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12480A - Security Auxiliary Door on The Front Door - Google Patents

Security Auxiliary Door on The Front Doo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12480A
KR20230112480A KR1020220008785A KR20220008785A KR20230112480A KR 20230112480 A KR20230112480 A KR 20230112480A KR 1020220008785 A KR1020220008785 A KR 1020220008785A KR 20220008785 A KR20220008785 A KR 20220008785A KR 20230112480 A KR20230112480 A KR 2023011248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pening
auxiliary
door
magnet
auxiliary do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08785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양승춘
안근태
Original Assignee
양승춘
안근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양승춘, 안근태 filed Critical 양승춘
Priority to KR102022000878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112480A/en
Publication of KR2023011248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12480A/en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5/00Doors, windows, or like closures for special purposes; Border constructions therefor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CBOLTS OR FASTENING DEVICES FOR WINGS, SPECIALLY FOR DOORS OR WINDOWS
    • E05C1/00Fastening devices with bolts moving rectilinearly
    • E05C1/002Fastening devices with bolts moving rectilinearly perpendicular to the surface on which the fastener is mounted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3/00Hinges with pins
    • E05D3/02Hinges with pins with one pin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15/0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 E05F15/6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 E05F15/603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using rotary electromotor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7/00Special arrangements or measures in connection with doors or windows
    • E06B7/28Other arrangements on doors or windows, e.g. door-plates, windows adapted to carry plants, hooks for window cleaners
    • E06B7/30Peep-holes; Devices for speaking through; Doors having window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18Closed-circuit television [CCTV] systems, i.e. systems in which the video signal is not broadcast
    • H04N7/183Closed-circuit television [CCTV] systems, i.e. systems in which the video signal is not broadcast for receiving images from a single remote source
    • H04N7/186Video door telephone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RELATING TO HINGES OR OTHE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AND 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AND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Y2201/00Constructional elements; Accessories therefore
    • E05Y2201/60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Accessories therefore
    • E05Y2201/622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elements
    • E05Y2201/71Toothed gearing
    • E05Y2201/716Pin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RELATING TO HINGES OR OTHE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AND 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AND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Y2201/00Constructional elements; Accessories therefore
    • E05Y2201/60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Accessories therefore
    • E05Y2201/622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elements
    • E05Y2201/71Toothed gearing
    • E05Y2201/722Rack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RELATING TO HINGES OR OTHE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AND 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AND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Y2900/0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 E05Y2900/1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buildings or parts thereof
    • E05Y2900/13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buildings or parts thereof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wing
    • E05Y2900/144Security grills

Abstract

본 발명은 현관문에 장착되는 보조문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현관문에 일정크기로 형성되는 메인개구부의 전면측에 외부가드를 구비하여 상기 메인개구부의 크기를 축소시키며, 보조도어의 전면부에 가드플레이트를 구비하여 보조도어와 단차를 이루도록 함으로써 침입도구의 삽입을 차단하여 방범성이 향상되는 현관문에 장착되는 방법 보조문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uxiliary door mounted on a front door, and more particularly, to a method auxiliary door mounted on a front door that reduces the size of the main opening by providing an external guard on the front side of a main opening formed to a certain size in the front door, and having a guard plate on the front surface of the auxiliary door to form a step with the auxiliary door to block the insertion of an intrusion tool and improve security.

Description

현관문에 장착되는 방범 보조문 {Security Auxiliary Door on The Front Door }Security auxiliary door mounted on the front door {Security Auxiliary Door on The Front Door}

본 발명은 현관문에 장착되는 보조문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현관문에 일정크기로 형성되는 메인개구부의 전면측에 외부가드를 구비하여 상기 메인개구부의 크기를 축소시키며, 보조도어의 전면부에 가드플레이트를 구비하여 보조도어와 단차를 이루도록 함으로써 침입도구의 삽입을 차단하여 방범성이 향상되는 현관문에 장착되는 방법 보조문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uxiliary door mounted on a front door, and more particularly, to a method auxiliary door mounted on a front door that reduces the size of the main opening by providing an external guard on the front side of a main opening formed to a certain size in the front door, and having a guard plate on the front surface of the auxiliary door to form a step with the auxiliary door to block the insertion of an intrusion tool and improve security.

일반적으로 현관문은 아파트, 사무실 또는 단독주택 등의 주거에 사람이 출입할 수 있도록 마련된 출입구의 한쪽에 힌지 결합되어 출입구를 개폐한다.In general, a front door is hinged to one side of an entrance prepared to allow people to enter and exit a dwelling such as an apartment, an office, or a detached house to open and close the entrance.

근래들어, 택배와 배달 서비스가 널리 이용됨에 따라 거주자가 택배나 배달서비스를 이용하는 경우에 기사가 거주자의 집에 방문하게 된다. 이때, 거주자는 현관문을 열어 서비스를 신청한 물품을 주고 받는다.In recent years, as couriers and delivery services are widely used, when a resident uses a courier service or delivery service, an engineer visits a resident's house. At this time, the resident opens the front door and exchanges the goods requested for the service.

그러나, 나날이 범죄의 수법이 교모해짐에 따라서 배달기사로 위장한 범법자가 거주자의 집을 방문하여 현관문을 열도록 유도하고, 현관문이 열리는 순간 강도로 돌변하여 거주자의 인적, 물적 피해를 끼치게 된다. However, as the methods of crime become sophisticated day by day, a criminal disguised as a delivery driver visits a resident's house and induces him to open the front door.

범죄를 차단하기 위해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현관문을 개방하지 않고서도 외부의 방문자를 확인할 수 있도록 작은 크기의 투시창이 구비되는 현관문이 널리 사용된다.In order to prevent crime, a front door equipped with a small-sized viewing window is widely used so that outside visitors can be checked without opening the front door.

그러나 작은 투시창을 외부에서 가리는 경우에 방문자를 확인할 수 없는 단점이 존재하고, 더불어 배달기사로 위장한 경우에는 물품의 수령을 위해서 현관문을 불가피하게 개방하여야 하므로 범죄의 위협에 노출되는 어려움이 있었다. However, there is a disadvantage that visitors cannot be identified when the small viewing window is covered from the outside, and when disguised as a delivery driver, the front door must be opened inevitably to receive the goods, so there is a difficulty in being exposed to the threat of crime.

따라서 한국공개특허 10-2018-0005645호에 게시된 현관문용 간이형 무인 택배 수납대는 상기 현관문에 탈부착을 유도하는 고정수단이 마련되는 고정판; 상기 고정판 상에 힌지를 따라 절첩 가능하게 장착되고, 상기 택배를 바닥으로부터 지지하는 수납판;으로 구성된다. Therefore, the simple unmanned delivery storage for the front door posted in Korean Patent Publication No. 10-2018-0005645 includes a fixing plate provided with a fixing means for inducing attachment and detachment to the front door; It consists of; a receiving plate mounted on the fixing plate to be foldable along a hinge and supporting the delivery service from the bottom.

이러한 택배 수납대는 현관문을 열지 않고서도 수납판만을 열어 물품을 수령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This courier storage rack has the advantage of being able to receive goods by opening only the storage plate without opening the front door.

그러나 상기 발명은 물품을 수령받기 위해서는 수납판의 크기만큼 현관문을 개방하여야 하므로 비교적 큰 면적이 개방된다. 수납판이 개방되면 개방된 면적으로 침입자가 도구를 들이밀어 닫지 못하도록 할 수 있으며, 개방된 면적으로 현관문의 개방을 시도할 수 있다. However, since the front door has to be opened as much as the size of the receiving plate to receive the goods, a relatively large area is opened. When the storage plate is opened, an intruder can prevent an intruder from inserting a tool into the open area and attempt to open the front door with the open area.

또한, 범죄자가 침입을 목적으로 상기 택배 수납대를 파손시키는 경우에 고정판과 수납판 사이로 긴 꼬챙이나 막대를 삽입하여 파손시키게 되면 수납판 크기의 면적이 개방되며, 개방된 면적으로 현관문의 개방을 시도할 수 있어 보안에 취약하다는 단점이 있다. In addition, when a criminal damages the courier storage rack for the purpose of intrusion, when a long skewer or rod is inserted between the fixing plate and the storage plate to damage it, an area the size of the storage plate is opened, and the open area can be used to open the front door. There is a disadvantage that security is vulnerable.

따라서 현관문을 직접 개방하지 않고서도 일정크기 이하의 물품을 주고 받을 수 있으며, 방문자를 명확하게 확인할 수 있으면서 보안을 유지할 수 있는 현관문에 장착되는 보조문의 개발이 대두된다.Therefore, the development of an auxiliary door mounted on the front door that can send and receive items of a certain size or less without opening the front door directly, and which can clearly identify visitors and maintain security is emerging.

