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18011A - 에어로졸 발생 장치의 연령 인증 시스템 - Google Patents

에어로졸 발생 장치의 연령 인증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18011A
KR20230118011A KR1020220037642A KR20220037642A KR20230118011A KR 20230118011 A KR20230118011 A KR 20230118011A KR 1020220037642 A KR1020220037642 A KR 1020220037642A KR 20220037642 A KR20220037642 A KR 20220037642A KR 20230118011 A KR20230118011 A KR 2023011801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uthentication
generating device
authentication key
aerosol generating
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3764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희준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이엠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이엠텍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이엠텍
Publication of KR2023011801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18011A/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FSMOKERS' REQUISITES; MATCH BOXES; SIMULATED SMOKING DEVICES
    • A24F40/00Electrically operated smoking devices; Component parts thereof; Manufacture thereof; Maintenance or testing thereof; Charging mea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24F40/60Devices with integrated user interfaces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FSMOKERS' REQUISITES; MATCH BOXES; SIMULATED SMOKING DEVICES
    • A24F40/00Electrically operated smoking devices; Component parts thereof; Manufacture thereof; Maintenance or testing thereof; Charging mea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24F40/50Control or monitoring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FSMOKERS' REQUISITES; MATCH BOXES; SIMULATED SMOKING DEVICES
    • A24F40/00Electrically operated smoking devices; Component parts thereof; Manufacture thereof; Maintenance or testing thereof; Charging mea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24F40/65Devices with integrated communication means, e.g. wireless communication mea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1/00Security arrangements for protecting computers, components thereof, programs or data against unauthorised activity
    • G06F21/30Authentication, i.e. establishing the identity or authorisation of security principals
    • G06F21/31User authentic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9/00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 H04L9/08Key distribution or management, e.g. generation, sharing or updating, of cryptographic keys or passwords
    • H04L9/0894Escrow, recovery or storing of secret information, e.g. secret key escrow or cryptographic key storage
    • H04L9/0897Escrow, recovery or storing of secret information, e.g. secret key escrow or cryptographic key storage involving additional devices, e.g. trusted platform module [TPM], smartcard or USB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9/00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 H04L9/32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including means for verifying the identity or authority of a user of the system or for message authentication, e.g. authorization, entity authentication, data integrity or data verification, non-repudiation, key authentication or verification of credentials
    • H04L9/3226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including means for verifying the identity or authority of a user of the system or for message authentication, e.g. authorization, entity authentication, data integrity or data verification, non-repudiation, key authentication or verification of credentials using a predetermined code, e.g. password, passphrase or PI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torage Device Security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연령 제한 기능의 에어로졸 발생 장치에 관하며, 더욱 상세하게는, 공인된 인증 시스템을 통한 연령 인증으로, 에어로졸 발생 장치의 사용 가능 연령에 도달하였는지를 판단하여 인증키를 생성하고 이를 확인하는 것으로 그 사용을 허가 또는 제한할 수 있는 에어로졸 발생 장치에 관한다.
본 발명은 에어로졸 발생 장치의 연령 인증 시스템에 있어서, 인증부는 에어로졸 발생 장치의 사용 요청을 받으면, 인증키 저장수단에 암호화된 인증키가 저장되어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인증키 저장수단에 암호화된 인증키가 저장되어 있지 않는 경우, 연령 인증 과정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에어로졸 발생 장치의 연령 인증 시스템{AGE AUTHENTICATION SYSTEM FOR AEROSOL-GENERATING DEVICES}
본 발명은 에어로졸 발생 장치의 연령 인증 시스템에 관하며, 더욱 상세하게는, 공인된 인증 시스템을 통한 연령 인증으로, 에어로졸 발생 장치의 사용 가능 연령에 도달하였는지를 판단하여 인증키를 생성하고 이를 확인하는 것으로 그 사용을 허가 또는 제한할 수 있는 에어로졸 발생 장치의 연령 인증 시스템에 관한다.
공기 중의 미세 입자, 즉 에어로졸을 흡입하는 것으로 흔히 말하는 흡연과 같은 기호 물질 흡입이 달성될 수 있다. 종래에는 궐련 형태의 담배가 이러한 기호 물질 흡입의 거의 유일한 수단이었으나 최근에는 전자 담배와 같은 에어로졸 발생 장치도 함께 사용되고 있다. 전자 담배는 흡입 물질이 액체 형태로 담긴 카트리지에 열이나 초음파를 가하여 흡입 물질을 증기로 기화시켜 에어로졸을 발생시키므로 연소를 시켜 연기를 발생시키는 종래의 궐련 형태의 담배와는 방식 면에서 완전히 차별되며, 그로 인한 장점, 특히 연소로 발생할 수 있는 다양한 유해 물질의 발생을 저지할 수 있다는 장점을 보유한다.
에어로졸 발생 장치는 니코틴의 흡입 가능성 때문에, 일반 담배와 같이 판매 제한이나 사용 제한 등의 규제의 영역에 놓여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대리 구매 및 중고 거래를 통해 청소년이 손쉽게 취득 및 사용이 가능하며 가족 구성원 등에 의한 무단 사용의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2222248호에서는 전자담배 사용자 인증 시스템 및 방법에 대하여 개시하고 있다. 또한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2325372호에서는 외부디바이스를 통해 사용자를 인증을 하고 인증 결과에 따라 에어로졸 생성 장치의 동작을 결정하는 방법에 대하여 개시하고 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21-0080943호에서는 에어로졸 발생 장치에 생체 인증 기능을 추가하여 사용자 인증을 취득한 사용자만 사용이 가능하게 하는 수단에 대하여 개시하고 있다.
