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19365A - 무선 통신을 수행하는 전자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 Google Patents

무선 통신을 수행하는 전자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19365A
KR20230119365A KR1020220015399A KR20220015399A KR20230119365A KR 20230119365 A KR20230119365 A KR 20230119365A KR 1020220015399 A KR1020220015399 A KR 1020220015399A KR 20220015399 A KR20220015399 A KR 20220015399A KR 20230119365 A KR20230119365 A KR 2023011936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xternal device
wireless power
power transmission
wireless communication
electronic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1539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서제환
양근삼
오상기
이형용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2001539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119365A/ko
Priority to PCT/KR2022/021134 priority patent/WO2023149658A1/ko
Priority to US18/114,514 priority patent/US20230254020A1/en
Publication of KR2023011936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1936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04B1/40Circuits
    • H04B1/401Circuits for selecting or indicating operating mode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50/0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50/2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using microwaves or radio frequency wav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04B1/40Circuits
    • H04B1/44Transmit/receive switch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Transceivers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는 제1 외부 장치와의 무선 통신(wireless communication) 동작 및 제2 외부 장치로의 무선 전력 전송(wireless power transfer) 동작 중 적어도 한 동작을 위한 복수의 안테나 소자들, 컴퓨터로 실행 가능한 명령어들(computer-executable instructions)을 저장하는 메모리, 및 상기 메모리에 억세스(access)하여 상기 명령어들을 실행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명령어들은 상기 전자 장치가 임계 전력 이하의 전력으로 동작하는 경우 상기 제2 외부 장치로의 무선 전력 전송 기능이 인에이블(enable)되었는 지 여부를 결정하고, 상기 무선 전력 전송 기능이 인에이블된 경우, 복수의 안테나 소자들을 통해 상기 제1 외부 장치와 무선 통신을 유지하고 상기 제2 외부 장치로의 무선 전력 전송을 위한 신호를 송신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Description

무선 통신을 수행하는 전자 장치 및 그 동작 방법{ELECTRONIC DEVICE FOR PERFORMING WIRELESS COMMUNICATION AND OPERATION METHOD THEREOF}
아래의 실시예들은 무선 통신을 수행하는 전자 장치 및 그 동작 방법에 관한 것이다.
와이파이(Wi-Fi)는 전자 기기들이 무선랜(wireless local area network, WLAN)에 연결할 수 있게 하는 기술로서, 주로 2.4GHz의 대역(band) 및 5GHz의 대역을 사용한다. 와이파이 기술을 사용하는 장치에는 개인용 컴퓨터, 게임 콘솔, 스마트폰, 디지털 카메라, 태블릿 컴퓨터, 프린터가 포함된다. 와이파이 호환 장치들은 WLAN 네트워크와 무선 액세스 포인트를 통해 인터넷에 접속할 수 있다.
개시된 실시예들은 전자 장치가 저전력 모드로 동작하는 경우, 액세스 포인트와의 무선 통신을 유지하면서 원격 제어 장치로의 무선 전력 전송을 수행하기 위한 것이다.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는 제1 외부 장치와의 무선 통신(wireless communication) 동작 및 제2 외부 장치로의 무선 전력 전송(wireless power transfer) 동작 중 적어도 한 동작을 위한 복수의 안테나 소자들, 컴퓨터로 실행 가능한 명령어들(computer-executable instructions)을 저장하는 메모리, 및 상기 메모리에 억세스(access)하여 상기 명령어들을 실행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명령어들은 상기 전자 장치가 임계 전력 이하의 전력으로 동작하는 경우 상기 제2 외부 장치로의 무선 전력 전송 기능이 인에이블(enable)되었는 지 여부를 결정하고, 상기 무선 전력 전송 기능이 인에이블된 경우, 복수의 안테나 소자들을 통해 상기 제1 외부 장치와 무선 통신을 유지하고 상기 제2 외부 장치로의 무선 전력 전송을 위한 신호를 송신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동작 방법은, 상기 전자 장치가 임계 전력 이하의 전력으로 동작하는 경우, 상기 제2 외부 장치로의 무선 전력 전송 기능이 인에이블(enable)되었는 지 여부를 결정하는 동작 및 상기 무선 전력 전송 기능이 인에이블된 경우, 복수의 안테나 소자들을 통해 상기 제1 외부 장치와 무선 통신을 유지하고 상기 제2 외부 장치로의 무선 전력 전송을 위한 신호를 송신하는 동작을 포함할 수 있다.
개시된 실시예들에 의하면, 전자 장치는 저전력 모드로 동작하는 경우, 전자 장치의 액세스 포인트와의 무선 통신을 유지하면서, 원격 제어 장치로의 무선 전력 전송을 선택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 제1 외부 장치, 제2 외부 장치, 및 제3 외부 장치를 포함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의 개요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블록 구성도이다.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동작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4는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통신부의 블록 구성도다.
도 5는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동작 전력이 임계 전력을 초과하는 전력에서 임계 전력 이하의 전력으로 변경되는 경우 동작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다.
도 6a 및 도 6b는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동작 전력이 임계 전력을 초과하는 전력에서 임계 전력 이하의 전력으로 변경되는 경우, 무선 전력 전송 기능이 인에이블되었는지 여부에 따른 동작을 나타낸다.
도 7은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외부 장치와의 무선 통신 및 제2 외부 장치로의 무선 전력 전송을 수행하는 경우 전자 장치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시퀀스도다.
도 8은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동작 전력이 임계 전력 이하의 전력에서 임계 전력을 초과하는 전력으로 변경되는 경우 전자 장치의 동작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다.
도 9a및 도 9b는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동작 전력이 임계 전력 이하의 전력에서 임계 전력을 초과하는 전력으로 변경되는 경우 복수의 안테나 소자들이 할당된 동작에 따른 전자 장치의 동작 방법을 나타낸다.
도 10는 일 실시예에 따른 제3 외부 장치와의 무선 통신을 수행하는 전자 장치의 통신부의 블록 구성도다.
도 11는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가 제2 외부 장치로의 무선 전력 전송 및 제3 외부 장치와의 무선 통신을 수행하는 동작 방법을 나타낸다.
이하, 실시예들을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한 구성 요소는 동일한 참조 부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 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구성 요소들은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관련된 복수의 항목 들의 조합 또는 관련된 복수의 항목들 중의 어느 하나의 항목을 포함한다.
실시예들에서 "사용자"라는 용어는 전자 장치의 기능 또는 동작을 제어하는 사람, 또는, 주변 장치의 기능 또는 동작을 제어하는 사람을 의미할 수 있다. 사용자는 관리자 또는 설치 기사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 제1 외부 장치, 제2 외부 장치, 및 제3 외부 장치를 포함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의 개요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전자 장치(110)는 외부 장치와 무선 통신을 수행할 수 있는 장치를 나타낼 수 있다. 예시적으로, 전자 장치(110) 및 외부 장치는, 각각 텔레비전, 스마트폰, 태블릿 컴퓨터, 랩탑 컴퓨터, 데스크탑 컴퓨터, 액세스 포인트(access point; AP), 원격 제어 장치(remote control device), 셋톱 박스(set-top box), 가전 제품,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또는 웨어러블 장치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아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전자 장치(110)가 텔레비전이고, 제1 외부 장치(120)가 액세스 포인트이며, 제2 외부 장치가 원격 제어 장치(예: 스마트 컨트롤)인 것을 예로 들어 설명한다.
전자 장치(110)는 제1 외부 장치(120)와 연결되어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제1 외부 장치(120)는 액세스 포인트를 포함할 수 있다. 전자 장치(110)는 제1 외부 장치(120)와 제1 주파수 대역으로 무선 통신(예: 와이파이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주파수 대역은 5GHz 대역을 포함할 수 있다. 전자 장치(110)는 제1 외부 장치(120)에서 제공하는 무선 통신을 통해 인터넷에 접속할 수 있다.
전자 장치(110)는 제2 외부 장치(130)로의 무선 전력 전송을 수행할 수 있다. 제2 외부 장치(130)는 전자 장치(110)의 동작 및/또는 기능을 제어하기 위한 원격 제어 장치일 수 있다. 전자 장치(110)는 제2 외부 장치(130)로의 제2 주파수 대역으로 무선 전력 전송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주파수 대역은 2.4GHz 대역을 포함할 수 있다. 전자 장치(110)는 제2 외부 장치(130)로 무선 전력 전송을 위한 신호를 송신할 수 있다.
도 1에는 전자 장치(110)가 제1 외부 장치(120)와의 무선 통신 및 제2 외부 장치(130)로의 무선 전력 전송을 함께 수행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제1 외부 장치(120)와 무선 통신을 수행하고 제2 외부 장치(130)로 무선 전력 전송을 수행하지 않는 상태일 수도 있다.
