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13691A - 초-광대역 전력 사용 최적화 - Google Patents

초-광대역 전력 사용 최적화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13691A
KR20230113691A KR1020227044318A KR20227044318A KR20230113691A KR 20230113691 A KR20230113691 A KR 20230113691A KR 1020227044318 A KR1020227044318 A KR 1020227044318A KR 20227044318 A KR20227044318 A KR 20227044318A KR 20230113691 A KR20230113691 A KR 2023011369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puting device
ultra
wideband
devices
rang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704431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사라스 아난스
Original Assignee
구글 엘엘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구글 엘엘씨 filed Critical 구글 엘엘씨
Publication of KR2023011369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13691A/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2Power saving arrangements
    • H04W52/0209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 H04W52/0251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using monitoring of local events, e.g. events related to user activity
    • H04W52/0254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using monitoring of local events, e.g. events related to user activity detecting a user operation or a tactile contact or a motion of the devic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2Power saving arrangements
    • H04W52/0209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 H04W52/0225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using monitoring of external events, e.g. the presence of a signal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SRADIO DIRECTION-FINDING; RADIO NAVIGATION;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BY USE OF RADIO WAVES; LOCATING OR PRESENCE-DETECTING BY USE OF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ANALOGOUS ARRANGEMENTS USING OTHER WAVES
    • G01S13/00Systems using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e.g. radar systems; Analogous systems using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waves whose nature or wavelength is irrelevant or unspecified
    • G01S13/74Systems using reradiation of radio waves, e.g. secondary radar systems; Analogous systems
    • G01S13/76Systems using reradiation of radio waves, e.g. secondary radar systems; Analogous systems wherein pulse-type signals are transmitted
    • G01S13/765Systems using reradiation of radio waves, e.g. secondary radar systems; Analogous systems wherein pulse-type signals are transmitted with exchange of information between interrogator and responder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SRADIO DIRECTION-FINDING; RADIO NAVIGATION;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BY USE OF RADIO WAVES; LOCATING OR PRESENCE-DETECTING BY USE OF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ANALOGOUS ARRANGEMENTS USING OTHER WAVES
    • G01S5/00Position-fixing by co-ordinating two or more direction or position line determinations; Position-fixing by co-ordinating two or more distance determinations
    • G01S5/01Determining conditions which influence positioning, e.g. radio environment, state of motion or energy consumption
    • G01S5/017Detecting state or type of mo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69Spread spectrum techniques
    • H04B1/7163Spread spectrum techniques using impulse radio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02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 H04W4/023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using mutual or relative location information between multiple location based services [LBS] targets or of distance threshold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80Services using short range communication, e.g. near-field communication [NFC], radio-frequency identification [RFID] or low energy communic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2Power saving arrangements
    • H04W52/0209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 H04W52/0212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managed by the network, e.g. network or access point is master and terminal is slav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00Network data management
    • H04W8/005Discovery of network devices, e.g. termina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0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 H04M1/72409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by interfacing with external accessories
    • H04M1/72412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by interfacing with external accessories using two-way short-range wireless interfa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3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environments, situations or purposes
    • H04W4/4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environments, situations or purposes for vehicles, e.g. vehicle-to-pedestrians [V2P]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2Power saving arrangements
    • H04W52/0209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 H04W52/0251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using monitoring of local events, e.g. events related to user activity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D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ICT],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AIMING AT THE REDUCTION OF THEIR OWN ENERGY USE
    • Y02D30/0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 Y02D30/7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in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Remote Sen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 Radar Systems Or Details Thereof (AREA)

Abstract

컴퓨팅 디바이스는 초광대역 레인징(ultra-wideband ranging)를 통해, 컴퓨팅 디바이스가 상기 컴퓨팅 디바이스와 페어링된 제2 컴퓨팅 디바이스에 근접한 것으로 결정할 수 있다. 컴퓨팅 디바이스는 상기 제2 컴퓨팅 디바이스가 하나 이상의 디바이스의 특정 세트로 초광대역 레인징을 수행할 수 있다고 결정할 수 있다. 컴퓨팅 디바이스는 상기 컴퓨팅 디바이스가 상기 제2 컴퓨팅 디바이스에 근접하고 상기 제2 컴퓨팅 디바이스가 하나 이상의 디바이스의 특정 세트로 초광대역 레인징을 수행할 수 있다는 결정에 응답하여, 상기 컴퓨팅 디바이스의 초광대역 컴포넌트를 절전 모드로 설정할 수 있다.

Description

초-광대역 전력 사용 최적화
초광대역(Ultra-wideband)은 무선 통신을 위한 단거리 무선 주파수 기술로, 컴퓨팅 디바이스가 바로 근처에 있는 다른 디바이스에 대한 컴퓨팅 디바이스의 상대적 위치를 정확하게 식별할 수 있게 한다. 초광대역 기술을 지원하는 컴퓨팅 디바이스는 컴퓨팅 디바이스와 다른 초광대역 지원 디바이스 사이의 거리를 결정하고 및/또는 컴퓨팅 디바이스와 다른 초광대역 지원 디바이스 사이의 초광대역 신호 도달 각도를 결정하기 위해 주기적으로 초광대역 레인징을 수행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본 개시의 기법은 초광대역 레인징을 수행하기 위해 소비되는 전력량을 감소시키는 방식으로 컴퓨팅 디바이스에 의한 초광대역의 사용을 최적화하는 것에 관한 것이다. 사용자는 각각 주기적으로 초광대역 레인징을 수행하는 제1 컴퓨팅 디바이스 및 제2 컴퓨팅 디바이스를 둘 모두 사용할 수 있다. 제1 컴퓨팅 디바이스가 초광대역 레인징을 수행할 때, 제1 컴퓨팅 디바이스는 제2 컴퓨팅 디바이스가 제1 컴퓨팅 디바이스에 근접한지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제1 컴퓨팅 디바이스가 제2 컴퓨팅 디바이스가 제1 컴퓨팅 디바이스에 근접한 것으로 결정하면, 제1 컴퓨팅 디바이스는 연관된 제2 장치의 초광대역 레인징 능력이 다른 초광대역 지원 디바이스에 대한 사용자의 근접성을 정확하게 결정하는데 사용될 수 있는지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제1 컴퓨팅 디바이스가 연관된 제2 장치의 초광대역 레인징 능력이 다른 초광대역 지원 디바이스에 대한 사용자의 근접성을 정확하게 결정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고 결정하면, 제1 컴퓨팅 디바이스는 제1 컴퓨팅 디바이스가 초광대역 레인징을 수행하는 빈도를 줄일 수 있다. 제1 컴퓨팅 디바이스가 초광대역 레인징을 수행하는 빈도를 줄임으로써, 제1 컴퓨팅 디바이스는 제1 컴퓨팅 디바이스 및 제2 컴퓨팅 디바이스의 사용자와 다른 초광대역 지원 디바이스 사이의 근접성을 여전히 정확하게 결정할 수 있으면서도 작동 중에 소비되는 전력량을 줄일 수 있다.
일부 양태에서, 본 명세서에 설명된 기법은 방법과 관련되며, 상기 방법은 제1 컴퓨팅 디바이스에 의해, 초광대역 레인징(ultra-wideband ranging)를 통해, 제1 컴퓨팅 디바이스가 상기 제1 컴퓨팅 디바이스와 페어링된 제2 컴퓨팅 디바이스에 근접한 것으로 결정하는 단계; 상기 제1 컴퓨팅 디바이스에 의해, 상기 제2 컴퓨팅 디바이스가 하나 이상의 디바이스의 특정 세트로 초광대역 레인징을 수행할 수 있다고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컴퓨팅 디바이스가 상기 제2 컴퓨팅 디바이스에 근접하고 상기 제2 컴퓨팅 디바이스가 하나 이상의 디바이스의 특정 세트로 초광대역 레인징을 수행할 수 있다는 결정에 응답하여, 상기 제1 컴퓨팅 디바이스에 의해, 상기 제1 컴퓨팅 디바이스의 초광대역 컴포넌트를 절전 모드로 설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일부 양태에서, 본 명세서에 기술된 기법은 컴퓨팅 디바이스와 관련되며, 상기 컴퓨팅 디바이스는: 메모리; 초광대역 컴포넌트; 초광대역 통신 컴포넌트; 및 상기 메모리 및 상기 초광대역 컴포넌트에 통신적으로 연결된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는: 초광대역 레인징(ultra-wideband ranging)를 통해, 컴퓨팅 디바이스가 상기 컴퓨팅 디바이스와 페어링된 제2 컴퓨팅 디바이스에 근접한 것으로 결정하고; 상기 제2 컴퓨팅 디바이스가 하나 이상의 디바이스의 특정 세트로 초광대역 레인징을 수행할 수 있다고 결정하고; 그리고 상기 컴퓨팅 디바이스가 상기 제2 컴퓨팅 디바이스에 근접하고 상기 제2 컴퓨팅 디바이스가 하나 이상의 디바이스의 특정 세트로 초광대역 레인징을 수행할 수 있다는 결정에 응답하여, 상기 컴퓨팅 디바이스의 초광대역 컴포넌트를 절전 모드로 설정하도록 구성된다.
일부 양태에서, 본 명세서에 기술된 기법은 명령어가 저장된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와 관련되며, 상기 명령어는 실행시 컴퓨팅 디바이스의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로 하여금: 초광대역 레인징(ultra-wideband ranging)를 통해, 컴퓨팅 디바이스가 상기 컴퓨팅 디바이스와 페어링된 제2 컴퓨팅 디바이스에 근접한 것으로 결정하게 하고; 상기 제2 컴퓨팅 디바이스가 하나 이상의 디바이스의 특정 세트로 초광대역 레인징을 수행할 수 있다고 결정하게 하고; 그리고 상기 컴퓨팅 디바이스가 상기 제2 컴퓨팅 디바이스에 근접하고 상기 제2 컴퓨팅 디바이스가 하나 이상의 디바이스의 특정 세트로 초광대역 레인징을 수행할 수 있다는 결정에 응답하여, 상기 컴퓨팅 디바이스의 초광대역 컴포넌트를 절전 모드로 설정하게 한다.
일부 양태에서, 본 명세서에 기술된 기법은 장치와 관련되며, 상기 장치는 초광대역 레인징(ultra-wideband ranging)를 통해, 컴퓨팅 디바이스가 상기 컴퓨팅 디바이스와 페어링된 제2 컴퓨팅 디바이스에 근접한 것으로 결정하기 위한 수단; 상기 제2 컴퓨팅 디바이스가 하나 이상의 디바이스의 특정 세트로 초광대역 레인징을 수행할 수 있다고 결정하기 위한 수단; 및 상기 컴퓨팅 디바이스가 상기 제2 컴퓨팅 디바이스에 근접하고 상기 제2 컴퓨팅 디바이스가 하나 이상의 디바이스의 특정 세트로 초광대역 레인징을 수행할 수 있다는 결정에 응답하여, 상기 컴퓨팅 디바이스의 초광대역 컴포넌트를 절전 모드로 설정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한다.
하나 이상의 예시들의 세부 사항은 첨부 도면과 아래의 설명에서 기술된다. 본 개시의 다른 구성, 오브젝트 및 이점은 설명, 도면 및 청구항으로부터 명백해질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하나 이상의 양태에 따라, 컴퓨팅 디바이스가 초광대역 레인징을 수행하는 환경을 도시하는 개념도이다.
도 2는 본 개시의 하나 이상의 양태에 따라, 초광대역 레인징을 수행하는 컴퓨팅 디바이스의 추가 세부 내용을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도 3는 본 개시의 양태에 따라, 초광대역 최적화를 위한 예시적 기법을 도시하는 흐름도이다.
도 4는 본 개시의 하나 이상의 양태에 따라, 초광대역 레인징을 수행하는 컴퓨팅 디바이스의 예시적 동작을 도시하는 흐름도이다.
일반적으로, 본 개시의 기법은 초광대역 레인징을 수행하기 위해 소비되는 전력량을 감소시키는 방식으로 컴퓨팅 디바이스에 의한 초광대역의 사용을 최적화하는 것에 관한 것이다. 사용자는 컴퓨팅 디바이스와 다른 초광대역 지원 디바이스 사이의 거리를 주기적으로 결정하기 위해 초광대역 레인징을 수행하는 컴퓨팅 디바이스를 휴대, 착용 또는 사용할 수 있다.
사용자는 컴퓨팅 디바이스가 다른 디바이스에 근접할 때 다른 디바이스가 검출할 수 있도록 다른 디바이스와의 초광대역 레인징을 수행하기 위해 컴퓨팅 디바이스를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차량의 키리스 엔트리 시스템과 같은 액세스 제어 시스템으로 초광대역 레인징을 수행하기 위해 컴퓨팅 디바이스를 사용할 수 있으므로, 컴퓨팅 디바이스는 차량용 디지털 키의 역할을 할 수 있다. 사용자가 키리스 엔트리 시스템을 갖는 차량 쪽으로 이동함에 따라, 사용자의 컴퓨팅 디바이스는 키리스 엔트리 시스템으로 초광대역 레인징을 수행할 수 있으므로, 키리스 엔트리 시스템은 컴퓨팅 디바이스의 사용자와 차량 사이의 거리를 결정할 수 있다. 키리스 엔트리 시스템이 컴퓨팅 디바이스의 사용자가 차량에 근접한 것을 검출하면, 키리스 엔트리 시스템은 차량의 도어를 자동으로 잠금 해제할 수 있다.
점점 더 사람들은 다른 초광대역 지원 디바이스에 대한 각 모바일 컴퓨팅 디바이스의 거리를 결정하기 위해 각각 초광대역 레인징을 수행하는 여러 모바일 컴퓨팅 디바이스를 휴대, 착용 또는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초광대역 레인징을 수행하는 스마트폰을 휴대하면서 동시에 초광대역 레인징을 수행하는 웨어러블 디바이스(예: 스마트 워치)를 착용할 수 있다.
스마트폰 및 스마트 워치와 같은 다수의 컴퓨팅 디바이스를 단일 사용자가 휴대하거나 착용하거나 부착하는 경우, 각각의 컴퓨팅 디바이스에 의해 초광대역 레인징을 수행하는 결과(예: 다른 초광대역 지원 디바이스까지의 결정된 거리)는 컴퓨팅 디바이스가 서로 근접해 있기 때문에 서로 매우 유사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종종 초광대역 레인징을 수행하기 위해 단일 사용자가 휴대하거나 착용하거나 부착하는 컴퓨팅 디바이스 각각에 대해 중복될 수 있다.
