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15483A - 전기화학적 용출반응을 이용한 유-무기 복합체 및 이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전기화학적 용출반응을 이용한 유-무기 복합체 및 이의 제조방법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230115483A KR20230115483A KR1020220012027A KR20220012027A KR20230115483A KR 20230115483 A KR20230115483 A KR 20230115483A KR 1020220012027 A KR1020220012027 A KR 1020220012027A KR 20220012027 A KR20220012027 A KR 20220012027A KR 20230115483 A KR20230115483 A KR 20230115483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organic
- inorganic composite
- iron
- carbon
- solid product
- Prior art date
Links
- 238000004519 manufacturing process Method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0
- 238000006243 chemical reaction Methods 0.000 title abstract description 6
- 229910021432 inorganic complex Inorganic materials 0.000 title description 2
- 238000004090 dissolution Methods 0.000 title 1
- OKTJSMMVPCPJKN-UHFFFAOYSA-N Carbon Chemical compound [C] OKTJSMMVPCPJKN-UHFFFAOYSA-N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75
- XEEYBQQBJWHFJM-UHFFFAOYSA-N Iron Chemical compound [Fe] XEEYBQQBJWHFJM-UHFFFAOYSA-N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71
- 239000002131 composite material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69
- UQSXHKLRYXJYBZ-UHFFFAOYSA-N Iron oxide Chemical compound [Fe]=O UQSXHKLRYXJYBZ-UHFFFAOYSA-N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67
- 229910021389 graphene Inorganic material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43
- 229910052742 iron Inorganic material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4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1
- 239000002245 particle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4
- 239000002135 nanosheet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48
- 229910052799 carbon Inorganic materials 0.000 claims description 31
- 239000012265 solid product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22
- -1 iron ions Chemical class 0.000 claims description 13
- 239000003792 electrolyte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11
- 238000001035 dry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5
- RBTARNINKXHZNM-UHFFFAOYSA-K iron trichloride Chemical compound Cl[Fe](Cl)Cl RBTARNINKXHZNM-UHFFFAOYSA-K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8000005406 wash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3
- 150000002500 ions Chemical class 0.000 abstract description 9
- 238000010828 elution Methods 0.000 abstract description 4
- 239000002244 precipitate Substances 0.000 abstract description 3
- 235000013980 iron oxide Nutrition 0.000 description 30
- HEMHJVSKTPXQMS-UHFFFAOYSA-M Sodium hydroxide Chemical compound [OH-].[Na+] HEMHJVSKTPXQMS-UHFFFAOYSA-M 0.000 description 9
- 238000005033 Fourier transform infrared spectroscopy Methods 0.000 description 7
- 238000004833 X-ray photoelectron spectroscopy Methods 0.000 description 6
- 238000002149 energy-dispersive X-ray emission spectroscopy Methods 0.000 description 6
- 238000002479 acid--base titr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5
- 239000007864 aqueous solutio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5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5
- CSCPPACGZOOCGX-UHFFFAOYSA-N Acetone Chemical compound CC(C)=O CSCPPACGZOOCGX-UHFFFAOYSA-N 0.000 description 4
- LFQSCWFLJHTTHZ-UHFFFAOYSA-N Ethanol Chemical compound CCO LFQSCWFLJHTTHZ-UHFFFAOYSA-N 0.000 description 4
- 230000000052 comparat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4
- 230000035484 reaction time Effects 0.000 description 4
- 238000002441 X-ray diffr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5540 biological transmis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0151 deposi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5611 electricity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4993 emission spectroscopy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2474 experimental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9396 hybridiz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9616 inductively coupled plasma Methods 0.000 description 3
- VBMVTYDPPZVILR-UHFFFAOYSA-N iron(2+);oxygen(2-) Chemical class [O-2].[Fe+2] VBMVTYDPPZVILR-UHFFFAOYSA-N 0.000 description 3
- 239000012263 liquid produc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XLYOFNOQVPJJNP-UHFFFAOYSA-N water Substances O XLYOFNOQVPJJNP-UHFFFAOYSA-N 0.000 description 3
- XKRFYHLGVUSROY-UHFFFAOYSA-N Argon Chemical compound [Ar] XKRFYHLGVUSROY-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IJGRMHOSHXDMSA-UHFFFAOYSA-N Atomic nitrogen Chemical compound N#N IJGRMHOSHXDMSA-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UFHFLCQGNIYNRP-UHFFFAOYSA-N Hydrogen Chemical compound [H][H] UFHFLCQGNIYNRP-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239000010405 anode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0000015572 biosynthetic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3575 carbonaceous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7795 chemical reaction produc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9000013078 cryst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9826 distribu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8151 electrolyte solutio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1523 electrospinn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1257 hydroge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29910052739 hydrogen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1027 hydrothermal synthesis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6911 nucle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0899 nucle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3647 oxid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7254 oxidation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1139 pH measurement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1946 reduction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4729 solvothermal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0126 substanc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3786 synthesis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VEXZGXHMUGYJMC-UHFFFAOYSA-M Chloride anion Chemical compound [Cl-] VEXZGXHMUGYJMC-UHFFFAOYSA-M 0.000 description 1
