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18157A - Serving capsules for preparing beverages in a beverage preparation machine and methods for preparing serving capsules - Google Patents

Serving capsules for preparing beverages in a beverage preparation machine and methods for preparing serving capsules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18157A
KR20230118157A KR1020237023158A KR20237023158A KR20230118157A KR 20230118157 A KR20230118157 A KR 20230118157A KR 1020237023158 A KR1020237023158 A KR 1020237023158A KR 20237023158 A KR20237023158 A KR 20237023158A KR 20230118157 A KR20230118157 A KR 2023011815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psule
flange
sealing
serving
fasten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7023158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마르크 크뤼거
귄터 엠플
Original Assignee
지씨에스 게르만 캡슐 솔루션 게엠베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지씨에스 게르만 캡슐 솔루션 게엠베하 filed Critical 지씨에스 게르만 캡슐 솔루션 게엠베하
Publication of KR2023011815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18157A/en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5/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 B65D85/7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D85/804Disposable containers or packages with contents which are mixed, infused or dissolved in situ, i.e. without having been previously removed from the package
    • B65D85/8043Packages adapted to allow liquid to pass through the contents
    • B65D85/8064Sealing means for the interface with the processing machin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77/00Packages formed by enclosing articles or materials in preformed containers, e.g. boxes, cartons, sacks or bags
    • B65D77/10Container closures formed after filling
    • B65D77/20Container closures formed after filling by applying separate lids or covers, i.e. flexible membrane or foil-like covers
    • B65D77/2024Container closures formed after filling by applying separate lids or covers, i.e. flexible membrane or foil-like covers the cover being welded or adhered to the contain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5/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 B65D85/7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D85/804Disposable containers or packages with contents which are mixed, infused or dissolved in situ, i.e. without having been previously removed from the package
    • B65D85/8043Packages adapted to allow liquid to pass through the contents
    • B65D85/8061Filt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음료 제조 기계의 브루잉 챔버에서 음료를 제조하기 위한 1회 제공량 캡슐로서, 1회 제공량 캡슐은 음료 원료를 수용하기 위한 중공 공간을 갖는 베이스 요소, 및 중공 공간을 폐쇄하는 캡슐 커버를 갖고, 베이스 요소는 캡슐 하부, 주변 플랜지, 및 캡슐 하부와 주변 플랜지 사이에서 연장되는 캡슐 벽을 포함하고, 플랜지는, 플랜지와 일체형이고 캡슐 커버의 반대쪽을 향하는 밀봉 비드의 형태의 밀봉 요소를 갖고, 밀봉 비드는 내부 플랭크와 외부 플랭크를 포함하고, 플랜지는 캡슐 벽과 내부 플랭크 사이의 제1 플랜지 영역, 및 플랜지의 외부 자유 단부와 외부 플랭크 사이의 제2 플랜지 영역을 갖고, 캡슐 커버는 제1 주변 체결 면을 따라 제1 플랜지 영역에 체결되고, 제2 주변 체결 면을 따라 제2 플랜지 영역에 체결되는, 1회 제공량 캡슐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is a serving size capsule for preparing a beverage in a brewing chamber of a beverage preparation machine, wherein the serving size capsule has a base element having a hollow space for accommodating beverage ingredients, and a capsule cover closing the hollow space. , the base element comprises a capsule bottom, a peripheral flange, and a capsule wall extending between the capsule bottom and the peripheral flange, the flange having a sealing element in the form of a sealing bead integral with the flange and facing away from the capsule cover, sealing The bead includes an inner flank and an outer flank, the flange having a first flange area between the capsule wall and the inner flank, and a second flange area between the outer free end of the flange and the outer flank, the capsule cover having a first peripheral fastening. A serving size capsule fastened along a face to a first flanged area and coupled to a second flanged area along a second peripheral fastened surface.

Description

음료 제조 기계에서 음료를 제조하기 위한 1회 제공량 캡슐 및 1회 제공량 캡슐을 제조하는 방법Serving capsules for preparing beverages in a beverage preparation machine and method for preparing serving capsules

본 발명은 음료 제조 기계의 브루잉 챔버(brewing chamber)에서 음료를 제조하기 위한 1회 제공량 캡슐(single serve capsule)로서, 1회 제공량 캡슐은 음료 원료를 수용하기 위한 공동을 갖는 베이스 요소, 및 공동을 폐쇄하는 캡슐 뚜껑을 갖고, 베이스 요소는 캡슐 베이스, 둘러싸는 플랜지, 및 캡슐 베이스와 둘러싸는 플랜지 사이에서 연장되는 캡슐 벽을 포함하고, 플랜지는 캡슐 뚜껑의 반대쪽을 향하는 밀봉 크림프(sealing crimp)의 형태로 플랜지와 일체로 구성된 밀봉 요소를 갖고, 밀봉 크림프는 내부 숄더(shoulder)와 외부 숄더를 포함하고, 플랜지는 캡슐 벽과 내부 숄더 사이에 제1 플랜지 영역을 갖고, 플랜지의 외부 자유 단부와 외부 숄더 사이에 제2 플랜지 영역을 갖는, 1회 제공량 캡슐로부터 진행된다.The present invention is a single serve capsule for preparing a beverage in a brewing chamber of a beverage preparation machine, the single serve capsule comprising: a base element having a cavity for receiving a beverage ingredient; The base element includes a capsule base, a surrounding flange, and a capsule wall extending between the capsule base and the surrounding flange, the flange having a sealing crimp facing away from the capsule lid. A sealing element integrally formed with a flange in the form of a sealing crimp comprising an inner shoulder and an outer shoulder, the flange having a first flange area between the capsule wall and the inner shoulder, an outer free end of the flange and an outer shoulder. It comes from a serving size capsule, with a second flanged area between the shoulders.

이러한 1회 제공량 캡슐은 종래 기술에 알려져 있다. 예를 들어, 공보 WO 2016/186 488 A1은 일반 유형의 이러한 1회 제공량 캡슐을 개시한다. 이 1회 제공량 캡슐은 뜨거운 물 형태의 가압된 브루잉 액체를 공동으로 보내기 위해 캡슐 베이스가 천공되어 있는 브루잉 챔버에 삽입되도록 제공된다. 그 결과, 1회 제공량 캡슐 내의 압력이 증가된 결과 캡슐 뚜껑이 브루잉 챔버의 릴리프 또는 각뿔형 판으로 가압되고, 미리 결정된 압력에 도달할 때, 접촉점에서 천공되거나 파열되어 개방된다. 유입되는 물과 음료 원료, 특히 볶은 커피와 분쇄 커피 사이의 상호 작용에 의해 생성된 음료는 캡슐 뚜껑의 이러한 천공된 위치를 통해 1회 제공량 캡슐을 빠져나간다. 다시 말해, 이 1회 제공량 캡슐은 캡슐 베이스를 통해 캡슐 뚜껑 방향으로 흐르는 물 또는 음료의 흐름에 의해 통과된다. 따라서 일반 유형의 이 1회 제공량 캡슐은 흐름이 반대 방향으로 일어나는, 즉, 물이 캡슐 뚜껑을 통해 1회 제공량 캡슐에 포함되고 음료는 캡슐 베이스를 통해 1회 제공량 캡슐을 빠져나가는 임의의 다른 유형의 1회 제공량 캡슐과 근본적으로 구별되어야 한다. Such single serving capsules are known in the art. Publication WO 2016/186 488 A1, for example, discloses such a single serving capsule of the generic type. The serving size capsule is provided for insertion into a brewing chamber having a perforated capsule base to channel pressurized brewing liquid in the form of hot water into the cavity. As a result, as a result of the increased pressure within the serving capsule, the capsule lid is pressed into the relief or pyramidal plate of the brewing chamber and, when a predetermined pressure is reached, is pierced or burst open at the point of contact. The beverage produced by the interaction between the incoming water and the beverage ingredients, in particular roast and ground coffee, exits the serving size capsule through this perforated location in the capsule lid. In other words, the serving size capsule is passed by a stream of water or beverage flowing through the capsule base and towards the capsule lid. Thus, this single serving capsule of the general type is any other type where the flow is in the opposite direction, i.e. water enters the serving capsule through the capsule lid and beverage exits the serving capsule through the capsule base. It should be fundamentally distinguished from serving size capsules.

음료를 형성하기 위해 브루잉 챔버 내의 물이 음료 원료를 통해 흐르고 1회 제공량 캡슐 외측의 음료 원료를 우회하여 브루잉 챔버의 벽과 캡슐 벽의 외측 사이로 흐르지 않도록 하기 위해 브루잉 챔버와 플랜지 영역의 1회 제공량 캡슐 사이에 충분한 밀봉이 필요하다는 것은 모든 1회 제공량 캡슐에 공통적이다. 1 area of the brewing chamber and the flange to ensure that water in the brewing chamber flows through the beverage ingredients to form the beverage and bypasses the beverage ingredients outside the serving size capsule and does not flow between the walls of the brewing chamber and the outside of the capsule walls. The need for sufficient sealing between serving capsules is common to all single serving capsules.

이를 위해, 플랜지 영역에서 이러한 유형의 1회 제공량 캡슐은 브루잉 챔버에서 브루잉 챔버 요소에 대해 밀봉하는 밀봉 요소를 갖는다. 여기에서 밀봉 요소는 1회 제공량 캡슐의 생산 비용을 낮게 유지하고 이미 사용된 1회 제공량 캡슐의 폐기 또는 재활용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캡슐 몸체(베이스 요소라고도 함)와 동일한 재료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To this end, a serving capsule of this type in the flange area has a sealing element which seals against the brewing chamber element in the brewing chamber. The sealing element here preferably consists of the same material as the capsule body (also referred to as the base element) to keep the cost of producing the serving capsule low and to facilitate disposal or recycling of the used serving capsule.

이러한 유형의 밀봉 요소를 갖는 1회 제공량 캡슐은 예를 들어 공보 WO 2016/186 488 A1 및 WO 2016/041 596 A1에 개시되어 있다. 여기에 개시된 1회 제공량 캡슐은 플랜지에 엠보싱된 밀봉 크림프를 갖는다. 밀봉 크림프와 브루잉 챔버 요소 사이의 밀봉 효과는 밀봉 크림프의 단순한 변형에 의해 달성된다. 둘러싸는 밀봉 요소를 갖는 다른 1회 제공량 캡슐은 공보 EP 2 872 421 A1로부터 당업자에게 알려져 있다. Serving capsules with sealing elements of this type are disclosed, for example, in publications WO 2016/186 488 A1 and WO 2016/041 596 A1. The serving size capsules disclosed herein have a sealing crimp embossed in the flange. The sealing effect between the sealing crimp and the brewing chamber element is achieved by simple modification of the sealing crimp. Other serving size capsules with a surrounding sealing element are known to the person skilled in the art from publication EP 2 872 421 A1.

밀봉 요소의 밀봉 효과가 각 경우에 이 밀봉 요소 자체의 심한 변형에 기초한다는 것은 전술한 모든 1회 제공량 캡슐에 공통적이다. 이를 위해 이상적으로는 편평한 각도를 갖는 내부 숄더가 사용되고, 이에 브루잉 챔버가 폐쇄될 때 브루잉 챔버 요소가 숄더에 작용할 수 있고, 이에 따라 이는 밀봉 요소에 약간의 변형을 초래할 수 있다. It is common to all the aforementioned serving size capsules that the sealing effect of the sealing element is in each case based on a severe deformation of this sealing element itself. For this purpose, ideally an inner shoulder with a flat angle is used, whereby the brewing chamber element can act on the shoulder when the brewing chamber is closed, which can thus lead to slight deformation of the sealing element.

밀봉 요소의 변형에 기초한 밀봉 솔루션에서는 결과로서 브루잉 챔버를 폐쇄하는 데 상당히 높은 힘이 요구된다는 단점이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음료 제조 기계의 동작 용이성과 내구성이 크게 향상된다. 더욱이, 종래 기술에 알려진 밀봉 요소는 비대칭 설계이다. 따라서, 이러한 밀봉 요소는 변형 동안 측방으로 기울어진다. 그 결과, 밀봉 효과가 실제로 증가하지만 밀봉 요소가 측방으로 기울어지는 것으로 인해 일반적으로 브루잉 절차 후에 힘을 증가시키지 않고는 더 이상 브루잉 챔버 요소로부터 1회 제공량 캡슐이 분리될 수 없는 방식으로 브루잉 챔버 요소가 밀봉 요소에 의해 막히는(jammed) 문제가 제기된다. 따라서 브루잉 챔버로부터 사용된 1회 제공량 캡슐을 배출하는 것이 상당히 지연되어 동작 용이성이 심각하게 손상된다. Sealing solutions based on deformation of the sealing element have the disadvantage that as a result a fairly high force is required to close the brewing chamber. In this way, the ease of operation and durability of the beverage preparation machine are greatly improved. Furthermore, sealing elements known in the prior art are of asymmetrical design. Thus, these sealing elements are inclined laterally during deformation. As a result, the sealing effect is actually increased, but brewing in such a way that the serving capsule can no longer be separated from the brewing chamber element without increasing force, usually after the brewing procedure, due to the sideways tilt of the sealing element. The problem arises that the chamber element is jammed by the sealing element. Thus, the ejection of used serving capsules from the brewing chamber is significantly delayed, severely compromising ease of operation.

대안은 공보 EP 1 654 966 A1 및 EP 1 839 543 A1에 알려진 밀봉 재료로 제조된 별도의 밀봉 요소일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밀봉 요소에는 한편으로는 별도의 재료를 사용하는 것으로 인해 1회 제공량 캡슐의 생산 비용이 상당히 높고, 다른 한편으로는 다른 재료를 서로 분리하여야 하기 때문에 이미 사용한 1회 제공량 캡슐을 폐기하거나 재활용하는 것이 더 어려워진다는 위에서 이미 언급한 단점이 있다. An alternative may be a separate sealing element made of a sealing material known from publications EP 1 654 966 A1 and EP 1 839 543 A1. However, the production cost of the serving capsules is quite high due to the use of separate materials for these sealing elements on the one hand and, on the other hand, the need to separate the different materials from each other, resulting in the disposal or recycling of already used serving capsules. It has the disadvantage already mentioned above that it makes it more difficult to do.

알려진 1회 제공량 캡슐의 또 다른 문제는 캡슐 뚜껑을 플랜지에 체결하는 데 있다. 이러한 유형의 캡슐 뚜껑은 일반적으로 적어도 부분적으로 알루미늄으로 구성되며, 일반적으로 둘러싸는 밀봉 면을 따라 플랜지에 밀봉된다. 이것은 특히 캡슐 뚜껑이 전체 영역에 걸쳐 체결되거나 또는 적어도 충분히 큰 밀봉 면을 통해 문제 없이 체결될 수 있는 연속 플랜지가 있는 1회 제공량 캡슐에서는 문제가 되지 않는다. Another problem with known single serving capsules is the fastening of the capsule lid to the flange. Capsule lids of this type are generally composed at least partially of aluminum and are generally sealed to a flange along an enclosing sealing surface. This is not a problem, especially for serving size capsules with continuous flanges in which the capsule lid can be fastened over the entire area or at least without problems via a sufficiently large sealing surface.

이것은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플랜지와 일체로 구성된 밀봉 크림프가 있는 1회 제공량 캡슐에서는 다른 문제이다. 이 경우에, 밀봉에 이용 가능한 플랜지의 편평한 면이 제한되어 신뢰성 있는 밀봉을 달성하는 것이 어렵다. 캡슐 뚜껑의 밀봉 부분에 결함이 몇 개만 있어도 액체가 캡슐 뚜껑을 통해 빠져나갈 수 있다. This is a different issue for serving size capsules which have sealing crimps integrally with the flanges as described above. In this case, it is difficult to achieve a reliable seal because the flat surface of the flange available for sealing is limited. Even a few imperfections in the seal of the capsule lid can allow liquid to escape through the capsule lid.

더욱이, 예를 들어, 이전에 언급된 WO 2016/041 596 A1의 경우와 같이 밀봉 크림프의 반경 방향 외측에 있는 플랜지 영역에 뚜껑을 밀봉할 때, 액체는 밀봉 크림프의 공동으로 흐르고 공동 내에 데드 볼륨으로 남아 있을 수 있다. 이러한 양의 액체는 한편으로는 음료의 원하는 전체 양에는 포함되지 않고, 다른 한편으로는 브루잉 절차 후에 밀봉 크림프로부터 액체가 또한 누출되어 1회 제공량 캡슐로부터 원치 않게 물방울이 떨어질 수 있다. Furthermore, when sealing the lid to the flange area radially outside the sealing crimp, as is the case for example in the previously mentioned WO 2016/041 596 A1, the liquid flows into the cavity of the sealing crimp and into the dead volume within the cavity. may remain This amount of liquid, on the one hand, is not included in the desired total amount of the beverage, and on the other hand, liquid may also leak from the sealing crimp after the brewing procedure and drip undesirably from the serving capsule.

본 발명의 목적은 선행 기술의 맥락에서 약술된 문제를 갖지 않는 서두에 언급된 유형의 1회 제공량 캡슐을 제공하는 것이다. 특히 1회 제공량 캡슐에 밀봉 크림프가 있는 경우에도 캡슐 뚜껑의 신뢰성 있는 체결을 보장하는 1회 제공량 캡슐을 제공하는 것이다. 나아가, 이러한 1회 제공량 캡슐을 제조하는 방법 및 이러한 1회 제공량 캡슐을 제조하기 위한 설비를 제공하는 것이다.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serving capsule of the type mentioned at the outset which does not have the problems outlined in the context of the prior art. In particular, it is to provide a single serving capsule that ensures a reliable fastening of the capsule lid even when the serving capsule has a sealing crimp. A further object is to provide methods for making such single serving capsules and equipment for making such single serving capsules.

본 발명의 목적은 음료 제조 기계의 브루잉 챔버에서 음료를 제조하기 위한 1회 제공량 캡슐로서, 1회 제공량 캡슐은 음료 원료를 수용하기 위한 공동을 갖는 베이스 요소, 및 공동을 폐쇄하는 캡슐 뚜껑을 갖고, 베이스 요소는 캡슐 베이스, 둘러싸는 플랜지, 및 캡슐 베이스와 둘러싸는 플랜지 사이에서 연장되는 캡슐 벽을 포함하고, 플랜지는 캡슐 뚜껑의 반대쪽을 향하는 밀봉 크림프의 형태로 플랜지와 일체로 구성되는 밀봉 요소를 갖고, 밀봉 크림프는 내부 숄더와 외부 숄더를 포함하고, 플랜지는 캡슐 벽과 내부 숄더 사이에 제1 플랜지 영역을 갖고, 플랜지의 외부 자유 단부와 외부 숄더 사이에 제2 플랜지 영역을 갖고, 캡슐 뚜껑은 제1 둘러싸는 체결 면을 따라 제1 플랜지 영역에 체결되고, 제2 둘러싸는 체결 면을 따라 제2 플랜지 영역에 체결되는, 1회 제공량 캡슐에 의해 달성된다. 제1 및/또는 제2 체결 면은 바람직하게는 편평한 평면이다. 제1 및/또는 제2 체결 면은 특히 바람직하게는 환형으로 구성되며, 제1 체결 면과 제2 체결 면은 특히 실질적으로 동일한 반경 방향 범위를 갖는다.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serving size capsule for preparing a beverage in a brewing chamber of a beverage preparation machine, the serving size capsule having a base element having a cavity for receiving a beverage ingredient, and a capsule lid closing the cavity. , the base element comprises a capsule base, an enclosing flange, and a capsule wall extending between the capsule base and the enclosing flange, the flange comprising a sealing element integral with the flange in the form of a sealing crimp facing away from the capsule lid. wherein the sealing crimp comprises an inner shoulder and an outer shoulder, the flange having a first flange area between the capsule wall and the inner shoulder, and a second flange area between the outer free end of the flange and the outer shoulder, and the capsule lid comprising: This is achieved by a serving size capsule fastened to a first flange area along a first surrounding fastening surface and to a second flange area along a second surrounding fastening surface. The first and/or second fastening face is preferably a flat plane. The first and/or second engagement face is particularly preferably configured annularly, the first engagement face and the second engagement face in particular having substantially the same radial extent.

본 발명에 따른 1회 제공량 캡슐은 종래 기술에 비해 적어도 2개의 상호 이질적인 영역에 캡슐 뚜껑을 체결함으로써 캡슐 뚜껑의 내압성 및 신뢰성 있는 체결이 이루어진다는 이점을 갖는다. 특히 유리하게는 밀봉 크림프에 의해 형성된 공동으로 액체가 들어갈 수 없다. 개별적으로 볼 때 각 경우 작은 면인 두 개의 다른 면에 신뢰성 있는 체결이 또한 가능하다는 것은 당업자에게는 놀랍고 예상치 못한 일이었다. Compared to the prior art, the serving size capsu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advantage of pressure resistance and reliable fastening of the capsule lid by fastening the capsule lid to at least two mutually disparate areas. Particularly advantageously, no liquid can enter the cavity formed by the sealing crimp. It was surprising and unexpected to the person skilled in the art that a reliable fastening to two different faces, individually viewed in each case small faces, is also possible.