KR 10-2018-0005645 (A) 2018.01.16.KR 10-2018-0005645 (A) 2018.01.16. KR 10-2015-0085718 (A) 2015.07.24.KR 10-2015-0085718 (A) 2015.07.24.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현관문에 일정크기로 형성되는 메인개구부를 개방 또는 폐쇄하는 보조도어를 구비하며, 메인개구부의 전면측에 가드날개가 형성되는 외부가드를 구비하고, 가드날개의 내측 테두리와 접촉하는 가드플레이트를 보조도어의 전면부에 구비하여 보조도어와 단차를 형성하므로 침입도구의 삽입을 차단하여 방범성이 우수한 현관문에 장착되는 방범 보조문을 제공하는 것이다.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solve the above problems is to have an auxiliary door for opening or closing a main opening formed in a predetermined size on the front door, to have an outer guard having guard wings formed on the front side of the main opening, and to provide a security auxiliary door mounted on a front door with excellent crime prevention by providing a guard plate in contact with the front side of the auxiliary door to form a step with the auxiliary door to block the insertion of intrusion tools and excellent crime prevention.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현관문의 전면측에 구비된 카메라가 촬영한 영상을 후면측에 구비된 모니터로 출력하여 현관문 또는 보조도어를 열지 않고서도 방문자를 확인할 수 있는 현관문에 장착되는 방범 보조문을 제공하는 것이다.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auxiliary security door mounted on a front door capable of checking a visitor without opening the front door or an auxiliary door by outputting an image taken by a camera provided on the front side of the front door to a monitor provided on the rear side.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방문자를 확인할 수 있는 보조개구부를 보조도어에 더 구비하며, 보조개구부를 수직으로 가로지르는 창살축이 구비되고 창살축에 구비된 가림막이 보조개구부를 폐쇄하여 실내의 보안을 유지함과 동시에 창살축이 회전하면서 가림막이 전,후면측으로 배치되어 창살축 사이의 틈으로 방문자의 신원을 명확하게 확인하면서도 침입자의 침입시도를 저지할 수 있는 현관문에 장착되는 방범 보조문을 제공하는 것이다.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security auxiliary door mounted on a front door that further includes auxiliary openings through which visitors can be identified in the auxiliary door, has a grate shaft vertically crossing the auxiliary opening, and maintains security by closing the auxiliary openings of the screens provided on the bars, and at the same time, the screens are placed on the front and rear sides as the grille shaft rotates to clearly identify the visitor through a gap between the bars and block an intruder attempt.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보조개구부를 폐쇄하고 있는 창살축 및 가림막을 일측으로 이동시켜 보조개구부의 일부를 개방시킬 수 있으므로 보조도어를 개방하지 않고서도 비교적 작은 크기의 물건을 수령받기에 편리하고 방범효과가 있는 현관문에 장착되는 방범 보조문을 제공하는 것이다.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crime prevention auxiliary door mounted on a front door that is convenient for receiving relatively small-sized objects without opening the auxiliary door and has a crime prevention effect, since a part of the auxiliary opening can be opened by moving the grate shaft and the shield closing the auxiliary opening to one side.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현관문 전,후면측을 관통하도록 일정 크기로 형성되는 메인개구부(100); 상기 메인개구부(100)의 전면측에 배치되며, 상기 메인개구부(100)의 중심측으로 돌출되어 상기 메인개구부(100)의 크기를 축소하는 가드날개(210)가 형성되는 외부가드(200); 상기 메인개구부(100)삽입되며, 상기 메인개구부(100)를 개방 또는 폐쇄하는 보조도어(400); 상기 보조도어(400)의 전면부에 결합되며, 상기 보조도어(400)보다 작은 크기로 형성되어 상기 보조도어(400)와 단차를 형성하고, 상기 가드날개(210)의 내측 테두리와 접촉하면서 상기 외부가드(200)와 동일한 평면상에 위치하는 가드플레이트(410); 및 상기 메인개구부(100)의 후면측에 배치되며, 상부에 구비되는 잠금레버(430)를 통해 상기 보조도어(400)를 폐쇄 고정하고, 상기 보조도어(400)를 수직 또는 수평으로 접철하는 힌지(440)가 구비되는 내부프레임(300);을 포함한다.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is the main opening 100 formed to a certain size to pass through the front and rear sides of the front door; An outer guard 200 disposed on the front side of the main opening 100 and having guard wings 210 protruding toward the center of the main opening 100 to reduce the size of the main opening 100; an auxiliary door 400 inserted into the main opening 100 and opening or closing the main opening 100; It is coupled to the front part of the auxiliary door 400, is formed in a smaller size than the auxiliary door 400, forms a step with the auxiliary door 400, and contacts the inner rim of the guard wing 210 A guard plate 410 located on the same plane as the outer guard 200; and an internal frame 300 disposed on a rear side of the main opening 100, closed and fixed to the auxiliary door 400 through a locking lever 430 provided thereon, and provided with a hinge 440 for vertically or horizontally folding the auxiliary door 400.

또한 본 발명은 현관문의 전면측을 촬영하는 카메라(420)가 상기 보조도어(400)의 전면부에 장착되며, 상기 카메라(420)에서 촬영한 영상을 출력하는 모니터(421)가 상기 보조도어(400)의 후면에 구비된다.In addition, in the present invention, a camera 420 for photographing the front side of the front door is mounted on the front of the auxiliary door 400, and a monitor 421 for outputting an image captured by the camera 420 is provided on the rear of the auxiliary door 400.

또한 본 발명의 상기 보조도어(400)에 구비되는 보조창(500)은 상기 보조도어(400)의 전,후측을 관통하도록 형성되는 보조개구부(510); 상기 보조개구부(510)를 수직방향으로 가로지르도록 배치되며, 상기 보조개구부(510)를 폐쇄하는 가림막(523)이 형성되고, 상단에 개방기어(521)가 형성되며, 하단에는 축자석(522)이 형성되는 복수개의 창살축(520); 상기 보조개구부(510)의 상단에서 수평방향으로 배치되며, 하부에 상기 개방기어(521)와 치합되는 래크(532)가 형성되는 하부레일(531)이 형성되고, 상부에 상기 개방기어(521)의 직경보다 더 큰 폭을 가지는 상부레일(534)이 형성되는 가이드레일(530); 상기 축자석(522)과 다른 극성을 띄는 제1자석(541)이 구비되며, 상기 축자석(522)과 같은 극성을 띄는 제2자석(542)이 구비되고, 상기 제1자석(541)과 제2자석(542)의 중간에 배치되어 제1자석(541)과 제2자석(542)의 위치를 반전시키는 자석레버(543)가 돌출 형성되는 개방자석(540); 및 상기 보조개구부(510)의 하단에서 수평방향으로 형성되며, 상기 자석레버(543)가 후측으로 돌출되는 슬라이드홈(550);을 포함한다.In addition, the auxiliary window 500 provided in the auxiliary door 400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n auxiliary opening 510 formed to pass through the front and rear sides of the auxiliary door 400; Arranged to cross the auxiliary opening 510 in the vertical direction, a shield 523 for closing the auxiliary opening 510 is formed, an open gear 521 is formed at the upper end, and a plurality of grate shafts 520 in which magnets 522 are formed at the lower end; A guide rail 530 having an upper rail 534 having a width larger than the diameter of the open gear 521; A first magnet 541 having a polarity different from that of the shaft magnet 522 is provided, and a second magnet 542 having the same polarity as the shaft magnet 522 is provided. ); and a slide groove 550 formed in a horizontal direction at a lower end of the auxiliary opening 510 and from which the magnet lever 543 protrudes rearward.

또한 본 발명의 상기 래크(532)는 상기 창살축(520)의 갯수만큼 구비되며, 상기 개방기어(521)의 원호 길이의 1/4만큼 길이가 형성되고, 상기 래크(532)와 치합된 개방기어(521)의 회전각은 최대 90°로 회전한다.In addition, the rack 532 of the present invention is provided as much as the number of the grate shafts 520, has a length equal to 1/4 of the arc length of the open gear 521, and the rack 532. The rotation angle of the open gear 521 meshed with it rotates at a maximum of 90 °.

또한 본 발명의 상기 제2자석(542)은 경사지게 형성되어 상기 축자석(522)과의 척력이 대각방향으로 작용하며, 상기 제2자석(542)과 축자석(522)의 척력으로 상기 개방기어(521)는 상부레일(534)에서 개방방향으로 이동한다.In addition, the second magnet 542 of the present invention is formed inclined, so that the repulsive force with the shaft magnet 522 acts in a diagonal direction, and the repulsive force between the second magnet 542 and the shaft magnet 522 moves the opening gear 521 in the opening direction on the upper rail 534.

또한 본 발명의 상기 제1자석(541)이 상부에 위치한 상태에서 상기 개방자석(540)을 개방방향으로 이동시에 상기 가림막(523)은 상기 보조개구부(510)의 전,후측방향으로 배치되고 상기 보조개구부(510)는 상기 창살축(520)에 의해 가려지며, 상기 제2자석(542)이 상부에 위치한 상태에서 상기 개방자석(540)을 개방방향으로 이동시에 상기 보조개구부(510)는 개방된다.In addition, when the opening magnet 540 of the present invention is moved in the opening direction with the first magnet 541 located at the top, the shield 523 is disposed in the front and rear directions of the auxiliary opening 510, and the auxiliary opening 510 is covered by the grate shaft 520. The auxiliary opening 510 is open.

본 발명에 따른 현관문에 장착되는 방범 보조문은 현관문에 일정크기로 형성되는 메인개구부를 개방 또는 폐쇄하는 보조도어를 구비하며, 메인개구부의 전면측에 가드날개가 형성되는 외부가드를 구비하고, 가드날개의 내측 테두리와 접촉하는 가드플레이트를 보조도어의 전면부에 구비하여 보조도어와 단차를 형성하므로 침입도구의 삽입을 차단하여 방범성이 우수한 장점이 있다.The crime prevention auxiliary door mounted on the front do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n auxiliary door that opens or closes a main opening formed in a predetermined size on the front door, an outer guard having guard wings formed on the front side of the main opening, and a guard plate in contact with the inner rim of the guard wing is provided on the front side of the auxiliary door to form a step with the auxiliary door, thereby blocking the insertion of intrusion tools and having excellent crime prevention properties.

또한 본 발명은 현관문의 전면측에 구비된 카메라가 촬영한 영상을 후면측에 구비된 모니터로 출력하여 현관문 또는 보조도어를 열지 않고서도 방문자를 확인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advantage of being able to check the visitor without opening the front door or auxiliary door by outputting an image taken by a camera provided on the front side of the front door to a monitor provided on the rear side.

또한 본 발명은 방문자를 확인할 수 있는 보조개구부를 보조도어에 더 구비하며, 보조개구부를 수직으로 가로지르는 창살축이 구비되고 창살축에 구비된 가림막이 보조개구부를 폐쇄하여 실내의 보안을 유지함과 동시에 창살축이 회전하면서 가림막이 전,후면측으로 배치되어 창살축 사이의 틈으로 방문자의 신원을 명확하게 확인하면서도 침입자의 침입시도를 저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auxiliary door is further provided with auxiliary openings through which visitors can be identified, and a grate axis vertically crossing the auxiliary opening is provided, and the screen provided on the grate axis closes the auxiliary opening to maintain indoor security. At the same time, as the grate axis rotates, the screen is placed on the front and rear sides, so that the identity of the visitor can be clearly confirmed through the gap between the grate axes, and an intruder attempt can be prevented.

