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17241A - 정보 전송 방법, 통신 장치, 컴퓨터가 판독 가능한저장 매체 및 칩 - Google Patents

정보 전송 방법, 통신 장치, 컴퓨터가 판독 가능한저장 매체 및 칩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17241A
KR20230117241A KR1020237024134A KR20237024134A KR20230117241A KR 20230117241 A KR20230117241 A KR 20230117241A KR 1020237024134 A KR1020237024134 A KR 1020237024134A KR 20237024134 A KR20237024134 A KR 20237024134A KR 20230117241 A KR20230117241 A KR 2023011724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hz channel
resource block
channel
response
mhz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702413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유천 궈
밍 간
지안 위
멍시 후
Original Assignee
후아웨이 테크놀러지 컴퍼니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후아웨이 테크놀러지 컴퍼니 리미티드 filed Critical 후아웨이 테크놀러지 컴퍼니 리미티드
Publication of KR2023011724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17241A/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00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 H04L1/12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using return channel
    • H04L1/16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using return channel in which the return channel carries supervisory signals, e.g. repetition request signals
    • H04L1/18Automatic repetition systems, e.g. Van Duuren systems
    • H04L1/1829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the receiver end
    • H04L1/1861Physical mapping arrangem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00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 H04L1/12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using return channel
    • H04L1/16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using return channel in which the return channel carries supervisory signals, e.g. repetition request signals
    • H04L1/18Automatic repetition systems, e.g. Van Duuren systems
    • H04L1/1829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the receiver end
    • H04L1/1854Scheduling and prioritising arrangem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3Arrangements for allocating sub-channels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53Allocation of signaling, i.e. of overhead other than pilot signals
    • H04L5/0055Physical resource allocation for ACK/NACK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02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 H04B7/04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 H04B7/0413MIMO systems
    • H04B7/0452Multi-user MIMO syste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00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 H04L1/12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using return channel
    • H04L1/16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using return channel in which the return channel carries supervisory signals, e.g. repetition request signa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00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 H04L1/12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using return channel
    • H04L1/16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using return channel in which the return channel carries supervisory signals, e.g. repetition request signals
    • H04L1/18Automatic repetition systems, e.g. Van Duuren systems
    • H04L1/1867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the transmitter end
    • H04L1/1893Physical mapping arrangem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91Signaling for the administration of the divided path
    • H04L5/0094Indication of how sub-channels of the path are allocate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4/00Network topologies
    • H04W84/02Hierarchically pre-organised networks, e.g. paging networks, cellular networks, WLAN [Wireless Local Area Network] or WLL [Wireless Local Loop]
    • H04W84/10Small scale networks; Flat hierarchical networks
    • H04W84/12WLAN [Wireless Local Area Networ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Communication Control (AREA)

Abstract

본 개시의 실시예는 정보 전송 방법, 통신 장치, 컴퓨터가 판독 가능한 저장 매체 및 칩을 제공한다. 이 방법에서, 수신 디바이스는 송신 디바이스로부터 데이터 프레임을 수신한다. 데이터 프레임은 전송 자원 블록을 점유하며, RU 할당 정보를 포함한다. 전송 자원 블록과 RU 할당 정보에 기반하여 응답 자원 블록이 결정된다. 데이터 프레임에 대한 확인 응답 프레임이 응답 자원 블록 상에서 송신 디바이스로 송신된다. 이와 같이 본 개시의 실시예에서, 수신 디바이스가 전송 자원 블록과 RU 할당 정보에 기반하여 확인 응답 프레임을 송신하기 위한 응답 자원 블록을 결정하므로, 수신 디바이스가 확인 응답 프레임을 정확하게 송신할 수 있어 정보 전송 효율을 보장한다.

Description

정보 전송 방법, 통신 장치, 컴퓨터가 판독 가능한 저장 매체 및 칩
본 개시는 통신 분야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정보 전송 방법, 통신 장치, 컴퓨터가 판독 가능한 저장 매체 및 칩에 관한 것이다.
무선 근거리 통신망(Wireless Local Area Network, WLAN) 시스템의 802.11 표준은 802.11a/b/g에서 802.11n, 802.11ac, 802.11ax, 802.11be로 진화하고 있다. 802.11ax 표준은 고효율(High Efficiency, HE)이라고 하고, 802.11be 표준은 초고처리량(Extremely High Throughput, EHT)이라고 하며, 802.11be 표준 이후의 표준은 EHT+로 지시된다(indicated).
데이터 프레임을 스테이션으로 송신할 때, 현재 액세스 포인트는 자원 유닛 할당을 통해, 확인 응답 프레임(acknowledgment frame)을 송신하기 위해 점유될 자원 유닛을 스테이션에게 알려준다. 그러나 사용 가능한 채널의 대역폭이 확장됨에 따라, 현재 솔루션에서, 스테이션은 응답 프레임이 송신되는 특정 채널을 결정할 수 없다. 이 솔루션은 완벽하지 않다.
본 출원의 실시예는 수신 디바이스가 확인 응답 프레임을 정확하게 송신하기 위한 솔루션을 제공한다.
제1 측면에 따르면, 정보 전송 방법이 제공된다. 상기 방법은 다음을 포함한다: 수신 디바이스가 송신 디바이스로부터 데이터 프레임을 수신한다. 데이터 프레임은 전송 자원 블록(transmission resource block)을 점유하며, RU 할당 정보를 포함한다. 수신 디바이스는 전송 자원 블록과 RU 할당 정보에 기반하여 응답 자원 블록을 결정한다. 수신 디바이스는 데이터 프레임에 대한 확인 응답 프레임을 응답 자원 블록 상에서 송신 디바이스로 송신한다.
이와 같이, 본 개시의 이 실시예에서, 수신 디바이스는 전송 자원 블록 및 RU 할당 정보에 기반하여 확인 응답 프레임을 송신하기 위한 응답 자원 블록을 결정하므로, 수신 디바이스가 확인 응답 프레임을 정확하게 송신할 수 있어서, 정보 전송 효율을 보장한다.
제1 측면의 일부 실시예에서, 전송 자원 블록 및 RU 할당 정보에 기반하여 응답 자원 블록을 결정하는 것은: 전송 자원 블록의 대역폭이 대역폭 임계값보다 크면, 미리 설정된 규칙에 기반하여 응답 채널을 결정하는 단계; 및 응답 채널 및 RU 할당 정보에 기반하여 응답 자원 블록을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제1 측면의 일부 실시예에서, 응답 채널은 다음: 1차(primary) 160MHz 채널, 2차(secondary) 160MHz 채널, 높은(high) 160MHz 채널, 낮은(low) 160MHz 채널 또는 전송 자원 블록의 데이터 톤(tone)이 더 많은 160MHz 채널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제1 측면의 일부 실시예에서, 미리 설정된 규칙에 기반하여 응답 채널을 결정하는 단계는, 데이터 프레임의 초고처리량 신호(extremely high throughput signal, EHT-SIG) 필드에 기반하여, 데이터 프레임이 다중 사용자 다중 입력 다중 출력(multi-user multiple-input multiple-output, MU-MIMO) 모드에서 전송되는 것으로 결정하는 단계; EHT-SIG 필드에서의 수신 디바이스의 식별자에 기반하여 MU-MIMO 사용자 그룹에서 수신 디바이스의 위치(location)를 결정하는 단계; 및 위치에 기반하여 응답 채널을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제1 측면의 일부 실시예에서, 위치에 기반하여 응답 채널을 결정하는 단계는, 위치가 미리 결정된 위치이면, 응답 채널이 제1 160MHz 채널인 것으로 결정하는 단계; 및 위치가 미리 결정되지 않은 위치이면, 응답 채널이 제2 160MHz 채널인 것으로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제2 160MHz 채널은 제1 160MHz 채널과 상이하다.
제1 측면의 일부 실시예에서, 미리 결정된 위치는, 홀수 위치, 짝수 위치, 제1 절반 위치(half location) 또는 제2 절반 위치 중 적어도 하나이다.
제1 측면의 일부 실시예에서, 제1 160MHz 채널은 1차 160MHz 채널 또는 2차 160MHz 채널이다.
제1 측면의 일부 실시예에서, 제1 160MHz 채널은 높은 160MHz 채널 또는 낮은 160MHz 채널이다.
이와 같이, 본 개시의 실시예에서, 수신 디바이스는 미리 설정된 규칙에 기반하여 응답 채널을 결정할 수 있다. 또한 동일한 MU-MIMO 그룹에서 서로 다른 위치에 있는 서로 다른 수신 디바이스는 서로 다른 응답 채널을 결정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전체 대역폭의 각 채널을 최대한 활용할 수 있고, 자원 활용을 최적화할 수 있으며, 확인 응답 프레임의 전송 효율성을 보장할 수 있다.
제1 측면의 일부 실시예에서, 전송 자원 블록은, 2×996+484-톤 MRU, 3×996-톤 MRU, 3×996+484-톤 MRU, 또는 4×996-톤 RU 중 적어도 하나이다.
제2 측면에 따르면, 정보 전송 방법이 제공된다. 상기 방법은 다음을 포함한다: 송신 디바이스가 데이터 프레임을 수신 디바이스로 송신한다. 데이터 프레임은 전송 자원 블록을 점유하며, RU 할당 정보를 포함한다. 송신 디바이스는 전송 자원 블록과 RU 할당 정보에 기반하여 응답 자원 블록을 결정한다. 송신 디바이스는 응답 자원 블록 상에서 수신 디바이스로부터 데이터 프레임에 대한 확인 응답 프레임을 수신한다.
제2 측면의 일부 실시예에서, 전송 자원 블록 및 RU 할당 정보에 기반하여 응답 자원 블록을 결정하는 것은: 전송 자원 블록의 대역폭이 대역폭 임계값보다 크면, 미리 설정된 규칙에 기반하여 응답 채널을 결정하는 단계; 및 응답 채널 및 RU 할당 정보에 기반하여 응답 자원 블록을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제2 측면의 일부 실시예에서, 응답 채널은 다음: 1차 160MHz 채널, 2차 160MHz 채널, 높은 160MHz 채널, 낮은 160MHz 채널 또는 전송 자원 블록의 데이터 톤이 더 많은 160MHz 채널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제2 측면의 일부 실시예에서, 미리 설정된 규칙에 기반하여 응답 채널을 결정하는 단계는, 데이터 프레임의 초고처리량 신호(extremely high throughput signal, EHT-SIG) 필드에 기반하여, 데이터 프레임이 다중 사용자 다중 입력 다중 출력(multi-user multiple-input multiple-output, MU-MIMO) 모드에서 전송되는 것으로 결정하는 단계; EHT-SIG 필드에서의 수신 디바이스의 식별자에 기반하여 MU-MIMO 사용자 그룹에서 수신 디바이스의 위치를 결정하는 단계; 및 위치에 기반하여 응답 채널을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제2 측면의 일부 실시예에서, 위치에 기반하여 응답 채널을 결정하는 단계는, 위치가 미리 결정된 위치이면, 응답 채널이 제1 160MHz 채널인 것으로 결정하는 단계; 및 위치가 미리 결정되지 않은 위치이면, 응답 채널이 제2 160MHz 채널인 것으로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제2 160MHz 채널은 제1 160MHz 채널과 상이하다.
제2 측면의 일부 실시예에서, 미리 결정된 위치는, 홀수 위치, 짝수 위치, 제1 절반 위치 또는 제2 절반 위치 중 적어도 하나이다.
제2 측면의 일부 실시예에서, 제1 160MHz 채널은 1차 160MHz 채널 또는 2차 160MHz 채널이다.
제2 측면의 일부 실시예에서, 제1 160MHz 채널은 높은 160MHz 채널 또는 낮은 160MHz 채널이다.
제2 측면의 일부 실시예에서, 전송 자원 블록은 2×996+484-톤 MRU, 3×996-톤 MRU, 3×996+484-톤 MRU, 또는 4×996-톤 RU 중 적어도 하나이다.
제3 측면에 따르면, 통신 장치가 제공된다. 상기 장치는: 송신 디바이스로부터 데이터 프레임을 수신하도록 구성된 수신 유닛 - 데이터 프레임은 전송 자원 블록을 점유하고 자원 유닛(resource unit, RU) 할당 정보를 포함함 -; 전송 자원 블록 및 RU 할당 정보에 기반하여 응답 자원 블록을 결정하도록 구성된 결정 유닛; 및 데이터 프레임에 대한 확인 응답 프레임을 응답 자원 블록 상에서 송신 디바이스로 송신하도록 구성된 송신 유닛을 포함한다.
제3 측면의 일부 실시예에서, 결정 유닛은: 전송 자원 블록의 대역폭이 대역폭 임계값보다 크면, 미리 설정된 규칙에 기반하여 응답 채널을 결정하도록 구성된 제1 결정 서브유닛; 및 응답 채널 및 RU 할당 정보에 기반하여 응답 자원 블록을 결정하도록 구성된 제2 결정 서브유닛을 포함한다.
제3 측면의 일부 실시예에서, 응답 채널은 다음: 1차 160MHz 채널, 2차 160MHz 채널, 높은 160MHz 채널, 낮은 160MHz 채널 또는 전송 자원 블록의 데이터 톤이 더 많은 160MHz 채널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제3 측면의 일부 실시예에서, 제1 결정 서브유닛은, 데이터 프레임의 초고처리량 신호(extremely high throughput signal, EHT-SIG) 필드에 기반하여, 데이터 프레임이 다중 사용자 다중 입력 다중 출력(multi-user multiple-input multiple-output, MU-MIMO) 모드에서 전송되는 것으로 결정하고; EHT-SIG 필드에서의 수신 디바이스의 식별자에 기반하여 MU-MIMO 사용자 그룹에서 수신 디바이스의 위치를 결정하며; 그리고 위치에 기반하여 응답 채널을 결정하도록 구성된다.
제3 측면의 일부 실시예에서, 제1 결정 서브유닛은, 위치가 미리 결정된 위치이면, 응답 채널이 제1 160MHz 채널인 것으로 결정하고; 그리고 위치가 미리 결정되지 않은 위치이면 응답 채널이 제2 160MHz 채널인 것으로 결정한다. 제2 160MHz 채널은 제1 160MHz 채널과 상이하다.
제3 측면의 일부 실시예에서, 미리 결정된 위치는 홀수 위치, 짝수 위치, 제1 절반 위치 또는 제2 절반 위치 중 적어도 하나이다.
제3 측면의 일부 실시예에서, 제1 160MHz 채널은 1차 160MHz 채널 또는 2차 160MHz 채널이다.
