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14355A - 모션센서를 기반으로 하는 리포머 운동기구 - Google Patents

모션센서를 기반으로 하는 리포머 운동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14355A
KR20230114355A KR1020220010386A KR20220010386A KR20230114355A KR 20230114355 A KR20230114355 A KR 20230114355A KR 1020220010386 A KR1020220010386 A KR 1020220010386A KR 20220010386 A KR20220010386 A KR 20220010386A KR 20230114355 A KR20230114355 A KR 2023011435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ser
support
unit
base frame
motion sens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1038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주현
Original Assignee
이주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주현 filed Critical 이주현
Priority to KR102022001038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114355A/ko
Publication of KR2023011435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14355A/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00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conditioning the cardio-vascular system, for training agility or co-ordination of movements
    • A63B22/0087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conditioning the cardio-vascular system, for training agility or co-ordination of movements with a seat or torso support moving during the exercise, e.g. reformer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1/00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 A63B21/02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using resilient force-resisters
    • A63B21/055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using resilient force-resisters extension element type
    • A63B21/0552Elastic ropes or band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20/00Measuring of physical parameters relating to sporting activity
    • A63B2220/80Special sensors, transducers or devices therefor
    • A63B2220/803Motion sensor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25/00Miscellaneous features of sport apparatus, devices or equipment
    • A63B2225/09Adjustable dimens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25/00Miscellaneous features of sport apparatus, devices or equipment
    • A63B2225/50Wireless data transmission, e.g. by radio transmitters or telemetry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Cardiolog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Biophysics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Measurement Of The Respiration, Hearing Ability, Form, And Blood Characteristics Of Living Organis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복수의 센서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움직임을 감지하는 모션 센서부; 바닥으로부터 수직으로 일정 높이로 형성되고, 수평으로 일정 길이로 형성되는 베이스프레임; 상기 베이스프레임 상부에 장착되는 매트리스; 상기 베이스프레임 내측벽에 장착되어, 상기 매트리스를 상기 베이스프레임 상면을 따라 좌, 우 이동시키는 이동부; 상기 베이스프레임 일측에 결합되어, 사용자의 인력에 따라 전, 후방으로 회전되는 인력부; 상기 매트리스 일측에 결합되어 사용자의 몸의 일부를 지지하는 지지부; 및 상기 베이스프레임의 타측에 결합되어, 사용자의 신체 높이에 따라 슬라이딩 연장 가능한 연장부를 포함하고, 상기 모션 센서부는 사용자의 움직임에 따른 운동 데이터를 획득하는 측정부와, 상기 운동 데이터를 상기 측정부로부터 수신하여 운동 데이터를 정량 데이터로 변환하는 처리부 및 변환된 상기 정량 데이터를 사용자 단말로 송신하는 통신부를 더 포함하는 모션센서를 기반으로 하는 리포머 운동기구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모션센서를 기반으로 하는 리포머 운동기구{Reformer exercise equipment based on motion sensor}
본 발명은 사용자의 신체에 맞게 사용이 가능할 뿐만 아니라, 사용하는 동안 운동량을 측정하여 사용자가 운동능력을 자가 평가할 수 있는 모션센서를 기반으로 하는 리포머 운동기구에 관한 것이다.
현대의 사람들은 체력유지, 건강관리, 재활치료 등을 위해 운동의 필요성을 절실하게 느끼고 있고, 이에 따라 가정이나 헬스클럽 등에서 운동을 하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최근에 각광받는 필라테스는 다양한 소도구와 기구를 사용하여 신체 유연성과 근력을 길러 몸의 긴장을 풀어주면서 동시에 강화시키는 운동법으로서, 반복된 동작으로 근육의 약한 부분을 강화시키고 유연성을 증가시키는 신체 단련 운동법이다.
이에 사용되는 운동기구 중 "리포머"는 사각형의 나무재질의 베이스프레임상에 올려지는 바퀴 달린 캐리지를 포함한다. 캐리지는 베이스프레임위를 주행하며 베이스프레임 하단부에 연결되는 스프링에 의해 연결된다.
또한 리포머는 조셉 필라테스에 의해 시작된 물리적인 운동의 동작은 리포머라고 부르는 고정적인 장치에서 실행된다.
전통적인 리포머는 2개의 평행한 레일 또는 트랙을 지지하는 직사각형 목재 또는 금속 프레임을 구비한다.