본 발명의 유리한 설계 실시예 및 개선예는 종속 청구항 및 도면을 참조하는 이후의 설명으로부터 도출될 수 있다. 이러한 유리한 설계 실시예 및 개선예는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추가 주제에 관한 것이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 Advantageous design embodiments and improve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derived from the dependent claims and the following description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These advantageous design embodiments and refinements also relate to a further subject matter according to the invention and vice versa.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베이스 요소는 일체형으로 알루미늄으로 제조되는 것이 제공된다. 당업자라면 본 발명에 따라 플랜지와 일체형이도록 제공되는 밀봉 요소는 이 경우 마찬가지로 알루미늄으로 제조된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맥락에서, 알루미늄은 또한 알루미늄 라미네이트 및 적어도 알루미늄을 함유하는 다른 재료를 포함한다. 추가로 또한 바니시 및/또는 코팅을 갖는 재료도 특히 포함되어야 하며, 여기서 이 재료는 또한 예를 들어 플라스틱 재료를 포함할 수 있다. 알루미늄은 본 발명에 따른 1회 제공량 캡슐에 바람직한 재료이지만, 베이스 요소는 대안적으로 플라스틱 재료 및/또는 생분해성 재료로 제조될 수도 있다. 밀봉 크림프로서의 밀봉 요소는 플랜지와 일체로 구성되고, 캡슐 뚜껑을 제1 플랜지 영역과 제2 플랜지 영역에 신뢰성 있게 체결하는 것이 가능한 것이 중요하다. 베이스 요소는 바람직하게는 밀봉 크림프를 플랜지에 일체형으로 엠보싱하는 냉간 성형 또는 열간 성형, 특히 딥 드로잉에 의해 제조된다. 1회 제공량 캡슐은 바람직하게는 절두원추형 또는 원통형으로 구현된다.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invention it is provided that the base element is integrally made of aluminum. A person skilled in the art will understand that the sealing element provided according to the invention to be integral with the flange is in this case likewise made of aluminum. In the context of the present invention, aluminum also includes aluminum laminates and other materials containing at least aluminum. In addition also materials with varnishes and/or coatings should in particular be included, which materials may also comprise plastics materials, for example. Aluminum is a preferred material for serving capsule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but the base element may alternatively be made of a plastic material and/or a biodegradable material. It is important that the sealing element as sealing crimp is constructed integrally with the flange, and that it is possible to reliably fasten the capsule lid to the first flange area and the second flange area. The base element is preferably produced by cold forming or hot forming, in particular by deep drawing, by integrally embossing a sealing crimp onto the flange. Serving capsules are preferably embodied in frustoconical or cylindrical shapes.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캡슐 뚜껑은 알루미늄 포일을 갖는 것이 제공된다. 여기서도 알루미늄 포일은 또한 일측 또는 양측에 코팅 및/또는 바니시를 갖는 알루미늄 포일 및/또는 알루미늄 라미네이트의 포일인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캡슐 뚜껑은 1단 또는 2단으로 제공될 수 있고, 특히 또한 층 구조를 포함할 수 있다.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apsule lid is provided with an aluminum foil. Here again aluminum foil is also to be understood as an aluminum foil and/or a foil of an aluminum laminate having a coating and/or varnish on one or both sides. The capsule lid may be provided with one or two tiers, and in particular may also include a layered structure.

베이스 요소에 의해 형성되고 특히 기밀식으로 캡슐 뚜껑에 의해 폐쇄되는 공동에 제공되는 음료 원료는, 바람직하게는 볶은 커피 과립, 인스턴트 커피, 초콜릿 분말, 혼합 차, 분유 및/또는 등을 포함한다. The beverage ingredient provided to the cavity formed by the base element and closed in particular by the capsule lid in an airtight manner preferably includes roasted coffee granules, instant coffee, chocolate powder, blended tea, powdered milk and/or the like.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플랜지의 외부 자유 단부는 이 외부 자유 단부가 둘러싸는 비드(bead)를 형성하는 방식으로 감기고, 특히 펼쳐지고(flared), 플랜지에 대해 비드는, 특히 바람직하게는 플랜지의 양쪽에서 바람직하게는 0보다 큰 수직 범위를 갖고, 캡슐 뚜껑의 반대쪽을 향하는 플랜지 측에 있는 비드의 수직 범위는 매우 특히 바람직하게는 밀봉 크림프의 수직 범위보다 작고/작거나, 캡슐 뚜껑을 향하는 플랜지 측에 있는 비드의 수직 범위는 캡슐 뚜껑의 반대쪽을 향하는 플랜지 측에서보다 작은 것이 제공된다. 다시 말해, 바람직하게는 비드는 특히 바람직하게는 플랜지의 양쪽에서 밀봉 크림프보다 작은 것이 제공된다. 가장 특히 바람직하게는 비드는 실질적으로 그리고 특히 그 수직 범위 면에서 플랜지에 대해 대칭이 되도록 구성된다. 대안적으로 또한 캡슐 뚜껑의 반대쪽을 향하는 플랜지 측에 있는 비드의 수직 범위는 밀봉 크림프의 수직 범위보다 크고/크거나, 캡슐 뚜껑을 향하는 플랜지 측에 있는 비드의 수직 범위는 캡슐 뚜껑의 반대쪽을 향하는 플랜지 측에 있는 것보다 클 수 있다. 비드는 가장 특히 바람직하게는 음료를 제조하는 동안 밀봉 효과가 생성되지 않는 방식으로 제공된다. 이러한 유형의 비드는 특히 베이스 요소가 알루미늄으로 제조된 경우 의도치 않은 부상으로부터 사용자를 유리하게 보호한다. 그러나, 플랜지의 외부 자유 단부는 또한 플라스틱 재료로 제조된 1회 제공량 캡슐에서 사용자에게 부상을 입힐 위험을 초래하는 날카로운 구성이고/이거나 생산 관련 결함 지점을 가질 수 있다. 이것은 플랜지의 외부 자유 단부가 유효 반경을 갖는 비드를 제공함으로써 특히 유리하게 방지된다. 비드는 특히 플랜지 주변을 감음으로써 형성되며, 여기서 플랜지 주변은 바람직하게는 캡슐 베이스 방향으로 안쪽으로 감긴다.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invention, the outer free end of the flange is wound, in particular flared, in such a way that this outer free end forms a surrounding bead, the bead relative to the flange, particularly preferably the flange. has a vertical extent preferably greater than zero on both sides of the capsule lid, and the vertical extent of the bead on the side of the flange facing away from the capsule lid is very particularly preferably smaller than the vertical extent of the sealing crimp and/or the flange facing the capsule lid. It is provided that the vertical extent of the bead on the side is smaller than on the side of the flange facing away from the capsule lid. In other words, preferably the beads are particularly preferably provided with smaller sealing crimps on both sides of the flange. Most particularly preferably the bead is configured to be substantially symmetrical with respect to the flange, and in particular in terms of its vertical extent. Alternatively also, the vertical extent of the bead on the side of the flange facing away from the capsule lid is greater than the vertical extent of the sealing crimp, and/or the vertical extent of the bead on the side of the flange facing the capsule lid is the vertical extent of the flange facing away from the capsule lid. It may be larger than the one on the side. The beads are most particularly preferably provided in such a way that no sealing effect is created during preparation of the beverage. A bead of this type advantageously protects the user against unintentional injury, especially if the base element is made of aluminum. However, the outer free end of the flange may also have a sharp configuration and/or production-related defect points resulting in a risk of injury to the user in serving capsules made of plastic materials. This is particularly advantageously avoided by providing the outer free end of the flange with a bead having an effective radius. The bead is formed in particular by winding around a flange, wherein the flange periphery is preferably wound inward towards the capsule base.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내부 숄더와 외부 숄더는 상호 대칭이 되도록 구성되는 것이 제공된다. 특히, 이 숄더는 동일한 각도 및/또는 동일한 재료 두께를 갖는다. 그 결과, 안정적이고 신뢰성 있는 밀봉을 갖는 본 발명에 따른 효과가 유리하게 보강된다.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rovided that the inner shoulder and the outer shoulder are configured to be mutually symmetrical. In particular, these shoulders have the same angle and/or the same material thickness. As a result, the effect according to the invention of having a stable and reliable seal is advantageously reinforced.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제1 플랜지 영역과 제2 플랜지 영역을 통해 이어지는 수평면에 대해 외부 숄더와 내부 숄더는 80도 초과 내지 90도 미만, 바람직하게는 81도 내지 89도, 특히 바람직하게는 83도 내지 87도, 가장 특히 바람직하게는 84도 내지 86도, 특히 실질적으로 85도의 각도로 정렬되는 것이 제공된다.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맥락에서 수평이란 특히 바람직하게는 회전 대칭 구성인 캡슐의 중심 길이 방향 축이 수직으로 배치되고 제1 및/또는 제2 플랜지 영역이 이 캡슐 축에 수직으로 배치되는 캡슐의 통상적인 배열과 관련된 것으로 이해되어야 함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제1 및/또는 제2 플랜지 영역의 수평 범위는 특히 바람직하게는 제1 및/또는 제2 체결 면의 수평 범위와 일치한다. 이 각도 범위에서는 밀봉 크림프의 변형이 먼저 감소될 수 있고, 이 각도가 이상적으로 가파르기 때문에 밀봉 크림프의 강성이 증가하고, 이러한 방식으로 밀봉 크림프가 제1 및/또는 제2 체결 면에 수직으로 (수직 방향이라고도 하며 따라서 특히 1회 제공량 캡슐의 중심 길이 방향 축에 평행하게) 밀봉 크림프에 작용하는 힘과 관련하여 높은 수준의 안정성을 보장하고, 다른 한편으로는 이 각도가 직각보다 항상 더 예각이기 때문에 1회 제공량 캡슐의 간단하고 비용 효율적인 생산이 가능하다는 것이 입증되었다. 밀봉 크림프의 양쪽 숄더, 즉 내부 숄더와 외부 숄더에서 직각인 경우, 1회 제공량 캡슐을 생산하는 동안 몰드 또는 엠보싱 도구로부터 1회 제공량 캡슐을 각각 탈형하는 것이 훨씬 더 어려울 것이다.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outer shoulder and the inner shoulder are greater than 80 degrees and less than 90 degrees, preferably 81 degrees to 89 degrees, particularly preferably 81 degrees to 89 degrees, with respect to the horizontal plane extending through the first flange region and the second flange region. is provided to be aligned at an angle between 83 degrees and 87 degrees, most particularly preferably between 84 degrees and 86 degrees, in particular substantially 85 degrees. A person skilled in the art will understand that horizontal in the contex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he conventional meaning of a capsule in which the central longitudinal axis of the capsule, which is preferably of a rotationally symmetrical configuration, is arranged perpendicularly and the first and/or second flange regions are arranged perpendicular to this capsule axis. It will be appreciated that it should be understood as related to an arrangement. The horizontal extent of the first and/or second flange area particularly preferably coincides with the horizontal extent of the first and/or second fastening surface. In this angular range, the deformation of the sealing crimp can firstly be reduced, and since this angle is ideally steep, the stiffness of the sealing crimp increases, and in this way the sealing crimp is perpendicular to the first and/or second fastening face ( Also known as the vertical direction, thus ensuring a high degree of stability in relation to the forces acting on the sealing crimp (especially parallel to the central longitudinal axis of the serving size capsule) and, on the other hand, because this angle is always more acute than right angle. It has been demonstrated that simple and cost effective production of serving size capsules is possible. If both shoulders of the sealing crimp are perpendicular, i.e. the inner shoulder and the outer shoulder, it will be much more difficult to individually demold the serving capsules from the mold or embossing tool during the production of the serving capsules.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브루잉 챔버를 폐쇄할 때 이 밀봉 크림프가 제1 및/또는 제2 플랜지 영역 또는 제1 및/또는 제2 체결 면에 각각 수직으로 전체 높이의 최대 30%, 바람직하게는 최대 20%, 특히 바람직하게는 최대 10%, 가장 특히 바람직하게는 최대 5%만큼만 변형되는 방식으로 밀봉 크림프가 구성되는 것이 제공된다. 특히 이 밀봉 크림프가 제1 및/또는 제2 체결 면에 수직으로 밀봉 크림프에 작용하는 최대 100 N의 힘을 받을 때 제1 및/또는 제2 체결 면에 수직인 높이의 최대 30%, 바람직하게는 최대 20%, 특히 바람직하게는 최대 10%, 가장 특히 바람직하게는 최대 5%만큼만 변형되는 방식으로 밀봉 크림프가 구성된다.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invention, when closing the brewing chamber, this sealing crimp extends vertically to the first and/or second flange area or to the first and/or second fastening surface, respectively, at most 30% of the total height; It is provided that the sealing crimp is configured in such a way that it deforms preferably only by at most 20%, particularly preferably by at most 10% and most particularly preferably by at most 5%. at most 30% of the height perpendicular to the first and/or second fastening face, in particular when this sealing crimp is subjected to a force of up to 100 N acting on the sealing crimp perpendicular to the first and/or second fastening face, preferably The sealing crimp is configured in such a way that is only deformed by at most 20%, particularly preferably by at most 10% and most particularly preferably by at most 5%.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브루잉 챔버를 폐쇄할 때 1회 제공량 캡슐의 중심 길이 방향 축(플랜지가 회전 대칭이 되도록 배치되는 축)에 대해 이 밀봉 크림프의 반경이 제1 및/또는 제2 체결 면에 평행하게 최대 10%, 바람직하게는 최대 8%, 특히 바람직하게는 최대 5%, 가장 특히 바람직하게는 최대 4%만큼만 변위되는 정도로만 이 밀봉 크림프가 제1 및/또는 제2 체결 면에 평행하게 변형되는 방식으로 밀봉 크림프가 구성되는 것이 제공된다. 그 결과, 측방향으로 기울어진 밀봉 크림프에 의한 브루잉 챔버 요소의 막힘이 유리하게 방지되어 브루잉된 1회 제공량 캡슐이 간단한 방식으로 힘의 측면에서 증가된 노력 없이 브루잉 챔버로부터 항상 다시 제거될 수 있다.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invention, when closing the brewing chamber, the radius of this sealing crimp with respect to the central longitudinal axis of the serving capsule (the axis on which the flange is arranged to be rotationally symmetrical) is first and/or second. 2 This sealing crimp is only displaced parallel to the fastening surface by at most 10%, preferably at most 8%, particularly preferably at most 5% and most particularly preferably at most 4%. It is provided that the sealing crimp is constructed in such a way that it deforms parallel to As a result, clogging of the brewing chamber elements by the laterally inclined sealing crimps is advantageously prevented so that the brewed serving capsules are always removed from the brewing chamber again in a simple manner and without increased effort in terms of force. can

따라서 밀봉 크림프는 특히 1회 제공량 캡슐의 중심 길이 방향 축에 평행하게 수직 방향을 따라 제1 및/또는 제2 체결 면에 수직으로 밀봉 크림프의 중심에 작용하는 특히 최대 100N의 힘을 받는 경우에 밀봉 크림프의 변형이 감소되는 방식으로 강성이고 안정화되도록 구성되고, 이 힘은 특히 밀봉 크림프의 팁 또는 밀봉 크림프의 내부 및/또는 외부 숄더, 또는 밀봉 크림프의 평면 전이 평면에 평면 방식으로 작용한다. 이 과정에서, 밀봉 크림프는 높이 면에서 특히 최대 30%, 바람직하게는 최대 20%, 특히 바람직하게는 최대 10%, 가장 특히 바람직하게는 최대 5%까지 가변적이어야 한다. 나아가 이에 따라 특히 동심원으로 구성된 1회 제공량 캡슐의 중심 길이 방향 축으로부터 반경 방향(R)으로 볼 때 제1 및/또는 제2 체결 면에 평행한 방향을 따라 감소한 측방향 변위 또는 변형만이 발생하는 것을 생각할 수 있다. 여기서도 밀봉 크림프의 팁, 이에 따라 밀봉 크림프의 전이 영역이 1회 제공량 캡슐의 중심 길이 방향 축으로부터 이 밀봉 크림프의 총 반경의 최대 10%, 바람직하게는 최대 8%, 특히 바람직하게는 최대 5%, 가장 특히 바람직하게는 최대 4% 변위 또는 변형되는 것이 제공된다. 밀봉 크림프의 중심으로부터 진행하는 반경은 예를 들어 여기서 전체 반경인 것으로 간주될 수 있다. The sealing crimp thus seals in particular when subjected to a force of up to 100 N acting on the center of the sealing crimp perpendicularly to the first and/or second fastening face along a vertical direction parallel to the central longitudinal axis of the serving size capsule. It is designed to be rigid and stable in such a way that deformation of the crimp is reduced, and this force acts in a planar manner, in particular on the tip of the sealing crimp or the inner and/or outer shoulder of the sealing crimp, or the planar transition plane of the sealing crimp. In this process, the sealing crimp should vary in height in particular by at most 30%, preferably by at most 20%, particularly preferably by at most 10% and most particularly by at most 5%. Furthermore, only reduced lateral displacements or deformations occur along the direction parallel to the first and/or second fastening surfaces when viewed in the radial direction R from the central longitudinal axis of the serving size capsule, in particular concentrically configured. can think of Here too the tip of the sealing crimp, and thus the transition area of the sealing crimp, is at most 10%, preferably at most 8%, particularly preferably at most 5% of the total radius of this sealing crimp from the central longitudinal axis of the serving size capsule, Most particularly preferably, displacements or strains of up to 4% are provided. The radius proceeding from the center of the sealing crimp can for example be considered here as the full radius.

바람직하게는 내부 숄더와 외부 숄더 사이의 각도는 바람직하게는 5도 내지 15도, 특히 바람직하게는 8도 내지 12도, 가장 특히 바람직하게는 실질적으로 10도인 것이 제공된다. It is preferably provided that the angle between the inner shoulder and the outer shoulder is preferably between 5 degrees and 15 degrees, particularly preferably between 8 degrees and 12 degrees, most particularly preferably substantially 10 degrees.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제1 체결 면과 제2 체결 면은 각각 실질적으로 수평 범위를 갖는 것이 제공된다. 제1 및/또는 제2 체결 면의 범위는 특히 바람직하게는 각각의 체결 면의 영역에서 제1 또는 제2 플랜지 영역의 범위와 각각 일치한다. 이것은 특히, 제1 체결 면이 캡슐 뚜껑을 향하는 플랜지 측에 있는 제1 플랜지 영역의 특히 수평인 표면 부분에 대응하고/하거나, 제2 체결 면이 캡슐 뚜껑을 향하는 플랜지 측에 있는 제2 플랜지 영역의 특히 수평인 표면 부분에 대응하는 것이 바람직함을 의미한다. 체결 면이 수평 범위인 결과, 편평한 소노트로드(sonotrode)에 의한 밀봉에 의한 종래의 체결이 특히 유리한 방식으로 가능해진다.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rovided that the first engaging surface and the second engaging surface each have a substantially horizontal extent. The extent of the first and/or second fastening face particularly preferably coincides with the extent of the first or second flange region, respectively, in the region of the respective fastening face. This corresponds in particular to a particularly horizontal surface portion of a first flange area on the flange side where the first fastening surface faces the capsule lid and/or of a second flange area on the flange side where the second fastening surface faces the capsule lid. In particular, it means that it is preferable to correspond to a horizontal surface part. As a result of the horizontal extent of the fastening face, a conventional fastening by means of sealing by means of a flat sonotrode is possible in a particularly advantageous manner.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베이스 요소는 바람직하게는 일정하지만, 적어도 0.05mm 내지 0.3mm, 바람직하게는 0.08mm 내지 1.8mm, 특히 바람직하게는 0.09mm 내지 1.5mm, 가장 특히 바람직하게는 실질적으로 0.11mm의 평균 재료 두께를 갖는 것이 제공된다. 베이스 요소는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밀봉 크림프, 캡슐 벽, 캡슐 베이스 및/또는 플랜지, 특히 제1 및/또는 제2 플랜지 영역의 영역에서 전술한 재료 두께를 갖는다.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invention the base element is preferably constant, but at least 0.05 mm to 0.3 mm, preferably 0.08 mm to 1.8 mm, particularly preferably 0.09 mm to 1.5 mm, most particularly preferably substantially. It is provided that it has an average material thickness of 0.11 mm. The base element preferably has the aforementioned material thickness at least in the region of the sealing crimp, capsule wall, capsule base and/or flange, in particular in the area of the first and/or second flange.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제1 체결 면과 제2 체결 면은 서로 수직으로 이격되어 있고, 제1 체결 면은 바람직하게는 제2 체결 면보다 캡슐 베이스로부터 더 작은 수직 간격을 갖는 것이 제공된다. 특히 바람직하게는, 이는 제1 및 제2 플랜지 영역에도 그에 따라 적용된다. 이러한 방식으로 플랜지가 높이가 다른 두 부분, 특히 수평 부분을 갖는 1회 제공량 캡슐이 제공된다. 이것은 제1 플랜지 영역과 제2 플랜지 영역 사이의 최소 오프셋이 제조 상의 이유로 종종 피할 수 없기 때문에 특히 유리하다. 중심 길이 방향 축에 대해 서로 다른 높이에 있는 2개의 영역에서도 캡슐 뚜껑의 신뢰성 있는 체결이 또한 가능하다는 것은 당업자에게 매우 놀랍고 예상치 못한 것이었다. 특히, 제1 플랜지 영역의 이용 가능한 제1 체결 면은 매우 미미하여 신뢰성 있는 체결을 기대하기 어려웠다. 대안적으로, 제1 플랜지 영역과 제2 플랜지 영역은 동일한 높이에 있다. 이는 제1 플랜지 영역과 제2 플랜지 영역이 수직 방향으로 서로에 대해 변형되거나 재배치된다는 점에서 브루잉 챔버를 폐쇄할 때 밀봉 크림프의 간접적 재배치 또는 변형이 발생하지 않는다는 이점을 갖는다. 대신에, 양쪽 플랜지 영역은 브루잉 챔버의 폐쇄 요소 상에 지지될 수 있고 따라서 밀봉 크림프의 임의의 현저한 변형을 피하기 위한 적절한 대항력을 형성할 수 있다.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invention, it is provided that the first fastening surface and the second fastening surface are vertically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the first fastening surface preferably having a smaller vertical distance from the capsule base than the second fastening surface. . Particularly preferably, this also applies accordingly to the first and second flange regions. In this way a serving capsule is provided in which the flange has two parts of different heights, in particular a horizontal part. This is particularly advantageous since a minimum offset between the first flange area and the second flange area is often unavoidable for manufacturing reasons. It was very surprising and unexpected to the person skilled in the art that a reliable fastening of the capsule lid is also possible in two zones at different heights relative to the central longitudinal axis. In particular, since the usable first fastening surface of the first flange area is very insignificant, it is difficult to expect reliable fastening. Alternatively, the first flange area and the second flange area are at the same height. This has the advantage that no indirect rearrangement or deformation of the sealing crimp occurs when closing the brewing chamber, in that the first flange region and the second flange region are deformed or rearranged relative to each other in the vertical direction. Instead, both flange areas can be supported on the closing element of the brewing chamber and thus form an adequate counterforce to avoid any significant deformation of the sealing crimp.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체결 면 및/또는 제1 및 제2 플랜지 영역 사이의 수직 간격은 제1 및/또는 제2 체결 면의 영역에서의 플랜지의 두께의 3배 미만이거나, 또는 제1 및/또는 제2 플랜지 영역은 각각 바람직하게는 0.035mm 미만, 특히 바람직하게는 0.030mm 미만, 특히 최대 0.025mm인 것이 제공된다. 수직 오프셋은 가장 특히 바람직하게는 재료 두께의 2배 미만이고, 훨씬 더 바람직하게는 하나의 재료 두께 미만이다. 재료 두께는 이 경우 특히 제1 및/또는 제2 플랜지 영역의 영역에서 베이스 요소의 재료 두께이고, 특히 전술한 영역의 범위까지 수직으로 측정된 두께이다. 그 결과 특히 제조 상의 이유로 플랜지 영역의 높이 면에서 특정 공차가 있고 그럼에도 불구하고 캡슐 뚜껑의 신뢰성 있고 기밀 체결이 보장되는 것이 유리한 방식으로 가능하게 된다.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invention the vertical distance between the fastening surface and/or the first and second flange areas is less than three times the thickness of the flange in the area of the first and/or second fastening surface, or and/or the second flange area is each preferably less than 0.035 mm, particularly preferably less than 0.030 mm and in particular at most 0.025 mm. The vertical offset is most particularly preferably less than twice the material thickness and even more preferably less than one material thickness. The material thickness is in this case the material thickness of the base element, in particular in the region of the first and/or the second flange region, in particular the thickness measured perpendicularly to the extent of the aforementioned region. As a result, it is possible in an advantageous way, in particular for manufacturing reasons, that there are certain tolerances in terms of the height of the flange area and that a reliable and airtight fastening of the capsule lid is nonetheless ensured.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제1 체결 면과 제2 체결 면은 1회 제공량 캡슐의 공동과, 캡슐 뚜껑과 밀봉 크림프 사이에 존재하는 공동 사이에 유체 연결이 없는 방식으로 제공되는 것이 제공된다. 이는 특히 제1 체결 면을 통해 제1 플랜지 영역에서 캡슐 뚜껑의 체결이 유체 기밀 방식으로 구성됨을 의미한다. 그 결과, 물-기밀성 및 공기-기밀성 1회 제공량 캡슐이 유리하게 제공된다.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rovided that the first fastening surface and the second fastening surface are provided in such a way that there is no fluid connection between the cavity of the serving size capsule and the cavity present between the capsule lid and the sealing crimp. This means that the fastening of the capsule lid in the first flange area, in particular via the first fastening surface, is configured in a fluid-tight manner. As a result, water-tight and air-tight serving capsules are advantageously provided.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전이 영역은 내부 숄더와 외부 숄더 사이에서 연장되고, 전이 영역은 바람직하게는 만곡되도록 구성되거나, 제1 플랜지 영역 및/또는 제2 플랜지 영역에 평행하게 연장되는 전이 평면을 갖는 것이 제공된다. 전이 평면은 특히 수평이 되도록 구성된다. 전이 영역의 만곡된 구성은 밀봉 크림프가 안정성을 얻어서 이러한 방식으로 변형을 훨씬 더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는 이점을 갖는다. 이와 달리, 전이 영역의 편평한 구성은 밀봉 크림프가 더 편평한 결과 브루잉 챔버를 폐쇄할 때 밀봉 크림프에 더 적은 힘이 가해지도록 브루잉 챔버의 수용부 요소의 밀봉 윤곽의 함몰부와 더 적은 정도로 맞물린다는 이점을 갖는다. 나아가, 편평한 밀봉 크림프의 경우 브루잉 챔버 부분이 막힐 위험이 적다.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invention, the transition region extends between the inner shoulder and the outer shoulder, the transition region preferably being configured to be curved, or extending parallel to the first flange region and/or the second flange region. It is provided that it has a flat surface. The transition plane is configured in particular to be horizontal. The curved configuration of the transition region has the advantage that the sealing crimp gains stability and in this way resists deformation even more effectively. In contrast, the flat configuration of the transition region means that the sealing crimp is flatter and consequently engages to a lesser degree with the depressions of the sealing contour of the receptacle element of the brewing chamber so that less force is applied to the sealing crimp when closing the brewing chamber. have an advantage Furthermore, in the case of a flat sealing crimp, there is less risk of clogging of parts of the brewing chamber.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전이 영역은 반경 방향으로 0.05mm 내지 0.20mm, 바람직하게는 0.07mm 내지 0.17mm, 특히 바람직하게는 0.10mm 내지 0.14mm, 특히 0.12mm의 범위인 것이 제공된다. 이는 특히 둘러싸는 밀봉 크림프의 반경 방향 단면에서 전이 영역이 0.05mm 내지 0.20mm, 바람직하게는 0.07mm 내지 0.17mm, 특히 바람직하게는 0.10mm 내지 0.14mm, 특히 0.12mm의 폭을 갖는 직선 연결 영역을 갖는다는 것을 의미한다.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rovided that the transition area in the radial direction ranges from 0.05 mm to 0.20 mm, preferably from 0.07 mm to 0.17 mm, particularly preferably from 0.10 mm to 0.14 mm and in particular from 0.12 mm. This is especially true for the transition area in the radial cross-section of the enclosing sealing crimp to have a straight connection area with a width of 0.05 mm to 0.20 mm, preferably 0.07 mm to 0.17 mm, particularly preferably 0.10 mm to 0.14 mm, in particular 0.12 mm. means to have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외부 숄더로부터 제2 플랜지 영역으로의 전이부 및/또는 내부 숄더로부터 제1 플랜지 영역으로의 전이부에서 1회 제공량 캡슐은 0.03mm 내지 0.20mm, 바람직하게는 0.06mm 내지 0.15mm 그리고 특히 바람직하게는 0.09mm 내지 0.13mm, 특히 0.11mm의 반경을 갖는 것이 제공된다. 밀봉 크림프의 전술한 바람직한 치수는 브루잉 챔버를 폐쇄하고/하거나 브루잉 챔버에서 캡슐을 브루잉하는 동안 밀봉 크림프의 변형이 일어나지 않도록 충분한 안정성을 갖는 밀봉 크림프를 초래한다.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erving size capsule at the transition from the outer shoulder to the second flange area and/or the transition from the inner shoulder to the first flange area is between 0.03 mm and 0.20 mm, preferably 0.06 mm. to 0.15 mm and particularly preferably 0.09 to 0.13 mm, in particular 0.11 mm. The aforementioned preferred dimensions of the sealing crimp result in a sealing crimp with sufficient stability so that deformation of the sealing crimp does not occur during closing of the brewing chamber and/or brewing of capsules in the brewing chamber.