제3 측면의 일부 실시예에서, 제1 160MHz 채널은 높은 160MHz 채널 또는 낮은 160MHz 채널이다.
제3 측면의 일부 실시예에서, 전송 자원 블록은 2×996+484-톤 MRU, 3×996-톤 MRU, 3×996+484-톤 MRU, 또는 4×996-톤 RU 중 적어도 하나이다.
제4 측면에 따르면, 통신 장치가 제공된다. 상기 장치는: 데이터 프레임을 수신 디바이스로 송신하도록 구성된 송신 유닛 - 데이터 프레임은 전송 자원 블록을 점유하고 자원 유닛(resource unit, RU) 할당 정보를 포함함 -; 전송 자원 블록 및 RU 할당 정보에 기반하여 응답 자원 블록을 결정하도록 구성된 결정 유닛; 및 응답 자원 블록 상에서 수신 디바이스로부터 데이터 프레임에 대한 확인 응답 프레임을 수신하도록 구성된 수신 유닛을 포함한다.
제4 측면의 일부 실시예에서, 결정 유닛은: 전송 자원 블록의 대역폭이 대역폭 임계값보다 크면, 미리 설정된 규칙에 기반하여 응답 채널을 결정하도록 구성된 제1 결정 서브유닛; 및 응답 채널 및 RU 할당 정보에 기반하여 응답 자원 블록을 결정하도록 구성된 제2 결정 서브유닛을 포함한다.
제4 측면의 일부 실시예에서, 응답 채널은 다음: 1차 160MHz 채널, 2차 160MHz 채널, 높은 160MHz 채널, 낮은 160MHz 채널 또는 전송 자원 블록의 데이터 톤이 더 많은 160MHz 채널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제4 측면의 일부 실시예에서, 제1 결정 서브유닛은, 데이터 프레임의 초고처리량 신호(extremely high throughput signal, EHT-SIG) 필드에 기반하여, 데이터 프레임이 다중 사용자 다중 입력 다중 출력(multi-user multiple-input multiple-output, MU-MIMO) 모드에서 전송되는 것으로 결정하고; EHT-SIG 필드에서의 수신 디바이스의 식별자에 기반하여 MU-MIMO 사용자 그룹에서 수신 디바이스의 위치를 결정하며; 그리고 위치에 기반하여 응답 채널을 결정하도록 구성된다.
제4 측면의 일부 실시예에서, 제1 결정 서브유닛은, 위치가 미리 결정된 위치이면, 응답 채널이 제1 160MHz 채널인 것으로 결정하고; 그리고 위치가 미리 결정되지 않은 위치이면, 응답 채널이 제2 160MHz 채널인 것으로 결정한다. 제2 160MHz 채널은 제1 160MHz 채널과 상이하다.
제4 측면의 일부 실시예에서, 미리 결정된 위치는 홀수 위치, 짝수 위치, 제1 절반 위치 또는 제2 절반 위치 중 적어도 하나이다.
제4 측면의 일부 실시예에서, 제1 160MHz 채널은 1차 160MHz 채널 또는 2차 160MHz 채널이다.
제4 측면의 일부 실시예에서, 제1 160MHz 채널은 높은 160MHz 채널 또는 낮은 160MHz 채널이다.
제4 측면의 일부 실시예에서, 전송 자원 블록은 2×996+484-톤 MRU, 3×996-톤 MRU, 3×996+484-톤 MRU, 또는 4×996-톤 RU 중 적어도 하나이다.
제5 측면에 따르면, 통신 장치가 제공되며, 이는 트랜시버, 프로세서 및 메모리를 포함한다. 메모리는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되는 명령어를 저장한다. 명령어가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때, 상기 장치는 다음 작동(operation): 트랜시버를 사용하여 송신 디바이스로부터 데이터 프레임을 수신하는 작동 - 데이터 프레임은 전송 자원 블록을 점유하고 RU 할당 정보를 포함함 -; 전송 자원 블록 및 RU 할당 정보에 기반하여 응답 자원 블록을 결정하는 작동; 및 트랜시버를 사용하여 데이터 프레임에 대한 확인 응답 프레임을 응답 자원 블록 상에서 송신 디바이스로 송신하는 작동을 수행하도록 인에이블된다.
제5 측면의 일부 실시예에서, 프로세서가 명령어를 실행하므로, 상기 장치는 다음 작동: 전송 자원 블록의 대역폭이 대역폭 임계값보다 크면, 미리 설정된 규칙에 기반하여 응답 채널을 결정하는 작동; 및 응답 채널 및 RU 할당 정보에 기반하여 응답 자원 블록을 결정하는 작동을 수행한다.
제5 측면의 일부 실시예에서, 응답 채널은 다음: 1차 160MHz 채널, 2차 160MHz 채널, 높은 160MHz 채널, 낮은 160MHz 채널 또는 전송 자원 블록의 데이터 톤이 더 많은 160MHz 채널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제5 측면의 일부 실시예에서, 프로세서가 명령어를 실행하므로, 상기 장치는 다음 작동: 데이터 프레임의 초고처리량 신호(extremely high throughput signal, EHT-SIG) 필드에 기반하여, 데이터 프레임이 다중 사용자 다중 입력 다중 출력(multi-user multiple-input multiple-output, MU-MIMO) 모드에서 전송되는 것으로 결정하는 작동; EHT-SIG 필드에서의 수신 디바이스의 식별자에 기반하여 MU-MIMO 사용자 그룹에서 수신 디바이스의 위치를 결정하는 작동; 및 위치에 기반하여 응답 채널을 결정하는 작동을 수행한다
제5 측면의 일부 실시예에서, 프로세서가 명령어를 실행하므로, 상기 장치는 다음 작동: 위치가 미리 결정된 위치이면, 응답 채널이 제1 160MHz 채널인 것으로 결정하는 작동; 및 위치가 미리 결정되지 않은 위치이면, 응답 채널이 제2 160MHz 채널인 것으로 결정하는 작동을 수행한다. 제2 160MHz 채널은 제1 160MHz 채널과 상이하다.
제5 측면의 일부 실시예에서, 미리 결정된 위치는 홀수 위치, 짝수 위치, 제1 절반 위치 또는 제2 절반 위치 중 적어도 하나이다.
제5 측면의 일부 실시예에서, 제1 160MHz 채널은 1차 160MHz 채널 또는 2차 160MHz 채널이다.
제5 측면의 일부 실시예에서, 제1 160MHz 채널은 높은 160MHz 채널 또는 낮은 160MHz 채널이다.
제5 측면의 일부 실시예에서, 전송 자원 블록은, 2×996+484-톤 MRU, 3×996-톤 MRU, 3×996+484-톤 MRU, 또는 4×996-톤 RU 중 적어도 하나이다.
제6 측면에 따르면, 통신 장치가 제공되며, 이는 트랜시버, 프로세서 및 메모리를 포함한다. 메모리는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되는 명령어를 저장하며; 명령어가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때, 상기 장치는 다음 작동: 트랜시버를 사용하여 데이터 프레임을 수신 디바이스로 송신하는 작동 - 데이터 프레임은 전송 자원 블록을 점유하고 RU 할당 정보를 포함함 -; 전송 자원 블록 및 RU 할당 정보에 기반하여 응답 자원 블록을 결정하는 작동; 및 트랜시버를 사용하여 응답 자원 블록 상에서 수신 디바이스로부터 데이터 프레임에 대한 확인 응답 프레임을 수신하는 작동을 수행하도록 인에이블된다.
제6 측면의 일부 실시예에서, 프로세서가 명령어를 실행하므로, 상기 장치는 다음 작동: 전송 자원 블록의 대역폭이 대역폭 임계값보다 크면, 미리 설정된 규칙에 기반하여 응답 채널을 결정하는 작동; 및 응답 채널 및 RU 할당 정보에 기반하여 응답 자원 블록을 결정하는 작동을 수행한다.
제6 측면의 일부 실시예에서, 응답 채널은 다음: 1차 160MHz 채널, 2차 160MHz 채널, 높은 160MHz 채널, 낮은 160MHz 채널 또는 전송 자원 블록의 데이터 톤이 더 많은 160MHz 채널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제6 측면의 일부 실시예에서, 프로세서가 명령어를 실행하므로, 상기 장치는 다음 작동: 데이터 프레임의 초고처리량 신호(extremely high throughput signal, EHT-SIG) 필드에 기반하여, 데이터가 다중 사용자 다중 입력 다중 출력(multi-user multiple-input multiple-output, MU-MIMO) 모드에서 전송되는 것으로 결정하는 작동; EHT-SIG 필드에서의 수신 디바이스의 식별자에 기반하여 MU-MIMO 사용자 그룹에서 수신 디바이스의 위치를 결정하는 작동; 및 위치에 기반하여 응답 채널을 결정하는 작동을 수행한다.
제6 측면의 일부 실시예에서, 프로세서가 명령어를 실행하므로, 상기 장치는 다음 작동: 위치가 미리 결정된 위치이면, 응답 채널이 제1 160MHz 채널인 것으로 결정하는 작동; 및 위치가 미리 결정되지 않은 위치이면, 응답 채널이 제2 160MHz 채널인 것으로 결정하는 작동을 수행한다. 제2 160MHz 채널은 제1 160MHz 채널과 상이하다.
제6 측면의 일부 실시예에서, 미리 결정된 위치는 홀수 위치, 짝수 위치, 제1 절반 위치 또는 제2 절반 위치 중 적어도 하나이다.
제6 측면의 일부 실시예에서, 제1 160MHz 채널은 1차 160MHz 채널 또는 2차 160MHz 채널이다.
제6 측면의 일부 실시예에서, 제1 160MHz 채널은 높은 160MHz 채널 또는 낮은 160MHz 채널이다.
제6 측면의 일부 실시예에서, 전송 자원 블록은, 2×996+484-톤 MRU, 3×996-톤 MRU, 3×996+484-톤 MRU, 또는 4×996-톤 RU 중 적어도 하나이다.
제7 측면에 따르면, 액세스 포인트가 제공된다. 액세스 포인트(access point, AP)는 제4 측면 또는 제6 측면, 또는 제4 측면 또는 제6 측면의 구현 중 어느 하나에 따른 장치를 포함한다.
제8 측면에 따르면, 스테이션이 제공된다. 스테이션(station, STA)은 제3 측면 또는 제5 측면, 또는 제3 측면 또는 제5 측면의 구현 중 어느 하나에 따른 장치를 포함한다.
제9 측면에 따르면, 컴퓨터가 판독 가능한 저장 매체가 제공된다. 컴퓨터가 판독 가능한 저장 매체는 컴퓨터 프로그램을 저장하고, 컴퓨터 프로그램이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때, 제1 측면 또는 제2 측면의 임의의 실시예의 방법의 작동이 구현된다.
제10 측면에 따르면, 칩 또는 칩 시스템이 제공된다. 칩 또는 칩 시스템은 처리 회로를 포함하고, 제1 측면 또는 제2 측면의 임의의 실시예의 방법의 작동을 구현하도록 구성된다.
제11 측면에 따르면, 컴퓨터 프로그램 또는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이 제공된다. 컴퓨터 프로그램 또는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은 컴퓨터가 판독 가능한 매체에 유형적으로 저장되며, 컴퓨터가 실행 가능한 명령어를 포함한다. 컴퓨터가 실행 가능한 명령어가 실행될 때, 디바이스가 제1 측면 또는 제2 측면의 임의의 실시예에의 방법의 작동을 구현하도록 인에이블된다.
제12 측면에 따르면, 무선 통신 시스템이 제공된다. 상기 시스템은 송신 디바이스 및 수신 디바이스를 포함한다. 송신 디바이스는 제1 측면의 임의의 실시예에의 정보 전송 방법의 작동을 구현할 수 있고, 수신 디바이스는 제2 측면의 임의의 실시예의 정보 전송 방법의 작동을 구현할 수 있다.
제13 측면에 따르면, 무선 통신 시스템이 제공된다. 상기 시스템은 적어도 하나의 AP와 적어도 하나의 STA를 포함한다. 임의의 AP 또는 임의의 STA는 제1 측면 또는 제2 측면의 임의의 실시예의 정보 전송 방법의 작동을 구현할 수 있다.
첨부된 도면 및 다음의 상세한 설명을 참조하면, 본 개시의 구현의 특징, 장점 및 기타 측면이 더욱 명백해진다. 본 개시의 여러 구현이 여기에서 예로서 도시되지만 제한되지 않는다. 첨부된 도면에서 세부 사항은 다음과 같다.
도 1은 320MHz 채널의 분할(100)의 개략도이다.
도 2는 본 개시의 실시예가 적용될 수 있는 통신 시스템(200)의 개략도이다.
도 3은 본 개시의 실시예가 적용될 수 있는 통신 시스템(300)의 다른 개략도이다.
도 4는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정보 전송 프로세스(400)의 개략적인 상호작용 다이어그램이다.
도 5는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프레임의 물리 계층 포맷(500)의 개략도이다.
도 6은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프레임의 MAC 계층 포맷(600)의 개략도이다.
도 7은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TRS 정보 포맷(700)의 개략도이다.
도 8은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정보 전송 방법(800)의 개략적인 흐름도이다.
도 9는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정보 전송 방법(900)의 다른 개략적인 흐름도이다.
도 10은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통신 장치(1000)의 개략적인 블록도이다.
도 11은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통신 장치(1100)의 다른 개략적인 블록도이다.
도 12는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예시적인 장치(1200)의 단순화된 블록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개시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본 개시의 일부 실시예가 첨부된 도면에 도시되어 있지만, 본 개시는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제한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오히려, 이들 실시예는 본 개시를 철저하고 완전하게 이해하기 위하여 제공되는 것이다. 본 개시의 첨부된 도면 및 실시예는 예로서만 사용된 것이며, 본 개시의 보호 범위를 제한하려는 의도가 아님을 이해해야 한다.
본 개시의 실시예들을 설명함에 있어서, "포함하다" 및 이와 유사한 용어는 개방된 포함, 즉 "포함하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기반하여"라는 용어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반하여"로 이해되어야 한다. "일 실시예" 또는 "실시예"라는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실시예"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상이하거나 동일한 객체를 지시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콘텍스트에서, "무선 통신 시스템"이라는 용어는, 예를 들어, 광역 네트워크 시스템(wide area network system) 또는 무선 근거리 통신망(wireless local area network, WLAN) 시스템일 수 있다. 무선 통신 시스템은 복수의 WLAN 통신 프로토콜을 지원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전기 전자 학회(Institute of Electrical and Electronics Engineers, IEEE) 802.11 시리즈 프로토콜에서의 802.11ac/802.11ax/802.11be 또는 향후 IEEE 802.11 시리즈에서 임의의 프로토콜을 지원할 수 있다. 설명을 쉽게 하기 위해, 본 출원의 실시예는 설명을 위한 예로서 WLAN을 사용한다. WLAN은 복수의 기본 서비스 세트(Basic Service Set, BSS)를 포함할 수 있다. 기본 서비스 세트에서의 노드는 액세스 포인트 스테이션과 비액세스 포인트 스테이션(Non-Access Point Station, Non-AP STA)을 포함한다.
