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14351A - Electrode assembly body for secondary battery and menufacturing method thereof - Google Patents

Electrode assembly body for secondary battery and menufacturing method thereof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14351A
KR20230114351A KR1020220010375A KR20220010375A KR20230114351A KR 20230114351 A KR20230114351 A KR 20230114351A KR 1020220010375 A KR1020220010375 A KR 1020220010375A KR 20220010375 A KR20220010375 A KR 20220010375A KR 20230114351 A KR20230114351 A KR 2023011435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ectrode body
separator
electrode
secondary battery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10375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정창문
홍지준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루트제이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루트제이드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루트제이드
Priority to KR102022001037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114351A/en
Publication of KR2023011435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14351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04Construction or manufacture in general
    • H01M10/0459Cells or batteries with folded separator between plate-like electrod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04Construction or manufacture in general
    • H01M10/0413Large-sized flat cells or batteries for motive or stationary systems with plate-like electrod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70/00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process for final industrial or consumer products
    • Y02P70/50Manufacturing or production processes characterised by the final manufactured produc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Secondary Cell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이차전지용 전극조립체는, 분리막; 상기 분리막의 상하 양면 중 일면에 고정되는 제2 전극체; 및 상기 분리막의 상하 양면에 고정되는 제1 전극체;를 포함하며, 상기 분리막의 양단 중 타단이 일단을 감싸도록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방향을 따라 사각형 패턴으로 와인딩 되고, 상기 제1 전극체 및 상기 제2 전극체가 교대로 적층된 상태로 형성되는 단위 전극체를 포함할 수 있다.An electrode assembly for a secondary batter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separator; a second electrode body fixed to one of the upper and lower surfaces of the separator; and a first electrode body fixed to both upper and lower surfaces of the separator, wherein the other end of both ends of the separator is wound in a rectangular pattern in a clockwise or counterclockwise direction so as to surround one end, and the first electrode body and the It may include unit electrode bodies formed in a state in which the second electrode bodies are alternately stacked.

Description

이차전지용 전극조립체 및 그의 제조 방법 및 {ELECTRODE ASSEMBLY BODY FOR SECONDARY BATTERY AND MENUFACTURING METHOD THEREOF}Electrode assembly for secondary battery and its manufacturing method {ELECTRODE ASSEMBLY BODY FOR SECONDARY BATTERY AND MENUFACTURING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이차전지용 전극조립체 및 그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리튬이차전지의 용량을 증가시키는 경우에도 전지의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이차전지용 전극조립체 및 그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electrode assembly for a secondary battery and a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and more particularly, to an electrode assembly for a secondary battery capable of improving battery productivity even when the capacity of a lithium secondary battery is increased, and a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최근 첨단 전자산업의 발달로 전자장비의 소량화 및 경량화가 가능하게 됨에 따라 휴대용 전자 기기, 다양한 형태의 모바일 기기의 사용이 증대되고 있다. 이러한 휴대용 전자 기기, 모바일 기기 등의 전원으로 높은 에너지 밀도를 가진 전지의 필요성이 증대되어 리튬이차전지의 연구가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다.Recently, with the development of the high-tech electronics industry, it is possible to reduce the size and weight of electronic equipment, and thus the use of portable electronic devices and various types of mobile devices is increasing. As the need for a battery having a high energy density as a power source for such portable electronic devices and mobile devices increases, research on lithium secondary batteries is being actively conducted.

특히, 전자기기 및 모바일 기기 등의 급속한 박형화와 소형화는 얇은 두께의 박형 리튬 이차전지에 대한 수요를 급속히 확대시키고 있는 반면, 기존의 원통형이나 각형 리튬 이차전지의 구조 및/또는 제조 방법은 전지의 박형화에 따르는 부피당 에너지 밀도 면에서 우수하지 못하다는 한계가 있다. 따라서, 통상 5mm 이하의 두께를 갖는 박형 전지를 휴대전화, 캠코더, 노트북 컴퓨터 등의 고성능 휴대용 전자기기, 모바일 기기 등에 채용할 경우, 충분한 구동시간을 얻기 힘든 실정이다.In particular, rapid thinning and miniaturization of electronic devices and mobile devices is rapidly expanding the demand for thin lithium secondary batteries, while the structure and / or manufacturing method of existing cylindrical or prismatic lithium secondary batteries There is a limit that it is not excellent in terms of energy density per volume according to . Therefore, when a thin battery having a thickness of 5 mm or less is used for high-performance portable electronic devices such as mobile phones, camcorders, and notebook computers, and mobile devices, it is difficult to obtain sufficient driving time.

구체적으로, 각형 리튬 이차전지는 와인딩 또는 젤리롤 형상을 갖는 전극체 구조로 인하여 용적 대비 전지의 효율성이 좋지 않고, 저온 연신으로 제조된 금속 포장재의 벽체 두께를 감소시키는 데 대한 기술적 제약으로 인하여, 전지 두께가 줄어들어 에너지 밀도가 저하된다. 반면, 적층된 전극 조립체를 알루미늄 라미네이트 포장재로 밀봉하여 조립된 리튬 고분자 전지의 경우, 젤리롤에 의해 발생되는 공간의 낭비를 감소시킬 수 있으나, 전극 사이의 밀착성을 높이기 위해 고분자 바인더를 과량 사용하거나 전극-전해질 계면에 접착층을 도포하여야 하므로, 이에 의한 에너지 밀도 및 그에 따른 전지 성능의 저하가 발생하는 문제가 있다.Specifically, the prismatic lithium secondary battery has poor battery efficiency relative to volume due to the winding or jelly-roll-shaped electrode body structure, and due to technical limitations on reducing the wall thickness of a metal packaging material manufactured by low-temperature elongation, the battery As the thickness decreases, the energy density decreases. On the other hand, in the case of a lithium polymer battery assembled by sealing the stacked electrode assemblies with an aluminum laminate packaging material, waste of space caused by jelly rolls can be reduced, but an excessive amount of polymer binder is used to increase adhesion between electrodes or electrodes - Since an adhesive layer must be applied to the electrolyte interface, there is a problem in that energy density and thus battery performance are lowered.

또한, 알루미늄 라미네이트 포장재 자체의 기계적 취약성과 고분자 내피층과 금속탭으로 이루어진 접착면의 접착강도 부족으로 인하여 전지의 내구성, 안전성이 취약한 문제점도 내포하고 있다.In addition, due to the mechanical weakness of the aluminum laminate packaging material itself and the insufficient adhesive strength of the adhesive surface composed of the polymer inner skin layer and the metal tab, durability and safety of the battery are weak.

한편, 최근에 와서는 전기자동차의 보급이 늘어나면서 전기자동차용 이차전지와 같이 대용량의 이차전지에 대한 수요가 커지고 있다. 이차전지의 용량을 키우기 위해서는 기본적으로 전극조립체를 구성하는 전극체의 적층수를 늘이거나 와인딩 횟수를 늘려야 한다. 그런데, 종래기술에 따른 Z-폴딩 방식을 사용하여 전극체의 적층수를 늘리기 위해서는 폴딩 회수를 늘려야 하고 분리막의 길이도 증가해야 하기 때문에 생산시간이 길어지는 등 생산성이 좋지 않다는 문제점이 있으며, 와인딩 방식을 사용하여 적층수를 늘리는 경우에는 전지케이스 내에 발생하는 공간의 손실이 크고 전지 형상에 제약이 발생하는 등의 문제가 있다.Meanwhile, as the spread of electric vehicles has increased in recent years, demand for high-capacity secondary batteries such as secondary batteries for electric vehicles has increased. In order to increase the capacity of the secondary battery, it is basically necessary to increase the number of stacked electrode bodies constituting the electrode assembly or increase the number of windings. However, in order to increase the number of stacked electrode bodies using the Z-folding method according to the prior art, the number of times of folding must be increased and the length of the separator must be increased, resulting in poor productivity such as long production time. In the case of increasing the number of layers by using, there is a problem such as a large loss of space occurring in the battery case and restrictions on the shape of the battery.

본 출원인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전지의 용량을 크게 하는 경우에도 전지 내부의 공간 손실을 줄일 수 있고 전지 형상에 대한 제약을 줄 일 수 있으며 전지의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전극조립체의 와인딩 발명을 제안하게 되었다.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s, the present applicant has developed an electrode assembly capable of reducing space loss inside the battery, reducing restrictions on the shape of the battery, and improving productivity of the battery even when the capacity of the battery is increased. proposed the invention of winding.

한국등록특허 제10-2196103호(등록일자 2020.12.22.)Korean Registered Patent No. 10-2196103 (registration date 2020.12.22.)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 리튬이차전지의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이차전지용 전극조립체 및 그의 제조 방법을 제공한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roposed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d provides an electrode assembly for a secondary battery capable of improving productivity of a lithium secondary battery and a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양측체와 음극체의 얼라인먼트(정렬) 상태가 유지될 수 있는 이차전지용 전극조립체 및 그의 제조 방법을 제공한다.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n electrode assembly for a secondary battery capable of maintaining alignment (alignment) between both sides and a negative electrode and a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본 발명은 단위 전극체를 여러 개 적층함으로써 와인딩의 한계를 극복하고 전지의 용량을 증대시킬 수 있는 이차전지용 전극조립체 및 그의 제조 방법을 제공한다.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n electrode assembly for a secondary battery and a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capable of overcoming the limitations of winding and increasing the capacity of a battery by stacking a plurality of unit electrode bodies.

상기한 바와 같은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이차전지용 전극조립체는, 분리막; 상기 분리막의 상하 양면 중 일면에 고정되는 제2 전극체; 및 상기 분리막의 상하 양면에 고정되는 제1 전극체;를 포함하며, 상기 분리막의 양단 중 타단이 일단을 감싸도록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방향을 따라 사각형 패턴으로 와인딩 되고, 상기 제1 전극체 및 상기 제2 전극체가 교대로 적층된 상태로 형성되는 단위 전극체를 포함할 수 있다.An electrode assembly for a secondary batter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includes a separator; a second electrode body fixed to one of the upper and lower surfaces of the separator; and a first electrode body fixed to both upper and lower surfaces of the separator, wherein the other end of both ends of the separator is wound in a rectangular pattern in a clockwise or counterclockwise direction so as to surround one end, and the first electrode body and the It may include unit electrode bodies formed in a state in which the second electrode bodies are alternately stacked.

