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18971A - 골전도 보청기의 설정방법 및 설정시스템 - Google Patents

골전도 보청기의 설정방법 및 설정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18971A
KR20230118971A KR1020237023916A KR20237023916A KR20230118971A KR 20230118971 A KR20230118971 A KR 20230118971A KR 1020237023916 A KR1020237023916 A KR 1020237023916A KR 20237023916 A KR20237023916 A KR 20237023916A KR 20230118971 A KR20230118971 A KR 2023011897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equency band
bone conduction
hearing aid
value
ran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702391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빙얀 얀
보쳉 리
후이팡 탕
펭윤 리아오
신 큐이
Original Assignee
썬전 샥 컴퍼니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썬전 샥 컴퍼니 리미티드 filed Critical 썬전 샥 컴퍼니 리미티드
Publication of KR2023011897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1897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5/00Deaf-aid sets, i.e. electro-acoustic or electro-mechanical hearing aids; Electric tinnitus maskers providing an auditory perception
    • H04R25/35Deaf-aid sets, i.e. electro-acoustic or electro-mechanical hearing aids; Electric tinnitus maskers providing an auditory perception using translation techniqu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5/00Deaf-aid sets, i.e. electro-acoustic or electro-mechanical hearing aids; Electric tinnitus maskers providing an auditory perception
    • H04R25/50Customised settings for obtaining desired overall acoustical characteristic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5/00Deaf-aid sets, i.e. electro-acoustic or electro-mechanical hearing aids; Electric tinnitus maskers providing an auditory perception
    • H04R25/35Deaf-aid sets, i.e. electro-acoustic or electro-mechanical hearing aids; Electric tinnitus maskers providing an auditory perception using translation techniques
    • H04R25/356Amplitude, e.g. amplitude shift or compress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5/00Deaf-aid sets, i.e. electro-acoustic or electro-mechanical hearing aids; Electric tinnitus maskers providing an auditory perception
    • H04R25/35Deaf-aid sets, i.e. electro-acoustic or electro-mechanical hearing aids; Electric tinnitus maskers providing an auditory perception using translation techniques
    • H04R25/353Frequency, e.g. frequency shift or compress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5/00Deaf-aid sets, i.e. electro-acoustic or electro-mechanical hearing aids; Electric tinnitus maskers providing an auditory perception
    • H04R25/55Deaf-aid sets, i.e. electro-acoustic or electro-mechanical hearing aids; Electric tinnitus maskers providing an auditory perception using an external connection, either wireless or wire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5/00Deaf-aid sets, i.e. electro-acoustic or electro-mechanical hearing aids; Electric tinnitus maskers providing an auditory perception
    • H04R25/60Mounting or interconnection of hearing aid parts, e.g. inside tips, housings or to ossicles
    • H04R25/604Mounting or interconnection of hearing aid parts, e.g. inside tips, housings or to ossicles of acoustic or vibrational transducers
    • H04R25/606Mounting or interconnection of hearing aid parts, e.g. inside tips, housings or to ossicles of acoustic or vibrational transducers acting directly on the eardrum, the ossicles or the skull, e.g. mastoid, tooth, maxillary or mandibular bone, or mechanically stimulating the cochlea, e.g. at the oval window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5/00Deaf-aid sets, i.e. electro-acoustic or electro-mechanical hearing aids; Electric tinnitus maskers providing an auditory perception
    • H04R25/70Adaptation of deaf aid to hearing loss, e.g. initial electronic fitt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3/00Circuits for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225/00Details of deaf aids covered by H04R25/00, not provided for in any of its subgroups
    • H04R2225/43Signal processing in hearing aids to enhance the speech intelligibilit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225/00Details of deaf aids covered by H04R25/00, not provided for in any of its subgroups
    • H04R2225/55Communication between hearing aids and external devices via a network for data exchang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430/00Signal processing covered by H04R, not provided for in its groups
    • H04R2430/01Aspects of volume control, not necessarily automatic, in sound syste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430/00Signal processing covered by H04R, not provided for in its groups
    • H04R2430/03Synergistic effects of band splitting and sub-band process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460/00Details of hearing devices, i.e. of ear- or headphones covered by H04R1/10 or H04R5/033 but not provided for in any of their subgroups, or of hearing aids covered by H04R25/00 but not provided for in any of its subgroups
    • H04R2460/13Hearing devices using bone conduction transduc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5/00Deaf-aid sets, i.e. electro-acoustic or electro-mechanical hearing aids; Electric tinnitus maskers providing an auditory perception
    • H04R25/55Deaf-aid sets, i.e. electro-acoustic or electro-mechanical hearing aids; Electric tinnitus maskers providing an auditory perception using an external connection, either wireless or wired
    • H04R25/554Deaf-aid sets, i.e. electro-acoustic or electro-mechanical hearing aids; Electric tinnitus maskers providing an auditory perception using an external connection, either wireless or wired using a wireless connection, e.g. between microphone and amplifier or using Tcoils

Abstract

골전도 보청기의 설정방법 및 설정시스템을 개시한다. 상기 방법은 착용자의 청각손실 데이터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청각손실 데이터에 근거하여 각 주파수대역에서 각 소리레벨에서의 상기 골전도 보청기의 기준출력 파라미터를 확정하는 단계; 상기 각 주파수대역에서 상기 각 소리레벨에서의 적어도 상기 주파수대역에 관련되는 상기 기준출력 파라미터의 조절값을 획득하는 단계; 및 상기 각 주파수대역에서 상기 각 소리레벨에서의 상기 기준출력 파라미터와 상기 조절값에 근거하여 상기 골전도 보청기를 설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골전도 보청기의 설정방법 및 설정시스템
본 개시는 골전도 보청기의 분야에 관한 것으로서, 구체적으로는, 골전도 보청기의 설정방법 및 설정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골전도 보청기는 골전도 기술을 이용하여 설계되고 제조된 보청기이다. 상기 골전도 보청기는 골전도 보청장비 또는 골전도 보청헤드폰들일 수 있다. 상기 골전도 보청기는 주로 외부 소리정보를 확대하고 상기 외부 소리정보를 기계적 진동으로 변환시키고, 외부 소리정보를 포함하는 상기 기계적 진동을 기계적 진동의 형식으로 사람 두골, 골미로, 내이 림프액, 코르티, 및 청각신경을 통해 대뇌피질의 청각중추에 전달한다. 전통적인 기전도 보청기와 비교하여, 골전도 보청기의 상기 음파신호들은 외이도 및 고막을 관통하지 않고 골격들을 통해 청각신경에 직접 전달될 수 있으며, 따라서 전통적인 기전도 보청기가 귓구멍을 막음에 의한 압력과 귀막음 효과를 피한다. 그리고, 상기 골전도 보청기는 착용자가 편안한 착용체험을 가지게끔 한다. 그리고, 상기 골전도 보청기는 귀 안에 심을 필요가 없고, 귓구멍 염증을 효과적으로 피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골전도 보청기는 청각 장애환자들이 점점 더 많이 사용하고 있다.
상기 골전도 보청기는 진동을 통해 소리를 전달하여 착용자가 소리를 듣게 하기 때문에, 사용과정에서 심한 진동이 발생할 수 있으며, 이는 착용자의 착용체험에 영향을 줄 수 있다. 그리고, 작은 진동은 착용자의 청각효과에 영향을 줄 수 있다. 따라서, 착용자의 청각효과에 영향을 주지 않고, 상기 골전도 보청기의 심한 진동들에 의한 착용체험을 개선하는 골전도 보청기를 설정하기 위한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개시의 실시예들 중의 하나는 골전도 보청기를 설정하기 위한 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방법은 착용자의 청각손실 데이터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청각손실 데이터에 근거하여 각 주파수대역에서 각 소리레벨에서의 상기 골전도 보청기의 기준출력 파라미터를 확정하는 단계; 상기 각 주파수대역에서 상기 각 소리레벨에서의 적어도 상기 주파수대역에 관련되는 상기 기준출력 파라미터의 조절값을 획득하는 단계; 및 상기 각 주파수대역에서 상기 각 소리레벨에서의 상기 기준출력 파라미터와 상기 조절값에 근거하여 상기 골전도 보청기를 설정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는, 상기 각 주파수대역에서 상기 각 소리레벨에서의 상기 기준출력 파라미터와 상기 조절값에 근거하여 상기 골전도 보청기를 설정하는 단계는 0Hz~625Hz의 범위 내의 주파수대역에서, 상기 조절값에 근거하여 상기 기준출력 파라미터를 감소시키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는, 상기 조절값들은 동일한 주파수대역에서 상이한 소리레벨들에서 같을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는, 0Hz~625Hz의 범위 내의 주파수대역에서, 상기 조절값은 1dB~12dB의 범위 내에 있을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는, 0Hz~125Hz의 범위 내의 주파수대역에서, 상기 조절값은 5dB~12dB의 범위 내에 있을 수 있고; 125Hz~375Hz의 범위 내의 주파수대역에서, 상기 조절값은 3dB~9dB의 범위 내에 있을 수 있고; 또는 375Hz~625Hz의 범위 내의 주파수대역에서, 상기 조절값은 1dB~6dB의 범위 내에 있을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는, 0Hz~125Hz의 범위 내의 주파수대역에서, 상기 조절값은 5dB~7dB의 범위 내에 있고; 125Hz~375Hz의 범위 내의 주파수대역에서, 상기 조절값은 3dB~5dB의 범위 내에 있을 수 있고; 또는 375Hz~625Hz의 범위 내의 주파수대역에서, 상기 조절값은 1dB~3dB의 범위 내에 있을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는, 0Hz~125Hz의 범위 내의 주파수대역에서, 상기 조절값은 10dB~12dB의 범위 내에 있을 수 있고; 125Hz~375Hz의 범위 내의 주파수대역에서, 상기 조절값은 7dB~9dB의 범위 내에 있을 수 있고; 또는 375Hz~625Hz의 범위 내의 주파수대역에서, 상기 조절값은 4dB~6dB의 범위 내에 있을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는, 상기 조절값들은 동일한 주파수대역에서 상이한 소리레벨들에서 다를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는, 상기 각 주파수대역에서 상기 각 소리레벨에서의 상기 기준출력 파라미터의 조절값을 획득하는 단계는 상기 각 주파수대역에서의 각 소리레벨에 대응되고 또한 상기 각 주파수대역에서 상기 각 소리레벨에서의 상기 착용자가 감지하는 진동도와 관련되는 제1 역치를 확정하는 단계; 상기 각 주파수대역에서의 각 소리레벨에 대응되고 또한 상기 각 주파수대역에서 상기 각 소리레벨에서의 상기 착용자의 음성식별률과 관련되는 제2 역치를 확정하는 단계; 및 상기 기준출력 파라미터, 상기 제1 역치, 및 상기 제2 역치에 근거하여 상기 조절값을 확정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는, 상기 기준출력 파라미터, 상기 제1 역치, 및 상기 제2 역치에 근거하여 상기 조절값을 확정하는 단계는, 상기 각 주파수대역의 모 주파수대역에서 상기 각 소리레벨 중의 모 소리레벨에서의 기준출력 파라미터에 관하여, 상기 기준출력 파라미터로부터 상기 제1 역치를 덜어내어 비교값을 획득하는 단계; 상기 비교값을 상기 제2 역치와 비교하여 제1 비교결과를 획득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비교결과에 근거하여 상기 기준출력 파라미터에 대응되는 상기 조절값을 확정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는, 상기 제1 비교결과에 근거하여 상기 기준출력 파라미터에 대응되는 상기 조절값을 확정하는 단계는 상기 비교값이 0 이하인 경우, 상기 조절값을 0dB로 지정하는 단계; 상기 비교값이 0보다 크고 상기 제2 역치 이하인 경우, 상기 조절값을 상기 비교값으로 지정하는 단계; 및 상기 비교값이 상기 제2 역치보다 큰 경우, 상기 조절값을 상기 제2 역치값으로 지정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는, 0Hz~125Hz의 범위 내의 주파수대역에서, 상기 제1 역치는 48dB~52dB의 범위 내에 있을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는, 125Hz~375Hz의 범위 내의 주파수대역에서, 상기 제1 역치는 49dB~54dB의 범위 내에 있을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는, 375Hz~625Hz의 범위 내의 주파수대역에서, 상기 제1 역치는 50dB~55dB의 범위 내에 있을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는, 0Hz~125Hz의 범위 내의 주파수대역에서, 상기 제2 역치는 5dB~10dB의 범위 내에 있을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는, 125Hz~375Hz의 범위 내의 주파수대역에서, 상기 제2 역치는 3dB~7dB의 범위 내에 있을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는, 375Hz~625Hz의 범위 내의 주파수대역에서, 상기 제2 역치는 1dB~4dB의 범위 내에 있을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는, 상기 각 주파수대역에서 상기 각 소리레벨에서의 상기 기준출력 파라미터와 상기 조절값에 근거하여 상기 골전도 보청기를 설정하는 단계는 상기 각 주파수대역에서 각 소리레벨에서의 상기 기준출력 파라미터와 상기 조절값에 근거하여 다중채널 대폭동적범위 압축시스템을 이용하여 상기 골전도 보청기를 설정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는, 상기 각 주파수대역에서 상기 각 소리레벨에서의 상기 기준출력 파라미터의 조절값을 획득하는 단계는 상기 기준출력 파라미터를 상기 각 주파수대역에서 상기 각 소리레벨에서의 상기 착용자가 감지하는 진동도와 관련되는 상기 제1 역치와 비교하여 제2 비교결과를 확정하는 단계; 및 상기 제2 비교결과에 근거하여 상기 기준출력 파라미터에 대응되는 상기 조절값을 확정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는, 상기 조절값은 상기 각 소리레벨 중의 적어도 하나의 소리레벨이 소리레벨 역치보다 큰 경우의 상기 다중채널 대폭동적범위 압축시스템의 게인감소값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 비교결과에 근거하여 상기 기준출력 파라미터에 대응되는 상기 조절값을 확정하는 단계는 상기 기준출력 파라미터가 상기 제1 역치 이하인 경우, 상기 게인감소값을 0dB로 지정하는 단계; 및 상기 기준출력 파라미터가 상기 제1 역치보다 큰 경우, 상기 게인감소값을 상기 제1 역치와 상기 기준출력 파라미터 사이?M 차이로 지정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는, 상기 조절값은 상기 각 소리레벨 중의 적어도 하나의 소리레벨이 소리레벨 역치보다 큰 경우, 상기 다중채널 대폭동적범위 압축시스템의 출력한계의 감소값을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제2 비교결과에 근거하여 상기 기준출력 파라미터에 대응되는 상기 조절값을 확정하는 단계는 상기 기준출력 파라미터가 상기 제1 역치 이하인 경우, 상기 출력한계의 감소값을 0dB로 지정하는 단계; 및 상기 기준출력 파라미터가 상기 제1 역치보다 큰 경우, 상기 출력한계의 감소값을 0dB보다 큰 값으로 지정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실시예들 중의 하나는 골전도 보청기를 설정하기 위한 장치를 제공한다. 상기 장치는 착용자의 청각손실 데이터를 획득하도록 구성되는 획득모듈; 각 상기 청각손실 데이터에 근거하여 각 주파수대역에서 각 소리레벨에서의 상기 골전도 보청기의 기준출력 파라미터를 확정하도록 구성되는 기준출력 파라미터 확정모듈; 상기 각 주파수대역에서 상기 각 소리레벨에서의 상기 기준출력 파라미터의 조절값을 획득하도록 구성되는 조절값 확정모듈; 및 상기 각 주파수대역에서 상기 각 소리레벨에서의 상기 기준출력 파라미터와 상기 조절값에 근거하여 상기 골전도 보청기를 설정하도록 구성되는 설정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실시예들 중의 하나는 골전도 보청기를 설정하기 위한 시스템을 제공한다. 상기 시스템은 처리장치; 상기 처리장치와 연통하는 스토리지장치로서, 명령어들을 저장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저장된 명령어들을 수행할 때, 상기 처리장치는 상기 기술방안들 중의 임의의 하나의 상기 골전도 보청기를 설정하기 위한 방법을 수행할 수 있는, 상기 스토리지장치를 포함한다.
본 개시의 실시예들 중의 하는 컴퓨터 명령어들을 저장하는 비일시적인 컴퓨터 판독가능 스토리지 매체를 제공하며, 비일시적인 컴퓨터 판독가능 스토리지 매체 중의 컴퓨터 명령어들을 읽을 때, 컴퓨터는 상기 기술방안들 중의 임의의 하나의 상기 골전도 보청기를 설정하기 위한 방법을 수행할 수 있다.
본 개시는 예시적인 실시예들을 통해 더 설명된다. 이러한 예시적인 실시예들은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된다. 이러한 실시예들은 한정적인 예시적인 실시예들이 아니며, 그 중에서 유사한 부호들은 유사한 구조들을 표시한다.
도 1은 본 개시의 일부 실시예들에 따른 골전도 보청기를 설정하기 위한 예시적인 시스템을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2는 본 개시의 일부 실시예들에 따른 골전도 보청기를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3은 본 개시의 일부 실시예들에 따른 골전도 보청기를 설정하기 위한 시스템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4는 본 개시의 일부 실시예들에 따른 골전도 보청기를 설정하기 위한 예시적인 처리를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
도 5는 본 개시의 기타 실시예들에 따른 조절값을 확정하기 위한 예시적인 처리를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6은 본 개시의 기타 실시예들에 따른 조절값을 확정하기 위한 예시적인 처리를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7은 본 개시의 기타 실시예들에 따른 골전도 보청기가 사용시 수행하는 동작들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8은 착용자가 골전도 보청기를 착용할 때 실험을 통해 측정하는 상이한 주파수들에서의 진동감 역치들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는 착용자1에 수행하는 음성식별률 테스트의 실험결과들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0는 착용자2에 수행하는 음성식별률 테스트의 실험결과들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1는 착용자 3에 수행하는 음성식별률 테스트의 실험결과들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개시의 실시예들에 관련되는 기술방안들을 더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 아래에서는 실시예들의 설명에서 참조하는 도면들을 간단히 소개한다. 물론, 아래에서 기재된 도면은 단지 본 개시의 일부 예 또는 실시방안일 뿐이다. 본 분야의 통상의 기술자들은, 임의의 더 창조적인 노력을 하지 않고, 이러한 도면들에 근거하여 본 개시를 기타 유사한 상황에 적용할 수 있다. 상하문에서 명확히 얻을 수 있거나 설명된 경우 외에, 도면에 기재된 동일한 참고부호는 동일한 구조나 동작을 표시한다.
이해해야 할 것은 여기에서 사용하는 "시스템", "장치", "유닛", 및/또는 "모듈"은 상이한 수준의 상이한 부재들, 소자들, 부품들, 부분들 또는 조립체들을 구분하는 하나의 방법이다. 그러나, 이러한 단어들은 동일한 목적을 달성하는 다른 표현들에 의해 대체될 수 있다.
개시와 첨부된 청구항에 사용된 바와 같이 "하나", "일", 또는 "상기" 등 용어는 내용에서 명확히 제시하지 아니한 한 복수의 형태를 포함한다. 일반적으로, 상기 용어들 "포함"과 "함유"는 단지 명시된 절차들 및 소자들이 포함됨을 강조하고, 이러한 절차들 및 소자들은 배타적인 나열을 형성하지 않으며, 상기 방법 또는 장치는 기타 절차들 또는 소자들을 포함할 수도 있다.
본 개시에 사용된 흐름도는 시스템이 본 개시의 일부 실시예들에 근거하여 구현하는 동작을 설명하는 데 사용된다. 전후 동작들이 엄격한 순서에 따라 실행될 필요가 없음을 이해해야 한다. 반대로, 각 절차는 역순서 또는 동시에 진행될 수 있다. 동시에, 기타 동작들을 이러한 처리들에 추가할 수도 있고, 하나 이상의 동작들은 이러한 처리로부터 제거할 수 있다.
도 1은 본 개시의 일부 실시예들에 따른 골전도 보청기를 설정하기 위한 예시적인 시스템을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1에 표시하는 바와 같이, 골전도 보청기를 설정하기 위한 시스템(100)은 골전도 보청기(110), 처리장치(120), 스토리지(130), 하나 이상의 단말기들(140), 및 네트워크(150)를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는, 상기 골전도 보청기(110), 상기 처리장치(120), 상기 스토리지(130) 및/또는 상기 단말기들(140)은 무선 연결(예를 들면, 상기 네트워크(150)), 유선연결, 또는 이들의 조합을 통해 서로 연결 및/또는 통신할 수 있다. 상기 골전도 보청기를 설정하기 위한 상기 시스템(100) 중의 부재들 사이의 연결은 변할 수 있다. 단지 예로써, 도 1에 표시하는 바와 같이, 상기 골전도 보청기(110)는 상기 네트워크(150)를 통해 처리장치(120)에 연결될 수 있다. 다른 하나의 예로써, 상기 골전도 보청기(110)는 상기 처리장치(120)에 직접 연결될 수 있다. 다른 하나의 예로써, 도 1에 표시하는 바와 같이, 상기 스토리지(130)는 상기 네트워크(150)를 통해 상기 처리장치(120)에 연결될 수 있거나, 또는 상기 처리장치(120)에 직접 연결될 수 있다. 다른 하나의 예로써, 도 1에 표시하는 바와 같이, 상기 단말기들(140)는 상기 네트워크(150)를 통해 상기 처리장치(120)에 연결될 수 있거나, 또는 상기 처리장치(120)에 직접 연결될 수 있다.