"액세스 포인트(Access Point, AP)"라는 용어는 액세스 포인트 스테이션이라고도 지칭될 수 있다. AP는 무선 트랜시버 기능을 갖는 장치로서 스테이션을 위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AP는 무선 액세스 포인트, 핫스폿(hotspot) 등으로도 지칭될 수 있다. AP는 모바일 사용자가 유선 네트워크에 액세스하기 위해 사용하는 액세스 포인트이며, 주로 가정, 건물 내부, 캠퍼스 내부에 배치되며, 통상 커버리지 반경은 수십 미터에서 수백 미터에 이른다. 물론, AP는 다르게는 실외에 배치될 수 있다. AP는 유선 네트워크와 무선 네트워크를 연결하는 브리지와 같은 역할을 한다. AP의 주요 기능은 STA를 서로 연결한 후 무선 네트워크를 유선 네트워크에 연결하는 것이다. 선택적으로, AP는 무선 피델리티(Wireless Fidelity, Wi-Fi) 칩을 가진 단말 디바이스 또는 네트워크 디바이스일 수 있다. 예를 들어, AP는 통신 서버, 라우터, 스위치 또는 브리지일 수 있다. 선택적으로, AP는 현재 네트워크 시스템 또는 미래 네트워크 시스템에서 802.11 표준을 지원하는 디바이스일 수 있다.
"스테이션(STA)"은 무선 트랜시버 기능을 가지는 장치일 수 있으며, 액세스 포인트에 기반하여 무선 근거리 통신망에 액세스할 수 있다. STA는 무선 통신 칩, 무선 센서 또는 무선 통신 단말일 수 있다. 예를 들어, STA는 시스템, 가입자 유닛, 액세스 단말, 이동국, 원격국, 원격 단말, 모바일 디바이스, 사용자 단말, 단말, 무선 통신 디바이스, 사용자 에이전트, 사용자 장치 또는 사용자 장비(user equipment, UE)로 지칭될 수 있다. STA는 무선 통신 칩, 무선 센서 또는 무선 통신 단말일 수 있다. 예를 들어, STA는 모바일폰, 태블릿 컴퓨터, 셋톱 박스, 스마트 텔레비전 세트, 스마트 웨어러블 디바이스, 차량 탑재 통신 디바이스, Wi-Fi 통신 기능을 지원하는 컴퓨터 등이다. 선택적으로, STA는 현재 네트워크 시스템 또는 미래 네트워크 시스템에서 802.11 표준을 지원하는 디바이스일 수 있다.
"직교 주파수 분할 다중화(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xing, OFDM)"라는 용어는 현재 무선 통신의 기본 전송 방식으로, 다양한 무선 통신 시스템에 널리 적용되고 있다. 또한 OFDM은 고정 네트워크 전송, 예를 들어 광섬유, 구리 연선 및 케이블과 같은 전송 모드에 추가로 적용된다. OFDM의 기본 원리는 부반송파 직교성에 기반하여 허용 가능한 범위 내에서 부반송파 간격(spacing)을 최소화하는 것이다. 이는 시스템의 주파수 활용 효율을 향상시키면서 서로 간섭하지 않는 다수의 병렬 경로를 형성하는 것을 보장할 수 있다. 또한 OFDM이 위와 같은 특징을 가지기 때문에, 서로 간섭하지 않는 OFDM의 부반송파를 복수의 사용자에게 할당하면, OFDM을 이용하여 다중 사용자 액세스나 데이터 전송을 구현할 수 있다. 이것이 직교 주파수 분할 다중 액세스(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 OFDMA)이다. OFDMA는 다중 사용자 데이터의 동시 전송에 사용될 수 있으며, 데이터 전송 동시성을 향상시키는 효과적인 방법이다.
"다중 입력 다중 출력(Multiple Input Multiple Output, MIMO) 기술"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안테나를 이용하여 추가적인 공간 자유도를 생성하여, 시스템 처리량을 배가시키고 통신 시스템의 레이트(rate)를 효과적으로 향상시킬 수 있는 기술이다. 또한 송신단은 복수의 공간 스트림을 통해 데이터를 복수의 사용자에게 송신하여, 다중 사용자(Multiple-User, MU) 데이터의 동시 전송(concurrent transmission)을 구현하고, 데이터 전송 동시성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이는 MU-MIMO라고도 지칭될 수 있다.
WLAN 시스템의 802.11 표준은 802.11a/b/g에서 802.11n, 802.11ac, 802.11ax 및 802.11be로 진화하고 있다. 802.11n 이전 표준에서는 단일 사용자 단일 입력 단일 출력(Single User Single Input Single Output, SU-SISO)만 지원된다. 단일 사용자 다중 입력 다중 출력(Single User Multiple Input Multiple Output, SU-MIMO)은 802.11n부터 지원된다. 또한 MU-MIMO는 802.11ac 및 802.11ax부터 지원된다. OFDM 전송은 802.11ax 이전의 802.11 표준에서 지원된다. OFDMA 기술은 802.11ax부터 도입되었으며, 전체 대역폭이 하나 이상의 자원 유닛(Resource Unit, RU)으로 분할될 수 있다. MU-MIMO 및 OFDMA는 현재 연구 중인 802.11be에서 지원되며, 여기서 초고처리량의 다중 사용자 물리 계층 프로토콜 데이터 유닛(Extremely High Throughput Multi-User Physical Protocol Data Unit, EHT MU PPDU)이 정의되어 있다.
WLAN 802.11의 진화에 따라 WLAN 802.11에서 허용하는 전송 대역폭도 점차 변경된다. 802.11a/g 표준에서 허용하는 전송 대역폭은 20MHz이고, 802.11n 표준에서 허용하는 전송 대역폭은 20MHz 또는 40MHz이며, 802.11ax 표준에서 허용하는 전송 대역폭은 20MHz, 40MHz, 80MHz, 또는 160MHz이며, 802.11be 표준에서 지원하는 대역폭은 320MHz로 확장된다. 이 경우, 피크 처리량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으며, 전송률(transmission rate)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320MHz 채널의 분할(100)의 개략도이다. 구체적으로, 도 1은 6GHz 주파수 대역에서 비면허 국제 정보 인프라(Unlicensed international Information Infrastructure, U-NII) 무선 주파수 대역(radio band)의 채널 분할을 도시한다. 도 1은 80MHz 대역폭(110), 160MHz 대역폭(120), 320MHz-1 대역폭(130) 및 320MHz-2 대역폭(140)을 도시한다. 채널을 효과적으로 사용하기 위해, 채널 중심 주파수가 31/95/159인 320MHz-1과 채널 중심 주파수가 63/127/191인 320MHz-2의 두 가지 320MHz 채널이 설계되었음을 알 수 있으며, 이는 도 1에서 각각 130 및 140으로 도시된다.
도 1은 320MHz 대역폭을 도시함을 이해할 수 있다. 다른 시나리오에서는 대역폭이 다른 값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대역폭은 미래에 개발될 수 있는 진화된 초고처리량에서 더 큰 값, 예를 들어 480MHz, 640MHz 또는 다른 값으로 확장될 수 있다.
WLAN에서, 채널은 일반적으로 1차 채널과 2차 채널로 구분된다. 전체 대역폭 범위(예: 320MHz)에서, AP는 20MHz 채널을 1차 채널로 선택한다. 1차 채널을 포함하는 80MHz 채널을 1차 80MHz 채널이라 하고, 다른 80MHz 채널은 non-1차 80MHz 채널이며, 또는 2차 80MHz 채널 또는 secondary 80MHz channel이라고 한다. 1차 채널을 포함하는 160MHz 채널을 1차 160MHz 채널이라 하고, 다른 160MHz 채널은 non-1차 160MHz 채널이며 또는 2차 160MHz 채널 또는 secondary 160MHz channel이라고 한다. 예를 들어, 1차 80MHz 채널(또는 1차 160MHz 채널)의 위치는 AP가 기본 서비스 세트(basic service set, BSS)를 구축할 때 AP에 의해 선택될 수 있다. AP는 비컨 프레임을 사용하여 브로드캐스트 방식으로 위치를 송신하여 모든 STA에게 알릴 수 있다.
현재 다중 사용자 전송에서, AP는 PPDU에서 운반되는 복수의 STA의 데이터를 송신할 수 있다. 데이터를 수신한 후, STA는 데이터 프레임에서 운반된 트리거된 응답 스케줄링(Triggered Response Scheduling, TRS) 정보에 기반하여 확인 응답 프레임을 AP로 송신할 수 있다. 그러나 대역폭이 160MHz보다 클 때(예를 들어, 320MHz) STA는 확인 응답 프레임이 전송되는 특정 채널을 결정할 수 없다. 따라서 현재 솔루션은 완벽하지 않다.
본 출원의 본 실시예는 정보 전송 솔루션을 제공한다. 이 솔루션에서, 확인 응답 프레임을 송신하는 데 사용되는 특정 RU 또는 특정 채널 상의 특정 RU가, 데이터 프레임이 점유하는 전송 자원 블록 및 데이터 프레임에서의 RU 할당 정보에 기반하여 결정되어, 전송 정확성을 보장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2 내지 도 12를 이용하여 본 개시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개시의 실시예가 적용될 수 있는 통신 시스템(200)의 개략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시스템(200)은 송신 디바이스(201) 및 수신 디바이스(202)를 포함한다. 송신 디바이스(201)는 무선 네트워크를 이용하여 수신 디바이스(202)와 통신할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송신 디바이스(201)는 AP 또는 STA일 수 있고, 수신 디바이스(202)는 AP 또는 STA일 수 있다. 비록 도 2가 단일 송신 디바이스(201) 및 단일 수신 디바이스(202)만을 도시하지만, 이는 본 개시에서 제한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시스템(200)은 복수의 수신 디바이스(202)를 포함할 수 있고, 송신 디바이스(201)는 복수의 수신 디바이스(202)와 통신할 수 있거나, 본 개시에서 열거하지 않은 다른 시나리오가 있다.
도 3은 본 개시의 실시예가 적용될 수 있는 통신 시스템(300)의 다른 개략도이다. 도 3은 AP(301) 및 AP(302)의 2개의 AP를 도시한다. 도 3은 추가로, STA(321), STA(322) 및 STA(323)의 3개의 스테이션을 도시한다. 다양한 표준에 따라 AP 간, AP와 STA 간, STA 간 무선 통신이 수행될 수 있다. 본 개시의 본 실시예는 AP 간 통신, STA 간 통신 및 AP와 STA 간 통신에 적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3을 참조하면, 통신은 AP(301)와 AP(302) 간에 수행될 수 있으며, STA(322)와 STA(323) 간에 수행될 수 있고, AP(301)와 STA(321) 간에 수행될 수 있으며, 또는 AP(301)와 STA(322) 간에 수행될 수 있다. 도 3은 예시일 뿐이며, 본 개시의 이 실시예에 대한 제한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됨을 유의해야 한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AP(301)와 AP(302)를 AP(30)로 통칭하고, STA(321), STA(322), STA(323)을 STA(32)로 통칭한다.
도 2 및 도 3은 본 개시의 실시예가 적용될 수 있는 통신 시스템의 개략도일 뿐임을 추가로 이해해야 한다. 통신 시스템(200) 및 통신 시스템(300)은 다른 네트워크 디바이스 또는 단말 디바이스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무선 중계 디바이스, 무선 백홀 디바이스 등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시스템(200)에 포함된 송신 디바이스(201)의 수 및 수신 디바이스(202)의 수, 그리고 시스템(300)에 포함된 AP(30)와 STA(32)의 수는 본 개시의 본 실시예에서 제한되지 않는다.
도 4는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정보 전송 프로세스(400)의 개략적인 상호작용 다이어그램이다. 프로세스(400)는 송신 디바이스(201) 및 수신 디바이스(202)에 관한 것이다. 도 4에 도시된 통신 프로세스는 제한이 아니라 예시일 뿐임을 이해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이 실시예에서, 도 4에 도시되지 않은 상호작용 시그널링이 포함될 수 있거나, 도 4에 도시된 일부 시그널링이 생략된다.
프로세스(400)에서, 송신 디바이스(201)는 먼저 데이터 프레임(410)을 수신 디바이스(202)로 송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개시의 이 실시예에서 데이터 프레임은 전송 자원 블록을 점유할 수 있고, 전송 자원 블록의 대역폭은 대역폭 임계값보다 클 수 있다. 달리 말하면, 본 개시의 이 실시예에서 데이터 프레임의 대역폭은 대역폭 임계값보다 크다. 일부 예에서, 데이터 프레임은 단일 MU PPDU를 포함할 수 있고, 단일 MU PPDU의 대역폭은 대역폭 임계값보다 크다. 일부 다른 예에서, 데이터 프레임은 복수의 MU PPDU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복수의 MU PPDU는 복수의 MU PPDU를 집성하는 것에 의해 획득된 집성 PPDU일 수 있으며, 집성 PPDU의 대역폭은 대역폭 임계값보다 크다. 예를 들어, 대역폭 임계값은 160MHz, 320MHz 또는 다른 값일 수 있다. 이것은 본 개시에서 제한되지 않는다.
데이터 프레임의 대역폭은 총 가용 대역폭(줄여서 총 대역폭)보다 크지 않아야 한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다. 도 1의 예에서, 총 대역폭은 320MHz이다. 다른 시나리오에서, 총 대역폭은 다른 값, 예를 들어 480MHz일 수 있다. 이것은 본 개시에서 제한되지 않는다.
본 개시의 이 실시예에서, 데이터 프레임은 별도의 OFDMA 전송을 구현할 수 있거나, 별도의 MU-MIMO 전송을 구현할 수 있거나, OFDMA 및 MU-MIMO 하이브리드 전송을 구현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데이터 프레임의 물리 계층 포맷에서의 특정 필드에 전송 유형이 명시될 수 있다. 특정 필드는 예를 들어, 초고처리량 신호 필드(Extremely High Throughput Signal Field, EHT-SIG)일 수 있다.
