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12546A - 재료를 경화시키고 형광을 자극하기 위한 치과 핸드헬드 디바이스 - Google Patents

재료를 경화시키고 형광을 자극하기 위한 치과 핸드헬드 디바이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12546A
KR20230112546A KR1020230006501A KR20230006501A KR20230112546A KR 20230112546 A KR20230112546 A KR 20230112546A KR 1020230006501 A KR1020230006501 A KR 1020230006501A KR 20230006501 A KR20230006501 A KR 20230006501A KR 20230112546 A KR20230112546 A KR 2023011254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andheld device
dental
light
dental handheld
wavelength ran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00650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타티아나 그레보바
알렉산더 그로세-호네브린크
브루노 센
Original Assignee
이보클라 비바덴트 아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보클라 비바덴트 아게 filed Critical 이보클라 비바덴트 아게
Publication of KR2023011254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12546A/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9/00Dental auxiliary appliances
    • A61C19/003Apparatus for curing resins by radiation
    • A61C19/004Hand-held apparatus, e.g. gu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059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using light, e.g. diagnosis by transillumination, diascopy, fluorescence
    • A61B5/0071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using light, e.g. diagnosis by transillumination, diascopy, fluorescence by measuring fluorescence emiss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00Instruments for performing medical examinations of the interior of cavities or tubes of the body by visual or photographical inspection, e.g. endoscopes; Illuminating arrangements therefor
    • A61B1/04Instruments for performing medical examinations of the interior of cavities or tubes of the body by visual or photographical inspection, e.g. endoscopes; Illuminating arrangements therefor combined with photographic or television appliances
    • A61B1/043Instruments for performing medical examinations of the interior of cavities or tubes of the body by visual or photographical inspection, e.g. endoscopes; Illuminating arrangements therefor combined with photographic or television appliances for fluorescence imag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033Features or image-related aspects of imaging apparatus classified in A61B5/00, e.g. for MRI, optical tomography or impedance tomography apparatus; arrangements of imaging apparatus in a room
    • A61B5/0036Features or image-related aspects of imaging apparatus classified in A61B5/00, e.g. for MRI, optical tomography or impedance tomography apparatus; arrangements of imaging apparatus in a room including treatment, e.g., using an implantable medical device, ablating, ventilat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059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using light, e.g. diagnosis by transillumination, diascopy, fluorescence
    • A61B5/0082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using light, e.g. diagnosis by transillumination, diascopy, fluorescence adapted for particular medical purposes
    • A61B5/0088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using light, e.g. diagnosis by transillumination, diascopy, fluorescence adapted for particular medical purposes for oral or dental tissu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68Arrangements of 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means, e.g. sensors, in relation to patient
    • A61B5/6801Arrangements of 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means, e.g. sensors, in relation to patient specially adapted to be attached to or worn on the body surface
    • A61B5/6813Specially adapted to be attached to a specific body part
    • A61B5/6814Head
    • A61B5/682Mouth, e.g., oral cavity; tongue; Lips; Teeth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00Dental machines for boring or cutting ; General features of dental machines or apparatus, e.g. hand-piece design
    • A61C1/0007Control devices or system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3/00Dental prostheses; Making same
    • A61C13/12Tools for fastening artificial teeth; Holders, clamps, or stands for artificial teeth
    • A61C13/14Vulcanising devices for artificial teeth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9/00Dental auxiliary appliances
    • A61C19/04Measuring instruments specially adapted for dentistry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1/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optical means, i.e. using sub-millimetre waves,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 G01N21/62Systems in which the material investigated is excited whereby it emits light or causes a change in wavelength of the incident light
    • G01N21/63Systems in which the material investigated is excited whereby it emits light or causes a change in wavelength of the incident light optically excited
    • G01N21/64Fluorescence; Phosphorescence
    • G01N21/6447Fluorescence; Phosphorescence by visual observ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18Closed-circuit television [CCTV] systems, i.e. systems in which the video signal is not broadcas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002Remote monitoring of patients using telemetry, e.g. transmission of vital signals via a communication network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Dentistry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atholo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Surgery (AREA)
  • Biophysic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Radiology & Medical Imaging (AREA)
  • Audiology, Speech & Language Pathology (AREA)
  • Biochemist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Immunology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Dental Tools And Instruments Or Auxiliary Dental Instruments (AREA)
  • Investigating, Analyzing Materials By Fluorescence Or Luminescence (AREA)
  • Endoscop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제1 파장 범위의 광으로 치아 복원 재료(103)를 경화시키기 위한 경화 디바이스(101); 및 제2 파장 범위의 광으로 치아 물질(107)의 형광을 여기시키기 위한 형광 여기 디바이스(105)를 포함하는, 치과 핸드헬드 디바이스(100)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재료를 경화시키고 형광을 자극하기 위한 치과 핸드헬드 디바이스{DENTAL HAND-HELD DEVICE FOR CURING MATERIAL AND STIMULATING FLUORESCENCE}
본 발명은 제1 파장 범위의 광으로 광경화 물질(light-curing substance)을 경화시키고, 제2 파장 범위의 광으로 치아 물질(dental substance)의 형광을 여기시키기 위한 치과 핸드헬드 디바이스에 관한 것이다.
