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15778A - 전자 장치 및 전자 장치의 제어 방법 - Google Patents

전자 장치 및 전자 장치의 제어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15778A
KR20230115778A KR1020220012644A KR20220012644A KR20230115778A KR 20230115778 A KR20230115778 A KR 20230115778A KR 1020220012644 A KR1020220012644 A KR 1020220012644A KR 20220012644 A KR20220012644 A KR 20220012644A KR 20230115778 A KR20230115778 A KR 2023011577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ectronic device
external device
call request
call
call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1264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엠디 임티아즈 호세인
엠디 자히드 하산 폴린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2001264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115778A/ko
Priority to PCT/KR2023/001167 priority patent/WO2023146289A1/ko
Priority to US18/324,675 priority patent/US20230300574A1/en
Publication of KR2023011577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1577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02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16Communication-related supplementary services, e.g. call-transfer or call-hol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02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 H04W4/023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using mutual or relative location information between multiple location based services [LBS] targets or of distance threshold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06Selective distribution of broadcast services, e.g. multimedia broadcast multicast service [MBMS]; Services to user groups; One-way selective calling services
    • H04W4/10Push-to-Talk [PTT] or Push-On-Call ser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20Services signaling; Auxiliary data signalling, i.e. transmitting data via a non-traffic channe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90Services for handling of emergency or hazardous situations, e.g. earthquake and tsunami warning systems [ETW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6/00Connection management
    • H04W76/40Connection management for selective distribution or broadcast
    • H04W76/45Connection management for selective distribution or broadcast for Push-to-Talk [PTT] or Push-to-Talk over cellular [PoC] ser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2Terminal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ultimedia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Public Health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Abstract

전자 장치 및 전자 장치의 제어 방법이 개시된다. 특히, 본 개시에 따른 전자 장치의 제어 방법은 서버로부터 발신자의 통화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 전자 장치의 사용자인 수신자가 다른 발신자와 통화 중인지 여부를 식별하는 단계, 수신자가 다른 발신자와 통화 중인 것으로 식별되면, 전자 장치와 연결된 적어도 하나의 외부 장치 중 전자 장치에 근접한 제1 외부 장치를 식별하는 단계 및 통화 요청을 식별된 제1 외부 장치로 전송하기 위해, 식별된 제1 외부 장치에 대한 식별 정보 및 통화 요청에 대한 응답을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전자 장치 및 전자 장치의 제어 방법{ELECTRONIC DEVICE AND CONTROLLING METHOD OF ELECTRONIC DEVICE}
본 개시는 전자 장치 및 전자 장치의 제어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구체적으로는 수신자의 다른 외부 장치로 통화 요청을 전송하거나 통화 요청에 대한 알림을 제공할 수 있는 전자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신뢰할 수 있는 의사 소통은 사람들에게 매우 중요한 문제이다. 특히, 긴급 상황에 신속하고 효과적으로 대처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그룹 내에서는 긴급하게 발생되는 상황과 빠르게 변화하는 정보에 입각한 결정을 내릴 수 있도록 그룹 내의 구성원이 정보에 빠르게 접근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특히, MCPTT(mission critical push to talk)는 이러한 중요한 요구 사항을 충족하는 데 도움이 되는 기술이다.
MCPTT란 무전기와 같은 PTT(push to talk) 기능을 이용해 긴급 통신할 수 있는 기술을 말한다. MCPTT는 3GPP(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에서 설정한 OMA(open mobile alliance) 인증 공공 안전 표준을 기반으로 개발된 것으로서, MCPTT 기술을 이용하면 LTE(Long-term evolution) 또는 5G(fifth generation) 이동통신망을 이용하면서도 마치 무전기에 대고 말하듯 기 정의된 버튼만 누르면 즉시 기 설정된 그룹에 포함되는 모든 장치와의 통화가 수행될 수 있다. 일대다 뿐만 아니라, 일대일 통화나 비상통화도 가능하고, 원격에 있는 특정 사용자 단말의 주변 소리를 임의로 청취하거나 긴급 상황 시 운영센터에서 강제로 통화를 청취할 수도 있다.
구체적으로, MCPTT에 따른 통화 요청은 일반적인 MCPTT 통화 요청일 수도 있으며, 높은 우선순위의 MCPTT 통화를 수행하기 위한 의미하는 긴급 MCPTT 통화 요청일 수도 있다.
종래 기술에 따르면, 일반적인 MCPTT 통화 요청이 수신되는 경우, 전자 장치는 수신자가 다른 발신자와 통화 중인지 여부를 식별할 수 있다. 수신자가 다른 발신자와 통화 중이 아니라면, 전자 장치는 통화 요청에 대한 응답을 서버로 전송할 수 있으며, 그 결과 발신자와 수신자 사이의 통화가 수행될 수 있다. 반대로 수신자가 다른 발신자와 통화 중이라면, 전자 장치는 현재 진행 중인 통화의 우선 순위와 수신된 통화 요청의 우선 순위를 비교할 수 있다.
그리고, 현재 진행 중인 통화의 우선 순위가 수신된 통화 요청의 우선 순위보다 높으면, 전자 장치는 수신된 통화 요청을 무시할 수 있다. 현재 진행 중인 통화의 우선 순위가 수신된 통화 요청의 우선 순위보다 낮으면, 전자 장치는 현재 통화를 끊고 현재 요청에 대한 응답을 서버로 전송할 수 있으며, 그 결과 발신자와 수신자 사이의 통화가 수행될 수 있다.
종래 기술에 따르면, 긴급 MCPTT 통화 요청이 수신되는 경우, 전자 장치는 수신자가 다른 발신자와 통화 중인지 여부에 관계 없이, 수신된 통화 요청에 따른 통화 세션을 개시할 수 있다. 즉, 전자 장치는 수신자가 다른 발신자와 통화 중이면 현재 통화를 끊고 수신된 통화 요청에 따른 통화 세션을 개시할 수 있다.
통화 세션이 개시된 후 발신자의 메시지가 수신되면, 전자 장치는 수신된 메시지에 대한 수신자의 응답이 있기 전까지 수신자의 응답을 요청하는 알림을 주기적으로 수신할 수 있다. 만약 통화 세션이 개시된 후 임계 시간 내에 수신자의 응답이 없으면, 전자 장치는 통화 세션을 종료할 수 있다.
그런데, 일반적인 MCPTT 통화 요청이 수신되는 경우, 수신자가 다른 발신자와 통화 중이고 현재 진행 중인 통화의 우선 순위가 수신된 통화 요청의 우선 순위보다 높으면, 수신된 통화 요청이 무시되기 때문에 발신자와 수신자 사이의 통화가 수행되지 않을 수 있다는 문제가 있다. 한편, 긴급 MCPTT 통화 요청이 수신되는 경우 수신자가 전자 장치의 주변에 있지 않아 발신자의 메시지에 응답할 수 없는 경우에도 발신자와 수신자 사이의 통화가 수행되지 않을 수 있다는 문제가 있다.
본 개시는 상술한 바와 같은 필요성에 따른 것으로서, 본 개시의 목적은 수신자가 발신자의 통화 요청에 응답하기 어려운 상황인 경우, 수신자의 다른 외부 장치로 통화 요청을 전송하거나 통화 요청에 대한 알림을 제공할 수 있는 전자 장치 및 전자 장치의 제어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는 통신부, 적어도 하나의 인스트럭션(instruction)을 저장하는 메모리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인스트럭션을 실행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인스트럭션을 실행함으로써, 상기 통신부를 통해 서버로부터 발신자의 통화 요청이 수신되면, 상기 전자 장치의 사용자인 수신자가 다른 발신자와 통화 중인지 여부를 식별하고, 상기 수신자가 상기 다른 발신자와 통화 중인 것으로 식별되면, 상기 전자 장치와 연결된 적어도 하나의 외부 장치 중 상기 전자 장치에 근접한 제1 외부 장치를 식별하고, 상기 통화 요청을 상기 식별된 제1 외부 장치로 전송하기 위해, 상기 식별된 제1 외부 장치에 대한 식별 정보 및 상기 통화 요청에 대한 응답을 상기 서버로 전송하도록 상기 통신부를 제어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통신부를 통해 상기 적어도 하나의 외부 장치로부터 수신된 신호의 세기에 대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외부 장치 중 상기 전자 장치에 근접한 제1 외부 장치를 식별할 수 있다.
한편, 상기 통화 요청은 MCPTT(mission critical push to talk) 기술에 따른 통화를 수행하기 위한 통화 요청이고, 상기 제1 외부 장치는 상기 MCPTT 기술에 따른 통화 요청을 처리할 수 있는 장치일 수 있다.
한편,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통화 요청이 긴급 MCPTT 기술에 따른 통화를 수행하기 위한 통화 요청이면, 상기 통화 요청에 따른 통화 세션을 개시하고, 기 설정된 임계 시간 동안 상기 통화 요청에 대한 상기 수신자의 응답이 수신되지 않으면, 상기 통화 세션이 개시되었음을 나타내는 알림을 상기 식별된 적어도 하나의 외부 장치 중 하나 이상의 외부 장치로 전송하도록 상기 통신부를 제어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수신자의 위치에 기초하여 상기 전자 장치가 연결된 로컬 네트워크를 식별하며, 상기 식별된 로컬 네트워크에 연결된 하나 이상의 외부 장치를 상기 적어도 하나의 외부 장치로 식별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수신자의 위치는 상기 전자 장치에 포함된 위치 정보 센서를 통해 수신된 사용자 위치 정보, 상기 통신부를 통해 외부 장치로부터 수신된 신호의 세기에 대한 정보 및 상기 로컬 네트워크에 대해 기 저장된 네트워크 위치 정보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식별될 수 있다.
