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19636A - 침대 파운데이션 조정 제어 - Google Patents

침대 파운데이션 조정 제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19636A
KR20230119636A KR1020237018621A KR20237018621A KR20230119636A KR 20230119636 A KR20230119636 A KR 20230119636A KR 1020237018621 A KR1020237018621 A KR 1020237018621A KR 20237018621 A KR20237018621 A KR 20237018621A KR 20230119636 A KR20230119636 A KR 2023011963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oundation
user interface
adjustable foundation
section
ba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701862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데이비드 스미스
앤터니 커크
Original Assignee
슬립 넘버 코포레이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슬립 넘버 코포레이션 filed Critical 슬립 넘버 코포레이션
Publication of KR2023011963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19636A/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19/00Bedsteads
    • A47C19/04Extensible bedsteads, e.g. with adjustment of length, width, height
    • A47C19/045Extensible bedsteads, e.g. with adjustment of length, width, height with entire frame height or inclination adjustmen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20/00Head -, foot -, or like rests for beds, sofas or the like
    • A47C20/04Head -, foot -, or like rests for beds, sofas or the like with adjustable inclination
    • A47C20/041Head -, foot -, or like rests for beds, sofas or the like with adjustable inclination by electric moto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19/00Bedsteads
    • A47C19/04Extensible bedsteads, e.g. with adjustment of length, width, height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31/00Details or accessories for chairs, beds, or the like,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e.g. upholstery fasteners, mattress protectors, stretching devices for mattress nets
    • A47C31/008Use of remote control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ursing (AREA)
  • Invalid Beds And Related Equipment (AREA)
  • Finger-Pressure Massage (AREA)
  • Absorbent Articles And Supports Therefor (AREA)
  • Hydroponics (AREA)

Abstract

침대 시스템은 조정식 파운데이션과 적어도 하나의 조정 바를 갖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가질 수 있다.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적어도 하나의 조정 바의 풋 부분을 상승시키면 조정식 파운데이션의 풋 섹션을 상승시키도록 작동 시스템에 신호를 보낼 수 있고, 조정 바의 헤드 부분을 상승시키면 조정식 파운데이션의 헤드 섹션을 상승시키도록 작동 시스템에 신호를 보낼 수 있고, 조정 바의 풋 부분을 하강시키면 조정식 파운데이션의 풋 섹션을 하강시키도록 작동 시스템에 신호를 보낼 수 있고, 조정 바의 헤드 부분을 하강시키면 조정식 파운데이션의 헤드 섹션을 하강시키도록 작동 시스템에 신호를 보낼 수 있도록, 조정식 파운데이션의 작동 시스템에 통신 연결될 수 있다.

Description

침대 파운데이션 조정 제어
관련 출원에 대한 상호 참조
본 출원은 2020년 12월 18일자 출원된 미국 가출원 제63/127,307호에 대한 우선권을 주장한다. 이전 출원의 개시 내용은 본 출원의 개시 내용의 일부로 간주되며 본 출원에 전체적으로 통합된다.
기술 분야
본 발명은 침대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위치 컨트롤러를 갖는 조정식 침대에 관한 것이다
조정식 침대는 조정식 파운데이션(foundation)의 상부에 배치된 매트리스를 포함할 수 있다. 조정식 파운데이션이 작동되면, 매트리스의 헤드 섹션과 풋 섹션과 같은 매트리스의 여러 부분이 상승 및 하강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사람들은 휴대용 리모컨을 사용하거나 모바일 장치의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파운데이션을 조정한다. 일부 버튼, 리모컨 또는 모바일 애플리케이션은 플랫(flat) 위치로부터 미리 설정된 위치로 파운데이션을 조정할 수 있는 옵션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제공된 침대 시스템의 일부 실시예는 본 명세서에 개시된 특징 및 기능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특히, 침대 시스템은 조정식 파운데이션, 조정식 파운데이션 상에 배치된 매트리스, 및 외부 침대 위치 컨트롤러를 포함할 수 있다. 컨트롤러는 파운데이션의 측면 및/또는 파운데이션의 데크에 장착될 수 있다. 컨트롤러는 리모컨 또는 모바일 애플리케이션 대신에 조정식 파운데이션의 여러 부분을 선택적으로 조정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컨트롤러는 하나 이상의 조정 바(bar) 및/또는 버튼을 포함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일 수 있다.
본 명세서에 설명된 실시예는 조정식 파운데이션을 갖는 침대 시스템을 포함할 수 있다. 조정식 파운데이션은 헤드 섹션, 풋 섹션, 헤드 섹션 및 풋 섹션에 연결된 작동 시스템, 및 적어도 하나의 조정 바를 갖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적어도 하나의 조정 바의 풋 부분을 상승시키면 조정식 파운데이션의 풋 섹션을 상승시키도록 작동 시스템에 신호를 보내고, 적어도 하나의 조정 바의 헤드 부분을 상승시키면 조정식 파운데이션의 헤드 섹션을 상승시키도록 작동 시스템에 신호를 보내고, 적어도 하나의 조정 바의 풋 부분을 하강시키면 조정식 파운데이션의 풋 섹션을 하강시키도록 작동 시스템에 신호를 보내고, 적어도 하나의 조정 바의 헤드 부분을 하강시키면 조정식 파운데이션의 헤드 섹션을 하강시키도록 작동 시스템에 신호를 보내도록 작동 시스템에 통신 연결될 수 있다.
일부 구현예에서, 개시된 실시예는 다음 특징 중 하나 이상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적어도 하나의 조정 바는 헤드 부분과 풋 부분을 모두 포함하는 단일 강성 바일 수 있다. 다른 예로서, 적어도 하나의 조정 바는 제1 및 제2 바의 중앙 단부에서 힌지 연결되는 제1 및 제2 바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바를 상승시키면 조정식 파운데이션의 풋 섹션을 상승시키도록 작동 시스템에 신호를 보낼 수 있고, 제2 바를 상승시키면 조정식 파운데이션의 헤드 섹션을 상승시키도록 작동 시스템에 신호를 보낼 수 있고, 제1 바를 하강시키면 조정식 파운데이션의 풋 섹션을 하강시키도록 작동 시스템에 신호를 보낼 수 있고, 제2 바를 하강시키면 조정식 파운데이션의 헤드 섹션을 하강시키도록 작동 시스템에 신호를 보낼 수 있다.
일부 구현예에서, 적어도 하나의 조정 바를 상승시키는 것은 조정식 파운데이션의 풋 섹션과 헤드 섹션을 동시에 및 동일한 높이로 상승시키도록 작동 시스템에 신호를 보낼 수 있고, 적어도 하나의 조정 바를 하강시키는 것은 조정식 파운데이션의 풋 섹션과 헤드 섹션을 동시에 및 동일한 높이로 하강시키도록 작동 시스템에 신호를 보낼 수 있다.
다른 예로서,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또한 적어도 하나의 버튼을 포함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버튼을 누르면 조정식 파운데이션의 헤드 섹션과 풋 섹션 중 적어도 하나를 미리 정해놓은 위치로 이동시키도록 작동 시스템에 신호를 보낼 수 있으며, 미리 정해놓은 위치는 플랫 위치 및 선호 위치 중 적어도 하나일 수 있다.
또한, 적어도 하나의 버튼은 적어도 하나의 스위치에 연결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버튼을 누르는 것은 조정식 파운데이션의 헤드 섹션 및 풋 섹션 중 적어도 하나를 미리 정해놓은 위치로 이동시키도록 작동 시스템에 신호를 보낼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스위치의 작동을 포함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버튼은 또한 제1 버튼 및 제2 버튼을 포함할 수 있으며, 제1 버튼을 누르면 조정식 파운데이션을 플랫 위치로 이동시키도록 작동 시스템에 신호를 보내고, 제2 버튼을 누르면 조정식 파운데이션을 선호 위치로 이동시키도록 작동 시스템에 신호를 보낼 수 있다.
일부 구현예에서, 적어도 하나의 버튼을 더블 클릭하면 적어도 하나의 조정 바가 조정식 파운데이션의 헤드 섹션 및 풋 섹션을 선택적으로 조정하는 제1 모드와 조정식 파운데이션의 헤드 섹션 및 풋 섹션을 동시에 조정하는 제2 모드 사이에서 전환되도록 할 수 있다.
다른 예로,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조정식 파운데이션의 측면에 연결될 수 있다. 때때로, 적어도 하나의 조정 바의 헤드 부분을 상승시키면 조정식 파운데이션을 미리 정해놓은 각도로 기울이도록 작동 시스템에 신호를 보낼 수 있다. 일부 구현예에서, 작동 시스템은 조정식 파운데이션의 헤드 섹션 및 풋 섹션을 상승 및 하강시킬 수 있는 컨트롤러 및 하나 이상의 액추에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일부 구현예에서,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적어도 부분적으로는 조정식 파운데이션 또는 조정식 파운데이션 상에 배치된 매트리스 중 적어도 하나의 두께에 따라 크기가 조정될 수 있다. 또한, 적어도 하나의 조정 바의 풋 부분은 적어도 하나의 조정 바가 하향 위치 또는 상향 위치 중 적어도 하나로 기울어질 수 있도록 적어도 하나의 조정 바의 헤드 부분의 각도와 다른 각도로 배치될 수 있다.
일부 구현예에서, 적어도 하나의 조정 바는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리세스 영역에 위치될 수 있고, 적어도 하나의 버튼은 적어도 하나의 조정 바 아래 및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리세스 영역에 위치될 수 있다.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또한 조정식 파운데이션의 상부와 조정식 파운데이션 상에 배치된 매트리스의 하부 사이에 배치될 수 있는 베이스를 포함하여 사용자 인터페이스가 조정식 파운데이션의 측면과 동일 평면 상에 있고 매트리스의 측면을 따라 위로 연장될 수 있다.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베이스는 하나 이상의 패스너를 사용하여 조정식 파운데이션의 상부에 부착될 수 있다. 또한, 매트리스는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베이스 위로 하강 평탄화될 수 있다. 매트리스의 하부는 또한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베이스가 위치될 수 있는 리세스를 포함할 수 있다. 매트리스의 재료 또는 폼(foam)은 리세스로부터 제거될 수 있다.
일부 구현예에서, 적어도 하나의 버튼을 누르면 조정식 파운데이션의 풋 섹션과 헤드 섹션을 동시에 미리 정해진 높이로 상승시키도록 작동 시스템에 신호를 보낼 수 있다.
본 명세서에 설명된 실시예는 조정식 파운데이션을 갖는 침대 시스템을 포함할 수 있다. 조정식 파운데이션은 헤드 섹션, 풋 섹션, 헤드 섹션 및 풋 섹션에 연결된 작동 시스템, 및 작동 시스템에 통신 연결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적어도 하나의 조정 바와 적어도 하나의 버튼을 포함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버튼을 작동시키면 제1 바 모드와 제2 바 모드 사이가 전환될 수 있다. 제1 바 모드에서, 조정 바의 헤드 단부의 작동은 선택적으로 헤드 섹션을 상승 또는 하강시킬 수 있고, 조정 바의 풋 단부의 작동은 선택적으로 풋 섹션을 상승 또는 하강시킬 수 있다. 제2 바 모드에서, 조정 바의 헤드 단부의 작동은 헤드 섹션과 풋 섹션을 실질적으로 동일한 각도로 기울일 수 있고, 조정 바의 풋 단부의 작동은 헤드 섹션과 풋 섹션을 실질적으로 동일한 각도로 기울일 수 있다.
본 명세서에 설명된 실시예는 조정식 파운데이션 및 적어도 하나의 조정 바를 갖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구비한 침대 시스템을 포함할 수 있다. 조정식 파운데이션은 헤드 섹션, 풋 섹션, 및 헤드 섹션 및 풋 섹션에 연결된 작동 시스템을 가질 수 있다.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적어도 하나의 조정 바의 풋 부분을 상승시키면 조정식 파운데이션의 풋 섹션을 상승시키도록 작동 시스템에 신호를 보내고, 적어도 하나의 조정 바의 헤드 부분을 상승시키면 조정식 파운데이션의 헤드 섹션을 상승시키도록 작동 시스템에 신호를 보내고, 적어도 하나의 조정 바의 풋 부분을 하강시키면 조정식 파운데이션의 풋 섹션을 하강시키도록 작동 시스템에 신호를 보내고, 적어도 하나의 조정 바의 헤드 부분을 하강시키면 조정식 파운데이션의 헤드 섹션을 하강시키도록 작동 시스템에 신호를 보내도록 작동 시스템에 통신 연결될 수 있다.
