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17988A - 전자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 Google Patents

전자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17988A
KR20230117988A KR1020220014443A KR20220014443A KR20230117988A KR 20230117988 A KR20230117988 A KR 20230117988A KR 1020220014443 A KR1020220014443 A KR 1020220014443A KR 20220014443 A KR20220014443 A KR 20220014443A KR 20230117988 A KR20230117988 A KR 2023011798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at room
content
electronic device
users
cha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1444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윤병호
오석재
김진홍
박예슬
전유성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2001444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117988A/ko
Priority to PCT/KR2023/000709 priority patent/WO2023149680A1/ko
Publication of KR2023011798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17988A/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5/00Network arrangements, protocols or services for supporting real-time applications in data packet communication
    • H04L65/1066Session management
    • H04L65/1083In-session procedures
    • H04L65/1086In-session procedures session scope modific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01Social networking
    • G06Q50/30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40Business processes related to the transportation industr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02Details
    • H04L12/16Arrangements for providing special services to substations
    • H04L12/18Arrangements for providing special services to substations for broadcast or conference, e.g. multicas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02Details
    • H04L12/16Arrangements for providing special services to substations
    • H04L12/18Arrangements for providing special services to substations for broadcast or conference, e.g. multicast
    • H04L12/1813Arrangements for providing special services to substations for broadcast or conference, e.g. multicast for computer conferences, e.g. chat roo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5/00Network arrangements, protocols or services for supporting real-time applications in data packet communication
    • H04L65/1066Session management
    • H04L65/1083In-session procedur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5/00Network arrangements, protocols or services for supporting real-time applications in data packet communication
    • H04L65/40Support for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5/403Arrangements for multi-party communication, e.g. for conferen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Multimedia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Econom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Information Transfer Between Computers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Abstract

디스플레이, 하나 이상의 인스트럭션을 저장하는 메모리, 및 메모리에 저장된 하나 이상의 인스트럭션을 실행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프로세서는, 하나 이상의 인스트럭션을 실행함으로써, 제1 컨텐츠를 표시하고, 제1 컨텐츠를 표시하는 동안 제1 컨텐츠에 대응하는 제1 채팅 룸이 표시되도록 제어하고, 제1 컨텐츠의 종료가 예상됨에 따라 제2 컨텐츠에 대응하는 제2 채팅 룸을 선택하고, 제2 채팅 룸의 선택에 따라 자동적으로, 제1 채팅 룸의 사용자들이 제2 채팅 룸으로 이동되도록 제어하는, 전자 장치가 개시된다.

Description

전자 장치 및 그 동작 방법{ELECTRONIC APPARATUS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본 개시는 전자 장치 및 그 동작 방법에 관한 것이다. 구체적으로, 본 개시는 방송 프로그램에 대응하는 채팅 룸 내의 사용자를 이전하는 방법 및 이를 제공하는 전자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채팅"이라고 알려져 있는 메시지의 실시간 전자 교환은, 유저가 공적인 또는 사적인 토론(채팅 룸)에 원격적으로 참가할 수 있게 하는 널리 보급된 멀티유저 시스템(multi-user system)이다. 유저는 채팅 룸에 참가, 채팅 룸을 생성 및/또는 활성화시키도록 선택할 수 있다.
방송 프로그램의 시청자는 해당 방송 프로그램을 시청하면서, 해당 방송 프로그램에 대응하는 채팅 룸에 참가하여 다른 시청자와 의견을 공유할 수 있다. 다만, 방송 프로그램이 종료되면 해당 방송 프로그램에 대응하는 채팅 룸도 종료된다. 이에 따라, 방송 프로그램이 종료되면, 다른 시청자와의 의견 공유가 중단되고, 또다른 채팅 룸을 찾아 접속을 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었다.
따라서, 방송 프로그램이 종료되어도, 채팅 서비스를 시청자에게 연속적으로 제공하여 시청자가 서비스에서 이탈하는 비율을 낮출 수 있는 방법의 개발이 요구되고 있다.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들은 방송 프로그램에 대응되는 채팅 룸이 종료되기 전에, 상기 채팅 룸 내의 사용자들이 다른 채팅 룸으로 이동되도록 제어함으로써, 채팅 서비스의 연속성을 향상시키는 전자 장치 및 그 동작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한 과제를 실현하기 위한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는 디스플레이, 하나 이상의 인스트럭션을 저장하는 메모리, 및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상기 하나 이상의 인스트럭션을 실행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하나 이상의 인스트럭션을 실행함으로써, 제1 컨텐츠를 표시하고, 상기 제1 컨텐츠를 표시하는 동안 상기 제1 컨텐츠에 대응하는 제1 채팅 룸이 표시되도록 제어하고, 상기 제1 컨텐츠의 종료가 예상됨에 따라 제2 컨텐츠에 대응하는 제2 채팅 룸을 선택하고, 상기 제2 채팅 룸의 선택에 따라 자동적으로, 상기 제1 채팅 룸의 사용자들이 상기 제2 채팅 룸으로 이동되도록 제어한다.
또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하나 이상의 인스트럭션을 실행함으로써, 상기 제1 컨텐츠의 종료에 따라 상기 제2 컨텐츠를 표시하고, 상기 제2 컨텐츠를 표시하는 동안 상기 제2 컨텐츠에 대응하는 상기 제2 채팅 룸이 표시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컨텐츠는 상기 제1 컨텐츠가 제공되는 제1 채널에서 제공되거나, 또는 상기 제2 컨텐츠는 상기 제1 컨텐츠가 제공되는 상기 제1 채널과 다른 제2 채널에서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하나 이상의 인스트럭션을 실행함으로써, 기 제1 컨텐츠의 종료가 예상됨에 따라 상기 제1 컨텐츠에 후속하는 제2 컨텐츠에 대응하는 제2 채팅 룸을 선택하고, 기 제1 컨텐츠의 종료에 따라, 자동적으로, 상기 제1 채팅 룸의 사용자들이 상기 제2 채팅 룸으로 이동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하나 이상의 인스트럭션을 실행함으로써, 상기 제1 컨텐츠를 표시하는 동안, 기생성된 상기 제2 채팅 룸을 확인하고, 상기 제1 컨텐츠의 종료에 따라, 상기 제1 채팅 룸의 사용자들이 상기 제2 채팅 룸으로 이동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하나 이상의 인스트럭션을 실행함으로써, 상기 제1 컨텐츠를 표시하는 동안, 상기 제2 채팅 룸이 존재하지 않음을 확인하고, 채팅 룸 서버에 상기 제2 컨텐츠에 대응하는 상기 제2 채팅 룸의 생성을 요청하고, 상기 제1 컨텐츠의 종료에 따라, 상기 제1 채팅 룸의 사용자들이 상기 제2 채팅 룸으로 이동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채팅 룸은 상기 제1 채팅 룸의 종료 시간을 연장함으로써 생성된 것이고, 상기 제1 채팅 룸의 사용자들이 상기 제2 채팅 룸으로 이동되는 것은, 상기 제1 채팅 룸의 종료 시간이 연장됨으로써, 상기 사용자들이 상기 제1 채팅 룸에 머무는 것일 수 있다.
또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하나 이상의 인스트럭션을 실행함으로써, 상기 제1 컨텐츠가 종료되기 전에, 상기 제1 컨텐츠가 종료하는 시점에 기생성된 채팅 룸에 대한 채팅 룸 리스트를 획득하고, 상기 제1 컨텐츠의 종료에 따라 상기 채팅 룸 리스트를 표시하고, 상기 채팅 룸 리스트 중 상기 제2 채팅 룸을 선택하는 사용자 입력에 따라, 상기 제1 채팅 룸의 사용자들이 상기 제2 채팅 룸으로 이동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하나 이상의 인스트럭션을 실행함으로써, 상기 제1 채팅 룸의 사용자들의 컨텐츠 시청에 관한 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제1 채팅 룸의 사용자들의 컨텐츠 시청에 관한 정보를 참조하여, 상기 채팅 룸 리스트 내에 표시되는 채팅 룸의 순서를 결정하고, 상기 제1 컨텐츠의 종료에 따라 상기 채팅 룸 리스트를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하나 이상의 인스트럭션을 실행함으로써, 상기 제1 컨텐츠가 종료되기 전에, 상기 제1 컨텐츠가 종료하는 시점에 기생성된 채팅 룸에 대한 채팅 룸 리스트를 획득하고, 상기 제1 컨텐츠의 종료에 따라 상기 채팅 룸 리스트를 표시하고, 상기 채팅 룸 리스트 내에 표시된 상기 제2 채팅 룸을 추천 룸으로 결정하고, 상기 제1 컨텐츠의 종료에 따라, 상기 제1 채팅 룸의 사용자들이 상기 제2 채팅 룸으로 이동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상기한 과제를 실현하기 위한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동작 방법은 제1 컨텐츠를 표시하는 단계, 상기 제1 컨텐츠를 표시하는 동안 상기 제1 컨텐츠에 대응하는 제1 채팅 룸이 표시되도록 제어하는 단계, 상기 제1 컨텐츠의 종료가 예상됨에 따라 제2 컨텐츠에 대응하는 제2 채팅 룸을 선택하는 단계, 및 상기 제2 채팅 룸의 선택에 따라 자동적으로, 상기 제1 채팅 룸의 사용자들이 상기 제2 채팅 룸으로 이동되도록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제1 컨텐츠의 종료에 따라 상기 제2 컨텐츠를 표시하는 단계, 및 상기 제2 컨텐츠를 표시하는 동안 상기 제2 컨텐츠에 대응하는 상기 제2 채팅 룸이 표시되도록 제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컨텐츠는 상기 제1 컨텐츠가 제공되는 제1 채널에서 제공되거나, 또는 상기 제2 컨텐츠는 상기 제1 컨텐츠가 제공되는 상기 제1 채널과 다른 제2 채널에서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채팅 룸을 선택하는 단계는, 상기 제1 컨텐츠의 종료가 예상됨에 따라 상기 제1 컨텐츠에 후속하는 제2 컨텐츠에 대응하는 제2 채팅 룸을 선택하는 것이고, 상기 제1 채팅 룸의 사용자들이 상기 제2 채팅 룸으로 이동되도록 제어하는 단계는, 상기 제1 컨텐츠의 종료에 따라, 자동적으로, 상기 제1 채팅 룸의 사용자들이 상기 제2 채팅 룸으로 이동되도록 제어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컨텐츠를 표시하는 동안, 기생성된 상기 제2 채팅 룸을 확인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채팅 룸의 사용자들이 상기 제2 채팅 룸으로 이동되도록 제어하는 단계는, 상기 제1 컨텐츠의 종료에 따라, 상기 제1 채팅 룸의 사용자들이 상기 제2 채팅 룸으로 이동되도록 제어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채팅 룸을 선택하는 단계는, 상기 제1 컨텐츠를 표시하는 동안, 상기 제2 채팅 룸이 존재하지 않음을 확인하는 단계, 및 채팅 룸 서버에 상기 제2 컨텐츠에 대응하는 상기 제2 채팅 룸의 생성을 요청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채팅 룸의 사용자들이 상기 제2 채팅 룸으로 이동되도록 제어하는 단계는, 상기 제1 컨텐츠의 종료에 따라, 상기 제1 채팅 룸의 사용자들이 상기 제2 채팅 룸으로 이동되도록 제어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채팅 룸은 상기 제1 채팅 룸의 종료 시간을 연장함으로써 생성된 것이고, 상기 제1 채팅 룸의 사용자들이 상기 제2 채팅 룸으로 이동되는 것은, 상기 제1 채팅 룸의 종료 시간이 연장됨으로써, 상기 사용자들이 상기 제1 채팅 룸에 머무는 것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채팅 룸을 선택하는 단계는, 상기 제1 컨텐츠가 종료되기 전에, 상기 제1 컨텐츠가 종료하는 시점에 기생성된 채팅 룸에 대한 채팅 룸 리스트를 획득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컨텐츠의 종료에 따라 상기 채팅 룸 리스트를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채팅 룸의 사용자들이 상기 제2 채팅 룸으로 이동되도록 제어하는 단계는, 상기 채팅 룸 리스트 중 상기 제2 채팅 룸을 선택하는 사용자 입력에 따라, 상기 제1 채팅 룸의 사용자들이 상기 제2 채팅 룸으로 이동되도록 제어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채팅 룸을 선택하는 단계는, 상기 제1 컨텐츠가 종료되기 전에, 상기 제1 컨텐츠가 종료하는 시점에 기생성된 채팅 룸에 대한 채팅 룸 리스트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제1 컨텐츠의 종료에 따라 상기 채팅 룸 리스트를 표시하는 단계, 및 상기 채팅 룸 리스트 내에 표시된 상기 제2 채팅 룸을 추천 룸으로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일 실시 예에 따라 전자 장치의 동작 방법을 컴퓨터에서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가 개시된다.