둘러싸는 밀봉 크림프의 반경 방향 단면에서 내부 숄더뿐만 아니라 외부 숄더는 각각 바람직하게는 플랜지와 전이 영역 사이에서 연장되는 직선 접촉 영역을 갖는다. "반경 방향 단면에서"라는 어구는 둘러싸는 플랜지 윤곽의 원주 방향을 따른 단면도에서 플랜지 윤곽을 보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단면도의 평면은 도 3 내지 도 5에 예시된 바와 같이 수직 방향과 반경 방향으로 형성된다. In the radial cross-section of the enclosing sealing crimp, the outer shoulder as well as the inner shoulder preferably each have a straight contact area extending between the flange and the transition area. The phrase "in radial section" means viewing a flange contour in a cross section along the circumference of the enclosing flange contour. Accordingly, the plane of the sectional view is formed in the vertical direction and the radial direction as illustrated in FIGS. 3 to 5 .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직선 접촉 영역은 0.1mm 내지 1.5mm, 특히 0.3mm 내지 1.3mm, 특히 바람직하게는 0.5mm 내지 1.0mm, 가장 특히 바람직하게는 0.7mm 내지 0.9mm의 길이를 갖는 것이 제공된다. 언급된 길이의 직선 접촉 영역의 경우 브루잉 챔버 요소의 밀봉 윤곽과 플랜지 사이의 최적의 밀봉이 달성될 수 있음이 시뮬레이션 및 실험에서 입증되었다. 다시 말해, 내부 숄더는 필요한 밀봉 윤곽에 의한 밀봉 크림프의 심한 변형 없이 (내부 숄더 영역에서) 충분한 밀봉 효과를 달성하기 위해, 0.1mm 내지 1.5mm, 바람직하게는 0.3mm 내지 1.3mm, 특히 바람직하게는 0.5mm 내지 1.0mm, 가장 특히 바람직하게는 0.7mm 내지 0.9mm의 길이에 걸쳐 브루잉 챔버 요소의 밀봉 윤곽의 밀봉 돌출부 숄더 상에 형상 맞춤 및 강제 끼워맞춤으로 평면 방식으로 지지되는 것으로 충분하다.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traight contact area has a length of 0.1 mm to 1.5 mm, in particular 0.3 mm to 1.3 mm, particularly preferably 0.5 mm to 1.0 mm, most particularly preferably 0.7 mm to 0.9 mm. Provided. It has been demonstrated in simulations and experiments that an optimum seal between the flange and the sealing contour of the brewing chamber element can be achieved for a straight contact area of the stated length. In other words, the inner shoulder is between 0.1 mm and 1.5 mm, preferably between 0.3 mm and 1.3 mm, particularly preferably between 0.3 mm and 1.3 mm, in order to achieve a sufficient sealing effect (in the area of the inner shoulder) without significant deformation of the sealing crimp by the required sealing contour. It is sufficient that the brewing chamber element is supported in a planar manner with form-fitting and press-fitting on the sealing projection shoulder of the sealing contour over a length of 0.5 mm to 1.0 mm, most particularly preferably 0.7 mm to 0.9 mm.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직선 접촉 영역으로부터 캡슐 뚜껑을 향하는 측에 있는 전이 영역으로의 전이부에서 1회 제공량 캡슐은 0.05mm 내지 0.35mm, 바람직하게는 0.10mm 내지 0.30mm, 특히 바람직하게는 0.21mm의 반경을 갖는 것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외부 숄더로부터 캡슐 뚜껑을 향하는 측에 있는 전이 영역으로의 전이부에서 1회 제공량 캡슐은 0.05mm 내지 0.35mm, 바람직하게는 0.10mm 내지 0.30mm, 특히 바람직하게는 0.21mm의 반경을 갖는 것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밀봉 평면에 수직으로 밀봉 크림프의 높이는 0.6mm 내지 1.3mm, 바람직하게는 0.3mm 내지 0.6mm, 특히 바람직하게는 0.9mm 내지 1.0mm를 포함하는 것이 제공된다. 밀봉 크림프의 전술한 바람직한 치수는 브루잉 챔버를 폐쇄하고/하거나 브루잉 챔버에서 캡슐을 브루잉하는 동안 밀봉 크림프의 심한 변형이 일어나지 않도록 충분한 안정성을 갖는 밀봉 크림프를 초래한다.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t the transition from the straight contact area to the transition area on the side facing the capsule lid, the size of the serving size capsule is between 0.05 mm and 0.35 mm, preferably between 0.10 mm and 0.30 mm, particularly preferably between 0.10 mm and 0.30 mm. One with a radius of 0.21 mm is provided.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invention the serving size capsule at the transition from the outer shoulder to the transition area on the side facing the capsule lid is between 0.05 mm and 0.35 mm, preferably between 0.10 mm and 0.30 mm, particularly preferably between 0.21 mm and 0.21 mm. It is provided that it has a radius of mm.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rovided that the height of the sealing crimp perpendicular to the sealing plane comprises between 0.6 mm and 1.3 mm, preferably between 0.3 mm and 0.6 mm, particularly preferably between 0.9 mm and 1.0 mm. The aforementioned preferred dimensions of the sealing crimp result in a sealing crimp with sufficient stability to avoid significant deformation of the sealing crimp during closing of the brewing chamber and/or brewing of capsules in the brewing chamber.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캡슐 벽, 특히 캡슐 벽의 외측에 있는 1회 제공량 캡슐은 하나 또는 복수, 바람직하게는 2, 3, 4, 5, 6, 7 또는 8개의 동심으로 둘러싸는 홈을 갖는 것이 제공된다. 여기서 홈은 내측 또는 외측으로 향하는 함몰부 및/또는 융기부로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유형의 홈은 1회 제공량 캡슐이 음료를 제조하는 동안 발생하는 압력을 견디도록 캡슐 벽을 강화 및/또는 보강하는 데 유리하게 사용된다.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apsule wall, in particular the serving size capsule on the outside of the capsule wall, has one or a plurality of, preferably 2, 3, 4, 5, 6, 7 or 8 concentric surrounding grooves. What you have is provided. The groove here may consist of inwardly or outwardly directed depressions and/or elevations. Grooves of this type are advantageously used to strengthen and/or reinforce the capsule wall so that the serving size capsule can withstand the pressures encountered during beverage preparation.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1회 제공량 캡슐은 캡슐 베이스의 영역에 필터를 갖는 것이 제공된다. 필터는 특히 바람직하게는 부직포 재료 및/또는 펠트 재료를 포함한다. 필터는 매우 특히 바람직하게는 하나 또는 복수의 플라이(ply)로 구성된다. 필터는 바람직하게는 디스크형, 특히 원형이 되도록 구성된다. 대안적으로, 필터는 예를 들어 직사각형, 육각형, 팔각형 또는 십각형과 같이 각형이 되도록 구성된다. 바람직하게는 필터는 베이스의 영역에 배치되는 것이 제공된다. 가장 특히 바람직하게는, 캡슐 베이스의 영역에서 필터는 캡슐 베이스 및/또는 캡슐 벽 및/또는 캡슐 베이스와 캡슐 벽 사이의 전이 영역에 부분적으로 또는 둘러싸는 방식으로 체결되고 특히 밀봉된다.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serving capsule is provided having a filter in the region of the capsule base. The filter particularly preferably comprises a non-woven material and/or a felt material. The filter is very particularly preferably composed of one or a plurality of plies. The filter is preferably designed to be disc-shaped, in particular circular. Alternatively, the filter is configured to be angular, for example rectangular, hexagonal, octagonal or decagonal. It is preferably provided that the filter is arranged in the region of the base. Most particularly preferably, in the region of the capsule base, the filter is fastened, in particular sealed, in a partially or encircling manner to the capsule base and/or to the capsule wall and/or to the transition region between the capsule base and the capsule wall.

본 발명의 또 다른 주제는 음료 제조 기계 및 본 발명에 따른 1회 제공량 캡슐을 갖는 음료 제조 시스템으로서, 음료 제조 기계는 제1 브루잉 챔버 부분과 제2 브루잉 챔버 부분을 갖는 브루잉 유닛을 갖고, 제1 및/또는 제2 브루잉 챔버 부분은 제1 및 제2 브루잉 챔버 부분이 폐쇄된 브루잉 챔버를 형성하는 수렴 위치와, 제1 및 제2 브루잉 챔버 부분이 1회 제공량 캡슐을 삽입하거나 배출하기 위해 상호 이격되어 있는 개방 위치 사이에서 다른 브루잉 챔버 부분에 대해 이동 가능하고, 제1 브루잉 챔버 부분은 1회 제공량 캡슐을 적어도 부분적으로 수용하기 위한 수용부 요소를 포함하고, 제2 브루잉 챔버 부분은 수용부 요소를 위한 폐쇄 요소를 포함하고, 폐쇄 위치에서 1회 제공량 캡슐의 플랜지는 수용부 요소의 주변 영역과 폐쇄 요소 사이에 형상 맞춤 및 밀봉 방식으로 수용되는, 시스템이다. Another su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beverage preparation machine and a beverage preparation system having a serving size capsu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beverage preparation machine having a brewing unit having a first brewing chamber part and a second brewing chamber part , the first and/or second brewing chamber portions have a convergent position where the first and second brewing chamber portions form a closed brewing chamber, and wherein the first and second brewing chamber portions contain serving capsules. movable relative to another brewing chamber portion between mutually spaced open positions for insertion or ejection, the first brewing chamber portion comprising a receptacle element for at least partially receiving a serving capsule; 2 The brewing chamber part is a system comprising a closing element for the receptacle element, wherein in the closed position the flange of the serving capsule is received in a form-fitting and sealing manner between the closing element and the surrounding area of the receptacle element.

본 발명에 따른 1회 제공량 캡슐은 본 발명에 따른 시스템의 일부이며, 이것이 바로 1회 제공량 캡슐과 관련하여 논의된 모든 이점 및 개선 사항이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시스템 및 본 발명의 추가 주제에 유사한 방식으로 적용되는 이유이며 그 반대도 마찬가지이다. The serving capsu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part of the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ich is why all the advantages and improvements discussed in relation to the serving capsule are also analogous to the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further subject matter of the present invention. , and vice versa.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밀봉 크림프와 밀봉 방식으로 맞물리기 위한 밀봉 윤곽이 수용부 요소의 주변 영역에 구성되고, 밀봉 윤곽은 둘러싸는 함몰부, 및 이 함몰부에 인접하여 구성된 둘러싸는 밀봉 돌출부를 포함하고, 함몰부는 반경 방향으로 바람직하게는 밀봉 돌출부의 외측에 배치되고, 외부 밀봉 돌출부 숄더는 함몰부의 내벽을 형성하고/하거나, 폐쇄 위치에서 밀봉 돌출부는 제1 플랜지 영역과 맞물리고, 밀봉 크림프는 반경 방향 단면에서 내부 숄더와 함께 밀봉 돌출부 숄더가 선형 접촉 영역을 구성하는 방식으로 함몰부와 맞물리는 것이 제공된다. 이러한 유형의 브루잉 챔버 부분의 구성은 이러한 방식으로 시스템의 기밀성 면에서 개선이 달성되기 때문에 특히 유리하다. 특히, 침투할 수 있는 물의 경로가 길어지는 것을 달성했다.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invention, a sealing contour for engagement in a sealing manner with the sealing crimp is constructed in the peripheral region of the receptacle element, the sealing contour comprising a surrounding depression and a surrounding sealing protrusion constructed adjacent to the depression. wherein the depression is arranged radially, preferably outside the sealing projection, the outer sealing projection shoulder forms an inner wall of the depression, and/or the sealing projection engages the first flange region in the closed position, and the sealing crimp It is provided that the sealing protrusion shoulder together with the inner shoulder in the radial cross-section engages the depression in such a way that it constitutes a linear contact area. This type of construction of the brewing chamber part is particularly advantageous since in this way an improvement in terms of the tightness of the system is achieved. In particular, it has been achieved that the path of permeable water is lengthened.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폐쇄 위치에서, 밀봉 크림프는 밀봉 윤곽에 의해 제1 및/또는 제2 체결 면에 수직으로 밀봉 크림프의 높이의 최대 30%, 바람직하게는 최대 20%, 특히 바람직하게는 최대 10%, 가장 특히 바람직하게는 최대 5%만큼만 변형되는 것이 제공된다. 그 결과 작용하는 힘은 유리하게 제한되고, 이러한 방식으로 음료 제조 기계 및/또는 1회 제공량 캡슐의 손상 위험이 최소화된다.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invention, in the closed position, the sealing crimp is at most 30%, preferably at most 20%, particularly preferably at most 20% of the height of the sealing crimp perpendicular to the first and/or second fastening face by means of the sealing contour. Preferably it is provided that it only deforms by at most 10%, most particularly preferably by at most 5%. The forces acting as a result are advantageously limited, and in this way the risk of damage to the beverage preparation machine and/or the serving capsule is minimized.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밀봉 윤곽은 추가로 둘러싸는 밀봉 돌출부를 갖고, 여기서 함몰부는 반경 방향으로 밀봉 돌출부와 추가 밀봉 돌출부 사이에 배치되고, 여기서 밀봉 돌출부는 추가 밀봉 돌출부보다 더 길도록 구성되고, 여기서 폐쇄 위치에서, 반경 방향 단면에서 외부 숄더와 함께 추가 밀봉 돌출부는 점형 접촉을 구성하는 것이 제공된다. 그 결과 기밀성은 특히 유리하게 추가로 개선된다.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invention, the sealing contour further has a surrounding sealing protrusion, wherein the depression is arranged radially between the sealing protrusion and the further sealing protrusion, wherein the sealing protrusion is configured to be longer than the further sealing protrusion. provided that, in the closed position, the additional sealing protrusion together with the outer shoulder constitutes point-like contact in the radial cross-section. As a result, the tightness is particularly advantageously further improved.

본 발명의 추가 주제는 본 발명에 따른 1회 제공량 캡슐을 제조하는 방법으로서, 제1 단계에서 캡슐 베이스, 둘러싸는 플랜지, 및 이 캡슐 베이스와 둘러싸는 플랜지 사이에서 연장되는 캡슐 벽을 갖는 베이스 요소가 생성되고, 제2 단계에서 밀봉 크림프가 플랜지에 몰딩되고, 제3 단계에서 베이스 요소의 공동은 적어도 음료 원료로 충전되고, 제4 단계에서 베이스 요소는 캡슐 뚜껑으로 폐쇄되고, 캡슐 뚜껑은 제1 체결 면과 제2 체결 면을 따라 플랜지에 체결되고, 특히 밀봉되는, 방법이다. 본 발명에 따른 1회 제공량 캡슐과 관련하여 언급된 모든 이점을 제공하는 1회 제공량 캡슐은 유리하게는 본 발명에 따른 방법에 의해 제공된다. A further subject of the invention is a method for manufacturing a serving capsule according to the invention, wherein in a first step a base element having a capsule base, a surrounding flange and a capsule wall extending between the capsule base and the surrounding flange is provided. In a second step, a sealing crimp is molded into the flange, in a third step, the cavity of the base element is filled with at least a beverage ingredient, and in a fourth step, the base element is closed with a capsule lid, and the capsule lid is first fastened. A method in which the flange is fastened, in particular sealed, along the face and the second fastening face. A serving capsule providing all the advantages mentioned in relation to the serving capsu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dvantageously provided by the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에 따른 방법과 관련하여 논의된 이점 및 개선점은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주제에 유사한 방식으로 적용되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 The advantages and improvements discussed in relation to the method according to the invention also apply in a similar way to other subjects of the invention and vice versa.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제4 단계는 적어도 하나의 제1 하위 단계 및 하나의 제2 하위 단계를 포함하고, 제1 하위 단계에서 체결 수단, 특히 가열 밀봉 도구에 의한 체결, 특히 밀봉이 제2 체결 면을 따라 이루어지고, 제2 하위 단계에서 체결 수단, 특히 가열 밀봉 도구에 의한 체결, 특히 밀봉이 제1 체결 면과 바람직하게는 제2 체결 면을 따라 이루어지는 것이 제공된다. 당업자라면 요구되는 기밀성을 달성하기 위해 체결이 항상 둘러싸는 체결 면 전체에 걸쳐 일어난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제1 하위 단계는 특히 사전 밀봉에 해당한다. 이러한 맥락에서 사전 밀봉은 제1 체결이 발생하는 것을 의미하며, 이는 제2 하위 단계의 체결에 비해 예를 들어 강하지 않고, 이에 따라 예를 들어 더 낮은 힘을 사용하여 및/또는 더 짧은 시간에 일어난다. 제1 및 제2 하위 단계의 체결 수단은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동일하다. 여기서 부분적으로 동일하다는 것은 체결 수단의 개별 요소가 교체되는 것을 의미하고, 예를 들어, 가열 밀봉 도구의 경우에, 예를 들어, 소노트로드 및/또는 수용부 요소가 교체되는 것을 의미하는 것으로 이해된다. 대안적으로, 제1 체결 수단, 특히 제1 가열 밀봉 도구는 제1 하위 단계에서 사용되고, 제2 체결 수단, 특히 제2 가열 밀봉 도구는 제2 하위 단계에서 사용된다.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method according to the invention, the fourth step comprises at least one first sub-step and one second sub-step, in the first sub-step fastening by fastening means, in particular heat sealing tools, In particular, it is provided that the sealing is effected along the second fastening surface, and in a second sub-step fastening by means of a fastening means, in particular a heat sealing tool, in particular that the sealing is effected along the first fastening surface and preferably along the second fastening surface. A person skilled in the art will understand that fastening always takes place over the entire surrounding fastening face in order to achieve the required tightness. The first sub-step corresponds in particular to pre-sealing. Pre-sealing in this context means that the first fastening takes place, which is eg not as strong as the fastening of the second sub-step, and thus takes place eg using a lower force and/or in a shorter time. . The fastening means of the first and second sub-steps are preferably at least partially identical. Partially identical here is understood to mean that the individual elements of the fastening means are replaced, for example in the case of heat sealing tools, for example the sonotrode and/or the receptacle element are replaced. do. Alternatively, a first fastening means, in particular a first heat sealing tool, is used in a first sub-step and a second fastening means, in particular a second heat-sealing tool, is used in a second sub-step.