본 개시의 실시예에서 복수의 서로 다른 RU 유형이 정의될 수 있으며, 전체 대역폭은 RU 유형에 의해 분할될 수 있다. RU 유형은 RU 유형이 점유하는 대역폭을 톤(tone)의 형태로 지시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20MHz 대역폭에는 242개의 톤이 있으며, 40MHz 대역폭에는 484개의 톤이 있고, 80MHz 대역폭에는 996개의 톤이 있다.
RU 유형은 26-톤 RU, 52-톤 RU, 106-톤 RU, 242-톤 RU, 484-톤 RU, 996-톤 RU, 2×996-톤 RU, 4×996-톤 RU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서로 다른 대역폭의 최대 허용 수량은 다음 표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RU 유형에 따라 상이하다. 4×996-톤 RU는 하기 표 1에 도시되지 않았지만, 4×996-톤 RU는 320MHz 대역폭에 대응함을 알 수 있다.
RU 유형 20 MHz 대역폭 40 MHz 대역폭 80 MHz 대역폭 80+80/160MHz 대역폭
26-톤 RU 9 18 37 74
52-톤 RU 4 8 16 32
106-톤 RU 2 4 8 16
242-톤 RU 1 2 4 8
484-톤 RU 적용 가능하지 않음(Not applicable, N/A) 1 2 4
996-톤 RU N/A N/A 1 2
2×996-톤 RU N/A N/A N/A 1
데이터 프레임이 점유하는 전송 자원 블록은 하나의 유형 또는 복수의 유형의 조합을 가질 수 있으며, 달리 말하면, 데이터 프레임이 점유하는 전송 자원 블록은 RU 또는 다중 RU(Multi-RU, MRU)일 수 있다. MRU는 적어도 2개의 RU 유형의 조합일 수 있다.
일부 예에서, 대역폭 임계값이 160MHz라고 가정할 수 있다. 달리 말하면, 전송 자원 블록이 점유하는 대역폭은 160MHz보다 크며, 예를 들어 320MHz, 480MHz 또는 다른 경우일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전송 자원 블록이 점유하는 대역폭은 320MHz이다. 이 경우, 전송 자원 블록은 다음: (a) 4×996-톤 RU, (b) 2×996-톤+996-톤 MRU(또는 3×996-톤 MRU로 표기됨), (c) 2×996-톤+484-톤 MRU(또는 2×996+484-톤 MRU로 표기됨), (d) 2×996-톤+996-톤+484-톤 MRU(또는 3×996+484-톤 MRU로 표기됨) 등 중에서 어느 하나일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전송 자원 블록이 점유하는 대역폭은 480MHz이다. 이 경우, 전송 자원 블록은 다음:
(a) 4×996-톤+996-톤 MRU(또는 5×996-톤 MRU로 표기됨), (b) 4×996-톤+ 484-톤 MRU(또는 4×996+484-톤 MRU로 표기됨), (c) 4×996-톤 RU; (d) 2×996-톤+996-톤+484-톤 MRU(또는 3×996+484-톤 MRU로 표기됨), (e) 2×996-톤+996-톤 MRU(또는 3×996-톤 MRU로 표기됨), (f) 2×996-톤+484-톤 MRU(또는 2×996+484-톤 MRU로 표기됨) 등 중에서 어느 하나일 수 있다.
전술한 예는 단지 예일 뿐이며, 본 개시의 이 실시예에 대한 제한으로 해석될 수 없음에 유의해야 한다. 설명되지 않은 다른 RU 또는 MRU가 있을 수도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데이터 프레임의 물리 계층 포맷이 도 5에 도시될 수 있다.
도 5는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프레임의 물리 계층 포맷(500)의 개략도이다. 포맷(500)은: 레거시 짧은 트레이닝 필드(Legacy-Short Training Field, L-STF)(501), 레거시 긴 트레이닝 필드(Legacy-Long Training Field, L-LTF)(502), 레거시 신호 필드(Legacy Signal, L-SIG)(503), 반복 레거시 신호 필드(repeated legacy signal, RL-SIG)(504), 유니버셜 신호 필드(Universal SIG, U-SIG)(505), 초고처리량 신호 필드(Extremely High Throughput Signal Field, EHT- SIG)(506), 초고처리량 짧은 트레이닝 필드(Extremely High Throughput Short Training Field, EHT-STF)(507), 초고처리량 긴 트레이닝 필드(Extremely High Throughput Long Training Field, EHT-LTF)(508)를 포함한다. 데이터 필드(Data)(509) 다음에 패킷 확장(Packet Extension, PE) 필드(510)가 더 있다.
예를 들어, L-STF(501)는 PPDU 탐색, 대략적인 동기화(coarse synchronization), 자동 이득 제어 등에 사용될 수 있다. L-LTF(502)는 미세 동기화, 채널 추정 등에 사용될 수 있다. L-SIG(503)는 공존을 보장하기 위해 PPDU 길이와 관련된 시그널링 정보를 운반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RL-SIG(504)는 L-SIG(503)의 반복을 지시한다. U-SIG(505)는 EHT부터 사용되는 유니버셜 신호 필드이다. EHT-SIG(506)는 후속 데이터를 복조하기 위해 사용되는 시그널링을 운반할 수 있으며, 주로 자원 유닛 지시 정보 등을 포함한다. EHT-STF(507)는 후속 필드의 자동 이득 제어 등에 사용될 수 있다. EHT-LTF(508)는 채널 추정 등에 사용될 수 있다. 데이터(509)는 데이터 정보를 운반할 수 있다. PE(510)는 수신 디바이스가 더 많은 처리 시간 등을 얻는 것을 돕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EHT-SIG(506)는 공통 필드(Common Field)(516) 및 사용자 특정 필드(User Specific Field)(526)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공통 필드(516)는 RU 할당 서브 필드를 포함할 수 있고, RU 할당 서브 필드는 RU(또는 MRU) 유형 및 대응하는 사용자 그룹 내 사용자의 수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 특정 필드(526)는 RU 할당 서브필드에서 RU 할당 순서로 복수의 사용자의 식별자를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데이터 프레임의 미디어 액세스 제어(Media Access Control, MAC) 계층 포맷이 도 6에 도시될 수 있다.
도 6은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프레임의 MAC 계층 포맷(600)의 개략도이다. 포맷(600)은 프레임 제어(Frame Control)(601), 지속기간(Duration)(602), 주소 1(Address 1)(603), 주소 2(Address 2)(604), 주소 3(Address 3)(605), 시퀀스 제어(Sequence Control)(606), 주소 4(Address 4)(607), 고처리량 제어(High Throughput Control, HT Control)(608), 프레임 바디(Frame Body)(609), 프레임 체크 시퀀스(Frame Check Sequence, FCS)(610)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프레임 제어(601)는 프로토콜 버전, 프레임 유형, 서브유형, 송신 방향, 재전송, 전력 관리 등을 각각 지시하는 복수의 서브필드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레임 유형 서브 필드의 경우, "10"은 프레임 유형이 데이터 프레임임을 지시할 수 있다. 지속 기간(602)은 데이터 프레임 및 그의 확인 응답 프레임이 채널을 점유하는 지속 기간을 지시할 수 있다. 주소 1(603), 주소 2(604), 주소 3(605), 주소 4(607)는 주소 필드로 통칭될 수 있으며, 데이터 프레임의 수신기 주소, 송신기 주소, 소스 주소, 목적지 주소 등을 지시할 수 있다. 시퀀스 제어(606)는 반복되는 프레임을 필터링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프레임 바디(609)는 특정 정보를 운반할 수 있다. FCS(610)는 에러 검출을 위해 사용될 수 있는데, 예를 들어 FCS(610)는 32비트 순환 중복 체크(Cyclic Redundancy Check, CRC)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HT 제어(608)는 집성된 제어(Aggregated Control, A-Control)(680)를 포함할 수 있다. 집성된 제어는 제어 리스트(Control List)(682) 및 패딩(Padding)(684)을 포함할 수 있다. 제어 리스트(682)는 제어 식별자(Control Identification, Control ID)(6822), 제어 정보(Control Information)(6824)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부 실시예에서, 송신 디바이스(201)가 데이터 프레임(410)을 송신할 때, 데이터 프레임은 TRS 정보를 운반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어 식별자(6822)가 미리 설정된 값(예를 들어, 0)일 때, 대응하는 제어 정보(6824)는 TRS 정보를 운반한다.
도 7은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TRS 정보 포맷(700)의 개략도이다. 포맷(700)은 상향링크 데이터 심볼(Uplink Data Symbol, UL Data Symbol)(701), 자원 유닛 할당(RU Allocation)(702), AP 전송 전력(AP TX Power)(703), 상향링크 타깃 수신 전력(UL Target Receive Power)(704), UL 변조 및 코딩 세트(UL Modulation and Coding Set, UL MCS)(705), 및 예비(Reserved)(706)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UL 데이터 심볼(701)은 수신 디바이스에 의해 송신된 확인 응답 프레임의 데이터 부분의 길이(심볼의 수)를 지시할 수 있다. AP 전송 전력(703)은 AP의 전송 전력을 지시할 수 있다. UL 타깃 수신 전력(704)은 AP에 의해 예측되는 상향링크 수신 전력을 지시할 수 있다. UL MCS(705)는 확인 응답 프레임을 송신하기 위해 수신 디바이스에 의해서만 사용되는 MCS를 지시할 수 있다. 예비(706)는 1비트(bit)와 같은 예비 길이를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RU 할당(702)은 RU 할당 정보를 운반할 수 있으며, 이는 전송 채널 상에 있으면서 또한 확인 응답 프레임을 송신하기 위해 수신 디바이스에 의해 점유될 수 있는 주파수 위치를 지시한다. 주파수 위치는 RU 또는 MRU의 형태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RU 할당 정보는 수신 디바이스가 확인 응답 프레임을 송신할 때 점유되는 전송 채널 상의 특정 RU를 지시할 수 있다. 본 개시에서, 수신 디바이스가 확인 응답 프레임을 송신할 때 점유되는 전송 채널을 "응답 채널"로 지칭할 수 있고, 수신 디바이스가 확인 응답 프레임을 송신할 때 점유되는 전송 채널 상의 RU 또는 MRU를 "응답 자원 블록"으로 지칭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부 실시예에서, RU 할당 필드(702)는 미리 설정된 길이의 것일 수 있고, 수신 디바이스에 의해 점유된 미리 설정된 대역폭 채널 상의 RU를 지시할 수 있다. 미리 설정된 대역폭은 160MHz일 수 있다. RU 할당 정보는 160MHz 채널 상에서 응답 자원 블록의 위치를 지시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RU 할당 정보는 제1 지시 정보 및 제2 지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지시 정보는 제1 길이를 갖고, 제2 지시 정보는 제2 길이를 가지며, 제1 길이와 제2 길이의 합은 미리 설정된 길이보다 같거나 작을 수 있다. 제1 지시 정보는 미리 설정된 대역폭 채널 상의 특정 80MHz 채널을 지시할 수 있고, 제2 지시 정보는 대응하는 80MHz 채널 상의 특정 RU를 지시할 수 있다.
일부 구현에서, 미리 설정된 길이는 8비트일 수 있고, 제1 길이는 1비트일 수 있으며, 제2 길이는 7비트일 수 있다. 제1 지시 정보는 위치 B0에 있을 수 있고, 제2 지시 정보는 위치 B1 내지 B7에 있을 수 있다.
일부 예에서, 응답 채널이 1차 160MHz 채널이면, 제1 값인 B0은 1차 80MHz 채널을 지시하고, 제2 값인 B0는 2차 80MHz 채널을 지시한다. 선택적으로, 제1 값은 0이고 제2 값은 1이며; 또는 제1 값은 1이고 제2 값은 0이다. 일부 다른 예에서, 응답 채널이 2차 160MHz 채널이면, 제1 값인 B0은 낮은 80MHz를 지시하고, 제2 값인 B0은 높은 80MHz를 지시한다. 선택적으로, 제1 값은 0이고 제2 값은 1이며; 또는 제1 값은 1이고 제2 값은 0이다.
이러한 구현은 제한이 아닌 예일 뿐이며, 도시되지 않은 다른 구현이 본 개시의 이 실시예에서 배제되지 않는다는 것이 이해될 수 있다.
프로세스(400)로 리턴한다. 수신 디바이스(202)는 전송 자원 블록 및 RU 할당 정보에 기반하여 응답 자원 블록(420)을 결정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응답 자원 블록(420)을 결정할 때, 수신 디바이스(202)는 먼저 응답 채널을 결정할 수 있고, 그 다음 응답 채널에서 응답 자원 블록을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응답 채널은 미리 설정된 규칙에 기반하여 결정될 수 있다.
일부 구현에서, 전송 자원 블록의 대역폭이 대역폭 임계값보다 작거나 같으면, 전송 자원 블록의 채널이 응답 채널로 결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대역폭 임계값이 160MHz이고 전송 자원 블록의 대역폭이 160MHz과 같다고 가정한다. 전송 자원 블록이 1차 160MHz 채널에 있으면 응답 채널도 1차 160MHz 채널인 것으로 결정한다. 전송 자원 블록이 2차 160MHz 채널에 있으면 응답 채널도 2차 160MHz 채널인 것으로 결정한다.
일부 다른 구현예에서, 전송 자원 블록의 대역폭이 대역폭 임계값보다 작거나 같으면, 미리 설정된 규칙에 기반하여 응답 채널이 결정될 수 있다. 선택적으로, 미리 설정된 규칙은 다음: (1) 1차 160MHz 채널, (2) 2차 160MHz 채널, (3) 높은 160MHz 채널, (4) 낮은 160MHz 채널, (5) 전송 자원 블록의 160MHz 채널 또는 (6) 전송 모드가 MU-MIMO이면 사용자 그룹에서의 위치에 대응하는 160MHz 채널 중 적어도 하나일 수 있다. 미리 설정된 규칙에 대한 설명은 다음 구현의 특정 실시예를 참조한다.
일부 다른 구현에서, 전송 자원 블록의 대역폭이 대역폭 임계값보다 크면, 미리 설정된 규칙에 기반하여 응답 채널이 결정될 수 있다. 다음은 설명을 위해 대역폭 임계값이 160MHz인 예를 사용한다.
일부 실시예에서, 전송 자원 블록의 대역폭이 320MHz와 같다고 가정하고, 미리 설정된 규칙은 다음: (1) 1차 160MHz 채널, (2) 2차 160MHz 채널, (3) 높은 160MHz 채널, (4) 낮은 160MHz 채널, (5) 전송 자원 블록의 데이터 톤이 더 많은 160MHz 채널 중 적어도 하나일 수 있다.
