성되어 있는 USB잭(310)을 상호 결합함에 따라 상기 메인랜턴(100)과 파티라이트(300)(300')에 대한 전기적, 물리적 연결과 고정이 이루어지는 것으로, 상기 파티라이트(300)(300')는 사이드랜턴(200)(200')에 비하여 이동 및 휴대가 불필요할 것이므로 상기 USB포트(120)(120')과 USB잭(310)에 의한 결합만으로 상호 연결 및 고정이 이루어지도록 구성한 것이다.
따라서, 메인랜턴(100)에 대하여 상호 USB 방식을 통해 연결된 사이드랜턴(200)(200')과 파티라이트(300)(300')는 메인랜턴(100) 내 조절부를 통해 점멸이 가능한 것이고, 단순 점멸 작용은 물론 밝기의 조절이나 깜박임 혹은 타이머 등을 적용시킬 수 있어 사용상의 편리성과 효율성이 가일층 향상될 수 있을 것이다.
여기서 상기의 사이드랜턴(200)(200')은 도 3 내지 도 7의 도시와 같이, 메인랜턴(100)의 측부 형상과 동일의 측부 형상으로 된 몸체(201)와; 상기 몸체(201)의 일측 끝단에 결합되는 마감캡(230)과; 상기 몸체(201)의 타측 끝단에 결합되는 마감가이더(240)와; 상기 몸체(201)의 내부에 위치하여 전기한 USB잭(220)이 결합된 광원판(250)과; 상기 광원판(250)의 전면에 위치하여 몸체(201)에 결합되는 투광판(260)과; 상기 마감가이더(240)의 외측에 위치하여 전기한 몸체(201)에 결합되는 동시에 전기한 회전볼트체(210)가 수용되게 한 사이드체결구(270);로 구성되어 있는 것이다.
특히, 상기의 몸체(201)는 메인랜턴(100)의 측부 형상과 동일하게 제작되어 상기 메인랜턴(100)의 일측 혹은 양측에 사이드랜턴(200)(200')을 결합하게 되면 동일 형상으로 인해 일체감을 형성할 수 있어 시각적으로 상품성을 향상시키게 될 것이고, 상기의 몸체(201) 일측에 결합되는 마감캡(230)은 몸체(201)에 내장되는 광원판(250) 및 투광판(260)을 고정하는 동시에 몸체(201)의 일측 끝단을 마감하는 역할을 하는 것이며, 상기의 마감가이더(240)는 마감캡(230)과 마찬가지로 광원판(250) 및 투광판(260)을 고정하는 동시에 몸체(201)의 타측 끝단을 마감하는 역할을 수행하는 것은 물론 사이드체결구(270)에 결합되어 있는 회전볼트체(210)의 일측단을 결합하기 위한 것이며, 상기 마감가이더(240)의 외측에 위치하는 몸체(201)에 결합되는 사이드체결구(270)는 전기한 메인랜턴(100)의 측부에 형성되어 있는 나사공(110)(110')과 고정되기 위한 회전볼트체(210)를 수용하기 위한 목적을 갖는 것이다.
즉, 상기의 회전볼트체(210)는 일측에 상기 사이드체결구(270)를 관통하여 돌출되게 한 나사축부(211)가 형성되고 회전볼트체(210)의 타측에는 상기 마감가이더(240)에 삽입되게 한 회전축부(212)가 형성되며, 상기 마감가이더(240)에는 상기 회전볼트체(210)의 회전축부(212)가 삽입되게 한 축삽입홈(241)이 형성되고, 상기 사이드체결구(270)에는 상기 회전볼트체(210)가 안치되게 한 회전안치홈(271)과 상기 회전볼트체(210)의 나사축부(211)가 관통 삽입되게 한 볼트삽입공(272) 및 상기 광원판(250)의 USB잭(220)이 관통 삽입되게 한 잭삽입공(273)이 각각 형성되어 있는 것이다.