이들 트랙위에 바퀴달린 캐리지가 얹혀 있고 하나 이상의 탄성 부재, 통상적으로 코일 스프링에 의해 프레임의 풋 단부를 향해 탄성적으로 바이어싱되어 있다.
사용자는 캐리지 위에 앉거나 눕고 풋 단부에 있는 풋 지지 바아를 밀어서 캐리지를 풋 단부로부터 멀어지게 그리고 풋 단부를 향하게 이동시킨다.
대안적으로, 사용자는 프레임의 헤드 단부에 있는 풀리를 통과하고 캐리지에 부착된 한쌍의 로프 또는 스트랩의 단부를 파지하고 유사하게 캐리지를 프레임의 풋 단부로부터 멀어지게 그리고 풋 단부를 향하게 당길 수 있다.
필라테스 트레이닝에서의 한가지 중요성은 핵심 근육 조직의 안정성이다.
리포머에서 이상적으로 실행되는 운동은 운동 중에 신체 대칭과 대칭적인 신체 운동과 적절한 상체 정렬에 전념하는 사용자에 의해 주의깊게 수행된다.
리포머 위에서 정확하게 센터링되어 있는지, 그리고 필수 움직임 중에 양 팔 또는 양 다리에 동일한 힘을 가한 것을 사용자가 분별하기에는 약간 어려운 경우가 많다.
또한, 상이한 운동을 위해 요구될 수 있을 때에, 사용자가 리포머에서 내려야 하거나 보조자가 풋 지지 바아의 위치를 변화시켜야 한다.
이는 적어도 사용자에게 불편하다. 더욱이, 사용자는 정확한 정렬을 회복하기 위하여 캐리지 상에서 사용자의 신체를 위치 변경하여야 한다.
종래의 리포머들은 베이스프레임위를 주행하는 캐리지에 의해 베이스프레임 길이가 최소한 캐리지의 이동 거리만큼 마련되어야 하는데, 이로 인해 전체적인 길이가 길게 형성된다.
아암 코드의 단부는 통상적으로 캐리지 플랫폼의 홀을 통해 채워져 사용자의 진로에서 벗어나거나 캐리지의 측면위에 걸쳐진다. 따라서, 아암 코드의 단부는 캐리지 아래의 바닥에서 끌릴 수 있다.
사용자는 또한 리포머 캐리지 위에 누워 있는 동안에 아암 코드의 길이를 조절하는 데에 어려움을 갖는다.
사용자는 일반적으로 똑바로 앉아서, 정지 고정구에서 아암 코드의 길이를 조절한 다음에, 캐리지 표면 상에서 자신의 위치를 변경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0642899호 "접이식 리포머 운동기구"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사용이 간단하고 수월한 모션센서를 기반으로 하는 리포머 운동기구를 제공하는 것에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리포머 운동기구를 사용하는 동안 운동량을 측정하여, 사용자가 운동능력을 자가 평가할 수 있도록 모션센서를 기반으로 하는 리포머 운동기구를 제공하는 것에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된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모션센서를 기반으로 하는 리포머 운동기구에 있어서, 복수의 센서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움직임을 감지하는 모션 센서부; 바닥으로부터 수직으로 일정 높이로 형성되고, 수평으로 일정 길이로 형성되는 베이스프레임; 상기 베이스프레임 상부에 장착되는 매트리스; 상기 베이스프레임 내측벽에 장착되어, 상기 매트리스를 상기 베이스프레임 상면을 따라 좌, 우 이동시키는 이동부; 상기 베이스프레임 일측에 결합되어, 사용자의 인력에 따라 전, 후방으로 회전되는 인력부; 상기 매트리스 일측에 결합되어 사용자의 몸의 일부를 지지하는 지지부; 및 상기 베이스프레임의 타측에 결합되어, 사용자의 신체 높이에 따라 슬라이딩 연장 가능한 연장부를 포함하고, 상기 모션 센서부는, 사용자의 움직임에 따른 운동 데이터를 획득하는 측정부와, 상기 운동 데이터를 상기 측정부로부터 수신하여 운동 데이터를 정량 데이터로 변환하는 처리부 및 변환된 상기 정량 데이터를 사용자 단말로 송신하는 통신부를 더 포함한다.