상기 단위 전극체를 형성하는 상기 제1 전극체 또는 상기 제2 전극체 중 어느 하나는 상기 분리막에 의해 덮이지 않는 상태로 마련될 수 있다.Any one of the first electrode body and the second electrode body forming the unit electrode body may be provided in a state not covered by the separator.

상기 분리막에 의해 덮이지 않는 상태로 마련되는 상기 제1 전극체와 대향하는 최외각의 상기 제2 전극체는 상기 분리막의 타단에 의해 덮인 상태로 마련되거나, 상기 분리막에 의해 덮이지 않는 상태로 마련되는 상기 제2 전극체와 대향하는 최외각의 상기 제1 전극체는 상기 분리막의 타단에 의해 덮인 상태로 마련될 수 있다.The outermost second electrode body facing the first electrode body provided in a state not covered by the separator is provided in a state covered by the other end of the separator or not covered by the separator. The outermost first electrode body facing the second electrode body may be provided in a state covered by the other end of the separator.

상기 분리막의 일단의 상하 양면 중 일면에는 상기 제1 전극체가 위치하고 타면에는 상기 제2 전극체가 위치하되 상기 제1 전극체 및 상기 제2 전극체가 서로 마주 보도록 위치하며, 상기 제1 전극체 및 상기 제2 전극체 중 나머지는 상기 제1 전극체와 마주 보는 상기 제2 전극체와 동일하게 상기 분리막의 타면에 위치할 수 있다.The first electrode body is positioned on one surface of the upper and lower surfaces of one end of the separator, and the second electrode body is positioned on the other surface, the first electrode body and the second electrode body facing each other, and the first electrode body and the first electrode body are positioned to face each other. The rest of the two electrode bodies may be positioned on the other surface of the separator in the same way as the second electrode body facing the first electrode body.

상기 분리막의 일면에는 상기 제2 전극체와 마주 보는 상기 제1 전극체만 위치할 수 있다.Only the first electrode body facing the second electrode body may be positioned on one surface of the separator.

복수개의 상기 단위 전극체가 상하로 적층된 상태로 마련되되, 상기 단위 전극체의 최외각에 위치하며 상기 분리막에 의해 덮이지 않는 상태로 마련되는 상기 제1 전극체 또는 상기 제2 전극체가 상하로 이웃하는 상기 단위 전극체의 최외각에 위치하는 상기 분리막에 의해 덮이도록 적층될 수 있다.The plurality of unit electrode bodies are provided in a vertically stacked state, and the first electrode body or the second electrode body located at the outermost part of the unit electrode body and provided in a state not covered by the separator is vertically adjacent to each other. may be stacked so as to be covered by the separator located at the outermost part of the unit electrode body.

한편, 발명의 다른 분야에 의하면, 본 발명은, 이차전지용 전극조립체의 제조 방법에 있어서, 상기 분리막의 일단의 상하 양면 중 일면에 상기 제1 전극체를 부착하는 단계; 상기 분리막의 일단의 상하 양면 중 상기 제1 전극체와 마주 보는 타면에 상기 제2 전극체를 부착하는 단계; 상기 제1 전극체와 마주 보는 상기 제2 전극체와 동일하게 상기 분리막의 타면에 상기 제2 전극체 및 상기 제1 전극체를 부착하는 단계; 및 상기 분리막의 일단 측에 위치하는 상기 제1 전극체 및 상기 제2 전극체를 감싸도록 상기 분리막의 타단을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방향을 따라 사각형 패턴으로 와인딩 하여 상기 단위 전극체를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이차전지용 전극조립체의 제조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according to another field of the invention, in the method of manufacturing an electrode assembly for a secondary battery, the method comprising: attaching the first electrode body to one of the upper and lower surfaces of one end of the separator; attaching the second electrode body to the other surface facing the first electrode body among the upper and lower surfaces of one end of the separator; attaching the second electrode body and the first electrode body to the other surface of the separator in the same manner as the second electrode body facing the first electrode body; and forming the unit electrode body by winding the other end of the separator in a rectangular pattern in a clockwise or counterclockwise direction so as to surround the first electrode body and the second electrode body positioned at one end of the separator; It is possible to provide a method for manufacturing an electrode assembly for a secondary battery comprising a.

상기 분리막의 타면에 상기 제2 전극체 및 상기 제1 전극체를 부착하는 단계에서는, 동일한 개수의 상기 제1 전극체와 상기 제2 전극체를 상기 분리막의 타면에 부착할 수 있다.In the step of attaching the second electrode body and the first electrode body to the other surface of the separator, the same number of first electrode bodies and the second electrode body may be attached to the other surface of the separator.

상기 분리막의 타면에 상기 제2 전극체 및 상기 제1 전극체를 부착하는 단계에서, 상기 분리막의 타단 측에는 상기 제1 전극체 및 상기 제2 전극체를 부착하지 않을 수 있다.In the step of attaching the second electrode body and the first electrode body to the other surface of the separator, the first electrode body and the second electrode body may not be attached to the other end of the separator.

상기 분리막의 일단 측에 위치하는 상기 제1 전극체 및 상기 제2 전극체를 감싸도록 상기 분리막의 타단을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방향을 따라 사각형 패턴으로 와인딩 하여 상기 단위 전극체를 형성하는 단계에서는, 상기 분리막의 일단의 상하 양면 중 일면에 부착된 상기 제1 전극체를 상기 분리막의 일면이 덮도록 상기 분리막을 와인딩 할 수 있다.In the step of forming the unit electrode body by winding the other end of the separator in a rectangular pattern in a clockwise or counterclockwise direction so as to surround the first electrode body and the second electrode body positioned at one end of the separator, The separator may be wound so that one surface of the separator may cover the first electrode body attached to one surface among upper and lower surfaces of one end of the separator.

상기 단위 전극체를 상하로 적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단위 전극체를 적층하는 단계에서는, 상기 단위 전극체의 최외각에 위치하며 상기 분리막에 의해 덮이지 않는 상태로 마련되는 상기 제1 전극체 또는 상기 제2 전극체가 상하로 이웃하는 상기 단위 전극체의 최외각에 위치하는 상기 분리막에 의해 덮이도록 상기 단위 전극체를 적층할 수 있다.Further comprising stacking the unit electrode bodies vertically, wherein in the stacking of the unit electrode bodies, the first electrode is positioned at the outermost part of the unit electrode body and is not covered by the separator. The unit electrode body may be stacked so that the unit electrode body or the second electrode body vertically adjacent to each other is covered by the separator positioned at the outermost part.

본 발명에 따른 이차전지용 전극조립체 및 그의 제조 방법은 와인딩 구조를 가지는 단위 전극체를 여러 개 적층함으로써 이차전지의 용량을 늘이면서도 전지의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An electrode assembly for a secondary battery and a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increase the capacity of the secondary battery and improve the productivity of the battery by stacking a plurality of unit electrode bodies having a winding structure.

본 발명에 따른 이차전지용 전극조립체 및 그의 제조 방법은 양극체와 음극체가 분리막에 접착된 상태로 와인딩 되기 때문에 와인딩 된 전극조립체 내에서 양극체와 음극체의 얼라인먼트 상태가 유지될 수 있다.In the electrode assembly for a secondary batter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its manufacturing method, since the positive and negative electrodes are wound while being adhered to the separator, the alignment of the positive and negative electrodes can be maintained in the wound electrode assembly.

본 발명에 따른 이차전지용 전극조립체 및 그의 제조 방법은 와인딩 구조의 단위 전극체를 여러 개 적층함으로써 이차전지용 전극조립체를 얻을 수 있고 이러한 전극조립체는 스택 또는 적층 방식의 전극조립체와 유사한 형상을 가지기 때문에 전지 내에서 전극조립체로 인한 공간 손실을 줄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전지의 형태(형상)에 대한 제약을 줄일 수 있다.An electrode assembly for a secondary battery and a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obtain an electrode assembly for a secondary battery by stacking a plurality of unit electrode bodies having a winding structure, and such an electrode assembly has a shape similar to that of a stacked or laminated electrode assembly. Space loss due to the electrode assembly within the battery can be reduced, as well as restrictions on the shape (shape) of the battery can be reduced.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차전지용 전극조립체의 단위 전극체를 펼쳐 놓은 상태의 평면도 및 측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차전지용 전극조립체의 단위 전극체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단위 전극체를 포함하는 이차전지용 전극조립체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이차전지용 전극조립체의 단위 전극체를 펼쳐 놓은 상태의 평면도 및 측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이차전지용 전극조립체의 단위 전극체 및 이를 포함하는 이차전지용 전극조립체를 도시한 도면이다.
1 is a plan view and a side view of a state in which a unit electrode body of an electrode assembly for a secondary batter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spread out.
2 is a view showing a unit electrode body of an electrode assembly for a secondary batter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3 is a view showing an electrode assembly for a secondary battery including the unit electrode body shown in FIG. 2 .
4 is a plan view and a side view of a state in which a unit electrode body of an electrode assembly for a secondary battery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spread out.
5 is a view showing a unit electrode body of an electrode assembly for a secondary battery and an electrode assembly for a secondary battery including the sam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이점 및/또는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요소를 지칭한다.Advantages and/or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methods of achieving them, will become apparent with reference to the following detailed description of the embodiments taken in conjunction with the accompanying drawings.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isclosed below and will be implemented in various forms different from each other, only these embodiments make the disclosure of the present invention complete, and common knowledge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It is provided to completely inform the person who has the scope of the invention, and the present invention is only defined by the scope of the claims. Like reference numbers designate like elements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또한, 이하 실시되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는 본 발명을 이루는 기술적 구성요소를 효율적으로 설명하기 위해 각각의 시스템 기능구성에 기 구비되어 있거나, 또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적으로 구비되는 시스템 기능 구성은 가능한 생략하고, 본 발명을 위해 추가적으로 구비되어야 하는 기능 구성을 위주로 설명한다. 만약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하기에 도시하지 않고 생략된 기능 구성 중에서 종래에 기 사용되고 있는 구성요소의 기능을 용이하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며, 또한 상기와 같이 생략된 구성 요소와 본 발명을 위해 추가된 구성 요소 사이의 관계도 명백하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In addition,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to be carried out below are provided in each system functional configuration in order to efficiently explain the technical components constituting the present invention, or system functions commonly provided in the technical field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belongs. The configuration is omitted as much as possible, and the functional configuration that should be additionally provided fo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mainly described. If on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one will be able to easily understand the functions of conventionally used components among the omitted functional configurations not shown below, and also the omitted configurations as described above. The relationship between elements and components added for the present invention will also be clearly understood.

