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16313A - 가스 절연 개폐기용 조작기 - Google Patents

가스 절연 개폐기용 조작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16313A
KR20230116313A KR1020220013088A KR20220013088A KR20230116313A KR 20230116313 A KR20230116313 A KR 20230116313A KR 1020220013088 A KR1020220013088 A KR 1020220013088A KR 20220013088 A KR20220013088 A KR 20220013088A KR 20230116313 A KR20230116313 A KR 2023011631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knob
rotation
manipulator
gear
lin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1308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안새봄
유밍정
Original Assignee
효성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효성중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효성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2001308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116313A/ko
Priority to PCT/KR2022/019142 priority patent/WO2023146107A1/ko
Publication of KR2023011631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1631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33/00High-tension or heavy-current switches with arc-extinguishing or arc-preventing means
    • H01H33/02Details
    • H01H33/42Driving mechanism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1/00Toothed 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 F16H1/02Toothed 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without gears having orbital motion
    • F16H1/04Toothed 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without gears having orbital motion involving only two intermeshing members
    • F16H1/12Toothed 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without gears having orbital motion involving only two intermeshing members with non-parallel axes
    • F16H1/16Toothed 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without gears having orbital motion involving only two intermeshing members with non-parallel axes comprising worm and worm-wheel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3/00Mechanisms for operating contacts
    • H01H3/32Driving mechanisms, i.e. for transmitting driving force to the contac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Driving Mechanisms And Operating Circuits Of Arc-Extinguishing High-Tension Switches (AREA)
  • Manipulator (AREA)

Abstract

일 실시예에 조작기는 구동원, 상기 구동원에 의하여 제1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제1 회전 요소, 상기 제1 회전 요소로부터 구동력을 전달받아서 제2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제2 회전 요소 및 일단이 상기 제1 회전 요소와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제2 회전 요소와 연결되는 전달 요소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제2 회전축은 상기 가스 절연 개폐기의 적어도 일부를 구성하는 조작 대상과 연관될 수 있고, 상기 전달 요소에 의해서 상기 제2 회전 요소의 회전은 상기 제1 회전 요소의 회전과 동기화 될 수 있다.

Description

가스 절연 개폐기용 조작기{ACTUATOR FOR GAS INSULATED SWETCHGEAR}
이하 실시예들은 가스 절연 개폐기용 조작기에 관한 것이다.
가스 절연 개폐기(Gas-insulated switchgear, GIS)는 절연 매체를 사용하여 금속제 탱크 내부에 수납된 도체 및 보호대상이 되는 기기를 보호하는 개폐 설비 시스템을 말한다.
일반적으로 가스 절연 개폐기에 사용되는 절연용 가스에는 절연 성능과 소호기능이 우수한 SF6(육중불화수소)가 절연 매체로써 사용될 수 있다. 이러한 절연용 가스는 가스 절연 개폐기 내부에 밀봉되게 충진된다.
일반적으로 가스 절연 개폐기는 차단기, 단로기, 접지개폐기, 피뢰기, 주회로 모선등을 포함한다.
전술한 배경기술은 발명자가 본 발명의 도출과정에서 보유하거나 습득한 것으로서, 반드시 본 발명의 출원 전에 일반 공중에 공개된 공지기술이라고 할 수는 없다.
일 실시예에 따른 목적은 출력축을 원하는 위치로 이동시킬 수 있는 조작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일 실시예에 따른 목적은 출력축을 원하는 위치로 이동시킬 수 있어서 공간을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조작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일 실시예에 따른 목적은 사용자가 조작을 위해서 접근하기 용이한 조작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일 실시예에 따른 목적은 기존의 기어 박스 구조를 사용하지 않음으로써 원가가 절감된 조작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일 실시예에 따른 목적은 기존의 기어 박스 구조에서 발생할 수 있는 불량이 발생하지 않는 조작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일 실시예에 조작기는 구동원, 상기 구동원에 의하여 제1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제1 회전 요소, 상기 제1 회전 요소로부터 구동력을 전달받아서 제2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제2 회전 요소 및 일단이 상기 제1 회전 요소와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제2 회전 요소와 연결되는 전달 요소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제2 회전축은 상기 가스 절연 개폐기의 적어도 일부를 구성하는 조작 대상과 연관될 수 있고, 상기 전달 요소에 의해서 상기 제2 회전 요소의 회전은 상기 제1 회전 요소의 회전과 동기화 될 수 있다.
