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17737A - 아날로그 홀딩 지그 - Google Patents

아날로그 홀딩 지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17737A
KR20230117737A KR1020237020714A KR20237020714A KR20230117737A KR 20230117737 A KR20230117737 A KR 20230117737A KR 1020237020714 A KR1020237020714 A KR 1020237020714A KR 20237020714 A KR20237020714 A KR 20237020714A KR 20230117737 A KR20230117737 A KR 2023011773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nalog
guide
chin
manufacturing
in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702071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사토루 후자카와
레이지 나츠보리
Original Assignee
이-조인트 코포레이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조인트 코포레이션 filed Critical 이-조인트 코포레이션
Publication of KR2023011773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17737A/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8/00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 A61C8/0001Impression means for implants, e.g. impression cop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34/00Computer-aided surgery; Manipulators or robot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surgery
    • A61B34/10Computer-aided planning, simulation or modelling of surgical oper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059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using light, e.g. diagnosis by transillumination, diascopy, fluorescence
    • A61B5/0082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using light, e.g. diagnosis by transillumination, diascopy, fluorescence adapted for particular medical purposes
    • A61B5/0088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using light, e.g. diagnosis by transillumination, diascopy, fluorescence adapted for particular medical purposes for oral or dental tissu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00Dental machines for boring or cutting ; General features of dental machines or apparatus, e.g. hand-piece design
    • A61C1/08Machine parts specially adapted for dentistry
    • A61C1/082Positioning or guiding, e.g. of dril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3/00Dental prostheses; Making same
    • A61C13/0003Making bridge-work, inlays, implants or the like
    • A61C13/0004Computer-assisted sizing or machining of dental prosthes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3/00Dental prostheses; Making same
    • A61C13/34Making or working of models, e.g. preliminary castings, trial dentures; Dowel pins [4]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9/00Dental auxiliary appliances
    • A61C19/04Measuring instruments specially adapted for dentistr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9/00Impression cups, i.e. impression trays; Impression methods
    • A61C9/004Means or methods for taking digitized impressions
    • A61C9/0046Data acquisition means or metho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3ADDITIVE MANUFACTURING TECHNOLOGY
    • B33YADDITIVE MANUFACTURING, i.e. MANUFACTURING OF THREE-DIMENSIONAL [3-D] OBJECTS BY ADDITIVE DEPOSITION, ADDITIVE AGGLOMERATION OR ADDITIVE LAYERING, e.g. BY 3-D PRINTING, STEREOLITHOGRAPHY OR SELECTIVE LASER SINTERING
    • B33Y80/00Products made by additive manufactur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17/00Three dimensional [3D] modelling, e.g. data description of 3D objec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7/00Image analysi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2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rapies or health-improving plans, e.g. for handling prescriptions, for steering therapy or for monitoring patient compliance
    • G16H20/4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rapies or health-improving plans, e.g. for handling prescriptions, for steering therapy or for monitoring patient compliance relating to mechanical, radiation or invasive therapies, e.g. surgery, laser therapy, dialysis or acupuncture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3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image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3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images
    • G16H30/4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images for processing medical images, e.g. editing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50/00ICT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diagnosis, medical simulation or medical data mining; ICT specially adapted for detecting, monitoring or modelling epidemics or pandemics
    • G16H50/50ICT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diagnosis, medical simulation or medical data mining; ICT specially adapted for detecting, monitoring or modelling epidemics or pandemics for simulation or modelling of medical disord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8/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 A61B18/18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by applying electromagnetic radiation, e.g. microwaves
    • A61B18/2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by applying electromagnetic radiation, e.g. microwaves using laser
    • A61B2018/2035Beam shaping or redirecting; Optical components therefor
    • A61B2018/20351Scanning mechanisms
    • A61B2018/20353Scanning in three dimensions [3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34/00Computer-aided surgery; Manipulators or robot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surgery
    • A61B34/10Computer-aided planning, simulation or modelling of surgical operations
    • A61B2034/101Computer-aided simulation of surgical operations
    • A61B2034/102Modelling of surgical devices, implants or prosthesi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34/00Computer-aided surgery; Manipulators or robot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surgery
    • A61B34/10Computer-aided planning, simulation or modelling of surgical operations
    • A61B2034/108Computer aided selection or customisation of medical implants or cutting guid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2207/00Indexing scheme for image analysis or image enhancement
    • G06T2207/30Subject of image; Context of image processing
    • G06T2207/30004Biomedical image processing
    • G06T2207/30036Dental; Teeth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entistr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Surgery (AREA)
  • Pathology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Biophys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Radiology & Medical Imaging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Geometry (AREA)
  • Audiology, Speech & Language Pathology (AREA)
  • Computer Graphics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Robotics (AREA)
  • Urology & Nephrology (AREA)
  • Dental Prosthetics (AREA)
  • Dental Tools And Instruments Or Auxiliary Dental Instruments (AREA)

Abstract

[기술적 과제] 치과용 아날로그를 턱 부분 모형에 보다 쉽게 장착할 수 있는 지그 등을 제공한다. [해결 수단] 치과용 아날로그(3)를 고정하는 홀딩부 본체(5); 및 아날로그 가이드(7)의 연결을 위해 상기 홀딩부 본체(5)에 연결되는 아날로그 가이드 연결부(9)를 포함한다. 이 아날로그 홀딩 지그(13)는 아날로그 가이드(7)를 매개로 턱 부분 모형(11)에 치과용 아날로그(3)를 식립하기 위한 목적으로 사용된다.