도 1은 일 실시 예에 따라 채팅 룸 내의 사용자들이 이동되도록 제어하는 시스템을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2는 일 실시 예에 따라 채팅 룸 내의 사용자들이 이동되도록 제어하는 방법을 도시한다.
도 3은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를 통해 컨텐츠 및 채팅 룸이 제공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는 일 실시 예에 따라 하나의 채널에서 제공되는 복수의 컨텐츠들에 대해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는 일 실시 예에 따라 복수의 채널에서 제공되는 각각의 컨텐츠들에 대해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은 일 실시 예에 따라 채팅 룸 내의 사용자들이 이동되도록 제어하는 방법을 도시한다.
도 7은 일 실시 예에 따라 채팅 룸 내의 사용자들이 이동되도록 제어하는 방법을 도시한다.
도 8은 일 실시 예에 따라 채팅 룸 내의 사용자들이 이동되도록 제어하는 방법을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도 9는 일 실시 예에 따라 채팅 룸 내의 사용자들이 이동되도록 제어하는 방법을 도시한다.
도 10은 일 실시 예에 따라 채팅 룸 내의 사용자들이 이동되도록 제어하는 방법을 도시한다.
도 11은 일 실시 예에 따라 사용자에게 채팅 룸 리스트를 제공하여, 사용자가 선택한 채팅 룸으로 사용자가 이동되도록 제어하는 방법을 도시한다.
도 12는 일 실시 예에 따라 사용자에게 채팅 룸 리스트를 제공하여, 사용자가 이동할 채팅 룸을 선택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13은 채팅 룸 리스트에 표시되는 채팅 룸의 순서를 결정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14는 사용자에게 제공된 채팅 룸 리스트 중 하나의 채팅 룸을 추천함으로써, 사용자가 추천 룸으로 이동되도록 제어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15는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블록도이다.
도 16은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구성을 상세하게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개시가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개시의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개시는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도면에서 본 개시를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본 개시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본 개시에서 언급되는 기능을 고려하여 현재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로 기재되었으나, 이는 당 분야에 종사하는 기술자의 의도 또는 판례, 새로운 기술의 출현 등에 따라 다양한 다른 용어를 의미할 수 있다. 따라서 본 개시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용어의 명칭만으로 해석되어서는 안되며, 용어가 가지는 의미와 본 개시의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해석되어야 한다.
또한,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 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구성 요소들은 이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이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 사용된다.
또한, 본 개시에서 사용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이며, 본 개시를 한정하려는 의도로 사용되는 것이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단수를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의미를 포함한다. 또한,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 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본 명세서, 특히, 특허 청구 범위에서 사용된 “상기” 및 이와 유사한 지시어는 단수 및 복수 모두를 지시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본 개시에 따른 방법을 설명하는 단계들의 순서를 명백하게 지정하는 기재가 없다면, 기재된 단계들은 적당한 순서로 행해질 수 있다. 기재된 단계들의 기재 순서에 따라 본 개시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다양한 곳에 등장하는 "일부 실시 예에서" 또는 "일 실시 예에서" 등의 어구는 반드시 모두 동일한 실시 예를 가리키는 것은 아니다.
본 개시의 일부 실시 예는 기능적인 블록 구성들 및 다양한 처리 단계들로 나타내어질 수 있다. 이러한 기능 블록들의 일부 또는 전부는, 특정 기능들을 실행하는 다양한 개수의 하드웨어 및/또는 소프트웨어 구성들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개시의 기능 블록들은 하나 이상의 마이크로프로세서들에 의해 구현되거나, 소정의 기능을 위한 회로 구성들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예를 들어, 본 개시의 기능 블록들은 다양한 프로그래밍 또는 스크립팅 언어로 구현될 수 있다. 기능 블록들은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들에서 실행되는 알고리즘으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본 개시는 전자적인 환경 설정, 신호 처리, 및/또는 데이터 처리 등을 위하여 종래 기술을 채용할 수 있다. “매커니즘”, “요소”, “수단” 및 “구성”등과 같은 용어는 넓게 사용될 수 있으며, 기계적이고 물리적인 구성들로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도면에 도시된 구성 요소들 간의 연결 선 또는 연결 부재들은 기능적인 연결 및/또는 물리적 또는 회로적 연결들을 예시적으로 나타낸 것일 뿐이다. 실제 장치에서는 대체 가능하거나 추가된 다양한 기능적인 연결, 물리적인 연결, 또는 회로 연결들에 의해 구성 요소들 간의 연결이 나타내어질 수 있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플리케이션(application)은 전자 장치에서 실행되는 응용 프로그램을 의미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른 어플리케이션은 수신되는 사용자 입력에 대응하여 전자 장치에서 실행되는 소프트웨어를 의미할 수 있다.
명세서 전체에서 "콘텐츠"는 전자 장치의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되는 디지털 정보를 의미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른 콘텐츠는, 동영상 콘텐츠(예컨대, TV 프로그램 영상, VOD(Video On Demand), 개인 영상(UCC: User-Created Contents), 뮤직비디오, 유튜브 영상 등), 정지 영상 콘텐츠(예컨대, 사진, 그림 등) 등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전자 장치의 디스플레이부에서 실제 컨텐츠가 출력되는 부분은 스크린 또는 화면으로 불리울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개시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일 실시 예에 따라 채팅 룸 내의 사용자들이 이동되도록 제어하는 시스템을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100)는 컨텐츠 제공 서버(200)로부터 컨텐츠를 제공받을 수 있다.
컨텐츠 제공 서버(200)는 전자 장치(100)와 통신할 수 있는 서버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컨텐츠 제공 서버(200)는 컨텐츠를 제공하는 서버와 별도로, 메타데이터를 제공하는 서버를 포함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컨텐츠 제공 서버(200)는 방송국 서버, OTT 서비스 제공 서버 및 스트리밍 서버 중 적어도 하나에 대응될 수 있다.
방송국 서버는 소정 채널을 통해 라이브 방송 컨텐츠를 송출하는 서버를 의미한다. 이 때, 채널은 방송 채널이 될 수 있으며, 전자 장치(100)의 사용자는 소정 채널을 선택함으로써, 방송 프로그램을 시청할 수 있다.
또한, OTT 서비스 제공 서버는 OTT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버로, OTT(Over The Top) 서비스는 인터넷을 통해 드라마나 영화 등의 다양한 미디어 컨텐츠를 제공하는 서비스를 의미한다. 여기서 Top은 TV에 연결되는 셋탑 박스를 의미하나, 최근 OTT 서비스는 셋탑 박스의 유무를 떠나 PC, 스마트폰 등의 전자 장치에서 제공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기존의 방송사 또는 통신사가 추가적으로 제공하는 인터넷 기반의 동영상 서비스를 모두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스트리밍 서버는 라이브 스트리밍 비디오 컨텐츠 제공 서비스를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전자 장치(100)가 TV인 경우, 스트리밍 영화 제공 서비스를 채널 '1'을 통하여 수신할 수 있으며, 사용자는 전자 장치(100)에서 채널 '1'을 선택하면 스트리밍 영화 제공 서비스에서 제공하는 영화 컨텐츠를 시청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컨텐츠 제공 서버(200)는 전자 장치(100)로 컨텐츠를 제공할 수 있으며, 컨텐츠에 대응되는 컨텐츠 메타 데이터를 제공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0)는 컨텐츠 메타 데이터를 참조하여, 컨텐츠 제공 서버(200)로부터 컨텐츠를 제공받을 수 있다. 컨텐츠 메타 데이터는 컨텐츠 제공 서버(200)에 의해 제공되는 컨텐츠들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컨텐츠 메타 데이터는 예를 들어, 장르 정보, 디렉터 정보, 출연자 정보, 시간 정보 및 컨텐츠 제공자(CP, content provide)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컨텐츠 제공 서버(200)가 방송국 서버인 경우, 전자 장치(100)는 컨텐츠 제공 서버(200)로부터 방송 프로그램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는 EPG(Electronic Program Guide)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EPG 정보는, 채널 이름, 프로그램 제목, 방송 시간, 방송 회차 등에 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0)는 EPG 정보를 참조하여, 방송국 서버로부터 라이브 방송 컨텐츠를 제공받을 수 있다.
컨텐츠 메타 데이터는 제1 컨텐츠(10) 및 제2 컨텐츠(20)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컨텐츠(10) 및 제2 컨텐츠(20)는 컨텐츠 제공 서버(200)에 의해 제공되는 영화 컨텐츠, 방송 컨텐츠 등일 수 있다.
채팅 룸 서버(300)는 전자 장치(100)와 통신할 수 있는 서버를 포함할 수 있다. 채팅 룸 서버(300)는 채팅 룸 데이터를 전자 장치(100)로 제공할 수 있다. 채팅 룸은 전자 장치(100)가 컨텐츠 제공 서버(200)로부터 제공받는 컨텐츠에 대응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채팅 룸(11)은 제1 컨텐츠(10)에 대응될 수 있다. 제2 채팅 룸(21)은 제2 컨텐츠(20)에 대응될 수 있다.
채팅 룸 데이터는 특정 시간에 생성되어 있는 채팅 룸 리스트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 장치(100)는 채팅 룸 서버(300)에 특정 시간에 생성되어 있는 하나 이상의 채팅 룸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채팅 룸 리스트를 요청함으로써, 채팅 룸 리스트를 수신할 수 있다. 채팅 룸에 대한 정보는, 채팅 룸의 식별자 및 해당 채팅 룸에 대응하는 컨텐츠에 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전자 장치(100)는 어느 하나의 채팅 룸의 종료에 따라 종료된 채팅 룸의 사용자들을 이동시킬 또다른 채팅 룸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전자 장치(100)는 채팅 룸 서버(300)에 채팅 룸 종료 시간의 연장, 채팅 룸의 생성을 요청하거나, 채팅 룸의 사용자들이 다른 채팅 룸으로 이동되도록 요청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전자 장치(100)는 채팅 룸 서버(300)로부터 종료 시간이 연장된 채팅 룸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거나, 새로 생성된 채팅 룸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거나, 채팅 룸의 사용자들이 다른 채팅 룸으로 이동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100)는 컨텐츠 제공 서버(200)로부터 제공받은 컨텐츠 메타 데이터를 참조하여, 채팅 룸 내 입장한 사용자들이 또다른 채팅 룸으로 이동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컨텐츠 메타 데이터는 컨텐츠 제공 서버(200)에 의해 제공되는 컨텐츠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0)는 특정 채팅 룸을 선택하는 사용자 입력을 수신함으로써, 해당 채팅 룸 내에 사용자를 입장시킬 수 있다. 사용자는 제1 채팅 룸(11) 또는 제2 채팅 룸(21) 내에 입장하여, 다른 사용자들과 의견을 공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제1 채팅 룸(11)에 입장하여, 제1 채팅 룸(11)에 대응하는 제1 컨텐츠(10)에 관하여 다른 사용자들과 의견을 공유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0)는 제1 컨텐츠(10)가 종료되면, 제1 컨텐츠(10)에 대응하여 생성된 제1 채팅 룸(11)에 입장한 사용자 그룹(UG)이 제2 채팅 룸(21)으로 자동적으로 이동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제2 채팅 룸(21)은 제2 컨텐츠(20)에 대응할 수 있다. 제2 컨텐츠(20)는 제1 컨텐츠(10)를 제공하는 제1 채널에서 제공되는 컨텐츠일 수도 있고 또는 제1 채널과는 다른 채널에서 제공되는 컨텐츠일 수도 있다. 제2 컨텐츠(20)에 대응해서 미리 생성된 제2 채팅 룸(21)이 존재하는 경우 전자 장치(100)는 채팅 룸 서버(300)에 제2 채팅 룸(21)에 대한 정보를 요청할 수 있다. 제2 컨텐츠(20)에 대응해서 미리 생성된 제2 채팅 룸(21)이 존재하지 않는 경우 전자 장치(100)는 채팅 룸 서버(300)에 제2 채팅 룸(21)의 생성을 요청할 수도 있다.
이에 따라, 제1 컨텐츠(10)가 종료되더라도, 제1 채팅 룸(11) 내 참여한 사용자 그룹(UG)은 제2 채팅 룸(21)으로 함께 이동할 수 있다. 사용자 그룹(UG)은 제2 채팅 룸(21) 내에서 계속하여 의견을 공유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본 개시서에 개시된 실시 예들에 따르면 전자 장치(100)에 표시되는 제1 컨텐츠의 종료가 예상됨에 따라, 제1 컨텐츠에 대응하여 제공된 제1 채팅 룸에 입장한 사용자들을 자동적으로 다른 채팅 룸으로 이동되도록 관리함으로써, 제1 채팅 룸을 이용하여 채팅 서비스를 이용하던 사용자들이 다시 채팅 룸을 찾거나 가입하는 등의 수동적인 조작을 필요로 하는 번거로움 없이 채팅 서비스를 끊김없이 이용하게 할 수 있다.
