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18652A - 절삭 가공을 위한 공구 및 그에 대한 절삭 인서트의사용 - Google Patents

절삭 가공을 위한 공구 및 그에 대한 절삭 인서트의사용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18652A
KR20230118652A KR1020237023633A KR20237023633A KR20230118652A KR 20230118652 A KR20230118652 A KR 20230118652A KR 1020237023633 A KR1020237023633 A KR 1020237023633A KR 20237023633 A KR20237023633 A KR 20237023633A KR 20230118652 A KR20230118652 A KR 2023011865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le
cutting insert
cutting
tool
screw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702363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페터 부르췌
Original Assignee
세라티지트 오스트리아 게젤샤프트 엠.베.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세라티지트 오스트리아 게젤샤프트 엠.베.하 filed Critical 세라티지트 오스트리아 게젤샤프트 엠.베.하
Publication of KR2023011865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18652A/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CMILLING
    • B23C5/00Milling-cutters
    • B23C5/16Milling-cutters characterised by physical features other than shape
    • B23C5/20Milling-cutters characterised by physical features other than shape with removable cutter bits or teeth or cutting inserts
    • B23C5/22Securing arrangements for bits or teeth or cutting inserts
    • B23C5/2204Securing arrangements for bits or teeth or cutting inserts with cutting inserts clamped against the walls of the recess in the cutter body by a clamping member acting upon the wall of a hole in the insert
    • B23C5/2208Securing arrangements for bits or teeth or cutting inserts with cutting inserts clamped against the walls of the recess in the cutter body by a clamping member acting upon the wall of a hole in the insert for plate-like cutting inserts 
    • B23C5/2213Securing arrangements for bits or teeth or cutting inserts with cutting inserts clamped against the walls of the recess in the cutter body by a clamping member acting upon the wall of a hole in the insert for plate-like cutting inserts  having a special shap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CMILLING
    • B23C2210/00Details of milling cutters
    • B23C2210/16Fixation of inserts or cutting bits in the tool
    • B23C2210/161Elastically deformable clamping memb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CMILLING
    • B23C2210/00Details of milling cutters
    • B23C2210/16Fixation of inserts or cutting bits in the tool
    • B23C2210/165Fixation bol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illing Processes (AREA)
  • Cutting Tools, Boring Holders, And Turrets (AREA)

Abstract

작동 중에 그를 중심으로 공구가 회전하는 회전축(R)을 갖는 베이스 부재(1), 교체 가능한 절삭 인서트(3)를 수용하기 위해 베이스 부재(1)에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시트(2), 절삭 인서트(3)를 시트(2)에 고정하기 위한 고정 나사(5), 및 시트(2)에 고정된 절삭 인서트(3)를 갖는 절삭 가공용 공구(100)가 제공된다. 시트(2)는 절삭 인서트(3)의 하부면(33)을 지지하기 위한 베이스 면(21), 반경 방향 내향으로 절삭 인서트(3)를 지지하는 제1 측면 접합면(22), 및 절삭 인서트(3)를 축 방향 및 반경 방향 외향으로 지지하는 제2 측면 접합면(23)을 가지며, 베이스 면(21)에 고정 나사(5)를 수용하기 위한 구멍(4)이 형성된다. 구멍(4)은 베이스 면(21)으로부터 간격을 두고 나사 구멍(41)을 가지며 베이스 면(21) 방향으로 더 가까운 나사산 없는 구멍 부분(42)을 갖는다. 고정 나사(5)는 나사 구멍(41)과 협력하기 위한 나사 부분(51), 절삭 인서트(3)의 관통 구멍(36)에서 지지하기 위한 헤드 부분(53) 및 나사 부분(51)과 헤드 부분(53) 사이에 나사산 없는 샤프트 부분(52)을 갖는다. 나사산 없는 샤프트 부분(52)은 나사산 없는 구멍 부분(42)보다 작은 단면적을 갖는다. 고정 나사(5)의 헤드 부분(53)이 절삭 인서트(3)의 관통 구멍(36)에 지지되는 방식으로 절삭 인서트(3)가 시트(2)에 고정되고, 고정 나사(5)의 나사산 부분(51)은 나사 구멍(41)과 협력하고 고정 나사(3)의 헤드 부분(53)은 나사산 없는 샤프트 부분(52)이 베이스 면(21)에 수직인 방향으로 볼 때 공구의 자유 단부(12) 방향으로 축방향으로 그리고 반경 방향 외향으로 위치된 제2 사분면(Q2)에서 나사산 없는 구멍 부분(42)에 지지되는 방식으로 탄성적으로 편향된다.

Description

절삭 가공을 위한 공구 및 그에 대한 절삭 인서트의 사용
본 발명은 절삭 가공(cutting processing)을 위한 공구 및 그러한 공구에 절삭 인서트(cutting insert)를 사용하는 것에 관한 것이다.
특히 금속 재료 및 또한 점점 더 많은 복합 재료의 절삭 가공 중에, 가공할 재료와 맞물리도록 이동하는 블레이드가 단단하고 내마모성 재료로 형성되며 특히 예를 들어 공구강과 같은 더 강인한 재료로 형성된 베이스 부재 상에 이러한 목적을 위해 제공되는 시트(seat) 상에 배열된 교체 가능한 절삭 인서트에 형성되는 공구가 종종 사용된다. 이 경우 교체 가능한 절삭 인서트는 흔히 소위 인덱서블 인서트(indexable inserts) 또는 인덱서블 절삭 인서트(indexable cutting inserts)의 형태로 되어 있으며, 이들은 각각의 이전 블레이드가 마모될 때 베이스 부재의 활성 절삭 위치에서 차례로 이동할 수 있는 복수의 블레이드를 갖는다. 이 경우 절삭 인서트는 일반적으로 경금속(hard metal)(초경합금(cemented carbide)), 서멧(Cermet) 또는 세라믹 절삭 재료로 형성될 수 있다.
밀링에 의한 절삭 가공을 위해 구성된 공구에서, 베이스 부재는 공구 작동 중에 그를 중심으로 베이스 부재가 회전하는 회전축을 갖는다. 예를 들어 베이스 부재는 교체 가능한 절삭 인서트를 수용하기 위한 단 하나의 시트를 가질 수 있다. 그러나, 전형적으로, 공구의 베이스 부재의 둘레에 분포된 상태로 배열된 복수의 이러한 시트가 제공된다. 이러한 공구로 절삭하는 동안 생산성을 높이기 위해 적절한 재료로 공구를 점점 더 빠른 속도로 작동하고 속도가 종종 분당 수만 번의 회전인 소위 고속 밀러 또는 고속 커터로 구성하는 경향이 있다.
초고속으로 이러한 공구를 작동하는 동안, 일반적으로 발생하고 주로 접선 방향과 축 방향으로 작용하는 절삭력에 더하여, 특히 절삭 인서트의 고속의 결과로서 작용하는 원심력은 또한 문제를 야기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반경 방향(radial), 축 방향(axial) 및 접선 방향(tangential)이라는 용어가 사용되는 한, 이들은 특정 상황에서 다른 기준이 도출될 수 없는 한 각각의 경우 공구의 베이스 부재의 회전 축을 나타낸다.
