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14420A - 탈부착이 가능한 등판보조장치 - Google Patents

탈부착이 가능한 등판보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14420A
KR20230114420A KR1020220010530A KR20220010530A KR20230114420A KR 20230114420 A KR20230114420 A KR 20230114420A KR 1020220010530 A KR1020220010530 A KR 1020220010530A KR 20220010530 A KR20220010530 A KR 20220010530A KR 20230114420 A KR20230114420 A KR 2023011442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limbing
detachable
unit
housing
obstac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1053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하욱완
Original Assignee
하욱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하욱완 filed Critical 하욱완
Priority to KR102022001053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114420A/ko
Publication of KR2023011442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14420A/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5/00Chairs or personal conveyances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e.g. wheelchairs
    • A61G5/06Chairs or personal conveyances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e.g. wheelchairs with obstacle mounting facilities, e.g. for climbing stairs, kerbs or step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5/00Chairs or personal conveyances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e.g. wheelchairs
    • A61G5/04Chairs or personal conveyances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e.g. wheelchairs motor-driven
    • A61G5/047Chairs or personal conveyances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e.g. wheelchairs motor-driven by a modular detachable drive system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5/00Chairs or personal conveyances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e.g. wheelchairs
    • A61G5/06Chairs or personal conveyances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e.g. wheelchairs with obstacle mounting facilities, e.g. for climbing stairs, kerbs or steps
    • A61G5/061Chairs or personal conveyances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e.g. wheelchairs with obstacle mounting facilities, e.g. for climbing stairs, kerbs or steps for climbing stai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5/00Accessories or details specially adapted for hand carts
    • B62B5/02Accessories or details specially adapted for hand carts providing for travelling up or down a flight of stai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9/00Accessories or details specially adapted for children's carriages or perambulators
    • B62B9/02Accessories or details specially adapted for children's carriages or perambulators providing for travelling up or down a flight of stai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2203/00General characteristics of devices
    • A61G2203/10General characteristics of devices characterised by specific control means, e.g. for adjustment or steering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andcar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탈부착이 가능한 등판보조장치에 관한 것으로, 퍼스널 모빌리티의 전방에 탈부착이 가능하도록 구비되는 탈부착부; 상기 탈부착부의 전방에 배치되어 있으며, 등판되는 장애물 방향인 일측으로 돌출되어 회전을 지지하는 하우징 형태의 하우징부; 상기 하우징부의 내부에서 일측에 양 방향으로 돌출되고,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돌출된 양측을 회전시키는 회전구동부; 상기 하우징부의 양측에 한쌍으로 각각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회전구동부를 중심으로 회전하면서 등판되는 장애물에 걸림되면 상기 탈부착부에 장착된 상기 퍼스널 모빌리티의 전륜을 장애물 등판 위치로 상승시키도록 회전 작동하는 등판부; 및 상기 하우징부의 일측에 배치되어 있으며, 장애물의 위치를 감지하여 상기 회전구동부를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탈부착이 가능한 등판보조장치 {A Detachable Climbing Assistance Apparatus}
본 발명은 휠체어나 사륜차 등과 같은 퍼스널 모빌리티에 설치되어 계단과 같은 장애물을 등판하기 위한 등판보조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퍼스널 모빌리티는 개인인 퍼스널과 이동수단인 모빌리티가 결합된 의미로써, 자전거, 퀵보드와 같은 레저용이나 휠체어와 같은 의료용으로 개인이 직접적인 작동에 의해 바퀴를 구동시켜 주행을 실시하는 장치이다.
통상적인 퍼스널 모빌리티는 사용자가 직접 구동시켜 원하는 장소로 이동하도록 주행장치이다.
이런, 퍼스널 모빌리티는 사용자가 수동으로 직접 구동하여야 함에 따라 노약자나 힘이 약한 사람들이 작동시키기 어렵고, 특히, 자전거의 경우에는 넘어지지 않고 지속적으로 조작하기에는 숙련의 과정이 장시간 필요하고, 주행 중에도 지속적으로 페달을 조작하여야 함에 따라 많은 힘이 필요한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최근에는 회전 동력을 전기의 공급으로 발생시키는 전기모터와 전기모터에 전력을 공급하도록 축전하는 배터리가 소형화되고, 경량화되어 전동으로 구동되는 퍼스널 모빌리티가 개발되어 사용되고 있다.