- 238000000026 X-ray photoelectron spectrum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378 acidificat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458 analytical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786 argon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990 capacito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470 constitu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7423 decrease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6185 dispersio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125000000524 functional group Chemical group 0.000 description 1
- 229910002804 graphite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0439 graphi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2535 impurity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261 inert gas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FBAFATDZDUQKNH-UHFFFAOYSA-M iron chloride Chemical compound [Cl-].[Fe] FBAFATDZDUQKNH-UHFFFAOYSA-M 0.000 description 1
- SZVJSHCCFOBDDC-UHFFFAOYSA-N iron(II,III) oxide Inorganic materials O=[Fe]O[Fe]O[Fe]=O SZVJSHCCFOBDDC-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29910001416 lithium ion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184 met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751 metal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757 nitrogen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368 organic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0643 oven dry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376 precipitat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1556 precipit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047 produc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1338 self-assembly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243 solutio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506 ultrasonic clean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Classifications
-
- C—CHEMISTRY; METALLURGY
- C01—INORGANIC CHEMISTRY
- C01G—COMPOUNDS CONTAINING METALS NOT COVERED BY SUBCLASSES C01D OR C01F
- C01G49/00—Compounds of iron
- C01G49/02—Oxides; Hydroxides
-
- C—CHEMISTRY; METALLURGY
- C01—INORGANIC CHEMISTRY
- C01B—NON-METALLIC ELEMENTS; COMPOUNDS THEREOF; METALLOIDS OR COMPOUNDS THEREOF NOT COVERED BY SUBCLASS C01C
- C01B32/00—Carbon; Compounds thereof
- C01B32/15—Nano-sized carbon materials
- C01B32/182—Graphene
- C01B32/194—After-treatment
-
- C—CHEMISTRY; METALLURGY
- C01—INORGANIC CHEMISTRY
- C01G—COMPOUNDS CONTAINING METALS NOT COVERED BY SUBCLASSES C01D OR C01F
- C01G49/00—Compounds of iron
- C01G49/0018—Mixed oxides or hydroxides
-
- C—CHEMISTRY; METALLURGY
- C01—INORGANIC CHEMISTRY
- C01G—COMPOUNDS CONTAINING METALS NOT COVERED BY SUBCLASSES C01D OR C01F
- C01G49/00—Compounds of iron
- C01G49/02—Oxides; Hydroxides
- C01G49/08—Ferroso-ferric oxide [Fe3O4]
-
- C—CHEMISTRY; METALLURGY
- C01—INORGANIC CHEMISTRY
- C01P—INDEXING SCHEME RELATING TO STRUCTURAL AND PHYSICAL ASPECTS OF SOLID INORGANIC COMPOUNDS
- C01P2002/00—Crystal-structural characteristics
- C01P2002/70—Crystal-structural characteristics defined by measured X-ray, neutron or electron diffraction data
-
- C—CHEMISTRY; METALLURGY
- C01—INORGANIC CHEMISTRY
- C01P—INDEXING SCHEME RELATING TO STRUCTURAL AND PHYSICAL ASPECTS OF SOLID INORGANIC COMPOUNDS
- C01P2002/00—Crystal-structural characteristics
- C01P2002/80—Crystal-structural characteristics defined by measured data other than those specified in group C01P2002/70
- C01P2002/85—Crystal-structural characteristics defined by measured data other than those specified in group C01P2002/70 by XPS, EDX or EDAX data
-
- C—CHEMISTRY; METALLURGY
- C01—INORGANIC CHEMISTRY
- C01P—INDEXING SCHEME RELATING TO STRUCTURAL AND PHYSICAL ASPECTS OF SOLID INORGANIC COMPOUNDS
- C01P2004/00—Particle morphology
- C01P2004/60—Particles characterised by their size
- C01P2004/64—Nanometer sized, i.e. from 1-100 nanometer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Nanotechnology (AREA)
- Carbon And Carbon Compounds (AREA)
- Compounds Of Iron (AREA)
Abstract
전기화학적 용출반응을 이용한 유-무기 복합체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의 유-무기 복합체의 제조방법은 2전극 시스템에 전류를 가해 철을 이온의 형태로 용출시킨 후 그래핀에 결합시킴으로써, 간단한 방법으로 그래핀 상에 많은 양의 철 산화물 입자를 고르게 침전시킬 수 있고, 이러한 방법을 통해 제조된 유-무기 복합체는 더 높은 환원도를 갖는 그래핀을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전기화학적 용출반응을 이용한 유-무기 복합체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현재 리튬-이온 배터리 (Li-ion batteries;LIBs)는 전자 응용 분야에서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기 때문에 고용량, 긴 사이클 수명 및 빠른 충전으로 향상된 배터리 개발을 위한 요건이 꾸준히 증가하고 있다. 일반적으로 그라파이트(graphite)가 상용화된 LIB의 애노드(anode) 재료로 사용되나, 이론적인 용량 (~ 372 mAh/g)에 한계가 있기 때문에 많은 연구원들이 보다 높은 이론적 용량을 가진 대체 애노드 재료를 찾고 있다.
