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12564A - 전자 가격 표시기 및 이의 제어 방법 - Google Patents

전자 가격 표시기 및 이의 제어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12564A
KR20230112564A KR1020230008100A KR20230008100A KR20230112564A KR 20230112564 A KR20230112564 A KR 20230112564A KR 1020230008100 A KR1020230008100 A KR 1020230008100A KR 20230008100 A KR20230008100 A KR 20230008100A KR 20230112564 A KR20230112564 A KR 2023011256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ser terminal
electronic price
price indicator
bluetooth
process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00810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허재건
이청희
권도상
한우석
이찬
김지훈
서보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솔루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솔루엠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솔루엠
Priority to PCT/KR2023/001022 priority Critical patent/WO2023140686A1/ko
Priority to US18/290,286 priority patent/US20240071262A1/en
Publication of KR2023011256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1256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9/00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 G06K19/06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 G06K19/067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 G06K19/07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with integrated circuit chips
    • G06K19/0723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with integrated circuit chips the record carrier comprising an arrangement for non-contact communication, e.g. wireless communication circuits on transponder cards, non-contact smart cards or RFID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9/00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 G06K19/06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 G06K19/067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 G06K19/07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with integrated circuit chips
    • G06K19/0701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with integrated circuit chips at least one of the integrated circuit chips comprising an arrangement for power managemen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9/00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 G06K19/06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 G06K19/067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 G06K19/07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with integrated circuit chips
    • G06K19/077Constructional details, e.g. mounting of circuits in the carrier
    • G06K19/07701Constructional details, e.g. mounting of circuits in the carrier the record carrier comprising an interface suitable for human interaction
    • G06K19/07703Constructional details, e.g. mounting of circuits in the carrier the record carrier comprising an interface suitable for human interaction the interface being visual
    • G06K19/07707Constructional details, e.g. mounting of circuits in the carrier the record carrier comprising an interface suitable for human interaction the interface being visual the visual interface being a display, e.g. LCD or electronic ink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41Advertisem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80Services using short range communication, e.g. near-field communication [NFC], radio-frequency identification [RFID] or low energy communic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2Power saving arrangements
    • H04W52/0209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 H04W52/0225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using monitoring of external events, e.g. the presence of a signal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D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ICT],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AIMING AT THE REDUCTION OF THEIR OWN ENERGY USE
    • Y02D30/0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 Y02D30/7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in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Financ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Economics (AREA)
  • Marketing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가격 표시기는, 상품 정보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 사용자 단말과 통신하는 NFC 모듈, 사용자 단말과 통신하는 블루투스 모듈 및 사용자 단말로부터 블루투스 모듈을 통해 수신된 상품 정보를 디스플레이에 표시하도록 제어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프로세서는, NFC 모듈을 통해 사용자 단말로부터 인터럽트를 수신한 경우, 슬립 모드를 해제하고, 사용자 단말로부터의 광고 신호(advertising signal)를 수신하기 위해 소정의 시간 동안 스캔을 개시함으로써, 사용자 단말과 블루투스 통신을 수행한다.

Description

전자 가격 표시기 및 이의 제어 방법{ELECTRONIC SHELF LABEL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실시예들은 전자 가격 표시기 및 이의 제어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전력 소모를 줄일 수 있는 전자 가격 표시기 및 이의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매장 상품 진열대에서 무선 통신망을 통해 상품별로 가격, 원산지 등 정보를 실시간으로 표시하는 전자종이(e-paper) 단말을 말한다. Electronic Shelf Label의 줄임말인 ESL로 부르기도 한다. 전자 가격 표시기를 활용하면 종이 가격표를 수시로 교체할 필요 없이 원하는 정보를 언제든 표시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최근에는 대형마트, 슈퍼마켓, 헬스앤드뷰티(H&B) 및 패션 스토어 등 다양한 유통 매장을 중심으로 시장이 커지고 있다.
전자 가격 표시기 시스템은 유무선 통신을 담당하는 게이트웨이(gateway)와 상품 정보를 표시하는 태그(tag) 기기로 구성된다. 사물인터넷(IoT) 기술을 활용해 ESL 중앙 관리 서버에서 상품 정보를 게이트웨이로 전송하면 게이트웨이가 무선 통신으로 여러 개의 ESL 태그로 전달한다. 태그에는 문자, 바코드, 사진 등이 표시된다.
전자가격표시기에 활용되는 전자종이(Electronic paper display)는 전자액정표시장치(LCD), 발광다이오드(LED) 등 기존 디스플레이와 종이 기능을 대체할 수 있는 기술이다. 소비 전력이 적고, 전원이 꺼졌을 때도 저장된 정보를 볼 수 있다.
전자 가격 표시기를 이용해 상품별 재고 현황, 가격 변경, 할인 기간 등을 자동으로 전 매장에 동시 반영할 수 있어 매장 관리의 효율성을 높일 수 있다. 매장은 가격표 인쇄 등에 소모되는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선행기술문헌번호]
1. 한국공개특허 2018-0120494호
2. 한국공개특허 2020-0145179호
전자 가격 표시기에서 일반적인 블루투스 통신 연결, 예를 들면 BLE(Bluetooth Low Energy, 이하 BLE라 한다)와 같이, 사용자 단말, 예를 들면 스마트폰을 마스터 또는 스캐너로 결정하고, 전자 가격 표시기를 슬레이브 또는 애드버타이저(Advertiser)로 결정하는 경우, 전자 가격 표시기는 연결을 위해서 주기적으로 Advertising을 해야만 한다. 이는 전력소모를 발생시키고 사용량이 적은 시간대에서는 지나치게 비효율적이다. 또한 BLE 표준규격을 준수하는 다른 장치들의 간섭을 받는다. 또한 전자 가격 표시기는 계속적으로 Advertising을 해야 하기 때문에 불필요한 전력 소모를 발생시키는 문제점이 있다.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들은 전력 소모를 줄일 수 있는 전자 가격 표시기 및 이의 제어 방법을 제공함으로써, 사용자 단말과 BLE 통신을 위해 소모되는 불필요한 전력 소모를 줄이는 것이다.
