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17273A - 전기 수술용 모노폴라 핸드피이스 - Google Patents

전기 수술용 모노폴라 핸드피이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17273A
KR20230117273A KR1020227004481A KR20227004481A KR20230117273A KR 20230117273 A KR20230117273 A KR 20230117273A KR 1020227004481 A KR1020227004481 A KR 1020227004481A KR 20227004481 A KR20227004481 A KR 20227004481A KR 20230117273 A KR20230117273 A KR 2023011727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perating rod
slider
fastened
electrosurgical
conducti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700448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인상
Original Assignee
최인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인상 filed Critical 최인상
Publication of KR2023011727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1727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8/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 A61B18/04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by heating
    • A61B18/08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by heating by means of electrically-heated prob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8/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8/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 A61B18/04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by heating
    • A61B18/12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by heating by passing a current through the tissue to be heated, e.g. high-frequency curren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8/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 A61B18/04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by heating
    • A61B18/12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by heating by passing a current through the tissue to be heated, e.g. high-frequency current
    • A61B18/14Probes or electrodes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8/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 A61B2018/00053Mechanical features of the instrument of device
    • A61B2018/00184Moving parts
    • A61B2018/00196Moving parts reciprocating lengthwis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8/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 A61B2018/00053Mechanical features of the instrument of device
    • A61B2018/00184Moving parts
    • A61B2018/00202Moving parts rotat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8/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 A61B2018/0091Handpieces of the surgical instrument or devic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2218/00Details of 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 A61B2218/001Details of 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having means for irrigation and/or aspiration of substances to and/or from the surgical site
    • A61B2218/007Aspiration
    • A61B2218/008Aspiration for smoke evacuation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Surger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Otolaryngolog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lasma & Fus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Surgical Instru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기 수술용 핸드피이스에 관한 것으로서 수술 집도하는 중에 작동봉의 길이와 방향을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고, 집도의의 시야를 방해하고 건강에 악영향을 미치는 스모그(smog)를 효과적으로 흡입, 제거할 수 있는 전기 수술용 핸드피이스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전기 수술용 모노폴라 핸드피이스
본 발명은 전기 수술용 핸드피이스에 관한 것으로서 수술 집도하는 중에 작동봉의 길이와 방향을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고, 집도의의 시야를 방해하고 건강에 악영향을 미치는 스모그(smog)를 효과적으로 흡입, 제거할 수 있는 전기 수술용 핸드피이스에 관한 것이다.
외과 수술에 철제 메스가 널리 사용되고 있으나, 철제 메스에는 응고 효과가 없다.
즉, 철제 외과용 메스는 조직 절개시에 절개가 끝나거나 그 부위가 자연적으로 응고될 때까지 출혈이 발생한다.
전기수술(Electrosurgery)은 고주파(High frequency, radio frequency) 전기에너지를 사용하여 환자의 조직을 절개, 절제 또는 소작 등을 행하는 수술방법이다.
전극을 통해 공급되는 고주파 전기 에너지에 의해 세포 내 진동이 발생하고, 이에 따라 세포 내 온도가 상승하며 조직이 가열된다.
세포 내 온도가 약 60℃에 도달하면 세포 사멸이 일어나고, 60~90℃로 가열되면 조직의 건조(탈수)와 단백질 응고가 진행되며, 세포 내 온도가 100℃에 도달하면 세포의 체적 팽창 및 기화가 발생하며, 이러한 과정에서 조직을 절개 또는 소작하게 된다.
이와 같은 전기수술은 조직의 절개 및 응고를 위해 도 1과 같이 고주파 전기 전류를 발생시키는 제어유닛(20)과, 이 고주파 전기 에너지를 이용하여 조직을 절개, 절제 및 소작하는 핸드피이스(30)가 사용되는데, 전기수술 장치를 이용한 절개는 고주파 전기 전류에 의한 조직 절개 과정에서 열이 발생하여 현저한 응고 효과가 발생한다.