Description

아날로그 홀딩 지그
본 발명은 치과용 지그 등에 관한 것이다.
일본 특허 제6208905호는 스캐닝 지그를 개시한다. 이와 같이 임플란트 제작시 스캐닝 지그를 사용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예를 들어, 일본 특허 제6161048호에 개시된 바와 같이 임플란트를 제조하는 경우 치과용 아날로그(implant analog)가 사용된다. 턱 부분 모형에 치과용 아날로그를 장착할 때 치과용 아날로그의 각도나 위치 조정이 어려운 문제가 있었다.
특허문헌 1: 일본 특허공보 제6208905호 특허문헌 2: 일본 특허공보 제6161048호
따라서, 치과용 아날로그를 턱 부분 모형에 쉽게 장착할 수 있는 지그(jig) 등이 요구되고 있다.
첫 번째 발명은 아날로그 홀딩 지그에 관한 것이다.
아날로그 홀딩 지그는 치과용 아날로그(3)를 홀딩하여 아날로그 가이드(7)를 통해 턱 부분 모형(11)에 식립하는 장치이다.
아날로그 홀딩 지그(13)는 치과용 아날로그(3)를 홀딩하는 홀딩부 본체(5)와, 홀딩부 본체(5)에 결합되어 아날로그 가이드(7)와 연결되는 아날로그 가이드 연결부(9)를 포함한다.
두 번째 발명은 아날로그 가이드에 관한 것이다.
아날로그 가이드는 턱 부분 모형(11)에 치과용 아날로그(3)를 식립하기 위해 사용하는 장치이다.
아날로그 가이드(7)는 아날로그 가이드 본체(15)와 아날로그 홀딩 지그 연결부(17)를 포함한다.
아날로그 가이드 본체(15)는 턱 부분 모형(11)에 장착할 수 있는 형상을 갖는 부분이다.
아날로그 홀딩 지그 연결부(17)는 아날로그 가이드 본체(15)에 배치된 부분으로, 아날로그 홀딩 지그(13)의 아날로그 가이드(7)용 연결부와 연결되어 아날로그 홀딩 지그(13)에 홀딩된 치과용 아날로그(3)를 턱 부분 모형(11)의 아날로그 설치 위치(11)에 대면시킨다.
세 번째 발명은 아날로그 가이드 제조 정보를 획득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 방법은 아날로그 가이드 제조에 필요한 아날로그 가이드의 3차원 정보를 포함한 정보를 얻는 방법이다.
이 방법은 3차원 스캔 영상 획득 단계, 3차원 스캔 영상 분석 단계 및 아날로그 가이드 제조 정보 획득 단계를 포함한다.
3차원 스캔 영상 획득 단계는 스캐닝 지그(21)가 내장된 환자의 턱 부분(23)의 3차원 스캔 영상(25)을 획득하는 단계이다.
3차원 스캔 영상 분석 단계는 3차원 스캔 영상 획득 단계에서 획득된 턱 부분(23)의 3차원 스캔 영상(25)을 분석하여 턱 부분 정보 및 지그 부분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이다.
아날로그 가이드 제조 정보 획득 단계는 3차원 스캔 영상 분석 단계에서 획득한 턱 부분 정보와 지그 부분 정보를 이용하여 아날로그 가이드 제조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이다.
네 번째 발명은 아날로그 가이드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아날로그 가이드 제조 방법은 전술한 아날로그 가이드 제조 정보 획득 방법에 기초하여 획득된 아날로그 가이드 제조 정보를 이용하여 아날로그 가이드(7)를 제조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다섯 번째 발명은 임플란트 3차원 복제품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 방법은, 3차원 스캔 영상 획득 단계, 3차원 스캔 영상 분석 단계, 아날로그 가이드 제조 정보 획득 단계, 아날로그 가이드 제조 단계, 턱 부분 모형 제조 정보 획득 단계, 턱 부분 모형 제조 단계, 치과용 아날로그 이식 단계를 포함한다.