이와 같은 종래 방법들은 여전히 연령 제한 인증이나 사용자 인증을 회피할 수 있어, 공인된 인증 시스템을 활용하여 종래 기술의 한계인 인증 우회를 방지할 필요가 있다. 에어로졸 발생 장치에 생체 인증 기능을 보유하는 경우 디바이스를 초기화하여 생체 인식 정보를 다시 등록하여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기 때문에 청소년의 사용을 방지하기 어렵다. 또한 외부 디바이스에서 에어로졸 발생 장치를 인증하는 경우는 사용자에게 부가 기능을 제공하기 위한 것으로 인증을 받지 않더라도 사용이 가능하다.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보완하여 공인된 인증 시스템을 통해 취득한 연령 제한 정보를 에어로졸 발생 장치와 포터블 디바이스에 각각 또는 한 곳에 등록하고, 사용 시에는 에어로졸 발생 장치와 포터블 디바이스를 동시 보유하는 경우에 사용이 가능하도록 하여 청소년의 편법 사용을 방지할 수 있는 에어로졸 발생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사용 시에 에어로졸 발생 장치와 포터블 디바이스에서 OTP 번호나 PIN 코드 입력 등을 하는 기능을 추가로 적용하여 연령 제한 및 사용 제한 기능의 보안을 더욱 강화할 수 있는 에어로졸 발생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실시예에 따라, 에어로졸 발생 장치의 연령 인증 시스템은 고유 시리얼 번호를 할당 받은 에어로졸 발생 장치, 에어로졸 발생 장치와 근거리 통신으로 페어링되는 포터블 디바이스, 고유 시리얼 번호를 기반으로 생성되는, 암호화된 인증키가 저장되는 인증키 저장수단 및 연령 인증과 인증 확인 과정을 수행하는 인증부를 포함하고 인증부는 에어로졸 발생 장치의 사용 요청을 받으면, 인증키 저장수단에 암호화된 인증키가 저장되어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인증키 저장수단에 암호화된 인증키가 저장되어 있지 않는 경우, 연령 인증 과정을 수행하고, 연령 인증 과정은, 포터블 디바이스에서 공인된 인증 시스템에 연령 인증을 요청하는 단계, 공인된 인증 시스템의 연령 인증 결과를 포터블 디바이스가 수신하는 단계, 수신한 연령 인증 결과가 사용 가능 연령인 경우, 에어로졸 발생 장치의 고유 시리얼 번호를 기반으로 암호화된 인증키를 생성하는 단계, 생성한 암호화된 인증키를 인증키 저장수단에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인증키 저장수단은 에어로졸 발생 장치와 포터블 디바이스에 각각 형성되고 연령 인증 과정에서 생성한 암호화된 인증키가 각각 저장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인증키 저장수단은 에어로졸 발생 장치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인증키 저장수단은 포터블 디바이스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인증부가 인증키 저장수단에 암호화된 인증키가 저장되어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여, 인증키 저장수단에 암호화된 인증키가 저장되어 있는 경우, 인증키 저장수단에 저장된 암호화된 인증키를 바탕으로 인증 확인 과정을 수행하고, 인증 확인 과정에서 인증이 확인된 경우에만 에어로졸 발생 장치에서 에어로졸이 발생하도록 제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포터블 디바이스는 사용자 암호가 저장되는 암호 저장부를 더 포함하고, 인증부가 인증키 저장수단에 암호화된 인증키가 저장되어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여, 인증키 저장수단에 암호화된 인증키가 저장되어 있는 경우, 포터블 디바이스는 암호 입력을 요구하고, 사용자가 입력한 암호와 암호 저장부에 저장된 암호가 일치하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일치하는 경우에만 인증 확인 과정을 수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에어로졸 발생 장치는 사용자 암호가 저장되는 암호 저장부를 더 포함하고, 인증부가 인증키 저장수단에 암호화된 인증키가 저장되어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여, 인증키 저장수단에 암호화된 인증키가 저장되어 있는 경우, 에어로졸 발생 장치는 암호 입력을 요구하고, 사용자가 입력한 암호와 암호 저장부에 저장된 암호가 일치하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일치하는 경우에만 인증 확인 과정을 수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인증부가 인증키 저장수단에 암호화된 인증키가 저장되어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여, 인증키 저장수단에 암호화된 인증키가 저장되어 있는 경우, 인증부는 각각의 인증키 저장수단에 저장된 암호화된 인증키가 동일한지 여부를 판단하여, 동일한 경우에만 에어로졸 발생 장치에서 에어로졸이 발생하도록 제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인증부가 인증키 저장수단에 암호화된 인증키가 저장되어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여, 인증키 저장수단에 암호화된 인증키가 저장되어 있는 경우, 인증부는 인증키 저장수단에 저장된 암호화된 인증키를 복호화하여 상기 에어로졸 발생 장치의 고유 시리얼 번호와 일치하는지 여부를 판단하여, 일치하는 경우에만 에어로졸 발생 장치에서 에어로졸이 발생하도록 제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인증 확인 과정에서 인증이 확인되면 소정의 시간 동안 인증 확인 과정 없이 에어로졸 발생 장치에서 에어로졸이 발생하도록 허용하는 인증 상태가 지속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에어로졸 발생 장치는 공인 인증 시스템을 사용하여 사용자 인증을 실시하므로 연령 제한이나 사용 제한 기능의 우회가 불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에어로졸 발생 장치는 인증 주기를 사용자 편의에 따라 다양하게 설정할 수 있어 정확한 인증방법을 제공하면서도 사용자의 불편을 최소화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에어로졸 발생 장치의 연령 인증 시스템과 그와 연결된 공인된 인증 시스템(600)을 개념적으로 도시한 것,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에어로졸 발생 장치(100)의 구성을 개념적으로 나타낸 블록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포터블 디바이스(200)의 구성을 개념적으로 나타낸 블록도,