도 2는 일 실시 예에 따라 채팅 룸 내의 사용자들이 이동되도록 제어하는 방법을 도시한다. 참고적으로, 도 2는 채팅 룸 내의 사용자들이 이동되도록 제어하는 방법에 대해, 시간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100)는 시간에 따라 복수의 컨텐츠를 표시할 수 있다. 설명의 편의상, 전자 장치(100)는 제1 컨텐츠(10) 및 제2 컨텐츠(20)를 표시할 수 있는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컨텐츠의 개수는 예시일 뿐, 본 개시의 기술적 사상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전자 장치(100)는 제1 컨텐츠(10)를 표시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0)는 제1 컨텐츠(10)를 표시하는 동안 제1 컨텐츠(10)에 대응하는 제1 채팅 룸(11)이 표시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제1 채팅 룸(11)을 통해, 사용자들은 제1 컨텐츠(10)에 대해 의견을 공유할 수 있다.
제1 채팅 룸(11)은 제1 컨텐츠(10)가 시작되기 전에 생성될 수 있다. 제1 채팅 룸(11)의 생성 시기는 예시일 뿐, 본 개시의 기술적 사상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도 2에서는 제1 컨텐츠(10)가 시작되기 전에 제1 채팅 룸(11)이 생성되어 있는 것으로 도시되었으나, 이와 달리 제1 컨텐츠(10)의 시작과 동시에 또는 제1 컨텐츠(10)의 시작 시점 이후에 제1 채팅 룸(11)이 생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 컨텐츠(10)는 제1 시점에 시작될 수 있다. 제1 채팅 룸(11)은 제1 시점 이전에 생성되어 있을 수 있지만, 제1 시점에 생성되는 것도 물론 가능하다.
전자 장치(100)는 제1 컨텐츠(10)의 종료에 따라 제2 컨텐츠(20)를 표시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0)는 제2 컨텐츠(20)를 표시하는 동안, 제2 컨텐츠(20)에 대응하는 제2 채팅 룸(21)이 표시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제2 채팅 룸(21)을 통해 사용자들은 제2 컨텐츠(20)에 대해 의견을 공유할 수 있다.
제1 컨텐츠(10) 및 제2 컨텐츠(20)는 동일한 채널을 통해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제1 컨텐츠(10) 및 제2 컨텐츠(20)는 각각 다른 채널을 통해 제공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제2 컨텐츠(20)는 제1 컨텐츠(10)가 제공되는 제1 채널에서 제공되거나, 제1 컨텐츠(10)가 제공되는 제1 채널과 다른 제2 채널에서 제공될 수 있다.
제2 채팅 룸(21)은 제2 컨텐츠(20)가 시작되기 전에 생성될 수 있다. 제1 채팅 룸(11)과 마찬가지로, 제2 채팅 룸(21)의 생성 시기는 예시일 뿐, 본 개시의 기술적 사상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도 2에서는 제2 컨텐츠(20)가 시작되기 전에 제2 채팅 룸(21)이 생성되어 있는 것으로 도시되었으나, 이와 달리 제2 컨텐츠(20)의 시작과 동시에 제2 채팅 룸(21)이 생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2 컨텐츠(20)는 제2 시점에 시작될 수 있다. 제2 채팅 룸(21)은 제2 시점 이전에 생성되어 있을 수 있다. 즉, 제2 채팅 룸(21)은 제1 컨텐츠(10)가 표시되고 있는 시점인 제3 시점에 생성될 수 있다. 다만, 제2 채팅 룸(21)은 제2 시점에 생성되는 것도 물론 가능하다.
일 실시 예에 따라, 전자 장치(100)는 제1 채팅 룸(11)의 사용자들(UG)이 제2 채팅 룸(21)으로 이동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0)는 컨텐츠 제공 서버(200)로부터 제공받은 컨텐츠 메타 데이터를 참조하여, 제1 컨텐츠(10)가 종료될 것임을 예상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0)는 제1 컨텐츠(10)의 종료가 예상됨에 따라, 제1 채팅 룸(11) 내의 사용자들(UG)을 이동시킬 채팅 룸을 선택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0)는 예를 들어, 제2 컨텐츠(20)에 대응하는 제2 채팅 룸(21)을 선택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0)는 제2 채팅 룸(21)의 선택에 따라 자동적으로, 제1 채팅 룸(11)의 사용자들(UG)이 제2 채팅 룸(21)으로 이동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0)는 제1 컨텐츠(10)가 종료되는 제2 시점에, 제1 채팅 룸(11)의 사용자들(UG)이 제2 채팅 룸(21)으로 이동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 채팅 룸(11)의 사용자들(UG)은 이탈없이, 제2 채팅 룸(21)으로 함께 이동될 수 있다. 제1 채팅 룸(11)의 사용자들(UG)은 제2 채팅 룸(21)으로 이동하여 의견을 공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채팅 룸(21)으로 이동한 사용자들(UG)은 제2 컨텐츠(20)에 관한 의견을 공유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라, 전자 장치(100)는 제1 컨텐츠(10)가 종료되기 전인 제3 시점에 제2 채팅 룸(21)을 선택할 수 있다. 즉, 전자 장치(100)는 제1 컨텐츠(10)의 종료가 예상됨에 따라 제1 컨텐츠(10)에 후속하는 제2 컨텐츠(20)에 대응하는 제2 채팅 룸(21)을 선택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0)는 제1 컨텐츠(10)의 종료에 따라, 자동적으로, 제1 채팅 룸(11)의 사용자들(UG)이 제2 채팅 룸(21)으로 이동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즉, 전자 장치(100)는 제2 시점에 자동적으로, 제1 채팅 룸(11)의 사용자들(UG)이 제2 채팅 룸(21)으로 이동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라, 전자 장치(100)는 제1 컨텐츠(10)를 표시하는 동안, 기생성된 제2 채팅 룸(21)을 확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 장치(100)는 제3 시점에 제2 채팅 룸(21)이 이미 생성되어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제2 채팅 룸(21)이 생성되어 있음을 확인한 후, 전자 장치(100)는 제1 컨텐츠(10)의 종료에 따라, 제1 채팅 룸(11)의 사용자들(UG)이 제2 채팅 룸(21)으로 이동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도 3은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를 통해 컨텐츠 및 채팅 룸이 제공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참고적으로, 도 3은 전자 장치(100)의 디스플레이를 통해 컨텐츠 및 채팅 룸이 표시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설명의 편의상, 도 1 및 도 2를 이용하여 설명한 것과 중복되는 것은 간략히 하거나 생략한다.
도 3의 300A를 참조하면, 전자 장치(100)는 디스플레이(110)를 통해 제1 컨텐츠(10)를 제공할 수 있다. 사용자는 디스플레이(110)를 통해 제1 컨텐츠(10)를 시청할 수 있다.
제1 컨텐츠(10)는 제1 시점에 시작되고, 제2 시점에 종료될 수 있다. 전자 장치(100)는 제1 시점부터 제2 시점까지 제1 컨텐츠(10)를 디스플레이(110)를 통해 제공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110)는 제1 컨텐츠(10) 및 제1 채팅 룸(11)을 표시할 수 있다. 제1 컨텐츠(10)와 대응되는 제1 채팅 룸(11)은 제1 컨텐츠(10)와 함께 표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110)는 제1 컨텐츠(10)를 표시하고, 제1 채팅 룸(11)을 우측 하단에 표시할 수 있다.
단, 채팅 룸이 표시되는 위치 및 방법은 예시일 뿐, 본 개시의 기술적 사상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제1 채팅 룸(11)은 투명도를 조절함으로써, 디스플레이(110)의 적어도 일부를 통해 표시될 수 있다. 다른 예로,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전자 장치(100)의 디스플레이(110)를 통해 제1 컨텐츠(10)가 표시되는 동안, 제1 채팅 룸(11)은 또다른 전자 장치의 디스플레이를 통해 표시될 수 있다.
제1 채팅 룸(11)은 사용자들(UG)이 의견을 공유할 수 있는 공간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채팅 룸(11) 내에서 유저 1과 유저 2는 인사를 건넬 수 있고, 제1 컨텐츠(10)에 대한 의견을 공유할 수 있다.
도 3의 300B를 참조하면, 제1 컨텐츠(10)는 제2 시점에 종료될 수 있다. 동시에, 제2 컨텐츠(20)는 제2 시점에 시작될 수 있다. 전자 장치(100)는 제2 시점 이후로 제2 컨텐츠(20)를 디스플레이(110)를 통해 제공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110)는 제2 컨텐츠(20) 및 제2 채팅 룸(21)을 표시할 수 있다. 제2 컨텐츠(20)와 대응되는 제2 채팅 룸(21)은 제2 컨텐츠(20)와 함께 표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110)는 제2 컨텐츠(20)를 표시하고, 제2 채팅 룸(21)을 우측 하단에 표시할 수 있다.
단, 채팅 룸이 표시되는 위치 및 방법은 예시일 뿐, 본 개시의 기술적 사상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제2 채팅 룸(21)은 투명도를 조절함으로써, 디스플레이(110)의 적어도 일부를 통해 표시될 수 있다. 다른 예로,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전자 장치(100)의 디스플레이(110)를 통해 제2 컨텐츠(20)가 표시되는 동안, 제2 채팅 룸(21)은 또다른 전자 장치의 디스플레이를 통해 표시될 수 있다.
또한, 채팅 룸 내에 사용자들은 텍스트를 이용하여 의견을 공유하는 것으로 도시되었으나, 이는 예시일 뿐 본 개시의 기술적 사상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채팅 룸 내에 사용자들은 음성 채팅 또는 화상 채팅의 방식을 이용하여 의견을 공유할 수도 있다.
전자 장치(100)는 제1 채팅 룸(11)의 사용자들(UG)이 제2 채팅 룸(21)으로 이동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0)는 제1 컨텐츠(10)가 종료되는 시점에, 제1 채팅 룸(11)의 사용자들(UG)이 제2 채팅 룸(21)으로 이동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 채팅 룸(11)의 사용자들(UG)의 구성과 제2 채팅 룸(21)의 사용자들의 구성은 동일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채팅 룸(11)의 유저 1은 제2 채팅 룸(21)의 사용자들(UG)에 포함될 수 있다.
제2 채팅 룸(21)은 사용자들(UG)이 의견을 공유할 수 있는 공간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채팅 룸(21) 내에서 유저 1과 유저 2는 인사를 건넬 수 있고, 제2 컨텐츠(20)에 대한 의견을 공유할 수 있다.
도 4는 일 실시 예에 따라 하나의 채널에서 제공되는 복수의 컨텐츠들에 대해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설명의 편의상, 도 1 내지 도 3을 이용하여 설명한 것과 중복되는 점은 간략히 하거나 생략한다.
도 4를 참조하면, 일 실시 예에 따라, 전자 장치(100)는 하나의 채널을 통해 복수의 컨텐츠를 제공할 수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컨텐츠(10) 및 제2 컨텐츠(20)는 제1 채널을 통해 제공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 장치(100)는 채널 '1'을 선택하는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여, 채널 '1'을 통해 제1 컨텐츠(10) 및 제2 컨텐츠(20)를 제공할 수 있다. 제2 컨텐츠(20)는 제1 컨텐츠(10)에 후속하는 컨텐츠일 수 있다. 제2 컨텐츠(20)는 제1 컨텐츠(10)에 뒤이어 제공되는 것으로 도시되었으나, 제1 컨텐츠(10) 및 제2 컨텐츠(20)가 제1 채널을 통해 제공되는 순서는 본 개시의 기술적 사상을 한정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제2 컨텐츠(20)는 제1 컨텐츠(10)에 후속하나, 전자 장치(100)는 제1 컨텐츠(10) 및 제2 컨텐츠(20) 사이에 제3 컨텐츠를 제공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0)는 제1 채널을 통해 제공되는 제1 컨텐츠(10)가 종료된 후, 후속하는 제2 컨텐츠(20)에 대응하는 제2 채팅 룸(21)을 선택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0)는 제1 채팅 룸(11)의 사용자들(UG)이 제2 채팅 룸(21)으로 이동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사용자들(UG)이 제2 채팅 룸(21)으로 이동되도록 제어하는 것은, 도 2에서 설명한 것과 동일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0)는 제1 컨텐츠(10)를 표시하는 동안, 제1 컨텐츠(10)에 대응하는 제1 채팅 룸(11)이 표시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전자 장치(100)는 제2 컨텐츠(20)를 표시하는 동안, 제2 컨텐츠(20)에 대응하는 제2 채팅 룸(21)이 표시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도 5는 일 실시 예에 따라 복수의 채널에서 제공되는 각각의 컨텐츠들에 대해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설명의 편의상, 도 1 내지 도 4를 이용하여 설명한 것과 중복되는 점은 간략히 하거나 생략한다.