이렇게, 퍼스널 모빌리티는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단독으로 조작되어 주행되는 것으로, 계단이나 장애물이 있는 경우에는 사용자가 직접 파지한 상태에서 이동시켜야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전륜의 형태를 변형하거나 복수의 바퀴를 조합하여 등판이 가능한 다양한 퍼스널 모빌리티가 개발되었으나, 일반 주행 시 간섭이 발생하고, 중량이 증대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퍼스널 모빌리티의 전륜 방향으로 등판 시에만 설치가 가능하도록 탈부착 형태로 제작하여 주행 간섭을 최소화하면서 자동으로 등판이 가능한 등판보조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목적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이 일 실시예에 따른 탈부착이 가능한 등판보조장치는 퍼스널 모빌리티의 전방에 탈부착이 가능하도록 구비되는 탈부착부; 상기 탈부착부의 전방에 배치되어 있으며, 등판되는 장애물 방향인 일측으로 돌출되어 회전을 지지하는 하우징 형태의 하우징부; 상기 하우징부의 내부에 배치되어 있으며, 전방으로 회전되는 동력을 양측으로 분할하여 양측면을 중심으로 상하로 회전되는 동력으로 변환하여 회전되는 동력을 제공하는 회전구동부; 상기 하우징부의 내부에서 양측에 돌출된 위치에 한쌍으로 각각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회전구동부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어 상하로 이동하도록 회전하면서 등판되는 장애물에 걸림되면 상기 탈부착부에 장착된 상기 퍼스널 모빌리티의 전륜을 장애물 등판 위치로 상승시키도록 회전 작동하는 등판부; 및 상기 하우징부의 일측에 배치되어 있으며, 장애물의 위치를 감지하여 상기 회전구동부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탈부착부는, 상기 퍼스널 모빌리티의 전방에 배치되어 있으며, 장애물에 접촉된 상태에서 등판시키는 상기 하우징부, 상기 회전구동부, 및 제어부를 지지하는 브라켓 형태의 탈부착브라켓; 및 상기 탈부착브라켓의 타측에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탈부착브라켓을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상기 퍼스널 모빌리티에 탈부착 상태에 따라 고정시키는 브라켓고정체;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하우징부는, 상기 탈부착부의 일측에 배치되어 있으며, 내부에 상기 회전구동부가 위치하는 하우징공간을 가지는 하우징몸체; 및 상기 하우징몸체의 일측에 양 방향으로 바깥에 위치한 한쌍의 상기 등판부를 회전시키도록 고정되는 상기 회전구동부의 회전구동되는 부분이 삽입되는 통공 형태의 구동공;을 포함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회전구동부는, 상기 하우징부의 내부에 배치되어 있으며, 전력의 공급에 의해 회전력을 발생시키는 동력을 제공하는 구동모터; 상기 구동모터의 회전되는 방향에 배치되어 있으며, 바깥 둘레에 나사산이 형성된 구동웜체; 상기 구동웜체의 상부에서 양측으로 연장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구동웜체와 치차 결합되어 회전되는 방향을 변환하여 양측에 위치한 상기 등판부의 회전되는 동력을 제공하도록 각각 치차결합되는 구동웜기어체; 및 상기 하우징부의 내부에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구동모터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전력을 공급하는 전력공급체;를 포함할 수 있다.
