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19246A - 절연 변위 접점 시스템 - Google Patents

절연 변위 접점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19246A
KR20230119246A KR1020237026130A KR20237026130A KR20230119246A KR 20230119246 A KR20230119246 A KR 20230119246A KR 1020237026130 A KR1020237026130 A KR 1020237026130A KR 20237026130 A KR20237026130 A KR 20237026130A KR 20230119246 A KR20230119246 A KR 2023011924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ct
cover
sidewall
engagement surface
led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702613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683712B1 (ko
Inventor
브랜트 라이브랜드
Original Assignee
교세라 에이브이엑스 컴포넌츠 코포레이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교세라 에이브이엑스 컴포넌츠 코포레이션 filed Critical 교세라 에이브이엑스 컴포넌츠 코포레이션
Publication of KR2023011924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1924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8371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83712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4/00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 H01R4/24Connections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or cutting insulation or cable strands
    • H01R4/2416Connections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or cutting insulation or cable strands the contact members having insulation-cutting edges, e.g. of tuning fork type
    • H01R4/2445Connections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or cutting insulation or cable strands the contact members having insulation-cutting edges, e.g. of tuning fork type the contact members having additional means acting on the insulation or the wire, e.g. additional insulation penetrating means, strain relief means or wire cutting knives
    • H01R4/245Connections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or cutting insulation or cable strands the contact members having insulation-cutting edges, e.g. of tuning fork type the contact members having additional means acting on the insulation or the wire, e.g. additional insulation penetrating means, strain relief means or wire cutting knives the additional means having two or more slotted flat por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9/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e.g. terminal strips or terminal blocks; Terminals or binding posts mounted upon a base or in a case; Bases therefor
    • H01R9/03Connectors arranged to contact a plurality of the conductors of a multiconductor cable, e.g. tapping connections
    • H01R9/05Connectors arranged to contact a plurality of the conductors of a multiconductor cable, e.g. tapping connections for coaxial cables
    • H01R9/053Connectors arranged to contact a plurality of the conductors of a multiconductor cable, e.g. tapping connections for coaxial cables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9/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e.g. terminal strips or terminal blocks; Terminals or binding posts mounted upon a base or in a case; Bases therefor
    • H01R9/22Bases, e.g. strip, block, panel
    • H01R9/223Insulating enclosures for termina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4/00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 H01R4/24Connections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or cutting insulation or cable strand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4/00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 H01R4/24Connections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or cutting insulation or cable strands
    • H01R4/2416Connections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or cutting insulation or cable strands the contact members having insulation-cutting edges, e.g. of tuning fork type

Landscapes

  • Coupling Device And Connection With Printed Circuit (AREA)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Abstract

절연 변위 접점 시스템은 제 1 절연 변위 접점, 제 2 절연 변위 접점, 제 1 절연 변위 접점 위의 제 1 부분과 제 2 절연 변위 접점 위의 제 2 부분을 갖는 커버를 포함한다. 커버는 제 1 절연 변위 접점의 제 1 쌍의 프롱과 커버를 맞물리도록 제 1 부분과 제 2 부분 사이에 유지 갭을 포함한다. 커버의 제 1 부분은 커버를 제 1 절연 변위 접점의 제 2 쌍의 프롱과 맞물리도록 구성된 제 1 레지 및 제 2 레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절연 변위 접점 시스템
관련 출원에 대한 교차 참조
본 출원은 2021년 2월 11일에 출원된 미국 가특허 출원 제 63/148413호를 우선권으로 주장하며, 그 내용은 전체적으로 인용에 의해 본원에 포함된다.
기술 분야
본 출원은 일반적으로 전기 커넥터 분야에 관한 것으로, 특히 다수의 전기 구성요소 사이에 전기적 연결을 형성하도록 구성된 전기 커넥터에 관한 것이다.
다음은 독자의 이해를 돕기 위한 설명이다. 제공된 정보나 인용된 참고문헌은 선행 기술로 인정되지 않는다.
와이어와 전자 또는 전기 구성요소 사이의 연결을 형성하기 위해 다양한 유형의 커넥터가 사용된다. 이러한 커넥터는 일반적으로 다양한 크기, 피치 및 도금 옵션의 소켓, 플러그, 및 보호된 헤더로 제공된다. 전통적으로, 사용자가 와이어를 전기 구성요소에 기계적으로 전기적으로 연결하기 위해, 사용자는 전기 연결을 형성하기 위해 전기 구성요소와 관련하여 와이어를 정확하게 위치시켜야 한다. 이 프로세스는 지루하고 비효율적이며 바람직하지 않을 수 있다. 조립 중 잘못된 배치로 인해 와이어와 구성요소 연결이 예기치 않게 끊어지거나 단락될 수 있으며, 특히 와이어를 값비싼 구성요소(예: 인쇄 회로 기판(PCB))에 연결할 때 위험하거나 비용이 많이 들 수 있다. 따라서 다양한 애플리케이션에서 다양한 크기의 와이어를 정확하게 배치할 수 있는 빠르고 효율적이며 신뢰할 수 있는 수단이 필요하다.
본 개시의 디바이스 및 방법은 각각 몇 가지 혁신적인 양태를 가지며, 그 중 어느 하나도 여기에 개시된 바람직한 속성에 대해 단독으로 책임지지 않는다.
본 개시의 일부 실시예에 따라, 절연 변위 접점 시스템이 개시된다. 절연 변위 접점 시스템은 제 1 절연 변위 접점, 제 2 절연 변위 접점, 및 제 1 절연 변위 접점 위의 제 1 부분과 제 2 절연 변위 접점 위의 제 2 부분을 갖는 커버를 포함한다. 커버는 제 1 절연 변위 접점의 제 1 쌍의 프롱(prong)과 커버를 맞물리도록 제 1 부분과 제 2 부분 사이에 유지 갭을 더 포함하고, 커버의 제 1 부분은 제 1 절연 변위 접점의 제 2 쌍의 프롱과 상기 커버가 맞물리도록 구성된 제 1 레지(ledge) 및 제 2 레지를 포함한다.
본 개시의 일부 실시예에 따라, 전기 접점용 커버가 개시된다. 커버는 제 1 상부 벽, 제 1 측벽, 및 제 2 측벽을 갖는 제 1 부분, 제 2 상부벽, 제 3 측벽, 및 제 4 측벽을 갖는 제 2 부분, 및 상기 제 1 부분과 상기 제 2 부분 사이의 유지 갭을 포함한다. 제 1 부분은 전기 구성요소에 연결된 제 1 접점 위에 조립되도록 구성되고, 제 2 부분은 전기 구성요소에 연결된 제 2 접점 위에 조립되도록 구성되며, 제 1 측벽은 유지 갭에 대향하는 제 1 레지를 포함하여 제 1 레지가 제 1 접점의 제 1 플랜지와 맞물리도록 구성되고, 제 2 측벽은 제 2 레지가 제 1 접점의 제 2 플랜지와 맞물리도록 구성되도록 유지 갭에 대향하는 제 2 레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에 따라, 방법이 개시된다. 이 방법은 제 1 접점 및 제 2 접점을 전기 구성요소 상에 조립하기 위해 전기 구성요소 위에 그 안에 맞물린 제 1 접점 및 제 2 접점을 갖는 캐리어를 위치시키는 단계, 전기 구성요소 상에 제 1 접점 및 제 2 접점을 조립하는 단계, 및 전기 구성요소 상에 제 1 접점 및 제 2 접점을 조립할 때 제 1 접점 및 제 2 접점으로부터 캐리어를 맞물림 해제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이 방법은 또한 캐리어를 맞물림 해제할 때 제 1 접점과 제 2 접점 사이에 케이블을 맞물리는 단계와 커버의 제 1 레지를 제 1 접점의 제 1 프롱과 맞물림으로써 케이블, 제 1 접점, 및 제 2 접점 위에 커버를 고정하는 단계, 커버의 제 2 레지를 제 1 접점의 제 2 프롱과 맞물리는 단계, 커버의 제 1 부분과 제 2 부분 사이의 유지 갭에 한정된 커버의 제 1 맞물림 표면을 제 1 접점의 제 3 프롱과 맞물리는 단계, 및 유지 갭에 한정된 커버의 제 2 맞물림 표면을 제 1 접점의 제 4 프롱과 맞물리는 단계를 포함한다.
도 1a 및 도 1b는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라, 제 1 및 제 2 절연 변위 접점(IDC)을 전기 구성요소와 용이하게 연결하기 위해 내부에 고정된 제 1 및 제 2 IDC를 갖는 캐리어의 예이다.
도 2는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라, 도 1a 및 도 1b의 캐리어의 평면도이다.
도 3은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라, 제 1 및 제 2 IDC와 전기 구성요소 사이의 전기적 연결을 위해 전기 구성요소 상에 위치된 캐리어 및 제 1 및 제 2 IDC를 도시한다.
도 4는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라, 전기 구성요소에 연결되고 캐리어가 제 1 및 제 2 IDC로부터 분리된 제 1 및 제 2 IDC를 도시한다.
도 5는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라, 전달을 위해 개별 포켓에 로드된 단일화된 캐리어를 갖는 포켓 테이프를 도시한다.
도 6은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라, 동축 케이블의 예를 도시한다.
도 7은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라, 제 1 및 제 2 IDC 사이에 동축 케이블을 삽입하기 위한 내부에 도 6의 동축 케이블을 고정하기 위한 안착 도구의 예를 도시한다.