3차원 스캔 영상 획득 단계는 스캐닝 지그(21)가 내장된 환자의 턱 부분(23)의 3차원 스캔 영상(25)을 획득하는 단계이다.
3차원 스캔 영상 분석 단계는 3차원 스캔 영상 획득 단계에서 획득된 턱 부분(23)의 3차원 스캔 영상(25)을 분석하여 턱 부분 정보 및 지그 부분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이다.
아날로그 가이드 제조 정보 획득 단계는 3차원 스캔 영상 분석 단계에서 획득한 턱 부분 정보와 지그 부분 정보를 이용하여 아날로그 가이드(7) 제조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이다.
아날로그 가이드 제조 단계는 아날로그 가이드 제조 정보 획득 단계에서 획득된 아날로그 가이드(7) 제조 정보를 이용하여 아날로그 가이드(7)를 제조하는 단계이다.
턱 부분 모형 제조 정보 획득 단계는 상기 3차원 스캔 영상 분석 단계에서 획득한 턱 부분 정보를 기반으로 턱 부분 모형 제조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이다.
턱 부분 모형 제조 단계는 상기 턱 부분 모형 제조 정보 획득 단계에서 획득한 턱 부분 모형 제조 정보를 바탕으로 턱 부분 모형을 제조하는 단계이다.
치과용 아날로그 식립 단계는 아날로그 가이드(7)를 이용하여 턱 부분 모형에 치과용 아날로그(3)를 식립하기 위해 아날로그 홀딩 지그(13)에 치과용 아날로그(3)를 장착하는 단계이다.
치과용 아날로그를 턱 부분 모형에 쉽게 장착할 수 있는 지그 등이 제공될 수 있다.
도 1은 아날로그 홀딩 지그의 개념도이다.
도 2는 아날로그 가이드의 개념도이다.
도 3은 아날로그 가이드에 아날로그 홀딩 지그를 장착한 상태를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도 4는 치과용 아날로그와 아날로그 홀딩 지그 및 아날로그 가이드가 장착된 상태를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도 5는 스캐닝 지그가 내장된 환자의 턱 부분에 대한 3차원 스캔 영상의 예를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도 6은 아날로그 홀딩 지그에 치과용 아날로그를 장착하고 아날로그 가이드를 이용하여 턱 부분 모형에 치과용 아날로그를 식립한 모습을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7은 구강 내 스캔 데이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은 디지털 스캔 데이터를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도 9는 임플란트 몸체의 위치와 턱의 형태를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도 10은 아날로그 가이드의 형상 데이터를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도 11은 실시 예에서 얻어진 아날로그 가이드의 도면 대용 사진이다.
도 12는 턱 부분의 복제 데이터를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도 13은 턱 부분 모형의 설계 데이터를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도 14는 턱 부분 모형을 나타내는 도면을 대신한 사진이다.
도 15는 잇몸 복제품을 설명하는 도면을 대체하는 사진이다.
도 16은 턱 부분 모형에 아날로그 가이드를 장착한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대용 사진이다.
도 17은 턱 부분 모형에 아날로그 가이드를 장착한 시뮬레이션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다음은 도면을 사용하여 본 발명을 실행하기 위한 실시 예를 설명한다. 본 발명은 이하에 설명하는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고, 이하의 실시 예로부터 자명한 범위 내에서 당업자가 필요에 따라 변경한 것도 포함한다.
도 1은 아날로그 홀딩 지그의 개념도이다. 아날로그 홀딩 지그는 치과용 아날로그(3)를 홀딩하여 아날로그 가이드(7)를 통해 턱 부분 모형(11)에 식립하는 장치(픽업 장치: PUD)이다. 치과용 아날로그는 임플란트 아날로그라고도 하는 지그이다(일본 특허 제6161048호 참조).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아날로그 홀딩 지그(13)는, 치과용 아날로그(3)를 홀딩하는 홀딩부 본체(5)와, 홀딩부 본체(5)에 결합되어 아날로그 가이드(7)와 연결되는 아날로그 가이드 연결부(9)를 포함한다.
도 1의 예에서, 홀딩부 본체(5)는 관형 몸통부 및 몸통부의 상부에 위치하고 몸통부보다 작은 직경을 갖는 결합부(2)를 포함한다. 결합부(2)는 치과용 아날로그(3)를 고정할 수 있도록 치과용 아날로그(3)에 삽입된다.