일부 구현예에서, 개시된 실시예는 다음 특징 중 하나 이상을 가질 수 있다. 매트리스가 조정식 파운데이션 상에 배치될 수 있으며, 매트리스는 헤드 섹션과 풋 섹션을 가진다. 적어도 하나의 조정 바는 헤드 부분과 풋 부분을 모두 포함하는 단일 강성 바일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조정 바는 제1 및 제2 바의 중앙 단부에서 힌지 연결되는 제1 및 제2 바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바를 상승시키면 조정식 파운데이션의 풋 섹션을 상승시키도록 작동 시스템에 신호를 보낼 수 있고, 제2 바를 상승시키면 조정식 파운데이션의 헤드 섹션을 상승시키도록 작동 시스템에 신호를 보낼 수 있고, 제1 바를 하강시키면 조정식 파운데이션의 풋 섹션을 하강시키도록 작동 시스템에 신호를 보낼 수 있고, 제2 바를 하강시키면 조정식 파운데이션의 헤드 섹션을 하강시키도록 작동 시스템에 신호를 보낼 수 있다.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또한 적어도 하나의 조정 바에 연결된 복수의 스위치를 포함할 수 있으며, 적어도 하나의 조절 바의 상승 및 하강은 복수의 스위치 중 적어도 하나의 스위치의 작동을 포함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조정 바의 풋 부분의 상승은 복수의 스위치 중 제1 스위치를 작동시킬 수 있고, 조정식 파운데이션의 풋 섹션을 상승시키도록 작동 시스템에 신호를 보낼 수 있으며, 적어도 하나의 조정 바의 헤드 부분의 상승은 복수의 스위치 중 제2 스위치를 작동시킬 수 있고, 조정식 파운데이션의 헤드 섹션을 상승시키도록 작동 시스템에 신호를 보낼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조정 바의 풋 부분의 하강은 복수의 스위치 중 제3 스위치를 작동시킬 수 있고, 조정식 파운데이션의 풋 섹션을 하강시키도록 작동 시스템에 신호를 보낼 수 있으며, 적어도 하나의 조정 바의 헤드 부분의 하강은 복수의 스위치 중 제4 스위치를 작동시킬 수 있고, 조절식 파운데이션의 헤드 섹션을 하강시키도록 작동 시스템에 신호를 보낼 수 있다. 제1 스위치는 제3 스위치 위에 배치될 수 있고, 제2 스위치는 제4 스위치 위에 배치될 수 있다.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또한 적어도 하나의 버튼을 포함할 수 있으며, 적어도 하나의 버튼을 누르면 조정식 파운데이션의 헤드 섹션 또는 풋 섹션 중 적어도 하나를 미리 정해놓은 위치로 이동시키도록 작동 시스템에 신호를 보낼 수 있다. 미리 정해놓은 위치는 플랫 위치 또는 선호 위치 중 적어도 하나일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버튼은 적어도 하나의 스위치에 연결될 수 있으며, 적어도 하나의 버튼을 누르는 것은 조정식 파운데이션의 헤드 섹션 또는 풋 섹션 중 적어도 하나를 미리 정해놓은 위치로 이동시키도록 작동 시스템에 신호를 보내는 적어도 하나의 스위치의 작동을 포함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버튼은 제1 버튼 및 제2 버튼을 포함할 수 있으며, 제1 버튼을 누르면 조정식 파운데이션을 플랫 위치로 이동시키도록 작동 시스템에 신호를 보내고, 제2 버튼을 누르면 조정식 파운데이션을 선호 위치로 이동시키도록 작동 시스템에 신호를 보낼 수 있다.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조정식 파운데이션의 측면에 연결될 수 있다.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조정식 파운데이션의 측면을 따라 이동 가능할 수 있다. 작동 시스템은 조정식 파운데이션의 헤드 섹션 및 풋 섹션을 상승 및 하강시키도록 구성된 컨트롤러 및 하나 이상의 액추에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적어도 부분적으로는 매트리스 또는 조정식 파운데이션 중 적어도 하나의 두께에 따라 크기가 조정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조정 바의 풋 부분은 적어도 하나의 조정 바가 하향 위치 또는 상향 위치 중 적어도 하나로 기울어질 수 있도록 적어도 하나의 조정 바의 헤드 부분의 각도와 다른 각도로 배치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조정 바는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리세스 영역에 위치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버튼은 적어도 하나의 조정 바 아래 및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리세스 영역에 위치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버튼은 하나 이상의 주변 장치에 통신 연결될 수 있으며, 적어도 하나의 버튼을 누르는 것은 하나 이상의 주변 장치를 제어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또한 사용자 인터페이스가 조정식 파운데이션의 측면과 동일 평면 상에 있고 매트리스의 측면을 따라 위로 연장될 수 있도록 조정식 파운데이션의 상부와 매트리스의 하부 사이에 배치될 수 있는 베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베이스는 하나 이상의 패스너를 사용하여 조정식 파운데이션의 상부에 부착될 수 있다. 매트리스는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베이스 위로 하강 평탄화될 수 있다. 매트리스의 하부는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베이스가 위치될 수 있는 리세스를 포함할 수 있으며, 매트리스의 재료 또는 폼은 리세스로부터 제거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조정 바의 풋 부분은 조정식 파운데이션의 풋 섹션에 인접할 수 있고, 적어도 하나의 조정 바의 헤드 부분은 조정식 파운데이션의 헤드 섹션에 인접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조정 바는 제3 바의 중앙 단부에서 힌지 연결되는 제3 바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3 바는 제1 바 및 제2 바 사이에 위치될 수 있으며, 제3 바를 상승시키면 조정식 파운데이션을 선호 위치로 이동시키도록 작동 시스템에 신호를 보낼 수 있고, 제3 바를 하강시키면 조정식 파운데이션을 플랫 위치로 이동시키도록 작동 시스템에 신호를 보낼 수 있다.
본 명세서에 설명된 실시예는 또한 조정식 파운데이션 및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갖는 침대 시스템을 포함할 수 있다. 조정식 파운데이션은 헤드 섹션, 풋 섹션 및 헤드 섹션 및 풋 섹션에 연결된 작동 시스템을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제1, 제2, 제3 및 제4 버튼을 가질 수 있으며,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제1 버튼을 누르면 조정식 파운데이션의 풋 섹션을 상승시키도록 작동 시스템에 신호를 보낼 수 있고, 제2 버튼을 누르면 조정식 파운데이션의 헤드 섹션을 상승시키도록 작동 시스템에 신호를 보낼 수 있고, 제3 버튼을 누르면 조정식 파운데이션의 풋 섹션을 하강시키도록 작동 시스템에 신호를 보낼 수 있고, 제4 버튼을 누르면 조정식 파운데이션의 헤드 섹션을 하강시키도록 작동 시스템에 신호를 보낼 수 있도록, 작동 시스템과 통신 연결될 수 있다.
일부 구현예에서, 제1 및 제3 버튼은 사용자 인터페이스 상에 수직으로 정렬되고 조정식 파운데이션의 풋 섹션에 인접할 수 있다. 제2 및 제4 버튼은 사용자 인터페이스 상에 수직으로 정렬되고 조정식 파운데이션의 헤드 섹션에 인접할 수 있다.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또한 제1, 제2, 제3 및 제4 버튼에 연결된 복수의 스위치를 포함할 수 있으며, 제1, 제2, 제3 및 제4 버튼 중 적어도 하나를 누르는 것은 복수의 스위치 중 적어도 하나의 작동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설명된 실시예는 또한 조정식 파운데이션 및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갖는 침대 시스템을 포함할 수 있다. 조정식 파운데이션은 헤드 섹션, 풋 섹션, 및 헤드 섹션 및 풋 섹션에 연결된 작동 시스템을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자석과 적어도 하나의 버튼을 가질 수 있다.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적어도 하나의 버튼을 누르면 조정식 파운데이션의 풋 섹션 또는 헤드 섹션 중 적어도 하나를 조정하도록 작동 시스템에 신호를 보낼 수 있도록 작동 시스템에 통신 연결될 수 있다.
일부 구현예에서, 침대 시스템은 매트리스 커버, 헤드 섹션 및 풋 섹션을 갖는 매트리스를 더 포함할 수 있고,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자석에 의해 매트리스 커버의 측면에 유지될 수 있다. 매트리스 커버는 매트리스 커버의 내부에 봉합된 직물을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직물은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자석이 철 금속에 부착될 수 있도록 직물과 매트리스 커버의 내부 사이에 배치된 철 금속을 가질 수 있다.
다른 구현예에서, 침대 시스템은 조정식 파운데이션의 헤드 섹션 및 풋 섹션을 상승 및 하강시키도록 작동 시스템에 신호를 보내는 수단을 갖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조정식 파운데이션에 연결하기 위한 수단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외부 침대 위치 컨트롤러를 갖는 침대 시스템의 일부 실시예는 몇 가지 장점을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외부 침대 위치 컨트롤러는 사용자가 파운데이션을 선호 위치로 조정하는 것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리모컨 및/또는 모바일 애플리케이션은 파운데이션이 미리 설정된 위치로 이동되게 할 수 있지만, 본 명세서에 설명된 외부 컨트롤러는 사용자가 파운데이션의 일부(예컨대, 헤드 섹션, 풋 섹션)를 반드시 미리 설정된 위치가 아닌 임의의 선호 위치로 이동시키도록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컨트롤러 상의 조정 바를 상승 및/또는 하강시켜 파운데이션의 해당 헤드 섹션 또는 풋 섹션을 상승 및/또는 하강시킬 수 있다. 사용자가 조정 바를 상승 또는 하강시킴에 따라, 파운데이션의 해당 섹션이 이동되므로 조정 바의 이동이 파운데이션의 이동을 모방하거나 복제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헤드 섹션 및 풋 섹션 각각을 원하는 임의의 위치로 상승 또는 하강시킬 수 있다. 또한, 사용자는 컨트롤러 상의 하나 이상의 버튼을 눌러 파운데이션을 플랫 위치 또는 선호 위치와 같은 미리 설정된 위치로 이동시킬 수 있다.
본 명세서에 설명된 침대 시스템은 또한 조정식 파운데이션을 더 간단하고 빠르고 쉽게 작동시킬 수 있다. 컨트롤러는 파운데이션에 영구적으로(또는 반영구적으로) 부착될 수 있거나, 또는 대안적으로 파운데이션에 이동 가능하게 부착될 수 있다. 컨트롤러가 파운데이션의 측면을 따라 배치 및 이동될 수 있는 실시예에서, 사용자는 컨트롤러를 사용자가 접근하기 가장 용이하고 편안한 파운데이션 측면의 위치로 이동시킬 수 있다. 용이한 접근으로 인해, 사용자는 파운데이션을 조정하기 위해 컨트롤러를 찾는 데 시간을 낭비할 필요가 없다. 리모컨을 사용하여 파운데이션을 조정할 때, 사용자는 리모컨을 찾은 다음 리모컨 상의 버튼을 선택하는 것이 필요하다. 즉, 사용자는 리모컨을 찾고 리모컨 상의 각 버튼에 대한 기능을 검토 및/또는 재현하는 데 추가적인 시간을 소비하게 된다. 또한, 모바일 애플리케이션을 사용하여 파운데이션을 조정하기 위해, 사용자는 애플리케이션이 설치된 모바일 장치를 찾고, 장치 상의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탐색하여 애플리케이션을 연 다음, 애플리케이션 자체를 탐색하여 파운데이션을 적절하게 조정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파운데이션을 조정하기도 전에 추가적인 시간을 소비하게 된다.
반면에 개시된 컨트롤러는 파운데이션의 조정을 더 직관적이고 빠르고 용이하게 할 수 있다. 사용자는 사용자가 컨트롤러를 배치한 파운데이션의 측면으로 아래로 팔을 뻗기만 하면 된다. 그런 다음, 사용자는 조정 바의 일부를 상승 또는 하강시켜 파운데이션의 해당 부분을 상승 또는 하강시킬 수 있다. 개시된 컨트롤러의 작동은 리모컨 및/또는 모바일 애플리케이션을 작동시키는 것보다 더 빠를 수 있다. 또한, 개시된 컨트롤러의 작동은 단순화될 수 있으며, 이는 리모컨 및/또는 모바일 애플리케이션 또는 모바일 장치에 대한 경험이 많지 않은 사용자에게 유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노인 사용자는 노인 사용자가 파운데이션의 일부를 이동시키기 원하는 방향으로 조정 바를 이동시키기만 하면 되기 때문에 개시된 컨트롤러를 사용하여 파운데이션을 보다 쉽게 조정할 수 있다. 노인 사용자는 파운데이션을 조정하기 위해 다른 사람에게 의존할 필요가 없을 뿐만 아니라, 노인 사용자가 파운데이션을 조정하기 위해 리모컨 또는 모바일 애플리케이션을 사용하는 방법을 배울 필요도 없다.
언급된 바와 같이, 개시된 컨트롤러의 설계는 직관적일 수 있으며, 이는 이러한 컨트롤러의 작동을 용이하게 한다. 조정 바의 일부를 상승 또는 하강시키는 것은 파운데이션의 헤드 섹션 및/또는 풋 섹션을 상승 또는 하강시키는 것을 모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파운데이션의 풋 섹션을 하강시키고자 하는 경우, 사용자는 파운데이션의 풋 섹션에 대응하는 조정 바의 부분을 아래로 밀거나 하강시키기만 하면 된다. 이 설계는 리모컨 및/또는 모바일 애플리케이션과 관련된 새로운 제어를 학습하는 데 어려움을 겪을 수 있는 노인을 포함한 다양한 사용자에게 유리할 수 있다. 개시된 컨트롤러의 설계를 통해 사용자는 직관적으로 조정 바를 사용하여 파운데이션에서 원하는 동작을 재현할 수 있다.
또한, 컨트롤러 상의 조정 바의 일부를 파운데이션의 해당 헤드 섹션 및 풋 섹션에 인접하게 배치하는 것은 이러한 컨트롤러의 직관적인 사용을 개선하는 데 유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파운데이션의 헤드 섹션에 대응하는 조정 바의 일부는 파운데이션의 헤드 섹션에 더 가깝게 배치/위치될 수 있고, 파운데이션의 풋 섹션에 대응하는 조정 바의 일부는 파운데이션의 풋 섹션에 더 가깝게 배치/위치될 수 있다. 조정 바의 이러한 부분의 위치로 인해, 사용자는 컨트롤러를 보지 않고도 해당 헤드 섹션 및 풋 섹션을 조정할 수 있으며, 사용자는 가장 가까운 부분이 파운데이션의 헤드 섹션과 연관될 수 있고 가장 먼 부분이 파운데이션의 풋 섹션과 연관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다.
언급된 바와 같이, 컨트롤러는 사용자에 의해 파운데이션의 측면을 따라 다른 위치로 이동될 수도 있다. 사용자는 도달하기 쉽고 편안하도록 리모컨의 선호 위치를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키가 작은 사용자는 컨트롤러를 파운데이션의 헤드 섹션에 가장 가깝게 배치하는 것을 선호하고, 키가 큰 사용자는 컨트롤러를 파운데이션의 중간에 더 가깝게 배치하는 것을 선호할 수 있다.