상기 전달 요소는 적어도 하나의 링크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링크는 일단이 상기 제1 회전 요소와 조인트에 의하여 연결될 수 있고, 타단이 상기 제2 회전 요소와 조인트에 의하여 연결될 수 있다.
상기 구동원은 모터 및 상기 모터에 연결되는 구동 기어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구동 기어는 상기 제1 회전 요소를 구동할 수 있다.
상기 구동 기어는 웜 기어일 수 있다.
상기 제1 회전 요소는 상기 구동 기어와 연결되는 제1 기어 및 상기 제1 회전축으로부터 중심이 이격되게, 상기 제1 기어의 일 표면에 배치되는 제1 노브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제1 노브는 상기 제1 기어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제2 회전 요소는 상기 제2 회전축으로부터 중심이 이격되는 제2 노브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제2 노브의 중심은 상기 제1 노브의 중심이 상기 제1 회전축으로부터 이격된 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상기 제1 노브의 중심이 상기 제1 회전축으로부터 이격된 정도와 동일하게 상기 제2 회전축으로부터 이격되게 배향될 수 있다.
상기 적어도 하나의 링크는 상기 제1 노브 및 상기 제2 노브를 연결하는 노브 링크 및 상기 제1 기어 및 상기 제2 노브의 돌출부를 연결하는 보조 링크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노브 링크의 일측은 상기 제1 노브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고, 상기 노브 링크의 타측은 상기 제2 노브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고, 상기 보조 링크는 상기 제1 기어 및 상기 돌출부 각각에 회전 가능한 조인트로 연결될 수 있다.
상기 돌출부는 상기 제2 노브의 표면에 형성된 고정된 레버일 수 있다.
상기 노브 링크와 상기 보조 링크는 평행할 수 있다.
상기 보조 링크의 상기 제1 기어에 대한 연결점의 상기 제1 회전축에 대한 배향은, 상기 보조 링크의 상기 레버에 대한 연결점의 상기 제2 회전축에 대한 배향과 동일할 수 있다.
상기 보조 링크의 상기 제1 기어에 대한 연결점으로부터 상기 레버에 대한 연결점까지의 길이는 상기 제1 노브의 중심으로부터 상기 제2 노브의 중심까지의 길이와 동일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조작기는 출력축을 원하는 위치로 이동시킬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조작기는 출력축을 원하는 위치로 이동시킬 수 있어서 공간을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조작기는 사용자가 조작을 위해서 접근하기 용이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조작기는 기존의 기어 박스 구조를 사용하지 않음으로써 원가가 절감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조작기는 기존의 기어 박스 구조에서 발생할 수 있는 불량이 발생하지 않을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른 조작기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된 것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조작기를 포함하는 가스 절연 개폐기의 일부의 개략도이다.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조작기의 축 이동 구조의 개략도이다.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른 조작기의 축 이동 구조가 시계방향으로 회전한 상태를 도시한다.
도 4는 일 실시예에 따른 조작기의 축 이동 구조가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한 상태를 도시한다.
이하에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실시예들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러나, 실시예들에는 다양한 변경이 가해질 수 있어서 특허출원의 권리범위가 이러한 실시예들에 의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들에 대한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이 권리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실시예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설명을 목적으로 사용된 것으로, 한정하려는 의도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실시예가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또한,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한 구성 요소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실시예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실시예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1, 제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 요소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어느 하나의 실시예에 포함된 구성요소와, 공통적인 기능을 포함하는 구성요소는, 다른 실시예에서 동일한 명칭을 사용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이상, 어느 하나의 실시예에 기재한 설명은 다른 실시예에도 적용될 수 있으며, 중복되는 범위에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조작기(100)를 포함하는 가스 절연 개폐기(1)의 일부의 개략도이다. 일 실시예에 따른 조작기(100)를 포함할 수 있는 가스 절연 개폐기(1)는 상술한 바와 같이, 차단기, 단로기 및 접지 개폐기 등을 포함할 수 있다.
가스 절연 개폐기(1)는 상술한 바와 같이 금속제 용기에 모선 등 상술한 설비들을 포함시키고, SF6 가스를 충전시켜 밀폐한 것이다.