서로 다른 컴퓨팅 디바이스는 서로 다른 초광대역 레인징 특성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스마트폰은 웨어러블 디바이스에 비해 초광대역 범위가 더 넓을 수 있다. 또한 웨어러블 디바이스는 일반적으로 스마트폰보다 훨씬 작은 배터리를 사용하기 때문에 초광대역 레인징을 수행하면 스마트폰에 비해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배터리 수명을 더 많이 소모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사용자가 초광대역 레인징을 수행하는 웨어러블 디바이스와 스마트폰을 모두 사용하는 경우, 웨어러블 디바이스와 스마트폰 모두에 의한 초광대역 레인징의 중복 수행으로 인해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배터리 수명이 스마트폰보다 빠른 속도로 불필요하게 소모될 수 있다.
본 개시의 양태에 따르면, 사용자에 의해 사용 중인 제1 컴퓨팅 디바이스가 초광대역 레인징을 수행하면, 제1 컴퓨팅 디바이스는 초광대역 레인징을 수행하고 사용자와 제1 컴퓨팅 디바이스와 페어링된 제2 컴퓨팅 디바이스가 제1 컴퓨팅 디바이스에 근접해 있는지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컴퓨팅 디바이스는 스마트 워치와 같은 웨어러블 디바이스일 수 있고, 제2 컴퓨팅 디바이스는 스마트폰 또는 노트북 컴퓨터와 같은 모바일 컴퓨팅 디바이스일 수 있으며, 여기서 제1 컴퓨팅 디바이스와 제2 컴퓨팅 디바이스가 동일한 사용자에 의해 사용된다.
제1 컴퓨팅 디바이스가 제2 컴퓨팅 디바이스가 제1 컴퓨팅 디바이스에 근접한 것으로 결정하면, 제1 컴퓨팅 디바이스는 제2 컴퓨팅 디바이스의 초광대역 레인징 능력이 제1 컴퓨팅 디바이스 및 제2 컴퓨팅 디바이스의 사용자의 다른 초광대역 지원 디바이스에 대한 근접성을 정확하게 결정할 수 있는지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제1 컴퓨팅 디바이스가 제2 컴퓨팅 디바이스의 초광대역 레인징 능력이 제1 컴퓨팅 디바이스 및 제2 컴퓨팅 디바이스의 사용자의 다른 초광대역 지원 디바이스에 대한 근접성을 정확하게 결정할 수 있다고 결정하면, 제1 컴퓨팅 디바이스는 자신의 초광대역 컴포넌트를 절전 모드로 설정하여, 제1 컴퓨팅 디바이스의 배터리 사용량을 줄이고 제1 컴퓨팅 디바이스의 배터리 수명을 연장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하나 이상의 양태에 따라, 컴퓨팅 디바이스가 초광대역 레인징을 수행하는 환경을 도시하는 개념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환경(100)은 컴퓨팅 디바이스(102 및 110) 및 초광대역(UWB) 지원 디바이스(120A-120E)("UWB 지원 디바이스(120)")를 포함한다. 컴퓨팅 디바이스(102, 110) 및 UWB 지원 디바이스(120)는 각각 초광대역 통신 범위 내에서 다른 컴퓨팅 디바이스와의 상대적인 거리를 결정하기 위해 초광대역 레인징을 수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일부 예에서, 컴퓨팅 디바이스(102 및 110) 및 UWB 지원 디바이스(120) 각각은 IEEE(Institute of Electrical and Electronics Engineers) 802.15.4 프로토콜과 같은 초광대역 통신 프로토콜에 따라 초광대역 레인징을 수행하여, 약 499MHz보다 큰 대역폭과 같은 광대역으로 데이터를 전송한다.
한 쌍의 컴퓨팅 디바이스가 초광대역 레인징을 수행하기 위해 IEEE 802.15.4 프로토콜과 같은 초광대역 통신 프로토콜을 통해 통신할 때, 한 쌍의 컴퓨팅 디바이스는 초광대역 통신을 통해 타임스탬프 메시지를 교환할 수 있다. 컴퓨팅 디바이스 쌍의 각각의 컴퓨팅 디바이스는 디바이스 쌍 사이의 물리적 거리 및/또는 디바이스 쌍 사이의 각도(예를 들어, 들어오는 무선 주파수 신호의 도달 각도)를 결정하기 위해 메시지의 비행 시간을 사용할 수 있다.
컴퓨팅 디바이스(110)는 모바일 전화(스마트폰), 랩톱 컴퓨터, 태블릿 컴퓨터, 웨어러블 컴퓨팅 디바이스, 개인 휴대 정보 단말기(PDA) 또는 임의의 다른 모바일 컴퓨팅 디바이스와 같은 모바일 컴퓨팅 디바이스일 수 있다. 컴퓨팅 디바이스(110)는 초광대역(UWB) 컴포넌트(118) 및 통신 모듈(114)을 포함한다. UWB 컴포넌트(118)는 약 499MHz보다 큰 대역폭과 같은 넓은 대역폭에 걸쳐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해 IEEE 802.15.4 프로토콜과 같은 초광대역 통신 프로토콜을 사용하여 무선 주파수 통신과 같은 무선 통신을 처리하기 위한 회로, 안테나 등과 같은 하드웨어를 포함할 수 있다.
UWB 컴포넌트(118)는 초광대역 통신을 사용하여 컴퓨팅 디바이스(110)와 연관된 위치 정보를 결정하기 위해 주기적으로 초광대역 레인징을 수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UWB 컴포넌트(118)는 UWB 컴포넌트(118)가 초광대역 통신을 통해 메시지를 교환할 수 있는 하나 이상의 디바이스일 수 있는 컴퓨팅 디바이스(110)의 초광대역 통신 범위 내에 있는 하나 이상의 디바이스(예를 들어, 컴퓨팅 디바이스(102), 하나 이상의 디바이스(120) 등)를 결정하기 위해 초광대역 레인징을 수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컴퓨팅 디바이스(110)와의 초광대역 통신 범위 내에 있는 하나 이상의 디바이스와 초광대역 통신을 통해 메시지를 교환함으로써, UWB 컴포넌트(118)는 컴퓨팅 디바이스(110)와 컴퓨팅 디바이스(110)의 초광대역 통신 범위 내에 있는 하나 이상의 컴퓨팅 디바이스 각각 사이의 거리를 결정할 수 있고, 컴퓨팅 디바이스(110)의 초광대역 통신 범위 내에 있는 하나 이상의 컴퓨팅 디바이스의 각각의 컴퓨팅 디바이스가 컴퓨팅 디바이스(110)와 각각의 컴퓨팅 디바이스 사이의 거리를 결정하게 할 수 있다.
UWB 컴포넌트(118)는 매 1초, 매 5초, 매 30초, 매 1분 등과 같이 컴퓨팅 디바이스(110)와 연관된 위치 정보를 결정하기 위해 주기적으로 초광대역 레인징을 수행할 수 있다. 통신 모듈(114)은 UWB 컴포넌트(118)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해 컴퓨팅 디바이스(110)에서 실행되는 소프트웨어일 수 있다. 예를 들어, 통신 모듈(114)은 UWB 컴포넌트(118)가 초광대역 레인징을 수행하는 빈도를 감소시키고, UWB 컴포넌트(118)가 초광대역 레인징을 수행하는 빈도를 증가시키는 것과 같이, UWB 컴포넌트(118)가 초광대역 레인징을 수행하는 빈도를 제어하기 위해 실행될 수 있다.
컴퓨팅 디바이스(102)는 휴대폰(예를 들어, 스마트폰), 랩톱 컴퓨터, 태블릿 컴퓨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또는 임의의 다른 모바일 컴퓨팅 디바이스와 같은 모바일 컴퓨팅 디바이스일 수 있다. 일부 예시에서, 컴퓨팅 디바이스(102)는 컴퓨터화된 시계(예: 스마트시계), 컴퓨터화된 피트니스 밴드/트래커, 컴퓨터화된 안경류, 컴퓨터화된 헤드웨어, 컴퓨터화된 장갑 또는 사람의 몸 또는 옷에 부착/착용될 수 있는 임의의 다른 유형의 모바일 컴퓨팅 디바이스와 같은 웨어러블 컴퓨팅 디바이스일 수 있다.
컴퓨팅 디바이스(102)가 웨어러블 컴퓨팅 디바이스인 일부 예에서, 컴퓨팅 디바이스(102)는 부착 컴포넌트(106) 및 전기 하우징(105)을 포함할 수 있다. 컴퓨팅 디바이스(102)의 하우징(105)은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펌웨어 및/또는 컴퓨팅 디바이스(102)의 다른 전기 컴포넌트의 조합을 수용하는 웨어러블 컴퓨팅 디바이스의 물리적 부분을 포함한다. 예를 들어, 도 1은 하우징(105) 내에서 컴퓨팅 디바이스(102)가 통신 모듈(104) 및 UWB 컴포넌트(108)를 포함할 수 있음을 보여준다. 하우징(105)은 또한 도 1에 도시되지 않은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 메모리, 운영 체제, 애플리케이션 등과 같은 다른 하드웨어 컴포넌트 및/또는 소프트웨어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부착 컴포넌트(106)는 사용자가 컴퓨팅 디바이스(102)를 착용하고 있을 때(비록, 일부 예에서 하우징(105)의 부분은 또한 사용자의 신체와 접촉할 수 있다.), 사용자의 몸(예: 조직, 근육, 피부, 머리카락, 옷 등)과 접촉하는 웨어러블 컴포넌트의 물리적 부분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컴퓨팅 디바이스(102)가 시계인 경우에, 부착 컴포넌트(106)는 사용자의 손목 둘레에 맞고 사용자의 피부와 접촉하는 시계 밴드일 수 있다. 컴퓨팅 디바이스(102)가 안경류 또는 헤드웨어인 예시에서, 부착 컴포넌트(106)는 사용자의 머리 주위에 맞는 안경류 또는 헤드웨어의 프레임의 일부일 수 있고, 웨어러블 컴퓨팅 디바이스(102)가 장갑인 경우, 부착 컴포넌트(106)는 사용자의 손가락과 손에 맞는 장갑의 물질일 수 있다. 일부 예시에서, 컴퓨팅 디바이스(102)는 하우징(105) 및/또는 부착 컴포넌트(106)로부터 파지 및 유지될 수 있다.
컴퓨팅 디바이스(102)는 초광대역(UWB) 컴포넌트(108) 및 통신 모듈(104)을 포함한다. UWB 컴포넌트(108)는 약 499MHz보다 큰 대역폭과 같은 넓은 대역폭에 걸쳐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해 IEEE 802.15.4 프로토콜과 같은 초광대역 통신 프로토콜을 사용하여 무선 주파수 통신과 같은 무선 통신을 처리하기 위한 회로, 안테나 등과 같은 하드웨어를 포함할 수 있다.
UWB 컴포넌트(108)는 초광대역 통신을 사용하여 컴퓨팅 디바이스(102)와 연관된 위치 정보를 결정하기 위해 주기적으로 초광대역 레인징을 수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UWB 컴포넌트(108)는 UWB 컴포넌트(108)가 초광대역 통신을 통해 메시지를 교환할 수 있는 하나 이상의 디바이스일 수 있는 컴퓨팅 디바이스(102)의 초광대역 통신 범위 내에 있는 하나 이상의 디바이스(예를 들어, 컴퓨팅 디바이스(102), 하나 이상의 디바이스(120) 등)를 결정하기 위해 초광대역 레인징을 수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컴퓨팅 디바이스(102)와의 초광대역 통신 범위 내에 있는 하나 이상의 디바이스와 초광대역 통신을 통해 메시지를 교환함으로써, UWB 컴포넌트(108)는 컴퓨팅 디바이스(102)와 컴퓨팅 디바이스(102)의 초광대역 통신 범위 내에 있는 하나 이상의 컴퓨팅 디바이스 각각 사이의 거리를 결정할 수 있고, 컴퓨팅 디바이스(102)의 초광대역 통신 범위 내에 있는 하나 이상의 컴퓨팅 디바이스의 각각의 컴퓨팅 디바이스가 컴퓨팅 디바이스(102)와 각각의 컴퓨팅 디바이스 사이의 거리를 결정하게 할 수 있다.
UWB 컴포넌트(108)는 매 1초, 매 5초, 매 30초, 매 1분 등과 같이 컴퓨팅 디바이스(102)와 연관된 위치 정보를 결정하기 위해 주기적으로 초광대역 레인징을 수행할 수 있다. 통신 모듈(104)은 UWB 컴포넌트(108)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해 컴퓨팅 디바이스(102)에서 실행되는 소프트웨어일 수 있다. 예를 들어, 통신 모듈(104)은 UWB 컴포넌트(108)가 초광대역 레인징을 수행하는 빈도를 감소시키고, UWB 컴포넌트(108)가 초광대역 레인징을 수행하는 빈도를 증가시키는 것과 같이, UWB 컴포넌트(108)가 초광대역 레인징을 수행하는 빈도를 제어하기 위해 실행될 수 있다.
초광대역 지원 디바이스("UWB 지원 디바이스")(120)는 컴퓨팅 디바이스(102 및/또는 110)가 초광대역 레인징을 수행함에 따라 IEEE 802.15.4 프로토콜과 같은 초광대역 프로토콜을 통해 컴퓨팅 디바이스(102 및/또는 110)와 통신하도록 구성된 임의의 컴퓨팅 디바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UWB 지원 디바이스(120)는 FiRa 컨소시엄 및/또는 자동차 연결 컨소시엄이 제시한 기술 사양을 충족할 수 있다. 디바이스(120)의 예는 스마트 홈 디바이스, 차량 키리스 엔트리 시스템, POS 단말기, UWB 태그, UWB 앵커, 근접 감지 디바이스, 컴퓨팅 디바이스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초광대역 통신을 통해 컴퓨팅 디바이스와 통신하는 UWB 지원 디바이스는 통신에 기초하여 UWB 지원 디바이스로부터 컴퓨팅 디바이스의 거리를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UWB 지원 디바이스(예를 들어, UWB 지원 디바이스(120) 중 어느 하나)의 초광대역 범위 내에 있는 컴퓨팅 디바이스(예를 들어, 컴퓨팅 디바이스(102) 또는 컴퓨팅 디바이스(110))가 초광대역 레인징을 수행할 때, UWB-지원 디바이스는 컴퓨팅 디바이스와의 초광대역 통신을 통해 타임스탬프 메시지를 교환할 수 있고, UWB 지원 디바이스와 컴퓨팅 디바이스 사이의 물리적 거리 및/또는 각도를 결정하기 위해 메시지의 비행 시간을 결정할 수 있다.
이와 같이, UWB 지원 디바이스(120A)의 각 UWB 지원 디바이스는 초광대역 통신 범위 내에서 각 컴퓨팅 디바이스와 초광대역 통신을 통해 메시지를 교환하고, 상기 메시지에 기초하여 UWB 지원 디바이스로부터 각 컴퓨팅 디바이스의 거리를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컴퓨팅 디바이스(102)가 초광대역 레인징을 수행함에 따라 UWB 지원 디바이스(120A)가 컴퓨팅 디바이스(102)와 초광대역 통신을 통해 통신하는 경우, 컴퓨팅 디바이스(102)와 UWB 지원 디바이스(120A) 둘 모두 초광대역 통신에 기초하여 컴퓨팅 디바이스(102)와 UWB 지원 디바이스(120A) 사이의 거리를 결정될 수 있다.
