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15683A - Steering control apparatus and controlling method for autonomous vehicle - Google Patents

Steering control apparatus and controlling method for autonomous vehicl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15683A
KR20230115683A KR1020220012420A KR20220012420A KR20230115683A KR 20230115683 A KR20230115683 A KR 20230115683A KR 1020220012420 A KR1020220012420 A KR 1020220012420A KR 20220012420 A KR20220012420 A KR 20220012420A KR 20230115683 A KR20230115683 A KR 2023011568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eering
sensor
vehicle
steering angle
weigh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12420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박윤영
백순호
Original Assignee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2001242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115683A/en
Publication of KR2023011568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15683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5/00Power-assisted or power-driven steering
    • B62D5/04Power-assisted or power-driven steering electrical, e.g. using an electric servo-motor connected to, or forming part of, the steering gear
    • B62D5/0457Power-assisted or power-driven steering electrical, e.g. using an electric servo-motor connected to, or forming part of, the steering gear characterised by control features of the drive means as such
    • B62D5/0481Power-assisted or power-driven steering electrical, e.g. using an electric servo-motor connected to, or forming part of, the steering gear characterised by control features of the drive means as such monitoring the steering system, e.g. failures
    • B62D5/0484Power-assisted or power-driven steering electrical, e.g. using an electric servo-motor connected to, or forming part of, the steering gear characterised by control features of the drive means as such monitoring the steering system, e.g. failures for reaction to failures, e.g. limp hom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15/00Steer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2D15/02Steering position indicators ; Steering position determination; Steering aids
    • B62D15/021Determination of steering angle
    • B62D15/0215Determination of steering angle by measuring on the steering colum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15/00Steer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2D15/02Steering position indicators ; Steering position determination; Steering aids
    • B62D15/025Active steering aids, e.g. helping the driver by actively influencing the steering system after environment evalu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5/00Power-assisted or power-driven steering
    • B62D5/04Power-assisted or power-driven steering electrical, e.g. using an electric servo-motor connected to, or forming part of, the steering gear
    • B62D5/0409Electric motor acting on the steering colum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5/00Power-assisted or power-driven steering
    • B62D5/04Power-assisted or power-driven steering electrical, e.g. using an electric servo-motor connected to, or forming part of, the steering gear
    • B62D5/0457Power-assisted or power-driven steering electrical, e.g. using an electric servo-motor connected to, or forming part of, the steering gear characterised by control features of the drive means as such
    • B62D5/046Controlling the motor
    • B62D5/0463Controlling the motor calculating assisting torque from the motor based on driver inpu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5/00Power-assisted or power-driven steering
    • B62D5/04Power-assisted or power-driven steering electrical, e.g. using an electric servo-motor connected to, or forming part of, the steering gear
    • B62D5/0457Power-assisted or power-driven steering electrical, e.g. using an electric servo-motor connected to, or forming part of, the steering gear characterised by control features of the drive means as such
    • B62D5/0481Power-assisted or power-driven steering electrical, e.g. using an electric servo-motor connected to, or forming part of, the steering gear characterised by control features of the drive means as such monitoring the steering system, e.g. failures
    • B62D5/049Power-assisted or power-driven steering electrical, e.g. using an electric servo-motor connected to, or forming part of, the steering gear characterised by control features of the drive means as such monitoring the steering system, e.g. failures detecting sensor failur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6/00Arrangements for automatically controlling steering depending on driving conditions sensed and responded to, e.g. control circuits
    • B62D6/002Arrangements for automatically controlling steering depending on driving conditions sensed and responded to, e.g. control circuits computing target steering angles for front or rear wheels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DSYSTEMS FOR CONTROLLING OR REGULATING NON-ELECTRIC VARIABLES
    • G05D1/00Control of position, course, altitude or attitude of land, water, air or space vehicles, e.g. using automatic pilots
    • G05D1/02Control of position or course in two dimensions
    • G05D1/021Control of position or course in two dimensions specially adapted to land vehicles
    • G05D1/0231Control of position or course in two dimensions specially adapted to land vehicles using optical position detecting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306/00Other features of vehicle sub-units
    • B60Y2306/13Failsafe arrang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Remote Sensing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Steering Control In Accordance With Driving Condit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율 주행을 위한 조향 제어장치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으로, 자율주행 중에 조향각센서 및 토크센서 중 어느 하나에 고장이 발생하는 경우 중량센서로부터 토크값을 추정하고 카메라를 이용하여 조향각을 추정하여, 제어이력을 기반으로 조향모터를 제어함으로써 자율 주행을 유지하고, 조향각센서 및 토크센서에 대한 리던던시를 확보하여 사고를 예방하고 자동차의 안전성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teering control device for autonomous driving and a control method thereof, and in case a failure occurs in either a steering angle sensor or a torque sensor during autonomous driving, a torque value is estimated from a weight sensor and a steering angle is estimated using a camera. Thus, autonomous driving is maintained by controlling the steering motor based on the control history, and redundancy for the steering angle sensor and the torque sensor is secured to prevent accidents and improve vehicle safety.

Description

자율 주행을 위한 조향 제어장치 및 그 제어방법{STEERING CONTROL APPARATUS AND CONTROLLING METHOD FOR AUTONOMOUS VEHICLE} Steering control device and control method for autonomous driving {STEERING CONTROL APPARATUS AND CONTROLLING METHOD FOR AUTONOMOUS VEHICLE}

본 발명은 센서에 고장이 발생하더라도 조향모터를 제어하기 위한 데이터를 추정하여 주행방향을 제어함으로써 자율 주행을 유지하는 자율 주행을 위한 조향 제어장치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teering control device for autonomous driving and a control method thereof for maintaining autonomous driving by estimating data for controlling a steering motor and controlling a driving direction even if a failure occurs in a sensor.

자율주행 자동차는 운전자의 개입 없이 주변 환경을 인식하고, 주행 상황을 판단하여 차량을 제어함으로써 스스로 주어진 목적지까지 주행하는 자동차이다. An autonomous vehicle is a vehicle that drives to a given destination by itself by recognizing the surrounding environment, determining the driving situation, and controlling the vehicle without driver intervention.

도로는 직선도로뿐만 아니라 곡선도로 회전형도로가 존재하고, 내리막길 또는 오르막길이 존재하므로, 자동차는 도로의 상태를 확인하여 주향방향을 변경하면서 주행할 필요가 있다. Since there are not only straight roads but also curved roads and round roads, and there are downhill or uphill roads, the vehicle needs to check the state of the road and change the driving direction while driving.

또한, 자동차는 도로를 단독 주행하는 것이 아니므로, 주변의 차량의 위치를 파악하고, 주변 차량의 위치 변화에 따라 차량간의 충돌을 방지하면서 주행을 제어할 필요가 있다. In addition, since a car does not travel alone on the road, it is necessary to determine the location of surrounding vehicles and to control driving while preventing collisions between vehicles according to changes in the location of surrounding vehicles.

자동차는 획득되는 정보를 바탕으로 조향각을 제어함으로써 주행 방향을 제어하며 자율 주행을 수행한다. The vehicle performs autonomous driving by controlling the driving direction by controlling the steering angle based on acquired information.

자동차는 자율 주행 시 변경하고자 하는 주행 방향에 따라 지령 조향각을 출력하여 조향장치를 제어한다. 자동차는 조향장치를 제어하는데 있어서, 조향각센서와 토크센서의 감지값을 기반으로 실제 이동한 각도를 산출하고, 현재 주행방향과 목표 주행방향을 고려하여 휠의 각도를 조정하기 위해 조향장치를 제어한다. The vehicle controls the steering system by outputting a command steering angle according to the driving direction to be changed during autonomous driving. In controlling the steering system, the vehicle calculates the actual movement angle based on the detected values of the steering angle sensor and the torque sensor, and controls the steering system to adjust the angle of the wheel considering the current driving direction and the target driving direction. .

한편, 조향각센서 및 토크센서 중 어느 하나에 고장이 발생하는 경우, 자동차는 조향장치를 제어할 수 없어 자율주행모드를 해제하고 수동운전 모드로 전환한다. Meanwhile, when a failure occurs in one of the steering angle sensor and the torque sensor, the vehicle cannot control the steering device, and thus releases the autonomous driving mode and switches to the manual driving mode.