본 개시의 실시예들을 통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가 상술한 과제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언급되지 아니한 과제들은 본 명세서 및 첨부된 도면으로부터 실시예들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가격 표시기는 상품 정보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 사용자 단말과 통신하는 NFC 모듈; 상기 사용자 단말과 통신하는 블루투스 모듈; 및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상기 블루투스 모듈을 통해 수신된 상기 상품 정보를 상기 디스플레이에 표시하도록 제어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NFC 모듈을 통해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인터럽트를 수신한 경우, 슬립 모드를 해제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의 광고 신호(advertising signal)를 수신하기 위해 소정의 시간 동안 스캔을 개시함으로써, 상기 사용자 단말과 블루투스 통신을 수행한다.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광고 신호에 포함된 고유 연결 키(Key)를 검색하고, 상기 검색된 고유 연결 키를 기초로 상기 사용자 단말과의 블루투스 연결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소정의 시간 동안 상기 광고 신호에서 상기 고유 연결 키를 검색하지 못한 경우, 상기 슬립모드로 복귀할 수 있다.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인터럽트에 따라, 상기 전자 가격 표시기의 정보를 상기 NFC 모듈을 통해 상기 사용자 단말에 전송할 수 있다.
상기 전자 가격 표시기의 정보는, 맥 어드레스(Mac address), 태그 타입 및 고유 연결 키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의 상기 광고 신호에 포함된 고유 연결 키(Key)를 검색한 경우, 상기 사용자 단말에 연결 요청을 전송할 수 있다.
상기 사용자 단말에서, 상기 연결 요청에 포함된 태그 타입과, 상기 NFC 모듈을 통해 수신된 태그 타입이 일치하는 경우, 상기 블루투스 통신이 유지될 수 있다.
상기 사용자 단말에서, 상기 연결 요청에 포함된 맥 어드레스와, 상기 NFC 모듈을 통해 수신된 맥 어드레스가 일치하는 경우, 상기 블루투스 통신이 유지될 수 있다.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사용자 단말의 NFC 터치에 따라 상기 인터럽트를 생성하고, 상기 생성된 인터럽트는 상기 블루투스 모듈을 트리거할 수 있다.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전자 가격 표시기의 제어 방법은 NFC 모듈을 통해 사용자 단말로부터 인터럽트를 수신한 경우, 슬립 모드를 해제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의 광고 신호(advertising signal)를 수신하기 위해 소정의 시간 동안 스캔을 개시하는 단계; 및 상기 사용자 단말과 블루투스 통신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전자 가격 표시기의 제어 방법은 상기 광고 신호에 포함된 고유 연결 키(Key)를 검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검색된 고유 연결 키를 기초로 상기 사용자 단말과의 블루투스 연결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전자 가격 표시기의 제어 방법은 상기 소정의 시간 동안 상기 광고 신호에서 상기 고유 연결 키를 검색하지 못한 경우, 상기 슬립모드로 복귀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전자 가격 표시기의 제어 방법은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의 상기 광고 신호에 포함된 고유 연결 키(Key)를 검색한 경우, 상기 사용자 단말에 연결 요청을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전자 가격 표시기의 제어 방법은 상기 연결 요청에 포함된 태그 타입과, 상기 NFC 모듈을 통해 수신된 태그 타입이 일치하고, 상기 연결 요청에 포함된 맥 어드레스와, 상기 NFC 모듈을 통해 수신된 맥 어드레스가 일치하는 경우, 상기 블루투스 통신이 유지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전자 가격 표시기의 제어 방법을 컴퓨터에서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기록매체를 포함한다.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력 소모를 줄일 수 있는 전자 가격 표시기 및 이의 제어 방법을 제공함으로써, 사용자 단말과 BLE 통신을 위해 소모되는 불필요한 전력 소모를 줄일 수 있다.
실시예들에 의한 효과가 상술한 효과들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언급되지 아니한 효과들은 본 명세서 및 첨부된 도면으로부터 실시예들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히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가격 표시기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가격 표시기의 개략 도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사용자 단말의 개략 도이다.
도 4는 종래기술에 따른 전자 가격 표시기와 사용자 단말 간의 통신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신호 흐름도이다.
도 5는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전자 가격 표시기와 사용자 단말 간의 통신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신호 흐름도이다.
도 6은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전자 가격 표시기의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실시예들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면서 가능한 현재 널리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들을 선택하였으나, 이는 당 분야에 종사하는 기술자의 의도 또는 판례, 새로운 기술의 출현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또한, 특정한 경우는 출원인이 임의로 선정한 용어도 있으며, 이 경우 해당되는 발명의 설명 부분에서 상세히 그 의미를 기재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순한 용어의 명칭이 아닌, 그 용어가 가지는 의미와 본 발명의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정의되어야 한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 "-모듈"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로 구현되거나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바와 같이, "적어도 어느 하나의"와 같은 표현이 배열된 구성요소들 앞에 있을 때, 배열된 각각의 구성이 아닌 전체 구성 요소들을 수식한다. 예를 들어, "a, b, 및 c 중 적어도 어느 하나"라는 표현은 a, b, c, 또는 a와 b, a와 c, b와 c, 또는 a와 b와 c를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하여야 한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하여 본 개시의 실시예에 대하여 당해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본 개시는 앞서 설명된 다양한 실시예들의 에어로졸 생성 장치들에서 구현 가능한 형태로 실시되거나 또는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되어 실시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제한되지 않는다.