또한 본 발명은 보조개구부를 폐쇄하고 있는 창살축 및 가림막을 일측으로 이동시켜 보조개구부의 일부를 개방시킬 수 있으므로 보조도어를 개방하지 않고서도 비교적 작은 크기의 물건을 수령받기에 편리하고 방범효과가 있는 장점이 있다.In addition, since the present invention can open a part of the auxiliary opening by moving the grate shaft and the screen closing the auxiliary opening to one side, it is convenient to receive relatively small-sized objects without opening the auxiliary door, and has the advantage of having a crime prevention effect.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른 현관문에 장착되는 방범 보조문을 전면측에서 바라본 상태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른 현관문에 장착되는 방범 보조문을 후면측에서 바라본 상태의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른 현관문에 장착되는 방범 보조문의 종단면을 나타낸 것으로서, (a)는 보조도어가 메인개구부를 폐쇄한 상태의 단면도, (b)는 보조도어가 열려 메인개구부가 개방된 상태의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 2에 따른 현관문에 장착되는 방범 보조문을 후면측에서 바라본 상태의 배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 2에 따른 현관문에 장착되는 방범 보조문을 구성하는 가이드레일을 나타낸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 2에 따른 현관문에 장착되는 방범 보조문을 구성하는 개방기어가 래크에 치합된 상태를 나타낸 것으로서, (a)는 종단면도, (b)는 평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 2에 따른 현관문에 장착되는 방범 보조문을 구성하는 개방자석이 슬라이드홈에 위치한 상태를 나타낸 종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 2에 따른 현관문에 장착되는 방범 보조문을 구성하는 개방기어가 하부레일에 위치시에 창살축의 동작을 나타낸 배면도.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 2에 따른 현관문에 장착되는 방범 보조문을 구성하는 개방기어가 상부레일에 위치시에 창살축의 동작을 나타낸 배면도.
1 is a perspective view of a state in which a crime prevention auxiliary door mounted on a front door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viewed from the front side.
Figure 2 is a perspective view of a state viewed from the rear side of the auxiliary security door mounted on the front door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shows a longitudinal cross-section of a security auxiliary door mounted on a front door according to Example 1 of the present invention, (a)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state in which the auxiliary door closes the main opening, and (b)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state in which the auxiliary door is open and the main opening is open.
Figure 4 is a rear view of a state viewed from the rear side of the auxiliary security door mounted on the front door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5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guide rail constituting a security auxiliary door mounted on the front door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6 shows a state in which the opening gear constituting the security auxiliary door mounted on the front door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engaged with the rack, (a) is a longitudinal cross-sectional view, (b) is a planar cross-sectional view.
Figure 7 is a longitudinal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opening magnet constituting the security auxiliary door mounted on the front door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located in the slide groove.
Figure 8 is a rear view showing the operation of the grate shaft when the opening gear constituting the security auxiliary door mounted on the front door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positioned on the lower rail.
Figure 9 is a rear view showing the operation of the grate shaft when the opening gear constituting the security auxiliary door mounted on the front door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positioned on the upper rail.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당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설명한다. 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so that those skilled in the art can easily implement it.

도 1 내지 도 9를 참고하여 본 발명에 따른 현관문에 장착되는 방범 보조문은 현관문을 관통하여 설치되어 방문자의 신원확인 또는 물품의 수령을 목적으로 하는 보조문에 있어서, 1 to 9, the security auxiliary door mounted on the front do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through the front door for the purpose of identifying a visitor or receiving an item,

현관문 전,후면측을 관통하도록 일정 크기로 형성되는 메인개구부(100);A main opening 100 formed to a certain size to pass through the front and rear sides of the front door;

상기 메인개구부(100)의 전면측에 배치되며, 상기 메인개구부(100)의 중심측으로 돌출되어 상기 메인개구부(100)의 크기를 축소하는 가드날개(210)가 형성되는 외부가드(200); An outer guard 200 disposed on the front side of the main opening 100 and having guard wings 210 protruding toward the center of the main opening 100 to reduce the size of the main opening 100;

상기 메인개구부(100)에 삽입되며, 상기 메인개구부(100)를 개방 또는 폐쇄하는 보조도어(400); an auxiliary door 400 inserted into the main opening 100 and opening or closing the main opening 100;

상기 보조도어(400)의 전면부에 결합되며, 상기 보조도어(400)보다 작은 크기로 형성되어 상기 보조도어(400)와 단차를 형성하고, 상기 가드날개(210)의 내측 테두리와 접촉하면서 상기 외부가드(200)와 동일한 평면상에 위치하는 가드플레이트(410); 및It is coupled to the front part of the auxiliary door 400, is formed in a smaller size than the auxiliary door 400, forms a step with the auxiliary door 400, and contacts the inner rim of the guard wing 210 A guard plate 410 located on the same plane as the outer guard 200; and

상기 메인개구부(100)의 후면측에 배치되며, 상부에 구비되는 잠금레버(430)를 통해 상기 보조도어(400)를 폐쇄 고정하고, 상기 보조도어(400)를 수직 또는 수평으로 접철하는 힌지(440)가 구비되는 내부프레임(300);을 포함한다.It is disposed on the rear side of the main opening 100, closes and fixes the auxiliary door 400 through a locking lever 430 provided at the top, and vertically or horizontally folds the auxiliary door 400. Inner frame 300 equipped with a hinge 440.

본 발명에서 전면측은 현관문을 기준으로 방문자가 서있는 실외방향을 의미하며, 후면측은 거주자가 실내에서 머무르는 방향을 의미한다.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front side refers to the outdoor direction in which the visitor stands relative to the front door, and the rear side refers to the direction in which the resident stays indoors.

또한, 본 발명에서 내측이라 함은 중심부를 향한 방향을 의미하며, 외측이라 함은 내측과 반대방향인 밖으로 뻗어나가는 방사방향을 의미한다. Further,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inner side means a direction toward the center, and the outer side means a radial direction extending outward in a direction opposite to the inner side.

더불어, 본 발명의 실시예 2에서 개방방향이라 함은 어느 일측에서 타측으로 이동하되 상기 보조개구부(510)가 개방되는 방향을 의미한다. 본 발명의 도면에서는 좌측에서 우측을 개방방향으로 도시하였으나 임의의 설계변경을 통하여 개방자석(540)이 우측에서 좌측으로 이동시에 보조개구부(510)가 개방되도록 변형할 수 있다. In addition, in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opening direction means a direction in which the auxiliary opening 510 is opened while moving from one side to the other side. In the drawing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opening direction is shown from left to right, but through arbitrary design changes, when the opening magnet 540 moves from the right side to the left side, the auxiliary opening 510 can be opened.

본 발명에 따른 현관문에 장착되는 방범 보조문은 현관문을 개방하지 않고서도 외부의 방문자의 신원을 명확하게 확인할 수 있으며, 방문자가 배달기사인 경우 택배나 배달물건을 수령받을 수 있는 보안과 방범성이 강화된 보조문이다.The security auxiliary door mounted on the front do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clearly confirm the identity of an outside visitor without opening the front door, and if the visitor is a delivery driver, security and security are reinforced to receive a parcel or delivery item. It is an auxiliary door.

본 발명은 현관문에 일정 크기의 메인개구부(100)를 뚫어 현관문을 관통하도록 하고, 상기 메인개구부(100)를 보조도어(400)를 통하여 개방 또는 폐쇄할 수 있다. In the present invention, a main opening 100 having a certain size is drilled through the front door, and the main opening 100 can be opened or closed through the auxiliary door 400.

상기 보조도어(400)의 펼침시에 상기 메인개구부(100)가 개방되어 물건을 수령할 수 있으며, 보조도어(400)의 닫힘시에는 메인개구부(100)가 폐쇄되므로 전,후면측이 왕래할 수 없어 보안을 유지한다. When the auxiliary door 400 is unfolded, the main opening 100 is opened to receive goods, and when the auxiliary door 400 is closed, the main opening 100 is closed, so that the front and rear sides cannot come and go, so security is maintained.

본 발명은 상기 메인개구부(100)의 전면측에 외부가드(200)가 덧붙여 구비된다. 외부가드(200)의 가드날개(210)가 상기 메인개구부(100)의 크기를 축소시키게 되고, 보조도어(400)의 전면부에 상기 외부가드(200)와 동일한 평면상에 위치하도록 배치되는 가드플레이트(410)가 덧붙여진다. In the present invention, an external guard 200 is additionally provided on the front side of the main opening 100. The guard wings 210 of the outer guard 200 reduce the size of the main opening 100, and the front side of the auxiliary door 400 is disposed to be positioned on the same plane as the outer guard 200. A guard plate 410 is added.

따라서 현관문의 전면측에서 바라보았을 때, 틈새는 상기 외부가드(200)와 가드플레이트(410) 사이의 간격이 된다. 그러나, 침입자가 본 발명의 보조도어(400)를 파손하기 위한 목적으로 쇠나 꼬챙이 같은 가늘고 길다란 침입도구를 삽입을 시도하더라도, 외부가드(200)와 가드플레이트(410) 사이로 삽입하면 침입도구의 끝단이 보조도어(400)의 전면부가 부딪치게 되므로 침입도구를 현관문의 후면측까지 삽입할 수 없다. Therefore, when viewed from the front side of the front door, the gap becomes the gap between the outer guard 200 and the guard plate 410. However, even if an intruder attempts to insert a thin and long intrusion tool such as an iron or a skewer for the purpose of damaging the auxiliary door 400 of the present invention, if inserted between the outer guard 200 and the guard plate 410, the tip of the intruder will collide with the front surface of the auxiliary door 400, so the intruder cannot be inserted to the rear side of the front door.

