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18498A - 무선 통신 방법, 단말 디바이스 및 네트워크 요소 - Google Patents

무선 통신 방법, 단말 디바이스 및 네트워크 요소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18498A
KR20230118498A KR1020227028501A KR20227028501A KR20230118498A KR 20230118498 A KR20230118498 A KR 20230118498A KR 1020227028501 A KR1020227028501 A KR 1020227028501A KR 20227028501 A KR20227028501 A KR 20227028501A KR 20230118498 A KR20230118498 A KR 2023011849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etwork element
authorization
authentication
information
targ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702850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야리 구오
Original Assignee
광동 오포 모바일 텔레커뮤니케이션즈 코포레이션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광동 오포 모바일 텔레커뮤니케이션즈 코포레이션 리미티드 filed Critical 광동 오포 모바일 텔레커뮤니케이션즈 코포레이션 리미티드
Publication of KR2023011849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18498A/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12/00Security arrangements; Authentication; Protecting privacy or anonymity
    • H04W12/06Authentic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12/00Security arrangements; Authentication; Protecting privacy or anonymity
    • H04W12/06Authentication
    • H04W12/065Continuous authentic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3/00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 H04L63/08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for authentication of entities
    • H04L63/0892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for authentication of entities by using authentication-authorization-accounting [AAA] servers or protoco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12/00Security arrangements; Authentication; Protecting privacy or anonymity
    • H04W12/50Secure pairing of de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12/00Security arrangements; Authentication; Protecting privacy or anonymity
    • H04W12/60Context-dependent security
    • H04W12/61Time-depende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12/00Security arrangements; Authentication; Protecting privacy or anonymity
    • H04W12/60Context-dependent security
    • H04W12/63Location-dependent; Proximity-depende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12/00Security arrangements; Authentication; Protecting privacy or anonymity
    • H04W12/60Context-dependent security
    • H04W12/69Identity-dependent
    • H04W12/71Hardware identit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12/00Security arrangements; Authentication; Protecting privacy or anonymity
    • H04W12/60Context-dependent security
    • H04W12/69Identity-dependent
    • H04W12/72Subscriber identit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60/00Affiliation to network, e.g. registration; Terminating affiliation with the network, e.g. de-registr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4/00Network topologies
    • H04W84/02Hierarchically pre-organised networks, e.g. paging networks, cellular networks, WLAN [Wireless Local Area Network] or WLL [Wireless Local Loop]
    • H04W84/04Large scale networks; Deep hierarchical networks
    • H04W84/042Public Land Mobile systems, e.g. cellular syste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4/00Network topologies
    • H04W84/02Hierarchically pre-organised networks, e.g. paging networks, cellular networks, WLAN [Wireless Local Area Network] or WLL [Wireless Local Loop]
    • H04W84/04Large scale networks; Deep hierarchical networks
    • H04W84/06Airborne or Satellite Network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21/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security arrangements for protecting computers, components thereof, programs or data against unauthorised activity
    • G06F2221/21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21/00 and subgroups addressing additional information or applications relating to security arrangements for protecting computers, components thereof, programs or data against unauthorised activity
    • G06F2221/2117User registr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60/00Affiliation to network, e.g. registration; Terminating affiliation with the network, e.g. de-registration
    • H04W60/04Affiliation to network, e.g. registration; Terminating affiliation with the network, e.g. de-registration using triggered ev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stronomy & Astrophys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실시예는 무선 통신 방법, 단말 디바이스 및 네트워크 요소를 제공한다. 상기 방법은 제1 동작에 대응하는 제1 타겟 방식을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타겟 방식에 따라 상기 제1 동작을 수행하기 위한 정보를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동작은 인가, 인증, 재인가 및 재인증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제1 동작에 대응하는 제1 타겟 방식을 결정하여, 단말 디바이스는 상기 제1 타겟 방식에 따라 상기 제1 동작을 수행하기 위한 정보를 송신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제1 동작이 인가/인증인 경우, 3GPP 네트워크에서 단말 디바이스에 대한 인가/인증 과정을 최적화할 수 있을뿐만 아니라, 인가/인증을 위한 불필요한 중복 정보를 3GPP 네트워크에 제공하는 것을 피하고, 상기 제1 동작이 재인가/인증인 경우, 단말 디바이스에 대해 재인가/인증을 수행할 수 있고, 또한, 시스템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무선 통신 방법, 단말 디바이스 및 네트워크 요소
본 발명의 실시예는 통신 분야에 관한 것으로, 특히 무선 통신 방법, 단말 디바이스 및 네트워크 요소에 관한 것이다.
현재, 제3 세대 파트너십 프로젝트(The 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3GPP) 네트워크는 두 가지 방식으로 무인항공기(UAV)의 인가/인증 과정에 참여할 수 있다. 한가지 방식으로는 UAV가 3GPP 네트워크에 액세스하기 위한 등록 프로세스에서 인가/인증을 위한 정보를 제공하는 것이고, 다른 한가지 방식으로는 UAV가 3GPP 네트워크에 액세스하여 프로토콜 데이터 유닛(Protocol Data Unit, PDU) 세션을 설정/변경하는 과정에서 인가/인증을 위한 정보를 제공하는 것이다. 두 가지 방식에서 UAV와 UTM/USS 간의 인가/인증 과정에는 3GPP 네트워크의 상이한 네트워크 요소가 참여하여, 인가/인증 결과를 얻을 수 있다.
구체적인 구현에서, 운영자의 설정에 따라 3GPP 네트워크가 UAV의 인가/인증 과정에 참여하는 임의의 방식을 선택할 수 있다. 그러나, UAV는 네트워크 구성을 모르기 때문에, 등록 프로세스와 PDU 세션의 설정/변경 프로세스 모두에서 인가/인증에 사용되는 정보를 제공하므로, 상이한 프로세스에서 인가/인증을 위해 불필요한 중복 정보를 3GPP 네트워크에 제공할 수 있다. 또한, UAV에 대한 재인가/인증이 필요한 경우, UAV는 인가/인증을 위한 정보를 재제공하기 위해 당해 등록 프로세스 또는 PDU 세션 관련 프로세스를 개시해야 하는지 여부를 결정할 수 없으므로, 결과적으로 UAV에 대해 재인가/인증을 수행할 수 없게 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3GPP 네트워크에서 단말 디바이스에 대한 인가/인증 과정을 최적화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인가/인증을 위한 불필요한 중복 정보를 3GPP 네트워크에 제공하는 것을 피하고, 단말 디바이스에 대한 재인가/인증을 가능하게 하여, 시스템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는 무선 통신 방법, 단말 디바이스 및 네트워크 요소를 제공한다.
제1 양태로서, 단말 디바이스에 적용되는 무선 통신 방법을 제공하고,
제1 동작에 대응하는 제1 타겟 방식을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타겟 방식에 따라 상기 제1 동작을 수행하기 위한 정보를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동작은 인가, 인증, 재인가 및 재인증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제2 양태로서, 단말 관리 네트워크 요소에 적용되는 무선 통신 방법을 제공하고,
제2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
타겟 네트워크 요소를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타겟 네트워크 요소에 상기 제2 요청을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요청은 단말 디바이스에 대한 재인가, 재인증, 인가 폐지 및 인증 폐지 중 적어도 하나의 동작을 수행하도록 요청하는데 사용된다.
제3 양태로서, 이동성 관리 네트워크 요소에 적용되는 무선 통신 방법을 제공하고,
제3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 및
단말 디바이스에 상기 제3 요청을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3 요청은 단말 디바이스에 대한 재인가, 재인증, 인가 폐지 및 인증 폐지 중 적어도 하나의 동작을 수행하도록 요청하는데 사용된다.
제4 양태로서, 정책 제어 네트워크 요소에 적용되는 무선 통신 방법을 제공하고,
이동성 관리 네트워크 요소를 통해 단말 디바이스에 정책 정보를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정책 정보는 제1 방식에 대응하는 파라미터 및 제2 방식에 대응하는 파라미터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제5 양태로서 전술한 제1 양태 또는 각 실시예의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단말 디바이스를 제공한다. 구체적으로, 단말 디바이스는 전술한 제1 양태의 방법 또는 각 실시예를 수행하기 위한 기능 모듈을 포함한다.
제6 양태로서, 전술한 제2 내지 제4 양태 또는 각 실시예의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네트워크 요소를 제공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네트워크 요소는 전술한 제2 내지 제4 양태 또는 각 실시예의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기능 모듈을 포함한다.
제7 양태로서, 프로세서 및 메모리를 포함하는 단말 디바이스를 제공한다. 상기 메모리는 컴퓨터 프로그램을 저장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을 호출하고 실행하여, 상기 제1 양태 또는 그 각 실시예의 방법을 실행한다.
제8 양태로서, 프로세서 및 메모리를 포함하는 네트워크 요소를 제공한다. 상기 메모리는 컴퓨터 프로그램을 저장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을 호출하고 실행하여, 상기 제2 내지 제4 양태 또는 그 각 실시예의 방법을 실행한다.
제9 양태로서, 상기 제1 양태 내지 제4 양태 중 어느 하나 또는 각 실시예에 기재된 방법을 실시하기 위한 칩을 제공한다. 구체적으로는, 상기 칩은 컴퓨터 프로그램을 메모리로부터 호출하고 실행하여, 상기 칩이 탑재된 디바이스에 상기 제1 양태 내지 제4 양태 중 어느 하나 또는 그 각 실시예에 기재된 방법을 실행시키는 프로세서를 포함한다.
제10 양태로서, 컴퓨터 프로그램을 저장하기 위한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 매체를 제공하고,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은 컴퓨터에 상기 제1 양태 내지 제4 양태 중 어느 하나 또는 각 실시예에 기재된 방법을 실행시킨다.
제11 양태로서, 컴퓨터 프로그램 명령을 포함하는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이 제공되고,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 명령은 컴퓨터에 상기 제1 양태 내지 제4 양태 중 어느 하나 또는 각 실시예에 기재된 방법을 수행시킨다.
제12 양태로서, 컴퓨터에서 실행될 때, 컴퓨터에 상기 제1 양태 내지 제4 양태 또는 그 각 실시예에 기재된 방법을 실행시키는 컴퓨터 프로그램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기술적 해결책에 따르면, 제1 동작에 대응하는 제1 타겟 방식을 결정하는 것에 의해, 단말 디바이스가 상기 제1 타겟 방식에 따라 상기 제1 동작을 수행하기 위한 정보를 송신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제1 동작이 인가/인증인 경우, 3GPP 네트워크에서 단말 디바이스에 대한 인가/인증 과정을 최적화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인가/인증을 위한 불필요한 중복 정보를 3GPP 네트워크에 제공하는 것을 피하고, 상기 제1 동작이 재인가/인증인 경우, 단말 디바이스에 대해 재인가/인증을 수행할 수 있고, 또한 시스템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의 통신 시스템 아키텍처의 개략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의 UAV 관리 제어의 개략도이다.
도 3 내지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의 무선 통신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의 단말 디바이스의 블록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의 단말 관리 네트워크 요소의 블록도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의 이동성 관리 네트워크 요소의 블록도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의 정책 제어 네트워크 요소의 블록도이다.
도 1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의 통신 디바이스의 블록도이다.
도 1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칩의 블록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의 기술적 해결책을 본 발명의 실시예의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지만, 기술된 실시예는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이며, 모든 실시예가 아님은 분명하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창조적인 노동을 하지 않고, 당업자에 의해 얻을 수 있는 다른 모든 실시예는 모두 본 발명의 보호 범위에 속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의 기술 해결책은 예를 들면, 글로벌 이동 통신(Global System of Mobile Communication, GSM) 시스템, 코드 분할 다중 접속(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CDMA) 시스템, 광대역 코드 분할 다중 접속(Wideband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WCDMA) 시스템, 범용 패킷 무선 서비스(General Packet Radio Service, GPRS), 롱 텀 에볼루션(Long Term Evolution, LTE) 시스템, LTE 시분할 듀플렉스(Time Division Duplex, TDD) 시스템, 진화형 롱 텀 에볼루션(Advanced long term evolution, LTE-A) 시스템, 엔알(New Radio, NR) 시스템, NR 시스템의 진화 시스템, 비면허 스펙트럼에서의 LTE(LTE-based access to unlicensed spectrum, LTE-U) 시스템, 비면허 스펙트럼에서의 NR(NR-based access to unlicensed spectrum, NR-U) 시스템, 범용 이동 통신 시스템(Universal Mobile Telecommunication System, 무선 근거리 통신망(Wireless Local Area Networks, WLAN), 와이파이(Wireless Fidelity, WiFi), 차세대 통신 시스템 또는 다른 통신 시스템 등의 다양한 통신 시스템에 적용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기존의 통신 시스템이 지원하는 연결 수는 한정되어 있고, 구현도 쉽다. 하지만 통신 기술의 발전에 따라, 이동 통신 시스템은 기존의 통신뿐만 아니라, 예를 들면, 디바이스-디바이스(Device to Device, D2D) 통신, 엠투엠(Machine to Machine, M2M) 통신, 기계 형 통신(Machine Type Communication, MTC), 차량 간 통신(Vehicle to Vehicle, V2V) 등을 지원하고, 본 발명의 실시예는 이러한 통신 시스템에도 적용 가능하다.