실시 예에서, "전자 가격 표시기"는 플라스틱 태그에 상품명, 가격, 바코드 등 구체적인 정보를 표시하는 기기로서, 소위 ESL(Electric Shelf Label, 이하 ESL이라 한다)라고도 한다. 전자 가격 표시기가 필요한 곳에 게이트웨이와 관련된 소프트웨어를 설치하고, 전자 가격 표시기에 표현하고자 하는 내용을 설정하여 적용하는 방식을 사용할 수 있다. 여기서, 게이트웨이는 네트워크와 여러 개의 전자 가격 표시기가 상호 접속할 때, 컴퓨터와의 공중 통신망 역할을 수행한다. 예를 들면, 전자 가격 표시기와 매장 포스기와 상품 정보 관리 서버 사이의 매개체 역할을 하고, 이 매개체를 통해 전자 가격 표시기의 디스플레이, 예를 들면 전자 종이 또는 전자 패널에 상품 정보 또는 상품 정보를 주고 받아 소비자에게 상품에 대한 정보를 보여준다. 여기서, 전자 종이(e-paper)는 일반 종이와 질감이 비슷하고 오래 봐도 눈이 아프지 않으며, 화면에서 자유롭게 쓰고 지울 수 있는 디스플레이 장치이다. 전자전력 소모가 적고, 전자종이의 핵심인 전자잉크(e-ink)에는 메모리 효과가 있어 전기가 차단되어도 그대로 유지되는 특성을 갖는다.
실시 예에서 "사용자 단말"은 네트워크를 통해 서버나 타 단말에 접속할 수 있는 컴퓨터나 휴대용 단말기로 구현될 수 있다. 여기서, 컴퓨터는 예를 들어, 웹 브라우저(WEB Browser)가 탑재된 노트북, 데스크톱(desktop), 랩톱(laptop), VR HMD(예를 들어, HTC VIVE, Oculus Rift, GearVR, DayDream, PSVR 등)등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VR HMD 는 PC용 (예를 들어, HTC VIVE, Oculus Rift, FOVE, Deepon 등)과 모바일용(예를 들어, GearVR, DayDream, 폭풍마경, 구글 카드보드 등) 그리고 콘솔용(PSVR)과 독립적으로 구현되는 Stand Alone모델(예를 들어, Deepon, PICO 등) 등을 모두 포함한다. 휴대용 단말기는 예를 들어, 휴대성과 이동성이 보장되는 무선 통신 장치로서, 스마트폰(smart phone), 태블릿 PC, 웨어러블 디바이스뿐만 아니라, 블루투스(BLE,Bluetooth Low Energy), NFC, RFID, 초음파(Ultrasonic), 적외선, 와이파이(WiFi), 라이파이(LiFi) 등의 통신모듈을 탑재한 각종 디바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네트워크"는 단말들 및 서버들과 같은 각각의 노드 상호 간에 정보 교환이 가능한 연결 구조를 의미하는 것으로, 근거리 통신망(LAN: Local Area Network), 광역 통신망(WAN: Wide Area Network), 인터넷 (WWW: World Wide Web), 유무선 데이터 통신망, 전화망, 유무선 텔레비전 통신망 등을 포함한다. 무선 데이터 통신망의 일례에는 3G, 4G, 5G, 3GPP(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LTE(Long Term Evolution), WIMAX(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와이파이(Wi-Fi), 블루투스 통신, 적외선 통신, 초음파 통신, 가시광 통신(VLC: Visible Light Communication), 라이파이(LiFi) 등이 포함되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가격 표시기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가격 표시기(10)는 유통 공간에서 상품 진열대에 배치 또는 결합되어, 상품에 대한 정보(이하, 상품 정보라 한다)를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 가격 표시기(10)는 서버(미도시)로부터 상품 정보를 수신하고, 서버로부터 수신된 상품 정보를 시각적으로 표시함으로써, 사용자에게 상품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전자 가격 표시기(10)는 실시예에 따라 전자 선반 라벨(ESL: electronic shelf label) 또는 전자 정보 라벨(EIL: electronic information label)으로 지칭될 수도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가격 표시기(10)는 하우징(100) 및 디스플레이(110)를 포함할 수 있다.
하우징(100)은 전자 가격 표시기(10)의 전체적인 외관을 형성할 수 있으며, 하우징(100)의 내부 공간에는 전자 가격 표시기(10)의 구성 요소들이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하우징(100)의 내부 공간에는 전자 가격 표시기(10)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프로세서를 포함하는 인쇄 회로 기판(미도시), 서버와의 무선 통신을 위한 통신 모듈(미도시) 및/또는 배터리(미도시)가 배치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하우징(100)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체적으로 직육면체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나, 하우징(100)의 형상이 도시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다른 실시예에서, 하우징(100)은 직육면체 형상 외에 다각형 기둥 형상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디스플레이(110)는 적어도 일 영역이 하우징(100)의 외주면의 외주면에 노출되도록 배치되며, 시각적인 정보를 출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110)는 서버로부터 수신된 상품 정보 또는 상품 정보를 출력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개시에서 상품 정보는 가격 정보, 제조사, 원산지, 할인 정보 또는 식별 정보(예: 바코드 또는 QR 코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으며, 해당 표현은 이하에서도 동일한 의미로 사용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110)는 하우징(100)의 내부 공간에 수용된 배터리로부터 공급되는 전력을 통해 상품 정보를 출력할 수 있다.
도 2는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가격 표시기(10)의 개략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전자 가격 표시기(10)는 사용자 단말(1000)와 무선통신을 수행한다. 실시 예에서, 전자 가격 표시기(10)는 사용자 단말(1000)과 NFC(Near Field Communication, 이하 NFC라 한다)통신, 블루투스 통신을 포함하는 근거리 무선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실시 예에서, 사용자 단말(1000)은 무선통신을 이용하여 전자 가격 표시기(10)에 표시할 정보, 예를 들면 상품 정보 또는 가격 정보를 실시간으로 교체 또는 변경할 수 있다.
전자 가격 표시기(10)는 디스플레이(110), 프로세서(120), NFC 모듈(130), 블루투스 모듈(140) 및 저장부(150)를 포함한다.
디스플레이(110)는 상품 정보를 표시하는 장치로서, 전자 종이 또는 e-paper일 수 있다. 여기서, 상품 정보는, 가격 정보, 제조사, 원산지, 할인 정보 또는 식별 정보, 바코드 또는 QR 코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120)는 전자 가격 표시기(1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프로세서(120)는 디스플레이(110), NFC 모듈(130), 블루투스 모듈(140) 및 저장부(150)를 제어한다.