도 8은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라, 동축 케이블을 안착 도구로부터 제 1 및 제 2 IDC로 전달하기 위해 제 1 및 제 2 IDC 위에 위치된 그안에 고정된 동축 케이블을 갖는 도 7의 안착 도구를 도시한다.
도 9는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라, 동축 케이블이 연결되고 안착 도구가 제거된 제 1 및 제 2 IDC를 도시한다.
도 10은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라, 제 1 및 제 2 IDC 위에 조립되도록 구성된 커버의 예를 도시한다.
도 11a 내지 도 11c는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라, 제 1 및 제 2 IDC 위에 조립된 커버의 다양한 도면을 도시한다.
도 12는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라, 캐리어를 사용하여 전기 구성요소 상에 제 1 및 제 2 IDC를 조립하고, 안착 도구를 사용하여 제 1 및 제 2 IDC 사이에 동축 케이블을 조립하고, 동축 케이블을 전기 구성요소에 전기적으로 연결하기 위해 동축 케이블 위에 커버를 조립하기 위한 동작을 설명하는 예시적인 흐름도이다.
이제 다양한 실시예를 참조할 것이며, 그 중 하나 이상의 예가 도면에 도시되어 있다. 실시예는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해 제공되며 본 발명을 제한하는 것을 의미하지 않는다. 예를 들어, 하나의 실시예의 일부로서 예시되거나 설명된 특징은 또 다른 실시예를 생성하기 위해 또 다른 실시예와 함께 사용될 수 있다. 본 출원은 본 발명의 범위 및 사상 내에 있는 이들 및 다른 수정 및 변형을 포함하는 것으로 의도된다.
인쇄 회로 기판("PCB"), 접지면, 접촉기, 버스 바, 또는 임의의 다른 전도성 표면과 같은 전기 구성요소에 대한 동축 케이블의 빠른 종단을 가능하게 하는 IDC 시스템이 본원에 개시된다. IDC 시스템은 플라스틱 절연 없이 동축 케이블을 종단 처리하고 적절한 전자기 간섭(무선 주파수(RF) 포함) 차폐 및 기계적 변형-완화(strain-relief)를 제공한다. IDC 시스템은 플라스틱 단열재를 공기로 대체하여 보다 균일한 전자기 환경을 만든다. 따라서 IDC 시스템을 사용하면 와이어와 전기 구성요소 사이의 전기적 연결을 효율적이고 신속하게 생성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IDC 시스템은 한 쌍의 전기 접점과 한 쌍의 전기 접점 위에 조립된 변형-완화 커버를 포함한다. 변형-완화 커버는 부스러기, 먼지 등과 같은 외부 요소로부터 전기 접점 사이에 설치된 한 쌍의 전기 접점과 동축 케이블을 보호할 뿐만 아니라 전기 접점과 케이블에 대한 기계적 지원을 제공한다. 또한, 일부 실시예에서, 변형-완화 커버는 변형-완화 커버의 적어도 일부가 한 쌍의 전기 접점 중 제 1 전기 접점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변형-완화 커버는 또한 제 1 전기 접점으로부터 한 쌍의 전기 접점 중 제 2 접점에 전자기 간섭 차폐를 제공한다. 일부 실시예에서, 변형-완화 커버는 제 2 전기 접점 위의 케이블과 변형-완화 커버 사이에 에어 갭이 존재하도록 제 2 전기 접점 위에 조립될 수 있다. 공극은 케이블의 절연 역할을 할 수 있으므로 플라스틱 절연이 필요하지 않다.
또한, 본 개시는 한 쌍의 전기 접점을 전기 구성요소에 조립하고, 한 쌍의 전기 접점 사이에 케이블을 조립하고, 한 쌍의 전기 접점 위에 변형-완화 커버를 조립하기 위한 새롭고 용이한 메커니즘을 제공한다. 구체적으로, 본 개시는 한 쌍의 전기 접점을 수동으로 취급(예를 들어, 터치)할 필요 없이 전기 구성요소 위에 한 쌍의 전기 접점을 적절하게 축방향으로 위치시키고 배향하도록 전기 접점 쌍이 고정될 수 있는 캐리어를 제공한다. 캐리어는 또한 한 쌍의 전기 접점이 이동하지 않고 전기 구성요소 상의 한 쌍의 전기 접점의 조립(예를 들어, 납땜) 중에 적절한 위치에 유지되도록 보장한다. 캐리어는 또한 전자기 간섭을 줄이기 위해 전기 구성요소의 전기 접점 쌍 사이에 적절하고 일관된 간격을 보장한다. 전기 구성요소에 한 쌍의 전기 접점을 조립할 때, 캐리어를 제거할 수 있다.
유사하게, 일부 실시예에서, 본 개시는 동축 케이블을 수동으로 취급(예를 들어, 터치)할 필요 없이 한 쌍의 전기 접점 사이에 동축 케이블을 설치하기 위한 용이하고 편리한 메커니즘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내부에 공동을 갖는 안착 도구를 제공한다. 동축 케이블은 안착 도구의 공동 내에 삽입될 수 있다. 공동은 전기 구성요소를 향한 하향력이 안착 도구에 가해질 때 동축 케이블을 안착 도구에서 한 쌍의 전기 접점으로 전달하도록 특별히 설계될 수 있다. 안착 도구는 또한 한 쌍의 전기 접점 사이에서 동축 케이블의 일관되고 적절한 수직 및 축 위치 지정을 가능하게 한다. 본 개시는, 한 쌍의 전기 접점 사이에 동축 케이블을 조립할 때, 특별한 도구나 디바이스에 대한 요구 없이 동축 케이블 위에 변형-완화 커버를 설치하는 용이하고 편리한 메커니즘을 제공한다. 예를 들어, 일부 실시예에서, 변형-완화 커버는 변형-완화 커버를 한 쌍의 전기 접점 위에 스냅 결합 또는 마찰 끼워맞춤하기 위해 한 쌍의 전기 접점 중 하나에 있는 특징부(예를 들어, 플랜지)와 상호작용하는 특징부(예를 들어, 레지, 맞물림 표면)로 구성될 수 있다.
도 1a 및 도 1b는 본 개시의 일부 실시예에 따른 IDC 시스템의 일부를 도시한다. IDC 시스템에는 캐리어, 안착 도구, 및 변형-완화 커버를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도 1a 및 도 1b는 캐리어 시스템(100)의 예를 도시하고, 안착 도구 및 변형-완화 커버는 아래에서 추가로 설명된다. 구체적으로, 도 1a는 캐리어 시스템(100)의 상부 사시도를 도시하는 반면, 도 1b는 캐리어 시스템의 저면도를 도시한다. 캐리어 시스템(100)은 캐리어(105) 및 전기 접점(110)을 포함한다. 캐리어(105)는 조립을 위해 전기 구성요소(예를 들어, PCB) 상에 전기 접점을 위치시키면서 전기 접점(110)을 견고하게 유지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전기 구성요소 상에 전기 접점(110)을 조립할 때, 캐리어(105)가 제거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캐리어(105)는 플라스틱으로 구성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캐리어(105)는 다른 비전도성, 비금속, 및/또는 다른 적합한 재료로 구성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캐리어(105)는 일회용일 수 있다. 캐리어(105)는 상부 표면(120) 및 바닥면(125)을 갖는 베이스(115)를 포함할 수 있다(도 1b 참조). 베이스(115)가 직사각형 형상을 갖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지만, 다른 실시예에서 베이스는 다른 형상 및 크기를 가질 수 있다. 베이스(115)의 상부 표면(120)은 전기 접점(110)을 수용하고 고정하기 위한 유지 슬롯(130)을 가질 수 있다. 유지 슬롯(130)을 포함하는 캐리어(105)의 상부 표면(120)을 보다 상세하게 도시하는 도 2는 이하에서 논의된다. 캐리어(105)의 하부 표면(125)은 상부 표면(120)으로부터 그리고 그로부터 멀리 연장되는 하나 이상의 레그를 포함한다. 일부 실시예에서, 하부 표면(125)은 그로부터 연장되는 3개의 레그(135, 140, 145)를 가질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3개보다 크거나 적은 레그가 제공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베이스(115) 및 레그(135-145)는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베이스(115) 및 레그(135-145)는 작동 관련하여 함께 결합된 개별 구성요소일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레그(135-145)의 높이는 각각의 전기 접점(110)의 바닥면이 단일 평면에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따라서, 각각의 전기 접점(110)의 높이, 폭 및/또는 두께에 따라, 각각의 레그(135-145)는 동일한(또는 유사한) 높이 또는 다양한 높이를 가질 수 있어 이들 전기 접점이 동일한 평면 상에 놓이도록 보장한다.
또한, 일부 실시예에서, 각각의 레그(135-145)는 베이스(115)의 폭 방향(155)을 따라 연장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도 1a 및 도 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부 실시예에서, 레그(135-145) 각각은 레그의 더 넓은 부분이 베이스(115)의 바닥면(125)에 인접한 폭 방향(155)을 따라 연장되고 점차 전기 접점(110)을 향하여 하방으로 테이퍼링되도록 테이퍼링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레그(135-145) 중 하나 이상의 형상은 도시된 것과 상이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폭 방향(155)은 베이스(115)의 더 짧은 에지일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레그(135-145) 중 하나 이상은 베이스(115)의 길이 방향(160)을 따라 위치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길이 방향(160)은 베이스(115)의 더 긴 에지일 수 있다.