한편,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알림 및 상기 알림을 브로드캐스팅하기 위한 요청을 상기 하나 이상의 외부 장치 중 제2 외부 장치로 전송하도록 상기 통신부를 제어하며, 상기 제2 외부 장치는 상기 요청에 기초하여 상기 알림에 대응되는 제어 신호를 상기 적어도 하나의 외부 장치 중 상기 제2 외부 장치 이외의 모든 외부 장치로 전송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알림은 기 설정된 주기로 상기 하나 이상의 외부 장치에 전송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의 제어 방법은 서버로부터 발신자의 통화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전자 장치의 사용자인 수신자가 다른 발신자와 통화 중인지 여부를 식별하는 단계, 상기 수신자가 상기 다른 발신자와 통화 중인 것으로 식별되면, 상기 전자 장치와 연결된 적어도 하나의 외부 장치 중 상기 전자 장치에 근접한 제1 외부 장치를 식별하는 단계 및 상기 통화 요청을 상기 식별된 제1 외부 장치로 전송하기 위해, 상기 식별된 제1 외부 장치에 대한 식별 정보 및 상기 통화 요청에 대한 응답을 상기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제1 외부 장치를 식별하는 단계는 상기 통신부를 통해 상기 적어도 하나의 외부 장치로부터 수신된 신호의 세기에 대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외부 장치 중 상기 전자 장치에 근접한 제1 외부 장치를 식별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통화 요청은 MCPTT(mission critical push to talk) 기술에 따른 통화를 수행하기 위한 통화 요청이고, 상기 제1 외부 장치는 상기 MCPTT 기술에 따른 통화 요청을 처리할 수 있는 장치일 수 있다.
한편, 상기 통화 요청이 긴급 MCPTT 기술에 따른 통화를 수행하기 위한 통화 요청이면, 상기 통화 요청에 따른 통화 세션을 개시하는 단계 및 기 설정된 임계 시간 동안 상기 통화 요청에 대한 상기 수신자의 응답이 수신되지 않으면, 상기 통화 세션이 개시되었음을 나타내는 알림을 상기 식별된 적어도 하나의 외부 장치 중 하나 이상의 외부 장치로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전자 장치의 제어 방법은 상기 수신자의 위치에 기초하여 상기 전자 장치가 연결된 로컬 네트워크를 식별하는 단계 및 상기 식별된 로컬 네트워크에 연결된 하나 이상의 외부 장치를 상기 적어도 하나의 외부 장치로 식별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수신자의 위치는 상기 전자 장치에 포함된 위치 정보 센서를 통해 수신된 사용자 위치 정보, 외부 장치로부터 수신된 신호의 세기에 대한 정보 및 상기 로컬 네트워크에 대해 기 저장된 네트워크 위치 정보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식별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알림 및 상기 알림을 브로드캐스팅(broadcasting)하기 위한 요청을 상기 하나 이상의 외부 장치 중 제2 외부 장치로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2 외부 장치는 상기 요청에 기초하여 상기 알림에 대응되는 제어 신호를 상기 적어도 하나의 외부 장치 중 상기 제2 외부 장치 이외의 모든 외부 장치로 전송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알림은 기 설정된 주기로 상기 하나 이상의 외부 장치에 전송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의 제어 방법을 실행하는 프로그램을 포함하는 비일시적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매체에 있어서, 상기 전자 장치의 제어 방법은 서버로부터 발신자의 통화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전자 장치의 사용자인 수신자가 다른 발신자와 통화 중인지 여부를 식별하는 단계, 상기 수신자가 상기 다른 발신자와 통화 중인 것으로 식별되면, 상기 전자 장치와 연결된 적어도 하나의 외부 장치 중 상기 전자 장치에 근접한 제1 외부 장치를 식별하는 단계 및 상기 통화 요청을 상기 식별된 제1 외부 장치로 전송하기 위해, 상기 식별된 제1 외부 장치에 대한 식별 정보 및 상기 통화 요청에 대한 응답을 상기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도 1은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구성을 간략하게 나타내는 도면,
도 2는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구성을 상세하게 나타내는 블록도,
도 3은 본 개시에 따른 통화 요청이 일반적인 MCPTT 통화 요청인 경우의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4는 본 개시에 따른 통화 요청이 일반적인 MCPTT 통화 요청인 경우 서버, 전자 장치 및 제1 외부 장치 사이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시퀀스도,
도 5는 본 개시에 따른 통화 요청이 긴급 MCPTT 통화 요청인 경우의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6은 본 개시에 따른 통화 요청이 긴급 MCPTT 통화 요청인 경우 서버, 전자 장치 및 제1 외부 장치 사이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시퀀스도, 그리고,
도 7은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제어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본 실시 예들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 예를 가질 수 있는바, 특정 실시 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범위를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개시의 실시 예의 다양한 변경(modifications), 균등물(equivalents), 및/또는 대체물(alternatives)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면의 설명과 관련하여,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유사한 참조 부호가 사용될 수 있다.
본 개시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개시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덧붙여, 하기 실시 예는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개시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가 하기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오히려, 이들 실시 예는 본 개시를 더욱 충실하고 완전하게 하고, 당업자에게 본 개시의 기술적 사상을 완전하게 전달하기 위하여 제공되는 것이다.
본 개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권리범위를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개시에서, "가진다," "가질 수 있다," "포함한다," 또는 "포함할 수 있다" 등의 표현은 해당 특징(예: 수치, 기능, 동작, 또는 부품 등의 구성요소)의 존재를 가리키며, 추가적인 특징의 존재를 배제하지 않는다.
본 개시에서, "A 또는 B," "A 또는/및 B 중 적어도 하나," 또는 "A 또는/및 B 중 하나 또는 그 이상"등의 표현은 함께 나열된 항목들의 모든 가능한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A 또는 B," "A 및 B 중 적어도 하나," 또는 "A 또는 B 중 적어도 하나"는, (1) 적어도 하나의 A를 포함, (2) 적어도 하나의 B를 포함, 또는 (3) 적어도 하나의 A 및 적어도 하나의 B 모두를 포함하는 경우를 모두 지칭할 수 있다.
본 개시에서 사용된 "제1," "제2," "첫째," 또는 "둘째,"등의 표현들은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순서 및/또는 중요도에 상관없이 수식할 수 있고, 한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분하기 위해 사용될 뿐 해당 구성요소들을 한정하지 않는다.
어떤 구성요소(예: 제1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예: 제2 구성요소)에 "(기능적으로 또는 통신적으로) 연결되어((operatively or communicatively) coupled with/to)" 있다거나 "접속되어(connected to)"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상기 어떤 구성요소가 상기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다른 구성요소(예: 제3 구성요소)를 통하여 연결될 수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예: 제1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예: 제2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상기 어떤 구성요소와 상기 다른 구성요소 사이에 다른 구성요소(예: 제3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본 개시에서 사용된 표현 "~하도록 구성된(또는 설정된)(configured to)"은 상황에 따라, 예를 들면, "~에 적합한(suitable for)," "~하는 능력을 가지는(having the capacity to)," "~하도록 설계된(designed to)," "~하도록 변경된(adapted to)," "~하도록 만들어진(made to)," 또는 "~를 할 수 있는(capable of)"과 바꾸어 사용될 수 있다. 용어 "~하도록 구성된(또는 설정된)"은 하드웨어적으로 "특별히 설계된(specifically designed to)" 것만을 반드시 의미하지 않을 수 있다.
대신, 어떤 상황에서는, "~하도록 구성된 장치"라는 표현은, 그 장치가 다른 장치 또는 부품들과 함께 "~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문구 "A, B, 및 C를 수행하도록 구성된(또는 설정된) 프로세서"는 해당 동작을 수행하기 위한 전용 프로세서(예: 임베디드 프로세서), 또는 메모리 장치에 저장된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프로그램들을 실행함으로써, 해당 동작들을 수행할 수 있는 범용 프로세서(generic-purpose processor)(예: CPU 또는 application processor)를 의미할 수 있다.
실시 예에 있어서 '모듈' 혹은 '부'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수행하며,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로 구현되거나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복수의 '모듈' 혹은 복수의 '부'는 특정한 하드웨어로 구현될 필요가 있는 '모듈' 혹은 '부'를 제외하고는 적어도 하나의 모듈로 일체화되어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로 구현될 수 있다.
한편, 도면에서의 다양한 요소와 영역은 개략적으로 그려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첨부한 도면에 그려진 상대적인 크기나 간격에 의해 제한되지 않는다.
이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하여 본 개시에 따른 실시 예에 대하여 본 개시가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100)의 구성을 간략하게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개시에 따른 전자 장치(100)는 발신자와의 통화를 수행할 수 있도록 구성된 수신자의 장치를 말한다. 구체적으로, 전자 장치(100)는 서버로부터 발신자의 통화 요청을 수신하고 수신된 통화 요청을 서버로 전송하는 것에 기초하여 발신자와의 통화 세션을 개시한 후 발신자와의 통화를 수행할 수 있다. 본 개시에 있어서 서버는 발신자의 장치와 수신자의 장치 사이에서 발신자와 수신자 사이의 통화를 위한 각종의 데이터/정보/신호를 중계하는 장치를 말한다.