제1 하위 단계에서의 체결은 바람직하게는 160℃내지 260℃ 특히 바람직하게는 190℃내지 230℃ 특히 210℃의 밀봉 온도에서 일어난다. 제1 하위 단계에서의 체결은 바람직하게는 200ms 내지 300ms, 특히 바람직하게는 230ms 내지 270ms, 특히 250ms의 밀봉 시간에서 일어난다. 제1 하위 단계에서의 체결은 바람직하게는 250N 내지 350N, 특히 바람직하게는 280N 내지 320N, 특히 300N의 밀봉력에서 일어난다. Fastening in the first sub-step takes place at a sealing temperature preferably between 160°C and 260°C, particularly preferably between 190°C and 230°C, in particular between 210°C. The fastening in the first sub-step preferably takes place at a sealing time of 200 ms to 300 ms, particularly preferably 230 ms to 270 ms, in particular 250 ms. The fastening in the first sub-step takes place at a sealing force of preferably from 250 N to 350 N, particularly preferably from 280 N to 320 N, in particular 300 N.

제2 하위 단계에서의 체결은 바람직하게는 160℃내지 260℃ 특히 바람직하게는 190℃내지 230℃ 특히 210℃의 밀봉 온도에서 일어난다. 제2 하위 단계에서의 체결은 바람직하게는 300ms 내지 600ms, 특히 바람직하게는 400ms 내지 500ms, 특히 450ms의 밀봉 시간에서 일어난다. 제2 하위 단계에서의 체결은 바람직하게는 700N 내지 1100N, 특히 바람직하게는 850N 내지 950N, 특히 900N의 밀봉력에서 일어난다. Fastening in the second sub-step takes place at a sealing temperature preferably between 160°C and 260°C, particularly preferably between 190°C and 230°C, in particular between 210°C. The fastening in the second sub-step preferably takes place at a sealing time of 300 ms to 600 ms, particularly preferably 400 ms to 500 ms, in particular 450 ms. The fastening in the second sub-step takes place at a sealing force of preferably from 700 N to 1100 N, particularly preferably from 850 N to 950 N, in particular 900 N.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제1 하위 단계 전에, 제4 단계의 추가 하위 단계에서, 스트립 스톡으로부터 캡슐 뚜껑이 생성되고, 바람직하게는 절단 및/또는 펀칭되는 것이 제공된다. 당업자라면 알루미늄 포일이 캡슐 뚜껑의 재료일 때 특히 원형의 캡슐 뚜껑이 바람직하게는 알루미늄 포일로부터 펀칭된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여기서 추가 하위 단계는 특히 바람직하게는 마찬가지로 체결 수단에 의해 특히 한번 통과로 수행된다. 예를 들어, 캡슐 뚜껑은 알루미늄 포일로부터 천공된 다음 한 번의 움직임으로 베이스 요소에 밀봉된다. 대안적으로, 캡슐 뚜껑, 특히 원형 블랭크가 체결 수단에 공급된다. 1회 제공량 캡슐의 생산이 단순화되고 그 결과 생산 시간이 단축된다. 잠재적인 위치 오류도 또한 유리하게 방지된다.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method according to the invention, it is provided that before the first sub-step, in a further sub-step of the fourth step, capsule caps are produced from strip stock, preferably cut and/or punched. A person skilled in the art will appreciate that especially circular capsule lids are preferably punched out of aluminum foil when aluminum foil is the material of the capsule lid. The further substep here is particularly preferably carried out in particular in one pass by the fastening means as well. For example, capsule lids are perforated from aluminum foil and then sealed to the base element in one motion. Alternatively, a capsule lid, in particular a round blank, is supplied to the fastening means. The production of serving size capsules is simplified and as a result production time is reduced. Potential position errors are also advantageously avoided.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제1 단계는 제1 하위 단계, 제2 하위 단계, 및 바람직하게는 제3 하위 단계를 포함하고, 제1 하위 단계에서 스트립 스톡으로부터 기본 형상이 생성되고, 특히 펀칭되고, 제2 하위 단계에서 기본 형상으로부터 베이스 요소가 형성되는 방식으로 프리폼(preform)이 생성되고, 제3 하위 단계에서 플랜지의 외부 자유 단부로부터 비드가 형성되고, 특히 감기고/감기거나 펼쳐지는 것이 제공된다. 제2 하위 단계는 바람직하게는 다이에 의해 일어난다.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method according to the invention the first step comprises a first sub-step, a second sub-step and preferably a third sub-step, in which the basic shape is created from the strip stock and , in particular a preform is produced in such a way that it is punched out, in a second sub-step a base element is formed from the basic shape, and in a third sub-step a bead is formed from the outer free end of the flange, in particular wound and/or unfolded. is provided. The second sub-step preferably takes place by means of a die.

추가 하위 단계에서, 둘러싸는 동심 홈은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외측에서 캡슐 벽에 몰딩된다. In a further substep, the enclosing concentric groove is preferably molded into the capsule wall at least from the outside.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제3 단계는 변경된 분위기에서 일어나고/나거나, 특히 제4 단계 후에 1회 제공량 캡슐에 산소가 존재하지 않는 방식으로 음료 원료로부터 베드에 질소 층이 적용되는 것이 제공된다.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method according to the invention the third step takes place in a modified atmosphere and/or in particular after the fourth step a layer of nitrogen is applied to the bed from the beverage ingredients in such a way that no oxygen is present in the serving size capsules. Provided.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제1 단계 후 및 제3 단계 전에 일어나는 제5 단계에서, 필터는 공동에 포함되고 바람직하게는 특히 캡슐 베이스의 영역에서 베이스 요소에 체결되는 것이 제공된다. 필터는 특히 바람직하게는 부직포 재료 및/또는 펠트 재료를 포함한다. 필터는 가장 특히 바람직하게는 하나 또는 복수의 플라이로 구성된다. 필터는 바람직하게는 디스크형, 특히 원형이 되도록 구성된다. 대안적으로, 필터는 예를 들어 직사각형, 육각형, 팔각형 또는 십각형과 같이 각형이도록 구성된다. 바람직하게는 필터는 베이스 영역에 배치되는 것이 제공된다. 필터는, 캡슐 베이스의 영역에서 부분적으로 또는 둘러싸는 방식으로 캡슐 베이스 및/또는 캡슐 벽에 및/또는 캡슐 베이스와 캡슐 벽 사이의 전이 영역에 가장 특히 바람직하게는 체결되고 특히 밀봉된다. 특히 바람직하게는, 필터는 도구에 의해 절단되어, 공동 내로 이동되고 나서, 한번 통과로 공동에 체결되고, 특히 밀봉된다.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method according to the invention it is provided that in a fifth step, which takes place after the first step and before the third step, the filter is included in the cavity and is preferably fastened to the base element, particularly in the region of the capsule base. The filter particularly preferably comprises a non-woven material and/or a felt material. The filter most particularly preferably consists of one or a plurality of plies. The filter is preferably designed to be disc-shaped, in particular circular. Alternatively, the filter is configured to be angular, for example rectangular, hexagonal, octagonal or decagonal. It is preferably provided that the filter is disposed in the base region. The filter is most particularly preferably fastened and particularly sealed to the capsule base and/or the capsule wall and/or to the transition region between the capsule base and the capsule wall in a partially or encircling manner in the region of the capsule base. Particularly preferably, the filter is cut by means of a tool, moved into the cavity and then fastened to the cavity in one pass, in particular sealed.

본 발명의 또 다른 주제는 본 발명에 따른 1회 제공량 캡슐을 제조하기 위해 캡슐 뚜껑으로 1회 제공량 캡슐을 폐쇄하기 위한 가열 밀봉 스테이션으로서, 적어도 하나의 제1 가열 밀봉 도구를 포함하고, 제1 가열 밀봉 도구는 제2 체결 면을 따라 캡슐 뚜껑을 플랜지에 밀봉하도록 구성되고, 제1 가열 밀봉 도구 또는 제2 가열 밀봉 도구는 제1 체결 면과 바람직하게는 제2 체결 면을 따라 캡슐 뚜껑을 플랜지에 밀봉하도록 구성된, 가열 밀봉 스테이션이다. 당업자라면 제1 및 제2 밀봉이 동일한 가열 밀봉 도구, 즉 제1 가열 밀봉 도구를 사용하여 일어날 수 있고 또는 두 밀봉 절차가 적어도 2개의 상이한 가열 밀봉 도구, 즉, 적어도 제1 및 제2 가열 밀봉 도구에 의해 일어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제1 밀봉 절차는 여기서 특히 사전 밀봉에 해당하고, 제2 밀봉 절차는 원하는 최종 기밀성이 달성되는 사후 밀봉 또는 1차 밀봉에 해당한다. 본 발명에 따른 가열 밀봉 스테이션의 결과, 제1 플랜지 영역뿐만 아니라 제2 플랜지 영역에서 캡슐 뚜껑을 밀봉하는 본 발명에 따른 1회 제공량 캡슐을 제조하는 것이 이제 또한 유리하게 가능해진다. 2개의 단계로 세분됨으로써, 제1 및 제2 체결 면을 따라 캡슐 뚜껑을 밀봉하는 것이 제1 플랜지 영역과 제2 플랜지 영역이 상이한 높이에 있는 경우에도 또한 특히 유리하게 가능해진다. 이러한 방식으로 캡슐 뚜껑은 특히 제1 단계에서 미리 고정된다. Another su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heat sealing station for closing a serving capsule with a capsule lid for preparing serving capsule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ing at least one first heat sealing tool, comprising a first heat sealing tool. The sealing tool is configured to seal the capsule lid to the flange along the second fastening surface, the first heat sealing tool or the second heat sealing tool to seal the capsule lid to the flange along the first fastening surface and preferably the second fastening surface. It is a heat sealing station configured to seal. Those skilled in the art can understand that the first and second sealing can take place using the same heat sealing tool, i.e., a first heat sealing tool, or the two sealing procedures can be performed using at least two different heat sealing tools, i.e., at least first and second heat sealing tools. You will understand that it can happen by The first sealing procedure corresponds here in particular to the pre-sealing, and the second sealing procedure to the post-sealing or primary sealing in which the desired final tightness is achieved. As a result of the heat sealing station according to the invention, it is now also advantageously possible to produce a serving capsule according to the invention which seals the capsule lid not only in the first flange area but also in the second flange area. By subdividing into two steps, sealing of the capsule lid along the first and second fastening surfaces is made possible particularly advantageously even if the first and second flange areas are at different heights. In this way the capsule lid is pre-fixed, in particular in a first step.

본 발명에 따른 가열 밀봉 스테이션과 관련하여 논의된 이점 및 개선점은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주제에 유사한 방식으로 적용되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 The advantages and improvements discussed in connection with the heat sealing sta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lso apply in a similar manner to other subj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vice versa.

본 발명에 따른 가열 밀봉 스테이션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제1 가열 밀봉 도구 및/또는 제2 가열 밀봉 도구는 각각 적어도 하나의 소노트로드 및 적어도 하나의 수용부 요소를 포함하고, 수용부 요소는 1회 제공량 캡슐을 수용하기 위한 개방 공동을 갖고, 수용부 요소는 적어도 하나의 카운터 홀딩 수단을 추가로 갖고, 특히 제1 체결 면 및/또는 제2 체결 면의 영역에서 캡슐 뚜껑의 반대쪽을 향하는 플랜지 측에 있는 카운터 홀딩 수단은 소노트로드에 의해 가해지는 힘에 대항력을 제공하도록 구성된 것이 제공된다. 소노트로드는 일반적으로 편평한 요소이다. 상이한 높이의 플랜지 영역에서도 신뢰성 있는 밀봉을 달성하기 위해, 플랜지 하위 측에 있는, 즉 캡슐 뚜껑의 반대쪽을 향하는 측에 있는 카운터 홀딩 수단이 소노트로드에 의해 가해지는 힘에 대항력을 제공하는 것이 필수적이다. 가열 밀봉 스테이션은 특히 바람직하게는 제1 가열 밀봉 도구 및 제2 가열 밀봉 도구를 포함하고, 여기서 제1 및 제2 가열 밀봉 도구의 수용부 요소는 제1 체결 면의 영역에서 뿐만 아니라 제2 체결 면의 영역에서도 카운터 홀딩 수단을 갖는다. 대안적으로, 제1 가열 밀봉 도구의 수용부 요소는 제2 체결 면의 영역에서 단 하나의 카운터 홀딩 수단을 갖는다. 당업자라면 수용부 요소가 여기서 본 발명에 따른 시스템의 음료 제조 기계의 수용부 요소와 상이하지만, 두 수용부 요소는 바람직하게는 구성 및 기능 면에서 유사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둘 다는 바람직하게는 1회 제공량 캡슐 또는 베이스 요소를 적어도 부분적으로 수용하기 위한 공동을 갖는다. 음료 제조 기계의 수용부 요소는 전술한 바와 같이 밀봉 윤곽을 갖는 반면, 가열 밀봉 도구의 수용부 요소는 바람직하게는 제1 및/또는 제2 체결 면의 영역에서만 카운터 홀딩 수단을 갖지만, 특히 밀봉 크림프와 접촉하지 않는다는 점에서 수용부 요소는 특히 다르다. 두 체결 면의 안전하고 신뢰성 있는 밀봉은 카운터 홀딩 수단에 의해 특히 유리하게 보장된다.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heat sealing sta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heat sealing tool and/or the second heat sealing tool each comprise at least one sonotrode and at least one receptacle element, wherein the receptacle element is 1 having an open cavity for accommodating the serving size capsules, the receptacle element additionally having at least one counter holding means, in particular in the region of the first fastening surface and/or the second fastening surface, on the side of the flange facing away from the capsule lid. The counter holding means in is configured to provide a counterforce to the force exerted by the sonotrode. Sonotrodes are generally flat elements. In order to achieve reliable sealing even in the flange areas of different heights, it is essential that the counter holding means on the side under the flange, i.e. on the opposite side of the capsule lid, provide a counterforce to the force exerted by the sonotrode. . The heat sealing station particularly preferably comprises a first heat sealing tool and a second heat sealing tool, wherein the receptacle elements of the first and second heat sealing tools are located in the region of the first fastening surface as well as the second fastening surface. The area of also has a counter holding means. Alternatively, the receptacle element of the first heat sealing tool has only one counter holding means in the region of the second fastening surface. A person skilled in the art will appreciate that although the receptacle element here differs from the receptacle element of the beverage preparation machine of the system according to the invention, the two receptacle elements are preferably similar in construction and function. Both preferably have a cavity for at least partially receiving the serving size capsule or base element. The receptacle element of the beverage preparation machine has a sealing contour as described above, whereas the receptacle element of the heat-seal tool preferably has counter-holding means only in the region of the first and/or second fastening face, but in particular with a sealing crimp. Receptacle elements are particularly different in that they do not come into contact with. A safe and reliable sealing of the two fastening surfaces is ensured with particular advantage by means of the counterholding means.

본 발명에 따른 가열 밀봉 스테이션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수용부 요소는 제1 체결 면의 영역에서 적어도 하나의 카운터 홀딩 수단을 갖고, 카운터 홀딩 수단의 상위 면은 제2 체결 면의 영역에서의 제1 가열 밀봉 도구 및/또는 제2 가열 밀봉 도구의 카운터 홀딩 수단의 상위 면에 비해 적어도 0.05mm,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0.10mm, 특히 적어도 0.15mm 더 높이 있도록 배치되는 것이 제공된다. 이러한 맥락에서, 더 높다는 것은 특히 수직 방향으로 더 큰 범위를 의미한다. 카운터 홀딩 수단은 특히 바람직하게는 플런저이다. 본 출원인은 카운터 홀딩 수단이 2개의 체결 면의 영역에서 상이한 높이를 갖고 특히 제1 체결 면의 영역에서 더 큰 높이를 갖는다는 점에서 특히 긍정적인 가열 밀봉 품질이 달성된다는 것을 실험을 통해 놀랍게도 입증했다. 당업자라면 전술한 수치 값이 특히 제1 플랜지 영역과 제2 플랜지 영역이 중심 길이 방향 축에 대해 동일한 높이에 배치되는 경우에 적용되는 것임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수치 값은 미리 결정된 오프셋의 경우 그에 따라 조정되어야 한다.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heat sealing station according to the invention, the receptacle element has at least one counter-holding means in the region of the first fastening surface, the upper surface of the counter-holding means in the region of the second fastening surface. It is provided that it is arranged so as to be at least 0.05 mm, preferably at least 0.10 mm, in particular at least 0.15 mm higher than the upper surface of the counter holding means of the first heat sealing tool and/or the second heat sealing tool. In this context, higher means greater range, especially in the vertical direction. The counter holding means is particularly preferably a plunger. The Applicant has surprisingly demonstrated through experimentation that a particularly positive heat-sealing quality is achieved in that the counter-holding means has a different height in the region of the two fastening faces and in particular a greater height in the region of the first fastening face. . A person skilled in the art will understand that the numerical values given above apply in particular to the case where the first flange area and the second flange area are arranged at the same height with respect to the central longitudinal axis. The numerical value should be adjusted accordingly in case of a predetermined offset.

본 발명에 따른 가열 밀봉 스테이션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제1 및/또는 제2 가열 밀봉 도구의 소노트로드는 34mm 내지 36mm, 특히 바람직하게는 34.4mm 내지 35.2mm, 특히 34.8mm의 직경을 갖는 것이 제공된다. 그 결과 비드가 예를 들어 소노트로드와 접촉하지 않고 고품질의 신뢰성 있는 밀봉이 이루어질 수 있다.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heat sealing station according to the invention the sonotrodes of the first and/or second heat sealing tools have a diameter of 34 mm to 36 mm, particularly preferably 34.4 mm to 35.2 mm, in particular 34.8 mm. Provided. As a result, a high-quality and reliable seal can be achieved without the bead coming into contact with, for example, the sonotrode.

본 발명에 따른 가열 밀봉 스테이션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제1 및/또는 제2 가열 밀봉 도구의 소노트로드는 특히 중심에 배치된 방열 수단을 갖는 것이 제공된다. 방열 수단은 특히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세라믹 재료로 제조된다. 상당한 양의 열이 특히 본 발명에 따라 제공되는 2단계 밀봉에서 1회 제공량 캡슐로 전달된다. 이로 인해 한편으로는 캡슐 뚜껑이 손상되고, 다른 한편으로는 음료 원료가 손상될 수 있다. 과도한 열의 영향은 예를 들어 세라믹 삽입물의 형태로 이러한 방열 수단을 배치함으로써 특히 유리하게 방지된다. 방열 수단은 가장 특히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25mm, 보다 더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28mm, 또는 적어도 30mm의 직경을 갖는다.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heat sealing sta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rovided that the sonotrodes of the first and/or second heat sealing tools have a heat dissipation means arranged in particular at the center. The heat dissipation means is particularly preferably at least partly made of a ceramic material. A significant amount of heat is transferred to the serving size capsule, especially in the two-step sealing provide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is can damage the capsule lid on the one hand and the beverage ingredient on the other hand. The effects of excessive heat are particularly advantageously prevented by arranging such heat dissipation means, for example in the form of ceramic inserts. The heat dissipation means most particularly preferably has a diameter of at least 25 mm, even more preferably at least 28 mm, or at least 30 mm.

본 발명의 추가 주제는 특히 본 발명에 따른 방법에 의해 본 발명에 따른 1회 제공량 캡슐을 제조하기 위한 설비로서, 베이스 요소를 형성하기 위한 형성 스테이션, 베이스 요소의 공동을 적어도 하나의 음료 원료로 충전하기 위한 충전 스테이션, 및 베이스 요소를 캡슐 뚜껑으로 폐쇄하기 위한 폐쇄 스테이션을 포함하고, 폐쇄 스테이션은 본 발명에 따른 가열 밀봉 스테이션인, 설비이다. A further subject of the invention is an installation for producing the serving size capsules according to the invention, in particular by the method according to the invention, comprising a forming station for forming a base element, filling the cavity of the base element with at least one beverage ingredient. A filling station for closing, and a closing station for closing the base element with the capsule lid, the closing station being a heat seal station according to the invention.

본 발명의 이러한 주제에 적용되는 설명은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다른 주제에도 적용되고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 Descriptions that apply to this subject matter of the invention also apply to other subject matter according to the invention and vice versa.

본 발명의 추가 세부 사항, 특징 및 이점은 도면으로부터 그리고 도면을 통한 이하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설명으로부터 도출된다. 도면은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를 예시하는 것일 뿐, 본 발명의 실질적인 개념을 제한하는 것이 아니다. Further details, features and advantage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derived from the drawings and from the following description of preferred embodiments through the drawings. The drawings are only for illustrating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do not limit the practical concep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의 예시적인 제1 실시예에 따른 1회 제공량 캡슐 및 음료를 제조하기 위한 시스템의 개략 단면도를 도시한다.
도 3 내지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1회 제공량 캡슐의 개략 상세도를 도시한다.
도 6 내지 도 15는 본 발명의 다른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가열 밀봉 도구의 다른 개략도를 도시한다.
도 1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1회 제공량 캡슐의 개략 상세 단면도를 도시한다.
1 and 2 show schematic cross-sectional views of a system for preparing serving capsules and beverages according to a first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5 show schematic details of a serving capsule according to another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to 15 show other schematic views of a heat sealing tool according to another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6 depicts a schematic detailed cross-sectional view of a serving capsule according to another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치수에 관한 참조가 일부 이미지에 포함되어 있다. 이러한 이미지는 치수 및/또는 크기 비율을 도출할 수 있는 기술 도면에 해당한다. 이는 특히 적어도 도 3 내지 도 5 및 도 12 내지 도 15에 적용된다. References to dimensions are included in some images. These images correspond to technical drawings from which dimensions and/or size ratios can be derived. This applies in particular to at least FIGS. 3 to 5 and 12 to 15 .