그러나 전기수술 절개는 필연적으로 전도성 전극과 조직의 불완전 접촉에 의해 공기절연층이 파괴되면서 고열을 동반하는 아크(Arc)가 발생하고, 이 아크에 의해 조직이 타면서 화상이 발생하며 조직이 탄화하며 스모그가 발생하는데, 이 스모그는 집도의의 시야를 가릴 뿐만 아니라 집도의와 환자에게 건강상 악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그리고 수술 부위의 깊이, 각도 등의 조건에 따라 전극이 체결된 작동봉의 길이와 회전각을 수시로 조절하여야 하는데, 이를 위해 작동봉의 길이와 회전을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어야 하고, 조절된 작동봉이 견고하게 고정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어야 한다.
본 발명은 집도의가 수술 과정에서 작동봉의 길이와 회전 각도를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고, 조절된 작동봉을 견고하게 체결 고정할 수 있으며, 별도의 석션 기구 없이도 수술 과정에서 발생하는 스모그를 흡입하여 처리할 수 있는 전기 수술용 모노폴라 핸드피이스를 제공하는 것이 본 발명의 목적이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의한 전기 수술용 모노폴라 핸드피이스는 케이스(110); 선단에 전도성 전극(180)이 체결되고, 후단에 상기 전도성 전극(180)과 전기적으로 연결된 포고핀(144)이 형성되어, 상기 케이스(110) 내부에 삽입되는 원통 형태의 작동봉(140); 상기 작동봉(140)의 후단에 회전 가능하도록 체결되도록 형성된 슬라이더(150); 상기 슬라이더(150)에 체결되어 작동봉(140)이 회전하는 동안에도 상기 포고핀(144)에 전기적 접점을 유지하는 도전구(154); 얇은 필름 형태의 케이블이 꼬인 형태로 성형되어 상기 도전구(154)에 고주파 전기 에너지를 공급하는 코일 케이블(160);로 구성됨으로써, 상기 작동봉(140)이 케이스(110)에서 돌출 또는 삽입되며 돌출 길이를 조절하거나 회전하며 수술 각도를 조절하도록 구성된다.
이때, 상기 작동봉(140)의 후단에는 반원통 형태로 성형되고 고정돌기(142)가 돌출되어 서로 소정 간격 이격된 한 쌍의 탄성편(141)이 형성되고, 상기 탄성편(141)이 슬라이더(150)의 삽입구(151)에 삽입, 체결되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슬라이더(150)의 외경과 작동봉(140)의 외경은 동일하게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슬라이더(150)의 일측에는 가이드 돌기(152)가 돌출되고, 상기 가이드 돌기(152)가 케이스(110) 내부에 축 방향으로 형성된 긴 홈 형태의 안내부(116)에 삽입하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도전구(154)는 슬라이더(150)에 체결되는 도전성 몸체와, 상기 몸체의 일측에 링 형태로 성형되어 포고핀(144)과 접촉하는 핀 접점(155)과, 상기 몸체의 타측에 형성되어 상기 코일 케이블(160)과 연결되는 커넥터(156)로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도전구(154)의 몸체에는 가이드 돌기 홈(157)이 천공되고, 슬라이더(150)의 가이드 돌기(152)가 상기 가이드 돌기 홈(157)에 삽입되어 도전구(154)가 슬라이더(150)에 체결되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케이스(110)에는 작동봉(140)을 고정시키는 작동봉 고정장치를 더 포함하여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핸드피이스는 수술 과정에서 전극이 체결된 작동봉의 길이를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고, 작동봉을 회전 방향에 상관없이 무한회전하며 회전각을 조절하여 견고하게 고정할 수 있으며, 별도의 석션 기구 없이도 수술 과정에서 발생하는 스모그를 흡입하여 처리할 수 있다.
도 1은 모노폴라 전기수술 장치를 도시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핸드피이스를 도시한 사시도.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핸드피이스를 분해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핸드피이스를 구성하는 작동봉을 도시한 사시도.
도 6은 작동봉의 주요 부분을 확대 도시한 사시도.
도 7은 작동봉을 분해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 8은 작동봉의 슬라이더를 분해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 9는 도 2의 A-A선 단면도.