상기 매트리스는, 하부에 위치되어 상기 매트리스를 지지하고, 상기 이동부와 결합되어, 좌, 우 이동되는 지지판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이동부는, 상기 지지판부와 슬라이딩 되도록 결합되는 제1이동부와, 기 베이스프레임에 결합되어 상기 지지판부의 이동을 지지하는 제2이동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인력부는, 상기 베이스프레임 양측단에 각각 결합되는 양측부와, 상기 양측부를 연결하는 양측연결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양측부는, 전 후방 각도를 조절하는 각도조절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각도조절부는, 각도를 조절하기 위해 슬라이딩 이동되는 각도조절바와, 상기 각도조절바와 결합되어 슬라이딩 안내하는 슬라이딩홈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지지부는, 상기 매트리스의 일측에 위치하여, 상기 지지판부와 동시 이동되는 제1지지부와, 상기 제1지지부에 수직으로 한개 이상 결합되어, 상기 사용자의 신체 일부를 지지하는 제2지지부와, 상기 제2지지부와 제2지지부 사이에 위치하여, 사용자의 신체 일부를 받쳐주는 받침대가 형성되는 제3지지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연장부는, 일측은 상기 제2지지부에 끼움 결합되고, 타측은 상기 연장부에 결합되어, 사용자의 인력에 따라 인장력이 발생되도록 탄성력을 지닌 탄성밴드를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사용자가 매트리스 상면에 위치한 상태에서 사용자의 체격에 맞게 위치 조절을 할 수 있어, 간편하게 사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이는 사용자의 균형감각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를 보유한다.
또한, 리포머 운동기구를 사용하는 동안 운동량을 측정하여, 사용자가 운동능력을 자가 평가할 수 있는 효과를 보유한다.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된 효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모션센서를 기반으로 하는 리포머 운동기구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모션센서부를 나타낸 구성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모션센서부의 개략적인 블록도이다.
도 5 및 도 7은 도 1의 리포머 운동기구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은 도 5의 리포머 운동기구의 인력부의 회전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9 및 도 10은 도 5의 리포머 운동기구의 지지부에 결합된 탄성밴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1은 도 5의리포머 운동기구의 연장부를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을 설명하면서 유사한 참조부호를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 사용하였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하기로 한다. 각 도면에 제시된 동일한 부호는 동일한 부재를 나타낸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혹은 구성에 관한 구체적인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모호하지 않게 하기 위하여 생략한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모션센서를 기반으로 하는 리포머 운동기구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모션센서부를 나타낸 구성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모션센서부의 개략적인 블록도이고, 도 5 및 도 7은 도 1의 리포머 운동기구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8은 도 5의 리포머 운동기구의 인력부의 회전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9 및 도 10은 도 5의 리포머 운동기구의 지지부에 결합된 탄성밴드를 나타낸 도면이며, 도 11은 도 5의리포머 운동기구의 연장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1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모션센서를 기반으로 하는 리포머 운동기구(10)는, 모션센서부(S)와, 베이스프레임(100)과, 매트리스(200)와, 이동부(300)와, 인력부(400)와, 지지부(500) 및 연장부(600)를 포함할 수 있다.
모션센서부(S)는, 복수의 센서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움직임을 감지한다.
더불어 모션센서부(S)는 측정부와, 처리부 및 통신부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측정부는 사용자의 움직임에 따른 운동 데이터를 획득한다. 또한 측정부는 사용자의 신체의 일부에 밴드(band) 형태로 장착되어 사용자의 움직임을 측정할 수 있다.
일 예로, 측정부는 사용자의 팔에 팔찌 형태로 장착되어, 사용자의 상지의 움직임을 측정할 수 있다. 다른 예로, 측정부는 사용자의 다리에 장착되어, 사용자의 하지의 움직임을 측정할 수 있다. 여기서, 측정부는 가죽이나, 천, 고무 등으로 만들어진 좁고 길게 만든 띠인 밴드(band) 형태로 장착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측정부는 복수의 센서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움직임을 장착될 수 있고, 사용자의 움직임을 감지하여, 사용자의 움직임에 따른 운동 데이터를 획득할 수 있다.