선택적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의 통신 시스템은 캐리어 어그리게이션(Carrier Aggregation, CA) 시나리오에 적용될 수 있고, 이중 연결(Dual Connectivity, DC) 시나리오에 적용될 수도 있고, 독립형(Standalone,SA) 네트워킹 시나리오에 적용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적용되는 주파수 스펙트럼에 대해 한정하지 않는다. 예를 들면, 본 발명의 실시예는 면허 주파수 스펙트럼에 적용될 수 있고, 비면허 주파수 스펙트럼에 적용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이 적용되는 통신 시스템(100)을 예시적으로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당해 통신 시스템(100)은 주로 단말 디바이스(User Equipment, UE)(101), 액세스 네트워크(Access Network, AN) 디바이스(102) 및 액세스 및 이동성 관리 기능(Access and Mobility Management Function, AMF) 엔티티(103), 세션 관리 기능(Session Management Function, SMF) 엔티티(104), 사용자 평면 기능(User Plane Function, UPF) 엔티티(105), 정책 제어 기능(Policy Control Function, PCF) 엔티티(106), 통합 데이터 관리(Unified Data, Management, UDM) 엔티티(107), 데이터 네트워크(Data Network, DN)(108), 애플리케이션 기능(Application Function, AF) 엔티티(109), 인증 서버 기능(Authentication Server Function, AUSF) 엔티티(110), 네트워크 슬라이스 선택 기능(Network Slice Selection Function, NSSF) 엔티티(111)를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통신 시스템(100)에서, UE(101)는 Uu 인터페이스를 통해 AN 디바이스(102)에 액세스 계층 연결되어, 액세스 계층 메시지를 송수신하고 무선 데이터 전송을 수행하고, UE(101)는 N1 인터페이스를 통해 AMF 엔티티(103)에 비 액세스 계층(Non-Access Stratum, NAS) 연결되어, NAS 메시지를 송수신하고, AN 디바이스(102)는 N2 인터페이스를 통해 AMF 엔티티(103)에 연결되고, 인터페이스 N3을 통해 UPF 엔티티(105)에 연결되고, 복수의 UPF 엔티티(105) 사이는 인터페이스 N9를 통해 연결되고, UPF 엔티티(105)는 인터페이스 N6을 통해 DN(108)에 연결되고, 동시에, UPF 엔티티(105)는 인터페이스 N4를 통해 SMF 엔티티(104)에 연결되고, SMF 엔티티(104)는 인터페이스 N7을 통해 PCF 엔티티(106)에 연결되고, SMF 엔티티(104)는 인터페이스 N10을 통해 UDM 엔티티(107)에 연결되고, SMF 엔티티(104)는 인터페이스 N4를 통해 UPF 엔티티(105)를 제어하고, 동시에, SMF 엔티티(104)는 인터페이스 N11을 통해 AMF 엔티티(103)에 연결되고, 복수의 AMF 엔티티(103) 사이는 인터페이스 N14를 통해 연결되고, AMF 엔티티(103)는 인터페이스 N8을 통해 UDM 엔티티(107)에 연결되고, AMF 엔티티(103)는 인터페이스 N12를 통해 AUSF 엔티티(110)에 연결되고, AMF 엔티티(103)는 인터페이스 N22를 통해 NSSF 엔티티(111)에 연결되고, 동시에, AMF 엔티티(103)는 인터페이스 N15를 통해 PCF 엔티티(106)에 연결되고, PCF 엔티티(106)는 인터페이스 N5를 통해 AF 엔티티(109)에 연결되고, AUSF 엔티티(110)는 N13 인터페이스를 통해 UDM 엔티티(107)에 연결된다.
통신 시스템(100)에서, UDM 엔티티(107)는 코어 네트워크에서의 계약 데이터베이스이며, 5G 네트워크에서의 가입자의 계약 데이터를 저장한다. AMF 엔티티(103)는 코어 네트워크에서의 이동성 관리 기능이고, SMF 엔티티(104)는 코어 네트워크에서의 세션 관리 기능이며, AMF 엔티티(103)는 UE(101)에 대한 이동성 관리에 추가하여, UE(101)와 SMF 엔티티(104) 사이의 세션 관리와 관련된 메시지를 전달한다. PCF 엔티티(106)는 코어 네트워크에서의 정책 관리 기능이며, UE(101)의 이동성 관리, 세션 관리, 과금 등에 관한 정책 설정을 담당한다. UPF 엔티티(105)는 코어 네트워크에서의 사용자 평면 기능이며, N6 인터페이스를 통해 외부 데이터 네트워크와 데이터 전송을 수행하고, N3 인터페이스를 통해 AN 디바이스(102)와 데이터 전송을 수행한다. UE(101)가 Uu 인터페이스를 통해 5G 네트워크에 액세스한 후, SMF 엔티티(104)의 제어하에서 UE(101)로부터 UPF 엔티티(105)로의 프로토콜 데이터 유닛(Protocol Data Unit PDU) 세션 데이터 연결을 수행하므로, 데이터 전송을 수행한다. AMF 엔티티(103) 및 SMF 엔티티(104)는 각각 인터페이스 N8 및 N10을 통해 UDM 엔티티(107)로부터 사용자의 계약 데이터를 취득하고, N15 및 N7을 통해 PCF 엔티티(106)로부터 정책 데이터를 취득한다.
또한, 통신 시스템(100)은 네트워크 해제 기능(Network Exposure Function, NEF) 엔티티를 가지며, 제3자 애플리케이션 서버와 인터페이스하고, 코어 네트워크 노드와 제3자 사이에서 정보 전달을 수행하는데 사용된다.
전술한 통신 시스템(100)은 5G 통신 시스템을 예로 들어 설명되었지만, 본 발명은 물론 4G 통신 시스템과 같은 다른 3GPP 통신 시스템 또는 미래의 3GPP 통신 시스템에도 적용 가능하며, 본 발명은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의 네트워크/시스템에 있어서, 통신 기능을 갖는 디바이스를 통신 디바이스라고 지칭하는 경우가 있다.
본 명세서에서, "시스템" 및 "네트워크"라는 용어는 자주 본 명세서에서 교환되어 사용될 수 있는 것이 이해된다. 여기서, "및/또는" 은 단순히 관련있는 대상을 설명하는 관련 관계의 하나이며, 세가지 경우가 존재할 수 있음을 의미하며, 예를 들어, A 및/또는 B는 A 만 존재하는 것, A와 B가 동시에 존재하는 것, B 만 존재하는 것의 세가지 경우를 나타낼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의 "/"문자는 전후의 관련 대상이 일종의 "또는"의 관계임을 일반적으로 나타낸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단말 디바이스 및 네트워크 디바이스와 관련하여 다양한 실시예를 설명하고, 단말 디바이스는 사용자 장비(User Equipment: UE), 액세스 단말, 사용자 유닛, 사용자 스테이션, 이동 스테이션, 이동국, 원격 스테이션, 원격 단말, 모바일 디바이스, 사용자 단말, 단말, 무선 통신 디바이스, 사용자 에이전트 또는 사용자 장치로 지칭될 수 있다. 단말 디바이스는 WLAN 내의 스테이션(STAION,ST)일 수 있으며, 셀룰러 전화, 무선 전화, 세션 개시 프로토콜(Session Initiation Protocol: SIP) 전화, 무선 로컬 루프(Wireless Local Loop: WLL) 스테이션, 개인용 정보 단말(Personal Digital Assistant: PDA), 무선 통신 기능을 갖는 휴대용 디바이스, 컴퓨팅 디바이스 또는 무선 모뎀에 연결된 기타 처리 디바이스, 차량 탑재 디바이스, 웨어러블 디바이스, 및 차세대 통신 디바이스일 수 있고, 예를 들어, NR 네트워크에서의 단말 디바이스 또는 미래 진화형 공중 육상 이동 네트워크(Public Land Mobile Network,PLMN) 내의 단말 디바이스 등일 수 있다.
제한적이 아닌 예로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당해 단말 디바이스는 웨어러블 디바이스일 수 있다. 웨어러블 디바이스는 웨어러블 스마트 디바이스라고도 지칭되며, 웨어러블 기술을 적용하여 일상적인 착용에 대해 지능적으로 설계하고, 개발한 착용 가능한 디바이스의 총칭이며, 예를 들어, 안경, 장갑, 시계, 의류 및 신발 등이다. 웨어러블 디바이스는 신체에 직접 착용되거나, 사용자의 의복 또는 액세서리에 통합된 휴대용 디바이스이다. 웨어러블 디바이스는 하나의 하드웨어 디바이스뿐만 아니라, 소프트웨어 지원, 데이터 인터렉션 및 클라우드 인터렉션을 통해 보다 강력한 기능을 실현한다. 넓은 의미에서 웨어러블 스마트 디바이스는 모든 기능을 갖추고, 대형이며, 스마트 시계 또는 스마트 안경과 같이 스마트 폰에 의존하지 않고 전체 또는 일부 기능을 달성할 수 있다. 또는 특정 유형의 애플리케이션 기능에만 주목하여, 다양한 유형의 신체에 대한 모니터링을 위한 스마트 팔찌 및 스마트 액세서리와 같은 스마트 폰과 같은 다른 디바이스와 협력해야 한다.
상기 AN 디바이스(102)는 모바일 디바이스와 통신하기 위한 디바이스일 수 있고, 상기 AN 디바이스(102)는 WLAN에서의 액세스 포인트(Access Point, AP)일 수 있고, GSM 또는 CDMA에서의 기지국(Base Transceiver Station, BTS), WCDMA에서의 기지국(NodeB, NB), LTE에서의 진화형 기지국(Evolutional Node B, eNB 또는 eNodeB), 또는 중계국, 또는 액세스 포인트, 또는 차량 탑재 디바이스, 웨어러블 디바이스 및 NR 네트워크에서의 기지국(gNB), 또는 미래 진화형 PLMN 네트워크에서의 네트워크 디바이스 등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셀에 서비스를 제공하고, 단말 디바이스는 당해 셀에 의해 사용되는 전송 리소스(예를 들어, 주파수 도메인 리소스 또는 스펙트럼 리소스)를 통해 네트워크 디바이스와 통신하며, 당해 셀은 네트워크 디바이스(예를 들어, 기지국)에 대응하는 셀일 수 있고, 셀은 매크로 기지국에 속할 수 있고, 스몰 셀(Small cell)에 대응하는 기지국에 속할 수도 있다. 여기서, 스몰 셀은 커버리지가 작고, 송신 전력이 낮은 특징을 갖고 있어, 데이터 전송률이 높은 데이터 전송 서비스를 제공하기에 적합하며, 메트로 셀(Metro cell), 마이크로 셀(Micro cell), 피코 셀(Pico cell), 펨토 셀(Femto cell)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모바일 통신 기술의 발전에 따라, 제3 세대 파트너십 프로젝트(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3GPP)의 모바일 통신 네트워크의 단말 디바이스는 사람들이 소유하는 단말 디바이스에 한정되지 않는다. UAV와 같은 점점 더 많은 기계 장비도 광범위한 무선 통신 네트워크의 사용 시나리오가 될 것이다. UAV 등의 기기가 3GPP 네트워크에 액세스하는 경우, 단말 디바이스로서도 액세스하고,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UAV(Unmaned Aerial Vehicle)가 3GPP 네트워크에 연결된 후, 3GPP 네트워크를 통해 UAV 시스템 교통 관리(Unmanned Aerial System Traffic Management, UTM)에서의 연결을 설정할 수 있고, UTM은 UAV의 등록, 위치 추적 등의 관리 기능을 담당하고, 비행 경로 등 UAV의 거동을 제어할 수 있다. UAV가 3GPP 네트워크에 연결된 후, UAV 컨트롤러를 통해 UAV의 거동을 제어하기 위해, 3GPP 네트워크를 통해 UAV 컨트롤러와의 연결을 설정할 수 있다.
제3 세대 파트너십 프로젝트(The 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3GPP) 네트워크는 두 가지 방식으로 UAV의 인가/인증 과정에 참여할 수 있다. 한가지 방식으로는 UAV가 3GPP 네트워크에 액세스하기 위한 등록 과정에서 인가/인증을 위한 정보를 제공하고, 다른 한가지 방식으로는 UAV가 3GPP 네트워크에 액세스하여 프로토콜 데이터 유닛(Protocol Data Unit, PDU) 세션을 설정/변경하는 과정에서 인가/인증을 위한 정보를 제공한다. 두 가지 방식에서 UAV와 UTM/USS 간의 인가/인증 과정에서 3GPP 네트워크의 상이한 네트워크 요소가 참여하여, 인가/인증 결과를 취득할 수 있다.
구체적인 구현에 있어서, 운영자의 설정에 따라 3GPP 네트워크가 UAV의 인가/인증 과정에 참여하는 임의의 방법을 선택할 수 있다. 그러나, UAV는 네트워크 구성을 모르기 때문에, 등록 프로세스와 PDU 세션의 설정/변경 프로세스 모두에서 인가/인증에 사용되는 정보를 제공하므로, 상이한 프로세스에서 인가/인증을 위해 불필요한 중복 정보를 3GPP 네트워크에 제공할 수 있다. 또한, UAV의 재인가/인증이 필요한 경우, UAV는 인가/인증을 위한 정보를 재제공하기 위해 당해 등록 프로세스 또는 PDU 세션 관련 프로세스를 개시해야 하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없으므로, 결과적으로 UAV에 대한 재인가/인증을 수행할 수 없게 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무선 통신 방법, 단말 디바이스 및 네트워크 요소를 제공하고, 3GPP 네트워크에서 단말 디바이스에 대한 인가/인증 과정을 최적화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인가/인증을 위한 불필요한 중복 정보를 3GPP 네트워크에 제공하는 것을 피할 수 있고, 단말 디바이스에 대해 재인가/인증을 수행할 수 있고, 또한 시스템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의 무선 통신 방법(210)의 흐름도이고, 상기 방법(210)은 단말 디바이스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단말 디바이스는 도 1에 도시된 단말 디바이스일 수 있다. 선택적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의 단말 디바이스는 UAV 디바이스일 수도 있고, 다른 유형의 기계 디바이스 및 통상의 휴대 단말 디바이스를 포함하는 다른 유형의 단말 디바이스일 수도 있다.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방법(210)은 다음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단계 S211: 제1 동작에 대응하는 제1 타겟 방식을 결정하고, 상기 제1 동작은 인가, 인증, 재인가 및 재인증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고,
단계 S212: 상기 제1 타겟 방식에 따라 상기 제1 동작을 수행하기 위한 정보를 송신한다.