실시 예에서, 프로세서(120)는 사용자 단말(1000)로부터 블루투스 모듈(140)을 통해 수신된 상품 정보를 디스플레이(110)에 표시할 수 있다. 프로세서(120)는 NFC 모듈(130)을 통해 사용자 단말(1000)로부터 인터럽트를 수신한 경우, 슬립 모드를 해제한다. 또한, 프로세서(120)는 사용자 단말(1000)로부터의 광고 신호(advertising signal)를 수신하기 위해 소정의 시간 동안 스캔을 개시하여, 사용자 단말(1000)과 블루투스 통신을 수행한다.
실시 예에서, 프로세서(120)는 사용자 단말(1000)의 광고 신호에 포함된 고유 연결 키(Key)를 검색하고, 검색된 고유 연결 키를 기초로 사용자 단말(1000)과의 블루투스 연결을 수행한다. 이때, 소정의 시간 동안 광고 신호에서 자신의 고유 연결 키를 검색하지 못한 경우, 슬립모드로 복귀할 수 있다.
실시 예에서, 프로세서(120)는 사용자 단말(1000)로부터 인터럽트, 또는 NFC 태드 또는 터치에 따라, 전자 가격 표시기(10)의 정보를 NFC 모듈(130)을 통해 사용자 단말(1000)에 전송할 수 있다. 여기서, 전자 가격 표시기(10)의 정보는, 맥 어드레스(Mac address), 태그 타입 및 고유 연결 키를 포함할 수 있다. 즉, 사용자 단말(1000)은 NFC 태그를 통해 전자 가격 표시기(10)의 맥 어드레스, 태그 타입, 고유 연결 키 등을 읽을 수 있다. 이어, 사용자 단말(1000)이 블루투스 통신의 슬레이브로 동작하면서 광고 신호를 브로드캐스팅할 때, 읽어들인 고유 연결 키를 광고 신호에 포함시켜 전송하게 되고, 프로세서(120)는 사용자 단말(1000)로부터의 광고 신호에 포함된 고유 연결 키(Key)를 검색한 경우에만, 해당 사용자 단말(1000)에 연결 요청을 전송할 수 있다.
한편, 사용자 단말(1000)은 전자 가격 표시기(10)의 연결 요청에 포함된 태그 타입 또는 맥 어드레스와, NFC 태그를 통해 읽어들인 또는 수신된 태그 타입 또는 맥 어드레스가 일치하는 경우에만, 전자 가격 표시기(10)의 연결 요청을 유지할 수 있다.
실시 예에서, 프로세서(120)는 사용자 단말(1000)의 NFC 터치에 따라 인터럽트를 생성하고, 생성된 인터럽트는 블루투스 모듈(130)를 트리거함으로써, 전자가격표시기의 전력소모를 줄일 수 있다. 즉, NFC 인터럽트가 없는 경우에는 전자가격표시기(10)는 절전상태 또는 슬립모드를 유지할 수 있다.
NFC 모듈(130)은 10cm 거리에서 13.56MHz의 주파수로 두 전자기기가 통신할 수 있는 무선통신 모듈이다. 여기서, NFC 모듈(120)는 NFC 태그 또는 NFC 칩일 수 있다. NFC 모듈(130)은 근거리에 접근한 사용자 단말(1000)의 접근 또는 터치에 의해 활성화된다.
블루투스 모듈(140)는 사용자 단말(1000)과 블루투스 통신을 수행한다. 블루투스 동작 방식은 크게 다음과 같은 2가지 모드로 구분할 수 있다. 애드버타이즈 모드(Advertise Mode)는 전원 인가 후 주변의 모든 장치에 일방적으로 신호를 보내는 장치로 통신과는 무관한 비콘같은 같치로서, 2.4GHz 주파수 대역에서 Advertising 채널, 즉 37, 38, 39 채널에서만 동작한다. 연결 모드(Connection Mode)는 Advertising 패킷 전달 후 장치간의 연결의 과정이 필요한 동작 방식이다. 장치 간 연결이 되면 Advertiser와 Observer는 서로 1 대 1 동작으로 주파수 호핑(Frequency Hopping) 방식으로 동작한다.
블루투스 모듈(140)과 사용자 단말(1000)과의 블루투스 통신 절차는 도 5를 참조하여 후술한다.
저장부(150)는 전자 가격 표시기(10)의 운영정보, 상품정보 등 필요한 정보를 저장한다. 저장부(150)는 플래시 메모리 타입(flash memory type), 하드디스크 타입(hard disk type), 멀티미디어 카드 마이크로 타입(multimedia card micro type), 카드 타입의 메모리(예를 들어 SD 또는 XD 메모리 등), 램(RAM, Random Access Memory) SRAM(Static Random Access Memory), 롬(ROM, Read-Only Memory), EEPROM(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y), PROM(Programmable Read-Only Memory), 자기 메모리, 자기 디스크, 광디스크 중 적어도 하나의 타입의 저장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종래의 전자 가격 표시기와 사용자 단말의 블루투스 통신 과정을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4에 도시된 것처럼, 전자 가격 표시기(10)는 BLE 슬레이브로 동작하고, 사용자 단말(1000)은 BLE 마스터로 동작한다. 따라서, 전자 가격 표시기(10)는 사용자 단말(1000)에 지속적으로 Advertising 신호들을 전송한다.
전자 가격 표시기(10)가 Advertising 채널을 호핑(Hopping)하며 Advertising 패킷을 보낸다. 사용자 단말(1000)은 Advertising 채널을 호핑하며 Advertising 패킷을 스캔한다. 사용자 단말(1000)은 전자 가격 표시기(10)를 찾은 경우에 그 디바이스에 대한 추가 정보를 얻기 위해 스캔 요청을 보낸다.
전자 가격 표시기(10)가 스캔 요청을 받으면, 스캔 요청에 대한 응답을 사용자 단말(1000)에 전송한다. 사용자 단말(1000)은 수신한 스캔 응답을 파싱하고, 이를 기초로 연결을 하고자 하면 연결 요청(Connect Request)을 전송한다. 이후 각각의 서로 확인(Acknowledging)을 시작하여 타이밍 정보 등을 동기화하고, 연결을 완료한다. 이후 사용자 단말(1000)은 전자 가격 표시기(10)에 데이터를 전송한다.