복수의 센서(미도시)는 3축 가속도 센서 및 3축 자이로 센서를 포함하는6축 모션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센서는 3축 가속도 센서(accel 3축) 및 3축 자이로 센서(gyro 3축), 즉, 6축 가속도/자이로 센서를 포함할수 있으며, 6축 가속도/자이로 센서는 사용자 움직임을 기반으로 하는 가속도 및 각속도 데이터를 획득할 수 있다.
여기서 3축 가속도 센서 및 3축 자이로 센서, 즉, 6축 가속도/자이로 센서는 디지털 6축 모션 센서일 수 있으며,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6축 모션 센서는 MPU-6050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는 것이 아닌, 다른 6축 모션 센서를 통해 구현될 수 있다.
복수의 센서에는 디지털 6축 모션 센서 외에도 사용자의 움직임을 감지하기 위한 다른 센서들을 포함할 수 있으며, 디지털 6축 모션 센서는 하나, 또는 하나 이상인 복수 개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측정부는 6축 모션 센서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움직임을 감지할 수 있으며, 6축 모션 센서는, 사용자의 움직임에 따른 가속도 데이터 및 각속도 데이터를 포함하는 운동 데이터를 획득할 수 있다.
또한 측정부는 dmp(digital motion processing) 기능을 이용하여 사용자의 움직임을 감지할 수 있다. dmp 기능은 이미 공지된 기술이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또한 측정부는 6축 모션 센서를 이용하여 측정한 사용자 움직임에 대한 가속도 데이터 및 각속도 데이터를 포함하는 운동 데이터를 I2C 통신을 이용하여 후술하는 처리부로 전송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그리고 처리부는 운동 데이터를 측정부로부터 수신하여 운동 데이터를 정량 데이터로 변환한다.
처리부는 측정부로부터 수신된 운동 데이터에서 3축 가속도 센서로부터 획득된 롤(Roll) 값 및 피치(Pitch) 값을 이용하여 3축 자이로 센서로부터 획득된 (Roll) 값 및 피치(Pitch) 값을 보상함으로써 오일러각(Euler angle)을 예측할 수 있다.
그리고 통신부는 변환된 정량 데이터를 사용자 단말(2)로 송신한다.
통신부는 변환 된 정량 데이터를 사용자 단말(2)로 송신할 수 있다. 여기서 정량 데이터는 축 각도, 축 변위를 의미할 수 있고, 이러한 정량 데이터는 앞서 언급한 처리부에서 획득될 수 있다.
처리부로부터 획득한 축의 각도 및 변위는 통신부로 인해 사용자 단말(2)로 송신될 수 있다. 여기서 통신부는 블루투스(Bluetooth) 통신을 이용하여 사용자 단말(2)로 정량 데이터를 송신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
더불어 모션센서부(S)는 사용자 단말(2)과 네트워크(1) 통신할 수 있다.
네트워크(1)는 단말 및 서버와 같은 각각의 노드 상호 간에 정보 교환이 가능한 무선의 연결 구조를 의미하는 것으로, 이러한 네트워크(1)의 일 예에는 3GPP(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네트워크, LTE(Long Term Evolution) 네트워크, 5G 네트워크, WIMAX(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네트워크, 인터넷(Internet), LAN(Local Area Network), Wireless LAN(Wireless Local Area Network), WAN(Wide Area Network), PAN(Personal Area Network), 블루투스(Bluetooth) 네트워크, 위성 방송 네트워크, 아날로그 방송네트워크, DMB(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네트워크 등을 포함할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블루투스(Bluetooth)를 이용하여 네트워크 통신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 단말(2)은 모션센서부(S)로부터 제공받은 운동 데이터를 획득하여 디스플레이할 수 있는 디바이스로서, 휴대용 단말, 예를 들면, 스마트폰(Smartphone), 스마트패드(SmartPad), 스마트 TV, 태블릿 PC등과 PCS(Personal Communication System),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 PDC(Personal Digital Cellular), PHS(Personal Handyphone System),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IMT(International Mobile Telecommunication)-2000,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2000, W-CDMA(W-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Wibro(Wireless Broadband Internet) 단말 같은 사용자의 입력을 수신하고 화면상에 결과값을 디스플레이 하는 모든 종류의 무선 통신 장치 및 유선 통신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베이스프레임(100)은, 바닥으로부터 수직으로 일정 높이로 형성되고, 수평으로 일정 길이로 형성된다.
