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13253A - honeybee automatic separation machine for use of apiculture - Google Patents

honeybee automatic separation machine for use of apicultur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13253A
KR20230113253A KR1020230093534A KR20230093534A KR20230113253A KR 20230113253 A KR20230113253 A KR 20230113253A KR 1020230093534 A KR1020230093534 A KR 1020230093534A KR 20230093534 A KR20230093534 A KR 20230093534A KR 20230113253 A KR20230113253 A KR 2023011325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sumption
beehive
seating frame
sensor
fra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093534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이미옥
Original Assignee
이미옥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미옥 filed Critical 이미옥
Priority to KR102023009353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113253A/en
Publication of KR2023011325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13253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CARE OF BIRDS, FISHES, INSECTS;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59/00Honey collection
    • A01K59/02Devices for uncapping honeycombs

Abstract

본 발명은 벌통의 상부에 배치되어 수직상으로 승하강 되는 걸이구를 통해 상기 벌통 내에 배치된 소비를 걸어 인양하는 안착틀을 벌통에 대해 주행시킬 수 있도록 된 자동 탈봉기에 관한 것으로서, 안착틀에 장착되어 걸이구를 통해 인양되는 소비로부터 벌의 이탈을 촉진시키도록 소비를 타격하여 진동을 인가하는 털기 진동인가부를 더 구비한다. 이러한 자동 탈봉기에 의하면, 벌통에 수납된 소비를 인양시키는 과정에서 소비에 진동을 인가하여 탈봉 효율을 향사시킬 수 있고, 인양되는 소비에 잔류하는 벌의 벌통 내부로의 회귀공간을 충분히 확보하여 줌으로서 벌의 손상을 최소화 할 수 있게 지원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utomatic unpacking machine capable of driving a seating frame disposed in the beehive for lifting by hanging consumption placed in the beehive through a hook disposed at the top of the beehive and vertically ascending and descending with respect to the beehive, A whisking vibration applying unit is further provided for applying vibration by hitting the consumption so as to promote the escape of the bee from the consumption that is mounted and lifted through the hanger. According to this automatic desealing machine, in the process of lifting the consumables stored in the hive, vibration can be applied to the consumables to improve the efficiency of unsealing, and sufficient space for the bees remaining in the consumables to return to the inside of the hive is secured. As such, it helps to minimize damage to bees.

Description

자동 탈봉기{honeybee automatic separation machine for use of apiculture}Automatic separation machine {honeybee automatic separation machine for use of apiculture}

본 발명은 자동 탈봉기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는 벌통에 수납된 소비를 자동으로 파지하여 승강시키면서 벌을 손상없이 떨어낼 수 있도록 된 자동 탈봉기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utomatic bagging machine, and more particularly, to an automatic bagging machine capable of removing bees without damage while automatically gripping and lifting bees stored in a beehive.

일반적으로 양봉산업은 벌꿀과 밀랍을 생산하기 위해 꿀벌을 키우는 산업으로서, 꿀벌을 이용하여 자연에 존재하는 꽃에서 꿀과 화분을 수집하여 경제적 가치를 창출하는 특성 때문에, 유익한 밀원인 꽃을 찾아 산간오지 등으로 이동하면서 양봉을 하는 것이 일반적이다.In general, the beekeeping industry is an industry that raises bees to produce honey and beeswax. Because of the characteristics of creating economic value by using bees to collect honey and pollen from flowers that exist in nature, it is difficult to find flowers that are a beneficial source of honey and go to remote places in the mountains. It is common to beekeeping while moving on the back.

이러한 양봉산업의 이동성과 산간오지 등에서 이루어지는 지역적 특수성으로 인하여 그 기계화가 더디게 진행되며, 주로 양봉 전문가인 기술인력의 노동력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일반적이다.Due to the mobility of the beekeeping industry and its regional characteristics in remote mountainous areas, mechanization proceeds slowly, and it is common that the beekeeping industry is mainly composed of technical manpower who are experts in beekeeping.

종래에는 벌꿀을 수확하는 채밀작업을 수행하기 위해서 소비에 붙은 벌을 사람이 봉솔을 이용하여 일일이 떨어낸 후 채밀기 등을 이용하여 원심력에 의해 소비에서 꿀을 분리시키곤 하였다.Conventionally, in order to perform the honey harvesting work, a person used a brush to drop the bees attached to the consumption, and then separated the honey from the consumption by centrifugal force using a milling machine.

그러나, 이와 같이 사람의 노동력에 의해 소비에 붙은 벌을 일일이 떨어내기 위해서는 많은 노동력이 요구되는 단점이 있었다.However, there was a disadvantage in that a lot of labor was required to remove the punishment attached to consumption one by one by human labor.

이러한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본 출원인는 국내 등록특허 제10-1908051호를 통해 벌통에 수납된 소비를 자동으로 승강시키면서 탈봉작업이 이루어질 수 있는 자동 탈봉기를 제안한 바 있다.In order to improve this problem, the present applicant has proposed an automatic unsealing machine capable of performing a unsealing operation while automatically raising and lowering the consumption stored in the beehive through Korean Patent Registration No. 10-1908051.

한편, 자동탈봉기의 탈봉효율을 더욱 향상시키면서 벌의 손상을 최소화할 수 있는 구조가 꾸준히 요구되고 있다.On the other hand, there is a steady demand for a structure capable of minimizing damage to bees while further improving the sealing efficiency of the automatic unsealing machine.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요구사항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안된 것으로서, 벌통에 수납된 소비의 인양시 탈봉 효율을 향상시키면서 벌의 손상을 최소화시킬 수 있는 자동 탈봉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was invented to solve the above requirements, and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automatic unsealing machine capable of minimizing damage to bees while improving the unsealing efficiency when lifting the consumption stored in the beehive.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자동 탈봉기는 벌통의 상부에 배치되어 수직상으로 승하강 되는 걸이구를 통해 상기 벌통 내에 배치된 소비를 걸어 인양하는 안착틀을 벌통에 대해 주행시킬 수 있도록 된 자동 탈봉기에 있어서, 상기 안착틀에 장착되어 상기 걸이구를 통해 인양되는 상기 소비로부터 벌의 이탈을 촉진시키도록 상기 소비를 타격하여 진동을 인가하는 털기 진동인가부;를 더 구비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automatic debonding machin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disposed on the top of the beehive and through a hook that is vertically raised and lowered, the seat frame for lifting and hanging consumption disposed in the beehive can be driven with respect to the beehive. The automatic bagging machine is further provided with a hair-pulling vibration applying unit mounted on the seat frame and applying vibration by striking the bee to promote the escape of the bee from the bee lifted through the hanger.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상기 털기 진동 인가부는 상기 안착틀에 장착되어 인양되는 소비와 접촉될 수 있게 회전되는 봉솔의 회전봉에 상기 회전봉의 연장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을 따라 돌출되게 장착되어 상기 회전봉의 회전에 연동되어 상기 소비의 가장자리를 타격하는 타격추가 적용된다.According to one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whisking vibration applying unit is mounted on the seating frame and mounted to protrude along a direction crossing the extending direction of the rotating rod to the rotating rod of the rod brush that is rotated so as to come into contact with the consumption to be lifted, and the rotating rod In conjunction with the rotation of the strike weight that hits the edge of the consumption is applied.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상기 털기진동 인가부는 상기 안착틀에 장착되어 인양되는 소비에 대해 편심상태로 회전에 의해 접촉 및 분리되는 편심캠과, 상기 편심캠을 회전구동시키는 편심캠 구동부를 구비한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whisking vibration application unit is mounted on the seating frame and is in contact with and separated by rotation in an eccentric state with respect to the lifted consumption, and an eccentric cam drive unit for rotationally driving the eccentric cam provide