도 10은 잠금구를 푼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도 11은 잠금구를 잠근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핸드피이스 101 : 석션 파이프
102 : 보호관 103 : 플러그
110 : 케이스 111 : 밀착편
112 : 압착편 113 : 돌기
114 : 버튼 115 : 체결홈
116 : 안내부 120 : 잠금구
121 : 압착돌기 130 : 내부 케이스
131 : PCB 132 : 접점
140 : 작동봉 141 : 탄성편
142 : 고정돌기 143 : 석션 파이프 삽입구
144 : 포고핀 145 : 도전 케이블
150 : 슬라이더 151 : 삽입구
152 : 가이드 돌기 153 : 고정돌기
154 : 도전구 155 : 핀 접점
156 : 커넥터 157 : 가이드 돌기 홈
158 : 고정돌기 홈 160 : 코일 케이블
170 : 로테이터 171 : 체결돌기
180 : 전도성 전극 181 : 헤드
182 : 흡입구 183 : 전극 삽입구
184 : 커버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 및 첨부하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하되, 도면의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한 구성요소를 지칭함을 전제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발명의 상세한 설명 또는 특허청구범위에서 어느 하나의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당해 구성요소만으로 이루어지는 것으로 한정되어 해석되지 아니하며, 다른 구성요소들을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상부", "하부", "저부", "전방", "후방", "아래" 등의 용어는 단지 설명을 용이하게 하기 위한 것으로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은 구성요소의 배향을 지칭한다.
본 발명에 의한 핸드피이스(100)는 도 2 내지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케이스(110)와, 상기 케이스(110)의 삽입되어 케이스(110)의 내부로 삽입 또는 돌출하면서 케이스(110)에 대해 회전하는 작동봉(140)과, 상기 작동봉(140)에 체결되는 전도성 전극(180)과, 케이스(110)의 후단에 체결되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로테이터(170)로 구성된다.
선단에 전도성 전극(180)이 체결된 작동봉(140)은 핸드피이스(100)의 케이스(110)에 삽입되어 전, 후 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하거나, 회전하면서 집도의가 수술 부위의 깊이, 각도 등의 수술 조건에 따라 전도성 전극(180)의 돌출 정도와 회전각을 조절한 후 잠금구(120)를 회전시켜 작동봉(140)이 고정되도록 한다.
작동봉(140)은 도 4와 같이 원통 형태의 몸체 후방에 코일 케이블(160)이 체결된 슬라이더(150)가 결합되고, 몸체 전방에는 도 3과 같이 전도성 전극(180)이 삽입되는 전극 삽입구(183)가 구비된 헤드(181)가 체결된다.
상기 코일 케이블(160)은 얇은 필름 형태의 케이블이 꼬여 구성되어 탄성 변형하도록 구성된 것으로서, 도 4에 도시한 PCB(131)의 접점(132)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도 7과 같이 작동봉(140) 내부의 도전 케이블(145)을 통해 전도성 전극(180)으로 고주파 에너지를 공급한다.
이때, 상기 PCB(131)는 도 1과 같이 제어유닛(20)과 도전 케이블(31)로 연결된다.
본 발명의 작동봉(140)은 수술 부위와 조건에 따라 케이스(110)에서 돌출되거나, 케이스(110)로 삽입되거나, 회전하는데, 이때 코일 케이블(160)이 탄성 변형하면서 전도성 전극(180)으로 고주파 에너지를 지속적으로 공급하도록 한다.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작동봉(140)의 후방에는 슬라이더(150)가 체결되는데, 슬라이더(150)는 원통 형태로 몸체가 형성되고, 몸체에는 커넥터(156)가 형성되어 코일 케이블(160)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슬라이더(150)의 몸체 양측에는 가이드 돌기(152)가 돌출된다.
그리고 도 8과 같이 슬라이더(150)에는 도전구(154)가 체결된다. 도전구(154)의 몸체 일측에는 코일 케이블(160)과 연결되는 커넥터(156)가 형성되고, 몸체 타측에는 링 형태로 핀 접점(155)이 형성된다. 그리고 몸체에는 가이드 돌기 홈(157) 및 고정돌기 홈(158)이 천공된다.