상술한 기술적 해결책에 따르면, 제1 동작에 대응하는 제1 타겟 방식을 결정하는 것에 의해, 단말 디바이스가 상기 제1 타겟 방식에 따라 상기 제1 동작을 수행하기 위한 정보를 송신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1 동작이 인가/인증인 경우, 3GPP 네트워크에서 단말 디바이스에 대한 인가/인증 과정을 최적화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인가/인증을 위한 불필요한 중복 정보를 3GPP 네트워크에 제공하는 것을 피할 수 있고, 상기 제1 동작이 재인가/인증인 경우, 단말 디바이스에 대한 재인가/인증을 수행할 수 있고, 또한 시스템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는 상기 제1 동작을 실행하기 위한 정보에 대해 특별히 한정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인가/인증에 사용되는 정보는 UAV 식별 정보, UAV 시퀀스 번호, 파일럿 정보, 제조자 정보, UAV 유형 또는 중량 정보 등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에서, 상기 제1 타겟 방식은 제1 방식 및 제2 방식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방식은 상기 단말 디바이스가 등록 과정에서 상기 제1 동작을 수행하기 위한 정보를 송신하는 것을 의미하고, 상기 제2 방식은 상기 단말 디바이스가 세션 관리 프로세스를 통해 상기 제1 동작을 수행하기 위한 정보를 송신하는 것을 의미한다. 상기 단계 S212는,
상기 제1 타겟 방식이 상기 제1 방식인 경우, 이동성 관리 네트워크 요소를 통해 상기 제1 동작을 수행하기 위한 정보를 송신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타겟 방식이 상기 제2 방식인 경우, 세션 관리 네트워크 요소를 통해 상기 제1 동작을 수행하기 위한 정보를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의 이동성 관리 네트워크 요소는 예를 들면 5G 통신 시스템에서의 액세스 및 이동성 관리 기능(Accessand Mobility Management Function, AMF)일 수 있으며, 물론, 다른 3GPP 통신 시스템에서의 이동성 관리 기능을 갖는 엔티티일 수도 있으며, 본 발명에서는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마찬가지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의 세션 관리 네트워크 요소는 예를 들어 5G 통신 시스템에서의 세션 관리 기능(Session Management Function, SMF)일 수 있으며, 물론 다른 3GPP 통신 시스템에서의 세션 관리 기능을 갖는 엔티티일 수도 있지만, 본 발명에서는 이에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상기 제1 방식 및 상기 제2 방식은 다른 방식에 따라 대응하는 과정을 나타낼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1 방식은 상기 단말 디바이스가 이동성 관리 네트워크 요소 또는 이동성 관리 메시지를 통해 상기 제1 동작을 수행하기 위한 정보를 송신하는 것이며, 상기 제2 방식은 상기 단말 디바이스가 세션 관리 네트워크 요소 또는 세션 관리 메시지를 통해 상기 제1 동작을 수행하기 위한 정보를 송신하는 것이다. 또한, 예를 들어, 상기 제1 방식은 상기 단말 디바이스가 이동성 관리 네트워크 요소를 통해 상기 제1 동작을 수행하는 것이며, 상기 제2 방식은 상기 단말 디바이스가 세션 관리 네트워크 요소를 통해 제1 동작을 수행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에서, 상기 단계 S211은,
상기 단말 디바이스에 대한 재인가 및 재인증 중 적어도 하나를 요청하는데 사용되는 제1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요청을 취득하는 방식에 따라 상기 제1 타겟 방식을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즉, UTM/USS가 UAV에 대해 제1 동작을 수행할 필요가 있는 경우, UAV가 3GPP 네트워크로부터 취득한 제1 요청의 방식에 따라, 대응하는 3GPP 프로세스를 통해 상기 제1 동작을 실행하기 위한 정보를 제공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이동성 관리 네트워크 요소로부터 상기 제1 요청을 수신한 경우, 상기 제1 방식을 상기 제1 타겟 방식으로 결정하고, 상기 세션 관리 네트워크 요소로부터 상기 제1 요청을 수신한 경우, 상기 제2 방식을 상기 제1 타겟 방식으로 결정한다.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에서, 상기 방법(210)은,
이동성 관리 네트워크 요소에 의해 송신된 상기 제1 타겟 방식을 결정하기 위한 제1 지시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즉, UTM/USS가 UAV에 대해 제1 동작을 수행할 필요가 있는 경우, UAV가 3GPP 네트워크로부터 취득한 제1 요청의 제1 지시 정보에 따라, 대응하는 3GPP 프로세스를 통해 제1 동작을 수행하기 위한 정보를 제공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제1 지시 정보는 상기 단말 디바이스가 상기 제1 방식 또는 상기 제2 방식을 사용함을 나타내는데 사용되며, 상기 단계 S211은 상기 제1 지시 정보로 지시된 상기 제1 방식 또는 상기 제2 방식을 상기 제1 타겟 방식으로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선택적으로, 상기 제1 지시 정보는 상기 제1 방식을 지원하는지 여부 및/또는 상기 제2 방식을 지원하는지 여부를 나타내는데 사용되며, 상기 단계 S211은, 상기 제1 지시 정보로 나타내는 지원하는 방식을 상기 제1 타겟 방식으로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선택적으로, 상기 이동성 관리 네트워크 요소에 의해 송신된 제1 요청을 수신하고, 상기 제1 요청은 상기 재인가 및 재인증 중 적어도 하나를 요청하는데 사용되며, 상기 제1 요청은 상기 제1 지시 정보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에서, 상기 방법(210)은,
상기 이동성 관리 네트워크 요소에 의해 송신된 제1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제1 요청은 상기 재인가 및 재인증 중 적어도 하나를 요청하는데 사용되며, 상기 단계 S211은, 상기 제1 요청에 상기 제1 타겟 방식을 나타내는 정보가 포함되지 않는 경우, 상기 제2 방식을 상기 제1 타겟 방식으로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즉, UTM/USS가 UAV에 대해 제1 동작을 수행할 필요가 있는 경우, UAV가 3GPP 네트워크로부터 취득한 제1 요청에 상기 제1 타겟 방식을 나타내기 위한 정보가 포함되지 않는 경우, 디폴트로 상기 제2 방식을 상기 제1 타겟 방식으로 결정한다.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에서, 상기 단계 S211은,
상기 제1 방식에 대응하는 파라미터 및 상기 제2 방식에 대응하는 파라미터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정책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정책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제1 타겟 방식을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선택적으로, 이동성 관리 네트워크 요소를 통해 정책 제어 네트워크 요소에 의해 송신되는 상기 정책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선택적으로, 상기 단말 디바이스의 파라미터가 상기 제1 방식에 대응하는 파라미터에 매칭되는 경우, 상기 제1 방식을 상기 제1 타겟 방식으로 결정하고, 상기 단말 디바이스의 파라미터가 상기 제2 방식에 대응하는 파라미터에 매칭되는 경우, 상기 제2 방식을 상기 제1 타겟 방식으로 결정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파라미터는 지역 정보, 공중 육상 이동 통신망(PLMN) 정보 및 시간 정보 중 적어도 하나에 속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정책 정보는 상기 단말 디바이스의 식별자를 더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에서, 상기 방법(210)은,
인가 및/또는 인증의 폐지를 나타내는 제2 지시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선택적으로, 이동성 관리 네트워크 요소를 통해 세션 관리 네트워크 요소에 의해 전달된 상기 제2 지시 정보를 수신한다.
선택적으로, 이동성 상기 관리 네트워크 요소를 통해 단말 관리 네트워크 요소에 의해 전달된 상기 제2 지시 정보를 수신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세션 관리 네트워크 요소를 통해 상기 단말 관리 네트워크 요소에 의해 전달된 상기 제2 지시 정보를 수신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무선 통신 방법(220)의 흐름도이고, 상기 방법(220)은 단말 관리 네트워크 요소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선택적으로, 상기 단말 관리 네트워크 요소는 단말 디바이스를 관리하는데 사용될 수 있으며, 상기 단말 디바이스는 UAV 디바이스 또는 다른 유형의 기계 장치 또는 일반 휴대 단말 디바이스를 포함하는 다른 유형의 단말 디바이스일 수 있으며,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상기 단말 관리 네트워크 요소는 UAV 기능(Unmanned Aerial Vehicle Function, UAVF) 또는 UAV 기능을 갖는 엔티티일 수 있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방법(220)은 다음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단계 S221: 제2 요청을 수신하고, 상기 제2 요청은 단말 디바이스에 대한 재인가, 재인증, 인가 폐지 및 인증 폐지 중 적어도 하나의 동작을 수행하도록 요청하는데 사용되고,
단계 S222: 타겟 네트워크 요소를 결정하고,
단계 S223: 상기 타겟 네트워크 요소에 상기 제2 요청을 송신한다.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에서, 상기 단계 S222는,
세션 관리 네트워크 요소를 상기 타겟 네트워크 요소로 결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에서, 상기 단계 S222는,
제2 동작에 대응하는 제2 타겟 방식을 결정하고, 상기 제2 동작은 인가, 인증, 재인가, 재인증, 인가 폐지 및 인증 폐지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단계, 및 상기 제 제2 타겟 방식에 기초하여 상기 타겟 네트워크 요소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에서, 상기 제2 타겟 방식은 제1 방식 및 제2 방식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방식은 상기 단말 디바이스가 등록하는 프로세스에서 상기 제2 동작을 수행하기 위한 정보를 송신하는 것이며, 상기 제2 방식은 상기 단말 디바이스가 세션 관리 프로세스에서 상기 제2 동작을 수행하기 위한 정보를 송신하는 것이며, 이에 따라, 상기 제2 타겟 방식이 상기 제1 방식인 경우, 이동성 관리 네트워크 요소를 상기 타겟 네트워크 요소로 결정하고, 상기 제2 타겟 방식이 상기 제2 방식인 경우, 세션 관리 네트워크 요소를 상기 타겟 네트워크 요소로 결정한다.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에서, 제1 매핑 관계에 기초하여 상기 제2 타겟 방식을 결정하고, 상기 제1 매핑 관계는 상기 제1 방식에 대응하는 파라미터 및/또는 상기 제2 방식에 대응하는 파라미터를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단말 디바이스의 파라미터가 상기 제1 방식에 대응하는 파라미터에 매칭되는 경우, 상기 제1 방식을 상기 제2 타겟 방식으로 결정하고, 상기 단말 디바이스의 파라미터가 상기 제2 상기 방식에 대응하는 파라미터에 매칭되는 경우, 상기 제2 방식을 상기 제2 타겟 방식으로 결정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파라미터는,
지역 정보, 공중 육상 이동 통신망(PLMN) 정보 및 시간 정보 중 적어도 하나에 속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제1 매핑 관계 정보는 미리 구성된다.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에서, 통합 데이터 저장(UDR) 또는 통합 데이터 관리(UDM)를 통해 검색 정보를 취득하고, 상기 검색 정보는 상기 단말 디바이스에 서비스하는 이동성 관리 네트워크 요소 및 세션 관리 네트워크 요소 중 적어도 하나의 정보를 나타내는 것, 및, 상기 이동성 관리 네트워크 요소 및 세션 관리 네트워크 요소 중 적어도 하나가 제2 동작을 지원하는지 여부를 나타내는 것 중 적어도 하나를 나타는데 사용되며, 검색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제2 타겟 방식을 결정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무선 통신 방법(230)의 흐름도이고, 상기 방법(230)은 이동성 관리 네트워크 요소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의 이동성 관리 네트워크 요소는 예를 들어 5G 통신 시스템에서의 AMF(Access and Mobility Management Function)일 수 있지만, 물론 다른 3GPP 통신 시스템에서의 이동성 관리 기능을 갖는 엔티티일 수도 있고,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방법(230)은 다음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단계 S231: 제3 요청을 수신하고, 상기 제3 요청은 단말 디바이스에 대해 재인가, 재인증, 인가 폐지 및 인증 폐지 중 적어도 하나의 동작을 수행하도록 요청하는데 사용되고,
단계 S232: 단말 디바이스에 상기 제3 요청을 송신한다.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에서, 상기 단계 S231은,
단말 관리 네트워크 요소에 의해 송신된 상기 제3 요청을 수신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에서, 상기 단계 S231은,
세션 관리 네트워크 요소에 의해 송신된 상기 제3 요청을 수신한다.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에서, 상기 제3 요청은 제1 지시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지시 정보는 제1 동작에 대응하는 제1 타겟 방식을 결정하는데 사용되고, 상기 제1 동작은 인가, 인증, 재인가 및 재인증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에서, 상기 제1 타겟 방식은 제1 방식 및 제2 방식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방식은 상기 단말 디바이스가 등록하는 과정을 통해 상기 제1 동작을 수행하기 위한 정보를 송신하는 것이며, 상기 제2 방식은 상기 단말 디바이스가 세션 관리 프로세스를 통해 상기 제1 동작을 수행하기 위한 정보를 송신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에서, 상기 제1 지시 정보는 상기 단말 디바이스가 상기 제1 방식 또는 제2 방식을 사용함을 나타내는데 사용된다.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에서, 상기 제1 지시 정보는 상기 제1 방식을 지원하는지 여부 및/또는 상기 제2 방식을 지원하는지 여부를 나타내는데 사용된다.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에서, 상기 제3 요청이 제1 동작에 대응하는 제1 타겟 방식을 나타내는 정보를 포함하지 않는 경우, 상기 제1 타겟 방식은 제2 방식이고, 상기 제1 동작은 인가, 인증, 재인가 및 재인증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고, 상기 제2 방식은 상기 단말 디바이스가 세션 관리 프로세스를 통해 상기 제1 동작을 수행하기 위한 정보를 송신하는 것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무선 통신 방법(240)의 흐름도이고, 상기 방법(240)은 정책 제어 네트워크 요소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의 정책 제어 네트워크 요소는, 예를 들면 5G 통신 시스템에서의 정책 제어 기능(Policy Control function, PCF)일 수 있고, 물론, 다른 3GPP 통신 시스템에서의 정책 제어 기능을 갖는 엔티티일 수도 있고,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방법(240)은 다음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단계 S241: 이동성 관리 네트워크 요소를 통해 단말 디바이스에 정책 정보를 송신하고, 상기 정책 정보는 제1 방식에 대응하는 파라미터 및 제2 방식에 대응하는 파라미터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파라미터는,
지역 정보, 공중 육상 이동 통신망(PLMN) 정보 및 시간 정보 중 적어도 하나에 속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정책 정보는 단말 디바이스의 식별자를 더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제1 방식은 상기 단말 디바이스가 등록 프로세스를 통해 제1 동작을 수행하기 위한 정보를 송신하는 것이며, 상기 제2 방식은 상기 단말 디바이스가 세션 관리 프로세스를 통해 상기 제1 동작을 수행하기 위한 정보를 송신하는 것이며, 상기 제1 동작은 인가, 인증, 재인가 및 재인증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또한, 각 네트워크 요소가 실행하는 방법 프로세스와 단말 디바이스가 실행하는 방법 프로세스는 서로 참조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술한 방법(220/230/240)의 단계는 방법(210)의 대응하는 단계를 참조할 수 있으며, 간결성을 위해 여기서는 생략한다.
이하, 구체적인 실시예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의 방법을 설명한다.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에서, UTM/USS가 UAV에 대해 재인가/인증을 수행할 필요가 있는 경우, 재인가/인증 요청을 3GPP 네트워크에서의 UAVF에 전송하고, UAVF가 당해 UAV에 대한 재인가/인증 방식을 취득하고, 취득된 재인가/인증 방식에 따라 재인가/인증 요청을 대응하는 네트워크 요소에 전송하고, 대응하는 네트워크 요소에 의해 재인가/인증 요청을 UAV에 송신한다. UAV가 3GPP 네트워크로부터 취득한 재인가/인증 요청 방식에 기초하여, 대응하는 3GPP 프로세스를 통해 재인가/인증 정보를 제공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의 무선 통신 방법(310)의 흐름도이다. 상기 방법(310)은 UAV(Unmanned Aerial Vehicle, UAV), AMF, SMF, UAVF 및 통일 위협 관리(Unified Threat Management, UTM)/UAV 시스템 제공자(UAS Service Supplier, USS)에 의해 송수신되어 실행될 수 있다. 선택적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UAV는 UAV 디바이스라고도 지칭되며, 다른 유형의 단말 디바이스로 대체될 수 있으며, 다른 유형의 기계 장치 또는 일반 휴대 단말 디바이스를 포함하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마찬가지로, AMF는 다른 이동성 관리 네트워크 요소로 대체될 수 있고, SMF도 다른 세션 관리 네트워크 요소로 대체될 수 있으며, UAVF는 다른 단말 관리 네트워크 요소로 대체될 수 있다. 또한, 선택적으로, UTM/USS는 데이터 처리 능력을 갖는 임의의 서버일 수 있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방법(310)은 다음의 일부 또는 전부의 내용을 포함할 수 있다.
