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19396A - Apparatus for controlling entrance of vehicles without front number plate - Google Patents

Apparatus for controlling entrance of vehicles without front number plat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19396A
KR20230119396A KR1020220015486A KR20220015486A KR20230119396A KR 20230119396 A KR20230119396 A KR 20230119396A KR 1020220015486 A KR1020220015486 A KR 1020220015486A KR 20220015486 A KR20220015486 A KR 20220015486A KR 20230119396 A KR20230119396 A KR 2023011939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hicle
entry
access information
processor
im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15486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2655399B1 (en
Inventor
백현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샘물정보통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샘물정보통신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샘물정보통신
Priority to KR102022001548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55399B1/en
Publication of KR2023011939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19396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5539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55399B1/en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9/00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 G07C9/20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involving the use of a pass
    • G07C9/27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involving the use of a pass with central registr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20/00Scenes; Scene-specific elements
    • G06V20/60Type of objects
    • G06V20/62Text, e.g. of license plates, overlay texts or captions on TV images
    • G06V20/625License plate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9/00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 G07C9/20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involving the use of a pass
    • G07C9/22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involving the use of a pass in combination with an identity check of the pass holder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GTRAFFIC CONTROL SYSTEMS
    • G08G1/00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 G08G1/01Detecting movement of traffic to be counted or controlled
    • G08G1/017Detecting movement of traffic to be counted or controlled identifying vehicl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Traffic Control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전면 차량번호판 미장착 차량의 출입 통제 장치는 차량 전면에 차량번호판이 장착된 제1 차량 및 차량 전면에 차량번호판이 미장착된 제2 차량 중 어느 하나의 진입을 감지하는 감지부; 상기 제1 차량 및 상기 제2 차량 중 어느 하나의 진입이 감지되면 진입한 차량의 차량 전면 이미지를 생성하는 촬영부; 및 상기 차량 전면 이미지로부터 차량 번호의 인식을 시도하고, 상기 차량 번호의 인식 여부에 기초하여 사용자 장치로 출입 정보를 요청하고, 상기 출입 정보가 수신되면 상기 출입 정보가 출입 허가를 나타내는지 여부를 확인하고, 상기 출입 정보가 출입 허가된 차량임을 나타내면 입차의 차단이 해제되도록 개폐부를 제어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An access control device for a vehicle without a license plate on the front of the vehic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detector for detecting entry of any one of a first vehicle having a license plate mounted on the front of the vehicle and a second vehicle having no license plate mounted on the front of the vehicle; a photographing unit generating a vehicle front image of the entered vehicle when the entry of any one of the first vehicle and the second vehicle is detected; and attempting to recognize the vehicle number from the front image of the vehicle, requesting access information to the user device based on whether or not the vehicle number is recognized, and determining whether the access information indicates permission for entry when the access information is received. and a processor controlling the opening/closing unit so that blocking of entry is released when the access information indicates that the vehicle is permitted to enter.

Description

전면 차량번호판 미장착 차량의 출입 통제 장치{Apparatus for controlling entrance of vehicles without front number plate}Apparatus for controlling entrance of vehicles without front number plate}

본 발명은 전면 차량번호판 미장착 차량의 출입 통제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전면에 차량번호판이 장착된 제1 차량 뿐만 아니라 전면에 차량번호판이 미장착된 제2 차량 중에서 출입이 허용된 차량만을 입차시키는 전면 차량번호판 미장착 차량의 출입 통제 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ccess control device for a vehicle without a license plate on the front, and more particularly, to enter only vehicles allowed to enter and exit among a first vehicle with a license plate on the front and a second vehicle without a license plate on the front. It relates to an access control device for a vehicle without a license plate on the front.

종래의 주차관리 시스템이나 주차 솔루션은 주로 RF 태그/리모콘을 이용하고 있으나, 이는 관리하기에 비효율적이며 부정사용을 해결하는 것이 불가능하다는 단점이 있었다.Conventional parking management systems or parking solutions mainly use RF tags/remote controls, but these have disadvantages in that they are inefficient to manage and impossible to solve fraudulent use.

예컨대, 종래 차량번호 인식기는 공정하고 효율적인 관리가 가능하지만 설치비용이 높고, 충분한 설치공간이 필요하다는 단점이 있으며, RF 태그와 리더를 이용하는 방식은 설치비용은 낮으나 RF 태그 분배/회수 관리에 부담이 있고 RF 태그의 부정사용이 문제가 되고 있다.For example, the conventional license plate recognizer is capable of fair and efficient management, but has the disadvantage of high installation cost and sufficient installation space, and a method using an RF tag and reader has a low installation cost, but burdens in RF tag distribution/retrieval management. And illegal use of RF tags is becoming a problem.

또한 종래의 리모콘 방식은 설치비용이 낮으나, 리모콘 분배/회수 관리에 부담이 있으며 리모콘 부정사용에 문제가 있고, 미회수 리모콘의 차단이 불가능하며 출입기록 관리가 불가능하다는 단점이 있다.In addition, the conventional remote control method has low installation cost, but there are disadvantages in that it is burdensome to manage distribution/return of remote control, there is a problem with illegal use of remote control, it is impossible to block unrecovered remote control, and management of access record is impossible.

이에 따라, 최근에는 카메라를 이용하여 차량번호를 인식하는 주차 차단기가 연구되고 있다. 이러한 주차 차단기는 차량 진출입로의 지면에 매설되어 상부에서 차량이 이동하는 것을 감지하는 루프코일, 상기 감지한 결과에 따라 차량의 번호판을 촬영하기 위한 카메라, 상기 촬영한 차량의 번호판으로부터 차량번호를 인식하는 차량번호 인식수단 및 차량의 진출입을 통제하기 위한 차단바를 포함하여 구성된다.Accordingly, in recent years, a parking breaker for recognizing a license plate number using a camera has been studied. This parking breaker is a loop coil buried in the ground of the vehicle entry and exit road and detecting the movement of the vehicle from the top, a camera for photographing the license plate of the vehicle according to the result of the detection, Recognizing the vehicle number from the license plate of the photographed vehicle It is configured to include a vehicle number recognition means and a blocking bar for controlling the entry and exit of the vehicle.

또한, 주차 차단기는, 차량의 이동을 인식하는 루프코일과, 상기 인식한 결과에 따라 차량을 촬영하여 차량번호를 인식하도록 하는 카메라를 개별적으로 구비하는 구조로 구비된다.In addition, the parking breaker is provided with a structure that separately includes a loop coil for recognizing the movement of the vehicle and a camera for photographing the vehicle and recognizing the license plate number according to the recognition result.

하지만 이러한 주차 차단기는 전면에 장착된 차량 번호판으로부터 차량번호를 인식하여 차량 출입을 통제함으로써, 전면에 차량 번호판이 미장착된 이륜 차량에 대해서는 차량 출입을 통제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However, this parking breaker has a problem in that it cannot control vehicle entry and exit for a two-wheeled vehicle without a license plate on the front by recognizing the vehicle number from the license plate mounted on the front and controlling vehicle entry.

한국등록특허 제10-2315786호Korean Patent Registration No. 10-2315786

본 발명의 목적은, 진입이 감지된 차량의 차량 전면 이미지로부터 차량 번호가 인식되지 않으면 사용자 장치로부터 출입 정보를 수신하고, 수신된 출입 정보가 출입 허가된 차량임을 나타내면 입차의 차단이 해제되도록 개폐부를 제어할 수 있는 전면 차량번호판 미장착 차량의 출입 통제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receive access information from a user device when the vehicle number is not recognized from the vehicle front image of the vehicle for which entry is detected, and to release the blocking of entry when the received access information indicates that the vehicle is permitted to enter. It is to provide an access control device for a vehicle not equipped with a front license plate that can be controlled.

본 발명의 목적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본 발명의 다른 목적 및 장점들은 하기의 설명에 의해서 이해될 수 있고,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해 보다 분명하게 이해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 및 장점들은 특허 청구 범위에 나타낸 수단 및 그 조합에 의해 실현될 수 있음을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The obj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above-mentioned objects, and other objects and advantages of the present invention not mentioned above can be understood by the following description and will be more clearly understood by the examples of the present invention. It will also be readily apparent that the objects and advantages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realized by means of the instrumentalities and combinations indicated in the claims.