더불어, 상기 등판부는, 상기 하우징부의 내부에 상기 회전구동부의 회전되는 동력을 제공하는 양측에 각각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회전구동부와 치차 결합되어 등판위치로 회전에 의해 승하강되는 한쌍의 등판기어체; 한쌍의 상기 등판기어체의 양방향으로 각각 돌출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등판기어체와 함께 회전되면서 상기 하우징부의 내부에서 양방향의 바깥으로 돌출되도록 구비된 등판회전축; 상기 하우징부의 일측 양방향에 각각 한쌍으로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등판회전축과 함께 회전되도록 연결되어 상기 제어부에서 장애물의 위치를 감지하여 도달하면 상기 회전구동부의 구동에 의해 장애물에 접촉되어 회전에 의해 상기 하우징부와 상기 퍼스널 모빌리티의 전방을 상승시키는 암형태로 구비된 등판암; 및 상기 등판암의 일측끝에 배치되어 있으며, 장애물에 접촉되는 위치에 회전 가능한 롤러 형태로 구비되어 장애물에 접촉 시 손상을 최소화하면서 가압하고, 등판 후 장애물 상에서 이동되는 등판롤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하우징부의 일측에 배치되어 있으며, 장애물의 위치와 높이를 측정하는 센서 형태로 구비된 장애물감지체; 상기 장애물감지체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으며, 장애물의 위치와 높이에 따라 상기 회전구동부를 구동시키는 회전제어신호를 발생시켜 회전을 제어하는 제어체; 및 상기 제어체와 상기 회전구동부를 전기적으로 연결하고 있으며, 상기 회전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회전구동부의 작동으로 상기 등판부를 회전시키도록 제어하는 회전제어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구체적인 사항들은 첨부된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된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성될 수 있으며,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전술한 본 발명의 과제 해결 수단 중 하나에 의하면, 퍼스널 모빌리티의 전륜 방향으로 등판 시에만 설치가 가능하도록 탈부착 형태로 제작하여 주행 간섭을 최소화하면서 자동으로 등판이 가능한 효과를 제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탈부착이 가능한 등판보조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탈부착이 가능한 등판보조장치에 내부를 투시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의 탈부착이 가능한 등판보조장치에 주요 구성인 회전구동부와 등판부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4는 도 1의 탈부착이 가능한 등판보조장치에 주요 구성인 탈부착부, 하우징부, 등판부의 일부 구성을 나타내는 일부 생략 정면도이다.
도 5는 도 1의 탈부착이 가능한 등판보조장치가 퍼스널 모빌리티에 설치된 상태를 나타내는 사용상태도이다.
도 6은 도 1의 탈부착이 가능한 등판보조장치에 주요 구성인 제어부의 구성을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 7은 도 1의 탈부착이 가능한 등판보조장치가 설치된 퍼스널 모빌리티가 주행하여 장애물에 접촉되는 상태를 나타내는 사용상태 사시도이다.
도 8은 도 7의 탈부착이 가능한 등판보조장치가 설치된 퍼스널 모빌리티가 장애물에 접촉된 상태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9는 도 7의 탈부착이 가능한 등판보조장치가 설치된 퍼스널 모빌리티에 장애물에 접촉된 상태에서 구동에 의해 등판위치로 상승하는 상태를 나타내는 사용상태 사시도이다.
도 10은 도 9의 탈부착이 가능한 등판보조장치가 등판위치로 상승하는 상태를 나타내는 사용상태 정면도이다.
도 11은 도 9의 탈부착이 가능한 등판보조장치가 설치된 퍼스널 모빌리티에 등판 위치에 주행하여 전륜이 등판한 상태를 나타내는 사용상태 사시도이다.
도 12는 도 11의 탈부착이 가능한 등판보조장치가 설치된 퍼스널 모빌리티의 전륜이 등판한 상태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13은 도 12의 탈부착이 가능한 등판보조장치가 설치된 퍼스널 모빌리티에 전륜 등판 후 후륜이 등판하여 등판을 마친 상태를 나타내는 사용상태 사시도이다.