추가로, 일부 실시예에서, 레그(135-145) 각각은 전기 접점(110)의 실질적인 폭(예를 들어, 폭 방향(155)으로)으로 연장하도록 크기 설정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일부 실시예에서, 각각의 레그(135-145)의 하부 표면(150)의 폭은 각각의 레그가 지지하도록 설계된 전기 접점(110)의 폭에 따라 크기가 결정될 수 있다. 따라서, 일부 실시예에서, 레그(135-145) 각각은 상이한 크기일 수 있다. 또한, 일부 실시예에서, 레그(135-145) 각각은 베이스(115)의 길이 방향(160)을 따라 서로 이격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레그(135-145) 사이의 간격은 전기 접점(110)의 구성에 기초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일부 실시예에서 전기 접점(110)은 접지 접점(165) 및 신호 접점(170)을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접지 접점(165)은 제 1 접점 또는 제 1 절연 변위 접점으로 간주될 수 있으며 신호 접점(170)은 제 2 접점 또는 제 2 절연 변위 접점으로 간주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제 1 접점 및 제 2 접점 각각은 전선 또는 케이블(예를 들어, 절연 전선 또는 케이블)과 전기 구성요소 사이의 전기 연결을 설정하도록 구성된 절연 변위 접점일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접지 접점(165)은 접지 접점의 바닥(185)으로부터 베이스(115)의 바닥면(125)을 향해 위쪽으로 연장되는 한 쌍의 레그(175 및 180)를 가질 수 있다. 레그(175 및 180)의 형상 및 구성은 도 4에서 더 잘 볼 수 있다. 레그(175 및 180)는 서로 이격될 수 있다. 따라서, 레그(135 및 140) 사이의 간격은 레그(175 및 180) 사이의 간격(예를 들어, 미만)에 기초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신호 접점(170)은 신호 접점의 바닥(195)에서 베이스의 바닥 표면(125)을 향해 위쪽으로 연장되는 레그(190)를 또한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신호 접점(170)은 접지 접점(165)으로부터 이격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접지 접점(165)과 신호 접점(170) 사이의 간격은 바람직한 무선 주파수 특성(예를 들어, 차폐)을 제공하도록 모델링 및 시뮬레이션에 의해 판단될 수 있다. 따라서, 일부 실시예에서, 레그(140 및 145) 사이의 간격은 접지 접점(165)과 신호 접점(170)이 원하는 간격, 따라서 원하는 무선 주파수 특성을 달성하도록 설계될 수 있다. 또한, 레그(140 및 145)의 간격은 전기 구성요소 상의 접지 접점(165)과 신호 접점(170) 사이의 매번 일관된 간격을 보장할 수 있다.
따라서, 캐리어(105)는 그로부터 돌출하는 레그(135-145)를 갖는 베이스(115)를 포함할 수 있다. 베이스(115) 및 레그(135-145)는 조립을 위해 전기 구성요소 상에 위치설정하기 위해 접지 접점(165) 및 신호 접점(170)의 레그(175, 180, 및 190)와 맞물리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 2는 베이스(115) 상의 레그(175, 180, 및 190)의 맞물림을 보다 상세히 도시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베이스(115)의 상부 표면(120)은 유지 슬롯(130)을 포함한다. 유지 슬롯(130)은 접지 접점(165) 및 신호 접점(170)의 레그(175, 180, 및 190)를 고정하도록 구성된다. 구체적으로, 유지 슬롯(200)은 접지 접점(165)의 레그(175)와 맞물리도록 구성될 수 있고, 유지 슬롯(205)은 레그(180)와 맞물리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유지 슬롯(210)은 레그(190)와 맞물리도록 구성될 수 있다. 따라서, 유지 슬롯(200, 205, 및 210) 각각은 각각 레그(175, 180, 및 190)를 수용하고 유지하기 위한 형상 및 크기일 수 있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레그(175, 180, 및 190) 각각은 한 쌍의 프롱을 갖는다. 예를 들어, 레그(175)는 프롱(215, 220)을 가질 수 있고, 레그(180)는 프롱(225, 230)을 가질 수 있으며, 레그(190)는 프롱(235 및 240)을 가질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이들 프롱 각각의 팁은 유지 슬롯(130) 내에 맞물리도록 구성될 수 있다. 따라서, 각각의 유지 슬롯(130)은 프롱(215 내지 240)의 팁을 견고하게(그러나 분리를 방지하기 위해 너무 빡빡하지는 않게) 수용하도록 형상 및 크기가 정해질 수 있다. 구체적으로, 그리고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각의 유지 슬롯(130)은 유지 슬롯(130) 내에 각각의 쌍의 프롱(215 내지 240)을 고정하도록 구성될 수 있는 하나 이상의 유지 리브(245)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일부 실시예에서, 유지 슬롯(130) 내의 각각의 쌍의 프롱(215 내지 240)을 유지 또는 고정하기 위해, 이들 프롱은 적절한 유지 슬롯 내에 삽입(예를 들어, 마찰 조립)될 수 있다. 삽입시, 유지 리브(245)의 형상 및 구성은 각각의 프롱이 유지 슬롯(130)으로부터 의도하지 않게 빠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하나 이상의 유지 슬롯(130)은 프롱(215 내지 240)과 맞물리는 다른 구성을 취할 수 있다. 유지 슬롯(130) 내에서 프롱(215 내지 240)을 맞물림으로써, 캐리어(105)는 상기 접점이 조립되어야 하는 전기 구성요소 상의 접지 접점 및 신호 접점을 집어서 위치 지정/방향 지정하기 위해 접지 접점(165) 및 신호 접점(170)과 맞물릴 수 있다. 또한, 레그(140 및 145)의 적절한 간격 덕분에, 캐리어는 접지 접점(165)과 신호 접점(170) 사이의 일관되고 원하는 간격을 달성할 수 있다. 유지 슬롯(130) 내에 프롱(215 내지 240)과 맞물릴 때, 캐리어(105)의 레그(135 및 140)는 접지 접점(165)의 바닥(185)에 놓일 수 있고 캐리어의 레그(145)는 신호 접점(170)의 바닥(195)에 놓인다.
이제 도 3을 참조하면, 본 개시의 일부 실시예에 따라, 전기 구성요소(250) 상에 접지 접점(165) 및 신호 접점(170)을 조립하는 일 예가 도시되어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전기 구성요소(250)는 인쇄 회로 기판일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전기 구성요소(250)는 접지 접점(165)과 신호 접점(170)이 조립되는 다른 유형의 전기 디바이스일 수 있다. 접지 접점(165) 및 신호 접점(170)을 전기 구성요소(250)에 설치하기 위해, 접지 접점 및 신호 접점은 유지 슬롯(130)의 각각 하나에 프롱(215 내지 240)을 고정(예를 들어, 삽입)함으로써 캐리어(105)와 맞물릴 수 있다. 접지 접점(165) 및 신호 접점(170)의 프롱(215 내지 240)을 캐리어(105)와 맞물리면, 캐리어는 전기 구성요소(250) 상의 조립(예를 들어, 납땜)을 위해 접지 접점(165)의 바닥(185)을 위치시킬 수 있어, 접지 접점이 제 1 접점 패드(255)에 조립된다. 캐리어(105)는 또한 신호 접점을 제 2 접점 패드(260)에 조립하기 위해 신호 접점(170)의 바닥(195)을 위치시킬 수 있다. 접지 접점(165)의 플로어(185)를 제 1 접점 패드(255)에 그리고 신호 접점(170)의 플로어(195)를 제 2 접접 패드(260)에 조립(예를 들어, 납땜)할 때, 캐리어(105)는 접지 접점 및 신호 접점으로부터 맞물림 해제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캐리어(105)는 프롱(215 내지 240)을 이들 프롱이 맞물린 각각의 유지 슬롯(130)으로부터 맞물림 해제됨으로써 접지 접점(165) 및 신호 접점(170)으로부터 맞물림 해제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각각의 유지 슬롯(130)으로부터 프롱(215 내지 240)의 맞물림 해제는 전기 구성요소(250)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캐리어(105)의 베이스(115)를 부드럽게 당기는 것을 통해 발생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플라이어, 레버, 프롱, 지렛대 등과 같은 도구가 접지 접점(165) 및 신호 접점(170)으로부터 캐리어(105)를 제거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캐리어의 제거시 접지 접점(165) 및 신호 접점(170)이 전기 구성요소(250)에 고정되어 유지되고 케이블과 전기 구성요소(250) 사이에 전기 연결을 제공하기 위해 케이블을 수용할 준비가 되어 있다. 케이블의 예시적인 구성이 아래 도 6에 도시되어 있다.