상기 골전도 보청기(110)는 소리정보(예를 들면, 주변의 소리, 착용자의 음성, 기타 장치들로부터 획득하는 오디오 파일들, 등.)를 획득하고 상기 획득한 소리정보를 처리하고 진동신호로 변환하고, 상기 진동신호를 착용자의 골격들을 통해 착용자의 청각중추에 전달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따라서 상기 착용자는 상기 진동신호로 전달되는 소리정보를 들을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골전도 보청기는 골전도 보청기일 수 있으며, 또는 골전도 보청헤드폰일 수 있다. 본 개시에서는, 주로 상기 골전도 보청기를 예로 들어 설명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는, 상기 골전도 보청기(110)(예를 들면, 상기 골전도 보청기)는 소리픽업부재, 스피커부재,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소리픽업부재는 소리정보("제1 진동신호"라고도 부른다. 예를 들면, 주변의 소리, 착용자의 음성)를 픽업하고, 상기 픽업한 제1 진동신호를 처리하고 상기 소리정보를 지니는 진동신호로 변환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스피커부재는 상기 소리픽업부재에 의해 획득하는 상기 소리정보를 지니는 진동신호를 상기 소리정보를 지니는 제2 진동신호로 변환시키고, 상기 소리정보를 지니는 제2 진동신호를 상기 착용자의 청각중추에 전달할 수 있다. 상기 골전도 보청기(110)에 관한 상세한 설명들은 본 개시에서의 기타 설명들(예를 들면, 도 2 및 그 상세한 설명들)에서 찾을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는, 상기 골전도 보청기의 상이한 착용자들에 있어서, 상기 착용자들이 상이한 청각 레벨들(예를 들면, 청각손실 레벨들)을 가지기 때문에, 상기 골전도 보청기의 설정들은 다를 수 있다. 본 개시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상기 골전도 보청기의 설정들은 상기 골전도 보청기가 출력하는 소리신호의 강도에 관련되는 파라미터값들("파라미터들"라고도 부른다) 또는 그 확정처리를 참조할 수 있으며, 그러므로 상기 골전도 보청기는 상기 파라미터 값들에 근거하여 상기 소리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상기 골전도 보청기가 출력하는 신호의 강도에 관련되는 파라미터 값들은 게인값(dB), 아날로그 출력값(dB),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는, 상기 게인값은 보청기가 상기 소리신호의 강도를 증폭시키는 값일 수 있으며, 상기 아날로그 출력값은 보청기가 입력 소리신호 파라미터(예를 들면, 소리신호 강도값)에 근거하여 모의하는 출력신호 강도값일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아날로그 출력값은 소리신호 입력값(예를 들면, 강도값, 단위: dB)에 상기 게인값(단위: dB)을 합한 결과와 같을 수 있다. 상기 골전도 보청기를 설정하기 위한 상기 시스템(100)은 착용자의 청력레벨에 근거하여 착용자의 청력레벨에 대응되는 상기 골전도 보청기의 설정을 확정할 수 있다. 상기 설정에 의해, 상기 골전도 보청기(110)는 상기 획득한 소리정보(예를 들면, 주변의 소리, 착용자의 음성, 기타 장치들에서 획득한 오디오 파일들, 등.)를 처리하고 출력할 수 있으며, 상기 착용자가 상기 소리를 듣게 한다.
상기 처리장치(120)는 상기 골전도 보청기(110), 상기 스토리지(130), 또는 상기 단말기들(140)로부터 획득한 데이터 및/또는 정보를 처리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처리장치(120)는 상기 골전도 보청기(110)의 착용자의 청각손실 데이터를 얻을 수 있다. 다른 하나의 예로써, 상기 처리장치(120)는 상기 청각손실 데이터에 근거하여 각 주파수대역에서 각 소리레벨에서의 상기 골전도 보청기(110)의 기준출력 파라미터를 확정할 수 있다. 다른 하나의 예로써, 상기 처리장치(120)는 상기 기준출력 파라미터의 조절값을 얻을 수 있다. 다른 하나의 예로써, 상기 처리장치(120)는 각 주파수대역에서 각 소리레벨에서의 상기 기준출력 파라미터의 상기 조절값에 근거하여 상기 골전도 보청기(110)를 설정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는, 상기 처리장치(120)는 단일 서버 또는 서버 그룹일 수 있다. 상기 서버 그룹은 집중화되거나 또는 분산화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는, 상기 처리장치(120)는 현지 또는 원격에 있을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처리장치(120)는 상기 네트워크(150)를 통해 상기 골전도 보청기(110), 상기 단말기들(140), 또는 상기 스토리지(130)에 저장된 정보 또는 데이터에 접근할 수 있다. 다른 하나의 예로써, 상기 처리장치(120)는 상기 골전도 보청기(110), 상기 단말기들(140), 또는 상기 스토리지(130)에 직접 연결되어 상기 저장된 정보 또는 데이터에 접근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는, 상기 처리장치(120)는 클라우드 플랫폼에서 구현될 수 있다. 단지 예로써, 상기 클라우드 플랫폼은 사설 클라우드, 공공 클라우드, 혼합 클라우드, 커뮤니티 클라우드, 분산 클라우드, 내부 클라우드, 다층 클라우드, 등, 또는 이들의 임의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는, 상기 처리장치(120)는 계산장치에서 수행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는, 상기 처리장치(120) 또는 상기 처리장치(120)의 일부분은 상기 골전도 보청기(110)에 집적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는, 상기 처리장치(120) 또는 상기 처리장치(120)의 일부분은 상기 단말기들(140)에 집적될 수 있다.
상기 스토리지(130)는 데이터, 명령어들, 또는 임의의 기타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는, 상기 스토리지(130)는 상기 단말기들(140) 또는 상기 처리장치(120)로부터 획득한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는, 상기 스토리지(130)는 상기 처리장치(120)가 수행하거나 또는 여기에서 기재하는 예시적인 방법들을 수행하는 데 이용되는 데이터 또는 명령어들을 저장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는, 상기 스토리지(130)는 대용량 스토리지장치, 이동식 스토리지장치, 휘발성 판독/기록 메모리, 읽기전용 메모리(ROM), 등, 또는 이들의 임의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는, 상기 스토리지(130)는 클라우드 플랫폼에서 구현될 수 있다. 단지 예로써, 상기 클라우드 플랫폼은 사설 클라우드, 공공 클라우드, 혼합 클라우드, 커뮤니티 클라우드, 분산 클라우드, 내부 클라우드, 다층 클라우드, 등, 또는 이들의 임의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는, 상기 스토리지(130)는 상기 골전도 보청기를 설정하기 위한 상기 시스템(100)의 하나 이상의 기타 부재들(예를 들면, 상기 처리장치(120), 상기 단말기(140), 등.)과 연통하는 상기 네트워크(150)와에 연결될 수 있다. 상기 골전도 보청기의 하나 이상의 부재들을 배치하기 위한 상기 시스템(100)은 상기 네트워크(150)를 통해 상기 스토리지(130)에 저장되어 있는 상기 데이터 또는 명령어들에 접근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는, 상기 스토리지(130)는 상기 골전도 보청기 설정시스템(100) 중 하나 이상의 기타 부재들(예를 들면, 상기 처리장치(120), 상기 단말기(140), 등.)과 직접 연결되거나 또는 통신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는, 상기 스토리지(130)은 상기 처리장치(120)의 일부분일 수 있다.
상기 단말기들(140)은 이동장치(141), 태블릿(142), 랩톱 컴퓨터(143), 스마트시계(144), 등, 또는 이들의 임의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는, 상기 이동장치(141)는 스마트 홈장치(예를 들면, 스마트 가전제품의 제어장치, 스마트 감시장치, 스마트 TV, 및 스마트 카메라), 착용가능장치(예를 들면, 안경, 헬멧, 악세사리, 옷들, 등.), 이동장치(예를 들면, 휴대폰, 랩톱 컴퓨터, 등.), 가상현실(VR)장치(예를 들면, VR 헤드셋, VR 안경, VR 고글), 등, 또는 이들의 임의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는, 상기 골전도 보청기(110)는 상기 단말기들(140), 예를 들면, 안경, 악세사리, 등에 집적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는, 사용자(예를 들면, 상기 골전도 보청기(110)의 착용자, 시스템 조작자, 의사, 등.)는 상기 단말기들(140)을 통해 상기 골전도 보청기를 설정하기 위한 상기 시스템(100)과 인터랙션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사용자는 상기 단말기(140)상의 사용자 인터랙션 인터페이스를 통해 설정청구를 전송할 수 있으며; 상기 처리장치(120)는 상기 설정청구를 획득한 후, 상기 착용자의 청각손실 데이터를 얻을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처리장치(120)는 상기 사용자 인터랙션 인터페이스를 통해 상기 단말기(140)에 청각손실 데이터 획득청구를 전송하고, 상기 사용자는 상기 획득청구를 수신한 후, 상기 사용자 인터랙션 인터페이스를 통해 상기 착용자의 청각손실 데이터를 업로드할 수 있다. 상기 처리장치(120)는 상기 청각손실 데이터에 근거하여 상기 골전도 보청기(110)를 설정할 수 있다.
상기 네트워크(150)는 임의의 적당한 네트워크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네트워크는 상기 골전도 보청기를 설정하기 위한 상기 시스템(100)의 정보 또는 데이터의 교환을 촉진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는, 상기 골전도 보청기를 설정하기 위한 상기 시스템(100)의 하나 이상의 부재들(예를 들면, 상기 골전도 보청기(110), 상기 단말기들(140), 상기 처리장치(120), 상기 스토리지(130), 등.)은 상기 골전도 보청기를 설정하기 위한 상기 시스템(100)의 하나 이상의 기타 부재들과 정보 또는 데이터를 교환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처리장치(120)는 상기 네트워크(150)를 통해 상기 골전도 보청기(110)로부터 착용자의 청각손실 데이터(예를 들면, 청력레벨)를 얻을 수 있다. 다른 하나의 예로써, 상기 처리장치(120)는 상기 네트워크(150)를 통해 상기 단말기들(140)로부터 사용자 명령어들을 얻을 수 있다. 상기 네트워크(150)는 공공 네트워크(예를 들면, 인터넷), 사적 네트워크(예를 들면, 근거리 통신망(LAN), 광역 네트워크(WAN), 등.), 유선 네트워크(예를 들면, 이더넷 네트워크), 무선네트워크(예를 들면, 802.11 네트워크, Wi-Fi 네트워크, 등.), 무선 통신망(예를 들면, 롱텀에볼루션(LTE) 네트워크), 프레임 지연 네트워크, 가상사적 네트워크("VPN"), 위성 네트워크, 전화 네트워크, 라우터, 허브, 스위치, 서버 컴퓨터, 또는 이들의 임의의 조합이거나 및/또는 이를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는, 상기 네트워크(150)는 하나 이상의 네트워크액세스 포인트들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네트워크(150)는 유선 또는 무선 네트워크액세스 포인트들, 예를 들면, 기지국 또는 인터넷 교환 포인트들을 포함할 수 있으며, 이들을 통해 상기 골전도 보청기의 하나 이상의 부재들을 설정하기 위한 상기 시스템(100)는 상기 네트워크(150)에 연결되어 상기 데이터 또는 상기 정보를 교환할 수 있다.
본 개시는 설명을 목적으로 하며, 본 개시의 범위를 제한하지 않는다. 본 분야의 통상의 기술자들에 있어서 많은 대안들, 수정들 및 변화들은 용이한 것이다. 여기에서 설명하는 상기 예시적인 실시예들의 특징들, 구조들, 방법들 및 특성들은 다양한 방식들로 조합되어 추가적 또는 대안의 예시적인 실시예들을 얻을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스토리지(130)는 클라우드 계산 플랫폼, 예를 들면, 공공 클라우드, 사설 클라우드, 커뮤니티 클라우드, 및 혼합 클라우드를 포함하는 데이터 스토리지장치일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다양한 변화들과 수정들은 본 개시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다.
도 2는 본 개시의 일부 실시예들에 따른 골전도 보청기를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2에 표시하는 바와 같이, 상기 골전도 보청기(200)는 스피커부재(210), 소리픽업부재(220), 및 지지부재(23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스피커부재(210)는 소리정보를 지니는 신호를 진동신호로 변환시킬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는, 상기 소리정보는 특정된 방식을 통해 소리로 변환될 수 있는 특정된 데이터 형식의 비디오 및 오디오 파일, 또는 데이터 또는 파일들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소리정보를 지니는 신호는 전기신호, 광신호, 자기신호, 기계신호, 등 중의 하나 또는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소리정보를 지니는 신호는 하나의 신호원 또는 복수의 신호원들부터 올 수 있다. 상기 복수의 신호원들은 관련되거나 또는 관련되지 않을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는, 상기 골전도 보청기(200)는 상이한 방식으로 상기 소리정보를 지니는 신호를 얻을 수 있으며, 상기 신호는 유선 또는 무선방식으로 실시간으로 또는 지연되는 방식으로 얻을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골전도 보청기(200)는 유선 또는 무선 방식으로 소리정보를 지니는 전기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다른 하나의 예로써, 상기 골전도 보청기(10)는 소리수집 기능을 구비하는 부재(예를 들면, 상기 소리픽업부재(220))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부재는 주변의 소리를 픽업하고, 상기 소리의 기계적 진동를 전기신호로 변환시키고, 상기 전기신호가 증폭기에 의해 처리된 후 특정된 요구들에 부합되는 전기신호를 획득한다.
이는 상기 스피커부재(210)가 상기 소리정보를 지니는 신호를 진동신호로 변환시키는 에너지 변환과정일 수 있다. 상기 변환과정은 상이한 유형의 에너지의 공존과 변환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스피커부재(210)는 하나 이상의 변환장치들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변환장치를 통해 직접 상기 전기신호를 상기 기계적 진동으로 변환함으로써 소리가 생성될 수 있다. 다른 하나의 예로써, 상기 소리정보는 광신호에 포함될 수 있으며, 상기 변환장치는 광신호를 상기 진동신호로 변환시키는 과정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변환장치의 작동과정에서 공존하고 변환될 수 있는 기타 유형의 에너지는 열에너지, 자기장 에너지,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는, 상기 확성기조립체(210)는 자기회로부재(211)와 진동부재(213)(상기 자기회로부재(211)와 상기 진동부재(213)는 변환장치들라고도 할 수 있다)의 협조를 통해 상기 소리정보 신호로부터 상기 진동신호로의 변환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자기회로부재(211)는 자기장을 제공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상기 진동부재(213)는 상기 자기장에서 암페어힘에 의해 기계적으로 진동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자기회로부재(211)는 자석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진동부재(213)는 자기진동자와 진동판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자기진동자(예를 들면, 음성코일)는 상기 자기장 암페어힘의 작용하에서 앞뒤로 이동할 수 있으며, 동작시 상기 진동판을 구동하여 진동시킨다. 상기 과정에서, 상기 소리정보는 상기 자기진동자의 진동에 대응될 수 있으며, 상기 자기진동자의 진동주파수와 진폭은 상기 소리정보의 주파수와 강도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는, 상기 자기회로부재와 상기 자기진동자 중의 하나는 전자석일 수 있으며, 코일들의 수량 또는 상기 전자석에서의 전류 강도를 제어함으로써, 상기 자기장의 강도가 제어될 수 있으며, 따라서 상기 자기진동자의 진동진폭을 제어한다. 상기 전자석에서의 코일의 전류방향의 변경주파수를 제어함으로써 상기 자기진동자의 진동주파수가 제어될 수 있다. 이 과정에서, 상기 소리정보는 증폭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자기진동자의 진동진폭을 증가시킴으로써 상기 소리정보의 세기가 증폭될 수 있다.
상기 진동부재의 에너지 변환 방법은 구체적으로 가동코일식, 정전기식, 압전기식, 가동철편식, 기동식, 전자기식,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골전도 보청기(200)의 주파수응답 범위와 음질은 상기 진동부재의 영향을 받을 수 있다. 예를 들면, 가동 코일 변환장치에서, 상기 진동부재는 감겨진 원통형 음성코일과 진동체(예를 들면, 진동판 또는 진동막)를 포함할 수 있다. 신호전류에 의해 구동되는 상기 원통형 음성코일은 상기 진동체를 구동하여 진동시키고 상기 자기장에서 소리를 생성할 수 있다. 진동체 재료의 신축, 주름의 변형, 크기, 형상 및 고정방법, 상기 자기장의 자기 밀도, 등은 전부 상기 골전도 보청기의 음질에 큰 영향이 있을 수 있다. 상기 진동부재의 진동체는 거울대칭구조, 중심대칭구조, 또는 비대칭구조일 수 있다. 상기 진동체에는 간헐적인 구멍구조들이 배치될 수 있으며, 따라서 상기 진동체가 비교적 큰 변위를 생성하고, 상기 골전도 보청기(200)가 높은 민감도를 달성하게 하며, 진동과 소리의 출력을 증가시킨다. 상기 진동체는 토러스구조일 수 있고, 중심을 향해 집중된 2개 이상의 버팀대가 상기 토러스에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소리픽업부재(220)는 주로 상기 사용자의 음성, 사용자의 환경속 주변의 소리, 등을 픽업할 수 있다. 청각 장애자에 있어서, 상기 소리픽업부재(220)의 소리픽업효과는 청각 장애자가 상기 골전도 보청기를 통해 수신하는 소리의 맑기, 안정성 등에 영향을 줄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는, 상기 소리픽업부재(220)는 마이크로폰을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는, 상기 소리픽업부재(220)는 외부 소리신호를 전기신호로 변환시킬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는, 상기 소리픽업부재(220)는 진동막, 코일, 및 자석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진동막은 코일에 연결될 수 있고, 상기 코일은 자기장 자석에 의해 생성되는 자기장에 설치될 수 있다. 외부 음파들(예를 들면, 소리신호 또는 진동신호)은 상기 진동막을 진동시킬 수 있다. 상기 진동막은 상기 코일을 구동시켜 함께 움직일 수 있다. 상기 자석에 의해 생성되는 상기 자기장에서의 상기 코일의 동작은 전류를 생성할 수 있으며, 따라서 상기 소리신호는 전기신호로 변환될 수 있으며, 따라서 상기 외부 소리의 픽업을 완성한다.
상기 지지부재(230)는 상기 골전도 보청기(200)의 기타 부재들(예를 들면, 상기 자기회로부재, 상기 진동부재 또는 스토리지 부재, 전원공급장치 부재, 통신부재(미도시), 및 상기 소리픽업부재(220))를 지지할 수 있다. 상기 지지부재(230)는 하나 이상의 하우징들, 및 하나 이상의 커넥터들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하나 이상의 하우징들은 상기 스토리지 부재, 컨트롤러, 상기 소리픽업부재(220), 상기 통신부재, 배터리 부재, 등을 수용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수용캐비티들(232)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하나 이상의 커넥터들은 상기 하나 이상의 하우징들을 상기 골전도 보청기(200)의 기타 부재들(예를 들면, 상기 자기회로부재, 상기 진동부재 또는 상기 스토리지 부재, 상기 전원공급장치 부재, 상기 통신부재(미도시), 및 상기 소리픽업부재(220))과 연결시킬 수 있다.
상기 골전도 보청기(200)에 관련된 유선연결은, 예를 들면, 동축 케이블, 통신 케이블, 가요성 케이블, 나선형 케이블, 비금속 피복 케이블, 금속 피복케이블, 다중코어 케이블, 트위스트 페어 케이블, 리본 케이블, 차폐 케이블, 원격통신 케이블, 쌍심 케이블, 병렬 트윈코어 도체, 트위스트 페어 와이어, 등, 또는 이들의 조합과 같은 금속선, 광케이블, 또는 금속 케이블과 광케이블의 혼합케이블을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예들은 단지 설명의 편의를 위한 것이며, 유선연결의 매체는 다른 유형들일 수도 있고, 예를 들면, 전기신호 또는 광신호의 기타 전송반송파일 수 있다.