따라서, 일측에 마감캡(230)이 결합되어 있는 사이드랜턴(200)(200')의 타측에는 마감가이더(240)가 내측에 위치한 상태인 사이드체결구(270)가 결합되어 있는 것이고, 상기 사이드체결구(270)의 외측으로는 몸체(201) 내의 광원판(250)과 연결된 USB잭(220)이 돌출 형성되어 있는 동시에 회전볼트체(210)의 나사축부(211)가 함께 돌출 형성되어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 사이드체결구(270)의 회전안치홈(271) 내 회전볼트체(210)는 일측 나사축부(211)가 볼트삽입공(272)에 삽입되어 있고, 타측 회전축부(212)는 마감가이더(240)의 축삽입홈(241)에 삽입되어 있는 것으로, 상기 회전안치홈(271) 내에서 회전볼트체(210)는 자유롭게 회전될 수 있는 상태인 동시에 회전안치홈(271) 내에서 횡방향으로 횡방향으로 유동할 수 있는 구조를 갖게 된다.
따라서, 메인랜턴(100)의 측부에 형성된 USB포트(120)(120')에 사이드랜턴(200)(200')의 측부로 돌출된 USB잭(220)을 상호 결합한 후, 상기 회전볼트체(210)를 연속하게 회전시키면 회전볼트체(210)의 나사축부(211)가 메인랜턴(100)의 나사공(110)(110')으로 결합되면서 상기 메인랜턴(100)에 대한 사이드랜턴(200)(200')의 빠르고 간편한 고정 및 상호 전기적인 연결이 이루어질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에, 상기 메인랜턴(100)의 조절부를 조작하여 메인랜턴(100) 내 배터리의 전원이 상기 사이드랜턴(200)(200')의 광원판(250)으로 전달되도록 하여 메인랜턴(100)과 사이드랜턴(200)(200')이 동시에 점등되게 하거나, 조절부의 회로 구성을 통해 메인랜턴(100) 또는 사이드랜턴(200)(200')이 선택적으로 점등되도록 구성할 수도 있을 것이다.
또한, 전기한 파티라이트(300)(300')는 도 8 내지 도 12의 도시와 같이, 일측 끝단에 전기한 메인랜턴(100)의 USB포트(120)(120')와 결합되기 위한 USB잭(310)이 형성된 메인케이블(320)과; 상기 메인케이블(320)로부터 일정 간격으로 분기된 보조케이블(330)(330')과; 상기 보조케이블(330)(300')의 끝단에 결합 형성되는 개별점등구(340)(340')로 구성되어 있는 것으로, 상기 메인케이블(320)과 보조케이블(330)(330')은 통상적인 전선 자체를 그대로 사용하여도 무방하고 별도의 와이어 혹은 로프에 전선이 함께 결합되어 있거나 권취되어 있는 형태 모두 포함될 것이다.
이어, 상기의 개별점등구(340)(340')는, 보조케이블(330)(330')의 하부 끝단에 조립되는 상부커버(341)와, 상부커버(341)의 하측에 위치하는 동시에 상기 보조케이블(330)(330')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광원판(342)과, 상기 광원판(342)의 하측에 위치하여 상부커버(341)에 결합되는 투광커버(343)로 구성되는 것으로, 상기 보조케이블(330)(330')을 통해 전원이 공급되는 광원판(342)의 점등 빛은 하측의 투광커버(343)를 통해 외부로 조사되면서 단일의 메인케이블(320)에 대하여 많은 수의 개별점등구(340)(340')가 동시에 점등되는 구조를 갖고 있는 것이다.
특히, 상기와 같은 보조케이블(330)(330')의 하단에는 하부 양측에 횡방향으로의 체결편(331)을 갖는 조립구(332)를 결합 형성하고, 상부커버(341)의 중앙에는 상기 체결편(331)이 삽입되게 한 평면상 직사각의 체결공(341a)을 형성하여, 상기 체결공(341a)으로 체결편(331)을 삽입한 상태에서 조립구(332)와 상부커버(341)에 대한 90°상호 회전을 통해 상기 조립구(332)와 상부커버(341) 간의 회전 결합이 이루어지도록 구성할 수 있을 것이다.
이에 따라, 상기 메인랜턴(100)의 측부에 형성된 USB포트(120)(120')에 상기 파티라이트(300)(300')의 USB잭(310)을 결합하면 상호 USB 연결에 의해 메인케이블(320) 및 보조케이블(330)(330')이 메인랜턴(100)의 내장 배터리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상태가 이루어지는 것이고, 메인랜턴(100)의 조절부에 대한 조작을 통해 상기 파티라이트(300)(300')에 대한 점등이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상기 개별점등구(340)(340') 하나 하나가 전구의 역할을 하면서 텐트 입구 혹은 타프나 어닝 혹은 차량 내,외부 등을 원하는 형태 및 길이를 갖고 미려하게 조명 장식할 수 있게 된다.