전자 장치(110)는 제2 외부 장치(130)로의 무선 전력 전송을 수행할지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프로세서(210)는 전자 장치(110)의 모드(mode) 및 무선 전력 전송 플래그에 기초하여, 제2 외부 장치(130)로의 무선 전력 전송을 수행할지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전자 장치(110)의 모드는 전자 장치(110)의 동작 상태를 나타낼 수 있다. 전자 장치(110)의 모드는 오퍼레이션 모드(operation mode) 및 저전력 모드(low power mode)를 포함할 수 있다. 오퍼레이션 모드는 전자 장치(110)가 임계 전력을 초과하는 전력으로 동작하는 상태를 나타낼 수 있다. 저전력 모드는 전자 장치(110)가 임계 전력 이하의 전력으로 동작하는 상태를 나타낼 수 있다. 예시적으로, 전자 장치(110)의 디스플레이부가 영상을 출력하는 동안 전자 장치(110)는 임계 전력을 초과하는 전력으로 동작하고 오퍼레이션 모드일 수 있다. 전자 장치(110)의 디스플레이부가 영상을 출력하지 않는 동안 전자 장치(110)는 임계 전력 이하의 전력으로 동작하고 텔레비전은 저전력 모드일 수 있다. 참고로, 전자 장치(110)의 모드는 원격 제어 장치로부터 수신된 전자 장치(110)의 모드를 제어(예: 변경)하는 사용자 입력에 기초하여 설정될 수 있다.
프로세서는 전자 장치(110)의 모드를 전자 장치(110)가 임계 전력을 초과하는 전력으로 동작하는지 여부에 따라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는 임계 전력을 초과하는 전력으로 동작하는 경우 전자 장치(110)의 모드를 오퍼레이션 모드로 결정할 수 있다. 프로세서는 임계 전력 이하의 전력으로 동작하는 경우 전자 장치(110)의 모드를 저전력 모드로 결정할 수 있다.
무선 전력 전송 플래그는 제2 외부 장치(130)로의 무선 전력 전송 기능이 인에이블되었는지를 지시하는 플래그를 나타낼 수 있다. 무선 전력 전송 기능은 전자 장치가 제2 외부 장치(130)로의 무선 전력 전송 동작에 관한 기능을 나타낼 수 있다. 무선 전력 전송 기능이 인에이블되는 경우, 전자 장치가 임계 전력 미만의 전력으로 동작하는 동안 무선 전력 전송을 수행할 수 있고, 무선 전력 전송 기능이 디스에이블되는 경우, 전자 장치가 임계 전력 미만의 전력으로 동작하는 경우에도 무선 전력 전송을 수행하지 않을 수 있다. 후술하겠으나, 전자 장치(110)는 제2 외부 장치(130)로의 무선 전력 전송 기능을 인에이블하거나 디스에이블할 것을 지시하는 입력을 수신하는 경우, 상기 수신된 입력에 기초하여 무선 전력 전송 플래그를 저장할 수 있다.
제2 외부 장치로의 무선 전력 전송을 수행할지 여부의 결정은 도 3에서 후술한다.
전자 장치(110)는 제2 외부 장치(130)로의 무선 전력 전송의 수행 여부와는 독립적으로 제1 외부 장치(120)와 무선 통신을 유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 장치(110)는 무선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복수의 안테나 소자들을 포함할 수 있다. 전자 장치(110)는 복수의 안테나 소자들 각각을 제1 외부 장치(120)와의 무선 통신 동작 및 제2 외부 장치(130)로의 무선 전력 전송 동작 중 하나에 할당할 수 있다. 전자 장치(110)는 제1 외부 장치(120)와의 무선 통신 동작에 할당된 안테나 소자를 이용하여 제1 외부 장치(120)와의 무선 통신을 수행하고, 제2 외부 장치(130)로의 무선 전력 전송 동작에 할당된 안테나 소자를 이용하여 제2 외부 장치(130)로의 무선 전력 전송을 수행할 수 있다.
전자 장치(110)는 무선 전력 전송을 수행하는 경우, 복수의 안테나 소자들 중 일부 안테나 소자를 제1 외부 장치(120)와의 무선 통신 동작에 할당하고 복수의 안테나 소자들 중 다른 안테나 소자를 제2 외부 장치(130)로의 무선 전력 전송 동작에 할당할 수 있다. 전자 장치(110)는 무선 전력 전송을 수행하지 않는 경우, 복수의 안테나 소자들을 제2 외부 장치(130)로의 무선 전력 전송 동작의 할당으로부터 배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 장치(110)는 복수의 안테나 소자들 중 적어도 일부 안테나 소자를 제1 외부 장치(120)와의 무선 통신 동작에 할당할 수 있다. 전자 장치(110)는 복수의 안테나 소자들 각각을 제2 외부 장치(130)로의 무선 전력 전송 동작에 할당하지 않을 수 있다. 결과적으로, 전자 장치가 제2 외부 장치(130)로의 무선 전력 전송을 수행할지 여부에 관계없이, 복수의 안테나 소자들 중 적어도 일부는 제1 외부 장치(120)와의 무선 통신 동작에 할당될 수 있다. 전자 장치는 제1 외부 장치(120)와의 무선 통신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고, 안테나 소자들 중 일부는 동작에 할당되지 않을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제2 외부 장치(130)로의 무선 전력 전송을 수행하지 않는 경우, 복수의 안테나 소자들 중 일부 안테나 소자는 제1 외부 장치(120)와의 무선 통신 동작에 할당되고, 다른 안테나 소자는 제1 외부 장치(120)와의 무선 통신 동작 및 제2 외부 장치(130)로의 무선 전력 전송 동작 모두에 할당되지 않을 수 있다. 다른 안테나 소자는 동작에 할당될 때까지 이용되지 않을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는 전자 장치(110)가 무선 통신 및/또는 무선 전력 전송을 위한 복수의 안테나 소자들을 포함하는 예시를 주로 설명하나, 이로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전자 장치(110)는, 제1 외부 장치와의 무선 통신과는 별개로, 제3 외부 장치(140)와의 무선 통신 동작을 위한 추가 안테나 소자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전자 장치(110)는 추가 안테나 소자를 통해 제3 외부 장치(140)와 연결되어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제3 외부 장치(140)는 예시적으로 모바일 단말을 포함할 수 있다. 전자 장치(110)는 제3 외부 장치(140)와 제3 주파수 대역으로 무선 통신(예: 블루투스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3 주파수 대역은 2.4GHz 대역을 포함할 수 있다. 제3 외부 장치(140)는 전자 장치(110)와 파일이나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블루투스 통신을 위해 블루투스 통신이 가능한 장치의 검색(device discovery), 연결 요청 및 연결 수락의 과정이 수행될 수 있다. 다만, 도 1에서 제2 외부 장치(130)와 제3 외부 장치(140)는 서로 별개의 장치로 도시되었으나, 이로 한정하는 것은 아니고, 단일 장치로 통합되어 구현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제2 외부 장치(130)는 전술한 무선 전력 전송 동작과 함께 블루투스 통신을 수행할 수도 있다. 제2 외부 장치(130)는 블루투스 통신에 기초하여 전자 장치(110)의 포인팅 제어(예: 커서 이동)를 수행할 수도 있다.
전자 장치(110)는 복수의 외부 장치들과 무선 통신 및 무선 전력 전송을 지원하는 장치로서, 하나 또는 서로 다른 주파수 대역을 통해 복수의 장치들과 무선 통신 및/또는 무선 전력 전송을 수행할 수 있다. 전자 장치(110)는, 시분할 방식을 통해 또는 동시에, 복수의 장치들과 무선 통신 및/또는 무선 전력 전송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 장치(110)는 제1 외부 장치(120)와 무선 통신을 유지하는 상태에서 제2 외부 장치(130)로의 무선 전력 전송 및 제3 외부 장치(140)와의 무선 통신 중 하나를 수행할 수 있다.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블록 구성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110)는 프로세서(210), 메모리(220), 디스플레이부(230) 및 통신부(240)를 포함할 수 있다. 그러나, 도 2에 도시된 구성요소 모두가 필수 구성요소인 것은 아니다. 도시된 구성요소보다 많은 구성요소에 의해 전자 장치(110)가 구현될 수도 있고, 그보다 적은 구성요소에 의해서도 전자 장치(110)는 구현될 수 있다.
프로세서(210)는, 전자 장치(110)의 전반적인 동작 및 전자 장치(110)의 내부 구성 요소들 사이의 신호 흐름을 제어하고, 데이터를 처리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프로세서(210)는 사용자의 입력이 있거나 기 설정되어 저장된 조건을 만족하는 경우, 메모리(220)에 저장된 명령어, OS(Operation System) 및 다양한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할 수 있다.
메모리(220)는 프로세서(210)의 제어에 의해 전자 장치(110)를 구동하고 제어하기 위한 다양한 데이터, 프로그램, 어플리케이션, 또는 프로세서(210)에 의해 실행 가능한 적어도 하나의 명령어를 저장할 수 있다. 메모리(220)는 디스플레이부(230), 통신부(240)의 구동에 대응되는 입력 또는 출력되는 신호 및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를 저장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메모리(220)는 플래시 메모리 타입(flash memory type), 하드디스크 타입(hard disk type), 멀티미디어 카드 마이크로 타입(multimedia card micro type), 카드 타입의 메모리 (예를 들어 SD 또는 XD 메모리 등), 램(RAM, Random Access Memory), SRAM(Static Random Access Memory), 롬(ROM, Read-Only Memory), EEPROM(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y), PROM(Programmable Read-Only Memory), 자기 메모리, 자기 디스크, 광디스크 중 적어도 하나의 타입의 저장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230)는 프로세서(210)의 제어에 의해 수신된 방송 신호에 포함된 비디오를 화면에 표시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부(230)는 통신부(240)를 통해 입력되는 컨텐츠(예를 들어, 동영상)를 표시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230)는 프로세서(210)의 제어에 의해 메모리(220)에 저장된 영상을 출력할 수 있다.