도 5를 참조하면, 일 실시 예에 따라, 전자 장치(100)는 복수의 채널을 통해 각각 복수의 컨텐츠를 제공할 수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전자 장치(100)는 제1 채널을 통해 복수의 컨텐츠를 제공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0)는 복수의 컨텐츠 중 적어도 제1 컨텐츠(10)를 제공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0)는 제2 채널을 통해 복수의 컨텐츠를 제공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0)는 복수의 컨텐츠 중 적어도 제2 컨텐츠(20)를 제공할 수 있다. 제2 채널은 제1 채널과 다를 수 있다.
즉, 전자 장치(100)는 제1 채널을 통해 적어도 제1 컨텐츠(10)를 제공할 수 있고, 제2 채널을 통해 적어도 제2 컨텐츠(20)를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 장치(100)는 채널 '1'을 선택하는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여 채널 '1'을 통해 제1 컨텐츠(10)를 제공할 수 있고, 채널 '2'를 선택하는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여 채널 '2'를 통해 제2 컨텐츠(20)를 제공할 수 있다.
제2 컨텐츠(20)는 제1 컨텐츠(10)에 후속하는 컨텐츠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2 컨텐츠(20)는 제1 컨텐츠(10)가 종료된 시점에 시청가능한 컨텐츠일 수 있다.
전자 장치(100)는 제1 채널을 통해 제공되는 제1 컨텐츠(10)가 종료된 후, 제2 채널을 통해 제공되는 제2 컨텐츠(20)에 대응하는 제2 채팅 룸(21)을 선택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0)는 제1 채팅 룸(11)의 사용자들(UG)이 제2 채팅 룸(21)으로 이동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사용자들(UG)이 제2 채팅 룸(21)으로 이동되도록 제어하는 것은, 도 2에서 설명한 것과 동일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0)는 제1 컨텐츠(10)를 표시하는 동안, 제1 컨텐츠(10)에 대응하는 제1 채팅 룸(11)이 표시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전자 장치(100)는 제2 컨텐츠(20)를 표시하는 동안, 제2 컨텐츠(20)에 대응하는 제2 채팅 룸(21)이 표시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도 6은 일 실시 예에 따라 채팅 룸 내의 사용자들이 이동되도록 제어하는 방법을 도시한다. 설명의 편의상, 도 2를 이용하여 설명한 것과 중복되는 것은 간략히 하거나 생략한다.
참고적으로, 도 6 및 도 7은 제1 컨텐츠(10)가 종료된 시점에 제2 채팅 룸(21)이 없는 경우에, 제2 채팅 룸(21)의 생성을 요청한 후 제1 채팅 룸(11)의 사용자들(UG)을 제2 채팅 룸(21)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100)는 시간에 따라 복수의 컨텐츠를 표시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0)는 제1 컨텐츠(10)를 표시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0)는 제1 컨텐츠(10)를 표시하는 동안, 제1 컨텐츠(10)에 대응하는 제1 채팅 룸(11)이 표시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0)는 제1 컨텐츠(10)의 종료에 따라 제2 컨텐츠(20)를 표시할 수 있다. 단, 제1 컨텐츠(10)를 표시하는 동안, 제2 컨텐츠(20)에 대응되는 제2 채팅 룸(21)은 존재하지 않을 수 있다. 전자 장치(100)는 제1 컨텐츠(10)를 표시하는 동안, 제2 컨텐츠(20)에 대응되는 제2 채팅 룸(21)이 존재하지 않음을 확인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전자 장치(100)는 제2 채팅 룸(21)의 존재 여부를 제3 시점에 확인할 수 있다. 제3 시점은 제1 컨텐츠(10)가 재생 중인 시점일 수 있다. 전자 장치(100)는 제1 컨텐츠(10)가 종료되기 전인 제3 시점에, 제1 채팅 룸(11)의 사용자들(UG)을 이동시킬 제2 채팅 룸(21)의 존재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전자 장치(100)는 제2 시점에 제2 채팅 룸(21)이 존재하는 지 여부를, 제3 시점에 확인할 수 있다. 제2 시점은 제1 컨텐츠(10)가 종료되는 시점이다. 동시에 제2 시점은 제2 컨텐츠(20)가 시작되는 시점일 수 있으나, 이는 예시일 뿐, 본 개시의 기술적 사상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제2 시점에 제1 컨텐츠(10)는 종료되나, 제2 컨텐츠(20)가 시작하기 전 광고가 재생되고 있을 수 있다.
이에 따라, 전자 장치(100)는 제2 시점에 제2 채팅 룸(21)이 존재하는 지 여부를 확인함으로써, 제1 컨텐츠(10)가 종료된 시점에 제1 채팅 룸(11)의 사용자들(UG)을 이동시킬 채팅 룸이 있는지를 확인할 수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전자 장치(100)는 제2 시점에 제2 채팅 룸(21)이 존재하지 않음을, 제3 시점에 확인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0)는 채팅 룸 서버(300)로부터 제공받은 채팅 룸 데이터를 참조하여, 제2 시점에 제2 채팅 룸(21)이 존재하는 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채팅 룸 데이터는 각각의 컨텐츠에 대응하는 채팅 룸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채팅 룸 데이터는 예를 들어, 각각의 컨텐츠에 대응하는 채팅 룸의 생성 시간 정보, 입장한 사용자 정보 및 대응되는 컨텐츠에 대한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도 7은 일 실시 예에 따라 채팅 룸 내의 사용자들이 이동되도록 제어하는 방법을 도시한다.
도 7을 참조하면, 도 6의 일 실시 예에 따라 제1 컨텐츠(10)가 표시되는 동안 제2 채팅 룸(21)이 존재하지 않은 경우에, 전자 장치(100)는 채팅 룸 서버(300)에 제2 채팅 룸(21)의 생성을 요청할 수 있다.
제2 채팅 룸(21)은 제1 컨텐츠(10)가 종료되기 전에 채팅 룸 서버(300)에 의해 생성될 수 있다. 제2 채팅 룸(21)은 제1 컨텐츠(10)가 종료되기 전인 제3 시점에 생성될 수 있다. 전자 장치(100)가 채팅 룸 서버(300)에 제2 채팅 룸(21)의 생성을 요청한 후, 제2 채팅 룸(21)은 생성될 수 있다. 전자 장치(100)가 채팅 룸 서버(300)에 제2 채팅 룸(21)의 생성을 요청하는 시기와 제2 채팅 룸(21)이 생성되는 시기는 제3 시점으로 동일하게 기술되었으나, 이는 예시일 뿐, 본 개시의 기술적 사상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전자 장치(100)가 채팅 룸 서버(300)에 제2 채팅 룸(21)을 생성을 요청하는 시점과, 제2 채팅 룸(21)이 생성되는 시점 사이에 시간적 간격이 있을 수 있음은 물론이다.
전자 장치(100)는 제1 컨텐츠(10)의 종료에 따라, 제1 채팅 룸(11)의 사용자들(UG)이 제2 채팅 룸(21)으로 이동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제1 채팅 룸(11)의 사용자들(UG)이 제2 채팅 룸(21)으로 이동되도록 제어하는 방법은 도 2에 기술한 내용과 동일할 수 있다.
도 8은 일 실시 예에 따라 채팅 룸 내의 사용자들이 이동되도록 제어하는 방법을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참고적으로, 도 8은 도 2, 도 6 및 도 7을 이용하여 설명한 것을 단계적으로 설명하는 도면이다. 따라서, 도 2, 도 6 및 도 7을 이용하여 설명한 것과 중복되는 것은 간략히 한다.
도 8을 참조하면, 단계 S110에서, 전자 장치(100)는 제1 컨텐츠(10)를 표시할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자 장치(100)는 제1 컨텐츠(10)를 표시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0)는 제1 컨텐츠(10)와 동시에, 제1 컨텐츠(10)와 대응되는 제1 채팅 룸(11)을 표시할 수 있다. 제1 채팅 룸(11) 내의 사용자들(UG)은 제1 채팅 룸(11) 내에서, 제1 컨텐츠(10)에 관하여 의견을 공유할 수 있다.
단계 S120에서, 전자 장치(100)는 제1 컨텐츠(10)가 종료되는 시점의 제2 채팅 룸(21)의 생성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채팅 룸 서버(300)로부터 제공받은 채팅 룸 데이터를 참조하면, 제2 컨텐츠(20)에 대응되는 제2 채팅 룸(21)은 제1 컨텐츠(10)가 종료되는 시점에 생성되어 있을 수 있지만, 생성되어 있지 않을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라, 제1 컨텐츠(10)가 종료되는 시점에 제2 채팅 룸(21)이 생성되어 있는 경우에, 도 2를 이용하여 설명한 바와 같이, 전자 장치(100)는 제1 컨텐츠(10)가 종료에 따라, 제1 채팅 룸(11)의 사용자들(UG)이 제2 채팅 룸(21)으로 이동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단계 S130에서, 일 실시 예에 따라, 제1 컨텐츠(10)가 종료되는 시점에 제2 채팅 룸(21)이 생성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 전자 장치(100)는 채팅 룸 서버(300)에 제2 채팅 룸(21)의 생성을 요청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0)는 채팅 룸 서버(300)에 제2 채팅 룸(21)의 생성을 요청함에 따라, 생성된 제2 채팅 룸(21)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채팅 룸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단계 S140에서, 전자 장치(100)는 제1 컨텐츠(10)의 종료에 따라, 제1 채팅 룸(11)의 사용자들(UG)이 제2 채팅 룸(21)으로 이동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0)는 제2 채팅 룸(21)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컨텐츠 메타 데이터를 참조하여, 제1 컨텐츠(10)의 종료가 예상됨에 따라 제1 컨텐츠(10)에 후속하는 제2 컨텐츠(20)에 대응하는 제2 채팅 룸(21)을 선택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0)는 제1 컨텐츠(10)의 종료에 따라, 자동적으로, 제1 채팅 룸(11)의 사용자들(UG)이 제2 채팅 룸(21)으로 이동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도 9는 일 실시 예에 따라 채팅 룸 내의 사용자들이 이동되도록 제어하는 방법을 도시한다.
설명의 편의상, 도 2를 이용하여 설명한 것과 중복되는 것은 간략히 하거나 생략한다.
도 9를 참조하면,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100)는 시간에 따라 복수의 컨텐츠를 표시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0)는 제1 컨텐츠(10)를 표시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0)는 제1 컨텐츠(10)를 표시하는 동안, 제1 컨텐츠(10)에 대응하는 제1 채팅 룸(11)이 표시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0)는 제1 컨텐츠(10)의 종료에 따라 제2 컨텐츠(20)를 표시할 수 있다. 단, 제1 컨텐츠(10)를 표시하는 동안, 제2 컨텐츠(20)에 대응되는 제2 채팅 룸(21)은 존재하지 않을 수 있다. 전자 장치(100)는 제1 컨텐츠(10)를 표시하는 동안, 제2 컨텐츠(20)에 대응되는 제2 채팅 룸(21)이 존재하지 않음을 확인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전자 장치(100)는 제2 채팅 룸(21)의 존재 여부를 제3 시점에 확인할 수 있다. 제3 시점은 제1 컨텐츠(10)가 재생 중인 시점일 수 있다. 전자 장치(100)는 제1 컨텐츠(10)가 종료되기 전인 제3 시점에, 제1 채팅 룸(11)의 사용자들(UG)을 이동시킬 제2 채팅 룸(21)의 존재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전자 장치(100)는 제2 시점에 제2 채팅 룸(21)이 존재하는 지 여부를, 제3 시점에 확인할 수 있다. 제2 시점은 제1 컨텐츠(10)가 종료되는 시점이다. 동시에 제2 시점은 제2 컨텐츠(20)가 시점일 수 있으나, 이는 예시일 뿐, 본 개시의 기술적 사상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제2 시점에 제1 컨텐츠(10)는 종료되나, 제2 컨텐츠(20)가 시작하기 전 광고가 재생되고 있을 수 있다.
이에 따라, 전자 장치(100)는 제2 시점에 제2 채팅 룸(21)이 존재하는 지 여부를 확인함으로써, 제1 컨텐츠(10)가 종료된 시점에 제1 채팅 룸(11)의 사용자들(UG)을 이동시킬 채팅 룸이 있는지를 확인할 수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전자 장치(100)는 제2 시점에 제2 채팅 룸(21)이 존재하지 않음을, 제3 시점에 확인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0)는 채팅 룸 서버(300)로부터 제공받은 채팅 룸 데이터를 참조하여, 제2 시점에 제2 채팅 룸(21)이 존재하는 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채팅 룸 데이터는 각각의 컨텐츠에 대응하는 채팅 룸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채팅 룸 데이터는 예를 들어, 각각의 컨텐츠에 대응하는 채팅 룸의 생성 시간 정보, 입장한 사용자 정보 및 대응되는 컨텐츠에 대한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참고적으로, 도 9 및 도 10은 제1 컨텐츠(10)가 종료된 시점에 제2 채팅 룸(21)이 없는 경우에, 제1 채팅 룸(11)의 종료 시간의 연장을 요청한 후 제1 채팅 룸(11)의 사용자들(UG)을 제1 채팅 룸(11)에 머물게 하기 위한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도 10은 일 실시 예에 따라 채팅 룸 내의 사용자들이 이동되도록 제어하는 방법을 도시한다.