이어, 상기 개별점등구(340)(340')에 대한 다른 실시예로서 도 13 및 도 14의 도시와 같이, 전기한 상부커버(341)의 저면에는 끼움홈(341b)을 형성하고, 투광커버(343)의 상면에는 끼움돌기(343a)를 돌출 형성하여 상기 끼움홈(341b)에 대한 끼움돌기(343a)의 삽입에 의해 상부커버(341)와 투광커버(343)의 간편하고 일정한 결합이 이루어지도록 구성하되, 상기 끼움홈(341b)의 깊이보다는 끼움돌기(343a)의 높이를 높게 구성하여 상부커버(341)와 투광커버(343)의 사이에 계지홈부(344)가 형성되게 구성함으로써, 상기 계지홈부(344)를 이용하여 별도 구비된 장식쉐이드(350)를 결합 사용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때의 장식쉐이드(350)는 하부가 개방된 반투명의 탄력재로 이루어지고 상측에는 상기 계지홈부(344)로 삽입되게 한 내향의 탄력플랜지(351)를 돌출 형성하여 구성된 것으로, 상기 개별점등구(340)(340')의 하측으로부터 장식쉐이드(550)의 상부를 끼워 삽입하여 장식쉐이드(350)의 탄력플랜지(351)가 개별점등구(340)(340')의 상부커버(341)와 투광커버(343)의 사이에 형성된 계지홈부(344)로 삽입되도록 조립함으로써 상기 장식쉐이드(350)의 간편한 조립이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실리콘과 같이 연질 탄력재로 된 장식쉐이드(350)를 개별점등구(340)(340')에 각각 끼워 조립함에 따라 상기 개별점등구(340)(340')가 점등되는 경우 그 점등 빛이 상기의 장식쉐이드(350)를 간접 점등시켜 장식쉐이드(350)가 갖는 미려한 외형 그대로 점등된 형태를 연출하게 되는 것이고, 상기의 장식쉐이드(350)는 다양한 모양이나 형태 및 크기로 만들어질 수 있어 파티라이트(300)(300')를 이용한 조명 장식 효과를 가일층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다용도 랜턴은 메인랜턴(100)의 단독 사용은 물론 필요에 따라 동일 디자인으로 된 사이드랜턴(200)(200')을 메인랜턴(100)의 일측 혹은 양측에 연결 및 고정시켜 더욱 확장된 밝기 및 범위의 랜턴으로 사용할 수 있는 것이고, 필요에 따라 메인랜턴(100)의 일측 혹은 양측에 파티라이트(300)(300')를 연결하여 상기 메인랜턴(100)을 파워 뱅크로 사용함으로써 파티라이트(300)(300')에 대한 사용 상의 편리함을 꾀할 수 있는 것이며,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상기 메인랜턴(100)에 사이드랜턴(200)(200')과 파티라이트(300)(300')를 혼합하여 사용할 수도 있어 랜턴의 활용도를 크게 높일 수 있는 것이다.
이상과 같은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100 : 메인랜턴 101 : 본체
110,110' : 나사공
120,120' : USB포트
200,200' : 사이드랜턴 201 : 몸체
210 : 회전볼트체 211 : 나사축부
212 : 회전축부
220 : USB잭
230 : 마감캡
240 : 마감가이더 241 : 축삽입홈
250 : 광원판
260 : 투광판
270 : 사이드체결구 271 : 회전안치홈
272 : 볼트삽입공 273 : 잭삽입공
300,300' : 파티라이트
310 : USB잭
320 : 메인케이블
330,330' : 보조케이블 331 : 체결편
332 : 조립구
340,340' : 개별점등구 341 : 상부커버
342 : 광원판 343 : 투광커버
344 : 계지홈부
350 : 장식쉐이드 351 : 탄력플랜지

Claims (6)

  1. 내장된 배터리를 이용하여 전면으로 엘이디 점등 빛이 조사되도록 하고, 배면에는 조절부가 형성된 메인랜턴(100)을 구비하여, 상기 메인랜턴(100)의 양측부에 각기 별도 구비의 확장모듈이 결합 사용되게 하되,
    상기 확장모듈은, 상기 메인랜턴(100)으로부터 전원을 인가받아 점등되게 한 한 쌍의 사이드랜턴(200)(200')과; 역시 상기 메인랜턴(100)으로부터 전원을 인가받아 점등되게 한 한 쌍의 파티라이트(300)(300')로 구성되어, 상기 메인랜턴(100) 단독 사용은 물론 메인랜턴(100)의 일측 혹은 양측에 사이드랜턴(200)(200') 및 파티라이트(300)(300')가 단독 혹은 복합 연결 사용되도록 구성하여 됨을 특징으로 하는 사이드 확장모듈을 구비한 다용도 랜턴.