그러나 운전자가 운전석에 착석한 상태에서 자율주행모드의 해제에 대한 경고가 출력되더라도 즉시 운전을 시작하기 어려운 문제가 있다. 운전자는 순간적으로 운전을 해야하는 만큼 적응에 시간이 필요하고, 운전할 수 없는 상황이 발생할 수 있으므로 사고가 발생할 수 있는 문제가 있다. However, there is a problem in that it is difficult to immediately start driving even if a warning about the release of the autonomous driving mode is output while the driver is seated in the driver's seat. A driver needs time to adapt as he has to drive instantaneously, and an accident may occur because a situation in which he cannot drive may occur.

자동차는 이러한 부품의 고장에 대비하여 자율 주행이 유지될 수 있도록 다양한 수단을 구비하고는 있으나, 조향제어에 있어서 조향각센서와 토크센서의 고장에 대비할 수단이 마련되어 있지 않아 리던던시를 확보할 필요가 있다. Vehicles are provided with various means to maintain autonomous driving in preparation for failure of these parts, but there is no means to prepare for failure of the steering angle sensor and torque sensor in steering control, so it is necessary to secure redundancy.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2286847호, "조향토크 추정 장치 및 방법"은, 토크센서 고장 시 다른 센서를 이용하여 운전자가 스티어링 휠에 가하는 조향토크값을 계산하여 조향토크를 추정하여 조향모터를 제어한다. Korean Patent Registration No. 10-2286847, “Steering torque estimation apparatus and method” calculates the value of steering torque applied to a steering wheel by a driver using another sensor when a torque sensor fails, estimates the steering torque, and controls the steering motor .

그러나 이러한 기술은 운전자가 스티어링 휠을 수동조작하거나 운전자의 주행 제어를 보조하는 정도의 주행모드에는 적용할 수 있으나, 탑승자가 스티어링 휠을 조작하지 않는 자율주행에는 적용할 수 없다는 문제가 있다. However, this technology can be applied to a driving mode in which the driver manually operates the steering wheel or assists the driver in driving control, but cannot be applied to autonomous driving in which the driver does not operate the steering wheel.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2286847호Republic of Korea Patent No. 10-2286847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필요성에 의해 창출된 것으로서, 자율주행 중에 조향각센서 및 토크센서 중 어느 하나에 고장이 발생하더라도 조향각을 추정하고 토크값을 추정하여 조향모터를 제어함으로써 자율 주행을 유지하도록 하여 조향제어에 따른 리던던시를 확보하는 자율 주행을 위한 조향 제어장치 및 그 제어방법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was created by the above necessity, and even if one of the steering angle sensor and the torque sensor fails during autonomous driving, the steering angle is estimated and the torque value is estimated to control the steering motor so as to maintain autonomous driving.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steering control device for autonomous driving that secures redundancy according to control and a control method thereof.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자율 주행을 위한 조향 제어장치는, 차량의 중량을 측정하는 중량센서; 스티어링 휠의 조향축에 설치되는 조향각센서와 토크센서; 전방의 영상을 촬영하는 카메라; 상기 조향축에 연결되어 상기 차량의 주행방향을 변경하는 조향모터; 및 상기 조향각센서 및 상기 토크센서 중 적어도 하나에 고장이 발생하는 경우, 상기 카메라와 영상으로부터 조향각을 추정하고 상기 중량센서로부터 측정되는 상기 차량의 중량을 기반으로 랙추력을 추정하여, 추정된 상기 조향각과 상기 랙추력을 바탕으로 기 저장된 제어이력데이터로부터 매칭데이터를 검색하고, 상기 매칭데이터에 따라 상기 조향모터를 구동하여 자율주행하는 제어기; 를 포함한다. 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a steering control device for autonomous driving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weight sensor for measuring a weight of a vehicle; A steering angle sensor and a torque sensor installed on the steering shaft of the steering wheel; A camera for taking an image of the front; a steering motor connected to the steering shaft to change the driving direction of the vehicle; and when a failure occurs in at least one of the steering angle sensor and the torque sensor, estimating a steering angle from the camera and images and estimating a rack thrust based on the weight of the vehicle measured from the weight sensor, thereby estimating the estimated steering angle. and a controller which retrieves matching data from pre-stored control history data based on the rack thrust and autonomously drives by driving the steering motor according to the matching data; includes

상기 제어기는 상기 토크센서에 고장이 발생하는 경우, 상기 중량에 대응하는 상기 랙추력을 산출하여 상기 조향각센서의 조향각과 매칭하여 어시스트 토크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When a failure occurs in the torque sensor, the controller may generate assist torque by calculating the rack thrust corresponding to the weight and matching the steering angle of the steering angle sensor.

상기 제어기는 상기 차량의 상태를 평지와 하경사로 구분하고 상기 중량을 기반으로 조타력을 발생시키기 상기 랙추력을 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The controller classifies the state of the vehicle into a flat surface and a lower slope, and calculates the rack thrust to generate a steering force based on the weight.

상기 제어기는 상기 차량의 중량이 변경되는 경우 그에 대응하여 상기 랙추력을 다시 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The controller may recalculate the rack thrust force in response to a change in the weight of the vehicle.

상기 카메라를 통해 촬영된 복수의 영상을 분석하여 차선을 검출하고, 상기 차선을 기준으로 제 1 시간에 촬영된 영상과 제 2 시간에 촬영된 영상을 비교하여 상기 차량의 회전각도를 산출하는 영상처리기; 를 더 포함한다. An image processor for detecting a lane by analyzing a plurality of images captured by the camera, and calculating a rotation angle of the vehicle by comparing an image captured at a first time with an image captured at a second time based on the lane ; more includes

상기 제어기는 상기 영상처리기로부터 입력되는 상기 회전각도를 기반으로 상기 차량의 이동을 판단하여 상기 조향각을 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The controller may calculate the steering angle by determining the movement of the vehicle based on the rotation angle input from the image processor.

상기 제어기는 상기 조향각센서에 고장이 발생하는 경우, 상기 영상처리기로부터 산출되는 회전각도에 대응하여 상기 조향각을 산출하여 상기 토크센서의 측정값과 매칭하여 상기 조향모터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When a failure occurs in the steering angle sensor, the controller controls the steering motor by calculating the steering angle corresponding to the rotation angle calculated from the image processor and matching it with a measurement value of the torque sensor.

상기 제어이력데이터를 저장하는 메모리; 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기는 정상주행 중, 상기 조향각센서 및 상기 토크센서로부터 측정되는 조향각 및 토크에 대한 데이터를 상기 제어이력데이터로써 상기 메모리에 누적하여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a memory for storing the control history data; The controller may further include, during normal driving, accumulating and storing data on the steering angle and torque measured from the steering angle sensor and the torque sensor in the memory as the control history data.

상기 제어기는 상기 조향각센서 및 상기 토크센서의 측정값이 설정범위를 벗어난 경우 또는 일정시간 내에 측정값이 입력되지 않는 경우 고장이 발생한 것으로 판단하여 경고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controller may determine that a failure has occurred and generate a warning when the measured values of the steering angle sensor and the torque sensor are out of a set range or when the measured values are not input within a predetermined time.

본 발명에 따른 자율 주행을 위한 조향 제어장치의 제어방법은, 자율주행 중, 스티어링 휠의 조향축에 설치되는 조향각센서 및 토크센서 중 적어도 하나에 고장이 발생하는 경우, 제어기가 경고를 생성하여 출력하는 단계; 카메라를 통해 촬영되는 영상을 기반으로 조향각을 추정하는 단계; 중량센서로부터 측정된 차량의 중량을 기반으로 랙추력을 추정하는 단계; 추정된 상기 조향각 또는 상기 랙추력을 바탕으로 기 저장된 제어이력데이터로부터 매칭데이터를 검색하는 단계; 및 상기 매칭데이터에 따라 조향모터를 구동하여 상기 차량의 주행방향을 제어하는 단계; 를 포함한다. In the control method of a steering control device for autonomous driving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en a failure occurs in at least one of a steering angle sensor and a torque sensor installed on a steering shaft of a steering wheel during autonomous driving, the controller generates and outputs a warning. doing; estimating a steering angle based on an image captured by a camera; estimating rack thrust based on the weight of the vehicle measured by the weight sensor; Searching for matching data from pre-stored control history data based on the estimated steering angle or the rack thrust; and controlling a driving direction of the vehicle by driving a steering motor according to the matching data. includes

상기 조향각을 추정하는 단계는, 상기 조향각센서에 고장이 발생하는 경우, 영상처리기가 상기 카메라를 통해 촬영된 복수의 영상을 분석하여 차선을 검출하는 단계; 상기 차선을 기준으로 제 1 시간에 촬영된 영상과 제 2 시간에 촬영된 영상을 비교하여 상기 차량의 회전각도를 산출하는 단계; 및 상기 제어기가 상기 회전각도를 기반으로 상기 차량의 이동을 판단하고 상기 조향각을 산출하는 단계; 를 포함한다. The estimating of the steering angle may include, when a failure occurs in the steering angle sensor, detecting a lane by analyzing a plurality of images captured by the camera by an image processor; calculating a rotation angle of the vehicle by comparing an image captured at a first time with an image captured at a second time based on the lane; and determining, by the controller, movement of the vehicle based on the rotation angle and calculating the steering angle. includes

상기 조향각센서에 고장이 발생하는 경우, 상기 회전각도에 대응하여 산출되는 상기 조향각 및 상기 토크센서의 측정값에 매칭되는 데이터를 검색하여 상기 조향모터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When a failure occurs in the steering angle sensor, the steering motor may be controlled by searching for data matching the measured value of the torque sensor and the steering angle calculated corresponding to the rotation angle.

