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18786A - 두 물질을 혼합하는 특수 기능의 구조를 갖는 병마개 - Google Patents

두 물질을 혼합하는 특수 기능의 구조를 갖는 병마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18786A
KR20230118786A KR1020230100911A KR20230100911A KR20230118786A KR 20230118786 A KR20230118786 A KR 20230118786A KR 1020230100911 A KR1020230100911 A KR 1020230100911A KR 20230100911 A KR20230100911 A KR 20230100911A KR 20230118786 A KR20230118786 A KR 2023011878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uter cap
container
storage cup
safety plate
new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10091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안진희
Original Assignee
안진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안진희 filed Critical 안진희
Priority to KR102023010091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118786A/ko
Publication of KR2023011878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18786A/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1/00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D51/24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mbined or co-operating with auxiliary devices for non-closing purposes
    • B65D51/28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mbined or co-operating with auxiliary devices for non-closing purposes with auxiliary containers for additional articles or materials
    • B65D51/2807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mbined or co-operating with auxiliary devices for non-closing purposes with auxiliary containers for additional articles or materials the closure presenting means for placing the additional articles or materials in contact with the main contents by acting on a part of the closure without removing the closure, e.g. by pushing down, pulling up, rotating or turning a part of the closure, or upon initial opening of the container
    • B65D51/2814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mbined or co-operating with auxiliary devices for non-closing purposes with auxiliary containers for additional articles or materials the closure presenting means for placing the additional articles or materials in contact with the main contents by acting on a part of the closure without removing the closure, e.g. by pushing down, pulling up, rotating or turning a part of the closure, or upon initial opening of the container the additional article or materials being released by piercing, cutting or tearing an element enclosing it
    • B65D51/2828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mbined or co-operating with auxiliary devices for non-closing purposes with auxiliary containers for additional articles or materials the closure presenting means for placing the additional articles or materials in contact with the main contents by acting on a part of the closure without removing the closure, e.g. by pushing down, pulling up, rotating or turning a part of the closure, or upon initial opening of the container the additional article or materials being released by piercing, cutting or tearing an element enclosing it said element being a film or a foil
    • B65D51/2835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mbined or co-operating with auxiliary devices for non-closing purposes with auxiliary containers for additional articles or materials the closure presenting means for placing the additional articles or materials in contact with the main contents by acting on a part of the closure without removing the closure, e.g. by pushing down, pulling up, rotating or turning a part of the closure, or upon initial opening of the container the additional article or materials being released by piercing, cutting or tearing an element enclosing it said element being a film or a foil ruptured by a sharp element, e.g. a cutter or a pierc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1/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 B65D81/32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for packaging two or more different materials which must be maintained separate prior to use in admixtur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Abstract

천공커터와 결합하고, 농축액 등을 저장할 수 있는 보관 공간을 갖는 보관컵을 용기 입구에 내부 공간에 결합하고, 신외부캡으로 보관컵의 외부를 덮으면서 용기 입구 외부면에 설치된 나사산과 결합하는 새로운 구조의 제품으로서, 용기 안에 보관 중인 내용물과 수월하게 혼합하고 수월하게 개봉 할 수 있는 구조를 갖도록 새로운 구조를 갖는 병마개 및 용기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두 물질을 혼합하는 특수 기능의 구조를 갖는 병마개{Outer Closure with special function for Mixing Two Materials.}
본 발명은 두 물질을 별도의 공간(보관컵 내부 및 용기 내부)에 보관하다가 사용하기 직전에 혼합하여 사용하는 제품의 용기(120)와 천공커터(110)를 장착한 보관컵(101)과 외부캡(01)에 관한 것으로서, 천공커터(110)를 장착한 보관컵(101)의 외부에 덧씌우면서 용기 입구(123)에 결합하는 신외부캡(51)의 여러 구조와 용기 입구 외부면(124)의 구조에 관한 것이다.