따라서 UWB 지원 디바이스는 다른 컴퓨팅 디바이스와의 초광대역 통신에 기초하여 UWB 지원 디바이스에 근접한(예: 특정 거리 내) 컴퓨팅 디바이스를 검출할 수 있으며, 검출에 응답하여 컴퓨팅 디바이스가 UWB 지원 디바이스에 근접한 경우 하나 이상의 액션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UWB 지원 디바이스(120A)가 차량용 키리스 엔트리 시스템이고 컴퓨팅 디바이스(102)가 차량용 디지털 열쇠 고리 역할을 하는 경우, UWB 지원 디바이스(120A)는 초광대역 통신을 통해, 컴퓨팅 디바이스(102)와 차량에 근접한지 결정하기 위해(예: 특정 거리 내) 컴퓨팅 디바이스(102)와 UWB 지원 디바이스(120A) 사이의 물리적 거리(예: 컴퓨팅 디바이스(102)와 UWB 지원 디바이스(120A) 사이에 교환된 메시지의 비행 시간에 기초)를 결정할 수 있다. UWB 지원 디바이스(120A)가 초광대역 통신에 기초하여 컴퓨팅 디바이스(102)가 차량에 근접한 것으로 결정하면, UWB 지원 디바이스(120A)는 차량의 하나 이상의 도어를 잠금 해제할 수 있으며, 그에 따라 초광대역 통신을 사용하여 차량의 키리스 엔트리를 수행할 수 있다.
일부 예에서 UWB 지원 디바이스는 하나 이상의 컴퓨팅 디바이스와 페어링될 수 있다. UWB 지원 디바이스와 페어링된 각각의 컴퓨팅 디바이스는 페어링된 컴퓨팅 디바이스가 UWB 지원 디바이스에 근접하다고 결정함에 응답하여 UWB 지원 디바이스가 하나 이상의 액션을 수행하게 하는 인증된 또는 알려진 컴퓨팅 디바이스로서 UWB 지원 디바이스에 의해 인식된 컴퓨팅 디바이스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디지털 자동차 키의 역할을 하는 컴퓨팅 디바이스(102)가 차량의 키리스 엔트리 시스템인 UWB 지원 디바이스(120A)와 페어링되면, 컴퓨팅 디바이스(102)와 UWB 지원 디바이스(120A)의 페어링은 컴퓨팅 디바이스가 UWB 지원 디바이스(120A)용 디지털 자동차 키로서 역할을 하게 한다. 따라서, UWB 지원 디바이스(120A)는 컴퓨팅 디바이스(102)가 UWB 지원 디바이스(120A)에 근접(예를 들어, 1미터 이내)한다는 결정에 응답하여 차량의 하나 이상의 도어를 잠금 해제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UWB 지원 디바이스(120A)와 페어링되지 않은 컴퓨팅 디바이스가 UWB 지원 디바이스(120A)에 근접한 것으로 UWB 지원 디바이스(120A)가 결정하면, UWB 지원 디바이스(120A)는 차량의 하나 이상의 도어를 잠금 해제하지 않을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컴퓨팅 디바이스(110)는 컴퓨팅 디바이스(102, 110)가 통신적으로 결합되도록 컴퓨팅 디바이스(102)와 페어링되거나, 테더링되거나, 그렇지 않으면 연관될 수 있다. 일부 예에서, 컴퓨팅 디바이스(102)는 컴퓨팅 디바이스(110)에 대한 컴패니언 디바이스로서 작동하기 위해 컴퓨팅 디바이스(110)와 페어링되거나 테더링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컴퓨팅 디바이스(102)가 스마트 워치와 같은 웨어러블 컴퓨팅 디바이스이고, 컴퓨팅 디바이스(110)가 스마트폰인 경우, 컴퓨팅 디바이스(102)는 컴퓨팅 디바이스(110)와 쌍을 이루어 컴퓨팅 디바이스(110)의 컴패니언 디바이스로 작동할 수 있다. 일부 예에서, 컴퓨팅 디바이스(102 및 110)는 컴퓨팅 디바이스(102 및 110)가 동일한 사용자 및/또는 동일한 사용자 계정과 연관될 때 서로 페어링될 수 있다.
컴퓨팅 디바이스(102 및 110)가 모두 동일한 사용자에 의해 사용되는 예에서, 컴퓨팅 디바이스(102 및 110)의 사용자는 컴퓨팅 디바이스(102 및 110)가 사용자와 함께 있도록 컴퓨팅 디바이스(102 및 110)를 착용, 부착 및/또는 휴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컴퓨팅 디바이스(102)가 스마트워치와 같은 웨어러블 컴퓨팅 디바이스이고, 컴퓨팅 디바이스(110)가 스마트폰인 경우, 예를 들어 부착 컴포넌트(106)를 통해 컴퓨팅 디바이스(102)를 사용자의 신체 또는 옷에 부착함으로써 사용자는 자신의 몸에 컴퓨팅 디바이스(102)를 착용할 수 있고, 또한 컴퓨팅 디바이스(102)를 주머니, 핸드백, 사용자의 손 등으로 휴대하거나 들고 있을 수 있다.
사용자가 컴퓨팅 디바이스(102 및 110) 모두와 함께 이동할 때, 컴퓨팅 디바이스(102) 및 컴퓨팅 디바이스(110)는 컴퓨팅 디바이스(102 및 110)의 초광대역 통신 범위 내에서 UWB 지원 디바이스(120) 중 하나 이상과 통신하기 위해 주기적으로 초광대역 레인징을 계속 수행하여, 하나 이상의 UWB 지원 디바이스(120)가 컴퓨팅 디바이스(102 및/또는 110)가 하나 이상의 UWB 지원 디바이스에 근접한지 여부를 결정할 수 있게 한다.
그러나, 사용자가 컴퓨팅 디바이스(102 및 110) 모두를 착용, 보유 및/또는 휴대하는 경우, 컴퓨팅 디바이스(102 및 110)가 서로 매우 근접할 가능성이 있기 때문에(예: 1미터 미만 이내), 컴퓨팅 디바이스(102 및 110) 모두가 주기적으로 초광대역 레인징을 수행하는 것은 불필요할 수 있다. 즉, 컴퓨팅 디바이스(102 및 110) 중 하나가 UWB 지원 디바이스에 근접하면 컴퓨팅 디바이스(102 및 110) 중 다른 하나도 UWB 지원 디바이스에 근접할 가능성이 높다.
컴퓨팅 디바이스가 배터리로 구동되는 모바일 컴퓨팅 디바이스인 예에서 컴퓨팅 디바이스가 초광대역 레인징을 수행하는 빈도는 컴퓨팅 디바이스의 배터리 수명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컴퓨팅 디바이스가 초광대역 레인징을 수행하는 빈도를 줄이면 전력 소비가 줄어들고 배터리 수명이 늘어날 수 있다. 컴퓨팅 디바이스(102)가 스마트워치와 같은 웨어러블 디바이스이고 컴퓨팅 디바이스(110)가 스마트폰인 예에서, 컴퓨팅 디바이스(102)는 컴퓨팅 디바이스(110)보다 훨씬 작은 배터리를 가질 수 있다. 따라서, 초광대역 레인징을 수행하는 것은 컴퓨팅 디바이스(110)의 배터리 수명에 비해 컴퓨팅 디바이스(102)의 배터리 수명에 더 큰 영향을 미칠 수 있다.
본 발명의 양태에 따르면, 컴퓨팅 디바이스(102 및 110) 둘 모두가 주기적으로 초광대역 레인징을 수행하는 것이 중복될 수 있기 때문에, 컴퓨팅 디바이스(102)는 특정 경우에 컴퓨팅 디바이스(110)의 초광대역 레인징 능력이 컴퓨팅 디바이스(102 및 110)의 사용자와 UWB 지원 디바이스의 근접성을 정확하게 결정하는데 사용될 수 있는지 여부를 결정하는 것에 기초하여 컴퓨팅 디바이스(102)가 초광대역을 수행하는 빈도를 감소시킬 수 있다. 컴퓨팅 디바이스(102)가 컴퓨팅 디바이스(110)의 초광대역 레인징 능력이 컴퓨팅 디바이스(102 및 110)의 사용자와 UWB 지원 디바이스의 근접성을 정확하게 결정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고 결정하면, 컴퓨팅 디바이스(102)는 컴퓨팅 디바이스(102)가 초광대역 레인징을 수행하는 빈도를 감소시켜, UWB 컴포넌트(108)의 전력 사용을 줄이고 컴퓨팅 디바이스(102)의 배터리 수명을 연장한다.
컴퓨팅 디바이스(110)의 초광대역 레인징 능력이 컴퓨팅 디바이스(102 및 110)의 사용자와 UWB 지원 디바이스(120)의 근접성을 정확하게 결정하는데 사용될 수 있는지 여부를 결정하는 부분으로서, 컴퓨팅 디바이스(102)는 UWB 컴포넌트를 포함하는 컴퓨팅 디바이스(110)가 컴퓨팅 디바이스(102)에 근접한지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컴퓨팅 디바이스(102)는 컴퓨팅 디바이스(110)가 컴퓨팅 디바이스(102)로부터 1미터 미만, 0.5미터 미만 등인 경우 컴퓨팅 디바이스(110)가 컴퓨팅 디바이스(102)에 근접한 것으로 결정할 수 있다.
컴퓨팅 디바이스(102)는 컴퓨팅 디바이스(110)가 임의의 적합한 레인징 또는 근접 검출 기법을 사용하여 컴퓨팅 디바이스(102)에 근접한지를 결정할 수 있다. 일 예에서, 컴퓨팅 디바이스(102)는 초광대역 레인징을 수행하기 위해 UWB 컴포넌트(108)를 사용함으로써 컴퓨팅 디바이스(110)가 컴퓨팅 디바이스(102)에 근접한지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즉, 컴퓨팅 디바이스(102)는 UWB 컴포넌트(108)를 사용하여 초광대역 통신을 통해 컴퓨팅 디바이스(110)의 UWB 컴포넌트(118)와 메시지를 교환하여 메시지의 비행 시간에 기초하여 컴퓨팅 디바이스(102)로부터 컴퓨팅 디바이스(110)의 거리를 결정할 수 있다.
특정 경우에, 컴퓨팅 디바이스(110)가 컴퓨팅 디바이스(102)에 근접하더라도 컴퓨팅 디바이스(110)의 초광대역 레인징 능력은 그럼에도 불구하고 컴퓨팅 디바이스(102 및 110)의 사용자와 UWB 지원 디바이스(120)의 근접성을 정확하게 결정하지 못할 수 있다. 컴퓨팅 디바이스(102)가 스마트 워치이고 컴퓨팅 디바이스(110)가 스마트폰인 예에서, 컴퓨팅 디바이스(102)의 UWB 안테나는 컴퓨팅 디바이스(110)의 UWB 안테나보다 약 10 데시벨(dBs)만큼 약할 수 있다. 그러나, 컴퓨팅 디바이스(110)가 사용자 바지 뒷주머니에 휴대되어 있는 동안 컴퓨팅 디바이스(102)가 사용자의 손목에 착용될 때, 컴퓨팅 디바이스(110)의 초광대역 신호의 신체 흡수는 예를 들어, 컴퓨팅 디바이스(110)의 UWB 안테나의 이득을 20-25dB만큼 감소시킴으로써 컴퓨팅으로부터의 초광대역 신호를 상당히 감쇠시킬 수 있고, 잠재적으로 컴퓨팅 디바이스(110)가 컴퓨팅 디바이스(102)보다 훨씬 더 나쁜 초광대역 레인징 성능을 갖도록 한다.
이와 같이, 컴퓨팅 디바이스(102)는 컴퓨팅 디바이스(110)가 컴퓨팅 디바이스(102)에 근접한 결정에 응답하여, 컴퓨팅 디바이스(110)가 UWB 지원 디바이스(120)에 대한 컴퓨팅 디바이스(102 및 110)의 사용자 근접성을 정확하게 결정할 수 있는지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컴퓨팅 디바이스(102)는 하나 이상의 UWB 지원 디바이스의 특정 세트를 선택할 수 있고, 컴퓨팅 디바이스(110)가 컴퓨팅 디바이스(102)에 근접하다는 결정에 응답하여 컴퓨팅 디바이스(110)가 하나 이상의 디바이스의 특정 세트와 초광대역 레인징을 수행할 수 있다.
일부 예에서, 하나 이상의 디바이스의 특정 세트는 컴퓨팅 디바이스(102) 및 컴퓨팅 디바이스(110) 둘 모두와 페어링된 모든 디바이스일 수 있다. 즉, 컴퓨팅 디바이스(102)는 컴퓨팅 디바이스(110)가 컴퓨팅 디바이스(102) 및 컴퓨팅 디바이스(110) 모두와 페어링된 모든 디바이스와 초광대역 통신을 통해 메시지를 송수신하기 위해 초광대역 레인징을 수행할 수 있는지를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UWB 지원 디바이스(120A-120C)가 컴퓨팅 디바이스(102 및 110) 모두와 페어링된 경우, 컴퓨팅 디바이스(102)는 컴퓨팅 디바이스(110)가 UWB 지원 디바이스(120A-120C) 각각과 초광대역 통신을 통해 메시지를 송수신하기 위해 초광대역 레인징을 수행할 수 있는지 결정할 수 있다. 컴퓨팅 디바이스(102)가 컴퓨팅 디바이스(110)가 UWB 지원 디바이스(120A-120C) 각각과의 초광대역 통신을 통해 메시지를 송수신하기 위해 초광대역 레인징을 수행할 수 있다고 결정하면, 컴퓨팅 디바이스(102)는 컴퓨팅 디바이스(110)의 초광대역 레인징 능력이 컴퓨팅 디바이스(102 및 110)의 사용자와 UWB 지원 디바이스(120)의 근접성을 정확하게 결정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고 결정할 수 있다.