그러므로 상기 보조도어(400)는 가드플레이트(410)로 인하여 단차를 형성하고, 이러한 단차로 인하여 침입도구의 삽입이 차단되므로 침입자에 의한 파손시도가 원천적으로 차단되어 방범성이 우수하다.Therefore, the auxiliary door 400 forms a step due to the guard plate 410, and the insertion of an intrusion tool is blocked due to this step, so that an attempt at breakage by an intruder is fundamentally blocked, resulting in excellent crime prevention.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현관문에 장착되는 방범 보조문은 현관문의 전,후면측을 관통하는 메인개구부(100)가 형성된다. 상기 메인개구부(100)는 현관문에서 상부쪽 높이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메인개구부(100)를 통해 배달기사로부터 물건을 수령받거나 또는 침입자를 확인하여야 하기 때문에, 실내 거주자가 물건을 수령받거나 편한 위치와 침입자를 확인하기 편리한 눈높이 높이에 상기 메인개구부(100)가 형성된다. As shown in Figure 3, the security auxiliary door mounted on the front do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formed with a main opening 100 penetrating the front and rear sides of the front door. The main opening 100 is preferably formed at an upper height from the front door. Since it is necessary to receive goods from a delivery driver or to identify an intruder through the main opening 100, the main opening 100 is formed at an eye level convenient for receiving goods or checking an intruder.

상기 메인개구부(100)의 크기는 흔히 사용되는 소용량 박스 크기가 통과할 수 있도록 형성된다. 주로 360mm×260mm 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The size of the main opening 100 is formed so that a commonly used small-capacity box can pass therethrough. It is preferably formed mainly of 360 mm × 260 mm, but is not necessarily limited thereto.

상기 메인개구부(100)는 현관문의 수직 중심선에서 손잡이 또는 도어락이 구비된 방향과는 반대로 치우쳐 형성된다. 침입자가 현관문 개방을 시도할 경우에 메인개구부(100)와 손잡이가 가까운 경우에 용이하게 개방을 시도할 수 있으므로, 이를 방지하기 위해서 메인개구부(100)는 현관문의 손잡이 또는 도어락과의 거리가 멀어지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The main opening 100 is formed on the vertical center line of the front door opposite to the direction in which the handle or door lock is provided. When an intruder attempts to open the front door, the main opening 100 can easily attempt to open the door when the handle is close to the main opening 100. In order to prevent this, the main opening 100 is away from the handle or door lock of the front door. It is preferable to form such a distance.

상기 메인개구부(100)의 형상은 직사각형상으로 도시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양한 형상으로 변형이 가능하다. Although the shape of the main opening 100 is shown in a rectangular shape, it is not limited thereto and can be transformed into various shapes.

또한, 상기 메인개구부(100)의 내측 테두리는 후술할 보조도어(400)의 외측 테두리와 접촉할 수 있다. 따라서 메인개구부(100)의 내측면과 보조도어(400)의 외측면 사이의 유격이 발생하지 않아 침입도구의 삽입이 어려워진다. In addition, the inner rim of the main opening 100 may come into contact with the outer rim of the auxiliary door 400 to be described later. Therefore, there is no gap between the inner surface of the main opening 100 and the outer surface of the auxiliary door 400, making it difficult to insert the intrusion tool.

도 1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외부가드(200)는 상기 메인개구부(100)의 전면측에 결합되는 구성이다. 상기 외부가드(200)도 중심측에 개구되어 있으며, 개구된 부분이 상기 메인개구부(100)와 연통된다. As shown in Figures 1 and 3, the outer guard 200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onfigured to be coupled to the front side of the main opening (100). The outer guard 200 is also opened at the center, and the opened portion communicates with the main opening 100.

상기 외부가드(200)는 상기 메인개구부(100)의 중심측을 향한 가드날개(210)가 더 형성된다. 상기 가드날개(210)는 외부가드(200)의 내측으로 돌출되어 있으며, 상기 외부가드(200)의 중심측의 개구된 부분을 축소시킨다. The outer guard 200 is further formed with guard wings 210 toward the center of the main opening 100 . The guard wings 210 protrude to the inside of the outer guard 200, and reduce the open portion of the center side of the outer guard 200.

따라서, 상기 가드날개(210)는 보조도어(400)의 외측테두리 일부를 가리게 되므로, 메인개구부(100)와 보조도어(400)의 틈새로 침입도구가 삽입되는 것이 차단된다. Therefore, since the guard wings 210 cover a part of the outer edge of the auxiliary door 400, insertion of an intrusion tool into the gap between the main opening 100 and the auxiliary door 400 is blocked.

상기 외부가드(200)는 상기 메인개구부(100)의 전면에 결합되어 구비되므로, 상기 현관문의 전면보다 더 돌출된다. Since the outer guard 200 is provided coupled to the front surface of the main opening 100, it protrudes more than the front surface of the front door.

또한, 후술할 보조도어(400)의 전면에 결합되는 가드플레이트(410)는 상기 외부가드(200)와 동일한 평면을 이루도록 결합된다. 상기 외부가드(200)와 가드플레이트(410)는 동일한 평면상에 있고, 가드플레이트(410)의 외측테두리와 가드날개(210)의 내측테두리와 접촉된다.In addition, the guard plate 410 coupled to the front of the auxiliary door 400 to be described later is coupled to form the same plane as the outer guard 200. The outer guard 200 and the guard plate 410 are on the same plane, and are in contact with the outer edge of the guard plate 410 and the inner edge of the guard wing 210.

따라서 침입도구를 삽입하기 위해서는 상기 가드날개(210)와 가드플레이트(410)의 틈새로 삽입해야 하지만, 삽입에 성공하더라도 현관문의 후면측까지 삽입하기 위해서는 메인개구부(100)와 보조도어(400)의 틈새를 통과해야 한다. 그러나, 상기 메인개구부(100)와 보조도어(400)의 틈새는 가드날개(210)와 가드플레이트(410)의 틈새와 단차를 이루고 있으므로, 침입도구가 삽입시도가 차단될 수 있다. Therefore, in order to insert an intrusion tool, it must be inserted into the gap between the guard wing 210 and the guard plate 410, but even if the insertion is successful, the main opening 100 and the auxiliary door 400 must pass through in order to be inserted to the rear side of the front door. However, since the gap between the main opening 100 and the auxiliary door 400 forms a step with the gap between the guard wings 210 and the guard plate 410, an attempt to insert an intrusion tool can be blocked.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메인개구부(100)를 개방 또는 폐쇄하는 보조도어(400)는 상기 메인개구부(100)의 크기와 동일한 크기를 가지도록 형성된다. 상기 보조도어(400)의 외측테두리가 상기 메인개구부(100)의 내측테두리와 접촉된다. As shown in FIGS. 1 to 3 , the auxiliary door 400 that opens or closes the main opening 100 is formed to have the same size as the main opening 100 . An outer edge of the auxiliary door 400 is in contact with an inner edge of the main opening 100 .

상기 보조도어(400)의 전면에는 가드플레이트(410)가 결합된다. 상기 가드플레이트(410)는 상기 외부가드(200) 중심측의 개구된 부분을 폐쇄시키기 위한 구성이다. 즉, 상기 메인개구부(100)는 상기 보조도어(400)가 폐쇄하며, 상기 외부가드(200)의 개구된 부분은 상기 가드플레이트(410)가 폐쇄할 수 있다. A guard plate 410 is coupled to the front of the auxiliary door 400 . The guard plate 410 is configured to close the centrally opened portion of the outer guard 200 . That is, the main opening 100 may be closed by the auxiliary door 400, and the open portion of the outer guard 200 may be closed by the guard plate 410.

상기 가드플레이트(410)는 상기 보조도어(400)의 중심측의 일부를 가리게 되며, 상기 가드플레이트(410)가 가리지 못한 상기 보조도어(400)의 외측테두리 일부는 상기 가드날개(210)가 가리게 된다. The guard plate 410 covers a part of the central side of the auxiliary door 400, and the guard wing 210 covers a part of the outer edge of the auxiliary door 400 that is not covered by the guard plate 410.

상기 보조도어(400)는 하단에서 후술할 내부프레임(300)과 힌지(440)를 통해 결합된다. 상기 힌지(440)는 최대 90°회전하도록 되어 있다. 상기 힌지(440)는 보조도어(400)의 후면에 구비된다.The auxiliary door 400 is coupled to an inner frame 300 and a hinge 440 to be described later at the bottom. The hinge 440 is designed to rotate up to 90°. The hinge 440 is provided on the rear side of the auxiliary door 400 .

상기 메인개구부(100)를 폐쇄하고 있는 보조도어(400)는 수직으로 있다가, 상기 힌지(440)를 통해 회동하면서 후면측으로 이동하면서 수평방향으로 놓이게 된다. 따라서 물건을 수령받거나 하는 경우에 상기 보조도어(400)의 전면부에 물건을 올려놓을 수 있는 받침역할로도 활용된다. The auxiliary door 400 closing the main opening 100 is placed vertically while moving toward the rear side while rotating through the hinge 440. Therefore, in the case of receiving or receiving goods, it is also used as a supporting role for placing goods on the front of the auxiliary door 400.

상기 보조도어(400)의 전면부에는 가드플레이트(410)가 부착되어 있으므로, 상기 가드플레이트(410)에 물건을 올려놓게 되는 것이다. Since the guard plate 410 is attached to the front of the auxiliary door 400, objects are placed on the guard plate 410.

상기 보조도어(400)을 회동하여 상기 메인개구부(100)를 개방하며, 수령받고자 하는 물건을 상기 가드플레이트(410)에 올려놓으므로, 상기 가드플레이트(410)는 물건을 받칠 수 있다.Since the auxiliary door 400 is rotated to open the main opening 100 and an object to be received is placed on the guard plate 410, the guard plate 410 can support the object.