도 14는 도 13의 탈부착이 가능한 등판보조장치가 설치된 퍼스널 모빌리티에 등판을 마친 상태를 나타내는 사용상태 정면도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이를 상세한 설명을 통해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본 명세서의 설명 과정에서 이용되는 숫자(예를 들어, 제1, 제2 등)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분하기 위한 식별기호에 불과하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일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와 "연결된다" 거나 "접속된다" 등으로 언급된 때에는, 상기 일 구성요소가 상기 다른 구성요소와 직접 연결되거나 또는 직접 접속될 수도 있지만,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존재하지 않는 이상, 중간에 또 다른 구성요소를 매개하여 연결되거나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 및 "부"는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거나 혼용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서로 구별되는 의미 또는 역할을 갖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하여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도면에서 생략하였으며, 도면들에 있어서 구성요소의 폭, 길이, 두께 등은 편의를 위하여 과장되어 표현될 수 있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서 동일한 참조부호들은 동일한 구성요소들을 나타낸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를 위한 구체적인 내용을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탈부착이 가능한 등판보조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탈부착이 가능한 등판보조장치에 내부를 투시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며, 도 3은 도 1의 탈부착이 가능한 등판보조장치에 주요 구성인 회전구동부와 등판부를 나타내는 정면도이고, 도 4는 도 1의 탈부착이 가능한 등판보조장치에 주요 구성인 탈부착부, 하우징부, 등판부의 일부 구성을 나타내는 일부 생략 정면도이며, 도 5는 도 1의 탈부착이 가능한 등판보조장치가 퍼스널 모빌리티에 설치된 상태를 나타내는 사용상태도이며, 도 6은 도 1의 탈부착이 가능한 등판보조장치에 주요 구성인 제어부의 구성을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 1 내지 도 6을 참고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탈부착이 가능한 등판보조장치(100)는 휠체어, 사륜차, 자전거, 퀵보드 등의 퍼스널 모빌리티(10)의 전륜을 지지하는 위치에 탈부착하여 계단과 같은 장애물 발견 시 회전에 의해 전륜을 등판 높이까지 상승시켜 등판을 실시하도록 보조하는 장치이다.
여기서, 퍼스널 모빌리티(10)는 사륜의 자전거 형태로 도시된 것은 설명의 편의를 위한 것이다. 퍼스널 모빌리티(10)는 일인이 주행하는 개인적인 주행장치 모두가 포함될 수 있다.
이런, 탈부착이 가능한 등판보조장치(100)는 탈부착부(110), 하우징부(120), 회전구동부(130), 등판부(140), 및 제어부(150)를 포함한다.
탈부착부(110)는 퍼스널 모빌리티(10)의 전방에 탈부착이 가능하도록 구비된다.
이런, 탈부착부(110)는 탈부착브라켓(111), 및 브라켓고정체(112)를 포함한다.
탈부착브라켓(111)은 퍼스널 모빌리티(10)의 전방에 배치되어 있으며, 장애물에 접촉된 상태에서 등판시키는 하우징부(120), 회전구동부(130), 및 제어부(150)를 지지하는 브라켓 형태로 구비된다.
브라켓고정체(112)는 탈부착브라켓(111)의 타측에 배치되어 있으며, 탈부착브라켓(111)을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퍼스널 모빌리티(10)에 탈부착 상태에 따라 고정시키도록 구비된다.
하우징부(120)는 탈부착부(110)의 전방에 배치되어 있으며, 등판되는 장애물 방향인 일측으로 돌출되어 회전을 지지하는 하우징 형태로 구비된다.
이런, 하우징부(120)는 하우징몸체(121), 및 구동공(123)을 포함한다.
하우징몸체(121)는 탈부착브라켓(111)의 일측에 배치되어 있으며, 내부에 회전구동부(130)가 위치하는 하우징공간(122)을 가지도록 구비된다.
구동공(123)은 하우징몸체(121)의 일측에 양 방향으로 바깥에 위치한 한쌍의 등판부(140)를 회전시키도록 고정되는 회전구동부(130)의 회전구동되는 부분이 삽입되는 통공 형태로 구비된다.
회전구동부(130)는 하우징부(120)의 내부에 배치되어 있으며, 전방으로 회전되는 동력을 양측으로 분할하여 양측면을 중심으로 상하로 회전되는 동력으로 변환하여 회전되는 동력을 제공하도록 구비된다.
이런, 회전구동부(130)는 구동모터(131), 구동웜체(132), 구동웜기어체(133), 및 전력공급체(134)를 포함한다.
구동모터(131)는 하우징공간(122)에 배치되어 있으며, 전력의 공급에 의해 회전력을 발생시키는 동력을 제공하도록 구비된다.
구동웜체(132)는 구동모터(131)의 회전되는 방향에 배치되어 있으며, 바깥 둘레에 나사산이 형성된 축 형태로 구비된다.
구동웜기어체(133)는 구동웜체(132)의 상부에서 양측으로 연장 배치되어 있으며, 구동웜체(132)와 치차 결합되어 회전되는 방향을 변환하여 양측에 위치한 등판부(140)의 회전되는 동력을 제공하도록 각각 치차 결합된다.