통신부(240)는 프로세서(210)의 제어에 의해 전자 장치(110)를 외부 장치(예: 도 1의 제1 외부 장치(120), 제2 외부 장치(130), 및/또는 제3 외부 장치(140))와 연결할 수 있다. 프로세서(210)는 통신부(240)를 통해 연결된 외부 장치로 데이터를 송수신하거나, 외부 장치에서부터 어플리케이션을 다운로드 하거나, 또는 웹 브라우징을 할 수 있다. 통신부(240)는 제1 외부 장치와의 와이파이 통신, 제2 외부 장치로의 무선 전력 전송, 및 제3 외부 장치와의 블루투스 통신 중 적어도 하나를 수행할 수 있다.
또한, 통신부(240)는 프로세서(210)의 제어에 의해 원격 제어 장치(예: 도 1의 제2 외부 장치(130))의 제어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제어 신호는 블루투스 타입, RF 신호 타입 또는 와이파이 타입으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통신부(240)는 블루투스 모듈 외에 다른 근거리 통신(예를 들어, NFC(near field communication, BLE(bluetooth low energy)을 위한 모듈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전자 장치(110)는 아날로그 TV, 디지털 TV, 3D-TV, 스마트 TV, LED TV, OLED TV, 플라즈마 TV, 모니터 등으로 구현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는 것은 당해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용이하게 이해될 것이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110)는 통신부(240)를 통해 제1 외부 장치와의 무선 통신, 제2 외부 장치로의 무선 전력 전송, 및/또는 제3 외부 장치와의 무선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통신부(240)는 제1 안테나 소자(예: 도 4의 제1 안테나 소자(424), 또는 도10의 제1 안테나 소자(1023)), 제2 안테나 소자(예: 도 4의 제2 안테나 소자(426), 또는 도10의 제2 안테나 소자(1025)), 제3 안테나 소자(예: 도 10의 제3 안테나 소자(1029))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안테나 소자는 전자 장치(110)와 제1 외부 장치의 무선 통신을 위하여 이용될 수 있다. 제2 안테나 소자는 전자 장치(110) 및 제1 외부 장치 간의 무선 통신 및 전자 장치(110)로부터 제2 외부 장치로의 무선 전력 전송 중 하나의 동작을 위하여 이용될 수 있다. 제3 안테나 소자는 전자 장치(110) 및 제3 외부 장치 간의 무선 통신을 위하여 이용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제1 안테나 소자, 제2 안테나 소자, 및 제3 안테나 소자는 각각 하나의 안테나 소자인 것으로 주로 설명되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제1 안테나 소자, 제2 안테나 소자, 및 제3 안테나 소자는 각각 하나 이상의 안테나 소자들을 포함할 수 있다.
통신부(240)는 제1 주파수 대역으로 제1 외부 장치와의 통신을 수행하고, 제2 주파수 대역으로 제2 외부 장치로의 무선 전력 전송을 수행할 수 있다. 제1 주파수 대역은 제2 주파수 대역과 다를 수 있다. 제2 주파수 대역은 제1 주파수 대역과 분리된 주파수 대역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주파수 대역은 5GHz의 주파수 대역을 포함하고, 제2 주파수 대역은 2.4GHz의 주파수 대역을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210)는 제1 주파수 대역으로 제1 외부 장치와의 무선 통신 동작 및 제2 주파수 대역으로 제2 외부 장치로의 무선 전력 전송 동작을 동시에 및/또는 병렬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210)는 제1 주파수 대역으로 제1 외부 장치와의 무선 통신을 유지한 채로 제2 주파수 대역으로 제2 외부 장치로의 무선 전력 전송을 수행할 수 있다.
통신부(240)는 제1 외부 장치와의 무선 통신을 유지하면서, 제2 외부 장치에 대한 무선 전력 전송을 선택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통신부(240)는 제1 안테나 소자를 이용한 제1 외부 장치와의 무선 통신을 유지하면서, 제2 안테나 소자를 이용한 제1 외부 장치와의 무선 통신 동작 및 제2 외부 장치로의 무선 전력 전송 동작 중 한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프로세서(210)는 통신부(240)의 제2 안테나 소자를 통해 수행할 동작을 선택할 수 있다. 제2 안테나 소자를 이용한 동작의 선택은 하기 도 3에서 설명한다.
전자 장치(110)는 통신부(240)의 제3 안테나 소자를 이용하여 제3 외부 장치와의 무선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통신부(240)는 제3 주파수 대역으로 제3 외부 장치와 무선 통신할 수 있다. 제3 주파수 대역의 적어도 일부 대역은, 제2 외부 장치로의 무선 전력 전송을 위한 제2 주파수 대역과 중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주파수 대역 및 제3 주파수 대역은 2.4GHz의 주파수 대역을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210)는 제2 주파수 대역으로 제2 외부 장치로의 무선 전력 전송 동작 및 제3 주파수 대역으로 제3 외부 장치와의 무선 통신 동작을 시분할 방식을 통해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210)는 통신 주기 중 부분 주기동안 제2 주파수 대역으로 제2 외부 장치로의 무선 전력 전송을 수행하고, 통신 주기 중 다른 부분 주기동안 제3 주파수 대역으로 제3 외부 장치로의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동작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이하 실시예에서 각 동작들은 순차적으로 수행될 수도 있으나, 반드시 순차적으로 수행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각 동작의 순서가 변경될 수도 있으며, 적어도 두 동작들이 병렬적으로 수행될 수도 있다. 동작(310) 내지 동작(340)은 전자 장치(예: 도 2의 전자 장치(110))의 적어도 하나의 구성요소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동작(310)에서, 프로세서는 전자 장치가 임계 전력 이하의 전력으로 동작하는지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후술하겠으나, 프로세서는 전자 장치가 임계 전력 이하의 전력으로 동작(예: 전자 장치가 저전력 모드로 동작)하는 경우, 제2 외부 장치로의 무선 전력 전송을 수행할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프로세서는 전자 장치가 임계 전력을 초과하는 전력으로 동작(예: 전자 장치가 오퍼레이션 모드로 동작)하는 경우, 제1 외부 장치로의 무선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동작(320)에서, 프로세서는 전자 장치가 임계 전력 이하의 전력으로 동작하는 경우, 제2 외부 장치로의 무선 전력 전송 기능이 인에이블되었는지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프로세서는 무선 전력 전송 플래그에 기초하여 제2 외부 장치로의 무선 전력 전송 기능이 인에이블되었는지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는 무선 전력 전송 플래그가 인에이블인 경우, 무선 전력 전송 기능이 인에이블된 것으로 결정할 수 있다. 프로세서는 무선 전력 전송 플래그가 디스에이블인 경우, 무선 전력 전송 기능이 디스에이블된 것으로 결정할 수 있다.
무선 전력 전송 플래그는, 프로세서가 제2 외부 장치로의 무선 전력 전송 기능이 인에이블되었는지를 지시하는 플래그로서, 사용자로부터 수신된 입력에 기초하여 저장될 수 있다. 프로세서는 사용자로부터 제2 외부 장치로의 무선 전력 전송 기능을 인에이블할지 여부를 지시하는 입력을 수신하는 경우, 상기 수신된 입력에 기초하여 무선 전력 전송 플래그를 저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는 사용자로부터 무선 전력 전송 기능을 인에이블할 것을 지시하는 입력을 수신하는 경우, 무선 전력 전송 플래그를 인에이블로 저장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어, 프로세서는 사용자로부터 무선 전력 전송 기능을 디스에이블할 것을 지시하는 입력을 수신하는 경우, 무선 전력 전송 플래그를 디스에이블로 저장할 수 있다.
동작(330)에서, 프로세서는 전자 장치가 임계 전력 이하의 전력으로 동작하고 제2 외부 장치로의 무선 전력 전송 기능이 인에이블된 경우, 제1 외부 장치와의 무선 통신 및 제2 외부 장치로의 무선 전력 전송을 수행할 수 있다.
동작(340)에서, 프로세서는 전자 장치가 임계 전력 이하의 전력으로 동작하고 제2 외부 장치로의 무선 전력 전송 기능이 디스에이블된 경우, 제1 외부 장치와의 무선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는 동작(310)에서 전자 장치가 임계 전력 이하의 전력으로 동작하는 것으로 결정하고 동작(320)에서 제2 외부 장치로의 무선 전력 전송 기능이 디스에이블된 것으로 결정하는 경우, 제2 외부 장치로의 무선 전력 전송을 배제하고 제1 외부 장치와의 무선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동작(340)에서, 프로세서는 전자 장치가 임계 전력을 초과하는 전력으로 동작하는 경우, 제1 외부 장치와의 무선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프로세서는, 전자 장치가 임계 전력을 초과하는 전력으로 동작하는 경우, 상기 복수의 안테나 소자들을 무선 전력 전송 동작의 할당으로부터 배제(exclude)할 수 있다. 프로세서는 임계 전력을 초과하는 전력으로 동작하는 전자 장치를 제2 외부 장치로의 무선 전력 전송으로부터 배제하고, 전자 장치 및 제1 외부 장치 간의 무선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프로세서는 무선 전력 전송 기능의 인에이블 여부와는 독립적으로, 상기 복수의 안테나 소자들 중 적어도 일부를 통한 상기 제1 외부 장치와의 무선 통신을 유지할 수 있다.
