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18167A - 다목적 적용을 위한 제형 - Google Patents

다목적 적용을 위한 제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18167A
KR20230118167A KR1020237023419A KR20237023419A KR20230118167A KR 20230118167 A KR20230118167 A KR 20230118167A KR 1020237023419 A KR1020237023419 A KR 1020237023419A KR 20237023419 A KR20237023419 A KR 20237023419A KR 20230118167 A KR20230118167 A KR 2023011816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ormulation
inhalation
antibody
antigen
pati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702341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미하엘라 블레흐
데보라 비크만
산드라 니콜레 뎅킹거
슬리케 뮈라우
Original Assignee
베링거 인겔하임 인터내셔날 게엠베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PCT/EP2021/064326 external-priority patent/WO2021239935A1/en
Application filed by 베링거 인겔하임 인터내셔날 게엠베하 filed Critical 베링거 인겔하임 인터내셔날 게엠베하
Publication of KR2023011816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1816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9/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antigens or antibodies
    • A61K39/395Antibodies; Immunoglobulins; Immune serum, e.g. antilymphocytic serum
    • A61K39/39591Stabilisation, fragmenta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47/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 A61K47/06Organic compounds, e.g. natural or synthetic hydrocarbons, polyolefins, mineral oil, petrolatum or ozokerite
    • A61K47/08Organic compounds, e.g. natural or synthetic hydrocarbons, polyolefins, mineral oil, petrolatum or ozokerite containing oxygen, e.g. ethers, acetals, ketones, quinones, aldehydes, peroxides
    • A61K47/14Esters of carboxylic acids, e.g. fatty acid monoglycerides, medium-chain triglycerides, parabens or PEG fatty acid est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47/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 A61K47/06Organic compounds, e.g. natural or synthetic hydrocarbons, polyolefins, mineral oil, petrolatum or ozokerite
    • A61K47/16Organic compounds, e.g. natural or synthetic hydrocarbons, polyolefins, mineral oil, petrolatum or ozokerite containing nitrogen, e.g. nitro-, nitroso-, azo-compounds, nitriles, cyanates
    • A61K47/18Amines; Amides; Ureas; Quaternary ammonium compounds; Amino acids; Oligopeptides having up to five amino acids
    • A61K47/183Amino acids, e.g. glycine, EDTA or aspartam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47/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 A61K47/06Organic compounds, e.g. natural or synthetic hydrocarbons, polyolefins, mineral oil, petrolatum or ozokerite
    • A61K47/22Heterocyclic compounds, e.g. ascorbic acid, tocopherol or pyrrolidon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47/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 A61K47/06Organic compounds, e.g. natural or synthetic hydrocarbons, polyolefins, mineral oil, petrolatum or ozokerite
    • A61K47/26Carbohydrates, e.g. sugar alcohols, amino sugars, nucleic acids, mono-, di- or oligo-saccharides; Derivatives thereof, e.g. polysorbates, sorbitan fatty acid esters or glycyrrhiz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1/00Antiinfectives, i.e. antibiotics, antiseptics, chemotherapeutics
    • A61P31/12Antivirals
    • A61P31/14Antivirals for RNA viruse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KPEPTIDES
    • C07K16/00Immunoglobulins [IGs], e.g. monoclonal or polyclonal antibodies
    • C07K16/08Immunoglobulins [IGs], e.g. monoclonal or polyclonal antibodies against material from viruses
    • C07K16/10Immunoglobulins [IGs], e.g. monoclonal or polyclonal antibodies against material from viruses from RNA viruse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KPEPTIDES
    • C07K16/00Immunoglobulins [IGs], e.g. monoclonal or polyclonal antibodies
    • C07K16/08Immunoglobulins [IGs], e.g. monoclonal or polyclonal antibodies against material from viruses
    • C07K16/10Immunoglobulins [IGs], e.g. monoclonal or polyclonal antibodies against material from viruses from RNA viruses
    • C07K16/1002Coronaviridae
    • C07K16/1003Severe acute respiratory syndrome coronavirus 2 [SARS‐CoV‐2 or Covid-19]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9/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antigens or antibodies
    • A61K2039/505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antigens or antibodies comprising antibodi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9/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antigens or antibodies
    • A61K2039/54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antigens or antibodies characterised by the route of administration
    • A61K2039/541Mucosal route
    • A61K2039/542Mucosal route oral/gastrointestinal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9/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antigens or antibodies
    • A61K2039/54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antigens or antibodies characterised by the route of administration
    • A61K2039/541Mucosal route
    • A61K2039/543Mucosal route intranasal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9/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antigens or antibodies
    • A61K2039/54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antigens or antibodies characterised by the route of administration
    • A61K2039/541Mucosal route
    • A61K2039/544Mucosal route to the airway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KPEPTIDES
    • C07K2317/00Immunoglobulins specific features
    • C07K2317/70Immunoglobulins specific features characterized by effect upon binding to a cell or to an antigen
    • C07K2317/76Antagonist effect on antigen, e.g. neutralization or inhibition of binding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Virolog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pidemiolo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Immunology (AREA)
  • Biochemistry (AREA)
  • Proteomics, Peptides & Aminoacids (AREA)
  • Myc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Communicable Diseases (AREA)
  • Oncolog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Biophysics (AREA)
  • Genetics & Genomics (AREA)
  • Pulmonology (AREA)
  • Medicines Containing Antibodies Or Antigens For Use As Internal Diagnostic Agents (AREA)
  • Medicinal Prepar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일반적으로 항체 및 이의 항원-결합 단편의 제형에 관한 것이다. 상이한 경로들에 의해 그리고 저용량 및 고용량으로 투여될 수 있는 신규한 항체를 위한 제형에 대한 요구를 해결하기 위한, 항체 또는 이의 항원-결합 단편을 포함하는 제형, 및 상기 제형의 용도 및 상기 제형을 포함하는 방법이 제공된다.

Description

다목적 적용을 위한 제형
본 발명은 생체 분자용 제형 분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항체 및 이의 항원-결합 단편을 위한 제형, 및 상기 제형의 용도 및 상기 제형을 포함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일반적으로 항체 및 이의 항원-결합 단편의 제형에 관한 것이다.
수용액 중 1 내지 200mg/mL의 농도의 항체 또는 이의 항원-결합 단편, 5 내지 50mM의 아세테이트 또는 히스티딘, 120 내지 260mM의 글리신, 15 내지 120mM의 트레할로스, 0.1 내지 1.0g/L의 폴리소르베이트 20을 포함하거나 이들로 구성되고, pH가 4.5 내지 6.5인 제형, 및 상기 제형의 용도 및 상기 제형을 사용하는 환자의 치료 방법이 제공된다.
도 1: 5℃ 저장 조건에서의 제형 F5 내지 F8 중 mAb1의 안정성 데이터로서, 고분자량 종의 백분율(HMW(%))은 A에 도시되고, 단량체의 백분율(단량체(%))은 B에 도시된다.
도 2: 25℃ 저장 조건에서의 제형 F5 내지 F8 중 mAb1의 안정성 데이터로서, 고분자량 종의 백분율(HMW(%))은 A에 도시되고, 단량체의 백분율(단량체(%))은 B에 도시된다.
도 3: 상이한 바이알 크기에서 5℃ 저장 조건에서의 제형 F5 중 mAb1의 안정성 데이터로서, 고분자량 종의 백분율(HMW(%))은 A에 도시되고, 단량체의 백분율(단량체(%))은 B에 도시된다.
도 4: 상이한 바이알 크기에서 25℃ 저장 조건에서의 제형 F5 중 mAb1의 안정성 데이터로서, 고분자량 종의 백분율(HMW(%))은 A에 도시되고, 단량체의 백분율(단량체(%))은 B에 도시된다.
도 5: 5℃ 저장 조건에서의 제형 F3(10mg/mL mAb1), F4(150mg/mL mAb1) 및 F5(50mg/mL mAb1) 중 농도가 상이한 mAb1의 안정성 데이터로서, 고분자량 종의 백분율(HMW(%))은 A에 도시되고, 단량체의 백분율(단량체(%))은 B에 도시된다.
도 6: 25℃ 저장 조건에서의 제형 F3(10mg/mL mAb1), F4(150mg/mL mAb1) 및 F5(50mg/mL mAb1) 중 농도가 상이한 mAb1의 안정성 데이터로서, 고분자량 종의 백분율(HMW(%))은 A에 도시되고, 단량체의 백분율(단량체(%))은 B에 도시된다.
도 7: 감염 전에 mAb1 또는 비히클로 전처리된 동물의 비인두 도말물에서의 SARS-CoV-2 부하; LOD는 검출 한계이다.
도 8: 감염 전에 mAb1 또는 비히클로 전처리된 동물의 기관지폐포 세척액(BAL)에서의 SARS-CoV-2 부하; LOD는 검출 한계이다.
도 9: 의도된 저장 조건(5℃)에서의 제형 F5 중 mAb1 내지 mAb5의 저장 안정성으로서, 고분자량 종의 백분율(HMW(%))은 A에 도시되고, 단량체의 백분율(단량체(%))은 B에 도시된다.
도 10: 가속 저장 조건(25℃)에서의 제형 F5 중 mAb1 내지 mAb5의 저장 안정성으로서, 고분자량 종의 백분율(HMW(%))은 A에 도시되고, 단량체의 백분율(단량체(%))은 B에 도시된다.
도 11: 5℃에서의 제형 F1, F2, F5 및 F6 중 mAb1의 저장 안정성으로서, 고분자량 종의 백분율(HMW(%))은 A에 도시되고, 단량체의 백분율(단량체(%))은 B에 도시된다.
도 12: 5℃에서의 제형 F1, F2, F5 및 F6 중 mAb2의 저장 안정성으로서, 고분자량 종의 백분율(HMW(%))은 A에 도시되고, 단량체의 백분율(단량체(%))은 B에 도시된다.
도 13: 5℃에서의 제형 F1, F2, F5 및 F6 중 mAb3의 저장 안정성으로서, 고분자량 종의 백분율(HMW(%))은 A에 도시되고, 단량체의 백분율(단량체(%))은 B에 도시된다.