발명의 배경이 되는 기술에 대한 설명에서 전술한 바와 같이, 본 개시에 따른 통화 요청은 MCPTT(mission critical push to talk) 기술에 따른 통화를 수행하기 위한 통화 요청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본 개시에 따른 통화 요청은 일반적인 MCPTT 통화 요청일 수도 있으며, 높은 우선순위의 MCPTT 통화를 수행하기 위한 의미하는 긴급 MCPTT 통화 요청일 수도 있다.
일반적인 MCPTT 통화 요청이 수신되는 경우, 수신자가 다른 발신자와 통화 중이고 현재 진행 중인 통화의 우선 순위가 수신된 통화 요청의 우선 순위보다 높으면, 수신된 통화 요청이 무시되기 때문에 발신자와 수신자 사이의 통화가 수행되지 않을 수 있다는 문제가 있다. 한편, 긴급 MCPTT 통화 요청이 수신되는 경우, 수신자가 전자 장치(100)의 주변에 있지 않아 발신자의 메시지에 응답할 수 없으면, 발신자와 수신자 사이의 통화가 수행되지 않을 수 있다는 문제가 있다. 이하에서는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에 대해 설명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100)는 통신부(110), 메모리(120) 및 프로세서(130)를 포함한다.
통신부(110)는 회로를 포함하며, 서버 또는 외부 장치와의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프로세서(130)는 통신부(110)를 통해 연결된 서버 또는 외부 장치로부터 각종 데이터 또는 정보를 수신할 수 있으며, 서버 또는 외부 장치로 각종 데이터 또는 정보를 전송할 수도 있다.
통신부(110)는 WiFi 모듈, Bluetooth 모듈, 무선 통신 모듈, NFC 모듈 및 UWB 모듈(Ultra Wide Band)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WiFi 모듈과 Bluetooth 모듈 각각은 WiFi 방식, Bluetooth 방식으로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WiFi 모듈이나 Bluetooth 모듈을 이용하는 경우에는 SSID 등과 같은 각종 연결 정보를 먼저 송수신하여, 이를 이용하여 통신 연결한 후 각종 정보들을 송수신할 수 있다.
또한, 무선 통신 모듈은 IEEE, Zigbee, 3G(3rd Generation), 3GPP(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LTE(Long Term Evolution), 5G(5th Generation) 등과 같은 다양한 통신 규격에 따라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그리고, NFC 모듈은 135kHz, 13.56MHz, 433MHz, 860~960MHz, 2.45GHz 등과 같은 다양한 RF-ID 주파수 대역들 중에서 13.56MHz 대역을 사용하는 NFC(Near Field Communication) 방식으로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UWB 모듈은 UWB 안테나 간 통신을 통하여, 펄스가 목표물에 도달하는 시간인 ToA(Time of Arrival), 송신 장치에서의 펄스 도래각인 AoA(Ange of Arrival)을 정확히 측정할 수 있고, 이에 따라 실내에서 수십 cm 이내의 오차 범위에서 정밀한 거리 및 위치 인식이 가능하다.
특히, 본 개시에 따른 다양한 실시 예에 있어서, 통신부(110)는 서버로부터 발신자의 통화 요청을 수신할 수 있으며, 통화 요청에 대한 응답을 서버로 전송할 수 있다. 또한, 통신부(110)는 외부 장치에 대한 식별 정보를 서버로 전송할 수 있다.
그리고, 통신부(110)는 발신자와 수신자 사이의 통화 세션이 개시된 후 통화를 위한 음성 데이터 및/또는 영상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특히, 통신부(110)는 발신자와의 통화를 위한 음성 데이터 및/또는 영상 데이터를 외부 장치로 전송하고 외부 장치로부터 음성 데이터 및/또는 영상 데이터를 수신함으로써 발신자와의 통화가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메모리(120)에는 전자 장치(100)에 관한 적어도 하나의 인스트럭션(instruction)이 저장될 수 있다. 그리고, 메모리(120)에는 전자 장치(100)를 구동시키기 위한 O/S(Operating System)가 저장될 수 있다. 또한, 메모리(120)에는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라 전자 장치(100)가 동작하기 위한 각종 소프트웨어 프로그램이나 애플리케이션이 저장될 수도 있다. 그리고, 메모리(120)는 플래시 메모리(Flash Memory) 등과 같은 반도체 메모리나 하드디스크(Hard Disk) 등과 같은 자기 저장 매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메모리(120)에는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라 전자 장치(100)가 동작하기 위한 각종 소프트웨어 모듈이 저장될 수 있으며, 프로세서(130)는 메모리(120)에 저장된 각종 소프트웨어 모듈을 실행하여 전자 장치(100)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즉, 메모리(120)는 프로세서(130)에 의해 액세스되며, 프로세서(130)에 의한 데이터의 독취/기록/수정/삭제/갱신 등이 수행될 수 있다.
한편, 본 개시에서 메모리(120)라는 용어는 메모리(120), 프로세서(130) 내 롬(미도시), 램(미도시) 또는 전자 장치(100)에 장착되는 메모리 카드(미도시)(예를 들어, micro SD 카드, 메모리 스틱)를 포함하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다.
특히, 본 개시에 따른 다양한 실시 예에 있어서, 메모리(120)에는 발신자의 통화 요청, 통화 요청에 대한 응답, 외부 장치에 대한 식별 정보, 발신자와의 통화를 위한 음성 데이터, 발신자와의 통화를 위한 영상 데이터 등이 저장될 수 있다. 또한, 메모리(120)에는 본 개시에 따른 MCPTT 통화 요청을 처리하기 위한 알고리즘에 대한 데이터 등이 저장될 수 있다.
그 밖에도 본 개시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범위 내에서 필요한 다양한 정보가 메모리(120)에 저장될 수 있으며, 메모리(120)에 저장된 정보는 서버 또는 외부 장치로부터 수신되거나 사용자에 의해 입력됨에 따라 갱신될 수도 있다.
프로세서(130)는 전자 장치(1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구체적으로, 프로세서(130)는 상술한 바와 같은 통신부(110) 및 메모리(120)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100)의 구성과 연결되며, 상술한 바와 같은 메모리(120)에 저장된 적어도 하나의 인스트럭션을 실행함으로써, 전자 장치(100)의 동작을 전반적으로 제어할 수 있다.
프로세서(130)는 다양한 방식으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130)는 주문형 집적 회로(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 ASIC), 임베디드 프로세서, 마이크(150)로 프로세서, 하드웨어 컨트롤 로직, 하드웨어 유한 상태 기계(hardware Finite State Machine, FSM),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Digital Signal Processor, DSP) 중 적어도 하나로 구현될 수 있다. 한편, 본 개시에서 프로세서(130)라는 용어는 CPU(Central Processing Unit), GPU(Graphic Processing Unit) 및 MPU(Main Processing Unit)등을 포함하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다.
특히, 본 개시에 따른 다양한 실시 예에 있어서, 프로세서(130)는 수신자가 발신자의 통화 요청에 응답하기 어려운 상황인 경우, 수신자의 다른 외부 장치로 통화 요청을 전송하거나 통화 요청에 대한 알림을 제공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있어서, 통신부(110)를 통해 서버로부터 발신자의 통화 요청이 수신되면, 프로세서(130)는 전자 장치(100)의 사용자인 수신자가 다른 발신자와 통화 중인지 여부를 식별할 수 있다. 여기서, 통화 요청은 일반적인 MCPTT 통화 요청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프로세서(130)는 통신부(110)를 통해 서버로부터 MCPTT 통화 요청에 따른 SIP(session initiation protocol) 초대를 수신할 수 있다. 그리고, 프로세서(130)는 수신자의 전자 장치(100)와 발신자의 다른 전자 장치(100) 사이에 통화 세션이 수립되었는지 여부에 기초하여, 수신자가 다른 발신자와 통화 중인지 여부를 식별할 수 있다.
수신자가 다른 발신자와 통화 중인 것으로 식별되면, 프로세서(130)는 전자 장치(100)와 연결된 적어도 하나의 외부 장치 중 전자 장치(100)에 근접한 제1 외부 장치를 식별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프로세서(130)는 다양한 통신 방식을 이용하여 전자 장치(100)와 연결된 적어도 하나의 외부 장치를 식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 장치(100)가 수신자의 스마트폰인 경우, 프로세서(130)는 블루투스(bluetooth) 방식을 이용하여 스마트폰과 페어링(pairing)된 스마트 워치 또는 태블릿 PC 등과 같은 적어도 하나의 외부 장치를 식별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0)와 연결된 적어도 하나의 외부 장치가 식별되면, 프로세서(130)는 전자 장치(100)와 적어도 하나의 외부 장치 사이의 거리에 기초하여 전자 장치(100)와 연결된 적어도 하나의 외부 장치 중 전자 장치(100)에 근접한 제1 외부 장치를 식별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프로세서(130)는 전자 장치(100)와의 거리가 기 설정된 임계 거리 미만인 외부 장치를 제1 외부 장치로 식별할 수 있다. 또한, 전자 장치(100)와 연결된 적어도 하나의 외부 장치 중 전자 장치(100)와의 거리가 기 설정된 임계 거리 미만인 외부 장치가 두 개 이상인 경우, 프로세서(130)는 전자 장치(100)와의 거리가 가장 가까운 외부 장치를 제1 외부 장치로 식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130)는 통신부(110)를 통해 적어도 하나의 외부 장치로부터 수신된 신호의 세기에 대한 정보(즉, RSSI(received signal strength indicator)에 대한 정보)에 기초하여, 적어도 하나의 외부 장치 중 전자 장치(100)에 근접한 제1 외부 장치를 식별할 수 있다. 그 밖에도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정보를 이용하는 기술과 같이 디바이스 상호 간의 근접도(proximity)를 측정하기 위한 다양한 기술이 제1 외부 장치의 식별 과정에 이용될 수 있다.