상기 랙추력을 추정하는 단계는, 상기 토크센서에 고장이 발생하는 경우, 상기 차량의 중량에 대응하는 상기 랙추력을 산출하여 상기 조향각센서의 조향각과 매칭하여 어시스트 토크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The estimating of the rack thrust may include generating assist torque by calculating the rack thrust corresponding to the weight of the vehicle and matching it with a steering angle of the steering angle sensor when a failure occurs in the torque sensor.

상기 랙추력을 추정하는 단계는, 상기 중량센서가 상기 차량의 중량을 측정하는 단계; 및 상기 차량의 상태를 평지와 하경사로 구분하여 상기 차량의 상태에 따라 상기 중량을 기반으로 조타력을 발생시키기 위한 상기 랙추력을 산출하는 단계; 를 포함한다. The estimating of the rack thrust may include measuring, by the weight sensor, the weight of the vehicle; and calculating the rack thrust for generating a steering force based on the weight according to the state of the vehicle by classifying the state of the vehicle into a flat surface and a lower slope. includes

정상주행 중, 상기 조향각센서 및 상기 토크센서로부터 측정되는 조향각 및 토크에 대한 상기 제어이력데이터를 메모리에 누적하여 저장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고, 상기 조향각센서 및 상기 토크센서의 측정값이 설정범위를 벗어난 경우 또는 일정시간 내에 측정값이 입력되지 않는 경우 고장이 발생한 것으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Accumulating and storing the control history data for the steering angle and torque measured from the steering angle sensor and the torque sensor in a memory during normal driving; Further,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determined that a failure has occurred when the measured values of the steering angle sensor and the torque sensor are out of a set range or when the measured values are not input within a predetermined time.

일 측면에 따르면, 본 발명의 자율 주행을 위한 조향 제어장치 및 그 제어방법은 자율주행중에 조향각센서 및 토크센서 중 어느 하나에 고장이 발생하는 경우 중량센서 및 카메라를 이용하여 조향각 및 토크값을 추정하여 조향모터를 제어함으로써 자율 주행을 유지할 수 있다. According to one aspect, the steering control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for autonomous driving of the present invention estimate the steering angle and torque values using a weight sensor and a camera when a failure occurs in either a steering angle sensor or a torque sensor during autonomous driving. It is possible to maintain autonomous driving by controlling the steering motor.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조향각센서 및 토크센서에 대한 리던던시를 확보하고, 자동차의 사고 발생을 방지하여 안전성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 According to one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an effect of securing redundancy for a steering angle sensor and a torque sensor and improving safety by preventing an accident of a vehicle.

도 1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율 주행을 위한 전동식 조향장치의 구성이 도시된 블록도이다.
도 2 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율 주행을 위한 조향 제어장치의 제어 구성이 도시된 도이다.
도 3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율 주행을 위한 조향 제어장치의 데이터 흐름이 도시된 도이다.
도 4 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율 주행을 위한 조향 제어장치의 제어방법을 설명하는 데 참조되는 도이다.
도 5 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의 중량에 대한 예가 도시된 예시도이다.
도 6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율 주행을 위한 조향 제어장치의 중량별 조타력을 설명하는 데 참조되는 도이다.
1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n electric power steering device for autonomous driving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diagram showing a control configuration of a steering control device for autonomous driving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diagram illustrating a data flow of a steering control device for autonomous driving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diagram referenced to explain a control method of a steering control device for autonomous driving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n exemplary diagram illustrating an example of a weight of a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diagram referenced to explain steering force for each weight of a steering control device for autonomous driving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설명하도록 한다.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써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In this process, the thickness of lines or the size of components shown in the drawings may be exaggerated for clarity and convenience of description. In addition, terms to be described later are terms defined in consideration of functions in the present invention, which may vary according to the intention or custom of a user or operator. Therefore, definitions of these terms will have to be made based on the content throughout this specification.

도 1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율 주행을 위한 전동식 조향장치의 구성이 도시된 블록도이다.1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n electric power steering device for autonomous driving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조향 제어장치(100)는 메모리(180), 중량센서(161), 조향각센서(162), 토크센서(163), 카메라(130), 영상처리기(Image Processor)(140), 디스플레이(181), 스피커(192), 조향모터(120) 및 제어기(ECU)(Electric Control Unit)(110)를 포함한다. As shown in FIG. 1, the steering control device 100 includes a memory 180, a weight sensor 161, a steering angle sensor 162, a torque sensor 163, a camera 130, an image processor ( 140), a display 181, a speaker 192, a steering motor 120, and a controller (Electric Control Unit) (ECU) 110.

제어기(ECU)(110) 및 영상처리기(140)는 적어도 하나의 마이크로 프로세서(Micro Processor)를 포함한다. The controller (ECU) 110 and the image processor 140 include at least one microprocessor.

조향 제어장치(100)는 통신모듈(미도시)을 통해 외부의 데이터베이스(DB)(미도시) 또는 도로정보를 제공하는 외부 서버와 통신하며, 메모리(180)에 저장되는 데이터를 바탕으로 자율 주행하도록 제어한다. 통신모듈은 차량 내부의 데이터 송수신을 위한 CAN통신은 물론, 블루투스(BLUETOOTH) 등의 근거리 통신, 외부 서버 등과의 연결을 위한 무선 통신을 수행한다. The steering control device 100 communicates with an external database (DB) (not shown) or an external server that provides road information through a communication module (not shown), and autonomous driving based on data stored in the memory 180. control to do The communication module performs CAN communication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data inside the vehicle, short-distance communication such as Bluetooth, and wireless communication for connection with an external server.

또한, 조향 제어장치(100)는 제어기(ECU)(110)가 자동차의 동작 전반을 제어하는 메인 프로세서(미도시)와 연결되어 동작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steering control device 100 may operate in connection with a main processor (not shown) in which the controller (ECU) 110 controls overall operation of the vehicle.

메모리(180)는 차량 제어를 위한 제어데이터와, 복수의 센서를 통해 감지되는 데이터, 통신모듈을 통해 송수신되는 데이터를 저장한다. 또한, 메모리(180)는 자율 주행을 위해 생성되는 지령 조향각을 누적하여 저장한다. The memory 180 stores control data for vehicle control, data detected through a plurality of sensors, and data transmitted and received through a communication module. Also, the memory 180 accumulates and stores command steering angles generated for autonomous driving.

복수의 센서는 차량의 속도 및 위치정보를 감지하고, 차량의 상태에 대한 정보를 측정하고, 차량 주변의 객체를 감지하며 도로 정보를 수집한다. A plurality of sensors detect vehicle speed and location information, measure information about the state of the vehicle, detect objects around the vehicle, and collect road information.

예를 들어 복수의 센서는 라이다(Lidar), 레이더(Radar), 초음파 센서, 적외선 센서, 차속 센서, 거리 센서 및 온도 센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여, 차량에 대한 상태정보를 측정하고, 차량 주변의 객체를 감지하고, 객체와의 거리를 측정한다. For example, the plurality of sensors include at least one of a Lidar, a radar, an ultrasonic sensor, an infrared sensor, a vehicle speed sensor, a distance sensor, and a temperature sensor to measure state information about the vehicle and to measure the surroundings of the vehicle. detects an object and measures the distance to the object.

또한, 복수의 센서는 조향각센서(162), 토크센서(163) 및 중량센서(161)를 포함한다.Also, the plurality of sensors include a steering angle sensor 162 , a torque sensor 163 , and a weight sensor 161 .