발명의 배경이 되는 기술은 다음과 같다. 용기 안에 내용물(117)을 저장한 용기 입구(120)에 결합한 보관 컵(101) 및 천공 커터(110)를 외부 충격으로부터 보호하기 위한 외부 캡(10)과, 용기 안의 내용물(117)를 보관하는 공간을 갖는 용기(120) 와, 상부가 개방되고 중공의 보관컵(101)과 이 보관컵에 저장된 농축액(116)을 외부 공기 및 습기로부터 차단하고 품질을 유지하기 위하여 보관컵 (101)의 입구와 결합하는 천공 커터(110)로 구성된다. 기존 제품은 기존의 외부캡 (01)의 절취선(02)을 따라 절취 부위(07)를 제거하고 외부캡(01)을 벗겨낸 후에, 노출된 천공커터(110)의 누름부위(111)를 용기 방향(수직)으로 누르면 천공 커터(110)의 날카로운 칼날 부위(118)에 의하여 보관컵(101)의 하단 부위(112)에 설치된 유출판(36)을 뚫어서 상기 농축액(116)이 용기의 내부 공간으로 유입하는 구조를 갖는 기술이다.
기존 제품의 사용 절차를 설명한다. 1) 외부캡(01)의 제거홈(08)에 손톱을 끼워서 제거부위(07)를 절취선(02)을 따라 뜯어서 외부캡(01)을 보관컵(101)과 용기 입구(123)로부터 분리시킨다. 2) 천공 커터(101)의 누름 부위 (111)를 용기 입구(123) 방향으로 엄지손가락을 이용하여 누른다. 누르는 힘에 의 하여 하강하는 천공 커터(101)에 의하여 보관컵(101) 하단부위(112)의 유출판(105)이 천공되며, 보관컵 내의 농축액(116)을 용기 내부로 흘러 내려서 용기 안에 저장되어 있는 내용물(117)과 섞는다. 3) 흔들어 잘 섞은 후에, 보관컵(101)을 용기 입구(123)로부터 이격 시킨 후에 마신다. 그런데, 기존 제품에 있어서의 문제점 은 다음과 같다. 1) 기존 외부 캡(101)의 제거 단계가 불편하다. 2) 천공 커터(110)가 결합한 보관 컵(101)를 용기입구(123)로 부터 이탈시키기에 매우 불편하다. 3) 보관컵(101)을 용기 입구(123)로부터 이탈 시키는 과정에 있어서 용기 입구(123)와 보관컵 외벽에 묻어 있는 농축액(116)+내용물(117)이 손가락에 묻는다. 상기와 같은 세가지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신제품을 통하여 다음과 같이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 하려고 한다. 1) 신 외부캡(51)을 용기 입구(123)으로부터 제거하지 않는다. 2) 신 외부캡(51)을 용기 입구(123)로부터 나사선(63, 76)을 이용하여 이격 시에 천공커터 (110)가 결합된 보관컵 (101)을 용기 입구( 123)로부터 동시에 이격시킨다. 3)용기 안에 보관 중이던 [농축액(116)+내용물(117)]을 손가락에 묻히지 않는다. - 와 같이 기존 제품이 구조적으로 가지고 있는 문제점을 해결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기존 제품에 있어서의 문제점' 을 해결하기 새로운 방법으로 기존 제품의 외부캡(01)의 차단판(09), 몸체 측면벽(05)의 내부면(65)과 용기 입구 외부면(124)의 구조를 보완한 것이다. 보완한 방법 은 다음과 같다. 1) 안전판 설치 - 안전판(52)을 제거하면, 신 외부캡(51)을 용기 입구(123)로부터 제거하지 않고서도 천공 커터(110)의 누름부위(111)를 손가락을 이용하여 수직으로 누를 수 있도록, 신 외부캡(51) 차단판(106)의 상당 부분을 직경이 큰 안전판(52)으로 설치한다. 