슬라이더(150)의 어느 한 가이드 돌기(152)가 도전구(15)의 가이드 돌기 홈(157)에 삽입되고, 슬라이더(150)의 가이드 돌기(152) 양측에 형성된 고정돌기(153)가 도전구(154)의 고정돌기 홈(158)에 삽입되어서 슬라이더(150)와 도전구(154)가 체결된다.
도 6 및 도 7과 같이 작동봉(140)의 후단에는 한 쌍의 탄성편(141)이 소정 간격 이격되어 원통 형상을 이루도록 형성되는데, 작동봉(140)의 외경보다 탄성편(141)들이 형성하는 외경이 작게 구성되고, 탄성편(141)들이 형성하는 외경은 슬라이더(150)의 삽입구(151) 직경과 동일하거나 소정 크기 크게 구성된다.
그리고 도 6과 같이, 작동봉(140)의 후단{탄성편(141)의 선단}에 스프링에 의해 탄력 지지되는 포고핀(144)이 돌출된다. 상기 포고핀(144)은 작동봉(140) 내부의 도전 케이블(145)을 통해 전도성 전극(180)까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도 6과 같이 탄성편(141)들을 슬라이더(150)의 삽입구(151)로 삽입하면, 슬라이더(150)의 선단에 형성된 핀 접점(155)이 작동봉(140)의 포고핀(144)과 접촉하게 되면서 코일 케이블(160)은 전도성 전극(180)과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그리고 슬라이더(150)에 대해 작동봉(140)은 자유롭게 회전할 수 있고, 작동봉(140)이 회전하는 동안 포고핀(144)은 링 형태인 슬라이더(150)의 접점(155)과 접촉을 계속 유지한다.
상기 한 쌍의 탄성편(141)들은 서로 소정 간격 이격되고, 단부에 고정돌기(142)가 돌출되므로, 탄성편(141)들이 슬라이더(150)의 삽입구(151)에 삽입될 때 탄성편(141)들이 탄성 변형하며 오므라들었다가, 고정돌기(142)가 슬라이더(150)의 삽입구(151)를 통과하는 순간에 탄성편(141)들이 탄성 복원되고, 슬라이더(150)는 고정돌기(142)에 걸려 작동봉(140)으로부터 임의로 분리되지 않는다.
상기와 같이 결합된 슬라이더(150)와 작동봉(140)은 케이스(110) 내부에 삽입되는데 도 4와 같이 상, 하부로 분리된 케이스(110)의 어느 한 케이스(110)는 케이스 체결 부위에 단턱 형태로 안내부(116)가 형성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하부 케이스(110)에 안내부(116)가 형성된다.
상, 하부로 분리된 케이스(110) 내부에 슬라이더(150)가 체결된 작동봉(140)을 삽입하고 상, 하부 케이스(110)를 결합하면,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슬라이더(150)의 가이드 돌기(152)가 하부 케이스(110)와 내부 케이스(130) 사이에 위치하게 되어 슬라이더(150)가 안내부(116)를 따라 슬라이드 이동할 수 있게 된다.
도 9와 같이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슬라이더(150)의 가이드 돌기(152)가 하부 케이스(110)와 내부 케이스(130)에 의해 슬라이드 가능하도록 구성되지만, 하부 케이스(110)와 상부 케이스(110)에 의해 슬라이드 가능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케이스(110)와 결합된 작동봉(140)은 수술 부위의 깊이에 따라 케이스(110) 외부로 돌출되거나 케이스(110) 내부로 삽입될 때 슬라이더(150)의 가이드 돌기(142)가 케이스(110)의 안내부(116)를 따라 슬라이드 이동하면서 작동봉(140)의 돌출 또는 삽입을 안내하고, 슬라이더(150)와 체결된 코일 케이블(160)은 탄성 변형 또는 탄성 복원하며 작동봉(140)의 돌출 또는 삽입 과정에서도 전도성 전극(180)으로 고주파 전기 에너지를 공급한다.