또한, 벌통 상부에 안착되어 상기 안착틀을 이동가능하게 지지하는 메인프레임과; 상기 안착틀에 설치되되 수직상으로 순환회전되는 순환체인에 장착된 적어도 하나의 상기 걸이구에 의해 상기 벌통에 수납된 소비를 걸어 수직상으로 인양하는 소비 인양부와; 상기 안착틀에 결합되어 상기 안착틀의 전진 방향에 대향되게 배치된 소비에 접촉될 수 있게 설치된 스토퍼와; 상기 스토퍼의 소비의 접촉 여부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안착틀의 주행을 제어하고, 상기 소비 인양부의 구동을 제어하는 제어 유니트;를 구비하고, 상기 소비 인양부는 상기 안착틀에 상호 이격되어 상방으로 연장된 제1 및 제2수직기둥과; 상기 순환체인을 순환회전시킬 수 있게 상기 제1 및 제2 수직기둥의 상부와 하부에 각각 설치된 회전기어와; 상기 순환체인이 순환될 수 있게 구동하는 인양 구동부와; 상기 걸이구를 통해 승강되는 소비에 접촉될 수 있게 상기 안착틀에 상호 이격되어 회전될 수 있게 설치된 봉솔;을 구비하고, 상기 걸이구가 상기 소비를 걸어 제1높이로 인양하는 위치를 검출하는 제1센서;를 구비하고, 상기 제어 유니트는 상기 스토퍼가 상기 소비에 접촉되면 상기 걸이구에 의해 승강되는 소비가 상기 제1높이에 도달한 제1신호가 수신되는 지를 판단하고, 상기 제1신호가 수신되면 인양되는 상기 소비에 잔류하는 벌의 벌통내부로의 회귀공간 확보를 위해 상기 안착틀을 전진방향과 반대가 되는 후방으로 설정된 후방이격거리만큼 후퇴하게 상기 안착틀을 이동시킨 후 상기 안착틀의 주행을 정지시키고, 소비가 걸이구로부터 상기 소비가 분리될 때까지 상기 안착틀의 정지상태를 유지한다.In addition, a main frame seated on the upper part of the beehive and movably supporting the seating frame; a consumer lifting unit that is installed on the seating frame and lifts the consumer stored in the beehive vertically by hanging the consumption stored in the beehive by at least one hook mounted on a circulation chain that circulates and rotates vertically; a stopper coupled to the seating frame and installed to come into contact with a consumer disposed opposite to the forward direction of the seating frame; and a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driving of the seating frame by using information on whether the stopper is in contact with the consumer and controlling driving of the consumer lifting unit, wherein the consumer lifting unit is spaced apart from the seating frame and extends upward. first and second vertical pillars; rotation gears respectively installed on upper and lower portions of the first and second vertical pillars to circulate and rotate the circulation chain; a lifting drive unit for driving the circulation chain to be circulated; A rod brush installed to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nd rotatably installed on the seating frame so that the consumer can come into contact with the consumer being raised and lowered through the hanger, and detecting a position where the hanger hangs the consumer and lifts the consumer to a first height. 1 sensor, wherein the control unit determines whether or not a first signal is received when the stopper moves up and down by the hanger reaches the first height when the stopper is in contact with the consumption, and the first signal is When received, the seating frame is moved backward by the rearward distance set in the opposite direction to the forward direction to secure the space for the bees to return to the inside of the beehive remaining in the lifted consumption, and then the seating frame The travel is stopped, and the seat frame remains stationary until the consumption is separated from the hanger.

또한, 상기 안착틀에 설치되어 인양되는 상기 소비가 분리 위치에 도달했는지를 검출하는 제2센서와; 인양된 상기 소비가 상기 걸이구로부터 분리되어 인출됐는지를 검출하도록 상기 제2센서보다 높은 위치에서 소비를 검출할 수 있게 배치된 제3센서;를 더 구비하고, 상기 제어유니트는 상기 제2센서로부타 소비가 도달된 제2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순환체인의 구동을 일시 정지하게 제어하고, 상기 제3센서에서 소비 검출된 제3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순환체인이 회전되면서 상기 안착틀이 전진방향으로 주행되게 제어한다.In addition, a second sensor installed on the seating frame and detecting whether the lifted consumption has reached a separation position; A third sensor arranged to detect consumption at a position higher than the second sensor to detect whether the lifted consumption is separated from the hook and drawn out, and the control unit is configured to detect consumption from the second sensor. When the second signal that consumption has reached is received, the driving of the circulation chain is controlled to temporarily stop, and when the third signal with consumption detected by the third sensor is received, the circulation chain is rotated while the seating frame travels in the forward direction. to control

또한, 상기 메인 프레임에 상기 안착틀이 종단위치에 도달했는지를 검출하는 제4센서;를 더 구비하고, 상기 제어유니트는 상기 제4센서로부터 상기 안착틀이 도달한 제4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안착틀의 주행을 정지시키고, 상기 순환체인의 회전을 정지시킨다.In addition, a fourth sensor for detecting whether the seating frame has reached an end position is further provided in the main frame, and the control unit receives a fourth signal indicating that the seating frame has reached the terminal position, and the control unit places the seating frame on the main frame. The running of the frame is stopped, and the rotation of the circulation chain is stopped.