한편, 본 개시에 있어서, 제1 외부 장치는 MCPTT 기술에 따른 통화 요청을 처리할 수 있는 장치를 말한다. 즉, 프로세서(130)는 전자 장치(100)와 연결된 적어도 하나의 외부 장치 중 MCPTT 기술에 따른 통화 요청을 처리할 수 있는 외부 장치를 식별하고, 그 중에서 전자 장치(100)에 근접한 제1 외부 장치를 식별할 수 있다.
제1 외부 장치가 식별되면, 프로세서(130)는 통화 요청을 제1 외부 장치로 전송하기 위해, 제1 외부 장치에 대한 식별 정보 및 통화 요청에 대한 응답을 서버로 전송하도록 통신부(110)를 제어할 수 있다.
본 개시에 있어서, 식별 정보라는 용어는 SIM(subscriber identity module) 정보를 비롯하여, 제1 외부 장치에 대한 통화 세션을 생성하는 데 유용한 정보를 총칭하기 위한 용어로 사용된다. 제1 외부 장치에 대한 식별 정보는 제1 외부 장치를 식별한 후 제1 외부 장치에 요청함으로써 획득될 수도 있으며, 전자 장치(100)와 제1 외부 장치의 페어링 중 획득되어 전자 장치(100)의 메모리(120)에 기 저장되어 있을 수도 있다.
구체적으로, 프로세서(130)는 통화 요청에 대한 응답과 함께 제1 외부 장치에 대한 식별 정보를 서버로 전송하도록 통신부(110)를 제어할 수 있다. 여기서, 통화 요청에 대한 응답은 현재 수신자가 다른 발신자와 통화 중이라는 통화 중 코드(busy code)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외부 장치에 대한 식별 정보 및 통화 요청에 대한 응답이 서버로 전송되면, 서버는 제1 외부 장치에 대한 식별 정보에 기초하여 발신자의 통화 요청을 제1 외부 장치로 리디렉션(redirection)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전자 장치(100)의 수신자는 제1 외부 장치를 통해 발신자와의 통화를 수행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이상에서는 제1 외부 장치는 MCPTT 기술에 따른 통화 요청을 처리할 수 있는 장치이고, 따라서 제1 외부 장치에 오디오 입력부(예: 마이크) 및 오디오 출력부(예: 스피커)가 포함된 경우임을 전제로 서버가 제1 외부 장치에 통화 요청을 리디렉션하는 것으로 설명하였다. 그런데, 전자 장치(100)와 연결된 적어도 하나의 외부 장치에 오디오 입력부 및 오디오 출력부가 포함된 외부 장치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이면, 서버는 적어도 하나의 외부 장치로 통화 요청이 아닌 통화 요청이 수신되었음을 나타내는 알림을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전자 장치(100)에 근접한 제1 외부 장치에 오디오 입력부 및 오디오 출력부 중 적어도 하나가 포함되지 않은 경우에도, 서버는 제1 외부 장치로 통화 요청이 아닌 통화 요청이 수신되었음을 나타내는 알림을 전송할 수 있다.
한편, 이상에서 상술한 실시 예는 본 개시에 따른 통화 요청이 일반적인 MCPTT 통화 요청인 경우를 전제로 한다. 그런데, 본 개시에 따른 통화 요청은 긴급 MCPTT 통화 요청일 수 있는바, 이하에서는 통화 요청이 긴급 MCPTT 통화 요청인 경우의 실시 예에 대해 설명한다.
일 실시 예에 있어서, 통화 요청이 긴급 MCPTT 기술에 따른 통화를 수행하기 위한 통화 요청이면, 프로세서(130)는 수신자가 다른 발신자와 통화 중인지 여부에 관계 없이 통화 요청에 따른 통화 세션을 개시할 수 있다. 다시 말해, 프로세서(130)는 수신자가 다른 발신자와 통화 중이면 현재 통화를 끊고 수신된 통화 요청에 따른 통화 세션을 개시할 수 있다.
긴급 MCPTT 통화 요청에 따라 수신자와 발신자 사이의 통화 세션이 개시된 후 기 설정된 임계 시간 동안 통화 요청에 대한 수신자의 응답이 수신되면, 수신자와 발신자 사이의 통화가 수행될 수 있다.
반대로 기 설정된 임계 시간 동안 통화 요청에 대한 수신자의 응답이 수신되지 않으면, 프로세서(130)는 통화 세션이 개시되었음을 나타내는 알림을 식별된 적어도 하나의 외부 장치 중 하나 이상의 외부 장치로 전송하하도록 통신부(110)를 제어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프로세서(130)는 수신자의 위치에 기초하여 전자 장치(100)가 연결된 로컬 네트워크를 식별하고, 식별된 로컬 네트워크에 연결된 적어도 하나의 외부 장치로 통화 세션이 개시되었음을 나타내는 알림을 전송하도록 통신부(110)를 제어할 수 있다. 여기서, 수신자의 위치는 전자 장치(100)에 포함된 위치 정보 센서를 통해 수신된 위치 정보, 통신부(110)를 통해 외부 장치로부터 수신된 신호의 세기에 대한 정보 및 로컬 네트워크에 대해 기 저장된 네트워크 위치 정보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식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 장치(100)에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센서와 같은 위치 정보 센서가 포함된 경우, 프로세서(130)는 GPS 센서를 통해 획득된 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수신자의 위치에 대한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130)는 복수의 외부 장치로부터 수신된 블루투스 비컨(beacon) 신호 또는 Wi-Fi 신호의 세기에 대한 정보 및 전자 장치(100)에서 복수의 외부 장치로 전송된 블루투스 비컨 신호 또는 Wi-Fi 신호의 세기에 대한 정보에 기초하여 수신자의 위치에 대한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그리고, 전자 장치(100)가 LAN(local area network) 또는 WAN(wide area network) 등과 같은 네트워크에 연결되어 있고, 사용자가 해당 네트워크를 가정 또는 사무실 등으로 정의한 경우, 프로세서(130)는 기 정의된 네트워크 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수신자의 위치에 대한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한편, 프로세서(130)는 로컬 네트워크에 연결된 적어도 하나의 외부 장치로 통화 세션이 개시되었음을 나타내는 알림을 전송할 수도 있으나, 적어도 하나의 외부 장치 중 허브 장치로 통화 세션이 개시되었음을 나타내는 알림을 전송하고, 그에 따라 허브 장치에 의해 나머지 외부 장치로 통화 세션이 개시되었음을 나타내는 알림 또는 알림에 대응되는 제어 신호가 전송될 수 있다.
여기서, 허브 장치란 로컬 네트워크에 연결된 적어도 하나의 외부 장치 중 다른 외부 장치를 제어하기 위한 신호, 데이터 및 알림 등을 전송하도록 구성된 장치를 말한다. 구체적으로, 허브 장치는 복수의 외부 장치들을 기반으로 IoT(internet of things) 환경이 구축된 경우, IoT 환경의 중심적인 역할을 수행하여 복수의 장치들과의 커뮤니케이션을 수행하는 장치로서, 스마트 허브, 게이트웨이, 브리지, 컨트롤러 또는 코디네이터 등과 같은 용어로 지칭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프로세서(130)는 통화 세션이 개시되었음을 나타내는 알림 및 그 알림을 브로드캐스팅(broadcasting)하기 위한 요청을 허브 장치에 해당하는 제2 외부 장치로 전송하도록 통신부(110)를 제어하며, 이에 따라 제2 외부 장치는 알림을 브로드캐스팅하기 위한 요청에 기초하여 통화 세션이 개시되었음을 나타내는 알림을 적어도 하나의 외부 장치 중 제2 외부 장치 이외의 모든 외부 장치로 전송할 수 있다.
한편, 통화 세션이 개시되었음을 나타내는 알림은 기 설정된 주기로 하나 이상의 외부 장치에 전송될 수 있다. 그리고 만약 임계 시간까지도 수신자의 응답이 없으면, 프로세서(130)는 발신자와 수신자 사이의 통화 세션을 종료할 수 있다.
이상에서 상술한 바와 같은 실시 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100)는 수신자가 발신자의 통화 요청에 응답하기 어려운 상황인 경우, 수신자의 다른 외부 장치로 통화 요청을 전송하거나 통화 요청에 대한 알림을 제공할 수 있다.