도 1의 예에서, 아날로그 가이드 연결부(9)는 홀딩부 본체(5)에서 치과용 아날로그(3)와 맞물리는 결합부(2)의 반대쪽 단부에 연결된다. 아날로그 가이드 연결부(9)는 원판형 단부(4) 및 단부로부터 외주 방향으로 돌출되는 돌출부(6)를 포함한다. 상기 원판형 단부는 다단의 원반 형상(원반에 2개 이상의 부분을 갖고 중심에 가까워질수록 직경이 감소하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아날로그 가이드 연결부(9)의 단부(4) 및 돌출부(6)는 이에 대응하는 오목부가 형성된 아날로그 가이드(7)에 존재하는 아날로그 홀딩 지그 연결부(17)와 맞물린다. 그리고, 아날로그 홀딩 지그(13)를 아날로그 가이드(7)에 고정한다.
아날로그 홀딩 지그(13)(픽업 장치: PUD)는 일정 강도를 갖는 공지된 재료(예를 들어, 플라스틱)를 사용하여 제조될 수 있다. 아날로그 홀딩 지그(13)(PUD)는 치과용 아날로그를 턱 부분 모형에 이식하는 데 사용된다. 따라서 아날로그 홀딩 지그(13)(PUD)의 크기는 턱의 크기와 치아 부위의 크기를 고려하여 적절히 조절하면 된다. 아날로그 홀딩 지그(13)는 어느 정도의 강도만 있으면 되고, 공지의 재료(예를 들면, 스테인리스 스틸 등의 금속, 플라스틱 등)를 사용하여 적절히 제작하면 된다.
도 2는 아날로그 가이드의 개념도이다. 상기 아날로그 가이드(7)는 치과용 아날로그(3)를 턱 부분 모형(11)에 식립하기 위한 장치(픽업 가이드 홀더 : PUD 홀더)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아날로그 가이드(7)는 아날로그 가이드 본체(15)와 아날로그 홀딩 지그 연결부(17)를 포함한다.
상기 아날로그 가이드 본체(15)는 턱 부분 모형(11)에 설치될 수 있는 형상을 갖는 부분이다. 아날로그 홀딩 지그 연결부(17) 외에, 아날로그 가이드 본체(15)는, 치과용 아날로그(3)가 삽입되고 임플란트가 식립되는 부분에 인접한 크라운 부분의 전부 또는 일부와 결합하는 크라운 결합부(12, 14)와, 크라운 결합부(12, 14)와 아날로그 홀딩 지그 연결부(17)를 결합시키는 결합부(16)를 포함한다. 크라운 결합부(12, 14)를 턱 부분 모형(11)의 크라운 부분과 맞물림으로써 아날로그 가이드가 턱 부분 모형(11)에 고정된다. 그리고 아날로그 홀딩 지그 연결부(17)도 턱 부분 모형(11)에 고정되고, 아날로그 홀딩 지그(13) 및 치과용 아날로그(3)도 턱 부분 모형(11)에 고정된다. 따라서 아날로그 가이드 본체(15)는 환자의 임플란트 식립부를 대상으로 반영한 형상(또는 환자의 턱 모형)과 그에 인접한 치아의 형상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날로그 홀딩 지그 연결부(17)는, 아날로그 가이드 본체(15)에 배치되고 아날로그 홀딩 지그(13)의 아날로그 가이드 연결부(9)와 연결되며 아날로그 홀딩 지그(13)에 홀딩된 치과용 아날로그(3)가 턱 부분 모형(11)의 아날로그 장착 위치를 향하도록 하기 위한 부분이다. 아날로그 홀딩 지그 연결부(17)는 아날로그 홀딩 지그(13)의 아날로그 가이드 연결부(9)의 단부(4)와 돌출부(6)에 대응하는 오목부를 갖는다. 아날로그 가이드 연결부(9)는 아날로그 홀딩 지그 연결부(17)에 끼워지고, 아날로그 홀딩 지그(13)는 아날로그 가이드(7)에 고정된다.
아날로그 가이드(7)(PUD 홀더)는 일정 강도를 갖는 공지된 재료(예: 플라스틱)를 사용하여 제조될 수 있다. 아날로그 가이드(7)(PUD 홀더)는 하나의 아날로그 홀딩 지그 연결부(17)만을 가질 수 있다. 또한, 다수의 임플란트를 식립하는 경우 아날로그 가이드(7)(PUD 홀더)는 2개 이상의 아날로그 홀딩 지그 연결부(17)를 포함할 수 있다. 아날로그 가이드(7)(PUD 홀더)의 크기는 턱의 크기, 치아 부분의 크기, 아날로그 홀딩 지그 연결 부위의 수 등을 고려하여 적절히 조절하면 된다.
도 3은 아날로그 가이드에 아날로그 홀딩 지그를 장착한 상태를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아날로그 홀딩 지그 연결부(17)에는 아날로그 가이드 연결부(9)가 끼워지고, 아날로그 가이드(7)에는 아날로그 홀딩 지그(13)가 고정된다.