본 발명에 따른 자동 탈봉기에 의하면, 벌통에 수납된 소비를 인양시키는 과정에서 소비에 진동을 인가하여 탈봉 효율을 향사시킬 수 있고, 인양되는 소비에 잔류하는 벌의 벌통 내부로의 회귀공간을 충분히 확보하여 줌으로서 벌의 손상을 최소화 할 수 있게 지원한다.According to the automatic sealing removal machin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process of lifting the beehive stored in the hive, vibration can be applied to the beehive to improve the efficiency of sealing, and the return space of the remaining bees to the inside of the hive is sufficiently provided. It helps to minimize damage to bees by securing them.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자동 탈봉기가 벌통에 장착된 상태를 나타내 보인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자동 탈봉기를 벌통으로 분리하고 일부 소비를 벌통으로부터 분리하여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1의 안착틀에 장착된 요소의 일부를 발췌하여 도시한 부분 발췌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1의 자동탈봉기의 제어계통을 나타내 보인 블록도이고,
도 5는 도 1의 벌통으로부터 소비가 인양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해 일부를 생략한 부분 발췌 측면도이고,
도 7 내지 도 7은 도 5의 벌통으로부터 소비가 인양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부분 발췌 측면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털기진동 인가부를 나타내 보인 부분발췌 측면도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n automatic bagging machin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mounted on a beehive;
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automatic desealing machine of FIG. 1 separated into beehives and some consumption separated from the beehives;
Figure 3 is a perspective view of a partial excerpt showing some of the elements mounted on the seating frame of Figure 1;
4 is a block diagram showing a control system of the automatic unsealing machine of FIG. 1;
5 is a partial excerpted side view with parts omitted to explain the process of lifting consumption from the hive of FIG. 1;
7 to 7 are partially excerpted side views for explaining the process of lifting consumption from the beehive of FIG. 5,
8 is a side view showing a partial excerpt showing a hair vibration application unit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자동 탈봉기를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Hereinafter, an automatic bagging machine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자동 탈봉기가 벌통에 장착된 상태를 나타내 보인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자동 탈봉기를 벌통으로 분리하고 일부 소비를 벌통으로부터 분리하여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1의 안착틀에 장착된 요소의 일부를 발췌하여 도시한 부분 발췌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1의 자동탈봉기의 제어계통을 나타내 보인 블록도이고, 도 5는 도 1의 벌통으로부터 소비가 인양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해 일부를 생략한 부분 발췌 측면도이고,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자동 탈봉기가 벌통에 장착된 상태를 나타내 보인 사시도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automatic unsealing machin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mounted on a beehive, and FIG. 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automatic unsealing machine of FIG. 1 separated into beehives and part consumption separated from the beehives, and FIG. 3 is a perspective view of a partial excerpt showing some of the elements mounted on the seating frame of FIG. 1, FIG. 4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control system of the automatic desealing machine of FIG. 1, and FIG. 5 is consumption from the hive of FIG. It is a side view of a partial excerpt with parts omitted to explain the process of lifting, and FIG.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automatic unsealing machin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mounted on a beehive.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자동 탈봉기(100)는 안착틀(110), 메인프레임(130), 소비 인양부(150), 스토퍼(155), 센서부(180) 및 제어유니트(190)를 구비한다.1 to 5, the automatic bagging machine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seating frame 110, a main frame 130, a consumption lifting part 150, a stopper 155, a sensor unit 180, and A control unit 190 is provided.

안착틀(110)은 벌통(10)의 상부에 안착된 메인프레임(130)에 이동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The seat frame 110 is movably installed on the main frame 130 seated on the upper part of the beehive 10.

여기서 벌통(10)은 소비(20)를 안착턱(12)에 지지시켜 수용할 수 있는 통상의 구조로 되어 있다. Here, the beehive 10 has a normal structure that can accommodate the consumption 20 by supporting it on the seating jaw 12.

또한, 소비(20)는 사각판형태로 형성된 소방부분(21)의 상단 양측에서 폭이 확장되는 방향으로 연장된 지지돌기(22)를 갖는 구조로 형성되어 있고, 벌통(10)의 안착턱(12)에 지지되어 상방으로 인출이 가능하게 다수개가 열을 지어 벌통(10)에 수납되어 있다.In addition, the consumption 20 is formed in a structure having support protrusions 22 extending in the direction in which the width extends from both sides of the upper end of the firefighting portion 21 formed in the form of a square plate, and the seating jaw of the beehive 10 ( 12), and a plurality of them are stored in the hive 10 in a row so that they can be drawn upward.

지지돌기(22)는 벌통(10)의 안착턱(12)에 안착된 상태에서 안착턱(12)의 폭보다 길게 형성되어 소비(20)의 나머지 부분이 안착턱(12) 하부로 연장되는 내부공간내까지 연장될 수 있게 형성되어 있다. The support protrusion 22 is formed longer than the width of the seating jaw 12 in a state in which it is seated on the seating jaw 12 of the beehive 10, so that the rest of the consumption 20 extends below the seating jaw 12. It is formed so that it can be extended into space.

또한, 소비(20)는 지지돌기(22)와 직교하는 방향으로 연장된 간격유지편(24)에 의해 인접된 소비(20)들과 소방부분(21)이 이격될 수 있게 되어 있다.In addition, the consumption 20 can be spaced apart from the adjacent consumption 20 and the fire fighting portion 21 by the spacer piece 24 extending in the direction orthogonal to the support protrusion 22.

안착틀(110)은 소비를 인양하기 위해 요구되는 인양 공간(114)이 중앙에 개방되게 형성된 사각틀 형태로 형성되어 있다.The seating frame 110 is formed in the form of a square frame formed so that the lifting space 114 required to lift the consumer is opened in the center.

안착틀(110)은 후술되는 메인프레임(130)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1 및 제2 베이스 바(121)(122)와 제1 및 제2 베이스 바(121)(122) 사이가 인양공간(114)이 되게 제1 및 제2베이스 바(121)(122) 외측에 결합된 함체부분(116)을 갖는 구조로 되어 있다.The seating frame 110 is a lifting space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base bars 121 and 122 and the first and second base bars 121 and 122 slidably coupled to the main frame 130 to be described later. (114) has a structure having a housing part 116 coupled to the outside of the first and second base bars 121 and 122.

여기서 제1 베이스바(121)와 제2 베이스 바(122) 사이의 이격거리는 벌통(10)의 소비(20)가 장착되는 폭 방향을 따르는 벌통(10)의 상단의 거치턱(13) 사이의 이격거리에 대응되게 적용된다.Here, the distance between the first base bar 121 and the second base bar 122 is the distance between the mounting jaws 13 at the top of the beehive 10 along the width direction in which the consumption 20 of the beehive 10 is mounted. It is applied corresponding to the separation distance.

함체부분(116)은 내부공간을 갖게 형성되어 후술되는 회전기어 구동용 제1모터(152)를 포함한 가동요소가 장착된다. 함체부분(116)은 상부 공간을 차폐함과 아울러 승강되는 소비(20)가 외부로 노출되게 상승을 지원할 수 있도록 함체부분(116)의 상단 양측 가장자리로부터 각각 회동가능하게 장착되어 상부 공간을 개폐하는 상부 덮개(116a)(116b)를 갖는 구조로 되어 있다. 상부덮개(116a)(116b)에는 후술되는 마감솔(173)이 장착되어 있다.The housing portion 116 is formed to have an inner space, and a movable element including a first motor 152 for driving a rotation gear to be described later is mounted. The enclosure portion 116 is rotatably mounted from both edges of the upper end of the enclosure portion 116 to open and close the upper space so as to shield the upper space and support the elevation of the consumer 20 being elevated to be exposed to the outside. It has a structure with upper covers 116a and 116b. A finishing brush 173 to be described later is mounted on the upper covers 116a and 116b.

한편, 안착틀(110)은 제1 및 제2슬라이딩 지지바(131)(132)를 따라 신축되면서 슬라이딩될 수 있게 결합된 신축바에 제1 및 제2베이스바(121)(122)의 저면이 결합된 구조로 되어 있고 상세구조는 국내 등록특허 제10-1908051호 개시되어 있어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On the other hand, the seat frame 110 is stretched along the first and second sliding support bars 131 and 132, and the lower surfaces of the first and second base bars 121 and 122 are coupled to the extension bar slidably. It has a combined structure and the detailed structure is disclosed in Korean Patent Registration No. 10-1908051, so a detailed description is omitted.

메인 프레임(130)은 안착틀(110)이 주행방향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될 수 있게 안착틀(110)을 지지하되 벌통(10)에 안착상태로 지지될 수 있게 형성되어 있다.The main frame 130 supports the seating frame 110 so that the seating frame 110 can be slidably moved along the driving direction, and is formed to be supported in the beehive 10 in a seated state.

메인 프레임(130)은 제1 및 제2슬라이딩 지지바(131)(132)와, 제1 및 제2종단바(133)(134), 제1 및 제2안착바(135)(136) 및 이송가이드바(138)를 구비한다.The main frame 130 includes first and second sliding support bars 131 and 132, first and second end bars 133 and 134, first and second seating bars 135 and 136, and A transfer guide bar 138 is provided.