그리고 작동봉(140)은 수술 부위의 깊이나 각도를 맞추기 위해 회전이 가능한데, 작동봉(140)을 회전시킬 때, 슬라이더(150)는 가이드 돌기(153)가 안내부(116)에 삽입되므로 회전이 안되도록 고정된 상태에서 작동봉(140)만 회전한다.
작동봉(140)만 회전하더라도 작동봉(140)의 포고핀(144)이 슬라이더(150)의 링 형태로 성형된 핀 접점(155)과 계속 접촉하므로 작동봉(140)이 회전하는 동안에도 전도성 전극(180)으로 고주파 전기 에너지를 지속적으로 공급한다.
만일, 슬라이더(150)가 작동봉(140)과 연동하여 회전하면 코일 케이블(160)이 꼬여 파손될 수 있는데, 본 발명의 작동봉(140)은 슬라이더(150)는 회전하지 않고 작동봉(140)만 회전하도록 구성함으로써, 시계 방향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무한 회전할 수 있으면서도 코일 케이블(160)이 파손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슬라이더(150)의 양측에 가이드 돌기(152)가 돌출된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일측에만 가이드 돌기(152)가 돌출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핸드피이스(100)는 수술 부위의 깊이나 각도에 따라 핸드피이스(100)의 작동봉(140) 길이와 회전 각도를 조절할 수 있는데, 길이와 각도를 조절한 후에는 작동봉이 움직이지 않도록 고정하여야 한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작동봉 고정장치를 구성한다.
본 발명의 작동봉 고정장치는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 하부 케이스(110)의 선단에 형성된 밀착편(111)에 압착편(112)을 형성한다. 상기 압착편(112)은 밀착편(111)을 'ㄷ' 형태로 절개하여 밀착편(111)에 대해 탄성 변형이 가능하다.
상기 압착편(112)은 도 10과 같이 밀착편(111)과 연결되는 지점은 두께가 얇고, 단부로 갈수록 두께가 점차 넓어지도록 형성되고, 소정 간격마다 돌기(113)가 돌출된다.
상기 밀착편(111)은 원통 형태의 잠금구(120)에 삽입되는데, 잠금구(120)의 내면에는 압착돌기(121)가 돌출된다.
작동봉(140)의 길이와 각도를 조절할 때는 잠금구(120)를 푼 상태에서 조절하는데 잠금구(120)를 푼 상태는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잠금구(120)의 압착돌기(121)가 압착편(112)의 두께가 가장 얇은 지점에 위치하는 상태이다.
이 상태에서는 압착편(112)이 작동봉(140)과 접촉하지 않는 상태이기 때문에 작동봉(140)의 길이와 회전 각도를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다.
작동봉(140)의 길이와 회전 각도를 조절한 후 작동봉(140)을 고정하기 위해 잠금구(120)를 회전시키면 도 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잠금구(120)의 압착돌기(121)가 압착편(112)의 가장 두꺼운 지점으로 이동하면서 압착편(112)을 내측으로 가압하고, 압착편(112)이 작동봉(140)을 압착함으로써 작동봉(140)이 고정된다.
이때, 상기 압착편(112)의 돌기(113)는 잠금구(120)를 회전시킬 때 압착돌기(121)가 돌기(113)를 넘는 과정에서 사용자에게 구분감을 제공한다.
상기와 같이 작동봉(140)의 길이와 각도를 조절하고 잠금구(120)로 작동봉(140)을 고정시킨 상태에서 조직을 절개 또는 소작하는데, 이때 스모그가 발생하여 집도의나 환자의 건강에 악영향을 미친다.
본 발명은 수술과정에서 발생하는 스모그를 핸드피이스가 흡입하도록 석션구조가 구성된다.
도 3 및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보호관(102)의 내부에는 석션 파이프(101)가 삽입되어 로테이터(170)를 통해 작동봉(140) 내부의 석션 파이프 삽입구(143)로 삽입된다.
그리고 도 3과 같이 작동봉(140)의 선단에는 전도성 전극(180)이 삽입되는 헤드(181)가 체결되는데, 상기 헤드(181)의 전극 삽입구(183) 양측에는 흡입구(182)가 형성된다.