이제 도 5를 참조하면, 본 개시의 일부 실시예에 따른 포켓 테이프(265)의 일부가 도시되어 있다. 포켓 테이프(265)는 엠보싱된 캐리어 테이프일 수 있고 비교적 얇은 플라스틱 필름의 연속적인 스트립으로 만들어질 수 있다. 이 플라스틱 필름 스트립은 기계를 통해 공급될 수 있으며, 기계는 플라스틱 필름을 가열하여 더 작은 부분을 진공 청소기로 청소하고 및/또는 가공 라인의 정밀한 공동으로 불어 넣을 수 있다. 공동은 플라스틱 필름의 연속 스트립에서 규칙적으로 간격을 둔 포켓(270A 내지 270E)일 수 있다. 포켓 테이프(265)가 5개의 포켓(예를 들어, 포켓(270A 내지 270E))을 갖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지만, 다른 실시예에서, 포켓 테이프는 내부에 임의의 수의 포켓을 갖는 연속 스트립으로 구성될 수 있다. 각각의 포켓(270A 내지 270E)은 로봇에 의해 픽업되어 전기 구성요소(250) 상에 놓일 수 있는 정확한 위치 및 능력을 제공하기 위해 그들이 운반하도록 의도된 구성요소를 위해 특별히 설계되고 생산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각각의 포켓(270A 내지 270E)은 캐리어(105)를 운반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캐리어는 (예를 들어, 로봇에 의해) 픽업되어 전기 구성요소(250)에 배치되기 전에 접지 접점(165) 및 신호 접점(170)에 고정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포켓(270A 내지 270E) 각각은 캐리어 시스템(100)(예를 들어, 캐리어(105) 및 그 안에 고정된 전기 접점(110)을 포함함)을 운반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캐리어(105) 또는 캐리어 시스템(100)의 하나의 사례가 각각의 포켓(270A 내지 270E)에 배치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캐리어(105) 또는 캐리어 시스템(100)을 포켓(270A 내지 270E)에 배치할 때, 얇고 투명한 커버 테이프가 포켓 테이프에 결합되어 포켓 내의 구성요소가 빠져나오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포켓 테이프(265)는 이 커버 테이프를 나타내지 않는다. 충전된 포켓 테이프(예를 들어, 커버 테이프에 의해 커버된 포켓 테이프(265))는 그 후 전달을 위한 콤팩트 패키징을 위해 픽업 릴 상에 랩핑될 수 있다. 커버 테이프는 벗겨져 포켓(270A 내지 270E)의 구성요소에 접근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일부 실시예에서, 포켓(270A 내지 270E) 중 하나 내에 위치된 캐리어(105)의 베이스(115)의 상부 표면(120)은 그 포켓에서 캐리어를 픽업하기 위해 로봇의 진공 헤드에 의해 접촉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포켓 테이프 패키징에 대한 산업 표준은 픽업 릴의 시작 부분과 끝 부분에서 포켓 테이프의 길이를 비워 둘 것을 지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포켓(270E)은 그 안에 구성요소가 없는 빈 것으로 도시되어 있다. 따라서, 캐리어(105) 또는 캐리어 시스템(100)은 최종 사용자에게 전달하기 위해 연속 포켓 테이프(예를 들어, 포켓 테이프(265))의 세그먼트에 편리하게 패키징될 수 있다.
도 6을 참조하면, 본 개시의 일부 실시예에 따른 동축 케이블(275)의 일 예가 도시되어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동축 케이블(275)은 외부 절연 재킷(280), 포일 차폐부(foil shield)(285), 편조 와이어 차폐부(290), 유전체(295) 및 신호 도체(300)를 포함할 수 있다. 동축 케이블(275)의 노출부(305)는 외부 절연 재킷(280), 호일 차폐부(285) 및 편조 와이어 차폐부(290)가 제거되어 유전체(295) 및 신호 도체(300)가 노출된 것으로 도시된다. 동축 케이블(275)의 노출부(305)는 신호 접점의 프롱(235 및 240) 사이에 수용될 수 있는 반면, 비노출부(310)는 접지 접점(165)의 프롱(215 내지 230) 사이에 수용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노출부(305)의 길이는 노출부의 유전체(295)가 접지 접점(165)의 프롱(215 내지 230)과 접촉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따라서, 노출부(305)의 길이는 신호 접점(170)의 프롱(235/240)과 접지 접점(165)의 프롱(225/230) 사이의 간격에 어느 정도 대응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동축 케이블(275)은 도시된 것보다 다양한 구성을 가질 수 있다. 또한, 여기에서는 동축 케이블(275)이 도시되었지만, 다른 실시예에서, 본 개시는 전기 구성요소(250)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임의의 유형의 케이블 또는 와이어와 함께 사용될 수 있다.
도 7을 참조하면, 본 개시의 일부 실시예에 따라 안착 도구(315)의 예가 도시되어 있다. 안착 도구(315)는 동축 케이블(275)을 접지 접점(165) 및 신호 접점(170) 위에 축방향으로 위치시키는 데 사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일부 실시예에서, 동축 케이블(275)은 안착 도구(315) 내에 맞물릴 수 있고 그 안에 맞물린 동축 케이블을 갖는 안착 도구는 프롱을 통해 동축 케이블을 삽입하기 위해 프롱(215 내지 240) 위에 위치될 수 있다. 프롱(215 내지 240) 내에 동축 케이블(275)을 배치/삽입할 때, 접지 접점(165)은 동축 케이블과 전기 구성요소(250) 사이에 두 개의 접점 포인트(각각의 프롱 쌍이 하나의 접점을 제공함)을 제공하는 반면, 신호 접점(170)은 동축 케이블과 전기 구성요소 사이에 단일 접점 포인트를 제공한다. 일부 실시예에서, 프롱(215 내지 240) 내에 동축 케이블(275)을 삽입할 때, 접지 접점(165)은 동축 케이블(275)의 차폐 부분(들)(예를 들어, 하나 이상의 외부 절연 재킷(280), 포일 차폐부(285), 편조 와이어 차폐부(290), 유전체(295))을 전기 구성요소(250)에 연결하고, 신호 접점(170)은 동축 케이블의 신호 전도체(300)를 전기 구성요소에 연결한다.
일부 실시예에서, 안착 도구(315)는 플라스틱 또는 금속으로 구성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안착 도구(315)는 다른 비전도성 재료, 다른 전도성 재료, 또는 다른 적합한 재료로 구성될 수 있다. 안착 도구(315)는 상부 부분(320) 및 바닥 부분(325)을 포함할 수 있다. 상부 부분(320)은 동축 케이블(275)을 내부에 위치시키는 동안 안착 도구를 파지하기 위해 그리고 안착 도구 내에 동축 케이블을 맞물릴 때, 접지 접점(165) 및 신호 접점(170) 위에 동축 케이블을 위치시키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상부 부분(320)이 직사각형 구성을 갖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지만, 다른 실시예에서, 상부 부분은 다른 형상 및 크기를 가정할 수 있다. 바닥 부분(325)은 내부에 동축 케이블(275)을 수용하고 안착 도구로부터 접지 접점(165) 및 신호 접점(170)으로 동축 케이블을 전달하기 위해 구성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바닥 부분(325)은 만곡된 내벽(335A)을 갖는 공동(330)을 포함할 수 있다. 내부 벽(335A)은 하향 힘이 안착 도구에 인가될 때 동축 케이블이 안착 도구(315)로부터 접지 접점(165) 및 신호 접점(170)으로 전달할 수 있게 할 수 있는 하나 이상의 표면(예를 들어, 골이 있는 표면)(335B)을 한정할 수 있다. 공동(330) 및 내벽(335A)은 안착 도구의 제 1 측벽(345) 상의 제 1 개구(340) 및 안착 도구의 제 2 측벽(355)(도 8 참조) 상의 제 2 개구(350)(도 8 참조)를 정의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공동(330), 내벽(335A), 제 1 개구(340) 및 제 2 개구(350)는 각각 내부에 원통형 동축 케이블을 수용하기 위한 형상이 반원형 또는 실질적으로 반원형일 수 있다. 또한, 일부 실시예에서, 제 1 개구(340)의 폭(360)은 제 2 개구(350)의 폭(365, 도 8 참조)보다 클 수 있다. 제 2 개구(350)의 폭(365)은 동축 케이블의 노출부(305)를 수용하도록 구성될 수 있는 반면, 제 1 개구(340)의 폭(360)은 동축 케이블(275)의 비-노출부(310)를 수용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공동(330)은 동축 케이블(275)을 안착 도구로부터의 의도하지 않은 분리 없이 접지 접점(165) 및 신호 접점(170)과 결합하기 위해 안착 도구(315) 내의 적소에 고정하도록 크기가 정해질 수 있다.