종래의 방식에 따르면, 전자 가격 표시기는 연결을 위해서 주기적으로 Advertising을 해야 한다. 이는 전력소모를 발생시키고 사용량이 적은 시간대에서는 지나치게 비효율적이다. 또한, BLE 표준규격을 준수하는 다른 장치들의 간섭을 받는다. 또한, 계속적으로 Advertising을 해야하기 때문에 불필요한 전력 소모를 발생시킨다.
실시 예에 따른 전자 가격 표시기(10)는 NFC 모듈을 BLE 통신의 트리거로 사용하여 전자 가격 표시기(10)의 전력소모를 줄인다. 또한, NFC 인터럽트가 없는 경우, 전자 가격 표시기(10)는 절전상태에 들어간다. 여기서, 절전 상태는 슬립 모드일 수 있다.
또한, 사용자 단말(1000)은 NFC 태그를 통해, 전자 가격 표시기(10)의 정보를 가져와 BLE 통신에 사용할 수 있다. NFC 태그 시, 전자 가격 표시기의 맥 어드레스(Mac Address), 타입(Type), 고유 연결 키(Key)를 획득한다. BLE 통신 시 전자 가격 표시기(10)는 마스터 또는 스캐너로 동작하고, 사용자 단말(1000)은 슬레이브 또는 애드버타이저로 동작하여 연결의 권한을 전자 가격 표시기(10)가 가진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사용자 단말(1000)의 개략 도이다.
도 3을 참고하면, 사용자 단말(1000)은 제어부(300), 통신부(310) 및 출력부(340)를 포함할 수 있다. 그러나 도시된 구성요소 모두가 필수구성요소인 것은 아니다. 도시된 구성요소보다 많은 구성요소에 의해 사용자 단말이 구현될 수도 있고, 그보다 적은 구성요소에 의해서도 사용자 단말은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일 실시 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은, 제어부(300), 통신부(310) 및 출력부(330) 이외에 사용자 입력부(340), 센싱부(350), A/V 입력부(360) 및 메모리(370)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실시 예에서, 사용자 단말(1000)은 전자 가격 표시기(10)와의 근거리 통신, 또는 매장 관리 서버(미도시) 등과의 유무선 통신을 통해 전자 가격 표시기(10)에 필요한 정보를 전송하거나 수신할 수 있다.
제어부(300)는 통상적으로 사용자 단말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예를 들어, 제어부(300)는, 메모리(370)에 저장된 프로그램들을 실행함으로써, 통신부(310), 출력부(330), 사용자 입력부(340), 센싱부(350), A/V 입력부(360) 및 메모리(370) 등을 전반적으로 제어할 수 있다.
통신부(310)는 사용자 단말(1000)과 서버(미도시)간에 통신을 하게 하는 하나 이상의 구성요소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통신부(310)는, 근거리 통신부(311), 이동 통신부(312) 및 방송 수신부(313)를 포함할 수 있다.
실시 예에서, 근거리 통신부(311)는 전자 가격 표시기(10)의 NFC 모듈 및 블루투스 모듈과 통신 가능하도록 NFC 모듈, 블루투스 모듈을 포함한다. 여기서, 근거리 통신부(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unit)(311)는, 블루투스 통신부, BLE(Bluetooth Low Energy) 통신부, 근거리 무선 통신부(Near Field Communication unit) 이외에, WLAN(와이파이) 통신부, 지그비(Zigbee) 통신부, 적외선(IrDA, infrared Data Association) 통신부, WFD(Wi-Fi Direct) 통신부, UWB(ultra wideband) 통신부, Ant+ 통신부 등을 더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동 통신부(312)는, 이동 통신망 상에서 기지국, 외부의 단말, 서버 중 적어도 하나와 무선 신호를 송수신한다. 여기에서, 무선 신호는, 음성 호 신호, 화상 통화 호 신호 또는 문자/멀티미디어 메시지 송수신에 따른 다양한 형태의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방송 수신부(313)는, 방송 채널을 통하여 외부로부터 방송 신호 및/또는 방송 관련된 정보를 수신한다. 방송 채널은 위성 채널, 지상파 채널을 포함할 수 있다. 구현 예에 따라서 사용자 단말이 방송 수신부(313)를 포함하지 않을 수도 있다.
출력부(330)는 오디오 신호 또는 비디오 신호 또는 진동 신호의 출력을 위한 것으로, 이에는 디스플레이부(331), 음향 출력부(332) 및 진동 모터(333)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331)에는 키 패드(key pad), 돔 스위치 (dome switch), 터치 패드(접촉식 정전 용량 방식, 압력식 저항막 방식, 적외선 감지 방식, 표면 초음파 전도 방식, 적분식 장력 측정 방식, 피에조 효과 방식 등), 조그 휠, 조그 스위치 등이 포함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한편, 디스플레이부(331)는 터치패드가 레이어 구조를 이루어 터치 스크린으로 구성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731)는 액정 디스플레이(liquid crystal display), 박막 트랜지스터 액정 디스플레이(thin film transistor-liquid crystal display), 유기 발광 다이오드(organic light-emitting diode), 플렉시블 디스플레이(flexible display), 3차원 디스플레이(3D display), 전기영동 디스플레이(electrophoretic display)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사용자 단말의 구현 형태에 따라 사용자 단말은 디스플레이부(331)를 2개 이상 포함할 수도 있다.
음향 출력부(332)는 통신부(310)로부터 수신되거나 메모리(370)에 저장된 오디오 데이터를 출력한다. 또한, 음향 출력부(331)는 사용자 단말에서 수행되는 기능(예를 들어, 호신호 수신음, 메시지 수신음, 알림음)과 관련된 음향 신호를 출력한다. 이러한 음향 출력부(332)에는 스피커(speaker), 버저(Buzzer)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진동 모터(333)는 진동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진동 모터(333)는 오디오 데이터 또는 비디오 데이터(예컨대, 호신호 수신음, 메시지 수신음 등)의 출력에 대응하는 진동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또한, 진동 모터(733)는 터치스크린에 터치가 입력되는 경우 진동 신호를 출력할 수도 있다.