단계 S311: UTM/USS가 UAV에 대해 재인가/인증을 수행할 필요가 있는 경우, 재인가/인증 요청을 3GPP 네트워크에서의 UAVF에 송신한다.
단계 S312: UAVF는 재인가/인증 방식을 결정한다.
선택적으로, 방식 1로서 이동성 관리 네트워크 요소, 예를 들어 AMF를 통해 UAV의 재인가/인증을 수행하고, 방법 2로서 세션 관리 네트워크 요소, 예를 들어 SMF를 통해 UAV의 재인가/인증을 수행한다.
선택적으로, UAVF는 다음의 방식으로 재인가/인증 방식을 결정하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방식 1:
UAVF에는 UAV의 재인가/인증 방식이 구성되어 있다. 예를 들어, 공중 육상 이동 통신망(Public Land Mobile Network, PLMN) 또는 지역 정보에 대응하는 UAV의 재인가/인증 방식이며, UAVF는 당해 UAV가 위치하는 PLMN 또는 지역 정보에 기초하여 대응하는 재인가/인증 방식을 결정할 수 있다.
방식 2:
UAVF는 UDM 및/또는 UDR을 검색하여 당해 UAV에 대한 재인가/인증 방식을 취득한다. 예를 들어, UDM을 검색하여 당해 UAV에 서비스하는 AMF 및/또는 SMF 정보를 취득하고, UDR을 검색하여 당해 AMF 및/또는 SMF가 UAV에 대한 재인가/인증을 지원하는지 여부를 취득한다.
당해 UAV에 대한 재인가/인증 방식이 방식 1로 결정되면, 다음 단계가 수행된다.
단계 S313a: UAVF는 재인가/인증 요청을 이동성 관리 네트워크 요소(예를 들어, AMF)에 송신한다.
단계 S314a: 이동성 관리 네트워크 요소(예를 들어, AMF)는 재인가/인증 요청을 UAV에 송신한다.
단계 S315a: 등록 프로세스를 통해 재인가/인증을 위한 정보가 이동성 관리 네트워크 요소(예를 들어, AMF)에 송신된다.
단계 S316a: 이동성 관리 네트워크 요소(예를 들어, AMF)는 재인가/인증을 위한 정보를 UAVF에 송신한다.
단계 S317: UAVF는 재인가/인증 정보를 UTM/USS에 송신한다.
당해 UAV에 대한 재인가/인증 방식이 방식 2로 결정되면, 다음 단계가 수행된다.
단계 S313b: UAVF는 재인가/인증 요청을 세션 관리 네트워크 요소(예를 들어, SMF)로 송신한다.
단계 S314b: 세션 관리 네트워크 요소(예를 들어, SMF)는 재인가/인증 요청을 UAV에 송신한다.
단계 S315b: 세션 관리 프로세스를 통해 재인가/인증을 위한 정보가 세션 관리 네트워크 요소(예를 들어, SMF)에 송신된다.
S316b: 세션 관리 네트워크 요소(예를 들어, SMF)는 재인가/인증을 위한 정보를 UAVF에 송신한다.
단계 S313a 내지 단계 S316a 및 단계 S313b 내지 단계 S316b에 대하여, UAV가 3GPP 네트워크로부터 취득한 재인가/인증 요청의 방식에 기초하여, 재인가/인증을 위한 정보를 제공하는 3GPP 프로세스를 결정한다. 이동성 관리 메시지로부터 재인가/인증 요청을 취득하는 경우, 등록 프로세스(예를 들어, 이동성 관리 메시지)를 통해 재인가/인증을 위한 정보가 이동성 관리 네트워크 요소, 예를 들어 AMF에 송신된다. 세션 관리 메시지로부터 재인가/인증 요청을 취득한 경우, 세션 관리 프로세스(예를 들어, 세션 관리 메시지)를 통해 재인가/인증을 위한 정보가 세션 관리 네트워크 요소, 예를 들어 SMF에 송신된다.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에서, UTM/USS가 UAV에 대한 인가/인증을 폐지해야 하는 경우, 인가/인증을 폐지하는 지시를 3GPP 네트워크에서 UAVF에 전송하고, UAVF가 당해 UAV에 대한 인가/인증의 폐지 방식을 취득하고, 취득한 인가/인증의 폐지 방식에 기초하여 인가/인증의 폐지 지시를 대응하는 네트워크 요소에 송신하고, 또한, 대응하는 네트워크 요소가 인가/인증의 폐지 지시를 UAV에 송신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의 무선 통신 방법(320)의 흐름도이다. 상기 방법(320)은 UAV(Unmanned Aerial Vehicle, UAV), AMF, SMF, UAVF 및 통일 위협 관리(Unified Threat Management, UTM)/UAV 시스템 제공자(UAS Service Supplier, USS)에 의해 송수신되어 실행될 수 있다. 선택적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UAV는 UAV 디바이스라고도 지칭되며, 다른 유형의 단말 디바이스로 대체될 수 있으며, 다른 유형의 기계 장치 또는 일반 휴대 단말 디바이스를 포함하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마찬가지로, AMF는 다른 이동성 관리 네트워크 요소로 대체될 수 있고, SMF도 다른 세션 관리 네트워크 요소로 대체될 수 있으며, UAVF는 다른 단말 관리 네트워크 요소로 대체될 수 있다. 또한, 선택적으로, UTM/USS는 데이터 처리 능력을 갖는 임의의 서버일 수 있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방법(320)은 다음의 일부 또는 전부의 내용을 포함할 수 있다.
단계 S321: UTM/USS는 UAV에 대한 인가/인증을 폐지할 필요가 있고, 인가/인증의 폐지 지시를 3GPP 네트워크에서 UAVF에 송신한다.
단계 S322: UAVF는 인가/인증 폐지 방식을 결정한다. UAVF가 인가/인증 폐지 방식을 결정하는 것은 방법(310)에서 단계 S312를 참조할 수 있고, 즉, UAVF가 재인가/인증 방식을 결정하며, 반복을 피하기 위해, 여기서 설명을 생략한다.
당해 UAV에 대한 인가/인증 방식이 방법 1로 결정되면, 다음 단계가 수행된다.
단계 S323a: UAVF는 인가/인증 폐지 지시를 이동성 관리 네트워크 요소, 예를 들어 AMF에 전송한다.
단계 S324a: 이동성 관리 네트워크 요소는 인가/인증 폐지 지시를 UAV에 전송한다. 예를 들어, AMF는 인가/인증 폐지 지시를 UAV에 전송한다.
UAV에 대한 인가/인증 방식이 방식 2로 결정되면, 다음 단계가 수행된다.
단계 S323b: UAVF는 인가/인증 폐지 지시를 세션 관리 네트워크 요소, 예를 들어 SMF에 전송한다.
단계 S324b: 세션 관리 네트워크 요소는 인가/인증 폐지 지시를 UAV에 전송한다. 예를 들어, SMF는 인가/인증 폐지 지시를 UAV에 전송한다.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에서, UTM/USS가 UAV에 대해 재인가/인증을 수행해야 하는 경우, 재인가/인증 요청을 3GPP 네트워크에서 UAVF에 전송하고, UAVF가 재인가/인증 요청을 SMF에 전송하고, SMF가 재인가/인증 요청을 AMF에 전송하고, AMF가 재인가/인증 요청을 UAV에 전송하고, 또한 AMF가 재인가/인증 방식을 결정하기 위한 정보를 UAV에 전송한다. UAV가 AMF로부터 취득한 재인가/인증 방식을 결정하기 위한 정보에 기초하여 대응하는 3GPP 프로세스에서 재인가/인증을 위한 정보를 제공한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의 무선 통신 방법(330)의 흐름도이다. 상기 방법(330)은 UAV(Unmanned Aerial Vehicle, UAV), AMF, SMF, UAVF 및 통일 위협 관리(Unified Threat Management, UTM)/UAV 시스템 제공자(UAS Service Supplier, USS)에 의해 송수신되어 실행될 수 있다. 선택적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UAV는 UAV 디바이스라고도 지칭되며, 다른 유형의 단말 디바이스로 대체될 수 있으며, 다른 유형의 기계 장치 또는 일반 휴대 단말 디바이스를 포함하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마찬가지로, AMF는 다른 이동성 관리 네트워크 요소로 대체될 수 있고, SMF도 다른 세션 관리 네트워크 요소로 대체될 수 있으며, UAVF는 다른 단말 관리 네트워크 요소로 대체될 수 있다. 또한, 선택적으로, UTM/USS는 데이터 처리 능력을 갖는 임의의 서버일 수 있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방법(330)은 다음의 일부 또는 전부의 내용을 포함할 수 있다.
단계 S331: UTM/USS가 UAV에 대해 재인가/인증을 수행할 필요가 있는 경우, 재인가/인증 요청을 3GPP 네트워크에서 UAVF에 송신한다.
단계 S332: UAVF는 재인가/인증 요청을 세션 관리 네트워크 요소(예를 들어, SMF)에 전송한다.
단계 S333: 세션 관리 네트워크 요소(예를 들어, SMF)는 재인가/인증 요청을 이동성 관리 네트워크 요소(예를 들어, AMF)에 전송한다.
단계 S334: 이동성 관리 네트워크 요소(예를 들어, AMF)는 재인가/인증 방식을 결정한다.
단계 S335: 이동성 관리 네트워크 요소(예를 들어, AMF)는 재인가/인증 요청을 UAV에 전송한다. 이동성 관리 네트워크 요소(예를 들어, AMF)는 또한 재인가/인증 방식을 결정하기 위한 정보를 UAV에 전송한다. 방식 1은 이동성 관리 네트워크 요소(예를 들어, AMF)를 통해 UAV의 재인가/인증을 수행하고, 방식 2는 세션 관리 네트워크 요소(예를 들어, SMF)를 통해 UAV의 인가/인증을 수행한다. AMF가 UAV에 재인가/인증 방식을 결정하기 위한 정보를 전송하는 것은 다음의 내용을 포함하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a) UAV가 방식 1 또는 방식 2를 사용함을 직접 지시한다.
b) 네트워크 측이 방식 1 또는 방식 2를 지원하는지 여부를 지시한다.
c) 지시하지 않는다.
이에 따라, UAV가 AMF로부터 취득한 재인가/인증 방식을 결정하기 위한 정보에 기초하여, 재인가/인증 정보를 제공하는데 사용되는 3GPP 프로세스를 결정한다. UAV가 AMF에 따라 재인가/인증 방식이 방식 1이라고 결정하면, 다음 단계를 수행한다.
단계 S336a: UAV는 이동성 관리 네트워크 요소(예를 들어, AMF)에 재인가/인증을 위한 정보를 전송한다.
단계 S337a: 이동성 관리 네트워크 요소(예를 들어, AMF)는 UAVF에 재인가/인증을 위한 정보를 전송한다.
UAV가 AMF에 따라 재인가/인증 방식이 방식 2라고 결정하면, 다음 단계를 수행한다.
단계 S336b: UAV는 세션 관리 네트워크 요소(예를 들어, SMF)에 재인가/인증을 위한 정보를 전송한다.
단계 S337b: 세션 관리 네트워크 요소(예를 들어, SMF)는 UAVF에 재인가/인증을 위한 정보를 전송한다.
단계 S336a 내지 단계 S337a 및 단계 S336b 내지 단계 S337b에 대해, AMF는 UAV가 방식 1 또는 방식 2를 사용하는 것을 직접 지시하는 경우, 방식 1에 의해 등록 프로세스(예를 들면 이동성 관리 메시지)를 통해 재인가/인증 정보를 이동성 관리 네트워크 요소, 예를 들어 AMF에 전송하고, 방식 2에 의해 세션 관리 프로세스(예를 들어, 세션 관리 메시지)를 통해 재인가/인증 정보를 세션 관리 네트워크 요소, 예를 들어 SMF에 전송한다. AMF는 네트워크 측이 방식 1을 지원하지 않는다고 지시하는 경우, 세션 관리 프로세스(예를 들어, 세션 관리 메시지)를 통해 재인가/인증 정보를 세션 관리 네트워크 요소, 예를 들어 SMF에 송신한다. AMF는 네트워크 측이 방식 1을 지원한다고 지시하면, 등록 프로세스(예를 들어, 이동성 관리 메시지)를 통해 재인가/인증 정보를 이동성 관리 네트워크 요소, 예를 들어 AMF에 전송한다. 지시하지 않는 경우, 디폴트로 방법 2를 사용하여, 세션 관리 프로세스(예를 들어, 세션 관리 메시지)를 통해 재인가/인증 정보를 세션 관리 네트워크 요소, 예를 들어 SMF에 전송한다.
단계 S338: UAVF는 재인가/인증 정보를 UTM/USS에 송신한다.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에서, UTM/USS가 UAV에 대한 인가/인증을 폐지할 필요가 있는 경우, 인가/인증의 폐지 지시를 3GPP 네트워크에서 UAVF에 송신하고, UAVF가 인가/인증의 폐지 지시를 SMF에 송신하고, SMF는 인가/인증 폐지 지시를 AMF에 송신하고, AMF는 인가/인증 폐지 지시를 UAV에 송신한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의 무선 통신 방법(340)의 흐름도이다. 상기 방법(340)은 UAV(Unmanned Aerial Vehicle, UAV), AMF, SMF, UAVF 및 통일 위협 관리(Unified Threat Management, UTM)/UAV 시스템 제공자(UAS Service Supplier, USS)에 의해 송수신되어 실행될 수 있다. 선택적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UAV는 UAV 디바이스라고도 지칭되며, 다른 유형의 단말 디바이스로 대체될 수 있으며, 다른 유형의 기계 장치 또는 일반 휴대 단말 디바이스를 포함하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마찬가지로, AMF는 다른 이동성 관리 네트워크 요소로 대체될 수 있고, SMF도 다른 세션 관리 네트워크 요소로 대체될 수 있으며, UAVF는 다른 단말 관리 네트워크 요소로 대체될 수 있다. 또한, 선택적으로, UTM/USS는 데이터 처리 능력을 갖는 임의의 서버일 수 있다.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방법(340)은 다음의 일부 또는 전부의 내용을 포함할 수 있다.
단계 S341: UTM/USS는 UAV에 대한 인가/인증을 폐지할 필요가 있고, 인가/인증의 폐지 지시를 3GPP 네트워크에서 UAVF에 송신한다.
단계 S342: UAVF는 인가/인증 폐지 지시를 세션 관리 네트워크 요소(예를 들어, SMF)에 송신한다.
단계 S343: 세션 관리 네트워크 요소(예를 들어, SMF)는 인가/인증 폐지 지시를 이동성 관리 네트워크 요소(예를 들어, AMF)에 송신한다.