선택적으로, 1차 160MHz 채널을 응답 채널로 사용할 수 있다. 다르게는, 2차 160MHz 채널을 응답 채널로 사용할 수 있다. 다르게는, 높은 160MHz 채널을 응답 채널로 사용할 수 있다. 다르게는, 낮은 160MHz 채널을 응답 채널로 사용할 수도 있다. 1차 160MHz 채널은 높은 160MHz 채널일 수도 있고 낮은 160MHz 채널일 수도 있음을 알 수 있다. 이에 대응하여, 2차 160MHz 채널은 낮은 160MHz 채널일 수도 있고, 높은 160MHz 채널일 수도 있다.
선택적으로, 전송 자원 블록의 데이터 톤이 더 많은 160MHz 채널이 응답 채널로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송 자원 블록이 특정 크기의 MRU일 때, 전송 자원 블록은 3×996-톤 MRU, 2×996+484-톤 MRU 또는 3×996+484-톤 MRU 중 하나이다. 이 경우, 2×996-톤 RU가 위치된 160MHz 채널을 응답 채널로 사용할 수 있다. 2×996-톤 RU가 위치된 160MHz 채널은 높은 160MHz 채널일 수도 있고, 낮은 160MHz 채널일 수도 있음을 알 수 있다. 2×996-톤 RU가 위치된 160MHz 채널은 1차 160MHz 채널 또는 2차 160MHz 채널일 수 있다.
다른 구현에서, 응답 프레임이 응답되는 자원 블록은 지시 정보 PS160 및 TRS 정보 내의 RU 할당 필드에 기반하여 결정된다. 지시 정보 PS160은 전송 자원 블록의 데이터 톤이 더 많은 160MHz 채널의 위치와 TRS 정보의 RU 할당 필드가 지시하는 자원 블록 크기에 기반하여 결정된다. 예를 들어, 지시 정보 PS160은 다음 표에서 입력의 제2 열의 "전송 자원 블록의 데이터 톤이 더 많은 160MHz 채널의 위치"와 입력의 제1 열의 "TRS 정보에서 RU 할당 필드가 지시하는 자원 블록 크기"에 기반하여 결정된다.
예를 들어, TRS 정보에서 RU 할당 필드가 지시하는 자원 블록 크기가 2×996+484-톤일 때:
전송 자원 블록의 데이터 톤이 더 많은 160MHz 채널이 낮은 160MHz 채널이면, 지시 정보 PS160는 0인 것으로 결정할 수 있다. 다르게는, 전송 자원 블록의 데이터 톤이 더 많은 160MHz 채널이 높은 160MHz 채널이면, 지시 정보 PS160은 1인 것으로 결정할 수 있다. 지시 정보 PS160을 결정한 후, 스테이션은 TRS 정보에서 RU 할당 필드를 참조하여, 확인 응답 프레임/블록 확인 응답 프레임을 응답하기 위해 사용되는 자원 블록의 위치를 결정할 수 있다. 다른 예로, TRS 정보에서 RU 할당 필드가 지시하는 자원 블록이 2×996-톤보다 작거나 같은 RU/MRU일 때: 전송 자원 블록의 데이터 톤이 더 많은 160MHz 채널이 1차 160MHz 채널이면, 지시 정보 PS160이 0인 것으로 결정할 수 있으며; 또는 전송 자원 블록의 데이터 톤이 더 많은 160MHz 채널이 2차 160MHz 채널이면, 지시 정보 PS160이 1인 것으로 결정할 수 있다. TRS 정보에서 RU 할당 필드가 지시하는 자원 블록이 2×996-톤보다 작거나 같은 RU/MRU일 때, 전송 자원 블록은 하나의 160MHz 채널에만 위치됨을 유의해야 한다. 따라서 지시 정보 PS160을 결정하는 방법도 다음과 같을 수 있다: 전송 자원 블록의 160MHz 채널이 1차 160MHz 채널이면, 지시 정보 PS160이 0인 것으로 결정할 수 있다. 전송 자원 블록의 160MHz 채널이 2차 160MHz 채널이면, 지시 정보 PS160이 1인 것으로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TRS 정보에서 RU 할당 필드가 지시하는 자원 블록이 4×996-톤 RU일 때, 전송 자원 블록의 데이터 톤이 더 많은 특정 160MHz 채널과 상관없이, 지시 정보 PS160이 1이다. 지시 정보 PS160을 결정한 후, 스테이션은 TRS 정보에서 RU 할당 필드를 참조하여, 확인 응답 프레임/블록 확인 응답 프레임을 응답하기 위해 사용되는 자원 블록의 위치를 결정할 수 있다. 일부 다른 실시예에서, 전송 자원 블록의 대역폭이 480MHz와 같다고 가정하고, 미리 설정된 규칙은 다음: (1) 1차 160MHz 채널, (2) 더 높은 주파수를 갖는 2차 160MHz 채널, (3) 더 낮은 주파수를 갖는 2차 160MHz 채널, (4) 높은 160MHz 채널, (5) 중간(intermediate) 160MHz 채널, (6) 낮은 160MHz 채널, (7) 전송 자원 블록의 데이터 톤이 더 많은 160MHz 채널 중 적어도 하나일 수 있다.
480MHz 대역폭은 3개의 160MHz 채널로 분할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일 예에서, 3개의 160MHz 채널은 하나의 1차 160MHz 채널과 2개의 2차 160MHz 채널을 포함할 수 있다. 2개의 2차 160MHz 채널에서, 하나는 더 높은 주파수를 갖고 다른 하나는 더 낮은 주파수를 가진다. 다른 예에서, 3개의 160MHz 채널은 높은 160MHz 채널, 중간 160MHz 채널 및 낮은 160MHz 채널을 포함할 수 있다. 선택적으로, 전술한 160MHz 채널들 중 어느 하나를 응답 채널로 사용할 수 있다.
선택적으로, 전송 자원 블록의 데이터 톤이 더 많은 160MHz 채널이 응답 채널로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송 자원 블록이 특정 크기의 MRU일 때, 유사하게, 2×996-톤 RU가 위치된 160MHz 채널을 응답 채널로 사용할 수 있다. 2×996-톤 RU가 위치된 160MHz 채널은 높은 160MHz 채널일 수도 있고, 중간 160MHz 채널일 수도 있고, 낮은 160MHz 채널일 수도 있음을 이해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이 구현에서, 미리 설정된 규칙은 수신 디바이스가 응답 채널을 결정하도록 미리 결정될 수 있다. 서로 다른 수신 디바이스가 서로 다른 미리 설정된 규칙을 사용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하나의 수신 디바이스는 1차 160MHz 채널을 응답 채널로 사용하고, 다른 수신 디바이스는 2차 160MHz 채널을 응답 채널로 사용할 수 있다. SU-MIMO 전송의 경우, 이 구현에서 전체 대역폭의 각 채널을 완전히 활용할 수 있고, 자원 활용이 최적화되며, 확인 응답 프레임의 전송 효율이 보장됨을 알 수 있다.
일부 다른 구현에서, MU-MIMO 전송의 경우, 수신 디바이스(202)가 미리 설정된 규칙에 기반하여 응답 채널을 결정하는 것은: 데이터 프레임의 EHT-SIG 필드에 기반하여, 데이터 프레임이 MU-MIMO 모드에서 전송되는 것으로 결정하는 단계; EHT-SIG 필드에서 수신 디바이스(202)의 식별자(Identifier, ID)에 기반하여 MU-MIMO 사용자 그룹에서의 수신 디바이스(202)의 위치를 결정하는 단계; 및 위치에 기반하여 응답 채널을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데이터 프레임의 물리 계층 포맷은 EHT-SIG(506)를 포함하고, 데이터 프레임의 전송 모드는 EHT-SIG(506)에서의 공통 필드(516)에 기반하여 결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공통 필드(516)의 RU 할당 서브필드는 사용자 그룹의 사용자 수를 추가로 지시할 수 있다. 일부 예에서, MU의 수는 공간 스트림의 수보다 작거나 같을 수 있으며, 공간 스트림의 수는 MU의 수의 최대값을 지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데이터 프레임의 물리 계층 포맷은 EHT-SIG(506)를 포함하고, EHT-SIG(506)에서 공통 필드(516) 및 사용자 특정 필드(526)에 기반하여 위치가 결정될 수 있다.
사용자 특정 필드(526)에서 사용자가 나타나는 순서는 대응하는 RU 할당 서브필드에서 분할을 통해 획득된 RU 순서와 일치한다. 사용자는 사용자 특정 필드(526)에서 수신 디바이스의 ID를 읽어서 사용자 특정 필드(526)가 사용자에 속하는지를 식별할 수 있다. 사용자 특정 필드가 나타나는 위치와 대응하는 자원 유닛 할당 서브필드에 기반하여, 사용자는 자신의 RU 할당을 알 수 있다.
예를 들어, 공통 필드(516)가 복수의 서로 다른 톤 RU를 지시한다고 가정한다. 일 예에서, 2×996+484-톤 MRU와 484-톤 RU가 포함되어 있고, 2×996+484-톤 MRU에 대응하는 사용자 그룹의 사용자 수는 8명이며, 484-톤 RU에 대응하는 사용자 그룹의 사용자도 8명인 것으로 가정할 수 있다. 선택적으로, 동일한 RU(또는 MRU)에 대응하는 복수의 수신 디바이스는 동일한 MU-MIMO 그룹에 속할 수 있다. 예를 들어, 2×996+484-톤 MRU에 대응하는 사용자 그룹들(8)은 제1 MU-MIMO 그룹이고, 484-톤 RU에 대응하는 사용자 그룹들(8)은 제2 MU-MIMO 그룹이다. 본 개시의 이 실시예에서, MU-MIMO 사용자 그룹에서의 수신 디바이스(202)의 위치는 수신 디바이스(202)가 속하는 MU-MIMO 그룹에서의 수신 디바이스(202)의 위치일 수 있다.
수신 디바이스(202)는 사용자 특정 필드(526)에 기반하여 모든 순서(16)에서 제1 위치를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위치가 모든 순서에서 8보다 작거나 같으며, 예를 들어 제5 위치라고 가정하면, 수신 디바이스(202)에 대응하는 RU 할당은 2×996+484-톤 MRU이고, 수신 디바이스(202)가 속하는 MU-MIMO 사용자 그룹(즉, 제1 MU-MIMO 그룹)에서의 수신 디바이스(202)의 위치는 5이다. 제1 위치가 모든 순서에서 8보다 크다고 가정하면, 예를 들어 제12 위치라고 가정하면, 수신 디바이스(202)에 대응하는 RU 할당은 484-톤 RU이고, 수신 디바이스(202)가 속하는 MU-MIMO 사용자 그룹(즉, 제2 MU-MIMO 그룹)에서의 수신 디바이스(202)의 위치는 12 - 8 = 4이다.
예를 들어, 위치가 미리 결정된 위치이면 응답 채널은 제1 160MHz 채널인 것으로 결정할 수 있다. 반대로, 위치가 미리 결정되지 않은 위치이면, 응답 채널은 제2 160MHz 채널인 것으로 결정한다.
MU-MIMO 그룹에서 수신 디바이스(202)의 위치가 미리 결정된 위치이면, 응답 채널은 제1 160MHz 채널인 것으로 결정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전송 자원 블록의 대역폭이 320MHz와 같다고 가정한다. 선택적으로, 제1 160MHz 채널은 1차 160MHz 채널 또는 2차 160MHz 채널일 수 있다. 선택적으로, 제1 160MHz 채널은 높은 160MHz 채널 또는 낮은 160MHz 채널일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전송 자원 블록의 대역폭은 480MHz와 같다고 가정한다. 선택적으로, 제1 160MHz 채널은 1차 160MHz 채널, 더 높은 주파수를 갖는 2차 160MHz 채널, 또는 더 낮은 주파수를 갖는 2차 160MHz 채널일 수 있다. 선택적으로, 제1 160MHz 채널은 높은 160MHz 채널, 중간 160MHz 채널, 또는 낮은 160MHz 채널일 수 있다.
MU-MIMO 그룹에서 수신 디바이스(202)의 위치가 미리 결정된 위치가 아닐 때(즉, 미리 결정되지 않은 위치), 응답 채널은 제2 160MHz 채널이고, 제2 160MHz 채널은 제1 160MHz 채널과 상이한 것으로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개시의 이 실시예에서, 미리 결정된 위치는 홀수 위치, 짝수 위치, 제1 절반 위치 또는 제2 절반 위치 중 적어도 하나일 수 있다.
예를 들어, MU-MIMO 그룹 내 MU의 수가 N개이고, 수신 디바이스(202)의 위치가 N개 중 제P 위치라고 가정한다. 그러면, P mod 2가 0과 같으면(mod는 나머지를 지시함), 달리 말하면 P가 짝수이면, 수신 디바이스(202)는 짝수 위치에 위치된다. P mod 2가 0과 같지 않으면, 수신 디바이스(202)는 홀수 위치에 위치된다.
일부 예에서, (는 반내림(rounding down)을 지시함)이면, 수신 디바이스(202)는 제1 절반 위치에 위치된다. 이면, 수신 디바이스(202)는 제2 절반 위치에 위치된다. 이러한 예에서, MU-MIMO 그룹의 MU의 수(N)가 홀수이면, 중간에 있는 수신 디바이스가 제2 절반 위치에 속한다. 일부 다른 예에서, (은 반올림을 지시함)이면, 수신 디바이스(202)는 제1 절반 위치에 위치된다. 이면, 수신 디바이스(202)는 제2 절반 위치에 위치된다. 이러한 예에서, MU-MIMO 그룹의 MU의 수(N)가 홀수이면, 중간에 있는 수신 디바이스가 제1 절반 위치에 속한다.
예를 들어, MU-MIMO 그룹의 MU의 수가 8이고, 수신 디바이스(202)가 제5 위치에 위치된다고 가정하면, 수신 디바이스(202)는 홀수 위치에 위치되고 제2 절반 위치에 위치된다. 예를 들어, MU-MIMO 그룹의 MU의 수가 8이고, 수신 디바이스(202)가 제2 위치에 위치된다고 가정하면, 수신 디바이스(202)는 짝수 위치에 위치되고 제1 절반 위치에 위치된다.