도 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의 에어로졸 발생 장치의 연령 인증 시스템과 그와 연결된 공인된 인증 시스템(600)을 개념적으로 도시한 것,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에어로졸 발생 장치의 연령 인증 시스템이 수행할 수 있는 작동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에어로졸 발생 장치의 연령 인증 시스템이 수행할 수 있는 연령 인증 과정(s200 단계)을 나타낸 순서도,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에어로졸 발생 장치의 연령 인증 시스템이 수행할 수 있는 작동 방법 중 인증 확인 과정(s300) 이후의 작동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
도 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의 에어로졸 발생 장치의 연령 인증 시스템이 수행할 수 있는 작동 방법 중 인증 확인 과정(s300) 이후의 작동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에어로졸 발생 장치의 연령 인증 시스템이 수행할 수 있는 인증 확인 과정(s300 단계)을 나타낸 순서도,
도 10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의 에어로졸 발생 장치의 연령 인증 시스템이 수행할 수 있는 인증 확인 과정(s300 단계)을 나타낸 순서도,
도 11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의 에어로졸 발생 장치의 연령 인증 시스템이 수행할 수 있는 작동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에어로졸 발생 장치의 연령 인증 시스템과 그와 연결된 공인된 인증 시스템(600)을 개념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본 실시예에서 에어로졸 발생 장치의 연령 인증 시스템은 에어로졸 발생 장치(100)와, 상기 에어로졸 발생 장치(100)와 근거리 통신으로 페어링되는 포터블 디바이스(200)를 포함한다. 공인된 인증 시스템(600)은 포터블 디바이스(200)와 통신하며 연령 인증 과정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암호화된 인증키가 저장되는 공간인 인증키 저장수단(300)과 사용자의 연령 인증 등의 기능을 수행하는 인증부(400)와 PIN 번호 등의 사용자 암호를 저장하기 위한 암호 저장부(500)를 포함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에어로졸 발생 장치(100)의 구성을 개념적으로 나타낸 블록도이다. 에어로졸 발생 장치(100)는 각종 명령 처리와 연산을 수행하는, 예를 들어 마이크로프로세서를 포함하는 제어부(110)와 각종 데이터를 휘발성으로 또는 비휘발성으로 저장할 수 있는 메모리부(120)와 포터블 디바이스(200)와 근거리 통신으로 연결해주기 위한 통신부(130)와, 에어로졸 형성 기질을 가열하여 에어로졸을 발생시켜 사용자가 흡입할 수 있도록 하는 에어로졸 발생부(140)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가 에어로졸 발생 장치(100)를 제어하기 위한 각종 입력이 수행될 수 있는 예를 들어, 버튼이나 터치센서인 입력부(150)와 에어로졸 발생 장치(100)의 현재 상태나 사용자와의 상호 작용을 위한 정보를 표시해주는 출력부(160)와, 상기 구성요소들에게 전력을 공급해주는 배터리(170)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서 에어로졸 발생 장치(100)는 고유 시리얼 번호를 할당 받는다는 점을 특징으로 한다. 고유 시리얼 번호는 여러 에어로졸 발생 장치(100) 간에 어느 하나의 에어로졸 발생 장치(100)를 구분할 수 있도록 주어지는 문자나 숫자의 고유한 조합으로서, 예를 들어 생산 과정에서 에어로졸 발생 장치(100)의 제조사가 임의의 문자와 숫자를 조합하여 부여할 수 있다. 고유 시리얼 번호는 에어로졸 발생 장치(100)의 메모리부(120)에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데이터로서 저장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포터블 디바이스(200)의 구성을 개념적으로 나타낸 블록도이다. 포터블 디바이스(200)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특유한 과정을 수행한다는 점을 제외하면, 예를 들어, 종래 기술의 스마트폰이나, 태블릿, 스마트워치 등의 휴대 가능한 단말 장치가 될 수 있다. 예시적인 목적에서 내부 구성을 설명하면, 포터블 디바이스(200)는, 각종 명령 처리와 연산을 수행하는, 예를 들어 마이크로프로세서를 포함하는 연산처리부(210)와 각종 데이터를 휘발성으로 또는 비휘발성으로 저장할 수 있는 메모리부(220)와 에어로졸 발생 장치(100)와 근거리 통신으로 연결해주기 위한, 또한 공인된 인증 시스템(600)과 인터넷상으로 연결해주기 위한 통신부(230)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가 포터블 디바이스(200)를 제어하기 위한 각종 입력이 수행될 수 있는 예를 들어, 버튼이나 터치센서인 입력부(240)와 포터블 디바이스(200)의 현재 상태나 사용자와의 상호 작용을 위한 정보를 표시해주는 출력부(250)와, 상기 구성요소들에게 전력을 공급해주는 배터리(260)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에서 도시된 인증키 저장수단(300)은 에어로졸 발생 장치(100)의 고유 시리얼 번호를 기반으로 생성되는 암호화된 인증키가 저장되는 요소로서, 실시예에 따라, 포터블 디바이스(200)에 형성되거나 또는 에어로졸 발생 장치(100)에 형성되거나 또는 포터블 디바이스(200)와 에어로졸 발생 장치(100)의 양측에 각각 형성될 수 있다. 인증키 저장수단(300)은 컴퓨터가 인식할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될 수 있는 요소로서, 종래 기술의 메모리나 디스크와 같은 구성이 인증키 저장수단(300)으로 기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인증키 저장수단(300)이 포터블 디바이스(200)에 형성될 경우, 포터블 디바이스(200)의 메모리부(220)가 인증키 저장수단(300)으로서 기능할 수 있다. 또한 예를 들어 인증키 저장수단(300)이 에어로졸 발생 장치(100)에 형성될 경우, 에어로졸 발생 장치(100)의 메모리부(120)가 인증키 저장수단(300)으로서 기능할 수 있다.