도 1 및 도 2에는 본 발명의 예시적인 제1 실시예에 따른 1회 제공량 캡슐(1)의 개략 측면도, 및 음료를 제조하기 위해 1회 제공량 캡슐(1)과 음료 제조 기계(13)의 일부로 구성된 시스템의 단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1 and 2 show a schematic side view of a serving capsule 1 according to a first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as part of a beverage preparation machine 13 with the serving size capsule 1 for preparing a beverage.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constructed system is shown.

1회 제공량 캡슐(1)은 베이스 요소(2)를 갖고, 베이스 요소는 예로서 절두원추형이고 컵 형상으로 구성되고, 폐쇄 측에 캡슐 베이스(5)를 갖고, 개방 측에 둘러싸는 플랜지(6)를 갖는다. 캡슐 벽(7)은 캡슐 베이스(5)와 플랜지(6) 사이의 공동(3) 주위로 연장된다. 1회 제공량 캡슐(1)은 수직 방향(Y)을 형성하는 중심 길이 방향 축(M)에 대해 회전 대칭이 되도록 구성된다. 원형이어서 원주 방향으로 둘러싸도록 구성된 플랜지(6)는 반경 방향(R)으로 캡슐 벽(7)을 넘어 외측으로 돌출된다. The serving size capsule 1 has a base element 2, which base element is eg frustoconical and configured in the shape of a cup, with a capsule base 5 on the closed side and a surrounding flange 6 on the open side. have The capsule wall 7 extends around the cavity 3 between the capsule base 5 and the flange 6 . The serving size capsule 1 is configured to be rotationally symmetric about a central longitudinal axis M defining a vertical direction Y. A flange 6 , which is circular and configured to encircle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protrudes outwardly beyond the capsule wall 7 in the radial direction R.

플랜지(6)는 베이스 요소(2)의 개방 측에서 공동(3)을 폐쇄하는 뚜껑 포일, 특히 알루미늄 포일 형태의 캡슐 뚜껑(4)에 고정 연결된다. 이를 위해 플랜지(6)는 본 발명에 따라 캡슐 뚜껑(4)을 향하는 제1 체결 면(100), 및 제2 체결 면(200)을 갖고, 이 체결 면(100, 200)은 바람직하게는 수직 방향(Y)에 대략 수직으로 연장된다. 캡슐 뚜껑(4)은 그 주변 영역에서 제1 및 제2 체결 면(100, 200)에서 플랜지(6)에 밀봉, 용접 또는 접착 결합된다. The flange 6 is fixedly connected on the open side of the base element 2 to a capsule lid 4 in the form of a lid foil, in particular an aluminum foil, which closes the cavity 3 . For this purpose, the flange 6 has, according to the invention, a first fastening surface 100 facing the capsule lid 4 and a second fastening surface 200, which fastening surface 100, 200 is preferably vertical. It extends approximately perpendicular to the direction (Y). The capsule lid 4 is sealed, welded or adhesively bonded to the flange 6 at the first and second fastening faces 100, 200 in its peripheral region.

캡슐 뚜껑(4)은 바람직하게는 알루미늄 재료 또는 플라스틱 재료로 구현되고, 이 재료는 또한 각 경우에 라미네이트를 포함할 수 있다. 음료 원료, 예를 들어, 볶은 커피 과립, 인스턴트 커피, 초콜릿 분말, 혼합 차, 분유 및/또는 등으로 충전된 공동(3)은 베이스 요소(2) 내에 구성되고(명료함을 위해 음료 원료는 예시하지 않음), 이 공동(3)은 캡슐 뚜껑(4)에 의해 폐쇄된다. The capsule lid 4 is preferably implemented in an aluminum material or a plastic material, which material may also in each case comprise a laminate. A cavity 3 filled with beverage ingredients, e.g. roasted coffee granules, instant coffee, chocolate powder, blended tea, milk powder and/or the like, is constituted in the base element 2 (for clarity the beverage ingredients are illustrated not), this cavity (3) is closed by the capsule lid (4).

베이스 요소(2)의 컵형 설계 실시예는 바람직하게는 열성형에 의해 생성되고, 예를 들어, 진공, 양압 및/또는 이동 가능 다이에 의한 딥 드로잉에 의해 생성된다. 베이스 요소(2)는 바람직하게는 딥 드로잉된 알루미늄 부품으로 구성된다. 대안적으로, 또한 베이스 요소(2)는 폴리에틸렌(PE), 폴리프로필렌(PP), 폴리염화비닐(PVC) 또는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PET)의 플라스틱 부품으로 구성되는 것을 생각할 수 있다. 대안적으로, 1회 제공량 캡슐(1)은 특히 단일 성분, 다중 성분 또는 인몰드 방법으로 사출 성형에 의해 제조된다. 특히 층 두께가 90㎛인 알루미늄 층에 특히 층 두께가 30㎛인 PP 층이 제공되는 2성분 방법이 다중 성분 방법으로서 특히 바람직하다. PP 층은 특히 베이스 요소(2) 및/또는 공동(3)의 내측에 가장 특히 바람직하게는 알루미늄 층의 일측 또는 양측에 배치된다. 그 결과 PVC가 없기 때문에 플랜지(6)와 캡슐 뚜껑(4) 사이에 더 나은 연결이 유리하게 이루어진다. The cup-shaped design embodiment of the base element 2 is preferably produced by thermoforming, for example by vacuum, positive pressure and/or deep drawing with a movable die. The base element 2 preferably consists of a deep-drawn aluminum part. Alternatively, it is also conceivable that the base element 2 consists of plastic parts of polyethylene (PE), polypropylene (PP), polyvinylchloride (PVC) or polyethylene terephthalate (PET). Alternatively, the serving capsule 1 is produced by injection molding, in particular single-component, multi-component or in-mold methods. Especially preferred as a multi-component process is a two-component process in which an aluminum layer with a layer thickness of 90 µm in particular is provided with a PP layer with a layer thickness of 30 µm in particular. The PP layer is most particularly preferably arranged on one or both sides of the aluminum layer, in particular on the inside of the base element 2 and/or the cavity 3 . As a result, a better connection between the flange 6 and the capsule lid 4 is advantageously achieved due to the absence of PVC.

1회 제공량 캡슐(1)은 음료 제조 기계(13)에서 사용 시 브루잉 유닛으로 도입된다. 브루잉 유닛은 제1 브루잉 챔버 부분과 제2 브루잉 챔버 부분을 포함하고, 제1 또는 제2 브루잉 챔버 부분은 제1 및 제2 브루잉 챔버 부분이 폐쇄된 브루잉 챔버(12)를 형성하는 수렴된 위치와, 제1 및 제2 브루잉 챔버 부분이 1회 제공량 캡슐(1)을 삽입하거나 배출하기 위해 상호 이격되어 있는 개방 위치 사이에서 다른 브루잉 챔버 부분에 대해 이동 가능하다. The serving size capsules 1 are introduced into the brewing unit upon use in the beverage preparation machine 13 . The brewing unit includes a first brewing chamber portion and a second brewing chamber portion, the first or second brewing chamber portion comprising a brewing chamber 12 in which the first and second brewing chamber portions are closed. It is movable relative to the other brewing chamber parts between forming a converged position and an open position where the first and second brewing chamber parts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for inserting or ejecting the serving size capsule 1 .

제1 브루잉 챔버 부분은 특히 브루잉 챔버(12)가 폐쇄 위치에 있을 때 1회 제공량 캡슐(1)을 충분히 수용하는 컵형 수용부 요소(21)로서 구성된다. 제2 브루잉 챔버 부분은 수용부 요소(21)를 위한 폐쇄 요소(22)로서 구성된다. 도 2에 도시된 폐쇄 위치에서, 1회 제공량 캡슐(1)의 플랜지(6)는 수용부 요소(21)의 주변 영역(23)과 폐쇄 요소(22) 사이에 밀봉 방식으로 막혀 있다. The first brewing chamber part is configured as a cup-shaped receptacle element 21 which in particular fully accommodates the serving size capsule 1 when the brewing chamber 12 is in the closed position. The second brewing chamber part is configured as a closing element 22 for the receptacle element 21 . In the closed position shown in FIG. 2 , the flange 6 of the serving size capsule 1 is sealed in a sealing manner between the peripheral region 23 of the receptacle element 21 and the closing element 22 .

이러한 폐쇄 위치에서, 캡슐 뚜껑(4)과 캡슐 베이스(5)는 연속적으로 또는 동시에 천공된다. 여기에서 캡슐 베이스(5)의 하나 또는 복수의 천공 개구는 특히 브루잉 챔버(13)를 폐쇄하는 동안 하나 또는 복수의 천공 팁에 의해 수용부 요소(21)에 형성되는 반면, 캡슐 뚜껑(4)의 천공 개구는 바람직하게는 브루잉 챔버(12)를 폐쇄하는 동안 폐쇄 요소(22)의 베이스에 천공 구조부에 의해 이미 생성되거나, 또는 음료 제조 공정 동안 1회 제공량 캡슐(1)의 내부에 압력이 증가된 결과로서만 생성된다. In this closed position, the capsule lid 4 and the capsule base 5 are continuously or simultaneously pierced. One or more piercing openings of the capsule base 5 here are formed in the receptacle element 21 by one or more piercing tips, in particular during the closing of the brewing chamber 13, whereas the capsule lid 4 The piercing opening of is preferably already created by means of a piercing structure in the base of the closing element 22 during closing of the brewing chamber 12, or when pressure is applied to the inside of the serving size capsule 1 during the beverage preparation process. It is created only as a result of augmentation.

가압된 추출 액체는 캡슐 베이스(5)에 있는 하나 또는 복수의 천공 개구를 통해 공동(3)으로 보내진다. 원하는 음료는 추출 액체와 음료 원료 사이의 상호 작용의 결과로 생성되며, 이 음료는 캡슐 뚜껑(4)의 천공 개구를 통해 1회 제공량 캡슐(1)을 빠져나와 음료 용기에 공급된다. 음료 원료의 잠재적인 입자는 음료로부터 여과될 수 있고, 선택적인 필터 매체에 의해 1회 제공량 캡슐(1)에 유지될 수 있다. 그러나, 다수의 천공을 갖는 캡슐 뚜껑(4)은 바람직하게는 필터 요소로서 기능한다. The pressurized extraction liquid is directed into the cavity (3) through one or more perforated openings in the capsule base (5). The desired beverage is produced as a result of the interaction between the extraction liquid and the beverage ingredients, which beverage exits the serving size capsule 1 through a perforated opening in the capsule lid 4 and is supplied to the beverage container. Potential particles of beverage ingredients may be filtered from the beverage and retained in the serving size capsule 1 by an optional filter media. However, the capsule lid 4 having multiple perforations preferably functions as a filter element.

도 3 내지 도 5에는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라 도 1 및 도 2에 예시된 1회 제공량 캡슐(1)의 상세도가 도시되어 있다. 여기서 이 도면은 각각 도 1 또는 도 2의 우측에 있는 플랜지(6)의 확대 단면도를 도시한다. 여기서 도 3 내지 도 5는 실제 축척에 맞고, 각도 및 길이 비율이 보다 정확히 재현된 것으로 예시된 것이다. 3-5 show detailed views of the serving size capsule 1 illustrated in FIGS. 1 and 2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ere, this figure shows an enlarged sectional view of the flange 6 on the right side of FIG. 1 or FIG. 2 , respectively. Here, FIGS. 3 to 5 are exemplified in a way that is true to the actual scale and more accurately reproduces angles and length ratios.

도시된 플랜지(6)는 캡슐 벽(7)의 상위 단부로부터 이 플랜지(6)의 자유 외부 단부(플랜지(6)가 비드(8)에 의해 종료하는 단부)까지 반경 방향(R)에 평행하게 실질적으로 수평으로 연장된다. 비드(8)는 특히 캡슐 베이스(5)의 방향으로 감긴 플랜지 단부를 포함한다. The flange 6 shown runs parallel to the radial direction R from the upper end of the capsule wall 7 to the free outer end of this flange 6 (the end where the flange 6 terminates with the bead 8). It extends substantially horizontally. The bead 8 has a flanged end, in particular wrapped in the direction of the capsule base 5 .

더욱이, 특히 플랜지(6)의 양측에 있는 비드(8)는 수직 방향(Y)으로 돌출하고, 여기서 플랜지(6)는 하위 측에서 플랜지(6)로부터 하나의 밀봉 크림프(9) 미만만큼 돌출하고, 나아가 상위 측에서 플랜지(6)를 넘어 하위 측에서보다 작거나 동일한 양만큼 돌출한다. Moreover, in particular the beads 8 on both sides of the flange 6 protrude in the vertical direction Y, where the flange 6 protrudes from the flange 6 on the lower side by less than one sealing crimp 9 and , and further protrudes beyond the flange 6 on the upper side by an amount less than or equal to that on the lower side.

비드(8)와 캡슐 벽(7)의 단부 사이의 플랜지(6)는 밀봉 크림프(9)를 갖고, 밀봉 크림프는, 수직 방향(Y)으로 캡슐 뚜껑(4)의 반대쪽을 향하고, 원주 방향으로 중심 길이 방향 축(M)을 동심원으로 둘러싸는 엠보싱 형태로 구성된다. 여기서 밀봉 크림프(9)는 캡슐 벽(7)을 향하는 내부 숄더(10), 및 비드(8)를 향하는 외부 숄더(11)를 갖는다. 밀봉 크림프(9)는 여기서 플랜지(6)로부터 일체로 형성되며, 도면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캡슐 벽(7), 및/또는 캡슐 벽(7)과 내부 숄더(10) 사이의 제1 플랜지 영역(18), 및/또는 비드(8)와 외부 숄더(11) 사이의 제2 플랜지 영역(19)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두께를 갖는다. The flange 6 between the bead 8 and the end of the capsule wall 7 has a sealing crimp 9, which faces away from the capsule lid 4 in the vertical direction Y and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It is composed of an embossed shape concentrically surrounding the central longitudinal axis (M). The sealing crimp 9 here has an inner shoulder 10 facing the capsule wall 7 and an outer shoulder 11 facing the bead 8 . The sealing crimp 9 here is integrally formed from the flange 6 and, as can be seen in the figure, the capsule wall 7 and/or the first flange between the capsule wall 7 and the inner shoulder 10 It has substantially the same thickness as the region 18 and/or the second flange region 19 between the bead 8 and the outer shoulder 11 .

특히 편평하고(따라서 직선형) 제1 및/또는 제2 플랜지 영역(18, 19)에 평행하도록 이어지는 전이 평면(15) 형태의 전이 영역(14)은 내부 숄더(11)와 외부 숄더(12) 사이에서 연장된다. 제2 플랜지 영역(19)에 대해 외부 숄더(11)는 약 85도의 각도(β)로 이어진다. A transition area 14 in the form of a transition plane 15 , in particular flat (and therefore straight) and running parallel to the first and/or second flange areas 18 , 19 , is provided between the inner shoulder 11 and the outer shoulder 12 . is extended from To the second flange area 19 the outer shoulder 11 runs at an angle β of about 85 degrees.

외부 숄더(11)는 특히 바람직하게는 0.5mm 내지 0.9mm의 길이를 포함하는 직선형 숄더 부분(20)을 갖는다. 제2 플랜지 영역(19)은 바람직하게는 0.2mm 내지 0.8mm의 길이를 갖는다. The outer shoulder 11 particularly preferably has a straight shoulder part 20 comprising a length of 0.5 mm to 0.9 mm. The second flange area 19 preferably has a length of 0.2 mm to 0.8 mm.

내부 숄더(10)와 캡슐 벽(7)의 상위 단부 사이의 플랜지(6)는 제1 플랜지 영역(18)을 갖는다. 반경 방향 단면에서 본 예에서 제1 플랜지 영역(18)은 적어도 부분적으로 직선형이고 수평이도록 구성된다. 직선 영역은 특히 0.07mm 내지 0.09mm의 길이를 갖는다. The flange 6 between the inner shoulder 10 and the upper end of the capsule wall 7 has a first flange area 18 . Viewed in radial cross-section, in this example the first flange area 18 is configured to be at least partially straight and horizontal. The straight region especially has a length of 0.07 mm to 0.09 mm.

반경 방향 단면에서 내부 숄더(10)는 직선 접촉 영역(16)을 갖고, 즉 직선 접촉 영역(16)은 내부 숄더(10)의 프로파일에서 두 전이부 사이의 직선 라인의 길이이다. 본 예에서 접촉 영역(16)의 길이는 바람직하게는 0.5mm 내지 0.9mm이다. In radial section, the inner shoulder 10 has a straight contact area 16 , ie the straight contact area 16 is the length of a straight line between two transitions in the profile of the inner shoulder 10 . The length of the contact area 16 in this example is preferably 0.5 mm to 0.9 mm.

본 발명에 따르면, 내부 숄더(10) 또는 직선 접촉 영역(16)과 제1 플랜지 영역(18) 사이의 각도(α)는 각각 실질적으로 85도이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angle α between the inner shoulder 10 or straight contact area 16 and the first flange area 18 is each substantially 85 degrees.

따라서 내부 숄더(10)와 외부 숄더(11) 사이의 각도는 바람직하게는 5도 내지 15도, 특히 바람직하게는 8도 내지 12도, 가장 특히 바람직하게는 실질적으로 10도이다. Accordingly, the angle between the inner shoulder 10 and the outer shoulder 11 is preferably between 5 degrees and 15 degrees, particularly preferably between 8 degrees and 12 degrees, most particularly preferably substantially 10 degrees.

제1 플랜지 영역(18)과 제2 플랜지 영역(19)은 여기서 수직 방향(Y)으로 동일한 높이에 있다. 밀봉 크림프(9)의 높이(17)는 제1 및 제2 플랜지 영역(18, 19)의 하위 측으로부터 전이 평면(15)의 영역에서의 플랜지(6)의 하위 측까지 밀봉 크림프(9)의 전체 범위에 대응한다. 제1 또는 제2 플랜지 영역(18, 19)에 수직인 이 높이(17)는 각각 0.9mm 내지 1.0mm이다. The first flange area 18 and the second flange area 19 are here at the same height in the vertical direction Y. The height 17 of the sealing crimp 9 is the length of the sealing crimp 9 from the lower side of the first and second flange areas 18 , 19 to the lower side of the flange 6 in the region of the transition plane 15 . Covers the entire range. This height 17 perpendicular to the first or second flange areas 18, 19 is each 0.9 mm to 1.0 mm.

플랜지(6)의 영역에서 알루미늄의 재료 두께는 바람직하게는 0.1mm 내지 0.13mm, 특히 실질적으로 0.11mm 또는 0.12mm이다. The material thickness of aluminum in the region of the flange 6 is preferably between 0.1 mm and 0.13 mm, in particular substantially 0.11 mm or 0.12 mm.

명료함을 위해, 1회 제공량 캡슐(1)의 플랜지(6)와 밀봉 방식으로 맞물리는, 수용부 요소(21)의 주변 영역(23)은 도 3 내지 도 5에 도시되어 있지 않다. 주변 영역(23)은 밀봉 크림프(9)와 밀봉 방식으로 맞물리기 위한 밀봉 윤곽을 포함한다. 이를 위해, 밀봉 윤곽은 원주 방향으로 둘러싸는 함몰부, 및 이 함몰부에 인접하여 구성되고 마찬가지로 원주 방향으로 둘러싸는 밀봉 돌출부를 갖는다. 반경 방향(R)으로 보았을 때, 함몰부는 밀봉 돌출부의 외부 밀봉 돌출부 숄더가 함몰부의 내벽을 형성하도록 밀봉 돌출부의 외측에 배치된다. For the sake of clarity, the peripheral region 23 of the receptacle element 21 , which engages in a sealing manner with the flange 6 of the serving size capsule 1 , is not shown in FIGS. 3 to 5 . The peripheral region 23 comprises a sealing contour for engagement in a sealing manner with the sealing crimp 9 . For this purpose, the sealing contour has a circumferentially surrounding recess and a sealing protrusion configured adjacent to the recess and also circumferentially surrounding it. Viewed in the radial direction R, the depression is disposed outside the sealing projection such that the outer sealing projection shoulder of the sealing projection forms an inner wall of the depression.

도 2에 도시된 폐쇄 위치에서 밀봉 돌출부는 제1 플랜지 영역(18)에 맞물리는 반면, 밀봉 크림프(9)는 함몰부에 맞물린다. 그 결과 밀봉 돌출부 숄더와 내부 숄더(10) 사이의 반경 방향 단면에 접촉(16)이 구성된다. 이 접촉(16)은 바람직하게는 원주 방향으로 둘러싸는 방식으로 존재하고, 이러한 방식으로 플랜지(6)와 수용부 요소(21) 사이에 실제 밀봉을 형성하여, 음료 원료를 지나 브루잉 챔버(12)의 출구로 흐르는 추출 액체가 거의 없거나 전혀 없을 수 있다. 밀봉 돌출부의 정점은 선택적으로 제1 플랜지 영역(18)의 하위 측에 접촉하는 반면, 전이 평면(15)의 하위 측은 선택적으로 함몰부의 베이스에 접촉한다. In the closed position shown in FIG. 2 the sealing protrusion engages the first flange area 18 while the sealing crimp 9 engages the depression. As a result, a contact 16 is formed in the radial section between the sealing protrusion shoulder and the inner shoulder 10 . This contact 16 is preferably present in a circumferentially circumferential manner and in this way forms an actual seal between the flange 6 and the receiver element 21, passing the beverage material to the brewing chamber 12. ) may have little or no extraction liquid flowing into the outlet. The apex of the sealing protrusion selectively contacts the lower side of the first flange area 18 , while the lower side of the transition plane 15 selectively contacts the base of the depression.

밀봉 크림프(9)의 전술한 구성 및 크기는 브루잉 챔버(12)를 폐쇄할 때 및/또는 음료를 브루잉할 때 밀봉 크림프(9)가 크게 변형되지 않도록 한다. 밀봉은 주로 특히 밀봉 크림프(9)의 강성으로 인해 둘러싸는 접촉(16)이 상대적으로 강하게 힘을 받는 것에 의해 일어난다. The aforementioned construction and size of the sealing crimp 9 ensures that the sealing crimp 9 is not significantly deformed when closing the brewing chamber 12 and/or when brewing a beverage. Sealing mainly takes place by relatively strong force of the enclosing contact 16 , in particular due to the rigidity of the sealing crimp 9 .