도 14: 5℃에서의 제형 F1, F2, F5 및 F6 중 mAb4의 저장 안정성으로서, 고분자량 종의 백분율(HMW(%))은 A에 도시되고, 단량체의 백분율(단량체(%))은 B에 도시된다.
도 15: 5℃에서의 제형 F1, F2, F5 및 F6 중 mAb5의 저장 안정성으로서, 고분자량 종의 백분율(HMW(%))은 A에 도시되고, 단량체의 백분율(단량체(%))은 B에 도시된다.
도 16: 25℃에서의 제형 F1, F2, F5 및 F6 중 mAb1의 저장 안정성으로서, 고분자량 종의 백분율(HMW(%))은 A에 도시되고, 단량체의 백분율(단량체(%))은 B에 도시된다.
도 17: 25℃에서의 제형 F1, F2, F5 및 F6 중 mAb2의 저장 안정성으로서, 고분자량 종의 백분율(HMW(%))은 A에 도시되고, 단량체의 백분율(단량체(%))은 B에 도시된다.
도 18: 25℃에서의 제형 F1, F2, F5 및 F6 중 mAb3의 저장 안정성으로서, 고분자량 종의 백분율(HMW(%))은 A에 도시되고, 단량체의 백분율(단량체(%))은 B에 도시된다.
도 19: 25℃에서의 제형 F1, F2, F5 및 F6 중 mAb4의 저장 안정성으로서, 고분자량 종의 백분율(HMW(%))은 A에 도시되고, 단량체의 백분율(단량체(%))은 B에 도시된다.
도 20: 25℃에서의 제형 F1, F2, F5 및 F6 중 mAb5의 저장 안정성으로서, 고분자량 종의 백분율(HMW(%))은 A에 도시되고, 단량체의 백분율(단량체(%))은 B에 도시된다.
도 21: mAb1, mAb2 및 mAb3의 의도된 저장 조건(5℃)에서의 저농도 액상 제형(LCLF) 및 고농도 액상 제형(HCLF) 저장 안정성 데이터로서, 고분자량 종의 백분율(HMW(%))은 A에 도시되고, 단량체의 백분율(단량체(%))은 B에 도시된다.
도 22: mAb1, mAb2 및 mAb3의 가속 저장 조건(25℃)에서의 저농도 액상 제형(LCLF) 및 고농도 액상 제형(HCLF) 저장 안정성 데이터로서, 고분자량 종의 백분율(HMW(%))은 A에 도시되고, 단량체의 백분율(단량체(%))은 B에 도시된다.
배경기술
항체 및 상기 항체의 항원-결합 단편은 지난 수십 년 동안 의약품 분야에서 중요성을 얻어 왔다. 특히, 팬데믹 상황에서, 항체가 특정 치료의 공급원이 될 수 있는 반면, 다른 의약은 아직 평가 중인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항체 또는 이의 항원-결합 단편을 활성 약제학적 성분(API)으로 제공할 때 해결해야 할 과제 중 하나는, 제형에 존재해야 하는 부형제를 고려할 때 실행 가능한 저장 및 투여 경로이다. 대부분의 항체 또는 이의 항원-결합 단편의 제형은 하나의 특정 투여 경로 및/또는 하나의 API의 특정 농도를 위해 특별히 디자인된다.
의약품 개발, 특히 팬데믹 상황에서의 의약품 개발에서, 상이한 경로 및 저용량 및 고용량으로 투여할 수 있는 신규한 항체를 위한 제형을 제공하는 측면에서의 특정 요구에 신속하게 적응해야 한다.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내용
상기 확인된 요구를 해결하기 위해, 몇 가지 이점이 있는 제형이 개발되었다. 중요하게는, 상기 제형은 예를 들면, 정맥(i.v.) 주사, 피하(s.c.) 흡입, 구강 흡입 및 비강(inh.) 흡입 투여용의 여러 목적에 사용할 수 있는 용액을 나타낸다. 또한, 상기 제형은 소아용으로 사용할 수 있다. 특히, 상기 제형은 주사 제시용 및 예를 들면, 제트 또는 메쉬 분무기에 의한 흡입 제시용 둘 다에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형은,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부형제가 종종 환자의 최대 일일 노출 한도 수준을 초과하여 치명적인 독성 수준에 도달하는 팬데믹 상황 또는 면역학, 종양학에 필요한 고용량 투여(일당 환자당 >1g)에 특히 적용 가능하다. 또한, 당 및 폴리올은 일반적으로, 예를 들면, 피하(s.c.) 주사에 필수로 알려진 용액 삼투압을 유지하고, 임상/시판 제품에 사용되는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제형의 대부분을 포함하는 데 사용된다. 그러나, 고용량 투여의 경우, 당 또는 폴리올은 종종 환자의 최대 일일 노출 수준을 초과하거나, 용액 삼투압을 유지하지 못한다.
상기 제형에 사용되는 부형제의 특정 조합은, 100kg 환자 집단을 고려하더라도 일당 환자당 최대 5g인 고용량 투여에 대해 평가된 환자의 최대 일일 노출 수준 및 용액 삼투압을 모두 충족한다.
따라서, 일반적으로 수용액 중 1 내지 200mg/mL의 농도의 항체 또는 이의 항원-결합 단편, 5 내지 50mM의 아세테이트 또는 히스티딘, 120 내지 260mM의 글리신, 15 내지 120mM의 트레할로스, 0.1 내지 1.0g/L의 폴리소르베이트 20을 포함하거나 이들로 구성되고, pH가 4.5 내지 6.5인 약제학적 조성물 또는 제형이 본원에 제공된다.
놀랍게도, 상기 제형은 피하(s.c.) 주사, 정맥내(i.v.) 주사 및 피내 주사를 포함하는 주사를 통해, 구강 흡입, 비강 흡입 및 (입과 코를 덮는 마스크로의) 조합된 흡입을 포함하는 흡입을 통해, 투여 경로에 대한 제형의 어떠한 적응도 없이, 환자에게 투여될 수 있다. 상기 제형은 저농축 액상 제형(LCLF) 및 고농축 액상 제형(HCLF)으로 쉽게 사용할 수 있으며, 광범위한 농도 및 표면/체적 비에 걸쳐 상이한 항체들을 안정화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제형은 환자에게 저용량 및 고용량 둘 다에 대한 투여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제형은, 더 넓은 범위의 API 농도에 대한 적용 가능성, 상기 범위에서 API를 안정화하는 능력 및 환자에게 투여하기 위한 상이한 경로들에 대한 적용 가능성으로 인해, 여러 목적에 대해 적합하다.
일 양태에서, 수용액 중 10 내지 260mg/mL의 농도의 항체 또는 이의 항원-결합 단편, 10 내지 25mM의 아세테이트 또는 히스티딘, 172.7 내지 259.1mM의 글리신, 17.3 내지 25.9mM의 트레할로스, 0.2 내지 0.6g/L의 폴리소르베이트 20(폴리옥시에틸렌(20)-소르비탄-모노라우레이트)을 포함하거나 이들로 구성되고, pH가 5.2 내지 5.8인 제형이 제공되며, 제공되는 상기 제형은 상이한 항체들에 대해 작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일 양태에서, 수용액 중 10 내지 260mg/mL의 농도의 항체 또는 이의 항원-결합 단편, 10 내지 25mM의 아세테이트, 172.7 내지 259.1mM의 글리신, 17.3 내지 25.9mM의 트레할로스, 0.2 내지 0.6g/L의 폴리소르베이트 20(폴리옥시에틸렌(20)-소르비탄-모노라우레이트)을 포함하거나 이들로 구성되고, pH가 5.2 내지 5.8인 제형이 제공된다.
다른 양태에서, 수용액 중 10 내지 150mg/mL의 농도의 항체 또는 이의 항원-결합 단편, 20mM의 아세테이트 또는 히스티딘, 220mM의 글리신, 20mM의 트레할로스 및 0.4g/L의 폴리소르베이트 20을 포함하거나 이들로 구성되고, pH가 5.5인 제형이 제공된다.
다른 양태에서, 20mM의 아세테이트, 220mM의 글리신, 20mM의 트레할로스, 0.4g/L의 폴리소르베이트 20 중 50mg/mL의 항체 또는 이의 항원-결합 단편을 포함하고, pH가 5.5인 약제학적 조성물 또는 제형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제형은 IgG1, IgG2, IgG3, IgG4, IgA, IgD, IgE 및 IgM을 포함하는 모든 유형의 항체를 안정화한다. 특히, IgG1 유형의 항체를 안정화하는 데 매우 적합하다.
일 양태에서, 본 발명의 제형의 삼투압은 220 내지 380mOsmol/kg, 바람직하게는 240 내지 360mOsmol/kg, 보다 바람직하게는 240 내지 340mOsmol/kg, 보다 더 바람직하게는 260 내지 320mOsmol/kg이다.
본 발명의 제형의 삼투압은 무엇보다도 성질, 즉 분자량 및 항체 또는 이의 항원-결합 단편의 농도에 영향을 받는다.
본 발명의 제형은 고농축 액상 제형(HCLF)으로 적용 가능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는 주사기를 사용하여 상당히 적은 양(최대 2.0mL)을 환자에게 피하 주사하기 위한 고용량 투여를 수용하기 위해 필수적이다.
제형 완충액, 즉 활성 성분(항체 또는 이의 항원-결합 단편)이 없는 상기 용액은 전용 희석제, 희석용 용매 및 위약으로서 사용될 수 있다. 이는 상업적인 임상 희석 매질과 상용성인 것으로 추가로 확인되었다.
특히, 5 내지 50mM의 아세테이트 또는 히스티딘, 120 내지 260mM의 글리신, 15 내지 120mM의 트레할로스, 0.1 내지 1.0g/L의 폴리소르베이트 20을 포함하고, pH가 4.5 내지 6.5인 수용액은 전용 희석제, 희석용 용매, 위약, 또는 다른 임상 희석 매질과 상용성인 희석제로서 사용될 수 있다.
다른 양태에서, 10 내지 25mM의 아세테이트 또는 히스티딘, 172.7 내지 259.1mM의 글리신, 17.3 내지 25.9mM의 트레할로스, 0.2 내지 0.6g/L의 폴리소르베이트 20(폴리옥시에틸렌(20)-소르비탄-모노라우레이트)를 포함하고, pH가 5.2 내지 5.8인 수용액은 전용 희석제, 희석용 용매, 위약, 또는 다른 임상 희석 매질과 상용성인 희석제로서 사용된다.