이때 베이스프레임(100)은 바닥으로부터 수직으로 일정 높이로 형성되는 다리(110)가 설치될 수 있다.
이러한 다리(110)는 다수개로 설치되어, 도시되지 않았지만 높이조절이 가능한 높이조절다리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다리(110) 하부에는 바퀴(미도시)가 설치될 수 있다.
이러한 바퀴는 다리(110) 하부에서 탈착 가능하도록 설치될 수 있다.
또한 베이스프레임(100)은 나무로 제작될 수 있고, 나무 뿐만 아니라 다양한 재질로 제작될 수 있다.
매트리스(200)는 베이스프레임(100) 일측에 장착된다. 또한 매트리스(200)는 그리고 매트리스(200)는 라텍스, 스펀지 등과 같이 탄성이 있는 재질로 제작될 수 있다.
다만 이는 예시일 뿐, 베이스프레임(100)과 동일한 재질로 제작될 수 있다.
이때 매트리스(200)는 하부에 위치되어 매트리스(200)를 지지하고, 이동부(300)와 결합되어, 좌, 우 이동되는 지지판부(210)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지지판부(210)는 매트리스(200)와 탈착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매트리스(200) 파손 시 손 쉽게 교체가 가능하다.
이때 지지판부(210)와 매트리스(200)의 결합방법은 나사, 볼트 등 또는 찍찍이와 같은 테이프형식으로 결합될 수 있다.
이동부(300)는 베이스프레임(100) 내측벽에 장착되어, 매트리스(200)를 베이스 프레*100)의 상면을 따라 좌, 우 이동시킨다.
또한 이동부(300)는 제1이동부(미도시)와, 제2이동부(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제1이동부(미도시)는 베이스프레임(100)에서 지지판부(210)가 슬라이딩 되도록 결합될 수 있다. 그리고 제2이동부(미도시)는 베이스프레임(100)에 결합되어 지지판부(210)의 이동을 지지할 수 있다.
이때 제1이동부 및 제2이동부는 가이드레일로 설치될 수 있다. 이러한 가이드레일은 공지기술이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인력부(400)는 베이스프레임(100) 일측에 결합되어, 사용자의 인력에 따라 전, 후방으로 회전된다.
이를 위해 인력부(400)는 양측부(410)와, 양측연결부(420)를 포함할 수 있다.
양측부(410)는 베이스프레임(100) 양측단에 각각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양측부(410)는 각도조절부(411)를 포함할 수 있다.
양측부(410)와 양측연결부(420)는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또는 양측부(410)와 양측연결부(420)는 나사산으로 결합될 수 있다.
더불어 양측연결부(420)는 사용자의 손이나 발이 또는 신체 일부가 닿을 때 쿠션을 전달할 수 있도록 쿠션부(421)가 설치될 수 있다.
이러한 쿠션부(421)는 고무일 수 있고, 라텍스, 스펀지 등일 수 있다.
더불어 쿠션부(421)는 양측부(410)와 양측연결부(420) 또는 양측부(410) 또는 양측연결부(420)에 각각 감싸지게 제작될 수 있다.
각도조절부(411)는 각도를 조절하기 위해 슬라이딩 이동되는 각도조절바(412)와, 각도조절바(412)와 결합되어 슬라이딩 안내하는 슬라이딩홈(413)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각도조절바(412)는 볼트가 체결되도록 한개 이상의 볼트홀(412a)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슬라이딩홈(413)은 볼트의 간격과 대응되고, 각도조절바(412)의 볼트홀(412a)과 관통되어 체결되도록 체결홀(413a)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양측연결부(420)는 베이스프레임(100) 양측단에 결합된 양측부(410)를 연결할 수 있다.
한편, 베이스프레임(100) 외측벽에는 인력부(400)의 각도조절바(412)가 결합되어 각도조절된 상태를 고정하도록 베이스프레임(100) 외측에 각도조절바(412)의 체결홀(413a)과 체결되는 각도체결홀(120)을 포함할 수 있다.
더불어 베이스프레임(100) 외측벽에는 베이스프레임(100) 외측벽에 결합된 인력부(400)가 사용자의 인력에 의해 회전가능하도록 양측부(410)가 결합되는 회전홀(130)이 형성될 수 있다.