전력공급체(134)는 하우징공간(122)에 배치되어 있으며, 구동모터(131)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전력을 공급하도록 구비된다.
등판부(140)는 하우징부(120)의 내부에서 양측에 돌출된 위치에 한쌍으로 각각 배치되어 있으며, 회전구동부(130)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어 상하로 이동하도록 회전하면서 등판되는 장애물에 걸림되면 탈부착부(110)에 장착된 퍼스널 모빌리티(10)의 전륜을 장애물 등판 위치로 상승시키도록 회전 작동하도록 구비된다.
이런, 등판부(140)는 등판기어체(141), 등판회전축(142), 등판암(143), 및 등판롤러(144)를 포함한다.
등판기어체(141)는 하우징공간(122)에 구동웜체의 양측에 회전이 가능하도록 배치되어 있으며, 각각 구동웜기어체(133)와 치차 결합되어 등판위치로 회전에 의해 승하강되는 한쌍으로 구비된다.
등판회전축(142)은 한쌍의 등판기어체(141)의 양방향으로 각각 돌출 배치되어 있으며, 등판기어체(141)와 함께 회전되면서 하우징공간(122)의 내부에서 양방향의 바깥으로 돌출되도록 구비된다.
등판암(143)은 하우징몸체(121)의 일측 양방향에 각각 한쌍으로 배치되어 있으며, 등판회전축(142)과 함께 회전되도록 연결되어 제어부에서 장애물의 위치를 감지하여 도달하면 구동모터(131)의 구동에 의해 장애물에 접촉되어 회전에 의해 하우징몸체(121)와 퍼스널 모빌리티(10)의 전방을 상승시키는 암형태로 구비된다.
등판롤러(144)는 등판암(143)의 일측끝에 배치되어 있으며, 장애물에 접촉되는 위치에 회전 가능한 롤러 형태로 구비되어 장애물에 접촉 시 손상을 최소화하면서 가압하고, 등판 후 장애물 상에서 이동되도록 구비된다.
제어부(150)는 하우징부(120)의 일측에 배치되어 있으며, 장애물의 위치를 감지하여 회전구동부(130)를 작동을 제어하도록 구비된다.
이런, 제어부(150)는 장애물감지체(151), 제어체(152), 및 회전제어체(153)를 포함한다.
장애물감지체(151)는 하우징몸체(121)의 일측에 배치되어 있으며, 장애물의 위치와 높이를 측정하는 센서 형태로 구비된다.
제어체(152)는 장애물감지체(151)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으며, 장애물의 위치와 높이에 따라 구동모터(131)를 구동시키는 회전제어신호를 발생시켜 회전을 제어하도록 구비된다.
회전제어체(153)는 제어체(152)와 구동모터(131)를 전기적으로 연결하고 있으며, 회전제어신호에 따라 구동모터(131)의 작동으로 한쌍의 등판암(143)을 회전시키도록 제어한다.
도 7은 도 1의 탈부착이 가능한 등판보조장치가 설치된 퍼스널 모빌리티가 주행하여 장애물에 접촉되는 상태를 나타내는 사용상태 사시도이고, 도 8은 도 7의 탈부착이 가능한 등판보조장치가 설치된 퍼스널 모빌리티가 장애물에 접촉된 상태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7 및 도 8을 참고하면, 퍼스널 모빌리티(10)의 등판보조장치(100)가 설치된 상태에서 운행하여 계단에 도달하게 되면 장애물감지체(151)에서 장애물을 감지하고, 감지된 위치로 구동모터(131)를 작동시켜 등판암(143)의 회전에 의해 등판롤러(144)가 계단의 상부에 접촉된다.
도 9는 도 7의 탈부착이 가능한 등판보조장치가 설치된 퍼스널 모빌리티에 장애물에 접촉된 상태에서 구동에 의해 등판위치로 상승하는 상태를 나타내는 사용상태 사시도이고, 도 10은 도 9의 탈부착이 가능한 등판보조장치가 등판위치로 상승하는 상태를 나타내는 사용상태 정면도이다.
도 9 및 도 10을 참고하면, 등판롤러(144)가 계단에 접촉한 상태에서 지속적으로 가압하면 전륜이 계단에 근접한 위치로 이동하면서 전륜이 등판되는 높이까지 상승하도록 작동된다.