제거홈(59)에 의하여 절취선(58) 따라 분리된 안전판(52)은 걸림힌지(55)에 의하여 신외부캡(51)과 분리되지 않는다. 2) 걸림턱 C 설치 - 신 외부캡(51)을 용기 입구로부터 이격 시에 보관컵(101)을 용기 입구로부터 동시에 이격시키기 위하여, 신 외부캡(51)의 측면 몸체(68) 내부면(65)에 걸림턱C(62)를 설치한다. 3) 나사산(63) 설치 - 천공 커터(110)가 결합한 보관컵(101)과 신 외부캡(51)을 함께 용기 입구(123)로부터 수월하게 이격시키기 위하여 신 외부캡(51)의 몸체 측면 내부면(65)의 일정 위치에 신 외부캡(51) 나사산(63)을 원주를 따라 중심부를 향한 돌출형으로 설치한다. 4) 나사산(76) 설치 - 용기 입구(123)에 신 외부캡(51)을 결합시켰을 때에 상기의 신 외부캡(51) 나사산(63)과 결합할 수 있는 위치, 즉 용기 입구 외부면(124)의 적정 위치에 용기 입구(123)의 나사산(76)을 설치한다. 5) 스커트(57) 설치 - 신 외부캡(51)의 개봉 흔적을 알기 위하여 신 외부캡(51)의 하부에 스커트(57)를 설치한다. 6) 스커트 걸림턱(77) 설치 - 신 외부캡(51)을 용기 입구(123)에 결합 시에 스커트(57)가 스커트 걸림턱(77)에 걸릴 수 있도록 용기 나사산(76)의 바로 밑에 스커트 걸림턱(77)을 원주를 따라 돌출형으로 설치한다. 신 외부캡(51)을 용기 입구(123)에 결합하였을 때에 걸림턱C(62)의 위치는 보관컵(101)의 걸림홈(113)과 서로 맞물리는 위치에 설치하여 과제를 해결한다. 신 외부캡(51)의 몸체 측면 내부면(65)에 원주를 따라 돌출형으로 걸림턱C(62)을 설치한다. 걸림턱C(62)는 보관컵 날개부위(115)의 걸림홈(113)과 보관용기 외부면(124)에 원주를 따라 설치한 나사산(76)이 서로 맞물려 있는 상태에서 외부캡을 개봉하기 위하여 회전시키면 나사산의 각도(Pitch) 때문에 신외부캡(51)은 용기 입구(123)로부터 수직 상부 방향으로 이격한다. 이렇게 수직 이동하는 힘의 전달에 따라 천공 커터(110)가 결합한 보관 컵(101)도 자동적으로 용기 입구로부터 수직 상부 방향으로 이격하는 특징을 갖는다. 상기 구조에 대하여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내용] 에서 다시 설명한다.
본 발명은 다음과 같은 발명 효과가 있다.
1. 외부캡을 용기 입구로부터 완전히 제거할 필요가 없으므로 쓰레기가 분리되지 않는다.
2. 보관용기와 용기가 나사로 결합함으로서 용기의 내부와 외부 간에 완전 차단이 가능하다.
3. 스파우트를 결합한 보관용기를 직전손을 대지 않고 용기 입구로부터 이탈시킬 수 있으므로 손가락에 내용물이 묻지 않는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기존 제품의 측면도이다.
도 2는, 종래 기술에 따른 기존 제품의 입체도이다.
도 3은, 종래 기술에 따른 기존 제품의 보관컵에 장착한 '천공 커터' 를 누르기 전과 후에 대한 입체도이다.
도 4는, 기존 제품의 사용 순서(다섯 단계)를 나타낸 입체도이다.(A
Figure pat00001
E 가지의 설명은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내용] 에서 설명함)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신제품의 외부 측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신제품의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신제품 외부캡의 평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외부캡의 안전판 제거 후의 평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누름턱을 설치한 안전판을 장착한 신외부캡 대한 단면도이다.
도10은, 안전판을 분리한 후에 뒤집어서 누름턱을 이용하여 커팅부위의 누름부위를 누르기전의 신외부캡에 대한 단면도이다.