높은 원심력은 예를 들어 절삭 인서트(cutting insert)가 고정 나사에 의해 시트에 고정되는 경우 베이스 부재의 시트에서 절삭 인서트의 위치가 변경될 수 있으며 또한 극단적인 경우 고정 나사가 파손되어 절삭 인서트가 시트에서 분리될 수 있다. 절삭 가공 작업 중에 이런 일이 발생하면 가공할 공작물이 손상될 수 있으며 추가로 안전 위험이 발생할 수 있다.
EP 1 083 017 A1은 교체 가능한 절삭 인서트를 수용하기 위한 시트가 절삭 인서트의 하부면과 포지티브-로킹 방식으로(in a positive-locking manner) 어느 정도 협력하는 형상으로 제공되는 고속 가공용 절삭 공구를 기술한다.
본 발명의 목적은 활성 원심력에 대한 제조 공차에 대해 민감하지 않은 방식으로 절삭 인서트가 안정적으로 지지되고 절삭 인서트가 시트에 클램핑되는 클램핑력이 더 좁은 범위 내에서 미리 결정될 수 있는, 높은 회전 속도에서 절삭 가공을 위한 개선된 공구, 절삭 인서트의 개선된 사용 및 절삭 인서트를 고정하는 개선된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은 청구항 제1항에 따른 절삭 가공용 공구에 의해 달성된다. 유리한 개발예들은 종속 청구항에 제시되어 있다.
공구는 작동 중에 그를 중심으로 공구가 회전하는 회전축을 갖는 베이스 부재(base member), 교체 가능한 절삭 인서트를 수용하기 위해 베이스 부재에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시트(seat), 절삭 인서트를 시트에 고정하기 위한 고정 나사, 및 시트에 고정되는 절삭 인서트를 포함한다. 시트는 절삭 인서트의 하부면을 지지하기 위한 베이스 면, 절삭 인서트의 제1 측면에 접하기 위한 제1 측면 접합면(접촉면)(first lateral abutment face)을 가지며, 상기 제1 측면 접합면은 절삭 인서트를 반경 방향 내측 방향으로 지지하며, 절삭 인서트의 제2 측면에 접하기 위한 제2 측면 접합면(접촉면)(second lateral abutment face)을 가지며, 상기 제2 측면 접합면은 절삭 인서트를 축 방향으로 그리고 반경 방향 외측 방향으로 지지한다. 베이스 면에는 고정 나사를 수용하기 위한 구멍이 형성되어 있다. 구멍은 베이스 면으로부터 간격을 두고 나사형 구멍을 갖고 베이스 면 방향으로 더 가까운 나사 없는 구멍 부분을 갖는다. 고정 나사는 나사 구멍과 협력하기 위한 나사 부분, 절삭 인서트의 관통 구멍에서 지지하기 위한 헤드 부분 및 나사산 부분과 헤드 부분 사이에 나사산 없는 샤프트 부분을 가지며, 나사산 없는 샤프트 부분은 나사산이 없는 구멍 부분보다 단면적이 작다. 절삭 인서트는 고정 나사의 헤드 부분이 절삭 인서트의 관통 구멍에 지지되고 고정 나사의 나사 부분이 나사 구멍과 협력하는(상호작용하는) 방식으로 시트에 고정되며, 고정 나사의 헤드 부분은 나사산이 없는 샤프트 부분이 베이스 면에 수직인 방향으로 볼 때 공구의 자유 단부 방향으로 축방향으로 그리고 반경방향 외향 방향으로 위치된 제2 사분면에서 나사산 없는 구멍 부분에 지지되는 방식으로 탄성적으로 편향된다.
베이스 면에 수직인 시야 방향에서, 구멍은 4개의 사분면을 가지며, 그 중 2개(3사분면 및 4사분면)는 반경 방향 내측, 즉 베이스 부재의 회전축에 더 가깝게 위치하며, 2개(1사분면 및 2사분면)는 반경 방향 외측, 즉 베이스 부재의 회전축으로부터 더 멀리 떨어진 곳에 위치한다. 반경 방향 내측에 위치한 사분면들 중 하나인 제3 사분면과 반경 방향 외측에 위치한 구멍의 사분면들 중 하나인 제2 사분면은 각 경우에 공구의 자유 단부 방향으로 축 방향으로 위치하며, 이것은 이하에서 "축 방향 전방(axially at the front)"이라고도 지칭될 것이다. 반경 방향 내부 사분면들 중 다른 하나인 제4 사분면 및 반경 방향 외부 사분면인 제1 사분면은 각각의 경우 공구의 자유 단부로부터 멀어지는 방향, 즉 공구의 클램핑 단부 방향으로 위치하며, 이것은 이하에서 "축 방향 후방(axially at the rear)"이라고도 지칭될 것이다. 결과적으로 - 시계 방향으로 보았을 때 - 자유 단부로부터 멀어지는 쪽을 향하는 반경 방향 외부 제1 사분면, 자유 단부 방향으로 축 방향으로 위치한 반경 방향 외부 제2 사분면, 자유 단부 방향으로 축 방향으로 위치한 반경 방향 내부 제3 사분면 및 자유 단부로부터 멀어지는 쪽을 향하는 반경 방향 내부 제4 사분면이 있다.
제2 측면 접합면(second lateral abutment face)이 절삭 인서트(cutting insert)의 제2 측면(second lateral face)에 맞닿도록 제공되며, 이 면은 절삭 인서트를 축방향 및 반경 방향 외측 방향으로 지지하고, 추가로 고정 나사는 나사산 없는 샤프트 부분이 공구의 자유 단부 방향으로 축방향으로 위치한 반경 방향 외부의 제2 사분면에서 나사산 없는 구멍 부분에 지지되도록 탄성 방식으로 편향되기 때문에, 절삭 인서트는 원심력에 대해 포지티브 로킹 방식으로(in a positive-locking manner) 서로 공간적으로 이격된 2개의 위치에서 지지되어 공구의 고속에서도 시트에서 절삭 인서트의 드리프팅(drifting)이 확실하게 방지된다. 나사산 없는 구멍 부분에서 나사산 없는 샤프트 부분의 지지는 고정 나사의 헤드 부분과 나사산 없는 샤프트 부분의 탄성 편향(resilient deflection)에 의해 수행되므로, 제1 및 제2 측면 접합면, 구멍 및 고정 나사의 제조 공차들(production tolerances)은 고정 나사의 탄성 변형(resilient deformation)을 통해 신뢰 가능하게 보상될 수 있다. 또한, 절삭 인서트가 시트에 클램핑되는 클램핑력(clamping force)은 클램핑 나사의 탄성 특성(resilient properties)에 의해 미리 결정될 수 있다.