다른 양태에서, 20mM의 아세테이트 또는 히스티딘, 220mM의 글리신, 20mM의 트레할로스, 0.4g/L의 폴리소르베이트 20을 포함하고, pH가 5.5인 수용액은 전용 희석제, 희석용 용매, 위약, 또는 다른 임상 희석 매질과 상용성인 희석제로서 사용된다.
다른 양태에서, 20mM의 아세테이트, 220mM의 글리신, 20mM의 트레할로스, 0.4g/L의 폴리소르베이트 20을 포함하고, pH가 5.5인 수용액은 전용 희석제, 희석용 용매, 위약, 또는 다른 임상 희석 매질과 상용성인 희석제로서 사용된다.
일 양태에서, 본 발명의 제형은 임상 희석 매질, 예를 들면, 등장 식염수, 링거 락테이트 또는 등장 글루코스 용액을 사용하여 희석된다.
일 양태에서, 본 발명의 제형은 2종 이상의 항체 또는 이의 항원-결합 단편을, 바람직하게는 2종의 항체 또는 이의 항원-결합 단편을 포함한다.
일 양태에서, 본 발명의 제형은 항체 또는 이의 항원-결합 단편을 포함하는 다른 제형과 조합된다.
일 양태에서, 본 발명의 약제학적 제형은 10 내지 50mg/kg 체중, 바람직하게는 30 내지 50mg/kg 체중의 항체 또는 이의 항원-결합 단편의 투여량으로 환자에게 투여된다. 본 발명에 따른 약제학적 제형은, 100kg 체중의 환자 모집단에 있는 환자를 고려할 때에도 일일 최대 5g의 항체 또는 이의 항원-결합 단편을 환자에게 투여하기에 적합하며, 이는 고용량 투여에 대해 평가된 용액 삼투압을 충족하면서 부형제가 환자의 최대 일일 노출 수준을 초과하지 않는 수준이다.
항체 또는 이의 항원-결합 단편은, 제형 완충액에 희석된 정맥내 주입에 의해, 약 2.5mg/kg 체중, 약 10mg/kg 체중 또는 약 40mg/kg 체중의 용량으로 정맥내 투여될 수 있다. 따라서, 고용량 투여는 1 내지 10mg/kg 체중의 범위인 반면, 저용량 투여는 10 내지 50mg/kg 체중, 바람직하게는 30 내지 50mg/kg 체중의 범위이다.
본 발명의 약제학적 조성물 또는 제형은 의도된 투여 경로와 상용성이 될 수 있도록 제형화된다. 투여 경로의 예는 비경구 투여, 예를 들면, 정맥내 투여, 피내 투여, 피하 투여, 경피 투여를 포함할 뿐만 아니라, 흡입을 통한 비강내 투여(예를 들면, 비강 흡입 및 입을 통한 흡입), 직장 투여를 통한 경점막 투여 등도 포함하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일 양태에서, 본 발명의 약제학적 제형은 항체 또는 이의 항원-결합 단편을 환자에게 투여하기 위해 사용되며, 상기 약제학적 제형은 정맥내 주사, 피내 주사 및 피하 주사를 포함하는 주사 투여, 경구 흡입, 비강 흡입 및 마스크 흡입을 포함하는 흡입 투여, 경피, 경점막 및 직장을 포함하는 국소 경로들 중 하나 이상에 의해 투여되고, 바람직하게는 상기 약제학적 제형은 정맥내 투여, 경구 흡입, 비강 흡입 및 마스크 흡입을 포함하는 흡입 투여 및/또는 피하 투여된다.
특정 양태에서, 본 발명의 약제학적 조성물은 인간에 대한 정맥내 투여, 피하 투여, 근육내 투여, 경구 투여, 비강내 투여 또는 국소 투여에 적합한 약제학적 조성물로서 일상적인 절차에 따라 제형화된다. 일반적으로, 정맥내 투여용 약제학적 조성물은 멸균 등장성 수성 완충액 중의 용액이다. 필요에 따라, 본 발명의 약제학적 조성물은 주사 부위의 통증을 완화시키기 위해 가용화제 및 국소 마취제, 예를 들면, 리그노카인도 포함할 수 있다.
일 양태에서, 본 발명의 제형은 1 내지 150mg/mL, 바람직하게는 10 내지 80mg/mL, 보다 바람직하게는 10 내지 60mg/mL, 가장 바람직하게는 10 내지 50mg/mL의 항체 또는 이의 항원-결합 단편의 농도로 분무 가능하다.
일 양태에서, 본 발명의 약제학적 조성물 또는 제형은 적어도 2개의 상이한 경로에 의해 투여되며, 상기 2개의 상이한 경로는 정맥내 투여, 경구 흡입, 비강 흡입 및 마스크 흡입을 포함하는 흡입 투여 및/또는 피하 투여로부터 선택된다.
일 양태에서, 본 발명의 제형은 적어도 2개의 상이한 경로를 통해 환자에게 투여되며, 상기 적어도 2개의 상이한 경로들 중 제1 경로에 의해 투여되는 제형 내의 항체 또는 이의 항원-결합 단편의 농도는, 상기 적어도 2개의 상이한 경로들 중 제2 경로에 의해 투여되는 제형 내의 항체 또는 이의 항원-결합 단편의 농도에 비해 적어도 2배의 농도의 항체 또는 이의 항원-결합 단편을 함유한다.
본 발명의 일 양태에서, 본 발명의 약제학적 제형은 흡입에 의해 환자에게 투여되며, 상기 제형 중 항체 또는 이의 항원-결합 단편의 농도는 1 내지 150mg/mL, 바람직하게는 10 내지 80mg/mL, 보다 바람직하게는 10 내지 60mg/mL, 가장 바람직하게는 10 내지 50mg/mL이다.
본 발명에 따른 제형은 메쉬 분무기, 제트 분무기 및 초음파 분무기를 포함하는 상이한 분무기를 사용하는 흡입에 의해 용이하게 투여될 수 있다.
일 양태에서, 환자의 치료 방법으로서, 본 발명의 약제학적 제형이 정맥내 주사, 피내 주사 및 피하 주사를 포함하는 주사 투여, 경구 흡입, 비강 흡입 및 마스크 흡입을 포함하는 흡입 투여, 경피, 경점막 및 직장을 포함하는 국소 경로들 중 하나 이상에 의해 환자에게 투여되고, 바람직하게는 상기 약제학적 제형이 정맥내 투여, 경구 흡입, 비강 흡입 및 마스크 흡입을 포함하는 흡입 투여 및/또는 피하 투여되는 환자의 치료 방법이 제공된다.
일 양태에서, 환자의 치료 방법으로서, 본 발명의 약제학적 제형이 적어도 2개의 상이한 경로에 의해 투여되고, 상기 2개의 상이한 경로가 정맥내 투여, 구강 흡입, 비강 흡입 및 마스크 흡입을 포함하는 흡입 투여 및/또는 피하 투여로부터 선택되는 환자의 치료 방법이 제공된다.
단일 흡입 후 단일 정맥 주입이 이어질 수 있다.
일 양태에서, 환자의 치료 방법으로서, 본 발명의 제형 내의 항체 또는 이의 항원-결합 단편이 적어도 2개의 상이한 경로에 의해 환자에게 투여되고, 상기 적어도 2개의 상이한 경로들 중 제1 경로에 의해 투여되는 제형 내의 항체 또는 이의 항원-결합 단편의 농도는, 상기 적어도 2개의 상이한 경로들 중 제2 경로에 의해 투여되는 제형 내의 항체 또는 이의 항원-결합 단편의 농도에 비해 적어도 2배의 농도의 항체 또는 이의 항원-결합 단편을 함유하는 환자의 치료 방법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일 양태에서, 환자의 치료 방법으로서, 본 발명의 제형이 흡입에 의해 환자에게 투여되고, 항체 또는 이의 항원-결합 단편의 농도가 10 내지 150mg/mL, 바람직하게는 10 내지 80mg/mL, 보다 바람직하게는 10 내지 60mg/mL, 가장 바람직하게는 10 내지 50mg/mL인 환자의 치료 방법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약제학적 조성물 또는 제형은 (i) 상이한 분무기 시스템(예를 들면, 메쉬 분무기, 제트 분무기), (ii) 희석된 제형 및 희석되지 않은 제형(상이한 API 농도) 및 (iii) 흡입기(구강 및 비강)를 위한 상이한 마스크 또는 어댑터를 사용하는 흡입 투여를 위해 mAb1 및 기타 항체를 효율적으로 안정화시키는 것으로 입증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방법은 예를 들면, 흡입기 또는 분무기를 사용하는 에어로졸화제로 제형화된 약제학적 조성물의 폐 투여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미국 특허 6,019,968, 5,985,320, 5,985,309, 5,934,272, 5,874,064, 5,855,913, 5,290,540 및 4,880,078 및 PCT 공개공보 제WO 92/19244호, 제WO 97/32572호, 제WO 97/44013호, 제WO 98/31346호 및 제WO 99/66903호 참조하며, 이들 각각은 이들의 전문이 인용에 의해 본원에 포함된다. 특정 양태에서, 항체 또는 이의 항원-결합 단편, 병용 요법 및/또는 약제학적 조성물은 Alkermes AIR® 폐 약물 전달 기술(Alkermes, Inc., Cambridge, Mass., U.S.A.)을 사용하여 투여된다. 다른 특정 양태에서, 항체 또는 이의 항원-결합 단편, 병용 요법 및/또는 약제학적 조성물은 Aerogen Solo® 폐 약물 전달 기술(Aerogen GmbH, Ratingen, Germany)을 사용하여 투여된다.