본 발명에 따른 전면 차량번호판 미장착 차량의 출입 통제 장치는 차량 전면에 차량번호판이 장착된 제1 차량 및 차량 전면에 차량번호판이 미장착된 제2 차량 중 어느 하나의 진입을 감지하는 감지부; 상기 제1 차량 및 상기 제2 차량 중 어느 하나의 진입이 감지되면 진입한 차량의 차량 전면 이미지를 생성하는 촬영부; 및 상기 차량 전면 이미지로부터 차량 번호의 인식을 시도하고, 상기 차량 번호의 인식 여부에 기초하여 사용자 장치로 출입 정보를 요청하고, 상기 출입 정보가 수신되면 상기 출입 정보가 출입 허가를 나타내는지 여부를 확인하고, 상기 출입 정보가 출입 허가된 차량임을 나타내면 입차의 차단이 해제되도록 개폐부를 제어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An access control device for a vehicle without a license plate on the front of the vehic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detector for detecting entry of any one of a first vehicle having a license plate mounted on the front of the vehicle and a second vehicle having no license plate mounted on the front of the vehicle; a photographing unit generating a vehicle front image of the entered vehicle when the entry of any one of the first vehicle and the second vehicle is detected; and attempting to recognize the vehicle number from the front image of the vehicle, requesting access information to the user device based on whether or not the vehicle number is recognized, and determining whether the access information indicates permission for entry when the access information is received. and a processor controlling the opening/closing unit so that blocking of entry is released when the access information indicates that the vehicle is permitted to enter.

바람직하게,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1 차량 및 상기 제2 차량 중 하나 이상의 진입이 감지된 진입 감지 시점으로부터 인식 대기 시간이 경과된 인식 대기 종료 시점까지 상기 차량 전면 이미지로부터 상기 차량 번호가 인식되지 않으면, 상기 사용자 장치와의 통신 연결과 상기 사용자 장치로의 출입 정보 요청 신호의 송신을 수행하도록 통신부를 제어할 수 있다.Preferably, the processor determines that the vehicle number is not recognized from the front image of the vehicle from an entry detection time when entry of at least one of the first vehicle and the second vehicle is detected to a recognition waiting time when recognition waiting time has elapsed. The communication unit may be controlled to perform a communication connection with the user device and transmit an access information request signal to the user device.

바람직하게,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인식 대기 종료 시점 전에 상기 차량 전면 이미지로부터 상기 차량 번호가 인식되면 인식된 차량 번호가 출입 허가 차량 번호 목록에 포함되어 있는지 여부를 확인하고, 인식된 차량 번호가 상기 출입 허가 차량 번호 목록에 포함되어 있으면, 상기 입차의 차단이 해제되도록 상기 개폐부를 제어할 수 있다.Preferably, when the vehicle number is recognized from the front image of the vehicle before the waiting for recognition ends, the processor checks whether the recognized vehicle number is included in the list of vehicle numbers allowed to enter, and determines whether the recognized vehicle number is included in the vehicle number list. When included in the vehicle number list, the opening/closing unit may be controlled so that blocking of the vehicle entry is released.

바람직하게, 상기 감지부는 상기 제1 차량 및 상기 제2 차량 중 어느 하나의 진입을 나타내는 진입 감지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Preferably, the detection unit may output an entry detection signal indicating entry of any one of the first vehicle and the second vehicle.

바람직하게,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사용자 장치로부터 수신된 상기 출입 정보가 출입 허가된 차량임을 나타내면 상기 진입 감지 신호에 기초하여 신호 세기 기준 범위를 설정하고, 상기 출입 정보에 상기 신호 세기 기준 범위가 매칭되어 저장되도록 저장부를 제어할 수 있다.Preferably, the processor sets a signal strength reference range based on the entry detection signal when the access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user device indicates that the vehicle is permitted to enter, and stores the signal strength reference range matched with the entry information. The storage unit can be controlled so as to be possible.

바람직하게,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신호 세기 기준 범위가 설정된 이후, 상기 사용자 장치로부터 수신된 상기 출입 정보가 출입 허가된 차량임을 나타내면 상기 출입 정보에 매칭된 상기 신호 세기 기준 범위에 상기 진입 감지 신호의 신호 세기가 포함되는지 여부에 기초하여 상기 개폐부를 제어할 수 있다. Preferably, the processor sets the signal strength of the entry detection signal to the signal strength reference range matched to the entry information when the access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user device indicates that the vehicle is permitted to enter after the signal strength reference range is set. It is possible to control the opening and closing part based on whether it is included.

바람직하게,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진입 감지 신호의 신호 세기가 상기 신호 세기 기준 범위에 포함되면 입차의 차단이 해제되도록 상기 개폐부를 제어하고, 상기 진입 감지 신호의 신호 세기가 상기 신호 세기 기준 범위에 포함되지 않으면 입차의 차단이 해제되지 않도록 상기 개폐부를 제어할 수 있다. Preferably, the processor controls the opening/closing unit so that blocking of entry is released when the signal strength of the entry detection signal is included in the signal strength reference range, and the signal strength of the entry detection signal is not included in the signal strength reference range. Otherwise, the opening/closing unit may be controlled so that blocking of the vehicle entry is not released.

바람직하게,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사용자 장치로부터 수신된 상기 출입 정보가 출입 허가된 차량임을 나타내면 상기 차량 전면 이미지로부터 사용자 차량 이미지를 추출하여 기준 차량 이미지로 설정하고, 상기 출입 정보에 상기 기준 차량 이미지가 매칭되어 저장되도록 저장부를 제어할 수 있다.Preferably, the processor extracts a user vehicle image from the vehicle front image and sets it as a reference vehicle image when the access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user device indicates that the vehicle is permitted to enter, and the reference vehicle image matches the access information. It is possible to control the storage unit so that it is stored.

바람직하게,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기준 차량 이미지가 설정된 이후, 상기 사용자 장치로부터 수신된 상기 출입 정보가 출입 허가된 차량임을 나타내면 상기 출입 정보에 매칭된 상기 기준 차량 이미지가 상기 차량 전면 이미지로부터 검색되는지 여부에 기초하여 상기 개폐부를 제어할 수 있다. Preferably, the processor determines whether the reference vehicle image matched with the entry information is retrieved from the front image of the vehicle when the access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user device indicates that the vehicle is permitted to enter after the reference vehicle image is set. Based on this, it is possible to control the opening/closing unit.

바람직하게,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기준 차량 이미지가 상기 차량 전면 이미지로부터 검색되면 입차의 차단이 해제되도록 상기 개폐부를 제어하고, 상기 기준 차량 이미지가 상기 차량 전면 이미지로부터 검색되지 않으면 입차의 차단이 해제되지 않도록 상기 개폐부를 제어할 수 있다.Preferably, the processor controls the opening/closing unit so that blocking of entering is released when the reference vehicle image is retrieved from the front image of the vehicle, and blocking of entering is not released when the reference vehicle image is not retrieved from the front image of the vehicle. The opening/closing unit may be controlled.

본 발명에 따른 전면 차량번호판 미장착 차량의 출입 통제 장치는, 진입이 감지된 차량의 차량 전면 이미지로부터 차량 번호가 인식되지 않으면 사용자 장치로부터 출입 정보를 수신하고, 수신된 출입 정보가 출입 허가된 차량임을 나타내면 입차의 차단이 해제되도록 개폐부를 제어함으로써, 전면에 차량번호판이 미장착된 제2 차량에 대해서도 출입 통제를 수행할 수 있다.An access control device for a vehicle without a front license plat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receives access information from a user device when the vehicle number is not recognized from the vehicle front image of the vehicle in which entry is detected, and the received access information indicates that the vehicle is permitted to enter. By controlling the opening/closing unit so that blocking of vehicle entry is released when indicated, access control may be performed even for the second vehicle without a vehicle license plate mounted on the front side.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면 차량번호판 미장착 차량의 출입 통제 장치와, 사용자 장치 및 제2 차량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면 차량번호판 미장착 차량의 출입 통제 장치의 구성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면 차량번호판 미장착 차량의 출입 통제 장치를 향해 제2 차량이 진입하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면 차량번호판 미장착 차량의 출입 통제 장치가 제2 차량이 진입을 감지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면 차량번호판 미장착 차량의 출입 통제 장치가 사용자 장치로부터 수신된 출입 정보에 기초하여 제2 차량을 입차시키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1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access control device for a vehicle not equipped with a front license plate, a user device, and a second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block diagram of an access control device for a vehicle not equipped with a front license plat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diagram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a second vehicle enters toward an access control device for a front license plate-free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view for explaining a process in which the access control device for a vehicle not equipped with a front license plate detects the entry of a second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diagram for explaining a process in which an access control device for a vehicle not equipped with a front license plate enters a second vehicle based on access information received from a user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기재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 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실시 예의 다양한 변경(modification), 균등물(equivalent), 및/또는 대체물(alternative)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면의 설명과 관련하여,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 해서는 유사한 참조 부호가 사용될 수 있다. Hereinafter,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However,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is is not intended to limit the present invention to specific embodiments, and includes various modifications, equivalents, and/or alternatives of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In connection with the description of the drawings, like reference numerals may be used for like elements.