도11은, 안전판을 분리한 후에 뒤집어서 누름턱을 이용하여 커팅부위의 누름부위를 누른 후의 신외부캡에 대한 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I. 기존 제품 분야(1 ~50)
가. 외부캡 부문(1 ~ 25)
01 : 외부 캡(기존) 02 : 절취선(기존 외부캡)
03 : 널(Knurl, 기존 병마개) 04 : 지지턱(기존 캡)
05 : 외부캡 측면 벽 06 : 외부캡 하부면
07 : 제거 부위(기존 캡) 08 : 제거 홈
09 : 차단판
나. 용기 부문(26 ~ 50)
26 : 걸림턱 27 : 걸림홈
II. 신제품 부문(51 ~ 100)
가. 신 외부캡 부문(51 ~ 75)
51 : 신 외부캡(신제품) 52 : 안전판
53 : 절취선(안전판) 54 : 안전판 유격턱
55 : 걸림 힌지 56 : 널(걸림 돌기, 병 마개)
57 : 스커트 58 : 브릿지(스커트)
59 : 제거홈(안전판) 60 : 상부면(신 외부캡)
62 : 걸림턱 C 63 : 나사산(신 외부캡)
64 : 차단판 65 : 내부면
66 : 외부면 67 : 하단부위
68 : 측면 몸체 69 : 누름턱
나. 용기 부문(76 ~ 100)
76 : 나사선(용기) 77 : 스커트 걸림턱
III. 공통 부문(보관컵 및 커팅 부위, 101 ~ )
101 : 보관컵 102 : 날개부위(보관 컵)
103 : 상부면(보관컵) 105 : 유출판(보관컵)
106 : 차단판 110 : 천공 커터
111 : 누름 부위 112 : 하단 부위(보관컵)
113 : 걸림홈(날개 부위) 114 : 널(외부캡 걸림 돌기)
116 : 농축액(보관컵) 117 : 내용물(용기)
118 : 칼날부위(천공 커터) 119 : 몸통(보관컵)
120 : 용기 121 : 용기 바닥 부위
122 : 허리부위 123 : 용기 입구
124 : 외부면(용기 입구)
본 발명에 따른 신외부캡(51)과 함께 용기 입구(123)와 결합하는 보관컵(101)에 농축액(116)을 별도로 보관하고 있다가 사용 직전에 용기 내부에 저장 중인 내용물(117)과 섞는 구조 및 방법에 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그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본 명세서에 첨부된 도면은 설명의 편의상 과장되어 도시되거나 축적이 달리 표시될 수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기존 제품의 측면도이다. 좌측 그림은 용기(120)에 결합한 외부캡(01)의 제거홈(08)이 전면으로 나온 그림이며, 우측은 외부캡(01)의 수직 절취선(02)과 제거 부위(07)가 전면으로 나온 그림이다. 도 2는, 종래 기술에 따른 기존 제품의 입체도이다. 용기 입구에 결합한 외부캡을 강조한 그림이다. 차단판(09)에 두 갈래의 절취선(02)을 설치한다. 그 절취선(02)들은 외부캡(01)의 몸체 측면(05)의 하부면(06)까지 이어진다. 제거부위(07)는 두 절취선(02)에 의하여 몸체의 차단판(09) 및 몸체 측면 벽(05)과 구분한다. 도 3은, 종래 기술에 따른 기존 제품의 보관컵에 장착한 '천공 커터' 를 누르기 전과 후에 대한 입체도이다. 좌측은 천공 커터를 누르기 전의 그림이다. 용기 입구에 보관컵(101)을 결합한다. 보관컵(101)은 천공 커터(110)가 결합한다. 보관컵(101) 내부 공간에는 농축액(116)이 저장된다. 보관컵(101)은 보관컵 날개부위(102), 걸림 홈(113), 몸통(119), 유출판(105)으로 구성된다. 우측은 천공 커터(110)의 누름 부위(111)를 눌러서 보관컵(101)의 유출판(105)을 열어 재친 그림이다. 도 4는, 기존 제품의 사용 순서(다섯 단계)를 나타낸 입체도이다(A