흡입 투여의 경우, 개인은 메쉬 분무기 또는 제트 분무기를 사용하여 에어로졸 발생 후 마우스피스를 통해 치료당 예를 들면, 50mg, 100mg 또는 250mg의 용량으로 치료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은 제형 완충액으로 적절한 체적으로 희석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은 광범위한 기술 파라미터(예를 들면, 표면/체적비)를 포함하는 상이한 용기 마개 시스템, 즉 20R(20mL) 및 6R(6mL) 유형 바이알에서 약물을 안정화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본 발명의 방법은 특히 피하 주사, 정맥내 주사, 근육내 주사를 포함하는 (예를 들면, 볼루스 주사 또는 연속 주입에 의한) 주사에 의한 비경구 투여를 위해 제형화된 약제학적 조성물의 투여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약제학적 제형은 액체 형태로 제공될 수 있거나, 동결건조된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용어 및 정의
본원에서 구체적으로 정의되지 않은 용어는 본원 명세서 및 문맥에 비추어 당업자가 상기 용어에 부여하는 의미가 부여되어야 한다. 일반적인 양태 "포함하는(comprising)" 또는 "포함되는(comprised)"은 보다 구체적인 양태 "~로 이루어지는(consisting of)"을 포함한다.
또한, 단수 형태 및 복수 형태는 제한적인 방식으로 사용되지 않는다. 따라서, 본원에서 사용되는 단수 형태 "a", "an", "one" 및 "the"는, 달리 나타내거나 문맥으로부터 명백하지 않는 한, 단수 및 복수 둘 다를 나타낸다.
그러나, 달리 명시되지 않는 한, 본원에서 사용되는 이하의 용어들은 표시된 의미를 가지며, 이어지는 관례를 준수한다. 본 발명의 과정에서 사용되는 용어들은 이하의 의미를 갖는다.
본원에서 사용되는 용어 "약제학적 조성물" 및 "제형"은 상호 교환 가능함을 의미한다. 용어 "약제학적 조성물" 및 "제형"은 각각, 약제학적 용도를 위한 치료적 활성 물질, 즉 활성 약제학적 성분(API)을 포함하는 물질들의 혼합물을 나타낸다. 본 발명의 맥락에서 용어 "제형" 또는 "약제학적 조성물"은, 활성 약제학적 성분 또는 생물학적 성분으로도 나타내는 항체 또는 이의 항원-결합 단편을, 하나 이상의 추가의 성분과 함께 함유하는 조성물을 나타낸다.
본원에서 약제학적으로 사용하기 위한 치료적 활성 물질은 항체 또는 이의 항원-결합 단편이다.
"항체 및 이의 항원-결합 단편"은 단클론 항체, 다중 특이적 항체(예를 들면, 이중특이적 항체 및 다반응성 항체) 및 항체 단편이다. 항체는 항체-접합체 및 항체를 포함하는 분자, 예를 들면, 키메라 분자를 포함한다. 따라서, 항체는 전장 항체 및 자연 항체, 및 이의 결합 특이성을 보유하는 이의 단편 및 부분, 예를 들면, 임의의 수의 면역글로불린 클래스 및/또는 이소형(예를 들면, IgG1, IgG2, IgG3, IgG4, IgA, IgD, IgE 및 IgM), 및 Fab, F(ab')2, Fv 및 scFv(단일 쇄 또는 관련 실체)를 포함하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는 생물학적 관련 (항원-결합) 단편 또는 이의 특이적 결합 부분을 포함하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단클론 항체는 일반적으로 실질적으로 균질한 항체의 조성 내에 있는 것이고, 따라서, 단클론 항체의 조성 내에 포함되는 임의의 개별 항체들은 소량으로 존재할 수 있는 가능한 자연 발생 돌연변이를 제외하고는 동일하다. 단클론 항체는 인간 IgG1 불변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단클론 항체는 인간 IgG4 불변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본원에서 사용되는 용어 "항체 및 이의 항원-결합 단편"은 가장 넓은 의미로 사용되며, 온전한 항체 및 기능적(항원-결합) 항체 단편을 포함하는 다클론 항체 및 단클론 항체를 포함하고, 이는 단편 항원 결합(Fab) 단편, F(ab')2 단편, Fab' 단편, Fv 단편, 재조합 IgG(rIgG) 단편, 단일 쇄 가변 단편(sFv 또는 scFv)을 포함하는 단일 쇄 항체 단편 및 단일 도메인 항체(예를 들면, sdAb, sdFv, 나노바디) 단편을 포함한다. 상기 용어는 면역글로불린의 유전자 조작된 형태 및/또는 다르게는 개질된 형태, 예를 들면, 인트라바디, 펩티바디, 키메라 항체, 완전 인간 항체, 인간화 항체 및 이종접합 항체, 다중특이적 항체, 예를 들면, 이중특이적 항체, 항체, 디아바디, 트리아바디 및 테트라바디, 탠덤 디-scFv, 탠덤 트리-scFv를 포함한다. 달리 명시되지 않는 한, 용어 "항체 및 이의 항원-결합 단편"은 모든 클래스 또는 하위 클래스의 항체를 포함하여 온전한 항체 또는 전장 항체를 포함하며, 이는 IgG 및 이의 하위 클래스, IgM, IgE, IgA 및 IgD, 및 상기 기능적 항체 단편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항체는 인간 IgG1 불변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항체는 인간 IgG4 불변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약제학적 조성물 또는 제형은 완충제를 포함할 수 있다. 완충제는 시트르산, HEPES, 히스티딘, 아세트산칼륨, 시트르산칼륨, 인산칼륨(KH2PO4), 아세트산나트륨, 중탄산나트륨, 시트르산나트륨, 인산나트륨(NAH2PO4), 트리스 염기 및 트리스-HCl을 포함하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본원에 사용되는 용어 "약 5.0 내지 약 7.0의 pH를 제공하는 완충제"는 상기 완충제를 포함하는 용액이 이의 짝산/짝염기 성분의 작용에 의해 pH 변화에 대한 저항을 제공하는 제제(agent)를 나타낸다. 본 발명에 따른 제형에 사용되는 완충액은 pH가 약 5.5 내지 약 7.5 또는 약 5.8 내지 약 7.0의 범위일 수 있다. 일 양태에서, pH는 약 6.0이다. 일 양태에서, pH는 약 7.0이다. pH를 상기 범위로 제어하는 완충제의 예는 아세테이트, 석시네이트, 글루코네이트, 히스티딘, 시트레이트, 글리실글리신 및 기타 유기산 완충액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약제학적 조성물 또는 제형은 등장화제를 포함할 수 있다. 등장화제는 글리신, 트레할로스, 덱스트로스, 글리세린, 만니톨, 염화칼륨 및 염화나트륨을 포함하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삼투압"은 용매, 즉 수용액 중의 물 킬로그램당 용질의 삼투압 측면에서의 제형의 농도를 의미한다.
"등장성"은 제형이 본질적으로 인간 혈액과 동일한 삼투압을 가짐을 의미한다. 등장성 제형은 삼투압이 일반적으로 약 250 내지 350mOsmol/kg이다. 등장성은 증기압 또는 융점 강하형 삼투압계를 사용하여 측정할 수 있다.
특정 양태에서, 본 발명에 따른 약제학적 조성물 또는 제형은 안정제를 포함한다. 안정제는 인간 혈청 알부민(hsa), 소 혈청 알부민(bsa), α-카제인, 글로불린, α-락트알부민, LDH, 라이소자임, 미오글로빈, 오브알부민 및 RNase A를 포함하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안정제는 아미노산 및 이의 대사물, 예를 들면, 글리신, 알라닌(α-알라닌, β-알라닌), 아르기닌, 베타인, 류신, 리신, 글루탐산, 아스파르트산, 프롤린, 4-하이드록시프롤린, 사르코신, γ-아미노부티르산(GABA), 오핀(알라노핀, 옥토핀, 스트롬빈) 및 트리메틸아민 N-옥사이드(TMAO)도 포함한다.
특정 양태에서, 본 발명에 따른 약제학적 조성물 또는 제형은 비이온성 계면활성제를 포함한다. 비이온성 계면활성제는 폴리옥시에틸렌소르비탄 지방산 에스테르(예를 들면, 폴리소르베이트 20 및 폴리소르베이트 80), 폴리에틸렌-폴리프로필렌 공중합체, 폴리에틸렌-폴리프로필렌 글리콜, 폴리옥시에틸렌-스테아레이트, 폴리옥시에틸렌 알킬 에테르, 예를 들면, 폴리옥시에틸렌 모노라우릴 에테르, 알킬페닐폴리옥시에틸렌 에테르(Triton-X), 폴리옥시에틸렌-폴리옥시프로필렌 공중합체(Poloxamer, Pluronic), 나트륨 도데실 설페이트(SDS)를 포함하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일 양태에서, 비이온성 계면활성제는 폴리소르베이트 20 또는 폴리소르베이트 80이다. 일 양태에서, 폴리소르베이트의 농도는 약 0.005 내지 0.02%(w/v)이다.
용어 "분무 가능"은, 유럽 약전 2.9.44과 결합된 EMA/CHMP/QWP/49313 "흡입 및 비강 제품의 약학적 품질에 관한 가이드라인" 및 USP <1601>과 결합된 산업을 위한 FDA 지침인 "비강 스프레이 및 흡입 용액, 현탁액 및 스프레이 약물 제품 - 화학적 제조 및 제어 문서"에 따른 분무기 용액을 특징으로 하는 가용성 에어로졸 액적을 형성하는 제형의 능력을 나타낸다. 이들 각각의 문서의 내용은 이들의 전문이 인용에 의해 본원에 포함된다.
따라서, 제형이 본원에 사용되는 의미에서 "분무 가능한"지 여부를 결정하기 위해, 공기역학적 성능을 기술하는 이하의 파라미터들이 조사된다:
- 활성 물질 전달률(ASDR)/약물 물질 전달률(DSDR)
- 전달된 총 활성 물질(TASD)/전달된 총 약물 물질(TDSD)
- 분무된 에어로졸의 공기역학적 평가:
- 입자 크기 분포,
- 질량 중간 공기역학적 직경(MMAD)
- 기하학적 표준 편차(GSD)
- 미세 입자 분율(FPF)<5.0㎛
제형이 "분무 가능한"지 여부를 조사하기 위한 장치는 CE 마크가 있는 메쉬 또는 제트 분무기이고, 510k 허가(clearance)를 받았다. 이는 분무 용액을 전달하기 위한 것이다. 본원에 사용되는 장치의 경우, 분무용 용액의 전달에 대한 적합성은 Aerogen® Solo System 사용 설명서, R20-3604, InnoSpire® Go 사용 설명서, R20-4198 및 Aero Eclipse * II Breath Actuated Nebulizer(BAN) 사용 설명서, R20-4199에서 확인되었다. 상기 장치는 결과 비교를 위해 사용해야 한다.