인증부(400)는 추후 설명할 연령 인증 과정과, 인증 확인 과정을 수행할 수 있는 요소로서, 실시예에 따라, 포터블 디바이스(200)에 형성되거나, 또는 에어로졸 발생 장치(100)에 형성될 수 있다. 연령 인증 과정과 인증 확인 과정은 컴퓨터 데이터 처리로 실현될 수 있는 과정으로서, 인증부(400)는 종래 기술의 마이크로프로세서와 같은 구성이 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에어로졸 발생 장치(100)의 제어부(110) 또는 포터블 디바이스(200)의 연산처리부(210)가 인증부(400)로서 기능할 수 있다.
암호 저장부(500)는 에어로졸 발생 장치(100)의 사용에 앞서 정당한 사용자 여부를 가리기 위하여 입력해야 하는 PIN 번호 등의 사용자 암호가 저장되는 요소로서, 실시예에 따라, 포터블 디바이스(200)에 형성되거나 또는 에어로졸 발생 장치(100)에 형성될 수 있다. 전술한 인증키 저장수단(300)과 같이 컴퓨터가 인식할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될 수 있는 요소로서, 종래 기술의 메모리나 디스크와 같은 구성이 암호 저장부(500)로 기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포터블 디바이스(200)의 메모리부(220)가 에어로졸 발생 장치(100)의 메모리부(120)가 암호 저장부(500)로서 기능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인증키 저장수단(300)과 인증부(400)와 암호 저장부(500)는 논리적 구성요소로서, 이하에서 설명할 몇 가지 명백한 실시예를 제외하고는, 통신부(130, 230)를 통하여 연령 인증 시스템의 물리적 구성요소 간의 데이터의 이동이 가능하다는 전제에서 그 물리적인 구성은 에어로졸 발생 장치(100) 내에 구현될 수도, 또는 포터블 디바이스(200) 내에 구현될 수도 있으며, 비교적 다양한 실시예로 구현될 수 있음이 암시된다. 도 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의 에어로졸 발생 장치의 연령 인증 시스템과 그와 연결된 공인된 인증 시스템(600)을 개념적으로 도시한 것으로, 본 실시예에서는 도 1의 실시예와는 다르게 에어로졸 발생 장치(100) 내에 인증키 저장 수단(300a)과 암호 저장부(500)가 형성된다. 또한 포터블 디바이스(200) 내에 또 다른 인증키 저장 수단(300b)과 인증부(400)가 형성된다. 이처럼 본 발명의 범위 내에서 다양한 실시예가 구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있어서, 에어로졸 발생 장치의 연령 인증 시스템의 에어로졸 발생 장치(100)와 포터블 디바이스(200)는 근거리 통신으로 서로 페어링(pairing) 된다. 예를 들어, 에어로졸 발생 장치(100)와 포터블 디바이스(200)는 블루투스 또는 NFC 또는 지그비 또는 무선랜 또는 IrDA 방식으로 페어링 될 수 있다. 이러한 페어링은 에어로졸 발생 장치(100)의 통신부(130)와 포터블 디바이스(200)의 통신부(230)를 통해 이루어질 수 있다. 에어로졸 발생 장치(100)의 통신부(130)와 포터블 디바이스(200)의 통신부(230)는 각각 상기 예시한 방식으로 페어링 되기 위한 무선 근거리 통신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또는 실시예에 따라, 에어로졸 발생 장치(100)와 포터블 디바이스(200)는 포터블 디바이스(200)가 에어로졸 발생 장치(100)에 표시된 QR 코드 또는 바코드를 스캐닝하여 페어링 될 수도 있다. 이 때 포터블 디바이스(200)는 QR 코드 또는 바코드를 스캐닝하기 위한 이미지 획득부(미도시)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들에서 에어로졸 발생 장치(100)를 사용자가 사용하기 위해서는 인증 등의 목적으로 사용자가 포터블 디바이스(200)를 소지해야 하며 따라서 에어로졸 발생 장치(100)와 포터블 디바이스(200)는 근거리 통신으로만 서로 페어링 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에어로졸 발생 장치의 연령 인증 시스템이 수행할 수 있는 작동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본 실시예에서 에어로졸 발생 장치의 연령 인증 시스템은 에어로졸 발생 장치(100)를 사용한다는 사용자의 사용 요청을 받으면, 인증부(400)가 인증키 저장수단(300)에 암호화된 인증키가 저장되어 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s100 단계). 사용자의 사용 요청은 예를 들어 에어로졸 발생 장치(100)의 전원을 켜는 것 또는 전원을 켜고 동작 버튼을 누르는 것 등의 행위를 사용 요청으로 간주할 수 있다. 이 때 인증부(400)와 인증키 저장수단(300)이 에어로졸 발생 장치(100)와 포터블 디바이스(200)에 각각 나뉘어 형성되었다면, 각 장치의 통신부(130, 230)를 통한 근거리 통신으로 서로 데이터를 주고받는 방법으로 인증키의 저장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인증부(400)가 인증키가 인증키 저장수단(300)에 저장되어 있다고 판단한 경우, 이미 연령 인증 과정을 거친 것으로 간주하고, 인증키의 유효성을 확인하는, 인증 확인 과정을 수행하는 단계(s300 단계)로 진입한다. 반면 인증부(400)가 인증키가 인증키 저장수단(300)에 저장되어 있지 않다고 판단한 경우, 연령 인증 과정을 수행하는 단계(s200 단계)로 진입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에어로졸 발생 장치의 연령 인증 시스템이 수행할 수 있는 연령 인증 과정(s200 단계)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연령 인증 과정이 시작되면, 포터블 디바이스(200)는 그에 설치된 앱(app)과 인터넷 연결을 위한 통신부(230)를 통하여 공인된 인증 시스템(600)에 접속하고, 연령 인증을 요청한다(s210 단계). 다음으로, 포터블 디바이스(200)는 입력부(240)와 출력부(250)를 이용하여 사용자가 연령 인증 과정을 수행할 수 있도록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s220 단계). 그 후 공인된 인증 시스템(600)이 응답한 연령 인증 결과를 포터블 디바이스(200)가 수신한다(s230 단계). 포터블 디바이스(200)는 수신한 연령 인증 결과를 토대로 해당 사용자가 에어로졸 발생 장치(100)를 사용 가능한 연령인지 판단하고(s240 단계), 사용 가능한 연령이라면 인증부(400)는 암호화된 인증키를 생성하여 인증키 저장수단(300)에 저장한다(s250 단계). 이 때 인증키 저장수단(300)이 에어로졸 발생 장치(100)와 포터블 디바이스(200)에 각각 형성되었다면 동일한 암호화된 인증키가 그 각각의 인증키 저장수단(300)에 저장된다. 반면, s240 단계에서 사용 가능한 연령이 아니라고 판단한 경우, 암호화된 인증키의 생성 없이 연령 인증 과정이 종료된다(s260 단계). 이와 같은 과정은 포터블 디바이스(200)의 연산처리부(210) 또는 인증부(400)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공인된 인증 시스템(600)은 예를 들어 포터블 디바이스(200)에서 실행되는 앱(app)을 통하여 접근할 수 있는, 신용정보업체에서 제공하는, 적어도 연령 인증이 가능한 각종 본인 인증 서비스가 될 수 있다. 이러한 본인 인증 서비스는 예를 들어 휴대폰 인증 또는 PASS앱 인증 또는 공동인증서 인증, 또는 신분증 인증 또는 OTP 발생기를 이용한 인증의 방법을 통하여 생년월일이나 성별, 성명을 인증하고 그 인증 결과를 포터블 디바이스(200)의 앱을 통하여 다시 전달하는 방법으로 적어도 연령을 인증할 수 있다.