도 4는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통신부의 블록 구성도다.
전자 장치(예: 도 2의 전자 장치(110))의 메인 제어부(410)(예: 도2의 프로세서(210))는 전자 장치의 통신부(420)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메인 제어부(410)는 전자 장치가 통신부(420)를 통해 제1 외부 장치(430)와의 무선 통신 동작 및 제2 외부 장치(440)로의 무선 전력 전송 동작 중 적어도 한 동작을 수행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예시적으로 도 3에서 전술한 바와 같이, 메인 제어부(410)는 복수의 안테나 소자들을 제2 외부 장치(440)로의 무선 전력 전송으로부터 배제하고, 복수의 안테나 소자들을 통해 제1 외부 장치(430)와 무선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어, 메인 제어부(410)는 복수의 안테나 소자들을 통해 제1 외부 장치(430)와의 무선 통신 및 제2 외부 장치(440)로의 무선 전력 전송을 함께 수행할 수도 있다.
통신부(420)는 와이파이 통신 제어부(422) 및 복수의 안테나 소자들(예: 제1 안테나 소자(424) 및 제2 안테나 소자(426))을 포함할 수 있다.
와이파이 통신 제어부(422)는 메인 제어부(410)와 협력하여 무선 통신 및/또는 무선 전력 전송을 수행할 수 있다. 와이파이 통신 제어부(422)는 무선 통신 및/또는 무선 전력 전송을 위해 복수의 안테나 소자들을 설정 및 동작시킬 수 있다.
복수의 안테나 소자들은 제1 외부 장치와의 무선 통신(wireless communication) 동작 및 제2 외부 장치로의 무선 전력 전송(wireless power transfer) 동작 중 적어도 한 동작을 위해 설계된 안테나 소자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복수의 안테나 소자들은 제1 안테나 소자(424) 및 제2 안테나 소자(426)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안테나 소자(424)는 무선 통신을 위한 안테나 소자일 수 있다. 제2 안테나 소자(426)는 무선 통신 및/또는 무선 전력 전송을 위한 안테나 소자일 수 있다. 제2 안테나 소자(426)는 와이파이 통신 제어부(422) 및/또는 메인 제어부(410)의 제어에 따라 무선 통신 및 무선 전력 전송 중 한 동작을 위해 선택적으로 동작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안테나 소자(426)는 전술한 와이파이 통신 제어부(422)에 의해 무선 통신을 위한 신호를 송수신하거나, 무선 전력 전송을 위한 신호를 송수신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통신부(420)는 제1 외부 장치(430)와의 무선 통신 및 제2 외부 장치(440)로의 무선 전력 전송을 함께 수행할 수 있다. 통신부(420)는 서로 다른 주파수 대역으로 제1 외부 장치(430)와의 무선 통신 및 제2 외부 장치(440)로의 무선 전력 전송을 동시에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통신부(420)는 제1 주파수 대역으로 제1 외부 장치(430)와의 무선 통신을 수행하고, 제1 주파수 대역과 다른 제2 주파수 대역으로 제2 외부 장치(440)로의 무선 전력 전송을 수행할 수 있다.
도 4에서는 통신부(420)가 제1 안테나 소자(424)를 통해 제1 외부 장치와의 무선 통신을 수행하고 제2 안테나 소자(426)를 통해 제2 외부 장치로의 무선 전력 전송을 수행하는 것으로 도시되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통신부(420)는 제1 안테나 소자(424) 및 제2 안테나 소자 모두를 통해 제1 외부 장치(430)와 연결될 수 있다.
통신부(420)는 제2 외부 장치(440)로의 무선 전력 전송을 배제하고 제1 외부 장치(430)와의 무선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통신부(420)는 제1 안테나 소자(424) 및 제2 안테나 소자(426)를 통해 제1 외부 장치(430)와의 무선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도 5는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동작 전력이 임계 전력을 초과하는 전력에서 임계 전력 이하의 전력으로 변경되는 경우 동작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다. 도 6a 및 도 6b는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동작 전력이 임계 전력을 초과하는 전력에서 임계 전력 이하의 전력으로 변경되는 경우, 무선 전력 전송 기능이 인에이블되었는지 여부에 따른 동작을 나타낸다.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는, 도 6a의 전자 장치(610a) 및 도 6b의 전자 장치(610b)와 같이 임계 전력을 초과하는 전력으로 동작하는 동안, 복수의 안테나 소자들을 제1 외부 장치(예: 도 6a의 제1 외부 장치(618a) 또는 도 6b의 제1 외부 장치(618b))와의 무선 통신 동작에 할당할 수 있다.
동작(510)에서, 프로세서는 전자 장치가 임계 전력 이하의 전력으로 동작하는 경우, 제2 외부 장치로의 무선 전력 전송 기능이 인에이블되었는지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프로세서는 전자 장치의 동작 전력이 임계 전력을 초과하는 전력에서 임계 전력 이하의 전력으로 변경되는 경우, 무선 전력 전송 기능이 인에이블되었는지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프로세서는 무선 전력 전송 플래그에 기초하여 무선 전력 전송 기능이 인에이블되었는지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동작(520)에서, 프로세서는 복수의 안테나 소자들 중 일부 안테나 소자를 제2 외부 장치로의 무선 전력 전송 동작에 할당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는 제1 외부 장치와의 무선 통신 동작에 할당된 안테나 소자들 중 일부 안테나 소자를 제2 외부 장치로의 무선 전력 전송 동작에 할당할 수 있다. 프로세서는 할당된 안테나 소자들 중 나머지 안테나 소자가 제1 외부 장치와의 무선 통신 동작에 할당되는 것을 유지할 수 있다. 프로세서는 나머지 안테나 소자를 통해 제1외부 장치와의 무선 통신을 유지하고, 일부 안테나 소자를 통해 제2 외부 장치로의 무선 전력 전송을 수행할 수 있다.
동작(530)에서, 프로세서는 제1 외부 장치와의 무선 통신 및 제2 외부 장치로의 무선 전력 전송을 수행할 수 있다. 프로세서는 서로 다른 주파수 대역으로 제1 외부 장치와의 무선 통신 및 제2 외부 장치로의 무선 전력 전송을 동시에 수행할 수 있다. 프로세서는 제1 주파수 대역으로 제1 외부 장치와 무선 통신하고 제2 주파수 대역으로 제1 외부 장치로 무선 전력 전송을 위한 신호를 송신할 수 있다. 제1 주파수 대역은 제2 주파수 대역과 분리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주파수 대역은 5GHz 대역을 포함할 수 있고, 제2 주파수 대역은 2.4GHz 대역을 포함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동작들(520, 530)에서 프로세서는 무선 전력 전송 기능이 인에이블된 경우, 복수의 안테나 소자들을 통해 제1 외부 장치와 무선 통신을 유지하고 제2 외부 장치로의 무선 전력 전송을 위한 신호를 송신할 수 있다. 전자 장치는 무선 전력 전송 기능이 인에이블된 동안 제1 외부 장치와의 무선 통신을 분리(disconnect)하지 않고, 제2 외부 장치로의 무선 전력 전송을 함께 수행할 수 있다.
동작(540)에서, 프로세서는 무선 전력 전송 기능이 디스에이블된 경우, 제1 외부 장치와의 무선 통신을 유지할 수 있다. 프로세서는, 무선 전력 전송 기능이 디스에이블된 경우, 복수의 안테나 소자들을 무선 전력 전송 동작의 할당으로부터 배제할 수 있다. 프로세서는 무선 전력 전송 기능이 디스에이블된 경우, 복수의 안테나 소자들을 무선 통신 동작에 계속해서 할당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모든 복수의 안테나 소자들이 무선 전력 전송 동작에 할당되지 않을 수 있다.
이하, 도 6a를 참조하여 전자 장치의 동작 전력이 임계 전력을 초과하는 전력에서 임계 전력 이하의 전력으로 변경되는 경우, 무선 전력 전송 기능이 인에이블된 전자 장치의 동작이 설명될 수 있다.
도 6a에 나타난 바와 같이, 전자 장치(610a)가 임계 전력을 초과하는 전력으로 동작하는 동안, 전자 장치(610a)의 제1 안테나 소자(614a) 및 제2 안테나 소자(616a)는 제1 외부 장치(618a)와의 무선 통신 동작에 할당될 수 있다. 전자 장치(610a)가 임계 전력을 초과하는 전력으로 동작하는 동안, 전자 장치(610a)는 제1 안테나 소자(614a) 및 제2 안테나 소자(616a)를 통해 제1 외부 장치(618a)와의 무선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프로세서는 전자 장치(620a)가 임계 전력 이하의 전력으로 동작하는 경우, 제2 외부 장치(628a)로의 무선 전력 전송 기능이 인에이블되었는지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도 6a에서, 전자 장치(620a)는 무선 전력 전송 기능이 인에이블된 것으로 결정할 수 있다.