상기 골전도 보청기(200)에 관련된 무선연결은 무선 통신, 자유공간 광통신, 음향통신, 전자기 유도,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무선 통신은IEEE802.11 계열 표준, IEEE802.15 계열 표준(예를 들면, 블루투스 기술와 지그비 기술, 등.), 제1세대 이동통신 기술(1G), 제2세대 이동통신 기술(2G)(예를 들면, FDMA, TDMA, SDMA, CDMA, SSMA, 등.), 일반 패킷 라디오 서비스 기술, 제3세대이동통신 기술(3G)(e.g. CDMA2000, WCDMA, TD-SCDMA, WIMAX, 등.), 제4세대 이동통신 기술(4G)(예를 들면, TD-LTE, FDD-LTE, 등.), 위성 통신(예를 들면, GPS 기술, 등.), 근거리 통신(NFC), 및 ISM 주파수대역(예를 들면, 2.4GHz, 등.)에 이용되는 다른 기술들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자유공간 광통신은 가시광선, 적외선 신호들,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음향통신은 음파들, 초음파신호들,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전자기 유도는 근거리 통신 기술,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예들은 단지 설명의 편의를 위한 것이며, 무선 연결의 매체는 다른 유형들일 수도 있으며, 예를 들면, Z-파 기술, 기타 유료의 민용 무선 주파수대역 및 군용 무선 주파수대역, 등일 수 있다. 예를 들면, 현재 기술의 일부 적용장면들과 같이, 상기 골전도 보청기(200)는 블루투스 기술을 통해 기타 장치들로부터 상기 소리정보를 지니는 신호를 얻을 수 있다.
상기 골전도 보청기(200)의 구조의 설명은 단지 특정된 예로서, 유일한 실시방안으로 간주하지 말아야 한다. 물론, 기존의 기술에서의 통상의 기술자들에 있어서, 상기 골전도 보청기(200)의 기본 원칙을 이해 한 후, 이 기본 원칙을 벗어나지 않고 상기 골전도 보청기(200)를 구현하는 특정된 실시방식과 절차들에 대하여 형식과 세부면에서 다양한 수정들과 변경들을 진행할 수 있으며, 하지만 이러한 수정들과 변경들은 여전히 상기 설명의 범위 내에 있다. 예를 들면, 상기 골전도 보청기(200)는 하나 이상의 소리신호처리 알고리즘을 수행할 수 있는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하나 이상의 소리신호처리 알고리즘은 상기 소리신호를 수정하거나 증강시킬 수 있다. 상기 소리신호에 대해, 예를 들면,소음감소, 음향피드백억제, 대폭 동적범위 압축, 자동게인제어, 능동형 환경인식, 능동소음방지, 방향처리, 이명처리, 다중채널 대폭 동적범위 압축, 능동 하울링 억제, 음량 제어, 등, 또는 이들의 임의의 조합을 수행할 수 있다. 이러한 수정들과 변화들은 여전히 본 개시의 보호청구 범위 내에 있다. 다른 하나의 예로써, 상기 골전도 보청기는 하나 이상의 센서들, 예를 들면, 온도센서, 습도센서, 속도센서, 변위 센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하나 이상의 센서들은 사용자 정보 또는 환경 정보를 수집할 수 있다. 다른 하나의 예로써, 상기 스토리지 부재는 필수적인 것이 아닐 수 있으며, 상기 골전도 보청기로부터 제거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는, 상기 골전도 보청기를 설정하기 위한 상기 시스템은 상기 착용자의 상기 청각손실 데이터에 근거하여 상기 골전도 보청기를 설정하기 위한 상기 시스템의 사전설정된 공식 또는 사전설정된 알고리즘에 따라 상기 골전도 보청기를 설정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골전도 보청기를 설정하기 위한 상기 시스템에서, 상기 착용자의 청각손실 데이터가 상기 골전도 보청기를 설정하기 위한 상기 시스템에 입력된 후, 상기 골전도 보청기를 설정하기 위한 상기 시스템은 상기 사전설정된 알고리즘에 따라 상기 골전도 보청기의 관련 파라미터값을 자동적으로 출력할 수 있다. 상기 사전설정된 알고리즘만을 통해 상기 골전도 보청기를 직접 배치하면, 상기 배치된 골전도 보청기(200)가 어떤 경우에는(예를 들면, 상기 착용자가 말할 때거나 또는 주변의 소리가 큰 경우) 심한 진동을 생성하게 하여, 상기 착용자에게 불편감을 줄 수 있다.
본 개시는 골전도 보청기를 설정하기 위한 시스템을 제공한다. 도 3은 본 개시의 일부 실시예들에 따른 골전도 보청기를 설정하기 위한 시스템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3에 표시하는 바와 같이, 상기 골전도 보청기를 설정하기 위한 상기 시스템(300)은 획득모듈(310), 기준출력 파라미터 확정모듈(320), 조절값 확정모듈(330), 및 설정모듈(34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모듈들은 유선방식, 무선방식, 또는 이들의 조합으로 연결될 수 있다. 어느 모듈이든지 로컬, 원격, 또는 이들의 조합일 수 있다. 상기 모듈들은 일대일 대응 또는 일 대 다수 대응일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는, 상기 획득모듈(310)은 상기 착용자의 청각손실 데이터를 획득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는, 상기 기준출력 파라미터 확정모듈(320)은 각 상기 청각손실 데이터에 근거하여 각 주파수대역에서 각 소리레벨에서의 상기 골전도 보청기의 기준출력 파라미터를 확정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는, 상기 조절값 확정모듈(330)은 상기 각 주파수대역에서 상기 각 소리레벨에서의 상기 기준출력 파라미터의 조절값을 획득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는, 상기 조절값들은 동일한 주파수대역에서 상이한 소리레벨들에서 같을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는, 0Hz~625Hz의 범위 내의 주파수대역에서, 상기 조절값은 1dB~12dB의 범위 내에 있을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는, 0Hz~125Hz의 범위 내의 주파수대역에서, 상기 조절값은 5dB~12dB의 범위 내에 있을 수 있고; 125Hz~375Hz의 범위 내의 주파수대역에서, 상기 조절값은 3dB~9dB의 범위 내에 있을 수 있고; 또는 375Hz~625Hz의 범위 내의 주파수대역에서, 상기 조절값은 1dB~6dB의 범위 내에 있을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는, 0Hz~125Hz의 범위 내의 주파수대역에서, 상기 조절값은 5dB~7dB의 범위 내에 있을 수 있고; 125Hz~375Hz의 범위 내의 주파수대역에서, 상기 조절값은 3dB~5dB의 범위 내에 있을 수 있고; 또는 375Hz~625Hz의 범위 내의 주파수대역에서, 상기 조절값은 1dB~3dB의 범위 내에 있을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는, 0Hz~125Hz의 범위 내의 주파수대역에서, 상기 조절값은 10dB~12dB의 범위 내에 있을 수 있고; 125Hz~375Hz의 범위 내의 주파수대역에서, 상기 조절값은 7dB~9dB의 범위 내에 있을 수 있고; 또는 375Hz~625Hz의 범위 내의 주파수대역에서, 상기 조절값은 4dB~6dB의 범위 내에 있을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는, 상기 조절값들은 동일한 주파수대역에서 상이한 소리레벨들에서 다를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는, 상기 조절값 확정모듈(330)은 상기 각 주파수대역에서의 각 소리레벨에 대응되며, 또한 상기 각 주파수대역에서 상기 각 소리레벨에서의 상기 착용자가 감지하는 진동도와 관련되는 제1 역치를 확정하고; 상기 각 주파수대역에서의 각 소리레벨에 대응되며, 또한 상기 각 주파수대역에서 상기 각 소리레벨에서의 상기 착용자의 음성식별률과 관련되는 상기 제2 역치를 확정하고; 상기 기준출력 파라미터, 상기 제1 역치, 및 상기 제2 역치에 근거하여 상기 조절값을 확정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는, 상기 조절값 확정모듈(330)은 상기 각 주파수대역의 모 주파수대역에서 상기 각 소리레벨 중의 모 소리레벨에서의 기준출력 파라미터에 관하여, 상기 기준출력 파라미터로부터 상기 제1 역치를 덜어내어 비교값을 획득하고; 상기 비교값을 상기 제2 역치와 비교하여 제1 비교결과를 획득하고; 상기 제1 비교결과에 근거하여 상기 기준출력 파라미터에 대응되는 상기 조절값을 확정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는, 상기 조절값 확정모듈(330)은 상기 비교값이 0 이하인 경우, 상기 조절값을 0dB로 지정하고; 상기 비교값이 0보다 크고 상기 제2 역치 이하인 경우, 상기 조절값을 상기 비교값으로 지정하고; 상기 비교값이 상기 제2 역치보다 큰 경우, 상기 조절값을 상기 제2 역치값으로 지정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는, 0Hz~125Hz의 범위 내의 주파수대역에서, 상기 제1 역치는 48dB~52dB의 범위 내에 있을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는, 125Hz~375Hz의 범위 내의 주파수대역에서, 상기 제1 역치는 49dB~54dB의 범위 내에 있을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는, 375Hz~625Hz의 범위 내의 주파수대역에서, 상기 제1 역치는 50dB~55dB의 범위 내에 있을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는, 0Hz~125Hz의 범위 내의 주파수대역에서, 상기 제2 역치는 5dB~10dB의 범위 내에 있을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는, 125Hz~375Hz의 범위 내의 주파수대역에서, 상기 제2 역치는 3dB~7dB의 범위 내에 있을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는, 375Hz~625Hz의 범위 내의 주파수대역에서, 상기 제2 역치는 1dB~4dB의 범위 내에 있을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는, 상기 골전도 보청기가 다중채널 대폭동적범위 압축시스템을 이용하는 경우, 상기 조절값 확정모듈(330)은 상기 기준출력 파라미터를 상기 제1 역치와 비교하여 제2 비교결과를 확정할 수 있다. 상기 제1 역치는 상기 각 주파수대역에서 상기 각 소리레벨에서의 상기 착용자가 감지하는 진동도와 관련될 수 있다. 상기 조절값 확정모듈(330)은 상기 제2 비교결과에 근거하여 상기 기준출력 파라미터에 대응되는 상기 조절값을 확정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는, 상기 조절값은 상기 각 소리레벨 중의 적어도 하나의 소리레벨이 소리레벨 역치보다 큰 경우의 게인감소값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조절값 확정모듈(330)은 상기 기준출력 파라미터가 상기 제1 역치 이하인 경우, 상기 게인감소값을 0dB로 지정하고, 상기 기준출력 파라미터가 상기 제1 역치보다 큰 경우, 상기 게인감소값을 상기 제1 역치와 상기 기준출력 파라미터 사이의 차이로 지정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는, 상기 조절값은 다중채널 대폭동적범위 압축시스템의 출력한계의 감소값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조절값 확정모듈(330)은 파라미터가 상기 제1 역치 이하인 경우, 상기 출력한계의 감소값을 0dB로 지정하고; 상기 기준출력 파라미터가 상기 제1 역치보다 큰 경우, 상기 출력한계의 감소값을 0dB보다 큰 값으로 지정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는, 상기 설정모듈(340)은 상기 각 주파수대역에서 상기 각 소리레벨에서의 상기 기준출력 파라미터와 상기 조절값에 근거하여 상기 골전도 보청기를 설정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는, 상기 설정모듈(340)은 0Hz~625Hz의 범위 내의 주파수대역에서, 상기 조절값에 근거하여 상기 기준출력 파라미터를 더 감소시킬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는, 상기 설정모듈(340)은 다중채널 대폭동적범위 압축시스템을 이용하여 상기 각 주파수대역에서 상기 각 소리레벨에서의 상기 기준출력 파라미터와 상기 조절값에 근거하여 상기 골전도 보청기를 설정할 수 있다.
유의해야 할 것은 상기 처리모듈에 관한 상기 설명은 단지 특정된 예이며, 유일한 실시방안으로 간주하지 말아야 한다. 각 모듈 또는 유닛은 필수적이 아니며, 각 모듈 또는 유닛은 하나 이상의 부재들에 의해 실행될 수 있으며, 각 모듈 또는 유닛의 기능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각 모듈 또는 유닛은 특정된 구현 시나리오들 또는 필요에 따라 선택되어 추가되거나 또는 제거될 수 있다. 물론, 본 분야의 통상의 기술자들에 있어서, 용량조정흐름의 기본 원칙을 이해 한 후, 이 기본 원칙을 벗어나지 않고 처리모듈을 구현하는 특정된 실시방식과 절차들에 대하여 형식과 세부면에서 다양한 수정들을 진행할 수 있으며, 일부 간단한 추리 또는 교체를 진행할 수 있으며, 임의의 창조적인 노력을 거치지 않고 각 모듈 또는 유닛의 순서에 대하여 일정한 조정, 조합 또는 분해를 진행할 수 있으며, 이러한 수정들과 변화들은 여전히 본 개시의 범위 내에 있다.
도 4는 본 개시의 일부 실시예들에 따른 골전도 보청기를 설정하기 위한 예시적인 처리를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4에 표시하는 바와 같이, 상기 골전도 보청기를 설정하기 위한 상기 처리 400는 아래의 동작들을 포함할 수 있다.
410에서, 착용자의 청각손실 데이터를 얻을 수 있다. 구체적으로, 410은 상기 획득모듈(310)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는, 상기 착용자의 청각손실 데이터는 상기 착용자의 청각손실에 관련되는 데이터로 이해한다. 상기 청각손실 데이터는 상기 착용자 각 주파수대역에서 각 소리레벨에서의 청력레벨("청각 역치 또는 청각손실레벨"라고도 부른다)을 포함할 수 있다. 본 개시에서, 청력레벨의 단위는dBHL일 수 있다. 청력레벨의 값이 높을 수록, 상기 착용자의 청각손실이 더 심하다. 일부 실시예들에서는, 상기 청각손실 데이터는 상기 착용자의 이력 보청기에 관련된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착용자의 이력 보청기에 관련된 데이터는 상기 착용자가 과거에 사용한 골전도 보청기의 설정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는, 상기 청력레벨은 0dBHL~80dBHL의 범위 내에 있을 수 있다. 예를 들면, 0dBHL~25dBHL의 범위 내의 상기 청력레벨은 정상 청각을 표시할 수 있고; 26dBHL~40dBHL의 범위 내의 상기 청력레벨은 경도의 청각손실을 표시할 수 있고; 41dBHL~60dBHL의 범위 내의 상기 청력레벨은 중등 정도의 청각손실을 표시할 수 있고, 상적인 소리를 듣기가 어려운 것으로 표현되며; 61dBHL~80dBHL의 범위 내의 상기 청력레벨은 심한 청각손실을 표시할 수 있고, 큰 소리를 듣기 어려운 것으로 표현되며; 80dBHL보다 큰 범위 내의 청력레벨은 매우 심한 청각손실을 표시할 수 있고, 소음을 듣기가 어려운 것으로 표현된다.
일부 실시예들에서는, 상기 골전도 보청기의 착용자의 청력레벨들은 상이한 주파수대역에서 소리레벨(상기 소리레벨에 관한 상세한 설명들은 420에 관한 내용에서 찾을 수 있다)에서 같을 수 있다. 예를 들면, 20dBC의 소리레벨에서, 상이한 주파수대역에서 착용자의 청력레벨은 41dBHL~60dBHL의 범위 내의 어느 값과 같을 수 있고; 40dBC의 소리레벨에서, 상이한 주파수대역에서 착용자의 청력레벨은 26dBHL~40dBHL의 범위 내의 어느 값과 같을 수 있고; 60dBC의 소리레벨에서, 상이한 주파수대역에서 착용자의 청력레벨은 0dBHL~25dBHL의 범위 내의 어느 값과 같을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는, 상기 골전도 보청기의 착용자의 청력레벨은 상이한 주파수대역에서 동일한 소리레벨에서 다를 수 있다. 예를 들면, 20dBC의 소리레벨에서, 고주파수대역(예를 들면, 8000Hz~12000Hz)에서 착용자의 청력레벨은 41dBHL~60dBHL의 범위 내의 어느 값과 같을 수 있고; 저주파수대역에서 착용자의 청력레벨은 전부 26dBHL~40dBHL의 범위 내의 어느 값과 같을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는, 상기 골전도 보청기의 착용자의 청력레벨은 동일한 주파수대역에서 상이한 소리레벨들에서 같을 수 있다. 예를 들면, 250Hz~500Hz의 범위 내의 주파수대역에서, 상이한 소리레벨들의 착용자의 청력레벨은0dBHL~25dBHL의 범위 내의 어느 값과 같을 수 있고; 500Hz~1000Hz의 범위 내의 주파수대역에서, 상이한 주파수대역에서 착용자의 청력레벨은 26dBHL~40dBHL의 범위 내의 어느 값과 같을 수 있고; 1000Hz~2000Hz의 범위 내의 주파수대역에서, 상이한 주파수대역에서 착용자의 청력레벨은 41dBHL~60dBHL의 범위 내의 어느 값과 같을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는, 상기 골전도 보청기의 착용자의 청력레벨은 동일한 주파수대역에서 상이한 소리레벨들에서 다를 수 있다. 예를 들면, 250Hz~500Hz의 범위 내의 주파수대역에서, 20dBC의 소리레벨에서 착용자의 청력레벨은 41dBHL~60dBHL의 범위 내의 어느 값과 같을 수 있고; 40dBC의 소리레벨에서, 상기 청력레벨은 26dBHL~40dBHL의 범위 내의 어느 값과 같을 수 있고; 60dBC의 소리레벨에서, 상기 청력레벨은 0dBHL~25dBH L의 범위 내의 어느 값과 같을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는, 상기 착용자에 대해 실시간 청각 테스트를 수행함으로써 상기 착용자의 청각손실 데이터를 얻을 수 있다. 예를 들면, 보청기 정비사는 청각 테스트 장비를 이용하여 상기 착용자에게 청각 테스트(예를 들면, 각 주파수대역에서의 각 소리레벨에서 소리신호들을 재생)를 수행함으로써 상기 착용자의 청각손실 데이터를 얻을 수 있다. 청각 테스트장비에 의해 수집되는 상기 청각손실 데이터는 네트워크(예를 들면, 상기 네트워크(150))를 통해 처리장치(예를 들면, 상기 처리장치(120)) 또는 상기 스토리지장치에 직접 업로드될 수 있으며, 상기 처리장치는 상기 스토리지장치로부터 상기 청각손실 데이터를 얻을 수 있다. 기타 실시예들에서, 상기 착용자는 통해 단말기(예를 들면, 상기 단말기(140))를 통해 상기 착용자의 청각손실 데이터를 업로드할 수 있으며, 상기 골전도 보청기를 설정하기 위한 상기 시스템에서(예를 들면, 상기 골전도 보청기를 설정하기 위한 상기 시스템(100)), 또는 장치(예를 들면, 상기 처리장치(120))는 유선 또는 무선 방식으로 상기 착용자가 업로드한 상기 청각손실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는, 상기 골전도 보청기를 설정하기 위한 상기 시스템 또는 상기 장치는 관련 스토리지(예를 들면, 상기 스토리지(130))부터 상기 착용자의 청각손실 데이터를 찾아낼 수 있다.