조정 바는 파운데이션 근처에 있는 사람, 물체 및/또는 가구에 의해 실수로 바가 작동되지 않도록 컨트롤러 내에 오목하게 배치될 수 있다. 이 구성은 사용자가 원하지 않는 위치로 파운데이션이 실수로 조정되는 것을 방지하는 데 유리할 수 있다. 하나 이상의 추가 버튼, 스위치 및/또는 바를 컨트롤러 내에 오목하게 배치하여 유사한 장점을 얻을 수도 있다.
추가적으로 및/또는 대안적으로, 조정 바는 컨트롤러 내 오목하게 배치될 수 있기 때문에, 바는 파운데이션의 측면으로부터 돌출되지 않을 수 있다. 결국, 조정 바와 컨트롤러 자체는 가구 또는 다른 물체(예를 들어, 목재 또는 다른 재료로 제작된 장식용 침대 프레임의 측면 레일)가 파운데이션의 측면 주변이나 근처에 배치되는 것을 방해하지 않을 수 있다. 컨트롤러는 낮은 프로파일을 유지하여 방해 또는 장애를 유발하지 않을 수 있다. 이것은 실내의 가구 배치에 유리할 뿐만 아니라 침대 시스템의 미적 외관을 유지하는 데에도 유리할 수 있다.
컨트롤러 자체는 파운데이션의 측면으로부터 돌출되지 않거나 아주 조금만 돌출되도록 파운데이션 측면과 수평을 유지하도록 설계될 수도 있다. 따라서, 컨트롤러는 방해 또는 장애를 유발하지 않을 수 있거나, 침대 시스템의 미적 외관을 손상시키지 않을 수 있다.
매트리스는 또한 컨트롤러의 베이스가 해당 영역에 용이하게 결합될 수 있도록 매트리스 하부에 컷-아웃 영역 또는 리세스를 포함할 수 있다. 그 결과, 매트리스는 컨트롤러의 베이스 위로 평탄화되고 컨트롤러를 제자리에 고정할 수 있다. 이 구성은 매트리스가 파운데이션의 상부와 동일 평면 상에 있는 매끄럽고 균일한 프로파일을 확실히 유지하도록 하는 데에도 유리할 수 있다. 즉, 컨트롤러의 베이스가 파운데이션과 매트리스 사이에 삽입되는 위치 위에 매트리스의 범프 또는 요철이 없을 수 있다.
추가적으로 및/또는 대안적으로, 컨트롤러는 자석을 통해 파운데이션 측면에 부착될 수 있으며, 자석은 컨트롤러의 부착을 용이하게 하고 파운데이션의 측면을 따라 컨트롤러를 선호 위치로 이동시키는 것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따라서, 매트리스와 파운데이션 사이에 컨트롤러의 베이스를 배치하기 위해 매트리스의 일부를 제거할 필요가 없을 수 있다. 즉, 컨트롤러를 수용하기 위해 매트리스를 변형할 필요가 없을 수 있다. 또한, 자석 컨트롤러는 또한 매트리스의 매트리스 커버와 수평으로 배치될 수 있으므로 낮은 프로파일을 유지하고 실내 환경에서 눈에 거슬리지 않을 수 있다. 자석 컨트롤러는 컨트롤러가 보이지 않지만 사용자가 쉽게 찾아 파운데이션을 조정할 수 있도록 매트리스 커버의 안쪽에 배치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매트리스 커버를 통해 컨트롤러의 버튼, 바 또는 스위치를 느낄 수 있으며, 사용자는 이후 그에 따라 작동할 수 있다.
이들 및 다른 실시예들은 각각 선택적으로 아래에 설명된 특징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기술된 주제의 특정 실시예는 본 명세서에 기술된 장점 중 하나 또는 그 이상을 실현하거나 아무 것도 실현하지 않도록 구현될 수 있다.
하나 이상의 실시예에 대한 상세는 첨부된 도면과 아래 설명에 설명되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 목적 및 장점은 설명과 도면 및 청구범위로부터 분명해질 것이다.
도 1a-도 1b는 파운데이션, 매트리스 및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갖는 침대 시스템의 실시예를 도시한다.
도 1c는 복수의 스위치를 구비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일 실시예의 개략도이다.
도 2a-도 2b는 도 1의 침대 시스템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다.
도 3a-도 3b는 도 1의 침대 시스템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다.
도 4a-도 4b는 도 1의 침대 시스템이 하강된 위치에 있을 때의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다.
도 4c-도 4d는 도 1의 침대 시스템이 작동될 때의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다.
도 5a-도 5b는 도 1의 침대 시스템의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일 실시예의 개략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6은 도 1의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도 1의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다.
도 8은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다.
도 9는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다.
도 10a-도 10d는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다.
도 11a-도 11f는 2명의 취침자용 파운데이션, 매트리스 및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포함하는 침대 시스템의 실시예를 도시한다.
일반적으로, 본 개시 내용은 조정식 파운데이션, 조정식 파운데이션 상에 배치된 매트리스, 및 외부 침대 위치 컨트롤러를 설명한다. 컨트롤러는 파운데이션의 측면 및/또는 파운데이션의 데크 상에 장착될 수 있다. 컨트롤러는 리모컨이나 모바일 애플리케이션 대신 사용하여 조정식 파운데이션의 일부를 선택적으로 조정할 수 있다. 컨트롤러는 조정식 파운데이션 제어 시스템(예를 들어, 작동 또는 관절 시스템)에 통신 연결할 수 있다(예를 들어, 유선, WIFI 등에 의해).
도면을 참조하면, 도 1a-도 1b는 파운데이션(104), 매트리스(102) 및 사용자 인터페이스(예컨대, 외부 침대 위치 컨트롤러)를 구비하는 침대 시스템(100)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다. 도 1c는 복수의 스위치(118A, 118B, 120A, 120B, 124A 및 124B)를 갖는 사용자 인터페이스(106)의 일 실시예의 개략도이다. 도 1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파운데이션(104)은 침대 시스템(100)의 헤드 및 풋 섹션을 상승 및 하강시키는 조정식 파운데이션일 수 있다. 파운데이션(104)은 파운데이션(104)의 측면에 배치된 사용자 인터페이스(106)를 포함한다. 파운데이션(104)은 사용자 인터페이스(106)에서 수신된 입력 신호에 응답하여 파운데이션(104)의 여러 부분을 상승 및 하강하도록 구성된 컨트롤러(114) 및 하나 이상의 액추에이터(116)를 갖는 관절 시스템(예컨대, 작동 시스템)을 더 포함한다.
도 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 인터페이스(106)의 일 실시예는 조정 바(108) 및 버튼(110A 및 110B)을 포함한다. 조정 바(108)는 침대 시스템(100)의 헤드 및 풋 부분(예컨대, 섹션)을 상승 및 하강시키는 데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파운데이션(104)의 헤드 섹션을 상승시키기 위해 파운데이션(104)의 헤드 섹션에 가장 가까운 조정 바(108)의 일부를 상승시킬 수 있다. 사용자는 파운데이션(104)의 헤드 섹션을 하강시키기 위해 파운데이션(104)의 헤드 섹션에 가장 가까운 조정 바(108)의 일부를 하강시킬 수 있다. 마찬가지로, 사용자는 파운데이션(104)의 풋 섹션에 가장 가까운 바(108)의 일부를 상승시켜 해당 풋 섹션을 상승시킬 수 있다. 사용자는 파운데이션(104)의 풋 섹션에 가장 가까운 바(108)의 부분을 하강시켜 해당 풋 섹션을 하강시킬 수 있다. 조정 바(108)의 배열은 바(108)의 여러 부분이 작동하는 파운데이션(104)의 섹션에 인접하게 위치되기 때문에 직관적일 수 있다. 또한, 조정 바(108)의 일부를 상승 또는 하강시키는 것은 파운데이션(104)의 여러 부분의 실제 상승 또는 하강을 모방할 수 있으므로, 조정 바(108)를 보다 직관적이고 쉽게 사용할 수 있다. 사용자는 조정 바(108)의 일부를 상승 또는 하강시킴으로써 파운데이션(104)의 헤드 또는 풋 섹션을 선택적으로 상승 또는 하강시킬 수 있다. 다른 예에서, 사용자는 전체 조정 바(108)를 상승 또는 하강시킴으로써 헤드 및 풋 섹션을 동시에 상승 또는 하강시킬 수 있다.
버튼(110A 및 110B)은 침대 시스템(100)을 하나 이상의 사전 설정 위치로 조정하도록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버튼(110A)은 파운데이션(104)을 휴식 또는 플랫 위치로 조정하기 위해 누를 수 있다. 버튼(110B)은 파운데이션을 사용자가 선호하는 사전 설정된 위치로 조정하도록 누를 수 있다. 다른 구현예에서, 버튼(110A 및/또는 110B)은 침대 시스템(100) 및/또는 주변 장치의 추가 작동을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버튼(110A 및/또는 110B)은 TV 또는 조명과 같은 장치에 통신 연결될 수 있다(예컨대, 유선 및/또는 무선). 버튼(110A 및/또는 110B)을 누르면, 이러한 장치가 켜지거나 꺼질 수 있다. 다른 예로서, 버튼(110A 및/또는 110B)을 누르면, 침대 시스템(100)에서 마사지 기능이 작동될 수 있다.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사용자 인터페이스(106)는 추가의 버튼 및/또는 더 적은 수의 버튼을 포함할 수 있다.
일부 구현예(미도시)에서, 사용자 인터페이스(106)는 침대 시스템(100)의 가구, 가구 서라운드, 가구의 사이드 레일 및/또는 헤드보드에 통합, 내장, 또는 달리 부착될 수 있다. 다른 구현예에서, 조정 바(108)는 침대 시스템(100)의 가구, 가구 서라운드, 사이드 레일 및/또는 헤드보드에 부착될 수 있다. 설명된 바와 같이 사용자 인터페이스(106) 및/또는 조정 바(108)의 통합 또는 부착은 (ⅰ) 자석 부착, (ⅱ) 가구, 서라운드, 사이드 레일 및/또는 헤드보드의 속이 빈 공간, (ⅲ) 스냅 특징부 및/또는 다른 적절한 부착 또는 통합 방법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c는 복수의 스위치(118A, 118B, 120A, 120B, 124A 및 124B)를 갖는 사용자 인터페이스(106)의 일 실시예의 개략도이다. 예시된 실시예에서, 조정 바(108)는 커넥터(122)를 통해 스위치(118A 및 118B)에 연결되고, 커넥터(123)를 통해 스위치(120A 및 120B)에 연결된다. 스위치(118A 및 120A)는 각각 파운데이션(104)의 헤드 및 풋 섹션을 상승시키도록 구성된 업 스위치일 수 있다. 스위치(118B 및 120B)는 각각 파운데이션(104)의 헤드 및 풋 섹션을 하강시키도록 구성된 다운 스위치일 수 있다.
스위치(118A)의 작동은 파운데이션(104)의 풋 섹션을 상승시키고, 스위치(118B)의 작동은 파운데이션(104)의 풋 섹션을 하강시킨다. 스위치(120A)의 작동은 파운데이션(104)의 헤드 섹션을 상승시키고, 스위치(120B)의 작동은 파운데이션(104)의 헤드 섹션을 하강시킨다. 즉, 스위치(118A, 118B, 120A 및 120B)의 작동은 관절 시스템(112)에 파운데이션(104)의 섹션을 상승 또는 하강시키도록 신호를 보낸다. 따라서, 스위치(118A, 118B, 120A 및 210B)는 관절 시스템(112)에 통신 연결될 수 있다(예를 들어, 유선 또는 무선). 따라서, 조정 바(108)의 풋 단부(126)를 아래로 누르면 스위치(118B)가 작동하여 파운데이션(106)의 풋 섹션의 하강으로 이어진다. 조정 바(108)의 풋 단부(126)를 위로 누르면 스위치(118A)가 작동하여 파운데이션(106)의 풋 섹션의 상승으로 이어진다. 조정 바(108)의 헤드 단부(128)를 아래로 누르면 스위치(120B)가 작동하여 파운데이션(106)의 헤드 섹션의 하강으로 이어진다. 조정 바(108)의 헤드 단부(128)를 위로 누르면 스위치(120A)가 작동하여 파운데이션(106)의 헤드 섹션의 상승으로 이어진다. 따라서, 사용자는 침대 시스템(100)에 대해 사용자가 의도한 동작에 대응하는 방향으로 조정 바(108)의 해당 부분을 이동시키는 것에 의해 파운데이션(104)의 각 섹션을 상승 또는 하강시킬 수 있다.
도 1c는 또한 버튼(110A 및 110B)이 스위치(124A 및 124B)에 연결된 사용자 인터페이스(106)를 도시한다. 버튼(110A 및/또는 110B)을 아래로 누르면, 스위치(124A 및/또는 124B)가 각각 작동하여 본 명세서에 설명된 바와 같이 침대 시스템(100) 또는 주변 장치의 하나 이상의 동작의 제어로 이어진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버튼(110A 및 110B) 및 스위치(124A 및 124B)는 생략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더 많거나 더 적은 수의 버튼 및 스위치가 용도에 적합하도록 포함될 수 있다.