개발예에 따르면, 반경 방향 내측 방향으로 위치되고 공구의 자유 단부로부터 멀어지는 쪽을 향하는 제4 사분면의 나사산 없는 샤프트 부분은 나사산 없는 구멍 부분으로부터 이격된다. 결과적으로 나사산 없는 구멍 부분은 반경 방향 바깥쪽 방향과 공구의 자유 단부의 방향에 위치한 사분면에서 나사산 없는 샤프트 부분이 나사산 없는 구멍 부분에 맞닿을 때까지 방해받지 않는 방식으로 탄성적으로 편향될 수 있도록 고정 나사의 나사산 없는 샤프트 부분에 대해 대응하는 초과 치수를 갖는다. 이러한 방식으로 절삭 인서트와 측면 접합면의 공차가 특히 잘 보상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나사산 없는 샤프트 부분은 또한 제1 사분면 및 제3 사분면에서 나사산 없는 구멍 부분으로부터 이격된다.
고정 나사의 헤드 부분이 반경 방향 외향으로 그리고 공구의 자유 단부 방향으로 축 방향으로 탄성적으로 편향될 때, 절삭 인서트는 제1 측면 접합면과 제2 측면 접합면 모두에 대해 특히 신뢰 가능한 방식으로 클램핑된다.
개발예에 따르면, 제1 측면 접합면과 제2 측면 접합면은 베이스 면에 수직인 시야 방향에서 서로 < 75°의 각도를 이룬다. 이 경우 절삭 인서트는 포지티브 록킹 방식으로 특히 안정적인 방식으로 둘러싸여 결과적으로 활성 원심력에 대해 고정된다. 바람직하게는, 각도는 < 65°일 수 있다. 이 경우, 제1 측면 접합면과 제2 측면 접합면에 의해 둘러싸이는 각도는 바람직하게는 > 35°, 더 바람직하게는 > 40°로, 시트에 절삭 인서트의 안정적인 둘러쌈을 제공한다.
개발예에 따르면, 고정 나사의 헤드 부분은 관통 구멍의 최소 단면보다 큰 고정 나사의 축에 수직으로 가장 큰 단면을 갖는다. 환언하면, 이 경우, 고정 나사의 헤드 부분이 절삭 인서트의 관통 구멍을 통해 안내될 수 없다. 이 경우 절삭 인서트는 특히 신뢰 가능한 포지티브 로킹 방식으로 시트에 고정된다.
개발예에 따르면, 나사 구멍의 종축은 고정 나사의 헤드 부분과 절삭 인서트의 관통 구멍 사이의 접촉의 평면에서 관통 구멍의 종축에 대해 제1 측면 접합면을 향하는 방향으로 그리고 제2 측면 접합면을 향하는 방향으로 오프셋된다. 이 경우, 절삭 인서트는 제1 측면 접합면 방향 및 제2 측면 접합면 방향으로 신뢰 가능하게 클램핑되고 고정 나사의 나사산 없는 샤프트 부분은 탄성 편향에 의해 나사산 없는 구멍 부분과 신뢰 가능하게 맞닿게 된다.
제1 측면 접합면의 표면 법선이 반경 방향 외향 방향 성분을 주요 성분(main component)으로 가질 때, 제1 측면 접합면은 반경 방향 내부로 작용하는 힘에 대해 특히 신뢰할 수 있는 방식으로 절삭 인서트를 지지한다. 반경 방향 외향 방향 성분에 더하여, 표면 법선은 또한 축 방향 및/또는 접선 방향의 값 면에서 더 작은 방향 성분을 가질 수 있다.
개발예에 따르면, 제2 측면 접합면의 표면 법선은 축 방향 성분 및 반경 방향 내측 방향 성분을 갖는다. 이 경우 절삭 인서트는 축 방향으로 작용하는 힘과 원심력에 대해 제2 측면 접합면에 의해 신뢰 가능하게 지지된다. 제2 측면 접합면의 표면 법선은 또한 - 값 면에서 더 작은 - 접선 방향 성분을 가질 수 있다.
개발예에 따르면, 베이스 면의 표면 법선은 접선 방향 성분을 주성분으로 갖는다. 이 경우, 절삭 인서트는 주로 접선 방향으로 작용하는 절삭력에 대해 특히 신뢰 가능한 방식으로 시트에 지지된다. 베이스 면의 표면 법선은 또한 반경 방향 및/또는 축 방향의 값 면에서 더 작은 방향 성분을 가질 수 있다.
개발예에 따르면, 적어도 구멍의, 공구의 자유 단부 방향으로 축 방향으로 그리고 반경 방향 외향 방향으로 위치한 제2 사분면에 있는 나사산 없는 구멍 부분의 벽은 구멍 측에서 원주 방향으로 오목한 방식으로 만곡되도록 구성된다. 이 경우, 제1 측면 접합면 및 제2 측면 접합면 및 이와 협력하는 절삭 인서트의 영역에서의 공차는 헤드 부분의 탄성 편향과 함께 나사산 없는 구멍 부분 상의 나사산 없는 샤프트 부분의 접촉 영역이 제2 사분면에서 더 큰 각도 범위 내에서 조정될 수 있다는 점에서 특히 신뢰할 수 있는 방식으로 보상된다.
개발예에 따르면, 나사산이 없는 구멍 부분은 실질적으로 원형인 단면을 갖는다. 이 경우, 나사산이 없는 구멍 부분은 특히 간단하고 비용 효율적인 방식으로 구성될 수 있다. 그러나, 원형 단면과 다른 단면 형상으로 나사산이 없는 구멍 부분을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개발예에 따르면, 나사산 없는 구멍 부분은 나사 구멍과 평행하게 구성된다. 이는 구멍과 그 안에 수용되는 고정 나사 모두의 특히 간단하고 비용 효율적인 생산을 가능하게 한다. 바람직하게는, 나사산 없는 구멍 부분은 나사 구멍에 대해 동축으로 구성된다.
개발예에 따르면 이 공구는 분당 10,000 회전 이상의 속도에서의 절삭 가공 작업을 위해 구성된 고속 밀링 커터이다. 특히 고속 가공을 위해 구성된 이러한 공구의 경우 활성 원심력에 대한 신뢰 가능한 고정이 특히 중요하다.
상기 목적은 또한 청구항 제14항에 따른 그러한 공구에 절삭 인서트를 사용함으로써 달성된다. 사용하는 동안, 공구와 관련하여 전술한 이점이 달성된다.
상기 목적은 또한 청구항 제15항에 따른 절삭 인서트를 고정하기 위한 방법으로 달성된다.