컴퓨팅 디바이스(110)는 컴퓨팅 디바이스(110)가 초광대역 레인징의 수행을 통해 메시지를 송수신할 수 있는 하나 이상의 UWB 지원 디바이스의 표시를 컴퓨팅 디바이스(102)로 전송할 수 있고, 컴퓨팅 디바이스(102)는 컴퓨팅 디바이스(110)가 초광대역 레인징의 수행을 통해 메시지를 송수신할 수 있는 하나 이상의 UWB 지원 디바이스가 컴퓨팅 디바이스(102) 및 컴퓨팅 디바이스(110) 둘 모두와 페어링된 모든 UWB 지원 디바이스와 매칭되는지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컴퓨팅 디바이스(110)가 초광대역 레인징의 수행을 통해 메시지를 송수신할 수 있는 하나 이상의 UWB 지원 디바이스가 컴퓨팅 디바이스(102) 및 컴퓨팅 디바이스(110) 둘 모두와 페어링된 모든 UWB 지원 디바이스와 매칭된다고 컴퓨팅 디바이스(102)가 결정하면, 컴퓨팅 디바이스(102)는 컴퓨팅 디바이스(110)의 초광대역 레인징 능력이 컴퓨팅 디바이스(102 및 110)의 사용자와 UWB 지원 디바이스(120)의 근접성을 정확하게 결정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고 결정할 수 있다.
일부 예에서, 하나 이상의 디바이스의 특정 세트는 컴퓨팅 디바이스(102)가 초광대역 레인징을 수행할 수 있는 하나 이상의 디바이스일 수 있다. 즉, 컴퓨팅 디바이스(102)는 컴퓨팅 디바이스(102)가 초광대역 레인징을 수행할 수 있는 모든 디바이스와의 초광대역 통신을 통해 메시지를 송수신하기 위해 초광대역 레인징을 수행할 수 있는지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컴퓨팅 디바이스(102)가 UWB 지원 디바이스(120A 및 120B)와의 초광대역 통신을 통해 메시지를 송수신하기 위해 초광대역 레인징을 수행할 수 있는 경우, 컴퓨팅 디바이스(102)는 컴퓨팅 디바이스(110)가 UWB 지원 디바이스(120A 및 120B)와의 초광대역 통신을 통해 메시지를 송수신하기 위해 초광대역 레인징을 수행할 수 있는지 결정할 수 있다. 컴퓨팅 디바이스(102)가 컴퓨팅 디바이스(110)가 UWB 지원 디바이스(120A 및 120B) 각각과의 초광대역 통신을 통해 메시지를 송수신하기 위해 초광대역 레인징을 수행할 수 있다고 결정하면, 컴퓨팅 디바이스(102)는 컴퓨팅 디바이스(110)의 초광대역 레인징 능력이 컴퓨팅 디바이스(102 및 110)의 사용자와 UWB 지원 디바이스(120)의 근접성을 정확하게 결정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고 결정할 수 있다.
컴퓨팅 디바이스(110)는 컴퓨팅 디바이스(110)가 초광대역 레인징의 수행을 통해 메시지를 송수신할 수 있는 하나 이상의 UWB 지원 디바이스의 표시를 컴퓨팅 디바이스(102)로 전송할 수 있고, 컴퓨팅 디바이스(102)는 컴퓨팅 디바이스(110)가 초광대역 레인징의 수행을 통해 메시지를 송수신할 수 있는 하나 이상의 UWB 지원 디바이스가 컴퓨팅 디바이스(102)가 초광대역 레인징의 수행을 통해 메시지를 송수신할 수 있는 하나 이상의 UWB 지원 디바이스와 매칭되는지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컴퓨팅 디바이스(110)가 초광대역 레인징의 수행을 통해 메시지를 송수신할 수 있는 하나 이상의 UWB 지원 디바이스가 컴퓨팅 디바이스(102)가 초광대역 레인징의 수행을 통해 메시지를 송수신할 수 있는 하나 이상의 UWB 지원 디바이스와 매칭된다고 컴퓨팅 디바이스(102)가 결정하면, 컴퓨팅 디바이스(102)는 컴퓨팅 디바이스(110)의 초광대역 레인징 능력이 컴퓨팅 디바이스(102 및 110)의 사용자와 UWB 지원 디바이스(120)의 근접성을 정확하게 결정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고 결정할 수 있다.
컴퓨팅 디바이스(102)는 컴퓨팅 디바이스(110)의 초광대역 레인징 능력이 컴퓨팅 디바이스(102 및 110)의 사용자와 UWB 지원 디바이스(120)의 근접성을 정확하게 결정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는 결정에 응답하여, UWB 컴포넌트(108)를 절전 모드로 설정할 수 있다. 일부 예에서, 컴퓨팅 디바이스(102)가 UWB 컴포넌트(108)를 절전 모드로 설정하는 것은 UWB 컴포넌트(108)가 초광대역 레인징을 수행하는 빈소를 감소시키는 것을 포함한다. 예를 들어, UWB 컴포넌트(108)가 5초에 한 번, 7초에 한 번 등의 빈도로 초광대역 레인징을 수행하는 경우, 컴퓨팅 디바이스(102)는 UWB 컴포넌트(108)가 초광대역 레인징을 30초에 한 번, 1분에 한 번 등으로 수행하는 빈도를 감소시킬 수 있다. UWB 컴포넌트(108)가 초광대역 레인징을 수행하는 빈도를 감소시킴으로써, 컴퓨팅 디바이스(102)는 일부 예에서 컴퓨팅 디바이스(110)보다 덜 빈번하게 초광대역 레인징을 수행할 수 있다.
UWB 컴포넌트(108)가 절전 모드로 설정되면, UWB(108)는 감소된 빈도로 하나 이상의 UWB 지원 디바이스(120)와 메시지를 송수신하기 위해 주기적으로 초광대역 레인징을 계속 수행할 수 있다. UWB 컴포넌트(108)가 절전 모드에 있는 동안 주기적으로 초광대역 레인징을 수행하는 것의 일부로서, 컴퓨팅 디바이스(102)는 컴퓨팅 디바이스(110)가 전술한 바와 같은 초광대역 레인징을 통해 또는 임의의 다른 적합한 근접 검출 기법을 통해(예를 들어, 블루투스를 통해) 컴퓨팅 디바이스(102)에 근접해 있는지 여부를 주기적으로 결정할 수 있다.
컴퓨팅 디바이스(110)가 컴퓨팅 디바이스(102)에 더 이상 근접하지 않다고 컴퓨팅 디바이스(102)가 결정하면, 컴퓨팅 디바이스(102)는 UWB 컴포넌트(108)를 일반 작동 모드로 설정하여 절전 모드를 종료할 수 있다. 일부 예에서, 컴퓨팅 디바이스(102)가 UWB 컴포넌트(108)를 일반 동작 모드로 설정하는 것은 UWB 컴포넌트(108)가 절전 모드에 있는 동안 초광대역 레인징을 수행한 빈도로부터 UWB 컴포넌트(108)가 초광대역 레인징을 수행하는 빈도를 증가시키는 것을 포함한다. 예를 들어, UWB 컴포넌트(108)가 절전 모드에서 30초에 한 번, 1분에 한 번 등의 빈도로 초광대역 레인징을 수행하는 경우, 컴퓨팅 디바이스(102)는 UWB 컴포넌트(108)가 초광대역 레인징을 5초에 한 번, 10초에 한 번 등으로 수행하는 빈도를 증가시킬 수 있다.
UWB 컴포넌트(108)가 절전 모드에 있는 동안, 컴퓨팅 디바이스(110)가 컴퓨팅 디바이스(102)에 근접한 것으로 컴퓨팅 디바이스(102)가 결정하면, 컴퓨팅 디바이스(102)는 컴퓨팅 디바이스(110)의 초광대역 레인징 능력이 전술한 바와 같이 컴퓨팅 디바이스(102 및 110)의 사용자와 UWB 지원 디바이스(120)의 근접성을 정확하게 결정하는데 사용될 수 있는지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컴퓨팅 디바이스(110)는 전술한 바와 같이 하나 이상의 디바이스의 특정 세트로 초광대역 레인징을 수행할 수 있다. 컴퓨팅 디바이스(110)의 초광대역 레인징 능력이 컴퓨팅 디바이스(102 및 110)의 사용자와 UWB 지원 디바이스(120)의 근접성을 정확하게 결정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고 컴퓨팅 디바이스(102)가 결정하면, 컴퓨팅 디바이스(102)는 UWB 컴포넌트(108)를 절전 모드로 유지하게 할 수 있다. 컴퓨팅 디바이스(110)의 초광대역 레인징 능력이 컴퓨팅 디바이스(102 및 110)의 사용자와 UWB 지원 디바이스(120)의 근접성을 정확하게 결정하는데 사용될 수 없다고 컴퓨팅 디바이스(102)가 결정하면, 컴퓨팅 디바이스(102)는 UWB 컴포넌트(108)를 일반 작동 모드로 설정할 수 있다.
도 2는 본 개시의 하나 이상의 양태에 따라, 초광대역 레인징을 수행하는 컴퓨팅 디바이스(200)의 추가 세부 내용을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도 2의 컴퓨팅 디바이스(200)는 도 1에 도시된 컴퓨팅 디바이스(200)의 예로서 아래에서 설명된다. 도 2는 컴퓨팅 디바이스(200)의 단지 하나의 특정한 예시를 도시하며, 컴퓨팅 디바이스(200)의 많은 다른 예시들이 다른 경우들에 사용될 수 있고, 예시적 컴퓨팅 디바이스(200)에 포함된 컴포넌트들의 서브셋을 포함하거나 또는 도 2에서 도시되지 않은 추가적인 컴포넌트들을 포함할 수 있다.
도 2의 예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컴퓨팅 디바이스(200)는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240), 하나 이상의 입력 컴포넌트(242), 하나 이상의 통신 유닛(244), 하나 이상의 출력 컴포넌트(246) 및 하나 이상의 저장 컴포넌트(248)를 포함한다. 입력 컴포넌트(242)는 센서 컴포넌트(214)를 포함한다. 컴퓨팅 디바이스(200)의 저장 컴포넌트(248)는 또한 통신 모듈(204), 애플리케이션 모듈(224) 및 물리적 디바이스 정보 저장소(228)를 포함한다.
통신 채널들(250)은 컴포넌트 간 통신을 위해(물리적으로, 통신적으로 및/또는 동작적으로) 각각의 컴포넌트들(240, 242, 244, 246, 248 및 214)와 상호연결될 수 있다. 일부 예시에서, 통신 채널들(250)은 시스템 버스, 네트워크 연결, 프로세스 간 통신 데이터 구조 또는 데이터를 통신하기 위한 임의의 기타 방법을 포함할 수 있다.
컴퓨팅 디바이스(200)의 하나 이상의 입력 컴포넌트들(242)은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입력의 예는 촉각, 오디오 및 비디오 입력이다. 일 예에서, 컴퓨팅 디바이스(200)의 입력 컴포넌트(242)는 존재-감응형 디스플레이, 터치-감응형 스크린, 마우스, 키보드, 음성 응답 시스템, 비디오 카메라, 마이크로폰 또는 사람 또는 기계로부터의 입력을 검출하기 위한 임의의 기타 유형의 디바이스를 포함한다.
하나 이상의 입력 컴포넌트(242)는 하나 이상의 센서 컴포넌트(214)를 포함한다. 센서 컴포넌트(214)의 수많은 예가 존재하고 컴퓨팅 디바이스(200)를 둘러싼 환경에 대한 환경 정보 및/또는 컴퓨팅 디바이스(200) 사용자의 활동 상태 및/또는 신체적 웰빙을 정의하는 생리학적 정보를 획득하도록 구성된 임의의 입력 컴포넌트를 포함한다. 일부 예시에서, 센서 컴포넌트는 컴퓨팅 디바이스(200)의 물리적 포지션, 움직임, 및/또는 위치 정보를 획득하는 입력 컴포넌트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센서 컴포넌트(214)는 하나 이상의 위치 센서(GPS 컴포넌트, Wi-Fi 컴포넌트, 셀룰러 컴포넌트), 하나 이상의 온도 센서, 하나 이상의 모션 센서(예를 들어, 다축 가속도계, 자이로), 하나 이상의 압력 센서(예를 들어, 기압계), 하나 이상의 주변 광 센서 및 하나 이상의 다른 센서(예를 들어, 마이크로폰, 카메라, 적외선 근접 센서, 습도계 등)를 포함할 수 있다. 기타 센서들은 몇 가지 다른 비-한정적인 예를 들면, 심장 박동 센서, 자력계, 포도당 센서, 습도계 센서, 후각 센서, 나침반 센서, 스텝 카운터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컴퓨팅 디바이스(200)의 하나 이상의 출력 컴포넌트들(246)은 출력을 생성할 수 있다. 출력의 예는 촉각, 오디오 및 비디오 출력이다. 일 예시에서, 컴퓨팅 디바이스(200)의 출력 컴포넌트들(246)은 존재-감응형 디스플레이, 사운드 카드, 비디오 그래픽 어댑터 카드, 스피커, 액정 디스플레이(LCD)또는 사람 또는 기계에 출력을 생성하기 위한 임의의 기타 유형의 디바이스를 포함한다.
컴퓨팅 디바이스(200)의 하나 이상의 통신 유닛(244)은 하나 이상의 네트워크상에서 네트워크 신호를 송신 및/또는 수신함으로써 하나 이상의 유선 및/또는 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외부 디바이스들과 통신할 수 있다. 하나 이상의 통신 유닛(244)의 예시들은(이더넷 카드와 같은)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카드, 광학적 트랜스시버, 라디오 주파수 트랜스시버, GPS 수신기 또는 정보를 송신 및/또는 수신할 수 있는 임의의 기타 유형의 디바이스를 포함한다. 하나 이상의 통신 유닛(244)의 다른 예시들은 단파 라디오, 셀룰러 데이터 라디오, 무선 네트워크 라디오 뿐만 아니라 USB 제어기를 포함할 수 있다.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들(240)은 기능을 구현하고 및/또는 컴퓨팅 디바이스(200) 내의 명령어들을 실행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컴퓨팅 디바이스(200) 상의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240)는 모듈들(204 및 224)의 기능을 실행하는 저장 컴포넌트들(248)에 의해 저장된 명령어들을 수신하고 실행할 수 있다.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240)에 의해 실행되는 명령어들은 컴퓨팅 디바이스(200)로 하여금 프로그램 실행 중에 저장 컴포넌트들(248) 내에 정보를 저장하게 한다.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240)의 예들은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 디스플레이 제어기, 센서 허브 및 프로세싱 유닛으로서 기능하도록 구성된 임의의 다른 하드웨어를 포함한다.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240)는 모듈(204 및 224)의 명령어를 실행하여 하나 이상의 출력 컴포넌트(246)로 하여금 디스플레이 데이터의 콘텐츠 부분을 하나 이상의 출력 컴포넌트(246)에서 사용자 인터페이스 스크린샷 중 하나로 렌더링하게 할 수 있다. 모듈들(204 및 224)은 컴퓨팅 디바이스(200)의 다양한 액션들 또는 기능들을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240)에 의해 동작 가능할 수 있다.