도 2a-도 2b는 도 1의 침대 시스템(100)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다. 파운데이션(104)은 침대 시스템(100)의 헤드 및 풋 부분을 상승 및 하강시키기 위한 조정식 파운데이션일 수 있다. 파운데이션(104)은 파운데이션(104)의 측면에 배치된 사용자 인터페이스(200)를 포함한다. 파운데이션(104)은 사용자 인터페이스(200)에서 수신된 입력 신호에 응답하여 파운데이션(104)의 여러 부분을 상승 및 하강시키도록 구성된 컨트롤러(114) 및 하나 이상의 액추에이터(116)를 갖는 관절 시스템(112)을 더 포함한다.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 인터페이스(200)의 일 실시예는 조정 바(202) 및 버튼(204A 및 204B)을 포함한다. 조정 바(202)는 도 1a-도 1c의 조정 바(108)와 관련하여 설명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침대 시스템(100)의 헤드 및 풋 부분을 상승 및 하강시키는 데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파운데이션(104)의 헤드 섹션을 상승시키도록 파운데이션(104)의 헤드 섹션에 가장 가까운 조정 바(202)의 일부를 상승시킬 수 있다. 사용자는 파운데이션(104)의 헤드 섹션을 하강시키도록 파운데이션(104)의 헤드 섹션에 가장 가까운 조정 바(202)의 일부를 하강시킬 수 있다. 마찬가지로, 사용자는 파운데이션(104)의 풋 섹션에 가장 가까운 바(202)의 일부를 상승시켜 풋 섹션을 상승시킬 수 있다. 사용자는 파운데이션(104)의 풋 섹션에 가장 가까운 바(202)의 부분을 하강시켜 풋 섹션을 하강시킬 수 있다. 도 1a-도 1c의 조정 바(108)와 관련하여 설명한 바와 같이, 조정 바(202)의 동작이 파운데이션(104)의 헤드 및 풋 섹션의 실제 의도된 동작을 모방하기 때문에, 조정 바(202)는 침대 시스템(100)을 직관적이고 쉽게 조정하도록 할 수 있다.
조정 바(108)와는 달리, 조정 바(202)는 사용자가 쉽게 찾고 잡을 수 있도록 상향 또는 하향으로 경사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상향 경사진 조정 바(202)의 일부는 파운데이션(104)의 헤드 섹션에 대응하거나 이를 모방할 수 있고, 하향 경사진 조정 바(202)의 일부는 파운데이션(104)의 풋 섹션에 대응하거나 이를 모방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가 조정 바(202)를 잡을 때, 사용자는 바(202)의 상향 경사부가 파운데이션(104)의 헤드 섹션에 대응하고, 바(202)의 하향 경사부가 파운데이션(104)의 풋 섹션에 대응한다는 것을 직관적으로 인식할 수 있다. 이것은 사용자는 사용자 인터페이스(200)를 보거나 사용자 인터페이스(200)의 사용 방법을 배우지 않고도 침대 시스템(100)의 조정을 더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또한,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 인터페이스(200)의 상부는 조정 바(202)의 경사에 대응하도록 경사진다. 이러한 설계는 인체공학적이고 심미적으로 보기 좋은 구성이 될 수 있다.
버튼(204A 및 204B)은 도 1a-도 1c를 참조로 설명된 바와 같이, 침대 시스템(100)을 사전 설정된 위치로 조정하는 것을 제공할 수 있다. 버튼(204A 및/또는 204B)은 또한 본 명세서에 설명된 바와 같이, 침대 시스템(100) 및/또는 주변 장치의 추가적인 작동을 제공할 수 있다.
사용자 인터페이스(200)는 도 1c를 참조로 설명된 바와 같이 복수의 스위치를 가질 수 있다. 조정 바(202)는 하나 이상의 커넥터를 통해 하나 이상의 스위치(예를 들어, 파운데이션(104)의 헤드 섹션에 대응하는 업 다운 스위치 및 파운데이션(104)의 풋 섹션에 대응하는 업 다운 스위치)에 연결될 수 있다. 버튼(204A 및 204B)은 또한 스위치에 연결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버튼(204A 및 204B) 및 대응하는 스위치는 생략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더 많거나 더 적은 수의 버튼 및 스위치가 용도에 적합하도록 포함될 수 있다.
도 3a-도 3b는 도 1의 침대 시스템(100)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다. 파운데이션(104)은 침대 시스템(100)의 헤드 및 풋 부분을 상승 및 하강시키기 위한 조정식 파운데이션일 수 있다. 파운데이션(104)은 파운데이션(104)의 측면에 배치된 사용자 인터페이스(300)를 포함한다. 파운데이션(104)은 사용자 인터페이스(300)에서 수신된 입력 신호에 응답하여 파운데이션(104)의 여러 부분을 상승 및 하강시키도록 구성되는 컨트롤러(114) 및 하나 이상의 액추에이터(116)를 갖는 관절 시스템(112)을 더 포함한다.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 인터페이스(300)의 일 실시예는 도 1-도 2를 참조로 설명된 바와 같이 조정 바(302) 및 버튼(304A 및 304B)을 포함한다. 사용자 인터페이스(106 및 200)와는 달리, 사용자 인터페이스(300)는 크기 또는 높이가 더 작을 수 있고, 따라서 더 작은 프로파일을 가질 수 있다. 사용자 인터페이스(300)의 더 작은 크기는 낮은 프로파일 또는 더 얇은 매트리스(102)를 갖는 침대 시스템에 유리할 수 있다. 반면에, 매트리스(102)가 더 두껍거나 더 큰 프로파일을 갖는 경우, 사용자 인터페이스(106)가 더 큰 높이 또는 더 큰 크기를 갖기 때문에, 도 1a-도 1c의 사용자 인터페이스(106)가 선호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 인터페이스(106)가 사용자 인터페이스(300)보다 더 큰 높이를 가지므로, 사용자 인터페이스(106)는 더 두꺼운 매트리스를 보상한다. 따라서, 인터페이스(106)의 조정 바(108)는 사용자가 조정 바(108)를 편안하게 잡을 수 있도록 파운데이션(104)의 측면을 따라 더 높게 배치된다. 다른 예로서, 팔이 긴 사용자는 높이 또는 크기가 더 작은 사용자 인터페이스(300)에 팔을 뻗는 것이 더 편안할 수 있기 때문에 사용자 인터페이스(300)를 선호할 수 있다. 반면에, 팔이 짧은 사용자는 팔을 뻗어 사용자 인터페이스(300)의 조정 바(302) 및 버튼(304A 및 304B)에 도달할 수 없기 때문에 사용자 인터페이스(106)를 선호할 수 있다. 다양한 크기의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사용자가 개인적 선호도에 따라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선택하고 원하는 침대 시스템과 함께 사용할 수 있기 때문에 유리할 수 있다. 사용자가 어떤 크기의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선택하고, 선택한 사용자 인터페이스가 어떤 침대 시스템에 부착되거나 추가되더라도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기능은 손상되지 않는다.
버튼(304A 및 304B)은 도 1-도 2를 참조로 설명된 바와 같이, 침대 시스템(100)을 사전 설정된 위치로 조정하는 것을 제공할 수 있다. 버튼(304A 및/또는 304B)은 또한 본 명세서에 설명된 바와 같이, 침대 시스템(100) 및/또는 주변 장치의 추가 작동을 제공할 수 있다.
사용자 인터페이스(300)는 도 1-도 2를 참조로 설명된 바와 같이 복수의 스위치를 가질 수 있다. 조정 바(302)는 하나 이상의 커넥터를 통해 하나 이상의 스위치에 연결될 수 있다. 버튼(304A 및 304B)은 또한 하나 이상의 스위치에 연결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버튼(304A 및 304B) 및 대응하는 스위치는 생략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더 많거나 더 적은 수의 버튼 및 스위치가 용도에 적합하도록 포함될 수 있다.
도 4a-도 4b는 도 1의 침대 시스템(100)이 하강 위치 또는 플랫 위치에 있을 때의 사용자 인터페이스(406)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다.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 인터페이스(406)는 파운데이션(104)의 측면을 따라 배치된다. 사용자 인터페이스(406)는 사용자 인터페이스(406)의 후면에서 돌출되는 베이스(408, 예컨대, 브래킷)를 갖는다. 일부 실시예에서, 베이스(408)는 파운데이션(104)의 상부와 매트리스(102)의 하부 사이에 활주되거나 배치된다. 결국, 사용자 인터페이스(406)는 매트리스(102)와 파운데이션(104) 사이에 제자리에 유지될 수 있다. 사용자 인터페이스(406)는 파운데이션(104)의 측면과 수평으로 위치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은 사용자가 파운데이션(104), 매트리스(102) 및/또는 침대 시스템(100) 옆에 배치된 가구의 측면을 따라 걸을 때 인터페이스(406)가 장애를 야기할 가능성을 줄이는 데 유리할 수 있다.
또한, 매트리스(102)는 사용자 인터페이스(406)의 베이스(408)를 수용하도록 형상화될 수 있다. 일부 예시적인 매트리스는 매트리스의 폼 또는 기타 재료가 제거되어 베이스(408)를 수용하기 위한 리세스를 형성하는 매트리스 하부에 컷-아웃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이것은 베이스(408) 위로 넘어가는 매트리스의 일부가 매트리스의 나머지 부분과 비교하여 튀어나오거나 울퉁불퉁하지 않게 보장할 수 있다. 컷-아웃 영역을 포함하면, 사용자가 컷-아웃 영역이 베이스(408)와 정렬되도록 매트리스를 파운데이션(104) 상에 배치하는 데 도움이 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매트리스의 하부는 베이스(408)가 매트리스(102)와 파운데이션(104) 사이에 배치되고 고정될 수 있는 위치를 나타내는 표시기 또는 일부 형태의 기호(예컨대, 화살표, 스티칭 등)를 포함할 수 있다. 또 다른 예에서, 베이스(408)는 사용자가 선호하는 매트리스(102)와 파운데이션(104) 사이의 임의의(또는 거의 임의의) 위치에서 매트리스(102)의 측면을 따라 배치될 수 있다. 비교적 짧거나 낮은 베이스(408)의 프로파일을 사용함으로써, 사용자가 선호하는 임의의 위치에 베이스(408)를 배치하더라도 베이스(408) 위의 매트리스의 일부가 울퉁불퉁하게 되지 않을 수 있다.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 인터페이스(406)는 조정 바(410A 및 410B)가 사용자 인터페이스(406)에 연결되는 리세스 영역(407)을 갖는다. 리세스 영역(407)은 조정 바(410A 및 410B)가 사용자 또는 침대 시스템(100) 근처에 배치된 가구에 의해 실수로 부딪히거나 이동될 가능성을 줄이는 데 유리할 수 있다. 각각의 조정 바(410A 및 410B)는 도 1a-도 1c의 조정 바(108)와 관련하여 설명된 바와 같이 상승 및 하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조정 바(410A)는 파운데이션(104)의 해당 풋 섹션을 상승 또는 하강시키도록 관절 시스템에 신호를 보내기 위해 상승 또는 하강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조정 바(410B)는 파운데이션(104)의 해당 헤드 섹션을 상승 또는 하강시키도록 관절 시스템에 신호를 보내기 위해 상승 또는 하강될 수 있다. 조정 바(410A)는 파운데이션(104)의 풋 섹션에 더 가깝게 위치될 수 있고, 조정 바(410B)는 파운데이션(104)의 헤드 섹션에 더 가깝게 위치되어 직관적인 작동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사용자 인터페이스(406)는 또한 본 개시 내용의 전반에 걸쳐 설명된 바와 같이 버튼(412A 및 412B)을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 인터페이스(406)는 또한 도 1-도 3을 참조로 설명된 바와 같이 복수의 스위치를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조정 바(410A)는 커넥터를 통해 제1 및 제2 스위치에 연결될 수 있다. 바(410A)를 상승시키면 제1 스위치가 작동될 수 있고, 이는 다시 관절 시스템에 신호를 보내 파운데이션(104)의 풋 섹션을 상승시키도록 할 수 있다. 바(410A)를 하강시키면 제2 스위치가 작동될 수 있고, 이는 다시 관절 시스템에 신호를 보내 파운데이션(104)의 풋 섹션을 하강시키도록 할 수 있다. 조정 바(410B)는 커넥터를 통해 제3 및 제4 스위치에 연결될 수 있다. 바(410B)를 사승시키면 제3 스위치가 작동될 수 있고, 이는 다시 관절 시스템에 신호를 보내 파운데이션(104)의 헤드 섹션을 상승시키도록 할 수 있다. 바(410B)를 하강시키면 제4 스위치가 작동될 수 있고, 이는 다시 관절 시스템에 신호를 보내 파운데이션(104)의 헤드 섹션을 하강시키도록 할 수 있다. 버튼(412A 및 412B)은 또한 하나 이상의 스위치에 연결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버튼(412A 및 421B) 및 대응하는 스위치는 생략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더 많거나 더 적은 수의 버튼 및 스위치가 용도에 적합하도록 포함될 수 있다.
도 4c-도 4d는 도 1의 침대 시스템(100)이 작동될 때의 사용자 인터페이스(406)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다. 사용자 인터페이스(406)를 사용하여 파운데이션(104)의 헤드 및 풋 섹션을 상승시키면, 매트리스(102)의 해당 부분도 상승될 수 있다. 또한, 침대 시스템(100)이 작동되는 경우에도, 사용자 인터페이스(406)는 파운데이션(104)의 측면에 대하여 고정된 상태로 유지될 수 있다. 인터페이스(406)는 또한 파운데이션(104) 또는 매트리스(102)의 이동을 방해하지 않는다. 인터페이스(406)는 사용자가 쉽게 찾아서 파운데이션(104)을 조정할 수 있도록 동일한 위치에 유지될 수 있다. 인터페이스(406)는 파운데이션(102)의 헤드 또는 풋 섹션의 위치에 관계없이 직관적으로 계속 사용될 수 있다.
도 5a-도 5b는 도 1의 침대 시스템(100)의 사용자 인터페이스(508)의 일 실시예의 개략도를 도시한 것이다. 침대 시스템(100)은 조정식 파운데이션(104) 상부에 배치된 매트리스(102)를 포함한다. 조정식 파운데이션(104)은 헤드 섹션(506A)(헤드 패널 포함) 및 풋 섹션(506B)(풋 패널 포함)을 포함한다. 이들 섹션(506A 및 506B) 각각은 본 명세서에 기술된 바와 같은 관절 시스템에 의해 작동(예컨대, 상승 및 하강)될 수 있다. 사용자 인터페이스(508)는 조정 바(510)를 포함한다(예컨대, 도 1-도 3 참조). 사용자 인터페이스(508)는 사용자가 선호 위치 또는 고정된 위치에서 파운데이션(104)의 측면에 부착될 수 있다. 전체적으로 설명된 바와 같이, 사용자 인터페이스(508)는 사용자가 인터페이스(508)의 조정 바(510)를 상승 또는 하강시킴으로써 파운데이션(104)을 조정할 수 있도록 관절 시스템에 통신 연결될 수 있다.