Figure pat00002
E 가지의 설명은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내용] 에서 설명함). 그림 A는 용기 입구(123)에 결합된 외부캡(01)의 절취선(02)을 분리한 그림이다. 그림 B는 외부캡(01)으로부터 제거부위(07)를 제거한 그림이다. 그림 C는 외부캡(01)을 개봉한 후에 천공 커터(110)의 누름 부위(111)를 아직 누르지 않은 그림이다. 그림 D는 천공 커터(110)의 누름 부위(111)를 누른 후의 그림이다. 그림 E는 천공 커터(110)의 누름 부위(111)를 누른 후, 유출판(105)이 개방된 후에 농축액과 내용물을 혼합한 후에 보관컵(101)을 용기 입구(123)로부터 이격한 그림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신제품의 외부 측면도이다. 용기 입구에 결합한 신 외부캡(51)의 하단 부위(67)는 스커트(57)로 구비된다. 스커트(57)는 브릿지(58)에 의하여 신 외부캡의 하단부위(67)와 연결한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신제품의 단면도이다. 신외부캡(51)이 용기 입구(123)에 결합한 그림이다. 신외부캡(51)은 차단판(64), 측면 몸체(68)로 구성된다. 차단판 상부면(60)은 차단판(64), 절취선(58), 안전판(52)으로 구성된다. 안전판의 하부면에는 안전판 유격턱(54)을 가지며 안전판 상부면에는 적정한 높이의 누름턱(69)를 돌출형으로 갖는다. 신외부캡(51)의 측면 몸체(68) 내부면(65)에는 걸림턱C(62), 나사산(63), 스커트(57), 브릿지(58)로 구성된다. 측면 몸체(68) 외부면에는 널(56)을 갖는다. 안전판(52)의 외주면과 차단판(64)의 내주면은 절취선(58)으로 연결된다. 안전판(51) 하부면과 일체형으로 수직으로 일정 높이를 구비한 유격턱(54)을 하나 이상 갖는다. 상기 유격턱(54)은 보관컵 상부면(103)과 밀착하여 신외부캡(51)이 일정 높이를 유지하며 천공 커터(110)의 누름 부위(111)를 보호하도록 한다. 몸체 측면 내부면에 설치되는 걸림턱C(62)는 원주를 따라 돌출형으로서 보관컵 날개 부위의 걸림홈(113)과 결합할 수 있는 위치에 설치된다. 또한 내부면에 설치되는 나사산(63)은 용기 입구(123) 외부면(124)에 설치되는 나사산(76)과 결합한다. 측면 몸체(68) 하부의 스커트(57)는 브릿지(58)에 의하여 하단 부위(67)와 연결된다. 신외부캡(51)이 용기와 결합시에는 두 부위가 서로 결합 내지 맞닿아 있다. 하나는 걸림턱C(62)와 용기 입구에 결합한 천공커터(110)를 장착한 보관컵(101)의 날개부위(102)의 걸림홈(113)이며, 두 번째는 신외부캡(51)의 나사산(63)과 용기 입구 외부면에 설치된 나사산(76)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신제품 외부캡의 평면도이다. 