특히, MCPTT의 목적은 모든 종류의 중요한 상황에서 클라이언트를 지원하는 것으로서, 본 개시에 따르면 수신자가 MCPTT 호출을 쉽게 수신할 수 있도록 허용하고, 긴급 MCPTT 호출 요청이 전송되었음을 수신자에게 알릴 가능성을 증가시킴으로써, MCPTT 기술을 사용하는 그룹과 사용자가 긴급 상황에 신속하고 효과적으로 대처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이상에서는 반이중 통신(half duplex)인 MCPTT 통신 시스템을 예로 들어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에 대해 설명하였으나, 본 개시에 따른 다양한 실시 예는 단방향(Simplex) 또는 전이중(Duplex) 통신 프로토콜로을 이용하는 시스템으로 확장될 수도 있다.
뿐만 아니라,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는 긴급 상황에 신속하고 효과적으로 대처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그룹 에서, 긴급하게 발생되는 상황과 빠르게 변화하는 정보에 입각한 결정을 내릴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취지에서 다양한 방식으로 적용될 수도 있다.
도 2는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100)의 구성을 상세하게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 와 같이, 전자 장치(100)는 통신부(110), 메모리(120) 및 프로세서(130)뿐만 아니라, 센서(140), 마이크(150), 스피커(160) 및 디스플레이(17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센서(140)는 전자 장치(100) 내부 및 외부의 다양한 정보를 감지할 수 있다. 특히, 본 개시에 따른 센서(140)는 전자 장치(100)의 위치에 대한 정보를 획득하기 위한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센서일 수 있다. 그리고, 프로세서(130)는 GPS 센서를 통해 획득된 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전자 장치(100)에 근접한 제1 외부 장치를 식별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130)는 GPS 센서를 통해 획득된 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전자 장치(100)가 연결된 로컬 네트워크를 식별할 수 있다.
마이크(150)는 전자 장치(100)의 외부에서 발생된 사운드(sound) 또는 음성(voice)에 대한 신호를 획득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마이크(150)는 전자 장치(100)의 외부에서 발생된 사운드 또는 음성에 따른 진동을 획득하고, 획득된 진동을 전기적인 신호로 변환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있어서, 마이크(150)는 전자 장치(100)의 사용자(즉, 수신자)의 발화에 의해 발생된 사용자 음성에 대한 음성 신호를 획득할 수 있다. 그리고, 획득된 신호는 디지털 형태의 신호로 변환되어 메모리(120)에 저장될 수 있다. 마이크(150)는 A/D 컨버터(Analog to Digital Converter)를 포함할 수 있으며, 마이크(150) 외부에 위치한 A/D 컨버터와 연동하여 동작할 수도 있다.
스피커(160)는 프로세서(130)의 제어에 의하여 오디오 데이터를 출력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있어서, 스피커(160)는 발신자의 발화에 의해 생성된 음성 신호에 기초하여 발신자의 음성을 출력할 수 있다.
마이크(150) 및 스피커(160)는 각각 본 개시에 따른 발신자와 수신자 사이의 통화를 수행할 수 있도록 수신자의 음성을 입력받는 오디오 입력부와 발신자의 음성을 출력하는 오디오 출력부의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다만, 전자 장치(100)에 마이크(150) 및 스피커(160)가 포함되지 않은 경우에도, 통신부(110)를 통해 외부 장치와 오디오 데이터를 송수신함으로써 발신자와 수신자 사이의 통화를 수행하는 것도 가능하디.
디스플레이(170)는 프로세서(130)의 제어에 의하여 영상 데이터를 출력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디스플레이(170)는 프로세서(130)의 제어에 의하여 메모리(120)에 기 저장된 영상을 출력할 수 있다. 특히,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170)는 메모리(120)에 저장된 사용자 인터페이스(User Interface)를 표시할 수도 있다.
디스플레이(170)는 LCD(Liquid Crystal Display Panel), OLED(Organic Light Emitting Diodes) 등으로 구현될 수 있으며, 또한 디스플레이(170)는 경우에 따라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투명 디스플레이 등으로 구현되는 것도 가능하다. 다만, 본 개시에 따른 디스플레이(170)가 특정한 종류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특히, 디스플레이(170)는 발신자의 통화 요청이 수신되었음을 나타내는 정보, 발신자와의 통화 세션이 개시되었음을 나타내는 정보, 발신자와의 통화 세션이 종료되었음을 나타내는 정보 등과 같은 다양한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또한, 발신자와 수신자 사이에 수행되는 통화가 영상 통화인 경우, 디스플레이(170)는 발신자에 대응되는 이미지 및/또는 수신자에 대응되는 이미지를 출력할 수 있다.
이상에서는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본 개시에 따른 전자 장치(100)의 구성들에 대해 상술하였으나, 이와 같은 구성들은 예시적인 것에 불과할 뿐이며, 본 개시를 실시함에 있어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은 구성들에 더하여 새로운 구성들이 추가되거나 일부 구성들이 생략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 3은 본 개시에 따른 통화 요청이 일반적인 MCPTT 통화 요청인 경우의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그리고, 도 4는 본 개시에 따른 통화 요청이 일반적인 MCPTT 통화 요청인 경우 서버(200), 전자 장치(100) 및 제1 외부 장치(300) 사이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시퀀스도이다. 이하에서는 도 3 및 도 4를 참조하여 일반적인 MCPTT 통화 요청이 수신되는 경우에 관련된 실시 예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발신자는 발신자의 단말 장치(400)인 스마트 폰을 이용하여 서버(200)에 일반적인 MCPTT 세션을 요청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서버(200)는 발신자의 MCPTT 세션 요청을 수신자의 전자 장치(100)인 스마트 폰에 전송할 수 있다.
이 경우, 수신자는 수신자의 전자 장치(100)인 스마트 폰을 이용하여 다른 발신자와 통화 중이고, 수신자의 전자 장치(100)인 스마트 폰과 수신자의 외부 장치(300)인 스마트 워치는 블루투스 방식을 통해 페어링된 상태일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은 상태에서, 본 개시에 따른 전자 장치(100), 서버(200) 및 제1 외부 장치(30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은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서버(200)는 발신자의 통화 요청을 수신하고(S410), 발신자의 통화 요청을 전자 장치(100)로 전송할 수 있다(S415). 여기서, 발신자의 통화 요청은 긴급 MCPTT 기술에 따른 통화 요청이 아닌 일반적인 MCPTT 기술에 따른 통화 요청을 말한다.
전자 장치(100)는 발신자의 통화 요청을 수신하고(S420), 수신자가 다른 발신자와 통화 중인지 여부를 식별할 수 있다(S425). 구체적으로, 전자 장치(100)는 수신자의 전자 장치(100)와 발신자의 다른 전자 장치(100) 사이에 통화 세션이 수립되었는지 여부에 기초하여, 수신자가 다른 발신자와 통화 중인지 여부를 식별할 수 있다.
수신자가 다른 발신자와 통화 중이 아니면(S425-N), 전자 장치(100)는 통화 요청에 대한 응답을 서버(200)로 전송할 수 있고(S430), 서버(200)는 통화 요청에 대한 응답을 수신할 수 있다(S435). 이 경우, 도 4에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서버(200)의 중계에 의해 발신자와 수신자 사이에 통화가 수행될 수 있다.
수신자가 다른 발신자와 통화 중이면(S425-Y), 전자 장치(100)는 전자 장치(100)와 연결된 적어도 하나의 외부 장치 중 전자 장치(100)와 인접한 제1 외부 장치(300)를 식별할 수 있다(S440). 구체적으로, 전자 장치(100)는 다양한 통신 방식을 이용하여 전자 장치(100)와 연결된 적어도 하나의 외부 장치를 식별할 수 있으며, 전자 장치(100)와 적어도 하나의 외부 장치 사이의 거리에 기초하여 전자 장치(100)와 연결된 적어도 하나의 외부 장치 중 전자 장치(100)에 근접한 제1 외부 장치(300)를 식별할 수 있다.
제1 외부 장치(300)가 식별되면, 전자 장치(100)는 제1 외부 장치(300)에 대한 식별 정보 및 통화 요청에 대한 응답을 전송할 수 있다(S445). 여기서, 식별 정보는 제1 외부 장치(300)의 SIM(subscriber identity module) 정보일 수 있다.
서버(200)는 통화 요청에 대한 응답을 수신할 수 있으며(S450), 제1 외부 장치(300)로 발신자의 통화 요청을 전송할 수 있다(S455). 다시 말해, 서버(200)는 발신자의 통화 요청을 제1 외부 장치(300)로 리디렉션할 수 있다.
그리고, 제1 외부 장치(300)는 발신자의 통화 요청을 수신하고(S460), 통화 요청에 대한 응답을 전송할 수 있으며(S465), 이에 따라 발신자와 수신자 사이의 통화가 수행될 수 있다(S470). 발신자와 수신자 사이의 통화가 수행되는 경우 기존의 통화 세션은 유지될 수도 있고 종료될 수도 있다.
한편, 상술한 바와 같은 도 3 및 도 4의 실시 예는 다양한 시나리오에서 적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구급 대원의 관리자가 구급 대원과 긴급 통화를 수행하고자 하는 경우, 도 3 및 도 4의 실시 예에 따르면, 구급 대원이 스마트 폰을 이용하여 다른 발신자와 통화 중인 경우에도 구급 대원의 스마트 워치 등과 같은 외부 장치에 통화 요청을 전송함으로써 긴급 통화를 수행할 수 있다. 이에 따라, 구급 대원에게 긴급 상황에 대한 메시지를 신속하게 전달함으로써 긴급 상황에 효과적으로 대처할 수 있게 된다.