임상 시험에 사용하기 위한 제품의 완전한 전달 프로필을 평가하기 위해, ASDR/DSDR 및 TASD/TDSD(즉, 환자에게 전달되는 총 용량)를, 상기 두 파라미터를 측정하기 위해 개별 실험들이 수행된다는 점을 제외하고, 유럽 약전 2.9.44 및 USP <1601>에 개시된 절차에 따라 측정하였다. ASDR/DSDR 및 TASD/TDSD는 호흡 시뮬레이터로서 인공 폐를 포함하여 필터 기반 방법을 사용하여 조사하였다(ASL 5000, Ingmar Medical, Pittsburgh, PA, USA; 500mL 흡입 체적, 호기 호흡, 분당 15회 호흡, 정현파(sinusoidal), 1:1 흡입/호기 비).
분무기에 의해 발생된 액체 에어로졸 액적들의 입자 크기 분포는 차세대 임팩터(NGI)를 사용하여 평가된다. 질량 중간 공기역학적 직경(MMAD), 기하 표준 편차(GSD) 및 미세 입자 비(FPF<5.0㎛)가 임팩터 측정값으로부터 계산된다.
액적 또는 입자의 질량 중간 공기역학적 직경(MMAD) 공기역학적 직경은 동일한 침강 속도를 갖는, 밀도가 1g/mL인 구의 직경과 동일하다. 기하학적 직경 이외에도 입자의 밀도 및 형상은 공기역학적 성질에 영향을 미친다. 일반적으로, 1 내지 5㎛의 MMAD 값이 폐 침착에 최적인 것으로 간주된다. 작은 입자는 호기되는 반면, 큰 입자는 입, 코 또는 기관에 침착된다.
기하 표준 편차(GSD)는 크기 분포의 평균값인 MMAD로부터의 편차에 대한 분산 측도이다. 이는 차원이 없는 숫자이다. MMAD가 1 내지 5㎛의 영역에 있는 경우 더 많은 액적 또는 입자가 원하는 범위에 있어야 하므로, 작은 값은 폐 적용에 있어 바람직한 좁은 크기 분포를 나타낸다.
미세 입자 분율(FPF)은 직경이 5.0㎛ 미만인 에어로졸의 입자 또는 액적의 비율이다. 이는 흡입 후 더 깊은 폐에 도달하는 부분이다.
초고성능 크기 배제 크로마토그래피(UP-SEC)는, 항체 무결성을 평가하기 위해, 분무 전 및 후의 고분자량(HMW) 및 단량체 함량을 측정하는 데 사용된다.
표면 플라스몬 공명(SPR)은 결합 활성을 평가하기 위해 사용되며, 따라서 분무 후 항체가 기능을 유지하는지 여부를 평가하기 위해 사용된다.
UV-Vis, UP-SEC 및 SPR은 항체의 무결성, 기능 및 제품 품질을 평가하는 데 사용된다.
"비강 흡입"은 예를 들면, 코를 완전히 덮고 에어로졸 액적이 코를 통해 기도로 들어가는 비강 캐스트(nasal cast)를 사용하는, 코만을 통한 흡입을 의미한다.
"구강 흡입"은 예를 들면, 액체 에어로졸 액적이 입/목을 통해 기도로 들어가는 마우스피스를 사용하는, 입만을 통한 흡입을 의미한다.
마스크 흡입은 코와 입을 동시에 통한 흡입을 의미하여, 이에 의해 안면 마스크가 코와 입 둘 다를 덮는다. 액체 에어로졸 액적의 흡수는 코와 입/목 모두를 통해 호흡기로 전달된다.
실시예
본 발명의 제형의 효과를 확인하기 위해 상이한 단클론 항체들을 사용하였다.
항체 1(mAb1)은 특허 출원 EP20213562.0 및 PCT/EP2021064326에 DZIF-10c로 기재된 단클론 항체이다. 상기 항체는 유형 IgG1이다.
mAb2는 유형 IgG4의 단클론 항체이다. 항체 mAb3 내지 mAb5는 모두 유형 IgG1의 단클론 항체이다.
실시예 1.1 - mAb1 및 기타 항체의 제형화
mAb1은 50mg/mL 농도의 단일 사용 멸균 용액으로 제공될 수 있다. 각각의 mAb1 약물 제품 바이알에는, 아세트산, 아세트산나트륨, 글리신, 트레할로스 및 폴리소르베이트 20으로 구성된 20mL의 완충 용액이 함유될 수 있다(표 1 참조).
Figure pct00001
일 양태에서, mAb1은 약 20mM의 아세테이트, 약 220mM의 글리신, 약 20mM의 트레할로스, 약 0.4g/L의 폴리소르베이트 20 중에 약 50mg/mL로, 약 5.5의 pH로 제형화된다.
mAb1은 분무기를 사용하여 에어로졸화한 후 정맥내 주입 또는 흡입 투여로 적용할 수 있다.
mAb1은, 임상 연구에서, 0.2㎛ 나일론 인-라인 필터를 사용하여 제형 완충액에 희석된 정맥내 주입에 의해 약 2.5mg/kg, 약 10mg/kg 또는 약 40mg/kg의 용량으로 환자에게 60분(+/-10분)에 걸쳐 정맥내 투여하였다(결과는 본원에 표시되지 않음). 상기 예시된 제형은 제형 완충액, 즉 항체 mAb1이 없는 상기 제형으로 적절한 체적으로 희석될 수 있다.
흡입 투여의 경우, 개인은 메쉬 분무기 또는 제트 분무기를 사용하여 에어로졸을 발생시킨 후, 마우스피스를 통해 치료당 예를 들면, 50mg, 100mg 또는 250mg의 용량으로 치료될 수 있다. 상기 예시된 제형은 제형 완충액으로 적절한 체적으로 희석될 수 있다.
단일 흡입 후 단일 정맥 주입이 이어질 수 있다.
하기 표 2에, 부분적으로는 본 발명에 따르고 부분적으로는 비교 제형인 항체들에 대한 상이한 제형들이 제공된다. 제형 F5는 표 1의 제형에 해당한다.
Figure pct00002
API는 "활성 약제학적 성분"을 의미하며, 첨가되는 항체의 양을 반영한다.
상이한 양들의 항체를 포함하는 제형 F3 내지 F5 및 F9는 본 발명에 따른 것이다. 아세테이트 대신에 히스티딘을 포함하는 제형 F7도 본 발명에 따른 것이다. 다른 모든 제형은 비교 실시예이다. 비교 실시예는 일반적으로 상업적으로 입수 가능한 항체에 대해 사용되며, 예를 들면, 제형 F1, F2 및 F8이다.
실시예 1.2 - 안정성 측면에서 mAb1의 상이한 제형들의 비교
의도된(5℃) 저장 조건 및 가속 저장 조건(25℃)에서의 mAb1을 포함하는 제형 F5 내지 F8의 안정성 데이터는, 최대 12개월의 저장 시간 동안의 고분자량 종의 백분율(HMW(%)) 또는 단량체의 백분율(단량체(%))을 통해 측정하였다. 상기 측정 결과는 5℃ 및 25℃에서의 저장 조건에 대해 도 1 및 2에 각각 도시되어 있으며, HMW의 백분율은 A에 도시되고, 단량체의 백분율은 B에 도시된다. 단량체는 항체의 활성 형태를 나타낸다.
mAb1을 포함하는 제형 F5는 광범위한 기술 파라미터(예를 들면, 표면/체적비)를 포함하는 상이한 용기 마개 시스템, 즉 20R(20mL) 및 6R(6mL)에서 안정한 것으로 나타났다. 실험을 위해 유형 I 유리 바이알을 사용하였다. 이의 데이터는 도 3 및 4에 도시되어 있으며, 이는 5℃ 및 25℃ 각각에서의 저장 조건을 나타내고, HMW의 백분율은 A에 도시되고, 단량체의 백분율은 B에 도시된다.
도 5 및 6의 추가의 데이터는 항체의 광범위한 농도에 걸친 본 발명에 따른 제형, 즉 제형 F4, F5 및 F9 중 mAb1의 우수한 안정성을 나타내며, F9는 농도가 100mg/mL mAb1이고, F4는 농도가 150mg/mL mAb1이며 둘 다 고농축 액상 제형(HCLF)을 나타내고, F5는 농도가 50mg/mL mAb1이다. 데이터는 12주의 저장 시간 동안 수집되었다. 각각의 도면에서 HMW의 백분율은 A에 도시되고, 단량체의 백분율은 B에 도시된다.
실시예 1.3 - mAb1은 제형 F5로 분무 가능하다.
F5 중 mAb1의 분무 특성은 메쉬 분무기 Aerogen® Solo로 평가하였다. 각각의 MMAD, GSD 및 FPF<5.0㎛는 NGI를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5.0㎛ 입자 직경의 크기 제한은 유럽 약전 2.9.18에 규정되어 있으며, 일반적으로는 공기역학적 직경이 5.0㎛ 미만인 입자는 하기도(더 깊은 폐 영역)에 도달하는 것으로 가정할 수 있다.
Figure pct00003
분무기에 의해 발생된 액체 에어로졸 액적들의 입자 크기 분포를 차세대 임팩터(NGI)를 사용하여 평가하였다. 따라서, NGI는 사용하기 전에 약 5℃에서 예냉하고, 냉장고에서 꺼낸 후 5분 이내에 측정을 시작하였다. 임팩터는 15L/min의 유속으로 작동하였다. 메쉬 분무기에 1mL의 충전 체적을 사용했고, 에어로졸의 발생이 끝날 때까지 분무를 계속하였다.
질량 중간 공기역학적 직경(MMAD), 기하 표준 편차(GSD) 및 미세 입자 분율(FPF<5.0㎛)은 임팩터 측정으로부터 계산하였다.