본 문서에서, "가진다", "가질 수 있다", "포함한다", 또는 "포함할 수 있다" 등의 표현은 해당 특징(예: 수치, 기능, 작동, 또는 부품 등의 구성요소)의 존재를 가리키며, 추가적인 특징의 존재를 배제하지 않는다. In this document, the expression “has,” “may have,” “includes,” or “may include” refers to the presence of a corresponding feature (eg, a numerical value, function, operation, or component such as a part). , which does not preclude the existence of additional features.

본 문서에서, "A 또는 B", "A 또는/및 B 중 적어도 하나", 또는 "A 또는/및 B 중 하나 또는 그 이상" 등의 표현 은 함께 나열된 항목들의 모든 가능한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A 또는 B", "A 및 B 중 적어도 하나", 또는 "A 또는 B 중 적어도 하나"는 (1) 적어도 하나의 A를 포함, (2) 적어도 하나의 B를 포함, 또는 (3) 적어도 하나의 A 및 적어도 하나의 B 모두를 포함하는 경우를 모두 지칭할 수 있다. In this document, expressions such as "A or B", "at least one of A and/and B", or "one or more of A or/and B" may include all possible combinations of the items listed together. . For example, "A or B", "at least one of A and B", or "at least one of A or B" (1) includes at least one A, (2) includes at least one B, or (3) It may refer to all cases including at least one A and at least one B.

본 문서에서 사용된 "제1", "제2", "첫째", 또는 "둘째" 등의 표현들은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순서 및/또는 중 요도에 상관없이 수식할 수 있고, 한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분하기 위해 사용될 뿐 해당 구성요소들을 한정하지 않는다. 예를 들면, 제1 사용자 기기와 제2 사용자 기기는 순서 또는 중요도와 무관하게, 서로 다른 사용자 기기를 나타낼 수 있다. 예를 들면, 본 문서에 기재된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바꾸어 명명될 수 있다.Expressions such as "first", "second", "first", or "second" used in this document may modify various components, regardless of order and/or importance, and refer to a component as It is used only to distinguish it from other components and does not limit the corresponding components. For example, a first user device and a second user device may represent different user devices regardless of order or importance. For exampl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rights described in this document, a first element may be called a second element, and similarly, the second element may also be renamed to the first element.

어떤 구성요소(예: 제1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예: 제2 구성요소)에 "(기능적으로 또는 통신적으로) 연결되어((operatively or communicatively) coupled with/to)" 있다거나 "접속되어(connected to)"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상기 어떤 구성요소가 상기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다른 구성요소(예: 제3 구성요소)를 통하여 연결될 수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예: 제1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 요소(예: 제2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상기 어떤 구성요소와 상기 다른 구성요소 사이에 다른 구성요소(예: 제3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A component (e.g., a first component) is "(operatively or communicatively) coupled with/to" another component (e.g., a second component); When referred to as "connected to",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certain component may be directly connected to the other component or connected through another component (eg, a third component). On the other hand, when an element (eg, a first element) is referred to as being “directly connected” or “directly connected” to another element (eg, a second element), the element and the other element are referred to as being “directly connected”. It may be understood that there are no other components (eg, a third component) between the components.

본 문서에서 사용된 표현 "~하도록 구성된(또는 설정된)(configured to)"은 상황에 따라, 예를 들면, "~에 적합 한(suitable for)", "~하는 능력을 가지는(having the capacity to)", "~하도록 설계된(designed to)", "~하도록 변경된(adapted to)", "~하도록 만들어진(made to)", 또는 "~를 할 수 있는(capable of)"과 바꾸어 사용될 수 있다. 용어 "~하도록 구성(또는 설정)된"은 하드웨어적으로 "특별히 설계된(specifically designed to)"것 만을 반드시 의미하지 않을 수 있다. 대신, 어떤 상황에서, "~하도록 구성된 장치"라는 표현은, 그 장치가 다른 장치 또는 부품들과 함께 "~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문구 "A, B, 및 C를 수행하도록 구성 (또는 설정)된 제어부"는 해당 작동을 수행하기 위한 전용 프로세서(예: 임베디드 프로세서), 또는 메모리에 저장된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프로그램들을 실행함으로써, 해당 작동들을 수행할 수 있는 범용 프로세서(generic-purpose processor)(예: CPU 또는 application processor)를 의미할 수 있다. As used in this document, the expression "configured to" means, depending on the situation, e.g., "suitable for", "having the capacity to" )", "designed to", "adapted to", "made to", or "capable of" . The term "configured (or set) to" may not necessarily mean only "specifically designed to" hardware. Instead, in some contexts, the phrase "a device configured to" may mean that the device is "capable of" in conjunction with other devices or components. For example, the phrase "a control unit configured (or set) to perform A, B, and C" can be used by a dedicated processor (eg, embedded processor) to perform the operation, or by executing one or more software programs stored in memory. , may mean a general-purpose processor (eg, CPU or application processor) capable of performing corresponding operations.

특히, 본 명세서에서, “~장치”는 중앙처리장치(Central Processing Unit (CPU)), 애플리케이션 프로세서(Application Processor (AP)) 및 커뮤니케이션 프로세서(Communication Processor (CP))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In particular,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 device” may include one or more of a central processing unit (CPU), an application processor (AP), and a communication processor (CP). .

본 명세서에서, “~장치”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를 포함하는 모든 종류의 하드웨어 장치를 의미하는 것이고, 실시 예에 따라 해당 하드웨어 장치에서 작동하는 소프트웨어적 구성도 포괄하는 의미로서 이해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장치”는 기계 구동 장치, 스마트폰, 태블릿 PC, 데스크톱, 노트북 및 각 장치에서 구동되는 사용자 클라이언트 및 애플리케이션을 모두 포함하는 의미로서 이해될 수 있으며, 또한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In this specification, “~device” refers to all types of hardware devices including at least one processor, and may be understood as encompassing software configurations operating in the corresponding hardware devices according to embodiments. For example, “~device” may be understood as including, but not limited to, machine-driven devices, smartphones, tablet PCs, desktops, laptops, and user clients and applications running on each device.

본 문서에서 사용된 용어들은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다른 실시 예의 범위를 한 정하려는 의도가 아닐 수 있다. 단수의 표현은 컨텍스트 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할 수 있다.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용어들은 본 문서에 기재된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질 수 있다. 본 문서에 사용된 용어들 중 일반적인 사전에 정의된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컨텍스트 상 가지는 의미와 동일 또는 유사한 의미로 해석될 수 있으며, 본 문서에서 명백하게 정의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경우에 따라서, 본 문서에서 정의된 용어일지라도 본 문서의 실시 예들을 배제하도록 해석될 수 없다. Terms used in this document are only used to describe a specific embodiment, and may not be intended to limit the scope of other embodiments. Singular expressions may include plural expressions unless the context clearly dictates otherwise. Terms used herein, including technical or scientific terms, may have the same meaning as commonly understood by a person of ordinary skill in the technical field described in this document. Among the terms used in this document, terms defined in general dictionaries may be interpreted as having the same or similar meaning as the meaning in the context of the related art, and unless explicitly defined in this document, in an ideal or excessively formal meaning. not interpreted In some cases, even terms defined in this document cannot be interpreted to exclude the embodiments of this document.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면 차량번호판 미장착 차량의 출입 통제 장치와, 사용자 장치 및 제2 차량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면 차량번호판 미장착 차량의 출입 통제 장치의 구성 블록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면 차량번호판 미장착 차량의 출입 통제 장치를 향해 제2 차량이 진입하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면 차량번호판 미장착 차량의 출입 통제 장치가 제2 차량이 진입을 감지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면 차량번호판 미장착 차량의 출입 통제 장치가 사용자 장치로부터 수신된 출입 정보에 기초하여 제2 차량을 입차시키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1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access control device, a user device, and a second vehicle for a vehicle without a license plate on the fron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2 is a vehicle without a license plate on the fron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block diagram of the access control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3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second vehicle enters the access control device of a vehicle without a license plate on the fron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4 is a view showing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view for explaining a process of detecting the entry of a second vehicle by an access control device for a vehicle without a front license plat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This is a diagram for explaining a process of allowing the control device to park the second vehicle based on access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user device.