절삭 인서트를 공구의 베이스 부재의 시트에 고정하는 방법에 있어서, 베이스 부재는 작동 중에 공구가 회전하는 회전축을 가지며, 시트는 절삭 인서트의 하부면을 지지하기 위한 베이스 면, 반경 방향 내측 방향으로 절삭 인서트를 지지하는 제1 측면 접합면, 및 축 방향 및 반경 방향 외측 방향으로 절삭 인서트를 지지하는 제2 측면 접합면을 갖는다. 고정 나사를 수용하기 위한 구멍이 베이스 면에 형성되고 구멍은 베이스 면으로부터 간격을 두고 나사 구멍을 가지며 베이스 면 방향으로 더 가까운 나사산 없는 구멍 부분을 갖는다. 이 방법은 다음 단계들을 갖는다:
- 절삭 인서트의 하부면이 베이스 면에 지지되고, 제1 측면이 제1 측면 접합면에 지지되고 제2 측면이 제2 측면 접합면에 지지되도록 절삭 인서트를 시트에 배치하는 단계,
- 고정 나사의 나사 부분을 절삭 인서트의 관통 구멍을 통해 구멍으로 안내하여 나사 부분이 이동하여 나사 구멍과 맞물리며, 고정 나사의 헤드 부분과 나사 부분 사이에 배치된 나사산 없는 샤프트 부분 나사산이 없는 구멍 부분 전체에 간격을 두고 안착하는 단계, 및
- 헤드 부분이 처음에 베이스 부재의 자유 단부로부터 멀어지는 쪽을 향하는 반경 방향 내측의 관통 구멍과 맞닿게 이동하고 이어서 헤드 부분과 나사산 없는 샤프트 부분은, 나사산 없는 샤프트 부분이 이동하여, 자유 단부의 방향으로 축 방향으로 그리고 반경 방향 외향 방향으로 위치된, 나사산 없는 구멍 부분의 제2 사분면과 맞닿을 때까지 베이스 부재의 자유 단부의 방향으로 그리고 반경 방향 외향 방향으로 탄성적으로 편향되도록 고정 나사를 조이는 단계.
공구와 관련하여 위에서 설명한 이점은 본 방법으로 달성된다. 공구와 관련하여 설명된 유리한 개발예들은 또한 유리하게 본 방법에 의해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이점 및 유리한 특징은 실시예의 다음 설명 및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이해될 것이다.
본 발명은 활성 원심력에 대한 제조 공차에 대해 민감하지 않은 방식으로 절삭 인서트가 안정적으로 지지되고 절삭 인서트가 시트에 클램핑되는 클램핑력이 더 좁은 범위 내에서 미리 결정될 수 있는, 높은 회전 속도에서 절삭 가공을 위한 개선된 공구, 절삭 인서트의 개선된 사용 및 절삭 인서트를 고정하는 개선된 방법을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공구의 사시도를 도시하며;
도 2는 고정 나사 없이 도 1의 원 영역 B에서 시트 상에 배열된 절삭 인서트를 갖는 시트의 확대도를 도시하며;
도 3은 도 2에 해당하지만 추가로 절삭 인서트가 없는 예시를 도시하며;
도 4는 실시예에서 고정 나사의 개략도를 도시하며;
도 5는 시트 상에 배열된 절삭 인서트를 갖지만 고정 나사가 없는 시트 영역에서 나사산 구멍의 종축을 포함하는 평면의 개략적인 단면도를 도시하며;
도 6은 실시예에서 절삭 인서트의 개략적인 사시도를 도시하며;
도 7은 고정 나사가 조이지 않은 상태에서 고정 나사가 있는 도 5에 상응하는 단면도를 도시하며;
도 8은 도 7에 상응하는 단면도를 도시하지만 고정 나사가 조여진 상태를 갖는, 단면도를 도시하며;
도 9는 고정 나사가 조여지지 않은 상태에서 나사산이 없는 구멍 부분의 영역에서 구멍의 종축에 수직인 방향으로 개략적인 단면도를 도시하며;
도 10은 도 9에 상응하지만 조여진 상태의 고정 나사가 있는 개략적인 단면도를 도시한다.
하나의 실시예가 도면을 참조하여 아래에서 더 상세히 설명된다.
절삭 가공을 위한 공구(100)는 밀링 공구, 특히 분당 최대 수만 회전의 속도로 가공하도록 구성된 고속 밀링 공구의 형태로 구체적으로 도시된 실시예에 있다.
공구(100)는 예를 들어 공구강, Densimet®과 같은 텅스텐 중금속 또는 초경합금(경금속)으로 형성될 수 있는 베이스 부재(base member)(1)를 갖는다. 베이스 부재(1)는 가공 기계(미도시)의 구동 스핀들에 대한 간접 또는 직접 연결을 위한 인터페이스가 제공되는 제1 단부(11) 및 제1 단부(11)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을 향하는 자유 단부(12)를 갖는다. 베이스 부재는, 작업 동안, 즉 절삭 가공 작업 동안 공구(100)가 그를 중심으로 회전하는 회전축(R)을 갖는다.
도 1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베이스 부재(1)의 자유 단부(12) 영역에는 교체 가능한 절삭 인서트(3)를 수용하기 위한 복수의 시트(2)가 제공된다. 시트(2)는 베이스 부재(1)의 원주에 걸쳐 분포된 상태로 배열된다. 구체적으로 도시된 실시예에서는 교체 가능한 절삭 인서트(3)를 수용하기 위한 총 4개의 시트(2)를 갖는 베이스 부재(1)가 도시되어 있지만, 더 적은 이러한 시트(2), 그러나 적어도 하나, 또는 4개 이상이 시트(2)가 제공될 수도 있다. 시트(2)는 각각 내부에 배열된 절삭 인서트(3)가 베이스 부재(1)의 자유 단부(12) 위로 보조날(31)과 함께 축 방향으로 돌출하고 베이스 부재(1) 위로 주날(32)과 함께 반경 방향으로 돌출하는 방식으로 배열된다. 시트(2)는 소위 절삭 인서트(3)의 반경 방향 클램핑을 위해 구성되며, 각각의 시트(2)에 고정된 절삭 인서트(3)의 주요 범위 평면은 각 경우에 실질적으로 반경 방향으로 연장되고 절삭 인서트(3)가 시트에 고정되는 고정 나사(5)의 종축은 주로 접선 방향으로 연장된다. 시트(2)가 서로 실질적으로 동일하게 구성되고 또한 그 위에 배열된 절삭 인서트(3)가 적어도 실질적으로 서로 동일하기 때문에, 단지 하나의 시트(2) 및 그 위에 절삭 인서트(3)를 고정하는 것이 이하에서 더 상세히 설명된다.
절삭 인서트(3)는 특히 도 6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하부면(33) 및 하부면(33) 반대편에 있고 절단면의 형태인 상부면(34)을 갖는 실질적으로 다각형 기본 형상을 갖는다. 하부면(33)과 상부면(34)은 측면에 의해 서로 연결된다. 관통 구멍(36)은 절삭 인서트(3)를 통해 상부면(34)에서 하부면(33)으로 연장된다. 보조날(auxiliary blade)(31)과 주날(main blade)(32)은 상부면(34)에서 측면으로의 전이부를 따라 구성되고 절삭 모서리(cutting corner)에 의해 서로 연결된다. 구체적으로 도시된 실시예에서, 절삭 인서트(3)는 관통 구멍(36)의 종축에 대해 2중 회전 대칭을 가져 각각 주날(32) 및 절삭 모서리(35)에 의해 이에 연결되는 보조날(31)을 갖는 2개의 절삭날 부분들이 제공된다. 도 1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베이스 부재(1)에 절삭 인서트(3)의 조립된 상태에서, 2개의 절삭날 부분 중 하나는 활성 위치에 위치하며, 여기서 주날(32)은 베이스 부재(1) 위로 반경 방향으로 돌출되며, 보조날(31)은 베이스 부재(1) 위로 축방향으로 돌출하고, 2개의 절삭날 부분 중 다른 하나는 비활성 위치에 위치된다.