컴퓨팅 디바이스(200) 내의 하나 이상의 저장 컴포넌트(248)는 컴퓨팅 디바이스(200)의 동작 동안 프로세싱을 위한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예를 들어, 컴퓨팅 디바이스(200)는 컴퓨팅 디바이스(200)에서의 실행 중에 모듈들(204 및 224)에 의해 액세스되는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일부 예시에서, 저장 컴포넌트(248)는 저장 컴포넌트(248)의 주목적이 장기간 저장이 아님을 의미하는 임시적 메모리이다. 컴퓨팅 디바이스(200) 상의 저장 컴포넌트들(248)은 휘발성 메모리로서 정보의 단기 저장을 위해 구성될 수 있고, 따라서 전원이 꺼지면 저장된 콘텐츠를 보유하지 않는다. 휘발성 메모리들의 예시들은 RAM(random access memory), DRAM(dynamic random access memory), SRAM(static random access memory) 및 당업계에서 공지된 기타 형태의 휘발성 메모리를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예시에서, 저장 컴포넌트들(248)은 하나 이상의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를 포함한다. 저장 컴포넌트들(248)은 휘발성 메모리보다 많은 양의 정보를 저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저장 컴포넌트들(248)은 비휘발성 메모리 공간으로서 정보의 장기 저장을 위해 구성될 수 있고 전원 켜짐/꺼짐 순환 이후에도 정보를 보유한다. 비휘발성 메모리의 예시들은 자기적 하드 디스크, 광학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플래시 메모리 또는 EPROM 또는 EEPROM의 형태를 포함한다. 저장 컴포넌트(248)는 디바이스 정보 저장소(228) 뿐만 아니라 모듈들(204 및 224)과 연관된 프로그램 명령어들 및/또는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애플리케이션 모듈(224)은 컴퓨팅 디바이스(200)에서 실행되는 모든 다양한 개별 애플리케이션 및 서비스를 나타낸다. 컴퓨팅 디바이스(200)의 사용자는 하나 이상의 애플리케이션 모듈(224)과 연관된 인터페이스(예를 들어,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와 인터렉션하여 컴퓨팅 디바이스(200)가 기능을 수행하게 할 수 있다. 애플리케이션 모듈(224)의 수많은 예가 존재할 수 있고, 디지털 자동차 키 애플리케이션, 스마트홈 애플리케이션, 피트니스 애플리케이션, 캘린더 애플리케이션, 퍼스널 어시스턴트 또는 예측 엔진, 검색 애플리케이션, 지도 또는 내비게이션 애플리케이션, 운송 서비스 애플리케이션(예를 들어, 버스 또는 기차 추적 애플리케이션), 소셜 미디어 애플리케이션, 게임 애플리케이션, 이메일 애플리케이션, 메시징 애플리케이션, 인터넷 브라우저 애플리케이션 또는 컴퓨팅 디바이스(200)에서 실행될 수 있는 임의의 모든 기타 애플리케이션을 포함할 수 있다.
도 2에서, 통신 모듈(204)은 UWB 컴포넌트(208)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240)에서 실행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통신 모듈(204)은 UWB 컴포넌트(208)가 광대역 레인징을 수행하는 빈도를 증가시키는 것, UWB 컴포넌트(208)가 광대역 레인징을 수행하는 빈도를 감소시키는 것 및/또는 UWB 컴포넌트(208)가 광대역 레인징을 수행하는 빈도를 설정하는 것을 포함하여, UWB 컴포넌트(208)가 광대역 레인징을 수행하는 빈도를 제어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에서 실행될 수 있다.
통신 모듈(204)은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240)에서 실행되어 컴퓨팅 디바이스(202)가 컴퓨팅 디바이스(202)의 사용자와 UWB 지원 디바이스 사이의 근접성을 정확하게 결정하는데 사용될 수 있으므로, 컴퓨팅 디바이스(202)에 페어링되고 동일한 사용자에 의해 사용되는 다른 컴퓨팅 디바이스가 초광대역 레인징 능력을 갖는지 여부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초하여 UWB 컴포넌트(208)가 초광대역 레인징을 수행하는 빈도를 변경할지 여부를 결정한다. 예를 들면, 클라이언트 디바이스(202)는 도 1의 컴퓨팅 디바이스(102)의 예이고, 통신 모듈(204)은 도 1의 컴퓨팅 디바이스(110)가 컴퓨팅 디바이스(102 및 110)의 사용자와 UWB 지원 디바이스의 근접성을 정확하게 결정하는데 사용될 수 있는지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UWB 컴포넌트(208)가 초광대역 레인징을 수행할 때마다, 컴퓨팅 디바이스(202)는 통신 모듈(204)이 컴퓨팅 디바이스(202)의 초광대역 범위 내의 하나 이상의 디바이스 및 컴퓨팅 디바이스(202)와 각각의 컴퓨팅 디바이스 사이의 거리를 결정하는데 사용할 수 있는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컴퓨팅 디바이스(202)의 초광대역 범위 내의 그러한 하나 이상의 디바이스는 IEEE 802.15.4 프로토콜과 같은 초광대역 프로토콜을 통해 컴퓨팅 디바이스(202)와 메시지를 교환할 수 있는 디바이스일 수 있다. 예를 들어, UWB 컴포넌트(208)는 하나 이상의 디바이스 각각과 타임스탬프 메시지를 교환할 수 있다.
메시지는 예를 들어 하나 이상의 디바이스 각각의 아이덴티티를 나타낼 수 있다. 통신 모듈(204)은 컴퓨팅 디바이스(202)의 초광대역 범위 내에 있는 디바이스 중 하나가 페어링된 디바이스(본원에서 " 페어링된 디바이스”)인지 여부를 결정하기 위해 UWB 컴포넌트(208)에 의해 수신된 메시지에서 표시된 하나 이상의 디바이스 각각의 아이덴티티를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통신 모듈(204)은 하나 이상의 디바이스 각각의 아이덴티티를 디바이스 정보 저장소(228)에 저장된 페어링된 디바이스의 아이덴티티와 비교할 수 있다. 통신 모듈(204)이 UWB 컴포넌트(208)의 초광대역 범위 내에 있는 하나 이상의 디바이스 중 어느 것도 페어링된 디바이스가 아니라고 결정하면, 통신 모듈(204)은 UWB 컴포넌트(208)가 초광대역 레인징을 수행하는 빈도를 변경하지 않을 수 있다.
통신 모듈(204)은 UWB 컴포넌트(208)와 UWB 컴포넌트(208)의 초광대역 범위 내의 하나 이상의 디바이스 각각 사이에서 교환된 메시지의 비행 시간을 사용하여 컴퓨팅 디바이스(202)와 하나 이상의 디바이스 각각과의 사이의 물리적 거리 및/또는 도달 각도를 결정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통신 모듈(204)이 UWB 컴포넌트(208)의 초광대역 범위 내의 하나 이상의 디바이스가 페어링된 디바이스를 포함한다고 결정하면, 통신 모듈(204)은 컴퓨팅 디바이스(202)와 페어링된 디바이스 사이의 거리를 결정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통신 모듈(204)은 페어링된 디바이스가 컴퓨팅 디바이스(202)에 근접한지를 결정할 수 있다. 통신 모듈(204)은 컴퓨팅 디바이스(202)와 페어링된 디바이스 사이의 거리가 근접 임계값 내에(예를 들어, 그 이하) 있는 경우 페어링된 디바이스가 컴퓨팅 디바이스(202)에 근접한 것으로 결정할 수 있다. 그러한 근접 임계값의 예는 1미터, 1/2미터, 20센티미터 등일 수 있다. 페어링된 디바이스가 컴퓨팅 디바이스(202)에 근접하지 않은 것으로 통신 모듈(204)이 결정하면, 통신 모듈(204)은 UWB 컴포넌트(208)가 초광대역 레인징을 수행하는 빈도를 변경하지 않을 수 있다.
통신 모듈(204)이 페어링된 디바이스가 컴퓨팅 디바이스(202)에 근접한 것으로 결정하면, 통신 모듈(204)은 페어링된 디바이스가 컴퓨팅 디바이스(202)의 사용자와 UWB 지원 디바이스(120)의 근접성을 정확하게 결정할 수 있는지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통신 모듈(204)은 하나 이상의 UWB 지원 디바이스의 특정 세트를 선택할 수 있고, 페어링된 디바이스가 컴퓨팅 디바이스(202)에 근접하다는 결정에 응답하여, 페어링된 디바이스가 통신 모듈(204)에 의해 선택된 하나 이상의 디바이스의 특정 세트와 초광대역 레인징을 수행할 수 있는지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일부 예에서, 하나 이상의 디바이스의 특정 세트는 초광대역 통신을 통해 컴퓨팅 디바이스(202) 및 페어링된 디바이스 둘 모두와 페어링된 모든 디바이스일 수 있다. 즉, 컴퓨팅 디바이스(102)는 페어링된 디바이스가 컴퓨팅 디바이스(202) 및 페어링된 디바이스 모두와 페어링된 모든 디바이스와 초광대역 통신을 통해 메시지를 송수신하기 위해 초광대역 레인징을 수행할 수 있는지를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디바이스 정보 저장소(228)는 초광대역 통신을 통해 컴퓨팅 디바이스(202) 및 페어링된 디바이스 모두와 페어링된 모든 디바이스의 아이덴티티를 저장할 수 있다. 컴퓨팅 디바이스(202)는 페어링된 디바이스로부터, 페어링된 디바이스에 의한 초광대역 레인징의 가장 최근 수행 동안 결정된 바와 같이, 페어링된 디바이스의 초광대역 범위 내에 있는 모든 디바이스의 아이덴티티의 표시를 수신할 수 있다. 따라서 컴퓨팅 디바이스(202)는 초광대역 통신을 통해 컴퓨팅 디바이스(202) 및 디바이스 정보 저장소(228)에 저장된 페어링된 디바이스 모두와 페어링된 모든 디바이스의 아이덴티티와 페어링된 디바이스의 초광대역 범위 내의 모든 디바이스의 ID를 비교하여, 페어링된 디바이스가 컴퓨팅 디바이스(202) 및 페어링된 디바이스 모두와 페어링된 모든 디바이스와 초광대역 통신을 통해 메시지를 송수신하기 위해 초광대역 레인징을 수행할 수 있는지 여부를 결정한다.
일부 예에서, 컴퓨팅 디바이스(202)는 초광대역 레인징 동안 컴퓨팅 디바이스(202)가 페어링된 디바이스와 통신할 때 페어링된 디바이스의 초광대역 범위 내에 있는 모든 디바이스의 아이덴티티를 수신할 수 있다. 일부 예에서, 컴퓨팅 디바이스(202)는 블루투스 로우 에너지 또는 Wi-Fi와 같은 초광대역 레인징이 아닌 통신 프로토콜을 사용하여 컴퓨팅 디바이스(202)가 페어링된 디바이스와 통신할 때 페어링된 디바이스의 초광대역 범위 내에 있는 모든 디바이스의 아이덴티티를 수신할 수 있다.
통신 모듈(204)이 페어링된 디바이스가 컴퓨팅 디바이스(202) 및 페어링된 디바이스 모두와 페어링된 모든 디바이스와 초광대역 통신을 통해 메시지를 송수신하기 위해 초광대역 레인징을 수행할 수 없다고 결정하면, 통신 모듈(204)은 페어링된 디바이스는 컴퓨팅 디바이스(202)의 사용자와 UWB 지원 디바이스의 근접성을 정확하게 결정할 수 없다고 결정하고, UWB 컴포넌트(208)가 초광대역 레인징을 수행하는 빈도를 변경하지 않을 수 있다. 통신 모듈(204)이 페어링된 디바이스가 컴퓨팅 디바이스(202) 및 페어링된 디바이스 모두와 페어링된 모든 디바이스와 초광대역 통신을 통해 메시지를 송수신하기 위해 초광대역 레인징을 수행할 수 있다고 결정하면, 통신 모듈(204)은 페어링된 디바이스는 컴퓨팅 디바이스(202)의 사용자와 UWB 지원 디바이스의 근접성을 정확하게 결정할 수 있다고 결정할 수 있다
일부 예에서, 하나 이상의 디바이스의 특정 세트는 UWB 컴포넌트(208)의 초광대역 범위 내에 있는 모든 디바이스일 수 있다. 즉, 컴퓨팅 디바이스(202)는 페어링된 디바이스가 UWB 컴포넌트(208)의 초광대역 범위 내의 모든 디바이스와 초광대역 통신을 통해 메시지를 송수신하기 위해 초광대역 레인징을 수행할 수 있는지를 결정할 수 있다.
따라서 컴퓨팅 디바이스(202)는 UWB 컴포넌트(208)에 의해 가장 최근의 초광대역 레인징에 의해 결정된 바와 같이, UWB 컴포넌트(208)의 초광대역 범위 내에 있는 모든 디바이스의 아이덴티티와 페어링된 디바이스의 초광대역 범위 내에 있는 모든 디바이스의 아이덴티티를 비교하여, 페어링된 디바이스가 현재 UWB 컴포넌트(208)의 초광대역 범위 내에 있는 모든 디바이스와 초광대역 통신을 통해 메시지를 송수신하기 위해 초광대역 레인징을 수행할 수 있는지 여부를 결정한다.
컴퓨팅 디바이스(202)이 페어링된 디바이스가 UWB 컴포넌트(208)의 초광대역 범위 내에 있는 모든 디바이스와 초광대역 통신을 통해 메시지를 송수신하기 위해 초광대역 레인징을 수행할 수 있다고 결정하면, 통신 모듈(204)은 페어링된 디바이스는 컴퓨팅 디바이스(202)의 사용자와 UWB 지원 디바이스의 근접성을 정확하게 결정할 수 없다고 결정하고, UWB 컴포넌트(208)가 초광대역 레인징을 수행하는 빈도를 변경하지 않을 수 있다. 통신 모듈(204)이 페어링된 디바이스가 UWB 컴포넌트(208)의 초광대역 범위 내에 있는 모든 디바이스와 초광대역 통신을 통해 메시지를 송수신하기 위해 초광대역 레인징을 수행할 수 있다고 결정하면, 통신 모듈(204)은 페어링된 디바이스는 컴퓨팅 디바이스(202)의 사용자와 UWB 지원 디바이스의 근접성을 정확하게 결정할 수 있다고 결정할 수 있다
통신 모듈(204)이 페어링된 디바이스가 컴퓨팅 디바이스(202)의 사용자와 UWB 지원 디바이스의 근접성을 정확하게 결정할 수 있다고 결정하면, 통신 모듈(204)은 UWB 컴포넌트(208)를 절전 모드로 설정할 수 있다. 일부 예에서, 통신 모듈(204)이 UWB 컴포넌트(208)를 절전 모드로 설정하는 것은 UWB 컴포넌트(208)가 초광대역 레인징을 수행하는 빈소를 감소시키는 것을 포함한다. 예를 들어, UWB 컴포넌트(208)가 5초에 한 번, 7초에 한 번 등의 빈도로 초광대역 레인징을 수행하는 경우, 통신 모듈(204)은 UWB 컴포넌트(108)가 초광대역 레인징을 30초에 한 번, 1분에 한 번 등으로 수행하는 빈도를 감소시킬 수 있다. UWB 컴포넌트(208)가 초광대역 레인징을 수행하는 빈도를 감소시킴으로써, 컴퓨팅 디바이스(202)는 일부 예에서 페어링된 디바이스보다 덜 빈번하게 초광대역 레인징을 수행할 수 있다.