프로세서는 제2 외부 장치(628a)로의 무선 전력 전송 기능이 인에이블된 경우, 제1 외부 장치(618a)와의 무선 통신 동작에 할당된 안테나 소자들(624a, 626a) 중 일부 안테나 소자(예: 제2 안테나 소자(626a))를 제2 외부 장치(628a)로의 무선 전력 전송 동작에 할당할 수 있다. 프로세서는 제2 안테나 소자(626a)를 이용한 동작을 제1 외부 장치(618a)와의 무선 통신 동작으로부터 제2 외부 장치(628a)로의 무선 전력 전송 동작으로 전환할 수 있다.
전자 장치(620a)가 임계 전력 이하의 전력으로 동작하는 동안, 프로세서는 제1 안테나 소자(624a)를 통해 제1 외부 장치(618a)와의 무선 통신을 수행하고, 제2 안테나 소자(626a)를 통해 제2 외부 장치(628a)로의 무선 전력 전송을 위한 신호를 송신할 수 있다.
전자 장치의 동작 전력이 변경되더라도, 프로세서는 제1 안테나 소자를 통해 제1 외부 장치(618a)와의 무선 통신을 유지할 수 있다.
이하, 도 6b를 참조하여 전자 장치의 동작 전력이 임계 전력을 초과하는 전력에서 임계 전력 이하의 전력으로 변경되는 경우, 무선 전력 전송 기능이 디스에이블된 전자 장치의 동작이 설명될 수 있다.
도 6b에 나타난 바와 같이, 전자 장치(610b)가 임계 전력을 초과하는 전력으로 동작하는 동안, 전자 장치(610b)의 제1 안테나 소자(614b) 및 제2 안테나 소자(616b)는 제1 외부 장치(618b)와의 무선 통신에 할당될 수 있다. 전자 장치(610b)가 임계 전력을 초과하는 전력으로 동작하는 동안, 전자 장치(610b)는 제1 안테나 소자(614b) 및 제2 안테나 소자(616b)를 통해 제1 외부 장치(618b)와의 무선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프로세서는 전자 장치(620b)가 임계 전력 이하의 전력으로 동작하는 경우, 제2 외부 장치로의 무선 전력 전송 기능이 인에이블되었는지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도 6b에서, 전자 장치(620b)는 무선 전력 전송 기능이 디스에이블된 것으로 결정할 수 있다.
프로세서는 제2 외부 장치로의 무선 전력 전송 기능이 디스에이블된 경우, 프로세서는 제2 외부 장치로의 무선 전력 전송 동작의 할당으로부터 안테나 소자들(624b, 626b)을 배제할 수 있다. 프로세서는 안테나 소자들(624b, 626b)이 제1 외부 장치(618b)와의 무선 통신에 할당된 것을 유지할 수 있다. 전자 장치(620b)가 임계 전력 이하의 전력으로 동작하는 동안, 프로세서는 제1 안테나 소자(624b) 및 제2 안테나 소자(626b)를 통해 제1 외부 장치(618b)와의 무선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전자 장치의 동작 전력이 변경되더라도, 프로세서는 제1 안테나 소자 및 제2 안테나 소자를 통해 제1 외부 장치(618b)와의 무선 통신을 유지할 수 있다.
도 7은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외부 장치와의 무선 통신 및 제2 외부 장치로의 무선 전력 전송을 수행하는 경우 전자 장치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시퀀스도다.
도 7에서는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예시 동작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7에서, 전자 장치는 오퍼레이션 모드로 동작하고, 무선 전력 전송 플래그는 디스에이블로 설정되었을 수 있다. 전자 장치는 무선 전력 전송 기능을 인에이블하는 것을 지시하는 제1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고, 그 이후 전자 장치가 턴 오프될 것을 지시하는 제2 사용자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동작(705)에서, 전자 장치(예: 도 1의 전자 장치(110))가 오퍼레이션 모드로 동작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전자 장치가 턴 온되어 전자 장치의 디스플레이부가 영상을 출력하는 상태를 오퍼레이션 모드라고도 나타낼 수 있다.
동작(710)에서, 전자 장치는 오퍼레이션 모드로 동작하는 동안 통신부의 제1 안테나 소자 및 제2 안테나 소자를 통해 제1 외부 장치와의 무선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 장치는 오퍼레이션 모드로 동작하는 동안, 통신부의 제1 안테나 소자 및 제2 안테나 소자를 통해 5GHz 주파수 대역으로 제1 외부 장치와의 무선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동작(715)에서, 전자 장치는 제2 외부 장치로의 무선 전력 전송 기능을 인에이블할지 여부를 지시하는 제1 사용자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동작(720)에서, 전자 장치는 제1 사용자 입력에 기초하여 무선 전력 전송 기능을 인에이블할지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 장치는 무선 전력 전송 기능이 인에이블되는 것을 지시하는 제1 사용자 입력을 수신한 경우, 무선 전력 전송 기능이 인에이블된 것을 결정할 수 있다.
동작(730)에서, 와이파이 통신 제어부는 무선 전력 전송 기능이 인에이블되었는지 여부에 기초하여 무선 전력 전송 플래그를 저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무선 전력 전송 기능이 인에이블된 경우, 와이파이 통신 제어부는 무선 전력 전송 플래그를 인에이블로 저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와이파이 통신 제어부는 이전에 디스에이블로 설정되었던 무선 전력 전송 플래그를 인에이블로 변경하여 저장할 수 있다.
동작(735)에서, 전자 장치는 턴 오프될 것을 지시하는 제2 사용자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동작(740)에서, 전자 장치는 제2 사용자 입력을 수신한 경우, 저전력 모드로 진입할 수 있다. 동작(745)에서, 와이파이 통신 제어부(예: 도4의 와이파이 통신 제어부(422))는 전자 장치가 저전력 모드로 진입한 경우, 저장된 무선 전력 전송 플래그에 기초하여 제2 외부 장치로의 무선 전력 전송 기능이 인에이블되었는지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와이파이 통신 제어부는 무선 전력 전송 플래그가 인에이블인 경우, 제2 외부 장치로의 무선 전력 전송 기능이 인에이블된 것을 결정할 수 있다. 와이파이 통신 제어부는 제2 외부 장치로의 무선 전력 전송 기능이 인에이블된 것에 기초하여 후술하는 무선 전력 전송을 개시할 수 있다.
동작들(750, 755, 760)에서, 와이파이 통신 제어부는 통신부에 대하여 세팅을 수행할 수 있다. 동작(750)에서, 와이파이 통신 제어부는 통신부에 대하여 저전력 모드를 세팅할 수 있다. 동작(755)에서, 와이파이 통신 제어부는 통신부에 대하여 Wow 기능(Wake on WLAN function)을 세팅할 수 있다. 동작(760)에서, 와이파이 통신 제어부는 통신부에 대하여 제2 외부 장치로의 무선 전력 전송을 세팅할 수 있다.
동작(765)에서, 통신부는 헤드리스 모드(Headless Mode)로 진입할 수 있다. 헤드리스 모드는, 전자 장치의 디스플레이부(예: 도2의 디스플레이부(230))가 화면에 영상을 표시하지 않는 상태를 의미할 수 있다. 통신부는 제2 안테나 소자를 제2 외부 장치로의 무선 전력 전송 동작에 할당할 수 있다.
동작(770)에서, 통신부는 제1 안테나 소자를 통해 제1 주파수 대역으로 제1 외부 장치와의 무선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통신부는 제1 안테나 소자를 통해 5GHz 주파수 대역으로 제1 외부 장치와의 무선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동작(775)에서, 통신부는 제2 안테나 소자를 통해 제2 외부 장치로의 무선 전력 전송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통신부는 제2 안테나 소자를 통해 2.4GHz 주파수 대역으로 제2 외부 장치로 무선 전력 전송을 위한 신호를 송신할 수 있다.
도 8은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동작 전력이 임계 전력 이하의 전력에서 임계 전력을 초과하는 전력으로 변경되는 경우 전자 장치의 동작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다. 도 9a및 도 9b는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동작 전력이 임계 전력 이하의 전력에서 임계 전력을 초과하는 전력으로 변경되는 경우 복수의 안테나 소자들이 할당된 동작에 따른 전자 장치의 동작 방법을 나타낸다.
동작(810)에서, 프로세서는 전자 장치가 임계 전력을 초과하는 전력으로 동작하는 경우, 무선 전력 전송 기능이 인에이블되었는지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는 상기 전자 장치의 동작 전력이 상기 임계 전력을 초과하는 전력에서 상기 임계 전력 이하의 전력으로 변경되는 경우, 무선 전력 전송 기능이 인에이블되었는지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도 3에서 전술한 바와 같이, 프로세서는 무선 전력 전송 플래그에 기초하여 무선 전력 전송 기능이 인에이블되었는지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동작(820)에서, 프로세서는 무선 전력 전송 기능이 인에이블된 경우, 제1 외부 장치와의 무선 통신 동작에 할당된 안테나 소자를 제1 외부 장치와의 무선 통신 동작에 계속해서 할당할 수 있다. 프로세서는 제1 외부 장치와의 무선 통신 동작에 할당된 일부 안테나 소자(예: 제1 안테나 소자)를 통해 제1 외부 장치와의 무선 통신을 유지할 수 있다.