420에서, 각 주파수대역에서 각 소리레벨에서의 상기 골전도 보청기의 기준출력 파라미터는 상기 청각손실 데이터에 근거하여 확정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420은 상기 기준출력 파라미터 확정모듈(320)을 통해 수행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는, 상기 기준출력 파라미터는 상기 각 주파수대역에서 상기 각 소리레벨에서의 상기 골전도 보청기의 기준 아날로그 출력값(예를 들면, 상기 골전도 보청기가 출력하는 신호의 강도값, dB로 표시)일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는, 상기 기준출력 파라미터는 상기 각 주파수대역에서 상기 각 소리레벨에서의 상기 골전도 보청기의 기준 게인값(예를 들면, 상기 골전도 보청기가 증폭하는 소리신호의 강도값, dB로 표시)일 수 있다. 유의해야 할 것은 상기 골전도 보청기가 입력하는 소리신호가 상기 기준출력 파라미터(예를 들면, 상기 기준 게인값)하에서 특정된 주파수대역에서 특정된 소리레벨에 부합되는 경우, 상기 골전도 보청기가 입력하는 소리신호의 강도값은 특정된 주파수대역에서 특정된 소리레벨의 기준 아날로그 출력값과 같을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는, 상기 기준출력 파라미터는 청각손실레벨, 소리레벨, 주파수, 등과 관련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는, 상기 골전도 보청기의 상기 기준 아날로그 출력값은 상기 골전도 보청기의 상기 기준 게인값에도 관련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게인값에 근거하여 상기 소리레벨에 대응되는 신호강도를 증폭시킴으로써, 상기 아날로그 출력값이 확정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는, 상이한 착용자들에 있어서, 상이한 청각손실 데이터(예를 들면, 각 소리레벨 청각손실의 정도)에 의해, 상기 기준출력 파라미터들은 다를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는, 상기 소리신호의 상기 소리레벨과 주파수는 상기 골전도 보청기의 기준출력 파라미터에 영향을 줄 수 있고, 상이한 소리레벨들 또는 상이한 주파수대역은 상이한 기준출력 파라미터들에 대응될 수 있다. 이는 상이한 주파수대역은 동일한 청각손실레벨과 동일한 소리레벨하에서 상이한 기준출력 파라미터들에 대응될 수 있고; 상이한 소리레벨들은 동일한 청각손실레벨과 동일한 주파수대역하에서 상이한 기준출력 파라미터들에 대응될 수 있고; 상이한 청각손실 레벨들은 동일한 주파수대역에서 동일한 소리레벨의 상이한 기준출력 파라미터들에 대응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본 개시에서의 상기 소리레벨은 데시벨로 표시하는 상기 소리신호의 강도를 표시한다. 본 개시에서, 상기 소리레벨은 주로 C 주파수 가중측정을 통해 측정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본 개시에서 상기 소리레벨의 단위는 dBC이다. 상기 주파수대역 본 개시에서 상기 소리신호의 주파수 범위이다. 일부 실시예들에서는, 상이한 주파수대역은 상기 소리신호의 주파수를 복수의 연속되는 범위들로 나눔으로써 형성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는, 상기 각 주파수대역에서 상기 각 소리레벨에서의 상기 골전도 보청기의 기준출력 파라미터를 확정하는 것은 사전설정된 소리레벨 또는 사전설정된 주파수 및 상기 사전설정된 소리레벨과 상기 사전설정된 주파수에 대응되는 상기 골전도 보청기의 청간손실레벨의 상기 골전도 보청기의 파라미터를 확정하는 것을 가리킨다. 일부 실시예들에서는, 상기 각 주파수대역에서 상기 각 소리레벨에서의 상기 골전도 보청기의 기준출력 파라미터를 확정하는 것은 사전설정된 소리레벨 범위 또는 사전설정된 주파수대역 및 상기 사전설정된 소리레벨 범위 및 상기 사전설정된 주파수대역에 대응되는 상기 골전도 보청기의 착용자의 청각손실레벨의 상기 골전도 보청기의 출력파라미터를 확정하는 것이다. 상기 확정된 기준출력 파라미터들에 근거하여, 상기 골전도 보청기는 상기 골전도 보청기에 입력하는 소리신호(예를 들면, 상기 소리입력신호)를 증폭시키고 상기 소리신호를 진동신호로 변환시키고, 상기 진동신호를 상기 골전도 보청기의 착용자에게 전달하여 상기 착용자로 하여금 상기 소리를 듣게 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는, 상기 사전설정된 소리레벨, 상기 사전설정된 주파수, 상기 사전설정된 소리레벨 범위, 또는 상기 사전설정된 주파수대역은 상기 시스템(예를 들면, 상기 골전도 보청기를 설정하기 위한 상기 시스템(100))의 기본 설정이거나 또는 사용자에 의해 설정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는, 상기 사전설정된 소리레벨은 20dBC, 30dBC, 40dBC, 50dBC, 60dBC, 70dBC, 80dBC, 등, 또는 이들의 임의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는, 상기 사전설정된 주파수는 250Hz, 500Hz, 1000Hz, 2000Hz, 3000Hz, 4000Hz, 8000Hz, 10000Hz, 등, 또는 이들의 임의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는, 상기 사전설정된 소리레벨 범위는 10dBC~20dBC(20dBC를 포함하지 않을 수 있다), 20dBC~30dBC(30dBC를 포함하지 않을 수 있다), 30dBC~40dBC(40dBC를 포함하지 않을 수 있다), 40dBC~50dBC(50dBC를 포함하지 않을 수 있다), 50dBC~60dBC(60dBC를 포함하지 않을 수 있다), 60dBC~70dBC(70dBC를 포함하지 않을 수 있다), 70dBC~80d BC(80dBC를 포함하지 않을 수 있다), 등, 또는 이들의 임의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는, 상기 사전설정된 주파수대역은 20Hz~250Hz(250Hz를 포함하지 않을 수 있다), 250Hz~500Hz(500Hz를 포함하지 않을 수 있다), 500Hz~1000Hz(1000Hz를 포함하지 않을 수 있다), 1000Hz~2000Hz(2000Hz를 포함하지 않을 수 있다), 2000Hz~3000Hz(3000Hz를 포함하지 않을 수 있다), 3000Hz~4000Hz(4000Hz를 포함하지 않을 수 있다), 4000Hz~6000Hz(6000Hz를 포함하지 않을 수 있다), 6000Hz~10000Hz(10000Hz를 포함하지 않을 수 있다), 등, 또는 이들의 임의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는, 상기 사전설정된 주파수대역은 0Hz~125Hz(125Hz를 포함하지 않을 수 있다), 125Hz~375Hz(375Hz를 포함하지 않을 수 있다), 375Hz~625Hz(625Hz를 포함하지 않을 수 있다), 625Hz~875Hz(875Hz를 포함하지 않을 수 있다), 875Hz~1375Hz(1375Hz를 포함하지 않을 수 있다), 1375Hz~1875Hz(1875Hz를 포함하지 않을 수 있다), 1875Hz~2625Hz(2625Hz를 포함하지 않을 수 있다), 2625Hz~4875Hz(4875Hz를 포함하지 않을 수 있다), 등, 또는 이들의 임의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는, 상기 사전설정된 소리레벨, 상기 사전설정된 주파수, 상기 사전설정된 소리레벨 범위, 또는 상기 사전설정된 주파수대역은 상기 시스템(예를 들면, 상기 골전도 보청기를 설정하기 위한 상기 시스템(100)) 또는 상기 사용자에 의해 조절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사전설정된 소리레벨, 상기 사전설정된 주파수, 상기 사전설정된 소리레벨 범위, 또는 상기 사전설정된 주파수대역은 상기 골전도 보청기의 착용자의 청력레벨에 근거하여 조절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소리레벨이 80dBC인 경우, 착용자의 청력레벨이 10dBHL(상기 착용자가 이 소리레벨에서 정상 청각을 가짐을 표시한다)이면, 상기 사전설정된 소리레벨의 최대 값은 80dBC를 초과하지 않을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는, 상기 기준출력 파라미터는 상기 골전도 보청기의 기준 게인값일 수 있다. 상기 처리장치(120)는 상기 각 주파수대역에서의 각 소리레벨에서 상기 청각손실 데이터의 상기 청력레벨 및 상기 각 주파수대역에서 상기 각 소리레벨에서의 값에 근거하여 상기 각 주파수대역에서 상기 각 소리레벨에서의 상기 골전도 보청기의 상기 기준 게인값을 확정할 수 있다. 예를 들면, 375Hz~625Hz의 범위 내의 주파수대역에서 20dBC의 소리레벨의 상기 골전도 보청기의 상기 기준 게인값은, 20dBC의 상기 소리레벨, 375Hz~625Hz의 범위 내의 상기 주파수대역, 및 375Hz~625Hz의 범위 내의 상기 주파수대역에서 20dBC의 상기 소리레벨의 상기 골전도 보청기의 착용자의 청력레벨에 근거하여 확정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는, 상기 기준출력 파라미터는 상기 골전도 보청기의 기준 아날로그 출력신호 강도값(예를 들면, 상기 기준 아날로그 출력값)일 수 있다. 상기 처리장치(120)는 상기 각 주파수대역에서 상기 각 소리레벨에서의 상기 골전도 보청기의 상기 기준 아날로그 출력신호 강도값(예를 들면, 상기 기준 아날로그 출력값)을 상기 각 주파수대역에서의 각 소리레벨에서 상기 청각손실 데이터의 청력레벨 및 상기 각 주파수대역에서 상기 각 소리레벨에서의 값에 근거하여 확정될 수 있다. 예를 들면, 125Hz~375Hz의 범위 내의 주파수대역에서 30dBC의 소리레벨의 상기 골전도 보청기의 상기 기준 아날로그 출력신호 강도값(예를 들면, 상기 기준 아날로그 출력값)은, 30dBC의 소리레벨, 125Hz~375Hz의 범위 내의 주파수대역, 및 상기125Hz~375Hz의 범위 내의 주파수대역에서 30dBC의 소리레벨의 상기 골전도 보청기의 착용자의 청력레벨에 근거하여 확정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는, 상기 처리장치(120)(상기 기준출력 파라미터 확정모듈(320))는 먼저 상기 청각손실 데이터에 근거하여 상기 각 주파수대역에서 상기 각 소리레벨에서의 상기 골전도 보청기의 상기 기준 게인값을 확정하고, 그 다음, 상기 각 주파수대역에서 상기 각 소리레벨에서의 상기 게인값에 근거하여 상응한 주파수대역에서의 상응한 소리레벨의 상기 골전도 보청기의 상기 기준 아날로그 출력신호 강도값(예를 들면, 상기 기준 아날로그 출력값)을 확정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는, 상기 처리장치(120)(상기 기준출력 파라미터 확정모듈(320))는 사전설정된 공식을 통해 상기 기준출력 파라미터를 확정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각 주파수대역에서 상기 각 소리레벨에서의 상기 기준 게인값은 상기 사전설정된 공식에 따라 상기 착용자의 청각손실 데이터에 근거하여 확정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는, 상기 사전설정된 공식은 라이바거(Lybarger)가 제출한 "1/2 게인 원칙"일 수 있으며, 예를 들면, 감각신경성 난청에 대해 편안한 청각을 달성하고, 필요한 게인값은 청각역치 증가의 절반이어야 한다. 이는 상기 골전도 보청기의 상기 기준 게인값은 대체로 상기 착용자의 청각손실의 절반과 같음을 의미한다.
일부 실시예들에서는, 320에서 상기 기준출력 파라미터는 아래의 표(표1)의 경험 데이터를 통해 확정될 수 있다. 예를 들면, 각 주파수대역에서 각 청각손실레벨(상기 청각손실 데이터에 근거하여 화정)의 상기 기준 게인값은 아래의 표에서의 경험 데이터를 이용하여 확정할 수 있으며, 그 후, 상응한 주파수대역에서 상응한 청각손실레벨에 대한 상기 기준 아날로그 출력값은 또한 상기 기준 게인값을 이용하여 더 확정될 수 있다. 아래의 표는 60dB SPL의 소리레벨을 예로 들어, 각 주파수대역에서 각 청력레벨의 기준 게인값을 설명한다. 표 1에 표시하는 바와 같이, 상기 소리레벨이 60dB SPL이고, 상기 청력레벨이 20dBHL인 경우, 각 주파수대역에서 상기 기준 게인값은 0이고; 상기 청력레벨이 40dBHL인 경우, 125-375Hz의 범위 내의 주파수대역에서 상기 기준 게인값은 5이다. 일부 실시예들에서는, 상기 소리레벨과 상기 청력레벨이 일정한 경우, 상기 주파수대역이 커짐에 따라, 상기 기준 게인값은 먼저 커지다가 작아질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는, 상기 주파수대역이 변하지 않는 경우, 상기 기준 게인값은 상기 청력레벨이 커짐에 따라 커질 수 있다.
표 1은 60dB SPL의 소리레벨을 예로 들어 각 주파수대역에서의 각 청력레벨의 기준 게인값을 설명한다.
일부 실시예들에서는, 상기 처리장치(120)은 설정모형에 근거하여 상기 기준출력 파라미터를 확정할 수 있다. 상기 설정모형은 상기 기준출력 파라미터와 상기 주파수대역, 상기 소리레벨, 및 상기 청력레벨 사이의 관계를 표시할 수 있다.
430에서, 상기 각 주파수대역에서 상기 각 소리레벨에서의 상기 기준출력 파라미터의 조절값을 얻을 수 있다. 상기 조절값은 적어도 상기 주파수대역과 관련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430은 상기 기준출력 조절값 확정모듈(330)을 통해 수행될 수 있다.
상기 조절값은 상기 기준출력 파라미터를 조절하는 데 이용되는 값이다. 일부 실시예들에서는, 상기 기준출력 파라미터는 상기 조절값에 의해 조절될 수 있고, 상기 조절된 기준출력 파라미터는 상기 골전도 보청기의 실제 아날로그 출력 파라미터로써 이용될 수 있다. 상기 기준출력 파라미터를 상기 기준 아날로그 출력값과 상기 기준 게인값의 예로 들어 설명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조절값을 이용해 상기 기준 아날로그 출력값(상기 아날로그 출력신호 강도값)을 조절하고, 조절된 기준 아날로그 출력값을 상기 골전도 보청기의 실제 아날로그 출력값(상기 실제 아날로그 출력신호 강도값)으로 이용할 수 있다. 다른 하나의 예로써, 상기 조절값을 이용해 상기 골전도 보청기의 상기 기준 게인값(상기 소리신호를 증폭시키는 강도값)을 조절하고, 조절된 기준 게인값을 상기 골전도 보청기의 실제 게인값으로 이용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는, 상기 조절값은 상기 기준출력 파라미터를 작게 하는 데 이용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조절값은 상기 기준 아날로그 출력값을 감쇠시키는 데 이용되는 값일 수 있으며, 예를 들면, 상기 조절값을 상기 기준출력 파라미터로부터 덜어낼 수 있다. 다른 하나의 예로써, 상기 조절값은 상기 기준 게인값을 감쇠시키는 데 이용되는 값일 수도 있으며, 예를 들면, 상기 조절값을 상기 기준 게인값으로부터 덜어낼 수 있다. 다른 하나의 예로써, 상기 조절값은 1보다 작은 비율값일 수 있으며, 예를 들면, 상기 기준출력 파라미터를 상기 조절값에 곱할 수 있다.
상기 골전도 보청기의 진동은 상기 골전도 보청기에 입력되는 상기 소리신호의 주파수가 낮을 때 상대적으로 강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골전도 보청기는 125Hz~625Hz의 범위 내의 주파수대역에서 쉽게 진동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조절값(예를 들면, 상기 기준출력 파라미터는 상기 주파수대역에서 상기 조절값을 이용하여 감소될 수 있다)을 0Hz~625Hz(또는 125Hz~625Hz의 주파수대역)의 주파수대역으로 설정하여, 상기 주파수대역에서의 상기 골전도 보청기의 강한 진동을 개선한다.
도 8은 착용자가 골전도 보청기를 착용할 때 실험에 의해 측정한 상이한 주파수에서의 진동감 역치들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에서, 상기 진동감 역치(dBV)는 상기 착용자가 진동을 받을 때 상기 골전도 보청기의 구동전압 값(V)의 수치변환 후 얻은 값이다. 상기 골전도 보청기의 구동전압 값이 X(V)이면, X(V)는 20*log10(X/1)(dBV)의 진동감 역치로 변환된다. 단지 예로써, 상기 골전도 보청기의 구동전압값이 1 V인 경우, 상기 진동감역치는 0dBV일 수 있으며; 상기 골전도 보청기의 구동전압값이 0.5 V인 경우, 상기 진동감역치는 -6dBV일 수 있다. 도 8 에서 1000Hz보다 낮은 주파수대역에서 상기 골전도 보청기의 진동감 역치는 작을 수 있음을 알 수 있으며, 이는 골전도 보청기가 1000Hz보다 낮은 주파수대역, 특히125Hz~600Hz의 범위 내의 주파수대역에서에서 진동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상기 골전도 보청기는 125Hz, 250Hz, 400Hz, 및 500Hz에서 가장 쉽게 진동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실험에 의해 측정된 데이터에 근거하여, 상기 조절값은 0Hz~625Hz(또는125Hz~625Hz의 범위 내의 주파수대역)의 범위 내의 주파수대역으로 설정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는, 동일한 주파수대역 또는 동일한 소리레벨은 상이한 청각 레벨들하에서의 동일한 조절값에 대응될 수 있다. 예를 들면, 26dBHL~40dBHL의 청력레벨하에서 0Hz~625Hz의 범위 내의 주파수대역에서 20dBC의 소리레벨에서의 조절값과 41dBHL~60dBHL의 청력레벨하에서 0Hz~625Hz의 범위 내의 주파수대역에서 20dBC의 소리레벨에서의 조절값은 같을 수 있다. 다른 하나의 예로써, 26dBHL~40dBHL의 청력레벨하에서 0Hz~125Hz의 범위 내의 주파수대역에서20dBC의 소리레벨에서의 조절값과 41dBHL~60dBHL의 청력레벨하에서 0Hz~125Hz의 범위 내의 주파수대역에서20dBC의 소리레벨에서의 조절값은 같을 수 있다. 다른 하나의 예로써, 26dBHL~40dBHL의 청력레벨하에서 125Hz~375Hz의 범위 내의 주파수대역에서 20dBC의 소리레벨에서의 조절값과 41dBHL~60dBHL의 청력레벨하에서 125Hz~375Hz의 범위 내의 주파수대역에서 20dBC의 소리레벨에서의 조절값은 같을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는, 동일한 주파수대역 또는 동일한 소리레벨은 상이한 청각 레벨들하에서 상이한 조절값들에 대응될 수 있다. 예를 들면, 26dBHL~40dBHL의 청력레벨하에서 0Hz~625Hz의 범위 내의 주파수대역에서 20dBC의 소리레벨에서의 조절값과 41dBHL~60dBHL의 청력레벨하에서 0Hz~625Hz의 범위 내의 주파수대역에서 20dBC의 소리레벨에서의 조절값은 다를 수 있다. 다른 하나의 예로써, 26dBHL~40dBHL의 청력레벨하에서 20Hz~125Hz의 범위 내의 주파수대역에서 20dBC의 소리레벨에서의 조절값과 41dBHL~60dBHL의 청력레벨하에서 20Hz~125Hz의 범위 내의 주파수대역에서 20dBC의 소리레벨에서의 조절값은 다를 수 있다. 다른 하나의 예로써, 26dBHL~40dBHL의 청력레벨하에서 125Hz~375Hz의 범위 내의 주파수대역에서 20dBC의 소리레벨에서의 조절값과 41dBHL~60dBHL의 청력레벨하에서 125Hz~3755Hz의 범위 내의 주파수대역에서 20dBC의 소리레벨에서의 조절값은 다를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는, 상이한 소리레벨들하에서 동일한 주파수대역 또는 동일한 청력레벨은 동일한 조절값에 대응될 수 있다. 예를 들면, 41dBHL~60dBHL의 청력레벨하에서0Hz~125Hz의 범위 내의 주파수대역에서 20dBC~40dBC의 소리레벨에서의 조절값과 41dBHL~60dBHL의 청력레벨하에서 0Hz~125Hz의 범위 내의 주파수대역에서40dBC~60dBC의 소리레벨에서의 조절값은 같을 수 있다. 다른 하나의 예로써, 26dBHL~40dBHL의 청력레벨하에서 125Hz~375Hz의 범위 내의 주파수대역에서 20dBC~40dBC의 소리레벨에서의 조절값과 26dBHL~40dBHL의 청력레벨하에서 125Hz~375Hz의 범위 내의 주파수대역에서 20dBC~40dBC의 소리레벨에서의 조절값은 같을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는, 상이한 소리레벨들에서 동일한 주파수대역 또는 동일한 청력레벨은 상이한 조절값들에 대응될 수 있다. 예를 들면, 41dBHL~60dBHL의 청력레벨하에서 0Hz~125Hz의 범위 내의 주파수대역에서 26dBC~40dBC의 소리레벨에서의 조절값과 41dBHL~60dBHL의 청력레벨하에서 0Hz~125Hz의 범위 내의 주파수대역에서40dBC~60dBC의 소리레벨에서의 조절값은 다를 수 있다. 다른 하나의 예로써, 26dBHL~40dBHL청력레벨하에서 125Hz~375Hz의 범위 내의 주파수대역에서26dBC~40dBC의 소리레벨에서의 조절값과 26dBHL~40dBHL의 청력레벨하에서 125Hz~375Hz의 범위 내의 주파수대역에서40dBC~60dBC의 소리레벨에서의 조절값은 다를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는, 상이한 주파수대역에서 동일한 소리레벨 또는 동일한 청력레벨은 동일한 조절값에 대응될 수 있다. 예를 들면, 20dBHL~40dBHL의 청력레벨하에서 0Hz~125Hz의 범위 내의 주파수대역(125Hz을 포함하지 않을 수 있다)에서20dBC~40dBC의 소리레벨에서의 조절값과 20dBHL~40dBHL의 청력레벨하에서 125Hz~375Hz의 범위 내의 주파수대역에서0dBC~40dBC의 소리레벨에서의 조절값은 같을 수 있다. 다른 하나의 예로써, 40dBHL~60dBHL의 청력레벨하에서 125Hz~375Hz의 범위 내의 주파수대역(125Hz을 포함하지 않을 수 있다)에서 40dBC~60dBC의 소리레벨에서의 조절값과 26dBHL~40dBHL의 청력레벨하에서 375Hz~625Hz의 범위 내의 주파수대역에서40dBC~60dBC의 소리레벨에서의 조절값은 같을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는, 상이한 주파수대역에서 동일한 소리레벨 또는 동일한 청력레벨은 상이한 조절값들에 대응될 수 있다. 예를 들면, 41dBHL~60dBHL의 청력레벨하에서 0Hz~125Hz의 범위 내의 주파수대역(125Hz을 포함하지 않을 수 있다)에서 20dBC~40dBC의 소리레벨에서의 조절값과 41dBHL~60dBHL의 청력레벨하에서 125Hz~375Hz의 범위 내의 주파수대역에서 20dBC~40dBC의 소리레벨에서의 조절값은 다를 수 있다. 다른 하나의 예로써, 40dBHL~60dBHL의 청력레벨하에서 125Hz~375Hz(375Hz를 포함하지 않을 수 있다)의 범위 내의 주파수대역에서 40dBC~60dBC의 소리레벨에서의 조절값과 26dBHL~40dBHL의 청력레벨하에서375Hz~625Hz의 범위 내의 주파수대역에서40dBC~60dBC의 소리레벨에서의 조절값은 다를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는, 상기 조절값은 상기 주파수대역과 관련될 수 있으며, 상기 조절값은 상이한 주파수대역에서 다를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는, 상이한 주파수대역은 상이한 조절값들에 대응될 수 있고, 동일한 주파수대역에서 주파수는 동일한 조절값에 대응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는, 상이한 주파수는 상이한 조절값들에 대응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는, 0Hz~625Hz의 범위 내의 주파수대역에서, 상기 조절값은 1dB~12dB의 범위 내에 있을 수 있다. 상기 조절값을 상기 주파수 범위 내의 값으로 설정하고, 상기 골전도 보청기를 설정함으로써, 상기 착용자가 상기 골전도 보청기를 착용할 때 어떤 경우 강한 진동을 감지할 수 있는 문제를 개선될 수 있으며, 음성 이해도에 대한 영향을 작게 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는, 상기 조절값은 상기 주파수가 증가될 때 저하될 수 있다. 예를 들면, 125Hz의 주파수에 대응되는 상기 조절값은 5dB일 수 있으며; 250Hz의 주파수에 대응되는 조절값은 3dB일 수 있으며; 500Hz의 주파수에 대응되는 조절값은 1dB일 수 있다. 다른 하나의 예로써, 125Hz의 주파수에 대응되는 조절값은 10dB일 수 있고; 250Hz의 주파수에 대응되는 조절값은 7dB일 수 있고; 500Hz의 주파수에 대응되는 조절값은 4dB일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는, 625Hz~8000Hz의 범위 내의 주파수대역에서, 상기 조절값은 0dB~4dB의 범위 내에 있을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는, 625Hz~8000Hz의 범위 내의 주파수대역에서, 상기 조절값은 0일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는, 0Hz~125Hz의 범위 내의 주파수대역에서, 상기 조절값은 5dB~12dB의 범위 내에 있을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는, 125Hz~375Hz의 범위 내의 주파수대역에서, 상기 조절값은 3dB~9dB의 범위 내에 있을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는, 375Hz~625Hz의 범위 내의 주파수대역에서, 상기 조절값은 1dB~6dB의 범위 내에 있을 수 있다. 나아가서 상기 주파수대역을 분할하고 상기 조절값들을 상기 주파수대역중의 일부 주파수대역에 설정함으로써, 상기 골전도 보청기의 진동감소 효과를 더 좋게 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는, 0Hz~125Hz의 범위 내의 주파수대역에서, 상기 조절값은 5dB~7dB의 범위 내에 있을 수 있다. 125Hz~375Hz의 범위 내의 주파수대역에서, 상기 조절값은 3dB~5dB의 범위 내에 있을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는, 375Hz~625Hz의 범위 내의 주파수대역에서, 상기 조절값은 1dB~3dB의 범위 내에 있을 수 있다. 상기 조절값을 상기 주파수 범위 내의 값으로 설정하고, 상기 골전도 보청기를 설정함으로써, 30dBL의 청력레벨을 가지는 착용자가 상응한 주파수대역에서 상기 골전도 보청기를 착용할 때의 진동 문제는 음성 이해도에 거의 영향이 없도록 해결될 수 있으며, 상기 착용자의 보청효과를 확보한다.