도 5a에서, 헤드 섹션(506A)이 상승되고 풋 섹션(506B)도 상승된다. 조정 바(510)는 도 5a에서 헤드 섹션(506A)을 상승시키기 위한 위치에 도시되어 있다. 즉, 헤드 섹션(506A)에 가장 가까운 조정 바(510)의 일부는 헤드 섹션(506A)을 조정하는 것에 해당하며, 헤드 섹션(506A)과 마찬가지로 경사져 있다. 사용자는 헤드 섹션(506A)을 상승시키기 위해 헤드 섹션(506A)에 가장 가까운 바(510)의 부분을 상승시킬 수 있다. 바(510)의 해당 부분의 움직임은 헤드 섹션(506A)의 움직임과 유사하다. 도 5b에서, 헤드 섹션(506A)은 상승된 헤드 섹션(506B)에 대해 플랫 위치에 있다. 헤드 섹션(506A)에 가장 가까운 조정 바(510)의 부분은 헤드 섹션(506A)을 하강시키는 데 도움이 되는 위치에서 하향 경사져 있다. 사용자는 헤드 섹션(506A)을 하강시키기 위해 헤드 섹션(506A)에 가장 가까운 바(510)의 부분을 하강시킬 수 있다. 따라서, 바(510)의 해당 부분의 움직임은 헤드 섹션(506A)의 움직임과 유사하다. 따라서, 도 5a-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조정 바(510)는 바(510)의 어느 한 부분을 상승 또는 하강시키면 해당 섹션(506A 또는 506B)을 상승 또는 하강시키도록 바(510)의 중앙에 피봇을 구비한다.
도 6은 도 1의 사용자 인터페이스(406)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다. 도 4a-도 4d를 참조로 설명된 바와 같이, 사용자 인터페이스(406)는 조정 바(410A 및 410B)를 포함한다. 바(410A 및 410B)는 사용자 인터페이스(406)의 리세스 영역(407)에 위치된다. 인터페이스(406)는 버튼(412A 및 412B)을 더 포함한다. 도 1c를 참조로 설명된 바와 같이, 사용자 인터페이스(406)는 바(410A 및 410B) 및/또는 버튼(412A 및 412B)에 연결된 복수의 스위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바(410A 및 410B)를 상승 또는 하강시키고 버튼(412A 및 412B)을 누르면 복수의 스위치 중 적어도 하나가 작동될 수 있고, 이는 다시 관절 시스템에 신호를 보내 그에 따라 침대 시스템(100)을 조정하도록 할 수 있다.
버튼(412A 및 412B)은 조정식 파운데이션 또는 침대 시스템의 다양한 작동을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버튼(412A 및 412B)은 전체 파운데이션을 상승 또는 하강시키고, 매트리스의 단단함을 변경시키고, 선호 위치/사전 설정 위치로 조정하고, 플랫 위치로 재설정하고, 마사지 기능을 작동시키고, 요추 지지를 작동시키고, 하나 이상의 주변 장치(예를 들어, 조명, TV, 알람 등)를 제어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사용자는 버튼(412A 및 412B) 기능을 구성할 수 있다.
사용자 인터페이스(406)는 본 명세서에 설명된 바와 같이, 파운데이션의 관절 시스템에 통신 연결될 수 있다(예컨대, 유선, 무선). 그 결과, 예를 들어, 사용자가 조정 바(410A)를 누를 때, 복수의 스위치 중 하나의 스위치가 작동되어, 파운데이션의 풋 섹션을 하강시키는 신호가 관절 시스템으로 전달되게 한다. 마찬가지로, 사용자가 버튼(412A 및 412B) 중 하나 이상을 누르면, 복수의 스위치 중 스위치가 작동되어 버튼(412A 또는 412B) 누름과 관련된 동작을 수행하도록 신호가 관절 시스템(또는 주변 장치)으로 전달되게 한다.
인터페이스(406)는 베이스(408, 예컨대, 브래킷)를 가지며, 베이스는 매트리스와 파운데이션 사이에 삽입되어 사용자 인터페이스(406)를 파운데이션의 측면과 같은 높이 또는 그 근처에 유지할 수 있다. 베이스(408)는 나사, 볼트 또는 다른 적절한 패스너와 같은 패스너를 수용하여 베이스(408)를 파운데이션의 상부에 고정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예를 들어, 4개의) 패스너 구멍(610A-N)을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예에서, 패스너 구멍(610A-N)은 포함될 필요가 없다. 대신, 베이스(408)는 베이스(408) 상부의 매트리스의 중량에 따라 매트리스와 파운데이션 사이의 위치에 유지될 수 있다. 결국, 사용자 인터페이스(406)는 파운데이션의 측면을 따라 사용자가 선호 위치로 비교적 쉽게 이동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베이스(408)는 사용자 인터페이스(406)와 함께 사용하도록 특별히 설계되지 않은 침대 시스템에 사용자 인터페이스(406)를 부착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즉, 사용자 인터페이스(406)는 하나 이상의 침대 시스템에 대한 부가적인 부착물일 수 있다. 베이스(408)는 다양한 크기의 매트리스와 파운데이션 사이에 장착되어 다양한 다른 침대 시스템(예를 들어, 킹, 퀸, 풀 사이즈)의 작동을 제어할 수 있다. 베이스(408)는 또한 사용자 인터페이스(406)를 파운데이션의 측면 및 매트리스 근처에 유지하여 인터페이스(406)의 사용이 다른 가구에 의해 덜 방해를 받도록 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 인터페이스(406)와 함께 파운데이션은 장식용 침대 프레임과 같은 사용자의 가구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장식용 침대 프레임은 파운데이션 측면에 더 낮게 배치된 제어 장치에 대한 액세스를 방해할 수 있지만 매트리스의 측면에 인접하여 더 높게 배치된 사용자 인터페이스(406)에 대한 액세스를 방해하지 않는 레일 또는 기타 구조체를 가질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 인터페이스(406)가 매트리스와 기초 사이에 배치되는 베이스(408)에 의해 파운데이션의 측면에 대해 유지되는 경우, 사용자 인터페이스(406)는 사용자의 가구의 어떤 부품에 의해서도 간섭받지 않는 위치로 상승될 수 있다.
도 7은 도 1의 사용자 인터페이스(106)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다. 본 개시 내용에 걸쳐 도시되고 설명된 바와 같이, 사용자 인터페이스(106)는 적어도 하나의 조정 바(108)를 포함한다. 바(108)는 헤드 부분과 풋 부분을 모두 포함하는 단일의 강성 바일 수 있다. 일부 예에서, 바(108)는 제1 및 제2 바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들 바는 해당 제1 및 제2 바의 중앙부에 힌지 연결된다. 바(108)는 사용자 인터페이스(106)의 리세스 영역(702)에 위치될 수 있다. 또한, 인터페이스(106)는 버튼(110A 및 110B)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 인터페이스(106)는 파운데이션의 측면에 대해 인터페이스(106)를 유지하기 위한 베이스(708)를 포함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베이스(708)는 매트리스의 하부와 파운데이션의 상부 사이에 위치될 수 있다. 베이스(708)는 하나 이상의 패스너(710A-N)(예컨대, 나사)를 통해 파운데이션의 상부에 유지될 수 있다.
일부 예에서, 도 1c를 참조로 설명된 바와 같이, 인터페이스(106)는 조정 바(108) 및 버튼(110A 및 110B)의 일부에 연결되는 복수의 스위치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조정 바(108)의 일부를 상승시킴으로써, 스위치가 위로 선회될 수 있고, 이는 작동(예컨대, 관절) 시스템에 신호를 전송하여 파운데이션의 해당 부분을 상승시킬 수 있다. 조정 바(108)의 일부를 하강시킴으로써, 다른 스위치가 아래로 선회될 수 있고, 이는 작동 시스템에 신호를 전송하여 파운데이션의 해당 부분을 하강시킬 수 있다. 다른 예에서, 조정 바(108)의 각 부분은 업 다운 스위치가 아닌 양방향 순간 스위치에 연결될 수 있다. 또 다른 예에서, 조정 바(108)의 일부를 상승 또는 하강시 스위치를 작동시키는 대신, 바(108)가 회전할 수 있도록 바(108)의 중앙에 힌지를 가질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가 바의 일부를 상승시킬 때, 바(108)는 힌지에 의해 회전하여 파운데이션의 해당 섹션의 움직임을 모방하거나 유사하게 한다.
일부 실시예에서, 조정 바(108)는 파운데이션의 오직 하나의 섹션의 상승 또는 하강과 연관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조정 바(108)는 파운데이션의 헤드 섹션만 상승 또는 하강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다. 추가 바 및/또는 추가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파운데이션의 풋 섹션만을 상승 또는 하강시키는 데 사용될 수 있다. 또한, 버튼(110A 및 110B) 중 하나 이상을 사용하여 파운데이션의 헤드 섹션과 풋 섹션을 작동시키기 위한 조정 바(108)의 사용을 전환할 수 있다.
도 8은 사용자 인터페이스(800)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다. 사용자 인터페이스(800)는 하나 이상의 버튼(802, 804, 및 806)을 갖는 확장 영역(805)을 포함한다. 다른 예에서, 버튼(802, 804, 및 806)은 하나 이상의 조정 바 또는 조정 바 및 버튼의 조합일 수 있다. 확장 영역(805)은 사용자가 버튼(802, 804, 및 806)을 더 쉽게 찾아서 누를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다른 예에서, 사용자 인터페이스(800)는 확장 영역(805) 대신에 오목한 영역을 가질 수 있다. 본 명세서에 설명된 바와 같이, 사용자 인터페이스(800)는 또한 버튼(802, 804, 및 806)에 연결되는 복수의 스위치를 포함할 수 있다. 버튼(802, 804, 및 806)이 눌리면, 스위치가 활성화되어, 파운데이션의 대응하는 부분을 상승 또는 하강시키고 및/또는 침대 시스템의 다른 기능을 수행하도록 관절 시스템에 신호를 보낼 수 있다.
버튼(802)은 파운데이션의 풋 섹션의 조정을 제어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버튼(806)은 파운데이션의 헤드 섹션의 조정을 제어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버튼(804)은 파운데이션을 사전 설정 또는 선호 위치로 이동시키거나 파운데이션을 플랫 위치로 리셋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일부 예에서, 버튼(802 및 806)은 각각 2개의 스위치에 연결될 수 있다. 따라서, 예를 들어, 사용자가 버튼(802)을 위로 누르면, 업 스위치가 작동되어 파운데이션의 풋 섹션을 상승시키도록 작동 시스템에 신호를 보낸다. 사용자가 버튼(802)을 아래로 누르면, 다운 스위치가 작동되여 파운데이션의 풋 섹션을 하강시키도록 작동 시스템에 신호를 보낸다. 버튼(804)은 또한 업 다운 스위치에 연결될 수 있으므로, 버튼(804)은 이중 기능을 가질 수 있다. 또한, 일부 예에서, 버튼(804)은 파운데이션의 다른 섹션의 조정을 제어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파운데이션은 파운데이션의 헤드 및 풋 섹션과 독립적으로 작동될 수 있는 중간 또는 하부 허리 및/또는 다리 섹션(예컨대, 패널)을 가질 수 있다. 이 섹션은 버튼(804)을 사용하여 작동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버튼(802 및 806)은 파운데이션의 한 섹션만을 조정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버튼(802)은 파운데이션의 헤드 섹션을 하강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고, 버튼(806)은 파운데이션의 헤드 섹션을 상승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버튼(804)은 사용자가 매트리스의 헤드 부분과 풋 부분의 조정을 제어하는 것 사이를 전환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버튼(802 및 806)은 초기에 파운데이션의 헤드 섹션을 제어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사용자가 버튼(804)을 누르면, 버튼(802 및 806)은 파운데이션의 풋 섹션을 제어하도록 재구성될 수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 인터페이스(800)는 또한 파운데이션의 측면에 대해 인터페이스(800)를 유지하기 위한 베이스(808)를 포함할 수 있다. 베이스(808)는 매트리스와 파운데이션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하나 이상의 패스너 구멍(810A-N)(예컨대, 나사 또는 볼트 구멍)을 사용하여 베이스(808)를 파운데이션의 상부에 제자리에 유지시킬 수 있다. 베이스(808)는 베이스(808)를 파운데이션의 측면과 같은 높이의 안전한 위치로 안정시키고 유지하기에 적절한 소정의 길이일 수 있다.
도 9는 사용자 인터페이스(900)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다. 사용자 인터페이스(900)는 리세스 영역(902)에 배치된 버튼(904A, 904B, 906A 및 906B)을 포함한다. 각 버튼 세트는 파운데이션의 다른 부분을 제어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버튼(904A 및 904B)은 파운데이션의 풋 섹션의 조정을 제어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버튼(906A 및 906B)은 파운데이션의 헤드 섹션의 조정을 제어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버튼(904A 및 904B)은 파운데이션의 풋 섹션에 더 가깝게 위치될 수 있고, 버튼(906A 및 906B)은 파운데이션의 헤드 섹션에 더 가깝게 위치될 수 있다. 버튼(904A)은 풋 섹션을 상승시키고, 버튼(904B)은 풋 섹션을 하강시키고, 버튼(906A)은 헤드 섹션을 상승시키고, 버튼(906B)은 헤드 섹션을 하강시키는 데 사용될 수 있다. 버튼((904A 및 906A) 또는 (904B와 906B))을 동시에 눌러 헤드 섹션과 풋 섹션을 동시에 상승시키거나 헤드 섹션과 풋 섹션을 동시에 하강시킬 수 있다.