제1 및 제2슬라이딩 지지바(131)(132)는 벌통(10)의 상단의 거치턱(13)에 각각 안착될 수 있는 이격거리로 상호 이격되어 안착틀(110)의 주행방향을 따라 연장되어 안착틀(110)이 슬라이딩 이동될 수 있게 지지한다. 제1 및 제2슬라이딩 지지바(131)(132)의 연장길이는 벌통(10)의 연장길이보다는 더 길게 연장되어 있다. The first and second sliding support bars 131 and 132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t a distance that can be seated on the mounting jaw 13 at the top of the beehive 10, and extend along the running direction of the seating frame 110. It is supported so that the seating frame 110 can be slidably moved. The extension length of the first and second sliding support bars 131 and 132 is longer than that of the beehive 10.

제1 및 제2종단바(133)(134)는 제1 및 제2슬라이딩 지지바(131)(132)의 양단에서 각각 결합되어 제1 및 제2 슬라이딩 지지바와(131)(132)의 사이에 사각 공간을 형성한다. 제1 및 제2종단바(133)(134)는 제1 및 제2 슬라이딩 지지바와(131)(132)의 이격거리보다 양측으로 더 길게 연장되어 손잡이로 사용할 수 있는 손잡이 부분을 갖게 형성되어 있다.The first and second end bars 133 and 134 are coupled at both ends of the first and second sliding support bars 131 and 132, respectively,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sliding support bars 131 and 132. form a square space in The first and second end bars 133 and 134 are extended to both sides longer than the distance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sliding support bars 131 and 132 and have a handle portion that can be used as a handle. .

제1 및 제2안착바(135)(136)는 제1 및 제2종단바(133)(134) 사이의 벌통(10)의 거치턱(130)에 안착될 수 있는 위치상에 제1 및 제2종단바(133)(134)와 나란하게 연장되어 제1 및 제2 슬라이딩 지지바와(131)(132) 결합되어 있다.The first and second seating bars 135 and 136 are located on a position where they can be seated on the mounting jaw 130 of the beehive 10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terminal bars 133 and 134. It extends parallel to the second end bars 133 and 134 and is coupled to the first and second sliding support bars 131 and 132.

이송가이드바(138)는 안착틀(110)의 이송을 가이드하기 위한 랙기어(195)가 표면에 형성되어 있고, 제1슬라이딩 지지바(131)와 나란하게 연장되어 제1 및 제2종단바(133)(134)와 결합되어 있다.The transfer guide bar 138 has a rack gear 195 for guiding the transfer of the seating frame 110 formed on the surface, and extends in parallel with the first sliding support bar 131 to first and second end bars. (133) is combined with (134).

소비 인양부(150)는 안착틀(110)에 설치되되 수직상으로 순환회전되는 순환체인(151)에 장착된 걸이구(153)에 의해 벌통(10)에 수납된 소비(20)의 지지돌기(22)를 걸어 수직상으로 인양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The consumer lifting unit 150 is a support protrusion of the consumer 20 stored in the hive 10 by a hook 153 installed on the seating frame 110 and mounted on a circulation chain 151 that is circulated and rotated vertically. It is designed to be lifted vertically by hanging (22).

소비 인양부(150)는 제1 및 제2수직기둥(161)(162)과, 회전기어(163)와, 제1모터(152)와, 봉솔(171)을 구비한다.The consumer lifting unit 150 includes first and second vertical pillars 161 and 162, a rotating gear 163, a first motor 152, and a brush 171.

제1 및 제2 수직기둥(161)(162)은 안착틀(110)에 상호 이격되어 상방으로 연장되어 있다.The first and second vertical pillars 161 and 162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on the seating frame 110 and extend upward.

도시된 예에서 제1 및 제2수직기둥(161)(162)은 제1 및 제2베이스바(121)(122)로부터 상방으로 연장되게 설치되어 있다.In the illustrated example, the first and second vertical pillars 161 and 162 are installed to extend upward from the first and second base bars 121 and 122 .

회전기어(163)는 순환체인(151)을 순환회전시킬 수 있게 제1 및 제2 수직기둥(161)(162)의 상부와 하부에 각각 설치되어 있다.Rotating gears 163 are installed at upper and lower portions of the first and second vertical pillars 161 and 162 so as to circulate and rotate the circulation chain 151 .

걸이구(153)는 순환체인(151)에 결합되어 벌통(10)에 수납된 소비(20)를 걸어 인양할 수 있도록 "ㄴ"자 형상의 갈고리 형태로 형성되어 있다. 도시된 예에선 순환체인(151)의 연장방향을 따라 이분할 하는 위치에 2개의 걸이구(153)가 장착되어 있다. The hanger 153 is coupled to the circulation chain 151 and is formed in the form of a "B"-shaped hook so that the consumption 20 stored in the hive 10 can be hung and lifted. In the illustrated example, two hooks 153 are mounted at positions divided into two along the extending direction of the circulation chain 151.

제1 및 제2 수직기둥(161)(162)의 하부에 설치된 회전기어(163)는 회전축(164)에 의해 상호 접속되어 있다. 제1 및 제2 수직기둥(161)(162)의 상부에 설치된 회전기어(163)는 제1 및 제2 수직기둥(161)(162)의 중간에서 상호 연결된 가로바(166)로부터 각각 상방으로 연장되어 제1 및 제2 수직기둥(161)(162)과 대향되게 배치된 제1 및 제2보조기둥(167)(168)을 통해 각각 회전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The rotation gears 163 installed below the first and second vertical pillars 161 and 162 are interconnected by a rotation shaft 164. The rotation gear 163 installed on the top of the first and second vertical pillars 161 and 162 moves upward from the horizontal bar 166 connected to each other in the middle of the first and second vertical pillars 161 and 162, respectively. It is rotatably supported through first and second auxiliary pillars 167 and 168 extending and disposed opposite to the first and second vertical pillars 161 and 162 .

제1모터(152)는 인양구동부로서 적용된 것으로서, 함체부분(116)에 내장되게 장착되어 회전축(164)을 회전시켜 회전축(164)에 결합된 회전기어(163)를 통해 순환체인(151)을 순환시킨다.The first motor 152 is applied as a lifting driving unit, and is mounted to be built into the enclosure part 116 to rotate the rotational shaft 164 to rotate the circulation chain 151 through the rotational gear 163 coupled to the rotational shaft 164. circulate

도시된 예와 다르게 걸이구(153)는 순환되지 않고 소비(20)를 걸수 있는 위치에서 소비(20)를 작업자가 분리하는 분리위치까지 수직상으로 승하강 되게 소비인양부가 구축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Unlike the illustrated example, the hanger 153 is not circulated, and the consumer lifting unit can be built so that it is vertically raised and lowered from a position where the consumption 20 can be hung to a separation position where the operator separates the consumption 20. am.

봉솔(171)은 걸이구(153)를 통해 승강되는 소비(20)에 접촉될 수 있게 안착틀(110)에 상호 이격되어 회전될 수 있게 설치되어 있다. 봉솔(171)은 회전봉(171a)과 회전봉(171a)에 연장방향을 따라 나선형태로 결합된 나선솔(171b)을 갖는 구조로 되어 있다.The bong brush 171 is installed to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nd rotatable to the seating frame 110 so as to be in contact with the consumer 20 that is lifted through the hook 153. The brush 171 has a structure having a rotating rod 171a and a spiral brush 171b coupled to the rotating rod 171a in a spiral shape along the extension direction.