일부 실시예들에서는, 0Hz~125Hz의 범위 내의 주파수대역에서, 상기 조절값은 10dB~12dB의 범위 내에 있을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는, 125Hz~375Hz의 범위 내의 주파수대역에서, 상기 조절값은 7dB~9dB의 범위 내에 있을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는, 375Hz~625Hz의 범위 내의 주파수대역에서, 상기 조절값은 4dB~6dB의 범위 내에 있을 수 있다. 상기 조절값을 상기 주파수 범위 내의 값으로 설정하고, 상기 골전도 보청기를 설정함으로써, 40dBL의 청력레벨을 가지는 착용자가 상응한 주파수대역에서 상기 골전도 보청기를 착용할 때의 진동 문제는 음성 이해도에 작은 영향이 있도록 해결될 수 있으며, 상기 착용자의 보청효과를 확보한다.
도 9 내지 도11은 3명의 착용자들(착용자1, 착용자 2, 및 착용자 3)에 테스트한 음성식별률의 실험결과들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 내지 도11의 전체는 기준출력 파라미터를 기준 아날로그 출력값으로 하는 것을 예로 하며, 상기 기준 아날로그 출력값이 감소되기 전의 착용자의 음성식별률, 진동감, 및 음량, 및 상기 기준 아날로그 출력값이 각 주파수대역에서 상이한 조절값들에 대응되는 경우의 상기 착용자의 음성식별률, 진동감, 및 음량을 나타낸다. 도 9 내지 도11에서, 6조의 테스트를 각 테스터에 대해 수행했다. 표에서, 음수는 상기 조절값이 상기 기준출력 파라미터(예를 들면, 상기 기준 아날로그 출력값)를 감소시킴을 표시한다. 예를 들면, -5는 상기 조절값이 5dB이며, 상기 기준 아날로그 출력을 5dB만큼 저감시킴을 표시한다. 다른 하나의 예로써, -15는 상기 조절값이 15dB이고, 상기 기준 아날로그 출력값을 15dB만큼 저감시킴을 표시한다.
도 9 내지 도1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기 기준 아날로그 출력값이 상기 조절값에 근거하여 감소되는 경우, 상기 음성식별률이 저하될 수 있고, 상기 진동감이 저하될 수 있으나, 음량이 저하될 수 있다. 표에서 알 수 있다 125Hz의 주파수에서, 상기 조절값이 5dB(또는 5dB보다 작다)이면, 예를 들면, 상기 기준 아날로그 출력값이 5dB 감소되고, 상기 음성식별률은 선명히 변하지 않으며; 250Hz의 주파수에서, 상기 조절값이 3dB(또는 3dB보다 작다)이면, 예를 들면, 상기 기준 아날로그 출력값이 3dB 감소되며, 상기 음성식별률은 선명히 변하지 않으며; 500Hz의 주파수에서, 상기 조절값이 1dB(또는 1dB보다 작다)이면, 예를 들면, 상기 기준 아날로그 출력값이 1dB 감소되며, 상기 음성식별률은 선명히 변하지 않는다. 동시에, 상기 조절값이 상기 값들에 근거하여 설정되면, 상기 테스터는 테스터가 말할 때 진동을 느낄 수 있으나, 음량은 좋다(예를 들면, 음량이 착용자가 기본상 명료하게 들을 수 있는 음량 범위 내에 있다).
125Hz의 주파수에서, 상기 조절값이 10dB(또는 5dB보다 크고 10dB보다 작은 범위)이면, 예를 들면, 상기 기준 아날로그 출력값은 10dB 감소되고, 음성식별률의 감소량은 5%는 이하일 수 있고; 250Hz의 주파수에서, 상기 조절값이 7dB(또는 3dB보다 크고 7dB보다 작다)이면, 예를 들면, 상기 기준 아날로그 출력값은 7dB 감소되고, 음성식별률의 감소량은 5% 이하일 수 있고; 500Hz의 주파수에서, 상기 조절값이 4dB(또는 1dB보다 크고 4dB 보다 작은 범위)이면, 예를 들면, 상기 기준 아날로그 출력값은 4dB 감소되고, 음성식별률의 감소량은 5% 이하일 수 있다. 동시에, 상기 조절값이 상기 값들에 근거하여 설정되면, 상기 테스터는 더 편안감을 느낄 수 있지만, 상기 소리가 상대적으로 낮다(예를 들면, 상기 착용자는 음량이 상대적으로 낮음을 느낄 수 있다).
125Hz의 주파수에서, 상기 조절값이 17dB(또는 10dB보다 크고 17dB보다 작음 범위)이면, 예를 들면, 상기 기준 아날로그 출력값은 17dB 감소되고, 음성식별률의 감소량은 5%(예를 들면, 10%)보다 클 수 있으며; 250Hz의 주파수에서, 상기 조절값이 15dB(또는 7dB보다 크고 15dB보다 작다)이면, 예를 들면, 상기 기준 아날로그 출력값은 15dB 감소되고, 음성식별률의 감소량은 5%(예를 들면, 10%)보다 클 수 있으며; 500Hz의 주파수에서, 상기 조절값이 10dB(또는 4dB보다 크고10dB보다 작다)이면, 예를 들면, 상기 기준 아날로그 출력값은 10dB 감소되고, 음성식별률의 감소량은 5%(예를 들면, 10%)보다 클 수 있다. 동시에, 상기 조절값이 상기 값들에 근거하여 설정되면, 상기 테스터는 음량이 상대적으로 낮음을 느낄 수 있다(예를 들면, 상기 착용자는 음량이 상대적으로 낮기 때문에 똑똑히 들을 수 없다).
일정한 범위(예를 들면, 상기 조절값은 17dB보다 작은 범위) 내에서, 상기 조절값이 클수록, 상기 골전도 보청기의 진동 감소효과가 더 좋다. 그러나, 도 9 내지 도 11에서 비교적 큰 조절값은 상기 골전도 보청기의 낮은 출력신호강도를 초래할 수 있고, 이는 상기 음성식별률에 큰 영향을 줄 수 있음을 알 수 있다(예를 들면, 음성식별률의 감소량). 상기 조절값이 상기 실시예의 범위 내에 있는 경우, 30dBL-40dBL의 청력레벨을 가지는 착용자가 상기 골전도 보청기를 착용할 때 상응한 주파수대역에서 진동하는 문제를 해결할 수 있고, 상기 음성 이해도에 대한 영향은 작을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는, 상기 각 주파수대역에서 상기 각 소리레벨에서의 상기 기준출력 파라미터의 조절값은 상기 주파수대역에만 관련될 수 있다. 동일한 주파수대역에서 상이한 청각 레벨들의 상기 기준출력 파라미터들의 상응한 조절값들은 같을 수 있으며(예를 들면, 상기 실시예들에서 상기 조절값들), 상이한 주파수대역에서 동일한 청력레벨의 상응한 조절값들은 다를 수 있으며; 상이한 소리레벨들에서 동일한 주파수대역의 상기 기준출력 파라미터들의 상응한 조절값들은 같을 수 있고, 동일한 소리레벨에서 상이한 주파수대역의 상기 기준출력 파라미터들의 상기 조절값들은 다를 수 있고; 상이한 소리레벨들 및 상이한 청각 레벨들에서 동일한 주파수대역의 상기 기준출력 파라미터들의 상응한 조절값들은 같을 수 있고, 동일한 소리레벨 및 동일한 청력레벨에서 상이한 주파수대역의 상기 조절값들은 다를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는, 상기 각 주파수대역에서 상기 각 소리레벨에서의 상기 기준출력 파라미터의 조절값은 상기 주파수대역 및 착용자의 청력레벨과 관련될 수 있다. 상이한 청력레벨들에서 동일한 주파수대역의 상기 기준출력 파라미터들의 상응한 조절값들은 다를 수 있다. 상이한 소리레벨들에서 동일한 주파수대역의 동일한 청력레벨하에서의 상기 기준출력 파라미터들의 상응한 조절값들은 같을 수 있다. 이 실시예에 관한 상세한 설명들은 도 5 및 그 관련 설명에서 찾을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는, 상기 각 주파수대역에서 상기 각 소리레벨에서의 상기 기준출력 파라미터의 조절값은 상기 주파수대역 및 상기 소리레벨과 관련될 수 있다. 동일한 주파수대역에서 상이한 소리레벨들의 상기 기준출력 파라미터들의 상응한 조절값들은 다를 수 있다. 그러나, 동일한 주파수대역에서 상이한 청각 레벨들 및 상기 동일한 소리레벨의 상기 기준출력 파라미터들의 상응한 조절값들은 같을 수 있다. 이 실시예에 관한 상세한 설명들은 도6 및 그 관련 설명에서 찾을 수 있다.
440에서, 상기 골전도 보청기를 상기 각 주파수대역에서 상기 각 소리레벨에서의 상기 기준출력 파라미터와 상기 조절값에 따라 배치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설정모듈(340)을 통해 440을 수행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는, 상기 처리장치(120)(설정모듈(340))은 상기 조절값에 근거하여 상기 각 주파수대역에서의 각 소리레벨에서 상기 기준출력 파라미터를 조절함으로써 실제 출력 파라미터를 얻을 수 있으며, 상기 실제 출력 파라미터를 통해 상기 골전도 보청기를 설정한다.
일부 실시예들에서는, 상기 처리장치(120)(설정모듈(340))는 상기 각 주파수대역에서의 각 소리레벨에서 상기 조절값에 근거하여 상기 기준출력 파라미터를 감소시킴으로써 상기 실제 출력 파라미터를 얻을 수 있고, 상기 감소된 기준출력 파라미터(예를 들면, 상기 실제 출력 파라미터)에 근거하여 상기 골전도 보청기를 설정한다. 상기 각 주파수대역에서의 각 소리레벨에서 상기 조절값에 근거하여 상기 기준출력 파라미터를 감소시키는 것은, 상기 기준출력 파라미터로부터 상기 조절값을 직접 덜어낼 수 있으며, 또는 상기 각 주파수대역에서의 각 소리레벨에서의 상기 조절값을 통해 상기 골전도 보청기의 파라미터들의 다른 관련 설정을 조절하여, 상기 기준출력 파라미터를 감소시키는 목적을 달성한다.
일부 실시예들에서는, 상기 처리장치(120)(설정모듈(340))는 상기 각 주파수대역에서 상기 각 소리레벨에서의 상기 조절값 및 상기 기준 출력값에 근거하여 자기회로부재를 배치함으로써, 상기 골전도 보청기를 설정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는, 상기 골전도 보청기를 설정하는 것은 상기 골전도 보청기의 다양한 파라미터들을 설정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으며, 신호출력강도에 관련되는 상기 골전도 보청기의 파라미터들(예를 들면, 상기 게인값, 및 상기 아날로그 출력값)가 사전설정된 값들, 예를 들면, 상기 조절값에 근거하여 조절되는 기준 파라미터로 되게 한다. 예를 들면, 상기 자기회로부재 중의 전자석의 전류, 상기 소리픽업부재의 증폭기회로의 저항 등을 조절함으로써, 상기 골전도 보청기의 상기 소리신호에 대한 상기 골전도 보청기의 상기 기준 게인값 및 상기 기준 아날로그 출력값이 조절될 수 있어 상기 골전도 보청기의 설정를 달성한다.
일부 실시예들에서는, 상기 각 주파수대역에서 상기 각 소리레벨에서의 상기 기준출력 파라미터와 상기 조절값에 따라, 균등화조절시스템(EQ 시스템) 또는 자동게인제어시스템(AGC 시스템), 등을 이용하여, 상기 골전도 보청기를 설정할 수 있다.
기타 실시예들에서, 상기 각 주파수대역에서 상기 각 소리레벨에서의 상기 기준출력 파라미터와 상기 조절값에 따라, 다중채널 대폭동적범위 압축시스템(WDRC 시스템)을 이용하여, 상기 골전도 보청기를 설정할 수 있다. 상기 다중채널 대폭동적범위 압축시스템은 먼저 필터뱅크를 이용하여 상기 주파수대역에 근거하여 상기 소리신호를 복수의 채널들로 분해하고, 각 채널의 신호를 단독적으로 압축하고, 따라서 상기 주파수대역에 대응되는 상기 청각손실에 근거하여 적당한 압축률 및 압축 역치를 설계할 수 있고, 그 후 각 채널의 처리신호들은 하나의 신호로 합성할 수 있다. 상기 다중채널 대폭동적범위 압축시스템은 더 융통성 있게 청각보상을 진행할 수 있다. 다중채널 대폭동적범위 압축시스템에서, 상기 각 주파수대역에서 상기 각 소리레벨에서의 각 기준출력 파라미터 및 조절값을 조절함으로써, 각 채널의 신호의 상기 압축률과 상기 압축 역치가 조절될 수 있으며, 따라서 각 채널의 상기 기준출력 파라미터를 조절할 수 있다.
도 5는 상기 각 주파수대역에서 상기 각 소리레벨에서의 상기 기준출력 파라미터의 조절값을 획득하기 위한 예시적인 처리를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5에서의 처리를 이용하여 확정하는 상기 조절값은 착용자의 청력레벨과 관련될 수 있다. 도5에 표시하는 바와 같이, 상기 처리 500 은 아래의 동작들을 포함할 수 있다.
510에서, 각 주파수대역에서의 각 소리레벨에 대응되는 제1 역치를 확정할 수 있으며, 상기 제1 역치는 상기 각 주파수대역에서 상기 각 소리레벨에서의 상기 착용자가 감지하는 진동도와 관련될 수 있다.
상기 착용자가 감지하는 상기 진동도는 상기 골전도 보청기를 착용할 때 상기 착용자가 감지하는 진동도를 표시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는, 상기 착용자가 감지하는 상기 진동도는 상기 착용자가 감지하는 상기 진동도를 표시하는 복수의 레벨들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레벨이 더 높을수록, 상기 착용자가 감지하는 상기 진동도가 더 크다. 일부 실시예들에서는, 상기 레벨들은 제1레벨, 제2레벨, 제3레벨, 제4레벨, 및 제5레벨을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착용자가 감지하는 상응한 진동도들은 "진동이 없음", "매우 경한 진동", "경한 진동", "선명한 진동이지만, 받아들일 수 있다", 및 "심한 진동이며, 받아들일 수 없다"를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는, 상이한 레벨들을 점수들로 표시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제1레벨은 1 점이고, 상기 제2레벨은 2점일 수 있고, 상기 제3레벨은 3점일 수 있고, 상기 제4레벨은 4 점일 수 있고, 상기 제5레벨은 5점일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는, 상기 제1 역치는 상기 착용자가 감지하는 상기 진동도가 일정한 레벨보다 낮은 경우, 상응한 골전도 보청기의 출력신호 강도일 수 있으며, 예를 들면, 상기 골전도 보청기의 출력신호 강도가 상기 제1 역치인 경우, 상기 착용자는 상기 레벨의 진동을 감지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제1 역치는 상기 착용자가 감지하는 상기 진동도가 상기 제3레벨에 있는 경우의 상기 골전도 보청기의 출력신호 강도(예를 들면, 상기 기준출력 파라미터)일 수 있으며, 예를 들면, 상기 골전도 보청기의 출력신호 강도가 상기 제1 역치에 도달할 때, 상기 착용자는 상기 제3레벨에 대응되는 경한 진동을 느낄 수 있다. 다른 하나의 예로써, 상기 제1 역치는 상기 착용자가 감지하는 상기 진동도가 상기 제4레벨인 경우의 상기 골전도 보청기의 출력신호 강도일 수 있으며, 예를 들면, 상기 골전도 보청기 장치의 출력신호 강도가 상기 제1 역치에 도달할 때, 상기 착용자는 선명하지만 받아들일 수 있는 상기 제4레벨에 대응되는 진동을 느낄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는, 상기 골전도 보청기의 출력신호 강도가 상기 제1 역치보다 큰 경우, 상기 착용자는 상기 제1 역치에 대응되는 레벨의 진동(예를 들면, 상기 제3레벨에 대응되는 경한 진동)보다 강한 진동을 느끼며, 나쁜 착용체험을 가질 수 있다. 그러면 상기 기준출력 파라미터를 조절하여(감소), 상기 골전도 보청기의 출력신호 강도를 상기 제1 역치보다 작게 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는, 상기 골전도 보청기의 상기 착용자의 각 주파수대역에서의 각 소리레벨에 대응되는 초보적 기준출력 파라미터를 얻을 수 있다. 상기 기준출력 파라미터를 획득하는 데에 관한 상세한 설명들은 도4에서의 420에서 찾을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는, 상기 제1 역치는 상이한 착용자들에 있어서 다를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골전도 보청기의 착용자를 테스트함으로써, 상기 초보 기준출력 파라미터하에서 상기 골전도 보청기의 착용자의 상기 각 주파수대역에서 상기 각 소리레벨에서의 출력신호 강도와 상응한 상기 착용자가 감지하는 진동도를 확정할 수 있으며, 상기 초보 기준출력 파라미터를 조절하여 상기 기준출력 파라미터를 획득함으로써 출력신호 강도와 상기 착용자가 감지하는 상기 진동도가 조절될 수 있으며, 따라서 상기 착용자가 감지하는 상기 진동도는 일정한 레벨(예를 들면, 상기 제3레벨, 경한 진동)에 도달할 수 있고, 따라서 상기 각 주파수대역에서의 각 소리레벨에 대응되는 제1 역치가 확정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는, 상기 조절된 초보 기준출력 파라미터(예를 들면, 상기 기준출력 파라미터, 예를 들면, 상기 기준 아날로그 출력값)은 상기 조절된 신호출력 강도와 같을 수 있다. 상기 착용자가 감지하는 상기 진동도가 일정한 레벨(예를 들면, 상기 제3레벨, 경한 진동)에 도달할 때 상기 제1 역치는 상기 조절된 출력신호 강도 또는 상기 기준 아날로그 출력값과 같을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는, 상기 제1 역치는 상이한 착용자들에 있어서 같을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제1 역치는 구체적으로 아래의 처리들을 통해 확정될 수 있다: 복수의 테스터들을 테스트함으로써 테스터가 주관적으로 각 주파수대역에서 각 소리레벨에서의 제2레벨의 경한 진동을 감지하는 경우의 각 테스터의 신호출력 강도는 확정될 수 있고, 상기 신호출력 강도를 테스트 데이터로써 이용될 수 있으며; 상기 테스트 데이터를 통합하고 선택하여 상기 제1 역치를 얻을 수 있다. 상기 제1 역치는 상이한 착용자들에 적용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는, 상기 테스트 데이터의 통합과 선택은 아래와 같이 진행될 수 있다: 모 주파수대역에 있어서, 각 테스터가 주관적으로 상기 주파수대역에서의 각 소리레벨에서의 경한 진동을 감지하는 경우의 상기 출력 파라미터의 최소 값만 고려할 수 있으며, 각 테스터가 주관적으로 상기 주파수대역에서 각 소리레벨에서의 경한 진동을 감지할 때의 상기 출력 파라미터의 최소 값으로부터 선택한 최소 값을 상기 제1 역치 값으로 한다.