표 3은 Aerogen® Solo에서 발생된 액체 에어로졸 액적의 MMAD, GSD 및 FPF<5.0㎛의 계산된 값을 제공한다. 표 3의 데이터는 일반적으로 F5의 흡입에 대한 적합성에 대한 정보를 제공한다. 또한, 표 3의 데이터는 각각의 Aerogen® Solo 분무기와 조합하여 3개의 독립적으로 제조된 F5 배취에 제형화된 mAb1에 대해 수행된 측정들 간의 가변성을 보여준다. 이러한 설정에서의 시험은 하나의 개별 Aerogen® Solo 분무기에 해당하는 반면, 개별 mAb1 배취에 대한 분무 실험은 3회 수행되었다. 요약하면, 3개의 독립적으로 준비된 mAb 배취를 각각 3개의 서로 상이한 Aerogen® 분무기로 각각 분무하였다.
전반적으로, 시험된 배취 및 분무기에 대해 세 가지 파라미터 모두를 비교할 수 있으며, 공기역학적 평가와 관련하여 F5 중 mAb에 대한 분무의 일관성 및 견고성을 보여준다.
모든 mAb1 배취에 대한 각각의 FPF<5.0㎛는 60%에 가까우며, 이는 mAb1의 약 60%가 하기도(더 깊은 폐 영역)로 들어감을 의미하고, 얻어진 다른 공기역학적 파라미터 중 우수한 분무 성능을 설명한다.
요약하면, F5 분무기 용액은 Aerogen® Solo 시스템을 사용하는 환자에 대한 적절한 흡입 투여에 적합하다(표 3 참조).
실시예 1.4 - mAb1을 분무하기 위한 상이한 분무기들의 비교
모든 평가에서, F5 중에 제형화된 mAb1은 시험되는 배취당 1개의 분무기로 3회의 독립적인 반복 시험을 수행하였다. 개별 배취들에 대해 서로 상이한 분무기를 사용하였다.
제형 F5는 다른 상업적으로 입수 가능한 분무기 시스템(메쉬 분무기 및 제트 분무기)에서 시험했을 때 안정화 효과를 나타냈다(표 4 참조).
Figure pct00004
삼투압은 분무 후에 측정하였다. 제트 분무기를 사용하는 경우, 더 높은 삼투압이 관찰되었다.
요약하면, mAb1의 무결성은 상이한 분무기 장치들로의 분무에 영향을 받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1.5 - 분무 측면에서 mAb1의 상이한 제형들의 비교
표 2에 따른 상이한 제형들을 Aerogen Solo® 분무기, 즉 메쉬 분무기에서 시험하였다(표 5). 10mg/mL의 API 농도로 동일한 측정을 수행하였다(표 6). 10mg/mL의 낮은 농도의 mAb1을 얻기 위해, 제형 F5, F6, F7 및 F8을 제형 완충액으로 희석하였으며, 각각의 샘플에 대해 상기 제형과 동일하지만 API가 없는 조성물을 희석제로서 사용하였다.
Figure pct00005
Figure pct00006
상기 표에서, HMW는 고분자량 입자를 나타내고, LMW는 저분자량 입자를 나타내고, 단량체는 온전한 항체 그 자체를 나타낸다.
측정은 모세관 겔 전기영동인 CGE, 초고성능 크기 배제 크로마토그래피인 UP-SEC, 표면 플라스몬 공명인 SPR을 사용하여 수행되었다.
결과는 mAb1이 F5 및 F7 둘 다 중에서 쉽게 분무될 수 있는 반면, 항체 mAb1은 상기 제형들 내에서 안정하다는 것을 보여준다.
실시예 1.6 - 비강 흡입 및 구강 흡입을 통한 F5 중 mAb1의 적용 가능성
본 발명의 제형의 비강 흡입 및 구강 흡입에 대한 적용 가능성을 확인하기 위해, 인공 호흡 모델을 사용하여 측정을 수행하였다.
임상 시험에 사용하기 위한 제품의 완전한 전달 프로파일을 평가하기 위해, ASDR/DSDR 및 TASD/TDSD(즉, 환자에게 전달되는 총 용량)를, 상기 두 파라미터를 측정하기 위해 개별 실험들이 수행된다는 점을 제외하고, 유럽 약전 2.9.44 및 USP <1601>에 개시된 절차에 따라 측정하였다. ASDR/DSDR 및 TASD/TDSD는 호흡 시뮬레이터로서 인공 폐를 포함하여 필터 기반 방법을 사용하여 조사하였다(ASL 5000, Ingmar Medical, Pittsburgh, PA, USA; 500mL 흡입 체적, 호기 호흡, 분당 15회 호흡, 정현파(sinusoidal), 1:1 흡입/호기 비).
1분 내에 환자에게 전달되는 mAb1의 양을 조사하기 위해 ASDR/DSDR을 평가하였다. 모든 측정은 마우스피스 어댑터를 사용하여 수행하였다.
표 7은 50mg/mL로 F5 중에 제형화된 mAb1에 대한 3회의 개별 실험 결과 및 시험된 분무기당 이들의 평균을 보여준다. Aerogen® Solo로의 분무 특성 확인을 위해, 10mg/mL의 mAb1 제형(F3에 해당)을 추가로 사용하였다.
Figure pct00007
분석 시험을 위한 충분한 활성 물질을 수집하기 위해, 10mg/mL 용액의 분무 시간(Aerogen® Solo)을 300초로 연장하였다. 분당 활성 물질의 전달 속도는 mAb1의 농도가 증가함에 따라 증가하였다. F5 및 F3은 사용되는 분무기와 관계없이 전반적으로 우수한 전달 속도를 나타냈다.
환자가 흡입한 mAb1의 총 양을 평가하고, 분무 시스템 자체 내에서 그리고 호기 동안 에어로졸의 손실을 추정하기 위해 TASD/TDSD를 측정하였다. 마우스피스 어댑터를 사용하여 또는 분무기와 함께 제공된 안면 마스크를 사용하여 Aerogen® Solo 분무기 구성으로 측정을 수행하였다.
흡입 필터 상에 그리고 입 또는 비강 모형의 개별 구획들에 침착되는 총 mAb1의 양을 분석하였다. TASD/TDSD 개별 시험 값들 및 mAb1에 대한 이의 평균은 마스크 및 구강 호흡의 경우 표 8에, 마스크 및 비강 호흡의 경우 표 9에 도시된다.
Figure pct00008
Figure pct00009
TDSD(전달된 총 약물 물질)는 흡입 동안 폐에 침착되는 제형의 총 양이다.
% 계량도입된 투여량은 사용된 투여량, 즉 분무기에 충전된 mAb1의 투여량에 대해 분무 실험 동안 회수되는 약물의 양이다.
시험은 Ultra 챔버 및 안면 마스크가 있는 Aerogen® Solo에 대해 수행하였다. 안면 마스크 및 비강 호흡(표 9)을 사용한 셋업의 경우, 89.1mg의 낮은 평균의 TASD/TDSD가 얻어졌다. 상기 TASD/TDSD는 비강에서 11.1mg, 인후/기관에서 6.5mg 및 상기 적용된 모델에서 폐를 나타내는 필터에서 71.4mg의 총 평균 mAb1 양이다.
비강 호흡으로 감소된 TASD/TDSD가 예상되는데, 이는 비강 캐스트에 들어가지만 캐스트 말단에서 필터에 도달하지 않는 에어로졸 분율에 대해 부분적인 침착(즉, 더 큰 MMAD를 가진 입자의 침착)이 예상될 수 있기 때문이다. 침착되지 않은 입자의 일부는 호기 단계에서 마스크 유출구 밸브를 통해 손실된다.
119.6mg(폐 필터) 및 122.4mg(마스크)의 구강 호흡에 대한 TASD/TDSD로부터, 약 60%의 평균 FPF<5.0㎛를 곱하여 폐 투여량을 추정할 수 있다(표 3 참조).
이들 데이터는 본 발명의 제형이 비강 흡입 및 구강 흡입에도 적용 가능함을 보여준다.
본 발명의 약제학적 조성물 또는 제형은 (i) 상이한 분무기 시스템(예를 들면, 메쉬 분무기, 제트 분무기), (ii) 희석된 제형 및 희석되지 않은 제형(상이한 API 농도) 및 (iii) 상이한 마스크(구강 및 비강)를 사용하는 흡입 투여에 대해 모든 항체를 효율적으로 안정화시키는 것으로 입증될 수 있다.
실시예 1.7: mAb1의 2가지 예방적 분무의 사이노몰구스 원숭이에서의 항바이러스 효능의 평가
항체 mAb1의 2가지 예방적 분무의 항바이러스 효능을 SARS-CoV-2에 감염되기 전의 6마리의 사이노몰구스 원숭이에서 평가하였다. 연구를 위해, 6마리의 사이노몰구스 원숭이(마카카 파스치쿨라리스(Macaca fascicularis))를 2개의 처리군으로 나누었다: 4마리의 동물을 감염 전에 항체를 받는 처리군에 포함시킨 반면, 2마리의 동물은 감염 전에 비히클만을 받았다.
처리군의 동물들은 감염 4일 전(D-4) 및 2일 전(D-2) 10mL의 mAb1(20mM의 아세테이트, 220mM의 글리신, 20mM의 트레할로스, 0,04%(w/v) 폴리소르베이트 20 중 50mg/mL, pH 5.5)의 2회의 적용을 받았다. 적용은 메쉬 분무기, Aerogen Solo® 분무기(Aerogen GmbH, Ratingen, Germany) 및 적합한 안면 마스크(Laerdal Medical GmbH, Puchheim, Germany, 크기 S)를 사용하였다.
감염일(D0)에 모든 동물에게, 107개의 TCID50 SARS-CoV-2 균주 hCoV-19/France/OCC-NRC02765/2020(기탁 GISAID "EPI_ISL_640002, 스파이크 치환 D614G, K1073N)을, Luer Lock이 있는 1mL 안전 주사기에 연결된 마이크로스프레이 장치(모델 IA-1B, PennCentury®)를 사용하여 비공당 500μL의 비강내(IN) 적용으로, 그리고 Luer Lock이 있는 1mL 안전 주사기에 연결된 마이크로스프레이 장치(모델 IA-1B, PennCentury™)를 사용하여 기관에 1mL의 접종물을 스프레이 하여 기관내(IT) 접종으로 접종하였다.