도 4는 치과용 아날로그, 아날로그 홀딩 지그 및 아날로그 가이드가 장착된 상태를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다음으로, 아날로그 가이드의 제조 방법의 일례에 대해 설명한다. 본 예에서는 먼저 아날로그 가이드 제조에 필요한 아날로그 가이드의 3차원 정보를 포함하는 정보를 획득한다. 이 방법은 3차원 스캔 영상 획득 단계, 3차원 스캔 영상 분석 단계 및 아날로그 가이드 제조 정보 획득 단계를 포함한다.
3차원 스캔 영상 획득 단계는 스캐닝 지그(21)가 내장된 환자의 턱 부분(23)의 3차원 스캔 영상(25)을 획득하는 단계이다.
스캐닝 지그(21)는 예를 들면 일본 특허 제6208905호에 기재된 바와 같이 공지이다. 임플란트 본체 또는 치과용 임플란트의 중간 구조물을 사람이나 복제품에 매립한다. 스캐닝 지그는 치과 임플란트에 장착된다. 그 후, 스캐너, 방사선 촬영, CT 등을 이용하여 스캐닝 지그를 촬영한다. 따라서, 시스템은 스캐닝 지그(21)가 내장된 환자의 턱 부분(23)의 3차원 스캔 영상(25)을 획득할 수 있다.
도 5는 스캐닝 지그가 내장된 환자의 턱 부분의 3차원 스캔 영상의 일 예를 나타낸 개념도이다.
3차원 스캔 영상 분석 단계는 3차원 스캔 영상 획득 단계에서 획득된 턱 부분(23)의 3차원 스캔 영상(25)을 분석하여 턱 부분 정보 및 지그 부분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이다. 이전 단계에서, 촬영된 정보는 컴퓨터로 전송되고, 예를 들어 그의 콘트라스트로부터 스캔된 영역의 정점 부분이 얻어진다. 컴퓨터는 정점 부분의 각 측면에 대한 정보(예를 들어, 측면을 구성하는 다각형의 형태, 인접한 측면, 면적, 위치 및 각도)를 미리 저장하고 있다. 컴퓨터는 획득한 정점 위치 정보로부터 촬영된 영상에 포함된 정점이 머리 부분의 어느 정점인지 식별한다. 그리고 각 정점들이 형성하는 다각형의 면적을 적절히 비교하여 정점의 분석이 정확한지 확인한다. 컴퓨터는 정점 위치 정보로부터 스캐닝 지그의 위치와 방향을 획득하고, 이에 결합된 치과용 임플란트의 위치와 방향을 획득한다.
아날로그 가이드 제조 정보 획득 단계는 3차원 스캔 영상 분석 단계에서 획득한 턱 부분 정보와 지그 부분 정보를 이용하여 아날로그 가이드 제조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이다. 이전 단계에서, 시스템은 턱 부분 정보와 지그 부분 정보를 획득한다. 저장 장치는 획득한 정보를 적절하게 저장한다. 시스템은, 저장 장치로부터 프로그램을 읽고, 저장 장치에서 턱 부분 정보와 지그 부분 정보를 읽으며, 프로그램의 명령에 따라 연산 장치가 연산 처리를 하도록 하고, 아날로그 가이드 제조 정보를 획득한다. 턱 부분 정보는 임플란트가 식립되는 부분에 인접한 크라운 부분의 형상 정보 및 위치 정보를 포함한다. 이 정보를 이용하여, 시스템은 아날로그 가이드(7)(PUD 홀더)의 전체 크기와 크라운 결합부(12, 14)의 형상을 얻는다. 지그부 정보는 임플란트가 식립된 부위에 인접한 크라운 부분의 위치 정보 및 임플란트가 식립된 방향에 대한 정보를 포함한다. 이 정보를 이용하여, 시스템은 아날로그 가이드(7)(PUD 홀더)의 아날로그 홀딩 지그 연결부(17)의 설계 정보를 얻을 수 있다. 그러면 시스템은 아날로그 가이드(7)(PUD 홀더)의 전체 크기 정보와 크라운 결합부(12, 14)의 형상 정보 및 아날로그 홀딩 지그 연결부(17)의 설계 정보로부터 결합부에 대한 정보를 얻을 수 있다. 따라서 시스템은 아날로그 가이드 제조 정보를 얻을 수 있다.