서킷 브레이커(Circuit breaker)라고도 불리는 차단기는 가스 절연 개폐기(1)의 메인 모듈일 수 있다. 차단기는 내에는 보호 대상이 되는 내부 기기가 위치될 수 있다. 또한 차단기는 SF6 가스가 확산될 수 있는 가스 공간을 포함할 수 있다. 차단기의 조작에 따라 가스 공간에 SF6가스가 확산됨으로써 빠르게 전기가 차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차단기의 일측에는 접지 개폐기 또는 단로기가 위치될 수 있다.
접지 개폐기는 가스 절연 개폐기(1)의 접지 상태를 유지하는 개폐기이다.
가스 절연 개폐기(1)는 상술한 차단기, 접지 개폐기, 단로기 등을 구동 또는 제어하기 위한 여러 구성들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가스 절연 개폐기(1)는 단로기와 연결될 수 있는 단로기 고정부(10), 접지 개폐기와 연결될 수 있는 접지 개폐기 고정부(30), 단로기 고정부(10)와 선택적으로 연결됨으로써 단로기를 조작할 수 있는 단로기 가동자(20), 접지 개폐기 고정부(30)와 선택적으로 연결됨으로써 접지 개폐기를 조작할 수 있는 접지 개폐기 가동자(40) 및 접지 개폐기 가동자(40)와 단로기 가동자(20)를 작동시킬 수 있는 가동자 조작부(50)를 포함할 수 있다.
접지 개폐기 및 단로기는 가스 절연 개폐기(1)에서 다양한 위치에 위치할 수 있다. 그에 따라 접지 개폐기 고정부(30) 및 단로기 고정부(10)의 위치도 다양할 수 있다. 그에 따라 접지 개폐기 가동자(40) 및 단로기 가동자(20)의 위치, 배향, 변위 방식 등은 다양할 수 있다.
가동자 조작부(50)는 다양한 방식으로 접지 개폐기 가동자(40) 및 단로기 가동자(20)를 조작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가동자 조작부(50)는 크랭크 구조로써 접지 개폐기 가동자(40) 및 단로기 가동자(20)에 연결될 수 있다.
가동자 조작부(50)가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면 가동자 조작부(50)에 연결된 접지 개폐기 가동자(40)는 접지 개폐기 고정부(30)로 연결될 수 있고, 가동자 조작부(50)가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면 가동자 조작부(50)에 연결된 단로기 가동자(20)는 단로기 고정부(10)로 연결될 수 있다.
한편, 단로기 및 접지 개폐기의 위치는 다양할 수 있고 그에 따라 접지 개폐기 고정부(30) 및 단로기 고정부(10)의 위치도 다양할 수 있고 또한 접지 개폐기 가동자(40) 및 단로기 가동자(20)의 위치, 배향, 변위 방식 등도 다양할 수 있기 때문에, 상술한 설명과 달리 가동자 조작부(50)가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면 가동자 조작부(50)에 연결된 접지 개폐기 가동자(40)는 접지 개폐기 고정부(30)로 연결될 수 있고, 가동자 조작부(50)가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면 가동자 조작부(50)에 연결된 단로기 가동자(20)는 단로기 고정부(10)로 연결될 수 있다.
상술한 설명과 달리, 도면에 도시되지 않았지만 가동자 조작부(50)는 래크와 피니언 구조로써 접지 개폐기 가동자(40) 및 단로기 가동자(20)를 조작할 수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조작기(100)가 개략적으로 도시되어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조작기(100)는 가동자 조작부(50)를 포함하는 개념일 수 있다. 하지만 본원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서 접지 개폐기 가동자(40) 및 단로기 가동자(20)에 직접 연결되는 부분을 제외하고 일 실시예에 따른 조작기(100)의 축 이동 구조를 중심으로 설명할 것이다. 본원에서 조작기(100)는 조작기(100)의 축 이동 구조와 같은 의미로 사용될 수 있다.
조작기(100)는 가동자 조작부(50)를 시계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키기 위한 것일 수 있다.