상기 보조도어(400)의 후면 상단에는 상기 보조도어(400)의 폐쇄상태를 고정시키기 위한 잠금레버(430)가 구비된다. 상기 잠금레버(430)는 후술할 내부프레임(300)과 보조도어(400)를 연결시켜 상기 보조도어(400)가 개방되지 않도록 고정한다. A locking lever 430 for fixing the closed state of the auxiliary door 400 is provided at an upper end of the rear surface of the auxiliary door 400 . The locking lever 430 connects the inner frame 300 and the auxiliary door 400 to be described later and fixes the auxiliary door 400 so as not to be opened.

상기 잠금레버(430)에는 걸림쇠가 구비되며, 내부프레임(300)에 형성되는 걸림홈에 상기 걸림쇠가 삽입되어 상기 보조도어(400)를 고정한다. 상기 걸림쇠는 스프링에 의해 탄성력을 받아, 상기 걸림홈에 이탈되지 않도록 한다. The locking lever 430 is provided with a locking member, and the locking member is inserted into a locking groove formed in the inner frame 300 to fix the auxiliary door 400 . The latch receives an elastic force by a spring and prevents it from being separated from the locking groove.

상기 잠금레버(430)를 하방으로 잡아당기면 스프링이 압축되면서 걸림쇠가 걸림홈에 이탈되며, 상기 보조도어(400)를 개방시킬 수 있다. When the locking lever 430 is pulled downward, the spring is compressed and the latch is separated from the locking groove, and the auxiliary door 400 can be opened.

도 2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메인개구부(100)의 후면측에 결합되는 내부프레임(300)은 중심측이 개구된 상태로 형성된다. 상기 내부프레임(300)은 상기 보조도어(400)를 회동시키기 위한 힌지(440)가 하부에 구비되어 있으며, 상단에는 잠금레버(430)의 걸림쇠가 삽입되는 걸림홈이 형성된다. As shown in FIGS. 2 and 3 , the inner frame 300 coupled to the rear side of the main opening 100 is formed with an open center side. The inner frame 300 is provided with a hinge 440 for rotating the auxiliary door 400 at the bottom, and a locking groove into which the locking lever 430 is inserted is formed at the top.

상기 내부프레임(300) 내측에 개구된 부분은 상기 메인개구부(100)와 동일한 크기로 형성되며, 연통될 수 있다. The opening portion inside the inner frame 300 has the same size as the main opening 100 and may communicate therewith.

본 발명에 따른 현관문에 장착되는 방범 보조문은 메인개구부(100)가 현관문에 형성되고, 상기 메인개구부(100)를 개방 또는 폐쇄하기 위한 보조도어(400)가 구비되며, 상기 메인개구부(100)와 보조도어(400)의 틈새를 가리는 가드날개(210)가 구비된 외부가드(200)가 상기 메인개구부(100)의 전면측에 구비되고, 상기 메인개구부(100)의 후면측에는 내부프레임(300)이 구비된다. In the crime prevention auxiliary door mounted on the front do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main opening 100 is formed at the front door, an auxiliary door 400 for opening or closing the main opening 100 is provided, and an outer guard 200 equipped with a guard wing 210 covering a gap between the main opening 100 and the auxiliary door 400 is provided on the front side of the main opening 100, the main door The inner frame 300 is provided on the rear side of the sphere 100 .

따라서, 방문자가 위치하는 전면측에서 현관문을 바라보았을 때 상기 가드날개(210)와 가드플레이트(410) 사이에 틈새가 존재하며, 거주자가 위치하는 후면측에서 현관문을 바라보았을 때 메인개구부(100)와 보조도어(400) 사이에 틈새가 존재한다. Therefore, when looking at the front door from the front side where the visitor is located, a gap exists between the guard wings 210 and the guard plate 410, and when looking at the front door from the rear side where the resident is located, there is a gap between the main opening 100 and the auxiliary door 400.

상기 가드플레이트(410)의 구성으로 인해 상기 가드플레이트(410)와 보조도어(400)의 종단면의 형상은 단차를 형성한다. Due to the configuration of the guard plate 410, the shape of the longitudinal section of the guard plate 410 and the auxiliary door 400 forms a step.

상기 가드날개(210)와 가드플레이트(410) 틈새는 상기 메인개구부(100)와 보조도어(400)의 틈새와 일치하지 않으므로, 현관문 전면측에서 침입도구를 현관문 후면측까지 삽입할 수 없다. Since the gap between the guard wings 210 and the guard plate 410 does not coincide with the gap between the main opening 100 and the auxiliary door 400, an intrusion tool cannot be inserted from the front side of the front door to the rear side of the front door.

가드날개(210)의 구성으로 인해 현관문의 전,후면측을 통과하는 틈새가 단차를 형성하여 침입도구의 삽입시도를 차단할 수 있어 방범성이 향상된다. Due to the configuration of the guard wing 210, a gap passing through the front and rear sides of the front door forms a step to block an attempt to insert an intrusion tool, thereby improving crime prevention.

본 발명은 침입자의 침입시도를 차단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상기 보조도어(400)를 개방하지 않고서도 방문자를 확인할 수 있는 구성이 구비된다. In the present invention, an intrusion attempt by an intruder can be blocked, and a visitor can be identified without opening the auxiliary door 400 .

본 발명의 실시예 1에서는 카메라(420)를 통하여 방문자의 신원을 확인하며, 실시예 2에서는 보조도어(400)에 보조창(500)을 구비하여 방문자를 확인한다.In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identity of the visitor is confirmed through the camera 420, and in the second embodiment, the auxiliary window 500 is provided in the auxiliary door 400 to check the visitor.

도 1 내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른 현관문에 장착되는 방범 보조문은 상기 보조도어(400)를 개방하지 않고서도 현관문 전면측의 방문자를 확인하기 위한 구성으로 카메라(420)가 구비된다. As shown in FIGS. 1 and 2, the security auxiliary door mounted on the front door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onfigured to check the visitor on the front side of the front door without opening the auxiliary door 400. A camera 420 is provided.

상기 카메라(420)는 상기 보조도어(400)의 전면에 구비된다. 상기 카메라(420)는 현관문의 전면측을 조사각도로 하여 촬영할 수 있다. The camera 420 is provided on the front side of the auxiliary door 400 . The camera 420 may photograph the front side of the front door at an irradiation angle.

상기 보조도어(400)의 후면에는 상기 카메라(420)에서 촬영한 영상을 출력하는 모니터(421)가 구비된다. A monitor 421 outputting an image taken by the camera 420 is provided at a rear side of the auxiliary door 400 .

상기 카메라(420)에서 방문자를 촬영하며, 실내 거주자는 상기 모니터(421)를 통하여 방문자를 확인할 수 있다. A visitor is photographed by the camera 420, and an indoor resident can check the visitor through the monitor 421.

그러므로, 상기 보조도어(400)를 개방하지 않고서도 방문자를 모니터(421)를 통해 확인할 수 있으므로 방문자의 신원을 명확하게 확인한 후에 보조도어(400)를 개방할 수 있다. Therefore, since the visitor can be checked through the monitor 421 without opening the auxiliary door 400, the auxiliary door 400 can be opened after clearly confirming the identity of the visitor.

도 4 내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 2에 따른 현관문에 장착되는 보조문에서는 상기 보조창(500)이 구비된다. 상기 보조창(500)은 보조도어(400)에 구비되어 상기 보조도어(400)를 개방하지 않고서도 보조창(500)을 통해 방문자를 확인할 수 있다.4 to 9, the auxiliary window 500 is provided in the auxiliary door mounted on the front door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auxiliary window 500 is provided on the auxiliary door 400 so that visitors can be identified through the auxiliary window 500 without opening the auxiliary door 400 .

상기 보조도어(400)에 구비되는 상기 보조창(500)은The auxiliary window 500 provided in the auxiliary door 400 is

상기 보조도어(400)의 전,후측을 관통하도록 형성되는 보조개구부(510);Auxiliary opening 510 formed to pass through the front and rear sides of the auxiliary door 400;

상기 보조개구부(510)를 수직방향으로 가로지르도록 배치되며, 상기 보조개구부(510)를 폐쇄하는 가림막(523)이 형성되고, 상단에 개방기어(521)가 형성되며, 하단에는 축자석(522)이 형성되는 복수개의 창살축(520);Arranged to cross the auxiliary opening 510 in the vertical direction, a shield 523 for closing the auxiliary opening 510 is formed, an open gear 521 is formed at the upper end, and a plurality of grate shafts 520 in which magnets 522 are formed at the lower end;

상기 보조개구부(510)의 상단에서 수평방향으로 배치되며, 하부에 상기 개방기어(521)와 치합되는 래크(532)가 형성되는 하부레일(531)이 형성되고, 상부에 상기 개방기어(521)의 직경보다 더 큰 폭을 가지는 상부레일(534)이 형성되는 가이드레일(530);A guide rail 530 having an upper rail 534 having a width larger than the diameter of the open gear 521;

상기 축자석(522)과 다른 극성을 띄는 제1자석(541)이 구비되며, 상기 축자석(522)과 같은 극성을 띄는 제2자석(542)이 구비되고, 상기 제1자석(541)과 제2자석(542)의 중간에 배치되어 제1자석(541)과 제2자석(542)의 위치를 반전시키는 자석레버(543)가 돌출 형성되는 개방자석(540); 및 A first magnet 541 having a polarity different from that of the shaft magnet 522 is provided, and a second magnet 542 having the same polarity as the shaft magnet 522 is provided. ); and

상기 보조개구부(510)의 하단에서 수평방향으로 형성되며, 상기 자석레버(543)가 후측으로 돌출되는 슬라이드홈(550);을 포함한다.It includes; a slide groove 550 formed in a horizontal direction at the lower end of the auxiliary opening 510 and protruding to the rear side of the magnet lever 543.