사용자 입력부(340)는, 사용자가 사용자 단말(1000)를 제어하기 위한 데이터를 입력하는 수단을 의미한다. 예를 들어, 사용자 입력부(340)에는 키 패드(key pad), 돔 스위치 (dome switch), 터치 패드(접촉식 정전 용량 방식, 압력식 저항막 방식, 적외선 감지 방식, 표면 초음파 전도 방식, 적분식 장력 측정 방식, 피에조 효과 방식 등), 조그 휠, 조그 스위치 등이 있을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센싱부(350)는, 사용자 단말(1000)의 상태 또는 사용자 단말 주변의 상태를 감지하고, 감지된 정보를 제어부(300)로 전달할 수 있다.
한편, 센싱부(350)는, 지자기 센서(Magnetic sensor)(351), 가속도 센서(Acceleration sensor)(352), 온/습도 센서(353), 적외선 센서(354), 자이로스코프 센서(355), 위치 센서(예컨대, GPS)(356), 기압 센서(357), 근접 센서(358), 및 RGB 센서(illuminance sensor)(359)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각 센서들의 기능은 그 명칭으로부터 당업자가 직관적으로 추론할 수 있으므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A/V(Audio/Video) 입력부(360)는 오디오 신호 또는 비디오 신호 입력을 위한 것으로, 이에는 카메라(361)와 마이크로폰(362)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카메라(361)는 화상 통화모드 또는 촬영 모드에서 이미지 센서를 통해 정지영상 또는 동영상 등의 화상 프레임을 얻을 수 있다. 이미지 센서를 통해 캡쳐된 이미지는 제어부(300) 또는 별도의 이미지 처리부(미도시)를 통해 처리될 수 있다.
카메라(361)에서 처리된 화상 프레임은 메모리(370)에 저장되거나 통신부(310)를 통하여 외부로 전송될 수 있다. 카메라(361)는 사용자 단말의 구성에 따라 2개 이상이 구비될 수도 있다.
마이크로폰(362)은, 외부의 음향 신호를 입력받아 전기적인 음성 데이터로 처리한다. 예를 들어, 마이크로폰(362)은 외부 디바이스 또는 화자로부터 음향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마이크로폰(362)은 외부의 음향 신호를 입력받는 과정에서 발생 되는 잡음(noise)을 제거하기 위한 다양한 잡음 제거 알고리즘을 이용할 수 있다.
메모리(370)는, 제어부(300)의 처리 및 제어를 위한 프로그램을 저장할 수도 있고, 입/출력되는 데이터들을 저장할 수도 있다.
메모리(370)는 플래시 메모리 타입(flash memory type), 하드디스크 타입(hard disk type), 멀티미디어 카드 마이크로 타입(multimedia card micro type), 카드 타입의 메모리(예를 들어 SD 또는 XD 메모리 등), 램(RAM, Random Access Memory) SRAM(Static Random Access Memory), 롬(ROM, Read-Only Memory), EEPROM(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y), PROM(Programmable Read-Only Memory), 자기 메모리, 자기 디스크, 광디스크 중 적어도 하나의 타입의 저장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 단말(1000)은 인터넷(internet)상에서 메모리(370)의 저장 기능을 수행하는 웹 스토리지(web storage) 또는 클라우드 서버를 운영할 수도 있다.
메모리(370)에 저장된 프로그램들은 그 기능에 따라 복수 개의 모듈들로 분류할 수 있는데, 예를 들어, UI 모듈(371), 터치 스크린 모듈(372), 알림 모듈(373) 등으로 분류될 수 있다.
UI 모듈(371)은, 애플리케이션별로 사용자 단말과 연동되는 특화된 UI, GUI 등을 제공할 수 있다. 터치 스크린 모듈(372)은 사용자의 터치 스크린 상의 터치 제스처를 감지하고, 터치 제스처에 관한 정보를 제어부(300)로 전달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터치 스크린 모듈(372)은 터치 코드를 인식하고 분석할 수 있다. 터치 스크린 모듈(372)은 컨트롤러를 포함하는 별도의 하드웨어로 구성될 수도 있다.
터치스크린의 터치 또는 근접 터치를 감지하기 위해 터치스크린의 내부 또는 근처에 다양한 센서가 구비될 수 있다. 터치스크린의 터치를 감지하기 위한 센서의 일례로 촉각 센서가 있다. 촉각 센서는 사람이 느끼는 정도로 또는 그 이상으로 특정 물체의 접촉을 감지하는 센서를 말한다. 촉각 센서는 접촉면의 거칠기, 접촉 물체의 단단함, 접촉 지점의 온도 등의 다양한 정보를 감지할 수 있다.
또한, 터치스크린의 터치를 감지하기 위한 센서의 일례로 근접 센서가 있다.
근접 센서는 소정의 검출면에 접근하는 물체, 혹은 근방에 존재하는 물체의 유무를 전자계의 힘 또는 적외선을 이용하여 기계적 접촉이 없이 검출하는 센서를 말한다. 근접 센서의 예로는 투과형 광전 센서, 직접 반사형 광전 센서, 미러 반사형 광전 센서, 고주파 발진형 근접 센서, 정전용량형 근접 센서, 자기형 근접 센서, 적외선 근접 센서 등이 있다. 사용자의 터치 제스처에는 탭, 터치&홀드, 더블 탭, 드래그, 패닝, 플릭, 드래그 앤드 드롭, 스와이프 등이 있을 수 있다.
알림 모듈(373)은 사용자 단말의 이벤트 발생을 알리기 위한 신호를 발생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에서 발생되는 이벤트의 예로는 호 신호 수신, 메시지 수신, 키 신호 입력, 일정 알림 등이 있다. 또한, 사용자 단말에서 발생되는 이벤트의 예로는 디스플레이부(331)에서 수신한 사용자 입력에 기초하여 발생되는 햅틱 신호에 기초하여, 사용자 입력이 수신됨을 알리는 신호를 발생시킬 수 있다.
알림 모듈(373)은 디스플레이부(331)를 통해 비디오 신호 형태로 알림 신호를 출력할 수도 있고, 음향 출력부(332)를 통해 오디오 신호 형태로 알림 신호를 출력할 수도 있고, 진동 모터(333)를 통해 진동 신호 형태로 알림 신호를 출력할 수도 있다.