도 1 및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면 차량번호판 미장착 차량의 출입 통제 장치(100)는 아파트 단지, 건물 및 주차장에 배치되어 아파트 단지, 건물 및 주차장의 출입을 통제하는 장치일 수 있다.1 and 5, an access control device 100 for a vehicle not equipped with a front license plat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disposed in an apartment complex, a building, and a parking lot to control access to the apartment complex, building, and parking lot. may be a device.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면 차량번호판 미장착 차량의 출입 통제 장치(100)는 출입이 허가된 차량만을 입출차시키거나 별도의 입출차 신호를 수신하면 입출차를 시도하는 차량을 입출차시킬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access control device 100 for a vehicle without a license plate on the front can enter and exit only vehicles permitted to enter or enter and exit a vehicle attempting to enter and exit when a separate entry and exit signal is received. there is.

이때,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면 차량번호판 미장착 차량의 출입 통제 장치(100)는 차량이 입차를 위해 근접하여 진입하는 경우, 차량의 전면을 촬영한 차량 전면 이미지로부터 차량 번호의 인식을 시도할 수 있다.At this time, the access control device 100 for a vehicle not equipped with a front license plat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ttempts to recognize the vehicle number from the front image of the vehicle photographed when the vehicle approaches to enter the vehicle. can do.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면 차량번호판 미장착 차량의 출입 통제 장치(100)는 차량 전면 이미지로부터 차량 번호가 인식되면 차량 번호가 출입 허가 차량 번호 목록에 포함되어 있으면 입차의 차단을 해제하여 해당 차량을 입차시킬 수 있다.When the vehicle number is recognized from the front image of the vehicle, the access control device 100 for a vehicle not equipped with a front license plat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leases the blocking of entry of the vehicle if the vehicle number is included in the list of license plate numbers. can be loaded.

반대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면 차량번호판 미장착 차량의 출입 통제 장치(100)는 차량 전면 이미지로부터 차량 번호가 인식되면 차량 번호가 출입 허가 차량 번호 목록에 포함되어 있지 않으면 입차의 차단을 해제하지 않고 해당 차량을 입차시키지 않을 수 있다.Conversely, when the vehicle number is recognized from the front image of the vehicle, the access control device 100 for a vehicle without a front license plat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leases blocking of entry if the vehicle number is not included in the list of license plates. Otherwise, the vehicle may not be parked.

이를 통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면 차량번호판 미장착 차량의 출입 통제 장치(100)는 차량 번호가 출입 허가 차량 번호 목록에 포함된 차량만을 입차시킬 수 있다.Through this, the access control device 100 for vehicles not equipped with front license plate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allow only vehicles whose vehicle numbers are included in the list of license plates allowed to enter.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면 차량번호판 미장착 차량의 출입 통제 장치(100)는 차량 전면 이미지로부터 차량 번호가 인식되지 않으면 사용자 장치(200)와 통신 연결을 수행하여 사용자 장치(200)로 출입 정보를 요청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if the vehicle number is not recognized from the front image of the vehicle, the access control device 100 for a vehicle without a front license plat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performs a communication connection with the user device 200 to the user device 200. Access information may be requested.

이후,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면 차량번호판 미장착 차량의 출입 통제 장치(100)는 사용자 장치(200)로부터 수신된 출입 정보가 출입 허가된 차량임을 나타내면 입차의 차단을 해제하여 해당 차량을 입차시킬 수 있다.Then, when the access control device 100 for a vehicle not equipped with a front license plat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dicates that the access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user device 200 indicates that the vehicle is permitted to enter, the device 100 unblocks the entry and allows the vehicle to enter the vehicle. can make it

반대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면 차량번호판 미장착 차량의 출입 통제 장치(100)는 사용자 장치(200)로부터 수신된 출입 정보가 출입 허가된 차량임을 나타내지 않으면 입차의 차단을 해제하지 않고 해당 차량을 입차시키지 않을 수 있다.Conversely, if the access control device 100 for a vehicle not equipped with a front license plat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does not indicate that the access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user device 200 indicates that the vehicle is permitted to enter, the device does not unblock the vehicle from entering the vehicle. may not be loaded.

이를 통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면 차량번호판 미장착 차량의 출입 통제 장치(100)는 차량 전면에 차량번호판의 미장착으로 인해서 차량번호를 인식하지 못하더라도 사용자 장치(200)로부터 출입 정보를 수신하여 출입이 허가된 차량만을 입차시킬 수 있다.Through this, the access control device 100 for a vehicle without a license plate on the front of the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ceives access information from the user device 200 even if the vehicle number is not recognized due to the license plate not mounted on the front of the vehicle. Therefore, only vehicles with permission to enter can be parked.

이를 위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면 차량번호판 미장착 차량의 출입 통제 장치(100)는 감지부(110), 프로세서(120), 촬영부(130), 개폐부(140), 통신부(150), 저장부(160) 및 표시부(170)를 포함할 수 있다.To this end, the access control device 100 for a vehicle not equipped with a front license plat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detector 110, a processor 120, a photographing unit 130, an opening/closing unit 140, and a communication unit 150. , A storage unit 160 and a display unit 170 may be included.

감지부(110)는 차량 진입을 감지할 수 있다. 여기서, 차량은 차량 전면에 차량번호판이 장착된 제1 차량 및 차량 전면에 차량번호판이 미장착된 제2 차량(B)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The detector 110 may detect vehicle entry. Here, the vehicle may be any one of a first vehicle having a license plate mounted on the front of the vehicle and a second vehicle B having no license plate mounted on the front of the vehicle.

예를 들어, 제1 차량은 승용차, 화물차 및 버스 중 어느 하나 일 수 있고, 제2 차량(B)은 이륜차(오토바이)일 수 있다.For example, the first vehicle may be any one of a passenger car, a truck, and a bus, and the second vehicle B may be a two-wheeled vehicle (motorcycle).

즉, 감지부(110)는 차량 전면에 차량번호판이 장착된 제1 차량 및 차량 전면에 차량번호판이 미장착된 제2 차량(B) 중 어느 하나의 진입을 감지할 수 있다.That is, the detector 110 may detect the entry of any one of the first vehicle having a license plate mounted on the front of the vehicle and the second vehicle B having no license plate mounted on the front of the vehicle.

이를 위해, 감지부(110)는 감지 코일(L)을 구비할 수 있다. 감지 코일(L)은 루프 코일일 수 있으며, 감지 코일(L)은 후술되는 개폐부(140)에 구비된 차단바(OS)에 근접하여 지면에 매립될 수 있다.To this end, the sensing unit 110 may include a sensing coil (L). The sensing coil L may be a loop coil, and the sensing coil L may be buried in the ground in proximity to a blocking bar OS provided in the opening/closing unit 140 to be described later.

감지부(110)는 감지 코일(L)에 전류를 인가하여 감지 코일(L)의 상부에 자기장을 형성하고,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감지 코일(L)의 상부에 차량이 진입하여 감지 코일(L)의 인덕턴스 값의 변화가 감지되면, 제1 차량 및 제2 차량(B) 중 어느 하나가 진입한 것으로 감지할 수 있다.The sensing unit 110 applies a current to the sensing coil L to form a magnetic field on top of the sensing coil L, and as shown in FIG. 3 , a vehicle enters the top of the sensing coil L and senses it. When a change in the inductance value of the coil L is detected, it may be detected that either the first vehicle or the second vehicle B has entered.

감지부(110)는 제1 차량 및 제2 차량(B) 중 어느 하나가 진입한 것으로 감지하면, 상기 제1 차량 및 상기 제2 차량(B) 중 어느 하나의 진입을 나타내는 진입 감지 신호를 프로세서(120)로 출력할 수 있다.When detecting that either one of the first vehicle and the second vehicle B has entered, the detector 110 transmits an entry detection signal indicating entry of either one of the first vehicle and the second vehicle B to the processor. (120) can be output.

이때, 감지부(110)는 상기 제1 차량 및 상기 제2 차량(B) 중 어느 하나가 진입함을 나타내는 신호로써, 진입 감지 신호를 출력할 수도 있고, 상술된 감지 코일(L)의 인덕턴스 값의 변화에 비례하는 신호 세기로 진입 감지 신호를 출력할 수도 있다.At this time, the detector 110 may output an entry detection signal as a signal indicating that one of the first vehicle and the second vehicle B enters, and the above-described inductance value of the detection coil L An entry detection signal may be output with a signal strength proportional to a change in .