구체적으로 도시된 실시예에서 상부면(34)에서 측면으로의 전이부에서만 절삭날 부분이 제공되는 절삭 인서트(3)가 도시되어 있지만, 변형예에서 하부면(33)에서 측면으로의 전이부에서 절삭날 부분이 또한 제공되는 절삭 인서트의 양면형 구성(double-sided configuration)도 가능하다.
절삭 인서트(3)는 절삭 인서트(3)가 시트(2)에서 반경 방향 내측 방향으로 지지되는 제1 측면(37)을 갖는다. 제1 측면(37)은 활성 위치에 있는 주날(32)에 대향하는 절삭 인서트(3)의 측면에 형성된다. 설명된 2중 회전 대칭의 결과로, 활성 주날(active main blade)(32)의 주자유면(main free face) 아래에 대향하는 비활성 주날(inactive main blade)(32)과 관련된 추가적인 제1 측면(37)이 또한 위치된다.
절삭 인서트(3)는 절삭 인서트(3)가 시트(2)에서 축방향 및 반경 방향 외측 방향으로 지지되는 제2 측면(38)을 더 갖는다. 제2 측면(38)은 활성 위치에 있는 보조날(31)에 대향하는 절삭 인서트(3)의 측면에 형성된다. 설명된 2중 회전 대칭의 결과로, 활성 보조날(active auxiliary blade)(31)의 측면에는 대향하는 비활성 보조날(inactive auxiliary blade)(31)과 관련된 추가적인 제2 측면(38)이 또한 위치된다.
절삭 인서트(3)가 유지되는 시트(2)는 도 3을 참조하여 아래에서 더 자세히 설명된다.
시트(2)는 절삭 인서트(3)의 하부면(33)을 지지하기 위한 베이스 면(21), 절삭 인서트(3)의 제1 측면(37)에 대해 접하기 위한 제1 측면 접합면(22) 및 절삭 인서트(3)의 제2 측면(38)에 대해 접하기 위한 제2 측면 접합면(23)을 갖는다.
베이스 면(21)의 표면 법선은 주성분으로 접선 방향 성분을 갖는다. 또한, 베이스 면(21)의 표면 법선은 또한 값 면에서 더 작은 축 방향 및/또는 반경 방향 성분을 가질 수 있다.
제1 측면 접합면(22)은 반경 방향 내측 방향으로 절삭 인서트(3)을 지지한다. 제1 측면 접합면(22)은 예를 들어 연속면의 형태일 수 있다. 그러나, 예를 들어, 제1 측면 접합면(22)이 예를 들어 도 3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반경 방향 내측 방향으로 지지를 위해 서로 분리된 복수의 부분면을 갖는 것도 가능하다. 반경 방향 내측 방향으로 지지하기 위해, 제1 측면 접합면(22)의 표면 법선은 반경 방향 외측 방향 성분을 주성분으로 갖는다. 제1 측면 접합면(22)의 표면 법선은 이 경우에 예를 들어 반경 방향 외향으로 향하는 방향 성분만을 가질 수 있거나 값의 관점에서 훨씬 더 작은 접선 방향 및/또는 축 방향 성분을 추가로 가질 수도 있다.
제2 측면 접합면(23)은 축 방향 및 반경 방향 외향 방향 모두에서 베이스 부재(1)의 자유 단부(12)로부터 멀어지는 쪽을 향하는 측면에서 절삭 인서트(3)를 지지한다. 이를 위해, 제2 측면 접합면(23)의 표면 법선은 베이스 부재(1)의 자유 단부(12) 방향의 축 방향 성분과 반경 방향 내향 방향 성분을 모두 갖는다. 추가적으로, 제2 측면 접합면(23)의 표면 법선은 예를 들어 도 3에 도시된 제2 측면 접합면(23)의 경우와 같이 작은 접선 방향 성분을 또한 더 가질 수 있다.
도 3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제1 측면 접합면(22) 및 제2 측면 접합면(23)은 베이스 면(21)에 대해 수직으로 볼 때 75°미만, 바람직하게는 65°미만인 내각(α)을 함께 에워싼다. 구체적으로 예시된 실시예에서, 내각(α)은 대략 60°이다. 제1 측면 접합면(22)은 내각 ≥ 90°로 베이스 면(21)과 둘러싼다. 제2 측면 접합면(23)은 내각 ≥ 90°로 베이스 면과 둘러싼다. 구체적으로 도시된 실시예에서, 베이스 면(21)과 제1 측면 접합면(22) 사이의 내각은 90°보다 약간 크고, 예를 들어 대략 100°일 수 있다. 동일한 방식으로, 베이스 면(21)과 제2 측면 접합면(22) 사이의 내각은 90°보다 약간 크고, 예를 들어 대략 100°일 수 있다. 하부면(33)에서 측면으로의 전이부에도 절삭날 부분이 형성되는 절삭 인서트(3)의 양면형 구성의 경우, 베이스 면(21)과 측면 접합면(22) 사이의 내각은 각각의 경우에 바람직하게는 90°일 수 있다.
도 3 및 도 5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시트(2)의 베이스 면(21)에는 구멍(4)이 형성되어 있다. 구멍(4)은 베이스 면(21)으로부터 베이스 부재(1)의 재료로 연장되고 베이스 면(21)으로부터 이격된 영역에 고정 나사(5)의 대응하는 외부 나사산과 협력하기 위한 내부 나사산이 있는 나사 구멍(41)을 갖고, 이것은 이하에서 더 자세히 설명될 것이다. 나사 구멍(41)과 베이스면(21)의 구멍(4)의 개구부 사이에는 나사산이 없는 구멍 부분(thread-free hole portion)(42)이 형성되어 있다. 구체적으로 도시된 실시예에서, 나사산이 없는 구멍 부분(42)은 원형 단면을 가지며 나사산 구멍(41)에 대해 동축으로 연장된다. 그러나 나사산 없는 구멍 부분(42)이 다른 단면 형상을 갖는 것도 가능하다.