다시 말해, 밀봉 크림프(9)는 브루잉 챔버(12)를 폐쇄할 때 및/또는 1회 제공량 캡슐(1)을 브루잉할 때 이 밀봉 크림프(9)가 제1 및/또는 제2 플랜지 영역(18, 19)에 수직인 높이(17)의 최대 30%, 바람직하게는 최대 20%, 특히 바람직하게는 최대 10%, 가장 특히 바람직하게는 최대 5%만큼만 변형되는 방식으로 구성된다. 특히, 이러한 방식으로 밀봉 크림프(9)는 제1 및/또는 제2 플랜지 영역(18, 19)에 수직으로 밀봉 크림프(9)에 작용하는 최대 100N의 힘을 받을 때 이 밀봉 크림프(9)가 제1 및/또는 제2 플랜지 영역(18)에 수직인 높이(17)의 최대 30%, 바람직하게는 최대 20%, 특히 바람직하게는 최대 10%, 가장 특히 바람직하게는 최대 5%만큼만 변형되는 방식으로 구성된다. 접촉(16)에 필요한 충분한 힘은 이러한 방식으로만 이용 가능할 수 있다. In other words, the sealing crimp 9 is applied when closing the brewing chamber 12 and/or when brewing the serving size capsule 1 . It is configured in such a way that it deforms only by at most 30%, preferably at most 20%, particularly preferably at most 10% and most particularly preferably at most 5% of the height 17 perpendicular to (18, 19). In particular, in this way the sealing crimp 9 is subjected to a force of up to 100 N acting on the sealing crimp 9 perpendicularly to the first and/or second flange areas 18 , 19 . deformed only by at most 30%, preferably at most 20%, particularly preferably at most 10%, most particularly preferably at most 5% of the height 17 perpendicular to the first and/or second flange area 18. composed in a way Sufficient force required for contact 16 may only be available in this way.

브루잉 챔버(12)를 폐쇄할 때 및/또는 1회 제공량 캡슐(1)을 브루잉할 때 밀봉 크림프(9)는 그 높이(17) 면에서 수직 방향(Y)으로 특히 최대 0.2mm, 바람직하게는 최대 0.15mm, 특히 바람직하게는 최대 0.1mm, 가장 특히 바람직하게는 최대 0.05mm까지 변하는 것을 생각할 수 있다. 그러나, 대안적으로, 밀봉 크림프(9)는 수직 방향(Y)이 아닌 반경 방향(R)으로만 변위된다. When closing the brewing chamber 12 and/or when brewing the serving size capsules 1, the sealing crimp 9 is preferably at most 0.2 mm in the vertical direction Y in terms of its height 17, preferably Preferably it is conceivable to vary up to 0.15 mm, particularly preferably up to 0.1 mm and most particularly preferably up to 0.05 mm. Alternatively, however, the sealing crimp 9 is displaced only in the radial direction R and not in the vertical direction Y.

그 결과 밀봉 크림프(9)는 바람직하게는 마찬가지로 또한 각각 반경 방향(R)으로 과도한 측방향 변위 또는 변형이 없는 방식으로 강성이도록 구성된다. 브루잉 챔버(12)를 폐쇄할 때 바람직하게는 1회 제공량 캡슐(1)의 중심 길이 방향 축(M)에 대해 이 밀봉 크림프(9)의 반경이 제1 및/또는 제2 플랜지 영역(18, 19)에 평행하게 최대 5%만큼만 변위되는 정도까지만 이 밀봉 크림프(9)가 제1 및/또는 제2 플랜지 영역(18, 19)에 평행하게 변형되거나 변위되어, 1회 제공량 캡슐(1)이 브루잉 후에 브루잉 챔버(12)로부터 쉽게 다시 회수될 수 있고, 밀봉 돌출부가 측방으로 기울어진 밀봉 크림프(9)에 의해 막히지 않도록 하는 방식으로 밀봉 크림프(9)가 구성되는 것이 제공된다. As a result, the sealing crimp 9 is preferably likewise configured to be rigid in such a way that there is no excessive lateral displacement or deformation in the respective radial direction R. When closing the brewing chamber 12, preferably the radius of this sealing crimp 9 relative to the central longitudinal axis M of the serving size capsule 1 is the first and/or second flange area 18. . It is provided that the sealing crimp 9 is configured in such a way that it can be easily retrieved back from the brewing chamber 12 after this brewing and that the sealing protrusion is not blocked by the laterally inclined sealing crimp 9 .

브루잉 챔버(12)를 폐쇄할 때 및/또는 1회 제공량 캡슐(1)을 브루잉할 때 바람직하게는 밀봉 크림프(9)의 팁, 이에 따라 밀봉 크림프(9)의 전이 영역(14)이 반경 방향(R)으로 최대 0.2mm, 바람직하게는 최대 0.15mm, 특히 바람직하게는 최대 0.1mm, 가장 특히 바람직하게는 최대 0.05mm만큼 변위되거나 변형되는, 밀봉 크림프(9)가 제공되는 것을 생각할 수 있다. When closing the brewing chamber 12 and/or when brewing the serving size capsule 1, preferably the tip of the sealing crimp 9, and thus the transition area 14 of the sealing crimp 9, is It is conceivable that a sealing crimp 9 is provided which is displaced or deformed in the radial direction R by at most 0.2 mm, preferably by at most 0.15 mm, particularly preferably by at most 0.1 mm and most particularly preferably by at most 0.05 mm. there is.

도 3에 숫자로 표시된 다른 치수는 바람직하게는 마찬가지로 본 발명에 필수적인 것으로 간주될 수 있다. The other dimensions indicated by numbers in FIG. 3 can preferably be regarded as essential to the present invention as well.

도 4에는 본 발명의 예시적인 추가 실시예에 따라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1회 제공량 캡슐(1)의 상세도가 도시되어 있다. 여기서 도 4는 밀봉 크림프(9)의 확대 단면도(도 3에서와 동일한 정렬, 따라서 왼쪽에는 캡슐 벽(7) 및 오른쪽에는 비드(8))를 도시한다. FIG. 4 shows a detailed view of the serving size capsule 1 shown in FIGS. 1 and 2 according to a further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ere FIG. 4 shows an enlarged cross-sectional view of the sealing crimp 9 (same alignment as in FIG. 3 , so capsule wall 7 on the left and bead 8 on the right).

이 실시예는 도 3과 관련하여 예시되고 설명된 실시예와 실질적으로 유사하므로, 앞의 모든 설명이 유사한 방식으로 적용된다. As this embodiment is substantially similar to the embodiment illustrated and described with respect to FIG. 3 , all of the foregoing descriptions apply in a similar manner.

그러나, 이와 달리, 전이 영역(14)은 만곡된 전이 영역으로서 구성되고, 직선의 편평화된 전이 평면(15)으로서 구성된 것이 아니다. 외부 숄더(11) 상의 직선 접촉 영역(20)은 0.5mm 내지 0.6mm, 특히 0.53mm의 길이를 갖는다. 내부 외부 숄더(10) 상의 직선 접촉 영역(16)은 0.4mm 내지 0.55mm, 특히 0.473mm의 길이를 갖는다. Alternatively, however, the transition region 14 is configured as a curved transition region and not as a straight flattened transition plane 15 . The straight contact area 20 on the outer shoulder 11 has a length of 0.5 mm to 0.6 mm, in particular 0.53 mm. The straight contact area 16 on the inner outer shoulder 10 has a length of 0.4 mm to 0.55 mm, in particular 0.473 mm.

내부 숄더(10)와 외부 숄더(11) 사이의 각도는 바람직하게는 5도 내지 15도, 특히 바람직하게는 8도 내지 12도, 가장 특히 바람직하게는 실질적으로 10도이다. The angle between the inner shoulder 10 and the outer shoulder 11 is preferably between 5 degrees and 15 degrees, particularly preferably between 8 degrees and 12 degrees, most particularly preferably substantially 10 degrees.

도 5에는 본 발명의 예시적인 추가 실시예에 따라 도 1 및 도 2에 예시된 1회 제공량 캡슐(1)의 상세도가 도시되어 있다. 여기서 도 5는 밀봉 크림프(9)의 확대 단면도(도 3 및 도 4에서와 동일한 정렬, 따라서 좌측에는 캡슐 벽(7) 및 우측에는 비드(8))를 도시한다.FIG. 5 shows a detailed view of the serving size capsule 1 illustrated in FIGS. 1 and 2 according to a further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ere FIG. 5 shows an enlarged cross-sectional view of the sealing crimp 9 (same arrangement as in FIGS. 3 and 4 , thus capsule wall 7 on the left and bead 8 on the right).

이 실시예는 도 4 및 도 5와 관련하여 예시되고 설명된 실시예와 실질적으로 유사하므로, 앞의 모든 설명이 유사한 방식으로 적용된다. As this embodiment is substantially similar to the embodiment illustrated and described with respect to FIGS. 4 and 5 , all of the foregoing descriptions apply in a similar manner.

이전에 논의된 치수는 이 실시예에서는 약간 다르며, 도면으로부터 도출될 수 있다. 그러나 각도(α, )는 동일하다. The previously discussed dimensions are slightly different in this embodiment and can be derived from the drawings. However, the angle (α, ) is the same.

여기에 예시된 실시예에 따르면, 캡슐 벽(7)과 제1 플랜지 영역(18) 사이의 전이부의 반경은 0.49mm 내지 0.51mm, 특히 0.50mm이다. According to the embodiment illustrated here, the radius of the transition between the capsule wall 7 and the first flange area 18 is between 0.49 mm and 0.51 mm, in particular 0.50 mm.

제1 플랜지 영역(18)은, 캡슐 뚜껑(4)이 플랜지(6)에 연결되고 특히 플랜지에 밀봉되는 제1 체결 면(100)을 포함한다. 그러나 추가적으로, 제2 플랜지 영역(19)은, 캡슐 뚜껑(4)이 플랜지(6)에 연결되고 특히 플랜지에 밀봉되는 제2 체결 면(200)을 또한 포함한다. 그 결과, 캡슐 뚜껑(4)은 본 발명에 따라 적어도 2개의 체결 면(100, 200)에서 플랜지(6)에 연결된다. 이 체결 면(100, 200)은 바람직하게는 이질적이며, 즉 특히 교차 없이 서로 상이하고, 제1 및 제2 플랜지 영역(18, 19), 이에 따라 밀봉 크림프(9)의 양측에 있는 플랜지 영역에 배치된다. The first flange area 18 comprises a first fastening surface 100 to which the capsule lid 4 is connected to the flange 6 and in particular to which it is sealed. In addition, however, the second flange area 19 also comprises a second fastening surface 200 to which the capsule lid 4 is connected to the flange 6 and in particular to which it is sealed. As a result, the capsule lid 4 is connected according to the invention to the flange 6 at at least two fastening faces 100 , 200 . These fastening faces 100 , 200 are preferably heterogeneous, that is to say they differ from each other, in particular without intersecting, in the first and second flange regions 18 , 19 , and thus in the flange regions on either side of the sealing crimp 9 . are placed

여기서 제1 및 제2 체결 면(100, 200)은 바람직하게는 실질적으로 환형이도록 구성된다. 여기에 예시된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르면, 여기서 환형은 실질적으로 동일한 직경을 갖는다. Here, the first and second fastening faces 100, 200 are preferably configured to be substantially annular.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illustrated herein, the annulus here has substantially the same diameter.

여기서 체결 면(100, 200)은 수평으로 그리고 실질적으로 플랜지 영역(18, 19)에 대응하는 높이에 배치된다. 그러나 대안적으로, 제1 플랜지 영역(18)과 제2 플랜지 영역(19)이 다른 높이에 있는 것도 가능하다. 이는 특히 제조 상의 이유로 가능하다. 이러한 방식으로, 제1 플랜지 영역(18)은 제2 플랜지 영역(19)보다 캡슐 베이스(5)로부터 0.020mm 내지 0.030mm, 특히 최대 0.025mm 더 낮게, 즉 더 작은 간격이 되도록 배치된다. The fastening faces 100 , 200 here are arranged horizontally and substantially at a height corresponding to the flange regions 18 , 19 . Alternatively, however, it is also possible that the first flange area 18 and the second flange area 19 are at different heights. This is particularly possible for manufacturing reasons. In this way, the first flange area 18 is arranged 0.020 to 0.030 mm, in particular at most 0.025 mm lower than the second flange area 19 from the capsule base 5, ie at a smaller distance.

또한 이 경우에, 이에 따라 특히 수평인 플랜지 영역(18, 19)이 상이한 높이인 경우에, 캡슐 뚜껑(4)은 제1 체결 면(100)뿐만 아니라 제2 체결 면(200)을 통해 플랜지(6)에 연결된다. Also in this case, the capsule lid 4 is thus flanged via the first fastening surface 100 as well as the second fastening surface 200, in particular if the horizontal flange regions 18, 19 are of different heights. 6) is connected to

제1 플랜지 영역(18)과 내부 숄더(10) 사이 그리고 제2 플랜지 영역(19)과 외부 숄더(11) 사이의 전이부에서의 반경은 0.10mm 내지 0.12mm, 특히 0.11mm인 반면, 내부 숄더(10)와 전이 영역(14)(여기서도 편평함)과 외부 숄더(11) 사이의 전이부에서의 반경은 바람직하게는 0.20mm 내지 0.22mm, 특히 0.21mm이다. 여기서 위에서 설명한 반경은 각 경우에 이미지에 대응하는 캡슐 뚜껑(4)의 반대쪽을 향하는 측에서 측정된다. 당업자라면 이해하는 바와 같이, 캡슐 뚜껑(4)을 향하는 측에서 관련 반경 면에서의 차이는 이 위치에서의 재료 두께, 따라서 여기서는 특히 0.11mm 또는 0.12mm에 있다. The radius at the transition between the first flange area 18 and the inner shoulder 10 and between the second flange area 19 and the outer shoulder 11 is between 0.10 mm and 0.12 mm, in particular 0.11 mm, while the inner shoulder The radius at the transition between 10 and the transition area 14 (also flat here) and the outer shoulder 11 is preferably between 0.20 mm and 0.22 mm, in particular 0.21 mm. Here, the radius described above is measured on the oppositely facing side of the capsule lid 4 corresponding to the image in each case. As will be understood by the person skilled in the art, the difference in terms of the relevant radius on the side facing the capsule lid 4 is in the material thickness at this location, therefore here in particular 0.11 mm or 0.12 mm.

제2 플랜지 영역(19)과 비드(8) 사이의 전이부는 바람직하게는 0.19mm 내지 0.21mm, 특히 0.20mm이다. The transition between the second flange area 19 and the bead 8 is preferably between 0.19 mm and 0.21 mm, in particular 0.20 mm.

이 실시예에 따른 밀봉 크림프(9)의 높이(17)는 제1 플랜지 영역의 영역에서 0.90mm 내지 0.98mm, 특히 0.90mm이고, 제2 플랜지 영역의 영역에서 1.00mm 내지 0.90mm, 특히 0.90mm이다. The height 17 of the sealing crimp 9 according to this embodiment is between 0.90 mm and 0.98 mm, in particular between 0.90 mm in the area of the first flange area and between 1.00 mm and 0.90 mm, in particular between 0.90 mm in the area of the second flange area. am.

비드(8)는 특히 1.20mm 내지 1.40mm, 특히 1.30mm의 수직 범위를 갖는다. The bead 8 has a vertical range, in particular between 1.20 mm and 1.40 mm, in particular 1.30 mm.

여기에 예시된 예에 따르면, 전이 평면(15)은 바람직하게는 0.10mm 내지 0.14mm, 특히 0.12mm의 반경 방향 범위를 갖는다. According to the example illustrated here, the transition plane 15 preferably has a radial extent of 0.10 mm to 0.14 mm, in particular 0.12 mm.

도 6에는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가열 밀봉 도구, 특히 제1 가열 밀봉 도구(24)가 도시되어 있다. 이러한 가열 밀봉 도구는 1회 제공량 캡슐(1)의 플랜지(6)에 캡슐 뚜껑(4)을 밀봉하는 역할을 한다. 6 shows a heat sealing tool, in particular a first heat sealing tool 24,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is heat seal tool serves to seal the capsule lid 4 to the flange 6 of the serving size capsule 1 .

여기서 특수 가열 밀봉 도구는 밀봉 크림프(9)의 양측에서 본 발명에 따라 밀봉을 달성하기 위한 필수 요구 사항이다. A special heat sealing tool is here an essential requirement to achieve sealing according to the invention on both sides of the sealing crimp 9 .

이러한 유형의 가열 밀봉 도구(24, 25)는 여기서 원칙적으로 이미 알려져 있으므로, 이로 인해 아래에서는 알려진 가열 밀봉 도구에 비해 특히 본 발명에 따른 1회 제공량 캡슐(1)의 차이점만을 논의한다. Heat-sealing tools 24 , 25 of this type are already known in principle here, and for this reason only the differences of the serving capsule 1 according to the invention in particular compared to known heat-sealing tools are discussed below.

여기서 가열 밀봉 도구(24)는 특히 표적화된 방식으로 열을 발생시켜 캡슐 뚜껑(4)과 플랜지(6)의 재료를 국부적으로 가열하여 둘 사이에 재료 일체형 연결을 야기하는 소노트로드(28)를 포함한다. 그 결과, 베이스 요소(2)와 캡슐 뚜껑(4) 사이의 유체 기밀 연결이 생성된다. 압력도 열과 함께 결정적인 역할을 하기 때문에, 가열 밀봉 도구(24)는 수용부 요소(26)를 포함하고, 수용부 요소는 제1 및/또는 제2 체결 면(100, 200)의 영역에서 적절한 카운터 홀딩 수단(27)에 의해 베이스 요소(2)와 플랜지(6)의 하위 측을 수용하고, 플랜지의 변형 및 그에 따른 1회 제공량 캡슐(1)의 결함 및/또는 캡슐 뚜껑(4)의 불완전한 밀봉이 발생하지 않도록 소노트로드(28)에 의해 가해지는 힘에 대항력을 제공한다. Here, the heat sealing tool 24 is a sonotrode 28 which generates heat in a particularly targeted manner to locally heat the material of the capsule lid 4 and the flange 6 resulting in a material-integrated connection between the two. include As a result, a fluid-tight connection between the base element 2 and the capsule lid 4 is created. Since pressure also plays a decisive role along with heat, the heat seal tool 24 includes a receptacle element 26, which in the area of the first and/or second mating face 100, 200 has an appropriate counter pressure. The base element 2 and the lower side of the flange 6 are accommodated by means of holding means 27, deformation of the flange and consequent defects of the serving size capsule 1 and/or incomplete sealing of the capsule lid 4. To prevent this from occurring, a counterforce is provided to the force applied by the sonotrode 28.

가열 밀봉 도구(24)는 이후 이미지와 관련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될 것이다. The heat seal tool 24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spect to images later.

본 발명의 측면에서 이제 밀봉 절차는 두 단계로 이루어지고, 제1 하위 단계에서 캡슐 뚜껑(4)은 처음에는 제2 플랜지 영역(19)에서만 제2 체결 면(200)을 따라 플랜지(6)에 연결되고, 제2 하위 단계에서, 캡슐 뚜껑(4)은 제1 플랜지 영역에서는 제1 체결 면(100)을 따라 그리고 제2 플랜지 영역(19)에서는 제2 체결 면(200)을 따라 플랜지(6)에 연결되는 것이 결정적이다. In the contex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ealing procedure now consists of two steps, in a first sub-step the capsule lid 4 is initially attached to the flange 6 along the second fastening surface 200 only in the second flange area 19 . connected, and in a second sub-step, the capsule lid 4 is flanged 6 along the first fastening surface 100 in the first flange area and along the second fastening surface 200 in the second flange area 19. ) is crucial.

여기서 제1 하위 단계는 특히 사전 밀봉에 해당하고, 즉, 제2 하위 단계에 비해 적어도 하나의 파라미터, 특히 밀봉 온도, 밀봉 시간 및/또는 밀봉력이 감소된 값으로 수행되는 밀봉 절차에 해당한다.The first sub-step here corresponds in particular to pre-sealing, ie to a sealing procedure in which at least one parameter, in particular sealing temperature, sealing time and/or sealing force, is carried out with reduced values compared to the second sub-step.

바람직하게는 200℃내지 220℃ 특히 210℃의 밀봉 온도, 바람직하게는 220ms 내지 280ms, 특히 250ms의 밀봉 시간, 및 바람직하게는 100N 내지 500N, 특히 300N(이는 바람직한 가열 밀봉 도구(24)에서 대략 2 bar의 밀봉 압력에 대응함)의 밀봉 압력의 조합이 특히 실험의 맥락에서 성공적인 것으로 입증되었다. A sealing temperature preferably of 200° C. to 220° C. in particular 210° C., a sealing time of preferably 220 ms to 280 ms, in particular 250 ms, and preferably 100 N to 500 N, especially 300 N (which is approximately 2 A combination of sealing pressures of 100 bar) has proven particularly successful in the context of experiments.

원칙적으로, 동일한 가열 밀봉 도구(24)로 두 개의 하위 단계를 수행하는 것이 가능하다. 여기서 예를 들어 선택적으로 하위 단계 사이에 변경을 수행하지 않고, 즉 동일한 요소이지만 변경된 파라미터로 동작하고/하거나, 소노트로드(28) 및/또는 수용부 요소(26)를 교체하는 것이 가능하다. In principle, it is possible to carry out the two sub-steps with the same heat sealing tool 24 . It is possible here, for example, to optionally carry out no changes between the sub-steps, ie to operate the same element but with changed parameters, and/or to replace the sonotrode 28 and/or the receptacle element 26.

대안적으로, 2개의 하위 단계는 상이한 가열 밀봉 도구, 여기서는 제1 가열 밀봉 도구(24)와 제2 가열 밀봉 도구(25)에서 수행된다. Alternatively, the two sub-steps are carried out in different heat sealing tools, here the first heat sealing tool 24 and the second heat sealing tool 25 .

이 실시예는 도 6 내지 도 15에 의해 순전히 예시적인 방식으로 설명될 것이다. 따라서, 여기서 제1 가열 밀봉 도구(24)의 소노트로드(28)의 외부 직경은 바람직하게는 34.0mm 내지 35.0mm, 특히 34.5mm이다. This embodiment will be explained in a purely illustrative manner by means of FIGS. 6 to 15 . Therefore, the outer diameter of the sonotrode 28 of the first heat sealing tool 24 here is preferably 34.0 mm to 35.0 mm, particularly 34.5 mm.