또한, 이하의 설명에 있어서, 신호 또는 정보의 "전송", "통신", "송신", "수신" 기타 이와 유사한 의미의 용어는 일 구성요소에서 다른 구성요소로 신호 또는 정보가 직접 전달되는 것뿐만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거쳐 전달되는 것도 포함한다. 특히 신호 또는 정보를 일 구성요소로 "전송" 또는 "송신"한다는 것은 그 신호 또는 정보의 최종 목적지를 지시하는 것이고 직접적인 목적지를 의미하는 것이 아니다. 이는 신호 또는 정보의 "수신"에 있어서도 동일하다.In addition,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transmission", "communication", "transmission", "reception" and other similar terms of signals or information refer to direct transmission of signals or information from one component to another. as well as passing through other components. In particular, "transmitting" or "transmitting" a signal or information as a component indicates the final destination of the signal or information, and does not mean a direct destination. The same is true for "reception" of signals or information.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차전지용 전극조립체의 단위 전극체를 펼쳐 놓은 상태의 평면도 및 측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차전지용 전극조립체의 단위 전극체를 도시한 도면, 도 3은 도 2에 도시된 단위 전극체를 포함하는 이차전지용 전극조립체를 도시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이차전지용 전극조립체의 단위 전극체를 펼쳐 놓은 상태의 평면도 및 측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이차전지용 전극조립체의 단위 전극체 및 이를 포함하는 이차전지용 전극조립체를 도시한 도면이다.1 is a plan view and a side view of a unit electrode assembly of an electrode assembly for a secondary batter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an unfolded state, and FIG. 2 is a view showing a unit electrode body of an electrode assembly for a secondary batter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 view showing an electrode assembly for a secondary battery including the unit electrode body shown in FIG. 2, and FIG. A plan view and a side view, FIG. 5 is a view showing a unit electrode body of an electrode assembly for a secondary battery and an electrode assembly for a secondary battery including the sam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에서 설명하는 본 발명에 따른 이차전지용 전극조립체(1000,2000) 및 그의 제조 방법은 리튬이차전지에 사용되는 것으로서, 파우치 타입(pouch type)의 리튬이차전지를 예로써 설명하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The electrode assemblies 1000 and 2000 for secondary batterie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below and their manufacturing method are used for lithium secondary batteries, and a pouch type lithium secondary battery is described as an example, but is not limited thereto. .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이차전지용 전극조립체(1000,2000) 및 전극조립체(1000,2000)의 제조 방법에 대해서 자세하게 설명한다. Hereinafter, the electrode assemblies 1000 and 2000 for secondary batteries and the manufacturing method of the electrode assemblies 1000 and 20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차전지용 전극조립체(1000)는, 분리막(130); 분리막(130)의 상하 양면 중 일면에 고정되는 제2 전극체(120); 및 분리막(130)의 상하 양면에 고정되는 제1 전극체(110);를 포함할 수 있다.1 to 3, an electrode assembly 1000 for a secondary batter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separator 130; a second electrode body 120 fixed to one of the upper and lower surfaces of the separator 130; and a first electrode body 110 fixed to both upper and lower surfaces of the separation membrane 130 .

여기서, 분리막(130)은 그 양단 중 타단(132)이 일단(131)을 감싸도록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방향을 따라 사각형 패턴으로 와인딩 되고, 제1 전극체(110) 및 제2 전극체(120)가 교대로 적층된 상태로 형성되는 단위 전극체(100)를 포함할 수 있다.Here, the separator 130 is wound in a rectangular pattern in a clockwise or counterclockwise direction so that the other end 132 of both ends surrounds one end 131, and the first electrode body 110 and the second electrode body 120 ) may include the unit electrode body 100 formed in an alternately stacked state.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차전지용 전극조립체(1000)는 단위 전극체(100)를 3개 상하로 적층한 형태를 가진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차전지용 전극조립체(1000)는 복수개의 단위 전극체(100)를 상하로 적층함으로써 이차전지의 용량을 쉽게 가감할 수 있다. As shown in FIG. 3 , the electrode assembly 1000 for a secondary batter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a form in which three unit electrode bodies 100 are stacked vertically. In this way, the electrode assembly 1000 for a secondary batter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easily increase or decrease the capacity of a secondary battery by vertically stacking a plurality of unit electrode bodies 100 .

또한, 단위 전극체(100)가 그 자체로 와인딩 구조를 가지는 것이지 이차전지용 전극조립체(1000)가 전체적으로 와인딩 구조를 가지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이차전지용 전극조립체(1000)의 전체적인 형상으로 인해 전지 케이스(미도시) 내부에 전지 반응에 관여하지 않은 손실 공간(dead space)이 발생하는 것을 줄일 수 있다. 즉,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차전지용 전극조립체(1000)의 측면이 양측으로 불룩하게 튀어나온 것이 아니라 거의 평면이기 때문에 손실 공간을 줄일 수 있다. 만약, 전극조립체가 와인딩 구조(형상)를 가지는 단위 전극체(100)를 다수개 적층한 형태가 아니라, 도 3에 도시된 적층수를 가지는 전극조립체를 단일의 와인딩 구조로 형성하는 경우에는 전극조립체의 양측면이 외측으로 불룩하게 튀어나온 만곡면이 될 수밖에 없고 이러한 만곡면으로 인해 전지 내부에 손실 공간이 많이 존재할 수밖에 없다.In addition, the unit electrode body 100 itself has a winding structure, but the secondary battery electrode assembly 1000 does not have a winding structure as a whole. Accordingly, it is possible to reduce the occurrence of a dead space not involved in a battery reaction inside a battery case (not shown) due to the overall shape of the electrode assembly 1000 for a secondary battery. That is, as shown in FIG. 3 , since the side surface of the electrode assembly 1000 for a secondary battery is almost flat rather than bulging out on both sides, space loss can be reduced. If the electrode assembly is not formed by stacking a plurality of unit electrode bodies 100 having a winding structure (shape), but the electrode assembly having the number of stacks shown in FIG. 3 is formed in a single winding structure, the electrode assembly Both sides of the inevitably become curved surfaces that bulge outward, and due to these curved surfaces, a lot of loss space is inevitably present inside the battery.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차전지용 전극조립체(1000)는 양측면이 만곡면이 아니라 거의 평면에 가까운 형태를 가지기 때문에 전지의 형태를 다양하게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In addition, since both sides of the electrode assembly 1000 for a secondary batter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a shape close to a plane rather than a curved surface, it is possible to implement various shapes of the battery.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차전지용 전극조립체(1000)에 포함된 단위 전극체(100)에 대해서 설명한다.Hereinafter, the unit electrode body 100 included in the electrode assembly 1000 for a secondary batter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위 전극체(100))는 분리막(130)이 일방향 즉,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방향을 따라 연속적으로 와인딩한 형태로 마련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2 , the unit electrode body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provided in a form in which the separator 130 is continuously wound in one direction, that is, clockwise or counterclockwise.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위 전극체(100)는 분리막(130)의 일단(131)이 가운데에 위치하고, 분리막(130)의 타단(132)이 일단(131)을 감싸거나 둘러싸도록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방향을 따라 연속적으로 와인딩된 형태를 가진다. 도 2의 단위 전극체(100)는 분리막(130)의 타단(132)이 일단(131)을 기준으로 시계방향으로 연속적으로 와인딩 된 형태로 마련될 수 있다.In the unit electrode body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one end 131 of the separator 130 is located in the center and the other end 132 of the separator 130 surrounds or surrounds the one end 131 in a clockwise direction. Or it has a form continuously wound along the counterclockwise direction. The unit electrode body 100 of FIG. 2 may be provided in a form in which the other end 132 of the separator 130 is continuously wound in a clockwise direction based on one end 131.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위 전극체(100)는 분리막(130)의 상면 또는 하면에 부착(접착)된 제1 전극체(110) 및 제2 전극체(120)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제1 전극체(110)와 제2 전극체(120) 중 어느 하나가 양극체이면 다른 하나는 음극체가 될 수 있다. 즉, 제1 전극체(110)가 양극체이면 제2 전극체(120)는 음극체이고, 제1 전극체(110)가 음극체이면 제2 전극체(120)는 양극체가 된다.The unit electrode body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first electrode body 110 and a second electrode body 120 attached (bonded) to the top or bottom surface of the separator 130 . Here, if one of the first electrode body 110 and the second electrode body 120 is an anode body, the other may be a cathode body. That is, when the first electrode body 110 is an anode body, the second electrode body 120 is a cathode body, and when the first electrode body 110 is a cathode body, the second electrode body 120 becomes an anode body.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제1 전극체(110) 및 제2 전극체(120)가 각각 양극체 및 음극체인 경우에 대해서 설명한다. 다만, 제1 전극체(110) 및 제2 전극체(120)가 각각 음극체 및 양극체인 경우도 당연히 가능하다.Hereinafter, for convenience of description, a case in which the first electrode body 110 and the second electrode body 120 are anode and cathode bodies, respectively, will be described. However, it is naturally possible for the first electrode body 110 and the second electrode body 120 to be a cathode body and an anode body, respectively.