한편, 감지 코일(L)의 인덕턴스 값의 변화는 제1 차량 및 제2 차량(B) 각각의 전도성 및 크기에 따라 다를 수 있고, 제1 차량이 감지 코일(L)의 상부에 진입하는 경우가 제1 차량 보다 크기가 작은 제2 차량(B)이 감지 코일(L)의 상부에 진입하는 경우 보다 더 클 수 있다.Meanwhile, the change in inductance value of the sensing coil (L) may vary according to the conductivity and size of each of the first and second vehicles (B), and there is a case where the first vehicle enters the top of the sensing coil (L). It may be larger than when the second vehicle B, which is smaller than the first vehicle, enters the top of the sensing coil L.

이에 따라, 감지부(110)가 감지 코일(L)의 인덕턴스 값의 변화에 비례하는 신호 세기로 진입 감지 신호를 출력하는 경우, 제1 차량 및 제2 차량(B)에 따라 진입 감지 신호의 신호 세기가 다를 수 있으며, 제1 차량에 대응되는 진입 감지 신호의 신호 세기가 제2 차량(B)에 대응되는 진입 감지 신호의 신호 세기 보다 클 수 있다. Accordingly, when the sensing unit 110 outputs the entry detection signal with a signal strength proportional to the change in the inductance value of the sensing coil L, the signal of the entry detection signal according to the first vehicle and the second vehicle B The intensity may be different, and the signal intensity of the entry detection signal corresponding to the first vehicle may be greater than the signal intensity of the entry detection signal corresponding to the second vehicle B.

한편, 프로세서(120)는 상기 제1 차량 및 상기 제2 차량(B) 중 어느 하나의 진입이 감지되면 진입한 차량 전면을 촬영하여 차량 전면 이미지를 생성하도록 촬영부(130)를 제어할 수 있다.Meanwhile, the processor 120 may control the photographing unit 130 to generate a front image of the vehicle by photographing the front of the entered vehicle when the entry of any one of the first vehicle and the second vehicle B is detected. .

구체적으로, 프로세서(120)는 감지부(110)로부터 진입 감지 신호를 입력받으면 촬영부(130)가 차량 전면을 촬영하도록 촬영부(130)를 제어할 수 있다. Specifically, the processor 120 may control the photographing unit 130 to photograph the front of the vehicle when receiving an entry detection signal from the detector 110 .

즉, 촬영부(130)는 상기 제1 차량 및 상기 제2 차량(B) 중 어느 하나의 진입이 감지되면 진입한 차량의 차량 전면을 촬영하여 차량 전면 이미지를 생성할 수 있다.That is, when the entry of any one of the first vehicle and the second vehicle B is detected, the photographing unit 130 may capture the front of the vehicle entering the vehicle and generate a front image of the vehicle.

이러한, 촬영부(13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촬영 영역이 차단바(OS)과 근접한 감지 코일(L)의 상부 영역이 되도록 고정되어 배치될 수 있다.As shown in FIG. 4 , the photographing unit 130 may be fixedly arranged so that the photographing area is an upper region of the sensing coil L close to the blocking bar OS.

프로세서(120)는 생성된 차량 전면 이미지로부터 차량 번호의 인식을 시도할 수 있다.The processor 120 may attempt to recognize the vehicle number from the generated front image of the vehicle.

이때, 프로세서(120)는 문자 및 숫자 인식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차량 전면 이미지 중에서 차량번호판 이미지를 추출하고, 차량번호판 이미지로부터 문자 및 숫자를 추출하여 차량 번호로 인식할 수 있다.At this time, the processor 120 may extract a license plate image from the front image of the vehicle using a character and number recognition algorithm, and extract letters and numbers from the license plate image and recognize them as a vehicle number.

프로세서(120)는 상기 차량 번호의 인식 여부에 기초하여 사용자 장치(200)로 출입 정보를 요청할 수 있다.The processor 120 may request access information from the user device 200 based on whether the license plate number is recognized.

구체적으로, 프로세서(120)는 차량 전면 이미지로부터 차량 번호가 인식되지 않으면 사용자 장치(200)로 출입 정보를 요청할 수 있다.Specifically, the processor 120 may request access information from the user device 200 when the vehicle number is not recognized from the front image of the vehicle.

보다 구체적으로, 프로세서(120)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 차량 및 상기 제2 차량(B) 중 하나 이상의 진입이 감지된 진입 감지 시점으로부터 인식 대기 시간이 경과된 인식 대기 종료 시점까지 상기 차량 전면 이미지로부터 상기 차량 번호가 인식되지 않으면, 상기 사용자 장치(200)와의 통신 연결과 상기 사용자 장치(200)로의 출입 정보 요청 신호 송신을 수행하도록 통신부(150)를 제어할 수 있다.More specifically, as shown in FIG. 5 , the processor 120 is configured to detect the entry of at least one of the first vehicle and the second vehicle B at the end of the recognition waiting time when the recognition waiting time has elapsed from the entry detection time. If the license plate number is not recognized from the vehicle front image by , the communication unit 150 may be controlled to perform a communication connection with the user device 200 and transmission of an access information request signal to the user device 200.

여기서, 출입 정보 요청 신호는 통신부(150)가 사용자 장치(200)로 출입 정보를 요청하는 신호일 수 있다.Here, the access information request signal may be a signal through which the communication unit 150 requests access information from the user device 200 .

여기서, 출입 정보는 해당 사용자의 제2 차량(B)이 출입이 허가된 차량인지를 나타내는 정보일 수 있다.Here, the access information may be information indicating whether the second vehicle B of the corresponding user is a vehicle for which access is permitted.

프로세서(120)는 사용자 장치(200)로부터 수신된 상기 출입 정보가 출입 허가된 차량임을 나타내면 입차의 차단이 해제되도록 개폐부(140)를 제어할 수 있다.The processor 120 may control the opening/closing unit 140 to release blocking of entering the vehicle when the access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user device 200 indicates that the vehicle is permitted to enter.

이를 위해, 프로세서(120)는 출입 정보에 포함된 출입 키 값이 허가 출입 키 값 목록에 포함되는지 여부를 확인하고, 출입 정보에 포함된 출입 키 값이 허가 출입 키 값 목록에 포함되면 입차의 차단이 해제되도록 개폐부(140)를 제어할 수 있다.To this end, the processor 120 checks whether the access key value included in the access information is included in the permitted access key value list, and blocks entry if the access key value included in the access information is included in the permitted access key value list. The opening/closing unit 140 may be controlled to be released.

반대로, 프로세서(120)는 출입 정보에 포함된 출입 키 값이 허가 출입 키 값 목록에 포함되어 있지 않으면 입차의 차단이 해제되지 않도록 개폐부(140)를 제어할 수 있다.Conversely, the processor 120 may control the opening/closing unit 140 so that blocking of vehicle entry is not released if the access key value included in the access information is not included in the permitted access key value list.

이를 통해, 프로세서(120)는 전면에 차량번호판이 미장착된 제2 차량(B)이더라도 출입이 허용된 제2 차량(B)만을 진입시킬 수 있다.Through this, the processor 120 may allow only the second vehicle B to enter even if the second vehicle B is not equipped with a license plate on the front side.

한편, 프로세서(120)는 상기 인식 대기 종료 시점 전에 상기 차량 전면 이미지로부터 상기 차량 번호가 인식되면 인식된 차량 번호가 출입 허가 차량 번호 목록에 포함되어 있는지 여부를 확인하고, 인식된 차량 번호가 상기 출입 허가 차량 번호 목록에 포함되어 있으면, 상기 입차의 차단이 해제되도록 상기 개폐부(140)를 제어할 수 있다.Meanwhile, when the vehicle number is recognized from the front image of the vehicle before the waiting for recognition ends, the processor 120 checks whether the recognized vehicle number is included in the list of vehicle numbers allowing entry and exit, and determines whether the recognized vehicle number corresponds to the entry/exit permit. If it is included in the permitted vehicle number list, the opening/closing unit 140 may be controlled so that blocking of the vehicle entry is released.

반대로, 프로세서(120)는 인식된 차량 번호가 상기 출입 허가 차량 번호 목록에 포함되어 있지 않으면, 상기 입차의 차단이 해제되지 않도록 상기 개폐부(140)를 제어할 수 있다.Conversely, the processor 120 may control the opening/closing unit 140 so that the blocking of the vehicle entry is not released when the recognized license plate number is not included in the list of license plate numbers.