UWB 컴포넌트(208)가 절전 모드로 설정되면, UWB(208)는 감소된 빈도로 초광대역 범위 내의 하나 이상의 UWB 지원 디바이스(120)와 메시지를 송수신하기 위해 주기적으로 초광대역 레인징을 계속 수행할 수 있다. UWB 컴포넌트(208)가 절전 모드에 있는 동안 주기적으로 초광대역 레인징을 수행하는 것의 일부로서, 통신 모듈(204)은 전술한 바와 같이 페어링된 디바이스가 컴퓨팅 디바이스(202)에 근접해 있는지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통신 모듈(204)이 페어링된 디바이스가 컴퓨팅 디바이스(202)에 더 이상 근접하지 않다고 결정하면, 통신 모듈(204)은 UWB 컴포넌트(208)를 일반 작동 모드로 설정하여 절전 모드를 종료할 수 있다. 일부 예에서, 통신 모듈(204)이 UWB 컴포넌트(208)를 일반 동작 모드로 설정하는 것은 UWB 컴포넌트(208)가 절전 모드에 있는 동안 초광대역 레인징을 수행한 빈도로부터 UWB 컴포넌트(208)가 초광대역 레인징을 수행하는 빈도를 증가시키는 것을 포함한다. 예를 들어, UWB 컴포넌트(208)가 절전 모드에서 30초에 한 번, 1분에 한 번 등의 빈도로 초광대역 레인징을 수행하는 경우, 통신 모듈(204)은 UWB 컴포넌트(208)가 초광대역 레인징을 5초에 한 번, 10초에 한 번 등으로 수행하는 빈도를 증가시킬 수 있다.
UWB 컴포넌트(208)가 절전 모드에 있는 동안, 통신 모듈(204)이 페어링된 디바이스가 컴퓨팅 디바이스(202)에 근접한 것으로 결정하면, 통신 모듈(204)은 전술한 바와 같이 페어링된 디바이스의 초광대역 레인징 능력이 컴퓨팅 디바이스(202)의 사용자와 UWB 지원 디바이스 사이의 근접성을 정확하게 결정하는데 사용될 수 있는지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컴퓨팅 디바이스가 페어링된 디바이스와 초광대역 레인징 능력이 컴퓨팅 디바이스(202)의 사용자와 UWB 지원 디바이스의 근접성을 정확하게 결정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고 결정하면, 통신 모듈(204)은 UWB 컴포넌트(208)가 절전 모드에 남아 있게 할 수 있다. 컴퓨팅 디바이스가 페어링된 디바이스와 초광대역 레인징 능력이 컴퓨팅 디바이스(202)의 사용자와 UWB 지원 디바이스의 근접성을 정확하게 결정하는데 사용될 수 없다고 결정하면, 통신 모듈(204)은 전술한 바와 같이 UWB 컴포넌트(208)를 일반 작동 모드로 설정할 수 있다.
일부 예에서, 통신 모듈(204)은 UWB 컴포넌트(208)가 초광대역 레인징을 수행하는 빈도를 변경하기 위해 추가적인 또는 대안적인 기법을 사용할 수 있다. 일부 예에서, 통신 모듈(204)은 컴퓨팅 디바이스(202)의 사용자에 의해 수행되는 물리적 활동을 인식하기 위해 활동 인식을 수행할 수 있고, UWB 컴포넌트(208)가 사용자에 의해 수행되는 물리적 활동에 기초하여 초광대역 레인징을 수행하는 빈도를 변경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통신 모듈(204)은 하나 이상의 센서 컴포넌트(214)에 의해 생성된 데이터를 사용하여 사용자가 움직이고 있는지(예를 들어, 걷고, 달리고, 차량에 타는 등) 또는 사용자가 움직이지 않는지(예를 들어, 앉아 있는지, 서 있는지 등)를 결정할 수 있다. 사용자가 움직이지 않으면 사용자가 UWB 지원 디바이스를 향해 움직이고 있는지 여부를 결정할 필요가 없을 수 있다. 이와 같이, 통신 모듈(204)이 사용자가 움직이지 않는다고 결정하면, 통신 모듈(204)은 UWB 컴포넌트(208)를 절전 모드로 설정할 수 있다. 유사하게, 통신 모듈(204)이 사용자가 움직이고 있다고 결정하면, 통신 모듈(204)은 UWB 컴포넌트(208)를 일반 작동 모드로 설정할 수 있다
도 3는 본 개시의 양태에 따라, 초광대역 최적화를 위한 예시적 기법을 도시하는 흐름도이다. 단지 예시의 목적으로, 도 1의 예시적 동작들은 도 1의 맥락 내에서 아래에 설명되며, 여기서 컴퓨팅 디바이스(102)는 컴퓨팅 디바이스(110)에 테더링될 수 있는 웨어러블 디바이스이다. 컴퓨팅 디바이스(102)가 웨어러블 디바이스인 경우, 컴퓨팅 디바이스(102)는 컴퓨팅 디바이스(102)의 사용자에게 착용되거나 그렇지 않으면 부착될 수 있고, 잠금 해제 상태일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컴퓨팅 디바이스(102)는 컴퓨팅 디바이스(102)가 컴퓨팅 디바이스(110)에 연결되어 있는지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302). 컴퓨팅 디바이스(102)가 컴퓨팅 디바이스(110)에 테더링되거나 그렇지 않으면 초광대역, 블루투스, 블루투스 로우 에너지에너지, Wi-Fi 같은 무선 통신을 통해 컴퓨팅 디바이스(110)에 통신적으로 연결된 경우 컴퓨팅 디바이스(102)는 컴퓨팅 디바이스(110)에 연결될 수 있다. 컴퓨팅 디바이스(102)가 컴퓨팅 디바이스(110)에 연결되어 있지 않다고 컴퓨팅 디바이스(102)가 결정하면, 컴퓨팅 디바이스(102)는 UWB 컴포넌트(108)를 통해 정상적으로 초광대역 레인징을 수행할 수 있다(312).
컴퓨팅 디바이스(102)가 컴퓨팅 디바이스(110)에 연결되어 있다고 컴퓨팅 디바이스(102)가 결정하면, 컴퓨팅 디바이스(102)는 UWB 컴포넌트(108)를 사용하여 UWB 지원 디바이스(120)와 주기적으로 초광대역 레인징을 수행하는 것의 일부로서, 컴퓨팅 디바이스(102 및 110) 사이의 거리를 결정하기 위해 주기적으로 컴퓨팅 디바이스(110)와 초광대역 레인징을 수행할 수 있다(304). 컴퓨팅 디바이스(102)는 컴퓨팅 디바이스(102)와 컴퓨팅 디바이스(110) 사이의 거리에 기초하여, 컴퓨팅 디바이스(102)가 컴퓨팅 디바이스(110)에 근접한지를 결정할 수 있다(306).
컴퓨팅 디바이스(102)가 컴퓨팅 디바이스(110)에 근접하지 않다고 컴퓨팅 디바이스(102)가 결정하면, 컴퓨팅 디바이스(102)는 UWB 컴포넌트(108)를 통해 정상적으로 초광대역 레인징을 수행할 수 있다(312). 컴퓨팅 디바이스(102)가 컴퓨팅 디바이스(110)에 근접한 것으로 컴퓨팅 디바이스가 결정하면, 컴퓨팅 디바이스(102)는 컴퓨팅 디바이스(110)가 초광대역 레인징을 수행할 때, 초광대역 통신을 통해, 컴퓨팅 디바이스(102 및 110) 모두와 페어링된 모든 UWB 지원 디바이스와 통신할 수 있는지 여부 또는 컴퓨팅 디바이스(110)가 초광대역 레인징을 수행할 때, 초광대역 통신을 통해, 컴퓨팅 디바이스(102)가 초광대역 통신을 통해 통신할 수 있는 모든 UWB 지원 디바이스와 통신할 수 있는지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308).
컴퓨팅 디바이스(110)가 초광대역 통신을 통해 컴퓨팅 디바이스(102 및 110) 모두와 페어링된 모든 UWB 지원 디바이스와 통신할 수 없고 컴퓨팅 디바이스(110)가 초광대역 통신을 통해 컴퓨팅 디바이스(102)가 초광대역 통신을 통해 통신할 수 있는 모든 UWB 지원 디바이스와 통신할 수 없다고 컴퓨팅 디바이스(102)가 결정하면, 컴퓨팅 디바이스(102)는 정상적으로 UWB 컴포넌트(108)를 통해 초광대역 레인징을 수행할 수 있다(312). 컴퓨팅 디바이스(110)가 초광대역 통신을 통해 컴퓨팅 디바이스(102 및 110) 모두와 페어링된 모든 UWB 지원 디바이스와 통신할 수 있다고 결정하거나 컴퓨팅 디바이스(110)가 초광대역을 통해 통신할 수 있거나, 컴퓨팅 디바이스(102)가 초광대역 통신을 통해 컴퓨팅 디바이스(102)가 초광대역 통신을 통해 통신할 수 있는 모든 UWB 지원 디바이스와 통신할 수 있다고 컴퓨팅 디바이스(102)가 결정하면, 컴퓨팅 디바이스(102)는 UWB 컴포넌트(108)를 절전 모드로 설정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UWB 컴포넌트(108)가 주기적으로 초광대역 레인징을 수행하는 빈도를 감소시킬 수 있다(310). 따라서 컴퓨팅 디바이스(102 및 110) 사이의 거리를 결정하기 위해 주기적으로 컴퓨팅 디바이스(110)와 초광대역 레인징을 수행하는 것을 포함하여, 컴퓨팅 디바이스(102)는 UWB 컴포넌트(108)를 사용하여 UWB 지원 디바이스(120)와 주기적으로 초광대역 레인징을 수행하기 위해 리턴할 수 있다(304).
도 4는 본 개시의 하나 이상의 양태에 따라, 초광대역 레인징을 수행하는 컴퓨팅 디바이스의 예시적 동작을 도시하는 흐름도이다. 단지 예시의 목적으로, 예시적 동작은 도 1의 컴퓨팅 디바이스(110)의 컨텍스트 내에서 아래에서 설명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컴퓨팅 디바이스(102)는 초광대역 레인징을 통해 도달각을 결정하거나 결정하지 않고, 제1 컴퓨팅 디바이스(102)가 제1 컴퓨팅 디바이스(102)와 페어링된 제2 컴퓨팅 디바이스(110)에 근접하다고 결정할 수 있다(402). 제1 컴퓨팅 디바이스(102)는 상기 제2 컴퓨팅 디바이스(110)가 하나 이상의 디바이스의 특정 세트로 초광대역 레인징을 수행할 수 있다고 결정할 수 있다(404). 제1 컴퓨팅 디바이스(102)는 상기 제1 컴퓨팅 디바이스(102)가 상기 제2 컴퓨팅 디바이스(110)에 근접하고 상기 제2 컴퓨팅 디바이스(110)가 하나 이상의 디바이스의 특정 세트로 초광대역 레인징을 수행할 수 있다는 결정에 응답하여, 상기 제1 컴퓨팅 디바이스(102)의 초광대역 컴포넌트(108)를 절전 모드로 설정할 수 있다(406).
상기 하나 이상의 디바이스의 특정 세트는 상기 제1 컴퓨팅 디바이스(102) 및 상기 제2 컴퓨팅 디바이스(110) 둘 모두와 페어링된 모든 초광대역 지원 디바이스를 포함한다. 상기 하나 이상의 디바이스의 특정 세트는 상기 제1 컴퓨팅 디바이스(102)가 초광대역 레인징을 수행할 수 있는 모든 초광대역 지원 디바이스를 포함한다.
일부 예시에서, 제1 컴퓨팅 디바이스(102)는 상기 초광대역 컴포넌트(108)를 절전 모드로 설정하는 것에 응답하여, 초광대역 레인징을 통해, 상기 제1 컴퓨팅 디바이스(102)가 더 이상 상기 제2 컴퓨팅 디바이스(110)에 근접하지 않음을 결정할 수 있다. 제1 컴퓨팅 디바이스(102)는 상기 제1 컴퓨팅 디바이스(102)가 더 이상 제2 컴퓨팅 디바이스(110)에 근접하지 않다는 결정에 응답하여, 상기 초광대역 컴포넌트(108)를 초광대역 레인징을 수행하기 위한 일반 작동 모드로 설정할 수 있다.
일부 예시에서, 제1 컴퓨팅 디바이스(102)는 상기 초광대역 컴포넌트를 절전 모드로 설정하는 것에 응답하여, 상기 제1 컴퓨팅 디바이스(102)에 의해, 초광대역 레인징을 통해, 상기 제1 컴퓨팅 디바이스(102)가 여전히 상기 제2 컴퓨팅 디바이스(110)에 근접하고, 상기 제2 컴퓨팅 디바이스(110)가 상기 하나 이상의 디바이스의 특정 세트로 초광대역 레인징을 수행할 수 없다고 결정할 수 있다. 제1 컴퓨팅 디바이스(102)는 상기 제2 컴퓨팅 디바이스(110)가 상기 하나 이상의 디바이스의 특정 세트로 초광대역 레인징을 수행할 수 없다는 결정에 응답하여, 상기 초광대역 컴포넌트(108)를 초광대역 레인징을 수행하기 위한 일반 작동 모드로 설정할 수 있다.
일부 예에서, 초광대역 컴포넌트(108)를 절전 모드로 설정하기 위해, 제1 컴퓨팅 디바이스(102)는 초광대역 컴포넌트(108)가 초광대역 레인징을 수행하는 빈도를 감소시킬 수 있다. 일부 예에서, 초광대역 컴포넌트가 일반 작동 모드로 설정하기 위해, 제1 컴퓨팅 디바이스(102)는 초광대역 컴포넌트가 초광대역 레인징을 수행하는 빈도를 증가시킬 수 있다.
일부 예에서, 제1 컴퓨팅 디바이스(102)가 제2 컴퓨팅 디바이스(110)에 근접하다고 결정하기 위해, 컴퓨팅 디바이스(102)는 초광대역 컴포넌트(108)를 사용하여, 제1 컴퓨팅 디바이스(102)와 제1 컴퓨팅 디바이스(102)의 초광대역 범위 내에 있는 하나 이상의 초광대역 지원 디바이스 각각 사이의 각각의 물리적 거리를 주기적으로 결정할 수 있다.