공동(330) 내에 동축 케이블(275)을 위치시키기 위해, 일부 실시예에서, 노출부(305)에 있는 동축 케이블의 단부는 제 1 개구(340)를 통해 또는 공동의 개방 단부를 통해 공동 내로 밀어넣어질 수 있어 노출부의 단부는 제 2 개구(350)에 인접하게 놓인다. 일부 실시예에서, 동축 케이블이 공동(330) 내로 삽입될 때, 제 2 개구(350)는 노출부(305)의 단부가 제 2 개구(350)로부터 나올 수 없도록 하는 크기일 수 있다. 따라서, 일부 실시예에서, 제 2 개구(350)는 동축 케이블을 위한 정지 지점으로서 기능할 수 있다(예를 들어, 동축 케이블이 합당한 힘으로 공동 내로 더 밀어넣어질 수 없을 때, 동축 케이블은 공동 내에 위치하는 것으로 간주됨). 동축 케이블(275)을 안착 도구(315)에 삽입할 때, 안착 도구는 접지 접점(165)과 신호 접점(170) 위에 위치하여 도 8 도시된 바와 같이 그 프롱(215 내지 240) 사이에 동축 케이블을 삽입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부 실시예에서, 안착 도구(315)는 접지 접점(165) 및 신호 접점(170) 위에 위치될 수 있어서, 안착 도구의 제 2 개구(350)가 신호 접점에 인접하고 제 1 개구(340)가 접지 접점에 인접한다. 동축 케이블(275)의 노출부(305)가 안착 도구의 공동(330) 내의 제 2 개구(350)에 더 가깝게 고정되고 노출부가 신호 접점(170)의 프롱(235 및 240) 사이에 삽입되도록 의도되기 때문에, 제 2 개구가 신호 접점에 더 가까워지도록 안착 도구를 배치함으로써, 동축 케이블의 노출부가 신호 접점의 프롱 사이에 삽입될 수 있다. 마찬가지로 동축 케이블(275)의 비-노출부(310)는 안착구(315)의 제 1개구부(340)에 더 가깝게 고정되어 있고, 비-노출부는 접지접점의 프롱(215-230) 사이에 삽입되도록 되어 있기 때문에, 제 1 개구가 접지 접점에 더 근접하도록 안착 도구를 위치시킴으로써, 비-노출부가 접지 접점의 프롱 사이에 삽입될 수 있다. 또한, 안착 도구(315)는 프롱(215 내지 240)을 수용하도록 구성될 수 있고 동축 케이블(275)이 내부에 삽입된 안착 도구가 이들 프롱에 의해 방해받지 않고 전기 구성요소(250)를 향하여 아래쪽으로 밀리도록 허용하도록 구성될 수 있는 슬롯(368A, 368B, 및 368C)과 같은 복수의 슬롯을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각각의 슬롯(368A 내지 368C)은 안착 도구의 제 1 벽(369A)으로부터 제 1 벽의 반대쪽에 있는 제 2 벽(369B)까지 폭(360) 방향으로 연장할 수 있다. 각각의 슬롯(368A 내지 368C)의 두께 및 위치는 이들 슬롯 각각이 수용하도록 설계된 프롱(215 내지 240)의 두께 및 위치에 대응할 수 있다.
안착 도구(315)로부터 접지 접점(165) 및 신호 접점(170)으로 동축 케이블(275)을 전달하기 위해, 안착 도구는 전술한 바와 같이 이들 접점 위에 위치될 수 있고 전기 구성요소(250)을 향해 부드럽게 아래로 눌러질 수 있다. 전기 구성요소(250)을 향한 안착 도구(315)의 하향 힘은 안착 도구의 표면(335B)이 접지 접점(165) 및 신호 접점(170)의 하나 이상의 표면에 접하게 하고, 전기 구성요소를 향한 안착 도구의 운동을 제한할 수 있어, 동축 케이블(275)이 안착 도구의 공동(330)으로부터 맞물림 해제되고 접지 접점과 신호 접점의 프롱(215 내지 240) 사이에 삽입되게 한다. 안착 도구(315)로부터 접지 접점(165) 및 신호 접점(170)으로 동축 케이블(275)을 전달할 때, 안착 도구는 제거될 수 있다(예를 들어, 당겨서 제거될 수 있다). 안착 도구(315)가 제거된 상태에서 접지 접점(165)과 신호 접점(170) 사이에 삽입된 동축 케이블(275)이 도 9에 도시되어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안착 도구(315), 특히 공동(330)의 크기는 신호 접점(170)의 프롱(235/240)과 접지 접점(165)의 프롱(225/230) 사이의 거리에 기초하여 크기가 정해질 수 있다. 구체적으로, 안착 도구(315), 특히 공동(330)의 크기는 안착 도구가 접지 접점(165) 및 신호 접점(170) 위에 위치될 때 동축 케이블(275)의 노출부(305)가 접지 접점의 프롱(225/230)과 접촉하지 않도록 하는 크기일 수 있다. 안착 도구(315)의 공동(330)의 크기 및 형상 구성 덕분에, 안착 도구는 동축 케이블을 취급(예를 들어, 터치)할 필요 없이 접지 접점(165) 및 신호 접점(170) 위에 동축 케이블(275)의 적절한 위치 설정 및 배향을 가능하게 한다. 따라서, 안착 도구(315)는 접지 접점(165) 및 신호 접점(170)에 대해 동축 케이블(275)의 적절한 수직 및 축방향 위치설정을 가능하게 한다.
프롱(215 내지 240)은 동축 케이블(275)을 제자리에 수용하고 유지하도록 형상화되고 크기가 정해진다. 일부 실시예에서, 프롱(215 내지 240)의 각각의 쌍은 서로를 향해 바이어싱될 수 있다. 대응하는 바이어싱 프롱 쌍 사이의 간격은 프롱 쌍이 수용하도록 설계된 동축 케이블의 직경 또는 원주에 기초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동축 케이블(275)의 노출부(305)는 동축 케이블의 비-노출부(310)보다 더 작은 직경(예를 들어, 동축 케이블의 일부 층의 벗겨짐으로 인해)을 갖는다. 따라서, 노출부(305)의 더 작은 직경을 수용하기 위해, 도 4에서 더 명확하게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신호 접점(170)의 프롱(235/240)은 비-노출부(310)를 수용하는 프롱(215 내지 230)보다 그 사이에 더 작은 간격을 갖는다. 더욱이 일부 실시예에서, 동축 케이블이 안착 도구(315)로부터의 프롱을 통해 삽입될 때 프롱(215 내지 240) 각각은 동축 케이블(275)의 표면을 통해 절단하는 더 날카로운 에지(370)를 가질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에지(370)는 최소 압력으로 원하는 절단 깊이를 용이하게 하도록 특정 구성(예를 들어, 경사 및 각도)을 가질 수 있다. 프롱(215 내지 240) 각각의 에지(370)는 동축 케이블(275)을 안착시키고 동축 케이블의 곡률을 수용하도록 설계된 곡면(375)으로 이어질 수 있다. 대응 프롱(215 내지 240)의 각각의 쌍은 실질적으로 U자형 구성을 형성할 수 있다. 프롱(215 내지 240)의 형상 및 구성은 도 4에서 보다 명확하게 볼 수 있다. 동축 케이블(275)이 프롱(215 내지 240) 사이에 삽입될 때, 신호 접점(170)의 에지(370)는, 동축 케이블이 곡면(375)과 접촉할 때, 프롱의 곡면이 신호 전도체(300)와 접촉하도록, 유전체(295)를 통해 절단될 수 있다. 유사하게, 동축 케이블(275)이 프롱(215 내지 240) 사이에 삽입될 때, 접지 접점(165)의 에지(370)는 동축 케이블의 하나 이상의 원하는 층을 통해 절단할 수 있어, 동축 케이블이 곡면(375)과 접촉하고, 프롱(215 내지 230)의 곡면이 적절한 표면(예를 들어, 포일 차폐부(285) 및 편조 와이어 차폐부(290))과 접촉한다.
접지 접점(165)과 신호 접점(170) 내에 동축 케이블(275)을 삽입하면, 전술한 바와 같이, 접지 접점(165)은 동축 케이블과의 두 개의 접점 포인트(각각의 쌍의 프롱(215/220, 225/230)과 하나의 접점 포인트)를 제공하고 기계적 안정성을 증가시키고 동축 케이블과 전기 구성요소(250) 사이의 더 나은 전기 연결을 제공한다. 일부 실시예에서, 추가 차폐(예를 들어, 낮은 주파수 적용에서) 또는 기계적 변형 완화가 (예를 들어, 전기 접점(110)과 동축 케이블(275)의 조립체가 수지에 포팅되는 경우) 요구되거나 바람직하지 않을 수 있다. 그러한 실시예에서, 커버는 필요하지 않을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기계적 안정성 및 변형 완화뿐만 아니라 추가 차폐를 제공하기 위해 접지 접점 및 신호 접점 위에 커버가 제공될 수 있다. 그러한 커버(380)의 예시적인 구성이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에 따라 도 10에 도시되어 있다. 접지 접점(165) 및 신호 접점(170) 위의 커버(380)의 조립이 도 11a 내지 도 11c에 도시되어 있다.
도 10 내지 도 11c를 참조하면, 커버(380)는 제 1 부분(385) 및 제 2 부분(390)을 포함한다. 조립시, 제 1 부분(385)은 접지 접점(165)를 덮을 수 있고 제 2 부분(390)은 신호 접점(170)을 덮을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제 1 부분(385) 및 제 2 부분(390)은 유지 갭(395)에 의해 분리될 수 있다. 유지 갭(395)은 도 11a 내지 도 11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접지 접점(165)의 프롱(225 및 230)을 수용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커버(380)는 금속 또는 다른 전도성 재료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제 1 부분(385) 및 제 2 부분(390) 각각은 다소 C자형 구성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1 부분(385)은 상부벽(400), 제 1 측벽(405), 및 제 2 측벽(410)을 포함할 수 있다. 상부벽(400), 제 1 측벽(405) 및 제 2 측벽(410)은 커버(380)의 조립 시 접지 접점(165)에 대한 기계적 안정성을 제공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제 1 부분(385)의 상부 벽(400)은 실질적으로 오목한 상부 표면을 갖도록 휘어지거나 프롱(215 내지 230)을 향해 안쪽으로 구부러질 수 있다. 또한, 일부 실시예에서, 제 1 측벽(405) 및 제 2 측벽(410)은 서로를 향해 바이어싱되어 접지 접점(165) 위에 꼭 맞는 끼워맞춤을 제공할 수 있다. 상부벽(400)의 휘어진 표면은, 접지 접점(165) 위에 조립시, 동축 케이블(275) 및 특히 동축 케이블의 비-노출부(310)를 접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동축 케이블(275)과 접촉함으로써 제 1 부분(385)은 동축 케이블(275), 특히 비-노출부(310)를 압축하여 접지 접촉을 통해 동축 케이블에 대한 지지를 제공하고 비-노출부와 전기 구성요소(250) 사이의 전기 연결을 유지한다.