상기 보조창(500)은 보조도어(400)에 형성되는 보조개구부(510)를 창살축(520)과 가림막(523)을 통해 폐쇄하며, 상기 창살축(520)과 가림막(523)이 회전하면서 보조개구부(510)의 일부만을 개방하여 방문자의 신원을 확인함과 동시에 기습적으로 강도로 돌변한 경우 침입자의 침입시도를 차단한다. The auxiliary window 500 closes the auxiliary opening 510 formed in the auxiliary door 400 through the lattice shaft 520 and the screen 523, and while the lattice shaft 520 and the screen 523 rotate, only a part of the auxiliary opening 510 is opened to confirm the identity of the visitor and at the same time to block an intruder's attempt to break in if the robber turns unexpectedly.

도 6 내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보조창(500)은 보조도어(400)의 전,후면측을 관통하는 보조개구부(510)가 형성된다. 상기 보조개구부(510)는 상기 보조도어(400)의 내측에 구비되는 것이므로 메인개구부(100)보다 작은 크기로 형성된다. As shown in FIGS. 6 to 9 , the auxiliary window 500 has auxiliary openings 510 penetrating the front and rear sides of the auxiliary door 400 . Since the auxiliary opening 510 is provided inside the auxiliary door 400, it is formed in a smaller size than the main opening 100.

도 4, 도 6 내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보조개구부(510)를 개방 또는 폐쇄하는 창살축(520)이 상기 보조개구부(510)의 수직방향으로 다수 배치된다. As shown in FIGS. 4 and 6 to 9 , a plurality of grate shafts 520 for opening or closing the auxiliary opening 510 are disposed in a vertical direction of the auxiliary opening 510 .

상기 창살축(520)은 원통형의 길다란 축으로 형성되며, 상기 보조개구부(510)의 높이보다 더 길게 형성되어 상기 창살축(520)의 상,하단이 보조개구부(510)의 상,하단보다 더 연장된다. The lattice shaft 520 is formed as a long cylindrical shaft, and is formed longer than the height of the auxiliary opening 510, so that the upper and lower ends of the lattice shaft 520 are longer than the upper and lower ends of the auxiliary opening 510.

상기 창살축(520)은 상단에 개방기어(521)가 형성되며, 하단에는 축자석(522)이 형성된다. An open gear 521 is formed at the upper end of the grate shaft 520, and a shaft magnet 522 is formed at the lower end.

상기 개방기어(521)는 후술할 가이드레일(530)에 거치되어 이동되는 구성으로서, 기어가 형성되어 가이드레일(530)에 형성된 래크(532)와 치합된다. 따라서 상기 개방기어(521)가 좌우로 이동하게 되면 개방기어(521)와 래크(532)에 치합되어 있으므로 상기 창살축(520)을 중심축으로 하여 회전하면서 좌우로 이동할 수 있다. The open gear 521 is mounted on and moved on a guide rail 530 to be described later, and the gear is formed to engage with a rack 532 formed on the guide rail 530. Therefore, when the open gear 521 moves left and right, since it is meshed with the open gear 521 and the rack 532, it can move left and right while rotating around the grate shaft 520 as a central axis.

상기 개방기어(521)의 직경은 후술할 하부레일(531)의 폭과 동일하게 형성되나, 상부레일(534)의 폭보다는 작게 형성된다. 상기 개방기어(521)는 하부레일(531)에서 이동할 시에는 래크(532)와 맞물려 회전되며, 상부레일(534)에서 이동할 시에는 간섭없이 이동되므로 상부레일(534)의 폭보다 더 작은 직경으로 형성되는 것이다. The diameter of the open gear 521 is formed equal to the width of the lower rail 531 to be described later, but smaller than the width of the upper rail 534. When the open gear 521 moves on the lower rail 531, it engages with the rack 532 and rotates, and when it moves on the upper rail 534, it moves without interference, so it is formed with a smaller diameter than the width of the upper rail 534.

상기 창살축(520)의 하단에는 축자석(522)이 구비되는데, 상기 축자석(522)은 후술할 개방자석(540)과 인력 또는 척력으로 작용하여 창살축(520)을 이동시키거나 상승시키는 자석이다. A shaft magnet 522 is provided at the lower end of the grate shaft 520, and the shaft magnet 522 is a magnet that moves or raises the bar shaft 520 by acting with an open magnet 540 to be described later by attraction or repulsive force.

상기 축자석(522)은 후술할 제1자석(541)과는 다른 극성을 띄어 제1자석(541)과 인력으로 작용하고, 제2자석(542)과 동일한 극성을 띄어 제2자석(542)과 척력으로 작용한다. The axis magnet 522 has a different polarity from the first magnet 541 to be described later and acts as an attractive force with the first magnet 541, and has the same polarity as the second magnet 542 and acts as a repulsive force with the second magnet 542.

상기 창살축(520)은 상기 수직방향으로 배치되어 상기 보조개구부(510)를 가로지르며, 상기 보조개구부(510)의 가로방향으로 상호 이격되며 다수 배열된다. The lattice shafts 520 are arranged in the vertical direction to cross the auxiliary opening 510 and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in the horizontal direction of the auxiliary opening 510 and arranged in plurality.

상기 창살축(520)의 외면에는 상기 창살축(520) 사이의 공간을 폐쇄하는 가림막(523)이 형성된다. 상기 가림막(523)은 상기 창살축(520)과 동일하게 수직방향으로 길이가 형성된다. A shielding film 523 is form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lattice shafts 520 to close the space between the lattice shafts 520 . The shielding film 523 has the same length as the lattice shaft 520 in the vertical direction.

상기 가림막(523)은 상기 창살축(520)에 대하여 좌우측으로 형성되는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상기 가림막(523)이 상기 창살축(520) 사이의 공간을 폐쇄시킬 수 있으면 어느 일측으로만 형성되어도 무방하다. Although the shielding film 523 is shown as being formed on the left and right sides with respect to the grate shaft 520, it may be formed on only one side as long as the shielding film 523 can close the space between the grate shafts 520.

상기 가림막(523)은 상기 창살축(520) 사이의 공간을 폐쇄한 상태로 위치하다가, 상기 창살축(520)이 90°로 회전하면 상기 가림막(523)도 회동하여 상기 창살축(520) 사이의 공간을 개방한다. The shielding film 523 is located in a state in which the space between the grate shafts 520 is closed, and when the grate shaft 520 rotates 90°, the shielding film 523 also rotates to open the space between the grate shafts 520.

상기 창살축(520) 사이의 공간이 개방되어 실내 거주자는 실외의 방문자의 신원을 확인할 수 있다. The space between the lattice shafts 520 is opened so that an indoor occupant can verify the identity of an outdoor visitor.

또한, 상기 창살축(520) 사이의 공간이 개방되더라도, 상기 창살축(520)은 여전히 상기 보조개구부(510)의 공간을 수직으로 가로질러 막고 있으므로, 방문자가 강도로 돌변하더라도 상기 창살축(520)이 창살 역할을 수행하므로 침입시도를 저지할 수 있다. In addition, even if the space between the lattice shafts 520 is opened, the lattice shaft 520 still crosses and blocks the space of the auxiliary opening 510 vertically, so that even if a visitor suddenly turns into a robber, the lattice shaft 520 plays the role of a lattice, so an intrusion attempt can be prevented.

또한, 방문자의 신원이 확인되면, 상기 창살축(520)을 상부로 들어올려 개방기어(521)가 후술할 상부레일(534)로 이동시키며, 창살축(520)을 개방방향으로 이동시켜 상기 보조개구부(510)를 개방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창살축(520)은 후술할 제2자석(542)에 의해 상부로 이동한 상태이므로 후술할 상부레일(534)에 개방기어(521)가 위치한다. 상기 창살축(520)의 개방기어(521)가 후술할 상부레일(534)에 위치하여 있으므로 래크(532)와 치합되지 않으며 자유로운 회전 및 이동이 가능하다. In addition, when the identity of the visitor is confirmed, the grate shaft 520 is lifted upward and the opening gear 521 is moved to an upper rail 534 to be described later, and the auxiliary opening 510 can be opened by moving the grate shaft 520 in the opening direction. In this case, since the grate shaft 520 is moved upward by a second magnet 542 to be described later, an open gear 521 is located on an upper rail 534 to be described later. Since the opening gear 521 of the grate shaft 520 is located on the upper rail 534 to be described later, it is not engaged with the rack 532 and is free to rotate and move.

이때, 상기 가림막(523)은 좌,우측을 향하도록 위치하여 있다가 현관문의 전,후면측으로 향하도록 위치시킬 수 있다. 이에 관한 수단으로서, 거주자가 직접 손으로 조절할 수 있으며, 또는 상기 가림막(523)의 끝단을 경사지게 하여 슬라이딩되는 방식으로도 구현할 수 있다.At this time, the shield 523 may be positioned to face the left and right sides and then be positioned to face the front and rear sides of the front door. As a means for this, a resident can directly adjust it by hand, or it can be implemented in a sliding manner by tilting the end of the screen 523.

도 5, 도 6, 도 8 및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창살축(520)의 상부에 배치되는 가이드레일(530)은 상기 창살축(520)의 상단에 구비된 개방기어(521)가 삽입되어 좌,우측으로 이동된다. As shown in FIGS. 5, 6, 8 and 9, the guide rail 530 disposed above the grate shaft 520 is moved left and right by inserting an opening gear 521 provided at the top of the grate shaft 520.

상기 가이드레일(530)은 상기 보조도어(400)의 상부에서 가로방향으로 형성되며, 상기 보조개구부(510)와 연통될 수 있다. The guide rail 530 is formed in a horizontal direction at an upper portion of the auxiliary door 400 and may communicate with the auxiliary opening 510 .

상기 가이드레일(530)은 상부레일(534)과 하부레일(531)로 구분되어 구성된다. 상기 하부레일(531)은 상기 개방기어(521)의 회전각과 직선이동범위를 제한하며, 상기 상부레일(534)은 개방기어(521)의 회전각을 제한하지 않고 자유롭게 회전 및 이동할 수 있다.The guide rail 530 is composed of an upper rail 534 and a lower rail 531. The lower rail 531 limits the rotation angle and linear movement range of the open gear 521, and the upper rail 534 can freely rotate and move without limiting the rotation angle of the open gear 521.