동작(830)에서, 프로세서는 무선 전력 전송 기능이 인에이블된 경우, 제2 외부 장치로의 무선 전력 전송 동작에 할당된 다른 안테나 소자를 제1 외부 장치와의 무선 통신 동작에 할당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는 복수의 안테나 소자들 중 다른 안테나 소자(예: 제2 안테나 소자)를 이용한 동작을 제2 외부 장치에 대한 무선 전력 전송 동작으로부터 제1 외부 장치에 대한 무선 통신 동작으로 전환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동작들(820, 830)에서, 프로세서는 무선 전력 전송 기능이 인에이블된 경우, 제1 외부 장치와의 무선 통신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프로세서는 전자 장치가 임계 전력을 초과하는 전력으로 동작하는 동안 제2 외부 장치로의 무선 전력 전송 동작의 할당으로부터 복수의 안테나 소자들을 배제할 수 있다.
동작(840)에서, 프로세서는 무선 전력 전송 기능이 디스에이블된 경우, 복수의 안테나 소자들을 통한 제1 외부 장치와의 무선 통신을 유지할 수 있다. 프로세서는, 제2 외부 장치로의 무선 전력 전송 동작의 할당으로부터 복수의 안테나 소자들을 배제할 수 있다.
이하, 도 9a를 참조하여 전자 장치의 동작 전력이 임계 전력 이하의 전력에서 임계 전력을 초과하는 전력으로 변경되는 경우, 무선 전력 전송 기능이 인에이블된 전자 장치의 동작이 설명될 수 있다.
도 9a에 나타난 바와 같이, 전자 장치(910a)가 임계 전력 이하의 전력으로 동작하는 동안, 전자 장치(910a)의 제1 안테나 소자(914a)는 제1 외부 장치(918a)와의 무선 통신 동작에 할당되고, 제2 안테나 소자(916a)는 제2 외부 장치(928a)로의 무선 전력 전송 동작에 할당될 수 있다. 전자 장치(910a)는 제1 안테나 소자(914a) 및 제2 안테나 소자(916a)를 통해 제1 외부 장치(918a)와의 무선 통신 및 제2 외부 장치(928a)로의 무선 전력 전송을 동시에 수행할 수 있다.
프로세서는 전자 장치(920a)가 임계 전력을 초과하는 전력으로 동작하는 경우, 무선 전력 전송 기능이 인에이블되었는지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도 9a에서, 전자 장치(920a)는 무선 전력 전송 기능이 인에이블된 것으로 결정할 수 있다.
프로세서는 무선 전력 전송 기능이 인에이블된 경우, 제2 외부 장치로의 무선 전력 전송 동작의 할당으로부터 제1 안테나 소자(924a) 및 제2 안테나 소자(926a)를 배제할 수 있다. 프로세서는 제1 안테나 소자(924a)가 제1 외부 장치(918a)와의 무선 통신 동작에 할당되는 것을 유지하고, 제2 안테나 소자(926a)를 제1 외부 장치(918a)로의 무선 통신 동작에 할당할 수 있다. 프로세서는 제2 안테나 소자(926a)를 이용한 동작을 제2 외부 장치(928a)로의 무선 전력 전송 동작으로부터 제1 외부 장치(918a)와의 무선 통신 동작으로 전환할 수 있다.
전자 장치(920a)가 임계 전력을 초과하는 전력으로 동작하는 동안, 전자 장치(920a)는 제1 안테나 소자(924a) 및 제2 안테나 소자(926a)를 통해 제1 외부 장치(918a)와의 무선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전자 장치의 동작 전력이 변경되더라도, 프로세서는 제1 안테나 소자를 통해 제1 외부 장치(918a)와의 무선 통신을 유지할 수 있다.
이하, 도 9b를 참조하여 전자 장치의 동작 전력이 임계 전력 이하의 전력에서 임계 전력을 초과하는 전력으로 변경되는 경우, 무선 전력 전송 기능이 디스에이블된 전자 장치의 동작이 설명될 수 있다.
도 9b에 나타난 바와 같이, 전자 장치(910b)가 임계 전력 이하의 전력으로 동작하는 동안, 전자 장치(910b)의 제1 안테나 소자(914b) 및 제2 안테나 소자(916b)는 제1 외부 장치(918b)와의 무선 통신에 할당될 수 있다. 전자 장치(910b)는 제1 안테나 소자(914b) 및 제2 안테나 소자(916b)를 통해 제1 외부 장치(918b)와의 무선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프로세서는 전자 장치(920b)가 임계 전력을 초과하는 전력으로 동작하는 경우, 무선 전력 전송 기능이 인에이블되었는지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도 9b에서, 전자 장치(920b)는 무선 전력 전송 기능이 디스에이블된 것으로 결정할 수 있다.
프로세서는 무선 전력 전송 기능이 디스에이블된 경우, 제1 외부 장치(918b)와의 무선 통신을 유지할 수 있다. 프로세서는 안테나 소자들(924b, 926b)이 제1 외부 장치(918b)와의 무선 통신에 할당된 것을 유지할 수 있다.
전자 장치(920b)가 임계 전력을 초과하는 전력으로 동작하는 동안, 전자 장치(920b)는 제1 안테나 소자(924b) 및 제2 안테나 소자(926b)를 통해 제1 외부 장치(918b)와의 무선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전자 장치의 동작 전력이 변경되더라도, 프로세서는 제1 안테나 소자 및 제2 안테나 소자를 통해 제1 외부 장치(918b)와의 무선 통신을 유지할 수 있다.
도 10는 일 실시예에 따른 제3 외부 장치와의 무선 통신을 수행하는 전자 장치의 통신부의 블록 구성도다. 도 11는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가 제2 외부 장치로의 무선 전력 전송 및 제3 외부 장치와의 무선 통신을 수행하는 동작 방법을 나타낸다.
전자 장치(예: 도 2의 전자 장치(110))의 메인 제어부(1010)(예: 도2의 프로세서(210))는 전자 장치의 통신부(1020)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메인 제어부(1010)는 전자 장치가 통신부(1020)를 통해 제1 외부 장치(1030)와의 통신 동작 및 제2 외부 장치(1040)로의 무선 전력 전송 동작 중 적어도 한 동작을 수행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통신부(1020)는 와이파이 통신 제어부(1021) 및 복수의 안테나 소자들(예: 제1 안테나 소자(1023), 및 제2 안테나 소자(1025))를 포함할 수 있다.
와이파이 통신 제어부(1021)는 메인 제어부(1010)와 협력하여 무선 통신 및/또는 무선 전력 전송을 수행할 수 있다. 와이파이 통신 제어부(1021)는 무선 통신 및/또는 무선 전력 전송을 위해 복수의 안테나 소자들을 설정 및 동작시킬 수 있다.
통신부(1020)는 복수의 안테나 소자들을 포함할 수 있다. 통신부(1020)는 제1 안테나 소자(1023) 및 제2 안테나 소자(1025)를 포함할 수 있다. 도 3에서 전술한 바와 같이, 통신부(1020)는 복수의 안테나 소자들을 통해, 제2 외부 장치(1040)로의 무선 전력 전송을 배제하고 제1 외부 장치(1030)와 통신을 수행하거나, 제1 외부 장치(1030)와의 통신 및 제2 외부 장치(1040)로의 무선 전력 전송을 함께 수행할 수 있다.
통신부(1020)는 제1 외부 장치(1030)와의 무선 통신 및 제2 외부 장치(1040)로의 무선 전력 전송을 함께 수행할 수 있다. 통신부(1020)는 제1 외부 장치(1030)와의 무선 통신 및 제2 외부 장치(1040)로의 무선 전력 전송을 서로 다른 주파수 대역으로 동시에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통신부(1020)는 제1 안테나 소자(1023)를 통해 제1 주파수 대역으로 제1 외부 장치(1030)와의 무선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통신부(1020)는 제2 안테나 소자(1025)를 통해 제1 주파수 대역과 다른 제2 주파수 대역으로 제2 외부 장치(1040)로의 무선 전력 전송을 수행할 수 있다.
도 10에서는 통신부(1020)가 제1 안테나 소자(1023)를 통해 제1 외부 장치(1030)와의 무선 통신을 수행하고 제2 안테나 소자(1025)를 통해 제2 외부 장치(1040)로의 무선 전력 전송을 수행하는 것으로 도시되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통신부(1020)는 제1 안테나 소자(1023) 및 제2 안테나 소자(1025) 모두를 통해 제1 외부 장치(1030)와 연결될 수도 있다.
통신부(1020)는 제2 외부 장치(1040)로의 무선 전력 전송을 배제하고 제1 외부 장치(1030)와의 무선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통신부(1020)는 제1 안테나 소자(1023) 및 제2 안테나 소자(1025)를 통해 제1 주파수 대역으로 제1 외부 장치(1030)와의 무선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통신부(1020)는 와이파이 통신 제어부(1021), 제1 안테나 소자(1023), 및 제2 안테나 소자(1025)와 함께, 블루투스 통신 제어부(1027), 제3 안테나 소자(1029)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블루투스 통신 제어부(1027)는 메인 제어부(1010)의 제어에 따르면서 제3 안테나 소자(1029)의 전체적인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통신부(1020)는 제3 안테나 소자(1029)를 통해 제3 주파수 대역으로 제3 외부 장치(1050)와의 무선 통신(예: 블루투스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제3 주파수 대역은 제1 외부 장치와의 무선 통신을 위한 제1 주파수 대역과 중첩되지 않을 수 있다. 제3 주파수 대역의 적어도 일부 대역은 제2 외부 장치로의 무선 전력 전송을 위한 제2 주파수 대역과 중첩될 수 있다. 예시적으로, 제1 주파수 대역은 5GHz 주파수 대역을 포함하고, 제2 주파수 대역은 2.4GHz 주파수 대역을 포함하며, 제3 주파수 대역은 2.4GHz 주파수 대역을 포함할 수 있다.