또한, 일부 실시예에서, 각각의 제 1 측벽(405) 및 제 2 측벽(410)은 유지 갭(395)으로부터 멀어지고(예를 들어, 맞은편) 연장되는 레지(ledge)(415 및 420)를 각각 가질 수 있다. 레지(415)는 접지 접점(165)의 프롱(215)의 플랜지(425)와 맞물리도록 구성될 수 있다. 레지(420)는 접지 접점(165)의 프롱(220)의 플랜지(430)와 맞물리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 4에 명확히 도시된 바와 같이, 각각의 프롱(215, 220)은 그로부터 바깥쪽으로 연장되는 각각의 플랜지(425, 430)를 갖는다. 플랜지(425, 430)는 커버(380)와 맞물리도록 구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커버(380)가 접지 접점(165)과 신호 접점(170) 위에 위치할 때, 플랜지(425)의 바닥면은 레지(415)에 놓이고 플랜지(430)의 바닥면은 레지(420) 위에 놓인다. 플랜지(425 및 430) 상에 놓임으로써, 레지(415 및 420)는 프롱(215 및 220)의 일부와 접촉하고 커버(380)의 적어도 제 1 부분(385)과 그라운드 접점(165) 사이의 전기적 연결을 형성한다.
플랜지(425, 430)와 유사하게, 프롱(225, 230)은 각각 플랜지(435, 440)를 갖는다. 플랜지(435)는 제 1 부분(385)이 제 2 부분(390)과 연결되는 영역에서 유지 갭(395)에 형성된 제 1 맞물림 표면(445A) 상에 놓이도록 구성된다. 플랜지(440)는 제 1 부분(385)이 제 2 부분(390)과 연결되는 영역에서 유지 갭(395)에 형성된 제 2 맞물림 표면(445B) 상에 놓이도록 구성된다. 레지(415, 420)와 유사하게, 표면(445)과 플랜지(435, 440) 사이의 접촉은 접지 접점(165)와 커버(380)의 적어도 제 1 부분(385) 사이에 전기적 연결을 형성한다.
따라서, 커버(380)는 접지 접점(165) 위의 제 1 부분(385)(예: 제 1 절연 변위 접점) 및 신호 접점(170) 위의 제 2 부분(390)(예: 제 2 절연 변위 접점)을 포함한다. 커버(380)는 제 1 절연 변위 접점(예를 들어, 접지 접점(165))의 제 1 쌍의 프롱(예를 들어, 제 1 쌍의 프롱(225, 230)과 커버와 맞물리도록 제 1 부분(385)과 제 2 부분(390) 사이의 유지 갭(395)을 더 포함한다. 커버(380)의 제 1 부분(385)은 제 1 절연 변위 접점(예를 들어, 접지 접점(165))의 제 2 쌍의 프롱(예를 들어, 프롱(215, 220)과 커버와 맞물리도록 구성된 제 1 레지(415)와 제 2 레지(420)를 포함한다. 제 1 맞물림 표면(445A), 제 2 맞물림 표면(445B), 제 1 레지(415), 및 제 2 레지(420)는 커버(380)의 제 1 부분(385)을 제 1 절연 변위 접점(예를 들어, 접지 접점(165))에 전기적으로 연결한다.
도 11a 내지 도 11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커버(380)는 접지 접점(165) 및 신호 접점(170) 위에 위치될 수 있고 제 1 맞물림 표면(445A)이 플랜지(435)와 접촉하고(예를 들어, 플랜지(435)가 제 1 맞물림 표면 위에 놓임), 제 2 맞물림 표면(445B)이 플랜지(440)와 접촉하고(예를 들어, 플랜지(440)는 제 2 맞물림 표면 위에 놓임), 플랜지(425)가 레지(415)와 접촉하고(예를 들어, 플랜지(425)는 레지(415) 위에 놓임), 플랜지(430)가 레지(420)와 접촉할 때까지(예를 들어, 플랜지(430)는 레지(420) 위에 놓임) 전기적 구성요소(250)를 향하여 하방으로 가압될 수 있다. 따라서, 커버(380)의 제 1 맞물림 표면(445A) 및 제 2 맞물림 표면(445B)을 각각 플랜지(435 및 440)와 맞물림으로써, 그리고 레지(415 및 420)를 플랜지(425 및 430)와 각각 맞물림으로써, 커버(380)는 플랜지(425 내지 440)에 대한 장력을 생성하여 접지 접점으로 스냅 조립되어 접지 접점과 커버의 적어도 제 1 부분(385) 사이의 양호한 전기 연결을 보장한다. 제 1 부분(385)의 제 1 측벽(405) 및 제 2 측벽(410)의 내향 바이어싱 또는 테이퍼는 동축 케이블(275)의 압축을 추가로 돕고 접지 접점(165)과 커버의 제 1 부분 사이의 전기 연결을 유지함으로써, 동축 케이블과 전기 구성요소(250) 사이의 전기적 연결을 유지한다. 조립시, 제 1 부분(385)의 상부 벽(400), 제 1 측벽(405), 및 제 2 측벽(410)은 프롱(215/220)과 프롱(225/230) 사이에 끼워진다. 또한, 조립 시, 일부 실시예에서, 커버(380)와 전기 구성요소(250) 사이에 작은 간극이 있다. 다시 말해, 일부 실시예에서, 커버(380)는 전기 구성요소(250)에 닿지 않는다.
제 1 부분(385)에 더하여, 커버(380)는 제 2 부분(390)을 포함한다. 제 2 부분(390)은 신호 접점(170)을 덮도록 의도된다. 제 2 부분(390)은 또한 접지 접점(165)에서 신호 접점(170)으로 전자기 간섭 차폐(예를 들어, RF 차폐)를 제공하도록, 외부 전자기 신호가 신호 접점에 도달하는 것을 피하거나 신호 접점으로부터 외부 신호가 빠져나가는 것을 방지하도록, 의도된다. 동축 케이블(275)의 제 2 부분(390)과 노출부(305) 사이의 공극은 유전체 역할을 할 수 있다. 제 2 부분(390)은 상부 벽(450), 제 1 측벽(455), 및 제 2 측벽(460)을 포함한다. 일부 실시예에서, 상부 벽(450)은 동축 케이블(275)과 접촉하도록 의도되지 않았기 때문에, 상부 벽(450)은 제 1 부분(385)의 상부 벽(400)처럼 휘어지거나 구부러지지 않을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상부 벽(450)은 편평한(예를 들어, 휘어지지 않은) 표면 또는 약간 볼록한 표면(예를 들어, 전기 구성요소(250)로부터 돌출)을 가질 수 있다. 또한, 일부 실시예에서, 제 1 측벽(455) 및 제 2 측벽(460)은 서로를 향해 바이어싱되지 않을 수 있다. 오히려, 일부 실시예에서, 제 1 측벽(455) 및 제 2 측벽(460)은 서로 실질적으로 평행할 수 있다.
또한, 전술한 바와 같이, 유지 갭(395)은 커버(380)의 제 1 부분(385)과 제 2 부분(390) 사이에 형성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유지 갭(395)은 제 1 맞물림 표면(445A)으로부터 제 2 맞물림 표면(445B)로 연장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제 1 맞물림 표면(445A)은 제 1 부분(385)의 제 1 측벽(405)과 제 2 부분(390)의 제 1 측벽(455) 사이에 형성될 수 있다. 유사하게, 일부 실시예에서, 제 2 맞물림 표면(445B)은 제 1 부분(385)의 제 2 측벽(410) 및 제 2 부분(390)의 제 2 측벽(460) 사이에 형성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유지 갭(395)은 또한 제 1 측벽(405)으로부터 제 2 측벽(410)으로 내내 상부벽(400)의 폭을 가로질러 연장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유지 갭(395)은 제 1 측벽(455)으로부터 제 2 측벽(460)까지 내내 상부벽(450)의 폭을 가로질러 연장될 수 있다.
이제 도 12를 참조하면, 본 개시 내용의 일부 실시예에 따라 조립을 위한 프로세스(465)를 개략적으로 설명하는 예시적인 흐름도가 도시되어 있다. 조립은 제 1 접점(예를 들어, 접지 접점(165)) 및 제 2 접점(예를 들어, 신호 접점(170))이 설치되어야 하는 전기 구성요소(250)로 동작(470)에서 시작한다. 제 1 접점(예를 들어, 접지 접점(165)) 및 제 2 접점(예를 들어, 신호 접점(170))은, 도 1a 및 도 1b에서 전술한 바와 같이, 캐리어(105)의 유지 슬롯(130) 내에 고정된다. 동작(475)에서, 내부에 제 1 접점(예를 들어, 접지 접점(165)) 및 제 2 접점(예를 들어, 신호 접점(170))이 맞물린 캐리어(105)는 제 1 접점 및 제 2 접점을 전기 구성요소 상으로 조립하기 위해 전기 구성요소(250) 위에 위치된다. 일부 실시예에서, 제 1 접점(예를 들어, 접지 접점(165)) 및 이에 고정된 제 2 접점(예를 들어, 신호 접점(170))을 갖는 캐리어(105)는 포켓 테이프(265)로부터 픽업될 수 있다. 동작(480)에서, 제 1 접점은 (예를 들어, 접지 접점(165)) 및 제 2 접점(예를 들어, 신호 접점(170))는 전기 구성요소(250) 상에 조립(예를 들어, 납땜)된다. 동작(485)에서, 캐리어(105)는, 전기 구성요소 상에 제 1 접점 및 제 2 접점을 조립할 때, 제 1 접점(예를 들어, 접지 접점(165)) 및 제 2 접점(예를 들어, 신호 접점(170))으로부터 맞물림 해제될 수 있다.