도 4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고정 나사(5)는 나사 구멍(41)과 협력하도록 구성된 나사 부분(52), 헤드 부분(53) 및 헤드 부분(53)과 나사 부분(51) 사이에 배치된 나사산 없는 샤프트 부분(52)을 갖는다. 구체적으로 도시된 실시예에서, 나사 부분(51)과 나사산 없는 샤프트 부분(52) 사이에 고정 나사(5)의 종축에 수직인 방향으로 나사 부분(51)에 대한 헤드 부분(53)의 상대적인 탄성 편향(relative resilient deflection)을 촉진하는 테이퍼형 부분이 제공된다. 고정 나사(5)의 헤드 부분(53)은 절삭 인서트(3)의 관통 구멍(36)과 협력하도록 구성된다. 헤드 부분(53)은 관통 구멍(36)의 최소 내부 단면보다 더 큰 최대 단면을 가져 헤드 부분(53)이 관통 구멍(36)을 통해 완전히 연장될 수 없다. 헤드 부분(53)은 헤드 부분(53)이 관통 구멍(36) 상에 지지될 수 있는 방식으로, 특히 바람직하게는 환형 방식으로 지지될 수 있는 방식으로 관통 구멍(36)의 형상에 맞춰진다. 고정 나사(5)의 나사산 없는 샤프트 부분(52)은 구멍(4)의 나사산 없는 구멍 부분(42)의 단면보다 상당히 더 작은 단면을 갖는다. 환언하면, 나사산 없는 구멍 부분(42)은 나사산 없는 샤프트 부분(52)에 대해 모든 둘레에 정밀하게 끼워지는 생산에 있어서 종래의 공차보다 상당히 더 큰 초과 치수를 갖는다.
특히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나사산 없는 구멍 부분(42)은 4개의 사분면(Q1, Q2, Q3 및 Q4)을 가지며, 이들은 이 경우에는 시계 방향으로 번호가 매겨진다. 나사산 없는 구멍 부분(42)의 제1 사분면(Q1)은 나사산 없는 구멍 부분(42)의, 베이스 부재(1)의 자유 단부(12)로부터 멀어지는 쪽을 향하며 그리고 반경 방향 외향 방향으로 위치하는 측에 위치한다. 제2 사분면(Q2)는 자유 단부(12)의 측면 및 반경 방향 외측에 위치한다. 제3 사분면(Q3)도 자유 단부(12)의 측면에 있지만 반경 방향 내측에 위치한다. 제4 사분면(Q4)은 반경 방향 내측에서 자유 단부(12)로부터 멀어지는 쪽을 향하는 측면에 위치된다. 환언하면, 제1 사분면(Q1)은 회전축(R)과 평행한 방향에서 시작하여 "12시와 3시" 사이의 범위에 위치하고, 제2 사분면(Q2)은 "3시와 6시" 사이의 범위에 있고, 제3 사분면(Q3)은 "6시와 9시" 사이의 범위에 있고, 제4 사분면(Q4)는 "9시와 12시" 사이의 범위에 있다.
도 7 내지 도 10을 참조하여 고정 나사(5)에 의해 절삭 인서트(3)가 시트(2)에 유지되는 방법이 아래에서 더 상세히 설명될 것이다.
먼저 도 7 및 도 9를 참조하여 시트(2)에 절삭 인서트(3)가 배치되고 고정 나사(5)가 절삭 인서트(3)의 관통 구멍(36)을 통해 나사 부분(51)과 함께 안내되어 나사 부분(51)이 나사 구멍(41)과 맞물리고 나사산 없는 샤프트 부분(52)이 나사산 없는 구멍 부분(42)에 배치되지만 고정 나사(5)가 아직 조여지지 않은 경우의 상태가 기술된다. 이 상태에서, 나사산 없는 샤프트 부분(52)은 특히 도 9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초과 치수가 제공되는 나사산 없는 구멍 부분(42)으로부터 모든 측면에서 이격된다. 환언하면, 나사산 없는 샤프트 부분(52)은 나사산 없는 구멍 부분(42)으로부터 이격된 제1 사분면(Q1) 및 제2 사분면(Q2) 모두에서, 제3 사분면(Q3) 및 제4 사분면(Q4)에서 이 상태에 있다. 예를 들어, 도 5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나사 구멍(41)의 종축(Z)은 제1 측면 접합면(23)의 방향과 제2 측면 접합면의 방향 모두에서 절삭 인서트의 관통 구멍(36)의 종축(W)에 대해 약간 오프셋되어 있다. 도 2에서, 나사 구멍(41)의 종축(Z)이 관통 구멍(36)의 종축(W)에 대해 변위되는 방향을 화살표 P로 개략적으로 도시한다(축척하지 않음). 이 방향은 축 방향에 대해 각도 ß로 경사진 방식으로 연장되어 상기 방향은 방사상 안쪽으로 향하는 방향 성분과 베이스 부재(1)의 제1 단부(11) 방향으로 후방을 향해 축방향으로 향하는 방향 성분을 갖는다는 것을 알 수 있다. 구체적으로 예시된 예에서, 각도 β는 예를 들어 50°와 70°사이이다.
고정 나사(5)를 조이면 나사 부분(51)이 나사 구멍에 더 깊게 나사 결합되어 고정 나사(5)의 헤드 부분(53)이 절삭 인서트(3)의 관통 구멍(36)과 맞닿게 된다. 관통 구멍(36)의 종축(W)과 나사 구멍(41)의 종축(Z) 사이의 설명된 오프셋의 결과로서, 이 경우 헤드 부분(53)은 먼저 시트(2)의 제1 측면 접합면(22)과 제2 측면 접합면(23) 사이의 측면에 있는 관통 구멍(36)의 영역에서 맞닿게 된다. 따라서 절삭 인서트(3)는 제1 측면 접합면(22)과 제2 측면 접합면(23) 사이의 방향으로 가압된다. 관통 구멍(36)에 대한 접촉의 결과로 헤드 부분(53)과 이에 따라 고정 나사(5)의 나사산 없는 샤프트 부분(52)은 반경 방향 바깥쪽 방향으로 그리고 베이스 부재(1)의 자유 단부(12)의 방향으로 탄성적으로 편향되어 나사산 없는 샤프트 부분(52)이 나사산 없는 구멍 부분(42)의 제2 사분면(Q2)으로 편향된다. 탄성 편향은 이 경우에 나사산 없는 샤프트 부분(52)이 나사산 없는 구멍 부분(42)에 대한 나사산 없는 구멍 부분(42)의 제2 사분면(Q2)에서 맞닿을 때까지 수행된다. 이 상태는 도 8과 도 10에 예시되어 있다. 도 10에는, 나사 구멍(41)의 종축(Z)에 대한 나사산 없는 샤프트 부분(52)의 영역에서 고정 나사(5)의 종축(Y)의 결과적인 오프셋이 개략적으로 도시되어 있다. 제2 측면 접합면(23)을 통한 반경 방향 외향으로의 고정에 더하여, 절삭 인서트(3)는 나사산 없는 샤프트 부분(52)과 나사산 없는 구멍 부분(42)의 협력(상호작용)에 의해 방사상 외측 방향으로 포지티브 로킹 방식으로 추가 위치에서 이러한 방식으로 고정되어, 절삭 인서트(3)가 절삭 가공 작업 중에 작용하는 원심력에 대해 특히 신뢰할 수 있는 방식으로 고정된다. 나사산이 없는 샤프트 부분(52)에서 지지가 이루어지기 때문에, 원심력에 의해 발생하는 전단력은 약한 나사산 부분의 고정 나사(5)에 작용하지 않고 대신 실질적으로 더 안정적인 나사산이 없는 샤프트 부분(52)에 작용하여, 고정 나사(5)의 재료 파손 위험이 감소된다. 고정 나사(5)의 탄성 변형의 결과로, 고정 나사(5)의 헤드 부분(52)은 관통 구멍(36)에 대해 포지티브 로킹 방식으로 맞닿는다. 이 경우, 고정 나사(5)의 더 큰 헤드 부분(53)과 절삭 인서트(3)의 더 작은 관통 구멍(36)의 협력(상호작용)은 절삭 인서트(3)를 신뢰할 수 있는 방식으로 베이스 면(21) 방향으로 인장시키고 베이스 면(21)에서 올라오지 않도록 포지티브 로킹 방식으로 절삭 인서트(3)를 고정한다.