전도성 전극(180)에 고주파 전기 에너지가 공급되어 수술하는 과정에서 스모그가 발생하면 상기 흡입구(182)를 통해 스모그가 흡입되고, 흡입된 스모그는 석션 파이프(101)를 통해 배출된다.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케이스(110)의 단부에는 링 형태로 체결홈(115)이 형성되고, 소정 각도로 꺽인 로테이터(170)의 선단에 형성된 체결돌기(171)가 상기 체결홈(115)에 삽입되어 체결되므로, 집도의가 핸드피이스(100)를 어느 각도에서 파지하고 수술하더라도 로테이터(170)가 자유롭게 회전하여 집도의가 수술하는데 걸리적 거리지 않도록 구성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핸드피이스는 수술 과정에서 전극이 체결된 작동봉의 길이를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고, 작동봉을 회전 방향에 상관없이 무한회전하며 회전각을 조절하여 견고하게 고정할 수 있으며, 별도의 석션 기구 없이도 수술 과정에서 발생하는 스모그를 흡입하여 처리할 수 있다.
이상 상술한 실시 예를 통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살펴보았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기재사항으로부터 상기 살펴본 실시 예를 다양하게 변형하거나 변경할 수 있음은 자명하다.
또한, 비록 명시적으로 도시되거나 설명되지 아니하였다 하여도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기재사항으로부터 본 발명에 의한 기술적 사상을 포함하는 다양한 형태의 변형을 할 수 있음은 자명하며, 이는 여전히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한다.
첨부하는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된 상기의 실시 예는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기술된 것이며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러한 실시 예에 국한되지 아니한다.

Claims (9)

  1. 케이스(110);
    선단에 전도성 전극(180)이 체결되고, 후단에 상기 전도성 전극(180)과 전기적으로 연결된 포고핀(144)이 형성되어, 상기 케이스(110) 내부에 삽입되는 원통 형태의 작동봉(140);
    상기 작동봉(140)의 후단에 회전 가능하도록 체결되도록 형성된 슬라이더(150);
    상기 슬라이더(150)에 체결되어 작동봉(140)이 회전하는 동안에도 상기 포고핀(144)에 전기적 접점을 유지하는 도전구(154);
    얇은 필름 형태의 케이블이 꼬인 형태로 성형되어 상기 도전구(154)에 고주파 전기 에너지를 공급하는 코일 케이블(160);로 구성됨으로써,
    상기 작동봉(140)이 케이스(110)에서 돌출 또는 삽입되며 돌출 길이를 조절하거나 회전하며 수술 각도를 조절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수술용 모노폴라 핸드피이스.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작동봉(140)의 후단에는 반원통 형태로 성형되고 고정돌기(142)가 돌출되어 서로 소정 간격 이격된 한 쌍의 탄성편(141)이 형성되고, 상기 탄성편(141)이 슬라이더(150)의 삽입구(151)에 삽입, 체결되도록 구성된 전기 수술용 모노폴라 핸드피이스.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더(150)의 외경과 작동봉(140)의 외경은 동일하게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수술용 모노폴라 핸드피이스.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더(150)의 일측에는 가이드 돌기(152)가 돌출되고, 상기 가이드 돌기(152)가 케이스(110) 내부에 축 방향으로 형성된 긴 홈 형태의 안내부(116)에 삽입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수술용 모노폴라 핸드피이스.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도전구(154)는,
    슬라이더(150)에 체결되는 도전성 몸체와, 상기 몸체의 일측에 링 형태로 성형되어 포고핀(144)과 접촉하는 핀 접점(155)과, 상기 몸체의 타측에 형성되어 상기 코일 케이블(160)과 연결되는 커넥터(156)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수술용 모노폴라 핸드피이스.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도전구(154)의 몸체에는 가이드 돌기 홈(157)이 천공되고, 슬라이더(150)의 가이드 돌기(152)가 상기 가이드 돌기 홈(157)에 삽입되어 도전구(154)가 슬라이더(150)에 체결되도록 구성된 전기 수술용 모노폴라 핸드피이스.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110)에는 작동봉(140)을 고정시키는 작동봉 고정장치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수술용 모노폴라 핸드피이스.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110)에는,
    소정 각도로 꺽인 파이프 형태의 로테이터(170)가 케이스(110)의 후단에 회전 가능하도록 체결되고, 석션 파이프(101)가 상기 로테이터(170)를 통해 작동봉(140) 내부의 석션 파이프 삽입구(143)로 삽입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수술용 모노폴라 핸드피이스.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작동봉(140)의 선단에는,
    전도성 전극(180)이 삽입되는 전극 삽입구(183)가 형성되고, 상기 전극 삽입구(183)의 일측 또는 양측에 스모그를 흡입하도록 홀 형태의 흡입구(182)가 형성된 헤드(181)가 체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수술용 모노폴라 핸드피이스.