중량센서(161)는 차량의 중량을 감지한다. 중량센서(161)는 탑승자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의 무게를 측정하고, 트렁크에 수납된 짐과 탑승자의 무게가 포함된 전체 무게를 감지할 수 있다. 중량센서(161)는 차량의 무게중심에 설치되거나, 차량의 중앙부에 설치될 수 있다.The weight sensor 161 detects the weight of the vehicle. The weight sensor 161 may measure the weight when there is no occupant, and may detect the total weight including the weight of luggage stored in the trunk and the occupant. The weight sensor 161 may be installed at the center of gravity of the vehicle or at the center of the vehicle.

조향각센서(162)는 스티어링 휠(미도시) 또는 스티어링 휠에 연결되는 조향축에 설치되어 스티어링 휠의 회전 조작에 따른 조향각을 측정한다. 조향각센서(162)는 MDPS의 타입에 따라 설치 위치가 변경될 수 있다. The steering angle sensor 162 is installed on a steering wheel (not shown) or a steering shaft connected to the steering wheel to measure a steering angle according to rotational manipulation of the steering wheel. The installation position of the steering angle sensor 162 may be changed according to the type of MDPS.

토크센서(163)는 조향축과 랙바 또는 조향축과 랙 앤 피니언 기어(Rack and Pinion Gear) 간에 인가되는 토크를 감지한다. The torque sensor 163 detects torque applied between the steering shaft and the rack bar or between the steering shaft and the rack and pinion gear.

카메라(130)는 차량의 주행방향에 대한 영상을 촬영한다. 카메라(130)는 복수로 구비되어 차량의 전방, 후방 및 측방에 대한 영상을 촬영할 수 있고, 경우에 따라 차량을 중심으로 360도에 대한 영상을 촬영하여 서라운드뷰를 생성할 수 있다. 카메라(130)는 화상 카메라 및 적외선 카메라를 포함할 수 있다. The camera 130 captures an image of the driving direction of the vehicle. A plurality of cameras 130 may be provided to capture images of the front, rear, and side of the vehicle, and in some cases may create a surround view by capturing 360-degree images centered on the vehicle. The camera 130 may include an image camera and an infrared camera.

영상처리기(140)는 카메라(130)로부터 촬영되는 영상을 특정 포맷으로 변환하여 영상데이터를 생성한다. 또한, 영상처리기(140)는 카메라(130)를 통해 촬영된 영상을 분석하여, 정보를 획득한다. The image processor 140 converts the image captured by the camera 130 into a specific format to generate image data. Also, the image processor 140 analyzes an image captured by the camera 130 to obtain information.

또한, 영상처리기(140)는 차량 주변의 객체를 감지하고, 도로 표지판을 인식하여 도로정보를 획득하며, 전후방에 위치하는 다른 차량의 번호판을 인식할 수 있고, 주행중인 도로에 대한 정보를 획득한다. In addition, the image processor 140 detects objects around the vehicle, recognizes road signs to obtain road information, recognizes license plates of other vehicles located in the front and rear, and obtains information on the road being driven. .

영상처리기(140)는 영상으로부터 차선 또는 도로 경계선을 인식하여, 차량의 주행방향을 판단한다. 영상처리기(140)는 차선과 차량의 주행방향 간의 각도를 산출한다. The image processor 140 recognizes lanes or road boundaries from images and determines the driving direction of the vehicle. The image processor 140 calculates an angle between the lane and the driving direction of the vehicle.

디스플레이(191)는 차량 정보 및 주행정보를 화면에 출력한다. 또한, 디스플레이(191)는 카메라(130)를 통해 촬영된 영상을 화면에 표시한다. The display 191 outputs vehicle information and driving information on a screen. Also, the display 191 displays an image captured by the camera 130 on the screen.

스피커(192)는 오디오를 출력하고, 차량의 상태에 대응하는 효과음, 경고음, 및 음성 안내를 출력한다. The speaker 192 outputs audio, and outputs sound effects, warning sounds, and voice guidance corresponding to the state of the vehicle.

조향모터(120)는 수신되는 조향각에 대응하여 바퀴가 이동하도록 조타력을 랙바 또는 랙 앤 피니언 기어(123)로 전달한다. 또한, 조향모터(120)는 스티어링 휠의 회전 조작을 보조한다. 조향모터(120)는 하단부의 랙바가 스티어링 휠의 회전 방향에 대응하여 이동함에 따라 바퀴(휠)의 각도가 변경되어 주행 방향이 변경된다. The steering motor 120 transmits steering force to the rack bar or rack and pinion gear 123 so that the wheels move in response to the received steering angle. In addition, the steering motor 120 assists in rotation of the steering wheel. As the rack bar at the lower end of the steering motor 120 moves in response to the rotational direction of the steering wheel, the angle of the wheel (wheel) is changed and the driving direction is changed.

제어기(ECU)(110)는 복수의 센서로부터 입력되는 신호에 대응하여 자동차의 상태를 판단하고, 조향각 및 토크값에 대응하여 조향모터(120)를 제어함으로써, 목적지까지의 자율 주행을 제어한다. The controller (ECU) 110 determines the state of the vehicle in response to signals input from a plurality of sensors and controls the autonomous driving to the destination by controlling the steering motor 120 in response to the steering angle and torque value.

제어기(ECU)(110)는 복수의 센서로부터 입력되는 신호에 대응하여 센서의 이상 또는 고장을 판단한다. The controller (ECU) 110 determines abnormalities or failures of the sensors in response to signals input from a plurality of sensors.

제어기(ECU)(110)는 조향각 센서 및 토크센서 중 적어도 하나에 고장이 발생하는 경우 제어기(ECU)(110)는 카메라(130) 및 중량센서(161)를 기반으로 주행을 제어한다. The controller (ECU) 110 controls driving based on the camera 130 and the weight sensor 161 when a failure occurs in at least one of the steering angle sensor and the torque sensor.

제어기(ECU)(110)는 중량센서(161)로부터 데이터가 입력되면 랙추력을 추정한다. 제어기(ECU)(110)는 고장 발생 전의 조향 토크에서 차량의 중량을 뺀 값으로 랙추력을 추정할 수 있다. The controller (ECU) 110 estimates rack thrust when data is input from the weight sensor 161 . The controller (ECU) 110 may estimate the rack thrust as a value obtained by subtracting the weight of the vehicle from the steering torque before the failure occurs.

제어기(ECU)(110)는 센서가 정상인 경우 수집되어 저장된 데이터와 랙추력을 매칭하여 어시스트토크를 산출하고, 어시스트토크를 조향모터(120)로 인가하여 주행을 제어한다. When the sensor is normal, the controller (ECU) 110 calculates assist torque by matching the collected and stored data with the rack thrust, and applies the assist torque to the steering motor 120 to control driving.

또한, 제어기(ECU)(110)는 카메라(130)의 영상을 기반으로 영상처리기(140)로부터 차선 기준으로 차량의 각도가 입력되면 산출된 각도를 바탕으로 조향각을 추정한다. In addition, the controller (ECU) 110 estimates the steering angle based on the calculated angle when the angle of the vehicle based on the lane is input from the image processor 140 based on the image of the camera 130 .

제어기(ECU)(110)는 센서 고장으로 판단되면 경고를 생성하여 디스플레이(191) 및 스피커(192) 중 적어도 하나로 전송한다. 그에 따라 디스플레이(191)는 수신되는 경고에 대응하는 메시지, 이모티콘, 아이콘, 및 이미지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여 출력한다. 스피커(192)는 경고에 대응하여 경고음 또는 효과음을 출력한다. If the controller (ECU) 110 determines that the sensor is out of order, it generates a warning and transmits it to at least one of the display 191 and the speaker 192 . Accordingly, the display 191 outputs at least one of a message, an emoticon, an icon, and an image corresponding to the received warning. The speaker 192 outputs a warning sound or sound effect in response to the warning.

제어기(ECU)(110)는 센서의 고장에 대한 정보를 디스플레이(191)를 통해 출력한다. The controller (ECU) 110 outputs information about the failure of the sensor through the display 191 .

도 2 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율 주행을 위한 조향 제어장치의 제어 구성이 도시된 도이다. 2 is a diagram showing a control configuration of a steering control device for autonomous driving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조향 제어장치(100)는 전동식 조향장치룰 제어하여 자동차의 주행방향을 변경한다. 전동식 조향장치(10)는 MDPS(Motor-Driven Power Steering)이고, R type인 것을 예로 하여 설명하나, 그 동작 방식에 따라 다양한 형태가 적용될 수 있다. As shown in FIG. 2 , the steering control device 100 changes the driving direction of the vehicle by controlling the electric steering device. The electric power steering device 10 is MDPS (Motor-Driven Power Steering) and is described by taking an R type as an example, but various forms may be applied depending on its operation method.