나사산 없는 구멍 부분(42)의 제1 사분면(Q1), 제3 사분면(Q3) 및 제4 사분면(4)에서, 나사산 없는 구멍 부분(42)의 초과 치수의 결과로서 고정 나사(5)의 나사산 없는 샤프트 부분(52)이 특히 도 10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고정 나사(5)가 조여질 때 맞닿지 않는다. 고정 나사(5)의 탄성 변형을 통해 나사산 없는 샤프트 부분(52)이 나사산 없는 구멍 부분(42)과 맞닿을 때까지 절삭 인서트(3)와 제1 측면 접합면(22)과 제2 측면 접합면(23)의 제조 공차는 비교적 넓은 범위에서 쉽게 보상될 수 있다. 서로에 대한 제1 측면 접합면(22) 및 제2 측면 접합면(23)의 위치 및 배향의 공차는 이 경우에 나사산 없는 구멍 부분(42)의 제2 사분면(Q2)에 있는 나사산 없는 샤프트 부분(52)이 자유 단부(12)의 방향으로 더 또는 반경 방향 외측 방향으로 더 접합부로 이동함에 의해 보상된다. 제2 사분면(Q2)에서 나사산 없는 구멍 부분(42)의 벽의 형상은 원주 방향으로 구멍 측에서 오목한 형상으로, 이 경우 나사산 없는 샤프트 부분(52)을 이 방향으로 문제 없이 배향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예시된 예시에서, 나사산 없는 구멍 부분(42)의 원형 단면 형상이 도시되고 특히 기술적인 생산 측면에서 제조가 간단하고 비용 효율적이지만, 그러나 나사산 없는 구멍 부분(42)의 단면 형상은 이러한 원형 형상에 제한되지 않으며, 대신에 다른 단면 형상이 가능하지만, 나사산 없는 구멍 부분(42)의 벽은 적어도 제2 사분면에서 원주 방향으로 오목하게 만곡되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Claims (15)

  1. 작동 중에 그를 중심으로 공구가 회전하는 회전축(R)을 갖는 베이스 부재(1),
    교체 가능한 절삭 인서트(3)를 수용하기 위해 베이스 부재(1)에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시트(2),
    절삭 인서트(3)를 시트(2)에 고정하기 위한 고정 나사(5), 및
    시트(2)에 고정된 절삭 인서트(3)를
    갖는 절삭 가공용 공구(100)로서,
    시트(2)는 절삭 인서트(3)의 하부면(33)을 지지하기 위한 베이스 면(21), 절삭 인서트(3)의 제1 측면(37)에 맞닿기 위한 제1 측면 접합면(22)을 가지며, 상기 제1 측면 접합면(22)이 반경 방향 내향으로 절삭 인서트(3)를 지지하며, 절삭 인서트(3)의 제2 측면(38)에 맞닿기 위한 제2 측면 접합면(23)을 가지며, 상기 제2 측면 접합면(23)이 절삭 인서트(3)를 축 방향 및 반경 방향 외향으로 지지하며, 베이스 면(21)에 고정 나사(5)를 수용하기 위한 구멍(4)이 형성되며,
    구멍(4)은 베이스 면(21)으로부터 간격을 두고 나사 구멍(41)을 갖고 베이스 면(21) 방향으로 더 가까운 나사산 없는 구멍 부분(42)을 가지며,
    고정 나사(5)는 나사 구멍(41)과 협력하기 위한 나사 부분(51), 절삭 인서트(3)의 관통 구멍(36)에서 지지하기 위한 헤드 부분(53) 및 나사 부분(51)과 헤드 부분(53) 사이에 나사산 없는 샤프트 부분(52)을 가지며, 상기 나사산 없는 샤프트 부분(52)은 나사산 없는 구멍 부분(42)보다 작은 단면적을 가지며,
    고정 나사(5)의 헤드 부분(53)이 절삭 인서트(3)의 관통 구멍(36)에 지지되는 방식으로 절삭 인서트(3)가 시트(2)에 고정되고, 고정 나사(5)의 나사 부분(51)은 나사 구멍(41)과 협력하고 고정 나사(5)의 헤드 부분(53)은 나사산 없는 샤프트 부분(52)이 베이스 면(21)에 수직인 방향으로 볼 때 공구의 자유 단부(12) 방향으로 축방향으로 그리고 반경 방향 외향으로 위치된 제2 사분면(Q2)에서 나사산 없는 구멍 부분(42)에 지지되는 방식으로 탄성적으로 편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삭 가공용 공구(100).
  2. 제1항에 있어서,
    반경 방향 내향으로 위치되고 공구의 자유 단부(21)로부터 멀어지는 쪽을 향하는 제4 사분면(Q4)의 나사산 없는 샤프트 부분(52)은 나사산 없는 구멍 부분(42)으로부터 이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삭 가공용 공구.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고정 나사(5)의 헤드 부분(53)은 반경 방향 외측 방향으로 탄성적으로 편향되고 공구의 자유 단부(12) 방향으로 축 방향으로 탄성적으로 편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삭 가공용 공구.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제1 측면 접합면(22) 및 제2 측면 접합면(23)은 베이스 면(21)에 수직인 시야 방향에서 서로 각도(α) < 75°, 바람직하게는 < 65°를 둘러싸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삭 가공용 공구.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고정 나사(5)의 헤드 부분(53)은 관통 구멍(36)의 최소 단면보다 큰 고정 나사(5)의 축에 수직한 최대 단면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삭 가공용 공구.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나사 구멍(4)의 종축(Z)은 고정 나사(5)의 헤드 부분(53)과 절삭 인서트(3)의 관통 구멍(36) 사이의 접촉 평면에서 관통 구멍(36)의 종축(W)에 대해 제1 측면 접합면(22)을 향하는 방향 및 제2 측면 접합면(23)을 향하는 방향으로 오프셋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삭 가공용 공구.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제1 측면 접합면(22)의 표면 법선은 반경 방향 외향 방향 성분을 주성분으로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삭 가공용 공구.
  8.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제2 측면 접합면(23)의 표면 법선은 축 방향 성분 및 반경 방향 내향 방향 성분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삭 가공용 공구.
  9.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베이스 면(21)의 표면 법선은 접선 방향 성분을 주성분으로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삭 가공용 공구.