먼저, 상기 하부레일(531)에는 상기 개방기어(521)와 치합되는 래크(532)가 일부분에 다수 형성된다. 상기 래크(532)는 상기 창살축(520)이 구비되는 갯수에 대응하여 일치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First, a plurality of racks 532 engaged with the open gear 521 are formed at a portion of the lower rail 531 . The rack 532 may be provided to correspond to the number of the grate shafts 520 provided.

상기 래크(532)는 상기 창살축(520)의 상호 이격되는 거리만큼 이격되어 상기 하부레일(531)에 형성된다. The racks 532 are formed on the lower rail 531 while being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by the mutually spaced distance of the grate shafts 520 .

또한, 각각의 래크(532)의 길이는 상기 개방기어(521)의 원호의 1/4만큼 형성되어, 상기 개방기어(521)가 최대 90°로 회전을 제한한다. In addition, the length of each rack 532 is formed by 1/4 of the circular arc of the open gear 521, so that the open gear 521 limits rotation to a maximum of 90°.

상기 래크(532)는 상기 하부레일(531)에 대하여 음각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래크(532)의 부분이 끝나는 지점은 상기 래크(532)의 골보다 더 상기 개방기어(521)의 쪽으로 튀어나와 있다. 즉, 상기 래크(532)의 골은 산보다 더 안쪽으로 들어가는 음각으로 형성되는 것이다. The rack 532 is formed in a negative angle with respect to the lower rail 531, and the point where the part of the rack 532 ends protrudes toward the open gear 521 more than the valley of the rack 532. That is, the trough of the rack 532 is formed as an intaglio that goes deeper than the mountain.

상기 래크(532)가 끝나는 부분은 래크(532)의 산과 동일한 선상에 위치하여 있으며, 상기 개방기어(521)가 더이상 회전을 하지 못하도록 정지시키는 스톱퍼 역할을 한다. The end of the rack 532 is located on the same line as the peak of the rack 532, and serves as a stopper to stop the open gear 521 from rotating any further.

상기 하부레일(531)의 폭은 상기 개방기어(521)의 직경보다 작게 되어 개방기어(521)의 회전을 제한하며, 상기 래크(532)의 골에서부터 하부레일(531)의 일측면까지인 폭은 상기 개방기어(521)의 직경과 동일하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개방기어(521)의 직경에 대응하여 상기 개방기어(521)의 회전을 제한할 수 있기 때문이다. The width of the lower rail 531 is smaller than the diameter of the open gear 521 to limit the rotation of the open gear 521, and the width from the valley of the rack 532 to one side of the lower rail 531 is preferably formed equal to the diameter of the open gear 521. This is because the rotation of the open gear 521 can be limited in correspondence with the diameter of the open gear 521 .

상기 보조개구부(510)를 폐쇄시에는 상기 개방기어(521)가 상기 래크(532)의 개방방향의 반대 방향쪽으로 치우쳐 치합되면서 위치한다. When the auxiliary opening 510 is closed, the opening gear 521 is skewed toward the opposite direction to the opening direction of the rack 532 and meshes with it.

상기 가림막(523)을 현관문의 전,후면측으로 위치하도록 하여 상기 창살축(520) 사이의 공간을 개방하기 위해서 상기 개방기어(521)는 상기 래크(532)를 따라 개방방향으로 이동한다. 상기 창살축(520)은 상기 래크(532)의 길이만큼 개방방향으로 이동하면서 개방기어(521)가 래크(532)와 치합되어 있으므로 회전한다. 상기 개방기어(521)는 래크(532)의 길이만큼 이동하며, 상기 래크(532)의 길이가 개방기어(521) 직경의 1/4이므로, 최대 90°만큼만 회전할 수 있다. The opening gear 521 moves in the opening direction along the rack 532 to open the space between the grate shafts 520 by positioning the shield 523 on the front and rear sides of the front door. The grate shaft 520 moves in the opening direction by the length of the rack 532 and rotates because the opening gear 521 is meshed with the rack 532 . The open gear 521 moves as much as the length of the rack 532, and since the length of the rack 532 is 1/4 of the diameter of the open gear 521, it can rotate only by a maximum of 90°.

상기 하부레일(531)의 하단은 개방기어(521)의 하단을 지지하는 받침대(533)가 형성된다. 상기 받침대(533)의 폭은 상기 창살축(520)의 직경보다 크거나 동일하되, 상기 개방기어(521)의 직경보다 작도록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개방기어(521)의 하단이 상기 받침대(533)의 상면과 접촉되어, 상기 받침대(533)는 상기 개방기어(521)가 가이드레일(530)에서 빠지지 않도록 받치는 역할을 수행한다. A pedestal 533 supporting the lower end of the open gear 521 is formed at the lower end of the lower rail 531 . The width of the pedestal 533 is greater than or equal to the diameter of the grate shaft 520, but smaller than the diameter of the open gear 521. Therefore, the lower end of the open gear 521 comes into contact with the upper surface of the pedestal 533, and the pedestal 533 serves to support the open gear 521 so that it does not fall off the guide rail 530.

상기 상부레일(534)은 상기 하부레일(531)의 상부에 위치하며 상기 하부레일(531)보다 더 넓은 폭으로 형성된다. The upper rail 534 is located above the lower rail 531 and has a wider width than the lower rail 531 .

상기 상부레일(534)은 상기 하부레일(531)과 연통되어 있으며, 상기 개방기어(521)가 상기 상부레일(534)과 하부레일(531)을 왕래할 수 있다. The upper rail 534 communicates with the lower rail 531 , and the open gear 521 may communicate between the upper rail 534 and the lower rail 531 .

상기 상부레일(534)의 폭은 상기 개방기어(521)의 직경보다 더 크게 형성되어, 상기 개방기어(521)는 상기 상부레일(534)에 위치시에 다른 구조물에 의한 걸림이 없이 자유롭게 회전 또는 왕복이동을 할 수 있다. The width of the upper rail 534 is formed to be larger than the diameter of the open gear 521, so that the open gear 521 can freely rotate or reciprocate without being caught by other structures when positioned on the upper rail 534.

상기 상부레일(534)에 위치한 개방기어(521)는 걸림이 없으므로 개방방향으로 이동할 시에 이동범위가 제한되지 않아 개방방향 끝까지 이동할 수 있으며, 개방방향으로 이동하면서 자유로이 회전할 수 있다. Since the opening gear 521 located on the upper rail 534 is not jammed, the range of movement is not limited when moving in the opening direction, so it can move to the end of the opening direction, and can rotate freely while moving in the opening direction.

도 7 내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보조개구부(510)의 하부에 구비되는 개방자석(540)은 상기 창살축(520)을 이동시키는 구성이다. As shown in FIGS. 7 to 9 , the opening magnet 540 provided under the auxiliary opening 510 moves the grate shaft 520 .

상기 개방자석(540)은 두가지의 극성을 띄는 자석이 구비된다. 상기 축자석(522)과 다른 극성을 띄어 인력이 작용하는 제1자석(541) 및 상기 축자석(522)과 같은 극성으로 형성되어 상호 척력이 작용하는 제2자석(542)이 구비된다. The open magnet 540 is provided with magnets with two polarities. A first magnet 541 having a polarity different from that of the shaft magnet 522 and having an attractive force acting thereon and a second magnet 542 having the same polarity as the shaft magnet 522 and having a mutual repulsive force acting thereon are provided.

상기 제1자석(541)과 제2자석(542) 사이에는 거주자가 손으로 파지하여 슬라이딩 시킬 수 있도록 구비되는 자석레버(543)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자석레버(543)를 통해 상기 제1자석(541) 및 제2자석(542)의 위치를 반전시킬 수 있다. A magnet lever 543 is formed between the first magnet 541 and the second magnet 542 so that a resident can grip and slide it by hand, and the positions of the first magnet 541 and the second magnet 542 can be reversed through the magnet lever 543.

상기 제1자석(541)은 상기 축자석(522)과의 인력이 작용하므로 상기 제1자석(541)의 이동에 따라 상기 창살축(520)이 따라오도록 유도한다. Since the first magnet 541 has an attractive force with the shaft magnet 522, the movement of the first magnet 541 induces the grate shaft 520 to follow.

상기 제1자석(541)이 축자석(522)과 인접하도록 위치시킨 후, 상기 개방자석(540)을 개방방향으로 이동시키면 상기 창살축(520)은 제1자석(541)을 따라 이동하면서, 상단에 래크(532)와 맞물려있는 개방기어(521)가 상기 창살축(520)을 회전시킨다. 상기 창살축(520)이 최대 90 °로 회전시킨 후 정지되므로 상기 창살축(520)은 회전 및 개방방향으로의 이동이 제한되고, 상기 제1자석(541)이 지속적으로 개방방향으로 이동하면서 인접한 다른 창살축(520)을 이동 및 회전시킨다. After the first magnet 541 is positioned adjacent to the axis magnet 522, when the opening magnet 540 is moved in the opening direction, the grate shaft 520 moves along the first magnet 541, and the opening gear 521 meshed with the rack 532 rotates the grate shaft 520. Since the lattice shaft 520 is stopped after rotating at a maximum of 90 °, the rotation and movement of the lattice shaft 520 in the opening direction is restricted, and the first magnet 541 continuously moves in the opening direction to move and rotate another adjacent lattice shaft 520.

상기 제1자석(541)이 개방방향으로 이동하면서 모든 창살축(520)이 순차적으로 개방방향으로의 이동 및 최대 90°로 회전이 이루어진다. As the first magnet 541 moves in the opening direction, all of the grate shafts 520 sequentially move in the opening direction and rotate at a maximum of 90°.