오늘날, 치과 진단들은 치아 상태의 시각적 평가 시에 치과 전문 지식을 이용하는 것뿐만 아니라 방사선 사진들에 의해 이루어진다. X-선들에 더하여, 이제 이빨들을 광투과하기 위해 장파(적외선) 방사를 이용하는 구강내 스캐너들 및 구강내 카메라들이 존재한다. 이 방법은 인접한 충치(approximal caries)를 시각화하는데 이용될 수 있다. 치과의사는 특정 표시들을 시각적으로 식별할 수 있다. 그러나, 눈으로 복원 재료들 및 이빨 구조를 구별하는 것은 종종 어렵다. 현재 이 문제에 대한 간단한 해결책은 없다.
본 발명의 문제는 치열에서의 특정 위치들을 추가로 볼 수 있게 할 수 있는, 광경화 물질을 경화시키기 위한 치과 핸드헬드 디바이스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러한 기술적 문제는 독립 청구항들에 따른 주제에 의해 해결된다. 기술적으로 유리한 실시예들은 종속 청구항들, 설명 및 도면들의 주제이다.
제1 양태에 따르면, 이러한 기술적 문제는 치과 핸드헬드 디바이스에 의해 해결되고, 치과 핸드헬드 디바이스는, 제1 파장 범위의 광으로 치아 복원 재료를 경화시키기 위한 경화 디바이스; 및 제2 파장 범위의 광으로 이빨 물질(tooth substance)의 형광을 여기시키기 위한 형광 여기 디바이스를 포함한다.
치과 핸드헬드 디바이스는 사용자가 캐비티에서의 복원물들 및 충치를 쉽게 식별하고, 이들을 건강한 이빨 구조로부터 구별할 수 있게 한다. 또한, 박테리아 대사물의 여기는 다른 진단(플라크(plaque), 캘큐러스(calculus))을 식별 및 확인하는데 이용될 수 있다. 중합 램프와 같은 경화 디바이스 및 형광 디바이스를 조합하는 것의 이점은 치아 복원 재료의 경화 동안, 경화 전에 또는 경화 후에 부식된 영역들의 식별이 또한 수행될 수 있다는 것이다.
치과 핸드헬드 디바이스의 기술적으로 유리한 실시예에서, 치과 핸드헬드 디바이스는 경화 디바이스 및 형광 여기 디바이스를 제어하기 위한 전자 제어 유닛을 포함한다. 이것은, 예를 들어, 경화 디바이스 및 형광 여기 디바이스가 유연하고 독립적으로 제어될 수 있다는 기술적 이점을 달성한다.
치과 핸드헬드 디바이스의 다른 기술적으로 유리한 실시예에서, 전자 제어 유닛은 경화 디바이스 및 형광 여기 디바이스를 서로 독립적으로 활성화하도록 설계된다. 이것은, 예를 들어, 경화 디바이스 및 형광 여기 디바이스가 필요에 따라 스위치 온 및 오프될 수 있다는 기술적 이점을 달성한다.