참조부호 175는 봉솔(171) 회전 구동용 제2모터이다.Reference numeral 175 is a second motor for driving the rod brush 171 to rotate.

쌍을 이루는 봉솔(171)은 제2모터(175)에 의해 상호 회전될 수 있게 하나의 봉솔(171)을 회전시키는 제2모터(175)의 구동축에 장착된 구동기어(176)와 구동기어(176)에 치합되게 마련된 종동기어(177)의 종동 회전축에 나머지 하나의 봉솔(171)이 연동되어 회전되게 결합된 구조로 되어 있다.The pair of brushes 171 are coupled to a drive gear 176 and a drive gear mounted on the drive shaft of the second motor 175 that rotates one brush 171 so that they can be mutually rotated by the second motor 175. 176) has a structure in which the other rod brush 171 is coupled to rotate in conjunction with the driven rotation shaft of the driven gear 177 provided to be engaged.

도시된 예에서는 제1 및 제2베이스바(121)(121)와 나란하게 연장되어 제1 및 제2 수직기둥(161)(162)에 결합된 수평바(169)에 각각 봉솔(171)이 회전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In the illustrated example, the first and second base bars 121 and 121 extend in parallel and the horizontal bars 169 coupled to the first and second vertical pillars 161 and 162 have brushes 171, respectively. It is installed rotatably.

마감솔(173)은 함체부분(116)의 상부 공간을 차폐함과 아울러 봉솔(171)을 거쳐 걸이구(153)에 의해 승강되는 소비(20)가 외부로 노출되게 상승을 지원할 수 있도록 함체부분(116)의 상부 덮개(116a)(116b)의 봉솔(171) 연장방향과 나란한 가장자리를 따라 연장되게 결합되어 있다.The finishing brush 173 shields the upper space of the housing part 116 and supports the lifting of the consumption 20 lifted by the hook 153 through the brush 171 to be exposed to the outside. It is coupled to extend along the edge parallel to the extension direction of the brush 171 of the upper cover (116a) (116b) of (116).

상호 대향되게 배치되는 마감솔(173)은 상호 일부가 중첩되게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소비(20)가 간섭되어 상승시 휘어지면서 소비(20)의 상승이 허용되게 되어 있다. It is preferable that the finishing brushes 173 disposed to face each other are disposed so that a part of each other overlaps, and the consumption 20 is bent when rising due to interference, allowing the consumption 20 to rise.

스토퍼(155)는 안착틀(110)에 결합되어 안착틀(110)의 이동방향에 대향되게 배치된 소비(20)의 상단에 접촉되어 안착틀(110)의 주행을 일시적으로 저지시킬 수 있도록 되어 있다.The stopper 155 is coupled to the seating frame 110 and contacts the upper end of the consumer 20 disposed opposite to the moving direction of the seating frame 110 to temporarily block the driving of the seating frame 110. there is.

스토퍼(155)는 제1 및 제2베이스바(121)(122)를 가로질러 연결된 횡단바에서 주행방향을 따라 전방으로 경사져 연장되게 설치되어 있다.The stopper 155 is installed to obliquely extend forward along the driving direction from the crossbar connected across the first and second base bars 121 and 122.

털기진동 인가부(140)는 안착틀(110)에 장착되어 걸이구(153)를 통해 인양되는 소비(20)로부터 벌의 이탈을 촉진시키도록 인양 중인 소비(20)를 타격하여 진동을 인가한다.The whisking vibration application unit 140 is mounted on the seating frame 110 and applies vibration by hitting the consumption 20 being lifted to promote the separation of the bee from the consumption 20 being lifted through the hook 153 .

털기 진동인가부(140)는 봉솔(171)의 회전봉(171a)에 장착된 브라켓(142)을 통해 회전봉(171a)의 연장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을 따라 돌출되게 장착되어 회전봉(171a)의 회전에 연동되어 소비(20)의 틀을 이루는 가장자리를 타격하는 타격추(146)로 형성되어 있다. 참조부호 143은 타격추(146)를 브라켓(142)에 결합부재이다. 타격추(145)의 봉솔(171)과의 결합구조는 도시된 예와 다르게 밴드로 결합하는 방식 등 다양하게 적용될 수 있다.The whisking vibration applying unit 140 is mounted to protrude along the direction intersecting the extension direction of the rotating rod 171a through the bracket 142 mounted on the rotating rod 171a of the rod brush 171 to rotate the rotating rod 171a. It is formed of a striking weight 146 that interlocks and strikes the edge forming the frame of the consumption 20. Reference numeral 143 denotes a coupling member between the striking weight 146 and the bracket 142. The coupling structure of the strike weight 145 and the bong brush 171 may be applied in various ways, such as a method of coupling with a band differently from the illustrated example.

이러한 구조에 의하면 봉솔(171)이 1회 회전시 마다 한 번씩 타격추(146)가 소비를 타격함으로써 소비(20)로부터 벌의 분리 효율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According to this structure, the batting weight 146 strikes the consumption once for each rotation of the bong brush 171, thereby further improving the separation efficiency of the bee from the consumption 20.

털기 진동인가부(140)는 도시된 예와 다르게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안착틀(110)에 장착되어 인양되는 소비(20)에 대해 편심상태로 회전에 의해 접촉 및 분리되는 편심캠(147)이 적용되어 있다. 또한, 편심캠(147)을 회전구동시키는 편심캠 구동부로서 편심캠(147)이 외측에서 장착되는 회전봉(171a)이 적용되어 있다. 도시된 예와 다르게 편심캠 구동부는 별도의 편심캠(147)을 회전구동하는 편심용 모터(미도시)를 적용하여 편심캠(147)이 편심상태로 회전되면서 간헐적으로 소비(20)를 접촉하여 진동을 인가할 수 있도록 구축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Unlike the illustrated example, the brushing vibration applying unit 140, as shown in FIG. 8, is mounted on the mounting frame 110 and is in contact with and separated from the consumer 20 by rotation in an eccentric state (147). ) is applied. In addition, as an eccentric cam driver for rotationally driving the eccentric cam 147, a rotating rod 171a to which the eccentric cam 147 is mounted from the outside is applied. Unlike the illustrated example, the eccentric cam drive unit applies an eccentric motor (not shown) for rotationally driving a separate eccentric cam 147 so that the eccentric cam 147 rotates in an eccentric state and intermittently contacts the consumption 20 Of course, it can be built to apply vibration.

센서부(180)는 소비 인양 및 안착틀(110)의 이송제어에 필요한 센싱정보를 얻기 위해 적용되어 있고, 제1 내지 제4센서(181)(182)(183)(184) 및 스토퍼접촉검출부(186)를 구비한다. The sensor unit 180 is applied to obtain sensing information necessary for lifting consumption and transport control of the seating frame 110, and the first to fourth sensors 181, 182, 183, and 184 and the stopper contact detection unit (186).