  10. 제1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적어도 구멍(4)의, 공구의 자유 단부(12) 방향으로 축 방향으로 그리고 반경 방향 외향 방향으로 위치한 제2 사분면(Q)에 있는 나사산 없는 구멍 부분(42)의 벽은 구멍 측에서 원주 방향으로 오목한 방식으로 만곡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삭 가공용 공구.
  11. 제1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나사산 없는 구멍 부분(42)은 실질적으로 원형 단면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삭 가공용 공구.
  12. 제1항 내지 제1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나사산 없는 구멍 부분(42)은 나사 구멍(41)과 평행하게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삭 가공용 공구.
  13. 제1항 내지 제1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공구(100)는 분당 10,000 회전 이상의 속도로 절삭 가공 작업을 위해 구성된 고속 밀링 커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삭 가공용 공구.
  14. 제1항 내지 제13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공구(100)에 절삭 인서트(3)의 사용.
  15. 절삭 인서트(3)를 공구(100)의 베이스 부재(1)의 시트(2)에 고정하는 방법으로서,
    베이스 부재(1)는 작동 중에 그를 중심으로 공구(100)가 회전하는 회전축(R)을 가지며, 시트(2)는 절삭 인서트(3)의 하부면(33)를 지지하기 위한 베이스 면(21), 반경 방향 내측 방향으로 절삭 인서트(3)를 지지하는 제1 측면 접합면(22), 및 축 방향 및 반경 방향 외측 방향으로 절삭 인서트(3)를 지지하는 제2 측면 접합면(22)을 가지며,
    고정 나사(5)를 수용하기 위한 구멍(4)이 베이스 면(21)에 형성되고 구멍(4)은 베이스 면(21)으로부터 간격을 두고 나사 구멍(41)을 가지며 베이스 면(21) 방향으로 더 가까운 나사산 없는 구멍 부분(42)을 가지며,
    상기 방법은 다음 단계들:
    - 절삭 인서트(3)의 하부면(33)이 베이스 면(21)에 지지되고, 제1 측면(37)이 제1 측면 접합면(22)에 지지되고 제2 측면(38)이 제2 측면 접합면(23)에 지지되도록 절삭 인서트(3)를 시트(2)에 배치하는 단계,
    - 고정 나사(5)의 나사 부분(51)을 절삭 인서트(3)의 관통 구멍(36)을 통해 구멍(4)으로 안내하여 나사 부분(51)이 이동하여 나사 구멍(41)과 맞물리며, 고정 나사(5)의 헤드 부분(53)과 나사 부분(51) 사이에 배치된 나사산 없는 샤프트 부분(52)이 나사산 없는 구멍 부분(42)의 전체 주위에 간격을 두고 안착하는 단계, 및
    - 헤드 부분(53)이 처음에 베이스 부재(1)의 자유 단부(12)로부터 멀어지는 쪽을 향하는 반경 방향 내측의 관통 구멍(36)과 맞닿게 이동하고 이어서 헤드 부분(53)과 나사산 없는 샤프트 부분(52)은, 나사산 없는 샤프트 부분(52)이 자유 단부(12)의 방향으로 축 방향으로 그리고 반경 방향 외향 방향으로 위치된, 나사산이 없는 구멍 부분(42)의 제2 사분면과 맞닿을 때까지 베이스 부재(1)의 자유 단부(12)의 방향으로 그리고 반경 방향 외향 방향으로 탄성적으로 편향되도록 고정 나사(5)를 조이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삭 인서트(3)를 공구(100)의 베이스 부재(1)의 시트(2)에 고정하는 방법.
KR1020237023633A 2020-12-21 2021-12-07 절삭 가공을 위한 공구 및 그에 대한 절삭 인서트의사용 KR20230118652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EP20216165.9A EP4015124A1 (de) 2020-12-21 2020-12-21 Werkzeug für die zerspanende bearbeitung und verwendung eines schneideinsatzes an einem solchen
EP20216165.9 2020-12-21
PCT/EP2021/084514 WO2022135899A1 (de) 2020-12-21 2021-12-07 Werkzeug für die zerspanende bearbeitung und verwendung eines schneideinsatzes an einem solchen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18652A true KR20230118652A (ko) 2023-08-11

Family

ID=740682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7023633A KR20230118652A (ko) 2020-12-21 2021-12-07 절삭 가공을 위한 공구 및 그에 대한 절삭 인서트의사용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20240042533A1 (ko)
EP (1) EP4015124A1 (ko)
JP (1) JP2023554040A (ko)
KR (1) KR20230118652A (ko)
CN (1) CN116600923A (ko)
WO (1) WO2022135899A1 (ko)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BE793105A (fr) * 1971-12-24 1973-04-16 Walter Gmbh Montanwerke Outil de fraisage a plaquettes de coupe echangeables
AT3955U1 (de) 1999-09-09 2000-11-27 Plansee Tizit Aktiengesellscha Rotierendes zerspanungswerkzeug
AT14369U1 (de) * 2014-11-24 2015-09-15 Ceratizit Austria Gmbh Werkzeug für die zerspanende Bearbeitung
CN106624100B (zh) * 2016-12-19 2018-10-26 株洲钻石切削刀具股份有限公司 一种铣削刀具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2135899A1 (de) 2022-06-30
JP2023554040A (ja) 2023-12-26
US20240042533A1 (en) 2024-02-08
EP4015124A1 (de) 2022-06-22
CN116600923A (zh) 2023-08-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102630A (en) Ball nose end mill insert
EP2623240B1 (en) Blade edge exchangeable cutting tool
US9211597B2 (en) Cutting tool and cutting insert for the same
US7112020B2 (en) Cutting tool configured for improved engagement with a tool holder
EP2536522B1 (en) Tool coupling
CN102029422B (zh) 用于去屑加工的铣削刀具的垫板及具有这种垫板的铣削刀具
US7150590B2 (en) Machining tool, especially a milling tool
JP2009529430A (ja) カッティングインサートおよびフライス工具
US9776251B2 (en) Lathe turning tool
KR20110124156A (ko) 밀링 공구용의 날교환가능한 밀링 인서트
JP5167782B2 (ja) 切刃付リング
WO2015129770A1 (ja) 切削インサート、工具ボデーおよび切削工具
KR101997374B1 (ko) 기계 가공 공구
JP3579016B2 (ja) 切削機械加工用工具
KR20230118652A (ko) 절삭 가공을 위한 공구 및 그에 대한 절삭 인서트의사용
EP3950198A1 (en) Cutting insert and rotary cutting tool
EP3722034A1 (en) Tangential milling cutting insert and milling tool
CN113631309B (zh) 切削刀片及旋转切削工具
JP7311822B2 (ja) 刃先交換式切削工具ホルダおよび刃先交換式切削工具
JP2006198749A (ja) スローアウェイ式転削工具
JP4048678B2 (ja) スローアウェイ式カッターおよびスローアウェイチップ
JP6726410B2 (ja) 切削インサート及び回転切削工具
JP2001079709A (ja) エンドミル
JP5272682B2 (ja) インサート着脱式正面フライス
JP2007130738A (ja) 切削工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