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19385A - 분변 채취 장치 - Google Patents

분변 채취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19385A
KR20230119385A KR1020220015461A KR20220015461A KR20230119385A KR 20230119385 A KR20230119385 A KR 20230119385A KR 1020220015461 A KR1020220015461 A KR 1020220015461A KR 20220015461 A KR20220015461 A KR 20220015461A KR 20230119385 A KR20230119385 A KR 2023011938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eces
coupled
sampling rod
collection device
elastic stopp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1546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맹수연
허수은
한연정
최화경
허현영
추지영
표수정
황서정
최혜진
최지승
Original Assignee
춘해보건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춘해보건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춘해보건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22001546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119385A/ko
Publication of KR2023011938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1938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0/00Other methods or instruments for diagnosis, e.g. instruments for taking a cell sample, for biopsy, for vaccination diagnosis; Sex determination; Ovulation-period determination; Throat striking implements
    • A61B10/0038Devices for taking faeces samples; Faecal examination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0/00Other methods or instruments for diagnosis, e.g. instruments for taking a cell sample, for biopsy, for vaccination diagnosis; Sex determination; Ovulation-period determination; Throat striking implements
    • A61B10/0096Casings for storing test sampl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0/00Other methods or instruments for diagnosis, e.g. instruments for taking a cell sample, for biopsy, for vaccination diagnosis; Sex determination; Ovulation-period determination; Throat striking implements
    • A61B2010/009Various features of diagnostic instrument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Patholog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Surge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Investigating Or Analysing Biological Materials (AREA)
  • Sampling And Sample Adjustment (AREA)

Abstract

실시예에 따른 분변 채취 장치는, 내부에 중공이 마련되며, 상기 중공과 외부를 연통하는 슬릿이 길이 방향으로 형성되는 바디; 상기 바디의 측면에서 상기 슬릿으로 삽입되어, 상기 슬릿을 따라 이동되는 레버; 및 상기 바디에서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채변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채변유닛은, 하단부가 상기 바디의 상단부로 삽입되며, 측면이 상기 레버와 결합되어, 상기 바디의 하단부를 향해 슬라이딩되는 채변봉; 상기 바디의 하단부 외주에 결합되며, 중앙이 절개되어, 상기 채변봉의 하단부에 의해 탄성변형되는 탄성마개; 및 상기 탄성마개의 외주에 결합되는 캡;을 포함한다.