전체적으로 설명된 바와 같이, 인터페이스(900)는 버튼(904A, 904B, 906A 및 906B)에 연결되는 복수의 스위치를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스위치는 관절 시스템에 통신 연결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가 버튼(904A)을 누르면, 대응하는 스위치가 작동되어, 파운데이션의 풋 섹션을 상승시키도록 관절 시스템에 신호를 전송한다. 또한, 전체적으로 설명된 바와 같이, 인터페이스(900)는 버튼(908A 및 908B)을 포함할 수 있다. 버튼(908A 및 908B)은 리세스 영역(902)의 외부에 위치될 수 있으므로, 그러한 버튼을 찾거나 누르는 것이 상대적으로 용이하다. 버튼(908A 및 908B)은 파운데이션을 플랫 위치로 재설정하거나 파운데이션을 선호 위치로 조정하는 것과 같은 파운데이션(또는 주변 장치)의 하나 이상의 동작을 제어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사용자 인터페이스(900)는 파운데이션의 측면에 대해 인터페이스(900)를 유지하는 데 사용되는 베이스(910)를 포함할 수 있다. 베이스(910)는 매트리스의 하부와 파운데이션의 상부 사이에 위치될 수 있다. 하나 이상의 패스너 구멍(912A-N)(예컨대, 나사 또는 볼트 구멍)을 사용하여 베이스(910)를 파운데이션 상부에 고정하기 위한 패스너를 수용할 수 있다.
도 10a-도 10d는 사용자 인터페이스(1000)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다. 사용자 인터페이스(1000)는 버튼(1002A, 1002B, 1001 및 1003)을 포함할 수 있다(예컨대, 도 10a 참조). 인터페이스(1000)는 본 명세서에 설명된 바와 같이 관절 시스템과 통신 연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통신은 와이어(1004)를 통해 이루어질 수 있다. 통신은 무선일 수도 있다. 버튼(1002A)은 파운데이션의 헤드 또는 풋 섹션을 상승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다. 버튼(1002B)은 파운데이션의 헤드 또는 풋 섹션을 하강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다. 사용자는 버튼(1001)을 눌러 파운데이션의 헤드 섹션을 제어하도록 버튼(1002A 및 1002B)을 구성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사용자는 버튼(1003)을 눌러 파운데이션의 풋 섹션을 제어하도록 버튼(1002A 및 1002B)을 구성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버튼(1001 및 1003)을 눌러 헤드 또는 풋 섹션의 제어 사이를 전환할 수 있다.
사용자 인터페이스(1000)는 인터페이스(1000)의 후면에 부착된 자석(1006)을 포함할 수 있다(예컨대, 도 10c 참조). 자석(1006) 대신에 다른 철 금속이 사용될 수 있다. 자석(1006)은 사용자 인터페이스(1000)를 침대 시스템(100)에 구성 또는 부착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0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 인터페이스(1000)는 파운데이션(104)의 측면이 아닌 매트리스(102)의 측면에 장착될 수 있다. 자석(1006)은 인터페이스(1000)를 매트리스(102)의 측면과 같은 높이로 유지하여 시트가 인터페이스(1000) 위로 쉽게 이동하여 보이지 않게 할 수 있다. 인터페이스(1000) 위에 시트를 배치하는 것은 인터페이스(1000)가 손상되거나, 실수로 제거되거나, 작동되는 것을 방지하는 데에도 유리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는 파운데이션(104)을 조정하기 위해 시트를 통해 버튼(1002A, 1002B, 1001 및 1003)을 느끼고 누를 수 있다.
도 10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작은 직물 조각(1010)이 매트리스(102)의 내부 커버에 재봉될 수 있다. 직물(1010)은 3면을 따라 커버의 내부에 재봉될 수 있고, 이에 따라 자석 또는 다른 철 금속이 배치될 수 있는 직물(1010)의 상부에 개구가 생성될 수 있다. 직물(1010)은 포켓과 유사할 수 있다. 사용자 인터페이스(1000)가 직물(1010)에 대해 배치될 때, 자석(1006)은 직물(1010)과 매트리스 커버의 내부(예를 들어, 포켓 내부) 사이에 배치된 자석에 부착될 수 있다. 그런 다음, 사용자 인터페이스(1000)는 매트리스(102)의 측면과 같은 높이로 제자리에 유지되어, 시트가 인터페이스(1000) 위에 배치될 수 있다. 일부 예에서, 사용자 인터페이스(1000)는 또한 매트리스 커버의 내부로 재봉될 때 직물(1010)에 의해 생성된 포켓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 인터페이스(1000)는 자석 또는 다른 철 재료에 부착될 필요가 없을 수 있다.
일부 예에서, 직물(1010)은 더 길어질 수 있고(예를 들어, 매트리스(102)의 측면의 일부 또는 거의 전체 길이를 따라 연장됨) 매트리스(102)의 내부 커버를 따라 재봉될 수 있다. 그런 다음, 자석 또는 다른 철 금속이 직물(1010)과 매트리스(102)의 내부 커버 사이에 느슨하게 배치될 수 있다. 사용자는 느슨하게 배치된 자석을 매트리스(102)의 측면을 따라 선호 위치로 이동시켜 사용자 인터페이스(1000)를 다른 위치에 부착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가 원하는 경우, 사용자는 사용자 인터페이스(1000)를 파운데이션(104)의 헤드 섹션에 더 가깝게 배치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사용자 인터페이스(1000)의 자석(1006)이 직물(1010)과 매트리스(102)의 내부 커버 사이의 자석에 부착되면, 사용자는 인터페이스(1000)의 위치를 조정하기 위해 매트리스(102)의 길이를 따라 인터페이스(1000)를 밀어낼 수 있다.
도 11a-도 11f는 파운데이션(104) 및 2명의 취침자를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106A 및 106B)를 갖는 침대 시스템(100)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다. 파운데이션(104)은 2개의 섹션, 즉 제1 파운데이션 부분(104A) 및 제2 파운데이션 부분(104B)을 포함할 수 있다. 각각의 파운데이션 부분(104A-104B)은 한 명 이상의 취침자가 누울 수 있는 매트리스(미도시)의 섹션을 지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취침자는 제1 파운데이션 부분(104A)에 지지된 매트리스 위에서 잠을 잘 수 있고, 제2 취침자는 제2 파운데이션 부분(104B)에 지지된 매트리스 위에서 잠을 잘 수 있다.
각 파운데이션 부분(104A-B)은 본 명세서에 설명된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기능에 의해 독립적으로 관절 연결 및 제어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각 파운데이션 부분(104A-B)은 각각의 사용자 인터페이스(106A-B)를 가질 수 있다. 각 파운데이션 부분(104A-B)은 또한 각각의 관절 연결 가능한 헤드 섹션(1102A 및 1102B)과 각각의 관절 연결 가능한 풋 섹션(1104A 및 1104B)을 가질 수 있다. 각 파운데이션 부분(104A-B)은 각각의 개구(1106A 및 1106B)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개구(1106A-B)는 본 개시 내용에 걸쳐 설명된 임의의 구성요소에 대한 와이어를 이동 및/또는 배선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개구(1106A-B)는 또한 팽창식 에어 매트리스의 에어 호스(해당 팽창식 에어 매트리스를 갖는 실시예에서 사용하기 위한) 또는 본 개시 내용에 걸쳐 설명된 침대 시스템의 다른 구성요소를 수용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 11a-도 11e의 파운데이션 부분(104A-B)은 헤드 섹션(1102A-B) 및/또는 풋 섹션(1104A-B)의 독립적인 조정에 더하여, 전체 높이(예를 들어, 파운데이션 부분(104A-B)의 다리부의 상승 또는 하강을 통해) 및 경사(예를 들어, 전체 파운데이션 부분(104A-B)을 기울임으로써)를 조정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조정은 본 개시 내용 전반에 걸쳐 설명된 사용자 인터페이스(106A-B)를 사용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파운데이션 부분(104A 또는 104B)의 전체 높이를 조정하는 것은 침대를 쉽게 출입하는 데 유리할 수 있다. 추가 지원이 필요한 사용자의 경우, 사용자 인터페이스(106A)의 헤드 및/또는 풋 조정을 이용하여 전체 파운데이션 부분(104A 및/또는 104B)을 하강 또는 상승시킬 수 있으므로, 사용자가 더 쉽게 진입 및 퇴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1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침대 시스템(100)의 사용자는 사용자 인터페이스(106A) 상의 버튼을 선택하여 파운데이션 부분(104A)의 전체 높이를 상승시킬 수 있다. 그 결과, 본 개시 내용에 걸쳐 설명된 바와 같이 침대 시스템(100)의 관절 시스템(예컨대, 도 1a의 관절 시스템(112))이 활성화되어 파운데이션 부분(104A)의 다리부를 연장하여 파운데이션 부분(104A)의 높이를 고객이 원하는 높이로 상승시킬 수 있다. 따라서, 파운데이션 부분(104A)은 도 11a에서 파운데이션 부분(104B)보다 더 높게 보여진다(예를 들어, 파운데이션 부분(104B)이 현재 높이에 유지되는 동안 파운데이션 부분(104A)의 다리부는 원하는 높이로 자동 연장됨). 사용자는 사용자 인터페이스(106A)에서 다른 버튼 또는 동일한 버튼을 선택하여 파운데이션 부분(104A)의 헤드 섹션(1102A)을 더 상승/관절 연결할 수 있다. 도 11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파운데이션 부분(104B)은 수평면에 대해 플랫 위치에 있으며, 헤드 섹션(1102B) 또는 풋 섹션(1104B) 중 어느 것도 관절 연결되지 않는다.
각각의 파운데이션 부분(104A-B)은 사용자 인터페이스(106A-B)의 각 제어 장치를 사용하여 개별적으로 상승 및/또는 경사질 수 있다. 예를 들어, 파운데이션 부분(104A)의 사용자는 사용자 인터페이스(106A)의 조정 바(108)를 사용하여 전체 파운데이션 부분(104A)을 원하는 높이로 상승 또는 하강시킬 수 있다. 또한, 사용자는 조정 바(108)를 사용하여 전체 파운데이션 부분(104A)을 기울일 수도 있다. 조정 바(108)를 상승시키거나 들어 올리면, 침대 시스템의 관절 시스템이 원하는 높이에 도달할 때까지 파운데이션 부분(104A)을 지지하는 다리부를 연장시킴으로써 파운데이션 부분(104A)의 높이를 증가시킬 수 있다. 또한, 사용자는 헤드 섹션(1102A) 및/또는 풋 섹션(1104A)에 대응하는 조정 바(108)의 일부 또는 측면을 상승시켜 파운데이션 부분(104A)의 해당 부분을 상승시킬 수도 있다. 따라서, 사용자 인터페이스(106A)의 동일한 제어 장치를 사용하여 파운데이션 부분(104A) 전체뿐만 아니라 파운데이션 부분(104A)의 개별 헤드 섹션(1102A) 및/또는 풋 섹션(1104A)을 조정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버튼(110A-B) 중 하나는 사용자에 의해 선택되어 조정 바(108)의 이동과 연관된 제어 장치를 변경하거나, 조정 바(108)에 대한 상이한 제어 모드 사이를 전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버튼(110A)을 선택하여 조정 바(108)를 사용하여 전체 파운데이션 부분(104A)을 제어하는 것(예를 들어, 완전 상승 또는 하강 및 완전 경사)과 조정 바(108)를 사용하여 헤드 섹션(1102A) 및 풋 섹션(1104A)을 제어하는 것(예를 들어, 경사 및 하강) 사이를 전환할 수 있다. 예시적인 예로서, 사용자는 버튼(110A)을 한 번 클릭하여 조정 바(108)가 전체 파운데이션 부분(104A)을 조정하는 데 사용되는 모드로 전환되도록 할 수 있다. 사용자는 버튼(110A)을 더블 클릭하여 조정 바(108)가 파운데이션 부분(104A)의 헤드 섹션(1102A) 및 풋 섹션(1104A)의 조정을 선택적으로 제어하는 데 사용되는 다른 모드로 전환되도록 할 수 있다. 결국, 동일한 조정 바(108)를 사용하여 전체 파운데이션 부분(104A)뿐만 아니라 헤드 및 풋 섹션(1102A 및 1104A)의 조정을 모두 제어할 수 있다.
일부 구현예에서, 사용자는 버튼(110A-B) 중 하나를 더블 클릭하여 조정 바(108) 및/또는 버튼(110A-B)의 상이한 제어 모드 사이를 플립하거나 전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버튼(110A)을 더블 클릭하면, 사용자 인터페이스(106A)의 제어 장치(예컨대, 조정 바(108))가 파운데이션 부분(104A)의 헤드 섹션(1102A)의 조정을 제어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사용자는 버튼(110A)을 다시 더블 클릭하여 제어 장치가 다른 모드, 예를 들어 전체 파운데이션 부분(104A)을 원하는 높이 및 각도로 상승 또는 기울일 수 있는 모드(조정 바(108)를 사용하여)에 사용되도록 할 수 있다. 이 모드에서, 파운데이션 부분(104A)은 헤드 섹션(1102A)으로부터 풋 섹션(1104A)으로 기울어질 수 있고, 헤드 섹션(1102A)이 풋 섹션(1104A)보다 높고, 파운데이션 부분(104A)이 헤드 섹션(1102A)과 풋 섹션(1104A) 사이에서 실질적으로 직선인 상태로 기울어질 수 있다.