도 7에는 여기서 관련 영역에서 제1 가열 밀봉 도구(24)의 개략 상세도가 도시되어 있다. 알려진 가열 밀봉 도구에 비해 제1 가열 밀봉 도구(24)는 카운터 홀딩 수단(27)이 상위 면을 통해 제1 플랜지 영역(18)과 제2 플랜지 영역(19) 아래에 각각 놓이는 2개의 돌출 영역을 갖는다는 점에서 다르다. 7 shows a schematic detail of the first heat sealing tool 24 in the region here relevant. Compared to known heat sealing tools, the first heat sealing tool 24 has two protruding areas through which the counter holding means 27 lie under the first flange area 18 and the second flange area 19 respectively through the upper surface. It is different in that it has

카운터 홀딩 수단(27)은 여기서 하나의 조각 또는 다수의 조각으로 제공될 수 있다. 카운터 홀딩 수단(27)은 여기서 특히 2개의 플런저를 포함한다. The counter holding means 27 can here be provided in one piece or in multiple pieces. The counter holding means 27 here comprises in particular two plungers.

여기서 도 5와 관련하여 설명된 바와 같이 높이가 다른 2개의 플런저가 1회 제공량 캡슐(1)에 사용될 때 최상의 밀봉 결과가 달성된다는 것이 놀랍게도 입증되었다. 내부 플런저, 이에 따라 제1 플랜지 영역(18)과 제1 체결 면(100)에 할당된 플런저는 특히 여기서 제2 플랜지 영역(19)과 제2 체결 면(200)에 할당된 외부 플런저보다 0.05mm 내지 0.25mm, 바람직하게는 0.10mm 내지 0.20mm, 특히 0.15mm만큼 더 높다. 명료함을 위해, 이것은 축척에 맞지 않는 과장된 방식으로 여기에 명확히 예시되어 있다. 두 플런저는 제1 플랜지 영역(18) 및 제2 플랜지 영역(19)과 접촉하여 제1 및 제2 체결 면(100, 200)을 형성하는 상위 면을 갖는다. It has been surprisingly demonstrated that the best sealing results are achieved when two plungers of different heights are used in the serving size capsule 1 as described herein with respect to FIG. 5 . The inner plunger, and thus the plunger assigned to the first flange area 18 and the first fastening surface 100, in particular here, is 0.05 mm larger than the outer plunger allocated to the second flange area 19 and the second fastening surface 200. to 0.25 mm, preferably 0.10 mm to 0.20 mm, in particular as high as 0.15 mm. For clarity, this is clearly illustrated here in an exaggerated way not to scale. Both plungers have upper surfaces that contact the first flange area 18 and the second flange area 19 to form first and second fastening surfaces 100 , 200 .

카운터 홀딩 수단(27)은 여기서 높이가 가변적이거나 고정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The counter holding means 27 can here be arranged with a variable or fixed height.

나아가, 본 경우에 제1 가열 밀봉 도구(24)는 소노트로드(28)의 중심에 선택적인 방열 수단(29)을 갖는다. 이것은 여기서 세라믹으로 제조된 삽입물이며, 삽입물의 직경은 이 방열 수단(29)이 1회 제공량 캡슐(1)의 내부 영역에서 캡슐 뚜껑(4)을 덮어서 공동(3) 위에 있는 방식으로 선택된다. Furthermore, in this case, the first heat sealing tool 24 has an optional heat dissipation means 29 at the center of the sonotrode 28. This is an insert here made of ceramic, the diameter of the insert being selected in such a way that this heat dissipation means 29 is above the cavity 3 by covering the capsule lid 4 in the inner region of the serving size capsule 1 .

방열 수단(29)은 열이 이 영역에서 음료 원료 및/또는 캡슐 뚜껑(4)을 손상시키지 않는 것을 보장하며, 이 열은 2개의 상이한 밀봉 절차에 의해 더 크게 발생한다. The heat dissipation means 29 ensure that the heat does not damage the beverage ingredient and/or the capsule lid 4 in this area, which heat is generated to a greater extent by two different sealing procedures.

밀봉은 제1 하위 단계에서 제2 체결 면(200)에 의해서만 이루어지기 때문에, 제1 가열 밀봉 도구(24)의 수용부 요소(26)를 위한 내부 플런저는 선택적이다. An internal plunger for the receptacle element 26 of the first heat sealing tool 24 is optional, since the sealing is effected only by the second fastening surface 200 in the first sub-step.

이제 도 8에는 1차 밀봉 절차(사후 밀봉이라고도 함)를 수행하는 제2 가열 밀봉 도구(25)가 도시되어 있다. 여기서 제2 가열 밀봉 도구(25)는 실질적으로 제1 가열 밀봉 도구(24)에 대응하므로, 도 6 및 도 7과 관련된 설명을 참조한다. 이것은 도 8뿐만 아니라 도 9에도 적용된다. Now shown in FIG. 8 is a second heat seal tool 25 performing a primary sealing procedure (also referred to as post sealing). Here, since the second heat sealing tool 25 substantially corresponds to the first heat sealing tool 24, reference is made to the descriptions related to FIGS. 6 and 7 . This applies to FIG. 8 as well as FIG. 9 .

여기서 제2 가열 밀봉 도구(25)의 소노트로드(28)는 바람직하게는 제1 가열 밀봉 도구(24)의 소노트로드(28)보다 더 큰 직경, 특히 바람직하게는 34.3mm 내지 35.2mm, 특히 34.8mm를 갖는다. Here, the sonotrode 28 of the second heat-seal tool 25 preferably has a larger diameter than the sonotrode 28 of the first heat-seal tool 24, particularly preferably 34.3 mm to 35.2 mm, In particular, it has 34.8 mm.

이제 제2 하위 단계의 밀봉 절차는 값이 더 높은 적어도 하나의 파라미터에서 수행되며, 여기서 바람직하게는 200℃내지 220℃ 특히 210℃의 밀봉 온도, 바람직하게는 420ms 내지 480ms, 특히 450ms의 밀봉 시간, 및 바람직하게는 700N 내지 1100N, 특히 900N(이는 제2 가열 밀봉 도구(25)의 소노트로드(28)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약 6 bar의 밀봉 압력에 대응함)의 밀봉 압력의 조합이 특히 성공적인 것으로 입증되었다. Now the sealing procedure of the second sub-step is carried out at at least one parameter of a higher value, wherein a sealing temperature is preferably between 200° C. and 220° C. in particular 210° C., a sealing time preferably between 420 ms and 480 ms, in particular 450 ms, and a sealing pressure preferably of 700 N to 1100 N, in particular 900 N (which corresponds to a sealing pressure of about 6 bar in the preferred embodiment of the sonotrode 28 of the second heat sealing tool 25) has been found to be particularly successful. Proven.

이미 언급한 바와 같이, 이 제2 하위 단계에서 캡슐 뚜껑은 구체적으로 제1 체결 면(100)뿐만 아니라 제2 체결 면(200)을 따라 플랜지(6)에 고정식으로 그리고 특히 유체 기밀 및 압력 기밀 방식으로 체결된다. As already mentioned, in this second sub-step the capsule lid is fixed in particular to the flange 6 along the first fastening surface 100 as well as the second fastening surface 200 and in particular in a fluid-tight and pressure-tight manner. is concluded with

도 10에는 제1 및/또는 제2 가열 밀봉 도구(24, 25)의 사시 단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여기서 도 6 내지 도 9와 관련된 위의 설명을 참조한다. 10 shows a perspective sectional view of the first and/or second heat sealing tools 24 and 25 . Reference is made here to the above description in relation to FIGS. 6 to 9 .

도 10에서 카운터 홀딩 수단(27)이 제1 및 제2 플랜지 영역(18, 19)의 영역에서만 대항력을 제공한다는 것을 매우 명확히 볼 수 있다. 수용부 요소(26)는 캡슐 베이스(5)의 영역에서와 같이 밀봉 크림프(9)의 영역에서 베이스 요소(2)로부터 명확히 이격되어 있다. In FIG. 10 it can be seen very clearly that the counter holding means 27 provides a counter force only in the area of the first and second flange areas 18 , 19 . The receptacle element 26 is clearly spaced from the base element 2 in the region of the sealing crimp 9 as in the region of the capsule base 5 .

나아가 도 10에서 여기서 예시된 실시예에 따라 특히 방열 수단(29)에 대한 소노트로드(28)의 구성을 볼 수 있다. Furthermore, in FIG. 10 one can see the configuration of the sonotrode 28 for the heat dissipation means 29 in particular according to the embodiment illustrated here.

도 11에는 도 7 및 도 9의 예시와 유사한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가열 밀봉 도구(24, 25)의 개략 상세 단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이에 대해 앞의 설명을 참조한다. 예로서, 홈, 현재 4개의 홈이 여기서 1회 제공량 캡슐(1)의 캡슐 벽(7)에서 볼 수 있다. 11 shows a schematic detailed cross-sectional view of a heat sealing tool 24, 25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imilar to the illustration of FIGS. 7 and 9 . See the previous explanation on this. As an example, grooves, currently four grooves, can be seen here in the capsule wall 7 of the serving size capsule 1.

도 12 및 도 13은 각각 본 발명의 이전에 설명한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수용부 요소(26) 또는 제1 가열 밀봉 도구(24)의 소노트로드(28)의 기술 도면을 도시한다. 수용부 요소(26)의 외부 직경은 바람직하게는 실질적으로 35mm이고, 높이는 바람직하게는 36mm이다. 12 and 13 each show a technical drawing of a receptacle element 26 or a sonotrode 28 of a first heat sealing tool 24 according to a previously described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outer diameter of the receptacle element 26 is preferably substantially 35 mm and the height is preferably 36 mm.

여기에 예시된 실시예에 따른 소노트로드(28)는 특히 34.5mm의 외부 직경을 갖고, 여기서 소노트로드(28)의 방열 수단(29)은 29.7mm의 외부 직경을 갖는다. The sonotrode 28 according to the embodiment illustrated here in particular has an outer diameter of 34.5 mm, wherein the heat dissipation means 29 of the sonotrode 28 has an outer diameter of 29.7 mm.

도 14 및 도 15는 본 발명의 이전에 설명한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수용부 요소(26) 또는 제2 가열 밀봉 도구(25)의 소노트로드(28)의 기술 도면 및 카운터 홀딩 수단(27)의 상세도를 도시한다. 상세도에는 플런저 간의 높이 차이가 도시되어 있으며, 여기서 제1 플랜지 영역(18)에 할당된 내부 플런저는 외부 플런저보다 0.15mm 더 높이 위치된다. 14 and 15 are technical drawings of the sonotrode 28 of the receptacle element 26 or second heat sealing tool 25 and the counter holding means 27 according to the previously described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hows a detailed view of The detailed view shows the difference in height between the plungers, where the inner plunger assigned to the first flange area 18 is positioned 0.15 mm higher than the outer plunger.

수용부 요소(26)의 외부 직경은 바람직하게는 실질적으로 35mm이고, 높이는 바람직하게는 36.15mm이다. 여기에 예시된 실시예에 따른 소노트로드(28)는 특히 34.8mm의 외부 직경을 갖고, 여기서 소노트로드(28)의 방열 수단(29)은 29.7mm의 외부 직경을 갖는다. The outer diameter of the receptacle element 26 is preferably substantially 35 mm and the height is preferably 36.15 mm. The sonotrode 28 according to the embodiment illustrated here in particular has an outer diameter of 34.8 mm, wherein the heat dissipation means 29 of the sonotrode 28 has an outer diameter of 29.7 mm.

도 16에는 본 발명의 다른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1회 제공량 캡슐(1)의 개략 상세 단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16에 도시된 실시예는 여기서 실질적으로 도 3 내지 도 5와 관련하여 설명된 실시예, 특히 도 5에 예시된 실시예에 대응하므로, 각각의 설명을 참조한다. 16 shows a schematic detailed cross-sectional view of a serving capsule 1 according to another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the embodiment shown in FIG. 16 corresponds here substantially to the embodiment described with respect to FIGS. 3 to 5 , particularly the embodiment illustrated in FIG. 5 , reference is made to the respective descriptions.

도 16은 특히 치수 및/또는 관련 공차 면에서 도 5와 다르다. 예시된 실시예에 따른 이후의 치수는 여기서 왼쪽에서 오른쪽으로 이미지로부터 도출될 수 있다. 캡슐 벽(7)으로부터 캡슐 뚜껑(4) 측에 있는 제1 플랜지 영역(18)으로의 전이부는 바람직하게는 0.30mm 내지 0.50mm의 반경을 갖는다. 제1 플랜지 영역(18)과 특히 캡슐 뚜껑(4)의 반대쪽을 향하는 측에 있는 내부 숄더(10) 사이의 전이부는 바람직하게는 0.11mm 내지 0.36mm의 반경을 갖는다. 따라서 여기서 전이 평면(15)이기도 한 전이 영역(14) 사이의 밀봉 크림프(9)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특히 길이가 0.12mm인 편평한 범위를 갖고, 제1 플랜지 영역(18)은 바람직하게는 0.82mm 내지 0.90mm의 높이를 갖는다. Fig. 16 differs from Fig. 5, particularly in terms of dimensions and/or related tolerances. Subsequent dimensions according to the illustrated embodiment can be derived here from the image from left to right. The transition from the capsule wall 7 to the first flange area 18 on the side of the capsule lid 4 preferably has a radius between 0.30 mm and 0.50 mm. The transition between the first flange area 18 and the inner shoulder 10 , especially on the opposite side of the capsule lid 4 , preferably has a radius between 0.11 mm and 0.36 mm. Thus, the sealing crimp 9 between the transition regions 14, here also the transition plane 15, at least partially has a flat range, in particular with a length of 0.12 mm, and the first flange region 18 is preferably between 0.82 mm and 0.82 mm. It has a height of 0.90 mm.

내부 숄더(10)로부터 특히 캡슐 뚜껑(4)의 반대쪽을 향하는 측에 있는 전이 평면(15)으로의 전이부는 바람직하게는 0.23mm 내지 0.33mm의 반경을 갖는다. 밀봉 크림프(9)의 가상 팁과 연직선 사이에 5°의 각도(α)가 제공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것은 제1 플랜지 영역(18)의 수평 부분과 내부 숄더(10) 사이의 각도 85°에 대응한다. The transition from the inner shoulder 10 to the transition plane 15, especially on the opposite side of the capsule lid 4, preferably has a radius between 0.23 mm and 0.33 mm. An angle α of 5° is preferably provided between the imaginary tip of the sealing crimp 9 and the plumb line. This corresponds to an angle of 85° between the horizontal part of the first flange area 18 and the inner shoulder 10 .

여기에도 밀봉 크림프(9)는 특히 바람직하게는 대칭 구조이다. 이러한 방식으로, 밀봉 크림프(9)의 팁의 가상 연장선에서 가상 내부 각도는 10°이다. 나아가, 전이 평면(15)으로부터 특히 캡슐 뚜껑(4)의 반대쪽을 향하는 측에 있는 외부 숄더(11)로의 전이부는 바람직하게는 0.23mm 내지 0.33mm의 반경을 갖는다. 외부 숄더(11)의 직선 부분과 제2 플랜지 영역(19)의 수평 부분 사이의 각도는 바람직하게는 85°이다. 외부 숄더(11)와 특히 캡슐 뚜껑(4)의 반대쪽을 향하는 측에 있는 제2 플랜지 영역(19) 사이의 전이부는 바람직하게는 0.11mm 내지 0.36mm의 반경을 갖는다. 전이 평면(15)과 제2 플랜지 영역(19) 사이의 밀봉 크림프(9)는 바람직하게는 0.90mm 내지 1.00mm의 높이를 갖는다. Here too, the sealing crimp 9 is particularly preferably symmetrical. In this way, the imaginary internal angle at the imaginary extension of the tip of the sealing crimp 9 is 10°. Furthermore, the transition from the transition plane 15 to the outer shoulder 11, in particular on the opposite side of the capsule lid 4, preferably has a radius between 0.23 mm and 0.33 mm. The angle between the straight part of the outer shoulder 11 and the horizontal part of the second flange area 19 is preferably 85°. The transition between the outer shoulder 11 and the second flange area 19 in particular on the opposite side of the capsule lid 4 preferably has a radius between 0.11 mm and 0.36 mm. The sealing crimp 9 between the transition plane 15 and the second flange area 19 preferably has a height of 0.90 mm to 1.00 mm.

당업자라면 공차 내에서 제1 플랜지 영역(18)과 제2 플랜지 영역(19)이 이에 따라 바람직하게는 수평면에 놓이지만 공차로 인해 또한 현재 최대 0.18mm의 약간의 수평 오프셋이 있을 수 있고, 즉, 그 결과 특히 재료 두께보다 약간 더 클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Within tolerances the first flange section 18 and the second flange section 19 thus lie preferably in a horizontal plane, but due to the tolerances there may also be slight horizontal offsets, currently up to 0.18 mm, ie, It will be appreciated that the result may be slightly greater than the material thickness in particular.

제2 플랜지 영역(19)과 비드(8) 사이의 전이부는 바람직하게는 0.20mm 내지 0.45mm의 반경을 갖고, 여기서 예시된 실시예에 따른 비드(8)는 대략 1mm의 반경 방향 범위, 및 바람직하게는 1.25mm 내지 1.45mm, 특히 1.35mm의 전체 높이의 수직 범위를 갖는다. The transition between the second flange area 19 and the bead 8 preferably has a radius of 0.20 mm to 0.45 mm, wherein the bead 8 according to the illustrated embodiment has a radial range of approximately 1 mm, and preferably Preferably it has a vertical range of total height from 1.25 mm to 1.45 mm, in particular 1.35 mm.

1: 1회 제공량 캡슐
2: 베이스 요소
3: 공동
4: 캡슐 뚜껑
5: 캡슐 베이스
6: 플랜지
7: 캡슐 벽
8: 비드
9: 밀봉 크림프
10: 내부 숄더
11: 외부 숄더
12: 브루잉 챔버
13: 음료 제조 기계
14: 전이 영역
15: 전이 평면
16: 접촉 영역
17: 밀봉 크림프의 높이
18: 제1 플랜지 영역
19: 제2 플랜지 영역
20: 숄더 부분
21: 수용부 요소
22: 폐쇄 요소
23: 주변 영역
24: 제1 가열 밀봉 도구
25: 제2 가열 밀봉 도구
26: 가열 밀봉 도구의 수용부 요소
27: 카운터 홀딩 수단
28: 소노트로드
29: 방열 수단
100: 제1 체결 면
200: 제2 체결 면
α: 각도
β: 각도
R: 반경 방향
Y: 수직 방향
M: 중심 길이 방향 축
1: Serving Capsules
2: base element
3: joint
4: capsule lid
5: capsule base
6: Flange
7: capsule wall
8: bead
9: sealing crimp
10: inner shoulder
11: outer shoulder
12: brewing chamber
13: beverage making machine
14: transition area
15: transition plane
16: contact area
17: height of sealing crimp
18: first flange area
19: second flange area
20: shoulder portion
21: receptacle element
22: closing element
23: peripheral area
24: first heat sealing tool
25: second heat sealing tool
26 Receptacle element of heat sealing tool
27: counter holding means
28: Sonotrode
29 heat dissipation means
100: first fastening surface
200: second fastening surface
α: angle
β: angle
R: radial direction
Y: vertical direction
M: central longitudinal axis

Claims (24)