Description

분변 채취 장치{FECAL COLLECTION DEVICE}
본 개시(The Present Disclosure)는 분변 채취 장치에 관한 것이다.
분변 채취 장치는 분변잠혈 검사 시, 분변을 채취하고 보관하는 용도로 사용된다.
한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20-0056267호 및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10-0927628호 등에는 분변 채취 장치의 예시적 형태가 게시되어 있다.
종래의 분변 채취 장치를 사용할 시, 사용자는 한 손으로 채변봉을 사용하여 분변을 채취하며, 다른 한 손으로 분변을 보관하는 용기를 파지해야 한다.
KR 10-2020-0056267 A (2020.05.22.) KR 10-0927628 B1 (2009.11.20.)
한 손으로 간편하게 분변을 채취할 수 있는 분변 채취 장치를 제공한다.
실시예에 따른 분변 채취 장치는, 내부에 중공이 마련되며, 상기 중공과 외부를 연통하는 슬릿이 길이 방향으로 형성되는 바디; 상기 바디의 측면에서 상기 슬릿으로 삽입되어, 상기 슬릿을 따라 이동되는 레버; 및 상기 바디에서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채변유닛;을 포함한다.
실시예에 따른 상기 채변유닛은, 하단부가 상기 바디의 상단부로 삽입되며, 측면이 상기 레버와 결합되어, 상기 바디의 하단부를 향해 슬라이딩되는 채변봉; 상기 바디의 하단부 외주에 결합되며, 중앙이 절개되어, 상기 채변봉의 하단부에 의해 탄성변형되는 탄성마개; 및 상기 탄성마개의 외주에 결합되는 캡;을 포함한다.
또한, 실시예에 따른 상기 채변유닛은,하단부가 상기 채변봉의 내경과 동일한 외경을 가지며, 상기 채변봉의 하단부로 삽입되는 씰과, 상단부가 상기 바디의 내경보다 큰 지름을 갖는 밀대로 구성되는 플런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른 상기 채변봉은, 상기 플런저의 이동 방향에 따라, 대변을 흡입 및 배출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른 상기 탄성마개는, 상단부가 상기 바디의 하단부 외주에 결합되며, 상기 채변봉의 하단부를 투시하는 투시관부; 상기 투시관부의 하단부에 구비되며, 상기 캡의 내주와 결합되는 캡결합부; 및 상기 투시관부의 타단에 구비되며, 중앙이 절개된 원판 형태를 가지고, 상기 채변봉에 의해 탄성변형되는 절개막부;를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른 분변 채취 장치는, 한 손으로 파지하여 간편하게 분변을 채취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른 분변 채취 장치는, 분변과 접촉된 부위를 개별적으로 교체할 수 있다.
도 1은 실시예에 따른 분변 채취 장치의 분해도이다.
도 2는 실시예에 따른 분변 채취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3은 실시예에 따른 분변 채취 장치의 사용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실시예에 따른 분변 채취 장치의 분리하는 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실시예에 따른 분변 채취 장치의 단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실시예에 따른 분변 채취 장치(100)[이하, ‘분변 채취 장치(100)’라 함]를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1은 분변 채취 장치(100)의 분해도이며, 도 2는 분변 채취 장치(100)의 사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분변 채취 장치(100)는 사용자가 한 손으로 파지하여 간편하게 사용할 수 있으며, 분변(A)을 신속하게 보관할 수 있도록, 바디(110), 레버(120) 및 채변유닛(130)을 포함한다.
바디(110)는 소정의 길이를 가지며, 내부에 중공(111)이 마련된다.
바디(110)는 길이 방향으로 중공(111)과 외부를 연통하는 슬릿(112)이 형성된다.
슬릿(112)은 바디(110)의 하단부에서 상단부까지 형성될 수 있는데, 바디(110)의 하단부에 소정의 길이로 형성되어도 무방하다.
레버(120)는 바디(110)의 측면에서 슬릿(112)을 향해 삽입된다.
레버(120)는 슬릿(112)에 삽입되는 스틱(121)과, 사용자가 파지하는 손잡이(122)로 구성될 수 있다.
스틱(121)은 후술할 채변봉(131)과 결합되도록, 바디(110)의 두께보다 더 긴 형태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손잡이(122)는 스틱(121)의 단부에 구비된다.
도 1 내지 도 2를 참조하면, 채변유닛(130)은 채변봉(131), 탄성마개(132) 및 캡(133)을 포함하며, 바디(110)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어 개별적으로 교체될 수 있다.
도 3은 분변 채취 장치(100)의 사용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의 (c)를 참조하면, 채변봉(131)은 분변(A)에 직접적으로 접촉되며, 사용 후 바디(110)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분변(A)에 접촉된 채변유닛(130)은 검사 후 폐기되며, 또 다른 채변유닛(130)을 바디(110)에 장착할 수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채변봉(131)은 하단부가 바디(110)의 상단부로 삽입된다.
또한, 채변봉(131)은 측면에 레버(120)가 결합된 상태로 바디(110)의 상단부로 삽입될 수 있다. 여기서, 레버(120)는 바디(110)의 상단부로 삽입되어 바디(110)의 하단부를 향해 이동될 수 있다.
도 3의 (a) 내지 (d)를 참조하면, 채변봉(131)은 측면이 레버(120)와 결합되어, 바디(110)의 하단부를 향해 슬라이딩된다.
채변봉(131)은 레버(120)와 결합되도록, 측면에 홀(131a)이 형성되는데, 엄지손가락으로 레버(120)를 파지할 수 있는 위치에 홀(131a)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5는 분변 채취 장치(100)의 단면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채변봉(131)은 중공(111)의 지름에 대응되는 외경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며, 중공(111)의 지름보다 짧은 외경을 가져도 무방하다. 또한, 채변봉(131)은 바디(110)의 길이와 같거나 짧은 길이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3의 (b)를 참조하면, 탄성마개(132)는 바디(110)의 하단부 외주에 결합되며, 중앙이 절개되어, 채변봉(131)의 하단부에 의해 탄성변형된다.