구급 대원뿐만 아니라, 수신자가 소방관, 경찰 또는 광산 근로자 등과 같이 수신자가 긴급 상황에 대한 신속한 대처가 필요한 경우에도 도 3 및 도 4의 실시 예가 마찬가지로 적용될 수 있다.
도 5는 본 개시에 따른 통화 요청이 긴급 MCPTT 통화 요청인 경우의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그리고, 도 6은 본 개시에 따른 통화 요청이 긴급 MCPTT 통화 요청인 경우 서버(200), 전자 장치(100) 및 제1 외부 장치(300) 사이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시퀀스도이다. 이하에서는 도 5 및 도 6을 참조하여 긴급 MCPTT 통화 요청이 수신되는 경우에 관련된 실시 예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발신자는 발신자의 단말 장치(400)인 스마트 폰을 이용하여 서버(200)에 긴급 MCPTT 세션을 요청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서버(200)는 발신자의 MCPTT 세션 요청을 수신자의 전자 장치(100)인 스마트 폰에 전송할 수 있다.
한편, 수신자의 전자 장치(100)인 스마트폰과 수신자의 집 내부에 있는 허브 장치(300-1)는 Wi-Fi 방식으로 연결될 수 있으며, 허브 장치(300-1)는 Wi-Fi 방식으로 수신자의 집 내부에 있는 조명(300-2), 스피커 장치(300-3), 냉장고(300-4) 및 스마트 워치(300-5)와 연결될 수 있다. 물론, 도 5에 도시된 것과는 달리, 수신자의 스마트폰은 허브 장치(300-1), 조명(300-2), 스피커 장치(300-3), 냉장고(300-4) 및 스마트 워치(300-5) 모두와 직접 연결될 수도 있다.
이 경우, 수신자는 수신자의 전자 장치(100)인 스마트 폰 근처에 존재하지 않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수신자는 수신자의 집 안에 있지만 전자 장치(100), 즉 스마트 폰 근처가 아닌 조명 근처에 위치할 수 있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은 상태에서, 본 개시에 따른 전자 장치(100), 서버(200) 및 복수의 외부 장치(300-1, 300-2, 300-3, 300-4, 300-5)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은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도 6을 참조하면, 서버(200)는 발신자의 통화 요청을 수신하고(S610), 발신자의 통화 요청을 전자 장치(100)로 전송할 수 있다(S615). 여기서, 발신자의 통화 요청은 일반적인 MCPTT 기술에 따른 통화 요청이 아닌 긴급 MCPTT 기술에 따른 통화 요청을 말한다.
전자 장치(100)는 발신자의 통화 요청을 수신하고(S620), 통화 요청에 따른 통화 세션을 개시할 수 있다(S625). 다시 말해, 전자 장치(100)는 수신자가 다른 발신자와 통화 중이면 현재 통화를 끊고 수신된 통화 요청에 따른 통화 세션을 개시할 수 있다.
긴급 MCPTT 통화 요청에 따라 수신자와 발신자 사이의 통화 세션이 개시된 후 기 설정된 임계 시간 동안 통화 요청에 대한 수신자의 응답이 수신되면(S630-Y), 전자 장치(100)는 수신자의 응답을 서버(200)로 전송할 수 있으며(S635), 서버(200)는 수신자의 응답을 수신할 수 있다(S640). 이 경우, 서버(200)는 수신자의 응답을 발신자의 외부 장치수신자와 발신자 사이의 통화가 수행될 수 있다.
긴급 MCPTT 통화 요청에 따라 수신자와 발신자 사이의 통화 세션이 개시된 후 기 설정된 임계 시간 동안 통화 요청에 대한 수신자의 응답이 수신되지 않으면(S630-N), 서버(200)는 제1 외부 장치(300)로 통화 세션이 개시되었음을 나타내는 알림을 전송할 수 있다(S645). 이에 따라, 제1 외부 장치(300)는 서버(200)로부터 통화 세션이 개시되었음을 나타내는 알림을 수신할 수 있다(S650). 그리고, 제1 외부 장치(300)는 수신된 알림을 출력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S655), 다른 외부 장치들이 수신된 알림을 출력하도록, 수신된 알림에 대응되는 제어 신호를 다른 외부 장치로 전송할 수 있다(S660). 특히, 통화 세션이 개시되었음을 나타내는 알림은 기 설정된 주기로 하나 이상의 외부 장치에 전송될 수 있다.
허브 장치(300-1)는 복수의 외부 장치들을 기반으로 IoT(internet of things) 환경이 구축된 경우, IoT 환경의 중심적인 역할을 수행하여 복수의 장치들과의 커뮤니케이션을 수행하는 장치일 수 있다. 예를 들어, 허브 장치(300-1)는 수신자의 TV일 수 있다.
허브 장치(300-1)로부터 제어 신호가 수신되면, 조명(300-2)은 여러 번 켜짐/꺼짐 상태를 변경하여 깜박임으로써 수신자에게 통화 세션이 개시되었음을 나타내는 알림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조명(300-2)는 조명(300-2)에 의해 방출되는 광의 색상을 변경함으로써 수신자에게 통화 세션이 개시되었음을 나타내는 알림을 제공할 수 있다.
허브 장치(300-1)로부터 제어 신호가 수신되면, 스피커 장치(300-3)는 통화 세션이 개시되었음을 나타내는 음성을 출력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스피커 장치(300-3)는 통화 요청에 대한 수신자의 응답에 기초하여 발신자와 수신자 사이의 통화가 수행되거나, 임계 시간까지도 수신자의 응답이 없어 발신자와 수신자 사이의 통화 세션이 종료되기 전까지 통화 세션이 개시되었음을 나타내는 음성을 출력할 수 있다.
허브 장치(300-1)로부터 제어 신호가 수신되면, 냉장고(300-4)는 냉장고의 디스플레이를 통해 통화 세션이 개시되었음을 나타내는 알림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냉장고(300-4)는 디스플레이를 여러 번 깜빡이거나 디스플레이에 표시되는 정보의 색상을 변경함으로써 수신자에게 통화 세션이 개시되었음을 나타내는 알림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냉장고(300-4)에 스피커가 포함된 경우, 냉장고(300-4)는 통화 세션이 개시되었음을 나타내는 음성을 출력할 수도 있다.
허브 장치(300-1)로부터 제어 신호가 수신되면, 스마트 워치(300-5)는 여러 번 켜짐/꺼짐 상태를 변경하여 깜박이는 방식으로 통화 세션이 개시되었음을 나타내는 알림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스마트 워치(300-5)는 햅틱(haptic) 진동을 제공하거나 스피커를 통해 음성을 출력하거나, 디스플레이를 통해 알림을 제공하는 방식 등으로 사용자의 응답을 촉구할 수 있다.
한편, 수신자의 전자 장치(100)인 스마트 폰이 복수의 외부 장치(300-1, 300-2, 300-3, 300-4, 300-5)에 대한 허브 장치로서의 기능을 수행하는 경우, 전자 장치는 복수의 외부 장치(300-1, 300-2, 300-3, 300-4, 300-5)로 통화 세션이 개시되었음을 나타내는 알림 또는 그에 대응되는 제어 신호를 직접 전송할 수도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도 5 및 도 6의 실시 예는 다양한 시나리오에서 적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경찰, 소방관 또는 구급 대원 등이 근무 중이 아니거나 수면 중인 경우, 도 5 및 도 6의 실시 예에 따르면, 긴급 상황을 알리기 위한 통화 요청 또는 알림이 경찰, 소방관 또는 구급 대원 주변의 다양한 장치로 제공되므로 긴급 상황에 효과적으로 대처할 수 있게 된다.
또 다른 예를 들어, 고령자가 기 설정된 보호자에게 비상 통화를 요청하는 경우, 도 5 및 도 6의 실시 예에 따르면 긴급 구조를 위한 통화 요청 또는 알림이 기 설정된 보호자 주변의 다양한 장치로 제공되므로 고령자의 긴급 구조 요청에 신속하게 대응할 수 있게 된다.
도 7은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100)의 제어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자 장치(100)는 서버로부터 발신자의 통화 요청을 수신할 수 있다(S710). 여기서, 발신자의 통화 요청은 일반적인 MCPTT 통화 요청일 수 있다.
발신자의 통화 요청이 수신되면, 전자 장치(100)는 전자 장치(100)의 사용자인 수신자가 다른 발신자와 통화 중인지 여부를 식별할 수 있다(S720).
수신자가 다른 발신자와 통화 중이 아닌 것으로 식별되면(S720-N), 전자 장치(100)는 통화 요청에 대한 응답을 서버로 전송할 수 있으며(S730), 이에 기초하여 발신자와 수신자 사이의 통화가 수행될 수 있다.
수신자가 다른 발신자와 통화 중인 것으로 식별되면(S720-N), 전자 장치(100)는 전자 장치(100)와 연결된 적어도 하나의 외부 장치 중 전자 장치(100)에 근접한 제1 외부 장치를 식별할 수 있다(S740). 구체적으로, 프로세서는 다양한 통신 방식을 이용하여 전자 장치(100)와 연결된 적어도 하나의 외부 장치를 식별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0)와 연결된 적어도 하나의 외부 장치가 식별되면, 프로세서는 전자 장치(100)와 적어도 하나의 외부 장치 사이의 거리에 기초하여 전자 장치(100)와 연결된 적어도 하나의 외부 장치 중 전자 장치(100)에 근접한 제1 외부 장치를 식별할 수 있다.