인증키는 공인된 인증 시스템(600)을 통한 연령 인증의 결과가 사용 가능 연령으로 나타난 경우, 포터블 디바이스(200)의 연산처리부(210) 또는 인증부(400)에 의해 생성된다. 인증키는 에어로졸 발생 장치(100)의 고유 시리얼 번호를 기반으로 생성되며, AES(Advanced Encryption Standard) 등의 암호화 알고리즘을 통하여 생성된 암호화된 데이터이다. 예를 들어, 에어로졸 발생 장치(100)의 고유 시리얼 번호를 임의로 생성된 AES 대칭키로 암호화하여 생성된 난수가 인증키가 될 수 있다. 이렇게 암호화된 인증키는 이를 복호화할 키(key), 즉 암호화에 사용된 동일한 AES 대칭키가 있어야만 복호화가 가능하다. 바람직하게 고유 시리얼 번호는 에어로졸 발생 장치(100)의 메모리부(120) 저장되므로, 포터블 디바이스(200)에서 인증키를 생성할 경우, 통신부(130, 230)를 통하여 포터블 디바이스(200)가 에어로졸 발생 장치(100)로부터 이를 읽어 들일 수 있다. 인증키에는 고유 시리얼 번호 외에도, 공인된 인증 시스템(600)으로부터 수신한 인증 결과에 포함된 데이터가 함께 저장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에어로졸 발생 장치의 연령 인증 시스템이 수행할 수 있는 작동 방법 중 인증 확인 과정(s300) 이후의 작동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인증부(400)는 추후 상세히 설명할 인증 확인 과정(s300)에서 사용자의 연령 인증이 확인되었는지 판단하고(s400 단계), 확인된 것으로 판단한 경우 에어로졸 발생 장치(100)의 에어로졸이 발생하도록 제어한다(s500 단계). 예를 들어 인증부(400)가 포터블 디바이스(200)에 포함된 경우, 제어 신호를 통신부(130, 230)를 통하여 근거리 통신으로 페어링된 에어로졸 발생 장치(100)의 제어부(110)로 송신하고, 제어부(110)는 이를 받아 에어로졸 발생부(140)를 제어하여 에어로졸이 발생하도록 할 수 있다. 반면, s400 단계에서 인증이 확인되지 않은 경우, 에어로졸 발생 장치의 작동을 종료하거나 전원을 차단한다(s600 단계). 이러한 과정을 수행하며, 연령 인증되지 않은 사용자가 에어로졸 발생 장치를 작동시키는 것을 막을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에어로졸 발생 장치의 연령 인증 시스템이 수행할 수 있는 작동 방법 중 인증 확인 과정(s300) 이후의 작동 방법을 또 다른 실시예로 나타낸 순서도이다. 본 실시예는 도 7의 실시예와 비교하여 사용자에게 암호 입력을 요구하고 미리 설정되고 저장된 사용자 암호와 비교하는 단계(s710 내지 s720 단계)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도 5의 s100 단계에서 암호화된 인증키가 인증키 저장수단(300)에 저장되어 있다고 판단한 경우, 포터블 디바이스(200)가 사용자에게 암호 입력을 요구하고(s710 단계), 사용자가 입력한 암호와, 사전에 사용자에 의해 설정되고 암호 저장부(500)에 저장된 사용자 암호와 일치하는지 여부를 판단하고(s720 단계), 일치하지 않으면 에어로졸 발생 장치의 작동을 종료한다(s600 단계). 반면, 일치한다고 판단한 경우에는 도 7에서 설명한 인증 확인 과정(s300 단계) 및 이하의 과정이 실시된다. 사용자 암호는 에어로졸 발생 장치(100)의 사용자에 의해 미리 설정된 자기 확인용 암호로서, 예를 들어 PIN 번호 또는 문자 암호일 수 있다. 사용자 암호의 확인 과정(s710 내지 s720 단계)은 마이크로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수 있는 일종의 데이터처리 과정으로서, 실시예에 따라 에어로졸 발생 장치(100)에 의해 실행될 수도 있고, 또는 포터블 디바이스(200)에 의해 실행될 수도 있다. 