도 11은 도 9의 탈부착이 가능한 등판보조장치가 설치된 퍼스널 모빌리티에 등판 위치에 주행하여 전륜이 등판한 상태를 나타내는 사용상태 사시도이고, 도 12는 도 11의 탈부착이 가능한 등판보조장치가 설치된 퍼스널 모빌리티의 전륜이 등판한 상태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11 및 도 12를 참고하면, 전륜이 등판되는 높이까지 상승하면 전륜이 계단에 접촉되어 주행에 의해 등판하여 통과할 수 있다.
도 13은 도 12의 탈부착이 가능한 등판보조장치가 설치된 퍼스널 모빌리티에 전륜 등판 후 후륜이 등판하여 등판을 마친 상태를 나타내는 사용상태 사시도이고, 도 14는 도 13의 탈부착이 가능한 등판보조장치가 설치된 퍼스널 모빌리티에 등판을 마친 상태를 나타내는 사용상태 정면도이다.
도 13 및 도 14를 참고하면, 계단에 전륜이 등판한 후에 지속적으로 주행하여 후륜이 통과하여 등판을 마친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 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등판보조장치 110 : 탈부착부
111 : 탈부착브라켓 112 : 브라켓고정체
120 : 하우징부 121 : 하우징몸체
122 : 하우징공간 123 : 구동공
130 : 회전구동부 131 : 구동모터
132 : 구동웜체 133 : 구동웜기어체
134 : 전력공급체 140 : 등판부
141 : 등판기어체 142 : 등판회전축
143 : 등판암 144 : 등판롤러
150 : 제어부 151 : 장애물감지체
152 : 제어체 153 : 회전제어체

Claims (6)

  1. 퍼스널 모빌리티의 전방에 탈부착이 가능하도록 구비되는 탈부착부;
    상기 탈부착부의 전방에 배치되어 있으며, 등판되는 장애물 방향인 일측으로 돌출되어 회전을 지지하는 하우징 형태의 하우징부;
    상기 하우징부의 내부에 배치되어 있으며, 전방으로 회전되는 동력을 양측으로 분할하여 양측면을 중심으로 상하로 회전되는 동력으로 변환하여 회전되는 동력을 제공하는 회전구동부;
    상기 하우징부의 내부에서 양측에 돌출된 위치에 한쌍으로 각각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회전구동부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어 상하로 이동하도록 회전하면서 등판되는 장애물에 걸림되면 상기 탈부착부에 장착된 상기 퍼스널 모빌리티의 전륜을 장애물 등판 위치로 상승시키도록 회전 작동하는 등판부; 및
    상기 하우징부의 일측에 배치되어 있으며, 장애물의 위치를 감지하여 상기 회전구동부를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탈부착이 가능한 등판보조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탈부착부는,
    상기 퍼스널 모빌리티의 전방에 배치되어 있으며, 장애물에 접촉된 상태에서 등판시키는 상기 하우징부, 상기 회전구동부, 및 제어부를 지지하는 브라켓 형태의 탈부착브라켓; 및
    상기 탈부착브라켓의 타측에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탈부착브라켓을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상기 퍼스널 모빌리티에 탈부착 상태에 따라 고정시키는 브라켓고정체;를 포함하는
    탈부착이 가능한 등판보조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부는,
    상기 탈부착부의 일측에 배치되어 있으며, 내부에 상기 회전구동부가 위치하는 하우징공간을 가지는 하우징몸체; 및
    상기 하우징몸체의 일측에 양 방향으로 바깥에 위치한 한쌍의 상기 등판부를 회전시키도록 고정되는 상기 회전구동부의 회전구동되는 부분이 삽입되는 통공 형태의 구동공;을 포함하는
    탈부착이 가능한 등판보조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구동부는,
    상기 하우징부의 내부에 배치되어 있으며, 전력의 공급에 의해 회전력을 발생시키는 동력을 제공하는 구동모터;
    상기 구동모터의 회전되는 방향에 배치되어 있으며, 바깥 둘레에 나사산이 형성된 구동웜체;
    상기 구동웜체의 상부에서 양측으로 연장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구동웜체와 치차 결합되어 회전되는 방향을 변환하여 양측에 위치한 상기 등판부의 회전되는 동력을 제공하도록 각각 치차결합되는 구동웜기어체; 및
    상기 하우징부의 내부에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구동모터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전력을 공급하는 전력공급체;를 포함하는
    탈부착이 가능한 등판보조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등판부는,