단계 S344: 이동성 관리 네트워크 요소(예를 들어, AMF)는 인가/인증 폐지 지시를 UAV에 송신한다.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에서, UAV는 정책 정보를 구성하고 UAV가 구성된 정책 정보에 기초하여 대응하는 3GPP 프로세스를 통해 인가/인증 정보를 제공한다.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의 무선 통신 방법(350)의 흐름도이다. 상기 방법(340)은 UAV(Unmanned Aerial Vehicle, UAV), AMF, SMF, UAVF, PCF 및 통일 위협 관리(Unified Threat Management, UTM)/UAV 시스템 제공자(UAS Service Supplier, USS)에 의해 송수신되어 실행될 수 있다. 선택적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UAV는 UAV 디바이스라고도 지칭되며, 다른 유형의 단말 디바이스로 대체될 수 있으며, 다른 유형의 기계 장치 또는 일반 휴대 단말 디바이스를 포함하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마찬가지로, AMF는 다른 이동성 관리 네트워크 요소로 대체될 수 있고, SMF도 다른 세션 관리 네트워크 요소로 대체될 수 있으며, UAVF는 다른 단말 관리 네트워크 요소로 대체될 수 있고, PCF는 다른 정책 제어 네트워크 요소로 전환될 수 있다. 또한, 선택적으로, UTM/USS는 데이터 처리 능력을 갖는 임의의 서버일 수 있다.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방법(350)은 다음의 일부 또는 전부의 내용을 포함할 수 있다.
단계 S351: 정책 제어 네트워크 요소(예를 들어, PCF)는 정책 정보를 이동성 관리 네트워크 요소(예를 들어, AMF)에 송신한다.
선택적으로, 정책 정보는,
파라미터: 지역 정보, PLMN 정보, 시간 정보 등을 포함한다.
파라미터에 대응하는 인가/인증 방식을 선택하고, 방식 1은 이동성 관리 네트워크 요소(예를 들어, AMF)를 통해 UAV의 인가/인증을 수행하고, 및/또는 방식 2는 세션 관리 네트워크 요소(예를 들어, SMF)를 통해 UAV의 인가/인증을 수행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정책 정보는 UAV의 식별자를 더 포함한다.
단계 S352: 이동성 관리 네트워크 요소(예를 들어, AMF)는 정책 정보를 UAV에 송신한다.
UAV가 정책 정보에 기초하여 인가/인증 방식을 방식 1로 결정하면, 다음 단계를 수행한다.
단계 S353a: UAV는 이동성 관리 네트워크 요소(예를 들어, AMF)에 인가/인증을 위한 정보를 송신한다.
단계 S354a: 이동성 관리 네트워크 요소(예를 들어, AMF)는 UAVF에 인가/인증을 위한 정보를 전송한다.
UAV가 정책 정보에 기초하여 인가/인증 방식을 방식 2로 결정하면, 다음 단계를 수행한다.
단계 S353b: UAV는 세션 관리 네트워크 요소(예를 들어, SMF)에 인가/인증을 위한 정보를 전송한다.
단계 S354b: 세션 관리 네트워크 요소(예를 들어, SMF)는 UAVF에 인가/인증을 위한 정보를 전송한다.
단계 S353a 내지 단계 S354a 및 단계 S353b 내지 단계 S354b에 대해, UAV가 정책 정보에 기초하여 인가/인증을 위한 정보에 사용되는 3GPP 프로세스를 결정한다. 예를 들어, UAV가 현재 위치하는 네트워크 정보, 위치 정보, 시간 정보 등의 정책 정보의 정보와 매칭되는 상황에 기초하여, 인가/인증을 위한 정보에 사용되는 3GPP 프로세스를 결정한다. 방식 1인 경우, 등록 프로세스(예를 들어, 이동성 관리 메시지)를 통해 인가/인증을 위한 정보가 이동성 관리 네트워크 요소(예를 들어, AMF)에 전송된다. 방식 2인 경우, 세션 관리 프로세스(예를 들어, 세션 관리 메시지)를 통해 인가/인증을 위한 정보가 세션 관리 네트워크 요소(예를 들어, SMF)에 전송된다.
단계 S355b: UAVF는 인가/인증을 위한 정보를 UTM/USS에 송신한다.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에서, UTM/USS가 UAV에 대해 재인가/인증을 수행해야 하는 경우, 재인가/인증 요청을 3GPP 네트워크에서 UAVF에 전송하고, UAVF가 재인가/인증 요청을 SMF에 전송하고, SMF가 재인가/인증 요청을 AMF에 전송하고, AMF가 재인가/인증 요청을 UAV에 전송하고, UAV가 구성된 정책 정보에 기초하여 재인가/인증 방식을 결정하고, 대응하는 3GPP 프로세스를 통해 재인가/인증을 위한 정보를 제공한다.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의 무선 통신 방법(360)의 흐름도이다. 상기 방법(360)은 UAV(Unmanned Aerial Vehicle, UAV), AMF, SMF, UAVF, 및 통일 위협 관리(Unified Threat Management, UTM)/UAV 시스템 제공자(UAS Service Supplier, USS)에 의해 송수신되어 실행될 수 있다. 선택적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UAV는 UAV 디바이스라고도 지칭되며, 다른 유형의 단말 디바이스로 대체될 수 있으며, 다른 유형의 기계 장치 또는 일반 휴대 단말 디바이스를 포함하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마찬가지로, AMF는 다른 이동성 관리 네트워크 요소로 대체될 수 있고, SMF도 다른 세션 관리 네트워크 요소로 대체될 수 있으며, UAVF는 다른 단말 관리 네트워크 요소로 대체될 수 있다. 또한, 선택적으로, UTM/USS는 데이터 처리 능력을 갖는 임의의 서버일 수 있다.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방법(360)은 다음의 일부 또는 전부의 내용을 포함할 수 있다.
단계 S361: UTM/USS가 UAV에 대해 재인가/인증을 수행해야 하는 경우, 재인가/인증 요청이 3GPP 네트워크에서 UAVF에 전송된다.
단계 S362: UAVF는 재인가/인증 요청을 세션 관리 네트워크 요소(예를 들어, SMF)에 전송한다.
단계 S363: 세션 관리 네트워크 요소(예를 들어, SMF)는 재인가/인증 요청을 이동성 관리 네트워크 요소(예를 들어, AMF)에 전송한다.
단계 S364: 이동성 관리 네트워크 요소(예를 들어, AMF)는 재인가/인증 요청을 UAV에 전송한다.
이에 따라, UAV는 정책 정보에 기초하여 재인가/인증 방식을 결정할 수 있다. 또한, UAV가 정책 정보에 기초하여 재인가/인증 방식을 결정하는 것은 방법(350)에서 UAV가 정책 정보에 기초하여 인가/인증 방식을 결정하는 것과 유사하며, 간결함을 위해, 여기서 설명을 생략한다.
UAV가 정책 정보에 기초하여 인가/인증 방식을 방식 1로 결정하면, 다음 단계를 수행한다.
단계 S365a: UAV는 이동성 관리 네트워크 요소(예를 들어, AMF)에 재인가/인증을 위한 정보를 전송한다.
단계 S366a: 이동성 관리 네트워크 요소(예를 들어, AMF)는 UAVF에 재인가/인증을 위한 정보를 전송한다.
UAV가 정책 정보에 기초하여 인가/인증 방식을 방식 2로 결정하면, 다음 단계를 수행한다.
단계 S365b: UAV는 세션 관리 네트워크 요소(예를 들어, SMF)에 재인가/인증을 위한 정보를 전송한다.
단계 S366b: 세션 관리 네트워크 요소(예를 들어, SMF)는 UAVF에 재인가/인증을 위한 정보를 전송한다.
단계 S365a 내지 단계 S366a 및 단계 S365b 내지 단계 S366b에 대해, UAV가 정책 정보에 기초하여 재인가/인증을 위한 정보에 사용되는 3GPP 프로세스를 결정한다. 예를 들어, UAV가 현재 위치하는 네트워크 정보, 위치 정보, 시간 정보 등의 정책 정보의 정보와 매칭되는 상황에 기초하여, 재인가/인증을 위한 정보에 사용되는 3GPP 프로세스를 결정한다. 방식 1인 경우, 등록 프로세스(예를 들어, 이동성 관리 메시지)를 통해 재인가/인증을 위한 정보가 이동성 관리 네트워크 요소(예를 들어, AMF)에 전송된다. 방식 2인 경우, 세션 관리 프로세스(예를 들어, 세션 관리 메시지)를 통해 재인가/인증을 위한 정보가 세션 관리 네트워크 요소(예를 들어, SMF)에 전송된다.
단계 S367: UAVF는 재인가/인증을 위한 정보를 UTM/USS에 전송한다.
도 1 내지 도 12는 본 발명의 예시일 뿐이며, 본 발명에 대한 한정으로 해석되어서는 안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 UAV에 대한 인가/인증을 위한 방법(310) 및 방법(330)의 프로세스는 UAV에 대한 인가/인증 프로세스를 수행하는 프로세스에 적용될 수 있으며, 이는 UAV가 전원이 온되는 즉시 인가/인증을 수행할 필요가 없으며, 네트워크가 인가/인증 방법의 지시를 수신한 후에 인가/인증 프로세스를 수행하는 것과 같다.
이상,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설명했지만,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서의 특정 내용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해결 수단의 다양한 간단한 변형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 내에서 수행될 수 있으며, 이들은 모두 본 발명의 보호 범위 내에 포함되는 것이다. 예를 들어, 상기 구체적인 실시예에서 설명한 다양한 구체적인 기술적 특징은 모순되지 않는 한, 임의의 적절한 방식으로 조합될 수 있으며, 본 발명에서는 불필요한 반복을 피하기 위해, 다양한 가능한 조합이 개별적으로 설명되지 않는다. 또한 예를 들어,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는 본 발명의 사상에 반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임의의 조합을 가질 수 있으며, 이들도 마찬가지로 본 발명에 개시된 것으로 간주되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양한 방법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과정의 시퀀스 번호의 크기는 실행 순서를 의미하는 것이 아니고, 각 과정의 실행 순서는 그 기능 및 내재적 논리에 의해 결정되어야 하고, 본 발명 실시예에서 수행되는 과정에 대해 어떠한 제한도 구성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및/또는"이라는 용어는 단순히 관련 객체의 관련 관계를 설명하고, 세 가지의 관계가 존재할 수 있음을 나타낸다. 구체적으로, A 및/또는 B는 A만 존재하는 것, A 및 B 모두가 존재하는 것, B만 존재하는 것을 나타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 문자 "/"는 일반적으로 전후의 관련 객체가 "또는"의 관계에 있음을 나타낸다.
이상, 도 1 내지 도 1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방법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였고, 이하, 본 발명의 장치의 실시예를 설명한다.
도 1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의 단말 디바이스(410)의 예시적인 블록도이다.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단말 디바이스(410)는 결정 유닛(411)과 송신 유닛(412)을 포함할 수 있고,
결정 유닛(411)은 제1 동작에 대응하는 제1 타겟 방식을 결정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제1 동작은 인가, 인증, 재인가 및 재인증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고,
송신 유닛(412)은 상기 제1 타겟 방식에 따라 상기 제1 동작을 수행하기 위한 정보를 송신하도록 구성된다.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에서, 상기 제1 타겟 방식은 제1 방식 및 제2 방식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방식은 상기 단말 디바이스가 등록하는 과정을 통해 상기 제1 동작을 수행하기 위한 정보를 송신하는 것이며, 상기 제2 방식은 상기 단말 디바이스가 세션 관리 프로세스를 통해 상기 제1 동작을 수행하기 위한 정보를 송신하는 것이며, 상기 송신 유닛(412)은 구체적으로,
상기 제1 타겟 방식이 상기 제1 방식인 경우, 이동성 관리 네트워크 요소를 통해 상기 제1 동작을 수행하기 위한 정보를 송신하고, 상기 제1 타겟 방식이 상기 제2 방식인 경우, 세션 관리 네트워크 요소를 통해 상기 제1 동작을 수행하기 위한 정보를 송신하도록 구성된다.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에서, 상기 결정 유닛(411)은 구체적으로,
상기 단말 디바이스에 대한 재인가 및 재인증 중 적어도 하나를 요청하는데 사용되는 제1 요청을 수신하고,
상기 제1 요청을 취득하는 방식에 따라 상기 제1 타겟 방식을 결정하도록 구성된다.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에서, 상기 결정 유닛(411)은 구체적으로,
상기 이동성 관리 네트워크 요소로부터 상기 제1 요청을 수신하면, 상기 제1 방식을 상기 제1 타겟 방식으로 결정하고,
상기 세션 관리 네트워크 요소로부터 상기 제1 요청을 수신하면, 상기 제2 방식을 상기 제1 타겟 방식으로 결정하도록 구성된다.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에서, 송신 유닛(412)은 또한,
이동성 관리 네트워크 요소에 의해 송신된 상기 제1 타겟 방식을 결정하기 위한 제1 지시 정보를 수신하도록 구성된다.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에서, 상기 제1 지시 정보는 상기 단말 디바이스가 상기 제1 방식 또는 상기 제2 방식을 사용함을 나타내는데 사용되며, 상기 결정 유닛(411)은 구체적으로,
상기 제1 지시 정보로 나타내는 상기 제1 방식 또는 상기 제2 방식을 상기 제1 타겟 방식으로 결정하도록 구성된다.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에서, 상기 제1 지시 정보는 상기 제1 방식을 지원하는지 여부 및 상기 제2 방식을 지원하는지 여부 중 적어도 하나를 나타내는데 사용되며, 상기 결정 유닛(411)은 구체적으로,
상기 제1 지시 정보로 나타내는 지원하는 방식을 상기 제1 타겟 방식으로 결정하도록 구성된다.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에서, 상기 송신 유닛(412)은 구체적으로,
상기 이동성 관리 네트워크 요소에 의해 송신된 제1 요청을 수신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제1 요청은 상기 재인가 및 재인증 중 적어도 하나를 요청하는데 사용되며, 상기 제1 요청은 상기 제1 지시 정보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에서, 상기 송신 유닛(412)은,
상기 이동성 관리 네트워크 요소에 의해 송신된 제1 요청을 수신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제1 요청은 상기 재인가 및 재인증 중 적어도 하나를 요청하는데 사용되며, 상기 결정 유닛(411)은 구체적으로,
상기 제1 요청이 상기 제1 타겟 방식을 나타내는 정보를 포함하지 않는 경우, 상기 제2 방식을 상기 제1 타겟 방식으로 결정하도록 구성된다.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에서, 상기 송신 유닛(412)은,
상기 제1 방식에 대응하는 파라미터 및 상기 제2 방식에 대응하는 파라미터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정책 정보를 수신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결정 유닛(411)은 구체적으로,
상기 정책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제1 타겟 방식을 결정하도록 구성된다.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에서, 상기 송신 유닛(412)은 구체적으로,
이동성 관리 네트워크 요소를 통해 정책 제어 네트워크 요소에 의해 송신된 상기 정책 정보를 수신하도록 구성된다.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에서, 상기 결정 유닛(411)은 구체적으로,
상기 단말 디바이스의 파라미터가 상기 제1 방식에 대응하는 파라미터에 매칭되는 경우, 상기 제1 방식을 상기 제1 타겟 방식으로 결정하고, 상기 단말 디바이스의 파라미터가 상기 제2 방식에 대응하는 파라미터에 매칭되는 경우, 상기 제2 방식을 상기 제1 타겟 방식으로 결정하도록 구성된다.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에서, 상기 파라미터는,
지역 정보, 공중 육상 이동 통신망(PLMN) 정보 및 시간 정보 중 적어도 하나에 속한다.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에서, 상기 정책 정보는 상기 단말 디바이스의 식별자를 더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에서, 상기 송신 유닛(412)은 구체적으로,
인가 폐지 및/또는 인증 폐지를 지시하기 위한 제2 지시 정보를 수신하도록 구성된다.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에서, 상기 송신 유닛(412)은 구체적으로,
이동성 관리 네트워크 요소를 통해 세션 관리 네트워크 요소에 의해 전달된 상기 제2 지시 정보를 수신하는 것,
상기 이동성 관리 네트워크 요소를 통해 단말 관리 네트워크 요소에 의해 전달된 상기 제2 지시 정보를 수신하는 것, 또는
상기 세션 관리 네트워크 요소를 통해 상기 단말 관리 네트워크 요소에 의해 송신된 상기 제2 지시 정보를 수신하는 것으로 구성된다.