에어로졸 발생 장치(100)에 의해 실행될 경우, 제어부(110)와 입력부(150)와 출력부(160)를 통해 실행될 수 있다. 또한 포터블 디바이스(200)에 의해 실행될 경우, 연산처리부(210)와 입력부(240)와 출력부(250)에 의해 실행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의하여 PIN 암호 등의 사용자 암호를 통하여 정당한 사용자인지 여부를 한 번 더 판단할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에어로졸 발생 장치의 연령 인증 시스템이 수행할 수 있는 인증 확인 과정(s300 단계)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인증 확인 과정(s300)은 예를 들어, 에어로졸 발생 장치(100)와 포터블 디바이스(200)의 양측에 각각 인증키 저장수단(300a, 300b)이 형성된 경우에, 인증부(400)가 각각의 인증키 저장수단(300a, 300b)에 저장된 인증키를 근거리 통신을 통하여 획득하는 단계(s310 단계)를 포함한다. 다음으로 각각의 인증키가 동일한지 비교하는 단계(s320 단계)가 수행되며, 인증부(400)가 각각의 인증키가 동일한 것으로 판단한 경우에는 인증이 확인된 것으로 결과를 확정한다(s330 단계). 반면, 인증부(400)가 각각의 인증키가 동일하지 않은 것으로 판단한 경우에는 인증이 실패한 것으로 결과를 확정한다(s340 단계). 이후에는 도 7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인증이 확인된 s330 단계에서는 다음으로 에어로졸이 발생하도록 제어하는 단계(s500)가 수행될 수 있고, 인증이 실패한 s340 단계 이후로는 에어로졸 발생 장치의 작동을 종료하는 단계(s600)가 수행될 수 있다. 이로써 에어로졸 발생 장치(100)와 포터블 디바이스(200)의 양측에 동일한 암호화된 인증키가 각각 저장되어 있다면, 변조되지 않은 정당한 인증키가 저장된 상태로 보고, 연령 인증이 정당한 것으로 간주하여 에어로졸 발생 장치(100)를 작동을 허용할 수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의 에어로졸 발생 장치의 연령 인증 시스템이 수행할 수 있는 인증 확인 과정(s300 단계)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인증 확인 과정(s300)은 예를 들어, 인증키 저장수단(300)이 에어로졸 발생 장치(100) 또는 포터블 디바이스(200) 중 어느 하나에 형성된 경우, 인증부(400)가 해당 인증키를 획득하고 복호화한다(s350 단계). 전술한 AES 암호화 알고리즘을 이용할 경우, 최초에 에어로졸 발생 장치(100)와 포터블 디바이스(200)가 근거리 통신으로 페어링될 때 암호화와 복호화를 위한 대칭키를 복제하여 서로 보관하고, 이를 각각 암호화와 복호화에 사용하는 것으로 페어링된 양 기기는 암호화된 정보를 교환할 수 있다. 다음으로, 인증부(400)가 복호화한 인증키에 담긴 고유 시리얼 번호를 에어로졸 발생 장치(100)의 고유 시리얼 번호와 비교하고(s360 단계), 그 일치 여부를 판단한다(s370 단계). 일치하는 경우 인증이 확인 된 것으로 확정하고(s330 단계), 에어로졸이 발생하도록 제어하는 단계(s500)가 수행될 수 있다. 반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인증이 실패한 것으로 확정하고(s340 단계), 에어로졸 발생 장치의 작동을 종료하는 단계(s600)가 수행될 수 있다. 이로써 인증키 저장수단(300)에 저장된 암호화된 인증키의 변조 여부 및 정상 여부를 판단하고 그에 따라 에어로졸 발생 장치(100)의 작동을 허용하거나 거부할 수 있다.