    상기 하우징부의 내부에 상기 회전구동부의 회전되는 동력을 제공하는 양측에 각각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회전구동부와 치차 결합되어 등판위치로 회전에 의해 승하강되는 한쌍의 등판기어체;
    한쌍의 상기 등판기어체의 양방향으로 각각 돌출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등판기어체와 함께 회전되면서 상기 하우징부의 내부에서 양방향의 바깥으로 돌출되도록 구비된 등판회전축;
    상기 하우징부의 일측 양방향에 각각 한쌍으로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등판회전축과 함께 회전되도록 연결되어 상기 제어부에서 장애물의 위치를 감지하여 도달하면 상기 회전구동부의 구동에 의해 장애물에 접촉되어 회전에 의해 상기 하우징부와 상기 퍼스널 모빌리티의 전방을 상승시키는 암형태로 구비된 등판암; 및
    상기 등판암의 일측끝에 배치되어 있으며, 장애물에 접촉되는 위치에 회전 가능한 롤러 형태로 구비되어 장애물에 접촉 시 손상을 최소화하면서 가압하고, 등판 후 장애물 상에서 이동되는 등판롤러;를 포함하는
    탈부착이 가능한 등판보조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하우징부의 일측에 배치되어 있으며, 장애물의 위치와 높이를 측정하는 센서 형태로 구비된 장애물감지체;
    상기 장애물감지체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으며, 장애물의 위치와 높이에 따라 상기 회전구동부를 구동시키는 회전제어신호를 발생시켜 회전을 제어하는 제어체; 및
    상기 제어체와 상기 회전구동부를 전기적으로 연결하고 있으며, 상기 회전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회전구동부의 작동으로 상기 등판부를 회전시키도록 제어하는 회전제어체;를 포함하는
    탈부착이 가능한 등판보조장치.
KR1020220010530A 2022-01-25 2022-01-25 탈부착이 가능한 등판보조장치 KR2023011442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10530A KR20230114420A (ko) 2022-01-25 2022-01-25 탈부착이 가능한 등판보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10530A KR20230114420A (ko) 2022-01-25 2022-01-25 탈부착이 가능한 등판보조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14420A true KR20230114420A (ko) 2023-08-01

Family

ID=875614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10530A KR20230114420A (ko) 2022-01-25 2022-01-25 탈부착이 가능한 등판보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114420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422079B2 (en) Intelligent obstacle-overcoming vehicle
CN105460128B (zh) 一种同步运动滑板车
JP6051777B2 (ja) 移動車両および階段昇降機
CN106963572B (zh) 重心控制行进及转弯的电动轮椅
CN107696914B (zh) 载人机器人
KR20230114420A (ko) 탈부착이 가능한 등판보조장치
CN110815158B (zh) 一种汽车底盘系统检测用的移动装置
US5875501A (en) Patient lift
KR20190056350A (ko) 프로그램제어 계단이동 전동휠체어
WO2008062408A2 (en) Personal mobility device
KR101053691B1 (ko) 전동 스쿠터
JP2016518215A (ja) 病院ベッド又は他のホイール付き物体を移動させるための方法及び装置
JP4471235B1 (ja) 車椅子
CN213911268U (zh) 一种结构紧凑的按摩机芯和按摩器
CN210749896U (zh) 一种智能化多功能辅助轮椅
KR20110092810A (ko) 이동식 변기
JP2014024375A (ja) 段差昇降装置
CN111232085A (zh) 一种伸缩腿式爬楼机
KR20130054026A (ko) 휠체어 착탈식 전동장치
JP2001354167A (ja) 姿勢可変型クローラ
KR200293419Y1 (ko) 전동 휠체어
TWI658824B (zh) 電動輪椅
CN210707681U (zh) 一种自动爬台阶移动平台
CN213643007U (zh) 一种充气式垂直康复踝泵
CN211289380U (zh) 一种高效的医学影像设备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