예시적인 예로서, 사용자는 전체 조정 바(108)를 상승시켜 전체 파운데이션 부분(104A)을 원하는 높이로 상승 또는 하강시킬 수 있다. 그런 다음, 사용자는 조정 바(108)의 일부를 상승 또는 하강시켜 전체 파운데이션 부분(104A)을 원하는 각도로 기울일 수 있다. 예를 들어, 헤드 섹션(1102A)에 가장 가까운 조정 바(108)의 일부를 상승시킴으로써, 헤드 섹션(1102A)이 풋 섹션(1104A)으로 상승하고 하강하도록 전체 파운데이션 부분(104A)을 기울일 수 있다(예를 들어, 코골이 완화를 위한 위치). 헤드 섹션(1102A)을 상승시킨 채로 수면을 취하면 사용자의 기도가 열려 호흡이 용이해지고 혈류가 증가하여 혈액 순환이 개선될 수 있다. 혈중 산소의 증가는 또한 척추 정렬을 적절하게 유지하면서 사용자의 심장에 가해지는 스트레스를 줄일 수 있다. 또한, 헤드 섹션(1102A)이 높아지도록 파운데이션 부분(104A)을 조정하면 수면 무호흡증 및 위산 역류를 완화하는 동시에 사용자가 수면 중에 편안함을 유지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풋 섹션(1104A)에 가장 가까운 조정 바(108)의 일부를 상승시킴으로써, 전체 파운데이션 부분(104A)은 풋 섹션(1104A)이 헤드 섹션(1102A)을 향하여 상승 및 하강하도록 기울어질 수 있다. 때로, 사용자는 버튼을 한 번 더 클릭하거나 더블 클릭하여 헤드 조정 모드 및/또는 다른 조정 모드로 돌아갈 수도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버튼(110A-B) 중 하나는 전체 파운데이션 부분(104A)을 선호하거나 선호하는 높이 및/또는 기울기로 조정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버튼(110B)은 선호 버튼일 수 있다. 사용자는 선호 위치(예컨대, 높이 및/또는 기울기)를 프리셋으로 설정함으로써, 버튼(110B)의 선택시, 파운데이션 부분(104A)이 사용자가 선호 위치로 자동 조정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는 버튼(110B)을 클릭하여 전체 파운데이션 부분(104A)을 최저 높이로 낮추거나, 최고 높이로 높이거나, 헤드 섹션(1102A)이 풋 섹션(1104A)보다 높은 선호 위치로 기울이거나, 헤드 섹션(1102A)이 풋 섹션(1104A)보다 낮은 선호 위치로 기울이거나, 또는 다른 임의의 사전 설정 위치로 조정되도록 할 수도 있다.
도 11b는 플랫 위치로부터 완전히 기울어진 위치로 제2 파운데이션 부분(104B)의 회전 동작을 나타낸다. 파운데이션 부분(104B)의 완전 기울임은 사용자의 호흡을 개선하는 데 유리할 수 있다. 또한, 완전 기울임은 혈류를 증가시켜 수면 자세에서 사용자의 혈액 순환을 개선하는 데 유리할 수 있다. 여기서, 파운데이션 부분(104B)은 헤드 섹션(1102B)이 풋 섹션(1104B)보다 낮고 완전히 기울어진 파운데이션 부분(104B)이 헤드 섹션(1102B)과 풋 섹션(1104B) 사이에서 실질적으로 일직선이 되도록 헤드 섹션(1102B)으로부터 풋 섹션(1104B)으로 완전히 기울어진다.
도 11c는 각각의 파운데이션 부분(104A-B)의 헤드 섹션(1102A 및 1102B)이 각각의 파운데이션 부분(104A-B)의 풋 섹션(1104A 및 1104B) 위로 상승되고 파운데이션 부분(104A-B)이 헤드 섹션(1102A 및 1102B)과 풋 섹션(1104A 및 1104B) 사이에 실질적으로 일직선이 되는 위치에서의 파운데이션 부분(104A-B)을 도시한다. 본 명세서에 기술된 바와 같이, 각각의 섹션(104A-B)은 각각의 사용자 인터페이스(106A-B)를 사용하여 개별적으로 관절 연결될 수 있다(도 11a 참조). 또한, 도 11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섹션(104A-N)은 유사하거나 동일한 높이 및/또는 기울기를 달성하기 위해 동시에 관절 연결 및 조정될 수 있다. 전체 섹션(104A-N)이 기울어진 경우, 트윈, 풀, 퀸 또는 킹 매트리스와 같은 단일 매트리스를 섹션(104A-N)의 상부에 놓을 수 있다. 결국, 매트리스 전체가 기울어진다. 섹션(104A-N)을 개별적으로 관절 연결하면, 스플릿 킹, 스플릿 탑 킹, H-베드 킹과 같은 스플릿 매트리스 및/또는 트윈 XL 매트리스를 나란히 배치하여 킹 사이즈 침대를 구성할 수 있다.
도 11d는 제1 위치 및 제2 위치의 파운데이션 부분(104A 및 104B)을 도시한다. 제1 위치에서, 헤드 섹션(1102A 및 1102B)과 풋 섹션(1104A 및 1104B)은 독립적으로 관절 연결되어 있다. 헤드 섹션(1102A 및 1102B)은 사용자가 침대에서 앉을 수 있는 위치로 상승된다. 풋 섹션(1104A 및 1104B)은 또한 사용자의 발을 상승시키는 위치로 상승되어 혈액 순환 및 혈류를 개선할 수 있다. 제2 위치에서, 헤드 섹션(1102A 및 1102B) 및 풋 섹션(1104A 및 1104B)은 제1 위치에서와 유사하게 기울어지거나 상승된 상태로 유지되지만, 침대 시스템(100)의 전체 구조가 회전되어 파운데이션 부분(104A 및 104B)의 헤드 섹션(1102A 및 1102B)이 더 높이 상승되고 파운데이션 부분(104A 및 104B)의 풋 섹션(1104A 및 1104B)이 제1 위치에서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높이를 유지하도록 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헤드 섹션(1102A 및 1102B)은 기울어지거나 상승된 상태이다. 또한, 본 명세서에 설명된 바와 같이, 침대 시스템의 사용자는 사용자 인터페이스(106A 및 106B)를 사용하여 각각의 파운데이션 부분(104A 및 104B), 헤드 섹션(1102A 및 1102B) 및 풋 섹션(1104A 및 1104B)의 굴절을 독립적으로 제어할 수 있다. 그 결과, 각 사용자는 최적의 수면, 호흡, 혈류 및 순환을 위해 침대 시스템의 각 측면을 사용자 지정할 수 있다.
도 11e는 파운데이션 부분(104A 및 104B)의 독립적인 관절 연결을 나타낸다. 여기서, 파운데이션 부분(104A)은 상승된 위치(104A)로 상승된다. 반면에, 파운데이션 부분(104B)은 사용자가 침대 시스템(100)에 출입하기 위해 바람직한 높이로 낮아질 수 있다. 또한, 파운데이션 부분(104A)의 헤드 섹션(1102A)은 원하는 경사로 상승되고, 파운데이션 부분(104B)의 헤드 섹션(1102B)은 플랫 위치로 유지된다.
도 11f는 플랫 위치로부터 완전히 기울어진 위치로 제2 파운데이션 부분(104B)의 회전 동작을 도시한다. 파운데이션 부분(104B)의 완전한 기울임은 사용자의 호흡을 개선하거나 코골이를 줄이거나 예방하는 데 도움이 될 수 있다. 여기서, 파운데이션 부분(104B)은 헤드 섹션(1102B)이 풋 섹션(1104B)보다 높고 완전히 기울어진 파운데이션 부분(104B)이 헤드 섹션(1102B)과 풋 섹션(1104B) 사이에서 실질적으로 일직선(예컨대, 평탄)이 되도록 헤드 섹션(1102B)으로부터 풋 섹션(1104B)으로 완전히 기울어진다.
도 11a-도 11f는 제1 및 제2 파운데이션 부분(104A 및 104B)을 포함하는 침대 시스템(100)과 관련하여 설명되지만, 도 11a-도 11f는 제1 파운데이션 부분(104A)과 같은 하나의 파운데이션 부분을 갖는 침대 시스템에도 적용될 수 있다. 따라서, 도 11a-도 11f의 개시 내용은 한 명의 취침자용 침대 시스템에 적용될 수 있다. 따라서, 취침자는 전체 조정식 파운데이션 부분(104A)을 조정하여 높이를 상승 또는 하강시키거나 선호 위치로 기울일 수 있다. 취침자는 또한 본 명세서에 설명된 기술을 사용하여 조정식 파운데이션(104A)의 헤드 섹션(1102A) 및/또는 풋 섹션(1104A)을 관절 연결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여러 실시예가 설명되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본 발명의 취지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음을 이해할 것이다. 예를 들어, 매트리스, 파운데이션 및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다양한 구성 요소의 형상, 크기 및 위치는 용도에 적합하도록 변형될 수 있다. 마찬가지로, 다양한 실시예 중 하나 이상의 실시예에 존재하는 하나 이상의 특징부는 선택적인 것으로 간주될 수 있으며, 모든 실시예에 반드시 포함될 필요는 없다. 또한, 사용자 인터페이스(1000)의 버튼(1002A, 1002B, 1001 및 1003)을 조정 바(108) 또는 다른 실시예의 조정 바로 대체하는 것과 같이, 한 실시예의 특징부가 다른 실시예의 특징부와 결합되거나 그것으로 대체될 수 있다(예컨대, 도 10a 참조). 따라서, 다른 실시예들은 다음 청구범위의 범위 내에 있다.

Claims (43)

  1. 침대 시스템으로서,
    조정식 파운데이션
    을 포함하고, 상기 조정식 파운데이션은:
    헤드 섹션;
    풋 섹션;
    상기 헤드 섹션 및 상기 풋 섹션에 연결된 작동 시스템; 및
    적어도 하나의 조정 바를 갖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를 포함하고,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조정 바의 풋 부분을 상승시키면 상기 조정식 파운데이션의 상기 풋 섹션을 상승시키도록 상기 작동 시스템에 신호를 보내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조정 바의 헤드 부분을 상승시키면 상기 조정식 파운데이션의 상기 헤드 섹션을 상승시키도록 상기 작동 시스템에 신호를 보내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조정 바의 상기 풋 부분을 하강시키면 상기 조정식 파운데이션의 상기 풋 섹션을 하강시키도록 상기 작동 시스템에 신호를 보내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조정 바의 상기 헤드 부분을 하강시키면 상기 조정식 파운데이션의 상기 헤드 섹션을 하강시키도록 상기 작동 시스템에 신호를 보내도록, 상기 작동 시스템에 통신 연결되는 것인 침대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조정 바는 상기 헤드 부분과 상기 풋 부분을 모두 포함하는 단일 강성 바인 것인 침대 시스템.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조정 바는 제1 및 제2 바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및 제2 바는 해당 제1 및 제2 바의 중앙 단부에서 힌지 연결되며, 상기 제1 바를 상승시키면 상기 조정식 파운데이션의 상기 풋 섹션을 상승시키도록 상기 작동 시스템에 신호를 보내고, 상기 제2 바를 상승시키면 상기 조정식 파운데이션의 상기 헤드 섹션을 상승시키도록 상기 작동 시스템에 신호를 보내고, 상기 제1 바를 하강시키면 상기 조정식 파운데이션의 상기 풋 섹션을 하강시키도록 상기 작동 시스템에 신호를 보내고, 상기 제2 바를 하강시키면 상기 조정식 파운데이션의 상기 헤드 섹션을 하강시키도록 상기 작동 시스템에 신호를 보내는 것인 침대 시스템.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조정 바를 상승시키는 것은, 상기 조정식 파운데이션의 상기 풋 섹션과 상기 헤드 섹션을 동시에 그리고 동일한 높이로 상승시키도록 상기 작동 시스템에 신호를 보내게 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조정 바를 하강시키는 것은, 상기 조정식 파운데이션의 상기 풋 섹션과 상기 헤드 섹션을 동시에 그리고 동일한 높이로 하강시키도록 상기 작동 시스템에 신호를 보내게 되는 것인 침대 시스템.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적어도 하나의 버튼을 더 포함하며, 상기 적어도 하나의 버튼을 누르면 상기 조정식 파운데이션의 상기 헤드 섹션과 상기 풋 섹션 중 적어도 하나를 미리 정해놓은 위치로 이동시키도록 상기 작동 시스템에 신호를 보내게 되고, 상기 미리 정해놓은 위치는 플랫 위치 및 선호 위치 중 적어도 하나인 것인 침대 시스템.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버튼은 적어도 하나의 스위치에 연결되며, 상기 적어도 하나의 버튼을 누르는 것은, 상기 조정식 파운데이션의 상기 헤드 섹션 및 상기 풋 섹션 중 적어도 하나를 상기 미리 정해놓은 위치로 이동시키도록 상기 작동 시스템에 신호를 보내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스위치의 작동을 더 포함하는 것인 침대 시스템.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버튼은 제1 버튼 및 제2 버튼을 포함하여, 상기 제1 버튼을 누르면 상기 조정식 파운데이션을 플랫 위치로 이동시키도록 상기 작동 시스템에 신호를 보내고, 상기 제2 버튼을 누르면 상기 조정식 파운데이션을 선호 위치로 이동시키도록 상기 작동 시스템에 신호를 보내는 것인 침대 시스템.
  8.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버튼을 더블 클릭하면, 상기 적어도 하나의 조정 바가 상기 조정식 파운데이션의 상기 헤드 섹션 및 상기 풋 섹션을 선택적으로 조정하는 제1 모드와 상기 조정식 파운데이션의 상기 헤드 섹션 및 상기 풋 섹션을 동시에 조정하는 제2 모드 사이에서 전환되도록 하는 것인 침대 시스템.
  9.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상기 조정식 파운데이션의 측면에 연결되는 것인 침대 시스템.
  10. 제1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조정 바의 상기 헤드 부분을 상승시키면, 상기 조정식 파운데이션을 미리 정해놓은 각도로 기울이도록 상기 작동 시스템에 신호를 보내는 것인 침대 시스템.
  11. 제1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작동 시스템은 상기 조정식 파운데이션의 상기 헤드 섹션 및 상기 풋 섹션을 상승 및 하강시키도록 구성된 컨트롤러 및 하나 이상의 액추에이터를 포함하는 것인 침대 시스템.
  12. 제1항 내지 제1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적어도 부분적으로는 상기 조정식 파운데이션 또는 상기 조정식 파운데이션 상에 배치된 매트리스 중 적어도 하나의 두께에 따라 크기가 조정되는 것인 침대 시스탬.
  13. 제1항 내지 제1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조정 바의 상기 풋 부분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조정 바가 하향 위치 또는 상향 위치 중 적어도 하나로 기울어지도록, 상기 적어도 하나의 조정 바의 상기 헤드 부분의 각도와 다른 각도로 배치되는 것인 침대 시스템.