전동식 조향장치는 스티어링 휠(121), 스티어링 휠(121)의 회전력을 전달하는 조향축에 설치되는 조향각센서(162) 및 토크센서(163), 조향기어(122), 조향모터(120), 조향모터(120)의 구동에 따라 바퀴의 방향을 변경하는 랙바 또는 랙 앤 피니언 기어(123)를 포함한다. The electric steering device includes a steering wheel 121, a steering angle sensor 162 and a torque sensor 163 installed on a steering shaft that transmits rotational force of the steering wheel 121, a steering gear 122, a steering motor 120, a steering It includes a rack bar or a rack and pinion gear 123 that changes the direction of the wheel according to the driving of the motor 120 .

전동식 조향장치(10)는 운전자가 스티어링 휠(121)을 수동 조작하는 경우 스티어링 휠(121)의 조작을 보조하고, 자율주행모드가 설정되면 제어기(ECU)(110)로부터 인가되는 지령 조향각에 대응하여 조향모터(120)를 구동함으로써 차량의 주행 방향을 제어한다. The electric power steering device 10 assists the operation of the steering wheel 121 when the driver manually operates the steering wheel 121, and responds to the command steering angle applied from the controller (ECU) 110 when the autonomous driving mode is set. The driving direction of the vehicle is controlled by driving the steering motor 120.

조향모터(120)는 조향기어(122)에 장착되어, 구동력을 랙 앤 피니언 기어(123)에 전달한다. 조향모터(120)는 스티어링 휠(11)에 의해 조타 시 조향값을 인지하여 랙 앤 피니언 기어(123)를 구동하며, 조타력에 대응하여 지연 없이 동작한다. The steering motor 120 is mounted on the steering gear 122 and transmits driving force to the rack and pinion gear 123 . The steering motor 120 recognizes a steering value when steering by the steering wheel 11 to drive the rack and pinion gear 123 and operates without delay in response to the steering force.

랙 앤 피니언 기어(123)는 조향모터(120)에 의해 구동하여 조향값에 따라 축에 연결되는 바퀴(휠)를 이동시킨다. The rack and pinion gear 123 is driven by the steering motor 120 to move a wheel connected to the shaft according to a steering value.

제어기(ECU)(110)는 인가되는 제어기(ECU)전압(S5)에 의해 동작하고, 조향각센서(162) 및 토크센서(163)로 센서 전압(S2)을 인가하여 조향각센서(162) 및 토크센서(163)가 동작하도록 한다. The controller (ECU) 110 is operated by the applied controller (ECU) voltage S5, and applies the sensor voltage S2 to the steering angle sensor 162 and the torque sensor 163 so that the steering angle sensor 162 and the torque This causes the sensor 163 to operate.

제어기(ECU)(110)는 조향각센서(162) 및 토크센서(163)로부터 입력되는 센서신호(S1)와 차속센서로부터 입력되는 차량 속도(S6), 복수의 센서로부터 입력되는 차량 상태 신호(S7)를 기반으로, 설정된 목적지까지 차량이 주행하도록 주행방향을 설정하고, 그에 대응하는 조향각을 설정하여 조향모터(120)에 일정 크기의 모터전압(S3)을 인가한다. The controller (ECU) 110 controls the sensor signal S1 input from the steering angle sensor 162 and the torque sensor 163, the vehicle speed S6 input from the vehicle speed sensor, and the vehicle state signal S7 input from a plurality of sensors. ), a driving direction is set so that the vehicle travels to the set destination, and a corresponding steering angle is set to apply a motor voltage (S3) of a certain magnitude to the steering motor 120.

제어기(ECU)(110)는 조향모터(120) 구동 시 모터 위치를 감지하여(S4), 현재의 조향각을 판단하고 이를 기준으로 조향각을 설정하여 조향모터(120)로 모터전압을 인가함으로써 차량의 주행 방향을 변경한다. The controller (ECU) 110 detects the motor position when the steering motor 120 is driven (S4), determines the current steering angle, sets the steering angle based on this, and applies motor voltage to the steering motor 120, thereby driving the vehicle. change the driving direction

도 3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율 주행을 위한 조향 제어장치의 데이터 흐름이 도시된 도이다. 3 is a diagram illustrating a data flow of a steering control device for autonomous driving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기(ECU)(110)는 조향각센서(162) 또는 토크센서(163)로부터 인가되는 센서신호(S1)를 바탕으로 조향각센서(162) 또는 토크센서(163)의 고장을 검출한다. 3, the controller (ECU) 110 controls the steering angle sensor 162 or torque sensor 163 based on the sensor signal S1 applied from the steering angle sensor 162 or torque sensor 163. detect a fault

제어기(ECU)(110)는 센서에 고장이 발생하면, 영상신호, 중량센서(161)의 중량값, 제어이력 데이터를 기반으로, 정상 상태에서의 제어이력데이터로부터 현재 상황에 매칭되는 데이터를 이용하여 주행방향을 제어하기 위한 어시스트토크를 산출하고 그에 따라 모터전압을 조향모터(120)로 인가한다. When a failure occurs in the sensor, the controller (ECU) 110 uses data matched to the current situation from the control history data in a normal state based on the video signal, the weight value of the weight sensor 161, and the control history data. to calculate the assist torque for controlling the driving direction, and apply the motor voltage to the steering motor 120 accordingly.

제어기(ECU)(110)는 조향각센서(162) 또는 토크센서(163)에 고장이 발생하는 경우, 중량센서(161)의 측정값으로부터 랙추력을 추정하여 조향모터(120)를 제어한다. The controller (ECU) 110 controls the steering motor 120 by estimating the rack thrust from the measurement value of the weight sensor 161 when a failure occurs in the steering angle sensor 162 or the torque sensor 163.

또한, 제어기(ECU)(110)는 카메라(130)를 통해 촬영되는 영상을 기반으로 영상처리기(140)로부터 입력되는 각도를 기반으로 조향모터(120)를 제어한다.In addition, the controller (ECU) 110 controls the steering motor 120 based on an angle input from the image processor 140 based on an image captured by the camera 130 .

제어기(ECU)(110)는 조향제어 시 조향각과 토크센서의 측정값에 대한 제어이력데이터를 누적하여 메모리(180)에 저장하고, 센서 고장 시, 기 저장된 제어이력데이터를 기반으로 어시스트 토크를 산출한다. During steering control, the controller (ECU) 110 accumulates control history data for the measured values of the steering angle and the torque sensor, stores them in the memory 180, and calculates assist torque based on the previously stored control history data when the sensor fails. do.

제어기(ECU)(110)는 중량센서(161)를 통해 측정되는 중량값을, 센서 고장 전 측정된 중량값과 비교하여 매칭되는 데이터를 검색한다. 제어기(ECU)(110)는 중량센서(161)로부터 측정되는 승차 중량에 매창되는 데이터를 기반으로, 조타각 1도 이동시 필요한 토크, 또는 랙 앤 피니언 기어를 이동시키기 위한 랙추력을 산출한다. The controller (ECU) 110 compares the weight value measured by the weight sensor 161 with the weight value measured before the sensor fails to search for matching data. The controller (ECU) 110 calculates the torque required when the steering angle is moved by 1 degree or the rack thrust required to move the rack and pinion gear based on the data stored in the riding weight measured by the weight sensor 161.

또한, 제어기(ECU)(110)는 영상처리기(140)를 통해 카메라(130)의 영상을 분석하여 차선을 검출하고, 차선을 기준으로 자동차의 주행방향이 설정만큼 이동했는지 회전 정도를 판단한다. In addition, the controller (ECU) 110 analyzes the image of the camera 130 through the image processor 140 to detect the lane, and determines whether the driving direction of the vehicle has moved by the set amount based on the lane or the degree of rotation.

제어기(ECU)(110)는 조향각센서(162)를 통해 실제 어느 정도 이동했는지 확인할 수 없으므로 카메라(130)를 이용하여 변경된 각도를 통해 실제 회전 정도를 판단한다. 경우에 따라 제어기(ECU)(110)는 차량의 전방에 설치되는 센서를 이용할 수 있다. Since the controller (ECU) 110 cannot check the actual amount of movement through the steering angle sensor 162, it determines the actual degree of rotation through the changed angle using the camera 130. In some cases, the controller (ECU) 110 may use a sensor installed in the front of the vehicle.