제1센서(181)는 걸이구(153)가 소비(20)를 걸어 제1높이로 인양하는 위치를 검출하기 위해 적용된 것으로 하나의 걸이구(153)가 소비(20)를 제1높이로 인양하였을 때 소비(20)가 로딩되지 않은 나머지 하나의 걸이구(153)를 검출하는 위치에 배치되어 걸이구(153) 검출에 대응되는 제1신호를 출력한다. 제1센서(181)는 근접센서, 광을 출사하고 반사된 광의 유뮤를 검출하는 포토 인터럽터 등 공지된 다양한 센서가 적용될 수 있다.The first sensor 181 is applied to detect the position where the hook 153 hangs the consumption 20 and lifts it to the first height, and one hook 153 lifts the consumption 20 to the first height. When this is done, the consumption 20 is disposed at a position to detect the remaining unloaded hanger 153 and outputs a first signal corresponding to the detection of the hanger 153. As the first sensor 181, a variety of well-known sensors such as a proximity sensor, a photo interrupter that emits light and detects the presence or absence of reflected light may be applied.

여기서, 제1높이는 걸이구(153)로 소비(20)를 걸어 순환체인(151)의 수직상의 연장부분의 초입 위치에 대응되게 적절하게 적용하면 된다. Here, the first height may be appropriately applied to correspond to the entry position of the vertical extension of the circulation chain 151 by hanging the consumption 20 with the hanger 153.

제2센서(182)는 안착틀(110)에 설치되어 인양되는 소비(20)가 분리 위치에 도달했는지를 검출하고, 검출되면 제2신호를 출력한다. 제2센서(182)는 가로바(166)로부터 상방으로 연장되며 전방이 개방된 센싱하우징(180a)에 소비 분리위치 검출에 대응되는 높이에 장착되어 있다. 분리위치는 소비(20)가 함체부분(116) 외부로 노출되게 상승하여 작업자가 인출이 가능한 적절한 위치로 적용하면 된다.The second sensor 182 is installed on the seating frame 110 and detects whether the lifted consumption 20 has reached the separation position, and outputs a second signal when detected. The second sensor 182 extends upward from the horizontal bar 166 and is mounted on the sensing housing 180a, the front of which is open, at a height corresponding to the detection of the consumption separation position. The separation position is raised so that the consumption 20 is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housing part 116 and is applied to an appropriate position where the operator can withdraw it.

제3센서(183)는 인양된 소비(20)가 걸이구(153)로부터 작업자에 의해 분리되어 인출됐는지를 검출하도록 제2센서(182)보다 높은 위치에서 소비(20)를 검출할 수 있게 센싱 하우징(180a)에 배치되게 장착되어 있다. 제3센서(183)는 소비(20) 검출시 제3신호를 출력한다. The third sensor 183 is a sensing housing capable of detecting the consumption 20 at a position higher than the second sensor 182 to detect whether the lifted consumption 20 is separated from the hanger 153 and pulled out by the operator. It is mounted so as to be disposed at (180a). The third sensor 183 outputs a third signal when consumption 20 is detected.

제4센서(184)는 메인 프레임(130)에 안착틀(110)이 종단위치에 도달했는지를 검출하도록 안착틀(110)의 함체부분(116) 저면에 장착되어 메인 프레임(130)의 제1종단바(133)의 손잡이 부분에 도달하였는지를 검출하도록 되어 있다. 여기서 종단위치는 벌통(10)의 소비를 모두 인양한 위치가 적용될 수 있다.The fourth sensor 184 is mount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housing part 116 of the main frame 130 to detect whether the seating frame 110 has reached the terminal position, and the first sensor 184 of the main frame 130 It is designed to detect whether or not the end bar 133 has reached the handle. Here, the terminal unit may be a position where all consumption of the beehive 10 is lifted.

여기서, 제1 내지 제4센서(182 내지 184)도 근접센서, 광을 출사하고 반사된 광의 유뮤를 검출하는 포토 인터럽터 등 공지된 다양한 센서가 적용될 수 있다.Here, the first to fourth sensors 182 to 184 may also be a variety of well-known sensors such as a proximity sensor, a photo interrupter that emits light and detects the presence or absence of reflected light.

스토퍼 접촉검출부(186)는 스토퍼(155)가 소비에 접촉됐는지를 검출하기 위해 적용된 것으로서, 일 예로서, 안착틀(110)을 주행하는 제3모터(195)에 흐르는 부하전류를 검출하여 제어부(193)에 제공하거나 부하전류를 검출하고, 설정된 기준전류 이상이 되면 접촉신호를 제어부(193)에 출력하도록 구축될 수 있다.The stopper contact detection unit 186 is applied to detect whether the stopper 155 is in contact with the consumption. As an example, the control unit 193 detects a load current flowing in the third motor 195 traveling on the seating frame 110. ) or detects the load current, and outputs a contact signal to the control unit 193 when it exceeds a set reference current.

제어유니트(190)는 스토퍼(155)의 접촉여부를 포함한 센서부(180)의 센싱정보를 이용하여 안착틀(110)의 주행을 제어하고, 소비 인양부(150)의 구동을 제어한다.The control unit 190 controls the driving of the seat frame 110 by using the sensing information of the sensor unit 180, including whether or not the stopper 155 is in contact, and controls the driving of the consumer lifting unit 150.

제어유니트(190)는 조작부(191), 제어부(193), 제3모터(197), 피니언기어(198)를 구비한다.The control unit 190 includes a control unit 191, a control unit 193, a third motor 197, and a pinion gear 198.

조작부(191)는 소비 인양을 지시하는 작동키, 작동을 중지하는 중지키 등 지원되는 기능을 설정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The control unit 191 is capable of setting supported functions such as an activation key for instructing consumption lifting and a stop key for stopping operation.

제3모터(197)는 안착틀(110)의 함체부분(116) 내에 장착되어 있고, 제어부(193)에 제어되어 피니언기어(198)를 정역 회전구동시킨다.The third motor 197 is mounted in the housing portion 116 of the seating frame 110 and is controlled by the control unit 193 to drive the pinion gear 198 forward and reverse rotation.

피니언 기어(198)는 안착틀(110)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며 이송가이드바(138)에 형성된 랙기어(195)와 치합되어 있다. The pinion gear 198 is rotatably installed on the seat frame 110 and meshes with the rack gear 195 formed on the transfer guide bar 138.

제어부(193)는 작동키가 조작되어 작동지시신호가 수신되면 소비(20)가 인양되게 작동을 수행하는 소비인양모드를 수행한다.The control unit 193 performs a consumption lifting mode in which the consumption 20 is lifted when the operating key is operated and an operation instruction signal is received.

제어부(193)는 소비인양모드시 안착틀(110)이 주행방향을 따라 전진되게 차제3모터(197)가 정회전되게 제어하고, 순환체인(163) 및 봉솔(171)이 회전되게 제1 및 제2모터(152)(175)를 제어한다.The control unit 193 controls the vehicle third motor 197 to rotate forward so that the seat frame 110 moves forward along the driving direction in the consumption lifting mode, and the first and second motors 197 rotate the circulation chain 163 and the brush brush 171. The second motor 152 (175) is controlled.