신외부캡(51)은 차단판(64)과 절취선(53)에 의하여 연결되는 안전판(52)과 안전판의 일정 위치에 설치되는 제거홈(59), 차단판(64)의 외주면과 연결되는 널(56)로 구성된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외부캡의 안전판 제거 후의 평면도이다. 차단판(64) 내주면 안으로 보관컵(101)의 상부면(103)이 있다. 보관컵(101)의 상부면(103)과 천공 커터(110)의 누름부위(111)는 맞닿아 있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누름턱을 설치한 안전판을 장착한 신외부캡 대한 단면도이다. 안전판(52)의 상부면에 일체형 및 돌출형으로서 안전판의 외주보다 작은 누름턱(69)을 설치한다. 도10은, 안전판을 분리한 후에 뒤집어서 누름턱을 이용하여 커팅부위의 누름부위를 누르기전의 신외부캡에 대한 단면도이다. 누름턱(69)이 설치된 안전판(52)을 제거홈(59)을 이용하여 절취선(53)따라 분리 시킨 후에 이를 뒤집어서 분리한 위치에 다시 끼워 넣은 그림이다. 도11은, 안전판을 분리한 후에 뒤집어서 누름턱을 이용하여 커팅부위의 누름부위를 누른 후의 신외부캡에 대한 단면도이다. 누름턱(69)은 원통형, 막대형, 기타의 다양한 형상으로 설치된다. 누름턱(69)을 상부면(60)에 구비한 안전판(52)을 제거홈(59)을 이용하여 절취선(53)따라 분리시킨 후에 뒤집어서 분리한 그 위치에 다시 끼워 넣는다. 뒤집어 기운 안전판(52)을 누르면, 천공커터(110)의 누름 부위(111)가 수직으로 하강하여 천공커터()가 보관컵 방향으로 하강한 그림이다. 실시 예를 통하여 설명한다. 1) 두종류의 안전판(52)을 설명한다. 첫째 는 걸림힌지(55)를 구비한 안전판(52)이다. 신외부캡(51)의 제거홈(59)에 손톱을 넣어 안전판(52)을 젖히면, 절취선(53)을 따라 안전판(52)은 걸림힌지(55) 까지 분리된다. 안전판(52)을 젖혀 낸 공간을 통하여 엄지 손가락으로 천공 커터(110)의 누름 부위(111)를 누른다. 둘째 는 차단판(64)과의 사이에 걸림힌지(55)가 설치되지 않고 완전히 분리하는 안전판(52)이다. 상부면에 일정한 높이를 구비한 돌출형 누름턱(69)을 다양한 형상으로 구비한 안전판이다. 신외부캡(51)의 차단판(64)으로부터 안전판(52)을 분리한 후에 바로 뒤집어서 분리된 자리에 재 결합하여 손가락을 이용하여 용기 방향으로 누르는 안전판이다. 누름턱(69)의 높이 때문에 천공커터(110)는 쉽게 눌러진다. 상기 두 안전판()에 따른 누르는 힘에 의하여 천공 커터(110)의 칼날 부위(118)는 용기 입구 방향으로 수직 하강하며 보관컵(101)의 하단부위(67)의 유출판(105)을 열어 제친다. 보관컵(101)에 저장 중인 농축액(116)이 유출판(105)이 젖혀진 구멍을 통하여 용기 내로 내려간다. 용기를 흔들어 농축액(116)과 용기 안의 내용물(117)을 섞는다. 신외부캡(51)을 여는 방향으로 회전시켜 개봉한다. 회전하는 힘을 전달받은 천공커터(110)가 장착된 보관컵(101)은 나사선 핏치의 각도 만큼 상승한다. 신외부캡(51)의 회전력의 전달 과정을 설명한다. 우선, 신외부캡(51)이 용기 입구(123)에 결합하였을 때의 구조를 설명한다. 