분석을 위해 매일 혈액 및 타액 샘플, 비인두 및 구인두 도말물을 수집하였다. 기관지폐포 세척액을 D2, D4 및 D6에 채취하였다. 임상 모니터링에는 체온, 음식 소비 및 체중이 포함되었다. D6의 부검에는 폐의 조직병리학, 및 폐, 코 점막, 구인두 및 신장의 바이러스 부하 검정이 포함되었다.
비인두 도말물 및 기관지폐포 세척액(BAL)에서, 감염 후 두 대조군의 동물들 모두에서 바이러스 복제가 발견될 수 있다. 대조적으로, 치료된 동물은 검출 한계(LOD) 미만의 결과 또는 대조군 동물보다 수 로그 더 낮은 수준의 결과를 나타냈다. 모든 동물의 비인두 도말물 분석 결과가 도 7에 도시되고, 기관지폐포 세척액의 분석 결과가 도 8에 도시된다.
체온: 두 대조군 동물 모두 SARS-CoV-2 감염 후 명확한 장기간의 고열을 보였다. mAb1로의 예방적 치료는 고열의 발생을 지연시키거나 고열의 지속 시간을 단축하고, 고열의 강도를 감소시키거나 고열의 발병을 완전히 방지하였다.
폐의 거시적 관찰 및 현미경 관찰: 두 대조군 동물의 폐 모두 주요 간행물에 폐 경화로 기술된 것과 유사하게 경화된 암적색 영역을 나타냈다. 치료된 4마리 동물의 폐는 어떠한 폐 손상의 징후도 없이 건강해 보였다. 이러한 관찰 모두 현미경 관찰에 의해 확인되었다: 두 대조군 동물 모두의 대부분의 슬라이드에서는 현저하고 광범위한 아급성 기관지간질 염증이 있었고, 그룹 2 동물에서는 매우 제한적인 기관지간질 염증 또는 기관지간질 염증이 없었다.
요약하면, 상기 결과는 흡입 적용에 의한 mAb1의 예방적 치료가 바이러스 복제 및 감염성 바이러스 측면에서 바이러스 부하를 감소시키고, 임상 증상(고열)을 감소 또는 예방하고, 폐 병리를 예방함을 나타낸다.
이하의 실시예들에서 mAb1, mAb2, mAb3, mAb4 및 mAb5를 포함하는 상이한 제형들이 조사된다.
실시예 2.1 - 상이한 제형들 중 상이한 항체들의 안정성
본 발명에 따른 제형은 조사되는 다른 제형들에 비해 우수한 안정성을 나타낸다.
이하에, 표 2에 나타낸 제형이 상이한 항체들과 함께 사용되었다.
mAb1, mAb2, mAb3, mAb4 및 mAb5의 안정성을 제형 F5로 시험하였다(표 2 참조).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제형은 5℃ 및 25℃ 둘 다에서 상이한 항체들에 대해 매우 우수한 안정성을 나타낸다. 5℃는 생체 분자에 대해 예상되는 정상적인 저장 조건(의도된 저장 조건)에 해당한다. 25℃는 짧은 시간 기간 동안만, 예를 들면, 대상체/환자에게 상기 제형을 투여하기 전에 발생할 것으로 예상되는 가속 저장 조건을 나타낸다.
본 시험의 결과는 도 9(5℃) 및 도 10(25℃)에 도시되어 있으며, 여기서 고분자량 종의 백분율(HMW(%))은 A에 도시되고, 단량체의 백분율(단량체(%))은 B에 도시된다.
도 11 내지 15에는, 5℃에서의 mAb1(도 11), mAb2(도 12), mAb3(도 13), mAb4(도 14) 및 mAb5(도 15)의 저장 안정성이 도시되어 있으며, 이들 각각은 제형 F5 중에서의,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르지 않는 제형 F1, F2 및 F6 중에서의 저장 안정성이다. 상기 제형들은 표 2에 기술되어 있다. 각각의 도면에서, 고분자량 종의 백분율(HMW(%))은 A에 도시되고, 단량체의 백분율(단량체(%))은 B에 표시된다.
도 16 내지 20은 25℃에서의 mAb1(도 16), mAb2(도 17), mAb3(도 18), mAb4(도 19) 및 mAb5(도 20)의 저장 안정성을 도시하여, 이들 각각은 제형 F5, F1, F2 및 F6 중에서의 저장 안정성이다(표 2 참조). 고분자량 종의 백분율(HMW(%))은 A에 도시되고, 단량체의 백분율(단량체(%))의 백분율은 B에 도시된다.
조사된 모든 항체의 F5 중에서의 높은 안정성이 입증될 수 있었다.
실시예 2.2 상이한 항체들의 상이한 농도들에서의 안정성
본 발명에 따른 약제학적 제형은 광범위한 농도의 항체 또는 이의 항원-결합 단편에 걸쳐 사용되도록 의도되기 때문에, mAb1, mAb2 및 mAb3의 안정성을 10mg/mL, 50mg/mL 및 150mg/mL의 농도에서 그리고 5℃ 및 25℃ 각각의 저장 조건에서 측정하였다.
결과는 도 21 및 도 22에 도시되어 있으며, 데이터 포인트는 mAb1, mAb2 및 mAb3에 대해 각각 원(○), 삼각형(△) 및 사각형(□)으로 도시된다. mAb2 및 mAb3의 농도를 평가하였다: 10, 50 및 150mg/mL, 개방형, 절반 충전된 형태 및 충전된 형태로 표시됨. mAb1의 경우, 50mg/ml 및 150mg/ml의 농도만 측정되었다. 고분자량 종의 백분율(HMW(%))은 A에 도시되고, 단량체의 백분율(단량체(%))은 B에 도시된다.
실시예 2.3 상이한 항체들의 분무
항체 mAb1, mAb2, mAb3, mAb4 및 mAb5의 분무는 이들 항체 각각의 제형 F5의 5mL 샘플 체적을 사용하여, 즉 50mg/mL의 항체 농도에서 수행하였다. 분무를 위해 Aerogen Solo® 흡입기를 사용하였다.
공기역학적 특성 확인 및 제품 품질 평가는 분무 도중 및 분무 이후에 수행하였다. 모든 시험은 3회 수행하였다. 3회의 독립적인 시험들의 평균값은 아래 표 10에 열거되어 있다.
Figure pct00010
액적 또는 입자의 질량 중간 공기역학적 직경(MMAD) 공기역학적 직경은 동일한 침강 속도를 갖는 밀도가 1g/mL인 구의 직경과 동일하다. 기하학적 직경 이외에도 입자의 밀도 및 형상은 공기역학적 성질에 영향을 미친다. 일반적으로, 1 내지 5㎛의 MMAD 값이 폐 침착에 최적인 것으로 간주된다. 작은 입자는 호기되는 반면, 큰 입자는 입, 코 또는 기관에 침착된다.
기하 표준 편차(GSD)는 크기 분포의 평균값인 MMAD로부터의 편차에 대한 분산 측도이다. 이는 차원이 없는 숫자이다. MMAD가 1 내지 5㎛의 영역에 있는 경우 더 많은 액적 또는 입자가 원하는 범위에 있어야 하므로, 작은 값은 폐 적용에 있어 바람직한 좁은 크기 분포를 나타낸다.
미세 입자 분율(FPF)은 직경이 5.0㎛ 미만인 에어로졸의 입자 또는 액적의 비율이다. 이는 흡입 후 더 깊은 폐에 도달하는 부분이다.
초고성능 크기 배제 크로마토그래피(UP-SEC)는, 항체 무결성을 평가하기 위해, 분무 전 및 후의 고분자량(HMW) 및 단량체 함량을 측정하는 데 사용된다.
표면 플라스몬 공명(SPR)은 결합 활성을 평가하기 위해 사용되며, 따라서 분무 후 항체가 기능을 유지하는지 여부를 평가하기 위해 사용된다.
일반적으로, UV-Vis, UP-SEC 및 SPR을 사용하여 Aerogen Solo® 메쉬 분무기를 사용한 분무 전 및 후의 항체의 무결성, 기능 및 제품 품질을 평가하였다.
mAb1 내지 mAb5는 Aerogen Solo® 메쉬 분무기를 사용하여 분무하였다. 모든 mAb는 F5 중에서 분무되었을 때 매우 우수한 분무 성능을 보여주었다. 표 10은 mAb1 내지 mAb5가 F5 중에서 분무될 수 있는 동시에, FPF<5.0㎛은 모든 mAb의 에어로졸 액적이 이의 완전성, 기능 및 전반적인 제품 품질을 동시에 유지함으로써 깊은 폐로 들어간다는 것을 반영한다. 그러나, mAb1 내지 mAb5 전체에 걸친 분무 후의 분무 시간 및 응집체 형성(HMW 증가) 및 단량체 함량(단량체 감소)과 관련하여 차이가 관찰되었다.

Claims (15)

  1. 수용액 중 농도가 1 내지 200mg/mL인 항체 또는 이의 항원-결합 단편, 5 내지 50mM의 아세테이트 또는 히스티딘, 120 내지 260mM의 글리신, 15 내지 120mM의 트레할로스, 0.1 내지 1.0g/L의 폴리소르베이트 20을 포함하거나 이들로 이루어지고, pH가 4.5 내지 6.5인, 제형.
  2. 제1항에 있어서, 수용액 중 농도가 10 내지 260mg/mL인 항체 또는 이의 항원-결합 단편, 10 내지 25mM의 아세테이트 또는 히스티딘, 172.7 내지 259.1mM의 글리신, 17.3 내지 25.9mM의 트레할로스, 0.2 내지 0.6g/L의 폴리소르베이트 20(폴리옥시에틸렌(20)-소르비탄-모노라우레이트)을 포함하거나 이들로 이루어지고, pH가 5.2 내지 5.8인, 제형.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수용액 중 농도가 10 내지 150mg/mL인 항체 또는 이의 항원-결합 단편, 20mM의 아세테이트 또는 히스티딘, 220mM의 글리신, 20mM의 트레할로스, 0.4g/L의 폴리소르베이트 20을 포함하거나 이들로 이루어지고, pH가 5.5인, 제형.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수용액 중 농도가 50mg/mL인 항체 또는 이의 항원-결합 단편, 20mM의 아세테이트, 220mM의 글리신, 20mM의 트레할로스, 0.4g/L의 폴리소르베이트 20을 포함하거나 이들로 이루어지고, pH가 5.5인, 제형.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2종 이상의 항체 또는 이의 항원-결합 단편, 바람직하게는 2종의 항체 또는 이의 항원-결합 단편이 상기 제형에 포함되는, 제형.