제어기(ECU)(110)는 랙추력과 카메라를 통해 확인되는 각도를 기반으로, 제어이력데이터와 매칭되는 데이터를 검색하여 어시스트 토크를 산출하여 조향모터(120)를 제어한다. The controller (ECU) 110 controls the steering motor 120 by calculating assist torque by searching for data that matches the control history data based on the rack thrust and the angle confirmed through the camera.

도 4 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율 주행을 위한 조향 제어장치의 제어방법을 설명하는 데 참조되는 도이다. 4 is a diagram referenced to explain a control method of a steering control device for autonomous driving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기(ECU)(110)는 자율주행 중에 센서신호를 입력받아 주행방향을 제어한다(S310). As shown in FIG. 4 , the controller (ECU) 110 receives sensor signals during autonomous driving and controls the driving direction (S310).

제어기(ECU)(110)는 조향각센서(162) 및 토크센서(163)로부터 센서신호를 입력받아, 지형 조향각에 따라 차량이 주행하는지 여부를 확인하고, 다음 지령 조향각을 산출하여 조향모터(120)에 일정 크기의 전압을 인가한다. The controller (ECU) 110 receives sensor signals from the steering angle sensor 162 and the torque sensor 163, checks whether the vehicle is driving according to the terrain steering angle, calculates the next command steering angle, and operates the steering motor 120 A voltage of a certain magnitude is applied to

제어기(ECU)(110)는 입력되는 센서신호가 정상범위를 벗어난 값인 경우, 센서의 고장으로 판단한다(S320). 또한, 제어기(ECU)(110)는 일정시간 이상 센서신호가 입력되지 않는 경우 센서의 고장으로 판단할 수 있다. When the input sensor signal is out of the normal range, the controller (ECU) 110 determines that the sensor is out of order (S320). In addition, the controller (ECU) 110 may determine that a sensor is out of order when a sensor signal is not input for a predetermined period of time or longer.

제어기(ECU)(110)는 센서 고장으로 판단되면, 센서 고장에 대한 경고를 생성하여 디스플레이(191) 및 스피커(192)로 인가한다. 그에 따라 디스플레이(191)는 센서 고장에 대한 경고메시지 또는 경고이미지를 화면에 출력하고, 스피커(192)는 센서 고장에 대한 경고음 또는 경고음성안내를 출력한다. If the controller (ECU) 110 determines that the sensor is faulty, it generates a warning about the sensor fault and applies it to the display 191 and the speaker 192 . Accordingly, the display 191 outputs a warning message or warning image for sensor failure on the screen, and the speaker 192 outputs a warning sound or warning voice guide for sensor failure.

제어기(ECU)(110)는 영상처리기(140)를 차량의 회전각도를 요청하고, 중량센서(161)로 전압을 인가한다. The controller (ECU) 110 requests the rotation angle of the vehicle from the image processor 140 and applies a voltage to the weight sensor 161 .

영상처리기(140)는 제어기(ECU)(110)의 요청에 따라 카메라(130)를 통해 촬영된 영상을 분석하여, 제 1 시간의 영상과 제 2 시간의 영상을 비교하여 차량 이동에 따른 회전각도를 산출한다. The image processor 140 analyzes the image captured by the camera 130 according to the request of the controller (ECU) 110, compares the image of the first time and the image of the second time, and calculates the rotation angle according to the movement of the vehicle. yields

영상처리기(140)는 영상으로부터 차선을 검출하고, 차선과 차량 간의 각도를 각각 산출한 후, 복수의 영상을 비교하여 산출된 각도의 차이값을 차량의 회전각도로써 산출한다. 영상처리기(140)는 차량이 차선을 기준으로 좌측 또는 우측으로 이동한 정도를 회전각도로 산출하여 제어기(ECU)(110)로 인가한다.The image processor 140 detects a lane from the image, calculates an angle between the lane and the vehicle, and then compares a plurality of images and calculates a difference between the calculated angles as a rotation angle of the vehicle. The image processor 140 calculates the degree of movement of the vehicle to the left or the right with respect to the lane as a rotation angle and applies it to the controller (ECU) 110.

제어기(ECU)(110)는 영상처리기(140)로부터 입력되는 회전각도를 바탕으로 차량이 지령조향각에 따라 조향모터를 제어한 경우, 실제 차량이 좌측 또는 우측으로 회전하여 이동한 각도인 조향각을 추정한다(S330). The controller (ECU) 110 estimates the steering angle, which is the angle at which the vehicle turns left or right when the vehicle controls the steering motor according to the command steering angle, based on the rotation angle input from the image processor 140. Do (S330).

중량센서(161)는 인가되는 전압에 의해 구동되어, 차량의 차제중량과 승차중량을 감지하여 제어기(ECU)(110)로 입력한다(S340). The weight sensor 161 is driven by the applied voltage, detects vehicle weight and ride weight of the vehicle, and inputs them to the controller (ECU) 110 (S340).

제어기(ECU)(110)는 중향센서로부터 측정되는 차량의 중량에 대응하여, 제어이력데이터를 검색하여(S350), 중량값이 일치하는 매칭데이터로부터 조타각1도 이동하는데 필요한 힘인 랙추력을 산출한다.The controller (ECU) 110 searches for control history data corresponding to the weight of the vehicle measured by the centering sensor (S350), and calculates rack thrust, which is the force required to move the steering angle by 1 degree, from matching data with matching weight values. do.

제어기(ECU)(110)는 차량의 중량이 변경되는 경우 또는 지면에 대한 차량의 상태가 변경되는 경우 그에 대응하여 랙추력을 다시 산출한다. The controller (ECU) 110 recalculates the rack thrust in response to a change in the weight of the vehicle or a change in the state of the vehicle relative to the ground.

또한, 제어기(ECU)(110)는 기 저장된 제어이력데이터를 검색하여 매칭데이터를 기반으로 지령 조향각과 토크값을 산출한다(S360). In addition, the controller (ECU) 110 searches for previously stored control history data and calculates a command steering angle and torque value based on the matching data (S360).

제어기(ECU)(110)는 지령 조향각 및 토크값에 대응하여 어시스트 토크를 생성하고(S370), 어시스트 토크를 기반으로 조향모터(120)에 일정 크기의 전류를 인가하여 제어한다(S380). The controller (ECU) 110 generates assist torque in response to the command steering angle and torque value (S370), and controls the steering motor 120 by applying a certain amount of current based on the assist torque (S380).

조향모터(120)가 동작함에 따라, 랙 앤 피니언 기어(123)가 동작하고, 그에 따라 바퀴가 이동하여, 차량의 주행방향이 변경된다. As the steering motor 120 operates, the rack and pinion gear 123 operates, and the wheels move accordingly, thereby changing the driving direction of the vehicle.

그에 따라 조향 제어장치는 조향각 센서 또는 토크센서에 고장이 발생하더라도 수동운전으로 전환하지 않고, 카메라의 영상과 중량값을 기반으로 자율 주행을 유지한다. Accordingly, the steering control device does not switch to manual driving even if a steering angle sensor or a torque sensor fails, and maintains autonomous driving based on the image of the camera and the weight value.

도 5 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의 중량에 대한 예가 도시된 예시도이다.5 is an exemplary diagram illustrating an example of a weight of a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제어기(ECU)(110)는 중량센서(161)로부터 수신되는 중량값을 바탕으로, 랙추력을 산출한다. The controller (ECU) 110 calculates rack thrust based on the weight value received from the weight sensor 161.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기(ECU)(110)는 중량센서(161)로부터 수신되는 중량값을 판단하는데 있어서, 차량이 평지 또는 하경사 20%의 경사로에 위치하는 경우의 중량변화이다. 중량은 차량 모델에 따라 상이하게 측정된다. As shown in FIG. 5 , the controller (ECU) 110 determines the weight value received from the weight sensor 161, which is a weight change when the vehicle is located on a flat surface or on a 20% lower slope. Weight is measured differently depending on the vehicle model.

예를 들어, 차량의 공차중량(CVW, Complete Vehicle kerb Weight)이 총 1842kg 일 때, 평지인 경우 전륜 502kg, 후륜 451.5kg이고, 20% 하경사인 경우, 전륜 454.5kg이고, 후륜 434kg로 측정된다. For example, when the complete vehicle kerb weight (CVW) of the vehicle is 1842 kg in total, it is measured as 502 kg for the front wheels and 451.5 kg for the rear wheels on a flat surface, and 454.5 kg for the front wheels and 434 kg for the rear wheels on a 20% slope.