도 5는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전자 가격 표시기와 사용자 단말 간의 통신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신호 흐름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전자 가격 표시기(10)는 BLE 마스터로 동작하고, 사용자 단말(1000)은 BLE 슬레이브로 동작한다. 전자 가격 표시기(10)의 전원이 켜지면, 슬립 모드를 유지한다.
사용자 단말(1000)에서 NFC 터치 또는 태그가 이루어지면, 전자 가격 표시기(10)는 슬립 모드를 해제하고, 블루투스 채널(37, 38, 39번)을 스캔하기 위해 인터럽트를 블루투스 모듈을 트리거하면, 블루투스 모듈은 광고 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스캔을 시작한다. 사용자 단말(1000)에서 NFC 터치 또는 태그가 이루어지면, 사용자 단말(1000)은 전자 가격 표시기(10)의 정보, 예를 들면 MacAddress, Type, 고유 연결 Key 를 읽을 수 있다.
사용자 단말(1000)은 읽어들인 또는 수신한 고유 연결 키를 포함하여 광고 신호를 전송한다.
전자 가격 표시기(10)는 수신된 광고 신호에 스캔하여 고유 연결 키가 있는지 검색한다. 전자 가격 표시기(10)는 수신된 광고 신호에 고유 연결 키가 있는 경우, 연결 요청을 사용자 단말(1000)에 전송한다. 여기서, 일정 시간 고유 연결 시키가 검색되지 않으면, 다시 슬립 모드로 복귀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1000)은 전자 가격 표시기(10)의 연결 요청에 따라, NFC 태그로 읽어들인 정보, 예를 들면 MacAddress 또는 태그 Type이 일치하는 경우에만, 연결을 유지하고, 일치하지 않은 경우에는 연결을 끊을 수 있다.
사용자 단말(1000)이 연결 요청을 유지하는 경우, 전자 가격 표시기(10)에 데이터를 전송한다.
실시 예에서, 전자 가격 표시기(10)를 BLE 마스터로 사용하게 되면, Advertising이 아닌 스캔을 사용할 수 있기 때문에 최소시간만 스캔을 하여 배터리 소모를 줄일 수 있다. 또한 특정한 시점에만 BLE 통신을 사용하게 되면 트리거가 오기전까지 최대 절전 상태에 있을 수 있어 전력소모 감소에 큰 효과가 있다. 또한, NFC 통신을 사용하여 전자 가격 표시기(10)의 기기 정보, 맥 어드레스, 태그 타입을 가져오기 때문에, 불필요한 연결을 막고 사전에 태그 정보를 알 수 있다.
또한, 고유 연결 키를 광고 신호 또는 광고 패킷(advertising packet)에 사용하여 불필요한 연결시도 및 식별되지 않은 사용자 단말에 대한 영향을 방지할 수도 있다. 기타 BLE 표준 규격을 지키는 다른 장치들로부터 불필요한 응답을 피할 수 있으며, 사용자 단말(1000)이 애드버타이저가 되기 때문에 통지(Notification)을 사용할 수 있어 대량 데이터 전송 속도에도 효과적이다. 또한, 연결의 주체가 전자 가격 표시기(10)가 되기 때문에, 유연한 기능 구현이 가능하다.
도 6은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전자 가격 표시기의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단계 600 및 602에서, 전자 가격 표시기의 전원이 온되고 나서, 전자 가격 표시기는 슬립 모드에 진입한다.
단계 604에서, NFC 인터럽트가 발생한 경우, 전자 가격 표시기는 주변 장치로부터의 광고 신호를 스캔한다. 단계 606에서, 사용자 단말로부터 수신된 광고 패킷에서 고유 연결 키를 검색한다. 다만, 단계 610에서, 일정 시간 동안 고유 연결 키 검색에 실패한 경우 다시 단계 602로 되돌아가 슬립 모드로 복귀한다.
단계 612에서, 광고 패킷에서 고유 연결 키를 검색한 경우, 단계 614에서, 사용자 단말과 연결을 시도한다. 하지만, 단계 612에서, 고유 연결 키 검색에 실패한 경우에는 다시 단계 602로 되돌아가 슬립 모드로 복귀한다.
단계 616에서, 전자 가격 표시기는 사용자 단말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하고 나면, 연결을 종료하고, 다시 단계 602로 되돌아가 슬립 모드로 복귀한다.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가격 표시기의 제어 방법은 컴퓨터에 의해 실행되는 프로그램 모듈과 같은 컴퓨터에 의해 실행가능한 명령어를 포함하는 기록 매체의 형태로도 구현될 수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컴퓨터에 의해 액세스될 수 있는 임의의 가용 매체일 수 있고, 휘발성 및 비휘발성 매체, 분리형 및 비분리형 매체를 모두 포함한다. 또한,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는 컴퓨터 저장 매체 및 통신 매체를 모두 포함할 수 있다. 컴퓨터 저장 매체는 컴퓨터 판독가능 명령어, 데이터 구조, 프로그램 모듈 또는 기타 데이터와 같은 정보의 저장을 위한 임의의 방법 또는 기술로 구현된 휘발성 및 비휘발성, 분리형 및 비분리형 매체를 모두 포함한다. 통신 매체는 전형적으로 컴퓨터 판독가능 명령어, 데이터 구조, 프로그램 모듈과 같은 변조된 데이터 신호의 기타 데이터, 또는 기타 전송 메커니즘을 포함하며, 임의의 정보 전달 매체를 포함한다.