일부 실시예들에서는, 상기 골전도 보청기의 심한 진동은 저주파수대역(예를 들면, 0Hz~625Hz의 범위 내의 상기 주파수대역)에서 더 선명할 수 있으며, 상기 기준출력 파라미터의 조절값은 저주파수대역으로 설정되어, 상기 기준출력 파라미터를 감소시키고 상기 사용자가 감지하는 진동강도를 감소시킬 수 있다. 상응하게, 상기 제1 역치를 저주파수대역(예를 들면, 0Hz~625Hz의 범위 내의 상기 주파수대역)에 설정함으로써 상기 제1 역치에 근거하여 상기 기준출력 파라미터의 조절값을 확정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는, 상기 제1 역치는 0Hz~625Hz의 범위 내의 주파수대역으로 설정될 수 있고, 상기 조절값은 상기 주파수대역에서 확정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는, 상이한 주파수대역에 대응되는 상기 제1 역치들은 다를 수 있다. 예를 들면, 0Hz~125Hz의 범위 내의 주파수대역에서, 상기 제1 역치는 48dB~52dB의 범위 내에 있을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는, 125Hz~375Hz의 범위 내의 주파수대역에서, 상기 제1 역치는 49dB~54dB의 범위 내에 있을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는, 375Hz~625Hz의 범위 내의 주파수대역에서, 상기 제1 역치는 50dB~55dB의 범위 내에 있을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는, 동일한 소리레벨에서 상기 주파수대역이 높을수록, 상기 제1 역치가 더 크다.
일부 실시예들에서는, 동일한 주파수대역에서 상이한 소리레벨들에 대응되는 상기 제1 역치들은 같을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주파수대역에서 상기 제1 역치의 범위 내의 최소 값(예를 들면, 48dB)을 상기 주파수대역의 상기 제1 역치로 선택할 수 있으며, 따라서 상기 골전도 보청기는 상기 수신한 소리신호들이 동일한 주파수대역에서 상이한 소리레벨들에 있을 때 심한 진동을 생성하지 않을 수 있다. 예를 들면, 0Hz~125Hz의 범위 내의 주파수대역에서, 상기 제1 역치는 48dB일 수 있다. 125Hz~375Hz의 범위 내의 주파수대역에서, 상기 제1 역치는 49dB일 수 있다. 375Hz~625Hz의 범위 내의 주파수대역에서, 상기 제1 역치는 50dB일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는, 동일한 주파수대역에서 상이한 소리레벨들에 대응되는 상기 제1 역치들은 다를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는, 동일한 주파수대역에서 상기 소리레벨이 높을수록, 상기 제1 역치가 클 수 있다. 예를 들면, 0Hz~125Hz의 범위 내의 주파수대역에서, 상기 소리레벨이 20dBC~40dBC이면, 상기 제1 역치는 48dB일 수 있고; 0Hz~125Hz의 범위 내의 주파수대역에서, 상기 소리레벨이 40dBC~50dBC이면, 상기 제1 역치는 49dB일 수 있고; 0Hz~125Hz의 범위 내의 주파수대역에서, 상기 소리레벨이 50dBC~60dBC이면, 상기 제1 역치는 50dB일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는, 동일한 주파수대역에서 상이한 청각 레벨들 및 상이한 소리레벨들에 대응되는 상기 제1 역치들은 같을 수 있다. 예를 들면, 각 주파수대역에서 상응한 제1 역치의 범위 내의 최소 값(예를 들면, 48dB)은 상기 제1 역치로 선택될 수 있으며, 따라서 상기 골전도 보청기가 수신하는 상기 소리신호가 동일한 주파수대역에 있는 경우, 상기 소리신호가 모 소리레벨에 있는지 및 상기 착용자가 어느 청력레벨을 가지고 있는지와 관계 없이, 상대적으로 심한 진동이 발생하지 않을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는, 동일한 주파수대역에서 상이한 청각 레벨들 및 상이한 소리레벨들에 대응되는 상기 제1 역치들은 다를 수 있다. 예를 들면, 125Hz~375Hz의 범위 내의 주파수대역에서 40dBHL의 청력레벨 및 60dBC의 소리레벨에서, 상기 제1 역치는 49dB일 수 있다. 125Hz~375Hz의 범위 내의 주파수대역에서 10dBHL의 청력레벨 및 75dBC의 소리레벨에서, 상기 제1 역치는 50dB일 수 있다. 다른 하나의 예로써, 375Hz~625Hz의 범위 내의 주파수대역에서 30dBHL의 청력레벨 및 70dBC의 소리레벨에서, 상기 제1 역치는 55dB일 수 있다. 예를 들면, 375Hz~625Hz의 범위 내의 주파수대역에서 20dBHL의 청력레벨 및 75dBC의 소리레벨에서, 상기 제1 역치는 56dB일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는, 상이한 주파수대역에서 상이한 소리레벨들 및 상이한 청각 레벨들에 대응되는 상기 제1 역치들은 같을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주파수대역에 대응되는 상기 제1 역치들의 범위 내의 최소 값(예를 들면, 48dB)을 상기 주파수대역에서 상이한 소리레벨들에 대응되는 상기 제1 역치들로 선택할 수 있으며, 따라서 상기 골전도 보청기는 상기 수신한 소리신호들이 상이한 주파수대역에서 상이한 소리레벨들에 있을 때 심한 진동을 생성하지 않을 수 있다. 예를 들면, 0Hz~625Hz의 범위 내의 주파수대역에서, 상기 제1 역치는 48dB일 수 있다.
520에서, 상기 각 주파수대역에서의 각 소리레벨에 대응되는 제2 역치를 확정할 수 있으며, 상기 제2 역치는 각 주파수대역에서 상기 착용자의 음성식별률과 관련될 수 있다.
상기 음성식별률(예를 들면, 음성 이해도)은 이해하거나 또는 명확히 이해하는 단어 대 들리는 단어들의 비율일 수 있다. 상기 음성식별률은 청각 민감도 및 상기 보청기를 착용하는 상기 착용자가 듣는 언어의 명확도를 표시할 수 있으며, 일정한 정도로 상기 착용자의 보청효과를 반영한다. 음성식별률이 높을수록, 상기 보청기를 착용한 후 상기 착용자의 청각 민감도가 더 높으며, 청각 명확도가 더 높고, 보청효과가 더 좋다. 일부 실시예들에서는, 음성식별률이70% 이상이면, 보청효과가 좋다고 고려할 수 있으며; 음성식별률이 50% 이하이면, 보청효과가 이상적이지 않을 수 있다고 고려할 수 있으며, 상기 골전도 보청기를 재조절하거나 또는 설정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는, 상기 기준출력 파라미터의 조절(예를 들면, 감소)은 상기 골전도 보청기의 출력신호 강도에 영향을 줄 수 있으며, 결국 상기 골전도 보청기의 음성식별률에 영향을 줄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9~11에서의 실험결과들로부터 일정한 범위(예를 들면, 상기 조절값이17dB보다 작은 범위) 내에서, 상기 조절값이 높을수록, 음성식별률이 더 낮을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상기 제2 역치는 상기 기준출력 파라미터에 의해 조절되는 음성식별률이 일정한 범위 내에 있을 수 있(예를 들면, 일정한 역치보다 높다)도록 확보하는 데 이용될 수 있다. 이는 상기 제2 역치는 일정한 범위에서 상기 기준출력 파라미터에 의해 조절되는 음성식별률의 감소를 제어하는 데 이용될 수 있음을 의미한다. 예를 들면, 상기 조절값이 상기 제2 역치를 초과하지 않는 경우, 상기 보청기를 착용하는 상기 착용자의 음성식별률의 감소량은 상기 기준출력 파라미터로 조절하지 않은 음성식별률에 비교하여 작을 수 있으며, 예를 들면, 음성식별률의 감소량은 5% 이하일 수 있다. 음성식별률의 감소량은 상기 기준출력 파라미터로 조절하지 않은 음성식별률로부터 상기 기준출력 파라미터로 조절한 음성식별률을 덜어낸 결과일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는, 상기 제2 역치는 상기 착용자가 상기 골전도 보청기를 착용할 때 상기 사전설정된 음성식별률하에서 상기 골전도 보청기의 기준출력 파라미터에 대응되는 상기 조절값 중의 최대값일 수 있으며, 예를 들면, 상기 골전도 보청기의 기준출력 파라미터에 대응되는 상기 조절값이 상기 제2 역치에 대응되는 경우, 상기 착용자가 상기 골전도 보청기를 착용할 때 상기 음성식별률은 사전설정된 역치일 수 있다. 상기 조절값이 상기 제2 역치보다 큰 경우, 상기 착용자가 상기 골전도 보청기를 착용할 때 상기 음성식별률은 사전설정된 음성식별률보다 낮을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10에 표시하는 바와 같이, 상기 제2 역치는 상기 착용자가 상기 골전도 보청기를 착용할 때 상기 기준출력 파라미터에 대응되는 상기 조절값 일 수 있고, 음성식별률은 80%이다. 125Hz에서, 예를 들면, 상기 제2 역치는 5dB일 수 있다. 이는 을 의미한다, 125Hz에서 상기 골전도 보청기의 기준출력 파라미터에 대응되는 상기 조절값이 상기 제2 역치인 경우, 상기 착용자가 상기 골전도 보청기를 착용할 때 상기 음성식별률은 80%일 수 있다. 다른 하나의 예로써, 도 11에 표시하는 바와 같이, 상기 제2 역치는 상기 착용자가 상기 골전도 보청기를 착용할 때 상기 기준출력 파라미터에 대응되는상기 조절값이고, 상기 음성식별률은 250Hz에서60%일 수 있으며, 예를 들면, 상기 제2 역치는 12dB일 수 있다. 이는 50Hz에서 상기 골전도 보청기의 기준출력 파라미터에 대응되는 상기 조절값이 상기 제2 역치인 경우, 상기 착용자가 상기 골전도 보청기를 착용할 때 상기 음성식별률은 60%일 수 있음을 의미한다.
일부 실시예들에서는, 상기 제2 역치는 사전설정된 음성식별률 역치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9 내지 도11에서 상기 제2 역치는 상기 착용자에 대해 음성식별률 테스트를 수행한 실험결과들에 근거하여 확정될 수 있다. 단지 예로써, 도 10을 참조하면, 상기 기준출력 파라미터에 의해 조절되지 않은 음성식별률에 근거하여 상기 골전도 보청기를 설정하는 경우, 상기 착용자의 상기 음성식별률은 80%일 수 있으며, 상기 기준출력 파라미터가 감소된 후 상기 음성식별률이 75%(예를 들면, 음성식별률의 감소량은5%이하일 수 있다) 이상으로 설정되면, 상기 제2 역치는 10dB일 수 있고; 상기 음성식별률이 80% 이상으로 설정되면(예를 들면, 상기 음성식별률이 거의 감소되지 않음), 상기 제2 역치는 5dB일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는, 상기 골전도 보청기의 심한 진동은 저주파수대역(예를 들면, 0Hz~625Hz의 범위 내의 주파수대역)에서 더 선명할 수 있으며, 상기 기준출력 파라미터의 조절값은 저주파수대역으로 설정되어 상기 기준출력 파라미터를 감소시키고, 상기 착용자가 감지하는 진동강도를 감소시킨다. 상응하게, 상기 제2 역치를 저주파수대역(예를 들면, 0Hz~625Hz의 범위 내의 주파수대역)에 설정하여, 상기 제1 역치에 근거하여 상기 기준출력 파라미터의 조절값을 확정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는, 상이한 주파수대역에 대응되는 제2 역치들은 다를 수 있다. 예를 들면, 0Hz~125Hz의 범위 내의 주파수대역에서, 상기 제2 역치는 5dB~10dB의 범위 내에 있을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는, 125Hz~375Hz의 범위 내의 주파수대역에서, 상기 제2 역치는 3dB~7dB의 범위 내에 있을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는, 375Hz~625Hz의 범위 내의 주파수대역에서, 상기 제2 역치는 1dB~4dB의 범위 내에 있을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는, 동일한 소리레벨에서 상기 주파수대역이 높을수록, 상기 제2 역치가 더 작다.
일부 실시예들에서는, 동일한 주파수대역에서 상이한 청각 레벨들에 대응되는 상기 제2 역치들은 같을 수 있다. 예를 들면, 착용자의 청력레벨이 30dBHL 또는 40dBHL인지를 물론하고, 상기 제2 역치는 상기 범위에 따라 설정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는, 동일한 주파수대역에서 상이한 청각 레벨들에 대응되는 상기 제2 역치들은 다를 수 있다. 예를 들면, 0Hz~125Hz의 범위 내의 주파수대역에서, 상기 청력레벨이 30dBHL이면, 상기 제2 역치는 5dB일 수 있다. 0Hz~125Hz의 범위 내의 주파수대역에서, 상기 청력레벨이 40dBHL이면, 상기 제2 역치는 15dB일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는, 동일한 주파수대역에서 상이한 소리레벨들에 대응되는 상기 제2 역치들은 같을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는, 상기 범위 내의 최소 값을 상기 제2 역치로 선택할 수 있으며, 따라서 상기 골전도 보청기는 상기 수신한 소리신호들이 상이한 소리레벨들에 있을 때 상기 음성식별률에 너무 큰 영향을 주지 않을 수 있다. 예를 들면, 125Hz~375Hz의 범위 내의 주파수대역에서, 상기 제2 역치는 3dB일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는, 0Hz~125Hz의 범위 내의 주파수대역에서, 상기 제2 역치는 5dB일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는, 375Hz~625Hz의 범위 내의 주파수대역에서, 상기 제2 역치는 1dB일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는, 동일한 주파수대역에서 상이한 소리레벨들에 대응되는 상기 제2 역치들은 다를 수 있다. 예를 들면, 0Hz~125Hz의 범위 내의 주파수대역에서,상기 소리레벨이 60dBC이면, 상기 제2 역치는 5dB일 수 있고; 0Hz~125Hz의 범위 내의 주파수대역에서, 상기 소리레벨이 60dBC이면, 상기 제2 역치는 10dB일 수 있다.
530에서, 상기 조절값은 상기 기준출력 파라미터, 상기 제1 역치, 및 상기 제2 역치에 근거하여 확정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는, 상기 기준출력 파라미터가 상기 제1 역치보다 큰 경우, 초기 조절값을 먼저 설정할 수 있다. 상기 초기 조절값은 경험 또는 사전설정된 공식에 근거하여 확정될 수 있다. 그 후, 상기 초기 조절값을 상기 제2 역치와 비교할 수 있다. 상기 초기 조절값이 상기 제2 역치보다 크면, 상기 초기 조절값이 감소될 수 있고, 상기 초기 조절값이 상기 제2 역치 이하로 되게 할 수 있다. 상기 초기 조절값이 상기 제2 역치 이하이면, 상기 초기 조절값을 상기 조절값으로 확정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는, 비교값은 특정된 주파수대역에서 특정된 소리레벨에 대응되는 상기 기준출력 파라미터로부터 특정된 주파수대역에서 특정된 소리레벨에 대응되는 상기 제1 역치를 덜어내어 얻을 수 있다. 그 후, 비교값을 상기 특정된 주파수대역에서 특정된 소리레벨에 대응되는 상기 제2 역치와 비교하여 제1 비교결과를 얻을 수 있고, 상기 특정된 주파수대역에서 특정된 소리레벨의 상기 기준출력 파라미터에 대응되는 상기 조절값은 상기 제1 비교결과에 근거하여 확정될 수 있다.
상기 제1 역치와 상기 제2 역치의 확정처리는 상기 관련 설명에서 찾을 수 있다. 상기 비교값은 양, 음, 또는 0일 수 있다. 상기 비교값과 상기 제2 역치의 비교는 수치비교로서, 상기 비교값과 상기 제2 역치 사이의 크기 관계를 확정할 수 있다. 상기 제1 비교결과는 상기 제2 역치보다 작은 비교값, 상기 제2 역치와 같은 비교값, 또는 상기 제2 역치보다 큰 비교값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비교결과에 근거하여 상기 기준출력 파라미터에 대응되는 상기 조절값을 확정하는 것은 상기 비교값과 상기 제2 역치 사이의 크기 관계에 근거하여 상기 조절값을 확정하는 것일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는, 상기 제1 비교결과에 근거하여 상기 기준출력 파라미터에 대응되는 상기 조절값을 확정하는 것은, 상기 비교값이 0 이하인 경우, 상기 조절값이 0이고; 상기 비교값이 0보다 크고 상기 제2 역치 이하인 경우, 상기 조절값이 상기 비교값이고; 상기 비교값이 상기 제2 역치보다 큰 경우, 상기 조절값이 상기 제2 역치인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기준출력 파라미터가 상기 제1 역치 이하인 경우, 상기 기준출력 파라미터에 근거하여 상기 골전도 보청기를 설정한 후, 상기 착용자는 상기 골전도 보청기를 착용한 후 상기 진동을 감지할 가능성이 적을 수 있으며, 상기 기준출력 파라미터는 조절되지 않을 수 있다. 상기 기준출력 파라미터가 상기 제1 역치보다 큰 경우, 상기 기준출력 파라미터에 근거하여 상기 골전도 보청기를 설정한 후, 상기 착용자는 상기 골전도 보청기를 착용한 후 강한 진동을 감지할 가능성이 더 클 수 있으며, 상기 기준출력 파라미터는 조절될 필요가 있을 수 있다. 또한, 상기 조절값을 확정할 때, 상기 기준출력 파라미터에 의한 상기 골전도 보청기의 리스크만을 고려할 뿐만 아니라, 상기 골전도 보청기의 음성식별률에 대한 상기 조절된 기준출력 파라미터의 영향도 고려할 수 있다. 상기 제2 역치가 상기 음성식별률에 관련되는 역치이기 때문에, 상기 비교값을 상기 제2 역치와 비교함으로써, 상기 조절값은 될수록 상기 제2 역치 이하일 수 있으며, 상기 기준출력 파라미터의 조절의 음성에 대한 영향을 최소화할 수 있다.
도 6은 상기 기준출력 파라미터의 조절값을 획득하는 예시적인 처리를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일부 실시예들에서는, 다중채널 대폭동적범위 압축시스템을 이용하여 상기 골전도 보청기를 설정하는 경우, 상기 기준출력 파라미터에 대응되는 상기 조절값은 도6에서의 처리 600을 이용하여 확정될 수 있다. 도 6에 표시하는 바와 같이, 상기 기준출력 파라미터에 대응되는 상기 조절값을 확정하기 위한 상기 처리 600은 아래의 동작들을 포함할 수 있다.