도 10을 참조하면, 도 9의 일 실시 예에 따라 제1 컨텐츠(10)가 표시되는 동안 제2 채팅 룸(21)이 존재하지 않은 경우에, 전자 장치(100)는 채팅 룸 서버(300)에 제1 채팅 룸(11)의 종료 시간 연장을 요청할 수 있다.
여기서, 제1 채팅 룸(11)의 종료 시간을 연장함으로써, 연장된 운영 시간 동안의 제1 채팅 룸(11)은 제2 채팅 룸(21)으로 표현될 수 있다. 즉, 제2 채팅 룸(21)은 제1 채팅 룸(11)의 종료 시간을 연장함으로써 생성된 것일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 채팅 룸(11)은 제1 컨텐츠(10)에 대응될 수 있고, 제2 채팅 룸(21)은 제2 컨텐츠(20)에 대응될 수 있다.
제1 채팅 룸(11)은 제1 컨텐츠(10)가 종료되기 전에 채팅 룸 서버(300)에 의해 종료 시간이 연장될 수 있다. 즉, 제2 채팅 룸(21)은 제1 컨텐츠(10)가 종료되기 전에 채팅 룸 서버(300)에 의해 생성될 수 있다. 제2 채팅 룸(21)은 제1 컨텐츠(10)가 종료되기 전인 제3 시점에 생성될 수 있다. 전자 장치(100)가 채팅 룸 서버(300)에 제1 채팅 룸(11)의 종료 시간의 연장을 요청한 후, 제1 채팅 룸(11)의 종료 시간은 연장될 수 있다. 즉, 전자 장치(100)가 채팅 룸 서버(300)에 제1 채팅 룸(11)의 종료 시간의 연장을 요청한 후, 제2 채팅 룸(21)은 생성될 수 있다.
전자 장치(100)는 제1 컨텐츠(10)의 종료에 따라, 제1 채팅 룸(11)의 사용자들(UG)이 제2 채팅 룸(21)으로 이동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제1 채팅 룸(11)의 사용자들(UG)이 제2 채팅 룸(21)으로 이동되는 것은, 제1 채팅 룸(11)의 종료 시간이 연장됨으로써, 제1 채팅 룸(11)의 사용자들(UG)이 제1 채팅 룸(11)에 머무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즉, 제1 채팅 룸(11)의 종료 시간을 연장함으로써, 전자 장치(100)는 제1 컨텐츠(10)의 종료에 따라, 제1 채팅 룸(11)의 사용자들(UG)이 제1 채팅 룸(11) 내에 머물도록 제어할 수 있다.
도 11은 일 실시 예에 따라 사용자에게 채팅 룸 리스트를 제공하여, 사용자가 선택한 채팅 룸으로 사용자가 이동되도록 제어하는 방법을 도시한다.
도 11을 참조하면, 일 실시 예에 따라, 전자 장치(100)는 복수의 채널을 통해 각각 복수의 컨텐츠를 제공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라, 전자 장치(100)는 컨텐츠 제공 서버(200)로부터 컨텐츠 메타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0)는 컨텐츠 메타 데이터를 참고하여, 제1 채널을 통해 복수의 컨텐츠 중 적어도 제1 컨텐츠(10)를 제공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0)는 컨텐츠 메타 데이터를 참고하여, 제2 채널을 통해 복수의 컨텐츠 중 적어도 제2 컨텐츠(20)를 제공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0)는 컨텐츠 메타 데이터를 참고하여, 제3 채널을 통해 복수의 컨텐츠 중 적어도 제3 컨텐츠(30)를 제공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0)는 컨텐츠 메타 데이터를 참고하여, 제4 채널을 통해 복수의 컨텐츠 중 적어도 제4 컨텐츠(40)를 제공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0)는 제1 컨텐츠(10)에 대응하는 제1 채팅 룸(11), 제2 컨텐츠(20)에 대응하는 제2 채팅 룸(21), 제3 컨텐츠(30)에 대응하는 제3 채팅 룸(31) 및 제4 컨텐츠(40)에 대응하는 제4 채팅 룸(41)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1에서는, 전자 장치(100)가 4개의 채널을 통해 복수의 컨텐츠를 제공하는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채널의 개수는 예시일 뿐, 본 개시의 기술적 사상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제2 컨텐츠 내지 제4 컨텐츠(20, 30, 40) 각각에 대응되는 제2 채팅 룸 내지 제4 채팅 룸(21, 31, 41)은, 도 2에서 설명한 것과 같이 선행하는 제1 컨텐츠(10)가 표시되는 동안 생성되어 있는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도 6 및 도 7을 이용하여 설명한 것과 같이 채팅 룸 서버(300)에 채팅 룸을 생성 요청함에 따라 생성될 수 있다.
제1 컨텐츠 내지 제4 컨텐츠(10, 20, 30, 40)의 상영 시간은 다를 수 있다. 이에 따라, 도 11에서는 제1 컨텐츠(10)의 종료 시간과 제2 컨텐츠 내지 제4 컨텐츠(20, 30, 40)의 시작 시간은 일치하지 않을 수 있다. 단, 이는 예시일 뿐, 본 개시의 기술적 사상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제1 컨텐츠(10)의 종료 시간과 제2 컨텐츠(20)의 종료 시간은 일치할 수도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라, 전자 장치(100)는 제1 컨텐츠(10)가 종료되기 전에, 제1 컨텐츠(10)가 종료하는 시점에 기생성된 채팅 룸에 대한 채팅 룸 리스트를 획득할 수 있다. 제1 컨텐츠(10)는 제1 시점에 시작되어 제2 시점에 종료될 수 있다. 전자 장치(100)는 제1 컨텐츠(10)가 종료하는 제3 시점에, 제1 컨텐츠(10)가 종료하는 시점에 기생성된 채팅 룸에 대한 채팅 룸 리스트를 획득할 수 있다.
채팅 룸 리스트는 제1 컨텐츠(10)가 종료되는 제2 시점에 기생성된 채팅 룸에 대한 리스트일 수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컨텐츠(10)가 종료되는 경우, 채팅 룸 리스트는 예를 들어, 제2 채팅 룸(21) 및 제4 채팅 룸(41)을 포함할 수 있다. 단, 이는 예시일 뿐, 본 개시의 기술적 사상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일 실시 예에 따라, 전자 장치(100)는 제1 컨텐츠(10)의 종료에 따라 사용자에게 채팅 룸 리스트를 표시할 수 있다. 채팅 룸 리스트는 예를 들어, 제2 채팅 룸(21) 및 제4 채팅 룸(41)을 포함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0)는 채팅 룸 리스트 중 제2 채팅 룸(21)을 선택하는 사용자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0)는 채팅 룸 리스트 중 제2 채팅 룸(21)을 선택하는 사용자 입력에 따라, 제1 채팅 룸(11)의 사용자들(UG)이 제2 채팅 룸(21)으로 이동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사용자들(UG)이 제2 채팅 룸(21)으로 이동되도록 제어하는 것은, 도 2에서 설명한 것과 동일할 수 있다.
도 12는 일 실시 예에 따라 사용자에게 채팅 룸 리스트를 제공하여, 사용자가 이동할 채팅 룸을 선택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참고적으로, 도 12는 도 11을 이용하여 설명한 것을 단계적으로 설명하는 도면이다. 따라서, 도 11을 이용하여 설명한 것과 중복되는 것은 간략히 한다.
도 12를 참조하면, 단계 S210에서, 전자 장치(100)는 제1 컨텐츠(10)가 종료하는 시점에 기생성된 채팅 룸에 대한 채팅 룸 리스트를 획득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0)는 제1 컨텐츠(10)가 종료하기 전에, 제1 컨텐츠(10)가 종료하는 시점에 생성되어 있는 채팅 룸을 확인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0)는 제1 컨텐츠(10)에 대응되는 제1 채팅 룸(11)이 종료되는 경우를 대비하여, 제1 컨텐츠(10)가 종료하는 시점의 채팅 룸을 확인할 수 있다.
단계 S220에서, 전자 장치(100)는 제1 컨텐츠(10)의 종료에 따라 채팅 룸 리스트를 표시할 수 있다. 채팅 룸 리스트는 단계 S210에서 확인한, 제1 컨텐츠(10)가 종료하는 시점의 채팅 룸들을 포함할 수 있다.
단계 S230에서, 전자 장치(100)는 제1 채팅 룸(11)의 사용자들(UG)이 제2 채팅 룸(21)으로 이동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0)는 사용자에게 채팅 룸 리스트를 표시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0)는 채팅 룸 리스트에 포함된 복수의 채팅 룸 중 제2 채팅 룸(21)을 선택하는 사용자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0)는 수신한 사용자 입력을 참고하여, 제1 채팅 룸(11)의 사용자들(UG)이 제2 채팅 룸(21)으로 이동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도 13은 채팅 룸 리스트에 표시되는 채팅 룸의 순서를 결정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참고적으로, 도 13은 도 12의 단계 S220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3을 참조하면, 단계 S221에서, 전자 장치(100)는 제1 채팅 룸(11)의 사용자들(UG)의 컨텐츠 시청에 관한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 장치(100)는 제1 채팅 룸(11)의 사용자의 시청 이력에 대한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0)는 제1 채팅 룸(11)의 사용자의 컨텐츠 시청 내역, 시청 시간 등에 대한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다른 예로, 전자 장치(100)는 제1 채팅 룸(11)의 사용자들(UG)이 시청하고 있는 제1 컨텐츠(10)에 관한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0)는 제1 컨텐츠(10)의 장르 정보, 디렉터 정보, 재생 시간, 출연자 정보 등에 대한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단계 S222에서, 전자 장치(100)는 획득한 컨텐츠 시청에 관한 정보를 참고하여, 채팅 룸 리스트 내에 표시되는 채팅 룸의 순서를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 장치(100)는 적어도, 제1 채팅 룸(11)의 사용자의 컨텐츠 시청 내역 및 장르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0)는 사용자의 컨텐츠 시청 내역에 있는 컨텐츠들의 장르 정보를 획득하여, 해당 사용자의 장르 선호도를 판단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0)는 사용자가 시청한 컨텐츠들 중 시청 횟수가 많은 순서대로 장르 선호도를 판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전자 장치(100)는 장르 선호도를 참고하여, 채팅 룸 리스트 내에 표시되는 채팅 룸의 순서를 결정할 수 있다.
다른 예로, 전자 장치(100)는 적어도, 제1 채팅 룸(11)의 사용자의 컨텐츠 시청 내역 및 디렉터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0)는 사용자의 컨텐츠 시청 내역에 있는 컨텐츠들의 디렉터 정보를 획득하여, 해당 사용자의 디렉터 선호도를 판단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0)는 사용자가 시청한 컨텐츠들 중 시청 횟수가 많은 순서대로 디렉터 선호도를 판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전자 장치(100)는 디렉터 선호도를 참고하여, 채팅 룸 리스트 내에 표시되는 채팅 룸의 순서를 결정할 수 있다.
단, 컨텐츠 시청에 관한 정보는 예시일 뿐, 본 개시의 기술적 사상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단계 S223에서, 전자 장치(100)는 제1 컨텐츠(10)의 종료에 따라 채팅 룸 리스트를 표시할 수 있다. 채팅 룸 리스트는 단계 S223에 의해 채팅 룸의 순서가 결정된 리스트일 수 있다.
도 14는 사용자에게 제공된 채팅 룸 리스트 중 하나의 채팅 룸을 추천함으로써, 사용자가 추천 룸으로 이동되도록 제어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설명의 편의상, 도 12를 이용하여 설명한 것과 중복되는 것은 간략히 하거나 생략한다.
도 14를 참조하면, 일 실시 예에 따라, 단계 S210에서, 전자 장치(100)는 제1 컨텐츠(10)가 종료하는 시점에 기생성된 채팅 룸에 대한 채팅 룸 리스트를 획득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라, 단계 S220에서, 전자 장치(100)는 제1 컨텐츠(10)의 종료에 따라 채팅 룸 리스트를 표시할 수 있다.