물질의 낮은 전도도 특성을 개선하기 위해서 주로 카본 계열의 전기전도 특성이 좋은 물질과 철 산화물을 혼성화(hybridization)하는 방법이 사용되고 있으며, 이러한 방법 중에는 수열합성, 용매열합성 또는 전기방사법 등과 같은 방법이 이용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방법들은 많은 에너지와 열을 소모함과 동시에 합성에 많은 시간이 소요되는 경우가 많은 단점이 있다.
본 발명은 2전극 시스템에 전류를 가해 철을 이온의 형태로 용출시킨 후 그래핀에 철 산화물을 석출시켜 유-무기 복합체를 제조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데에 있다.
본 발명은 카본계 나노시트가 포함된 전해조에 2개의 철 전극을 이용하여 10 내지 100 mA/cm2의 전류를 인가하여 상기 카본계 나노시트 상에 철 산화물을 석출시켜 고체 생성물을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고체 생성물을 여과기를 통해 분리하여 유-무기 복합체를 제조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유-무기 복합체는 카본계 나노시트 상에 철 산화물 입자가 분산되어 부착된 형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무기 복합체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서술한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 유-무기 복합체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유-무기 복합체의 제조방법은 2전극 시스템에 전류를 가해 철을 이온의 형태로 용출시킨 후 그래핀에 결합시킴으로써, 간단한 방법으로 그래핀 상에 많은 양의 철 산화물 입자를 고르게 침전시킬 수 있고, 이러한 방법을 통해 제조된 유-무기 복합체는 더 높은 환원도를 갖는 그래핀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유-무기 복합체의 제조방법의 전기화학적 용출 및 침전을 위한 전해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이미지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제조된 유-무기 복합체의 투과전자현미경(TEM) 이미지이다.
도 3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제조된 유-무기 복합체의 에너지 분산 X선 분광법(Energy Dispersive X-ray Spectroscopy, EDS)을 통해 얻어진 이미지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제조된 유-무기 복합체의 푸리에-변환 적외선 분광분석(FT-IR) 및 X선 광전자 분광법(XPS)을 통해 얻어진 그래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무기 복합체의 제조방법에서 전해조의 pH를 측정한 이미지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무기 복합체의 제조방법에서 유도 결합 플라즈마 발광 분석법(ICP-OES)을 통해 얻은 철 이온 농도 및 pH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무기 복합체의 제조방법에서 반응시간에 따라 만들어진 복합체(반응 생성물)의 X선 회절 분석(X-ray diffraction, XRD) 결과 그래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무기 복합체의 제조방법에서 전해액에 전기를 가해주는 대신 0.1 M의 NaOH 수용액을 이용해 산-염기 적정실험을 진행하여 pH를 측정한 결과 그래프이다.
도 9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무기 복합체에서 환원된 그래핀시트 상에 철 산화물이 균일하게 도포된 것을 설명할 수 있는 LaMer‘s fundamental growth principles을 pH 변화에 따른 Cmin으로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제조된 유-무기 복합체의 투과전자현미경(TEM) 이미지이다.
도 3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제조된 유-무기 복합체의 에너지 분산 X선 분광법(Energy Dispersive X-ray Spectroscopy, EDS)을 통해 얻어진 이미지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제조된 유-무기 복합체의 푸리에-변환 적외선 분광분석(FT-IR) 및 X선 광전자 분광법(XPS)을 통해 얻어진 그래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무기 복합체의 제조방법에서 전해조의 pH를 측정한 이미지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무기 복합체의 제조방법에서 유도 결합 플라즈마 발광 분석법(ICP-OES)을 통해 얻은 철 이온 농도 및 pH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무기 복합체의 제조방법에서 반응시간에 따라 만들어진 복합체(반응 생성물)의 X선 회절 분석(X-ray diffraction, XRD) 결과 그래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무기 복합체의 제조방법에서 전해액에 전기를 가해주는 대신 0.1 M의 NaOH 수용액을 이용해 산-염기 적정실험을 진행하여 pH를 측정한 결과 그래프이다.
도 9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무기 복합체에서 환원된 그래핀시트 상에 철 산화물이 균일하게 도포된 것을 설명할 수 있는 LaMer‘s fundamental growth principles을 pH 변화에 따른 Cmin으로 나타낸 그래프이다.
이하, 본 발명에 대해 상세하게 서술한다.
물질의 낮은 전기전도도 특성을 개선하기 위해서 주로 carbon 계열의 전기전도 특성이 좋은 물질과 hybridization하는 방법이 사용되고 있으며, 이러한 방법 중에는 수열합성(hydrothermal), 용매열합성(solvothermal), 전기방사(electrospining)과 같은 방법이 이용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방법들은 많은 에너지와 열을 소모함과 동시에 합성에 많이 시간이 소요되는 경우가 많다.