또한, 예를 들어 조작기(100)의 구동원(110)은 제1 회전축 주위에 위치할 수 있어서, 구동원(110)은 가동자 조작부(50)로부터 이격된 채로 가동자 조작부(50)를 회전시킬 수 있다.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조작기(100)의 축 이동 구조의 개략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조작기(100)는 구동원(110), 구동원(110)에 의하여 제1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는 제1 회전 요소(120), 제1 회전 요소(120)로부터 구동력을 전달받아서 제2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는 제2 회전 요소(130) 및 일단이 제1 회전 요소(120)와 연결되고 타단이 제2 회전 요소(130)와 연결되는 전달 요소(140)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회전 요소(130)는 전달 요소(140)를 통하여 제1 회전 요소(120)의 회전력을 전달 받아 회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회전 요소(130)의 회전의 방향 및/또는 속도는 제1 회전 요소(120)의 회전의 방향 및/또는 속도로 동기화 될 수 있다.
제2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제2 회전 요소(130)는 조작 대상(예 : 단로기 및/또는 접지 개폐기 등)과 연관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회전 요소(130)는 단로기 및/또는 접지 개폐기를 조작할 수 있는 단로기 가동자(20) 및/또는 접지 개폐기 가동자(40)를 조작할 수 있는 가동자 조작부(50)를 조작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회전 요소(130)는 가동자 조작부(50)를 회전시킬 수 있고, 제2 회전 요소(130)는 가동자 조작부(50)와 결합될 수 있거나 기어 등을 통하여 연결될 수 있다. 제2 회전 요소(130)와 가동자 조작부(50)의 연결 관계는 다양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구동원(110)은 모터(111), 모터(111)에 연결되는 구동 기어(112)를 포함할 수 있다. 구동 기어(112)는 다양한 형태의 기어일 수 있다. 예를 들어 구동 기어(112)는 웜 기어, 패러렐 기어 등일 수 있다. 구동 기어(112)는 제1 회전 요소(120)를 구동시킬 수 있다.
전달 요소(140)는 상술한 바와 같이 제1 회전 요소(120)의 회전을 제2 회전 요소(130)로 전달할 수 있다. 전달 요소(140)의 형태는 다양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달 요소(140)는 일단이 제1 회전 요소(120)에 연결되고 타단이 제2 회전 요소(130)에 연결되는 밴드 구조(미도시)일 수 있고, 일단이 제1 회전 요소(120)에 연결되고 타단이 제2 회전 요소(130)에 연결되는 하나 이상의 링크를 포함하는 링크 구조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링크 구조는 제1 회전 요소(120)의 회전을 제2 회전 요소(130)로 용이하게 전달할 수 있도록, 제1 회전 요소(120)와 회전 가능한 조인트로 연결되고 제2 회전 요소(130)와 회전 가능한 조인트로 연결될 수 있다.
링크 구조의 제1 회전 요소(120) 및 제2 회전 요소(130)에 대한 연결 방식에 대하여는 후술한다.
제1 회전 요소(120)는 구동 기어(112)와 연결되는 제1 기어(121), 제1 기어(121)에 결합되는 제1 노브(122)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기어(121)의 크기는 다양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기어(121)는 구동 기어(112)와의 관계에서 큰 기어비를 얻기 위해 구동 기어(112)에 비해 큰 기어일 수 있다.
제1 노브(122)의 제1 기어(121) 상의 배치 위치는 다양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노브(122)는 제1 노브(122)의 중심이 제1 회전축과 일치하지 않게 일 방향으로 치우치도록 제1 기어(121)의 일 표면에 배치될 수 있다.
제2 회전 요소(130)는 제2 노브(131) 및 제2 노브(131)의 표면에 형성된 레버(132)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노브(131)의 배향과 형태는 다양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노브(131)는 제1 노브(122)와 동일한 크기 또는 형상일 수 있다. 에를 들어 제2 노브(131)의 중심은 제1 노브(122)의 중심이 제1 회전축으로부터 치우쳐서 배향된 정도와 동일하게 제2 회전축으로부터 치우쳐서 배향될 수 있다.
레버(132)는 제2 노브(131)와 결합되어서 제2 노브(131)가 제2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할 때 제2 노브(131)와 함께 회전할 수 있다.
전달 요소(140)는 상술한 바와 같이 하나 이상의 링크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달 요소(140)는 2 개의 링크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달 요소(140)는 제1 노브(122)와 제2 노브(131)를 연결하는 노브 링크(141), 그리고 제1 기어(121) 및 제2 노브(131)의 돌출부 또는 레버(132)에 연결되는 보조 링크(142)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노브 링크(141)의 일측은 제1 노브(122)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노브 링크(141)의 일측에는 홀이 형성될 수 있고, 노브 링크(141)의 일측은 그 홀 안에 제1 노브(122)를 수용시킴으로써 제1 노브(122)의 둘레를 둘러서 제1 노브(122)에 연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노브 링크(141)의 타측은 제2 노브(131)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노브 링크(141)의 타측은 홀이 형성될 수 있고, 노브 링크(141)의 타측은 그 홀 안에 제2 노브(131)를 수용시킴으로써 제2 노브(131)의 둘레를 둘러서 제2 노브(131)에 연결될 수 있다.