도 3을 참조하면, 단위 전극체(100)의 최외각에는 제2 전극체(120) 및 분리막(130)이 위치할 수 있다. 즉, 단위 전극체(100)의 최상단에는 제2 전극체(120)가 위치하고 최하단에는 분리막(130)이 위치할 수 있다. 여기서, 단위 전극체(100)의 양측면(상하방향)에는 분리막(130)만 위치하는데 여러 겹의 분리막(130)이 중첩적으로 위치하는 형태로 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3 , the second electrode body 120 and the separator 130 may be positioned at the outermost part of the unit electrode body 100 . That is, the second electrode body 120 may be positioned at the uppermost end of the unit electrode body 100 and the separator 130 may be positioned at the lowermost end. Here, only the separator 130 is positioned on both sides (up and down directions) of the unit electrode body 100, but multiple layers of the separator 130 may be overlapped.

최하단에 위치하는 분리막(130)은 제1 전극체(110)를 감싸거나 덮는 형태로 마련될 수 있다. 최상단에 위치하는 제2 전극체(120)를 제외한 나머지 제1 및 제2 전극체(110,120)는 모두 분리막(130)에 위해서 덮이는 상태로 마련되는데, 제1 전극체(110) 또는 제2 전극체(120) 중 어느 하나(최상단에 위치하는 전극체)는 분리막(130)에 의해 덮이지 않는 상태로 마련될 수 있다.The separation membrane 130 located at the lowermost end may be provided in a form that surrounds or covers the first electrode body 110 . All of the first and second electrode bodies 110 and 120, except for the second electrode body 120 located at the top, are provided in a state covered for the separator 130, and the first electrode body 110 or the second electrode body 110 Any one of the electrode bodies 120 (the uppermost electrode body) may be provided in a state not covered by the separator 130 .

단위 전극체(100)에 있어서, 분리막(130)에 의해 덮이지 않는 상태로 마련되는 제1 전극체(110)와 대향하는 최외각(가장 바깥쪽)의 제2 전극체(120)는 분리막(130)의 타단(132)에 의해 덮인 상태로 마련되거나, 분리막(130)에 의해 덮이지 않는 상태로 마련되는 제2 전극체(120)와 대향하는 최외각의 제1 전극체(110)는 분리막(130)의 타단(132)에 의해 덮인 상태로 마련될 수 있다.In the unit electrode body 100, the outermost (outermost) second electrode body 120 facing the first electrode body 110 provided in a state not covered by the separator 130 is a separator ( The outermost first electrode body 110 facing the second electrode body 120 provided in a state covered by the other end 132 of 130 or not covered by the separator 130 is It may be provided in a state covered by the other end 132 of 130.

상기한 바와 같이 도 2에 도시된 단위 전극체(100)의 경우에는, 분리막(130)에 의해 덮이지 않는 상태로 마련되는 제2 전극체(120)와 대향하는 최외각(전극체의 관점에서 가장 바깥쪽을 의미함)의 제1 전극체(110)는 분리막(130)의 타단(132)에 의해 덮인 상태로 마련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in the case of the unit electrode body 100 shown in FIG. 2, the outermost shell facing the second electrode body 120 provided in a state not covered by the separator 130 (from the point of view of the electrode body) The outermost first electrode body 110 may be provided in a state covered by the other end 132 of the separator 130 .

도 2에 도시된 단위 전극체(100)에 있어서, 제1 전극체(110)와 제2 전극체(120)는 상하방향을 따라 교대로 위치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즉, 맨 위쪽에서부터 제2 전극체(120), 분리막(130), 제1 전극체(110), 분리막(130), 제2 전극체(120), 분리막(130), 제1 전극체(110), 분리막(130), 제2 전극체(120), 분리막(130), 제1 전극체(110) 및 분리막(130)의 순서로 적층된 형태로 마련될 수 있다. In the unit electrode body 100 shown in FIG. 2 , the first electrode body 110 and the second electrode body 120 may be provided to be alternately positioned along the vertical direction. That is, from the top, the second electrode body 120, the separator 130, the first electrode body 110, the separator 130, the second electrode body 120, the separator 130, and the first electrode body 110 ), the separator 130, the second electrode body 120, the separator 130, the first electrode body 110, and the separator 130 may be provided in a stacked form in this order.

도 2에 도시된 단위 전극체(100)의 경우에는 제1 전극체(110)와 제2 전극체(120)가 각각 양극체 및 음극체이기 때문에 제2 전극체(120)의 폭이 제1 전극체(110)의 폭 보다 더 크고, 제1 전극체(110)의 폭방향 양단이 제2 전극체(120)의 폭방향 양단 내에 위치해야 한다. 즉, 제1 전극체(110)와 제2 전극체(120)의 얼라인먼트(정렬)를 맞출 때 제2 전극체(120)의 폭방향 양단 내에 제1 전극체(110)의 폭방향 양단이 위치하도록 얼라인먼트 해야 한다.In the case of the unit electrode body 100 shown in FIG. 2 , since the first electrode body 110 and the second electrode body 120 are an anode body and a cathode body, respectively, the width of the second electrode body 120 is the first It is larger than the width of the electrode body 110, and both ends of the first electrode body 110 in the width direction must be located within both ends of the second electrode body 120 in the width direction. That is, when the first electrode body 110 and the second electrode body 120 are aligned, both ends of the first electrode body 110 in the width direction are positioned within both ends of the second electrode body 120 in the width direction. You have to align to do that.

한편, 단위 전극체(100)의 가운데에 위치하는 분리막(130)의 일단(131)에는 상하 양면에 각각 제1 전극체(110)와 제2 전극체(120)가 위치할 수 있다. 도 2의 경우에는 분리막(130)의 일단(131)의 상면에는 제2 전극체(120)가 위치하고 하면에는 제1 전극체(110)가 위치할 수 있다. 즉, 단위 전극체(100)의 가운데 부분에 위치하는 제2 전극체(120)는 분리막(130)의 상면에 부착 고정되고 단위 전극체(100)의 가운데 부분에 위치하는 제1 전극체(110)는 분리막(130)의 하면에 부착 고정될 수 있다.Meanwhile, the first electrode body 110 and the second electrode body 120 may be positioned on both upper and lower sides of one end 131 of the separator 130 located in the center of the unit electrode body 100 . In the case of FIG. 2 , the second electrode body 120 may be positioned on the upper surface of one end 131 of the separator 130 and the first electrode body 110 may be positioned on the lower surface. That is, the second electrode body 120 positioned at the center of the unit electrode body 100 is attached and fix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separator 130 and the first electrode body 110 positioned at the center of the unit electrode body 100. ) may be attached and fixed to the lower surface of the separation membrane 130.

단위 전극체(100)의 중심 부분에 위치하는 분리막(130)의 일단(131)에만 상하면에 각각 제1 전극체(110)와 제2 전극체(120)가 각각 부착되어 있고 분리막(130)의 나머지 부분에는 제1 전극체(110) 또는 제2 전극체(120) 중 어느 하나만 부착되는 점에서 차이가 있다.The first electrode body 110 and the second electrode body 120 are attached to the upper and lower surfaces of only one end 131 of the separator 130 located at the center of the unit electrode body 100, respectively, and the separation film 130 There is a difference in that only one of the first electrode body 110 or the second electrode body 120 is attached to the remaining portion.

도 2에서 와인딩되어 있는 분리막(130)을 펼치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된다. 즉, 도 1의 (b)에 도시된 상태의 분리막(130)의 타단(132)을 시계방향으로 연속적으로 와인딩하면 도 2에 도시된 단위 전극체(100)를 얻을 수 있다. 도 1의 (b)를 참조하면, 단위 전극체(100)의 중심부에 위치하는 분리막(130)의 일단(131)의 상하 양면 중 일면에는 제1 전극체(110)가 위치하고 타면에는 제2 전극체(120)가 위치하되 제1 전극체(110) 및 제2 전극체(120)가 서로 마주 보도록 위치하며, 제1 전극체(110) 및 제2 전극체(120) 중 나머지는 제1 전극체(110)와 마주 보는 제2 전극체(120)와 동일하게 분리막(130)의 타면에 위치할 수 있다.When the separator 130 wound in FIG. 2 is unfolded, it becomes as shown in FIG. 1 . That is, the unit electrode body 100 shown in FIG. 2 can be obtained by continuously winding the other end 132 of the separator 130 in the state shown in FIG. 1 (b) in a clockwise direction. Referring to (b) of FIG. 1 , the first electrode body 110 is positioned on one surface of the upper and lower surfaces of one end 131 of the separator 130 located in the center of the unit electrode body 100, and the second electrode is positioned on the other surface. The body 120 is positioned so that the first electrode body 110 and the second electrode body 120 face each other, and the rest of the first electrode body 110 and the second electrode body 120 are the first electrode body 120. Similar to the second electrode body 120 facing the sieve 110, it may be located on the other side of the separator 130.

즉, 분리막(130)의 일단(131)에만 상하면에 각각 제2 전극체(120) 및 제1 전극체(110)가 위치하고 분리막(130)의 나머지 부분에는 상면에 제1 전극체(110)와 제2 전극체(120)만 위치한다. That is, the second electrode body 120 and the first electrode body 110 are located on the upper and lower surfaces of only one end 131 of the separator 130, respectively, and the first electrode body 110 and the first electrode body 110 are locat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rest of the separator 130. Only the second electrode body 120 is positioned.