음료 제조 기계(13)의 브루잉 챔버(brewing chamber)(12)에서 음료를 제조하기 위한 1회 제공량 캡슐(single serve capsule)(1)로서, 상기 1회 제공량 캡슐(1)은 음료 원료를 수용하기 위한 공동(3)을 갖는 베이스 요소(2), 및 상기 공동(3)을 폐쇄하는 캡슐 뚜껑(4)을 갖고, 상기 베이스 요소(2)는 캡슐 베이스(5), 둘러싸는 플랜지(6), 및 상기 캡슐 베이스(5)와 상기 둘러싸는 플랜지(6) 사이에서 연장되는 캡슐 벽(7)을 포함하고, 상기 플랜지(6)는 상기 캡슐 뚜껑(4)의 반대쪽을 향하는 밀봉 크림프(sealing crimp)(9)의 형태로 상기 플랜지(6)와 일체로 구성되는 밀봉 요소를 갖고, 상기 밀봉 크림프(9)는 내부 숄더(10)와 외부 숄더(11)를 포함하고, 상기 플랜지(6)는 상기 캡슐 벽(7)과 상기 내부 숄더(10) 사이에 제1 플랜지 영역(18)을 갖고, 상기 플랜지(6)의 외부 자유 단부와 상기 외부 숄더(11) 사이에 제2 플랜지 영역(19)을 갖고, 상기 캡슐 뚜껑(4)은 제1 둘러싸는 체결 면(100)을 따라 상기 제1 플랜지 영역(18)에 체결되고, 제2 둘러싸는 체결 면(200)을 따라 상기 제2 플랜지 영역(19)에 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1회 제공량 캡슐. A single serve capsule (1) for preparing a beverage in a brewing chamber (12) of a beverage preparation machine (13), wherein the single serve capsule (1) accommodates the beverage ingredients. a base element (2) having a cavity (3) for a capsule base (2) and a capsule lid (4) closing the cavity (3), the base element (2) having a capsule base (5) and a surrounding flange (6) , and a capsule wall (7) extending between the capsule base (5) and the surrounding flange (6), the flange (6) having a sealing crimp facing away from the capsule lid (4). ) (9), the sealing crimp (9) comprises an inner shoulder (10) and an outer shoulder (11), the flange (6) a first flange area 18 between the capsule wall 7 and the inner shoulder 10 and a second flange area 19 between the outer free end of the flange 6 and the outer shoulder 11 The capsule lid 4 is fastened to the first flange region 18 along the first surrounding fastening surface 100, and the second flange region along the second surrounding fastening surface 200 ( 19) A serving size capsule, characterized in that fastened to.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플랜지(6)의 외부 자유 단부는 상기 외부 자유 단부가 둘러싸는 비드(bead)(8)를 형성하는 방식으로 감기고, 특히 펼쳐지고(flared), 상기 플랜지(6)에 대해 상기 비드(8)는 특히 바람직하게는 상기 플랜지(6)의 양쪽에서 바람직하게는 0보다 큰 수직 범위를 갖고, 상기 캡슐 뚜껑(4)의 반대쪽을 향하는 플랜지(6) 측에 있는 상기 비드(8)의 수직 범위는 매우 특히 바람직하게는 상기 밀봉 크림프(9)의 수직 범위보다 작고/작거나, 상기 캡슐 뚜껑(4)을 향하는 플랜지(6) 측에 있는 상기 비드(8)의 수직 범위는 상기 캡슐 뚜껑(4)의 반대쪽을 향하는 플랜지(6) 측에서보다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1회 제공량 캡슐. 2.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outer free end of the flange (6) is wound, in particular flared, in such a way as to form a bead (8) around which the outer free end is surrounded, relative to the flange (6). The bead 8 particularly preferably has a vertical extent, preferably greater than zero, on both sides of the flange 6 and is on the side of the flange 6 facing away from the capsule lid 4 . ) is very particularly preferably smaller than the vertical extent of the sealing crimp 9 and/or the vertical extent of the bead 8 on the side of the flange 6 facing the capsule lid 4 is Serving size capsules, characterized in that they are smaller on the side of the flange (6) facing away from the capsule lid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플랜지 영역(18)과 상기 제2 플랜지 영역(19)을 통해 이어지는 수평면에 대해 상기 내부 숄더(10)와 상기 외부 숄더(11)는 80도 초과 내지 90도 미만, 바람직하게는 81도 내지 89도, 특히 바람직하게는 83도 내지 87도, 가장 특히 바람직하게는 84도 내지 86도, 특히 실질적으로 85도의 각도(α, β)로 정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1회 제공량 캡슐(1). 3.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2, wherein the inner shoulder (10) and the outer shoulder (11) are at an angle greater than 80 degrees to a horizontal plane running through the first flange area (18) and the second flange area (19). to less than 90 degrees, preferably between 81 degrees and 89 degrees, particularly preferably between 83 degrees and 87 degrees, most particularly preferably between 84 degrees and 86 degrees, especially substantially 85 degrees. Characterized by the serving size capsule (1).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체결 면(100)과 상기 제2 체결 면(200)은 각각 실질적으로 수평 범위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1회 제공량 캡슐(1).4. Serving capsule (1)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3, characterized in that the first engaging surface (100) and the second engaging surface (200) each have a substantially horizontal extent. .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체결 면(100)과 상기 제2 체결 면(200)은 서로 수직으로 이격되어 있고, 상기 제1 체결 면(100)은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2 체결 면(200)보다 상기 캡슐 베이스(5)로부터 더 작은 수직 간격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1회 제공량 캡슐(1). 5.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4, wherein the first fastening surface (100) and the second fastening surface (200) are vertically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nd the first fastening surface (100) is preferably A serving size capsule (1), characterized in that it has a smaller vertical distance from the capsule base (5) than the second fastening surface (200).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 면(100, 200) 사이의 수직 간격은 상기 제1 및/또는 상기 제2 체결 면(100, 200)의 영역에서의 상기 플랜지(6)의 두께의 3배 미만이고, 바람직하게는 0.35mm 미만, 특히 바람직하게는 0.30mm 미만, 가장 바람직하게는 0.25mm 미만, 보다 더 바람직하게는 0.20mm 미만, 특히 최대 0.018mm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1회 제공량 캡슐(1).6.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5, wherein the vertical spacing between the fastening surfaces (100, 200) is less than three times the thickness of the flange (6) in the area of the first and/or second fastening surfaces (100, 200). , preferably less than 0.35 mm, particularly preferably less than 0.30 mm, most preferably less than 0.25 mm, even more preferably less than 0.20 mm, in particular at most 0.018 mm. .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체결 면(100)과 상기 제2 체결 면(200)은 상기 1회 제공량 캡슐의 공동(3)과, 상기 캡슐 뚜껑(4)과 상기 밀봉 크림프(9) 사이에 존재하는 공동 사이에 유체 연결이 없는 방식으로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1회 제공량 캡슐(1).7.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6, wherein the first fastening surface (100) and the second fastening surface (200) are connected to the cavity (3) of the serving size capsule and to the capsule lid (4). A single serving capsule (1), characterized in that it is provided in such a way that there is no fluid connection between the cavity existing between the capsule and the sealing crimp (9).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 숄더(10)와 상기 외부 숄더(11)는 서로 대칭이 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1회 제공량 캡슐(1).8. Serving capsule (1)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7, characterized in that the inner shoulder (10) and the outer shoulder (11) are configured to be symmetrical to each other.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전이 영역(14)이 상기 내부 숄더(10)와 상기 외부 숄더(11) 사이에서 연장되고, 상기 전이 영역(14)은 바람직하게는 만곡되도록 구성되거나, 또는 상기 제1 플랜지 영역(18) 및/또는 상기 제2 플랜지 영역(19)에 평행하게 연장되는 전이 평면(15)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1회 제공량 캡슐(1).9. 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a transition region (14) extends between the inner shoulder (10) and the outer shoulder (11), such that the transition region (14) is preferably curved. Serving capsule (1),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or has a transitional plane (15) extending parallel to said first flange area (18) and/or said second flange area (19).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전이 영역(14)은 반경 방향으로 0.05mm 내지 0.20mm, 바람직하게는 0.07mm 내지 0.17mm, 특히 바람직하게는 0.10mm 내지 0.14mm, 특히 0.12mm의 범위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1회 제공량 캡슐(1).15.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4, characterized in that the transition area (14) has a radial range from 0.05 mm to 0.20 mm, preferably from 0.07 mm to 0.17 mm, particularly preferably from 0.10 mm to 0.14 mm, in particular from 0.12 mm. Serving Size Capsule (1). 제1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요소(2)는 일체형으로 알루미늄으로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1회 제공량 캡슐(1).11. Serving capsule (1)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10, characterized in that the base element (2) is integrally made of aluminium. 제1항 내지 제1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1회 제공량 캡슐(1)은 상기 캡슐 베이스(5)의 영역에 필터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1회 제공량 캡슐(1).12 . Serving capsule ( 1 ) according to claim 1 , characterized in that the serving capsule ( 1 ) has a filter in the region of the capsule base ( 5 ). 음료 제조 기계(13) 및 제1항 내지 제12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1회 제공량 캡슐(1)을 갖는 음료 제조 시스템으로서, 상기 음료 제조 기계(13)는 제1 브루잉 챔버 부분과 제2 브루잉 챔버 부분을 갖는 브루잉 유닛을 갖고, 상기 제1 및/또는 상기 제2 브루잉 챔버 부분은 상기 제1 및 상기 제2 브루잉 챔버 부분이 폐쇄된 브루잉 챔버(12)를 형성하는 수렴 위치와, 상기 제1 및 상기 제2 브루잉 챔버 부분이 1회 제공량 캡슐(1)을 삽입하거나 배출하기 위해 상호 이격되어 있는 개방 위치 사이에서 다른 브루잉 챔버 부분에 대해 이동 가능하고, 상기 제1 브루잉 챔버 부분은 상기 1회 제공량 캡슐(1)을 적어도 부분적으로 수용하기 위한 수용부 요소(21)를 포함하고, 상기 제2 브루잉 챔버 부분은 상기 수용부 요소(21)를 위한 폐쇄 요소(22)를 포함하고, 상기 폐쇄 위치에서 상기 1회 제공량 캡슐(1)의 플랜지(6)는 상기 수용부 요소(21)의 주변 영역(23)과 상기 폐쇄 요소(22) 사이에 형상 맞춤 및 밀봉 방식으로 수용되는, 시스템. 13. A beverage preparation system having a beverage preparation machine (13) and a serving size capsule (1)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12, said beverage preparation machine (13) comprising a first brewing chamber part and 2 brewing chamber portions, wherein the first and/or second brewing chamber portions form a brewing chamber (12) in which the first and second brewing chamber portions are closed. is movable relative to the other brewing chamber parts between a converged position and an open position in which the first and second brewing chamber parts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for inserting or ejecting the serving size capsule (1); One brewing chamber part comprises a receptacle element (21) for at least partially receiving the serving size capsule (1), and the second brewing chamber part comprises a closing element for the receptacle element (21). (22), wherein in the closed position the flange (6) of the serving size capsule (1) forms a form fit between the peripheral area (23) of the receptacle element (21) and the closing element (22) and A system that is housed in a sealed manner.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밀봉 크림프(9)와 밀봉 방식으로 맞물리기 위한 밀봉 윤곽이 상기 수용부 요소(21)의 주변 영역(23)에 구성되고, 상기 밀봉 윤곽은 둘러싸는 함몰부, 및 상기 함몰부에 인접하여 구성된 둘러싸는 밀봉 돌출부를 포함하고, 상기 함몰부는 반경 방향(R)으로 바람직하게는 상기 밀봉 돌출부의 외측에 배치되고, 외부 밀봉 돌출부 숄더는 상기 함몰부의 내벽을 형성하고/하거나, 상기 폐쇄 위치에서 상기 밀봉 돌출부는 상기 제1 플랜지 영역(18)과 맞물리고, 상기 밀봉 크림프(9)는 반경 방향 단면에서 내부 숄더(10)와 함께 상기 밀봉 돌출부 숄더가 선형 접촉(16)을 구성하는 방식으로 상기 함몰부와 맞물리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14.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3, wherein a sealing contour for engagement in a sealing manner with the sealing crimp (9) is configured in the peripheral region (23) of the receptacle element (21), the sealing contour comprising a surrounding depression, and the an enclosing sealing protrusion configured adjacent to the depression, the depression being arranged in a radial direction R, preferably outside the sealing protrusion, the outer sealing protrusion shoulder forming an inner wall of the depression; In the closed position the sealing lug engages the first flange area 18 and the sealing crimp 9 makes a linear contact 16 of the sealing lug shoulder with the inner shoulder 10 in radial cross section. The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engaged with the recessed portion in such a way. 제1항 내지 제12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1회 제공량 캡슐을 제조하는 방법으로서, 제1 단계에서 캡슐 베이스(5), 둘러싸는 플랜지(6), 및 상기 캡슐 베이스(5)와 상기 둘러싸는 플랜지(6) 사이에서 연장되는 캡슐 벽(7)을 갖는 베이스 요소(2)가 생성되고, 제2 단계 또는 상기 제1 단계에서 밀봉 크림프(9)가 상기 플랜지(6)에 몰딩되고, 제3 단계에서 상기 베이스 요소(2)의 공동(3)은 적어도 음료 원료로 충전되고, 제4 단계에서 상기 베이스 요소(2)는 캡슐 뚜껑(4)으로 폐쇄되고, 상기 캡슐 뚜껑(4)은 제1 체결 면(100)과 제2 체결 면(200)을 따라 상기 플랜지(6)에 체결되고, 특히 밀봉되는, 방법. 13. Method for producing a serving size capsule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12, characterized in that in a first step a capsule base (5), a surrounding flange (6) and the capsule base (5) and the surrounding A base element 2 with a capsule wall 7 extending between the flanges 6 is created, in a second step or in the first step a sealing crimp 9 is molded to said flanges 6, In step 3, the cavity 3 of the base element 2 is filled with at least a beverage ingredient, and in a fourth step, the base element 2 is closed with a capsule lid 4, which is The method is fastened to the flange (6) along a first fastening surface (100) and a second fastening surface (200), in particular sealed.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제4 단계는 적어도 하나의 제1 하위 단계 및 하나의 제2 하위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1 하위 단계에서 체결 수단, 특히 가열 밀봉 도구(24, 25)에 의한 체결, 특히 밀봉이 상기 제2 체결 면(200)을 따라 이루어지고, 상기 제2 하위 단계에서 체결 수단, 특히 가열 밀봉 도구(24, 25)에 의한 체결, 특히 밀봉이 상기 제1 체결 면(100)과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2 체결 면(200)을 따라 이루어지는, 방법.16.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5, wherein said fourth step comprises at least one first sub-step and one second sub-step, fastening in said first sub-step by fastening means, in particular heat sealing tools (24, 25). , in particular the sealing is carried out along the second fastening surface 200 and in the second sub-step the fastening, in particular the sealing by the fastening means, in particular the heat sealing tool 24 , 25 , is performed on the first fastening surface 100 and preferably along the second fastening surface (200).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하위 단계 전에, 상기 제4 단계의 추가 하위 단계에서, 상기 캡슐 뚜껑(4)이 스트립 스톡으로부터 생성되고, 바람직하게는 절단 및/또는 펀칭되는, 방법.17. Method according to claim 16, wherein, before the first sub-step, in a further sub-step of the fourth step, the capsule lid (4) is produced from strip stock, preferably cut and/or punched. 제15항 내지 제1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단계는 제1 하위 단계, 제2 하위 단계, 및 바람직하게는 제3 하위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1 하위 단계에서 스트립 스톡으로부터 기본 형상이 생성되고, 특히 펀칭되고, 상기 제2 하위 단계에서 상기 기본 형상으로부터 상기 베이스 요소(2)가 형성되는 방식으로 프리폼이 생성되고, 상기 제3 하위 단계에서 상기 플랜지(6)의 외부 자유 단부로부터 비드(8)가 형성되고, 특히 감기고/감기거나 펼쳐지고, 상기 밀봉 크림프의 형성은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2 또는 제3 하위 단계에서 일어나는, 방법. 18.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5 to 17, wherein the first step comprises a first sub-step, a second sub-step, and preferably a third sub-step, in which the first sub-step is obtained from strip stock. A basic shape is created, in particular punched out, a preform is created in such a way that in the second sub-step the base element 2 is formed from the basic shape, and in the third sub-step the external freedom of the flange 6 A method in which a bead (8) is formed from the end, in particular rolled and/or unfolded, wherein the formation of the sealing crimp preferably takes place in the second or third sub-step. 제15항 내지 제1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단계 후 및 상기 제3 단계 전에 일어나는 제5 단계에서, 필터는 상기 공동(3)에 포함되고, 바람직하게는 특히 상기 캡슐 베이스(5)의 영역에서 상기 베이스 요소(2)에 체결되는, 방법. 19.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5 to 18, in a fifth step occurring after the first step and before the third step, a filter is incorporated in the cavity (3), preferably in particular the capsule base ( fastened to the base element (2) in the region of 5). 제1항 내지 제12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1회 제공량 캡슐(1)을 제조하기 위해 캡슐 뚜껑(4)으로 1회 제공량 캡슐(1)을 폐쇄하기 위한 가열 밀봉 스테이션으로서, 적어도 하나의 제1 가열 밀봉 도구(24)를 포함하고, 상기 제1 가열 밀봉 도구(24)는 상기 제2 체결 면(200)을 따라 상기 캡슐 뚜껑(4)을 상기 플랜지(6)에 밀봉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제1 가열 밀봉 도구(24) 또는 제2 가열 밀봉 도구(25)는 상기 제1 체결 면(100)과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2 체결 면(200)을 따라 상기 캡슐 뚜껑(4)을 상기 플랜지(6)에 밀봉하도록 구성된, 가열 밀봉 스테이션. 13. A heat sealing station for closing a serving capsule (1) with a capsule lid (4) to prepare a serving capsule (1)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12, comprising: at least one 1 heat sealing tool 24, the first heat sealing tool 24 is configured to seal the capsule lid 4 to the flange 6 along the second fastening surface 200, wherein the The first heat sealing tool 24 or the second heat sealing tool 25 seals the capsule lid 4 along the first fastening surface 100 and preferably along the second fastening surface 200 on the flange ( 6) a heat sealing station, configured to seal to.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가열 밀봉 도구(24) 및/또는 상기 제2 가열 밀봉 도구(25)는 각각 적어도 하나의 소노트로드(sonotrode)(28) 및 적어도 하나의 수용부 요소(26)를 포함하고, 상기 수용부 요소(26)는 상기 1회 제공량 캡슐(1)을 수용하기 위한 개방 공동을 갖고, 상기 수용부 요소(26)는 적어도 하나의 카운터 홀딩 수단(counter-holding means)(27)을 추가로 갖고, 특히 상기 제1 체결 면(100) 및/또는 상기 제2 체결 면(200)의 영역에서 상기 캡슐 뚜껑(4)의 반대쪽을 향하는 플랜지(6) 측에 있는 상기 카운터 홀딩 수단(27)은 상기 소노트로드(28)에 의해 가해지는 힘에 대항력을 제공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열 밀봉 스테이션. 21.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20, wherein the first heat seal tool (24) and/or the second heat seal tool (25) respectively comprise at least one sonotrode (28) and at least one receptacle element (26). ), wherein said receptacle element (26) has an open cavity for accommodating said serving size capsules (1), said receptacle element (26) comprising at least one counter-holding means 27, in particular in the region of the first fastening surface 100 and/or the second fastening surface 200, the counter on the side of the flange 6 facing away from the capsule lid 4. Heat sealing station, characterized in that the holding means (27) is configured to provide a counterforce to the force exerted by the sonotrode (28).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부 요소(26)는 상기 제1 체결 면(100)의 영역에서 적어도 하나의 카운터 홀딩 수단(27)을 갖고, 상기 카운터 홀딩 수단(27)의 상위 면은 상기 제2 체결 면(200)의 영역에서의 상기 제1 가열 밀봉 도구(24) 및/또는 상기 제2 가열 밀봉 도구(25)의 카운터 홀딩 수단(27)의 상위 면에 비해 적어도 0.05mm,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0.10mm, 특히 적어도 0.15mm 더 높이 있도록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열 밀봉 스테이션. 22.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21, wherein the receptacle element (26) has at least one counter holding means (27) in the region of the first fastening surface (100), the upper surface of the counter holding means (27) being the first. 2 relative to the upper surface of the counter holding means 27 of the first heat sealing tool 24 and/or the second heat sealing tool 25 in the region of the fastening surface 200 by at least 0.05 mm, preferably Heat sealing station, characterized in that it is arranged so as to be at least 0.10 mm higher, in particular at least 0.15 mm higher. 제21항 또는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또는 상기 제2 가열 밀봉 도구(24, 25)의 소노트로드(28)는 특히 중심에 배치된 방열 수단(29)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열 밀봉 스테이션.23.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21 or 22, characterized in that the sonotrode (28) of the first and/or the second heat sealing tool (24, 25) has a heat dissipation means (29) arranged particularly centrally. heat sealing station. 특히 제15항 내지 제19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방법에 의해 제1항 내지 제12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1회 제공량 캡슐(1)을 제조하기 위한 설비로서, 베이스 요소(2)를 형성하기 위한 형성 스테이션, 상기 베이스 요소(2)의 공동(3)을 적어도 하나의 음료 원료로 충전하기 위한 충전 스테이션, 및 상기 베이스 요소(2)를 캡슐 뚜껑(4)으로 폐쇄하기 위한 폐쇄 스테이션을 포함하고, 상기 폐쇄 스테이션은 제20항 내지 제23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가열 밀봉 스테이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설비. Equipment for producing a serving size capsule (1)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12, in particular by a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5 to 19, wherein the base element (2) is a forming station for forming, a filling station for filling the cavity (3) of the base element (2) with at least one beverage ingredient and a closing station for closing the base element (2) with a capsule lid (4). 24. An installation comprising: wherein the closing station is a heat seal station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20 to 23.
KR1020237023158A 2020-12-07 2021-12-07 Serving capsules for preparing beverages in a beverage preparation machine and methods for preparing serving capsules KR20230118157A (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02020215443 2020-12-07
DE102020215443.0 2020-12-07
DE102020215636 2020-12-10
DE102020215636.0 2020-12-10
PCT/EP2021/084550 WO2022122718A2 (en) 2020-12-07 2021-12-07 Single serve capsule for preparing a beverage in a beverage preparation machine, and method for producing a single serve capsul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18157A true KR20230118157A (en) 2023-08-10

Family

ID=792594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7023158A KR20230118157A (en) 2020-12-07 2021-12-07 Serving capsules for preparing beverages in a beverage preparation machine and methods for preparing serving capsules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20240101340A1 (en)
EP (1) EP4255826A2 (en)
KR (1) KR20230118157A (en)
AU (1) AU2021393893A1 (en)
WO (1) WO2022122718A2 (en)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K1702543T3 (en) 2004-10-25 2008-01-07 Nestec Sa Capsule with sealants
EP1839543B1 (en) 2006-03-31 2008-06-25 Nestec S.A. Capsule with outer sealing material pressurized by a fluid
EP3199473B1 (en) 2012-07-16 2020-09-23 Tuttoespresso S.r.l. Capsule and system with sealing element
ITMO20130214A1 (en) * 2013-07-26 2015-01-27 Sarong Spa CAPSULE FOR BEVERAGES AND ITS APPARATUS AND METHOD OF CONSTRUCTION
US20170247179A1 (en) 2014-09-17 2017-08-31 David Rubinstein Capsule for a beverage preparation
KR102602908B1 (en) * 2015-05-15 2023-11-16 코닌클리케 도우베 에그베르츠 비.브이. Capsules, systems for producing drinkable beverages from such capsules and use of such capsules in beverage preparation devices
CN107848703B (en) * 2015-05-15 2020-03-20 皇家戴维艾格伯茨有限公司 Capsule, system for preparing a potable beverage from such a capsule and use of such a capsule in a beverage preparation device
WO2018067009A1 (en) * 2016-10-07 2018-04-12 Koninklijke Douwe Egberts B.V. (Utrecht) A capsule, a system for preparing a potable beverage from such a capsule and use of such a capsule in a beverage preparation device
PT3829982T (en) * 2018-07-27 2022-11-17 Gcs German Capsule Solution Gmbh Method for producing a portion capsule for preparing a beverage in a beverage production machine, portion capsule, and method for producing a beverage with a beverage production machine and a portion capsule
AU2020222222A1 (en) * 2019-02-13 2021-08-19 Gcs German Capsule Solution Gmbh Single-serve capsule for preparing a beverage in a beverage preparation machine, and system for preparing a beverage from said single-serve capsul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AU2021393893A1 (en) 2023-07-06
EP4255826A2 (en) 2023-10-11
US20240101340A1 (en) 2024-03-28
WO2022122718A3 (en) 2022-08-18
WO2022122718A2 (en) 2022-06-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761401B2 (en) Beverage capsule with sealing element
CN107074436B (en) Sealed container for beverage preparation
EP3024756B1 (en) Capsule for beverages and respective production apparatus and method
CA2913838C (en) Cartridge for soluble products with sealing member
CN105164025A (en) Capsule and brewing system with adaptable sealing element
UA111433C2 (en) Capsule for preparing infusions
EP3350102B1 (en) Disposable capsule for machines for the dispensing of infused beverages
EP4001166B1 (en) A method for producing a capsule for preparing a beverage from such capsule
CN109689532B (en) Capsule for preparing infusion beverages and soluble beverages
EP3400852B1 (en) Assembly, capsule and method for preparing infusions
KR20230118157A (en) Serving capsules for preparing beverages in a beverage preparation machine and methods for preparing serving capsules
US20220097954A1 (en) Single-serve capsule for preparing a beverage in a beverage preparation machine, and system for preparing a beverage from said single-serve capsule
EP3887285B1 (en) Capsule for the preparation of infused beverages with improved extraction
CN116829474A (en) Single-serving capsule for preparing a beverage in a beverage preparation machine and method for producing a single-serving capsule
CA3201396A1 (en) Single serve capsule for preparing a beverage in a beverage preparation machine, and method for producing a single serve capsule
EP3710379B1 (en) Capsule for a beverage preparation
RU2804151C2 (en) Serving capsule for preparing beverage in beverage preparation machin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serving capsules
JP2009166863A (en) Container for sealing beverage, food or the lik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