다음으로, 아날로그 가이드 제조 정보를 이용하여 아날로그 가이드(7)를 제조한다. 예를 들어 시스템에는 3차원 프린터가 포함되어 있다. 시스템은, 3차원 프린터 장치가 아날로그 가이드 제조 정보를 사용하여 아날로그 가이드(7)를 제조하게 한다. 따라서, 시스템은 아날로그 가이드(7)를 제조할 수 있다. 또한, 시스템은 절단 장치를 포함할 수 있고, 절단 장치가 아날로그 가이드 제조 정보를 사용하여 커팅 가공을 수행하게 함으로써 아날로그 가이드(7)를 제조할 수 있다.
다음으로, 임플란트 3차원 복제품(턱 부분) 제조 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이 방법은 3차원 스캔 영상 획득 단계, 3차원 스캔 영상 분석 단계, 아날로그 가이드 제조 정보 획득 단계, 아날로그 가이드 제조 단계, 턱 부분 모형 제조 정보 획득 단계, 턱 부분 모형 제조 단계, 치용과 아날로그 이식 단계를 포함한다. 3차원 스캔 영상 획득 단계, 3차원 스캔 영상 분석 단계, 아날로그 가이드 제조 정보 획득 단계, 및 아날로그 가이드 제조 단계는 상술한 바와 같다.
상기 턱 부분 모형 제조 정보 획득 단계는 상기 3차원 스캔 영상 분석 단계에서 획득한 턱 부분 정보를 기반으로 턱 부분 모형 제조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이다.
이전 단계에서, 시스템은 턱 부분 정보를 획득한다. 저장 장치는 획득한 정보를 적절하게 저장한다. 시스템은 저장 장치부로부터 프로그램을 읽고, 저장 장치로부터 턱 부분 정보를 읽으며, 프로그램의 명령에 기초하여 연산 유닛이 연산 처리를 실행하게 하고, 턱 부분 모형 제조 정보를 얻는다. 턱 부분 모형은 위턱과 아래턱을 포함하는 턱 부분의 모형일 수도 있고, 임플란트가 식립된 부분만의 모형일 수도 있고, 그 부분에 인접한 치아의 일부분만의 모형일 수도 있다. 턱 부분 정보는 임플란트가 식립된 부분과 인접한 크라운 부분의 모양 정보 외에 턱 전체의 모양 정보를 포함한다. 이 정보를 사용하여, 시스템은 전체 턱 부분 모형의 크기와 크라운의 모양을 획득한다. 이 정보를 사용하여, 시스템은 턱 부분 모형의 디자인 정보를 얻을 수 있다.
상기 턱 부분 모형 제조 단계는 상기 턱 부분 모형 제조 정보 획득 단계에서 획득한 턱 부분 모형 제조 정보를 바탕으로 턱 부분 모형을 제작하는 단계이다. 다음으로, 턱 부분 모형 제조 정보를 이용하여 턱 부분 모형을 제작한다. 예를 들어, 시스템에는 3차원 프린터가 포함된다. 시스템은 3차원 프린터 장치가 턱 부분 모형 제조 정보를 사용하여 턱 부분 모형을 제조하게 한다. 따라서 시스템은 턱 부분 모형을 제조할 수 있다.
치과용 아날로그 식립 단계는 아날로그 가이드(7)를 이용하여 턱 부분 모형에 치과용 아날로그(3)를 식립하기 위해 아날로그 홀딩 지그(13)에 치과용 아날로그(3)를 장착하는 단계이다.
도 6은 아날로그 홀딩 지그(13)에 치과용 아날로그(3)를 장착하고 아날로그 가이드(7)를 이용하여 턱 부분 모형(11)에 치과용 아날로그(3)를 식립한 상태를 나타낸 개념도이다.
작업 예
이하, 실시 예를 사용하여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구강 내 스캐너를 이용하여 스캐닝 지그를 포함하는 구강 내 스캔 데이터를 얻기 위해 스캐닝 지그를 구강 내 임플란트 몸체에 장착하였다(도 7). 도 7은 구강 내 스캔 데이터를 도시한 도면이다.