참고적으로, 단계 S210 및 단계 S220의 기능은 도 12에서 설명한 것과 동일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라, 단계 S240에서, 전자 장치(100)는 채팅 룸 리스트 내에 표시된 제2 채팅 룸(21)을 추천 룸으로 결정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0)는 채팅 룸 리스트 내에 표시된 복수의 채팅 룸 중 적어도 제2 채팅 룸(21)을 선택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0)는 예를 들어, 도 13에 설명한 바와 같이, 단계 S223에 의해 채팅 룸의 순서가 결정된 채팅 룸 리스트를 확인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전자 장치(100)는 채팅 룸 리스트 내의 복수의 채팅 룸 중 최우선 순위에 있는 채팅 룸을 선택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0)는 선택한 제2 채팅 룸(21)을 추천 룸으로 결정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라, 단계 S250에서, 전자 장치(100)는 제1 컨텐츠(10)의 종료에 따라, 제1 채팅 룸(11)의 사용자들(UG)이 제2 채팅 룸(21)으로 이동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즉, 전자 장치(100)는 제1 컨텐츠(10)의 종료에 따라, 제1 채팅 룸(11)의 사용자들(UG)이 추천 룸으로 이동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추천 룸은 제2 채팅 룸(21)일 수 있다.
도 15는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블록도이다. 설명의 편의상, 도 1 내지 도 14에서와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도 15를 참조하면, 일부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100)는 메모리(1690), 프로세서(1680) 및 통신부(1650)를 포함할 수 있다. 그러나 도 15에 도시된 구성요소가 전자 장치(100)의 필수 구성 요소인 것은 아니다. 도 15에 도시된 구성요소보다 많은 구성 요소에 의해 전자 장치(100)가 구현될 수도 있고, 도 15에 도시된 구성 요소보다 적은 구성 요소에 의해 전자 장치(100)가 구현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부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100)는 더 많은 구성요소를 포함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0)는 복수개의 서로 다른 서버들과 통신을 수행하는 통신부(1650), 하나 이상의 인스트럭션을 저장하는 메모리(1690) 및 메모리에 저장된 하나 이상의 인스트럭션을 실행하는 프로세서(1680)를 적어도 하나 포함하고,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1680)는, 상기 하나 이상의 인스트럭션을 실행함으로써, 제1 컨텐츠(10)를 표시하고, 제1 컨텐츠(10)를 표시하는 동안 제1 컨텐츠(10)에 대응하는 제1 채팅 룸(11)이 표시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1680)는 제1 컨텐츠(10)의 종료가 예상됨에 따라 제2 컨텐츠(20)에 대응하는 제2 채팅 룸(21)을 선택하고, 제2 채팅 룸(21)의 선택에 따라 자동적으로, 제1 채팅 룸(11)의 사용자들(UG)이 제2 채팅 룸(21)으로 이동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1680)는 하나 이상의 인스트럭션을 실행함으로써, 제1 컨텐츠(10)의 종료에 따라 제2 컨텐츠(20)를 표시하고, 제2 컨텐츠(20)를 표시하는 동안 제2 컨텐츠(20)에 대응하는 제2 채팅 룸(21)이 표시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1680)는 하나 이상의 인스트럭션을 실행함으로써, 제1 컨텐츠(10)의 종료가 예상됨에 따라 제1 컨텐츠(10)에 후속하는 제2 컨텐츠(20)에 대응하는 제2 채팅 룸(21)을 선택하고, 제1 컨텐츠(10)의 종료에 따라, 자동적으로, 제1 채팅 룸(11)의 사용자들(UG)이 제2 채팅 룸(21)으로 이동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1680)는 하나 이상의 인스트럭션을 실행함으로써, 제1 컨텐츠(10)를 표시하는 동안, 기생성된 제2 채팅 룸(21)을 확인하고, 제1 컨텐츠(10)의 종료에 따라, 제1 채팅 룸(11)의 사용자들(UG)이 제2 채팅 룸(21)으로 이동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1680)는 하나 이상의 인스트럭션을 실행함으로써, 제1 컨텐츠(10)를 표시하는 동안, 제2 채팅 룸(21)이 존재하지 않음을 확인하고, 채팅 룸 서버(300)에 제2 채팅 룸(21)의 생성을 요청하고, 제1 컨텐츠(10)의 종료에 따라, 제1 채팅 룸(11)의 사용자들(UG)이 제2 채팅 룸(21)으로 이동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1680)는 하나 이상의 인스트럭션을 실행함으로써, 제1 컨텐츠(10)가 종료되기 전에, 제1 컨텐츠(10)가 종료하는 시점에 기생성된 채팅 룸에 대한 채팅 룸 리스트를 획득하고, 제1 컨텐츠(10)의 종료에 따라 채팅 룸 리스트를 표시하고, 채팅 룸 리스트 중 제2 채팅 룸(21)을 선택하는 사용자 입력에 따라, 제1 채팅 룸(11)의 사용자들(UG)이 제2 채팅 룸(21)으로 이동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1220) 하나 이상의 인스트럭션을 실행함으로써, 제1 채팅 룸(11)의 사용자들(UG)의 컨텐츠 시청에 관한 정보를 획득하고, 제1 채팅 룸(11)의 사용자들(UG)의 컨텐츠 시청에 관한 정보를 참고하여, 채팅 룸 리스트 내에 표시되는 채팅 룸의 순서를 결정하고, 제1 컨텐츠(10)의 종료에 따라 채팅 룸 리스트를 표시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1680)는 하나 이상의 인스트럭션을 실행함으로써, 제1 컨텐츠(10)가 종료되기 전에, 제1 컨텐츠(10)가 종료하는 시점에 기생성된 채팅 룸에 대한 채팅 룸 리스트를 획득하고, 제1 컨텐츠(10)의 종료에 따라 채팅 룸 리스트를 표시하고, 채팅 룸 리스트 내에 표시된 제2 채팅 룸(21)을 추천 룸으로 결정하고, 제1 컨텐츠(10)의 종료에 따라, 제1 채팅 룸(11)의 사용자들(UG)이 제2 채팅 룸(21)으로 이동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프로세서(1680)는 전자 장치(1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프로세서(1680)는 통신부(1650)를 통하여 컨텐츠 제공 서버들(200)로부터 컨텐츠 및 컨텐츠에 대응되는 컨텐츠 메타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컨텐츠 메타 데이터는 컨텐츠 제공 서버(200)에 의해 제공되는 컨텐츠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프로세서(1680)는 전자 장치(100)의 메모리(1690)에 기저장된 컨텐츠 메타데이터 및 사용자 메타데이터를 이용할 수도 있다.
또한, 프로세서(1680)는 통신부(1650)를 통하여 채팅 룸 서버(300)로부터 컨텐츠에 대응되는 채팅 룸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채팅 룸 데이터는 컨텐츠 제공 서버(200)에 의해 제공되는 컨텐츠에 대응되는 채팅 룸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6은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구성을 상세하게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설명의 편의상,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도 16을 참조하면, 전자 장치(100)는 비디오 처리부(1610), 디스플레이부(1615), 오디오 처리부(1620), 오디오 출력부(1625), 전원부(1630), 튜너부(1640), 통신부(1650), 감지부(1660), 입/출력부(1670), 제어부(1680), 메모리(1690)를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615)는 제어부(1680)의 제어에 의해 튜너부(1640)를 통해 수신된 방송 신호에 포함된 비디오를 화면에 표시한다. 또한, 디스플레이부(1615)는 통신부(1650) 또는 입/출력부(1670)를 통해 입력되는 컨텐츠(예를 들어, 라이브 방송 컨텐츠)를 표시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부(1615)는 제어부(1680)의 제어에 의해 메모리(1690)에 저장된 영상을 출력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1615)는 음성 인식에 대응되는 음성 인식 태스크를 수행하기 위한 음성 UI(User Interface: 예를 들어, 음성 명령어 가이드를 포함하는) 또는 모션 인식에 대응되는 모션 인식 태스크를 수행하기 위한 모션 UI(예를 들어, 모션 인식을 위한 사용자 모션 가이드를 포함)를 표시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615)는 전자 장치(100)에서 처리되는 정보를 표시 및 출력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디스플레이부(1615)는 채널을 통해 하나 이상의 컨텐츠와, 컨텐츠에 대응되는 채팅 룸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부(1615)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컨텐츠(10) 및 제1 채팅 룸(11)을 디스플레이하거나, 제2 컨텐츠(20) 및 제2 채팅 룸(21)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부(1615)는 단말기(1600)에서 처리되는 정보를 표시 출력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615)와 터치 패드가 레이어 구조를 이루어 터치 스크린으로 구성되는 경우, 디스플레이부(1615)는 출력 장치 이외에 입력 장치로도 사용될 수 있다.
오디오 출력부(1625)는 통신부(1650)로부터 수신되거나 메모리(1690)에 저장된 오디오 데이터를 출력할 수 있다.
오디오 출력부(1625)는 제어부(1680)의 제어에 의해 튜너부(1640)를 통해 수신된 방송 신호에 포함된 오디오를 출력한다. 오디오 출력부(1625)는 통신부(1650) 또는 입/출력부(1670)를 통해 입력되는 오디오(예를 들어, 음성, 사운드)를 출력할 수 있다. 또한, 오디오 출력부(1625)는 제어부(1680)의 제어에 의해 메모리(1690)에 저장된 오디오를 출력할 수 있다. 오디오 출력부(1625)는 스피커(1626), 헤드폰 출력 단자(1627) 또는 S/PDIF(Sony/Philips Digital Interface: 출력 단자(1628)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오디오 출력부(1625)는 스피커(1626), 헤드폰 출력 단자(1627) 및 S/PDIF 출력 단자(1628)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전원부(1630)는 제어부(1680)의 제어에 의해 전자 장치(100) 내부의 구성 요소들(1610 내지 1690)로 외부의 전원 소스에서부터 입력되는 전원을 공급한다. 또한, 전원부(1630)는 제어부(1680)의 제어에 의해 전자 장치(100) 내부에 위치하는 하나 또는 둘 이상의 배터리(미도시)에서부터 출력되는 전원을 내부의 구성 요소들(1610 내지 1690)에게 공급할 수 있다.
튜너부(1640)는 유선 또는 무선으로 수신되는 방송 신호를 증폭(amplification), 혼합(mixing), 공진(resonance)등을 통하여 많은 전파 성분 중에서 전자 장치(100)에서 수신하고자 하는 채널의 주파수만을 튜닝(tuning)시켜 선택할 수 있다. 방송 신호는 오디오(audio), 비디오(video) 및 부가 정보(예를 들어, EPG(Electronic Program Guide))를 포함한다.
튜너부(1640)는 외부 입력(예를 들어, 수신되는 제어 신호로, HDMI, DVI 또는 DP와 같은 외부 입력)에 따라 소정 주파수 대역에서 방송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여기서, 외부 입력은 외부의 제어 장치(미도시), 또는 원격 제어기(remote controller)(미도시) 등 으로부터 수신되는 제어 신호, 예컨대, 채널 번호 입력, 채널의 업다운(up-down) 입력 및 EPG 화면에서 채널 입력 등이 될 수 있다.
튜너부(1640)는 지상파 방송, 케이블 방송, 위성 방송, 인터넷 방송 등과 같이 다양한 소스로부터 방송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튜너부(1640)는 아날로그 방송 또는 디지털 방송 등과 같은 소스로부터 방송 신호를 수신할 수도 있다. 튜너부(1640)를 통해 수신된 방송 신호는 디코딩(decoding, 예를 들어, 오디오 디코딩, 비디오 디코딩 또는 부가 정보 디코딩)되어 오디오, 비디오 및/또는 부가 정보로 분리된다. 분리된 오디오, 비디오 및/또는 부가 정보는 제어부(1680)의 제어에 의해 메모리(1690)에 저장될 수 있다.
전자 장치(100)의 튜너부(1640)는 하나이거나 복수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서 튜너부(1640)가 복수개로 이루어지는 경우, 디스플레이(1615)에 제공되는 멀티윈도우 화면을 이루는 복수개의 윈도우에 복수개의 방송 신호를 출력할 수 있을 것이다.
튜너부(1640)는 전자 장치(100)와 일체형(all-in-one)으로 구현되거나 또는 전자 장치(10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튜너부를 가지는 별개의 장치(예를 들어, 셋탑박스(set-top box, 미도시), 입/출력부(1670)에 연결되는 튜너부(미도시))로 구현될 수 있다.
통신부(1650)는 제어부(1680)의 제어에 의해 전자 장치(100)를 외부 장치(예를 들어, 오디오 장치 등)와 연결할 수 있다. 제어부(1680)는 통신부(1650)를 통해 연결된 외부 장치로 컨텐츠 메타 데이터 및 채팅 룸 데이터를 송/수신, 외부 장치에서부터 어플리케이션(application)을 다운로드 하거나 또는 웹 브라우징을 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통신부(1650)는 근거리 통신 모듈(미도시), 유선 통신 모듈(미도시), 및 이동 통신 모듈(미도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6에서는 통신부(1650)가 무선 랜(1651), 블루투스(1652), 및 유선 이더넷(Ethernet, 1653) 중 하나를 포함하는 경우를 예로 들어 도시하였다.