본 발명자는 이러한 문제를 개선하기 위해서 철의 2전극 시스템에 일정전위전류기를 이용하여 전류를 가해 철을 이온의 형태로 용출시켰으며, 이를 그래핀과 결합시킨 후 그래핀 위에 철 산화물 입자를 고르게 침전시킴으로서 hybridization이 이루어지게 하였다. 또한 이러한 방법을 통해 만들어진 복합체의 그래핀이 더 높은 환원도를 갖게되는 것을 확인함으로써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본 발명은 카본계 나노시트가 포함된 전해조에 2개의 철 전극을 이용하여 10 내지 100 mA/cm2의 전류를 인가하여 상기 카본계 나노시트 상에 철 산화물을 석출시켜 고체 생성물을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고체 생성물을 여과기를 통해 분리하여 유-무기 복합체를 제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유-무기 복합체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2개의 철 전극은 산화전극 및 환원전극을 의미한다.
상기 유-무기 복합체는 카본계 나노시트 상에 철 산화물 입자가 균일하게 분산되어 부착된 형태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유-무기 복합체는 카본계 나노시트 상에 철 산화물 입자가 균일하게 코팅된 형태일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유-무기 복합체는 카본계 나노시트 표면에 철 산화물이 화학적 결합에 의해 부착된 형태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카본계 나노시트는 그래핀, 그래핀 산화물, 환원된 그래핀 산화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의 나노시트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카본계 나노시트는 그래핀, 그래핀 산화물 또는 환원된 그래핀 산화물의 나노시트일 수 있다.
상기 고체 생성물을 형성하는 단계는 10 내지 100 mA/cm2의 전류를 30분 내지 90분 동안 인가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고체 생성물을 형성하는 단계는 10 내지 100 mA/cm2, 20 내지 80 mA/cm2 또는 40 내지 70 mA/cm2의 정전류를 40분 내지 80분 또는 50분 내지 70분 동안 인가하여 철 전극으로부터 용출된 철 이온이 카본계 나노시트의 표면에 결합하면서 철 산화물을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카본계 나노시트를 그래핀 산화물을 사용하는 경우, 별도의 환원 공정 없이 환원된 그래핀 산화물의 환원정도를 높여 제조된 유-무기 복합체는 높은 전기전도도를 나타낼 수 있다.
상기 고체 생성물을 형성하는 단계에서 철 전극으로부터 용출된 철 이온이 카본계 나노시트의 표면에 결합함에 따라 전해조에 포함된 전해질의 pH는 증가할 수 있고, 예를 들어 전해질의 pH는 4 내지 7을 나타낼 수 있다.
상기 고체 생성물을 형성하는 단계는 카본계 나노시트를 10 mg/100 ml 내지 200 mg/100 ml의 농도로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카본계 나노시트는 20 mg/100 ml 내지 150 mg/100 ml 또는 30 mg/100 ml 내지 100 mg/100 ml의 농도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고체 생성물을 형성하는 단계는 전해조에 0.005 내지 0.02 M의 염화철(FeCl3)의 전해질을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전해질은 염화철(FeCl3)일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염화철을 사용함으로써 유기계 물질인 카본계 나노시트가 물에 고르게 분산될 수 있고, 초기 전해질 상태를 산성 상태로 유지할 수 있다. 또한, 염화 이온이 부식성을 가져 이온에 의해 철 산화물의 용출이 일어나게 하고, 철(Fe)의 공급원으로 사용되기도 하여 카본계 나노시트 상에 철 산화물을 형성하는데 유리한 이점이 있다.
상기 고체 생성물을 형성하는 단계 이전에, 2개의 철 전극을 세척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철 전극을 세척하는 단계는 철 전극을 아세톤 및 에탄올의 순서로 담지하고, 초음파(ultrasonication) 세척에 넣어 5~20분간 세척하고 오븐을 이용하여 건조할 수 있다.
상기 건조는 자연건조, 오븐건조 등이 모두 가능하나 60±20 ℃ 가량의 온도에서 6시간 이상, 공기, 진공 중 또는 아르곤, 질소 등의 비활성 기체 하에서의 건조할 수 있다.
상기 유-무기 복합체를 제조하는 단계는 진공 여과기를 이용하여 고체 생성물을 분리하고 25 ℃ 내지 80 ℃의 온도 12 시간 내지 24 시간 동안 건조하여 수행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서술한 유-무기 복합체의 제조방법으로 제조된 유-무기 복합체를 제공한다.
상기 유-무기 복합체는 카본계 나노시트 상에 철 산화물 입자가 분산되어 부착된 형태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유-무기 복합체는 카본계 나노시트 표면에 철 산화물 입자가 균일하게 코팅된 형태일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유-무기 복합체는 카본계 나노시트 표면에 철 산화물이 화학적 결합에 의해 부착된 형태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카본계 나노시트는 그래핀, 그래핀 산화물 및 환원된 그래핀 산화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의 나노시트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카본계 나노시트는 그래핀, 그래핀 산화물 또는 환원된 그래핀 산화물의 나노시트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철 산화물은 전해조에 정전류를 인가하여 철 전극으로부터 용출된 철 이온이 카본계 나노시트의 표면에 결합하면서 형성된 것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철 산화물은 상기 카본계 나노시트의 표면의 50% 내지 90%에 고르게 코팅된 형태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철 산화물은 입자 형태로, 상기 철 산화물 입자는 5 내지 50 nm, 10 내지 30 또는 20 내지 30 nm의 직경을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유-무기 복합체는 높은 전기전도도를 가져 배터리, 커패시터 등 전기화학장치에 적용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이들 실시예는 오로지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요지에 따라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지 않는다는 것은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있어서 자명할 것이다.