지지부(500)는 매트리스(200) 일측에 결합되어 사용자의 몸의 일부를 지지한다. 이를 위해 지지부(500)는 제1지지부(510)와, 제2지지부(520) 및 제3지지부(530)를 포함할 수 있다.
제1지지부(510)는 매트리스(200)의 일측에 위치하여, 지지판부(210)와 동시 이동될 수 있다. 이러한 제1지지부(510)는 지지판부(210)와 동일한 판형으로 제작될 수 있다.
그리고 제2지지부(520)는 제1지지부(510)에 수직으로 한 개 이상 결합되어, 사용자의 신체 일부를 지지할 수 있다.
이때 제2지지부(520)는 사용자의 무릎 또는 어깨 등이 매트리스(200)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제1지지부(510)에는 제2지지부(520)가 결합되되, 제2지지부가 제1지지부에서 슬라이딩 이동 가능한 슬라이딩 홀(미도시)이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슬라이딩 홀은 다수개의 구멍으로 홀이 형성되어, 제2지지부(520)의 간격을 조절할 때, 원하는 슬라이딩 홀에 체결하여 간격을 조절할 수 있다.
그리고 제3지지부(530)는 제2지지부(520)와 제2지지부(520) 사이에 위치하여, 사용자의 신체 일부를 받쳐주는 받침대가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제3지지부(530)에는 사용자가 누웠을 때, 어깨는 제2지지부(520)에 지지되어, 제3지지부(530)에 머리가 위치될 수 있다.
연장부는(600)는 베이스프레임(100)의 타측에 결합되어, 사용자의 신체 높이에 따라 슬라이딩 연장 가능하다.
이러한 연장부(600)는 베이스프레임(100) 다리(110) 내부에 장착될 수 있다. 이를 위헤 베이스프레임(100) 다리(110)는 연장부(600)가 삽입될 수 있는 삽입홈(140)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연장부(600)는 사용자가 원하는 높이에 따라 삽입홈(140)에서 잡아당겨 연장을 조절할 수 있다.
이때 연장부(600)의 연장 조절은 연장된 상태에서 다리(110)와 나사 또는 볼트로 체결하여 연장된 상태를 고정 또는 조절할 수 있다.
또한 연장부(600)는 탄성밴드(610)를 포함할 수 있다.
탄성밴드(610)는 일측은 제2지지부(520)에 끼움 결합되고, 타측은 연장부(600)에 결합되어, 사용자의 인력에 따라 인장력이 발생되도록 탄성력을 지닐 수 있다.
이때 탄성밴드(610) 일측은 제2지지부(520)에 끼움 결합 시, 제2지지부(520)에서 탄성밴드(610)가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탄성밴드(610)의 두께에 대응되는 대응홈(미도시)이 형성될 수 있다.
한편, 탄성밴드(610)는 제1지지부(510)에 끼움결합되고, 제1지지부(510)에는 탄성밴드(610)의 탄성력을 조절하는 조절부(511)가 설치될 수 있다.
이때 조절부(511)는 롤러 형상을 지니고, 롤러와 롤러 사이에 탄성밴드(610)가 장착되어 탄성밴드(610)의 탄성의 팽팸함과 느슨함을 조절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조절부(511)는 롤러는 둘레면 일측이 돌출부(512)가 형성되어, 탄성밴드(610)의 탄성을 팽팽하게 조절 시, 돌출부(512)를 탄성밴드(610)를 향하게 회전시킬 수 있다.
즉, 돌출부(512)와 돌출부(512) 사이에 장착된 탄성밴드(610)를 가압하여 탄성밴드(610)가 인력에 의해 당겨지는 것을 최대한 방지할 수 있다.
또한 탄성밴드(610)의 느슨함으로 조절 시, 돌출부(512)를 탄성밴드(610)와 멀어지게 회전시킬 수 있다.
즉, 돌출부(512)에 의해 가압된 탄성밴드(610)를 해방시켜 탄성밴드(610)가 인력에 의해 당겨지게할 수 있다.
또한 조절부(511)에 장착된 탄성밴드(610)가 조절부(511)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이탈방지부재(513)가 설치될 수 있다.
이러한 이탈방지부재(513)는 탄성밴드(610)가 삽입되는 밴드삽입홀(513a)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연장부(600)는 탄성밴드(610)가 통과할 수 있는 통과홀부(620)가 설치될 수 있다. 이러한 통과홀부(620)는 연장부(600)에서 탈착이 가능하도록 나사산 형상을 지닐 수 있다.