  14. 제1항 내지 제1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조정 바는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리세스 영역에 위치되며,
    상기 적어도 하나의 버튼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조정 바 아래에 그리고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리세스 영역에 위치되는 것인 침대 시스템.
  15. 제1항 내지 제1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가 상기 조정식 파운데이션의 측면과 동일 평면 상에 있고 매트리스의 측면을 따라 위로 연장되도록 상기 조정식 파운데이션의 상부와 상기 조정식 파운데이션 상에 배치된 매트리스의 하부 사이에 배치되도록 구성된 베이스를 더 포함하는 것인 침대 시스템.
  16. 제1항 내지 제1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상기 베이스는 하나 이상의 패스너를 사용하여 상기 조정식 파운데이션의 상기 상부에 부착되도록 구성된 것인 침대 시스템.
  17. 제1항 내지 제1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매트리스는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상기 베이스 위로 하강 평탄화되는 것인 침대 시스템.
  18. 제1항 내지 제1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매트리스의 상기 하부는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상기 베이스가 위치되는 리세스를 포함하고, 상기 매트리스의 재료 또는 폼(foam)은 상기 리세스로부터 제거되는 것인 침대 시스템.
  19. 제1항 내지 제1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버튼을 누르면, 상기 조정식 파운데이션의 상기 풋 섹션과 상기 헤드 섹션을 동시에 미리 정해진 높이로 상승시키도록 상기 작동 시스템에 신호를 보내는 것인 침대 시스템.
  20. 제1항 내지 제1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조정식 파운데이션 상에 배치된 매트리스를 더 포함하고, 상기 매트리스는 헤드 섹션 및 풋 섹션을 포함하는 것인 침대 시스템.
  21. 제1항 내지 제2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조정 바는 제1 및 제2 바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및 제2 바는 해당 제1 및 제2 바의 중앙 단부에서 힌지 연결되는 것인 침대 시스템.
  22. 제1항 내지 제2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바를 상승시키면 상기 조정식 파운데이션의 상기 풋 섹션을 상승시키도록 상기 작동 시스템에 신호를 보내고, 상기 제2 바를 상승시키면 상기 조정식 파운데이션의 상기 헤드 섹션을 상승시키도록 상기 작동 시스템에 신호를 보내고, 상기 제1 바를 하강시키면 상기 조정식 파운데이션의 상기 풋 섹션을 하강시키도록 상기 작동 시스템에 신호를 보내고, 상기 제2 바를 하강시키면 상기 조정식 파운데이션의 상기 헤드 섹션을 하강시키도록 상기 작동 시스템에 신호를 보내는 것인 침대 시스템.
  23. 제1항 내지 제2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조정 바에 연결된 복수의 스위치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적어도 하나의 조정 바의 상승 및 하강은 상기 복수의 스위치 중 적어도 하나의 스위치의 작동을 더 포함하는 것인 침대 시스템.
  24. 제1항 내지 제2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조정 바의 상기 풋 부분의 상승은 상기 복수의 스위치 중 제1 스위치를 작동시켜 상기 조정식 파운데이션의 상기 풋 섹션을 상승시키도록 상기 작동 시스템에 신호를 보내며, 상기 적어도 하나의 조정 바의 상기 헤드 부분의 상승은 상기 복수의 스위치 중 제2 스위치를 작동시켜 상기 조정식 파운데이션의 상기 헤드 섹션을 상승시키도록 상기 작동 시스템에 신호를 보내며, 상기 적어도 하나의 조정 바의 상기 풋 부분의 하강은 상기 복수의 스위치 중 제3 스위치를 작동시켜 상기 조정식 파운데이션의 상기 풋 섹션을 하강시키도록 상기 작동 시스템에 신호를 보내며, 상기 적어도 하나의 조정 바의 상기 헤드 부분의 하강은 상기 복수의 스위치 중 제4 스위치를 작동시켜 상기 조정식 파운데이션의 상기 헤드 섹션을 하강시키도록 상기 작동 시스템에 신호를 보내는 것인 침대 시스템.
  25. 제1항 내지 제2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스위치는 상기 제3 스위치 위에 배치되고, 상기 제2 스위치는 상기 제4 스위치 위에 배치되는 것인 침대 시스템.
  26. 제1항 내지 제2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적어도 하나의 버튼을 더 포함하며, 상기 적어도 하나의 버튼을 누르면 상기 조정식 파운데이션의 상기 헤드 섹션 또는 상기 풋 섹션 중 적어도 하나를 미리 정해놓은 위치로 이동시키도록 상기 작동 시스템에 신호를 보내는 것인 침대 시스템.
  27. 제1항 내지 제2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미리 정해놓은 위치는 플랫 위치 또는 선호 위치 중 적어도 하나일 수 있는 것인 침대 시스템.
  28. 제1항 내지 제2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상기 조정식 파운데이션의 측면을 따라 이동 가능한 것인 침대 시스템.
  29. 제1항 내지 제2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조정 바는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리세스 영역에 배치되는 것인 침대 시스템.
  30. 제1항 내지 제2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버튼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조정 바의 아래 그리고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리세스 영역에 배치되는 것인 침대 시스템.
  31. 제1항 내지 제3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버튼은 하나 이상의 주변 장치에 통신 연결되며, 상기 적어도 하나의 버튼을 누르는 것은 상기 하나 이상의 주변 장치의 제어를 더 포함하는 것인 침대 시스템.
  32. 제1항 내지 제3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조정 바의 상기 풋 부분은 상기 조정식 파운데이션의 상기 풋 섹션에 인접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조정 바의 상기 헤드 부분은 상기 조정식 파운데이션의 상기 헤드 섹션에 인접한 것인 침대 시스템.
  33. 제1항 내지 제3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조정 바는 제3 바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3 바는 해당 제3 바의 중앙 단부에서 힌지 연결되는 것인 침대 시스템.
  34. 제1항 내지 제3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3 바는 상기 제1 바와 상기 제2 바 사이에 위치되며, 상기 제3 바를 상승시키면 상기 조정식 파운데이션을 선호 위치로 이동시키도록 상기 작동 시스템에 신호를 보내며, 상기 제3 바를 하강시키면 상기 조정식 파운데이션을 플랫 위치로 이동시키도록 상기 작동 시스템에 신호를 보내는 것인 침대 시스템.
  35. 제1항 내지 제3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상기 조정식 파운데이션에 연결하는 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인 침대 시스템.
  36. 침대 시스템으로서:
    조정식 파운데이션
    을 포함하고, 상기 조정식 파운데이션은:
    헤드 섹션;
    풋 섹션;
    상기 헤드 섹션과 상기 풋 섹션에 연결된 작동 시스템; 및
    상기 작동 시스템에 통신 연결된 사용자 인터페이스
    를 포함하고,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적어도 하나의 조정 바; 및
    적어도 하나의 버튼
    를 포함하며, 상기 적어도 하나의 버튼의 작동은 제1 바 모드와 제2 바 모드 사이를 전환시키고, 상기 제1 바 모드에서, 상기 조정 바의 헤드 단부의 작동은 상기 헤드 섹션을 선택적으로 상승 또는 하강시키고, 상기 조정 바의 풋 단부의 작동은 상기 풋 섹션을 선택적으로 상승 또는 하강시키고, 상기 제2 바 모드에서, 상기 조정 바의 상기 헤드 단부의 작동은 상기 헤드 섹션과 상기 풋 섹션을 실질적으로 동일한 각도로 기울이고, 상기 조정 바의 상기 풋 단부의 작동은 상기 헤드 섹션과 상기 풋 섹션을 실질적으로 동일한 각도로 기울이는 것인 침대 시스템.
  37. 침대 시스템으로서:
    조정식 파운데이션
    을 포함하고, 상기 조정식 파운데이션은:
    헤드 섹션;
    풋 섹션;
    상기 헤드 섹션과 상기 풋 섹션에 연결된 작동 시스템; 및
    제1, 제2, 제3 및 제4 버튼을 갖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를 포함하며,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상기 제1 버튼을 누르면 상기 조정식 파운데이션의 상기 풋 섹션을 상승시키도록 상기 작동 시스템에 신호를 보내고, 상기 제2 버튼을 누르면 상기 조정식 파운데이션의 상기 헤드 섹션을 상승시키도록 상기 작동 시스템에 신호를 보내고, 상기 제3 버튼을 누르면 상기 조정식 파운데이션의 상기 풋 섹션을 하강시키도록 상기 작동 시스템에 신호를 보내고, 상기 제4 버튼을 누르면 상기 조정식 파운데이션의 상기 헤드 섹션을 하강시키도록 상기 작동 시스템에 신호를 보내도록, 상기 작동 시스템에 통신 연결된 것인 침대 시스템.
  38. 제37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3 버튼은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 상에 수직으로 정렬되고 상기 조정식 파운데이션의 상기 풋 섹션에 인접하고, 상기 제2 및 제4 버튼은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 상에 수직으로 정렬되고 상기 조정식 파운데이션의 상기 헤드 섹션에 인접한 것인 침대 시스템.
  39. 제37항 또는 제38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상기 제1, 제2, 제3 및 제4 버튼에 연결된 복수의 스위치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1, 제2, 제3 및 제4 버튼 중 적어도 하나를 누르는 것은 상기 복수의 스위치 중 적어도 하나의 작동을 더 포함하는 것인 침대 시스템.
  40. 침대 시스템으로서:
    조정식 파운데이션
    을 포함하고, 상기 조정식 파운데이션은:
    헤드 섹션;
    풋 섹션;
    상기 헤드 섹션과 상기 풋 섹션에 연결된 작동 시스템; 및
    사용자 인터페이스
    를 포함하고,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자석; 및
    적어도 하나의 버튼
    을 포함하며,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버튼을 누르면 상기 조정식 파운데이션의 상기 풋 섹션 또는 상기 헤드 섹션 중 적어도 하나를 조정하도록 상기 작동 시스템에 신호를 보내도록 상기 작동 시스템에 통신 연결되는 것인 침대 시스템.
  41. 제40항에 있어서, 매트리스 커버, 헤드 섹션 및 풋 섹션을 갖는 매트리스를 더 포함하며,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상기 자석에 의해 상기 매트리스 커버의 측면에 유지되는 것인 침대 시스템.
  42. 제40항 또는 제41항에 있어서, 상기 매트리스 커버는 해당 매트리스 커버의 내부에 봉합된 직물을 더 포함하며, 상기 직물은 철 금속을 가지며, 상기 철 금속은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상기 자석이 해당 철 금속에 부착될 수 있도록 상기 직물과 상기 매트리스 커버의 내부 사이에 배치되는 것인 침대 시스템.
  43. 침대 시스템으로서:
    조정식 파운데이션
    을 포함하고, 상기 조정식 파운데이션은:
    헤드 섹션;
    풋 섹션;
    상기 헤드 섹션과 상기 풋 섹션에 연결된 작동 시스템; 및
    상기 조정식 파운데이션의 상기 헤드 섹션 및 상기 풋 섹션을 상승 및 하강시키도록 상기 작동 시스템에 신호를 보내는 수단을 갖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를 포함하는 것인 침대 시스템.
KR1020237018621A 2020-12-18 2021-12-10 침대 파운데이션 조정 제어 KR20230119636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202063127307P 2020-12-18 2020-12-18
US63/127,307 2020-12-18
PCT/US2021/062851 WO2022132587A1 (en) 2020-12-18 2021-12-10 Bed foundation adustment controls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19636A true KR20230119636A (ko) 2023-08-16

Family

ID=797310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7018621A KR20230119636A (ko) 2020-12-18 2021-12-10 침대 파운데이션 조정 제어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EP (1) EP4262482A1 (ko)
JP (1) JP2023554224A (ko)
KR (1) KR20230119636A (ko)
CN (1) CN116367757A (ko)
AU (1) AU2021401567A1 (ko)
CA (1) CA3193916A1 (ko)
WO (1) WO2022132587A1 (ko)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309783A (en) * 1980-02-06 1982-01-12 Teledyne Industries, Inc. Adjustably conformable bed
US6101647A (en) * 1998-03-10 2000-08-15 L&P Property Management Company Adjustable bed
US10363182B2 (en) * 2014-07-14 2019-07-30 Hill-Rom Services, Inc. Patient control arm with phone dock and head of bed lockou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AU2021401567A1 (en) 2023-04-13
CA3193916A1 (en) 2022-06-23
WO2022132587A1 (en) 2022-06-23
CN116367757A (zh) 2023-06-30
JP2023554224A (ja) 2023-12-27
US20220192388A1 (en) 2022-06-23
EP4262482A1 (en) 2023-10-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90328146A1 (en) Bed With Integrated Components and Features
US20210068552A1 (en) Adjustable Bed System Having Split-Head and Joined Foot Configuration
US20220218116A1 (en) Adjustable bed system with split head and split foot configuration
US11540642B2 (en) Adjustable bed system
US11786044B2 (en) Adjustable foundation with service position
US8973183B1 (en) Sheet for a split-top adjustable bed
US8414074B2 (en) Chair
AU714191B2 (en) Beds
US20130191992A1 (en) Adjustable bed frame with mattress bracket
AU2017302552B2 (en) Adjustable bed systems with rotating articulating bed frame
CN112384182B (zh) 带一体式床垫调整装置的床垫
US20060260051A1 (en) Patient support apparatus
KR20230119636A (ko) 침대 파운데이션 조정 제어
US12004651B2 (en) Bed foundation adjustment controls
CN204797290U (zh) 一种床
CN112401555A (zh) 一种语音控制沙发
JPS63125213A (ja) ベツド
KR20200002308U (ko) 모션 베드
CN220713205U (zh) 带吹风功能的智能学习桌
JPH0511774Y2 (ko)
WO2023119255A1 (en) Multi-airbag and multi-position adjustable inflatable body
JP2001340396A (ja) ベッドシステ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