제1 외부 장치가 식별되면, 전자 장치(100)는 통화 요청을 제1 외부 장치로 전송하기 위해, 제1 외부 장치에 대한 식별 정보 및 통화 요청에 대한 응답을 서버로 전송할 수 있다(S750). 여기서, 식별 정보라는 용어는 SIM(subscriber identity module) 정보일 수 있다.
제1 외부 장치에 대한 식별 정보 및 통화 요청에 대한 응답이 서버로 전송되면, 서버는 제1 외부 장치에 대한 식별 정보에 기초하여 발신자의 통화 요청을 제1 외부 장치로 리디렉션(redirection)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전자 장치(100)의 수신자는 제1 외부 장치를 통해 발신자와의 통화를 수행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발신자의 통화 요청은 긴급 MCPTT 통화 요청일 수 있다. 그리고, 통화 요청이 긴급 MCPTT 기술에 따른 통화를 수행하기 위한 통화 요청이면, 전자 장치(100)는 수신자가 다른 발신자와 통화 중인지 여부에 관계 없이 통화 요청에 따른 통화 세션을 개시할 수 있다.
긴급 MCPTT 통화 요청에 따라 수신자와 발신자 사이의 통화 세션이 개시된 후 기 설정된 임계 시간 동안 통화 요청에 대한 수신자의 응답이 수신되면, 수신자와 발신자 사이의 통화가 수행될 수 있다.
반대로 기 설정된 임계 시간 동안 통화 요청에 대한 수신자의 응답이 수신되지 않으면, 전자 장치(100)는 통화 세션이 개시되었음을 나타내는 알림을 식별된 적어도 하나의 외부 장치 중 하나 이상의 외부 장치로 전송하도록 통신부를 제어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전자 장치(100)는 수신자의 위치에 기초하여 전자 장치(100)가 연결된 로컬 네트워크를 식별하고, 식별된 로컬 네트워크에 연결된 적어도 하나의 외부 장치로 통화 세션이 개시되었음을 나타내는 알림을 전송할 수 있다.
한편, 전자 장치(100)는 적어도 하나의 외부 장치 중 허브 장치로 통화 세션이 개시되었음을 나타내는 알림을 전송하고, 그에 따라 허브 장치에 의해 나머지 외부 장치로 통화 세션이 개시되었음을 나타내는 알림 또는 알림에 대응되는 제어 신호가 전송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100)의 제어 방법은 프로그램으로 구현되어 전자 장치(100)에 제공될 수 있다. 특히, 전자 장치(100)의 제어 방법을 포함하는 프로그램은 비일시적 판독 가능 매체(non-transitory computer readable medium)에 저장되어 제공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전자 장치(100)의 제어 방법을 실행하는 프로그램을 포함하는 비일시적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매체에 있어서, 전자 장치(100)의 제어 방법은 서버로부터 발신자의 통화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 전자 장치(100)의 사용자인 수신자가 다른 발신자와 통화 중인지 여부를 식별하는 단계, 수신자가 다른 발신자와 통화 중인 것으로 식별되면, 전자 장치(100)와 연결된 적어도 하나의 외부 장치 중 전자 장치(100)에 근접한 제1 외부 장치를 식별하는 단계 및 통화 요청을 식별된 제1 외부 장치로 전송하기 위해, 식별된 제1 외부 장치에 대한 식별 정보 및 통화 요청에 대한 응답을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이상에서 전자 장치(100)의 제어 방법, 그리고 전자 장치(100)의 제어 방법을 실행하는 프로그램을 포함하는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매체에 대해 간략하게 설명하였으나, 이는 중복 설명을 생략하기 위한 것일 뿐이며, 전자 장치(100)에 대한 다양한 실시 예는 전자 장치(100)의 제어 방법, 그리고 전자 장치(100)의 제어 방법을 실행하는 프로그램을 포함하는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매체에 대해서도 적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기기로 읽을 수 있는 저장매체는, 비일시적(non-transitory) 저장매체의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여기서, '비일시적 저장매체'는 실재(tangible)하는 장치이고, 신호(signal)(예: 전자기파)를 포함하지 않는다는 것을 의미할 뿐이며, 이 용어는 데이터가 저장매체에 반영구적으로 저장되는 경우와 임시적으로 저장되는 경우를 구분하지 않는다. 예로, '비일시적 저장매체'는 데이터가 임시적으로 저장되는 버퍼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본 문서에 개시된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방법은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computer program product)에 포함되어 제공될 수 있다.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은 상품으로서 판매자 및 구매자 간에 거래될 수 있다.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은 기기로 읽을 수 있는 저장 매체(예: compact disc read only memory (CD-ROM))의 형태로 배포되거나, 또는 어플리케이션 스토어(예: 플레이 스토어TM)를 통해 또는 두개의 사용자 장치들(예: 스마트폰들) 간에 직접, 온라인으로 배포(예: 다운로드 또는 업로드)될 수 있다. 온라인 배포의 경우에,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예: 다운로더블 앱(downloadable app))의 적어도 일부는 제조사의 서버, 어플리케이션 스토어의 서버, 또는 중계 서버의 메모리와 같은 기기로 읽을 수 있는 저장 매체에 적어도 일시 저장되거나, 임시적으로 생성될 수 있다.
이상에서 상술한 바와 같은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구성 요소(예: 모듈 또는 프로그램) 각각은 단수 또는 복수의 개체로 구성될 수 있으며, 전술한 해당 서브 구성 요소들 중 일부 서브 구성 요소가 생략되거나, 또는 다른 서브 구성 요소가 다양한 실시 예에 더 포함될 수 있다. 대체적으로 또는 추가적으로, 일부 구성 요소들(예: 모듈 또는 프로그램)은 하나의 개체로 통합되어, 통합되기 이전의 각각의 해당 구성 요소에 의해 수행되는 기능을 동일 또는 유사하게 수행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모듈, 프로그램 또는 다른 구성 요소에 의해 수행되는 동작들은 순차적, 병렬적, 반복적 또는 휴리스틱하게 실행되거나, 적어도 일부 동작이 다른 순서로 실행되거나, 생략되거나, 또는 다른 동작이 추가될 수 있다.
한편, 본 개시에서 사용된 용어 "부" 또는 "모듈"은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또는 펌웨어로 구성된 유닛을 포함하며, 예를 들면, 로직, 논리 블록, 부품, 또는 회로 등의 용어와 상호 호환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부" 또는 "모듈"은, 일체로 구성된 부품 또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기능을 수행하는 최소 단위 또는 그 일부가 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모듈은 ASIC(application-specific integrated circuit)으로 구성될 수 있다.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들은 기기(machine)(예: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저장 매체(machine-readable storage media에 저장된 명령어를 포함하는 소프트웨어로 구현될 수 있다. 기기는 저장 매체로부터 저장된 명령어를 호출하고, 호출된 명령어에 따라 동작이 가능한 장치로서, 개시된 실시 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예: 전자 장치(10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명령이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경우, 프로세서가 직접 또는 상기 프로세서의 제어 하에 다른 구성요소들을 이용하여 상기 명령에 해당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명령은 컴파일러 또는 인터프리터에 의해 생성 또는 실행되는 코드를 포함할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개시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개시는 상술한 특정의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개시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개시가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개시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서는 안 될 것이다.
100: 전자 장치 200: 서버
300: 제1 외부 장치 110: 통신부
120: 메모리 130: 마이크
140: 센서 150: 마이크
160: 스피커 170: 디스플레이

Claims (17)

  1. 전자 장치에 있어서,
    통신부;
    적어도 하나의 인스트럭션(instruction)을 저장하는 메모리;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인스트럭션을 실행하는 프로세서; 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인스트럭션을 실행함으로써,
    상기 통신부를 통해 서버로부터 발신자의 통화 요청이 수신되면, 상기 전자 장치의 사용자인 수신자가 다른 발신자와 통화 중인지 여부를 식별하고,
    상기 수신자가 상기 다른 발신자와 통화 중인 것으로 식별되면, 상기 전자 장치와 연결된 적어도 하나의 외부 장치 중 상기 전자 장치에 근접한 제1 외부 장치를 식별하고,
    상기 통화 요청을 상기 식별된 제1 외부 장치로 전송하기 위해, 상기 식별된 제1 외부 장치에 대한 식별 정보 및 상기 통화 요청에 대한 응답을 상기 서버로 전송하도록 상기 통신부를 제어하는 전자 장치.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통신부를 통해 상기 적어도 하나의 외부 장치로부터 수신된 신호의 세기에 대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외부 장치 중 상기 전자 장치에 근접한 제1 외부 장치를 식별하는 전자 장치.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통화 요청은 MCPTT(mission critical push to talk) 기술에 따른 통화를 수행하기 위한 통화 요청이고,
    상기 제1 외부 장치는 상기 MCPTT 기술에 따른 통화 요청을 처리할 수 있는 장치인 전자 장치.