일부 예에서, 컴퓨팅 디바이스(102)는 제1 컴퓨팅 디바이스(102) 및 제2 컴퓨팅 디바이스(110)와 연관된 사용자에 의해 수행되고 있는 물리적 활동을 인식할 수 있다. 컴퓨팅 디바이스는 상기 제1 컴퓨팅 디바이스(102) 및 상기 제2 컴퓨팅 디바이스(110)와 연관된 사용자에 의해 수행되는 물리적 활동을 인식하는 것에 응답하여, 상기 초광대역 컴포넌트(108)가 초광대역 레인징을 수행하는 빈도를 변경할 수 있다.
일부 예에서, 제1 컴퓨팅 디바이스(102)는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포함하고 제2 컴퓨팅 디바이스는 스마트폰을 포함한다.
본 개시는 다음의 예를 포함한다.
예 1: 방법으로서, 제1 컴퓨팅 디바이스에 의해, 초광대역 레인징(ultra-wideband ranging)를 통해, 제1 컴퓨팅 디바이스가 상기 제1 컴퓨팅 디바이스와 페어링된 제2 컴퓨팅 디바이스에 근접한 것으로 결정하는 단계; 상기 제1 컴퓨팅 디바이스에 의해, 상기 제2 컴퓨팅 디바이스가 하나 이상의 디바이스의 특정 세트로 초광대역 레인징을 수행할 수 있다고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컴퓨팅 디바이스가 상기 제2 컴퓨팅 디바이스에 근접하고 상기 제2 컴퓨팅 디바이스가 하나 이상의 디바이스의 특정 세트로 초광대역 레인징을 수행할 수 있다는 결정에 응답하여, 상기 제1 컴퓨팅 디바이스에 의해, 상기 제1 컴퓨팅 디바이스의 초광대역 컴포넌트를 절전 모드로 설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예 2: 예 1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디바이스의 특정 세트는 상기 제1 컴퓨팅 디바이스 및 상기 제2 컴퓨팅 디바이스 둘 모두와 페어링된 모든 초광대역 지원 디바이스를 포함하는, 방법.
예 3: 예 1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디바이스의 특정 세트는 상기 제1 컴퓨팅 디바이스가 초광대역 레인징을 수행할 수 있는 모든 초광대역 지원 디바이스를 포함하는, 방법.
예 4: 예 1 내지 예 3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초광대역 컴포넌트를 절전 모드로 설정하는 것에 응답하여, 상기 제1 컴퓨팅 디바이스에 의해, 초광대역 레인징을 통해, 상기 제1 컴퓨팅 디바이스가 더 이상 상기 제2 컴퓨팅 디바이스에 근접하지 않음을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컴퓨팅 디바이스가 더 이상 제2 컴퓨팅 디바이스에 근접하지 않다는 결정에 응답하여, 상기 제1 컴퓨팅 디바이스에 의해, 상기 초광대역 컴포넌트를 초광대역 레인징을 수행하기 위한 정상 작동 모드로 설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예 5: 예 1 내지 예 3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초광대역 컴포넌트를 절전 모드로 설정하는 것에 응답하여, 상기 제1 컴퓨팅 디바이스에 의해, 초광대역 레인징을 통해, 상기 제1 컴퓨팅 디바이스가 여전히 상기 제2 컴퓨팅 디바이스에 근접하고, 상기 제2 컴퓨팅 디바이스가 상기 하나 이상의 디바이스의 특정 세트로 초광대역 레인징을 수행할 수 없다고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제2 컴퓨팅 디바이스가 상기 하나 이상의 디바이스의 특정 세트로 초광대역 레인징을 수행할 수 없다는 결정에 응답하여, 상기 제1 컴퓨팅 디바이스에 의해, 상기 초광대역 컴포넌트를 초광대역 레인징을 수행하기 위한 정상 작동 모드로 설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예 6: 예 1 내지 5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초광대역 컴포넌트를 절전 모드로 설정하는 단계는: 상기 제1 컴퓨팅 디바이스에 의해, 상기 초광대역 컴포넌트가 초광대역 레인징을 수행하는 빈도를 감소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법.
예 7: 예 4 내지 6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초광대역 컴포넌트를 정상 작동 모드로 설정하는 단계는: 상기 제1 컴퓨팅 디바이스에 의해, 상기 초광대역 컴포넌트가 초광대역 레인징을 수행하기 위해 수행하는 빈도를 증가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법.
예 8: 예 1 내지 7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컴퓨팅 디바이스가 상기 제2 컴퓨팅 디바이스에 근접한 것으로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제1 컴퓨팅 디바이스에 의해, 상기 초광대역 컴포넌트를 사용하여, 상기 제1 컴퓨팅 디바이스와 상기 제1 컴퓨팅 디바이스의 초광대역 범위 내에 있는 하나 이상의 초광대역 지원 디바이스 각각과의 사이의 각각의 물리적 거리를 주기적으로 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법.
예 9: 예 1 내지 예 8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컴퓨팅 디바이스에 의해, 상기 제1 컴퓨팅 디바이스 및 상기 제2 컴퓨팅 디바이스와 연관된 사용자에 의해 수행되는 물리적 활동을 인식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컴퓨팅 디바이스 및 상기 제2 컴퓨팅 디바이스와 연관된 사용자에 의해 수행되는 물리적 활동을 인식하는 것에 응답하여, 상기 제1 컴퓨팅 디바이스에 의해, 상기 초광대역 컴포넌트가 초광대역 레인징을 수행하는 빈도를 변경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법.
예 10: 예 1 내지 9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컴퓨팅 디바이스는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컴퓨팅 디바이스는 스마트폰을 포함하는, 방법.
예 11: 컴퓨팅 디바이스로서, 메모리; 초광대역 컴포넌트; 초광대역 통신 컴포넌트; 및 상기 메모리 및 상기 초광대역 컴포넌트에 통신적으로 연결된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는: 초광대역 레인징(ultra-wideband ranging)를 통해, 컴퓨팅 디바이스가 상기 컴퓨팅 디바이스와 페어링된 제2 컴퓨팅 디바이스에 근접한 것으로 결정하고; 상기 제2 컴퓨팅 디바이스가 하나 이상의 디바이스의 특정 세트로 초광대역 레인징을 수행할 수 있다고 결정하고; 그리고 상기 컴퓨팅 디바이스가 상기 제2 컴퓨팅 디바이스에 근접하고 상기 제2 컴퓨팅 디바이스가 하나 이상의 디바이스의 특정 세트로 초광대역 레인징을 수행할 수 있다는 결정에 응답하여, 상기 컴퓨팅 디바이스의 초광대역 컴포넌트를 절전 모드로 설정하도록 구성되는, 컴퓨팅 디바이스.
예 12: 예 11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디바이스의 특정 세트는 상기 컴퓨팅 디바이스 및 상기 제2 컴퓨팅 디바이스 둘 모두와 페어링된 모든 초광대역 지원 디바이스를 포함하는, 컴퓨팅 디바이스.
예 13: 예 11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디바이스의 특정 세트는 상기 컴퓨팅 디바이스가 초광대역 레인징을 수행할 수 있는 모든 초광대역 지원 디바이스를 포함하는, 컴퓨팅 디바이스.
예 14: 예 11 내지 13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는: 상기 초광대역 컴포넌트를 절전 모드로 설정하는 것에 응답하여, 초광대역 레인징을 통해, 상기 컴퓨팅 디바이스가 더 이상 상기 제2 컴퓨팅 디바이스에 근접하지 않음을 결정하고; 그리고 상기 컴퓨팅 디바이스가 더 이상 제2 컴퓨팅 디바이스에 근접하지 않다는 결정에 응답하여, 상기 초광대역 컴포넌트를 초광대역 레인징을 수행하기 위한 정상 작동 모드로 설정하도록 더 구성되는, 컴퓨팅 디바이스.
예 15: 예 11 내지 13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는: 상기 초광대역 컴포넌트를 절전 모드로 설정하는 것에 응답하여, 초광대역 레인징을 통해, 상기 컴퓨팅 디바이스가 여전히 상기 제2 컴퓨팅 디바이스에 근접하고, 상기 제2 컴퓨팅 디바이스가 상기 하나 이상의 디바이스의 특정 세트로 초광대역 레인징을 수행할 수 없다고 결정하고; 그리고 상기 제2 컴퓨팅 디바이스가 상기 하나 이상의 디바이스의 특정 세트로 초광대역 레인징을 수행할 수 없다는 결정에 응답하여, 상기 초광대역 컴포넌트를 초광대역 레인징을 수행하기 위한 정상 작동 모드로 설정하도록 더 구성되는, 컴퓨팅 디바이스.
예 16: 예 11 내지 15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초광대역 컴포넌트를 절전 모드로 설정하기 위해 상기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는: 상기 초광대역 컴포넌트가 초광대역 레인징을 수행하는 빈도를 감소시키도록 더 구성되는, 컴퓨팅 디바이스.
예 17: 예 14 내지 16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초광대역 컴포넌트를 정상 작동 모드로 설정하기 위해 상기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는: 상기 초광대역 컴포넌트가 초광대역 레인징을 수행하기 위해 수행하는 빈도를 증가시키도록 더 구성되는, 컴퓨팅 디바이스.
예 18: 예 11 내지 17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컴퓨팅 디바이스가 상기 제2 컴퓨팅 디바이스에 근접하다고 결정하기 위해, 상기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는: 상기 초광대역 컴포넌트를 사용하여, 상기 컴퓨팅 디바이스와 상기 컴퓨팅 디바이스의 초광대역 범위 내에 있는 하나 이상의 초광대역 지원 디바이스 각각과의 사이의 각각의 물리적 거리를 주기적으로 결정하도록 더 구성되는, 컴퓨팅 디바이스.
예 19: 예 11 내지 18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는: 상기 컴퓨팅 디바이스 및 상기 제2 컴퓨팅 디바이스와 연관된 사용자에 의해 수행되는 물리적 활동을 인식하고; 그리고 상기 컴퓨팅 디바이스 및 상기 제2 컴퓨팅 디바이스와 연관된 사용자에 의해 수행되는 물리적 활동을 인식하는 것에 응답하여, 상기 초광대역 컴포넌트가 초광대역 레인징을 수행하는 빈도를 변경하도록 더 구성되는, 컴퓨팅 디바이스.
예 20: 명령어가 저장된 비일시적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로서, 상기 명령어는 실행시 컴퓨팅 디바이스의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로 하여금: 초광대역 레인징(ultra-wideband ranging)를 통해, 컴퓨팅 디바이스가 상기 컴퓨팅 디바이스와 페어링된 제2 컴퓨팅 디바이스에 근접한 것으로 결정하게 하고; 상기 제2 컴퓨팅 디바이스가 하나 이상의 디바이스의 특정 세트로 초광대역 레인징을 수행할 수 있다고 결정하게 하고; 그리고 상기 컴퓨팅 디바이스가 상기 제2 컴퓨팅 디바이스에 근접하고 상기 제2 컴퓨팅 디바이스가 하나 이상의 디바이스의 특정 세트로 초광대역 레인징을 수행할 수 있다는 결정에 응답하여, 상기 컴퓨팅 디바이스의 초광대역 컴포넌트를 절전 모드로 설정하게 하는,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
하나 이상의 예시들에서, 기술된 기능들은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펌웨어 또는 그것들의 임의의 조합에서 구현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에서 구현되는 경우, 기능들은 하나 이상의 명령어들 또는 코드로서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에 저장되거나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를 통해 전송되고 하드웨어 기반 프로세싱 유닛에 의해 실행된다.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는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 또는 매체들을 포함할 수 있고, 이는 데이터 저장 매체와 같은 유형적 매체 또는 예를 들어 통신 프로토콜에 따라 한 곳에서 다른 곳으로 컴퓨터 프로그램의 전송을 지원하는 임의의 매체를 포함하는 통신 매체에 대응한다. 이 방식에서,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는 일반적으로 (1) 비일시적인 유형적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 또는 (2) 신호 또는 반송파와 같은 통신 매체에 대응할 수 있다. 데이터 저장 매체는 본 개시에서 기술된 기법들의 구현을 위해 명령어들, 코드 및/또는 데이터 구조들을 검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컴퓨터들 또는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들에 의해 액세스될 수 있는 임의의 사용가능한 매체일 수 있다.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은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제한이 아닌 예시로서, 그러한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는 RAM, ROM, EEPROM, CD-ROM 또는 기타 광학 디스크 스토리지, 자기 디스크 스토리지, 또는 기타 자기 저장 디바이스들, 플래시 메모리 또는 명령어들 또는 데이터 구조들의 형태로 원하는 프로그램 코드를 저장하는데 사용될 수 있고 컴퓨터에 의해 액세스될 수 있는 임의의 기타 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임의의 연결이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에 적절하게 명명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웹사이트, 서버 또는 동축 케이블, 광섬유 케이블, 꼬임쌍선, DSL 또는 적외선, 라디오 및 마이크로웨이브와 같은 무선 기술들을 사용하는 기타 원격 소스로부터 전송되는 경우, 동축 케이블, 광섬유 케이블, 꼬임쌍선, DSL 또는 적외선, 라디오 및 마이크로웨이브와 같은 무선 기술들은 매체의 정의에 포함된다. 그러나,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 및 데이터 저장 매체는 연결, 반송파, 신호 또는 다른 일시적인 매체를 포함하지 않으나, 대신에 비일시적인 유형적 저장 매체를 지칭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바와 같이, 디스크 및 디스크들은 컴팩트 디스크(CD), 레이저 디스크, 광학 디스크, DVD, 플로피 디스크 및 블루레이 디스크를 포함하며, 디스크들은 보통 데이터를 자기적으로 재생산하면서 디스크들은 데이터를 레이저로 광학적으로 재생산한다. 또한, 상기의 조합들은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의 범위 내에 포함되어야 한다.
명령어들은 하나 이상의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들(DSP), 범용 마이크로프로세서들, 주문형 집적회로들(ASIC), 필드 프로그램가능 논리 배열들(FPGA) 또는 기타 균등한 통합 또는 이산 논리 회로와 같은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들에 의해 실행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바와 같이, 용어 "프로세서"는 임의의 상기 구조 또는 본 명세서에 기술된 기법들의 구현에 적절한 임의의 기타 구조를 지칭할 수 있다. 추가로, 일부 양태에서, 본 명세서에 기술된 기능은 전용 하드웨어 및/또는 소프트웨어 모듈들 내에서 제공될 수 있다. 또한, 기법들은 하나 이상의 회로들 또는 논리 엘리먼트들에서 완전히 구현될 수 있다.