제어부(193)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토퍼 접촉검출부(186)로부터 스토퍼(155)가 소비(20)에 접촉된 신호가 수신되면, 제1센서(181)로부터 걸이구(153)에 의해 승강되는 소비가 제1높이에 도달한 제1신호가 수신되는 지를 판단한다. 여기서, 제어부(193)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토퍼 접촉검출부(186)로부터 스토퍼(155)가 소비(20)에 접촉된 신호가 수신되면, 제3모터(197)의 가동을 일시 중지시키도록 구축될 수 있다. 이와는 다르게 제1신호 수신시까지 제3모터(197)의 가동을 유지하도록 할 수 있으나, 제3모터(197)에 공급된 가동전류에도 불구하고 스토퍼(155)에 의해 추가적인 전진은 이루어지지 않는다.As shown in FIG. 5, the control unit 193 receives a signal in which the stopper 155 contacts the consumption 20 from the stopper contact detection unit 186, by the hook 153 from the first sensor 181. It is determined whether or not a first signal in which the rising and falling consumption reaches a first height is received. Here, the control unit 193 temporarily stops the operation of the third motor 197 when a signal that the stopper 155 contacts the consumption 20 is received from the stopper contact detection unit 186 as shown in FIG. catalog can be built. Alternatively, the operation of the third motor 197 may be maintained until the first signal is received, but additional forward movement is not made by the stopper 155 despite the operation current supplied to the third motor 197.

한편, 스토퍼(155)가 소비(20)에 접촉된 이후 제1모터(152)에 의해 순환되는 순환체인(151)의 걸이구(153)가 스토퍼(155)에 접촉되고 있는 소비(20)의 지지돌기(22) 사이로 진입하여 상방으로 소비(20)를 인양한다.On the other hand, after the stopper 155 is in contact with the consumer 20, the hook 153 of the circulation chain 151 circulated by the first motor 152 is in contact with the stopper 155 of the consumer 20 It enters between the support protrusions 22 and lifts the consumption 20 upward.

제어부(193)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소비(20)가 제1높이까지 상승하여 제1센서(181)로부터 제1신호가 수신되면 인양되는 소비(20)에 잔류하는 벌의 벌통(10) 내부로의 충분한 회귀공간 확보를 위해 안착틀(110)을 전진방향과 반대가 되는 후방으로 설정된 후방이격거리만큼 후퇴하게 제3모터(197)를 역회전시켜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안착틀(110)을 후방으로 이동시킨 후 안착틀(110)의 주행을 정지시킨다. 이후, 순환체인(151)의 회전에 의해 소비(20)가 상승하면서 소비(20)가 분리위치에 도달하여 제2센서(182)로부터 제2신호가 수신되면 제어부(193)는 순환체인(151)의 구동이 일시 정지되게 제1모터(152)의 구동을 중지시킨다. 이때 제2모터(175)도 구동이 중지하도록 구축될 수 있다.As shown in FIG. 6, the control unit 193 controls the beehive 10 remaining in the lifted consumption 20 when the consumption 20 rises to the first height and the first signal is received from the first sensor 181. ) In order to secure sufficient return space to the inside, the third motor 197 is rotated in reverse so that the seating frame 110 retreats by the rearward separation distance set in the rear opposite to the forward direction, and the seating frame 110 is reversed as shown in FIG. After moving the 110 to the rear, the driving of the seating frame 110 is stopped. Thereafter, when the consumption 20 rises due to the rotation of the circulation chain 151 and the consumption 20 reaches the separation position and the second signal is received from the second sensor 182, the control unit 193 controls the circulation chain 151 ) Stops the driving of the first motor 152 so that the driving is temporarily stopped. At this time, the second motor 175 may also be constructed to stop driving.

이와 같이 소비(20)의 상승을 중지시킨 이후 제어부(193)는 작업자가 소비(20)를 걸이구(153)로부터 분리되게 상방으로 들어 올리는 과정에서 제3센서(183)로부터 소비가 검출된 제3신호가 수신되면 다음 순번의 소비(20)를 인양하기 위해 순환체인(151)이 회전되면서 안착틀(110)이 전진방향으로 주행되게 제어 한다. 주행과정에서 앞서 설명된 바와 같이 스토퍼(155)가 다음 순번의 소비(20)에 접촉되면 제어부(193)는 앞서와 같은 방식으로 소비(20)가 인양되게 제어과정을 수행한다.After stopping the rise of the consumption 20 in this way, the control unit 193 detects the consumption from the third sensor 183 while the worker lifts the consumption 20 upward to be separated from the hook 153. When the signal 3 is received, the circulation chain 151 is rotated to lift the consumption 20 of the next turn, and the seating frame 110 is controlled to travel in the forward direction. As described above during the driving process, when the stopper 155 contacts the consumption 20 in the next turn, the control unit 193 performs a control process so that the consumption 20 is lifted in the same manner as before.

이러한 과정을 통해 벌통(10)의 내의 소비(20)가 모두 인출되어 제4센서(184)로부터 안착틀(110)이 종단위치에 도달한 제4신호가 수신되면 안착틀(110)의 주행을 정지시키고, 순환체인(151)의 회전을 정지시키고, 봉솔(171)의 회전을 정지시키도록 제1 내지 제3모터(152)(175)(197)를 제어한다.Through this process, when all the consumption 20 in the beehive 10 is withdrawn and the fourth signal indicating that the seating frame 110 has reached the terminal position is received from the fourth sensor 184, the seating frame 110 is stopped from traveling. Stop, stop the rotation of the circulation chain 151, and control the first to third motors 152, 175, 197 to stop the rotation of the brush 171.

이상에서 설명된 자동 탈봉기(100)에 의하면, 소비(20)를 벌통(10)으로부터 인양하는 과정에서 소비(20)를 타격하여 벌의 분리 효율을 향상시키고, 소비(20)로부터 분리되는 벌의 벌통(10)내부로의 회귀 공간을 충분히 확보하여 제공함으로써 벌의 손상을 최소화 할 수 있게 지원하는 장점을 제공한다.According to the automatic desealing machine 100 described above, in the process of lifting the consumption 20 from the beehive 10, the consumption 20 is hit to improve the separation efficiency of the bees, and the bees separated from the consumption 20 Provides the advantage of minimizing damage to the bees by securing and providing sufficient space for returning to the inside of the hive (10).

110: 안착틀 130: 메인 프레임
140: 털기진동 인가부 145: 타격추
151: 순환체인 153: 걸이구
155: 스토퍼 152: 제1모터
190: 제어 유니트
110: seating frame 130: main frame
140: hair vibration application unit 145: strike weight
151: circulation chain 153: hook
155: stopper 152: first motor
190: control unit

Claims (5)