이러한 방식으로, 이 구현에서, 미리 설정된 규칙은 수신 디바이스가 응답 채널을 결정하도록 미리 결정될 수 있다. 또한 동일한 MU-MIMO 그룹의 서로 다른 수신 디바이스는 서로 다른 응답 채널을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홀수 위치에 있는 수신 디바이스(제1 수신 디바이스, 제3 수신 디바이스, 제5 수신 디바이스… (있다면))는 1차 160MHz 채널을 응답 채널로 사용할 수 있으며, 짝수 위치에 있는 수신 디바이스(제2 수신 디바이스, 제4 수신 디바이스, 제6 수신 디바이스… (있다면))는 2차 160MHz 채널을 응답 채널로 사용할 수 있다. MU-MIMO 전송을 위해, 이 구현에서 전체 대역폭의 각 채널이 완전히 활용될 수 있고, 자원 활용이 최적화되며, 확인 응답 프레임의 전송 효율이 보장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응답 채널(420)을 결정한 후, 수신 디바이스(202)는 RU 할당 정보에 기반하여 응답 자원 블록을 결정할 수 있다는 것이 이해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응답 채널에서 특정 80MHz 채널은 RU 할당 정보의 B0 위치에 기반하여 결정될 수 있으며, 80MHz 채널에서 특정 RU는 RU 할당 정보의 위치 B1 내지 B7에 기반하여 추가로 결정될 수 있다.
그런 다음, 수신 디바이스(202)는 데이터 프레임에 대한 확인 응답 프레임을 응답 자원 블록 상에서 송신 디바이스(201)로 송신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데이터 프레임의 전송 자원 블록이 대역폭 임계값보다 클 때, 수신 디바이스는 미리 설정된 규칙에 기반하여 응답 채널을 결정한 다음 RU 할당 정보에 기반하여 응답 자원 블록을 정확하게 결정할 수 있다. 이 솔루션은 개선되었다. 수신 디바이스는 확인 응답 프레임이 송신되는 특정 채널을 알고 있다. 또한 본 개시의 이 실시예에서의 솔루션은 지시를 위한 추가적인 비트를 필요로 하지 않는다. 이 경우, 데이터 프레임의 포맷을 특별히 수정할 필요가 없으며 활용도가 높다.
도 8은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정보 전송 방법(800)의 개략적인 흐름도이다. 예로서, 방법(800)은 도 2에 도시된 수신 디바이스(202)에서 구현될 수 있다. 이해를 쉽게 하기 위해, 이하에서는 수신 디바이스(202)를 예로 들어 정보 전송 방법(800)을 설명한다. 그러나 이는 예시일 뿐이며, 본 개시의 실시예를 제한하려는 의도는 아니다.
방법(800)은 블록(810)으로 시작한다. (810)에서, 수신 디바이스(202)가 송신 디바이스로부터 데이터 프레임을 수신한다. 데이터 프레임은 전송 자원 블록을 점유하며, RU 할당 정보를 포함한다.
일부 실시예에서 전송 자원 블록은 4×996-톤 RU, 3×996-톤 MRU, 2×996+484-톤 MRU, 3×996+484-톤 MRU 등일 수 있다. 전송 자원 블록의 전술한 예는 예시일 뿐이며 제한적이지 않으며, 다른 적절한 RU 또는 MRU도 본 개시의 이 실시예에서 전송 자원 블록으로 사용될 수 있음을 이해해야 한다.
예를 들어, 송신 디바이스로부터의 데이터 프레임에 대한 관련 설명은 410을 참조하여 상술한 구체적인 실시예를 참조한다. 간결함을 위해 세부 사항은 여기에서 다시 설명하지 않는다.
(820)에서, 수신 디바이스(202)는 전송 자원 블록 및 RU 할당 정보에 기반하여 응답 자원 블록을 결정한다.
일부 실시예에서, 전송 자원 블록의 대역폭이 대역폭 임계값(예를 들어, 320MHz)보다 클 때, 미리 설정된 규칙에 기반하여 응답 채널이 결정될 수 있으며; 응답 자원 블록은 응답 채널 및 RU 할당 정보에 기반하여 결정될 수 있다. 본 개시의 이 실시예에서, 응답 채널은 응답 160MHz 채널일 수 있다.
선택적으로, 응답 채널은 다음: 1차 160MHz 채널, 2차 160MHz 채널, 높은 160MHz 채널, 낮은 160MHz 채널 또는 전송 자원 블록의 데이터 톤이 더 많은 160MHz 채널 자원 블록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선택적으로, 데이터 프레임의 EHT-SIG 필드에 기반하여, 데이터 프레임이 MU-MIMO로 전송되는 것으로 결정할 수 있다. MU-MIMO 사용자 그룹에서 수신 디바이스(202)의 위치는 EHT-SIG 필드에서의 수신 디바이스(202)의 식별자에 기반하여 결정될 수 있다. 응답 채널은 위치에 기반하여 결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MU-MIMO 사용자 그룹에서의 수신 디바이스(202)의 위치는 MU-MIMO 그룹에서의 수신 디바이스(202)의 위치일 수 있다. 위치가 미리 결정된 위치이면, 응답 채널은 제1 160MHz 채널인 것으로 결정한다. 위치가 미리 결정된 위치가 아니면(즉, 미리 결정되지 않은 위치), 응답 채널은 제2 160MHz 채널인 것으로 결정한다. 선택적으로, 제1 160MHz 채널은 제2 160MHz 채널과 상이하다.
선택적으로, 제1 160MHz 채널은 1차 160MHz 채널 또는 2차 160MHz 채널일 수 있다. 선택적으로, 제1 160MHz 채널은 높은 160MHz 채널 또는 낮은 160MHz 채널일 수 있다.
일부 예에서, 제1 160MHz 채널은 1차 160MHz 채널이고, 제2 160MHz 채널은 2차 160MHz 채널이다. 다른 예에서, 제1 160MHz 채널은 높은 160MHz 채널이고, 제2 160MHz 채널은 낮은 160MHz 채널이다.
블록(820)의 특정 구현에 대해, 수신 디바이스(202)가 프로세스(400)에서 응답 자원 블록(420)을 결정하는 방법에 대한 상세한 설명을 참조함을 이해할 수 있다. 간결함을 위해 세부 사항은 여기에서 다시 설명하지 않는다.
그 다음, (830)에서, 수신 디바이스(202)는 데이터 프레임에 대한 확인 응답 프레임을 응답 자원 블록 상에서 송신 디바이스(201)로 송신한다.
이러한 방식으로, 수신 디바이스는 미리 설정된 규칙에 기반하여 응답 채널을 결정할 수 있고, 또한 확인 응답 프레임을 정확하게 송신할 수 있어서, 정보 전송 효율을 보장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부 실시예에서, 수신 디바이스는 (830)에서 블록 확인 응답 프레임을 송신할 수 있으며, 세부 사항은 여기에서 다시 설명하지 않는다.
도 9는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정보 전송 방법(900)의 개략적인 흐름도이다. 예로서, 방법(900)은 도 2에 도시된 송신 디바이스(201)에서 구현될 수 있다. 이해를 쉽게 하기 위해, 이하에서는 송신 디바이스(201)를 예로 들어 정보 전송 방법(900)을 설명한다. 그러나 이는 예시일 뿐이며, 본 개시의 실시예를 제한하려는 의도는 아니다.
(910)에서, 송신 디바이스(201)는 데이터 프레임을 수신 디바이스로 송신하고, 데이터 프레임은 전송 자원 블록을 점유하고 RU 할당 정보를 포함한다.
본 개시의 이 실시예에서, 전송 자원 블록은 4×996-톤 RU, 3×996-톤 MRU, 2×996+484-톤 MRU, 3×996+484-톤 MRU 등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송신 디바이스로부터의 데이터 프레임에 대한 관련 설명은 (410)을 참조하여 상술한 구체적인 실시예를 참조한다. 간결함을 위해 세부 사항은 여기에서 다시 설명하지 않는다.
(920)에서, 송신 디바이스(201)는 전송 자원 블록 및 RU 할당 정보에 기반하여 응답 자원 블록을 결정한다.
일부 실시예에서, 전송 자원 블록의 대역폭이 대역폭 임계값(예를 들어, 320MHz)보다 클 때, 미리 설정된 규칙에 기반하여 응답 채널이 결정될 수 있으며; 응답 자원 블록은 응답 채널 및 RU 할당 정보에 기반하여 결정될 수 있다. 본 개시의 이 실시예에서, 응답 채널은 응답 160MHz 채널일 수 있다.
선택적으로, 응답 채널은 다음: 1차 160MHz 채널, 2차 160MHz 채널, 높은 160MHz 채널, 낮은 160MHz 채널 또는 전송 자원 블록의 데이터 톤이 더 많은 160MHz 채널 자원 블록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선택적으로, 데이터 프레임의 EHT-SIG 필드에 기반하여, 데이터 프레임이 MU-MIMO로 전송되는 것으로 결정할 수 있다. MU-MIMO 사용자 그룹에서의 수신 디바이스의 위치는 EHT-SIG 필드에서의 수신 디바이스의 식별자에 기반하여 결정될 수 있다. 응답 채널은 위치에 기반하여 결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MU-MIMO 사용자 그룹에서의 수신 디바이스의 위치는 MU-MIMO 그룹에서의 수신 디바이스의 위치일 수 있다. 위치가 미리 결정된 위치이면, 응답 채널은 제1 160MHz 채널인 것으로 결정한다. 위치가 미리 결정된 위치가 아니면(즉, 미리 결정되지 않은 위치), 응답 채널은 제2 160MHz 채널인 것으로 결정한다. 선택적으로, 제1 160MHz 채널은 제2 160MHz 채널과 상이하다.
선택적으로, 제1 160MHz 채널은 1차 160MHz 채널 또는 2차 160MHz 채널일 수 있다. 선택적으로, 제1 160MHz 채널은 높은 160MHz 채널 또는 낮은 160MHz 채널일 수 있다.
일부 예에서, 제1 160MHz 채널은 1차 160MHz 채널이고, 제2 160MHz 채널은 2차 160MHz 채널이다. 다른 예에서, 제1 160MHz 채널은 높은 160MHz 채널이고 제2 160MHz 채널은 낮은 160MHz 채널이다.
(920)의 특정 구현에 대해 유사하게 전술한 (420)의 상세한 설명을 참조하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달리 말하면, 송신 디바이스(201)와 수신 디바이스(202)는 유사한 방식으로 응답 채널을 결정하고 응답 자원 블록을 추가로 결정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수신단과 송신단은 일관성을 보장할 수 있다. 간결함을 위해, 세부 사항은 여기에서 다시 설명하지 않는다.
그 후, (930)에서, 송신 디바이스(201)는 응답 자원 블록 상에서 수신 디바이스(202)로부터 데이터 프레임에 대한 확인 응답 프레임을 수신한다.
이러한 방식으로, 송신 디바이스는 미리 설정된 규칙에 기반하여 응답 채널을 결정할 수 있고, 또한 확인 응답 프레임을 정확하게 수신할 수 있어서 정보 전송 효율을 보장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부 실시예에서, 송신 디바이스는 (930)에서 블록 확인 응답 프레임을 수신할 수 있으며, 세부 사항은 여기에서 다시 설명하지 않는다.
본 개시의 실시예에서 "제1", "제2", "제3" 등은 단지 복수의 객체가 상이할 수 있지만, 두 객체는 동일할 수 있음을 지시하기 위한 것일 뿐이라는 것을 이해해야 한다. "제1", "제2", "제3" 등은 본 개시의 실시예를 제한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또한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방식, 경우(case), 범주 및 실시예로의 구분은 단지 설명의 편의를 위한 것이며 특정 제한을 구성해서는 안 됨을 이해해야 한다. 방식, 범주, 경우 및 실시예의 특징은 논리적이면 서로 조합될 수 있다.
또한 전술한 내용은 본 출원의 실시예의 범위를 제한하는 대신에, 당업자가 본 출원의 실시예를 더 잘 이해하도록 돕기 위한 것일 뿐이라는 것을 이해해야 한다. 당업자는 전술한 내용에 따라 다양한 수정, 변경, 조합 등을 할 수 있다. 수정, 변경 또는 조합된 솔루션도 본 출원의 실시예의 범위에 속한다.
또한 전술한 내용의 설명은 실시예 간의 차이점을 강조하는 데 중점을 두고 있으며, 실시예의 동일하거나 유사한 내용에 대해서는 서로 참조할 수 있음을 이해해야 한다. 간략화를 위해 세부 사항은 여기에서 더 이상 설명하지 않는다.
도 10은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통신 장치(1000)의 다른 개략적인 블록도이다. 장치(1000)는 수신 디바이스(202)로서 구현될 수 있거나, 수신 디바이스(202)에서 칩 또는 칩 시스템으로서 구현될 수 있다. 본 개시의 범위는 이러한 측면으로 제한되지 않는다.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장치(1000)는 수신 유닛(1010), 결정 유닛(1020) 및 송신 유닛(1030)을 포함할 수 있다. 수신 유닛(1010)은 송신 디바이스로부터 데이터 프레임을 수신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데이터 프레임은 전송 자원 블록을 점유하며, RU 할당 정보를 포함한다. 결정 유닛(1020)은 전송 자원 블록 및 RU 할당 정보에 기반하여 응답 자원 블록을 결정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송신 유닛(1030)은 데이터 프레임에 대한 확인 응답 프레임을 응답 자원 블록 상에서 송신 디바이스로 송신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전송 자원 블록은 2×996+484-톤 MRU, 3×996-톤 MRU, 3×996+484-톤 MRU, 또는 4×996-톤 RU 중 적어도 하나이다.
일부 실시예에서, 결정 유닛(1020)은 제1 결정 서브유닛(1022) 및 제2 결정 서브유닛(1024)을 포함한다. 제1 결정 서브유닛(1022)은 전송 자원 블록의 대역폭이 대역폭 임계값보다 크면, 미리 설정된 규칙에 기반하여 응답 채널을 결정하도록 구성된다. 제2 결정 서브유닛(1024)은 응답 채널 및 RU 할당 정보에 기반하여 응답 자원 블록을 결정하도록 구성된다.
일부 실시예에서, 응답 채널은 다음: 1차 160MHz 채널, 2차 160MHz 채널, 높은 160MHz 채널, 낮은 160MHz 채널, 또는 전송 자원 블록의 데이터 톤이 더 많은 160MHz 채널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일부 실시예에서, 제1 결정 서브유닛(1022)은: 데이터 프레임의 EHT-SIG 필드에 기반하여, 데이터 프레임이 MU-MIMO 모드에서 전송되는 것으로 결정하고; EHT-SIG 필드에서의 수신 디바이스의 식별자에 기반하여 MU-MIMO 사용자 그룹에서 수신 디바이스의 위치를 결정하며; 그리고 위치에 기반하여 응답 채널을 결정하도록 구성된다.