이를 통해, 프로세서(120)는 전면에 차량번호판이 장착된 제1 차량이더라도 출입이 허용된 제1 차량만을 진입시킬 수 있다.Through this, the processor 120 may allow only the first vehicle to be entered even if the first vehicle is equipped with a license plate on the front side.

이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프로세서(120)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Hereinafter, the processor 120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will be described.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프로세서(120)는 상기 사용자 장치(200)로부터 수신된 상기 출입 정보가 출입 허가된 차량임을 나타내면 상기 진입 감지 신호에 기초하여 신호 세기 기준 범위를 설정할 수 있다.If the access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user device 200 indicates that the vehicle is permitted to enter, the processor 120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may set a signal strength reference range based on the entry detection signal.

이때, 프로세서(120)는 감지 코일(L)의 인덕턴스 값의 변화에 비례하는 신호 세기로 출력되는 진입 감지 신호를 감지부(110)로부터 입력받을 수 있다.At this time, the processor 120 may receive an input detection signal from the sensing unit 110 that is output with a signal strength proportional to a change in the inductance value of the sensing coil L.

또한, 프로세서(120)는 상기 출입 정보에 상기 신호 세기 기준 범위가 매칭되어 저장되도록 저장부(160)를 제어할 수 있다.Also, the processor 120 may control the storage unit 160 to match the signal strength reference range to the access information and store the matched signal strength reference range.

우선, 프로세서(120)는 전면에 차량번호판이 미장착된 제2 차량(B)이 진입하여 차량 번호가 인식되지 않음으로써, 수신된 출입 정보가 출입 허가된 차량임을 나타내면 입차의 차단이 해제되도록 상기 개폐부(140)를 제어할 수 있다.First of all, the processor 120 operates the opening/closing unit so that when the second vehicle B without a license plate is entered and the vehicle number is not recognized, the received entry/exit information indicates that the entry is permitted. (140) can be controlled.

제2 차량(B)이 입차된 이후, 프로세서(120)는 진입 감지 신호에 기초하여 신호 세기 기준 범위를 설정할 수 있다. 이때, 프로세서(120)는 진입 감지 신호의 신호 세기를 중앙값으로 하고, 진입 감지 신호의 신호 세기의 95%를 최소값으로 하며, 진입 감지 신호의 신호 세기의 105%를 최대값으로 하는 신호 세기 기준 범위를 설정할 수 있다.After the second vehicle B enters, the processor 120 may set the signal strength reference range based on the entry detection signal. At this time, the processor 120 takes the signal strength of the entry detection signal as the median value, 95% of the signal strength of the entry detection signal as the minimum value, and 105% of the signal strength of the entry detection signal as the maximum signal strength reference range. can be set.

프로세서(120)는 상기 신호 세기 기준 범위가 설정된 이후, 제2 차량(B)이 다시 진입하여 상기 사용자 장치(200)로부터 수신된 상기 출입 정보가 출입 허가된 차량임을 나타내면 상기 출입 정보에 매칭된 상기 신호 세기 기준 범위에 상기 진입 감지 신호의 신호 세기가 포함되는지 여부에 기초하여 상기 개폐부(140)를 제어할 수 있다.After the signal strength reference range is set, the processor 120 determines that the second vehicle B enters again and the access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user device 200 indicates that the access is permitted. The opening/closing unit 140 may be controlled based on whether the signal strength of the entry detection signal is included in the signal strength reference range.

구체적으로, 프로세서(120)는 상기 진입 감지 신호의 신호 세기가 상기 신호 세기 기준 범위에 포함되면 입차의 차단이 해제되도록 상기 개폐부(140)를 제어할 수 있다.Specifically, the processor 120 may control the opening/closing unit 140 so that blocking of entry is released when the signal strength of the entry detection signal is included in the signal strength reference range.

반대로, 프로세서(120)는 상기 진입 감지 신호의 신호 세기가 상기 신호 세기 기준 범위에 포함되지 않으면 입차의 차단이 해제되지 않도록 상기 개폐부(140)를 제어할 수 있다.Conversely, the processor 120 may control the opening/closing unit 140 so that blocking of entry is not released when the signal strength of the entry detection signal is not included in the signal strength reference range.

즉, 프로세서(120)는 출입 정보가 수신되면 해당 출입 정보와 매칭된 신호 세기 기준 범위가 있는지 확인하고, 해당 출입 정보와 매칭된 신호 세기 기준 범위가 확인되면, 수신된 출입 정보가 출입 허가된 차량임을 나타내더라도, 진입 감지 신호의 신호 세기가 상기 신호 세기 기준 범위에 포함되야지만 입차의 차단이 해제되도록 상기 개폐부(140)를 제어할 수 있다.That is, when the access information is received, the processor 120 checks whether there is a signal strength reference range matched with the corresponding access information, and if the signal strength reference range matched with the corresponding access information is confirmed, the received access information corresponds to a vehicle that has been permitted to enter. , it is possible to control the opening/closing unit 140 so that blocking of entry is released only when the signal strength of the entry detection signal is included in the signal strength reference range.

이를 통해, 사용자 장치(200)의 출입 정보만을 이용하여 사용자가 허가되지 않은 복수의 제2 차량(B)으로 진입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Through this, it is possible to prevent a phenomenon in which a user enters into a plurality of unauthorized second vehicles B using only access information of the user device 200 .

이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프로세서(120)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Hereinafter, a processor 120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will be described.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프로세서(120)는 상기 사용자 장치(200)로부터 수신된 상기 출입 정보가 출입 허가된 차량임을 나타내면 상기 차량 전면 이미지로부터 사용자 차량 이미지를 추출하여 기준 차량 이미지로 설정할 수 있다.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the processor 120 may extract a user vehicle image from the front image of the vehicle and set it as a reference vehicle image when the access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user device 200 indicates that the vehicle is permitted to enter.

또한, 프로세서(120)는 상기 출입 정보에 상기 기준 차량 이미지가 매칭되어 저장되도록 저장부(160)를 제어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processor 120 may control the storage unit 160 to match and store the reference vehicle image with the access information.

우선, 프로세서(120)는 전면에 차량번호판이 미장착된 제2 차량(B)이 진입하여 차량 번호가 인식되지 않음으로써, 수신된 출입 정보가 출입 허가된 차량임을 나타내면 입차의 차단이 해제되도록 상기 개폐부(140)를 제어할 수 있다.First of all, the processor 120 operates the opening/closing unit so that when the second vehicle B without a license plate is entered and the vehicle number is not recognized, the received entry/exit information indicates that the entry is permitted. (140) can be controlled.

제2 차량(B)이 입차된 이후, 프로세서(120)는 추출된 사용자 차량 이미지를 기준 차량 이미지로 설정할 수 있다. 이때, 프로세서(120)는 이미지 추출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차량 전면 이미지로부터 사용자 차량 이미지를 추출하여 기준 차량 이미지로 설정할 수 있다.After the second vehicle B enters, the processor 120 may set the extracted user vehicle image as a reference vehicle image. In this case, the processor 120 may extract the user's vehicle image from the vehicle front image using an image extraction algorithm and set it as a reference vehicle image.

프로세서(120)는 상기 기준 차량 이미지가 설정된 이후, 제2 차량(B)이 다시 진입하여 상기 사용자 장치(200)로부터 수신된 상기 출입 정보가 출입 허가된 차량임을 나타내면 상기 출입 정보에 매칭된 상기 기준 차량 이미지가 차량 전면 이미지에서 검색되는지 여부에 기초하여 상기 개폐부(140)를 제어할 수 있다.After the reference vehicle image is set, the processor 120 determines that the second vehicle B enters again and the access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user device 200 indicates that the vehicle is permitted to enter, the reference matched to the access information. The opening/closing unit 140 may be controlled based on whether the vehicle image is retrieved from the vehicle front image.

구체적으로, 프로세서(120)는 기준 차량 이미지가 차량 전면 이미지에서 검색되면 입차의 차단이 해제되도록 상기 개폐부(140)를 제어할 수 있다.In detail, the processor 120 may control the opening/closing unit 140 so that blocking of entering the vehicle is released when the reference vehicle image is retrieved from the front image of the vehicle.

반대로, 프로세서(120)는 기준 차량 이미지가 차량 전면 이미지에서 검색되지 않으면 입차의 차단이 해제되지 않도록 상기 개폐부(140)를 제어할 수 있다.Conversely, the processor 120 may control the opening/closing unit 140 so that blocking of entering the vehicle is not released if the reference vehicle image is not retrieved from the front image of the vehicle.