치과 핸드헬드 디바이스의 다른 기술적으로 유리한 실시예에서, 전자 제어 유닛은 미리 결정된 시간 간격으로 경화 디바이스 및 형광 여기 디바이스를 활성화하도록 설계된다. 이것은, 예를 들어, 경화된 충전물의 검사가 경화 후에 자동으로 수행될 수 있다는 기술적 이점을 달성한다.
치과 핸드헬드 디바이스의 다른 기술적으로 유리한 실시예에서, 치과 핸드헬드 디바이스는 형광 광을 기록하기 위한 전자 카메라를 포함한다. 광학 필터는, 예를 들어, 청색 광을 걸러내기 위해 카메라의 전방에 배열될 수 있다. 카메라는, 예를 들어, 부식된 영역들의 형광 이미지들이 저장될 수 있다는 기술적 이점을 달성한다.
치과 핸드헬드 디바이스의 다른 기술적으로 유리한 실시예에서, 치과 핸드헬드 디바이스는 전자 카메라로부터 외부 디바이스로 데이터를 송신하기 위한 전자 인터페이스를 포함한다. 이것은, 예를 들어, 부식된 영역들의 디지털 형광 이미지들이 외부적으로 처리 및 평가될 수 있다는 기술적 이점을 제공한다.
치과 핸드헬드 디바이스의 다른 기술적으로 유리한 실시예에서, 치과 핸드헬드 디바이스는 제1 파장 범위 및 제2 파장 범위의 광을 방출하도록 설계되는 단일 광원을 포함한다. 이것은, 예를 들어, 치과 핸드헬드 디바이스가 약간의 노력으로 제조될 수 있다는 기술적 이점을 달성한다.
치과 핸드헬드 디바이스의 다른 기술적으로 유리한 실시예에서, 치과 핸드헬드 디바이스는 제1 파장 범위 또는 제2 파장 범위를 차단하기 위한 광학 필터를 포함한다. 이것은, 예를 들어, 각각의 광의 파장 범위가 높은 정밀도로 조정될 수 있다는 기술적 이점을 달성한다.
치과 핸드헬드 디바이스의 다른 기술적으로 유리한 실시예에서, 빔 경로는 광학 필터에 의해 편향될 수 있고 또는 필터는 빔 경로 내로 이동될 수 있다. 이것은, 예를 들어, 각각의 광의 주파수가 제어될 수 있다는 기술적 이점을 달성한다.
치과 핸드헬드 디바이스의 다른 기술적으로 유리한 실시예에서, 치과 핸드헬드 디바이스는 광학 필터를 통해 빔 경로를 편향시키기 위한 이동가능한 미러 또는 전자적으로 제어가능한 마이크로미러를 포함한다. 이것은, 예를 들어, 빔 경로가 간단한 방식으로 편향될 수 있다는 기술적 이점을 달성한다.
치과 핸드헬드 디바이스의 다른 기술적으로 유리한 실시예에서, 필터는 에지 필터 또는 고역 통과 필터를 포함한다. 이것은, 예를 들어, 이용되지 않은 파장 범위가 효과적으로 억제될 수 있다는 기술적 이점을 달성한다.
치과 핸드헬드 디바이스의 다른 기술적으로 유리한 실시예에서, 치과 핸드헬드 디바이스는 제1 파장 범위의 광을 방출하기 위한 제1 광원 및 제2 파장 범위의 광을 방출하기 위한 제2 광원을 포함한다. 이것은, 예를 들어, 특정 광원이 다른 광원과 무관한 각각의 응용 목적에 이용될 수 있고 에너지가 절약될 수 있다는 기술적 이점을 달성한다.