도 1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의 단말 관리 네트워크 요소(420)의 블록도이다.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단말 관리 네트워크 요소(420)는 수신 유닛(421), 결정 유닛(422) 및 송신 유닛(423)을 포함할 수 있다.
수신 유닛(421)은 제2 요청을 수신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제2 요청은 단말 디바이스에 대한 재인가, 재인증, 인가 폐지 및 인증 폐지 중 적어도 하나의 동작을 수행하도록 요청하는데 사용되며,
결정 유닛(422)은 타겟 네트워크 요소를 결정하도록 구성되고,
송신 유닛(423)은 상기 타겟 네트워크 요소에 상기 제2 요청을 송신하도록 구성된다.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에서, 상기 결정 유닛(422)은 구체적으로,
세션 관리 네트워크 요소를 상기 타겟 네트워크 요소로 결정하도록 구성된다.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에서, 상기 결정 유닛(422)은 구체적으로,
제2 동작에 대응하는 제2 타겟 방식을 결정하고, 상기 제2 동작은 인가, 인증, 재인가, 재인증, 인가 폐지 및 인증 폐지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고,
상기 제2 타겟 방식에 기초하여 상기 타겟 네트워크 요소를 결정하도록 구성된다.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에서, 상기 제2 타겟 방식은 제1 방식 및 제2 방식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방식은 상기 단말 디바이스가 등록하는 과정을 통해 상기 제2 동작을 수행하기 위한 정보를 송신하는 것이고, 상기 제2 방식은 상기 단말 디바이스가 세션 관리 프로세스를 통해 상기 제2 동작을 수행하기 위한 정보를 송신하는 것이고, 상기 결정 유닛(422)은 구체적으로,
상기 제2 타겟 방식이 상기 제1 방식인 경우, 이동성 관리 네트워크 요소를 상기 타겟 네트워크 요소로 결정하고, 상기 제2 타겟 방식이 상기 제2 방식인 경우, 세션 관리 네트워크 요소를 상기 타겟 네트워크 요소로 결정하도록 구성된다.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에서, 상기 결정 유닛(422)은 또한,
제1 매핑 관계에 기초하여 상기 제2 타겟 방식을 결정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제1 매핑 관계는 상기 제1 방식에 대응하는 파라미터 및/또는 상기 제2 방식에 대응하는 파라미터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에서, 상기 결정 유닛(422)은 구체적으로,
단말 디바이스의 파라미터가 상기 제1 방식에 대응하는 파라미터에 매칭되는 경우, 상기 제1 방식을 상기 제2 타겟 방식으로 결정하고, 상기 단말 디바이스의 파라미터가 상기 제2 방식에 대응하는 파라미터에 매칭되는 경우, 상기 제2 방식을 상기 제2 타겟 방식으로 결정하도록 구성된다.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에서, 상기 파라미터는,
지역 정보, 공중 육상 이동 통신망(PLMN) 정보 및 시간 정보 중 적어도 하나에 속한다.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에서, 상기 제1 매핑 관계 정보는 미리 구성된다.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에서, 상기 결정 유닛(422)은 구체적으로,
통합 데이터 저장(UDR) 또는 통합 데이터 관리(UDM)를 통해 검색 정보를 취득하고, 상기 검색 정보는 단말 디바이스에 서비스하는 이동성 관리 네트워크 요소 및 세션 관리 네트워크 요소 중 적어도 하나의 정보를 나타내는 것, 및, 상기 이동성 관리 네트워크 요소 및 상기 세션 관리 네트워크 요소 중 적어도 하나가 상기 제2 동작을 지원하는지 여부를 나타내는 것 중 적어도 하나를 나타내는데 사용되며,
상기 검색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제2 타겟 방식을 결정하도록 구성된다.
도 1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의 이동성 관리 네트워크 요소(430)의 블록도이다.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이동성 관리 네트워크 요소(430)는 수신 유닛(431) 및 송신 유닛(432)을 포함할 수 있고,
수신 유닛(431)은 제3 요청을 수신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제3 요청은 단말 디바이스에 대한 재인가, 재인증, 인가 폐지 및 인증 폐지 중 적어도 하나의 동작을 수행하도록 요청하는데 사용되며,
송신 유닛(432)은 단말 디바이스에 상기 제3 요청을 송신하도록 구성된다.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에서, 상기 수신 유닛(431)은 구체적으로,
상기 단말 관리 네트워크 요소에 의해 송신된 상기 제3 요청을 수신하도록 구성된다.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에서, 상기 수신 유닛(431)은 구체적으로,
세션 관리 네트워크 요소에 의해 송신된 상기 제3 요청을 수신하도록 구성된다.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에서, 상기 제3 요청은 제1 지시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지시 정보는 제1 동작에 대응하는 제1 타겟 방식을 결정하는데 사용되고, 상기 제1 동작은 인가, 인증, 재인가 및 재인증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에서, 상기 제1 타겟 방식은 제1 방식 및 제2 방식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방식은 상기 단말 디바이스가 등록하는 과정을 통해 상기 제1 동작을 수행하기 위한 정보를 송신하는 것이며, 상기 제2 방식은 상기 단말 디바이스가 세션 관리 프로세스를 통해 상기 제1 동작을 수행하기 위한 정보를 송신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에서, 상기 제1 지시 정보는 상기 단말 디바이스가 제1 방식 또는 제2 방식을 사용함을 나타내는데 사용된다.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에서, 상기 제1 지시 정보는 상기 제1 방식을 지원하는지 여부 및/또는 상기 제2 방식을 지원하는지 여부를 나타내는데 사용된다.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에서, 상기 제3 요청이 제1 동작에 대응하는 제1 타겟 방식을 나타내는 정보를 포함하지 않는 경우, 상기 제1 타겟 방식은 제2 방식이고, 상기 제1 동작은 인가, 인증, 재인가 및 재인증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고, 상기 제2 방식은 상기 단말 디바이스가 세션 관리 프로세스를 통해 상기 제1 동작을 수행하기 위한 정보를 전송하는 것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의 정책 제어 네트워크 요소(440)의 블록도이다.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정책 제어 네트워크 요소(440)는 송신 유닛(441)을 포함할 수 있고,
송신 유닛(441)은 이동성 관리 네트워크 요소를 통해 단말 디바이스에 정책 정보를 송신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정책 정보는 제1 방식에 대응하는 파라미터 및 제2 방식에 대응하는 파라미터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에서, 상기 파라미터는,
지역 정보, 공중 육상 이동 통신망(PLMN) 정보 및 시간 정보 중 적어도 하나에 속한다.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에서, 상기 정책 정보는 단말 디바이스의 식별자를 더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에서, 상기 제1 방식은 상기 단말 디바이스가 등록 프로세스을 통해 상기 제1 동작을 수행하기 위한 정보를 송신하는 것이며, 상기 제2 방식은 상기 단말 디바이스가 세션 관리 프로세스를 통해 상기 제1 동작을 수행하기 위한 정보를 송신하는 것이고, 상기 제1 동작은 인가, 인증, 재인가 및 재인증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서, 장치의 실시예와 방법의 실시예는 서로 대응될 수 있고, 유사한 설명은 방법의 실시예를 참조할 수 있음을 이해해야 한다. 구체적으로, 도 13에 도시된 단말 디바이스(410), 도 14에 도시된 단말 관리 네트워크 요소(420), 도 15에 도시된 이동성 관리 네트워크 요소, 도 16에 도시된 정책 제어 네트워크 요소는 모두 본 발명의 실시예의 방법을 실행하는 대응하는 주체에 대응될 수 있고, 도 13에 도시된 단말 디바이스(410), 도 14에 도시된 단말 관리 네트워크 요소(420), 도 15에 도시된 이동성 관리 네트워크 요소 및 도 16에 도시된 정책 제어 네트워크 요소에서의 각 유닛의 전술한 및 다른 동작 및/또는 기능은 각각 각 방법에서의 대응하는 프로세스를 구현하기 위한 것으로, 간결함을 위해, 여기에서 설명을 생략한다.
이상,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통신 디바이스에 대해 기능 모듈의 관점에서 첨부 도면과 관련하여 설명하였다. 당해 기능 모듈은 하드웨어 형태로 구현될 수 있고, 소프트웨어 형태의 명령들에 의해 구현될 수도 있고,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 모듈의 조합에 의해 구현될 수도 있다는 것을 이해해야 한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의 방법의 실시예의 단계는 프로세서 내의 하드웨어 형태의 집적 논리 회로 및/또는 소프트웨어 형태의 명령에 의해 달성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실시예에 개시된 방법의 단계는 하드웨어 디코딩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되도록 직접 구현되거나, 디코딩 프로세서 내의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 모듈의 조합에 의해 실행되도록 구현될 수 있다. 선택적으로, 소프트웨어 모듈은 랜덤 메모리, 플래시 메모리, 읽기 전용 메모리, 프로그래머블 읽기 전용 메모리, 전기적 소거 가능한 프로그래머블 메모리, 레지스터 및 해당 분야에서 잘 알려진 저장 매체에 위치될 수 있다. 당해 저장 매체는 메모리에 위치되고, 프로세서는 하드웨어와 조합하여 메모리 내의 정보를 판독하고 전술한 방법 실시예의 단계를 완료한다. 예를 들어, 상술한 결정 유닛 및 통신 유닛은 각각 프로세서 및 송수신기에 의해 실현될 수 있다.
도 1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통신 디바이스(500)의 개략적인 구조도이다.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통신 디바이스(500)는 프로세서(51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프로세서(510)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의 방법을 구현하기 위해 메모리로부터 컴퓨터 프로그램을 호출하여 실행할 수 있다.
도 17을 더 참조하면, 통신 디바이스(500)는 메모리(52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당해 메모리(520)는 지시 정보를 저장하는데 사용될 수 있으며, 프로세서(510)에 의해 실행되는 코드, 명령 등을 저장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여기서, 프로세서(510)는 메모리(520)로부터 컴퓨터 프로그램을 호출하고 실행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의 방법을 구현할 수 있다. 메모리(520)는 프로세서(510)와 별도의 디바이스일 수 있고, 프로세서(510)에 통합될 수도 있다.
도 17을 참조하면, 통신 디바이스(500)는 송수신기(53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프로세서(510)는 송수신기(530)를 제어하여 다른 디바이스와 통신할 수 있고, 구체적으로는, 다른 디바이스에 정보 또는 데이터를 전송하거나, 다른 디바이스로부터 정보 또는 데이터를 수신할 수도 있다. 송수신기(530)는 송신기와 수신기로 구성될 수 있다. 송수신기(530)는 안테나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안테나의 수는 1개일 수 있고, 복수일 수도 있다.
당해 통신 디바이스(500)의 다양한 컴포넌트들은 버스 시스템을 통해 연결되고, 버스 시스템은 데이터 버스에 더하여 전원 버스, 제어 버스 및 상태 신호 버스를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당해 통신 디바이스(500)는 본 발명의 실시예의 단말 디바이스일 수 있고, 당해 통신 디바이스(500)는 본 발명의 실시예의 각 방법에서 단말 디바이스에 의해 구현되는 대응하는 프로세스를 구현할 수 있고, 즉, 본 발명의 실시예의 통신 디바이스(500)는 본 발명의 실시예의 단말 디바이스(410)에 대응할 수 있고,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방법(200)을 수행하는 대응하는 주체에 대응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해야 하며, 간결함을 위해, 여기서는 설명을 생략한다. 유사하게, 당해 통신 디바이스(500)는 본 발명의 실시예의 각각의 네트워크 요소일 수 있고, 당해 통신 디바이스(500)는 본 발명의 실시예의 각각의 방법에서 대응하는 네트워크 요소에 의해 구현되는 대응하는 프로세스가 구현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실시예의 통신 디바이스(500)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의 도 13에 나타내는 단말 디바이스(410), 도 14에 나타내는 단말 관리 네트워크 요소(420), 도 15에 나타내는 이동 관리 네트워크 요소, 또는 도 16에 나타내는 정책 제어 네트워크 요소에 대응할 수도 있고,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방법을 수행하는 대응하는 주체에 대응할 수도 있지만, 간결함을 위해, 여기서는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칩을 더 제공한다.
예를 들어, 칩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개시된 각각의 방법, 단계 및 논리 블록 다이어그램을 구현 또는 실행하는 신호의 처리 능력을 갖는 집적 회로 칩일 수 있다. 상기 칩은 시스템 레벨 칩, 시스템 칩, 칩 시스템, 시스템 온 칩 등으로 지칭될 수 있다. 선택적으로, 당해 칩이 탑재된 다양한 통신 디바이스가 본 발명의 실시예에 개시된 각각의 방법, 단계 및 논리 블록 다이어그램을 수행할 수 있도록 칩이 다양한 통신 디바이스에 적용될 수 있다.
도 1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칩(600)의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도 1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칩(600)은 프로세서(61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프로세서(610)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방법을 구현하기 위해, 메모리로부터 컴퓨터 프로그램을 호출하여 실행할 수 있다.