또한, 차량의 차량총중량(GVW, Gross Vehicle Weight)이 총 2471kg일 때, 평지인 경우 전륜은 626.5kg, 후륜 609.5kg이고, 20% 하경사인 경우, 전륜 618kg이고, 후륜 617.5434kg로 측정된다. In addition, when the Gross Vehicle Weight (GVW) of the vehicle is a total of 2471 kg, the front wheels are 626.5 kg and the rear wheels are 609.5 kg in the case of flat terrain, and the front wheels are 618 kg and the rear wheels are 617.5434 kg in the case of a 20% slope.

전기자동차 모델의 경우 차량총중량이 2858로 일반차량보다 높게 측정된다. In the case of an electric vehicle model, the total vehicle weight is 2858, which is higher than that of a general vehicle.

제어기(ECU)(110)는 이와 같이 각각 차량이 위치한 지반의 상태, 탑승자의 무게 등에 따라 달라지고, 조타력을 발생하기 위한 토크의 크기를 또한 가변 된다. The controller (ECU) 110 varies according to the condition of the ground on which the vehicle is located, the weight of the occupant, and the like, and also varies the magnitude of torque for generating steering force.

제어기(ECU)(110)는 토크센서(163) 고장 시, 중량센서(161)를 통해 차량의 공차중량과 차량총중량을 감지하고, 그에 대응하여 랙추력을 산출한다. When the torque sensor 163 fails, the controller (ECU) 110 detects the empty vehicle weight and the gross vehicle weight of the vehicle through the weight sensor 161 and calculates rack thrust in response thereto.

도 6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율 주행을 위한 조향 제어장치의 중량별 조타력을 설명하는 데 참조되는 도이다.6 is a diagram referenced to explain steering force for each weight of a steering control device for autonomous driving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랙추력 및 조타력에 대응하여, 하경사 20% 콘크리트 지면을 기준으로, 각속도 90을 기준으로 차량총중량(GVW 일반)은 경우 조타력90% 지점에서 좌측과 우측이4.5NM 이고, 조타력100%지점에서 각각 4.8NM, 4.8NM이면 랙추력은 1589, 1479가 된다. 또한, 조타력 90%지점에 좌우 4.4, 4.4이고 조타력 100% 지점에서 4.8, 4.8NM인 경우 랙추력은 좌우 각각 1550, 1523이 된다. As shown in FIG. 6, in response to the rack thrust and steering force, the left and right sides at 90% of the steering force are If it is 4.5NM and the steering force is 4.8NM and 4.8NM at the 100% point, respectively, the rack thrust becomes 1589 and 1479. In addition, when the steering force is 4.4 and 4.4 on the left and right at the 90% point and 4.8 and 4.8NM at the 100% steering force point, the rack thrust is 1550 and 1523 on the left and right, respectively.

또한, 차량의 공차중량(CVW)에 조타력 90% 지점에서 4.0, 3.9이고 100%지점에서 4.3, 4.1NM인 경우 랙추력은 좌우 각각 1258, 1143이 된다. 각속도 90에 대한 끝단 조향각은 좌우 각각 447도 및 439도가 된다. In addition, when the steering force is 4.0 and 3.9 at the 90% point and 4.3 and 4.1NM at the 100% point, the rack thrust is 1258 and 1143 on the left and right, respectively. The end steering angle for an angular velocity of 90 is 447 degrees and 439 degrees for the left and right, respectively.

또한, 제어기(ECU)(110)는 경사로에서 정차하는 경우, 정차상태를 유지하기 위한 정지 캐치업에 대하여, 차량을 중량 특히 공차중량을 기반으로 랙추력을 산출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controller (ECU) 110 may calculate the rack thrust based on the weight of the vehicle, particularly the empty vehicle weight, for stop catch-up to maintain the stopped state when the vehicle is stopped on a slope.

제어기(ECU)(110)는 이와 같이, 차량의 조향각센서 및 토크센서 중 적어도 하나에 고장이 발생하는 경우, 중량센서(161)를 통해 측정되는 차량의 중량을 기반으로 랙추력을 산출하고, 카메라(130) 및 영상처리기(140)를 통해 차량의 실제 회전각도를 산출함으로써, 조향모터(120)를 구동하여 주향방향을 제어한다. As such, the controller (ECU) 110 calculates the rack thrust based on the weight of the vehicle measured through the weight sensor 161 when a failure occurs in at least one of the steering angle sensor and the torque sensor of the vehicle, and the camera By calculating the actual rotation angle of the vehicle through 130 and the image processor 140, the steering motor 120 is driven to control the driving direction.

그에 따라 본 발명은 차량의 조향각센서 및 토크센서 중 적어도 하나에 고장이 발생하더라도 자율주행모드를 해제하지 않고 유지하면서 차량의 주행방향을 제어할 수 있다. 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can control the driving direction of the vehicle while maintaining the autonomous driving mode without releasing it even if a failure occurs in at least one of the steering angle sensor and the torque sensor of the vehicle.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정해져야할 것이다.Although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embodiments shown in the drawings, it should be noted that this is only exemplary and various modifications and equivalent other embodiments are possible from those skilled in the art to which the technology pertains. will understand Therefore, the true technical protection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defined by the claims below.

110: 제어기(ECU) 120: 조향모터
121: 스티어링 휠 122: 조향기어
130: 카메라 140: 영상처리기
161: 중량센서 162: 조향각센서
163: 토크센서 180: 메모리
110: controller (ECU) 120: steering motor
121: steering wheel 122: steering gear
130: camera 140: image processor
161: weight sensor 162: steering angle sensor
163: torque sensor 180: memory

Claims (15)