치과 핸드헬드 디바이스의 다른 기술적으로 유리한 실시예에서, 경화 디바이스의 광 및/또는 형광 여기 디바이스의 광의 강도는 조정가능하다. 이러한 목적을 위해, 치과 핸드헬드 디바이스는 경화 디바이스의 광 및/또는 형광 여기 디바이스의 광의 강도가 서로 독립적으로 조정될 수 있게 하는 제어기를 포함할 수 있다. 그러나, 제어기는 또한 전자 제어 유닛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제어 디바이스 또는 조정기는, 예를 들어, 각각의 광원의 전력을 제어할 수 있다. 이것은, 예를 들어, 치과 핸드헬드 디바이스가 특정 조명 조건들에 적응될 수 있다는 기술적 이점을 제공한다.
치과 핸드헬드 디바이스의 다른 기술적으로 유리한 실시예에서, 경화 디바이스 및/또는 형광 여기 디바이스의 활성화가 선택될 수 있다. 이러한 목적을 위해, 전자 스위치가 치과 핸드헬드 디바이스에 배열될 수 있으며, 이에 의해 경화 디바이스 및/또는 형광 여기 디바이스의 활성화가 수동으로 선택될 수 있다. 이것은, 예를 들어, 사용자가 필요에 따라 형광을 여기시키거나 치아 복원 재료를 경화시킬 수 있다는 기술적 이점을 달성한다.
치과 핸드헬드 디바이스의 다른 기술적으로 유리한 실시예에서, 제1 파장 범위는 380 nm와 515 nm 사이이고, 제2 파장 범위는 380 nm와 415 nm 사이이다. 이것은, 예를 들어, 치아 복원 재료가 효율적으로 경화될 수 있고, 부식된 영역들이 쉽게 검출될 수 있다는 기술적 이점을 제공한다. 제2 파장 범위는 형광의 과-조명(over-illuminating)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의 예들이 도면들에 도시되며, 아래에 더 상세히 설명된다.
도 1은 치과 핸드헬드 디바이스의 개략도를 도시한다.
도 2는 치과 핸드헬드 디바이스의 광원의 스펙트럼을 도시한다.
도 3은 치과 핸드헬드 디바이스의 광원의 다른 스펙트럼을 도시한다.
도 1은 치과 핸드헬드 디바이스(100)의 개략도를 도시한다. 치과 핸드헬드 디바이스(100)는 이용 중에 사용자에 의해 핸드헬드될 수 있는 휴대용 전자 디바이스이다. 치과 핸드헬드 디바이스(100)는 제1 파장 범위의 광으로 치아 복원 재료(103)를 경화시키기 위한 경화 디바이스(101)를 포함한다. 광은 치과 핸드헬드 디바이스(100) 내의 광원(119)으로부터 방출된다. 광원(119)은, 예를 들어, 발광 다이오드 또는 레이저 다이오드에 의해 형성된다. 광은 광 가이드(113)에 의해 치아 복원 재료(103)가 배치되는 이빨(111)로 안내된다. 치아 복원 재료(103)는, 예를 들어, 380과 515 nm 사이에서 광-유도성(photo-inductively) 경화가능한 폴리머이다.
경화 디바이스(101)에 더하여, 치과 핸드헬드 디바이스(100)는 제2 파장 범위의 광으로 이빨(111)의 부식된 이빨 물질(107)의 형광을 여기시키기 위한 형광 여기 디바이스(105)를 포함한다. 형광 여기 디바이스(105)에 의해, 예를 들면, 청색 광으로 박테리아 대사물의 형광을 여기시킬 수 있다. 발생하는 형광은 구강 미생물들의 존재를 나타내고, 플라크, 캘큐러스 및 충치와 같은 구강 상태들을 나타낸다. 형광은 재료가 광에 의해 여기된 직후의 광의 자발적 방출이다. 이 프로세스에서, 방출된 광자들은 일반적으로 이전에 흡수된 것보다 에너지가 낮다. 치아 복원 재료(103)의 경화는 양쪽 파장 범위들에서 발생할 수 있는 반면, 형광 여기는 제2 파장 범위에서만 발생한다.