도 1의 (b)를 참조하면, 분리막(130)의 일면(하면)에는 제2 전극체(120)와 마주 보는 제1 전극체(110)만 위치할 수 있다. 분리막(130)의 일단(131) 쪽 하면에는 제1 전극체(110)가 위치하고 이와 마주 보는 상면에는 제2 전극체(120)가 위치한다. 분리막(130)의 하면에는 일단(131) 쪽에 위치하는 제1 전극체(110)만 위치할 뿐이고 다른 전극체는 위치하지 않는다. 반면에, 분리막(130)의 상면에는 제1 전극체(110)와 제2 전극체(120)가 교대로 위치할 수 있다. Referring to (b) of FIG. 1 , only the first electrode body 110 facing the second electrode body 120 may be positioned on one surface (lower surface) of the separator 130 . The first electrode body 110 is position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separator 130 toward one end 131, and the second electrode body 120 is positioned on the upper surface facing the separator 130. On the lower surface of the separator 130, only the first electrode body 110 located on the one end 131 side is located, and no other electrode body is located. On the other hand, the first electrode body 110 and the second electrode body 120 may be alternately position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separator 130 .

분리막(130)의 상면에는, 일단(131)에서부터 제2 전극체(120)가 2개 연속적으로 위치하고, 이어서는 제1 전극체(110)가 2개 연속적으로 위치하며, 이어서는 제2 전극체(120)가 1개 위치하며, 1개 위치하는 제2 전극체(120)의 일측에는 전극체의 면적에 해당하는 분리막(130)이 존재한다. 즉, 분리막(130)의 타단(132)에는 상하면에 전극체(110,120)가 위치하지 않는다. 여기서, 분리막(130)의 상면에 위치하는 전극체(110,120)의 개수는 단위 전극체(100)의 와인딩 횟수와 동일하다. 즉, 단위 전극체(100)에서 전극체(110,120)가 부착되고 수평으로 위치하는 분리막(130)의 개수와 분리막(130)의 상면에 위치하는 전극체(110,120)의 개수는 동일하다.On the upper surface of the separation membrane 130, two second electrode bodies 120 are continuously positioned from one end 131, followed by two first electrode bodies 110 continuously positioned, and then the second electrode body. One 120 is located, and a separator 130 corresponding to the area of the electrode body exists on one side of the second electrode body 120 where one is located. That is, the electrode bodies 110 and 120 are not positioned on the upper and lower surfaces of the other end 132 of the separator 130 . Here, the number of electrode bodies 110 and 120 position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separator 130 is the same as the number of windings of the unit electrode body 100 . That is, in the unit electrode body 100, the number of horizontally positioned separators 130 to which the electrode bodies 110 and 120 are attached is the same as the number of electrode bodies 110 and 120 position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separator 130.

도 2에 도시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차전지용 전극조립체(1000)의 단위 전극체(100)의 경우에는 전극체(110,120)가 부착되고 수평으로 위치하는 분리막(130)이 5개이고 도 1을 참조하면 분리막(130)의 상면에는 2개의 제1 전극체(110)와 3개의 제2 전극체(120) 총 5개의 전극체(110,120)가 위치한다. In the case of the unit electrode body 100 of the electrode assembly 1000 for a secondary batter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hown in FIG. 2, the electrode bodies 110 and 120 are attached and there are five separators 130 positioned horizontally. Referring to 1, a total of five electrode bodies 110 and 120, two first electrode bodies 110 and three second electrode bodies 120, are position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separator 130.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위 전극체(100)의 경우 분리막(130)의 타단(132) 쪽에 제2 전극체(120)가 위치하기 때문에 단위 전극체(100)의 최상단에는 제2 전극체(120)가 분리막(130)에 의해 덮이지 않은 상태로 위치하게 된다. 이와 같이, 분리막(130)의 타단(132)에 가까이 위치하는 전극체(120)가 단위 전극체(100)의 최외각(최상단)에 노출된 상태로 위치하게 된다.As shown in FIG. 1, in the case of the unit electrode body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second electrode body 120 is located on the other end 132 side of the separator 130, the unit electrode body 100 At the top of the second electrode body 120 is positioned in a state not covered by the separator 130 . In this way, the electrode body 120 located close to the other end 132 of the separator 130 is positioned in a state of being exposed to the outermost (uppermost) portion of the unit electrode body 100 .

도 5의 (a)에 도시된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이차전지용 전극조립체(2000)의 단위 전극체(200)의 경우에는 전극체(110,120)가 부착(접착)되고 수평으로 위치하는 분리막(130)이 3개이고 도 4를 참조하면 분리막(130)의 상면에는 1개의 제1 전극체(110)와 2개의 제2 전극체(120) 총 3개의 전극체(110,120)가 위치한다.In the case of the unit electrode body 200 of the electrode assembly 2000 for a secondary battery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hown in (a) of FIG. 5, the electrode bodies 110 and 120 are attached (adhered) and positioned horizontally. There are three separators 130, and referring to FIG. 4, a total of three electrode bodies 110 and 120, one first electrode body 110 and two second electrode bodies 120, are position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separator 130.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이차전지용 전극조립체(2000)의 단위 전극체(200)는 분리막(130)의 상면에 위치하는 전극체(110,120)의 개수가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단위 전극체(100) 보다 적고 분리막(130)의 타단(132) 쪽에 제1 전극체(110)가 위치하기 때문에 단위 전극체(200)의 최상단에는 제1 전극체(110)가 분리막(130)에 의해 덮이지 않은 상태로 위치하게 된다. 이와 같이, 분리막(130)의 타단(132)에 가까이 위치하는 전극체(110)가 단위 전극체(200)의 최외각(최상단)에 노출된 상태로 위치하게 된다.In the unit electrode body 200 of the electrode assembly 2000 for a secondary battery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hown in FIGS. 4 and 5, the number of electrode bodies 110 and 120 position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separator 130 is shown. Since the first electrode body 110 is less than the unit electrode body 100 shown in FIGS. 1 to 3 and is located on the side of the other end 132 of the separator 130, the uppermost first electrode body of the unit electrode body 200 ( 110) is located in a state not covered by the separator 130. In this way, the electrode body 110 located close to the other end 132 of the separator 130 is positioned in a state of being exposed to the outermost (uppermost) portion of the unit electrode body 200 .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차전지용 전극조립체(1000)는 복수개의 단위 전극체(100)가 상하로 적층된 상태로 마련되되, 단위 전극체(100)의 최외각에 위치하며 분리막(130)에 의해 덮이지 않는 상태로 마련되는 제1 전극체(110) 또는 제2 전극체(120)가 상하로 이웃하는 단위 전극체(100)의 최외각에 위치하는 분리막(130)에 의해 덮이도록 적층될 수 있다.The electrode assembly 1000 for a secondary batter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provided in a state in which a plurality of unit electrode bodies 100 are stacked vertically, and is located at the outermost part of the unit electrode body 100 and has a separator 130 The first electrode body 110 or the second electrode body 120 provided in a state not covered by is stacked so that it is covered by the separator 130 located on the outermost side of the unit electrode body 100 adjacent to the top and bottom. It can be.

도 3을 참조하면, 단위 전극체(100)의 최상단에 위치하는 제2 전극체(120)는 분리막(130)에 의해 덮이지 않고 노출되어 있다. 최상단에 위치하는 제2 전극체(120)는 위쪽에 위치하는 단위 전극체(100)의 최하단에 위치하는 분리막(130)의 타단(132)에 의해 덮이도록 복수개의 단위 전극체(100)가 상하로 적층됨으로써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차전지용 전극조립체(1000)를 얻을 수 있다.Referring to FIG. 3 , the second electrode body 120 positioned at the top of the unit electrode body 100 is exposed without being covered by the separator 130 . The second electrode body 120 located at the top is covered by the other end 132 of the separator 130 located at the bottom of the unit electrode body 100 located at the top so that the plurality of unit electrode bodies 100 are arranged up and down. By being laminated with, it is possible to obtain the electrode assembly 1000 for a secondary batter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차전지용 전극조립체(1000)의 관점에서 보면, 최상단에는 제2 전극체(120)가 분리막(130)에 의해 덮이지 않은 상태로 위치하고 최하단에는 분리막(130)의 타단(132)이 위치하게 된다.From the point of view of the secondary battery electrode assembly 1000, the second electrode body 120 is located at the top in a state not covered by the separator 130, and the other end 132 of the separator 130 is positioned at the bottom.

도 5에 도시된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이차전지용 전극조립체(2000)도 마찬가지로, 복수개의 단위 전극체(200)가 상하로 적층된 상태로 마련되되, 단위 전극체(200)의 최외각에 위치하며 분리막(130)에 의해 덮이지 않는 상태로 마련되는 제1 전극체(110) 또는 제2 전극체(120)가 상하로 이웃하는 단위 전극체(200)의 최외각에 위치하는 분리막(130)에 의해 덮이도록 적층될 수 있다.Likewise, the electrode assembly 2000 for a secondary battery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hown in FIG. 5 is provided in a state in which a plurality of unit electrode bodies 200 are stacked vertically, but the top of the unit electrode body 200 Separator positioned on the outermost side of the unit electrode body 200 adjacent to the first electrode body 110 or the second electrode body 120 vertically adjacent to each other and provided in a state not covered by the separator 130 It can be stacked to be covered by (130).