차량의 중량을 측정하는 중량센서;
스티어링 휠의 조향축에 설치되는 조향각센서와 토크센서;
전방의 영상을 촬영하는 카메라;
상기 조향축에 연결되어 상기 차량의 주행방향을 변경하는 조향모터; 및
상기 조향각센서 및 상기 토크센서 중 적어도 하나에 고장이 발생하는 경우, 상기 카메라와 영상으로부터 조향각을 추정하고 상기 중량센서로부터 측정되는 상기 차량의 중량을 기반으로 랙추력을 추정하여, 추정된 상기 조향각 또는 상기 랙추력을 바탕으로 기 저장된 제어이력데이터로부터 매칭데이터를 검색하고, 상기 매칭데이터에 따라 상기 조향모터를 구동하여 자율주행하는 제어기; 를 포함하는 조향 제어장치.
A weight sensor for measuring the weight of the vehicle;
A steering angle sensor and a torque sensor installed on the steering shaft of the steering wheel;
A camera for taking an image of the front;
a steering motor connected to the steering shaft to change the driving direction of the vehicle; and
When a failure occurs in at least one of the steering angle sensor and the torque sensor, the steering angle is estimated from the camera and the image and the rack thrust is estimated based on the weight of the vehicle measured from the weight sensor, and the estimated steering angle or a controller that searches for matching data from pre-stored control history data based on the rack thrust and autonomously drives by driving the steering motor according to the matching data; Steering control device comprising a.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기는 상기 토크센서에 고장이 발생하는 경우, 상기 중량에 대응하는 상기 랙추력을 산출하여 상기 조향각센서의 조향각과 매칭하여 어시스트 토크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향 제어장치.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controller generates assist torque by calculating the rack thrust corresponding to the weight and matching the steering angle of the steering angle sensor when a failure occurs in the torque sensor.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기는 상기 차량의 상태를 평지와 하경사로 구분하고 상기 중량을 기반으로 조타력을 발생시키기 상기 랙추력을 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향 제어장치.
According to claim 1,
The steering control device according to claim 1 , wherein the controller classifies the state of the vehicle into flat terrain and a lower slope and calculates the rack thrust to generate steering force based on the weight.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기는 상기 차량의 중량이 변경되는 경우 그에 대응하여 상기 랙추력을 다시 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향 제어장치.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controller recalculates the rack thrust in response to a change in the weight of the vehicl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카메라를 통해 촬영된 복수의 영상을 분석하여 차선을 검출하고, 상기 차선을 기준으로 제 1 시간에 촬영된 영상과 제 2 시간에 촬영된 영상을 비교하여 상기 차량의 회전각도를 산출하는 영상처리기; 를 더 포함하는 조향 제어장치.
According to claim 1,
An image processor for detecting a lane by analyzing a plurality of images captured by the camera, and calculating a rotation angle of the vehicle by comparing an image captured at a first time with an image captured at a second time based on the lane ; Steering control device further comprising a.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기는 상기 영상처리기로부터 입력되는 상기 회전각도를 기반으로 상기 차량의 이동을 판단하여 상기 조향각을 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향 제어장치.
According to claim 5,
The steering control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he controller calculates the steering angle by determining the movement of the vehicle based on the rotation angle input from the image processor.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기는 상기 조향각센서에 고장이 발생하는 경우, 상기 영상처리기로부터 산출되는 회전각도에 대응하여 상기 조향각을 산출하여 상기 토크센서의 측정값과 매칭하여 상기 조향모터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향 제어장치.
According to claim 5,
When a failure occurs in the steering angle sensor, the controller controls the steering motor by calculating the steering angle corresponding to the rotation angle calculated from the image processor and matching it with the measured value of the torque sensor. Devic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이력데이터를 저장하는 메모리; 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기는 정상주행 중, 상기 조향각센서 및 상기 토크센서로부터 측정되는 조향각 및 토크에 대한 데이터를 상기 제어이력데이터로써 상기 메모리에 누적하여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향 제어장치.
According to claim 1,
a memory for storing the control history data; Including more,
The steering control device according to claim 1 , wherein the controller accumulates and stores data on the steering angle and torque measured from the steering angle sensor and the torque sensor in the memory as the control history data during normal driving.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기는 상기 조향각센서 및 상기 토크센서의 측정값이 설정범위를 벗어난 경우 또는 일정시간 내에 측정값이 입력되지 않는 경우 고장이 발생한 것으로 판단하여 경고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향 제어장치.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controller determines that a failure has occurred and generates a warning when the measured values of the steering angle sensor and the torque sensor are out of a set range or when the measured values are not input within a predetermined time.
자율주행 중, 스티어링 휠의 조향축에 설치되는 조향각센서 및 토크센서 중 적어도 하나에 고장이 발생하는 경우, 제어기가 경고를 생성하여 출력하는 단계;
카메라를 통해 촬영되는 영상을 기반으로 조향각을 추정하는 단계;
중량센서로부터 측정된 차량의 중량을 기반으로 랙추력을 추정하는 단계;
추정된 상기 조향각 또는 상기 랙추력을 바탕으로 기 저장된 제어이력데이터로부터 매칭데이터를 검색하는 단계; 및
상기 매칭데이터에 따라 조향모터를 구동하여 상기 차량의 주행방향을 제어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조향 제어장치의 제어방법.
generating and outputting, by a controller, a warning when a failure occurs in at least one of a steering angle sensor and a torque sensor installed on a steering shaft of a steering wheel during autonomous driving;
estimating a steering angle based on an image captured by a camera;
estimating rack thrust based on the weight of the vehicle measured by the weight sensor;
Searching for matching data from pre-stored control history data based on the estimated steering angle or the rack thrust; and
controlling a driving direction of the vehicle by driving a steering motor according to the matching data; Control method of a steering control device comprising a.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조향각을 추정하는 단계는,
상기 조향각센서에 고장이 발생하는 경우, 영상처리기가 상기 카메라를 통해 촬영된 복수의 영상을 분석하여 차선을 검출하는 단계;
상기 차선을 기준으로 제 1 시간에 촬영된 영상과 제 2 시간에 촬영된 영상을 비교하여 상기 차량의 회전각도를 산출하는 단계; 및
상기 제어기가 상기 회전각도를 기반으로 상기 차량의 이동을 판단하고 상기 조향각을 산출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조향 제어장치의 제어방법.
According to claim 10,
The step of estimating the steering angle,
detecting a lane by analyzing a plurality of images captured by the camera by an image processor when a failure occurs in the steering angle sensor;
calculating a rotation angle of the vehicle by comparing an image captured at a first time with an image captured at a second time based on the lane; and
determining, by the controller, movement of the vehicle based on the rotation angle and calculating the steering angle; Control method of a steering control device comprising a.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조향각센서에 고장이 발생하는 경우, 상기 회전각도에 대응하여 산출되는 상기 조향각 및 토크센서의 측정값에 매칭되는 데이터를 검색하여 상기 조향모터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향 제어장치의 제어방법.
According to claim 11,
When a failure occurs in the steering angle sensor, the steering motor is controlled by searching for data matching the measured values of the steering angle and the torque sensor calculated in correspondence with the rotation angle to control the steering control device.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랙추력을 추정하는 단계는,
상기 토크센서에 고장이 발생하는 경우, 상기 차량의 중량에 대응하는 상기 랙추력을 산출하여 상기 조향각센서의 조향각과 매칭하여 어시스트토크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향 제어장치의 제어방법.
According to claim 10,
In the step of estimating the rack thrust,
and generating assist torque by calculating the rack thrust corresponding to the weight of the vehicle and matching it with a steering angle of the steering angle sensor when a failure occurs in the torque sensor.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랙추력을 추정하는 단계는,
상기 중량센서가 상기 차량의 중량을 측정하는 단계; 및
상기 차량의 상태를 평지와 하경사로 구분하여 상기 차량의 상태에 따라 상기 중량을 기반으로 조타력을 발생시키기 위한 상기 랙추력을 산출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조향 제어장치의 제어방법.
According to claim 13,
In the step of estimating the rack thrust,
measuring the weight of the vehicle by the weight sensor; and
calculating the rack thrust for generating a steering force based on the weight according to the state of the vehicle by classifying the state of the vehicle into a flat surface and a lower slope; Control method of a steering control device comprising a.
제 10 항에 있어서,
정상주행 중, 상기 조향각센서 및 상기 토크센서로부터 측정되는 조향각 및 토크에 대한 상기 제어이력데이터를 메모리에 누적하여 저장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고,
상기 조향각센서 또는 상기 토크센서의 측정값이 설정범위를 벗어난 경우 또는 일정시간 내에 측정값이 입력되지 않는 경우 고장이 발생한 것으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향 제어장치의 제어방법.
According to claim 10,
Accumulating and storing the control history data for the steering angle and torque measured from the steering angle sensor and the torque sensor in a memory during normal driving; Including more,
A control method of a steering control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it is determined that a failure has occurred when the measured value of the steering angle sensor or the torque sensor is out of a set range or when the measured value is not input within a predetermined time.
KR1020220012420A 2022-01-27 2022-01-27 Steering control apparatus and controlling method for autonomous vehicle KR20230115683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12420A KR20230115683A (en) 2022-01-27 2022-01-27 Steering control apparatus and controlling method for autonomous vehicl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12420A KR20230115683A (en) 2022-01-27 2022-01-27 Steering control apparatus and controlling method for autonomous vehicl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15683A true KR20230115683A (en) 2023-08-03

Family

ID=875683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12420A KR20230115683A (en) 2022-01-27 2022-01-27 Steering control apparatus and controlling method for autonomous vehicl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115683A (en)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86847B1 (en) 2017-04-12 2021-08-05 현대자동차주식회사 System and method for estimating steering torque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86847B1 (en) 2017-04-12 2021-08-05 현대자동차주식회사 System and method for estimating steering torqu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753007B2 (en) Vehicular lane centering system
US9643650B2 (en) Lane change control device and control method
US9168924B2 (en) System diagnosis in autonomous driving
JP5901144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assisting a motor vehicle with garage
JP5798658B1 (en) Vehicle lane departure prevention control device
JP4946631B2 (en) Start support device, display device
KR101478068B1 (en) Apparatus for preventing collision in vehicle and method thereof
JP2009190464A (en) Lane keeping support system
CN101321655A (en) Driving assistance system and driving assistance method
JP2020083261A (en) Steering determination device and automatic drive system
US10549777B2 (en) Control system for steering a tractor vehicle with a trailer
JP2020032949A (en) Automatic operation system
KR20180070300A (en) Parking Assist System And Method Thereof
JP6569298B2 (en) Vehicle steering system
US20170072996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electric power steering system
JP6558261B2 (en) Automatic driving device
CN113561984A (en) Automatic driving control method and device
JP2019014432A (en) Steering control device of vehicle
KR20230115683A (en) Steering control apparatus and controlling method for autonomous vehicle
JP7032967B2 (en) Vehicle steering support device
JP5921720B2 (en) Driving support method and driving support system
KR102389101B1 (en) Control Apparatus For Electric Power Steering And Method Thereof
CN113753069A (en) Automatic driving control method and device
JP4325363B2 (en) Vehicle lane travel support device
JP6599706B2 (en) Steering support control devic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