경화 디바이스(101) 및 형광 여기 디바이스(105)는 전자 제어 유닛(109)에 의해 제어된다. 제어 디바이스(109)는 경화 디바이스(101) 및 형광 여기 디바이스(105)를 서로 독립적으로 활성화하거나, 이들을 3초와 같은 미리 결정된 시간 간격으로 활성화하도록 적응된다. 이것은, 예를 들어, 경화 디바이스(101)가 비활성화된 후 미리 결정된 시간 기간 후에 형광 여기 디바이스(105)가 활성화되는 것을 허용한다. 이것은 치아 복원 재료(103)가 부식된 장소에서 경화된 후에, 임의의 다른 부식된 장소들이 존재하는지를 알기 위해 항상 체크되는 것을 보장할 수 있다. 제어 유닛(109)은, 예를 들어, 제어 프로그램들 및 데이터가 저장되는 디지털 메모리 및 마이크로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치과 핸드헬드 디바이스(100)는 CCD 카메라와 같은, 이빨(111)에 의해 생성되는 형광 광의 디지털 이미지를 획득할 수 있는 전자 카메라(115)를 포함할 수 있다. 전자 카메라(115)는 또한 전자 제어 디바이스(109)에 의해 활성화될 수 있다. 디지털 기록을 통해, 발생하는 임의의 형광은 이미지 파일로서 영구적으로 문서화될 수 있다. 이어서, 이미지 파일은 전자 데이터 인터페이스(117)를 통해 외부 디바이스(121)로 송신될 수 있다. 데이터 인터페이스는, 예를 들어, WLAN 또는 블루투스 인터페이스에 의해 형성된다. 컴퓨터와 같은 외부 디바이스(121)에서, 디지털 이미지가 분석되어 의료 기록에 내보내질 수 있다.
치과 핸드헬드 디바이스(100)는 제1 파장 범위 및 제2 파장 범위 양자를 갖는 광을 출력하는 광대역 광원(119)을 포함할 수 있다. 그러나, 치과 핸드헬드 디바이스(100)는 2개의 개별 협대역 광원들(119)도 포함할 수 있으며, 이들 중 하나는 제1 파장 범위를 출력하고 경화 디바이스(101)와 연관되며, 다른 하나는 제2 파장 범위를 출력하고 형광 여기 디바이스(105)와 연관된다. 이러한 광원들은 서로 독립적으로 턴 온 및 오프될 수 있다.
그러나, 경화 동안, 410 nm의 파장을 갖는 발광 다이오드 및 465 nm의 파장을 갖는 발광 다이오드와 같이, 상이한 파장 범위들을 갖는 2개의 광원들(119)이 동시에 턴 온될 수 있는 반면, 형광 여기 동안, 410 nm의 파장을 갖는 발광 다이오드와 같이, 단일 광원만이 턴 온된다. 따라서, 다수의 광원들(119)이 경화 파장에서 턴 온된다. 추가적으로, 다수의 광원들은 전력을 증가시키기 위하여, 465 nm의 파장을 갖는 다수의 발광 다이오드들과 같은 파장들의 범위에 대하여 광원(119)으로서 턴 온될 수 있다.
단일 광원(119)만이 이용되는 경우, 치과 핸드헬드 디바이스(100)는 제1 파장 범위 및/또는 제2 파장 범위를 차단하기 위한 광학 필터(123)를 포함한다. 광학 필터(123)는, 예를 들어, 대역 통과 필터 또는 에지 필터이다. 이용되는 파장 범위에 따라, 광학 필터(123)는 광의 경로를 지향시키거나 광학 필터(123)를 광의 경로 내로 이동시킬 수 있다. 이에 대한 제어는 전자 제어 유닛(109)에 의해 수행된다.
이것은 광학 필터(123)를 통해 빔 경로를 재지향시키기 위해 기계적으로 이동가능한 미러(127) 또는 전자적으로 제어가능한 마이크로미러들의 어레이(DLP - Digital Light Processing)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전자적으로 제어가능한 마이크로미러들의 어레이를 통해, 광 빔은 이동가능한 마이크로미러들의 직사각형 어레이에 의해 픽셀들로 분할된 다음, 픽셀별로 투영 경로 안 또는 밖으로 반사된다.