도 11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의 에어로졸 발생 장치의 연령 인증 시스템이 수행할 수 있는 작동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본 실시예에서 에어로졸 발생 장치의 연령 인증 시스템은 에어로졸 발생 장치(100)를 사용한다는 사용자의 사용 요청을 받으면, 예를 들어 인증부(400)는 인증이 확인된 기록이 있는지를 판단한다(s800 단계). 인증이 확인된 기록이 없는 경우, 인증 확인 과정을 수행할 수 있다(s300 단계). 인증 확인 기록이 있는 경우, 마지막으로 인증이 확인된 후 소정의 시간이 경과하였는지를 인증부(400)가 판단하고, 경과한 경우에는 인증 상태가 소멸된 것으로 간주하여 인증 확인 과정을 수행할 수 있다(s300 단계). 반면, 마지막으로 인증이 확인된 후 소정의 시간이 경과하지 않은 경우에는 인증 상태가 지속되는 것으로 간주하여 인증 확인 과정을 거치지 않고 에어로졸 발생 장치(100)에서 에어로졸이 발생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s500 단계). 이로써 인증 확인 과정(s300 단계)을 매번 실시하지 않고 마지막 인증 확인 후 소정의 시간이 경과한 후에만 인증 확인 과정(s300 단계)을 실시하도록 하여, 사용자의 번거로움과 불필요한 자원 낭비를 막을 수 있다. 상기 소정의 시간은 사용자가 에어로졸 발생 장치(100) 또는 포터블 디바이스(200)를 통하여 설정할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의 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 같은 변경은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 내에 있게 된다.
100: 에어로졸 발생 장치 200: 포터블 디바이스
300: 인증키 저장수단 400: 인증부
500: 암호 저장부 600: 공인된 인증 시스템

Claims (10)

  1. 에어로졸 발생 장치의 연령 인증 시스템에 있어서,
    고유 시리얼 번호를 할당 받은 에어로졸 발생 장치;
    에어로졸 발생 장치와 근거리 통신으로 페어링되는 포터블 디바이스;
    고유 시리얼 번호를 기반으로 생성되는, 암호화된 인증키가 저장되는 인증키 저장수단; 및
    연령 인증과 인증 확인 과정을 수행하는 인증부;를 포함하고
    인증부는 에어로졸 발생 장치의 사용 요청을 받으면, 인증키 저장수단에 암호화된 인증키가 저장되어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인증키 저장수단에 암호화된 인증키가 저장되어 있지 않는 경우, 연령 인증 과정을 수행하고,
    연령 인증 과정은,
    포터블 디바이스에서 공인된 인증 시스템에 연령 인증을 요청하는 단계;
    공인된 인증 시스템의 연령 인증 결과를 포터블 디바이스가 수신하는 단계;
    수신한 연령 인증 결과가 사용 가능 연령인 경우, 에어로졸 발생 장치의 고유 시리얼 번호를 기반으로 암호화된 인증키를 생성하는 단계;
    생성한 암호화된 인증키를 인증키 저장수단에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로졸 발생 장치의 연령 인증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인증키 저장수단은 에어로졸 발생 장치와 포터블 디바이스에 각각 형성되고 연령 인증 과정에서 생성한 암호화된 인증키가 각각 저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로졸 발생 장치의 연령 인증 시스템.
  3. 제1항에 있어서,
    인증키 저장수단은 에어로졸 발생 장치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로졸 발생 장치의 연령 인증 시스템.
  4. 제1항에 있어서,
    인증키 저장수단은 포터블 디바이스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로졸 발생 장치의 연령 인증 시스템.
  5. 제1항에 있어서,
    인증부가 인증키 저장수단에 암호화된 인증키가 저장되어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여, 인증키 저장수단에 암호화된 인증키가 저장되어 있는 경우, 인증키 저장수단에 저장된 암호화된 인증키를 바탕으로 인증 확인 과정을 수행하고, 인증 확인 과정에서 인증이 확인된 경우에만 에어로졸 발생 장치에서 에어로졸이 발생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로졸 발생 장치의 연령 인증 시스템.