실시예 1
철 전극을 사용하기에 앞서 1.5 * 5 cm2 의 크기로 자른 후, 에탄올, 아세톤의 순서로 담지한다. 이 후, 초음파 세척기에 넣고 각각 10분간 세척을 진행하고 오븐을 이용하여 건조한다. 도 1에 나타낸 것과 같이 FeCl3 0.55g (200mL의 DI water 기준)와 Graphene oxide (100mg GO/ 200mL DI) 로 구성된 전해조와 철을 양쪽 전극으로 사용하여 전해조(electrolytic cell)를 구성하였다. 만들어진 전해조는 초음파 세척기 내부에 넣어 전해조가 엎어지지 않게 고정한다. 양쪽 전극은 정전류 전위차계(galvanostatic-potentiostat)에 전선을 이용하여 연결되었으며, 50mA/cm2의 정전류로 전류가 가해졌다. 이 때, 전류가 가해지는 시간은 양극 철 전극에서 철 이온이 용출되는 양과 비례하며, 음극 철 전극에서 수소가 발생하는 양과도 비례한다.
전류가 가해진 시간을 기준으로 60분이 지난 후, 전해조는 분해되었으며, 전해욕(electrolytic bath) 안의 전해질은 진공 여과기를 이용하여 액상 생성물과 고상 생성물로 분리되었다. 상기 고상 생성물을 건조하여 유-무기 복합체를 제조하였다.
비교예 1
생성물이 혼성화(hybridization) 되는 원인을 규명하기 위하여 FeCl3를 넣지 않은 순수 환원 그래핀을 물에 분산시킨 후 제타전위(Zeta potential)을 측정한다.
실험예 1
본 발명에 따라 제조된 유-무기 복합체의 형태를 확인하기 위해, 실시예 1의 유-무기 복합체를 대상으로 투과전자현미경(TEM)을 이용하여 촬영하였고, 에너지 분산 X선 분광법(EDX)을 통해 분석하였으며, 그 결과는 도 2 및 도 3에 나타냈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제조된 유-무기 복합체의 투과전자현미경(TEM) 이미지이다.
도 3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제조된 유-무기 복합체의 에너지 분산 X선 분광법(Energy Dispersive X-ray Spectroscopy, EDS)을 통해 얻어진 이미지이다.
도 2의 (a)를 살펴보면, 환원된 그래핀 산화물 나노시트(rGO nanosheet) 상에 철 산화물이 고르게 코팅되어 있는 모습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도 2의 (b)를 살펴보면 환원된 그래핀 산화물 나노시트(rGO nanosheet)의 존재와 철 산화물의 d-spacing이 0.483 nm인 것을 확인할 수 있고, 이를 통해 합성된 물질이 상기 환원된 그래핀 산화물 나노시트 상에 합성된 물질이 Fe3O4(철 산화물)임을 확인할 수 있다.
도 3을 살펴보면, 실시예 1의 유-무기 복합체의 각 구성원소의 분포도를 알 수 있다. 구체적으로 원소 철(Fe)의 분산도와 성분 함량을 확인함으로써, 철 산화물이 환원된 그래핀 산화물 나노시트 위에 고르게 분산되어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실험예 2
본 발명에 따라 제조된 유-무기 복합체의 특성을 확인하기 위해서 실시예 1 및 비교예 1의 복합체를 대상으로 푸리에-변환 적외선 분광분석(FT-IR) 및 X선 광전자 분광법(XPS)을 통해 분석하였으며, 그 결과를 도 4에 나타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제조된 유-무기 복합체의 푸리에-변환 적외선 분광분석(FT-IR) 및 X선 광전자 분광법(XPS)을 통해 얻어진 그래프이다.
도 4의 (a)를 살펴보면, FT-IR 분석 결과로 실시예 1의 유-무기 복합체(rGO-Fe3O4)는 ID/IG 값이 1.40으로 p-rGO(1.26)에 비하여 높은 ID/IG 값을 가지는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G Band 위치가 red shift된 것을 통해 환원된 그래핀 산화물 나노시트(rGO nanosheets)에 존재하는 산화작용기가 사라진 것을 알 수 있었다.