또한, 형광 여기 디바이스(105)로부터의 청색 광은 치아 재료들로부터 녹색을 띤 형광을 여기시킬 수 있다. 부식된 병변들을 채우기 위해 이용되는 일부 치아 재료들은 청색 및 자외선 광에서 형광하도록 여기될 수 있는 형광 색소들을 포함한다. 이 형광은, 자연 이빨도 역시 이 스펙트럼 범위에서 고유 형광을 보이기 때문에, 치아 복원을 태양광 및 인공 자외선 광에서 자연스럽게 보이게 한다. 형광은 플라크, 캘큐러스 및 충치뿐만 아니라, 치아 복원 재료들을 볼 수 있게 하는 간단한 가능성을 제공한다.
도 2는 치과 핸드헬드 디바이스(100)의 광원(119)의 스펙트럼을 도시한다. 광원(119)의 스펙트럼은 410 nm의 파장에서 제1 최대값(125-1) 및 450 nm의 파장에서 제2 최대값(125-2)을 갖는다.
형광의 과도-방사를 배제하기 위해, 단파 광으로만 여기하고 장파 광(450 nm)을 차단하는 것이 유리하다. 예를 들어, 형광을 가시화하기 위해, 제2 최대값(125-2)은 광학 필터(123)에 의해 차단된다. 이 경우, 치과 핸드헬드 디바이스(100)는 380 nm와 415 nm 사이의 파장 범위에서 제1 최대값(125-1)의 광만을 방출한다.
이상적으로, 형광 여기 디바이스(105)는 최대 405 nm(청색)의 여기 및 가능한 한 좁은 대역폭을 방출한다. 예를 들어, 치아 복원 재료(103)는 535 nm(녹색)의 파장에서 형광을 발하고, 플라크, 캘큐러스 또는 충치를 갖는 이빨 물질(107)은 610 nm(적색)의 파장에서 형광을 발한다.
그러나, 치과 핸드헬드 디바이스(100)는 또한 각각이 상이한 파장 범위에서 광을 방출하는 2개의 상이한 광원들(119)을 가질 수 있다. 이 경우, 형광을 여기시키기 위해 하나의 광원만이 턴 온되고, 다른 광원은 턴 오프될 때 형광이 가시화될 수 있다. 다른 광원은 치아 복원 재료(103)를 경화시키는데 이용된다.
도 3은 치과 핸드헬드 디바이스(100)의 광원의 다른 스펙트럼을 도시한다. 녹색 파장 범위(510 nm 내지 550 nm) 또는 적색 파장 범위(580 nm 내지 640 nm)의 치아 물질(107)의 형광은 380 nm와 415 nm 사이의 파장 범위에서 제1 최대값(125-1)의 광에 의해 여기된다. 광학 필터(123)는 460 nm보다 큰 파장 범위의 방출을 차단하기 때문에, 형광이 쉽게 검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광학 필터(123)는 고역 통과 필터이다.
또한, 하나의 파장을 필터링하고 보다 긴 파장의 형광 방사만을 통과시키기 위해 사용자와 환자 사이에 고글 또는 차폐부 형태의 고역 통과 필터가 이용될 수 있다.
치과 핸드헬드 디바이스(100)는 치아 중합 램프에 청색 광 유도 형광 진단 방법의 통합을 가능하게 한다. 따라서, 치과 핸드헬드 디바이스(100)는 단일 디바이스에서 다양한 진단 옵션들(치아 복원 재료들 및 박테리아 대사물의 형광) 및 치료(치아 복원 물질들의 경화)를 조합하여 치료 프로세스에서 치과의사를 지원한다. 치과 핸드헬드 디바이스(100)는 또한 치아 위생 치료 전후에 잔류 캘큐러스 및 플라크를 검출하는데 이용될 수 있다.
치과 핸드헬드 디바이스(100)는 치과의사의 작업 흐름 및 살균(disinfection)(교차 오염의 회피)을 용이하게 한다. 추가적인 적용 영역은 이빨 세정 또는 충치 진단일 수 있다. 치과 핸드헬드 디바이스(100)는 진단(충치, 오래된 충전물)의 가능성을 용이하게 하고, 하나의 유닛에서 치료(중합 램프)를 가능하게 한다. 그것은 동일한 디바이스(충치 제거, 오래된 충전물들의 제거, 새로운 충전물들의 경화)로 충전물 배치의 모든 단계들을 커버하는 것을 허용한다.