KR1020227004481A 2022-01-25 2022-01-25 전기 수술용 모노폴라 핸드피이스 KR20230117273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KR2022/001273 WO2023145979A1 (ko) 2022-01-25 2022-01-25 전기 수술용 모노폴라 핸드피이스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17273A true KR20230117273A (ko) 2023-08-08

Family

ID=874721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7004481A KR20230117273A (ko) 2022-01-25 2022-01-25 전기 수술용 모노폴라 핸드피이스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20230117273A (ko)
WO (1) WO2023145979A1 (ko)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76730B1 (ko) * 2014-03-31 2015-12-10 주식회사 리메드 전기수술 기기용 핸드피스 및 이를 포함하는 전기수술 기기
WO2017178286A1 (en) * 2016-04-14 2017-10-19 Safeair Ag An electrosurgical pencil
KR102124015B1 (ko) * 2018-11-13 2020-06-17 최인상 전기수술기구
KR102204537B1 (ko) * 2019-05-31 2021-01-18 최보환 전기 수술용 핸드피이스의 스모그 석션 구조
KR102277008B1 (ko) * 2019-07-17 2021-07-13 주식회사 제이시스메디칼 전류 인가용 니들 팁, 핸드피스 및 피부 처치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3145979A1 (ko) 2023-08-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475455B2 (en) Fluid-assisted electrosurgical scissors and methods
US5290286A (en) Bipolar instrument utilizing one stationary electrode and one movable electrode
US8668688B2 (en) Soft tissue RF transection and resection device
CA2569431C (en) Auto-safety shut-off for energy based devices
US5484435A (en) Bipolar electrosurgical instrument for use in minimally invasive internal surgical procedures
AU2004231188B2 (en) Bipolar forceps having monopolar extension
US6852111B1 (en) Laparoscopic electrotome
JP6609876B2 (ja) 長さ調節が容易な電気手術装置
US20110009856A1 (en) Combination Radio Frequency Device for Electrosurgery
JP2004531290A (ja) 高周波電気手術のための方法および器具
JPH11137562A (ja) 外科用電気切断器具
KR102020179B1 (ko) 전기수술 핸드피이스용 전도성 전극
US6602250B2 (en) Echogenic wire knife
JP2022119896A (ja) アルゴンビーム機能を有する超極性電気外科用ブレードアセンブリおよび超極性電気外科用ペンシル
KR102426452B1 (ko) 이중 블레이드용 핸드피이스의 스위칭 구조
KR20230117273A (ko) 전기 수술용 모노폴라 핸드피이스
US20220338918A1 (en) Ultrapolar electrosurgery blade and pencil for use in esu monopolar and bipolar modes
KR102204537B1 (ko) 전기 수술용 핸드피이스의 스모그 석션 구조
CN113499133A (zh) 一种双功能的手术器械
US20230293225A1 (en) Smog suction structure for electrosurgical handpiece
CN215821138U (zh) 一种带单极电钩的高级能量器械
KR102595178B1 (ko) 전기 수술 핸드피이스의 케이블 조립체
KR102254266B1 (ko) 전기수술용 펜슬
KR20230174842A (ko) 석션 기능을 구비한 전기 수술 핸드피이스의 케이블 조립체
US20230293227A1 (en) Laparoscopic ultrapolar electrosurgery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