본 개시의 기법들은 무선 헤드셋, 집적 회로(IC) 또는 IC의 세트(예를 들어, 칩셋)를 포함하는 광범위한 디바이스들 또는 장치들에서 구현될 수 있다. 다양한 컴포넌트들, 모듈들 또는 유닛들이 개시된 기법들을 수행하도록 구성된 디바이스들의 기능적 양태들을 강조하기 위해 본 개시에서 기술되었지만, 상이한 하드웨어 유닛들에 의한 실현을 필수적으로 요구하지 않는다. 오히려, 상기 기술된 바와 같이, 다양한 유닛들이 적절한 소프트웨어 및/또는 펌웨어와 함께 하드웨어 유닛에서 조합되거나 상기 기술된 바와 같은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들을 포함하는 상호 동작적 하드웨어 유닛들의 집합에 의해 제공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본 명세서에 설명된 임의의 방법의 특정 동작 또는 이벤트는 다른 순서로 수행될 수 있고, 추가, 병합 또는 완전히 생략될 수 있다(예: 설명된 모든 동작 또는 이벤트가 방법의 실행에 반드시 필요한 것은 아님). 더욱이, 특정 실시예에서, 동작 또는 이벤트는 예를 들어 순차적이 아니라 멀티 스레드 프로세싱, 인터럽트 프로세싱, 또는 다중 프로세서를 통해 동시에 수행될 수 있다.
일부 예시에서,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는 비일시적 매체를 포함한다. 일부 예에서, "비일시적"이라는 용어는 저장 매체가 반송파 또는 전파된 신호에 수록되지 않음을 나타낸다. 특정 예시에서, 비일시적 저장 매체는 시간이 지남에 따라 (예를 들어, RAM 또는 캐시에) 변경될 수 있는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특정 예시가 디스플레이를 위해 다양한 정보를 출력하는 것으로 설명되지만, 본 개시의 기법은 본 개시의 기법에 따라 오디오, 홀로그램 또는 햅틱 형태와 같은 다른 형태로 이러한 정보를 출력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이 기술되었다. 따라서, 이들 및 다른 실시예들도 다음의 청구항들의 범위 내에 있다.

Claims (20)

  1. 방법으로서,
    제1 컴퓨팅 디바이스에 의해, 초광대역 레인징(ultra-wideband ranging)를 통해, 제1 컴퓨팅 디바이스가 상기 제1 컴퓨팅 디바이스와 페어링된 제2 컴퓨팅 디바이스에 근접한 것으로 결정하는 단계;
    상기 제1 컴퓨팅 디바이스에 의해, 상기 제2 컴퓨팅 디바이스가 하나 이상의 디바이스의 특정 세트로 초광대역 레인징을 수행할 수 있다고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컴퓨팅 디바이스가 상기 제2 컴퓨팅 디바이스에 근접하고 상기 제2 컴퓨팅 디바이스가 하나 이상의 디바이스의 특정 세트로 초광대역 레인징을 수행할 수 있다는 결정에 응답하여, 상기 제1 컴퓨팅 디바이스에 의해, 상기 제1 컴퓨팅 디바이스의 초광대역 컴포넌트를 절전 모드로 설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디바이스의 특정 세트는 상기 제1 컴퓨팅 디바이스 및 상기 제2 컴퓨팅 디바이스 둘 모두와 페어링된 모든 초광대역 지원 디바이스를 포함하는, 방법.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디바이스의 특정 세트는 상기 제1 컴퓨팅 디바이스가 초광대역 레인징을 수행할 수 있는 모든 초광대역 지원 디바이스를 포함하는, 방법.
  4. 청구항 1 내지 3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초광대역 컴포넌트를 절전 모드로 설정하는 것에 응답하여, 상기 제1 컴퓨팅 디바이스에 의해, 초광대역 레인징을 통해, 상기 제1 컴퓨팅 디바이스가 더 이상 상기 제2 컴퓨팅 디바이스에 근접하지 않음을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컴퓨팅 디바이스가 더 이상 제2 컴퓨팅 디바이스에 근접하지 않다는 결정에 응답하여, 상기 제1 컴퓨팅 디바이스에 의해, 상기 초광대역 컴포넌트를 초광대역 레인징을 수행하기 위한 일반 작동 모드로 설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5. 청구항 1 내지 3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초광대역 컴포넌트를 절전 모드로 설정하는 것에 응답하여, 상기 제1 컴퓨팅 디바이스에 의해, 초광대역 레인징을 통해, 상기 제1 컴퓨팅 디바이스가 여전히 상기 제2 컴퓨팅 디바이스에 근접하고, 상기 제2 컴퓨팅 디바이스가 상기 하나 이상의 디바이스의 특정 세트로 초광대역 레인징을 수행할 수 없다고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제2 컴퓨팅 디바이스가 상기 하나 이상의 디바이스의 특정 세트로 초광대역 레인징을 수행할 수 없다는 결정에 응답하여, 상기 제1 컴퓨팅 디바이스에 의해, 상기 초광대역 컴포넌트를 초광대역 레인징을 수행하기 위한 일반 작동 모드로 설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6. 청구항 1 내지 5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초광대역 컴포넌트를 절전 모드로 설정하는 단계는:
    상기 제1 컴퓨팅 디바이스에 의해, 상기 초광대역 컴포넌트가 초광대역 레인징을 수행하는 빈도를 감소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법.
  7. 청구항 4 또는 5에 있어서, 상기 초광대역 컴포넌트를 일반 작동 모드로 설정하는 단계는:
    상기 제1 컴퓨팅 디바이스에 의해, 상기 초광대역 컴포넌트가 초광대역 레인징을 수행하기 위해 수행하는 빈도를 증가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법.
  8. 청구항 1 내지 7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컴퓨팅 디바이스가 상기 제2 컴퓨팅 디바이스에 근접한 것으로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제1 컴퓨팅 디바이스에 의해, 상기 초광대역 컴포넌트를 사용하여, 상기 제1 컴퓨팅 디바이스와 상기 제1 컴퓨팅 디바이스의 초광대역 범위 내에 있는 하나 이상의 초광대역 지원 디바이스 각각과의 사이의 각각의 물리적 거리를 주기적으로 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법.
  9. 청구항 1 내지 8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컴퓨팅 디바이스에 의해, 상기 제1 컴퓨팅 디바이스 및 상기 제2 컴퓨팅 디바이스와 연관된 사용자에 의해 수행되는 물리적 활동을 인식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컴퓨팅 디바이스 및 상기 제2 컴퓨팅 디바이스와 연관된 사용자에 의해 수행되는 물리적 활동을 인식하는 것에 응답하여, 상기 제1 컴퓨팅 디바이스에 의해, 상기 초광대역 컴포넌트가 초광대역 레인징을 수행하는 빈도를 변경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법.
  10. 청구항 1 내지 9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컴퓨팅 디바이스는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컴퓨팅 디바이스는 스마트폰을 포함하는, 방법.
  11. 컴퓨팅 디바이스로서,
    메모리;
    초광대역 컴포넌트;
    초광대역 통신 컴포넌트; 및
    상기 메모리 및 상기 초광대역 컴포넌트에 통신적으로 연결된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는:
    초광대역 레인징(ultra-wideband ranging)를 통해, 컴퓨팅 디바이스가 상기 컴퓨팅 디바이스와 페어링된 제2 컴퓨팅 디바이스에 근접한 것으로 결정하고;
    상기 제2 컴퓨팅 디바이스가 하나 이상의 디바이스의 특정 세트로 초광대역 레인징을 수행할 수 있다고 결정하고; 그리고
    상기 컴퓨팅 디바이스가 상기 제2 컴퓨팅 디바이스에 근접하고 상기 제2 컴퓨팅 디바이스가 하나 이상의 디바이스의 특정 세트로 초광대역 레인징을 수행할 수 있다는 결정에 응답하여, 상기 컴퓨팅 디바이스의 초광대역 컴포넌트를 절전 모드로 설정하도록 구성되는, 컴퓨팅 디바이스.
  12.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디바이스의 특정 세트는 상기 컴퓨팅 디바이스 및 상기 제2 컴퓨팅 디바이스 둘 모두와 페어링된 모든 초광대역 지원 디바이스를 포함하는, 컴퓨팅 디바이스.
  13.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디바이스의 특정 세트는 상기 컴퓨팅 디바이스가 초광대역 레인징을 수행할 수 있는 모든 초광대역 지원 디바이스를 포함하는, 컴퓨팅 디바이스.
  14. 청구항 11 내지 13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는:
    상기 초광대역 컴포넌트를 절전 모드로 설정하는 것에 응답하여, 초광대역 레인징을 통해, 상기 컴퓨팅 디바이스가 더 이상 상기 제2 컴퓨팅 디바이스에 근접하지 않음을 결정하고; 그리고
    상기 컴퓨팅 디바이스가 더 이상 제2 컴퓨팅 디바이스에 근접하지 않다는 결정에 응답하여, 상기 초광대역 컴포넌트를 초광대역 레인징을 수행하기 위한 일반 작동 모드로 설정하도록 더 구성되는, 컴퓨팅 디바이스.
  15. 청구항 11 내지 13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는:
    상기 초광대역 컴포넌트를 절전 모드로 설정하는 것에 응답하여, 초광대역 레인징을 통해, 상기 컴퓨팅 디바이스가 여전히 상기 제2 컴퓨팅 디바이스에 근접하고, 상기 제2 컴퓨팅 디바이스가 상기 하나 이상의 디바이스의 특정 세트로 초광대역 레인징을 수행할 수 없다고 결정하고; 그리고
    상기 제2 컴퓨팅 디바이스가 상기 하나 이상의 디바이스의 특정 세트로 초광대역 레인징을 수행할 수 없다는 결정에 응답하여, 상기 초광대역 컴포넌트를 초광대역 레인징을 수행하기 위한 일반 작동 모드로 설정하도록 더 구성되는, 컴퓨팅 디바이스.
  16. 청구항 11 내지 15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초광대역 컴포넌트를 절전 모드로 설정하기 위해 상기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는:
    상기 초광대역 컴포넌트가 초광대역 레인징을 수행하는 빈도를 감소시키도록 더 구성되는, 컴퓨팅 디바이스.
  17. 청구항 14 및 15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초광대역 컴포넌트를 일반 작동 모드로 설정하기 위해 상기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는:
    상기 초광대역 컴포넌트가 초광대역 레인징을 수행하기 위해 수행하는 빈도를 증가시키도록 더 구성되는, 컴퓨팅 디바이스.
  18. 청구항 11 내지 17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컴퓨팅 디바이스가 상기 제2 컴퓨팅 디바이스에 근접하다고 결정하기 위해, 상기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는:
    상기 초광대역 컴포넌트를 사용하여, 상기 컴퓨팅 디바이스와 상기 컴퓨팅 디바이스의 초광대역 범위 내에 있는 하나 이상의 초광대역 지원 디바이스 각각과의 사이의 각각의 물리적 거리를 주기적으로 결정하도록 더 구성되는, 컴퓨팅 디바이스.
  19. 청구항 18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는:
    상기 컴퓨팅 디바이스 및 상기 제2 컴퓨팅 디바이스와 연관된 사용자에 의해 수행되는 물리적 활동을 인식하고; 그리고
    상기 컴퓨팅 디바이스 및 상기 제2 컴퓨팅 디바이스와 연관된 사용자에 의해 수행되는 물리적 활동을 인식하는 것에 응답하여, 상기 초광대역 컴포넌트가 초광대역 레인징을 수행하는 빈도를 변경하도록 더 구성되는, 컴퓨팅 디바이스.
  20. 명령어가 저장된 비일시적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로서, 상기 명령어는 실행시 컴퓨팅 디바이스의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로 하여금:
    초광대역 레인징(ultra-wideband ranging)를 통해, 컴퓨팅 디바이스가 상기 컴퓨팅 디바이스와 페어링된 제2 컴퓨팅 디바이스에 근접한 것으로 결정하게 하고;
    상기 제2 컴퓨팅 디바이스가 하나 이상의 디바이스의 특정 세트로 초광대역 레인징을 수행할 수 있다고 결정하게 하고; 그리고
    상기 컴퓨팅 디바이스가 상기 제2 컴퓨팅 디바이스에 근접하고 상기 제2 컴퓨팅 디바이스가 하나 이상의 디바이스의 특정 세트로 초광대역 레인징을 수행할 수 있다는 결정에 응답하여, 상기 컴퓨팅 디바이스의 초광대역 컴포넌트를 절전 모드로 설정하게 하는,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
KR1020227044318A 2022-01-20 2022-01-20 초-광대역 전력 사용 최적화 KR20230113691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US2022/013096 WO2023140847A1 (en) 2022-01-20 2022-01-20 Ultra-wideband power usage optimization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13691A true KR20230113691A (ko) 2023-08-01

Family

ID=804455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7044318A KR20230113691A (ko) 2022-01-20 2022-01-20 초-광대역 전력 사용 최적화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EP (1) EP4216614A1 (ko)
KR (1) KR20230113691A (ko)
CN (1) CN116803146A (ko)
WO (1) WO2023140847A1 (ko)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200272221A1 (en) * 2019-02-26 2020-08-27 Apple Inc. Multi-Interface Transponder Device - Power Managemen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3140847A1 (en) 2023-07-27
CN116803146A (zh) 2023-09-22
JP2024510860A (ja) 2024-03-12
EP4216614A1 (en) 2023-07-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574536B2 (en) Techniques for detecting sensor inputs on a wearable wireless device
US11856481B2 (en) Contextual information usage in systems that include accessory devices
KR102354275B1 (ko) 음성 인식 방법 및 장치, 그리고 저장 매체
JP6567768B2 (ja) 消費電力を重視したワイヤレス通信無線管理
US11636861B2 (en)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of operation thereof
US20210256979A1 (en) Voice Control Method, Wearable Device, and Terminal
WO2017206707A1 (en) Method for launching application and terminal
US10083042B2 (en) Mobile terminal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20170019127A (ko) 전자 장치 상태에 따른 제어 방법 및 그 장치
KR20150140021A (ko) 위치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US10897531B2 (en) Message obtaining method and apparatus
US11042621B2 (en) PPG authentication method and device
KR20150050732A (ko) 생체 정보를 이용한 인증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휴대형 전자장치
KR102324964B1 (ko) 외부 입력 장치의 입력을 처리하는 전자 장치 및 방법
KR20150123493A (ko) 입력 처리 방법 및 그 전자 장치
US9575538B2 (en) Mobile device
KR20170019806A (ko) 위치 정보 제공 방법 및 장치
WO2018222496A1 (en) State-based location monitoring
US20190154843A1 (en) Method for calculating location information and electronic device therefor
JP7498806B2 (ja) 超広帯域電力使用量最適化
KR20230113691A (ko) 초-광대역 전력 사용 최적화
JP7272694B2 (ja) 端末の電力消費を低減するための方法、および端末
US20230019110A1 (en) Method for controlling ambient sound and electronic device for the same
KR102559665B1 (ko) 실제 위치와 가상 위치의 매핑을 이용한 게임 서비스 제공 방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