플라크, 캘큐러스 또는 충치와 같은 박테리아 생성 치아 표시들(bacteria-generated dental indications)의 적색 형광은 치과 핸드헬드 디바이스(100)로 효율적으로 시각화될 수 있다. 따라서, 치과 핸드헬드 디바이스(100)는 치과의사에 의해 이미 이용되는 디바이스에서의 빠르고 복잡하지 않은 솔루션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개별 실시예들과 관련하여 설명되고 도시된 모든 특징들은 그들의 유익한 효과들을 동시에 실현하기 위해 본 발명의 주제에서 상이한 조합들로 제공될 수 있다.
모든 방법 단계들은 각각의 방법 단계를 실행하기에 적합한 수단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목적 특징들에 의해 실행되는 모든 기능들은 방법의 방법 단계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청구항들에 의해 주어지며, 설명에서 설명되거나 도면들에 도시된 특징들에 의해 제한되지 않는다.
100: 치과 핸드헬드 디바이스
101: 경화 디바이스
103: 치아 복원 재료
105: 형광 여기 디바이스
107: 이빨 구조
109: 전자 제어 유닛
111: 이빨
113: 광 가이드
115: 전자 카메라
117: 전자 데이터 인터페이스
119: 광원
121: 외부 디바이스
123: 광학 필터
125: 최대값
127: 미러/마이크로미러

Claims (15)

  1. 치과 핸드헬드 디바이스(100)로서,
    제1 파장 범위의 광으로 치아 복원 재료(103)를 경화시키기 위한 경화 디바이스(101); 및
    제2 파장 범위의 광으로 이빨 물질(107)의 형광을 여기시키기 위한 형광 여기 디바이스(105)를 포함하는, 치과 핸드헬드 디바이스(100).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치과 핸드헬드 디바이스(100)는 상기 경화 디바이스(101) 및 상기 형광 여기 디바이스(105)를 제어하기 위한 전자 제어기(109)를 포함하는, 치과 핸드헬드 디바이스(100).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 제어기(109)는 상기 경화 디바이스(101) 및 상기 형광 여기 디바이스(105)를 서로 독립적으로 활성화하도록 구성되는, 치과 핸드헬드 디바이스(100).
  4.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 제어 유닛(109)은 미리 결정된 시간 간격으로 상기 경화 디바이스(101) 및 상기 형광 여기 디바이스(105)를 활성화하도록 적응되는, 치과 핸드헬드 디바이스(100).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치과 핸드헬드 디바이스(100)는 형광 광을 캡처하기 위한 전자 카메라(115)를 포함하는, 치과 핸드헬드 디바이스(100).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치과 핸드헬드 디바이스(100)는 상기 전자 카메라(115)로부터 외부 디바이스(121)로 데이터를 송신하기 위한 전자 데이터 인터페이스(117)를 포함하는, 치과 핸드헬드 디바이스(100).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치과 핸드헬드 디바이스(100)는 상기 제1 파장 범위 및 상기 제2 파장 범위의 광을 방출하도록 구성된 광원(119)을 포함하는, 치과 핸드헬드 디바이스(100).
  8.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치과 핸드헬드 디바이스(100)는 상기 제1 파장 범위 및 상기 제2 파장 범위를 차단하기 위한 광학 필터(123)를 포함하는, 치과 핸드헬드 디바이스(100).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광학 필터(123)를 통한 빔 경로는 편향될 수 있고 또는 상기 필터(123)는 상기 빔 경로 내로 이동될 수 있는, 치과 핸드헬드 디바이스(100).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치과 핸드헬드 디바이스(100)는 상기 광학 필터(123)를 통해 상기 빔 경로를 재지향시키기 위한 이동가능한 미러(127) 또는 전자적으로 제어가능한 마이크로미러(127)를 포함하는, 치과 핸드헬드 디바이스(100).