  6. 제5항에 있어서,
    포터블 디바이스는 사용자 암호가 저장되는 암호 저장부를 더 포함하고,
    인증부가 인증키 저장수단에 암호화된 인증키가 저장되어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여, 인증키 저장수단에 암호화된 인증키가 저장되어 있는 경우, 포터블 디바이스는 암호 입력을 요구하고, 사용자가 입력한 암호와 암호 저장부에 저장된 암호가 일치하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일치하는 경우에만 인증 확인 과정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로졸 발생 장치의 연령 인증 시스템.
  7. 제5항에 있어서,
    에어로졸 발생 장치는 사용자 암호가 저장되는 암호 저장부를 더 포함하고,
    인증부가 인증키 저장수단에 암호화된 인증키가 저장되어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여, 인증키 저장수단에 암호화된 인증키가 저장되어 있는 경우, 에어로졸 발생 장치는 암호 입력을 요구하고, 사용자가 입력한 암호와 암호 저장부에 저장된 암호가 일치하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일치하는 경우에만 인증 확인 과정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로졸 발생 장치의 연령 인증 시스템.
  8. 제2항에 있어서,
    인증부가 인증키 저장수단에 암호화된 인증키가 저장되어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여, 인증키 저장수단에 암호화된 인증키가 저장되어 있는 경우, 인증부는 각각의 인증키 저장수단에 저장된 암호화된 인증키가 동일한지 여부를 판단하여, 동일한 경우에만 에어로졸 발생 장치에서 에어로졸이 발생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로졸 발생 장치의 연령 인증 시스템.
  9. 제3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
    인증부가 인증키 저장수단에 암호화된 인증키가 저장되어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여, 인증키 저장수단에 암호화된 인증키가 저장되어 있는 경우, 인증부는 인증키 저장수단에 저장된 암호화된 인증키를 복호화하여 상기 에어로졸 발생 장치의 고유 시리얼 번호와 일치하는지 여부를 판단하여, 일치하는 경우에만 에어로졸 발생 장치에서 에어로졸이 발생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로졸 발생 장치의 연령 인증 시스템.
  10. 제5항에 있어서,
    인증 확인 과정에서 인증이 확인되면 소정의 시간 동안 인증 확인 과정 없이 에어로졸 발생 장치에서 에어로졸이 발생하도록 허용하는 인증 상태가 지속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로졸 발생 장치의 연령 인증 시스템.
KR1020220037642A 2022-02-03 2022-03-25 에어로졸 발생 장치의 연령 인증 시스템 KR20230118011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20013926 2022-02-03
KR1020220013926 2022-02-03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18011A true KR20230118011A (ko) 2023-08-10

Family

ID=875608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37642A KR20230118011A (ko) 2022-02-03 2022-03-25 에어로졸 발생 장치의 연령 인증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118011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979709B2 (en) Methods for secure restoration of personal identity credentials into electronic devices
CN105900125B (zh) 用于方便且安全的移动交易的系统和方法
CN101336436B (zh) 安全令牌和用于利用该安全令牌来认证用户的方法
US20050182971A1 (en) Multi-purpose user authentication device
JP5303407B2 (ja) 生体認証システム、携帯端末、半導体素子、および情報処理サーバ
JP2004506361A (ja) デバイスの検証ステータスを提供することによる電子通信におけるエンティティ認証
WO2004086244A1 (ja) メモリデバイス及びパスコード生成器
JP5543328B2 (ja) 照合を提供する、通信端末機器、通信機器、電子カード、通信端末機器のための方法、および、通信機器のための方法
JP2013118650A (ja) 照合を提供する、通信端末機器、通信機器、電子カードおよび証明書を提供する方法
US20230025261A1 (en) Method of Authentification of a Consumable for UES with an Aerosol-Generating Device
JPH09179951A (ja) 携帯可能情報記憶媒体及びそのシステム
KR20100006004A (ko) 카드를 이용한 인증 처리 방법 및 시스템, 카드를 이용한인증 처리를 위한 카드 단말기
KR102342354B1 (ko) 기공유id와 간편안전otp 이용하는 비대면본인인증 방법
KR20230118011A (ko) 에어로졸 발생 장치의 연령 인증 시스템
KR101566011B1 (ko) 생체 인식을 이용한 오티피 운영 방법
KR20200013494A (ko) 사용자가 소지한 금융 카드 기반 본인 인증 시스템 및 방법
JP2004185255A (ja) 個人情報管理及び生体認証を兼ね備えたフロッピー(登録商標)ディスク型生体情報認証装置
KR20230144896A (ko) 차일드락 기능의 에어로졸 발생 장치
KR20240013384A (ko) 연령 인증과 잠금 기능의 에어로졸 발생 장치
KR20240052341A (ko) 신원 모듈로 인증하는 에어로졸 발생 장치 및 시스템
KR101636068B1 (ko) 생체 인식을 이용한 오티피 운영 방법
KR101809550B1 (ko) 사용자 인증 시스템 및 인증 방법
CN116997269A (zh) 气溶胶供给系统安全
EA042582B1 (ru) Способ аутентификации расходного материала для использования c устройством, генерирующим аэрозоль
JP2010122962A (ja) 認証システム及び認証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