일부 실시예에서, 제1 결정 서브유닛(1022)은: 위치가 미리 결정된 위치이면 응답 채널이 제1 160MHz 채널인 것으로 결정하고; 위치가 미리 결정되지 않은 위치이면 응답 채널이 제2 160MHz 채널인 것으로 결정하도록 구성된다. 제2 160MHz 채널은 제1 160MHz 채널과 상이하다.
일부 실시예에서, 미리 결정된 위치는 홀수 위치, 짝수 위치, 제1 절반 위치 또는 제2 절반 위치 중 적어도 하나이다.
일부 실시예에서, 제1 160MHz 채널은 1차 160MHz 채널 또는 2차 160MHz 채널이다.
일부 실시예에서, 제1 160MHz 채널은 높은 160MHz 채널 또는 낮은 160MHz 채널이다.
예를 들어, 도 10의 장치(1000)는 수신 디바이스(202)로 구현될 수 있거나, 수신 디바이스(202)에서 칩 또는 칩 시스템으로 구현될 수 있다. 이는 본 개시의 이 실시예에서 제한되지 않는다. 선택적으로, 수신 디바이스(202)는 STA(32)일 수 있다. 도 10의 장치(1000)는 도 4 내지 도 9의 수신 디바이스(202)를 참조하여 설명된 프로세스를 구현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간결함을 위해 세부 사항은 여기에서 다시 설명하지 않는다.
도 11은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통신 장치(1100)의 다른 개략적인 블록도이다. 장치(1100)는 송신 디바이스(201)로서 구현될 수 있거나, 송신 디바이스(201)에서 칩 또는 칩 시스템으로서 구현될 수 있다. 본 개시의 범위는 이러한 측면으로 제한되지 않는다.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장치(1100)는 송신 유닛(1110), 결정 유닛(1120) 및 수신 유닛(1130)을 포함할 수 있다. 송신 유닛(1110)은 데이터 프레임을 수신 디바이스로 송신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데이터 프레임은 전송 자원 블록을 점유하며, RU 할당 정보를 포함한다. 결정 유닛(1120)은 전송 자원 블록 및 RU 할당 정보에 기반하여 응답 자원 블록을 결정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수신 유닛(1130)은 응답 자원 블록 상에서 수신 디바이스로부터 데이터 프레임에 대한 확인 응답 프레임을 수신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전송 자원 블록은 2×996+484-톤 MRU, 3×996-톤 MRU, 3×996+484-톤 MRU, 또는 4×996-톤 RU 중 적어도 하나이다.
일부 실시예에서, 결정 유닛(1120)은 제1 결정 서브유닛(1122) 및 제2 결정 서브유닛(1124)을 포함한다. 제1 결정 서브유닛(1122)은 전송 자원 블록의 대역폭이 대역폭 임계값보다 크면, 미리 설정된 규칙에 기반하여 응답 채널을 결정하도록 구성된다. 제2 결정 서브유닛(1124)은 응답 채널 및 RU 할당 정보에 기반하여 응답 자원 블록을 결정하도록 구성된다.
일부 실시예에서, 응답 채널은 다음: 1차 160MHz 채널, 2차 160MHz 채널, 높은 160MHz 채널, 낮은 160MHz 채널, 또는 전송 자원 블록의 데이터 톤이 더 많은 160MHz 채널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일부 실시예에서, 제1 결정 서브유닛(1122)은: 데이터 프레임의 EHT-SIG 필드에 기반하여, 데이터 프레임이 MU-MIMO 모드에서 전송되는 것으로 결정하고; EHT-SIG 필드에서의 수신 디바이스의 식별자에 기반하여 MU-MIMO 사용자 그룹에서 수신 디바이스의 위치를 결정하며; 그리고 위치에 기반하여 응답 채널을 결정하도록 구성된다.
일부 실시예에서, 제1 결정 서브유닛(1122)은: 위치가 미리 결정된 위치이면 응답 채널이 제1 160MHz 채널인 것으로 결정하고; 위치가 미리 결정되지 않은 위치이면 응답 채널이 제2 160MHz 채널인 것으로 결정하도록 구성된다. 제2 160MHz 채널은 제1 160MHz 채널과 상이하다.
일부 실시예에서, 미리 결정된 위치는 홀수 위치, 짝수 위치, 제1 절반 위치 또는 제2 절반 위치 중 적어도 하나이다.
일부 실시예에서, 제1 160MHz 채널은 1차 160MHz 채널 또는 2차 160MHz 채널이다.
일부 실시예에서, 제1 160MHz 채널은 높은 160MHz 채널 또는 낮은 160MHz 채널이다.
예를 들어, 도 11의 장치(1100)는 도 11은 송신 디바이스(201)로 구현될 수 있거나, 송신 디바이스(201)에서 칩 또는 칩 시스템으로 구현될 수 있다. 이는 본 개시의 이 실시예에서 제한되지 않는다. 선택적으로, 송신 디바이스(201)는 AP(30)일 수 있다. 도 11의 장치(1100)는 도 4 내지 도 9의 송신 디바이스(201)를 참조하여 설명된 프로세스를 구현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간결함을 위해 세부 사항은 여기에서 다시 설명하지 않는다.
도 12는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예시적인 장치(1200)의 단순화된 블록도이다. 장치(1200)는 도 2에 도시된 송신 디바이스(201) 및 수신 디바이스(202)를 구현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장치(1200)는 도 2에 도시된 AP(30) 및 STA(32)를 구현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장치(1200)는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1210), 프로세서(1210)에 연결된 하나 이상의 메모리(1220), 및 프로세서(1210)에 연결된 통신 모듈(1240)을 포함한다.
통신 모듈(1240)은 양방향 통신을 수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통신 모듈(1240)은 통신을 위한 적어도 하나의 통신 인터페이스를 가질 수 있다. 통신 인터페이스는 다른 디바이스와의 통신에 필요한 모든 인터페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1210)는 로컬 기술 네트워크에 적합한 임의의 유형일 수 있으며, 하나 이상의 범용 컴퓨터, 전용 컴퓨터, 마이크로컨트롤러,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Digital Signal Processor, DSP) 또는 컨트롤러 기반 멀티 코어 컨트롤러 아키텍처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장치(1200)는 시간상 메인 프로세서와 동기화된 클럭에 속하는 주문형 집적 회로 칩과 같은 복수의 프로세서를 가질 수 있다.
메모리(1220)는 하나 이상의 비휘발성 메모리 및 하나 이상의 휘발성 메모리를 포함할 수 있다. 비휘발성 메모리의 예는 다음: 읽기 전용 메모리(Read-Only Memory, ROM)(1224), 소거 가능 프로그래밍 가능한 읽기 전용 메모리(Erasable Programmable Read Only Memory, EPROM), 플래시 메모리, 하드 디스크, 콤팩트 디스크(Compact Disc, CD), 디지털 다목적 디스크(Digital Versatile Disc, DVD) 또는 기타 자기 스토리지 및/또는 광학 스토리지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휘발성 메모리의 예는 다음: 랜덤 액세스 메모리(RAM)(1222) 또는 전원 차단 지속 기간 동안 지속되지 않는 다른 휘발성 메모리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컴퓨터 프로그램(1230)은 관련 프로세서(1210)에 의해 실행되는 컴퓨터가 실행 가능한 명령어를 포함한다. 프로그램(1230)은 ROM(1224)에 저장될 수 있다. 프로세서(1210)는 프로그램(1230)을 RAM(1222)에 로딩함으로써 임의의 적절한 동작(action) 및 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실시예는 프로그램(1230)의 도움으로 구현될 수 있으므로, 장치(1200)는 도 3 내지 도 9를 참조하여 논의된 임의의 프로세스를 수행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실시예는 다르게는,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와 하드웨어의 조합을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프로그램(1230)은 컴퓨터가 판독 가능한 매체에 유형적으로 포함될 수 있고, 컴퓨터가 판독 가능한 매체는 장치(1200)(예를 들어, 메모리(1220)) 또는 장치(1200)에 의해 액세스될 수 있는 다른 저장 디바이스에 포함될 수 있다. 프로그램(1230)은 실행을 위해 컴퓨터가 판독 가능한 매체로부터 RAM(1222)으로 로딩될 수 있다. 컴퓨터가 판독 가능한 매체는 ROM, EPROM, 플래시 메모리, 하드 디스크, CD, DVD 등과 같은 임의 타입의 유형의 비휘발성 메모리를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장치(1200)의 통신 모듈(1240)은 송신기 및 수신기(또는 트랜시버)로 구현될 수 있고, 데이터 프레임 및 확인 응답 프레임과 같은 시스템 정보를 송신/수신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장치(1200)는 스케줄러, 컨트롤러, 무선 주파수/안테나 중 하나 이상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세부 사항은 본 개시에서 기술하지 않는다.
예를 들어, 도 12의 장치(1200)는 송신 디바이스(201) 또는 수신 디바이스(202)로 구현될 수 있거나, 송신 디바이스(201) 또는 수신 디바이스(202)에서 칩 또는 칩 시스템으로 구현될 수 있다. 이는 본 개시의 이 실시예에서 제한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도 12의 장치(1200)는 AP(30) 또는 STA(32)로 구현될 수도 있고, AP(30) 및 STA(32)에서 칩 또는 칩 시스템으로 구현될 수도 있다. 이는 본 개시의 이 실시예에서 제한되지 않는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는 칩을 더 제공한다. 칩은 입력 인터페이스, 출력 인터페이스 및 처리 회로를 포함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이 실시예에서, 입력 인터페이스 및 출력 인터페이스는 전술한 시그널링 또는 데이터의 교환을 완료할 수 있고, 처리 회로는 시그널링 또는 데이터 정보의 생성 및 처리를 완료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는 프로세서를 포함하는 칩 시스템을 더 제공하며, 전술한 실시예 중 어느 하나의 기능을 구현함에 있어서 송신 디바이스(201) 또는 수신 디바이스(202)를 지원하도록 구성된다. 가능한 설계에서, 칩 시스템은 메모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메모리는 필요한 프로그램 명령어 및 데이터를 저장하도록 구성된다. 프로세서가 프로그램 명령어를 실행할 때, 칩 시스템이 설치된 디바이스는 전술한 실시예 중 어느 하나의 방법을 수행하도록 인에이블된다. 칩 시스템은 칩을 포함할 수 있거나, 칩 및 다른 개별 컴포넌트를 포함할 수 있다.
본 출원의 일 실시예는 메모리에 연결되도록 구성된 프로세서를 더 제공한다. 메모리는 명령어를 저장한다. 프로세서가 명령어를 실행할 때, 프로세서는 전술한 실시예 중 어느 하나에서 송신 디바이스(201) 또는 수신 디바이스(202)와 관련된 방법 및 기능을 수행하도록 인에이블된다.
본 출원의 일 실시예는 명령어를 포함하는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을 더 제공한다.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이 컴퓨터에서 실행될 때, 컴퓨터는 전술한 실시예 중 어느 하나에서 송신 디바이스(201) 또는 수신 디바이스(202)와 관련된 임의의 방법 및 기능을 수행하도록 인에이블된다.
본 출원의 일 실시예는 컴퓨터가 판독 가능한 저장 매체를 더 제공한다. 컴퓨터가 판독 가능한 저장 매체는 컴퓨터 명령어를 저장한다. 프로세서가 명령어를 실행할 때, 프로세서는 전술한 실시예 중 어느 하나에서 송신 디바이스(201) 또는 수신 디바이스(202)와 관련된 방법 및 기능을 수행하도록 인에이블된다.
본 출원의 일 실시예는 무선 통신 시스템을 더 제공한다. 시스템은 송신 디바이스와 수신 디바이스를 포함한다. 일부 예에서, 시스템은 적어도 하나의 AP 및 적어도 하나의 STA를 포함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는 하드웨어 또는 전용 회로, 소프트웨어, 로직 또는 이들의 임의의 조합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일부 측면은 하드웨어에 의해 구현될 수 있고, 다른 측면은 펌웨어 또는 소프트웨어에 의해 구현될 수 있으며, 컨트롤러, 마이크로프로세서 또는 다른 컴퓨팅 디바이스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본 개시의 실시예의 측면이 블록도, 흐름도 또는 다른 다이어그램으로 도시되고 예시되지만, 본 명세서에 기술된 블록, 장치, 시스템, 기술 또는 방법은, 비제한적인 예를 들어,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펌웨어, 전용 회로, 로직, 범용 하드웨어, 컨트롤러, 기타 컴퓨팅 디바이스 또는 이들의 조합으로 구현될 수 있음을 이해해야 한다
본 개시는 컴퓨터가 판독 가능한 비일시적 저장 매체에 유형적으로 저장된 적어도 하나의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을 더 제공한다.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은 프로그램 모듈에 포함된 명령어와 같은 컴퓨터가 실행 가능한 명령어를 포함하며, 이는 도 4 내지 도 9를 참조하여 상술한 프로세스/방법을 수행하기 위해 실제 또는 가상 타깃 프로세서 상의 디바이스에서 실행된다. 일반적으로 프로그램 모듈은 특정 태스크를 실행하거나 특정 추상 데이터 유형을 구현하는 루틴, 프로그램, 라이브러리, 객체, 클래스, 컴포넌트, 데이터 구조 등을 포함한다. 다양한 실시예에서, 프로그램 모듈의 기능은 필요에 따라 조합되거나 프로그램 모듈의 기능이 분할될 수 있다. 프로그램 모듈에 대한 기계가 실행 가능한 명령어는 로컬로 또는 분산 디바이스 내에서 실행될 수 있다. 분산 디바이스에서, 프로그램 모듈은 로컬 및 원격 저장 매체에 위치될 수 있다.
본 개시에 개시된 방법을 구현하기 위해 사용되는 컴퓨터 프로그램 코드는 하나 이상의 프로그래밍 언어로 작성될 수 있다. 컴퓨터 프로그램 코드는 범용 컴퓨터, 전용 컴퓨터 또는 다른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처리 장치의 프로세서를 위해 제공될 수 있으므로, 프로그램 코드가 컴퓨터 또는 다른 프로그래밍 가능한 데이터 처리 장치에 의해 실행될 때, 흐름도 및/또는 블록도에 명시된 기능/작동이 구현된다. 프로그램 코드는 완전히 컴퓨터에서, 부분적으로는 컴퓨터에서, 독립 소프트웨어 패키지로, 부분적으로는 컴퓨터에서, 부분적으로는 원격 컴퓨터에서, 또는 완전히 원격 컴퓨터나 서버에서 실행될 수 있다.