  11. 제8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123)는 에지 필터 또는 고역 통과 필터를 포함하는, 치과 핸드헬드 디바이스(100).
  12. 제1항 내지 제1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치과 핸드헬드 디바이스(100)는 상기 제1 파장 범위의 광을 방출하기 위한 제1 광원 및 상기 제2 파장 범위의 광을 방출하기 위한 제2 광원을 포함하는, 치과 핸드헬드 디바이스(100).
  13. 제1항 내지 제1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경화 디바이스(101)의 광 및/또는 상기 형광 여기 디바이스(105)의 광의 강도는 조정가능한, 치과 핸드헬드 디바이스(100).
  14. 제1항 내지 제1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경화 디바이스(101) 및/또는 상기 형광 여기 디바이스(105)의 활성화는 선택될 수 있는, 치과 핸드헬드 디바이스(100).
  15. 제1항 내지 제1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파장 범위는 380 nm와 515 nm 사이이고, 상기 제2 파장 범위는 380 nm와 415 nm 사이인, 치과 핸드헬드 디바이스(100).
KR1020230006501A 2022-01-20 2023-01-17 재료를 경화시키고 형광을 자극하기 위한 치과 핸드헬드 디바이스 KR20230112546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EP22152354.1A EP4215152A1 (de) 2022-01-20 2022-01-20 Dentalhandgerät zum aushärten von material und anregen von fluoreszenz
EP22152354.1 2022-01-20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12546A true KR20230112546A (ko) 2023-07-27

Family

ID=798310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006501A KR20230112546A (ko) 2022-01-20 2023-01-17 재료를 경화시키고 형광을 자극하기 위한 치과 핸드헬드 디바이스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20230225842A1 (ko)
EP (1) EP4215152A1 (ko)
JP (1) JP2023106358A (ko)
KR (1) KR20230112546A (ko)
CN (1) CN116458839A (ko)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325623B1 (en) * 2000-03-31 2001-12-04 Ivan Melnyk Dental light curing and diagnosing device
AU2010300079B2 (en) * 2009-09-22 2014-03-06 Lj Walsh Dental Pty Ltd Illuminating dental instrument, coupling and method of us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4215152A1 (de) 2023-07-26
US20230225842A1 (en) 2023-07-20
JP2023106358A (ja) 2023-08-01
CN116458839A (zh) 2023-07-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eggeberg et al. Light curing in dentistry and clinical implications: a literature review
EP0830852B1 (en) Fiber-optic endodontic apparatus
KR100800120B1 (ko) 치과 진료 장치
JP4521180B2 (ja) 診断用撮影器
CN1307936C (zh) 牙齿人工产物检测和去除设备
Rueggeberg State-of-the-art: dental photocuring—a review
EP2895106B1 (en) Dental irradiation device and system
André et al. Stability of the light output, oral cavity tip accessibility in posterior region and emission spectrum of light-curing units
CN110366396A (zh) 光固化牙科系统
US20130034826A1 (en) Intraoral inspection apparatus and method for operating intraoral inspection apparatus
JP2004237081A (ja) 診断用撮影器
KR20070027540A (ko) 생체 관찰기기, 구강 내 촬영장치 및 의료용 진료기구
JP2006122335A (ja) カメラ装置
JP2006081842A (ja) 撮影用補助装置
JP4822698B2 (ja) 歯科治療装置
US20230225842A1 (en) Dental hand-held device for curing material and stimulating fluorescence
JPWO2018230418A1 (ja) プロセッサ装置とその作動方法、内視鏡システム、並びに画像表示装置とその作動方法、作動プログラム
US10376350B2 (en) Dental light curing device
JP2004089236A (ja) 歯観察装置
JP2004089239A (ja) 口腔組織観察装置
JPH0889478A (ja) 口腔組織観察装置
US20110149058A1 (en) Intra-oral camera with polarized and unpolarized light
Hadole et al. Light-curing unit (devices)
KR101701921B1 (ko) 구강 촬영장치
JP5410374B2 (ja) 口腔内観察装置