610에서, 제2 비교결과는 상기 기준출력 파라미터를 상기 제1 역치와 비교함으로써 확정될 수 있다. 상기 제1 역치는 각 주파수대역에서의 각 소리레벨에서 상기 착용자가 감지하는 진동도와 관련될 수 있다.
상기 제1 역치 및 상기 제1 역치를 확정하기 위한 상기 처리에 관한 관련 설명들은 510에서 상기 제1 역치에 관한 관련 설명에서 찾을 수 있다. 상기 기준출력 파라미터와 상기 제1 역치의 비교는 상기 기준출력 파라미터와 상기 제1 역치
620에서, 상기 기준출력 파라미터에 대응되는 상기 조절값은 제2 비교결과에 근거하여 확정될 수 있다.
상기 출력 파라미터에 대응되는 상기 조절값에 관한 관련 설명은 430에서의 관련 설명에서 찾을 수 있다. 상기 제2 비교결과는 상기 기준출력 파라미터가 상기 제1 역치보다 큰 비교결과, 상기 기준출력 파라미터와 상기 제1 역치가 같은 비교결과, 상기 기준출력 파라미터가 상기 제1 역치보다 작은 비교결과들을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는, 상기 조절값이 0인지 여부는 상기 기준출력 파라미터가 상기 제1 역치보다 큰지 여부에 근거하여 확정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기준출력 파라미터가 상기 제1 역치보다 작은 경우, 상기 조절값은 0으로 지정될 수 있고; 상기 기준출력 파라미터가 상기 제1 역치보다 큰 경우, 상기 조절값은 0보다 크게 지정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는, 상기 골전도 보청기 장치가 다중채널 대폭동적범위 압축시스템을 이용하여 배치되는 경우, 상기 조절값은 상기 각 소리레벨 중의 적어도 하나의 소리레벨이 소리레벨 역치보다 큰 경우의 상기 다중채널 대폭동적범위 압축시스템의 게인감소값을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는, 상기 소리레벨 역치는 70dB일 수 있다. 상기 착용자가 상기 골전도 보청기를 사용할 때, 일상 대화 중의 소리신호의 소리레벨은 일반적으로 약 60dB일 수 있다. 70dBC 이상인 상기 소리신호의 소리레벨은 상기 착용자가 말하거나 또는 주변의 소리가 상대적으로 큰 경우에 발생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골전도 보청기는 상대적으로 강한 진동을 생성할 수 있으며, 상기 조절값을 설정하여 상기 소리레벨의 범위 내의 상기 기준출력 파라미터를 조절(예를 들면, 감소)할 수 있으며, 따라서 상기 골전도 보청기의 진동을 개선하고, 상기 착용자의 상기 음성식별률이 일상 대화에서 영향을 받지 않게 한다.
상기 각 소리레벨의 적어도 하나의 소리레벨이 상기 소리레벨 역치보다 큰 경우의 게인은 고레벨 게인라고도 할 수 있다. 상기 조절값은 상기 다중채널 대폭동적범위 압축시스템의 고레벨 게인의 감소값을 포함할 수 있다.상기 다중채널 대폭동적범위 압축시스템의 고레벨 게인은 상기 소리신호의 소리레벨이 상기 소리레벨 역치(예를 들면, 70dB) 보다 큰 경우의 게인일 수 있다. 상기 각 소리레벨의 적어도 하나의 소리레벨이 상기 소리레벨 역치보다 큰 경우의 상기 다중채널 대폭동적범위 압축시스템의 게인은 상기 착용자의 청각손실 데이터에 근거하여 확정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경험 공식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경험 공식은 상기 착용자의 청력레벨에 근거하여 상기 다중채널 대폭동적범위 압축시스템의 고레벨 게인을 확정할 수 있다. 상기 조절값은 상기 경험 공식으로부터 유도해낸 상기 고레벨 게인을 감소시킨 특정된 수치값일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는, 상기 게인감소값이 0인지 여부(예를 들면, 상기 각 소리레벨 중의 적어도 하나의 소리레벨이 상기 소리레벨 역치보다 큰 경우의 게인을 감소시키는지 여부)는 상기 기준출력 파라미터가 상기 제1 역치보다 큰지 여부에 근거하여 확정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기준출력 파라미터가 상기 제1 역치보다 작은 경우, 상기 게인감소값은 0으로 지정될 수 있으며; 상기 기준출력 파라미터가 상기 제1 역치보다 큰 경우에는 상기 게인감소값은 0보다 크게 지정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는, 상기 각 소리레벨 중의 적어도 하나의 소리레벨이 상기 소리레벨 역치보다 큰 경우의 상기 게인감소값을 확정한 후, 상기 소리레벨 역치보다 큰 경우의 상기 게인값은 상기 게인감소값을 이용하여 감소시킬 수 있고, 상기 감소된 게인값은 상기 다중채널 대폭동적범위 압축시스템의 입력 파라미터로써 이용될 수 있다. 상기 각 소리레벨 중의 적어도 하나의 소리레벨이 상기 소리레벨 역치보다 큰 경우, 상기 골전도 보청기는 진동하기 쉬울 수 있다. 상기 소리레벨이 상기 설정 주파수대역에서의 상기 소리레벨 역치보다 높은 경우, 상기 설정방법에 근거하여 상기 게인감소값을 판정할 수 있으며, 상기 게인감소값을 조절값으로 사용하여, 상기 기준출력 파라미터가 상기 소리신호의 소리레벨이 상기 소리레벨 역치보다 작은 경우 및 상기 소리레벨이 상기 소리레벨 역치보다 작은 경우의 영향을 받지 않을 수 있도록 확보하고, 상기 기준출력 파라미터가 감소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골전도 보청기의 음성식별률을 확보하는 동시에, 어떤 경우 상기 골전도 보청기의 심한 진동을 개선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는, 상기 조절값이 상기 각 소리레벨 중의 적어도 하나의 소리레벨이 상기 소리레벨 역치보다 큰 경우의 상기 다중채널 대폭동적범위 압축시스템의 게인감소값을 포함하는 경우, 620은 구체적으로 상기 기준출력 파라미터가 상기 제1 역치 이하인 경우 상기 게인감소값을 0dB로 지정하는 동작, 및 상기 기준출력 파라미터가 상기 제1 역치보다 큰 경우 상기 게인감소값을 상기 제1 역치와 상기 기준출력 파라미터 사이?M 차이로 지정하는 동작을 포함한다.
이 실시예에서, 상기 기준출력 파라미터가 상기 제1 역치 이하이면, 상기 착용자는 상기 골전도 보청기를 착용할 때 심한 진동을 감지할 가능성이 작을 수 있으며, 상기 고레벨 게인은 조절(감소)되지 않을 수 있으며, 그러므로 상기 고레벨 게인감소값을 0로 설치할 수 있다. 상기 기준출력 파라미터가 상기 제1 역치보다 크면, 상기 착용자는 상기 골전도 보청기르 착용할 때 심한 진동을 감지할 가능성이 더 높을 수 있으며, 상기 고레벨 게인이 조절(감소)될 수 있으며, 그러므로 상기 기준출력 파라미터가 감소될 수 있으며, 상기 기준출력 파라미터를 상기 제1 역치보다 작게 한다.
일부 실시예들에서는, 상기 골전도 보청기가 상기 다중채널 대폭동적범위 압축시스템을 이용하여 배치되는 경우, 상기 조절값은 상기 각 소리레벨 중의 적어도 하나의 소리레벨이 상기 소리레벨 역치보다 큰 경우의 상기 다중채널 대폭동적범위 압축시스템의 출력한계의 감소값을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는, 상기 소리레벨 역치는 70dB일 수 있다. 이 실시예에서, 상기 소리신호의 소리레벨이 70dBC 이상인 상황은 상기 착용자가 말할 때거나 또는 주변의 소리가 상대적으로 큰 경우에 발생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골전도 보청기는 상대적으로 강한 진동을 생성할 수 있으며, 따라서 상기 조절값을 설정하여 상기 기준출력 파라미터(상기 다중채널 대폭동적범위 압축시스템의 출력한계)을 상기 소리레벨의 범위 내로 조절함으로써, 상기 골전도 보청기의 진동을 개선할 수 있고, 상기 착용자의 음성식별률이 일상 대화과정에서 거의 영향을 받지 않게 한다.
상기 출력한계는 각 주파수대역에서의 상기 기준출력 파라미터의 한정값으로 이해할 수 있다. 상기 기준출력 파라미터가 상기 출력한계보다 큰 경우, 상기 골전도 보청기의 기준출력 파라미터는 상기 출력한계와 같을 수 있다. 상기 다중채널 대폭동적범위 압축시스템의 출력한계는 상기 착용자의 청각손실 데이터에 근거하여 경험 공식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경험 공식은 상기 착용자의 청력레벨에 근거하여 상기 다중채널 대폭동적범위 압축시스템의 출력한계를 확정할 수 있다. 상기 조절값은 상기 경험 공식으로부터 유도해낸 상기 출력한계를 감소시킨 특정된 수치값일 수 있다. 상기 경험 공식은 상기 사용자에 의해 설정되거나 또는 상기 골전도 보청기를 설정하기 위한 상기 시스템에서의 기본 설정일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는, 상기 조절값이 상기 각 소리레벨 중의 적어도 하나의 소리레벨이 상기 소리레벨 역치보다 큰 경우의 상기 다중채널 대폭동적범위 압축시스템의 상기 출력한계의 감소값을 포함하는 경우, 동작 620은 상기 기준출력 파라미터가 상기 제1 역치 이하인 경우, 상기 출력한계의 감소값을 0dB로 지정하는 동작, 및 상기 기준출력 파라미터가 상기 제1 역치보다 큰 경우, 상기 출력한계의 감소값을 0dB보다 큰 값으로 지정하는 동작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는 상기 기준출력 파라미터가 상기 제1 역치 이하이면, 상기 착용자는 상기 골전도 보청기를 착용할 때 심한 진동을 감지할 가능성이 적을 수 있고, 상기 출력한계는 조절(감소)되지 않을 수 있으며; 상기 기준출력 파라미터가 상기 제1 역치보다 크면, 상기 착용자는 상기 골전도 보청기를 착용할 때 심한 진동을 감지할 가능성이 높으며, 상기 출력한계가 조절(감소)될 수 있고, 따라서 상기 기준출력 파라미터가 감소되고, 상기 기준출력 파라미터가 상기 제1 역치보다 작게 됨을 의미한다.
또한, 상기 출력한계의 감소값이 0보다 크다고 확정된 경우, 출력 파라미터한계의 감소값의 특정된 수치값이 더 확정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는, 예를 들면, 상기 출력한계는 동등한 보폭으로 점차적으로 감소될 수 있으며, 상기 기준출력 파라미터가 최종적으로 상기 제1 역치보다 작게 한다. 예를 들면 동등한 보폭으로 상기 출력한계를 점차적으로 감소시킴으로써 매번 동일한 값으로 상기 출력한계를 감소시킬 수 있고(예를 들면, 매번 2dB씩 상기 출력한계를 감소), 상기 기준출력 파라미터를 점차적으로 감소시키고, 최종적으로 상기 기준출력 파라미터를 상기 제1 역치보다 작게 한다.
상기 착용자가 일반적으로 상기 착용자가 말할 때 또는 주변의 소리가 클 때 상대적으로 강한 진동을 감지 하기 때문에, 이 때 상기 소리레벨은 상대적으로 클 수 있으며, 예를 들면, 70dB 이상이다. 상기 처리 600을 이용하여 상기 기준출력 파라미터를 조절함으로써, 중간 소리레벨(예를 들면, 0dB 이하의 소리레벨을 가지는 소리신호)을 가지는 소리신호가 상기 골전도 보청기에 입력될 때, 상기 골전도 보청기의 기준출력 파라미터들은 영향을 받지 않을 수 있으며; 높은 소리레벨(예를 들면, 70dB 및 이상의 소리레벨을 가지는 소리신호)을 가지는 소리신호가 상기 골전도 보청기에 입력되는 동시에, 상기 골전도 보청기의 기준출력 파라미터는 상기 제1 역치보다 작을 수 있으며, 따라서 착용자가 말하거나 또는 주변의 소리가 클 때 상기 착용자가 상대적으로 큰 진동을 감지하는 상황을 개선한다.
일부 실시예들에서는, 상기 각 소리레벨 중의 적어도 하나의 소리레벨이 상기 소리레벨 역치보다 큰 경우, 상기 조절값은 상기 게인감소값만 포함할 수 있다. 일부 기타 실시예들에서, 상기 각 소리레벨 중의 적어도 하나의 소리레벨이 상기 소리레벨 역치보다 큰 경우, 상기 조절값은상기 출력한계의 감소값만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는, 상기 조절값은 각 소리레벨 중의 적어도 하나의 소리가 상기 소리레벨 역치보다 큰 경우의 상기 게인감소값과 상기 각 소리레벨 중의 적어도 하나의 소리레벨이 상기 소리레벨 역치보다 큰 경우의 상기 출력한계의 감소값의 양자를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는, 상기 다중채널 대폭동적범위 압축시스템의 파라미터들을 설정하는 것은 교차 주파수, 하한 역치, 하한레벨 게인, 상한 역치, 확장 역치, 확장율, 컴프래서 어택타임(compressor attack time), 컴프래서 릴리즈타임(compressor release time), 출력(AGCo) 충격에 기반하는 자동게인제어 알고리즘, 출력(AGCo)해제에 기반하는자동게인제어 알고리즘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교차 주파수는 그 중에서 오디오 주파수 스펙트럼이 분해된 주파수, 예를 들면, 각 주파수대역의 분할점일 수 있다. 상기 하한역치는 주파수대역에서 소리레벨의 하한 역치일 수 있다. 상기 하한레벨 게인은 입력 소리레벨이 상기 하한 역치보다 작은 경우의 게인일 수 있다. 상기 상한 역치는 상기 주파수대역에서 소리레벨의 상한 역치일 수 있으며, 예를 들면, 상기 고레벨 게인에 대응되는 역치일 수 있다. 상기 확장 역치는 주파수대역에서 소리레벨의 확장 역치일 수 있으며, 상기 확장률은 상기 확장 역치에서의 소리의 게인 비율일 수 있다. 상기 컴프래서 어택타임은 컴프래서 가 역치보다 높은 소리를 탐측했을 때 컴프래서 가 완전히 작용하는 과도시간으로서, 게인이 사전설정된 게인으로 될 때까지 과도시간 내에 점차적으로 커질 수 있다. 상기 컴프래서 릴리즈타임은 상기 소리가 역치보다 낮을 때의 컴프래서가 완전히 작용하는 과도시간으로서, 상기 게인은 상기 사전설정된 게인으로 될 때까지 과도시간내에 점차적으로 작아진다. AGCo는 상기 출력에 기반하는 자동게인제어 알고리즘이고, AGCo 어택타임은2 ms일 수 있다. AGCo릴리즈타임은 64 ms일 수 있다.
도 7은 본 개시의 기타 실시예들에 따른 골전도 보청기가 사용시 수행하는 동작들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7에 표시하는 바와 같이, 상기 골전도 보청기는 사용시 아래와 같은 동작들을 수행할 수 있다.
710에서, 소리입력신호를 얻을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는, 상기 소리입력신호는 상기 골전도 보청기가 스토리지장치(예를 들면, 상기 스토리지(130)), 단말기(예를 들면, 상기 단말기(140) ), 또는 기타 장치들로부터 획득하는 오디오 신호(예를 들면, 노래, 음성,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는, 상기 골전도 보청기의 상기 소리입력신호는 상기 골전도 보청기의 상기 소리픽업부재에 의해 픽업되는 소리신호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소리픽업부재는 소리(상기 제1 진동신호)를 픽업하고, 상기 제1 진동신호를 처리하고 상기 제1 진동신호를 전기신호로 변환시킬 수 있다. 상기 전기신호는 상기 골전도 보청기의 스피커부재에 전송될 수 있다. 상기 스피커부재는 상기 기준출력 파라미터에 근거하여 상기 전기신호를 처리하고 상기 전기신호를 제2 진동신호로 변환하며, 상기 제2 진동신호를 상기 착용자에게 전달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720에서, 주파수 성분에 대응되는 상기 기준출력 파라미터는 상기 소리입력신호의 소리레벨, 주파수 성분, 및 상기 기준출력 파라미터에 근거하여 확정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는, 상기 골전도 보청기는 상기 골전도 보청기의 상기 스토리지장치에 저장된 사전설정된 기준출력 파라미터들을 얻을 수 있다. 상기 사전설정된 기준출력 파라미터는 상이한 주파수대역에서의 상이한 소리레벨들과 청각 레벨들에 대응될 수 있다. 상기 골전도 보청기는 상기 소리입력신호의 상기 소리레벨과 상기 주파수 성분에 근거하여, 상기 사전설정된 기준출력 파라미터들로부터 상기 소리레벨과 상기 주파수 성분에 대응되는 상기 기준출력 파라미터를 확정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는, 상기 골전도 보청기는 상기 소리입력신호의 상기 소리레벨, 상기 주파수 성분 및 상기 청력레벨에 근거하여, 상기 사전설정된 기준출력 파라미터들로부터 상기 소리레벨, 상기 주파수 성분 및 상기 청력레벨에 대응되는 기준을 확정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는, 상이한 주파수대역에서 상이한 소리레벨들과 청각 레벨들에 대응되는 상기 사전설정된 기준출력 파라미터들은 도 4에서의 420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
730에서, 주파수 성분에 대응되는 기준출력 파라미터와 상기 주파수 성분의 상기 기준출력 파라미터에 대응되는 상기 조절값에 근거하여, 상기 소리레벨의 주파수 성분에 대응되는 실제 출력 파라미터를 얻을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는, 상기 골전도 보청기는 상기 골전도 보청기의 상기 스토리지장치에 저장되는 상기 사전설정된 기준출력 파라미터들의 상기 조절값들을 얻을 수 있다. 상기 사전설정된 조절값들은 상이한 주파수대역에서 상이한 소리레벨들 및 청각 레벨들에서의 기준출력 파라미터들에 대응될 수 있다. 상기 골전도 보청기는 상기 소리입력신호의 상기 소리레벨과 상기 주파수 성분에 근거하여, 상기 사전설정된 조절값들로부터 상기 소리레벨과 상기 주파수 성분에 대응되는 상기 기준출력 파라미터의 조절값을 확정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는, 상기 골전도 보청기는 상기 소리입력신호의 상기 소리레벨, 상기 주파수 성분 및 착용자의 청력레벨에 근거하여, 상기 사전설정된 조절값들로부터 상기 소리레벨, 주파수 성분 및 상기 청력레벨에 대응되는 상기 기준 출력의 조절값을 확정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는, 상이한 주파수대역에서 상이한 소리레벨들 및 청각 레벨들에 대응되는 상기 사전설정된 기준출력 파라미터들의 상기 조절값들은 도4에서의 430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740에서 상기 실제 출력 파라미터에 근거하여 상기 골전도 보청기를 제어하여 소리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상기 기준출력 파라미터는 상기 골전도 보청기를 설정하는 과정의 초기 설정 파라미터로 이해할 수 있으며, 상기 실제 출력 파라미터들은 상기 조절값에 근거하여 상기 골전도 보청기에 의해 조절되는 출력 파라미터로 이해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는, 상기 실제 출력 파라미터는 게인값 또는 실제 아날로그 출력값을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는, 상기 실제 게인값은 상기 소리신호 착용과정에서 상기 보청기가 상기 소리신호의 강도를 실제 증폭시키는 값일 수 있으며, 상기 실제 아날로그 출력값은 입력 소리신호 파라미터(예를 들면, 상기 소리신호 강도값)에 근거하여 상기 보청기로 모의하는 값일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실제 아날로그 출력값은 상기 소리신호 입력값(예를 들면, 상기 강도값, 단위는dB이다)에 상기 실제 게인값(단위:dB)을 합한 결과와 같을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는, 예를 들면, 상기 골전도 보청기의 입력 소리신호가 상기 특정된 소리레벨 및 상기 특정된 주파수대역에 있는 경우, 특정된 소리레벨 및 특정된 주파수대역에 대응되는 상기 실제 아날로그 출력값은 상기 골전도 보청기를 사용할 때의 상기 실제 출력값(예를 들면, 상기 골전도 보청기의 상기 실제 출력신호 강도값, 단위는 dB이다)과 같을 수 있으며. 일부 실시예들에서는, 상기 착용자가 상기 골전도 보청기를 착용할 때, 상기 골전도 보청기의 상기 소리픽업부재(220)는 710을 수행할 수 있으며, 상기 골전도 보청기의 상기 자기회로부재는 720와 730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골전도 보청기의 상기 진동부재는 740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진동부재는 상기 자기회로부재에 의해 확정되는 상기 실제 출력 파라미터를 상응한 진동강도로 변환시킬 수 있으며, 상기 골전도 보청기로 하여금 기계적 진동을 통해 상기 소리신호를 출력하게 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는, 상기 착용자가 상기 골전도 보청기를 착용할 때, 상기 골전도 보청기의 상기 소리픽업부재(220)는 710을 수행할 수 있으며, 상기 골전도 보청기의 상기 처리장치는 720과 730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골전도 보청기의 상기 처리장치는 상기 자기회로부재와 상기 진동부재를 제어하여 740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처리장치는 상기 확정된 실제 출력 파라미터에 근거하여 상기 진동부재를 제어하여 상기 실제 출력 파라미터에 대응되는 진동강도를 생성하고, 상기 골전도 보청기로 하여금 기계적 진동을 통해 상기 소리신호를 출력하게 할 수 있다. 다른 하나의 예로써, 상기 처리장치는 상기 확정된 실제 출력 파라미터에 근거하여 상기 음성코일 중의 전류의 크기를 제어함으로써 음성코일에 의해 생성되는 상기 기계적 진동의 강도를 제어하며, 상기 골전도 보청기의 출력신호 강도를 제어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는, 파라미터 각 주파수대역에서 각 소리레벨에서의 실제 출력 파라미터는 상기 골전도 보청기에 저장될 수 있다. 상기 골전도 보청기가 상기 소리입력신호를 획득하는 경우, 상기 골전도 보청기 장치는 상기 소리입력신호의 주파수대역에서의 소리레벨에 근거하여 직접 상기 주파수대역에서의 상응한 소리레벨의 상기 골전도 보청기의 실제 출력 파라미터를 확정하고, 상기 실제 출력 파라미터에 근거하여 상기 소리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이상에서 기본 원리를 설명하였다. 물론, 본 분야의 통상의 기술자들에 있어서, 상술한 상세 설명은 단지 하나의 예로써, 본 개시에 대한 한정을 형성하지 않는다. 여기에서 명백하게 해석하지 않았지만, 본 분야의 통상의 기술자들은 본 개시에 대하여 다양한 수정들, 개선들 및 변화들을 진행할 수 있다. 이러한 수정들, 개량들, 및 변화들은 본 개시에서 교시하는 것인바, 이러한 수정들, 개량들 및 변화들은 여전히 본 개시의 예시적인 실시예들의 요지와 범위 내에 있다.