도 5를 참조하면, 단위 전극체(200)의 최상단에 위치하는 제1 전극체(110)는 분리막(130)에 의해 덮이지 않고 노출되어 있다. 최상단에 위치하는 제1 전극체(110)는 위쪽에 위치하는 단위 전극체(200)의 최하단에 위치하는 분리막(130)의 타단(132)에 의해 덮이도록 복수개의 단위 전극체(200)가 상하로 적층됨으로써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이차전지용 전극조립체(2000)를 얻을 수 있다.Referring to FIG. 5 , the first electrode body 110 positioned at the top of the unit electrode body 200 is exposed without being covered by the separator 130 . The plurality of unit electrode bodies 200 are arranged up and down so that the first electrode body 110 located at the top is covered by the other end 132 of the separator 130 located at the bottom of the unit electrode body 200 located at the top. By being laminated with, it is possible to obtain the electrode assembly 2000 for a secondary battery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이차전지용 전극조립체(1000,2000)의 제조 방법에 대해서 설명한다.Hereinafter, a method of manufacturing the electrode assemblies 1000 and 2000 for secondary batterie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도 1 및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이차전지용 전극조립체(1000,2000)의 제조 방법은, 분리막(130)의 일단(131)의 상하 양면 중 일면에 제1 전극체(110)를 부착하는 단계; 분리막(130)의 일단(131)의 상하 양면 중 제1 전극체(110)와 마주 보는 타면에 제2 전극체(120)를 부착하는 단계; 제1 전극체(110)와 마주 보는 제2 전극체(120)와 동일하게 분리막(130)의 타면에 제2 전극체(120) 및 제1 전극체(110)를 부착하는 단계; 및 분리막(130)의 일단(131) 측에 위치하는 제1 전극체(110) 및 제2 전극체(120)를 감싸도록 분리막(130)의 타단(132)을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방향을 따라 사각형 패턴으로 와인딩 하여 단위 전극체(100,200)를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1 and 4, in the manufacturing method of the electrode assembly 1000 or 2000 for a secondary batter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electrode body 110 is formed on one of the upper and lower surfaces of one end 131 of the separator 130. attaching; attaching the second electrode body 120 to the other side facing the first electrode body 110 among the upper and lower surfaces of the one end 131 of the separator 130; attaching the second electrode body 120 and the first electrode body 110 to the other surface of the separator 130 in the same way as the second electrode body 120 facing the first electrode body 110; And the other end 132 of the separator 130 is moved in a clockwise or counterclockwise direction so as to surround the first electrode body 110 and the second electrode body 120 located at one end 131 side of the separator 130. Forming the unit electrode bodies 100 and 200 by winding in a rectangular pattern; may include.

상기 분리막(130)의 일단(131)의 상하 양면 중 일면에 제1 전극체(110)를 부착하는 단계와, 상기 분리막(130)의 일단(131)의 상하 양면 중 제1 전극체(110)와 마주 보는 타면에 제2 전극체(120)를 부착하는 단계에서, 단위 전극체(100,200)의 중심부에 위치하게 되는 분리막(130)의 일단(131)의 하면에는 제1 전극체(110)를 위치시키고 이와 마주 보는 상면에는 제2 전극체(120)를 위치시킬 수 있다. 이때, 제1 전극체(110)가 양극체이고 제2 전극체(120)가 음극체인 경우에는 제2 전극체(120)의 가장자리 내에 제1 전극체(110)가 위치하도록 제1 전극체(110)와 제2 전극체(120)의 얼라인먼트(정렬)를 맞춰야 한다.Attaching the first electrode body 110 to one of the upper and lower surfaces of one end 131 of the separation membrane 130, and the first electrode body 110 among the upper and lower surfaces of the one end 131 of the separation membrane 130 In the step of attaching the second electrode body 120 to the other side facing the unit electrode body 100 or 200, the first electrode body 110 is attached to the lower surface of one end 131 of the separator 130 located in the center of the unit electrode body 100 or 200. The second electrode body 120 may be positioned on the upper surface facing the second electrode body 120. At this time, when the first electrode body 110 is an anode body and the second electrode body 120 is a cathode body, the first electrode body 110 is located within the edge of the second electrode body 120 ( 110) and the second electrode body 120 must be aligned.

한편, 제1 분리막(130)을 가열해서 녹인 상태에서 제1 전극체(110) 및 제2 전극체(120)를 부착하는 것이 아니고, 제1 전극체(110) 및 제2 전극체(120)를 부착하기 위한 접착제를 제1 분리막(130)의 하면 및 상면에 각각 도포한 후에 제1 전극체(110) 및 제2 전극체(120)를 제1 분리막(130)에 부착하게 된다. 접착제는 제1 분리막(130)의 하면 및 상면 전체에 도포되기 보다는 제1 전극체(110) 및 제2 전극체(120)가 부착되는 부분에만 미리 도포되는 것이 바람직하다.On the other hand, the first electrode body 110 and the second electrode body 120 are not attached in a state where the first separator 130 is heated and melted, but the first electrode body 110 and the second electrode body 120 After the adhesive for attaching is applied to the lower and upper surfaces of the first separator 130, respectively, the first electrode body 110 and the second electrode body 120 are attached to the first separator 130. It is preferable that the adhesive is previously applied only to the portion to which the first electrode body 110 and the second electrode body 120 are attached rather than being applied to the entire lower and upper surfaces of the first separator 130 .

여기서, 상기 접착제로는 MEK, PDVF, PE 등의 폴리머 접착제를 소량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분리막(130)을 녹이지 않고 접착제를 사용해서 제1 및 제2 전극체(110,120)를 분리막(130)에 부착하기 때문에 분리막(130)의 재질 선택에 대한 폭을 넓힐 수 있다. 예를 들면, 세라믹 재질의 분리막을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Here, it is preferable to use a small amount of a polymer adhesive such as MEK, PDVF, or PE as the adhesive. In this way, since the first and second electrode bodies 110 and 120 are attached to the separator 130 using an adhesive without melting the separator 130, the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 separator 130 can be broadened. For example, it is also possible to use a separator made of ceramic material.

분리막(130)의 상면 또는 하면에 부착되는 모든 제1 전극체(110) 또는 제2 전극체(120)는 상기한 접착제를 사용하여 분리막(130)에 부착될 수 있다.All of the first electrode body 110 or the second electrode body 120 attached to the upper or lower surface of the separator 130 may be attached to the separator 130 using the adhesive described above.

상기 제1 전극체(110)와 마주 보는 제2 전극체(120)와 동일하게 분리막(130)의 타면에 제2 전극체(120) 및 제1 전극체(110)를 부착하는 단계는 분리막(130)의 일단(131)의 상하면에 각각 제2 전극체(120)와 제1 전극체(110)를 부착한 다음에 수행되는 단계로서, 도 1의 경우에는 분리막(130)의 일단(131)의 상하면에 부착된 제2 전극체(120) 및 제1 전극체(110)의 우측에 제2 전극체(120) 및 제1 전극체(110)가 위치하게 되는데, 분리막(130)의 일단(131)에 부착되는 전극체를 제외한 나머지 전극체들은 분리막(130)의 상면에 부착된다. 즉, 분리막(130)의 일단(131)의 하면에 부착된 제1 전극체(110)를 제외한 모든 전극체들은 분리막(130)의 상면에 부착된다.The step of attaching the second electrode body 120 and the first electrode body 110 to the other surface of the separator 130 in the same way as the second electrode body 120 facing the first electrode body 110 is the separator ( 130) as a step performed after attaching the second electrode body 120 and the first electrode body 110 to the upper and lower surfaces of the one end 131, respectively, in the case of FIG. 1, one end 131 of the separator 130 The second electrode body 120 and the first electrode body 110 are positioned on the right side of the second electrode body 120 and the first electrode body 110 attached to the upper and lower surfaces of the separator, and one end of the separator 130 ( 131) are attach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separator 130. That is, all electrode bodies except for the first electrode body 110 attached to the lower surface of one end 131 of the separator 130 are attach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separator 130 .

도 1 및 도 4에 각각 도시된 단위 전극체(100,200)의 경우에는, 상기 제1 전극체(110)와 마주 보는 제2 전극체(120)와 동일하게 분리막(130)의 타면에 제2 전극체(120) 및 제1 전극체(110)를 부착하는 단계에서 분리막(130)의 타면은 분리막(130)의 상면을 의미한다. 하지만 반드시 분리막(130)의 타면이 상면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며, 분리막(130)의 타면이 하면을 의미할 수도 있다.In the case of the unit electrode bodies 100 and 200 shown in FIGS. 1 and 4, respectively, the second electrode is on the other surface of the separator 130 in the same way as the second electrode body 120 facing the first electrode body 110. In the step of attaching the sieve 120 and the first electrode body 110 , the other surface of the separator 130 means the upper surface of the separator 130 . However, the other surface of the separator 130 does not necessarily mean the upper surface, and the other surface of the separator 130 may mean the lower surface.

한편, 상기 제1 전극체(110)와 마주 보는 제2 전극체(120)와 동일하게 분리막(130)의 타면에 제2 전극체(120) 및 제1 전극체(110)를 부착하는 단계에서는, 동일한 개수의 제1 전극체(110)와 제2 전극체(120)를 분리막(130)의 타면에 부착할 수 있다. 여기서, 동일한 개수의 제1 전극체(110)와 제2 전극체(120)는 분리막(130)의 일단(131)에 부착된 전극체(110,120)를 제외한 전극체를 의미한다.Meanwhile, in the step of attaching the second electrode body 120 and the first electrode body 110 to the other surface of the separator 130 in the same way as the second electrode body 120 facing the first electrode body 110, , The same number of first electrode bodies 110 and second electrode bodies 120 may be attached to the other surface of the separator 130 . Here, the same number of first electrode bodies 110 and second electrode bodies 120 refer to electrode bodies excluding the electrode bodies 110 and 120 attached to one end 131 of the separator 130 .

도 1의 경우에는, 분리막(130)의 일단(131)에 부착된 제1 및 제2 전극체(110,120)를 제외하면 분리막(130)의 상면에는 2개의 제1 전극체(110)와 2개의 제2 전극체(120)가 위치한다. In the case of FIG. 1 , except for the first and second electrode bodies 110 and 120 attached to one end 131 of the separator 130, the upper surface of the separator 130 has two first electrode bodies 110 and two A second electrode body 120 is positioned.

도 4의 경우에는, 분리막(130)의 일단(131)에 부착된 제1 및 제2 전극체(110,120)를 제외하면 분리막(130)의 상면에는 1개의 제1 전극체(110)와 1개의 제2 전극체(120)가 위치한다.In the case of FIG. 4 , except for the first and second electrode bodies 110 and 120 attached to one end 131 of the separator 130, one first electrode body 110 and one electrode body 110 are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separator 130. A second electrode body 120 is positioned.