이를 위해 통과홀부(620)가 삽입될 수 있도록 연장부(600)에도 이에 대응되는 통과홀부삽입홀(미도시)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연장부(600)는 탄성밴드(610)의 탄성력을 지지할 뿐만 아니라, 사용자가 탄성밴드(610)로 운동 시 더욱 부드럽게 탄성력이 사용될 수 있도록 회전력을 전달할 수 있는 탄성지지부(630)를 포함할 수 있다.
즉 탄성지지부(630)는 연장부(600) 내측 둘레면에 나사결합되어, 전, 후방으로 회전이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이러한 탄성지지부(630)는 회전이 안되는 연장부(600)에서 탄성밴드(610)의 탄성력을 부드럽게 사용자에게 전달되기 위해 탄성밴드(610)가 연장부(600)에서 전 후 방으로 회전이 가능하되도록 설치될 수 있다.
이때 탄성지지부(630)는 연장부(600)의 높이 폭보다 작아 연장부(600) 내측둘레면에 근접하게 위치될 수 있다.
더불어 탄성지지부(630)는 연장부(600)에 설치된 상태에서 다리(110) 삽입홀에 삽입될 수 있다.
이때, 조절부(511)는 제1지지부(510)에 장착될 수 있다.
한편, 베이스프레임(100)은 하부방향 빈공간에 서랍이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서랍(미도시)에는 통과홀부(620)를 보관할 수 있고, 여분의 탄성밴드(610) 등을 보관할 수 있다.
상술된 구성을 갖는 모션센서를 기반으로 하는 리포머 운동기구는 사용자가 매트리스 상면에 위치한 상태에서 사용자의 체격에 맞게 위치 조절을 할 수 있어, 간편하게 사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이는 사용자의 균형감각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리포머 운동기구를 사용하는 동안 운동량을 측정하여, 사용자가 운동능력을 자가 평가할 수 있다.
도면과 명세서에서 최적의 실시예들이 개시되었다. 여기서, 특정한 용어들이 사용되었으나, 이는 단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에서 사용된 것이지 의미한정이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기 위하여 사용된 것은 아니다. 그러므로,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1 : 네트워크
2 : 사용자 단말
S : 모션센서부
10 : 모션센서를 기반으로 하는 리포머 운동기구
100 : 베이스프레임
110 : 다리
120 : 각도체결홀
130 : 회전홀
140 : 삽입홈
200 : 매트리스
210 : 지지판부
300 : 이동부
400 : 인력부
410 : 양측부
411 : 각도조절부
412 : 각도조절바
412a : 볼트홀
413 : 슬라이딩홈
413a : 체결홀
420 : 양측연결부
421 : 쿠션부
500 : 지지부
510 : 제1지지부
511 : 조절부
512 : 돌출부
513 : 이탈방지부재
513a : 밴드삽입홀
520 : 제2지지부
530 : 제3지지부
600 : 연장부
610 : 탄성밴드
620 : 통과홀부
630 : 탄성지지부

Claims (6)

  1. 복수의 센서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움직임을 감지하는 모션 센서부;
    바닥으로부터 수직으로 일정 높이로 형성되고, 수평으로 일정 길이로 형성되는 베이스프레임;
    상기 베이스프레임 상부에 장착되는 매트리스;
    상기 베이스프레임 내측벽에 장착되어, 상기 매트리스를 상기 베이스프레임 상면을 따라 좌, 우 이동시키는 이동부;
    상기 베이스프레임 일측에 결합되어, 사용자의 인력에 따라 전, 후방으로 회전되는 인력부;
    상기 매트리스 일측에 결합되어 사용자의 몸의 일부를 지지하는 지지부; 및
    상기 베이스프레임의 타측에 결합되어, 사용자의 신체 높이에 따라 슬라이딩 연장 가능한 연장부를 포함하고,
    상기 모션 센서부는,
    사용자의 움직임에 따른 운동 데이터를 획득하는 측정부와,
    상기 운동 데이터를 상기 측정부로부터 수신하여 운동 데이터를 정량 데이터로 변환하는 처리부 및
    변환된 상기 정량 데이터를 사용자 단말로 송신하는 통신부를 더 포함하는 모션센서를 기반으로 하는 리포머 운동기구.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매트리스는,
    하부에 위치되어 상기 매트리스를 지지하고, 상기 이동부와 결합되어, 좌, 우 이동되는 지지판부를 포함하는 모션센서를 기반으로 하는 리포머 운동기구.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이동부는,
    상기 지지판부와 슬라이딩 되도록 결합되는 제1이동부와,
    상기 베이스프레임에 결합되어 상기 지지판부의 이동을 지지하는 제2이동부를 포함하는 모션센서를 기반으로 하는 리포머 운동기구.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인력부는,
    상기 베이스프레임 양측단에 각각 결합되는 양측부와,
    상기 양측부를 연결하는 양측연결부를 포함하고,
    상기 양측부는,
    전 후방 각도를 조절하는 각도조절부를 포함하고,
    상기 각도조절부는,
    각도를 조절하기 위해 슬라이딩 이동되는 각도조절바와,
    상기 각도조절바와 결합되어 슬라이딩 안내하는 슬라이딩홈을 포함하는 모션센서를 기반으로 하는 리포머 운동기구.