한편으로는, 본 개시는 특정된 단어들을 이용하여 본 개시의 실시예들을 설명한다. 예를 들면, "하나의 실시예", "일 실시예" 및/또는 "일부 실시예들"은 본 개시의 적어도 하나의 실시예에 관련된 특정된 특징, 구조 또는 특성들을 가리킨다. 따라서, 여기에서 강조하고 주의를 주는 것은 본 개시의 상이한 부분들에서 2번 이상 나타나는 "하나의 실시예", 또는 "일 실시예" 또는 "대안 실시예"는 동일한 실시예를 가리킬 필요가 없다는 것이다. 그리고, 본 개시의 하나 이상의 실시예에서 특정된 특징들, 구조들, 또는 특성들은 적당히 조합될 수 있다.
그리고, 청구범위에서 명확하게 주장하지 않는 한, 본 개시에서 설명하는 요소들 및 서열들을 처리하는 순서 본 개시에서 설명하는, 수량과 문자들의 사용, 또는 기타 명칭들의 사용은 본 개시에서의 처리들과 방법들의 순서를 제한하는 데 이용되지 않는다. 상술한 개시는 현재 유용하다고 인정되는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들의 다양한 예의 방식으로 논의되었지만, 이해해야 할 것은 이러한 상세내용은 단지 설명의 목적으로써 첨부된 청구범위들이 개시된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청구범위들은 본 개시의 실시예들의 요지와 범위 내에 떨어지는 모든 수정들 및 등가조합들에 대한 커버를 의도로 한다는 것이다. 예를 들면, 위에서 설명한 다양한 구성 요소의 구현이 하드웨어 장치에 구현될 수 있지만, 기존의 서버 또는 이동장치에 장착되 는소프트웨어만의 해결안으로써 구현될 수 있다.
마찬가지로,유의해야 할 것은 본 개시의 묘사를 간단히 하고 본 발명의 하나 이상의 실시예들의 이해를 돕기 위해, 본 개시의 실시예들의 상술한 설명에서는, 어떤 경우, 하나의 실시예, 도면 또는 그에 대한 기재에 복수의 특징들이 조합될 수 있다. 설명의 방법은 본 개시의 주제는 청구범위 중에 기재한 바보다 더 많은 특징들을 요구하는 것이 아니고. 오히려, 청구된 주제는 상기 공개된 하나의 실시예의 모든 특징들보다 적은 특징을 가질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는, 성분들과 성질들의 수량을 설명하는 수치를 사용한다. 이해해야 할 것은 이러한 실시예들의 설명에서 사용하는 수량들은 일부 실시예들에서 수식어 "약", "대체로" 또는 "실질적으로"를 이용한다. 별도의 설명이 없는 경우, "약" "대체로", 또는 "실질적으로"는 주장하는 수치가 ±20%의 변화가 용허됨을 의미한다. 상응하게, 일부 실시예들에서는, 본 명세서와 청구범위에서 사용하는 수치 파라미터들은 개별 실시예들의 희망하는 특성들에 기초하여 변할 수 있는 근사치이다. 일부 실시예들에서는, 수치 파라미터들은 구체적인 유효수치와 일반적인 수치보유방법을 적용하여 고려하여야 한다. 본 개시의 일부 실시예들에서 상기 범위의 넓이를 확인하는 데 사용하는 수치 범위와 파라미터들은 근사치이지만, 특정된 실시예들에서, 이러한 수치들의 설정은 가능한 범위 내에서 될 수록 정확하다.
여기에서 참고하는 각 특허, 특허출원, 특허출원의 출판물과 기타 자료, 예를 들면 문장, 서적, 명세서, 출판물, 서류들, 등은 그 전부가 본 명세서에 참고로 결합되었으며, 본 출원의 임의의 소송제출이력, 현재 서류의 내용과 불일치하거나 충돌되는 서류 또는 본 명세서와 관련되는 현재 또는 후속의 최대 범위에 한정적인 영향을 주는 내용은 본 명세서에서 제외된다. 예를 들면, 본 개시의 첨부된 출원에서 사용된 기술, 정의 및/또는 용어 사용이 본 개시에 기재된 내용과 불일치하거나 또는 충돌되면, 본 개시에서의 기술, 정의 및/또는 용어를 기준으로 한다.
결론적으로, 상술한 바와 같이 여기에서 개시된 본 출원의 실시예들은 본 출원의 실시예들의 원칙들을 예시하는 것임을 이해할 수 있다. 기타 수정은 본 출원의 범위내에서 적용될 수 있다. 따라서 예를 들어 본 출원의 실시예들의 비한정적인 대안 형태는 여기에서 주는 암시에 따라 이용될 수 있다. 그러므로 본 출원의 실시예들은 보여주고 묘사된대로 정확하게 한정된 것이 아니다.

Claims (20)

  1. 골전도 보청기를 설정하기 위한 방법으로서,
    착용자의 청각손실 데이터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청각손실 데이터에 근거하여, 각 주파수대역에서 각 소리레벨에서의 상기 골전도 보청기의 기준출력 파라미터를 확정하는 단계;
    상기 각 주파수대역에서 상기 각 소리레벨에서의 적어도 상기 주파수대역에 관련되는 상기 기준출력 파라미터의 조절값을 획득하는 단계; 및
    상기 각 주파수대역에서 상기 각 소리레벨에서의 상기 기준출력 파라미터와 상기 조절값에 근거하여 상기 골전도 보청기를 설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골전도 보청기를 설정하기 위한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각 주파수대역에서 상기 각 소리레벨에서의 상기 기준출력 파라미터와 상기 조절값에 근거하여 상기 골전도 보청기를 설정하는 단계는
    0Hz~625Hz의 범위 내의 주파수대역에서, 상기 조절값에 근거하여 상기 기준출력 파라미터를 감소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골전도 보청기를 설정하기 위한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절값들은 동일한 주파수대역에서 상이한 소리레벨들에서 같은
    골전도 보청기를 설정하기 위한 방법.
  4. 제2항에 있어서,
    0Hz~625Hz의 범위 내의 주파수대역에서, 상기 조절값은 1dB~12dB의 범위 내에 있는
    골전도 보청기를 설정하기 위한 방법.
  5. 제2항에 있어서,
    0Hz~125Hz의 범위 내의 주파수대역에서, 상기 조절값은 5dB~12dB의 범위 내에 있거나,
    125Hz~375Hz의 범위 내의 주파수대역에서, 상기 조절값은 3dB~9dB의 범위 내에 있거나, 또는
    375Hz~625Hz의 범위 내의 주파수대역에서, 상기 조절값은 1dB~6dB의 범위 내에 있는
    골전도 보청기를 설정하기 위한 방법.
  6. 제2항에 있어서,
    0Hz~125Hz의 범위 내의 주파수대역에서, 상기 조절값은 5dB~7dB의 범위 내에 있거나,
    125Hz~375Hz의 범위 내의 주파수대역에서, 상기 조절값은 3dB~5dB의 범위 내에 있거나, 또는
    375Hz~625Hz의 범위 내의 주파수대역에서, 상기 조절값은1dB~3dB의 범위 내에 있는
    골전도 보청기를 설정하기 위한 방법.
  7. 제2항에 있어서,
    0Hz~125Hz의 범위 내의 주파수대역에서, 상기 조절값은 10dB~12dB의 범위 내에 있거나,
    125Hz~375Hz의 범위 내의 주파수대역에서, 상기 조절값은 7dB~9dB의 범위 내에 있거나, 또는
    375Hz~625Hz의 범위 내의 주파수대역에서, 상기 조절값은 4dB~6dB의 범위 내에 있는
    골전도 보청기를 설정하기 위한 방법.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절값들은 동일한 주파수대역에서 상이한 소리레벨들에서 상이한
    골전도 보청기를 설정하기 위한 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각 주파수대역에서 상기 각 소리레벨에서의 상기 기준출력 파라미터의 조절값을 획득하는 단계는
    상기 각 주파수대역에서의 각 소리레벨에 대응되고 또한 상기 각 주파수대역에서 상기 각 소리레벨에서의 상기 착용자가 감지하는 진동도와 관련되는 제1 역치를 확정하는 단계;
    상기 각 주파수대역에서의 각 소리레벨에 대응되고 또한 상기 각 주파수대역에서 상기 각 소리레벨에서의 상기 착용자의 음성식별률과 관련되는 제2 역치를 확정하는 단계; 및
    상기 기준출력 파라미터, 상기 제1 역치, 및 상기 제2 역치에 근거하여 상기 조절값을 확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골전도 보청기를 설정하기 위한 방법.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기준출력 파라미터, 상기 제1 역치, 및 상기 제2 역치에 근거하여 상기 조절값을 확정하는 단계는
    상기 각 주파수대역의 모 주파수대역에서 상기 각 소리레벨 중의 모 소리레벨에서의 기준출력 파라미터에 관하여,
    상기 기준출력 파라미터로부터 상기 제1 역치를 덜어내어 비교값을 획득하는 단계;
    상기 비교값을 상기 제2 역치와 비교하여 제1 비교결과를 획득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비교결과에 근거하여 상기 기준출력 파라미터에 대응되는 상기 조절값을 확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골전도 보청기를 설정하기 위한 방법.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비교결과에 근거하여 상기 기준출력 파라미터에 대응되는 상기 조절값을 확정하는 단계는
    상기 비교값이 0 이하인 경우, 상기 조절값을 0dB로 지정하는 단계;
    상기 비교값이 0보다 크고 상기 제2 역치 이하인 경우, 상기 조절값을 상기 비교값으로 지정하는 단계; 및
    상기 비교값이 상기 제2 역치보다 큰 경우, 상기 조절값을 상기 제2 역치값으로 지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골전도 보청기를 설정하기 위한 방법.
  12. 제9항에 있어서,
    0Hz~125Hz의 범위 내의 주파수대역에서, 상기 제1 역치는 48dB~52dB의 범위 내에 있거나,
    125Hz~375Hz의 범위 내의 주파수대역에서, 상기 제1 역치는 49dB~54dB의 범위 내에 있거나, 또는
    375Hz~625Hz의 범위 내의 주파수대역에서, 상기 제1 역치는 50dB~55dB의 범위 내에 있는
    골전도 보청기를 설정하기 위한 방법.
  13. 제9항에 있어서,
    0Hz~125Hz의 범위 내의 주파수대역에서, 상기 제2 역치는 5dB~10dB의 범위 내에 있거나,
    125Hz~375Hz의 범위 내의 주파수대역에서, 상기 제2 역치는 3dB~7dB의 범위 내에 있거나, 또는
    375Hz~625Hz의 범위 내의 주파수대역에서, 상기 제2 역치는 1dB~4dB의 범위 내에 있는
    골전도 보청기를 설정하기 위한 방법.
  1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각 주파수대역에서 상기 각 소리레벨에서의 상기 기준출력 파라미터와 상기 조절값에 근거하여 상기 골전도 보청기를 설정하는 단계는
    상기 각 주파수대역에서 각 소리레벨에서의 상기 기준출력 파라미터와 상기 조절값에 근거하여 다중채널 대폭동적범위 압축시스템을 이용하여 상기 골전도 보청기를 설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골전도 보청기를 설정하기 위한 방법.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각 주파수대역에서 상기 각 소리레벨에서의 상기 기준출력 파라미터의 조절값을 획득하는 단계는
    상기 기준출력 파라미터를 상기 각 주파수대역에서 상기 각 소리레벨에서의 상기 착용자가 감지하는 진동도와 관련되는 상기 제1 역치와 비교하여 제2 비교결과를 확정하는 단계; 및
    상기 제2 비교결과에 근거하여 상기 기준출력 파라미터에 대응되는 상기 조절값을 확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골전도 보청기를 설정하기 위한 방법.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조절값은 상기 각 소리레벨 중의 적어도 하나의 소리레벨이 소리레벨 역치보다 큰 경우의 상기 다중채널 대폭동적범위 압축시스템의 게인감소값을 포함하고,
    상기 제2 비교결과에 근거하여 상기 기준출력 파라미터에 대응되는 상기 조절값을 확정하는 단계는
    상기 기준출력 파라미터가 상기 제1 역치 이하인 경우, 상기 게인감소값을 0dB로 지정하는 단계; 및
    상기 기준출력 파라미터가 상기 제1 역치보다 큰 경우, 상기 게인감소값을 상기 제1 역치와 상기 기준출력 파라미터 사이?M 차이로 지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골전도 보청기를 설정하기 위한 방법.
  17.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조절값은 상기 각 소리레벨 중의 적어도 하나의 소리레벨이 소리레벨 역치보다 큰 경우의 상기 다중채널 대폭동적범위 압축시스템의 출력한계의 감소값을 포함하고,
    상기 제2 비교결과에 근거하여 상기 기준출력 파라미터에 대응되는 상기 조절값을 확정하는 단계는
    상기 기준출력 파라미터가 상기 제1 역치 이하인 경우, 상기 출력한계의 감소값을 0dB로 지정하는 단계; 및
    상기 기준출력 파라미터가 상기 제1 역치보다 큰 경우, 상기 출력한계의 감소값을 0dB보다 큰 값으로 지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골전도 보청기를 설정하기 위한 방법.
  18. 골전도 보청기를 설정하기 위한 장치로서,
    착용자의 청각손실 데이터를 획득하도록 구성되는 획득모듈;
    상기 청각손실 데이터에 근거하여, 각 주파수대역에서의 각 소리레벨에서의 상기 골전도 보청기의 기준출력 파라미터를 확정하는 기준출력 파라미터 확정모듈;
    상기 각 주파수대역에서 상기 각 소리레벨에서의 상기 기준출력 파라미터의 조절값을 획득하도록 구성되는 조절값 확정모듈; 및
    상기 각 주파수대역에서 상기 각 소리레벨에서의 상기 기준출력 파라미터와 상기 조절값에 근거하여 상기 골전도 보청기를 설정하도록 구성되는 설정모듈을 포함하는
    골전도 보청기를 설정하기 위한 장치.
  19. 골전도 보청기를 설정하기 위한 시스템으로서,
    처리장치와 스토리지장치를 포함하며
    상기 스토리지장치는 처리장치와 통신하고 명령어들을 저장하며,
    상기 저장된 명령어들을 수행할 때, 상기 처리장치가 제1항 내지 제17항 중의 어느 한 항의 골전도 보청기를 설정하기 위한 방법을 수행하는,
    골전도 보청기를 설정하기 위한 시스템.
  20. 컴퓨터 명령어들을 저장하는 비일시적인 컴퓨터 판독가능 스토리지 매체로서,
    상기 비일시적인 컴퓨터 판독가능 스토리지 매체 중의 컴퓨터 명령어들을 읽을 때, 컴퓨터가 제1항 내지 제17항 중의 어느 한 항의 골전도 보청기를 설정하기 위한 방법을 수행하는,
    비일시적인 컴퓨터 판독가능 스토리지 매체.
KR1020237023916A 2021-04-27 2021-04-27 골전도 보청기의 설정방법 및 설정시스템 KR20230118971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CN2021/090136 WO2022226761A1 (zh) 2021-04-27 2021-04-27 骨导听力辅助设备的配置方法及系统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18971A true KR20230118971A (ko) 2023-08-14

Family

ID=838476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7023916A KR20230118971A (ko) 2021-04-27 2021-04-27 골전도 보청기의 설정방법 및 설정시스템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20230300544A1 (ko)
EP (1) EP4236370A4 (ko)
JP (1) JP2024502884A (ko)
KR (1) KR20230118971A (ko)
CN (1) CN116491132A (ko)
WO (1) WO2022226761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6756834B (zh) * 2023-08-07 2023-10-13 中国铁路设计集团有限公司 一种用于轨道交通沿线隔声窗的设计选用方法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483831B2 (en) * 2003-11-21 2009-01-27 Articulation Incorporated Methods and apparatus for maximizing speech intelligibility in quiet or noisy backgrounds
US9138178B2 (en) * 2010-08-05 2015-09-22 Ace Communications Limited Method and system for self-managed sound enhancement
CN104038879A (zh) * 2014-06-12 2014-09-10 深圳市微纳集成电路与系统应用研究院 一种助听器验配系统和方法
CN108024178A (zh) * 2016-10-28 2018-05-11 宏碁股份有限公司 电子装置及其分频滤波增益优化方法
CN107569236B (zh) * 2017-09-06 2020-03-06 杨捷 一种多功能听力测试和助听系统及其听力测试方法
WO2019200384A1 (en) * 2018-04-13 2019-10-17 Concha Inc Hearing evaluation and configuration of a hearing assistance-device
EP3614380B1 (en) * 2018-08-22 2022-04-13 Mimi Hearing Technologies GmbH Systems and methods for sound enhancement in audio system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6491132A (zh) 2023-07-25
JP2024502884A (ja) 2024-01-23
WO2022226761A1 (zh) 2022-11-03
US20230300544A1 (en) 2023-09-21
EP4236370A4 (en) 2024-03-06
EP4236370A1 (en) 2023-08-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560458B2 (en) Configurable hearing instrument
US10728649B1 (en) Multipath audio stimulation using audio compressors
EP3588985A1 (en) Binaural hearing device system with binaural active occlusion cancellation
CN112383870B (zh) 自适应听力参数验配方法、装置
US10993047B2 (en) System and method for aiding hearing
US10251000B2 (en) Hearing assistant device for informing about state of wearer
JP2016531514A (ja) 補聴器におけるダイナミックドライバ
US20210006913A1 (en) Hearing Aid and Method for Use of Same
US20210006909A1 (en) Hearing Aid and Method for Use of Same
US20220256296A1 (en) Binaural hearing system comprising frequency transition
US20230300544A1 (en) Methods and systems for configuring bone conduction hearing aids
CN106331972B (zh) 用于将耳内式通信装置放在用户耳道中的方法和设备
WO2004004414A1 (en) Method of calibrating an intelligent earphone
US10893370B1 (en) System and method for aiding hearing
WO2022066200A1 (en) System and method for aiding hearing
CN115250413A (zh) 骨导听力辅助设备的配置方法及系统
TW202243494A (zh) 骨導聽力輔助設備的配置方法及系統
US8824668B2 (en) Communication system comprising a telephone and a listening device, and transmission method
Kąkol et al. A study on signal processing methods applied to hearing aids
US8170235B2 (en) Hearing apparatus with unsymmetrical tone balance unit and corresponding control method
RU2801638C1 (ru) Вспомогательные слуховые устройства
EP4106346A1 (en) A hearing device comprising an adaptive filter bank
EP2835983A1 (en) Hearing instrument presenting environmental sounds
CN117322014A (zh) 用于双侧骨传导协调和平衡的系统和方法
CN112688707A (zh) 一种基于骨传导的通话设备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