신외부캡(51)의 몸체 측면 내부면(65)에 원주를 따라 돌출형으로 설치된 걸림턱C(62)는 보관컵(101)의 날개 부위(102)의 걸림홈(113)과 요철 형상으로 결합한다. 또한 신외부캡(51)의 하단 부위(67) 근처에 설치된 나사선(63)은 용기 입구(123) 외부면(124)에 설치된 나사산(76)과 결합한다. 신 외부캡(51)을 여는 방향으로 회전하면 나사선의 핏치 각도만큼 신 외부캡은 상승한다. 상승하는 높이 만큼 신외부캡(51)의 걸림턱C(62)과 결합되어 있는 보관컵(101)의 걸림홈(113)을 상승 시켜서 보관컵(101)을 용기 입구(123)로부터 이격시킨다. 본 발명의 장점은, 신 외부캡(51)을 용기입구(123)로 부터 분리 시키지 않은 상태에서, 보관컵(101)에 보관 중인 농축액(116)을 용기 안으로 유입시키고, 신외부캡(51)을 회전시켜서 보관 컵(101)을 용기 입구로부터 이탈시킴으로써 손에 내용물이 묻는 것을 방지하면서 천공 커터(110)가 장착된 보관컵(101)을 용기 입구로부터 간편하게 이탈시키는 데 있다.본 구조는 본 발명에만 제한되지 않고, 다른 산업 또는 제품에 일부 또는 전부를 적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내용물(농축액, 파우더 등)이 들어있고 천공커터를 장착한 보관컵을 또 다른 내용물이 보관 중인 용기의 입구에 1차 결합한 후에 절취선 및 제거부위를 구비한 외부캡을 보관컵을 덮어씌우면서 용기 입구에 2차 결합하는 제품에 있어서, 안전판과 절취선, 제거홈을 구비하는 차단판을 상부면에 구비하는 신 외부캡과; 하부면에 일체형으로 다양한 길이의 수직 막대형의 유격턱을 갖는 안전판과; 신외부캡의 몸체 측면 내부면에 중심부를 향하여 원주를 따라 돌출형의 걸림턱C를 갖는 것과; 몸체 측면 내부면의 하단 부위에 돌출형 나사선과 스커트(T.E. Band) 및 스커트용 브릿지를 구비하는 신 외부 캡과; 용기 입구 외부면에 나사선과 스커트 걸림턱을 구비하는 용기에 관한 모든 것을 개시한다.
몸체 측면과 수직으로 만나는 차단판의 원주보다 항상 직경이 작은 원주 크기로 설치되는 안전판과, 차단판 내주면과 안전판의 외주면이 절취선(차단판의 두께보다 얇게 처리) 또는 브릿지(차단판과 안전판을 완전히 분리한 상태에서 상기 두개의 판 사이는 뜯어지기 쉬운 크기로 연결하는 가느다란 선)로 연결되는 차단판을 개시한다.
내부가 보이는 일정한 크기의 틈(구멍)을 구비하며, 신외부캡의 측면 몸체와 차단판 사이(직각 부위)의 일정 위치에 설치되는 제거홈을 개시한다.
수직 막대 또는 다양한 형상(예 : 하부가 개방되고 중공의 원통, 기타)으로서 하나 이상 설치되는 유격턱을 개시한다.
신외부캡을 용기 입구에 결합하였을 때에, 신외부캡의 몸체 측면 내부면에 설치되는 걸림턱C가 보관컵의 날개 부위에 설치된 걸림홈과 결합할 수 있도록 동일한 높이를 갖는 걸림턱 C를 개시한다.
신외부캡을 용기 입구의 상부의 어떤 위치에서 강제 결합을 한 후에 토크(Torque) 공정으로 처리하지 않아도, 신외부캡을 개봉 시에 신외부캡의 회전에 의해 상승하는 높이가 보관컵을 용기 입구로부터 이격하는데 필요한 높이가 충분이 확보되도록 설치되는 용기 입구 나사산 또는 신외부캡의 나사산의 길이와 나사산의 각도를 개시한다.
안전판의 직경보다 작은 직경의 크기 내에서 안전판의 상부면에 돌출형으로서 다양한 형상과 높이로 하나 이상 설치되는 누름턱을 개시한다.