상기 제1 전극체(110)와 마주 보는 제2 전극체(120)와 동일하게 분리막(130)의 타면에 제2 전극체(120) 및 제1 전극체(110)를 부착하는 단계는 분리막(130)의 일단(131)의 상면에 제2 전극체(120)를 부착하는 것과 동일하게 분리막(130)의 상면에 제2 전극체(120) 및 제1 전극체(110)를 부착하는 단계를 의미한다.The step of attaching the second electrode body 120 and the first electrode body 110 to the other surface of the separator 130 in the same way as the second electrode body 120 facing the first electrode body 110 is the separator ( The step of attaching the second electrode body 120 and the first electrode body 110 to the upper surface of the separator 130 in the same way as attaching the second electrode body 120 to the upper surface of the one end 131 of 130) it means.

상기 제1 전극체(110)와 마주 보는 제2 전극체(120)와 동일하게 분리막(130)의 타면에 제2 전극체(120) 및 제1 전극체(110)를 부착하는 단계에서, 분리막(130)의 타단(132) 측에는 제1 전극체(110) 및 제2 전극체(120)를 부착하지 않을 수 있다.In the step of attaching the second electrode body 120 and the first electrode body 110 to the other surface of the separator 130 in the same way as the second electrode body 120 facing the first electrode body 110, the separator The first electrode body 110 and the second electrode body 120 may not be attached to the other end 132 side of the (130).

도 1 및 도 4를 참조하면, 분리막(130)의 타단(132) 측에는 상면 및 하면에 전극체가 위치하지 않는다. 전극체가 부착되지 않는 분리막(130)의 타단(132)의 길이(폭)은 전극체의 길이(폭)와 거의 동일한 것이 바람직하다.Referring to FIGS. 1 and 4 , the electrode body is not positioned on the upper and lower surfaces of the other end 132 side of the separator 130 . It is preferable that the length (width) of the other end 132 of the separator 130 to which the electrode body is not attached is substantially the same as the length (width) of the electrode body.

상기 분리막(130)의 일단(131) 측에 위치하는 제1 전극체(110) 및 제2 전극체(120)를 감싸도록 분리막(131)의 타단(132)을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방향을 따라 사각형 패턴으로 와인딩 하여 단위 전극체(100,200)를 형성하는 단계에서는, 분리막(130)의 일단(131)의 상하 양면 중 일면에 부착된 제1 전극체(110)를 분리막(130)의 일면이 덮도록 분리막(130)의 타단(132)을 와인딩 할 수 있다.The other end 132 of the separator 131 is moved in a clockwise or counterclockwise direction so as to surround the first electrode body 110 and the second electrode body 120 positioned at one end 131 side of the separator 130. In the step of forming the unit electrode bodies 100 and 200 by winding in a rectangular pattern, one surface of the separator 130 covers the first electrode body 110 attached to one of the upper and lower surfaces of one end 131 of the separator 130. The other end 132 of the separator 130 may be wound.

여기서, 분리막(130)의 타단(132)은 분리막(130)의 상면 또는 하면 중 어느 일면에 1개만 부착된 전극체를 향해서 와인딩 될 수 있다. 도 1의 경우에는 분리막(130)의 타단(132)은 분리막(130)의 하면에 1개만 부착되어 있는 제1 전극체(110)를 향해서 시계방향으로 와인딩 되며, 도 4의 경우에도 분리막(130)의 타단(132)은 분리막(130)의 하면에 1개만 부착되어 있는 제1 전극체(110)를 향해서 시계방향으로 와인딩 될 수 있다.Here, the other end 132 of the separator 130 may be wound toward an electrode body attached to only one surface of the upper or lower surface of the separator 130 . In the case of FIG. 1, the other end 132 of the separator 130 is wound clockwise toward the first electrode body 110 having only one attached to the lower surface of the separator 130, and in the case of FIG. 4, the separator 130 The other end 132 of ) may be wound clockwise toward the first electrode body 110 to which only one is attached to the lower surface of the separator 130.

본 발명에 따른 이차전지용 전극조립체(1000,2000)의 제조 방법은 상기와 같은 방법에 의해 제조된 단위 전극체(100,200)를 상하로 적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manufacturing method of the electrode assemblies 1000 and 2000 for secondary batterie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stacking the unit electrode bodies 100 and 200 manufactured by the above method up and down.

상기 단위 전극체(100,200)를 적층하는 단계에서는, 단위 전극체(100,200)의 최외각에 위치하며 분리막(130)에 의해 덮이지 않는 상태로 마련되는 제1 전극체(110) 또는 제2 전극체(120)가 상하로 이웃하는 단위 전극체(100,200)의 최외각에 위치하는 분리막(130)에 의해 덮이도록 단위 전극체(100,200)를 적층할 수 있다.In the step of stacking the unit electrode bodies 100 and 200, the first electrode body 110 or the second electrode body located on the outermost part of the unit electrode bodies 100 and 200 and provided in a state not covered by the separator 130 The unit electrode bodies 100 and 200 may be stacked so that 120 is covered by the separator 130 positioned at the outermost part of the unit electrode bodies 100 and 200 adjacent to each other vertically.

도 3에 도시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차전지용 전극조립체(1000)는 단위 전극체(100)의 최외각(최상단)에 위치하며 분리막(130)에 의해 덮이지 않는 상태로 마련되는 제2 전극체(120)가 상하로 이웃하는 단위 전극체(100)의 최외각(최하단)에 위치하는 분리막(130)에 의해 덮이도록 단위 전극체(100)를 적층할 수 있다. 이때, 단위 전극체(100)의 최외각(최상단)에 위치하고 분리막(130)에 의해 덮이지 않고 노출된 제2 전극체(120)는 그 위쪽에 적층되는 단위 전극체(100)의 최외각(최하단)에 위치하는 분리막(130)에 도포된 MEK, PDVF, PE 등의 폴리머 접착제에 의해 부착될 수 있다.The electrode assembly 1000 for a secondary batter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hown in FIG. 3 is located at the outermost (uppermost) part of the unit electrode body 100 and is provided in a state not covered by the separator 130. The unit electrode bodies 100 may be stacked such that the two electrode bodies 120 are covered by the separator 130 positioned at the outermost (lowest) of the unit electrode bodies 100 adjacent to each other vertically. At this time, the second electrode body 120 located at the outermost (uppermost) portion of the unit electrode body 100 and exposed without being covered by the separator 130 is the outermost shell of the unit electrode body 100 stacked thereon ( It can be attached by a polymer adhesive such as MEK, PDVF, PE, etc. applied to the separator 130 located at the bottom).

도 5에 도시된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이차전지용 전극조립체(2000)는 단위 전극체(200)의 최외각(최상단)에 위치하며 분리막(130)에 의해 덮이지 않는 상태로 마련되는 제1 전극체(110)가 상하로 이웃하는 단위 전극체(200)의 최외각(최하단)에 위치하는 분리막(130)에 의해 덮이도록 단위 전극체(200)를 적층할 수 있다. 이때, 단위 전극체(200)의 최외각(최상단)에 위치하고 분리막(130)에 의해 덮이지 않고 노출된 제1 전극체(110)는 그 위쪽에 적층되는 단위 전극체(200)의 최외각(최하단)에 위치하는 분리막(130)에 도포된 MEK, PDVF, PE 등의 폴리머 접착제에 의해 부착될 수 있다.The electrode assembly 2000 for a secondary battery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hown in FIG. 5 is located at the outermost (top) of the unit electrode body 200 and is provided in a state not covered by the separator 130 The unit electrode bodies 200 may be stacked such that the first electrode body 110 is covered by the separation film 130 positioned at the outermost (lowest end) of the unit electrode bodies 200 adjacent to each other vertically. At this time, the first electrode body 110 located on the outermost (uppermost) surface of the unit electrode body 200 and exposed without being covered by the separator 130 is the outermost shell of the unit electrode body 200 stacked thereon ( It can be attached by a polymer adhesive such as MEK, PDVF, PE, etc. applied to the separator 130 located at the bottom).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구체적인 구성 요소 등과 같은 특정 사항들과 한정된 실시예 및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이는 본 발명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서 제공된 것일 뿐,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사상은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 되며, 후술하는 청구범위뿐 아니라 이 청구범위와 균등하거나 등가적 변형이 있는 모든 것들은 본 발명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As described above,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described with specific details such as specific components and limited embodiments and drawings, but these are provided only to help a more general understanding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present invention is limited to the above embodiments. It is not, and those skilled in the art can make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from these descriptions. Therefore,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not be limited to the described embodiments and should not be determined, and all things equivalent or equivalent to the claims as well as the following claims belong to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100,200: 단위 전극체
110: 제1 전극체
120: 제2 전극체
130: 분리막
1000,2000: 이차전지용 전극조립체
100,200: unit electrode body
110: first electrode body
120: second electrode body
130: separator
1000,2000: Electrode assembly for secondary battery

Claims (11)