캐리어(105)를 제거하면, 제 1 접점(예를 들어, 접지 접점(165)) 및 제 2 접점(예를 들어, 신호 접점(170))은 동축 케이블(275)을 수용할 준비가 된다. 따라서, 동작(490)에서 동축 케이블(275)은 도 7에서 전술한 바와 같이 안착 도구(315)의 공동(330) 내에 안착되거나 고정된다. 동축 케이블이 내부에 고정된 안착 도구(315)는 도 8에서 전술한 바와 같이 제 1 접점(예를 들어, 접지 접점(165)) 및 제 2 접점(예를 들어, 신호 접점(170)) 위에 위치된다. 제 1 접점(예를 들어, 접지 접점(165)) 및 제 2 접점(예를 들어, 신호 접점(170)) 위에 안착 도구(315)를 배치할 때, 안착 도구는, 동축 케이블(275)이 안착 도구로부터 맞물림 해제되고 접지 접점과 신호 접점의 프롱(215 내지 240) 사이에 삽입될 때까지, 아래로 전기 구성요소(250)를 향하여 부드럽게 가압될 수 있다(예를 들어, 하향 힘이 인가될 수 있음). 따라서, 동작(490)에서, 캐리어(105)를 맞물림 해제할 때, 케이블(275)은 제 1 접점(예를 들어, 접지 접점(165))과 제 2 접점(예를 들어, 신호 접점(170)) 사이에 맞물린다. 동축 케이블(275)을 제 1 접점(예를 들어, 접지 접점(165)) 및 제 2 접점(예를 들어, 신호 접점(170))과 맞물리면, 안착 도구(315)가 제거된다.
커버(380)가 제 1 접점(예: 접지 접점(165)) 및 제 2 접점(예: 신호 접점(170)) 위에 있는 경우, 동작(495)에서, 커버는, 도 10 내지 도 11c에서 전술한 바와 같이, 동축 케이블(275), 제 1 접점(예를 들어, 접지 접점(165)), 및 제 2 접점(예를 들어, 신호 접점(170)) 위에 고정된다. 구체적으로, 커버(380)는, 커버의 제 1 레지(예를 들어, 레지(415))를 제 1 접점의 제 1 프롱(예를 들어, 프롱(215))과 맞물리고, 커버의 제 2 레지(예를 들어, 레지(420))를 제 1 접점의 제 2 프롱(예를 들어, 프롱(220))과 맞물리고, 커버의 제 1 부분(385)과 제 2 부분(390) 사이의 유지 갭(395)에 한정된 커버의 제 1 맞물림 표면(예를 들어, 제 1 맞물림 표면(445A))을 제 1 접점의 제 3 프롱(예를 들어, 프롱(225))과 맞물리고, 유지 갭에 한정된 커버의 제 2 맞물림 표면(예를 들어, 제 2 맞물림 표면(445B))을 제 1 접점의 제 4 프롱(예를 들어, 프롱(230))과 맞물림으로써 동축 케이블(275), 제 1 접점(예를 들어, 접지 접점(165)), 및 제 2 접점(예를 들어, 신호 접점(170)) 위에 고정된다. 프로세스(465)는 동작(500)에서 종료한다.
따라서, 본 개시는 제 1 IDC 및 제 2 IDC를 캐리어를 사용하여 전기 구성요소에 정확하게 위치시키고 연결하는 용이하고 편리한 메커니즘을 제공한다. 본 개시는 또한 동축 케이블을 제 1 IDC 및 제 2 IDC에 위치시키고 맞물리는 용이하고 편리한 메커니즘을 제공한다. 변형-완화 커버를 사용하여 메커니즘 안정성과 RF 차폐를 제공할 수 있다.
본원에서 실질적으로 임의의 복수 및/또는 단수 용어의 사용과 관련하여, 당업자는 문맥 및/또는 또는 출원에 적절하게 복수로부터 단수로 및/또는 단수로부터 복수로 변화시킬 수 있다. 명확성을 위해 다양한 단수/복수 변환이 여기에 명시적으로 설명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본원에서 사용된 용어, 특히 첨부된 청구범위(예를 들어, 첨부된 청구범위의 본문)가 일반적으로 "개방(open)" 용어(예를 들어, 용어 "포함하는(including)"은 "포함하되 이에 국한되지 않는"으로 해석되어야 하고, "가지는(having)"은 "적어도 갖는"으로 해석되어야 하고, "포함하다(includes)"는 "포함하지만 이에 국한되지 않는"으로 해석되어야 한다)로서 의도된다는 것이 당업자에 의해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도입된 청구범위 인용의 특정 번호가 의도된 경우, 그러한 의도는 청구범위에 명시적으로 인용될 것이며, 그러한 인용이 없을 경우 그러한 의도가 존재하지 않는다는 것이 당업자에 의해 이해될 것이다. 예를 들어, 이해를 돕기 위해, 다음의 첨부된 청구범위는 청구범위 인용을 도입하기 위해 "적어도 하나(at least one)" 및 "하나 이상(one or more)"이라는 도입구의 사용을 포함할 수 있다. 그러나 그러한 문구의 사용은 부정관사 "a" 또는 "an"에 의한 청구범위 인용의 도입이 이러한 도입된 청구범위 인용을 포함하는 특정 청구항을 이러한 인용을 하나만 포함하는 발명으로 제한한다는 것을 의미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동일한 청구범위에는 "하나 이상(one or more)" 또는 "적어도 하나(at least one)"라는 도입구와 "a" 또는 "an"과 같은 부정관사(예: "a" 및/또는 "an"은 일반적으로 "적어도 하나" 또는 "하나 이상"을 의미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를 포함할 때 조차 청구범위 인용을 도입하기 위해 사용되는 정관사의 사용에 대해서도 마찬가지이다. 또한, 도입된 청구범위 인용의 특정 번호가 명시적으로 인용되더라도, 당업자는 그러한 인용이 일반적으로 적어도 인용된 번호를 의미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함을 인지할 것이다(예를 들어, "2개의 인용", 다른 수식어 없이 일반적으로 적어도 2 개 또는 2개 이상의 인용을 의미함). 또한 "A, B, C 등 중 적어도 하나"와 유사한 규칙이 사용되는 경우, 일반적으로 이러한 구성은 당업자가 관례를 이해할 것이라는 의미에서 의도된다(예: "A, B 및 C 중 적어도 하나를 갖는 시스템"은 A 단독, B 단독, C 단독, A와 B가 함께, A와 C가 함께, B와 C가 함께, 및/또는 A, B, C가 함께 등을 포함하지만 이에 제한되지는 않는다.). "A, B, 또는 C 중 적어도 하나"와 유사한 관용어가 사용되는 경우, 일반적으로 이러한 구성은 당업자가 관용어를 이해할 것이라는 의미에서 의도된다(예: "A, B 또는 C 중 적어도 하나를 갖는 시스템"은 A 단독, B 단독, C 단독, A와 B가 함께, A와 C가 함께, B와 C가 함께, 및/또는 A, B, C가 함께 등을 포함하지만 이에 제한되지는 않는다). 설명, 청구범위 또는 도면에서 두 개 이상의 대체 용어를 제시하는 거의 모든 분리 단어 및/또는 문구는 용어 중 하나, 용어 중 하나 또는 두 용어 모두를 포함할 가능성을 고려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A 또는 B"라는 문구는 "A" 또는 "B" 또는 "A 및 B"의 가능성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될 것이다.
예시적인 실시예의 전술한 설명은 예시 및 설명의 목적으로 제공되었다. 그것은 개시된 정확한 형태에 대해 철저하거나 제한하려는 것이 아니며, 수정 및 변형이 상기 교시에 비추어 가능하거나 개시된 실시예의 실시로부터 얻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범위는 여기에 첨부된 청구범위 및 그 등가물에 의해 정의되는 것으로 의도된다.