또한, 도 4의 (b)를 살펴보면, 마찬가지로 실시예 1의 rGO-Fe3O4 복합체와 비교예 1의 p-rGO의 C1s XPS spectrum을 비교한 결과이다. 결과를 통해 rGO-Fe3O4 복합체의 C1s peak들이 p-rGO보다 상대적으로 낮은 결합 에너지(Binding energy)에 위치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를 통해 별도의 환원 공정 없이 rGO의 환원정도를 높여 전기전도도를 높일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실험예 3
본 발명에 따른 유-무기 복합체의 제조방법에서 철 산화물이 침전되어 그래핀 위에 코팅되는 원리를 확인하기 위해서, 전류가 가해진 시간을 10분 간격(10분,20분,30분,40분,50분,60분)으로 전해조에서 전해질을 미량 추출하여 pH미터를 이용하여 pH를 측정하였고, 정확한 pH 측정을 위해 pH 미터를 이용하여 pH를 측정하였고, 유도 결합 플라즈마 방광 분석법(ICP-OES)을 통해 전해조 내 수용액의 철 이온 농도를 측정하였으며, 그 결과를 도 5 및 도 6에 나타냈다.
구체적으로, 실시예 1에서 전류가 가해진 시간을 20분 간격(20분,40분,60분)으로 전해조를 분해하여, 전해욕 안의 전해질을 진공 여과기를 이용하여 액상 생성물과 고상 생성물로 분리하였고, 분리한 액상 생성물을 유도 결합 플라즈마 발광 분석법 (ICP-OES)을 이용하여 액상 생성물 내의 철 이온의 농도를 측정하였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무기 복합체의 제조방법에서 전해조의 pH를 측정한 이미지이다.
도 5를 살펴보면, 전류를 가하여 반응을 진행하는 도중 10분 간격으로 전해조의 pH를 pH 종이를 이용해 측정한 결과, pH 종이는 왼쪽부터 10분, 20분, 30분, 40분, 50분, 60분의 결과이고, 시간이 지날수록 pH 종이의 색상이 붉은색에서 점점 노란색으로 바뀌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를 통해 전해액의 pH가 증가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무기 복합체의 제조방법에서 유도 결합 플라즈마 발광 분석법(ICP-OES)을 통해 얻은 철 이온 농도 및 pH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6을 살펴보면, 전해조의 pH가 반응 시작 후 40분에서 급격하게 증가하는 것을 확인하였으며, 이러한 경향은 유도 결합 플라즈마 발광 분석법(ICP-OES)을 통해 전해조 내 수용액의 철 이온 농도가 급격히 감소하는 시점과 같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실험예 4
본 발명에 따른 유-무기 복합체의 제조방법에서 반응시간에 따라 제조된 유-무기 복합체의 특성을 확인하기 위해서, 전류가 가해진 시간을 20분 간격(0분, 20분, 40분, 60분)으로 하여 제조한 유-무기 복합체(rGO-Fe3O4)를 진공여과장치를 이용하여 분리하여 X선 회전 분석법(XRD)을 통해 분석하였고, 그 결과를 도 7에 나타냈다.
도 7은 실시예 1의 유-무기 복합체의 제조방법에서 전류가 가해진 반응시간에 따라 만들어진 복합체(반응 생성물)의 X선 회절 분석(X-ray diffraction, XRD) 결과 그래프이다.
도 7을 살펴보면, 초기 반응시간에는 25~30 θ 에서 그래핀 산화물(GO) 관련된 피크(Peak)만 검출되는 것을 확인하였으며, 이후 40분 이후부터 철 산화물(Fe3O4)에 관련된 피크가 검출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따라서 40분부터 철 산화물(Fe3O4)이 생성되는 것을 확인 할 수 있었으며, 그 이후인 60분에서는 철 산화물(Fe3O4) 에 관련된 피크가 명확히 나옴과 동시에 불순물인 금속 철(Fe) 에 대한 피크가 검출되었다.
실험예 5
상기 실험예 3의 내용을 검증하기 위하여 실시예 1의 전해액에 전기를 가해주는 대신 0.1 M의 NaOH 수용액을 이용해 산-염기 적정실험을 수행하였고, pH 미터를 이용하여 pH를 측정하였고, 그 결과를 도 8에 나타냈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무기 복합체의 제조방법에서 전해액에 전기를 가해주는 대신 0.1 M의 NaOH 수용액을 이용해 산-염기 적정실험을 진행하여 pH를 측정한 결과 그래프이다.
도 8을 살펴보면, 산-염기 적정 그래프로, 도 5의 pH 미터를 이용하여 측정한 pH와 같이 일정 구간에서 완충영역(buffer region)이 발생한 이후, 급격하게 pH가 증가하는 영역이 발생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실험예 6
본 발명에서 2전극 시스템에서 양극에 용출된 철 이온이 그래핀에 석출되는 원인과 균일하게 도포되는 이유를 확인하기 위해서, 비교예 1의 순수한 그래핀 산화물(pristine graphene oxide)의 제타전위(Zetapotential)을 3회 측정하였고, 그 결과를 표 1에 나타냈다.