  2. 제 1항에 있어서,
    메인랜턴(100)의 본체(101) 양측에는 나사공(110)(110')과 USB포트(120)(120')를 각각 형성하고, 상기 사이드랜턴(200)(200')의 일측에는 상기 나사공(110)(110') 및 USB포트(120)(120')와 대응하는 회전볼트체(210) 및 USB잭(220)을 형성하며, 상기 파티라이트(300)(300')의 일측 끝단에는 상기 USB포트(120)(120')와 대응하는 또 다른 USB잭(310)을 각각 형성하여, 상기 본체(101)의 나사공(110)(110')과 USB포트(120)(120')를 이용하여 사이드랜턴(200)(200')과 파티라이트(300)(300')가 선택적으로 연결 사용되도록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사이드 확장모듈을 구비한 다용도 랜턴.
  3. 제 2항에 있어서,
    사이드랜턴(200)(200')은, 메인랜턴(100)의 측부 형상과 동일의 측부 형상으로 된 몸체(201)와; 상기 몸체(201)의 일측 끝단에 결합되는 마감캡(230)과; 상기 몸체(201)의 타측 끝단에 결합되는 마감가이더(240)와; 상기 몸체(201)의 내부에 위치하여 전기한 USB잭(220)이 결합된 광원판(250)과; 상기 광원판(250)의 전면에 위치하여 몸체(201)에 결합되는 투광판(260)과; 상기 마감가이더(240)의 외측에 위치하여 전기한 몸체(201)에 결합되는 동시에 전기한 회전볼트체(210)가 수용되게 한 사이드체결구(270);로 구성되되,
    상기 회전볼트체(210)는 일측에 상기 사이드체결구(270)를 관통하여 돌출되게 한 나사축부(211)가 형성되고 타측에는 상기 마감가이더(240)에 삽입되게 한 회전축부(212)가 형성되며, 상기 마감가이더(240)에는 상기 회전볼트체(210)의 회전축부(212)가 삽입되게 한 축삽입홈(241)이 형성되고, 상기 사이드체결구(270)에는 상기 회전볼트체(210)가 안치되게 한 회전안치홈(271)과 상기 회전볼트체(210)의 나사축부(211)가 관통 삽입되게 한 볼트삽입공(272) 및 상기 광원판(250)의 USB잭(220)이 관통 삽입되게 한 잭삽입공(273)이 각각 형성되도록 구성하여 됨을 특징으로 하는 사이드 확장모듈을 구비한 다용도 랜턴.
  4. 제 2항에 있어서,
    파티라이트(300)(300')는, 일측 끝단에 USB잭(310)이 형성된 메인케이블(320)과; 상기 메인케이블(320)로부터 일정 간격으로 분기된 보조케이블(330)(330')과; 상기 보조케이블(330)(300')의 끝단에 결합 형성되는 개별점등구(340)(340')로 구성되되,
    상기 개별점등구(340)(340')는, 보조케이블(330)(330')의 끝단에 조립되는 상부커버(341)와, 상부커버(341)의 하측에 위치하는 동시에 상기 보조케이블(330)(330')과 연결되는 광원판(342)과, 상기 광원판(342)의 하측에 위치하여 상부커버(341)에 결합되는 투광커버(343)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사이드 확장모듈을 구비한 다용도 랜턴.
  5. 제 4항에 있어서,
    보조케이블(330)(330')의 하단에는 하부 양측에 횡방향으로의 체결편(331)을 갖는 조립구(332)를 결합 형성하고, 상부커버(341)의 중앙에는 상기 체결편(331)이 삽입되게 한 평면상 직사각의 체결공(341a)을 형성하여, 상기 체결공(341a)으로 체결편(331)을 삽입한 상태에서 조립구(332)와 상부커버(341)에 대한 상호 회전을 통해 상기 조립구(332)와 상부커버(341) 간의 회전 결합이 이루어지도록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사이드 확장모듈을 구비한 다용도 랜턴.