통신부(1020)가 제2 외부 장치로의 무선 전력 전송 및 제3 외부 장치와의 무선 통신을 수행하는 경우, 시분할 방식이 이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통신부(1020)는 제2 외부 장치로의 무선 전력 전송 동작을 위한 주파수 대역 중 적어도 일부 대역이 제3 외부 장치와의 무선 통신 동작을 위한 주파수 대역과 중첩되는 경우, 시분할 방식(time division)에 기초하여 상기 제2 외부 장치로의 무선 전력 전송 동작 및 상기 제3 외부 장치와의 무선 통신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통신부(1020)는 제3 주파수 대역으로 제3 외부 장치(1030)와의 무선 통신 및 제2 외부 장치(1040)로의 무선 전력 전송을 시분할 방식을 통해 수행할 수 있다. 통신부(1020)는 5GHz 주파수 대역으로 제1 외부 장치(1030)와의 무선 통신을 유지한 상태에서, 통신 주기의 한 시점(time point)에서 제2 외부 장치(1040)로의 무선 전력 전송 동작 및 제3 외부 장치와의 무선 통신 동작 중 한 동작을 2.4GHz 주파수 대역으로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메인 제어부(1010)는 통신 주기(1110)의 전체 주기 동안 제1 안테나 소자(1023)를 통해 5GHz 주파수 대역으로 제1 외부 장치(1030)와의 무선 통신을 유지할 수 있다. 메인 제어부(1010)는 통신 주기의 일부 주기(1111)동안 제2 안테나 소자(1025)를 통해 제2 외부 장치(1040)로의 무선 전력 전송을 수행할 수 있다. 메인 제어부(1010)는 통신 주기의 다른 일부 주기(1112) 동안 제3 안테나 소자(1029)를 통해 2.4GHz 주파수 대역으로 제3 외부 장치(1050)와의 무선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메인 제어부(1010)가 제2 외부 장치(1040)로의 무선 전력 전송을 배제하고 제1 외부 장치(1030)와의 무선 통신을 수행하는 경우, 통신부(1020)는 제1 외부 장치(1030)와의 무선 통신 및 제3 외부 장치(1050)와의 무선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통신부(1020)는 제1 안테나 소자(1023) 및 제2 안테나 소자(1025)를 통해 제1 주파수 대역으로 제1 외부 장치(1030)와의 무선 통신을 수행하고, 제3 안테나 소자(1029)를 통해 제3 주파수 대역으로 제3 외부 장치(1050)와의 무선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된 실시예들은 하드웨어 구성요소, 소프트웨어 구성요소, 및/또는 하드웨어 구성요소 및 소프트웨어 구성요소의 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실시예들에서 설명된 장치, 방법 및 구성요소는, 예를 들어, 프로세서, 콘트롤러, ALU(arithmetic logic unit),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digital signal processor), 마이크로컴퓨터, FPGA(field programmable gate array), PLU(programmable logic unit), 마이크로프로세서, 또는 명령(instruction)을 실행하고 응답할 수 있는 다른 어떠한 장치와 같이, 범용 컴퓨터 또는 특수 목적 컴퓨터를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처리 장치는 운영 체제(OS) 및 상기 운영 체제 상에서 수행되는 소프트웨어 애플리케이션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처리 장치는 소프트웨어의 실행에 응답하여, 데이터를 접근, 저장, 조작, 처리 및 생성할 수도 있다. 이해의 편의를 위하여, 처리 장치는 하나가 사용되는 것으로 설명된 경우도 있지만,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처리 장치가 복수 개의 처리 요소(processing element) 및/또는 복수 유형의 처리 요소를 포함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예를 들어, 처리 장치는 복수 개의 프로세서 또는 하나의 프로세서 및 하나의 컨트롤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병렬 프로세서(parallel processor)와 같은, 다른 처리 구성(processing configuration)도 가능하다.
소프트웨어는 컴퓨터 프로그램(computer program), 코드(code), 명령(instruction), 또는 이들 중 하나 이상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으며, 원하는 대로 동작하도록 처리 장치를 구성하거나 독립적으로 또는 결합적으로(collectively) 처리 장치를 명령할 수 있다. 소프트웨어 및/또는 데이터는, 처리 장치에 의하여 해석되거나 처리 장치에 명령 또는 데이터를 제공하기 위하여, 어떤 유형의 기계, 구성요소(component), 물리적 장치, 가상 장치(virtual equipment), 컴퓨터 저장 매체 또는 장치에 영구적으로, 또는 일시적으로 구체화(embody)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 상에 분산되어서, 분산된 방법으로 저장되거나 실행될 수도 있다. 소프트웨어 및 데이터는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에 저장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른 방법은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저장할 수 있으며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실시예를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magnetic media), CD-ROM,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optical media),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롬(ROM), 램(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한다.
위에서 설명한 하드웨어 장치는 실시예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하나 또는 복수의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
이상과 같이 실시예들이 비록 한정된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를 기초로 다양한 기술적 수정 및 변형을 적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설명된 기술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순서로 수행되거나, 및/또는 설명된 시스템, 구조, 장치, 회로 등의 구성요소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형태로 결합 또는 조합되거나, 다른 구성요소 또는 균등물에 의하여 대치되거나 치환되더라도 적절한 결과가 달성될 수 있다.
그러므로, 다른 구현들, 다른 실시예들 및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도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의 범위에 속한다.

Claims (20)

  1. 전자 장치에 있어서,
    제1 외부 장치와의 무선 통신(wireless communication) 동작 및 제2 외부 장치로의 무선 전력 전송(wireless power transfer) 동작 중 적어도 한 동작을 위한 복수의 안테나 소자들;
    컴퓨터로 실행 가능한 명령어들(computer-executable instructions)을 저장하는 메모리; 및
    상기 메모리에 억세스(access)하여 상기 명령어들을 실행하는 프로세서
    를 포함하고,
    상기 명령어들은,
    상기 전자 장치가 임계 전력 이하의 전력으로 동작하는 경우, 상기 제2 외부 장치로의 무선 전력 전송 기능이 인에이블(enable)되었는 지 여부를 결정하고,
    상기 무선 전력 전송 기능이 인에이블된 경우, 복수의 안테나 소자들을 통해 상기 제1 외부 장치와 무선 통신을 유지하고 상기 제2 외부 장치로의 무선 전력 전송을 위한 신호를 송신
    하도록 구성되는,
    전자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명령어들은,
    상기 무선 전력 전송 기능이 인에이블된 경우, 상기 제1 외부 장치와의 무선 통신 동작에 할당된 상기 복수의 안테나 소자들 중 일부 안테나 소자를 상기 제2 외부 장치로의 무선 전력 전송 동작에 할당
    하도록 구성되는,
    전자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명령어들은,
    제1 주파수 대역으로 상기 제1 외부 장치와 무선 통신을 수행하고,
    상기 제1 주파수 대역과 다른 제2 주파수 대역으로 상기 제2 외부 장치로의 무선 전력 전송을 위한 신호를 송신
    하도록 구성되는,
    전자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명령어들은,
    상기 무선 전력 전송 기능이 디스에이블된 경우, 상기 복수의 안테나 소자들을 통한 상기 제1 외부 장치와의 무선 통신을 유지
    하도록 더 구성되는,
    전자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명령어들은,
    상기 전자 장치가 상기 임계 전력을 초과하는 전력으로 동작하는 경우, 상기 복수의 안테나 소자들을 상기 제2 외부 장치로의 무선 전력 전송 동작의 할당으로부터 배제(exclude)
    하도록 더 구성되는,
    전자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명령어들은,
    상기 무선 전력 전송 기능의 인에이블 여부와는 독립적으로, 상기 복수의 안테나 소자들 중 적어도 일부를 통한 상기 제1 외부 장치와의 무선 통신을 유지
    하도록 구성되는,
    전자 장치.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명령어들은,
    상기 무선 전력 전송 기능이 인에이블된 경우, 상기 복수의 안테나 소자들 중 상기 제1 외부 장치와의 무선 통신 동작에 할당된 안테나 소자를 통해 상기 제1 외부 장치와의 무선 통신을 유지하고,
    상기 제2 외부 장치로의 무선 전력 전송 동작에 할당된 안테나 소자를 상기 제1 외부 장치와의 무선 통신 동작에 할당
    하도록 구성되는,
    전자 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명령어들은,
    사용자로부터 상기 무선 전력 전송 기능을 인에이블할 것을 지시하는 입력을 수신하는 경우, 상기 제2 외부 장치로의 무선 전력 전송 기능이 인에이블되었는지 여부를 지시하는 무선 전력 전송 플래그를 인에이블로 저장하고,
    상기 사용자로부터 상기 무선 전력 전송 기능을 디스에이블할 것을 지시하는 입력을 수신하는 경우, 상기 무선 전력 전송 플래그를 디스에이블로 저장하며,
    상기 저장된 무선 전력 전송 플래그에 기초하여 상기 제2 외부 장치로의 무선 전력 전송 기능이 인에이블되었는지 여부를 결정
    하도록 구성되는
    전자 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제3 외부 장치와의 무선 통신 동작을 위한 추가 안테나 소자
    를 더 포함하고,
    상기 명령어들은,
    상기 추가 안테나 소자를 통해 제3 외부 장치와의 무선 통신을 수행
    하도록 더 구성되는,
    전자 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명령어들은,
    상기 제2 외부 장치로의 무선 전력 전송 동작을 위한 주파수 대역 중 적어도 일부 대역이 상기 제3 외부 장치와의 무선 통신 동작을 위한 주파수 대역과 중첩되는 경우, 시분할 방식(time division)을 통해 상기 제2 외부 장치로의 무선 전력 전송 동작 및 상기 제3 외부 장치와의 무선 통신 동작을 수행
    하도록 더 구성되는,
    전자 장치.