Claims (20)

  1. 절연 변위 접점 시스템으로서,
    제 1 절연 변위 접점;
    제 2 절연 변위 접점; 및
    상기 제 1 절연 변위 접점 위의 제 1 부분 및 상기 제 2 절연 변위 접점 위의 제 2 부분을 포함하는 커버를 포함하고,
    상기 커버는 상기 제 1 절연 변위 접점의 제 1 쌍의 프롱과 상기 커버를 맞물도록 상기 제 1 부분과 상기 제 2 부분 사이에 유지 갭을 더 포함하고,
    상기 커버의 제 1 부분은 제 1 절연 변위 접점의 제 2 쌍의 프롱과 상기 커버를 맞물도록 구성된 제 1 레지 및 제 2 레지를 포함하는,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의 제 1 부분은 제 1 상부 벽, 제 1 측벽, 및 제 2 측벽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 1 상부 벽은 휘어진 표면을 포함하고, 상기 제 1 측벽 및 상기 제 2 측벽은 서로를 향해 바이어싱되어 있는, 시스템.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의 제 2 부분은 제 2 상부 벽, 제 3 측벽, 및 제 4 측벽을 포함하고, 상기 제 2 상부 벽은 휘지 않은 표면을 포함하고, 상기 제 3 측벽 및 상기 제 4 측벽은 서로 실질적으로 평행한, 시스템.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유지 갭은 상기 제 1 측벽과 상기 제 3 측벽 사이의 제 1 맞물림 표면 및 상기 제 2 측벽과 상기 제 4 측벽 사이의 제 2 맞물림 표면을 포함하는, 시스템.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유지 갭은 상기 제 1 맞물림 표면으로부터 상기 제 2 맞물림 표면으로 연장하는, 시스템.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쌍의 프롱의 제 1 프롱은 제 1 플랜지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쌍의 프롱의 제 2 프롱은 제 2 플랜지를 포함하고, 상기 커버를 상기 제 1 절연 변위 접점 및 상기 제 2 절연 변위 접점에 고정하기 위해 상기 제 1 플랜지는 상기 제 1 맞물림 표면 위에 놓이도록 구성되고, 상기 제 2 플랜지는 상기 제 2 맞물림 표면상에 놓이도록 구성되는, 시스템.
  7.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맞물림 표면, 상기 제 2 맞물림 표면, 상기 제 1 레지, 및 상기 제 2 레지는 상기 커버의 제 1 부분을 상기 제 1 절연 변위 접점에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시스템.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쌍의 프롱의 제 1 프롱은 상기 커버의 제 1 레지 위에 놓이도록 구성된 제 1 플랜지를 포함하고, 상기 제 2 쌍의 프롱의 제 2 프롱은 상기 커버의 제 2 레지 위에 놓이도록 구성된 제 2 플랜지를 포함하는, 시스템.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절연 변위 접점은 접지 접점이고, 상기 제 2 절연 변위 접점은 신호 접점인, 시스템.
  10. 전기 접점용 커버로서,
    제 1 상부 벽, 제 1 측벽, 및 제 2 측벽을 갖는 제 1 부분;
    제 2 상부 벽, 제 3 측벽, 및 제 4 측벽을 갖는 제 2 부분; 및
    상기 제 1 부분과 상기 제 2 부분 사이의 유지 갭을 포함하고,
    상기 제 1 부분은 전기 구성요소에 연결된 제 1 접점 위에 조립되도록 구성되고;
    상기 제 2 부분은 상기 전기 구성요소에 연결된 제 2 접점 위에 조립되도록 구성되고;
    상기 제 1 측벽은 상기 유지 갭에 대향하는 제 1 레지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레지는 상기 제 1 접점의 제 1 플랜지와 맞물리도록 구성되고;
    상기 제 2 측벽은 상기 유지 갭에 대향하는 제 2 레지를 포함하고, 상기 제 2 레지는 상기 제 1 접점의 제 2 플랜지와 맞물리도록 구성되는, 커버.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상부 벽은 휘어진 표면을 포함하고, 상기 제 1 측벽과 상기 제 2 측벽은 서로를 향해 바이어싱되어, 상기 제 1 부분의 조립체 위와 상기 제 1 접점 사이에 조립된 케이블의 일 부분을 상기 제 1 접점 위에 압착하는, 커버.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유지 갭은 상기 제 1 측벽과 상기 제 3 측벽 사이의 제 1 맞물림 표면 및 상기 제 2 측벽과 상기 제 4 측벽 사이의 제 2 맞물림 표면을 포함하고, 상기 유지 갭은 상기 제 1 맞물림 표면으로부터 상기 제 2 맞물림 표면으로 연장하는, 커버.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접점 및 상기 제 2 접점 위에 상기 커버를 고정하기 위해 상기 제 1 맞물림 표면은 상기 제 1 접점의 제 3 플랜지 아래 놓이도록 구성되고, 상기 제 2 맞물림 표면은 상기 제 1 접점의 제 4 플랜지 아래 놓이도록 구성되는, 커버.
  14.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맞물림 표면, 상기 제 2 맞물림 표면, 상기 제 1 레지, 및 상기 제 2 레지는 상기 제 1 부분이 상기 커버의 조립체에 대한 상기 제 1 접점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구성되는, 커버.
  15.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상부 벽은 상기 제 2 접점 위에 상기 제 2 부분의 조립시 상기 제 2 접점 사이에 맞물린 케이블의 일 부분과 제 2 상부 벽 사이의 갭을 유지하도록 구성되는 휘어지지 않은 표면을 포함하고,
    상기 제 3 측벽 및 상기 제 4 측벽은 실질적으로 서로 평행한, 커버.
  16. 방법으로서,
    제 1 접점 및 제 2 접점을 전기 구성요소 상에 조립하기 위해 상기 전기 구성요소 위에 그 안에 맞물린 제 1 접점 및 제 2 접점을 갖는 캐리어를 위치시키는 단계;
    상기 제 1 접점 및 상기 제 2 접점을 상기 전기 구성요소 상에 조립하는 단계;
    상기 제 1 접점 및 상기 제 2 접점을 상기 전기 구성요소 상에 조립할 때 상기 캐리어를 상기 제 1 접점 및 상기 제 2 접점으로부터 맞물림 해제하는 단계;
    상기 캐리어를 맞물림 해제할 때 상기 제 1 접점과 상기 제 2 접점 사이에 케이블을 맞물리는 단계; 및
    상기 커버의 제 1 레지를 상기 제 1 접점의 제 1 프롱과 맞물리고, 상기 커버의 제 2 레지를 상기 제 1 접점의 제 2 프롱과 맞물리고, 상기 커버의 제 1 부분과 제 2 부분 사이의 유지 갭에 한정된 상기 커버의 제 1 맞물림 표면을 상기 제 1 접점의 제 3 프롱과 맞물리고, 상기 유지 갭 내에 한정된 상기 커버의 제 2 맞물림 표면을 상기 제 1 접점의 제 4 프롱과 맞물림으로써, 상기 커버를 상기 케이블, 상기 제 1 접점, 및 상기 제 2 접점을 고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전기 구성요소가 인쇄 회로 기판인, 방법.
  18.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접점 및 상기 제 2 접점을 상기 캐리어와 맞물리기 위해 상기 캐리어의 유지 슬롯에 상기 제 1 접점 및 상기 제 2 접점을 고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법.
  19.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접점과 상기 제 2 접점 사이에 상기 케이블을 맞물리는 단계는,
    안착 도구의 공동 내에 상기 케이블을 고정하는 단계;
    내부에 고정된 케이블을 갖는 상기 안착 도구를 상기 제 1 접점 및 상기 제 2 접점 위에 위치시키는 단계; 및
    상기 전기 구성요소를 향해 상기 안착 도구에 하향 힘을 가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하향 힘은 상기 안착 도구의 공동으로부터 상기 제 1 접점 및 상기 제 2 접점으로 상기 케이블을 전달하는, 방법.
  20.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접점은 접지 접점이고 상기 제 2 접점은 신호 접점인, 방법.
KR1020237026130A 2021-02-11 2021-12-01 절연 변위 접점 시스템 KR10268371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202163148413P 2021-02-11 2021-02-11
US63/148,413 2021-02-11
PCT/US2021/061357 WO2022173489A1 (en) 2021-02-11 2021-12-01 Insulation displacement contact system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19246A true KR20230119246A (ko) 2023-08-16
KR102683712B1 KR102683712B1 (ko) 2024-07-11

Family

ID=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2173489A1 (en) 2022-08-18
US11631944B2 (en) 2023-04-18
DE112021006558T5 (de) 2023-11-23
US20220255247A1 (en) 2022-08-11
CN116848731A (zh) 2023-10-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109937B2 (en) Electrical cable connector
US9166325B2 (en) Single element wire to board connector
US8109783B2 (en) Insulation displacement connector (IDC)
US5498173A (en) Electrical connecting device
JP3935878B2 (ja) 改良された接地手段を備えたコネクタ
CN107069262B (zh) 电连接器
CN112514175B (zh) 受控阻抗顺应性线缆终端头
JP2011060770A (ja) 蓋付き絶縁圧接端子コネクタ
JP2013182889A (ja) キャップ本体絶縁圧接コネクタ
EP2429039B1 (en) Electric Connector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KR100910713B1 (ko) 동축 케이블 콘택트
EP3266069B1 (en) Insulation displacement connector
CN111740254A (zh) 电缆组件、制造电缆组件的方法和设备及用于电缆组件的电气端子
CN110637395B (zh) 板对板接触桥系统
KR101521386B1 (ko) 케이블 접속 방법
KR20230119246A (ko) 절연 변위 접점 시스템
KR102683712B1 (ko) 절연 변위 접점 시스템
EP1892802A2 (en) Modular insulation displacement contact block
EP0951092A2 (en) Electrical connector for coaxial cables
CN111602300B (zh) 用于整体应变消除的具有绝缘移位连接接触件的导线对导线连接件
GB2149982A (en) Electrical connector memb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