또한, 통신부(1650)는 무선랜(1651), 블루투스(1652), 및 유선 이더넷(Ethernet, 1653)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통신부(1650)는 제어부(1680)의 제어에 의해 제어 장치(미도시)의 제어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제어 신호는 블루투스 타입, RF 신호 타입 또는 와이파이 타입으로 구현될 수 있다.
통신부(1650)는 블루투스 외에 다른 근거리 통신(예를 들어, NFC(near field communication, 미도시), 별도의 BLE 모듈(bluetooth low energy, 미도시)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도 16에 있어서, 튜너부(1640)와 통신부(1650)는 도 15의 통신부(1650)에 대응되는 구성으로, 통신부(1650)가 튜너부(1640)를 더 포함하는 형태로 구현될 수도 있을 것이다.
감지부(1660)는 사용자의 음성, 사용자의 이미지 또는 사용자의 인터랙션을 감지한다.
마이크(1661)는 사용자의 발화(utterance)된 음성을 수신한다. 마이크(1661)는 수신된 음성을 전기 신호로 변환하여 제어부(1680)로 출력할 수 있다. 사용자 음성은 예를 들어, 전자 장치(100)의 메뉴 또는 기능에 대응되는 음성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마이크(1661)의 인식 범위는 마이크(1661)에서부터 사용자 위치까지 4 m 이내를 권장하며, 마이크(1661)의 인식 범위는 사용자 목소리의 크기와 주변 환경(예를 들어, 스피커 소리, 주변 소음)에 대응하여 달라질 수 있다.
마이크(1661)는 전자 장치(100)와 일체형 또는 분리형으로 구현될 수 있다. 분리된 마이크(1661)는 통신부(1650) 또는 입/출력부(1670)를 통해 전자 장치(100)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전자 장치(100)의 성능 및 구조에 따라 마이크(1661)가 제외될 수 있다는 것은 당해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용이하게 이해될 것이다.
카메라부(1662)는 카메라 인식 범위에서 제스처를 포함하는 사용자의 모션에 대응되는 이미지(예를 들어, 연속되는 프레임)을 수신한다. 예를 들어, 카메라부(1662)의 인식 범위는 카메라부(1662)에서부터 사용자까지 0.1 ~ 5 m 이내 거리가 될 수 있다. 사용자 모션은 예를 들어, 사용자의 얼굴, 표정, 손, 주먹, 손가락과 같은 사용자의 신체 일부분 또는 사용자 일부분의 모션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카메라부(1662)는 제어부(1680)의 제어에 따라 수신된 이미지를 전기 신호로 변환하여 제어부(1680)로 출력할 수 있다.
제어부(1680)는 수신된 모션의 인식 결과를 이용하여 전자 장치(100)에 표시되는 메뉴를 선택하거나 모션 인식 결과에 대응되는 제어를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채널 조정, 볼륨 조정, 지시자 이동을 포함할 수 있다.
카메라부(1662)는 렌즈(미도시) 및 이미지 센서(미도시)로 구성될 수 있다. 카메라부(1662)는 복수의 렌즈와 이미지 프로세싱을 이용하여 광학 줌(optical zoom) 또는 디지털 줌(digital zoom)을 지원할 수 있다. 카메라부(1662)의 인식 범위는 카메라의 각도 및 주변 환경 조건에 따라 다양하게 설정될 수 있다. 카메라부(1662)가 복수개의 카메라로 구성되는 경우, 복수의 카메라를 이용하여 3차원 정지 이미지 또는 3차원 모션을 수신할 수 있다.
카메라부(1662)는 전자 장치(100)와 일체형 또는 분리형으로 구현될 수 있다. 분리된 카메라부(1662)를 포함하는 별도의 장치(미도시)는 통신부(1650) 또는 입/출력부(1670)를 통해 전자 장치(100)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전자 장치(100)의 성능 및 구조에 따라 카메라부(1662)가 제외될 수 있다는 것은 당해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용이하게 이해될 것이다.
광 수신부(1663)는 외부의 제어 장치(미도시)에서부터 수신되는 광 신호(제어 신호를 포함)를 디스플레이부(1615)의 베젤의 광창(미도시) 등을 통해 수신한다. 광 수신부(1663)는 제어 장치(미도시)로부터 사용자 입력(예를 들어, 터치, 눌림, 터치 제스처, 음성, 또는 모션)에 대응되는 광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수신된 광 신호로부터 제어부(1680)의 제어에 의해 제어 신호가 추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광 수신부(1663)는 제어 장치(미도시)의 포인팅 위치에 대응하는 신호를 수신하고 이를 제어부(1680)로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부(1615)를 통하여 사용자로부터 데이터 또는 명령을 입력받기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이 출력되었으며, 제어 장치(미도시)를 통하여 사용자가 데이터 또는 명령을 전자 장치(100)로 입력하고자 하는 경우, 광 수신부(1663)는 사용자가 제어 장치(미도시)에 마련된 터치 패드(미도시)에 손가락을 접촉한 상태에서 제어 장치(미도시)를 움직이면 이 제어 장치(미도시)의 움직임에 대응하는 신호를 수신하고 이를 제어부(1680)로 전송할 수 있다. 또한, 광 수신부(1663)는 제어 장치(미도시)에 마련된 특정한 버튼이 눌려졌음을 나타내는 신호를 수신하고 이를 제어부(1680)로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광수신부(1663)는 사용자가 제어 장치(미도시)에 버튼식으로 마련된 터치 패드(미도시)를 손가락으로 누르면, 이러한 버튼식 터치 패드(미도시)가 눌려졌다는 신호를 수신하고 이를 제어부(1680)로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버튼식 터치 패드(미도시)가 눌려졌다는 신호는 아이템들 중의 하나를 선택하기 위한 신호로 이용할 수 있다.
입/출력부(1670)는 제어부(1680)의 제어에 의해 전자 장치(100)의 외부에서부터 비디오(예를 들어, 동영상 등), 오디오(예를 들어, 음성, 음악 등) 및 부가 정보(예를 들어, EPG 등) 등을 수신한다. 입/출력부(1670)는 HDMI 포트(High-Definition Multimedia Interface port, 1671), 컴포넌트 잭(component jack, 472), PC 포트(PC port, 1673), 및 USB 포트(USB port, 1674) 중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입/출력부(1670)는 HDMI 포트(1671), 컴포넌트 잭(1672), PC 포트(1673), 및 USB 포트(1674)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입/출력부(1670)의 구성 및 동작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다양하게 구현될 수 있다는 것은 당해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용이하게 이해될 것이다.
제어부(1680)는 전자 장치(100)의 전반적인 동작 및 전자 장치(100)의 내부 구성요소들(미도시)사이의 신호 흐름을 제어하고, 데이터를 처리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제어부(1680)는 사용자의 입력이 있거나 기 설정되어 저장된 조건을 만족하는 경우, 제어부(1680)는 메모리(1690)에 저장된 OS(Operation System) 및 다양한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할 수 있다.
제어부(1680)는 전자 장치(100)의 외부에서부터 입력되는 신호 또는 데이터를 저장하거나, 전자 장치(100)에서 수행되는 다양한 작업에 대응되는 저장 영역으로 사용되는 RAM(미도시), 전자 장치(100)의 제어를 위한 제어 프로그램이 저장된 ROM(미도시) 및 프로세서(Processor)(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미도시)는 비디오에 대응되는 그래픽 처리를 위한 그래픽 프로세서(Graphic Processing Unit, 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미도시)는 코어(core, 미도시)와 GPU(미도시)를 통합한 SoC(System On Chip)로 구현될 수 있다. 프로세서(미도시)는 싱글 코어, 듀얼 코어, 트리플 코어, 쿼드 코어 및 그 배수의 코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미도시)는 복수의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미도시)는 메인 프로세서(main processor, 미도시) 및 슬립 모드(sleep mode)에서 동작하는 서브 프로세서(sub processor, 미도시)로 구현될 수 있다.
그래픽 처리부(미도시)는 연산부(미도시) 및 렌더링부(미도시)를 이용하여 아이콘, 이미지, 텍스트 등과 같은 다양한 객체를 포함하는 화면을 생성한다. 연산부는 감지부(미도시)를 통해 감지된 사용자 인터랙션을 이용하여 화면의 레이아웃에 따라 각 객체들이 표시될 좌표값, 형태, 크기, 컬러 등과 같은 속성값을 연산한다. 렌더링부는 연산부에서 연산한 속성값에 기초하여 객체를 포함하는 다양한 레이아웃의 화면을 생성한다. 렌더링부에서 생성된 화면은 디스플레이부(1615)의 디스플레이 영역 내에 표시된다.
한편, 도 16에 도시된 전자 장치(100)의 구성은 일 실시예이며, 전자 장치(100)의 각 구성요소는 구현되는 단말기의 사양에 따라 통합, 추가, 또는 생략될 수 있다. 즉, 필요에 따라 2 이상의 구성요소가 하나의 구성요소로 합쳐지거나, 혹은 하나의 구성요소가 2 이상의 구성요소로 세분되어 구성될 수 있다. 또한, 각 구성(또는, 모듈)에서 수행하는 기능은 실시 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그 구체적인 동작이나 장치는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제한하지 아니한다.
일부 실시예는 컴퓨터에 의해 실행되는 프로그램 모듈과 같은 컴퓨터에 의해 실행가능한 명령어를 포함하는 기록 매체의 형태로도 구현될 수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컴퓨터에 의해 액세스될 수 있는 임의의 가용 매체일 수 있고, 휘발성 및 비휘발성 매체, 분리형 및 비분리형 매체를 모두 포함한다. 또한,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는 컴퓨터 저장 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컴퓨터 저장 매체는 컴퓨터 판독가능 명령어, 데이터 구조, 프로그램 모듈 또는 기타 데이터와 같은 정보의 저장을 위한 임의의 방법 또는 기술로 구현된 휘발성 및 비휘발성, 분리형 및 비분리형 매체를 모두 포함한다.
개시된 실시예들은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저장 매체(computer-readable storage media)에 저장된 명령어를 포함하는 S/W 프로그램으로 구현될 수 있다.
컴퓨터는, 저장 매체로부터 저장된 명령어를 호출하고, 호출된 명령어에 따라 개시된 실시예에 따른 동작이 가능한 장치로서, 개시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저장매체는, 비일시적(non-transitory) 저장매체의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여기서,'비일시적'은 저장 매체가 신호(signal)를 포함하지 않으며 실재(tangible)한다는 것을 의미할 뿐 데이터가 저장매체에 반영구적 또는 임시적으로 저장됨을 구분하지 않는다.
또한, 개시된 실시예들에 따른 제어 방법은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computer program product)에 포함되어 제공될 수 있다.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은 상품으로서 판매자 및 구매자 간에 거래될 수 있다.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은 S/W 프로그램, S/W 프로그램이 저장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저장 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은 디바이스의 제조사 또는 전자 마켓(예, 구글 플레이 스토어, 앱 스토어)을 통해 전자적으로 배포되는 S/W 프로그램 형태의 상품(예, 다운로더블 앱)을 포함할 수 있다. 전자적 배포를 위하여, S/W 프로그램의 적어도 일부는 저장 매체에 저장되거나, 임시적으로 생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저장 매체는 제조사의 서버, 전자 마켓의 서버, 또는 SW 프로그램을 임시적으로 저장하는 중계 서버의 저장매체가 될 수 있다.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은, 서버 및 디바이스로 구성되는 시스템에서, 서버의 저장매체 또는 디바이스의 저장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또는, 서버 또는 디바이스와 통신 연결되는 제 3 장치(예, 스마트폰)가 존재하는 경우,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은 제 3 장치의 저장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또는,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은 서버로부터 디바이스 또는 제 3 장치로 전송되거나, 제 3 장치로부터 디바이스로 전송되는 S/W 프로그램 자체를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서버, 디바이스 및 제 3 장치 중 하나가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을 실행하여 개시된 실시예들에 따른 방법을 수행할 수 있다. 또는, 서버, 디바이스 및 제 3 장치 중 둘 이상이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을 실행하여 개시된 실시예들에 따른 방법을 분산하여 실시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서버(예로, 클라우드 서버 또는 인공 지능 서버 등)가 서버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을 실행하여, 서버와 통신 연결된 디바이스가 개시된 실시예들에 따른 방법을 수행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제 3 장치가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을 실행하여, 제 3 장치와 통신 연결된 디바이스가 개시된 실시예에 따른 방법을 수행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제 3 장치가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을 실행하는 경우, 제 3 장치는 서버로부터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을 다운로드하고, 다운로드 된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을 실행할 수 있다. 또는, 제 3 장치는 프리로드 된 상태로 제공된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을 실행하여 개시된 실시예들에 따른 방법을 수행할 수도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부"는 프로세서 또는 회로와 같은 하드웨어 구성(hardware component), 및/또는 프로세서와 같은 하드웨어 구성에 의해 실행되는 소프트웨어 구성(software component)일 수 있다.