Claims (3)

  1. 제1내용물이 담기는 용기와;
    상기 용기의 용기 입구에 결합되어 제1내용물과 섞이는 제2내용물이 들어있고 천공커터(110)가 장착된 보관컵(101)과;
    용기입구에 결합되어 상기 보관컵(101)을 덮어씌우는 신 외부캡(51)을 포함하며,
    상기 신 외부캡(51)은,
    상단에 상부면(60)을 구비하며 상기 용기 입구에 결합되는 측면 몸체(68)와;
    하강에 의하여 상기 천공커터(110)를 가압하는 안전판(52)을 포함하며,
    상기 안전판(52)은, 상면에 상기 안전판(52)의 외주보다 작은 누름턱(69)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신 외부캡(51)은, 상기 안전판(52)이 상기 상부면(60)으로부터 분리가 용이하도록 측면으로 노출되는 제거홈(59)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신 외부캡(51)의 내주면에 상기 보관컵(110)이 걸림되는 걸림턱C(62)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
KR1020230100911A 2015-05-06 2023-08-02 두 물질을 혼합하는 특수 기능의 구조를 갖는 병마개 KR2023011878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100911A KR20230118786A (ko) 2015-05-06 2023-08-02 두 물질을 혼합하는 특수 기능의 구조를 갖는 병마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64657A KR102564472B1 (ko) 2015-05-06 2015-05-06 두 물질을 혼합하는 특수 기능의 구조를 갖는 병마개
KR1020230100911A KR20230118786A (ko) 2015-05-06 2023-08-02 두 물질을 혼합하는 특수 기능의 구조를 갖는 병마개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64657A Division KR102564472B1 (ko) 2015-05-06 2015-05-06 두 물질을 혼합하는 특수 기능의 구조를 갖는 병마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18786A true KR20230118786A (ko) 2023-08-14

Family

ID=57540869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64657A KR102564472B1 (ko) 2015-05-06 2015-05-06 두 물질을 혼합하는 특수 기능의 구조를 갖는 병마개
KR1020230100911A KR20230118786A (ko) 2015-05-06 2023-08-02 두 물질을 혼합하는 특수 기능의 구조를 갖는 병마개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64657A KR102564472B1 (ko) 2015-05-06 2015-05-06 두 물질을 혼합하는 특수 기능의 구조를 갖는 병마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2) KR102564472B1 (ko)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1732821A4 (en) * 2004-02-02 2008-03-19 Young-Kook Cho BOTTLE VERSCHLUSSKAPPE
KR101286202B1 (ko) * 2005-04-27 2013-07-15 노희권 어린이 보호용 마개
KR20130087339A (ko) * 2012-01-27 2013-08-06 안진희 두 물질을 혼합하는 버튼형 병마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31697A (ko) 2016-11-16
KR102564472B1 (ko) 2023-08-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473290C (en) Container for containing two different separate products and mixing them
US4770305A (en) Bottle cap
EP1594757A1 (en) Tamper evident closure assemblies
JP4557224B2 (ja) 中栓付きキャップ
JP6138651B2 (ja) 中栓付きキャップ
EP1730048B1 (en) A capsule incorporating a doser and openable security cap, in particular for single-dose flagons
KR101006921B1 (ko) 자동으로 실링 부재가 제거되는 뚜껑
KR20230118786A (ko) 두 물질을 혼합하는 특수 기능의 구조를 갖는 병마개
RU2732089C2 (ru) Емкость
JP6240469B2 (ja) 樹脂製ヒンジキャップ
JP3579881B2 (ja) 閉鎖膜付チューブ容器
KR20190082643A (ko) 역회전 기능을 갖는 스크루 타입 병마개-2
KR101275644B1 (ko) 용기의 입구에 장착된 실링 부재를 제거하여 뚜껑의내부에 끼게되는 기능을 갖는 뚜껑
JP2000128217A (ja) 液体用紙容器の口栓
KR20130087339A (ko) 두 물질을 혼합하는 버튼형 병마개
CN211663807U (zh) 穿刺盖及饮料瓶
KR20180031533A (ko) 외캡이 누름판 구조를 갖는 병마개
JP5855521B2 (ja) 注出栓
KR20170095096A (ko) 두 물질을 혼합하는 플라스틱 병 마개-3
JP2005206222A (ja) プルリング付きキャップ
JP2005053542A (ja) 不正開封防止機能付キャップ
JPS63218054A (ja) 最初孔を開けることのできる蓋で閉じられている容器用の栓
KR20130085890A (ko) 두 물질을 혼합하는 플라스틱 병 마개
JP4147031B2 (ja) 誤操作を防止した閉鎖膜付チューブ
KR20180042093A (ko) 외캡이 누름판 구조를 갖는 병마개 - 2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