Zeta potential | p-rGO |
1 st | -11.28 mV |
2 nd | -11.62 mV |
3 rd | -11.32 mV |
Average | -11.41 mV |
표 1을 살펴보면, 평균값은 -11.41 mV 로 음의 값을 가졌다. 따라서. 양전하(Positive charge)를 띄는 용출된 Fe3 +은 그래핀 산화물(graphene oxide)의 표면에 자가조립(self-assembly) 방식으로 결합하였을 것이라 추측할 수 있다.
또한 실시예 1의 유-무기 복합체에서 환원된 그래핀 산화물 나노시트(rGO nanosheets) 상에 철 산화물(Fe3O4)이 균일하게 도포됨과 동시에 20~30 nm의 작은사이즈를 갖게되는 것은 이미 알려진 LaMer’s Law(도 9 참조)와 pH에 따른 Fe3O4의 용해도 차이 곡선을 통해 설명할 수 있다.
Lamer’s Law에 따르면, 입자가 형성될 때 용액 중 포함된 이온의 농도가 Cmin(결정핵 생성(nucleation)이 일어나기 위해 필요한 최저의 농도)에 이르어야 하며, Cmin을 급격하게 넘긴 후 추가적인 결정핵 생성이 없어야 고른 분포의 입자 크기를 얻을 수 있다고 한다.
또한 Fe3O4는 pH에 따라 용해도 차이가 큰 물질로 낮은 pH에서는 높은 용해도를 갖는데 반해 높은 pH환경에서는 용해도가 급격히 낮아진다. 이에 본 발명에서는 2전극 시스템을 이용하여, 양극에서는 철 이온의 용출을 통해 결정핵 생성의 소스(source)로서 철 이온을 지속적으로 공급함과 동시에 음극에서는 수소발생반응으로 전해조 내 수용액의 H+ 이온을 소모시켰다. 또한 실험예 3 및 5의 결과와 같이 산-염기 적정 시 완충 영역이 존재함을 이용하여 급격하게 Cmin을 감소시켜 철 이온(Fe ion)이 붙은 환원된 그래핀 산화물 나노시트 위에 침전물을 성장시킴으로써 고른 분포와 작은 사이즈의 Fe3O4를 환원된 그래핀 산화물 나노시트 위에 성장시킬 수 있었다.
이상으로 본 발명의 특정한 부분을 상세히 기술한 바, 당업계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이러한 구체적인 기술은 단지 바람직한 구현 예일 뿐이며, 이에 본 발명의 범위가 제한되는 것이 아닌 점은 명백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질적인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과 그의 등가물에 의하여 정의된다고 할 것이다.
본 발명의 범위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Claims (10)
- 카본계 나노시트가 포함된 전해조에 2개의 철 전극을 이용하여 10 내지 100 mA/cm2의 전류를 인가하여 상기 카본계 나노시트 상에 철 산화물을 석출시켜 고체 생성물을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고체 생성물을 여과기를 통해 분리하여 유-무기 복합체를 제조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유-무기 복합체는 카본계 나노시트 상에 철 산화물 입자가 분산되어 부착된 형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무기 복합체의 제조방법.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고체 생성물을 형성하는 단계는 전류를 30분 내지 90분 동안 인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무기 복합체의 제조방법.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카본계 나노시트는 그래핀, 그래핀 산화물 및 환원된 그래핀 산화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의 나노시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무기 복합체의 제조방법.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고체 생성물을 형성하는 단계는 철 전극으로부터 용출된 철 이온이 카본계 나노시트의 표면에 결합하면서 철 산화물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무기 복합체의 제조방법.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고체 생성물을 형성하는 단계는 카본계 나노시트를 10 mg/100 ml 내지 200 mg/100 ml의 농도로 포함하는 유-무기 복합체의 제조방법.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고체 생성물을 형성하는 단계는 0.005 내지 0.02 M의 염화철(FeCl3)의 전해질을 포함하는 유-무기 복합체의 제조방법.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유-무기 복합체를 제조하는 단계는 진공 여과기를 이용하여 고체 생성물을 분리하고 25 내지 80의 온도로 12 내지 24 시간 동안 건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무기 복합체의 제조방법.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고체 생성물을 형성하는 단계 이전에, 2개의 철 전극을 세척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하는 유-무기 복합체의 제조방법. - 제 1 항 내지 제 8 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 유-무기 복합체.