벌통의 상부에 배치되어 수직상으로 승하강 되는 걸이구를 통해 상기 벌통 내에 배치된 소비를 걸어 인양하는 안착틀을 벌통에 대해 주행시킬 수 있도록 된 자동 탈봉기에 있어서,
벌통 상부에 안착되어 상기 안착틀을 이동가능하게 지지하는 메인프레임과;
상기 안착틀에 설치되되 수직상으로 순환회전되는 순환체인에 장착된 적어도 하나의 상기 걸이구에 의해 상기 벌통에 수납된 소비를 걸어 수직상으로 인양하는 소비 인양부와;
상기 안착틀에 결합되어 상기 안착틀의 전진 방향에 대향되게 배치된 소비에 접촉될 수 있게 설치된 스토퍼와;
상기 스토퍼의 소비의 접촉 여부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안착틀의 주행을 제어하고, 상기 소비 인양부의 구동을 제어하는 제어 유니트;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탈봉기.
In the automatic unpacking machine, which is capable of driving a seating frame for lifting and hanging consumption disposed in the beehive with respect to the beehive through a hook disposed at the top of the beehive and vertically ascending and descending,
a main frame seated on an upper portion of the beehive and movably supporting the seating frame;
a consumer lifting unit that is installed on the seating frame and lifts the consumer stored in the beehive vertically by hanging the consumption stored in the beehive by at least one hook mounted on a circulation chain that circulates and rotates vertically;
a stopper coupled to the seating frame and installed to come into contact with a consumer disposed opposite to the forward direction of the seating frame;
and a control unit that controls driving of the seat frame and controls driving of the consumer lifting unit by using contact information of the consumer of the stopper.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소비 인양부는
상기 안착틀에 상호 이격되어 상방으로 연장된 제1 및 제2수직기둥과;
상기 순환체인을 순환회전시킬 수 있게 상기 제1 및 제2 수직기둥의 상부와 하부에 각각 설치된 회전기어와;
상기 순환체인이 순환될 수 있게 구동하는 인양 구동부와;
상기 걸이구를 통해 승강되는 소비에 접촉될 수 있게 상기 안착틀에 상호 이격되어 회전될 수 있게 설치된 봉솔;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탈봉기.
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consumer lifting unit
first and second vertical pillars spaced apart from the seating frame and extending upward;
rotation gears respectively installed on upper and lower portions of the first and second vertical pillars to circulate and rotate the circulation chain;
a lifting drive unit for driving the circulation chain to be circulated;
Automatic bagging machine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a rod brush installed to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nd rotatable to the seating frame so that it can come into contact with the consumer that is raised and lowered through the hook.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걸이구가 상기 소비를 걸어 제1높이로 인양하는 위치를 검출하는 제1센서;를 더 구비하고,
상기 제어 유니트는 상기 스토퍼가 상기 소비에 접촉되면 상기 걸이구에 의해 승강되는 소비가 상기 제1높이에 도달한 제1신호가 수신되는 지를 판단하고, 상기 제1신호가 수신되면 인양되는 상기 소비에 잔류하는 벌의 벌통내부로의 회귀공간 확보를 위해 상기 안착틀을 전진방향과 반대가 되는 후방으로 설정된 후방이격거리만큼 후퇴하게 상기 안착틀을 이동시킨 후 상기 안착틀의 주행을 정지시키고, 소비가 걸이구로부터 상기 소비가 분리될 때까지 상기 안착틀의 정지상태를 유지하도로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탈봉기.
According to claim 2,
A first sensor for detecting a position where the hanger lifts the consumption to a first height; further comprising,
When the stopper contacts the consumption, the control unit determines whether or not a first signal that the consumption being lifted by the hanger has reached the first height is received, and when the first signal is received, the consumption being lifted In order to secure a space for the remaining bees to return to the inside of the hive, the seat frame is moved backward as much as the rearward separation distance set in the opposite direction to the forward direction, and then the travel of the seat frame is stopped, and consumption is reduced. Automatic unsealing machine, characterized in that the control to maintain the stationary state of the seating frame until the consumption is separated from the hook.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안착틀에 설치되어 인양되는 상기 소비가 분리 위치에 도달했는지를 검출하는 제2센서와;
인양된 상기 소비가 상기 걸이구로부터 분리되어 인출됐는지를 검출하도록 상기 제2센서보다 높은 위치에서 소비를 검출할 수 있게 배치된 제3센서;를 더 구비하고,
상기 제어유니트는 상기 제2센서로부타 소비가 도달된 제2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순환체인의 구동을 일시 정지하게 제어하고, 상기 제3센서에서 소비 검출된 제3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순환체인이 회전되면서 상기 안착틀이 전진방향으로 주행되게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탈봉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3, further comprising: a second sensor installed on the seating frame and detecting whether the lifted consumption has reached a separation position;
A third sensor disposed to detect consumption at a position higher than the second sensor to detect whether the lifted consumption is separated from the hanger and withdrawn;
The control unit controls the driving of the circulation chain to temporarily stop when a second signal that consumption has reached is received from the second sensor, and when a third signal of consumption detection is received from the third sensor, the circulation chain Automatic stripping machine, characterized in that for controlling the seating frame to travel in the forward direction while rotating.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프레임에 상기 안착틀이 종단위치에 도달했는지를 검출하는 제4센서;를 더 구비하고,
상기 제어유니트는 상기 제4센서로부터 상기 안착틀이 도달한 제4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안착틀의 주행을 정지시키고, 상기 순환체인의 회전을 정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탈봉기.
The method of claim 4, further comprising a fourth sensor in the main frame that detects whether the seating frame has reached an end position,
The control unit stops the driving of the seating frame and stops the rotation of the circulation chain when receiving a fourth signal from the fourth sensor.
KR1020230093534A 2021-04-14 2023-07-19 honeybee automatic separation machine for use of apiculture KR20230113253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93534A KR20230113253A (en) 2021-04-14 2023-07-19 honeybee automatic separation machine for use of apicultur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48698A KR20220142228A (en) 2021-04-14 2021-04-14 honeybee automatic separation machine for use of apiculture
KR1020230093534A KR20230113253A (en) 2021-04-14 2023-07-19 honeybee automatic separation machine for use of apiculture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48698A Division KR20220142228A (en) 2021-04-14 2021-04-14 honeybee automatic separation machine for use of apicultur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13253A true KR20230113253A (en) 2023-07-28

Family

ID=83805117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48698A KR20220142228A (en) 2021-04-14 2021-04-14 honeybee automatic separation machine for use of apiculture
KR1020230093534A KR20230113253A (en) 2021-04-14 2023-07-19 honeybee automatic separation machine for use of apiculture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48698A KR20220142228A (en) 2021-04-14 2021-04-14 honeybee automatic separation machine for use of apicultur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2) KR20220142228A (e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42228A (en) 2022-10-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93334B1 (en) Automatic apparatus for removing bees
KR101908051B1 (en) Honeybee automatic separation machine for use of apiculture
KR200447683Y1 (en) A sea squirt separate auto machine
KR20230113253A (en) honeybee automatic separation machine for use of apiculture
KR102435659B1 (en) Automatic apparatus for removing bees
CN206059416U (en) Silicon chip circulation all-in-one
US3086219A (en) Swimming pool safety device
KR20140030924A (en) Apparatus for salt collection for salt pan
CN214218901U (en) Lower hanging machine of hook-shaped hanging tool
KR20190001237U (en) Rope hoisting apparatus
CN211881720U (en) Laying hen cage convenient to go out egg
KR200352966Y1 (en) The machine using for shaking bees off the wooden beehive for harvesting honey
KR20150097993A (en) Golf mat system
KR20240002527A (en) Apparatus for withdrawing honeycomb
JP3133198U (en) Tire guard device and crop harvester equipped with the same
CN219792258U (en) Protection type crane
CN108163681A (en) Construction elevator
GB2595105A (en) Automatic bee separation device
JPH068712Y2 (en) Boiler for small fish
CN115609429A (en) Metal door plant processing is with supplementary grinding device
JPS6210209Y2 (en)
KR101317008B1 (en) Cow cage for anesthesia devices
KR101317103B1 (en) Cow anesthesia and anesthesia devices
JP3697022B2 (en) Multi-stage salo insertion device
JPH0161150B2 (e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