상술한 실시 예들에 대한 설명은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 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발명의 진정한 보호 범위는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며, 청구범위에 기재된 내용과 동등한 범위에 있는 모든 차이점은 청구범위에 의해 정해지는 보호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 전자 가격 표시기
110: 디스플레이
120: 프로세서
130: NFC 모듈
140: 블루투스 모듈
150: 저장부
1000: 사용자 단말

Claims (15)

  1. 상품 정보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
    사용자 단말과 통신하는 NFC 모듈;
    상기 사용자 단말과 통신하는 블루투스 모듈; 및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상기 블루투스 모듈을 통해 수신된 상기 상품 정보를 상기 디스플레이에 표시하도록 제어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NFC 모듈을 통해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인터럽트를 수신한 경우, 슬립 모드를 해제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의 광고 신호(advertising signal)를 수신하기 위해 소정의 시간 동안 스캔을 개시함으로써, 상기 사용자 단말과 블루투스 통신을 수행하는, 전자 가격 표시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광고 신호에 포함된 고유 연결 키(Key)를 검색하고, 상기 검색된 고유 연결 키를 기초로 상기 사용자 단말과의 블루투스 연결을 수행하는, 전자 가격 표시기.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소정의 시간 동안 상기 광고 신호에서 상기 고유 연결 키를 검색하지 못한 경우, 상기 슬립모드로 복귀하는, 전자 가격 표시기.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인터럽트에 따라, 상기 전자 가격 표시기의 정보를 상기 NFC 모듈을 통해 상기 사용자 단말에 전송하는, 전자 가격 표시기.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 가격 표시기의 정보는,
    맥 어드레스(Mac address), 태그 타입 및 고유 연결 키를 포함하는, 전자 가격 표시기.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의 상기 광고 신호에 포함된 고유 연결 키(Key)를 검색한 경우, 상기 사용자 단말에 연결 요청을 전송하는, 전자 가격 표시기.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단말에서, 상기 연결 요청에 포함된 태그 타입과, 상기 NFC 모듈을 통해 수신된 태그 타입이 일치하는 경우, 상기 블루투스 통신을 유지하는, 전자 가격 표시기.
  8.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 요청에 포함된 맥 어드레스와, 상기 NFC 모듈을 통해 수신된 맥 어드레스가 일치하는 경우, 상기 블루투스 통신을 유지하는, 전자 가격 표시기.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사용자 단말의 NFC 터치에 따라 상기 인터럽트를 생성하고, 상기 생성된 인터럽트는 상기 블루투스 모듈을 트리거하는, 전자 가격 표시기.
  10. 전자 가격 표시기의 제어 방법에 있어서,
    NFC 모듈을 통해 사용자 단말로부터 인터럽트를 수신한 경우, 슬립 모드를 해제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의 광고 신호(advertising signal)를 수신하기 위해 소정의 시간 동안 스캔을 개시하는 단계; 및
    상기 사용자 단말과 블루투스 통신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전자 가격 표시기의 제어 방법.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광고 신호에 포함된 고유 연결 키(Key)를 검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검색된 고유 연결 키를 기초로 상기 사용자 단말과의 블루투스 연결을 수행하는, 전자 가격 표시기의 제어 방법.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소정의 시간 동안 상기 광고 신호에서 상기 고유 연결 키를 검색하지 못한 경우, 상기 슬립모드로 복귀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전자 가격 표시기의 제어 방법.
  13.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의 상기 광고 신호에 포함된 고유 연결 키(Key)를 검색한 경우, 상기 사용자 단말에 연결 요청을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전자 가격 표시기의 제어 방법.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 요청에 포함된 태그 타입과, 상기 NFC 모듈을 통해 수신된 태그 타입이 일치하고, 상기 연결 요청에 포함된 맥 어드레스와, 상기 NFC 모듈을 통해 수신된 맥 어드레스가 일치하는 경우, 상기 블루투스 통신이 유지되는, 전자 가격 표시기의 제어 방법.
  15. 제 10 항 내지 제 14 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전자 가격 표시기의 제어 방법을 컴퓨터에서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기록매체.
KR1020230008100A 2022-01-20 2023-01-19 전자 가격 표시기 및 이의 제어 방법 KR20230112564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KR2023/001022 WO2023140686A1 (ko) 2022-01-20 2023-01-20 전자 가격 표시기 및 이의 제어 방법
US18/290,286 US20240071262A1 (en) 2022-01-20 2023-01-20 Electronic shelf label and controlling method therefo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08791 2022-01-20
KR20220008791 2022-01-20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12564A true KR20230112564A (ko) 2023-07-27

Family

ID=874333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008100A KR20230112564A (ko) 2022-01-20 2023-01-19 전자 가격 표시기 및 이의 제어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112564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10430558B (zh) 设备控制方法、装置、电子设备及存储介质
US20210120603A1 (en) Method and mobile terminal for controlling bluetooth low energy device
US9681381B2 (en) Bluetooth low energy (BLE) device and method for adjusting operation mode of application processor based on information communicated within BLE packet
CN105191172B (zh) 通信方法和装置
EP2750414B1 (en) Information providing method and mobile terminal therefor
AU2013263756B2 (en) Information providing method and mobile terminal therefor
KR102158208B1 (ko) 전자기기 및 그것의 제어 방법
US10080096B2 (en) Information transmission method and system, and device
CN107637069B (zh) 显示装置和用于控制显示装置的屏幕的方法
KR20160003998A (ko) 전자 라벨의 정보 갱신 방법 및 그에 따른 시스템
CN103425445A (zh) 电子橱窗系统
WO2021185354A1 (zh) 电子墨水显示设备控制和更新方法及相关设备和系统
US9208746B2 (en) Signal transmission systems of electronic display devices and transmission methods
TWI553562B (zh) Display device with 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function and data processing method thereof
KR20230112564A (ko) 전자 가격 표시기 및 이의 제어 방법
KR20190012695A (ko) 태그 컨텐츠를 포함하는 정보를 공유하는 광고 방법 및 시스템
US20240071262A1 (en) Electronic shelf label and controlling method therefor
KR101957190B1 (ko) 휴먼 머신 인터페이스를 지원하는 산업용 공장 자동화 장치, 이와 통신하는 휴대용 단말기 및 이들의 동작 방법
KR102353015B1 (ko) 디지털 사이니지 및 그 제어방법
KR20140078914A (ko) 전자 장치 및 디스플레이 구동 방법
KR102291886B1 (ko) 디지털 사이니지 및 그 제어방법
KR20220063576A (ko) 전자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JP2012227576A (ja) 通信装置および通信システム
CN117082228A (zh) 3d图像显示方法、装置、介质及设备
KR20120080993A (ko) 단말 제어 방법 및 이를 위한 단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