-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유-무기 복합체는 카본계 나노시트 상에 철 산화물 입자가 분산되어 부착된 형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무기 복합체.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20012027A KR102616717B1 (ko) | 2022-01-27 | 2022-01-27 | 전기화학적 용출반응을 이용한 유-무기 복합체 및 이의 제조방법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20012027A KR102616717B1 (ko) | 2022-01-27 | 2022-01-27 | 전기화학적 용출반응을 이용한 유-무기 복합체 및 이의 제조방법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30115483A true KR20230115483A (ko) | 2023-08-03 |
KR102616717B1 KR102616717B1 (ko) | 2023-12-21 |
Family
ID=875681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20012027A KR102616717B1 (ko) | 2022-01-27 | 2022-01-27 | 전기화학적 용출반응을 이용한 유-무기 복합체 및 이의 제조방법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616717B1 (ko) |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076912A (ja) * | 1993-06-18 | 1995-01-10 | Hitachi Plant Eng & Constr Co Ltd | 磁性粉末の製造方法 |
CN105420794A (zh) * | 2015-11-13 | 2016-03-23 | 上海应用技术学院 | 一种石墨烯/四氧化三铁复合材料的制备方法 |
KR102179502B1 (ko) | 2019-01-31 | 2020-11-16 | 인하대학교 산학협력단 | 3차원 개미집 구조를 갖는 리튬이온 배터리 철 산화물 전극 |
-
2022
- 2022-01-27 KR KR1020220012027A patent/KR102616717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076912A (ja) * | 1993-06-18 | 1995-01-10 | Hitachi Plant Eng & Constr Co Ltd | 磁性粉末の製造方法 |
CN105420794A (zh) * | 2015-11-13 | 2016-03-23 | 上海应用技术学院 | 一种石墨烯/四氧化三铁复合材料的制备方法 |
KR102179502B1 (ko) | 2019-01-31 | 2020-11-16 | 인하대학교 산학협력단 | 3차원 개미집 구조를 갖는 리튬이온 배터리 철 산화물 전극 |
Non-Patent Citations (1)
Title |
---|
Electrochimica Acta(2008.01.16)* *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2616717B1 (ko) | 2023-12-21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Morant‐Giner et al. | Prussian blue@ MoS2 layer composites as highly efficient cathodes for sodium‐and potassium‐ion batteries | |
Li et al. | Glucose-assisted synthesis of the hierarchical TiO 2 nanowire@ MoS 2 nanosheet nanocomposite and its synergistic lithium storage performance | |
Bu et al. | Rational design of three-dimensional graphene encapsulated core–shell FeS@ carbon nanocomposite as a flexible high-performance anode for sodium-ion batteries | |
Su et al. | Surface engineering of MXenes for energy and environmental applications | |
Chen et al. | Ti3+ self‐doped dark rutile TiO2 ultrafine nanorods with durable high‐rate capability for lithium‐ion batteries | |
Pan et al. | Smart Hybridization of TiO2 Nanorods and Fe3O4 Nanoparticles with Pristine Graphene Nanosheets: Hierarchically Nanoengineered Ternary Heterostructures for High‐Rate Lithium Storage | |
Wang et al. | Ultrathin Fe 2 O 3 nanoflakes using smart chemical stripping for high performance lithium storage | |
Zhuo et al. | Facile synthesis of a Co 3 O 4–carbon nanotube composite and its superior performance as an anode material for Li-ion batteries | |
Lu et al. | Flexible SnS nanobelts: Facile synthesis, formation mechanism and application in Li-ion batteries | |
Zhang et al. | A green and fast strategy for the scalable synthesis of Fe2O3/graphene with significantly enhanced Li-ion storage properties | |
Li et al. | 2D hybrid anode based on SnS nanosheet bonded with graphene to enhance electrochemical performance for lithium-ion batteries | |
Yu et al. | Structure‐properties relationship in iron oxide‐reduced graphene oxide nanostructures for Li‐ion batteries | |
Liu et al. | In situ sol–gel synthesis of Ti 2 Nb 10 O 29/C nanoparticles with enhanced pseudocapacitive contribution for a high-rate lithium-ion battery | |
Ding et al. | Small‐sized CuS nanoparticles/N, S co‐doped rGO composites as the anode materials for high‐performance lithium‐ion batteries | |
Pan et al. | Rapid synthesis of Cr-doped γ-Fe2O3/reduced graphene oxide nanocomposites as high performance anode materials for lithium ion batteries | |
KR102036330B1 (ko) | 이산화티타늄/그래핀 나노복합체 제조방법 및 이를 음극재로서 이용한 이차전지 제조방법 | |
Sun et al. | Constructing hierarchical MoO2/N-doped carbon hydrangea-like spheres with superior lithium storage properties | |
Guo et al. | Porous V2O5-SnO2/CNTs composites as high performance cathode materials for lithium-ion batteries | |
Meng et al. | A facile electrochemical modification route in molten salt for Ti3+ self-doped spinel lithium titanate | |
Hao et al. | Biomimetic layer-by-layer Co-mineralization approach towards TiO 2/Au nanosheets with high rate performance for lithium ion batteries | |
Kim et al. | Carbon-coated V2O5 nanoparticles derived from metal-organic frameworks as a cathode material for rechargeable lithium-ion batteries | |
Liu et al. | TiN surface modified SnO 2 as an efficient anode material for lithium ion batteries | |
Du et al. | A dye-sensitized solar cell based on magnetic CoP@ FeP 4@ Carbon composite counter electrode generated an efficiency of 9.88% | |
Jiang et al. | A novel ultrathin single-crystalline Bi 2 O 3 nanosheet wrapped by reduced graphene oxide with improved electron transfer for Li storage | |
Liang et al. | Nitrogen-doped carbon-coated Fe 3 O 4/rGO nanocomposite anode material for enhanced initial coulombic efficiency of lithium-ion batteries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