노브 링크(141) 및 보조 링크(142)의 배향은 다양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노브 링크(141) 및 보조 링크(142)는 서로 평행하게 배향될 수 있다.
또한 예를 들어, 보조 링크(142)의 제1 기어(121)에 대한 연결점의 제1 회전축에 대한 배향은 보조 링크(142)의 레버(132)에 대한 연결점의 제2 회전축에 대한 배향과 동일할 수 있다.
또한 예를 들어, 보조 링크(142)의 제1 기어(121)에 대한 연결점으로부터 레버(132)에 대한 연결점까지의 길이는, 제1 노브(122)의 중심으로부터 제2 노브(131)의 중심까지의 길이와 동일할 수 있다.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른 조작기(100)의 축 이동 구조가 시계방향으로 회전한 상태를 도시하고, 도 4는 일 실시예에 따른 조작기(100)의 축 이동 구조가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한 상태를 도시한다. R1은 제1 회전 요소(120)에 대한 기준선이고, R2는 제2 회전 요소(130)에 대한 기준선이다. 이 기준선을 통해서 제1 회전 요소(120)와 제2 회전 요소(130)의 회전 방향 및 회전양을 알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제1 기어(121)와 제1 노브(122)는 결합되어 있기 때문에 함께 제1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고, 제2 노브(131)와 레버(132)는 결합되어 있기 때문에 함께 제2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다. 또한 노브 링크(141)는 제1 노브(122) 및 제2 노브(131)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고, 보조 링크(142)도 제1 기어(121) 및 레버(132)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기 때문에, 제1 회전 요소(120)의 회전은 제2 회전 요소(130)로 그대로 전달될 수 있다.
만약 노브 링크(141) 또는 보조 링크(142) 중 하나의 링크가 없다면 제1 회전 요소(120)의 회전 방향과 제2 회전 요소(130)의 회전 방향이, 예를 들어 각각 시계 및 반시계 방향으로 되는 등 서로 동기화 되지 않을 수 있는데, 일 실시예에 따른 조작기(100)는 노브 링크(141) 및 보조 링크(142)를 포함함으로써 제1 회전 요소(120)의 회전과 제2 회전 요소(130)의 회전 방향을 일치시키게 회전시킬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는 제1 회전 요소(120) 및 제2 회전 요소(130)가 나타난다.
결과적으로 제1 회전 요소(120)를 회전시키고 그 회전을 제2 회전 요소(130)에 전달함으로써, 조작기(100)는 조작 대상인 가동자 조작부(50)를 회전시킬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조작기(100)는 모터(111)에 의하여 직접 회전되는 제1 회전 요소(120)의 회전을 곧바로 조작 대상으로 전달하는 것이 아니라 제2 회전 요소(130)를 통하여 전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일 실시예에 따른 조작기(100)는 제2 회전 요소(130)를 통하여 회전을 전달함으로써 또는 출력축을 이동시킴으로써, 모터(111)와 같이 부피가 큰 구성 요소들을 조작 대상으로부터 이격되게 위치시킬 수 있다.
상술한 점들로 인하여, 일 실시예에 따른 조작기(100)는 다음과 같은 장점을 가진다.
일 실시예에 따른 조작기(100)는 상술한 바와 같이 제1 회전 요소(120)의 회전의 회전 방향과 회전양을 제2 회전 요소(130)로 그대로 전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일 실시예에 따른 조작기(100)는 조작 대상 모두(예 : 접지개폐기 및 단로기)를 조작할 수 있도록 양 방향으로 동기화 된 채로 회전할 수 있다.
만약 제1 회전 요소(120)와 제2 회전 요소(130)가 예를 들어, 4절 링크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에는 링크 구조의 상대 위치 또는 각도에 따라 사점(dead point)이 생기거나 링크들이 서로 꼬인 위치에 있을 수 있어서, 제2 회전 요소는 제1 회전 요소와 반대 방향으로 회전되거나 제1 회전 요소의 회전이 제2 회전 요소에 전달되지 않을 수 있다.