스캔 데이터는 임플란트 몸체 위치를 식별하는 데이터로 변환되었다(도 8). 도 8은 디지털 스캔 데이터를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이 데이터를 얻기 위해 임플란트 몸체의 위치와 턱의 형태(도 9)로부터 아날로그 가이드의 형상 데이터를 설계(도 10)하였다. 도 9는 임플란트 몸체의 위치와 턱의 형태를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도 10은 아날로그 가이드의 형상 데이터를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절단 장치(ROLAND, dwx51)를 사용하여 왁스 디스크(YAMAHACHI DENTAL MFG.,CO., Green T20)에서 아날로그 가이드를 가공하였다(도 11). 도 11은 얻어진 아날로그 가이드의 도면 대용 사진이다. 이전 데이터에서 턱 부분의 복제 데이터(도 12)와 임플란트 몸체 위치의 주변부를 절단하여 형성된 복제 데이터를 설계하였다(도 13). 도 12는 턱 부분의 복제 데이터를 설명하는 개념도이다. 도 13은 턱 부분 모형의 설계 데이터를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설계된 복제 데이터는 3차원 프린터(Formlabs, Form3)에서 출력된다(도 14). 도 14는 턱 부분 모형을 나타내는 도면을 대신한 사진이다. 향후 작업 효율성 향상을 위해 임플란트의 주변 영역을 유사 잇몸 복제로 대체한 껌 복제품을 제작하였다(도 15). 도 15는 껌 복제품을 설명하는 도면을 대신하는 사진이다. 아날로그 가이드를 3차원 프린터 복제품에 피팅한 후 실물과 스캔 데이터를 통해 확인하였다(도 16, 도 17). 도 16은 턱 부분 모형에 아날로그 가이드를 장착한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을 대신한 사진이다. 도 17은 턱 부분 모형에 아날로그 가이드를 장착한 시뮬레이션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피팅 확인 후 아날로그 홀딩 지그를 아날로그 가이드에 장착하고 임플란트 아날로그를 아날로그 홀딩 지그에 장착하였다. 이 상태에서 3차원 프린터 복제품에 아날로그 가이드를 장착하고 아날로그와 복제품 사이에 레진(GC, FIXPEED)을 캐스팅하여 고정하였다. 이 작업을 통해, 구강 내 스캔 데이터에서 얻은 위치가 정확하게 전사된 3차원 프린터 임플란트 복제품을 제작할 수 있었다.
본 발명은 치과 및 의료 기구 분야에서 사용될 수 있다.
3… 치과용 아날로그
5… 홀딩부 본체
7… 아날로그 가이드
9… 아날로그 가이드 연결부
11… 턱 부분 모형
13… 아날로그 홀딩 지그
15… 아날로그 가이드 본체
17… 아날로그 홀딩 지그 연결부
21… 스캐닝 지그
23… 턱 부분
25… 3차원 스캔 영상

Claims (5)

  1. 치과용 아날로그(3)를 고정하는 홀딩부 본체(5); 그리고
    상기 홀딩부 본체(5)에 결합되어 아날로그 가이드(7)와 연결되는 아날로그 가이드 연결부(9)
    를 포함하고,
    상기 아날로그 가이드(7)를 통해 상기 치과용 아날로그(3)를 턱 부분 모형(11)에 이식하는 데 사용되는, 아날로그 홀딩 지그(13).
  2. 치과용 아날로그(3)를 턱 부분 모형(11)에 이식하기 위해 사용되는 아날로그 가이드(7)로서,
    상기 턱 부분 모형(11)에 설치 가능한 형상의 아날로그 가이드 본체(15); 그리고
    상기 아날로그 가이드 본체(15)에 배치되고, 아날로그 홀딩 지그(13)에 고정된 치과용 아날로그(3)가 상기 턱 부분 모형(11)의 아날로그 설치 위치를 향하도록 하기 위해 상기 아날로그 홀딩 지그(13)의 아날로그 가이드 연결부와 연결되는 아날로그 홀딩 지그 연결부(17)
    를 포함하는, 아날로그 가이드(7).
  3. 스캐닝 지그(21)가 내장된 환자의 턱 부분(23)의 3차원 스캔 영상(25)을 획득하는 3차원 스캔 영상 획득 단계;
    상기 3차원 스캔 영상 획득 단계에서 획득된 턱 부분(23)의 3차원 스캔 영상(25)을 분석하여 턱 부분 정보 및 지그 부분 정보를 획득하는 3차원 스캔 영상 분석 단계; 그리고
    상기 3차원 스캔 영상 분석 단계에서 획득한 턱 부분 정보와 지그 부분 정보를 이용하여 아날로그 가이드(7) 제조 정보를 획득하는 아날로그 가이드 제조 정보 획득 단계
    를 포함하는, 아날로그 가이드(7) 제조 정보를 획득하는 방법.
  4. 제3항에 따른 아날로그 가이드 제조 정보 획득 방법에 기초하여 획득된 아날로그 가이드 제조 정보를 이용하여 아날로그 가이드(7)를 제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아날로그 가이드 제조 방법.