전술한 본 개시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개시가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개시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개시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개시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Claims (20)

  1. 전자 장치에 있어서,
    디스플레이;
    하나 이상의 인스트럭션을 저장하는 메모리; 및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상기 하나 이상의 인스트럭션을 실행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하나 이상의 인스트럭션을 실행함으로써,
    제1 컨텐츠를 표시하고,
    상기 제1 컨텐츠를 표시하는 동안 상기 제1 컨텐츠에 대응하는 제1 채팅 룸이 표시되도록 제어하고,
    상기 제1 컨텐츠의 종료가 예상됨에 따라 제2 컨텐츠에 대응하는 제2 채팅 룸을 선택하고,
    상기 제2 채팅 룸의 선택에 따라 자동적으로, 상기 제1 채팅 룸의 사용자들이 상기 제2 채팅 룸으로 이동되도록 제어하는, 전자 장치.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하나 이상의 인스트럭션을 실행함으로써,
    상기 제1 컨텐츠의 종료에 따라 상기 제2 컨텐츠를 표시하고,
    상기 제2 컨텐츠를 표시하는 동안 상기 제2 컨텐츠에 대응하는 상기 제2 채팅 룸이 표시되도록 제어하는, 전자 장치.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컨텐츠는 상기 제1 컨텐츠가 제공되는 제1 채널에서 제공되거나, 또는
    상기 제2 컨텐츠는 상기 제1 컨텐츠가 제공되는 상기 제1 채널과 다른 제2 채널에서 제공되는, 전자 장치.
  4.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하나 이상의 인스트럭션을 실행함으로써,
    상기 제1 컨텐츠의 종료가 예상됨에 따라 상기 제1 컨텐츠에 후속하는 제2 컨텐츠에 대응하는 제2 채팅 룸을 선택하고,
    상기 제1 컨텐츠의 종료에 따라, 자동적으로, 상기 제1 채팅 룸의 사용자들이 상기 제2 채팅 룸으로 이동되도록 제어하는 전자 장치.
  5.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하나 이상의 인스트럭션을 실행함으로써,
    상기 제1 컨텐츠를 표시하는 동안, 기생성된 상기 제2 채팅 룸을 확인하고,
    상기 제1 컨텐츠의 종료에 따라, 상기 제1 채팅 룸의 사용자들이 상기 제2 채팅 룸으로 이동되도록 제어하는 전자 장치.
  6.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하나 이상의 인스트럭션을 실행함으로써,
    상기 제1 컨텐츠를 표시하는 동안, 상기 제2 채팅 룸이 존재하지 않음을 확인하고,
    채팅 룸 서버에 제2 컨텐츠에 대응하는 상기 제2 채팅 룸의 생성을 요청하고,
    상기 제1 컨텐츠의 종료에 따라, 상기 제1 채팅 룸의 사용자들이 상기 제2 채팅 룸으로 이동되도록 제어하는 전자 장치.
  7.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채팅 룸은 상기 제1 채팅 룸의 종료 시간을 연장함으로써 생성된 것이고,
    상기 제1 채팅 룸의 사용자들이 상기 제2 채팅 룸으로 이동되는 것은, 상기 제1 채팅 룸의 종료 시간이 연장됨으로써, 상기 사용자들이 상기 제1 채팅 룸에 머무는 것인, 전자 장치.
  8.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하나 이상의 인스트럭션을 실행함으로써,
    상기 제1 컨텐츠가 종료되기 전에, 상기 제1 컨텐츠가 종료하는 시점에 기생성된 채팅 룸에 대한 채팅 룸 리스트를 획득하고,
    상기 제1 컨텐츠의 종료에 따라 상기 채팅 룸 리스트를 표시하고,
    상기 채팅 룸 리스트 중 상기 제2 채팅 룸을 선택하는 사용자 입력에 따라, 상기 제1 채팅 룸의 사용자들이 상기 제2 채팅 룸으로 이동되도록 제어하는, 전자 장치.
  9. 제8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하나 이상의 인스트럭션을 실행함으로써,
    상기 제1 채팅 룸의 사용자들의 컨텐츠 시청에 관한 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제1 채팅 룸의 사용자들의 컨텐츠 시청에 관한 정보를 참조하여, 상기 채팅 룸 리스트 내에 표시되는 채팅 룸의 순서를 결정하고,
    상기 제1 컨텐츠의 종료에 따라 상기 채팅 룸 리스트를 표시하는, 전자 장치.
  10.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하나 이상의 인스트럭션을 실행함으로써,
    상기 제1 컨텐츠가 종료되기 전에, 상기 제1 컨텐츠가 종료하는 시점에 기생성된 채팅 룸에 대한 채팅 룸 리스트를 획득하고,
    상기 제1 컨텐츠의 종료에 따라 상기 채팅 룸 리스트를 표시하고,
    상기 채팅 룸 리스트 내에 표시된 상기 제2 채팅 룸을 추천 룸으로 결정하고,
    상기 제1 컨텐츠의 종료에 따라, 상기 제1 채팅 룸의 사용자들이 상기 제2 채팅 룸으로 이동되도록 제어하는, 전자 장치.
  11. 제1 컨텐츠를 표시하는 단계;
    상기 제1 컨텐츠를 표시하는 동안 상기 제1 컨텐츠에 대응하는 제1 채팅 룸이 표시되도록 제어하는 단계;
    상기 제1 컨텐츠의 종료가 예상됨에 따라 제2 컨텐츠에 대응하는 제2 채팅 룸을 선택하는 단계; 및
    상기 제2 채팅 룸의 선택에 따라 자동적으로, 상기 제1 채팅 룸의 사용자들이 상기 제2 채팅 룸으로 이동되도록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의 동작 방법.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컨텐츠의 종료에 따라 상기 제2 컨텐츠를 표시하는 단계; 및
    상기 제2 컨텐츠를 표시하는 동안 상기 제2 컨텐츠에 대응하는 상기 제2 채팅 룸이 표시되도록 제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전자 장치의 동작 방법.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컨텐츠는 상기 제1 컨텐츠가 제공되는 제1 채널에서 제공되거나, 또는
    상기 제2 컨텐츠는 상기 제1 컨텐츠가 제공되는 상기 제1 채널과 다른 제2 채널에서 제공되는, 전자 장치의 동작 방법.
  14.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채팅 룸을 선택하는 단계는, 상기 제1 컨텐츠의 종료가 예상됨에 따라 상기 제1 컨텐츠에 후속하는 제2 컨텐츠에 대응하는 제2 채팅 룸을 선택하는 것이고,
    상기 제1 채팅 룸의 사용자들이 상기 제2 채팅 룸으로 이동되도록 제어하는 단계는, 상기 제1 컨텐츠의 종료에 따라, 자동적으로, 상기 제1 채팅 룸의 사용자들이 상기 제2 채팅 룸으로 이동되도록 제어하는 것인, 전자 장치의 동작 방법.
  15.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컨텐츠를 표시하는 동안, 기생성된 상기 제2 채팅 룸을 확인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채팅 룸의 사용자들이 상기 제2 채팅 룸으로 이동되도록 제어하는 단계는, 상기 제1 컨텐츠의 종료에 따라, 상기 제1 채팅 룸의 사용자들이 상기 제2 채팅 룸으로 이동되도록 제어하는 것인, 전자 장치의 동작 방법.
  16.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채팅 룸을 선택하는 단계는,
    상기 제1 컨텐츠를 표시하는 동안, 상기 제2 채팅 룸이 존재하지 않음을 확인하는 단계; 및 채팅 룸 서버에 상기 제2 컨텐츠에 대응하는 상기 제2 채팅 룸의 생성을 요청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채팅 룸의 사용자들이 상기 제2 채팅 룸으로 이동되도록 제어하는 단계는, 상기 제1 컨텐츠의 종료에 따라, 상기 제1 채팅 룸의 사용자들이 상기 제2 채팅 룸으로 이동되도록 제어하는 것인, 전자 장치의 동작 방법.
  17.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채팅 룸은 상기 제1 채팅 룸의 종료 시간을 연장함으로써 생성된 것이고,
    상기 제1 채팅 룸의 사용자들이 상기 제2 채팅 룸으로 이동되는 것은, 상기 제1 채팅 룸의 종료 시간이 연장됨으로써, 상기 사용자들이 상기 제1 채팅 룸에 머무는 것인, 전자 장치의 동작 방법.
  18.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채팅 룸을 선택하는 단계는,
    상기 제1 컨텐츠가 종료되기 전에, 상기 제1 컨텐츠가 종료하는 시점에 기생성된 채팅 룸에 대한 채팅 룸 리스트를 획득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컨텐츠의 종료에 따라 상기 채팅 룸 리스트를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채팅 룸의 사용자들이 상기 제2 채팅 룸으로 이동되도록 제어하는 단계는, 상기 채팅 룸 리스트 중 상기 제2 채팅 룸을 선택하는 사용자 입력에 따라, 상기 제1 채팅 룸의 사용자들이 상기 제2 채팅 룸으로 이동되도록 제어하는 것인, 전자 장치의 동작 방법.
  19.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채팅 룸을 선택하는 단계는,
    상기 제1 컨텐츠가 종료되기 전에, 상기 제1 컨텐츠가 종료하는 시점에 기생성된 채팅 룸에 대한 채팅 룸 리스트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제1 컨텐츠의 종료에 따라 상기 채팅 룸 리스트를 표시하는 단계; 및
    상기 채팅 룸 리스트 내에 표시된 상기 제2 채팅 룸을 추천 룸으로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의 동작 방법.
  20. 제11항의 방법을 컴퓨터에서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
KR1020220014443A 2022-02-03 2022-02-03 전자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KR20230117988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14443A KR20230117988A (ko) 2022-02-03 2022-02-03 전자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PCT/KR2023/000709 WO2023149680A1 (ko) 2022-02-03 2023-01-16 전자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14443A KR20230117988A (ko) 2022-02-03 2022-02-03 전자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17988A true KR20230117988A (ko) 2023-08-10

Family

ID=875525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14443A KR20230117988A (ko) 2022-02-03 2022-02-03 전자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20230117988A (ko)
WO (1) WO2023149680A1 (ko)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35043B1 (ko) * 2014-12-17 2021-12-03 주식회사 케이티 채팅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시스템, 그리고 채팅 서버
KR101968847B1 (ko) * 2017-12-05 2019-04-12 서울과학기술대학교 산학협력단 개인방송용 정보 제공 시스템 및 방법
US11206236B2 (en) * 2019-06-21 2021-12-21 Cisco Technology, Inc. Systems and methods to prioritize chat rooms using machine learning
KR20210116865A (ko) * 2020-03-18 2021-09-28 주식회사 엔씨소프트 대화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장치
KR102259160B1 (ko) * 2020-08-03 2021-05-31 위대성 영상 관련 채팅 메시지 관리 서버 및 영상 관련 채팅 메시지 관리 프로그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3149680A1 (ko) 2023-08-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7113469B (zh) 控制装置的系统、数字装置及其控制方法
US11317169B2 (en) Image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of operating the same
US20220116676A1 (en) Display apparatus and content display method
US20200413152A1 (en) Video content switching and synchronization system and method for switching between multiple video formats
CN108886632B (zh) 数字装置以及在所述数字装置中处理数据的方法
KR102212270B1 (ko) 통합된 컨텐츠 소스들을 이용하여 미디어 컨텐츠를 제시하기 위한 방법들, 시스템들 및 매체들
US20160205427A1 (en) User terminal apparatus, system, and control method thereof
US11288033B2 (en) Method for outputting audio data of applications and display device
WO2020248714A1 (zh) 一种数据传输方法及设备
KR20200085595A (ko) 컨텐트 재생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US20210014078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adjusting a media consumption environment based on changes in status of an object
EP3038374A1 (en) Display device and display method
CN113825032A (zh) 媒资播放方法及显示设备
US11303958B2 (en) Display device and image display method of the same
WO2020248829A1 (zh) 音视频处理方法及显示设备
US20230179815A1 (en) Electronic apparatus, server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KR102561860B1 (ko) 전자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20230117988A (ko) 전자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US9621837B1 (en) Methods and devices for switching between different TV program accompanying sounds
CN111147879B (zh) 直播节目缓存方法、系统、设备和计算机存储介质
KR20230116550A (ko) 전자 장치 및 전자 장치의 동작 방법
KR20140029506A (ko) 휴대 단말기 및 그를 이용한 영상 표시 방법
KR20140037898A (ko) 휴대 단말기 및 그를 이용한 영상 표시 방법
US20230224265A1 (en) Display apparatus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US20230156266A1 (en) Electronic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