이와 달리 일 실시예에 따른 조작기(100)는 제1 회전 요소(120)의 회전이 제2 회전 요소(130)에 그대로 전달될 수 있어서, 링크 구조에서는 사점이 생길 수 있는 각도인 180도 이상의 회전도 전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일 실시예에 따른 조작기는 도 1에서 도시된 상태에서 시계방향으로 110도 이상 및 반시계 방향으로 110도 이상으로 총 220도 이상까지도 회전할 수 있다.
또한, 일 실시예에 따른 조작기(100)는 출력을 위한 모터(111)와 같은 구성들을 출력축(예 : 제2 회전 요소(130))으로부터 멀게 위치시킬 수 있어서 가스 절연 개폐기(1) 내부 구성들을 과밀집 되지 않게 효율적으로 배치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언급한 공간적 여유로 인하여 사용자가 조작기(100)에 쉽게 접근할 수 있게 할 수 있다. 이를 통하여 사용자는 조작기(100)를 편의에 따라서 수동으로 조작할 수 있다.
또한 링크 구조를 사용함으로써 기존에 사용되던 기어 박스를 삭제할 수 있어서, 기어 박스에서 발생할 수 있는 불량인 소음 문제 등이 발생하지 않을 수 있다.
또한 기어 박스를 삭제할 수 있어서 부품수가 적어지므로 원가가 절감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실시예들이 비록 한정된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기를 기초로 다양한 기술적 수정 및 변형을 적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설명된 기술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순서로 수행되거나, 및/또는 설명된 시스템, 구조, 장치, 회로 등의 구성요소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형태로 결합 또는 조합되거나, 다른 구성요소 또는 균등물에 의하여 대치되거나 치환되더라도 적절한 결과가 달성될 수 있다.
그러므로, 다른 구현들, 다른 실시예들 및 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도 후술하는 청구범위의 범위에 속한다.
1 : 가스 절연 개폐기
10 : 단로기 고정부 20 : 단로기 가동자
30 : 접지 개폐기 고정부 40 : 접지 개폐기 가동자
100 : 조작기
110 : 구동원 111 : 모터 112 : 구동 기어
120 : 제1 회전 요소 121 : 제1 기어 122 : 제1 노브
130 : 제2 회전 요소 131 : 제2 노브 132 : 레버
140 : 전달 요소 141 : 노브 링크 142 : 보조 링크

Claims (11)

  1. 가스 절연 개폐기용 조작기에 있어서,
    구동원;
    상기 구동원에 의하여 제1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제1 회전 요소;
    상기 제1 회전 요소로부터 구동력을 전달받아서 제2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제2 회전 요소; 및
    일단이 상기 제1 회전 요소와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제2 회전 요소와 연결되는 전달 요소;
    를 포함하고,
    상기 제2 회전축은 상기 가스 절연 개폐기의 적어도 일부를 구성하는 조작 대상과 연관되고,
    상기 전달 요소에 의해서 상기 제2 회전 요소의 회전은 상기 제1 회전 요소의 회전과 동기화 되는,
    조작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달 요소는 적어도 하나의 링크를 포함하고,
    상기 링크는 일단이 상기 제1 회전 요소와 조인트에 의하여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제2 회전 요소와 조인트에 의하여 연결되는,
    조작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원은
    모터; 및
    상기 모터에 연결되는 구동 기어;
    를 포함하고,
    상기 구동 기어는 상기 제1 회전 요소를 구동하는,
    조작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 기어는 웜 기어인,
    조작기.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회전 요소는,
    상기 구동 기어와 연결되는 제1 기어; 및
    상기 제1 회전축으로부터 중심이 이격되게, 상기 제1 기어의 일 표면에 배치되는 제1 노브;
    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노브는 상기 제1 기어에 결합되는,
    조작기.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회전 요소는,
    상기 제2 회전축으로부터 중심이 이격되는 제2 노브;
    를 포함하고,
    상기 제2 노브의 중심은,
    상기 제1 노브의 중심이 상기 제1 회전축으로부터 이격된 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상기 제1 노브의 중심이 상기 제1 회전축으로부터 이격된 정도와 동일하게 상기 제2 회전축으로부터 이격되게 배향되는,
    조작기.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링크는,
    상기 제1 노브 및 상기 제2 노브를 연결하는 노브 링크; 및
    상기 제1 기어 및 상기 제2 노브의 돌출부를 연결하는 보조 링크;
    를 포함하고,
    상기 노브 링크의 일측은 상기 제1 노브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되고,
    상기 노브 링크의 타측은 상기 제2 노브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되고,
    상기 보조 링크는 상기 제1 기어 및 상기 돌출부 각각에 회전 가능한 조인트로 연결되는,
    조작기.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는 상기 제2 노브의 표면에 형성된 고정된 레버인,
    조작기.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노브 링크와 상기 보조 링크는 평행한,
    조작기.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 링크의 상기 제1 기어에 대한 연결점의 상기 제1 회전축에 대한 배향은, 상기 보조 링크의 상기 레버에 대한 연결점의 상기 제2 회전축에 대한 배향과 동일한,
    조작기.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 링크의 상기 제1 기어에 대한 연결점으로부터 상기 레버에 대한 연결점까지의 길이는,
    상기 제1 노브의 중심으로부터 상기 제2 노브의 중심까지의 길이와, 동일한,
    조작기.