  6. 제 4항에 있어서,
    상부커버(341)의 저면에는 끼움홈(341b)을 형성하고, 투광커버(343)의 상면에는 끼움돌기(343a)를 돌출 형성하여 상기 끼움홈(341b)에 대한 끼움돌기(343a)의 삽입에 의해 상부커버(341)와 투광커버(343)의 결합이 이루어지도록 구성하고, 상기 끼움홈(341b)의 깊이보다는 끼움돌기(343a)의 높이를 높게 구성하여 상부커버(341)와 투광커버(343)의 사이에 계지홈부(344)가 형성되게 구성하며, 상기 계지홈부(344)를 이용하여 별도 구비된 장식쉐이드(350)가 결합되게 하되,
    상기 장식쉐이드(350)는 하부가 개방된 반투명의 탄력재로 이루어지고 상측에는 상기 계지홈부(344)로 삽입되게 한 내향의 탄력플랜지(351)를 돌출 형성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사이드 확장모듈을 구비한 다용도 랜턴.
KR1020220016014A 2022-02-08 2022-02-08 사이드 확장모듈을 구비한 다용도 랜턴 KR2023011981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16014A KR20230119813A (ko) 2022-02-08 2022-02-08 사이드 확장모듈을 구비한 다용도 랜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16014A KR20230119813A (ko) 2022-02-08 2022-02-08 사이드 확장모듈을 구비한 다용도 랜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19813A true KR20230119813A (ko) 2023-08-16

Family

ID=878485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16014A KR20230119813A (ko) 2022-02-08 2022-02-08 사이드 확장모듈을 구비한 다용도 랜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119813A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80245B1 (ko) 2015-04-03 2015-12-24 강승헌 조명각도 조절이 자유로운 캠핑용 led 랜턴
KR200480874Y1 (ko) 2014-05-20 2016-07-25 김성권 캠핑용 led 랜턴
KR101954958B1 (ko) 2017-03-06 2019-03-07 (주)더원엘이디 캠핑용 엘이디 랜턴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80874Y1 (ko) 2014-05-20 2016-07-25 김성권 캠핑용 led 랜턴
KR101580245B1 (ko) 2015-04-03 2015-12-24 강승헌 조명각도 조절이 자유로운 캠핑용 led 랜턴
KR101954958B1 (ko) 2017-03-06 2019-03-07 (주)더원엘이디 캠핑용 엘이디 랜턴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174532A (en) Portable lighting fixture
US7543952B1 (en) Lighting fixture for aquarium
KR101177403B1 (ko) 다용도 랜턴
KR101389667B1 (ko) 조명등의 장착장치
US10327309B1 (en) Retrofit lighting system, method, apparatus and kit
US20110286204A1 (en) Universal Ceiling Fan Uplight Kit
US20070204551A1 (en) Illuminated gazebo
KR101953239B1 (ko) 구분 점등 및 센서 점등 구조가 적용된 다용도 랜턴
US10551043B1 (en) Portable lighting system
KR101904104B1 (ko) 엘이디 천장등
KR20230119813A (ko) 사이드 확장모듈을 구비한 다용도 랜턴
WO2018223681A1 (zh) 一种led吊式灯具
KR101248092B1 (ko) Led 조명용 고조도 반사갓
US8459823B1 (en) Screen enclosure lighting system
KR101159632B1 (ko) 원터치로 설치 및 해체가 가능한 조명기구
CN209622641U (zh) 一种台灯营地灯两用灯具
KR101221363B1 (ko) 엘이디램프 등기구용 바디 프레임
WO2020043054A1 (zh) 在伞柱上安装的灯具
KR200468862Y1 (ko) 와이어 걸림수단이 구비된 엘이디 램프 모듈
KR20130006184U (ko) 다용도 비상등
CN201661974U (zh) 一种太阳能灯饰
CN216383925U (zh) 一种具有隐藏式充电装置的落地灯
CN215951338U (zh) 一种可快速连接的led光源产品和灯具
CN217559640U (zh) 一种led可控硅调光调色壁灯
WO2022193302A1 (zh) 一种帐篷支撑架