  11. 전자 장치의 동작 방법에 있어서,
    상기 전자 장치가 임계 전력 이하의 전력으로 동작하는 경우, 제2 외부 장치로의 무선 전력 전송 기능이 인에이블(enable)되었는지 여부를 결정하는 동작; 및
    상기 무선 전력 전송 기능이 인에이블된 경우, 복수의 안테나 소자들을 통해 제1 외부 장치와 무선 통신을 유지하고 상기 제2 외부 장치로의 무선 전력 전송을 위한 신호를 송신하는 동작
    을 포함하는 동작 방법.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외부 장치와 무선 통신을 유지하고 상기 제2 외부 장치로의 무선 전력 전송을 위한 신호를 송신하는 동작은,
    상기 무선 전력 전송 기능이 인에이블된 경우, 상기 제1 외부 장치와의 무선 통신 동작에 할당된 상기 복수의 안테나 소자들 중 일부 안테나 소자를 상기 제2 외부 장치로의 무선 전력 전송 동작에 할당하는 동작을 포함하는,
    동작 방법.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외부 장치와 무선 통신을 유지하고 상기 제2 외부 장치로의 무선 전력 전송을 위한 신호를 송신하는 동작은,
    제1 주파수 대역으로 상기 제1 외부 장치와 무선 통신을 수행하는 동작; 및
    상기 제1 주파수 대역과 다른 제2 주파수 대역으로 상기 제2 외부 장치로의 무선 전력 전송을 위한 신호를 송신하는 동작을 포함하는,
    동작 방법.
  14.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 전력 전송 기능이 디스에이블된 경우, 상기 복수의 안테나 소자들을 통한 상기 제1 외부 장치와의 무선 통신을 유지하는 동작
    을 더 포함하는 동작 방법.
  15.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 장치가 상기 임계 전력을 초과하는 전력으로 동작하는 경우, 상기 복수의 안테나 소자들을 상기 제2 외부 장치로의 무선 전력 전송 동작의 할당으로부터 배제(exclude)하는 동작
    을 더 포함하는 동작 방법.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 전력 전송 동작의 할당으로부터 배제하는 동작은,
    상기 무선 전력 전송 기능의 인에이블 여부와는 독립적으로, 상기 복수의 안테나 소자들 중 적어도 일부를 통한 상기 제1 외부 장치와의 무선 통신을 유지하는 동작을 포함하는,
    동작 방법.
  17.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 전력 전송 동작의 할당으로부터 배제하는 동작은,
    상기 무선 전력 전송 기능이 인에이블된 경우, 상기 복수의 안테나 소자들 중 상기 제1 외부 장치와의 무선 통신 동작에 할당된 안테나 소자를 통해 상기 제1 외부 장치와의 무선 통신을 유지하는 동작; 및
    상기 제2 외부 장치로의 무선 전력 전송 동작에 할당된 안테나 소자를 상기 제1 외부 장치와의 무선 통신 동작에 할당하는 동작
    을 포함하는 동작 방법.
  18. 제11항에 있어서,
    사용자로부터 상기 무선 전력 전송 기능을 인에이블할 것을 지시하는 입력을 수신하는 경우, 상기 제2 외부 장치로의 무선 전력 전송 기능이 인에이블되었는지 여부를 지시하는 무선 전력 전송 플래그를 인에이블로 저장하는 동작; 및
    상기 사용자로부터 상기 무선 전력 전송 기능을 디스에이블할 것을 지시하는 입력을 수신하는 경우, 상기 무선 전력 전송 플래그를 디스에이블로 저장하는 동작
    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2 외부 장치로의 무선 전력 전송 기능이 인에이블되었는지 여부를 결정하는 동작은,
    상기 저장된 무선 전력 전송 플래그에 기초하여 상기 제2 외부 장치로의 무선 전력 전송 기능이 인에이블되었는지 여부를 결정하는 동작을 포함하는,
    동작 방법.
  19. 제11항에 있어서,
    제3 외부 장치와의 무선 통신 동작을 위한 추가 안테나 소자를 통해 상기 제3 외부 장치와의 무선 통신을 수행하는 동작; 및
    상기 제2 외부 장치로의 무선 전력 전송 동작을 위한 주파수 대역 중 적어도 일부 대역이 상기 제3 외부 장치와의 무선 통신 동작을 위한 주파수 대역과 중첩되는 경우, 시분할 방식(time division)을 통해 상기 제2 외부 장치로의 무선 전력 전송 동작 및 상기 제3 외부 장치와의 무선 통신 동작을 수행하는 동작
    을 더 포함하는 동작 방법.
  20. 제11항 내지 제19항 중에서 어느 하나의 항의 방법을 실행시키기 위한 명령어를 포함하는 하나 이상의 프로그램이 기록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KR1020220015399A 2022-02-07 2022-02-07 무선 통신을 수행하는 전자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KR20230119365A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15399A KR20230119365A (ko) 2022-02-07 2022-02-07 무선 통신을 수행하는 전자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PCT/KR2022/021134 WO2023149658A1 (ko) 2022-02-07 2022-12-23 무선 통신을 수행하는 전자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US18/114,514 US20230254020A1 (en) 2022-02-07 2023-02-27 Electronic device for performing wireless communication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15399A KR20230119365A (ko) 2022-02-07 2022-02-07 무선 통신을 수행하는 전자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19365A true KR20230119365A (ko) 2023-08-16

Family

ID=875525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15399A KR20230119365A (ko) 2022-02-07 2022-02-07 무선 통신을 수행하는 전자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20230119365A (ko)
WO (1) WO2023149658A1 (ko)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32621B1 (ko) * 2014-11-21 2021-12-01 삼성전자주식회사 신호 송수신 회로 및 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US9859950B2 (en) * 2015-10-29 2018-01-02 Integrated Device Technology, Inc. Wireless power receiver with magnetic data transaction capability
KR101968402B1 (ko) * 2016-06-22 2019-04-11 성균관대학교산학협력단 무선 전력 통신 네트워크에서 간섭을 고려한 무선 전력 전송 장치의 제어 방법과 무선 전력 전송 장치
US11342798B2 (en) * 2017-10-30 2022-05-24 Energous Corporation Systems and methods for managing coexistence of wireless-power signals and data signals operating in a same frequency band
KR102340017B1 (ko) * 2020-04-23 2021-12-17 한국전자기술연구원 전력 및 데이터를 무선 전송을 하기 위한 스케줄링 시스템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3149658A1 (ko) 2023-08-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686259B2 (en) Electronic device comprising antenna
US8788668B2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 setting program transmission method and server setting program
US20170228337A1 (en) Network interface card configuration method and resource management center
US9705534B2 (en) Electronic device using antenna
US10402222B2 (en) Task migration method and apparatus
US9690618B2 (en) Method for task scheduling and electronic device using the same
US9526120B2 (en) Techniques for context-based application invocation for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interactions
US20100058341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setting input/output device in virtualization system
US20160345125A1 (en)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performing wireless communication thereof
KR102380322B1 (ko) 전자 장치 및 그의 무선 통신 수행 방법
US10182094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data
US9336034B2 (en) Display of host operating system user interface elements within a guest operating system of a virtual machine
US20160127768A1 (en) Usb sharing method for combo tv set, combo tv set and computer readable storage medium
US11675621B2 (en) Method for controlling execution of application, electronic device and storage medium for the same
KR20160125492A (ko) 무선 데이터 송신을 위한 가드 밴드 사용 방법
KR20230119365A (ko) 무선 통신을 수행하는 전자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US10893124B2 (en) Working environment provisioning method and apparatus for execution of application program between electronic device and external server
KR20150095029A (ko) 응용 프로그램 가상화 시스템 및 사용자 단말의 응용 프로그램 가상화 방법
US20230254020A1 (en) Electronic device for performing wireless communication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CN111158513B (zh) 信息处理方法、电子设备及信息处理装置
US10282212B2 (en) System and method for reducing boot time of a workload configuration on a target server
JP2012129651A (ja) 通信装置、通信システム、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KR102484606B1 (ko) 전자장치 및 그 제어방법
AU2015340243B2 (en) Communication method for determining channel according to current consumption and electronic device for supporting the same
US20190286578A1 (en) Communication system, communication device, and communication metho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