KR1020220013088A 2022-01-28 2022-01-28 가스 절연 개폐기용 조작기 KR20230116313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13088A KR20230116313A (ko) 2022-01-28 2022-01-28 가스 절연 개폐기용 조작기
PCT/KR2022/019142 WO2023146107A1 (ko) 2022-01-28 2022-11-30 가스 절연 개폐기용 조작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13088A KR20230116313A (ko) 2022-01-28 2022-01-28 가스 절연 개폐기용 조작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16313A true KR20230116313A (ko) 2023-08-04

Family

ID=874722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13088A KR20230116313A (ko) 2022-01-28 2022-01-28 가스 절연 개폐기용 조작기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20230116313A (ko)
WO (1) WO2023146107A1 (ko)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40082B1 (ko) * 2003-12-24 2006-01-11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쓰리포지션 단로기의 조작장치
KR101060827B1 (ko) * 2009-09-24 2011-08-30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가스 절연 스위치기어
KR101121925B1 (ko) * 2009-12-28 2012-03-19 주식회사 효성 가스절연 개폐장치의 접점 개폐용 동력 전달 어셈블리
KR101700773B1 (ko) * 2012-07-26 2017-01-31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스위치기어용 액추에이터 및 스위치기어용 액추에이터의 클러치 장치
KR20150003558A (ko) * 2013-07-01 2015-01-09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가스절연 개폐장치의 접지단로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3146107A1 (ko) 2023-08-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S6343854B2 (ko)
KR101212783B1 (ko) 가스절연기기용 3-way 스위치
CN1237679C (zh) 一种气体绝缘开关装置
US6573469B1 (en) Gas-insulated switchgear device
KR101690132B1 (ko) 가스절연 개폐기의 인터록 장치
KR100990477B1 (ko) 고압차단기의 가스절연 개폐장치
EP2565891B1 (en) Driver for switch in gas insulated switchgear and gas insulated switchgear having the same
JP4059081B2 (ja) ガス絶縁開閉装置
US6784392B1 (en) Gas-insulated switchgear device
KR20230116313A (ko) 가스 절연 개폐기용 조작기
KR200321221Y1 (ko) 가스절연 개폐장치용 단로기/접지개폐기
RU2285308C2 (ru) Коммутационный аппарат
KR100347363B1 (ko) 가스절연 개폐장치의 단로기/접지개폐기 시스템
KR20180088222A (ko) 가스절연 개폐장치용 단로기 및 접지개폐기
JP4764287B2 (ja) ガス絶縁開閉器
KR20230114377A (ko) 가스 절연 개폐기용 조작기
KR101072547B1 (ko) 고압차단기의 가스절연 개폐장치
KR101390499B1 (ko) 가스절연 개폐장치용 단로기 및 접지개폐기
JP5358513B2 (ja) スイッチギヤ
JP2007179934A (ja) 開閉装置
JP3142476B2 (ja) 開閉器
KR101072546B1 (ko) 고압차단기의 가스절연 개폐장치
KR100746722B1 (ko) 가스절연 개폐기의 인터록 장치
KR820001348B1 (ko) 고전압 전력용 모선(母線)설비의 개폐장치
JP2003299217A (ja) ガス絶縁開閉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