또한, 도 18을 참조하면, 상기 칩(600)은 메모리(62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프로세서(610)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방법을 구현하기 위해, 메모리(620)로부터 컴퓨터 프로그램을 호출하여 실행할 수 있다. 당해 메모리(620)는 지시 정보를 저장하는데 사용될 수 있으며, 프로세서(610)에 의해 실행되는 코드, 명령 등을 저장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메모리(620)는 프로세서(610)와 별도의 디바이스일 수 있고, 프로세서(610)에 통합될 수도 있다.
또한, 도 18을 참조하면, 상기 칩(600)은 입력 인터페이스(630)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프로세서(610)는 당해 입력 인터페이스(630)를 제어하여 다른 디바이스 또는 칩과 통신할 수 있고, 구체적으로는, 다른 디바이스 또는 칩으로부터 전송되는 정보 또는 데이터를 취득할 수 있다.
도 18을 참조하면, 상기 칩(600)은 출력 인터페이스(6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프로세서(610)는 당해 출력 인터페이스(640)를 제어하여 다른 디바이스 또는 칩과 통신할 수 있고, 구체적으로는, 다른 디바이스 또는 칩에 정보 또는 데이터를 출력할 수 있다.
상기 칩(60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적용될 수 있고, 본 발명의 실시예의 다양한 방법에서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의해 구현되는 대응하는 프로세스를 구현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실시예의 다양한 방법에서 단말 디바이스에 의해 구현되는 대응하는 프로세스를 구현할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하며, 간결성을 위해, 여기서는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당해 칩(600) 내의 다양한 컴포넌트는 버스 시스템을 통해 연결되고, 버스 시스템은 데이터 버스 이외에 전원 버스, 제어 버스 및 상태 신호 버스를 포함한다는 것을 이해해야 한다.
상기에 언급된 프로세서는 범용 프로세서,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Digital Signal Processor, DSP), 주문형 집적 회로(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 ASIC), 현장 프로그래머블 게이트 어레이(Field Programmable Gate Array, FPGA) 또는 다른 프로그래머블 논리 장치, 개별 게이트 또는 트랜지스터 논리 장치, 개별 하드웨어 구성요소 등을 포함할 수 있지만,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프로세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개시된 방법, 단계 및 논리 블록도 각각을 구현 또는 실행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와 관련하여 개시된 방법의 단계는 하드웨어 디코딩 프로세서로 직접 구현될 수 있고, 디코딩 프로세서의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 모듈의 조합으로 수행될 수도 있다. 소프트웨어 모듈은 랜덤 메모리, 플래시 메모리, 읽기 전용 메모리, 프로그래머블 읽기 전용 메모리 또는 소거 가능한 프로그래머블 메모리, 레지스터 등의 해당 분야에 알려진 다른 저장 매체에 위치될 수 있다. 당해 저장 매체는 메모리 내에 위치되고, 프로세서는 메모리 내의 정보를 판독하고, 하드웨어와 조합하여 상술한 방법의 단계를 완료한다.
상기에서 언급된 메모리는 휘발성 메모리 및/또는 비 휘발성 메모리를 포함하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여기서, 비 휘발성 메모리는 읽기 전용 메모리(ROM: Read-Only Memory), 프로그래머블 읽기 전용 메모리(PROM: Programmable ROM), 소거 가능 프로그래머블 읽기 전용 메모리(EPROM: Erasable PROM), 전기적 소거 가능한 프로그래머블 읽기 전용 메모리(EEPROM: Electrically EPROM) 또는 플래시 메모리일 수 있다. 휘발성 메모리는 외부 고속 캐시 메모리로서 기능하는 랜덤 액세스 메모리(RAM: Random Access Memory)일 수 있다. 제한적이 아닌 예시적인 설명으로서, 다양한 형식의 RAM을 사용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정적 랜덤 액세스 메모리(SRAM: Static RAM), 동적 랜덤 액세스 메모리(DRAM: Dynamic RAM), 동기식 동적 랜덤 액세스 메모리(SDRAM: Synchronous DRAM), 더블 데이터 레이트 동기식 동적 랜덤 액세스 메모리(DDRSDRAM: Double Data Rate SDRAM), 강화형 동기식 동적 랜덤 액세스 메모리(ESDRAM: Enhanced SDRAM), 동기식 링크 동적 랜덤 액세스 메모리(SLDRAM: Synchlink DRAM) 및 다이렉트 램버스 랜덤 액세스 메모리(DR RAM)이다.
본 명세서에 기술된 메모리는 이들 및 임의의 다른 적절한 유형의 메모리를 포함하는 것으로 의도된다는 것에 주목해야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또한 컴퓨터 프로그램을 저장하기 위한 컴퓨터 판독 가능한 저장 매체를 제공한다. 당해 컴퓨터 판독 가능한 저장 매체는 복수의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포함하는 휴대용 전자 디바이스에 의해 실행될 때, 당해 휴대용 전자 디바이스가 방법의 실시예의 방법을 실행할 수 있도록 하는 명령을 포함하는 하나 이상의 프로그램을 저장한다.
선택적으로, 당해 컴퓨터 판독 가능한 저장 매체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각 네트워크 요소에 적용될 수 있고, 당해 컴퓨터 프로그램은 본 발명의 실시예의 각 방법에서 대응하는 네트워크 요소에 의해 구현되는 대응하는 프로세스를 컴퓨터에 실행시킬 수 있도록 한다. 간결함을 위해, 여기서는 설명을 생략한다.
선택적으로, 당해 컴퓨터 판독 가능한 저장 매체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이동 단말/단말 다비이스에 적용될 수 있으며, 당해 컴퓨터 프로그램은 본 발명의 실시예의 각 방법에서 이동 단말/단말 다비이스에 의해 구현되는 대응하는 프로세스를 컴퓨터에 실행시킬 수 있도록 하고, 간결함을 위해, 여기서는 설명을 생략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컴퓨터 프로그램을 포함하는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도 제공한다.
선택적으로, 당해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각 네트워크 요소에 적용될 수 있고, 당해 컴퓨터 프로그램은 본 발명의 실시예의 각 방법에서 대응하는 네트워크 요소에 의해 구현되는 대응하는 프로세스를 컴퓨터에 실행시킬 수 있고, 간결함을 위해, 여기서는 설명을 생략한다.
선택적으로, 당해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이동 단말/단말 디바이스에 적용될 수 있고, 당해 컴퓨터 프로그램은 실시예의 각 방법에서 이동 단말/단말 디바이스에 의해 구현되는 대응하는 프로세스를 컴퓨터에 실행시킬 수 있고, 간결함을 위해, 여기서는 설명을 생략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컴퓨터 프로그램도 제공된다. 당해 컴퓨터 프로그램이 컴퓨터에 의해 실행되면, 컴퓨터에 방법의 실시예의 방법을 실행시킬 수 있다.
선택적으로, 당해 컴퓨터 프로그램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각 네트워크 요소에 적용될 수 있고, 당해 컴퓨터 프로그램이 컴퓨터 상에서 실행될 때, 컴퓨터에 실시예의 각 방법에서 대응하는 네트워크 요소에 의해 구현되는 대응하는 프로세스를 실행시킬 수 있고, 간결함을 위해, 여기서는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는 통신 시스템을 제공하고, 상기 통신 시스템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은 통신 시스템(100)을 형성하기 위해 전술한 단말 디바이스 및 다양한 네트워크 요소를 포함할 수 있지만, 간결함을 위해, 여기서는 설명을 생략한다. 본 명세서에서 "시스템"과 같은 용어는 "네트워크 관리 아키텍처" 또는 "네트워크 시스템" 등으로 지칭될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 및 첨부된 청구범위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특정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것일 뿐이며, 본 발명의 실시예를 한정하려는 의도는 아니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실시예 및 첨부된 청구범위에서 사용되는 단수형의 "하나", "상기", "전술" 및 "당해"는 문맥이 분명히 다른 의미를 나타내지 않는 한 복수형을 포함하는 것을 의도한다.
당업자는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와 관련하여 설명되는 다양한 실시예의 유닛 및 알고리즘 단계가 전자 하드웨어, 또는 컴퓨터 소프트웨어와 전자 하드웨어의 조합으로 실현될 수 있음을 인식할 수 있다. 이러한 기능이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로 실행되는지는 기술적 해결책의 구체적인 애플리케이션 및 설계 제약에 의해 결정된다. 당업자는 설명된 기능을 실행하기 위해 특정된 애플리케이션마다 상이한 방법을 사용할 수 있지만, 이러한 실현은 본 발명 실시예의 범위를 벗어난 것으로 간주해서는 안된다.
소프트웨어 기능 유닛의 형식으로 실현되어 독립형 제품으로 판매되거나 사용되는 경우, 컴퓨터 판독 가능한 저장 매체에 저장될 수 있다. 이러한 이해를 바탕으로, 본 발명 실시예의 기술적 해결책은 본질적으로 종래 기술에 대해 기여하는 부분 또는 당해 기술적 해결책의 전부 또는 일부를 저장 매체에 저장된 소프트웨어 제품의 형식으로 실현할 수 있다. 당해 컴퓨터 장치(개인용 컴퓨터, 서버 또는 네트워크 디바이스일 수 있음)에 본 발명의 각 실시예에서 설명된 방법의 전부 또는 일부 단계를 실행시키기 위한 복수의 명령이 포함된 당해 컴퓨터 소프트웨어 제품은 저장 매체에 저장된다. 상기 메모리는 프로그램 코드를 저장할 수 있는 U 디스크, 이동식 하드 디스크, 읽기 전용 메모리(ROM), 랜덤 액세스 메모리(RAM), 자기 디스크 또는 광디스크 등을 포함한다.
당업자는 설명의 편의 및 간결성을 위해, 상기 시스템, 장치 및 유닛의 특정 동작 과정이 전술한 방법의 실시예에서 대응하는 과정을 참조할 수 있음을 명확하게 이해할 것이며, 여기서 설명을 생략한다.
본 발명에서 제공되는 일부 실시예에서, 개시된 시스템, 장치 및 방법은 다른 방식으로 구현될 수 있음을 이해해야 한다.
예를 들어, 전술한 장치의 실시예에서 유닛, 모듈 또는 컴포넌트의 분할은 논리적 기능 분할에 불과하며, 실제 구현에서는 다른 분할 방법을 사용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복수의 유닛, 모듈 또는 컴포넌트를 결합하거나 통합할 수 있고, 일부 유닛, 모듈 또는 컴포넌트는 무시되거나 구현되지 않을 수 있다.
또한, 예를 들어, 상기 별도의 컴포넌트/디스플레이 컴포넌트로 설명된 상기 유닛/모듈/컴포넌트는 물리적으로 분리되거나 분리되지 않을 수 있고, 즉, 한 위치에 배치될 수 있고, 또는 복수의 네트워크 유닛에 분산될 수도 있다. 유닛/모듈/컴포넌트의 일부 또는 전부는 본 발명의 실시예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실제 필요성에 따라 선택될 수 있다.
마지막으로, 상기 설명되거나 논의된 상호 결합 또는 직접 결합 또는 통신 연결은 전기적, 기계적 또는 다른 형태일 수 있는 장치 또는 유닛의 일부 인터페이스, 간접 결합 또는 통신 연결을 통해 구현될 수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상기 내용은 본 발명의 실시예의 특정한 구현에 불과하지만, 본 발명의 실시예의 보호 범위는 이에 한정되지 않고, 변경 또는 대체는 모두 본 발명의 실시예의 보호 범위 내에 포함되어야 한다.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의 보호 범위는 청구 범위의 보호 범위를 따라야 한다.

Claims (47)

  1. 단말 디바이스에 적용되는 무선 통신 방법에 있어서,
    제1 동작 - 상기 제1 동작은 인가, 인증, 재인가 및 재인증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함 - 에 대응하는 제1 타겟 방식을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타겟 방식에 따라 상기 제1 동작을 수행하기 위한 정보를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통신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타겟 방식은 제1 방식 및 제2 방식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방식은 상기 단말 디바이스가 등록 프로세스를 통해 상기 제1 동작을 수행하기 위한 정보를 송신하는 것이고, 상기 제2 방식은 상기 단말 디바이스가 세션 관리 프로세스를 통해 상기 제1 동작을 수행하기 위한 정보를 송신하는 것이며,
    상기 제1 타겟 방식에 따라 상기 제1 동작을 수행하기 위한 정보를 송신하는 단계는,
    상기 제1 타겟 방식이 상기 제1 방식인 경우, 이동성 관리 네트워크 요소를 통해 상기 제1 동작을 수행하기 위한 정보를 송신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타겟 방식이 상기 제2 방식인 경우, 세션 관리 네트워크 요소를 통해 상기 제1 동작을 수행하기 위한 정보를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통신 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동작에 대응하는 제1 타겟 방식을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단말 디바이스에 대한 재인가 및 재인증 중 적어도 하나를 요청하는데 사용되는 제1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요청을 취득하는 방식에 따라 상기 제1 타겟 방식을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통신 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요청을 취득하는 방식에 따라 상기 제1 타겟 방식을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이동성 관리 네트워크 요소로부터 상기 제1 요청을 수신한 경우, 상기 제1 방식을 상기 제1 타겟 방식으로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세션 관리 네트워크 요소로부터 상기 제1 요청을 수신한 경우, 상기 제2 방식을 상기 제1 타겟 방식으로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통신 방법.
  5. 제2항에 있어서,
    이동성 관리 네트워크 요소에 의해 송신된 상기 제1 타겟 방식을 결정하기 위한 제1 지시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통신 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지시 정보는 상기 단말 디바이스가 상기 제1 방식 또는 상기 제2 방식을 사용함을 나타내는데 사용되며,
    상기 제1 동작에 대응하는 제1 타겟 방식을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제1 지시 정보로 나타내는 상기 제1 방식 또는 상기 제2 방식을 상기 제1 타겟 방식으로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통신 방법.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지시 정보는 상기 제1 방식을 지원하는지 여부 및 상기 제2 방식을 지원하는지 여부 중 적어도 하나를 나타내는데 사용되며,
    상기 제1 동작에 대응하는 제1 타겟 방식을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제1 지시 정보로 나타내는 지원하는 방식을 상기 제1 타겟 방식으로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통신 방법.
  8. 제5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지시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는,
    상기 이동성 관리 네트워크 요소에 의해 송신된 제1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요청은 상기 재인가 및 재인증 중 적어도 하나를 요청하는데 사용되며, 상기 제1 요청은 상기 제1 지시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통신 방법.
  9.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성 관리 네트워크 요소에 의해 송신된 제1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요청은 상기 재인가 및 재인증 중 적어도 하나를 요청하는데 사용되며,
    상기 제1 동작에 대응하는 제1 타겟 방식을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제1 요청이 상기 제1 타겟 방식을 나타내는 정보를 포함하지 않는 경우, 상기 제2 방식을 상기 제1 타겟 방식으로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통신 방법.