분리막;
상기 분리막의 상하 양면 중 일면에 고정되는 제2 전극체; 및
상기 분리막의 상하 양면에 고정되는 제1 전극체;를 포함하며,
상기 분리막의 양단 중 타단이 일단을 감싸도록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방향을 따라 사각형 패턴으로 와인딩 되고, 상기 제1 전극체 및 상기 제2 전극체가 교대로 적층된 상태로 형성되는 단위 전극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차전지용 전극조립체.
separator;
a second electrode body fixed to one of the upper and lower surfaces of the separator; and
Including; a first electrode body fixed to both upper and lower surfaces of the separator,
A unit electrode body in which the other end of both ends of the separator is wound in a rectangular pattern in a clockwise or counterclockwise direction so as to surround one end, and the first electrode body and the second electrode body are formed in a state in which the first electrode body and the second electrode body are alternately stacked An electrode assembly for a secondary battery, characterized in that.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위 전극체를 형성하는 상기 제1 전극체 또는 상기 제2 전극체 중 어느 하나는 상기 분리막에 의해 덮이지 않는 상태로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차전지용 전극조립체.
According to claim 1,
An electrode assembly for a secondary battery, characterized in that any one of the first electrode body and the second electrode body forming the unit electrode body is provided in a state not covered by the separator.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분리막에 의해 덮이지 않는 상태로 마련되는 상기 제1 전극체와 대향하는 최외각의 상기 제2 전극체는 상기 분리막의 타단에 의해 덮인 상태로 마련되거나, 상기 분리막에 의해 덮이지 않는 상태로 마련되는 상기 제2 전극체와 대향하는 최외각의 상기 제1 전극체는 상기 분리막의 타단에 의해 덮인 상태로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차전지용 전극조립체.
According to claim 2,
The outermost second electrode body facing the first electrode body provided in a state not covered by the separator is provided in a state covered by the other end of the separator or not covered by the separator. The electrode assembly for a secondary battery, characterized in that the outermost first electrode body facing the second electrode body to be provided in a state covered by the other end of the separator.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분리막의 일단의 상하 양면 중 일면에는 상기 제1 전극체가 위치하고 타면에는 상기 제2 전극체가 위치하되 상기 제1 전극체 및 상기 제2 전극체가 서로 마주 보도록 위치하며,
상기 제1 전극체 및 상기 제2 전극체 중 나머지는 상기 제1 전극체와 마주 보는 상기 제2 전극체와 동일하게 상기 분리막의 타면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차전지용 전극조립체.
According to claim 3,
Of the upper and lower surfaces of one end of the separator, the first electrode body is positioned on one surface and the second electrode body is positioned on the other surface, and the first electrode body and the second electrode body are positioned to face each other,
The electrode assembly for a secondary battery, characterized in that the rest of the first electrode body and the second electrode body are located on the other surface of the separator in the same way as the second electrode body facing the first electrode body.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분리막의 일면에는 상기 제2 전극체와 마주 보는 상기 제1 전극체만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차전지용 전극조립체.
According to claim 4,
Electrode assembly for a secondary battery, characterized in that only the first electrode body facing the second electrode body is located on one side of the separator.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복수개의 상기 단위 전극체가 상하로 적층된 상태로 마련되되, 상기 단위 전극체의 최외각에 위치하며 상기 분리막에 의해 덮이지 않는 상태로 마련되는 상기 제1 전극체 또는 상기 제2 전극체가 상하로 이웃하는 상기 단위 전극체의 최외각에 위치하는 상기 분리막에 의해 덮이도록 적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차전지용 전극조립체.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5,
The plurality of unit electrode bodies are provided in a vertically stacked state, and the first electrode body or the second electrode body located at the outermost part of the unit electrode body and provided in a state not covered by the separator is vertically adjacent to each other. An electrode assembly for a secondary battery, characterized in that laminated so as to be covered by the separator located at the outermost part of the unit electrode body.
제6항에 따른 이차전지용 전극조립체의 제조 방법에 있어서,
상기 분리막의 일단의 상하 양면 중 일면에 상기 제1 전극체를 부착하는 단계;
상기 분리막의 일단의 상하 양면 중 상기 제1 전극체와 마주 보는 타면에 상기 제2 전극체를 부착하는 단계;
상기 제1 전극체와 마주 보는 상기 제2 전극체와 동일하게 상기 분리막의 타면에 상기 제2 전극체 및 상기 제1 전극체를 부착하는 단계; 및
상기 분리막의 일단 측에 위치하는 상기 제1 전극체 및 상기 제2 전극체를 감싸도록 상기 분리막의 타단을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방향을 따라 사각형 패턴으로 와인딩 하여 상기 단위 전극체를 형성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차전지용 전극조립체의 제조 방법.
In the manufacturing method of the electrode assembly for a secondary battery according to claim 6,
attaching the first electrode body to one of upper and lower surfaces of one end of the separator;
attaching the second electrode body to the other surface facing the first electrode body among the upper and lower surfaces of one end of the separator;
attaching the second electrode body and the first electrode body to the other surface of the separator in the same way as the second electrode body facing the first electrode body; and
forming the unit electrode body by winding the other end of the separator in a rectangular pattern in a clockwise or counterclockwise direction so as to surround the first electrode body and the second electrode body positioned at one end of the separator;
Method for manufacturing an electrode assembly for a secondary battery,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전극체와 마주 보는 상기 제2 전극체와 동일하게 상기 분리막의 타면에 상기 제2 전극체 및 상기 제1 전극체를 부착하는 단계에서는,
동일한 개수의 상기 제1 전극체와 상기 제2 전극체를 상기 분리막의 타면에 부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차전지용 전극조립체의 제조 방법.
According to claim 7,
In the step of attaching the second electrode body and the first electrode body to the other surface of the separator in the same way as the second electrode body facing the first electrode body,
A method of manufacturing an electrode assembly for a secondary battery, characterized in that attaching the same number of the first electrode body and the second electrode body to the other surface of the separator.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전극체와 마주 보는 상기 제2 전극체와 동일하게 상기 분리막의 타면에 상기 제2 전극체 및 상기 제1 전극체를 부착하는 단계에서,
상기 분리막의 타단 측에는 상기 제1 전극체 및 상기 제2 전극체를 부착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차전지용 전극조립체의 제조 방법.
According to claim 8,
In the step of attaching the second electrode body and the first electrode body to the other surface of the separator in the same way as the second electrode body facing the first electrode body,
The method of manufacturing an electrode assembly for a secondary battery, characterized in that the first electrode body and the second electrode body are not attached to the other end side of the separator.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분리막의 일단 측에 위치하는 상기 제1 전극체 및 상기 제2 전극체를 감싸도록 상기 분리막의 타단을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방향을 따라 사각형 패턴으로 와인딩 하여 상기 단위 전극체를 형성하는 단계에서는,
상기 분리막의 일단의 상하 양면 중 일면에 부착된 상기 제1 전극체를 상기 분리막의 일면이 덮도록 상기 분리막을 와인딩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차전지용 전극조립체의 제조 방법.
According to claim 9,
In the step of forming the unit electrode body by winding the other end of the separator in a rectangular pattern in a clockwise or counterclockwise direction so as to surround the first electrode body and the second electrode body positioned at one end of the separator,
The method of manufacturing an electrode assembly for a secondary battery, characterized in that winding the separator so that one surface of the separator covers the first electrode body attached to one surface of the upper and lower surfaces of one end of the separator.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단위 전극체를 상하로 적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단위 전극체를 적층하는 단계에서는,
상기 단위 전극체의 최외각에 위치하며 상기 분리막에 의해 덮이지 않는 상태로 마련되는 상기 제1 전극체 또는 상기 제2 전극체가 상하로 이웃하는 상기 단위 전극체의 최외각에 위치하는 상기 분리막에 의해 덮이도록 상기 단위 전극체를 적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차전지용 전극조립체의 제조 방법.
According to claim 10,
Further comprising the step of vertically stacking the unit electrode body,
In the step of stacking the unit electrode body,
The first electrode body or the second electrode body located on the outermost side of the unit electrode body and provided in a state not covered by the separator is located on the outermost side of the unit electrode body adjacent to each other vertically by the separator A method of manufacturing an electrode assembly for a secondary battery, characterized in that the unit electrode body is laminated so as to cover it.
KR1020220010375A 2022-01-25 2022-01-25 Electrode assembly body for secondary battery and menufacturing method thereof KR20230114351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10375A KR20230114351A (en) 2022-01-25 2022-01-25 Electrode assembly body for secondary battery and menufacturing method thereof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10375A KR20230114351A (en) 2022-01-25 2022-01-25 Electrode assembly body for secondary battery and menufacturing method thereof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14351A true KR20230114351A (en) 2023-08-01

Family

ID=875614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10375A KR20230114351A (en) 2022-01-25 2022-01-25 Electrode assembly body for secondary battery and menufacturing method thereof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114351A (en)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96103B1 (en) 2019-07-16 2020-12-29 주식회사 루트제이드 Method of manufacturing electrode assembly, electrode assembly thereof and lithium secondary battery comprising the same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96103B1 (en) 2019-07-16 2020-12-29 주식회사 루트제이드 Method of manufacturing electrode assembly, electrode assembly thereof and lithium secondary battery comprising the sam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490030B2 (en) Staircase electrode assembly and composite electrode assembly
US9478773B2 (en) Battery cell of asymmetric structure and battery pack employed with the same
EP2363907B1 (en) Electrode assembly and secondary battery using the same
KR101402657B1 (en) Battery Pack of Irregular Structure
US9728758B2 (en) Electrode assembly, battery cell, manufacturing method of electrode assembly, and manufacturing method of battery cell
KR20010000061A (en) Lithium secondary battery and accumulation method thereof
KR101567629B1 (en) An Symmetric Electrode Assembly, a Secondary Battery, a Battery Pack and a Device comprising the Same
EP3246979B1 (en) Rechargeable battery
KR20140035646A (en) Cell stacking method for secondary battery and cell stack for using the same
US8741469B2 (en) Electrode assembly with multiple separators wound about a winding center
US11545726B2 (en) Electrode assembly and battery
JP6224124B2 (en) Stepped electrode group stack
KR20230114351A (en) Electrode assembly body for secondary battery and menufacturing method thereof
KR102196103B1 (en) Method of manufacturing electrode assembly, electrode assembly thereof and lithium secondary battery comprising the same
KR102193741B1 (en) Electrode assembly comprising unit cells,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and lithium secondary battery comprising the same
KR20180006732A (en) Secondary Battery
KR102274052B1 (en) Method of manufacturing pocketed electrode plate
CN110419133B (en) Electrode assembly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KR102196102B1 (en) Electrode assembly comprising bicells and lithium secondary battery comprising the same
CN213520088U (en) Battery cell, battery and electronic product
KR101817399B1 (en) Electrode assembly
EP4343904A1 (en) Electrode assembly and secondary battery comprising same
KR20230114350A (en) Electrode assembly body for secondary battery and menufacturing method thereof
US9954203B2 (en) Stepped electrode group stack
JP2010251085A (en) Laminated secondary battery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