본 개시의 콘텍스트에서, 컴퓨터 프로그램 코드 또는 관련 데이터는 임의의 적절한 반송파에 의해 운반될 수 있으므로, 디바이스, 장치 또는 프로세서가 위에서 설명한 다양한 처리 및 작동을 수행할 수 있다. 반송파의 예에는 신호, 컴퓨터가 판독 가능한 매체 등이 포함된다. 신호의 예는 전기, 광학, 라디오, 사운드 또는 반송파 및 적외선 신호와 같은 다른 형태의 전파 신호를 포함할 수 있다.
컴퓨터가 판독 가능한 매체는 명령어 실행 시스템, 장치 또는 디바이스에 사용되거나 이와 관련된 프로그램을 포함하거나 저장하는 임의의 유형의 매체일 수 있다. 컴퓨터가 판독 가능한 매체는 컴퓨터가 판독 가능한 신호 매체 또는 컴퓨터가 판독 가능한 저장 매체일 수 있다. 컴퓨터가 판독 가능한 매체는 전자, 자기, 광학, 전자기, 적외선 또는 반도체 시스템, 장치 또는 디바이스 또는 이들의 임의의 적절한 조합을 포함할 수 있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컴퓨터가 판독 가능한 저장 매체의 보다 구체적인 예로는 하나 이상의 와이어와의 전기적 연결, 휴대용 컴퓨터 디스크, 하드디스크, RAM(Random Access Memory), ROM(Read-Only Memory), 소거 가능한 프로그래밍 가능한 읽기 전용 메모리(EPROM 또는 플래시 메모리), 광학 저장 디바이스, 자기 저장 디바이스 또는 이들의 적절한 조합이 포함된다.
또한 첨부된 도면에서 본 개시에 개시된 방법의 작동들을 특정한 순서로 설명하였지만, 이는 이러한 작동들이 특정한 순서로 수행되어야 한다거나 도시된 모든 작동들이 원하는 결과를 달성하기 위해서 수행될 필요가 있다는 것을 요구하거나 암시하는 것은 아니다. 대신, 흐름도에 묘사된 단계의 실행 순서가 변경될 수 있다. 추가 또는 선택적으로, 일부 단계가 생략될 수 있고, 복수의 단계가 하나의 단계로 조합되어 실행될 수 있으며, 및/또는 하나의 단계가 복수의 단계로 분해되어 실행될 수 있다. 또한 본 개시에 따른 둘 이상의 장치의 특징 및 기능이 하나의 장치에서 명시될 수 있음을 유의해야 한다. 반대로, 상술한 하나의 장치의 특징 및 기능은 구현을 위해 복수의 장치로 추가로 분할될 수 있다.
본 개시의 구현은 위에서 설명되었다. 전술한 설명은 예시이고, 완전하지 않으며, 개시된 구현에 제한되지 않는다. 기술된 구현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많은 수정 및 변형이 당업자에게 명백하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하는 용어의 선택은 구현 원리, 실제 애플리케이션 또는 시장에서의 기술 개선을 잘 설명하거나 본 명세서에 개시된 구현을 당업자가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Claims (22)

  1. 정보 전송 방법으로서,
    수신 디바이스가, 송신 디바이스로부터 데이터 프레임을 수신하는 단계 - 상기 데이터 프레임은 전송 자원 블록을 점유하고 상기 데이터 프레임은 자원 유닛(resource unit, RU) 할당 정보를 포함함 -;
    상기 수신 디바이스가, 상기 전송 자원 블록 및 상기 RU 할당 정보에 기반하여 응답 자원 블록을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수신 디바이스가, 상기 데이터 프레임에 대한 확인 응답 프레임(acknowledgment frame)을 상기 응답 자원 블록 상에서 상기 송신 디바이스로 송신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정보 전송 방법.
  2. 정보 전송 방법으로서,
    송신 디바이스가, 데이터 프레임을 수신 디바이스로 송신하는 단계 - 상기 데이터 프레임은 전송 자원 블록을 점유하고, 상기 데이터 프레임은 자원 유닛(resource unit, RU) 할당 정보를 포함함 -;
    상기 송신 디바이스가, 상기 전송 자원 블록 및 상기 RU 할당 정보에 기반하여 응답 자원 블록을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송신 디바이스가, 상기 응답 자원 블록 상에서 상기 수신 디바이스로부터 상기 데이터 프레임에 대한 확인 응답 프레임을 수신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정보 전송 방법.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송신 디바이스가, 상기 전송 자원 블록 및 상기 RU 할당 정보에 기반하여 응답 자원 블록을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전송 자원 블록의 대역폭이 대역폭 임계값보다 크면, 미리 설정된 규칙에 기반하여 응답 채널을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응답 채널 및 상기 RU 할당 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응답 자원 블록을 결정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정보 전송 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응답 채널은 다음:
    1차 160MHz 채널, 2차 160MHz 채널, 높은 160MHz 채널, 낮은 160MHz 채널 또는 전송 자원 블록의 데이터 톤이 더 많은 160MHz 채널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정보 전송 방법.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미리 설정된 규칙에 기반하여 응답 채널을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데이터 프레임의 초고처리량 신호(extremely high throughput signal, EHT-SIG) 필드에 기반하여, 상기 데이터 프레임이 다중 사용자 다중 입력 다중 출력(multi-user multiple-input multiple-output, MU-MIMO) 모드에서 전송되는 것으로 결정하는 단계;
    상기 EHT-SIG 필드에서의 상기 수신 디바이스의 식별자에 기반하여 MU-MIMO 사용자 그룹에서 상기 수신 디바이스의 위치를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위치에 기반하여 상기 응답 채널을 결정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정보 전송 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에 기반하여 상기 응답 채널을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위치가 미리 결정된 위치이면, 상기 응답 채널이 제1 160MHz 채널인 것으로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위치가 미리 결정되지 않은 위치이면, 상기 응답 채널이 제2 160MHz 채널인 것으로 결정하는 단계 - 상기 제2 160MHz 채널은 상기 제1 160MHz 채널과 상이함 -
    를 포함하는, 정보 전송 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미리 결정된 위치는 홀수 위치, 짝수 위치, 제1 절반 위치(half location), 또는 제2 절반 위치 중 적어도 하나인, 정보 전송 방법.
  8. 제6항 또는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1 160MHz 채널은 1차 160MHz 채널 또는 2차 160MHz 채널인, 정보 전송 방법.
  9. 제6항 또는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1 160MHz 채널은 높은 160MHz 채널 또는 낮은 160MHz 채널인, 정보 전송 방법.
  10. 제1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전송 자원 블록은 2×996+484 -톤 MRU, 3×996-톤 MRU, 3×996+484 -톤 MRU, 또는 4×996-톤 RU 중 적어도 하나인, 정보 전송 방법.
  11. 통신 장치로서,
    송신 디바이스로부터 데이터 프레임을 수신하도록 - 상기 데이터 프레임은 전송 자원 블록을 점유하고 상기 데이터 프레임은 자원 유닛(resource unit, RU) 할당 정보를 포함함 - 구성된 수신 유닛;
    상기 전송 자원 블록 및 상기 RU 할당 정보에 기반하여 응답 자원 블록을 결정하도록 구성된 결정 유닛; 및
    상기 데이터 프레임에 대한 확인 응답 프레임을 상기 응답 자원 블록 상에서 상기 송신 디바이스로 송신하도록 구성된 송신 유닛
    을 포함하는 통신 장치.
  12. 통신 장치로서,
    데이터 프레임을 수신 디바이스로 송신하도록 - 상기 데이터 프레임은 전송 자원 블록을 점유하고, 상기 데이터 프레임은 자원 유닛(resource unit, RU) 할당 정보를 포함함 - 구성된 송신 유닛;
    상기 전송 자원 블록 및 상기 RU 할당 정보에 기반하여 응답 자원 블록을 결정하도록 구성된 결정 유닛; 및
    상기 응답 자원 블록 상에서 상기 수신 디바이스로부터 상기 데이터 프레임에 대한 확인 응답 프레임을 수신하도록 구성된 수신 유닛
    을 포함하는 통신 장치.
  13. 제11항 또는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결정 유닛은,
    상기 전송 자원 블록의 대역폭이 대역폭 임계값보다 크면, 미리 설정된 규칙에 기반하여 응답 채널을 결정하도록 구성된 제1 결정 서브유닛; 및
    상기 응답 채널 및 상기 RU 할당 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응답 자원 블록을 결정하도록 구성된 제2 결정 서브유닛
    을 포함하는, 통신 장치.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응답 채널은 다음:
    1차 160MHz 채널, 2차 160MHz 채널, 높은 160MHz 채널, 낮은 160MHz 채널 또는 전송 자원 블록의 데이터 톤이 더 많은 160MHz 채널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통신 장치.
  15.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결정 서브유닛은,
    상기 데이터 프레임의 초고처리량 신호(extremely high throughput signal, EHT-SIG) 필드에 기반하여, 상기 데이터 프레임이 다중 사용자 다중 입력 다중 출력(multi-user multiple-input multiple-output, MU-MIMO) 모드에서 전송되는 것으로 결정하고;
    상기 EHT-SIG 필드에서의 상기 수신 디바이스의 식별자에 기반하여 MU-MIMO 사용자 그룹에서 상기 수신 디바이스의 위치를 결정하며; 그리고
    상기 위치에 기반하여 상기 응답 채널을 결정하도록 구성되는, 통신 장치.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결정 서브유닛은,
    상기 위치가 미리 결정된 위치이면, 상기 응답 채널이 제1 160MHz 채널인 것으로 결정하며; 그리고
    상기 위치가 미리 결정되지 않은 위치이면, 상기 응답 채널이 제2 160MHz 채널인 것으로 결정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제2 160MHz 채널은 상기 제1 160MHz 채널과 상이한, 통신 장치.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미리 결정된 위치는 홀수 위치, 짝수 위치, 제1 절반 위치, 또는 제2 절반 위치 중 적어도 하나인, 통신 장치.
  18. 제16항 또는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제1 160MHz 채널은 1차 160MHz 채널 또는 2차 160MHz 채널인, 통신 장치.
  19. 제16항 또는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제1 160MHz 채널은 높은 160MHz 채널 또는 낮은 160MHz 채널인, 통신 장치.
  20. 제11항 내지 제1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전송 자원 블록은 2×996+484 -톤 MRU, 3×996-톤 MRU, 3×996+484 -톤 MRU, 또는 4×996-톤 RU 중 적어도 하나인, 통신 장치.
  21. 컴퓨터가 판독 가능한 저장 매체로서,
    상기 컴퓨터가 판독 가능한 저장 매체는 컴퓨터 프로그램을 저장하고,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이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때, 제1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방법이 수행되는, 컴퓨터가 판독 가능한 저장 매체.
  22. 칩으로서,
    제1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방법을 수행하도록 구성된 처리 회로
    를 포함하는 칩.
KR1020237024134A 2021-04-29 2022-04-27 정보 전송 방법, 통신 장치, 컴퓨터가 판독 가능한저장 매체 및 칩 KR20230117241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N202110475032.7 2021-04-29
CN202110475032 2021-04-29
CN202110528169.4 2021-05-14
CN202110528169.4A CN115278889A (zh) 2021-04-29 2021-05-14 信息传输方法、通信装置、计算机可读存储介质和芯片
PCT/CN2022/089647 WO2022228478A1 (zh) 2021-04-29 2022-04-27 信息传输方法、通信装置、计算机可读存储介质和芯片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17241A true KR20230117241A (ko) 2023-08-07

Family

ID=837455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7024134A KR20230117241A (ko) 2021-04-29 2022-04-27 정보 전송 방법, 통신 장치, 컴퓨터가 판독 가능한저장 매체 및 칩

Country Status (10)

Country Link
US (1) US20230361941A1 (ko)
EP (1) EP4247089A1 (ko)
JP (1) JP2024503916A (ko)
KR (1) KR20230117241A (ko)
CN (2) CN115278889A (ko)
AU (1) AU2022267563A1 (ko)
BR (1) BR112023016289A2 (ko)
CA (1) CA3206475A1 (ko)
MX (1) MX2023009406A (ko)
WO (1) WO2022228478A1 (ko)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7183870A2 (ko) * 2016-04-18 2017-10-26 엘지전자 주식회사 무선랜 시스템에서 랜덤액세스를 기반으로 전송된 프레임을 위한 방법 및 이를 이용한 무선 단말
GB2567481A (en) * 2017-10-13 2019-04-17 Canon Kk Improved acknowledgment of grouped multi-user downlink transmissions in an 802.11ax network
CN116633514A (zh) * 2019-03-08 2023-08-22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数据传输方法及相关设备
GB201916306D0 (en) * 2019-11-08 2019-12-25 Canon Kk Method and apparatus for station chosen values of transmission parameters in a multi-user transmissi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24503916A (ja) 2024-01-29
AU2022267563A1 (en) 2023-07-06
EP4247089A1 (en) 2023-09-20
CN115278889A (zh) 2022-11-01
US20230361941A1 (en) 2023-11-09
MX2023009406A (es) 2023-08-23
CA3206475A1 (en) 2022-11-03
WO2022228478A1 (zh) 2022-11-03
BR112023016289A2 (pt) 2023-11-14
CN115604838A (zh) 2023-01-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832089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multicast resource allocation
US10405301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allocating transmission channel in wireless local area network system
US10382969B2 (en) Resource allocation design for low cost machine-type communication UE
US11483827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self-contained air interface partitions
US20150365947A1 (en) System and Method for 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
US20210119836A1 (en) Data scrambling method and related device
EP4017175A1 (en) Frequency domain resource allocation method and apparatus
US20200280993A1 (en) Time domain resource indication method in relay network, network device, and user equipment
CN111030793B (zh) 一种无线局域网中触发帧传输的方法和装置
US20200021404A1 (en) Information Transmission Method and Communications Device
AU2018246761A1 (en) System and method for demodulation reference signal overhead reduction
US20230261846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communication based on multi-resource unit in wireless local area network system
CN111164942B (zh) 比特到符号的映射方法和通信装置
CN111836392A (zh) 用于传输数据的方法和装置
JP7477094B2 (ja) 通信方法、通信装置、通信システム、コンピュータ可読記憶媒体、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およびチップ
US20200374913A1 (en) Information transmission method, communications apparatus, and storage medium
US20230361941A1 (en) Information transmission method, communication apparatus, computer-readable storage medium, and chip
CN114760012A (zh) 组播反馈方法、装置及系统
US20220174653A1 (en) Method For Determining Transport Block Size And Apparatus
CN112399575B (zh) 通信方法及装置
CN117856989A (zh) 延迟多普勒域的参考信号配置方法及通信装置、存储介质
CN115442894A (zh) 一种物理层协议数据单元、触发帧的传输方法以及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