  6. 10 내지 50mg/kg 체중, 바람직하게는 30 내지 50mg/kg 체중의 투여량의 항체 또는 이의 항원-결합 단편을 환자에게 투여하기 위한,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제형의 용도.
  7. 항체 또는 이의 항원-결합 단편을 환자에게 투여하기 위한, 제6항에 기재된 용도 또는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제형의 용도로서, 상기 제형이, 정맥내 주사, 피내 주사 및 피하 주사를 포함하는 주사 경로, 경구 흡입, 비강 흡입 및 마스크 흡입을 포함하는 흡입 경로, 경피, 경점막 및 직장을 포함하는 국소 경로들 중 하나 이상에 의해 투여되고,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형이 정맥내 투여, 경구 흡입, 비강 흡입 및 마스크 흡입을 포함하는 흡입 투여 및/또는 피하 투여되는, 용도.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투여가 적어도 2개의 상이한 경로에 의하고, 상기 적어도 2개의 상이한 경로가 정맥내 경로, 경구 흡입, 비강 흡입 및 마스크 흡입을 포함하는 흡입 경로 및 피하 경로로부터 선택되는, 용도.
  9. 제6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형이 적어도 2개의 상이한 경로를 통해 환자에게 투여되고, 상기 적어도 2개의 상이한 경로들 중 제1 경로에 의해 투여되는 상기 제형 내의 상기 항체 또는 이의 항원-결합 단편의 농도가, 상기 적어도 2개의 상이한 경로들 중 제2 경로에 의해 투여되는 상기 제형 내의 상기 항체 또는 이의 항원-결합 단편의 농도보다 적어도 2배의 농도의 상기 항체 또는 이의 항원-결합 단편을 함유하는, 용도.
  10. 제6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용도 또는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제형의 용도로서, 상기 제형이 흡입에 의해 환자에게 투여되고, 상기 제형 중 상기 항체 또는 이의 항원-결합 단편의 농도가 1 내지 150mg/mL, 바람직하게는 10 내지 80mg/mL, 보다 바람직하게는 10 내지 60mg/mL, 가장 바람직하게는 10 내지 50mg/mL인, 용도.
  11. 환자의 치료 방법으로서,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제형이 1 내지 50mg/kg 환자 체중, 바람직하게는 10 내지 50mg/kg 환자 체중의 상기 항체 또는 이의 항원-결합 단편의 투여량으로 환자에게 투여되는, 환자의 치료 방법.
  12. 제11항에 기재된 환자의 치료 방법 또는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제형을 사용하는 환자의 치료 방법으로서, 상기 제형 내의 항체 또는 이의 항원-결합 단편이, 정맥내 주사, 피내 주사 및 피하 주사를 포함하는 주사 경로, 경구 흡입, 비강 흡입 및 마스크 흡입을 포함하는 흡입 경로, 경피, 경점막 및 직장을 포함하는 국소 경로들 중 하나 이상에 의해 투여되고,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형이 정맥내 투여, 경구 흡입, 비강 흡입 및 마스크 흡입을 포함하는 흡입 투여 및/또는 피하 투여되는, 환자의 치료 방법.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투여가 적어도 2개의 상이한 경로에 의해 투여되고, 상기 2개의 상이한 경로가 정맥내 투여, 경구 흡입, 비강 흡입 및 마스크 흡입을 포함하는 흡입 투여 및 피하 투여로부터 선택되는, 환자의 치료 방법.
  14. 제11항 내지 제1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형 내의 항체 또는 이의 항원-결합 단편이 적어도 2개의 상이한 경로로 투여되고, 상기 적어도 2개의 상이한 경로들 중 제1 경로에 의해 투여되는 상기 제형 내의 상기 항체 또는 이의 항원-결합 단편의 농도가, 상기 적어도 2개의 상이한 경로들 중 제2 경로에 의해 투여되는 상기 제형 내의 상기 항체 또는 이의 항원-결합 단편의 농도보다 적어도 2배의 농도의 상기 항체 또는 이의 항원-결합 단편을 함유하는, 환자의 치료 방법.
  15. 제11항 내지 제14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환자의 치료 방법 또는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제형을 사용하는 환자의 치료 방법으로서, 상기 제형이 흡입에 의해 환자에게 투여되고, 상기 제형 중 상기 항체 또는 이의 항원-결합 단편의 농도가 10 내지 150mg/mL, 바람직하게는 10 내지 80mg/mL, 보다 바람직하게는 10 내지 60mg/mL, 가장 바람직하게는 10 내지 50mg/mL인, 환자의 치료 방법.
KR1020237023419A 2020-12-11 2021-12-10 다목적 적용을 위한 제형 KR20230118167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7)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EP20213562.0 2020-12-11
EP20213562 2020-12-11
EPPCT/EP2021/064326 2021-05-28
PCT/EP2021/064326 WO2021239935A1 (en) 2020-05-29 2021-05-28 Neutralizing antibodies against sars-related coronavirus
EP2021082892 2021-11-24
EPPCT/EP2021/082892 2021-11-24
PCT/EP2021/085139 WO2022122993A1 (en) 2020-12-11 2021-12-10 Formulation for multi-purpose application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18167A true KR20230118167A (ko) 2023-08-10

Family

ID=790929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7023419A KR20230118167A (ko) 2020-12-11 2021-12-10 다목적 적용을 위한 제형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EP (1) EP4259200A1 (ko)
KR (1) KR20230118167A (ko)
WO (1) WO2022122993A1 (ko)

Family Cites Families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880078A (en) 1987-06-29 1989-11-14 Honda Giken Kogyo Kabushiki Kaisha Exhaust muffler
DE69232706T2 (de) 1991-05-01 2002-11-28 Jackson H M Found Military Med Verfahren zur behandlung infektiöser respiratorischer erkrankungen
US5934272A (en) 1993-01-29 1999-08-10 Aradigm Corporation Device and method of creating aerosolized mist of respiratory drug
US6019968A (en) 1995-04-14 2000-02-01 Inhale Therapeutic Systems, Inc. Dispersible antibody compositions and methods for their preparation and use
PT885002E (pt) 1996-03-04 2011-07-14 Massachusetts Inst Technology Materiais e métodos para aumento da internalização celular
US5874064A (en) 1996-05-24 1999-02-23 Massachusetts Institute Of Technology Aerodynamically light particles for pulmonary drug delivery
US5855913A (en) 1997-01-16 1999-01-05 Massachusetts Instite Of Technology Particles incorporating surfactants for pulmonary drug delivery
US5985309A (en) 1996-05-24 1999-11-16 Massachusetts Institute Of Technology Preparation of particles for inhalation
CA2277801C (en) 1997-01-16 2002-10-15 Massachusetts Institute Of Technology Preparation of particles for inhalation
JP2002518432A (ja) 1998-06-24 2002-06-25 アドバンスト インハレーション リサーチ,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吸入器から放出される大多孔性粒子
US20050142139A1 (en) * 2003-03-21 2005-06-30 Norbert Schulke CD4-IgG2 formulations
KR20090021298A (ko) * 2006-06-14 2009-03-02 임클론 시스템즈 인코포레이티드 항-egfr 항체의 동결건조 제제
CN101687038A (zh) * 2007-07-10 2010-03-31 霍夫曼-拉罗奇有限公司 新型制剂
BR112019014785A2 (pt) * 2017-01-19 2020-05-12 Bayer Pharma Aktiengesellschaft Nova formulação estável para anticorpos fxia
TW202034898A (zh) * 2018-07-05 2020-10-01 德商拜耳廠股份有限公司 抗-FXIa抗體之新穎穩定高濃度調配物
US20220233709A1 (en) * 2019-06-05 2022-07-28 Seagen Inc. Masked Antibody Formulations
CN110974958B (zh) * 2019-12-25 2020-08-21 北京东方百泰生物科技有限公司 一种抗pd-l1单克隆抗体的注射制剂
CN111635458A (zh) * 2020-03-20 2020-09-08 上海健信生物医药科技有限公司 靶向Sirpα的抗体或其抗原结合片段及其制备和应用
EP4157455A1 (en) * 2020-05-29 2023-04-05 Universität zu Köln Neutralizing antibodies against sars-related coronaviru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2122993A1 (en) 2022-06-16
EP4259200A1 (en) 2023-10-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283064B2 (ja) エアロゾルの調製のための方法及び組成物
Respaud et al. Development of a drug delivery system for efficient alveolar delivery of a neutralizing monoclonal antibody to treat pulmonary intoxication to ricin
KR20070014113A (ko) 저분자 덱스트란을 함유하는 분말 및 이의 제조방법
KR20070054590A (ko) 잔류 함수율이 낮고 저장 안정성이 뛰어난 분무-건조된무정형 분말
EP3125942B1 (en) Nebulization of immunoglobulin
US11365248B2 (en) Formulation of tocilizumab and method for treating COVID-19 by inhalation
KR20230118167A (ko) 다목적 적용을 위한 제형
CN116761626A (zh) 用于多目的应用的配制品
US20220275061A1 (en) Therapeutic protein formulations comprising antibodies and uses thereof
JP2023526536A (ja) 呼吸器免疫病態の吸入型il-1遮断治療
US20220135653A1 (en) Intranasal Antiviral Therapy for Mucosal Protection Against Virus Infections
US20220339099A1 (en) Compositions of interleukin-1 receptor antagonist
US20240025991A1 (en) Method for treating pneumonia, including covid-19 pneumonia, with an il6 antagonist
WO2023040999A1 (zh) 包含pd-l1抗原结合片段的组合物及其用途
WO2022005321A1 (en) Inhaled tocilizumab for treating interleukin-6 related respiratory diseases
WO2023230486A2 (en) Compositions and methods for inhalable therapeutics
Depla et al. NON-CLINICAL SAFETY ASSESSMENT OF ALX-0171, A NANOBODY® INTENDED FOR CLINICAL ADMINISTRATION VIA NEBULIS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