도 3의 (d)를 참조하면, 캡(133)은 탄성마개(132)의 외주에 결합되되, 채변봉(131)의 하단부를 탄성마개(132)의 내부에 보관한 상태에서, 탄성마개(132)에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캡(133)은 탄성마개(132)와 결합되도록, 내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될 수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채변유닛(130)은 플런저(134)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플런저(134)는 하단부에 채변봉(131)의 내경과 동일한 외경을 가지는 씰(134a)과 상단부에 구비되어 바디의 상단부에 접촉되는 밀대(134b)로 구성된다.
씰(134a)은 채변봉(131)의 내부에서 이동된다. 여기서, 씰(134a)과 채변봉(131) 내부에 채취된 분변(A) 사이에는 공압을 형성한다.
밀대(134b)는 바디(110)의 내경보다 큰 지름을 가지며, 바디(110)의 상단부에 접촉된다.
도 5를 참조하면, 플런저(134)는 채변봉(131)의 하단부로 분변(A)을 흡입하거나, 채변봉(131)의 하단부에 채취된 분변(A)을 외부로 배출할 수 있다.
도 4는 분변 채취 장치(100)의 분리하는 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채변봉(131)이 분변(A)을 채취하는 과정을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우선, 도 3의 (a)를 참조하면, 사용자는 플런저(134)를 채변봉(131) 내부에 배치시킨다.
도 3의 (b)를 참조하면, 사용자는 레버(120)를 밀어, 채변봉(131)을 외부로 슬라이딩시킨다. 이때, 씰(134a)은 탄성마개(132)를 중앙을 관통한다.
밀대(134b)는 채변봉(131)이 바디(110)의 하단부를 향해 외부로 슬라이딩될 때, 바디(110)의 상단부에 고정된다.
도 3의 (c)를 참조하면, 사용자는 채변봉(131)을 분변(A)에 닿도록 위치시킨다.
사용자는 플런저(134)를 바디(110)의 상단부를 향해 이동시켜, 채변봉(131) 내로 많은 양의 분변(A)을 흡입할 수 있다. 이때, 씰(134a)과 분변(A) 사이에는 공기층이 형성된다.
도 3의 (d)를 참조하면, 사용자는 캡(133)을 탄성마개(132)에 결합하여, 탄성마개(132)와 채변봉(131)을 차폐할 수 있다.
탄성마개(132)는 투시관부(132a), 캡결합부(132b) 및 절개막부(132c)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투시관부(132a)는 상단부가 바디(110)의 하단부 외주에 결합되며, 다시 도 2를 참조하면, 채변봉(131)의 하단부를 투시한다.
투시관부(132a)는 소정의 길이를 가지며, 채변봉(131)의 상태를 투시할 수 있도록 투명한 재질로 제작될 수 있다.
따라서, 도 2를 다시 참조하면, 사용자는 채변봉(131)에 내부에 채취된 분변(A)의 양을 확인할 수 있다.
사용자는 투시관부(132a)를 통해 채변봉(131) 내부에 채취된 분변(A)의 양이 소량임을 확인일 경우, 플런저(134)를 바디(110)의 상단부를 향해 이동시켜, 많은 양의 분변(A)을 채취할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바디(110)의 하단부에는 외주에 나사산이 형성되며, 투시관부(132a)는 바디(110)의 나사산에 대응되도록 내주에 나사산이 형성된다.
캡결합부(132b)는 투시관부(132a)의 하단부에 구비되며, 캡(133)의 내주와 결합된다.
캡결합부(132b)는 캡(133)의 내주에 대응되는 외주를 가지며, 외주에 나사산이 형성될 수 있다.
도 3의 (c)를 참조하면, 절개막부(132c)는 투시관부(132a)의 하단부에 구비되며, 중앙이 절개된 원판 형태를 가지고, 채변봉(131)에 의해 탄성변형된다.
절개막부(132c)는 중앙이 십자가로 절개된 형태를 가지는데, 채변봉(131)이 바디(110)의 하단부를 향해 이동 시 탄성변형될 수 있다.
또한, 절개막부(132c)는 채변봉(131)의 하단부가 바디(110)의 내부에 완전히 보관될 때 탄성변형되어 원상태로 복원된다. 이때, 채변봉(131)의 내부에 채취된 분변(A)은 제거되지 않으며, 채변봉(131)의 주변에 채취된 분변(A)은 탄성마개(132)에 의해 채변봉(131)으로부터 제거될 수 있다.
도 3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채변봉(131)에 채취된 분변(A)을 배출하는 과정을 설명한다.
도 4를 참조하면, 사용자는 탄성마개(132)로부터 캡(133)을 제거한 후, 플런저(134)를 바디(110)의 하단부를 향해 이동시켜, 채변봉(131)에 채취된 분변(A)을 배출할 수 있다.
도 3의 (d)를 참조하면, 사용자는 채변봉(131)을 절개막부(132c)에 접촉되도록 이동시킨 다음, 플런저(134)를 채변봉(131)의 하단부를 향해 이동시킬 수 있다. 그에 따라, 채변봉(131) 내부에 채취된 분변(A)은 절개막부(132c)와 캡(133) 사이로 이동될 수 있다.
도 3의 (e)를 참조하면, 절개막부(132c)와 캡(133) 사이에 보관된 분변(A)은, 탄성마개(132)와 캡(133)을 분리하여 보관할 수 있다. 여기서, 분변(A)과 접촉된 채변봉(131)은 개별적으로 폐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개시의 실시예(들)를 설명할 때 사용된 각종 표현(용어, 시각화된 이미지 등)은 본 개시의 본질적 기술사상을 독자에게 이해하기 쉽게 전달하기 위한 도구적 목적으로 선택된 것에 불과하다.
또한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사람이라면, 본 개시의 실시예(들)를 바탕으로 전술한 실시예(들)와 본질적 기술사상은 동일하지만 외관상으로는 차이가 있는 변형 실시예들을 무수히 창안해 낼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개시의 권리범위는 '발명의 설명' 및 '도면'에 기재된 일부 표현들에 의해 제한되어선 안 되고, 본 개시의 본질적 기술사상에 의거하여 폭넓게 해석되어야 함이 마땅하다.
100 : 분변 채취 장치
110 : 바디
111 : 중공
112 : 슬릿
120 : 레버
130 : 채변유닛
131 : 채변봉
132 : 탄성마개
133 : 캡
134 : 플런저
132a : 투시관부
132b : 캡결합부
132c : 절개막부