  10.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동작에 대응하는 제1 타겟 방식을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제1 방식에 대응하는 파라미터 및 상기 제2 방식에 대응하는 파라미터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정책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정책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제1 타겟 방식을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통신 방법.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정책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는,
    이동성 관리 네트워크 요소를 통해 정책 제어 네트워크 요소에 의해 송신된 상기 정책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통신 방법.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정책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제1 타겟 방식을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단말 디바이스의 파라미터가 상기 제1 방식에 대응하는 파라미터에 매칭되는 경우, 상기 제1 방식을 상기 제1 타겟 방식으로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단말 디바이스의 파라미터가 상기 제2 방식에 대응하는 파라미터에 매칭되는 경우, 상기 제2 방식을 상기 제1 타겟 방식으로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통신 방법.
  13.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파라미터는
    지역 정보, 공중 육상 이동 통신망(Public Land Mobile Network,PLMN) 정보 및 시간 정보 중 적어도 하나에 속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통신 방법.
  14.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정책 정보는 상기 단말 디바이스의 식별자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통신 방법.
  15. 제1항 내지 제1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인가 및/또는 인증의 폐지를 나타내는 제2 지시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통신 방법.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지시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는,
    이동성 관리 네트워크 요소를 통해 세션 관리 네트워크 요소에 의해 전달된 상기 제2 지시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이동성 관리 네트워크 요소를 통해 단말 관리 네트워크 요소에 의해 전달된 상기 제2 지시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또는
    상기 세션 관리 네트워크 요소를 통해 상기 단말 관리 네트워크 요소에 의해 전달된 상기 제2 지시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통신 방법.
  17. 단말 관리 네트워크 요소에 적용되는 무선 통신 방법에 있어서,
    제2 요청 - 상기 제2 요청은 단말 디바이스에 대한 재인가, 재인증, 인가 폐지 및 인증 폐지 중 적어도 하나의 동작을 수행하도록 요청하는데 사용됨 - 을 수신하는 단계,
    타겟 네트워크 요소를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타겟 네트워크 요소에 상기 제2 요청을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통신 방법.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타겟 네트워크 요소를 결정하는 단계는,
    세션 관리 네트워크 요소를 상기 타겟 네트워크 요소로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통신 방법.
  19.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타겟 네트워크 요소를 결정하는 단계는,
    제2 동작 - 상기 제2 동작은 인가, 인증, 재인가, 재인증, 인가 폐지 및 인증 폐지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함 - 에 대응하는 제2 타겟 방식을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제2 타겟 방식에 기초하여 상기 타겟 네트워크 요소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통신 방법.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타겟 방식은 제1 방식 및 제2 방식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방식은 상기 단말 디바이스가 등록 프로세스를 통해 상기 제2 동작을 수행하기 위한 정보를 송신하는 것이고, 상기 제2 방식은 상기 단말 디바이스가 세션 관리 프로세스를 통해 상기 제2 동작을 수행하기 위한 정보를 송신하는 것이며,
    상기 제2 타겟 방식에 기초하여 상기 타겟 네트워크 요소를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제2 타겟 방식이 상기 제1 방식인 경우, 상기 이동성 관리 네트워크 요소를 상기 타겟 네트워크 요소로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제2 타겟 방식이 상기 제2 방식인 경우, 세션 관리 네트워크 요소를 상기 타겟 네트워크 요소로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통신 방법.
  21.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동작에 대응하는 제2 타겟 방식을 결정하는 단계는,
    제1 매핑 관계에 기초하여 상기 제2 타겟 방식을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매핑 관계는 상기 제1 방식에 대응하는 파라미터 및 상기 제2 방식에 대응하는 파라미터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통신 방법.
  22.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매핑 관계에 기초하여 상기 제2 타겟 방식을 결정하는 단계는,
    단말 디바이스의 파라미터가 상기 제1 방식에 대응하는 파라미터에 매칭되는 경우, 상기 제1 방식을 상기 제2 타겟 방식으로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단말 디바이스의 파라미터가 상기 제2 방식에 대응하는 파라미터에 매칭되는 경우, 상기 제2 방식을 상기 제2 타겟 방식으로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통신 방법.
  23.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파라미터는
    지역 정보, 공중 육상 이동 통신망(PLMN) 정보 및 시간 정보 중 적어도 하나에 속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통신 방법.
  24.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매핑 관계 정보는 미리 구성된 것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통신 방법.
  25.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동작에 대응하는 제2 타겟 방식을 결정하는 단계는,
    통합 데이터 저장(UDR) 또는 통합 데이터 관리(UDM)를 통해 검색 정보 - 상기 검색 정보는 상기 단말 디바이스에 서비스하는 이동성 관리 네트워크 요소 및 세션 관리 네트워크 요소 중 적어도 하나의 정보를 나타내는데 사용되는 것, 및 이동성 관리 네트워크 요소 및 세션 관리 네트워크 요소 중 적어도 하나가 상기 제2 동작을 지원하는지 여부를 나타내는데 사용되는 것 중 적어도 하나를 나타내는데 사용됨 - 를 취득하는 단계, 및
    상기 검색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제2 타겟 방식을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통신 방법.
  26. 이동성 관리 네트워크 요소에 적용되는 무선 통신 방법에 있어서,
    제3 요청 - 상기 제3 요청은 단말 디바이스에 재인가, 재인증, 인가 폐지 및 인증 폐지 중 적어도 하나의 동작을 수행하도록 요청하는데 사용됨 - 을 수신하는 단계, 및
    단말 디바이스에 상기 제3 요청을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통신 방법.
  27. 제26항에 있어서,
    상기 제3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는,
    단말 관리 네트워크 요소에 의해 송신된 상기 제3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통신 방법.
  28. 제26항에 있어서,
    상기 제3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는,
    세션 관리 네트워크 요소에 의해 송신된 상기 제3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통신 방법.
  29. 제28항에 있어서,
    상기 제3 요청은 제1 지시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지시 정보는 제1 동작에 대응하는 제1 타겟 방식을 결정하는데 사용되며, 상기 제1 동작은 인가, 인증, 재인가 및 재인증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통신 방법.
  30. 제29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타겟 방식은 제1 방식 및 제2 방식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방식은 상기 단말 디바이스가 등록 프로세스를 통해 상기 제1 동작을 수행하기 위한 정보를 송신하는 것이고, 상기 제2 방식은 상기 단말 디바이스가 세션 관리 프로세스를 통해 상기 제1 동작을 수행하기 위한 정보를 송신하는 것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통신 방법.
  31. 제30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지시 정보는 상기 단말 디바이스가 상기 제1 방식 또는 상기 제2 방식을 사용함을 나타내는데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통신 방법.
  32. 제30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지시 정보는 제1 방식을 지원하는지 여부 및 상기 제2 방식을 지원하는지 여부 중 적어도 하나를 나타내는데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통신 방법.
  33. 제28항에 있어서,
    상기 제3 요청이 제1 동작에 대응하는 제1 타겟 방식을 나타내는 정보를 포함하지 않는 경우, 상기 제1 타겟 방식은 제2 방식이고, 상기 제1 동작은 인가, 인증, 재인가 및 재인증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고, 상기 제2 방식은 상기 단말 디바이스가 세션 관리 프로세스를 통해 상기 제1 동작을 수행하기 위한 정보를 송신하는 것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통신 방법.
  34. 정책 제어 네트워크 요소에 적용되는 무선 통신 방법에 있어서,
    이동성 관리 네트워크 요소를 통해 단말 디바이스에 정책 정보를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정책 정보는 제1 방식에 대응하는 파라미터 및 제2 방식에 대응하는 파라미터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통신 방법.
  35. 제34항에 있어서,
    상기 파라미터는
    지역 정보, 공중 육상 이동 통신망(PLMN) 정보 및 시간 정보 중 적어도 하나에 속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통신 방법.
  36. 제34항에 있어서,
    상기 정책 정보는 단말 디바이스의 식별자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통신 방법.
  37. 제34항 내지 제3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방식은 상기 단말 디바이스가 등록 프로세스를 통해 제1 동작을 수행하기 위한 정보를 송신하는 것이며, 상기 제2 방식은 상기 단말 디바이스가 세션 관리 프로세스를 통해 상기 제1 동작을 수행하기 위한 정보를 송신하는 것이고, 상기 제1 동작은 인가, 인증, 재인가 및 재인증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통신 방법.
  38. 제1 동작 - 상기 제1 동작은 인가, 인증, 재인가 및 재인증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함 - 에 대응하는 제1 타겟 방식을 결정하도록 구성되는 결정 유닛, 및
    상기 제1 타겟 방식에 따라 상기 제1 동작을 수행하기 위한 정보를 송신하도록 구성되는 송신 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디바이스.
  39. 제2 요청 - 상기 제2 요청은 단말 디바이스에 대해 재인가, 재인증, 인가 폐지 및 인증 폐지 중 적어도 하나의 동작을 수행하도록 요청하는데 사용됨 - 을 수신하도록 구성되는 수신 유닛,
    타겟 네트워크 요소를 결정하도록 구성되는 결정 유닛, 및
    상기 타겟 네트워크 요소에 상기 제2 요청을 송신하도록 구성되는 송신 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관리 네트워크 요소.
  40. 제3 요청 - 상기 제3 요청은 단말 디바이스에 대해 재인가, 재인증, 인가 폐지 및 인증 폐지 중 적어도 하나의 동작을 수행하도록 요청하는데 사용됨 - 을 수신하도록 구성되는 수신 유닛, 및
    상기 단말 디바이스에 상기 제3 요청을 송신하도록 구성되는 송신 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성 관리 네트워크 요소.
  41. 이동성 관리 네트워크 요소를 통해 단말 디바이스에 정책 정보를 송신하도록 구성되는 송신 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정책 정보는 제1 방식에 대응하는 파라미터 및 제2 방식에 대응하는 파라미터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책 제어 네트워크 요소.
  42. 프로세서, 메모리 및 송수신기를 포함하는 단말 디바이스에 있어서,
    상기 메모리는 컴퓨터 프로그램을 저장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을 호출하고 실행하여, 제1항 내지 제16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방법을 실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디바이스.
  43. 프로세서, 메모리 및 송수신기를 포함하는 네트워크 요소에 있어서,
    상기 메모리는 컴퓨터 프로그램을 저장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을 호출하고 실행하여, 제17항 내지 제25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방법, 제26항 내지 제33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방법, 또는 제34항 내지 제37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방법을 실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 요소.
  44. 컴퓨터 프로그램을 메모리로부터 호출하고 실행하여, 칩이 탑재된 디바이스에 제1항 내지 제16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방법, 제17항 내지 제25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방법, 제26항 내지 제33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방법, 또는 제34항 내지 제37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방법을 실행시키는 프로세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칩.
  45. 컴퓨터에 제1항 내지 제16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방법, 제17항 내지 제25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방법, 제26항 내지 제33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방법, 또는 제34항 내지 제37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방법을 실행시키는 컴퓨터 프로그램을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 판독 가능한 저장 매체.
  46. 컴퓨터에 제1항 내지 제16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방법, 제17항 내지 제25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방법, 제26항 내지 제33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방법, 또는 제34항 내지 제37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방법을 실행시키는 컴퓨터 프로그램 명령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
  47. 컴퓨터에 제1항 내지 제16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방법, 제17항 내지 제25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방법, 제26항 내지 제33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방법, 또는 제34항 내지 제37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방법을 실행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 프로그램.
KR1020227028501A 2020-12-14 2020-12-14 무선 통신 방법, 단말 디바이스 및 네트워크 요소 KR20230118498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CN2020/136203 WO2022126327A1 (zh) 2020-12-14 2020-12-14 无线通信方法、终端设备以及网元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18498A true KR20230118498A (ko) 2023-08-11

Family

ID=820587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7028501A KR20230118498A (ko) 2020-12-14 2020-12-14 무선 통신 방법, 단말 디바이스 및 네트워크 요소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20220377547A1 (ko)
EP (1) EP4090061B1 (ko)
JP (1) JP2023552928A (ko)
KR (1) KR20230118498A (ko)
CN (2) CN115699836A (ko)
MX (1) MX2022010822A (ko)
WO (1) WO2022126327A1 (ko)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819440B (zh) * 2017-11-20 2022-08-26 华为技术有限公司 鉴权的方法和装置
WO2019183858A1 (zh) * 2018-03-28 2019-10-03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无人机身份识别方法及设备
CN111436050B (zh) * 2019-01-11 2022-04-05 华为技术有限公司 无线网络通信方法、网络设备和终端
CN111600916B (zh) * 2019-02-02 2022-03-25 华为技术有限公司 无人机控制方法、装置及系统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4090061A4 (en) 2023-04-26
WO2022126327A1 (zh) 2022-06-23
JP2023552928A (ja) 2023-12-20
CN115699836A (zh) 2023-02-03
US20220377547A1 (en) 2022-11-24
MX2022010822A (es) 2022-09-29
CN116321153A (zh) 2023-06-23
EP4090061A1 (en) 2022-11-16
EP4090061B1 (en) 2024-05-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172403B2 (en) Policy provisioning at a user equipment (UE)
CN107113593A (zh) 使用ue到ue中继的发现和通信
JP2022502922A (ja) 3gppプライベートlan
US20220353631A1 (en) Wireless communication method, terminal device, and network device
US20210258842A1 (en) METHODS AND SYSTEMS FOR ONLINE SERVICES APPS, BROWSERS, OR EXTERNAL DEVICES TO REQUEST UE HANDOVER VIA MODEM APIs
WO2020150876A1 (zh) 会话建立方法、终端设备和网络设备
CN116390203A (zh) 选择网络的方法和装置
CN111465034A (zh) 网络配置的方法和通信装置
US20220303833A1 (en) Relation indication for multi-sim devices
CN116114315A (zh) 无线通信的方法、终端设备和网络设备
US20230126999A1 (en) Method for wireless communication and network device
WO2022126641A1 (zh) 无线通信方法、终端设备、第一接入网设备以及网元
KR20230118498A (ko) 무선 통신 방법, 단말 디바이스 및 네트워크 요소
CN115884153A (zh) 通信的方法和装置
CN115915096A (zh) 一种通信的方法和通信装置
CN113853809A (zh) 用于处置ue类别信息的ue、网络节点
WO2023143252A1 (zh) 授时的方法及通信装置
RU2805981C1 (ru) Способ беспроводной связи, оконечное устройство и сетевое устройство
US20230239780A1 (en) Wireless communication method, terminal device, and network device
WO2023137760A1 (zh) 无线通信方法、远端ue、ausf以及amf
WO2023283901A1 (zh) 一种数据传输方法及装置、终端设备、网络设备
CN113873520A (zh) 一种通信方法、终端设备和无线接入网设备
CN117014853A (zh) 策略传输的方法、通信装置和系统
CN116866893A (zh) 通信的方法和装置
CN116367137A (zh) 建立连接的方法和通信装置