  5. 스캐닝 지그(21)가 내장된 환자의 턱 부분(23)의 3차원 스캔 영상(25)을 획득하는 3차원 스캔 영상 획득 단계;
    상기 3차원 스캔 영상 획득 단계에서 획득된 턱 부분(23)의 3차원 스캔 영상(25)을 분석하여 턱 부분 정보 및 지그 부분 정보를 획득하는 3차원 스캔 영상 분석 단계;
    상기 3차원 스캔 영상 분석 단계에서 획득한 턱 부분 정보와 지그 부분 정보를 이용하여 아날로그 가이드(7) 제조 정보를 획득하는 아날로그 가이드 제조 정보 획득 단계;
    상기 아날로그 가이드 제조 정보 획득 단계에서 획득된 아날로그 가이드(7) 제조 정보를 이용하여 아날로그 가이드(7)를 제조하는 아날로그 가이드 제조 단계;
    상기 3차원 스캔 영상 분석 단계에서 획득된 턱 부분 정보를 기반으로 턱 부분 모형 제조 정보를 획득하는 턱 부분 모형 제조 정보 획득 단계;
    상기 턱 부분 모형 제조 정보 획득 단계에서 획득된 턱 부분 모형 제조 정보를 기초로 턱 부분 모형을 제조하는 턱 부분 모형 제조 단계; 그리고
    아날로그 가이드(7)를 이용하여 턱 부분 모형에 치과용 아날로그(3)를 식립하기 위해 아날로그 홀딩 지그(13)에 치과용 아날로그(3)를 장착하는 치과용 아날로그 이식단계
    를 포함하는 임플란트 3차원 복제품 제조 방법.
KR1020237020714A 2020-12-07 2021-12-07 아날로그 홀딩 지그 KR20230117737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20203006A JP7026301B1 (ja) 2020-12-07 2020-12-07 アナログ保持治具
JPJP-P-2020-203006 2020-12-07
PCT/JP2021/045011 WO2022124317A1 (ja) 2020-12-07 2021-12-07 アナログ保持治具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17737A true KR20230117737A (ko) 2023-08-09

Family

ID=811751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7020714A KR20230117737A (ko) 2020-12-07 2021-12-07 아날로그 홀딩 지그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20240130836A1 (ko)
EP (1) EP4257077A1 (ko)
JP (2) JP7026301B1 (ko)
KR (1) KR20230117737A (ko)
WO (1) WO2022124317A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161048U (ko) 1984-09-25 1986-04-24
JPS628905U (ko) 1985-07-02 1987-01-20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350297A (en) * 1991-12-24 1994-09-27 Cohen Robert N Method and apparatus for recording the position of dental implants
TWI448276B (zh) * 2010-11-26 2014-08-11 Po Kun Cheng 牙齒定位模板及其製造方法
US11020204B2 (en) * 2011-12-21 2021-06-01 3Shape A/S Virtually designing a customized healing abutment
DE102013104352A1 (de) 2013-03-12 2014-09-18 Nt-Trading Gmbh & Co. Kg Implantat-Analog
JP6333677B2 (ja) * 2014-09-02 2018-05-30 株式会社ギコウ テンポラリシリンダおよびテンポラリアバットメントの製造方法並びにテンポラリシリンダの連結に用いられる連結用部材
DE102015111482B4 (de) * 2015-07-15 2019-07-11 Nt-Trading Gmbh & Co. Kg Positionsaufnahmevorrichtung für Zahnimplantate
JP7450540B2 (ja) * 2017-12-22 2024-03-15 イーロス メドゥテック ピノール アー/エス デンタルインプラントアナログ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161048U (ko) 1984-09-25 1986-04-24
JPS628905U (ko) 1985-07-02 1987-01-20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22090547A (ja) 2022-06-17
WO2022124317A1 (ja) 2022-06-16
JP7026301B1 (ja) 2022-02-28
US20240130836A1 (en) 2024-04-25
EP4257077A1 (en) 2023-10-11
JP2022090605A (ja) 2022-06-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033368B2 (en) Methods and systems for dental procedures
EP1904978B1 (en) Registration of 3-d images of 3-d objects
US11992355B2 (en) Method, apparatus, and computer program for planning implant surgery
US6925198B2 (en) Method and system for three-dimensional modeling of object fields
US5401170A (en) Measuring device and measuring method of implant structure
EP2838464B1 (en) System and method for improved intra-oral scanning protocol and calibration
EP2324795A1 (en) A method and system for designing a dental restoration
KR101970746B1 (ko) 디지털보철 제조방법 및 제조시스템, 이에 적용되는 덴처홀가이더 및 제조방법
KR101883958B1 (ko) 디지털보철 제조방법 및 제조시스템
KR101953692B1 (ko) 레퍼런스 마커에 기반하여 설계 이미지를 생성하는 이미지 처리장치 및 그 방법
KR20230117737A (ko) 아날로그 홀딩 지그
CA3086482A1 (en) Gauge for verification of 3-d images
CN110831542B (zh) 数字假牙制造方法及制造系统、适用于其的义齿孔引导件及制造方法
JP2022125708A (ja) 歯科模型用の印象材浴の製造方法
CN217908064U (zh) 一种具有磁性连杆的转换组件