즉, 프로세서(120)는 출입 정보가 수신되면 해당 출입 정보와 매칭된 기준 차량 이미지가 있는지 확인하고, 해당 출입 정보와 매칭된 기준 차량 이미지가 확인되면, 수신된 출입 정보가 출입 허가된 차량임을 나타내더라도, 차량 전면 이미지에서 기준 차량 이미지가 검색되어야지만 입차의 차단이 해제되도록 상기 개폐부(140)를 제어할 수 있다.That is, when access information is received, the processor 120 checks whether there is a reference vehicle image matched with the corresponding access information, and if the reference vehicle image matched with the corresponding access information is confirmed, indicates that the received access information indicates that the vehicle is permitted to enter. Even so, the opening/closing unit 140 can be controlled so that blocking of entering the vehicle is released only when the reference vehicle image is retrieved from the vehicle front image.

이를 통해, 사용자 장치(200)의 출입 정보만을 이용하여 사용자가 허가되지 않은 복수의 제2 차량(B)으로 진입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Through this, it is possible to prevent a phenomenon in which a user enters into a plurality of unauthorized second vehicles B using only access information of the user device 200 .

개폐부(140)는 차량의 입차와 출차를 통제하기 위해 차량의 통행로를 개폐하는 차단바(OS)와 차단바(OS)의 작동을 제어하는 개폐 모터를 구비할 수 있다.The opening/closing unit 140 may include a blocking bar (OS) for opening and closing a passageway of a vehicle and an opening/closing motor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blocking bar (OS) in order to control entry and exit of the vehicle.

이러한, 개폐부(140)는 프로세서의 개폐 신호에 대응하여 차단바(OS)를 개방하거나 폐쇄할 수 있다.The opening/closing unit 140 may open or close the blocking bar OS in response to an opening/closing signal of the processor.

한편, 프로세서(120)는 상술된 각 구성 요소의 작동을 수행할 수 있으며, 하나 이상의 코어(core, 미도시) 및 그래픽 처리부(미도시) 및/또는 다른 구성 요소와 신호를 송수신하는 연결 통로(예를 들어, 버스(bus) 등)를 포함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processor 120 may perform the operation of each of the above-described components, one or more cores (core, not shown) and a graphic processing unit (not shown) and / or a connection path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signals to and from other components ( For example, a bus, etc.) may be included.

프로세서(120)는 저장부(160)에 저장된 하나 이상의 인스트럭션을 실행함으로써, 상술된 각 구성 요소의 작동을 수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The processor 120 may be configured to perform the operation of each component described above by executing one or more instructions stored in the storage unit 160 .

통신부(150)는 통신망과 연동하여 사용자 장치(200)와 각 장치들 간의 송수신 신호를 패킷 데이터 형태로 제공하는 데 필요한 통신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나아가, 통신부(150)는 각각의 장치들의 데이터 요청에 응답하여 데이터를 송신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The communication unit 150 may provide a communication interface necessary to provide a transmission/reception signal between the user device 200 and each device in the form of packet data in conjunction with a communication network. Furthermore, the communication unit 150 may serve to transmit data in response to data requests from respective devices.

여기서, 통신부(150)는 다른 네트워크 장치와 유무선 연결을 통해 제어 신호 또는 데이터 신호와 같은 신호를 송수신하기 위해 필요한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를 포함하는 장치일 수 있다.Here, the communication unit 150 may be a device including hardware and software necessary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a signal such as a control signal or a data signal with another network device through a wired or wireless connection.

저장부(160)에는 프로세서(120)의 처리 및 제어를 위한 프로그램들(하나 이상의 인스트럭션들)을 저장할 수 있다. 저장부(160)에 저장된 프로그램들은 기능에 따라 복수 개의 모듈들로 구분될 수 있다.The storage unit 160 may store programs (one or more instructions) for processing and control of the processor 120 . Programs stored in the storage unit 160 may be divided into a plurality of modules according to functions.

표시부(170)는 프로세서(120)의 제어에 따라 이미지나 비디오를 표시할 수 있다. The display unit 170 may display images or videos under the control of the processor 120 .

구체적으로, 표시부(170)는 프로세서(120)의 제어에 따라 입차 허용 여부를 나타내는 입차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Specifically, the display unit 170 may display entry information indicating whether or not entry is permitted under the control of the processor 120 .

사용자 장치(200)는 제2 차량(B)을 운행하는 사용자에 의해 제어되는 장치일 수 있다.The user device 200 may be a device controlled by a user driving the second vehicle B.

예를 들어, 사용자 장치(200)는 스마트폰, PDA, 태블릿 PC 중 어느 하나 일 수 있으나, 통신부(150)와 통신을 수행하여 출입 정보를 송신할 수 있는 한 그 종류가 제한되지 않음을 유의한다.For example, the user device 200 may be any one of a smartphone, a PDA, and a tablet PC, but note that the type is not limited as long as it can transmit access information by communicating with the communication unit 150. .

이제까지 본 발명에 대하여 바람직한 실시 예를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변형된 형태로 본 발명을 구현할 수 있음을 이해할 것이다. 그러므로 개시된 실시 예들은 한정적인 관점이 아니라 설명적인 관점에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전술한 설명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나타나 있으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차이점은 본 발명에 포함된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So far,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inly looked at with respect to preferred embodiments. Those skilled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belongs will understand that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implemented in a modified form without departing from the essential characteristic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fore, the disclosed embodiments should be considered from a descriptive point of view rather than a limiting point of view.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shown in the claims rather than the foregoing description, and all differences within the equivalent scope should be construed as being included in the present invention.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이것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특허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As described above, although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by the limited embodiments and drawings,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following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belongs Of course,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are possible within the scope of equivalents of the claims to be described.

100 : 전면 차량번호판 미장착 차량의 출입 통제 장치
110 : 감지부
120 : 프로세서
130 : 촬영부
140 : 개폐부
150 : 통신부
160 : 저장부
170 : 표시부
200 : 사용자 장치
100: Access control device for vehicles not equipped with front license plates
110: sensing unit
120: processor
130: shooting unit
140: opening and closing part
150: Ministry of Communication
160: storage unit
170: display unit
200: user device

Claims (9)