  5.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는,
    상기 매트리스의 일측에 위치하여, 상기 지지판부와 동시 이동되는 제1지지부와,
    상기 제1지지부에 수직으로 한개 이상 결합되어, 상기 사용자의 신체 일부를 지지하는 제2지지부와,
    상기 제2지지부와 제2지지부 사이에 위치하여, 사용자의 신체 일부를 받쳐주는 받침대가 형성되는 제3지지부를 포함하는 모션센서를 기반으로 하는 리포머 운동기구.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연장부는,
    일측은 상기 제2지지부에 끼움 결합되고, 타측은 상기 연장부에 결합되어, 사용자의 인력에 따라 인장력이 발생되도록 탄성력을 지닌 탄성밴드를 포함하는 모션센서를 기반으로 하는 리포머 운동기구.
KR1020220010386A 2022-01-25 2022-01-25 모션센서를 기반으로 하는 리포머 운동기구 KR2023011435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10386A KR20230114355A (ko) 2022-01-25 2022-01-25 모션센서를 기반으로 하는 리포머 운동기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10386A KR20230114355A (ko) 2022-01-25 2022-01-25 모션센서를 기반으로 하는 리포머 운동기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14355A true KR20230114355A (ko) 2023-08-01

Family

ID=875615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10386A KR20230114355A (ko) 2022-01-25 2022-01-25 모션센서를 기반으로 하는 리포머 운동기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114355A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42899B1 (ko) 2001-04-12 2006-11-03 밸런스드 바디, 인크. 접이식 리포머 운동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42899B1 (ko) 2001-04-12 2006-11-03 밸런스드 바디, 인크. 접이식 리포머 운동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10294633A1 (en) Exercise apparatus
US8062195B2 (en) Individual physical training device
US7654938B2 (en) Exercise machine with pivoting user support having multiple pivot linkage
US8512210B2 (en) Multitrainer for swivel chairs on castors
US9211431B2 (en) Exercise machine
US8602953B2 (en) Reformer apparatus having integral ergonomic purchase translatable into deployed and stowed positions
US9517374B2 (en) Air straps
US20110105277A1 (en) Multi-trainer for swivel chairs on castors
US9138612B2 (en) Exercise device
US7588521B1 (en) Push-up exercise apparatus
WO2013124930A1 (ja) 運動補助装置
US10363449B2 (en) Exercise devices and systems
US11896869B2 (en) Exercise apparatus
KR101954967B1 (ko) 근력운동장치
KR20090094588A (ko) 하지재활 운동기구를 이용한 시각적 운동기구
US20110300997A1 (en) Exercise Apparatus
KR101057316B1 (ko) 줄 당기기 운동기구
KR20230114355A (ko) 모션센서를 기반으로 하는 리포머 운동기구
KR20160026373A (ko) 스쿼트 운동기구
KR101410686B1 (ko) 복합운동기구
CN111790097A (zh) 桌子及沙发用腿部运动器材
JP5213086B1 (ja) 運動補助装置
KR101974454B1 (ko) 다용도 운동기구
KR20190005612A (ko) 복합 운동기구
EP0788816A1 (en) Gymnastic and rehabilitation apparatu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