  4.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통화 요청이 긴급 MCPTT 기술에 따른 통화를 수행하기 위한 통화 요청이면, 상기 통화 요청에 따른 통화 세션을 개시하고,
    기 설정된 임계 시간 동안 상기 통화 요청에 대한 상기 수신자의 응답이 수신되지 않으면, 상기 통화 세션이 개시되었음을 나타내는 알림을 상기 식별된 적어도 하나의 외부 장치 중 하나 이상의 외부 장치로 전송하도록 상기 통신부를 제어하는 전자 장치.
  5.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수신자의 위치에 기초하여 상기 전자 장치가 연결된 로컬 네트워크를 식별하며,
    상기 식별된 로컬 네트워크에 연결된 하나 이상의 외부 장치를 상기 적어도 하나의 외부 장치로 식별하는 전자 장치.
  6.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자의 위치는 상기 전자 장치에 포함된 위치 정보 센서를 통해 수신된 사용자 위치 정보, 상기 통신부를 통해 외부 장치로부터 수신된 신호의 세기에 대한 정보 및 상기 로컬 네트워크에 대해 기 저장된 네트워크 위치 정보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식별되는 전자 장치.
  7.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알림 및 상기 알림을 브로드캐스팅(broadcasting)하기 위한 요청을 상기 하나 이상의 외부 장치 중 제2 외부 장치로 전송하도록 상기 통신부를 제어하며,
    상기 제2 외부 장치는 상기 요청에 기초하여 상기 알림에 대응되는 제어 신호를 상기 적어도 하나의 외부 장치 중 상기 제2 외부 장치 이외의 모든 외부 장치로 전송하는 전자 장치.
  8. 제7 항에 있어서,
    상기 알림은 기 설정된 주기로 상기 하나 이상의 외부 장치에 전송되는 전자 장치.
  9. 전자 장치의 제어 방법에 있어서,
    서버로부터 발신자의 통화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전자 장치의 사용자인 수신자가 다른 발신자와 통화 중인지 여부를 식별하는 단계;
    상기 수신자가 상기 다른 발신자와 통화 중인 것으로 식별되면, 상기 전자 장치와 연결된 적어도 하나의 외부 장치 중 상기 전자 장치에 근접한 제1 외부 장치를 식별하는 단계; 및
    상기 통화 요청을 상기 식별된 제1 외부 장치로 전송하기 위해, 상기 식별된 제1 외부 장치에 대한 식별 정보 및 상기 통화 요청에 대한 응답을 상기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의 제어 방법.
  10. 제9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외부 장치를 식별하는 단계는,
    상기 통신부를 통해 상기 적어도 하나의 외부 장치로부터 수신된 신호의 세기에 대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외부 장치 중 상기 전자 장치에 근접한 제1 외부 장치를 식별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의 제어 방법.
  11. 제9 항에 있어서,
    상기 통화 요청은 MCPTT(mission critical push to talk) 기술에 따른 통화를 수행하기 위한 통화 요청이고,
    상기 제1 외부 장치는 상기 MCPTT 기술에 따른 통화 요청을 처리할 수 있는 장치인 전자 장치의 제어 방법.
  12. 제9 항에 있어서,
    상기 통화 요청이 긴급 MCPTT 기술에 따른 통화를 수행하기 위한 통화 요청이면, 상기 통화 요청에 따른 통화 세션을 개시하는 단계; 및
    기 설정된 임계 시간 동안 상기 통화 요청에 대한 상기 수신자의 응답이 수신되지 않으면, 상기 통화 세션이 개시되었음을 나타내는 알림을 상기 식별된 적어도 하나의 외부 장치 중 하나 이상의 외부 장치로 전송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전자 장치의 제어 방법.
  13. 제12 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자의 위치에 기초하여 상기 전자 장치가 연결된 로컬 네트워크를 식별하는 단계; 및
    상기 식별된 로컬 네트워크에 연결된 하나 이상의 외부 장치를 상기 적어도 하나의 외부 장치로 식별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전자 장치의 제어 방법.
  14. 제13 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자의 위치는 상기 전자 장치에 포함된 위치 정보 센서를 통해 수신된 사용자 위치 정보, 외부 장치로부터 수신된 신호의 세기에 대한 정보 및 상기 로컬 네트워크에 대해 기 저장된 네트워크 위치 정보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식별되는 전자 장치의 제어 방법.
  15. 제12 항에 있어서,
    상기 알림 및 상기 알림을 브로드캐스팅(broadcasting)하기 위한 요청을 상기 하나 이상의 외부 장치 중 제2 외부 장치로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2 외부 장치는 상기 요청에 기초하여 상기 알림에 대응되는 제어 신호를 상기 적어도 하나의 외부 장치 중 상기 제2 외부 장치 이외의 모든 외부 장치로 전송하는 전자 장치의 제어 방법.
  16. 제15 항에 있어서,
    상기 알림은 기 설정된 주기로 상기 하나 이상의 외부 장치에 전송되는 전자 장치의 제어 방법.
  17. 전자 장치의 제어 방법을 실행하는 프로그램을 포함하는 비일시적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매체에 있어서,
    상기 전자 장치의 제어 방법은,
    서버로부터 발신자의 통화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전자 장치의 사용자인 수신자가 다른 발신자와 통화 중인지 여부를 식별하는 단계;
    상기 수신자가 상기 다른 발신자와 통화 중인 것으로 식별되면, 상기 전자 장치와 연결된 적어도 하나의 외부 장치 중 상기 전자 장치에 근접한 제1 외부 장치를 식별하는 단계; 및
    상기 통화 요청을 상기 식별된 제1 외부 장치로 전송하기 위해, 상기 식별된 제1 외부 장치에 대한 식별 정보 및 상기 통화 요청에 대한 응답을 상기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를 포함하는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매체.
KR1020220012644A 2022-01-27 2022-01-27 전자 장치 및 전자 장치의 제어 방법 KR20230115778A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12644A KR20230115778A (ko) 2022-01-27 2022-01-27 전자 장치 및 전자 장치의 제어 방법
PCT/KR2023/001167 WO2023146289A1 (ko) 2022-01-27 2023-01-26 전자 장치 및 전자 장치의 제어 방법
US18/324,675 US20230300574A1 (en) 2022-01-27 2023-05-26 Electronic device and controlling method of electronic devi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12644A KR20230115778A (ko) 2022-01-27 2022-01-27 전자 장치 및 전자 장치의 제어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15778A true KR20230115778A (ko) 2023-08-03

Family

ID=874719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12644A KR20230115778A (ko) 2022-01-27 2022-01-27 전자 장치 및 전자 장치의 제어 방법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20230300574A1 (ko)
KR (1) KR20230115778A (ko)
WO (1) WO2023146289A1 (ko)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102841B2 (en) * 2006-12-05 2012-01-24 Microsoft Corporation Auxiliary peripheral for alerting a computer of an incoming call
KR101478621B1 (ko) * 2008-01-15 2015-01-02 삼성전자주식회사 UPnP 네트워크에 다중으로 원격 접속 서비스를제공하는 UPnP 장치 및 그 방법
KR101510730B1 (ko) * 2008-09-12 2015-04-10 삼성전자주식회사 무선 통신 네트워크에서 위치 기반 착신 전환 서비스 방법 및 장치
JP6485258B2 (ja) * 2015-07-06 2019-03-20 富士通コネクテッドテクノロジーズ株式会社 通信装置および情報通知プログラム
KR20170078426A (ko) * 2015-12-29 2017-07-07 주식회사 케이티 스마트폰 착신 전환 제공 시스템 및 그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3146289A1 (ko) 2023-08-03
US20230300574A1 (en) 2023-09-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198925B2 (en) Home automation communication system
US10182138B2 (en) Smart way of controlling car audio system
US9301087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nnecting a bluetooth device
US10404847B1 (en) Apparatus, method, and computer readable medium for communicating between a user and a remote smartphone
US20190372893A1 (en) Method for routing communications from a mobile device to a target device
WO2018095235A1 (zh) 呼叫转移方法与系统
US20120021729A1 (en) Application Audio Announcements Using Wireless Protocols
CN105487887B (zh) 一种蓝牙启动方法及蓝牙设备
JP2008193272A (ja) 無線通信装置
US10075832B2 (en) Communication device, method for controlling communication device, and storage medium
US9438727B2 (en) System and method to track and log mobile communication device call status when the device is not in possession
US9137645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dynamic call based user ID
KR20230115778A (ko) 전자 장치 및 전자 장치의 제어 방법
EP3110182A1 (en) Communication system, server device, communication device, and communication method
US20150271649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a back channel in a half-duplex communication system
JP6308879B2 (ja) 通信端末及び着信制御方法
KR101649363B1 (ko) 이동 단말 및 이동 단말에서의 전화 수신 방법
KR20120102472A (ko) 휴대폰 수신 알림이
US20240137744A1 (en) Communication terminal, monitoring method, and non-transitory computer readable medium
CN113132540B (zh) 通话建立方法及语音接入网关、设备、存储介质
WO2024092627A1 (zh) 信息传输方法及装置、存储介质
WO2024060248A1 (zh) 业务接入控制方法、装置、存储介质、用户设备以及网络侧设备
US20230015374A1 (en) Data transmission method and device, and computer storage medium
US20170223545A1 (en) Communication terminal device, and control method therefor
US20150334558A1 (en) Methods for configuring a mobile device and related mobile devic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