차량 전면에 차량번호판이 장착된 제1 차량 및 차량 전면에 차량번호판이 미장착된 제2 차량 중 어느 하나의 진입을 감지하는 감지부;
상기 제1 차량 및 상기 제2 차량 중 어느 하나의 진입이 감지되면 진입한 차량의 차량 전면 이미지를 생성하는 촬영부; 및
상기 차량 전면 이미지로부터 차량 번호의 인식을 시도하고, 상기 차량 번호의 인식 여부에 기초하여 사용자 장치로 출입 정보를 요청하고, 상기 출입 정보가 수신되면 상기 출입 정보가 출입 허가를 나타내는지 여부를 확인하고, 상기 출입 정보가 출입 허가된 차량임을 나타내면 입차의 차단이 해제되도록 개폐부를 제어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면 차량번호판 미장착 차량의 출입 통제 장치.
a detector for detecting entry of any one of a first vehicle having a license plate mounted on the front of the vehicle and a second vehicle having no license plate mounted on the front of the vehicle;
a photographing unit generating a vehicle front image of the entered vehicle when the entry of any one of the first vehicle and the second vehicle is detected; and
Attempting to recognize the vehicle number from the front image of the vehicle, requesting access information to the user device based on whether the vehicle number is recognized, and checking whether the access information indicates permission for entry when the access information is received, , a processor for controlling the opening/closing unit so that blocking of entering the car is released when the access information indicates that the vehicle is permitted to enter;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Access control device for vehicles without front license plates.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1 차량 및 상기 제2 차량 중 하나 이상의 진입이 감지된 진입 감지 시점으로부터 인식 대기 시간이 경과된 인식 대기 종료 시점까지 상기 차량 전면 이미지로부터 상기 차량 번호가 인식되지 않으면, 상기 사용자 장치와의 통신 연결과 상기 사용자 장치로의 출입 정보 요청 신호의 송신을 수행하도록 통신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면 차량번호판 미장착 차량의 출입 통제 장치.
According to claim 1,
The processor
If the vehicle number is not recognized from the front image of the vehicle from the entry detection time point when the entry of one or more of the first vehicle and the second vehicle is detected to the recognition waiting end point when the recognition waiting time has elapsed, communication with the user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for controlling the communication unit to perform the connection and transmission of the access information request signal to the user device
Access control device for vehicles without front license plates.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인식 대기 종료 시점 전에 상기 차량 전면 이미지로부터 상기 차량 번호가 인식되면 인식된 차량 번호가 출입 허가 차량 번호 목록에 포함되어 있는지 여부를 확인하고, 인식된 차량 번호가 상기 출입 허가 차량 번호 목록에 포함되어 있으면, 상기 입차의 차단이 해제되도록 상기 개폐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면 차량번호판 미장착 차량의 출입 통제 장치.
According to claim 2,
The processor
If the vehicle number is recognized from the front image of the vehicle before the end of the waiting for recognition, it is checked whether the recognized vehicle number is included in the list of vehicle numbers allowed for entry, and the recognized vehicle number is included in the list of vehicle numbers allowed for entry. If there is, characterized in that for controlling the opening and closing portion so that the blocking of the entrance is released
Access control device for vehicles without front license plates.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부는
상기 제1 차량 및 상기 제2 차량 중 어느 하나의 진입을 나타내는 진입 감지 신호를 출력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사용자 장치로부터 수신된 상기 출입 정보가 출입 허가된 차량임을 나타내면 상기 진입 감지 신호에 기초하여 신호 세기 기준 범위를 설정하고, 상기 출입 정보에 상기 신호 세기 기준 범위가 매칭되어 저장되도록 저장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면 차량번호판 미장착 차량의 출입 통제 장치.
According to claim 1,
the sensing unit
Outputting an entry detection signal indicating entry of any one of the first vehicle and the second vehicle;
The processor
When the access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user device indicates that the vehicle is permitted to enter, setting a signal strength reference range based on the entry detection signal, and controlling a storage unit so that the signal strength reference range is matched with the entry information and stored. characterized
Access control device for vehicles without front license plates.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신호 세기 기준 범위가 설정된 이후, 상기 사용자 장치로부터 수신된 상기 출입 정보가 출입 허가된 차량임을 나타내면 상기 출입 정보에 매칭된 상기 신호 세기 기준 범위에 상기 진입 감지 신호의 신호 세기가 포함되는지 여부에 기초하여 상기 개폐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면 차량번호판 미장착 차량의 출입 통제 장치.
According to claim 4,
The processor
After the signal strength reference range is set, if the access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user device indicates that the vehicle is permitted to enter, based on whether the signal strength of the entry detection signal is included in the signal strength reference range matched to the access information. characterized in that for controlling the opening and closing portion
Access control device for vehicles without front license plates.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진입 감지 신호의 신호 세기가 상기 신호 세기 기준 범위에 포함되면 입차의 차단이 해제되도록 상기 개폐부를 제어하고, 상기 진입 감지 신호의 신호 세기가 상기 신호 세기 기준 범위에 포함되지 않으면 입차의 차단이 해제되지 않도록 상기 개폐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면 차량번호판 미장착 차량의 출입 통제 장치.
According to claim 5,
The processor
If the signal strength of the entry detection signal is included in the signal strength reference range, the opening/closing unit is controlled to release blocking of the entrance detection signal, and if the signal strength of the entry detection signal is not included in the signal strength reference range, blocking of the entrance is released. Characterized in that for controlling the opening and closing portion so as not to
Access control device for vehicles without front license plates.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사용자 장치로부터 수신된 상기 출입 정보가 출입 허가된 차량임을 나타내면 상기 차량 전면 이미지로부터 사용자 차량 이미지를 추출하여 기준 차량 이미지로 설정하고, 상기 출입 정보에 상기 기준 차량 이미지가 매칭되어 저장되도록 저장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면 차량번호판 미장착 차량의 출입 통제 장치.
According to claim 1,
The processor
When the access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user device indicates that the vehicle is permitted to enter, the user vehicle image is extracted from the front image of the vehicle, set as a reference vehicle image, and the storage unit is controlled so that the reference vehicle image is matched with the access information and stored. characterized by
Access control device for vehicles without front license plates.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기준 차량 이미지가 설정된 이후, 상기 사용자 장치로부터 수신된 상기 출입 정보가 출입 허가된 차량임을 나타내면 상기 출입 정보에 매칭된 상기 기준 차량 이미지가 상기 차량 전면 이미지로부터 검색되는지 여부에 기초하여 상기 개폐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면 차량번호판 미장착 차량의 출입 통제 장치.
According to claim 7,
The processor
After the reference vehicle image is set, if the access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user device indicates that the vehicle is permitted to enter, the control unit is controlled based on whether the reference vehicle image matched with the access information is retrieved from the front image of the vehicle. characterized by
Access control device for vehicles without front license plates.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기준 차량 이미지가 상기 차량 전면 이미지로부터 검색되면 입차의 차단이 해제되도록 상기 개폐부를 제어하고, 상기 기준 차량 이미지가 상기 차량 전면 이미지로부터 검색되지 않으면 입차의 차단이 해제되지 않도록 상기 개폐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면 차량번호판 미장착 차량의 출입 통제 장치.

According to claim 8,
The processor
When the reference vehicle image is retrieved from the vehicle front image, the opening/closing unit is controlled to release blocking of the vehicle entrance, and when the reference vehicle image is not retrieved from the vehicle front image, the opening/closing unit is controlled so that blocking of the vehicle entry is not released. characterized
Access control device for vehicles without front license plates.

KR1020220015486A 2022-02-07 2022-02-07 Apparatus for controlling entrance of vehicles without front number plate KR102655399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15486A KR102655399B1 (en) 2022-02-07 2022-02-07 Apparatus for controlling entrance of vehicles without front number plat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15486A KR102655399B1 (en) 2022-02-07 2022-02-07 Apparatus for controlling entrance of vehicles without front number plat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19396A true KR20230119396A (en) 2023-08-16
KR102655399B1 KR102655399B1 (en) 2024-04-05

Family

ID=878483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15486A KR102655399B1 (en) 2022-02-07 2022-02-07 Apparatus for controlling entrance of vehicles without front number plat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55399B1 (en)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09436B1 (en) * 2008-12-02 2009-07-28 (주)에스엔알 System, sensor node and method for managing the admittance to parking place
KR20170014913A (en) * 2015-07-31 2017-02-08 셀로코주식회사 Car parking incoming and outgoing control system
KR20180096432A (en) * 2017-02-21 2018-08-29 김태호 Vehicle blocking device and system using the same
KR102315786B1 (en) 2020-04-24 2021-10-21 주식회사 다래파크텍 Vehicle access management system for parking lot having one way approach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09436B1 (en) * 2008-12-02 2009-07-28 (주)에스엔알 System, sensor node and method for managing the admittance to parking place
KR20170014913A (en) * 2015-07-31 2017-02-08 셀로코주식회사 Car parking incoming and outgoing control system
KR20180096432A (en) * 2017-02-21 2018-08-29 김태호 Vehicle blocking device and system using the same
KR102315786B1 (en) 2020-04-24 2021-10-21 주식회사 다래파크텍 Vehicle access management system for parking lot having one way approach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55399B1 (en) 2024-04-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58689B1 (en) Service providing system for visitors using cars
CN107221040B (en) Vehicle following prevention control system and method
KR100979752B1 (en) System and method for managing parking lot
KR102297169B1 (en) Vehicel management system using vehicle license plate, vehicle model recognition and rfid sensor
CN111080820A (en) ETC-based vehicle payment method, device, equipment and readable storage medium
KR20170056193A (en) Access authentication system and method
CN105427432A (en) Parking lot management system
KR100757012B1 (en) A parking system and a method for resident designated lots
EP3229163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authentication based on cognitive information
CN106780910A (en) Gate Anti-knocking control method and system
CN115783919A (en) Electric vehicle monitoring system and method for elevator
JP5991886B2 (en) Parking system
KR20230119396A (en) Apparatus for controlling entrance of vehicles without front number plate
KR20230051836A (en) Method and system for License plate recognition corresponding to tailgating in parking control
KR102339841B1 (en) Method and system for License plate recognition corresponding to tailgating in parking control
KR101414960B1 (en) Automated access control system and method for operating the same
JP5467437B2 (en) Parking lot control system
KR102528989B1 (en) Intelligent parking management system and method thereof
JP4945130B2 (en) Vehicle management system for parking lot
CN110276845B (en) Vehicle management system based on car elevator
TWI542491B (en) Prevent the vehicle from stolen car park management system
CN109243093B (en) Intelligent container and method for controlling state of door lock of intelligent container
CN112037369A (en) Unlocking method, system, medium and device of automatic parking spot lock based on vehicle identification
KR102408808B1 (en) System for dual recognizing license plate
KR102612655B1 (en) Illegal parking enforcement system capable of determining intentional license plate obscurat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