Claims (3)

  1. 내부에 중공이 마련되며, 상기 중공과 외부를 연통하는 슬릿이 길이 방향으로 형성되는 바디;
    상기 바디의 측면에서 상기 슬릿으로 삽입되어, 상기 슬릿을 따라 이동되는 레버; 및
    상기 바디에서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채변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채변유닛은,
    하단부가 상기 바디의 상단부로 삽입되며, 측면이 상기 레버와 결합되어, 상기 바디의 하단부를 향해 슬라이딩되는 채변봉;
    상기 바디의 하단부 외주에 결합되며, 중앙이 절개되어, 상기 채변봉의 하단부에 의해 탄성변형되는 탄성마개; 및
    상기 탄성마개의 외주에 결합되는 캡;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변 채취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채변유닛은,
    하단부가 상기 채변봉의 내경과 동일한 외경을 가지며, 상기 채변봉의 하단부로 삽입되는 씰과, 상단부가 상기 바디의 내경보다 큰 지름을 갖는 밀대로 구성되는 플런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채변봉은, 상기 플런저의 이동 방향에 따라, 대변을 흡입 및 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변 채취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마개는,
    상단부가 상기 바디의 하단부 외주에 결합되며, 상기 채변봉의 하단부를 투시하는 투시관부;
    상기 투시관부의 하단부에 구비되며, 상기 캡의 내주와 결합되는 캡결합부; 및
    상기 투시관부의 타단에 구비되며, 중앙이 절개된 원판 형태를 가지고, 상기 채변봉에 의해 탄성변형되는 절개막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변 채취 장치.
KR1020220015461A 2022-02-07 2022-02-07 분변 채취 장치 KR2023011938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15461A KR20230119385A (ko) 2022-02-07 2022-02-07 분변 채취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15461A KR20230119385A (ko) 2022-02-07 2022-02-07 분변 채취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19385A true KR20230119385A (ko) 2023-08-16

Family

ID=878486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15461A KR20230119385A (ko) 2022-02-07 2022-02-07 분변 채취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119385A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27628B1 (ko) 2009-02-24 2009-11-20 박정규 채변기
KR20200056267A (ko) 2019-05-07 2020-05-22 주식회사 큐에스택 분변 채취 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27628B1 (ko) 2009-02-24 2009-11-20 박정규 채변기
KR20200056267A (ko) 2019-05-07 2020-05-22 주식회사 큐에스택 분변 채취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712180A1 (en) Blood collecting kit
US4643196A (en) Biopsy needle set
CA2345911C (en) Sampling apparatus for material collection
CN108135545B (zh) 液体收集装置
US20090100915A1 (en) Method of Sampling Specimen, Test Method and Dropping Pipette and Specimen Sampler to be Used Therein
WO1997046157A1 (en) Adjustable tip lancet
WO2018034032A1 (ja) 血液採取器及び血液収容器を含む血液採取器具
KR20110006453U (ko) 검체 보존용기
AU2006223987A1 (en) Sampling liquid container
JP5502303B2 (ja) ピペット装置
US20220203356A1 (en) Specimen collection device
US4326540A (en) Syringe device with means for selectively isolating a blood sample after removal of contaminates
JP2022031115A (ja) 検体採取キット
US3406573A (en) Capillary pipette and adapter-holder therefor
JP2007535348A (ja) 採血装置、特に新生児及び小児又は小動物用の採血装置
JP2005017280A (ja) 使い捨てピペット及び採血器
JP2006250860A (ja) 検体採取液容器
KR20230119385A (ko) 분변 채취 장치
JP2005017281A (ja) 使い捨てピペット及び微量採血器
JP2000232972A (ja) 検体点着用具
US4050316A (en) Pipette aspirator device
JPH05184949A (ja) 微量定容ピペット
JPWO2018055675A1 (ja) ピペット装置
CN204274513U (zh) 用于分子诊断中样本采集的采样器
KR200358332Y1 (ko) 검체물질채취용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