상기 제1자석(541)을 통하여 보조개구부(510)를 개방하게 되면, 상기 창살축(520)이 회전하여 상기 가림막(523)을 통해 폐쇄된 부분의 보조개구부(510)만 개방되며, 상기 창살축(520)이 상기 보조개구부(510)를 창살처럼 막게 된다. When the auxiliary opening 510 is opened through the first magnet 541, the lattice shaft 520 rotates to open only the auxiliary opening 510 of the portion closed through the screen 523, and the lattice shaft 520 blocks the auxiliary opening 510 like a bar.

상기 제2자석(542)은 상기 축자석(522)과 같은 극성을 띄어 척력이 작용한다. 또한, 상기 제2자석(542)은 비스듬히 경사진 형상으로 되되 상기 개방방향으로 하향되는 경사를 형성한다. 따라서, 상기 제2자석(542)의 척력의 방향은 개방방향과 상부방향을 동시에 향할 수 있다. The second magnet 542 has the same polarity as the axial magnet 522 so that a repulsive force acts thereon. In addition, the second magnet 542 has an obliquely inclined shape and forms an inclined downward in the opening direction. Accordingly, the direction of the repulsive force of the second magnet 542 may be directed toward the opening direction and the upward direction at the same time.

상기 자석레버(543)를 통해 상기 제2자석(542)이 상부로 오도록 반전시킨 후, 상기 제2자석(542)을 개방방향으로 이동시키게 되면 상기 제2자석(542)과 상기 축자석(522)과의 상부방향으로의 척력으로 인해 상기 창살축(520)이 상승되어 상기 개방기어(521)가 상부레일(534)에 위치하면서 래크(532)와의 치합상태가 해제되고, 개방방향으로의 척력으로 인해 상기 창살축(520)이 상부레일(534)을 따라 개방방향으로 이동한다. After inverting the second magnet 542 to the top through the magnet lever 543, when the second magnet 542 is moved in the opening direction, the grate shaft 520 rises due to the repulsive force between the second magnet 542 and the shaft magnet 522 in the upward direction, and the opening gear 521 is positioned on the upper rail 534 and meshes with the rack 532. is released, and the grate shaft 520 moves along the upper rail 534 in the opening direction due to the repulsive force in the opening direction.

상기 제2자석(542)이 상기 개방방향으로 지속적으로 이동함에 따라 모든 창살축(520)이 상승되어 개방기어(521)가 상부레일(534)로 이동하며, 개방방향으로 이동된다. 이때, 상기 가림막(523)은 보조개구부(510)의 전,후면측을 향하여 위치되도록 할 수 있다. As the second magnet 542 continuously moves in the opening direction, all of the grate shafts 520 are raised, and the opening gear 521 moves to the upper rail 534 and moves in the opening direction. At this time, the shielding film 523 may be positioned toward the front and rear sides of the auxiliary opening 510 .

따라서 상기 제2자석(542)을 통하여 상기 보조개구부(510)를 개방할 시에는 보조개구부(510)의 많은 면적 부분이 개방되어 작은 크기의 물품을 수령받을 수 있다. Accordingly, when the auxiliary opening 510 is opened through the second magnet 542, a large area of the auxiliary opening 510 is opened to receive a small-sized product.

상기 제2자석(542)을 통한 보조개구부(510)의 개방시에는 먼저 상기 제1자석(541)을 통한 보조개구부(510)의 개방으로 방문자의 신원을 확인한 후에 이루어질 수 있다. When opening the auxiliary opening 510 through the second magnet 542, the identity of the visitor may be confirmed by first opening the auxiliary opening 510 through the first magnet 541.

제1자석(541)을 통한 개방시에는 가림막(523)만 회전하여 개방되므로 보안을 유지함과 동시에 방문자의 신원을 확인하고, 재차 제2자석(542)을 통하여 보조개구부(510)를 개방함으로써 상기 보조도어(400)를 개방하지 않아도 보조개구부(510)가 개방되므로 물품을 수령받는 등 용건을 수행할 수 있는 것이다.When opening through the first magnet 541, only the shield 523 is rotated and opened, so security is maintained, the identity of the visitor is confirmed, and the auxiliary opening 510 is opened again through the second magnet 542. Since the auxiliary opening 510 is opened without opening the auxiliary door 400, it is possible to perform tasks such as receiving goods.

도 4, 도 7 내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보조도어(400)의 하부에는 상기 보조개구부(510)의 가로방향으로 길이가 형성되는 슬라이드홈(550)이 형성된다. 상기 슬라이드홈(550)은 상기 개방자석(540)의 자석레버(543)가 후면측으로 돌출되는 구성으로, 상기 개방자석(540)의 슬라이드방향을 가이드한다. As shown in FIGS. 4 and 7 to 9 , a slide groove 550 having a length in the horizontal direction of the auxiliary opening 510 is formed at the bottom of the auxiliary door 400 . The slide groove 550 has a configuration in which the magnet lever 543 of the opening magnet 540 protrudes toward the rear side, and guides the sliding direction of the opening magnet 540 .

따라서, 상기 개방자석(540)은 슬라이드홈(550)을 따라 개방방향 또는 폐쇄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으며 거주자는 상기 슬라이드홈(550)의 후면측을 향해 돌출된 자석레버(543)를 잡고 보조개구부(510)의 개방을 제어할 수 있다. Therefore, the opening magnet 540 can move in the opening or closing direction along the slide groove 550, and the occupant can control the opening of the auxiliary opening 510 by holding the magnet lever 543 protruding toward the rear side of the slide groove 550.

상기 보조창(500)은 상기 보조도어(400)의 직접적인 개폐없이도 작은 크기의 물건을 주고 받을 수 있도록 한 구성으로서, 방문자의 신원을 직접적으로 확인하면서 방범을 유지할 수 있다. The auxiliary window 500 is configured to send and receive small-sized objects without directly opening and closing the auxiliary door 400, and can maintain crime prevention while directly confirming the identity of a visitor.

실내의 거주자는 자석레버(543)를 파지하여 개방방향으로 이동시키면서 보조개구부(510)의 일부만 개방 또는 전체 개방을 제어할 수 있으며, 이는 상기 제1자석(541) 및 제2자석(542)을 반전시켜 상부에 위치하도록 하는 자석을 선택함으로써 제어가 가능하다. The occupant of the room can control the opening of only part of the auxiliary opening 510 or the entire opening while holding the magnet lever 543 and moving it in the opening direction. This can be controlled by selecting a magnet that inverts the first magnet 541 and the second magnet 542 to be located at the top.

먼저, 상기 제1자석(541)이 상부로 위치하게 하여 개방방향으로 이동시킴으로써 상기 보조개구부(510)는 창살축(520)에 의해 막혀 방범이 유지된 채 일부만 개방될 수 있으며, 방문자의 신원을 확인할 수 있다. First, by moving the first magnet 541 upward and moving in the opening direction, the auxiliary opening 510 is blocked by the lattice shaft 520, and only a part of it can be opened while security is maintained, and the identity of the visitor can be confirmed.

방문자의 신원이 확인되어 보조개구부(510)를 전체 개방하기 위해서는 자석레버(543)를 잡고 회전시킴으로 상기 제1자석(541)과 제2자석(542)의 위치가 반전되고, 상기 제2자석(542)이 상부에 위치한 상태에서 개방방향으로 이동시키면 상기 창살축(520)이 상부방향 및 개방방향으로 이동하면서 보조개구부(510)가 개방되어 물건을 주고 받을 수 있다. In order to fully open the auxiliary opening 510 after confirming the identity of the visitor, the positions of the first magnet 541 and the second magnet 542 are reversed by holding and rotating the magnet lever 543, and when the second magnet 542 is moved in the opening direction from the upper position, the grate shaft 520 moves upward and in the opening direction, and the auxiliary opening 510 is opened so that objects can be exchanged.

상기 보조창(500)은 메인개구부(100)를 개방할 필요없이 방문자의 신원을 확인하거나 또는 작은 크기의 물건을 수령받을 시에 유용하다. The auxiliary window 500 is useful when identifying a visitor or receiving a small-sized object without opening the main opening 100 .


100:메인개구부 200:외부가드 210:가드날개 300:내부프레임
400:보조도어 410:가드플레이트 420:카메라 421:모니터
430:잠금레버 440:힌지
500:보조창 510:보조개구부
520:창살축 521:개방기어 522:축자석 523:가림막
530:가이드레일 531:하부레일 532:래크 533:받침대 534:상부레일
540:개방자석 541:제1자석 542:제2자석 543:자석레버 550:슬라이드홈

100: main opening 200: outer guard 210: guard wing 300: inner frame
400: auxiliary door 410: guard plate 420: camera 421: monitor
430: lock lever 440: hinge
500: auxiliary window 510: auxiliary opening
520: lattice shaft 521: open gear 522: shaft magnet 523: screen
530: guide rail 531: lower rail 532: rack 533: support 534: upper rail
540: open magnet 541: first magnet 542: second magnet 543: magnet lever 550: slide groove

Claims (6)

현관문 전,후면측을 관통하도록 일정 크기로 형성되는 메인개구부(100);
상기 메인개구부(100)의 전면측에 배치되며, 상기 메인개구부(100)의 중심측으로 돌출되어 상기 메인개구부(100)의 크기를 축소하는 가드날개(210)가 형성되는 외부가드(200);
상기 메인개구부(100)삽입되며, 상기 메인개구부(100)를 개방 또는 폐쇄하는 보조도어(400);
상기 보조도어(400)의 전면부에 결합되며, 상기 보조도어(400)보다 작은 크기로 형성되어 상기 보조도어(400)와 단차를 형성하고, 상기 가드날개(210)의 내측 테두리와 접촉하면서 상기 외부가드(200)와 동일한 평면상에 위치하는 가드플레이트(410); 및
상기 메인개구부(100)의 후면측에 배치되며, 상부에 구비되는 잠금레버(430)를 통해 상기 보조도어(400)를 폐쇄 고정하고, 상기 보조도어(400)를 수직 또는 수평으로 접철하는 힌지(440)가 구비되는 내부프레임(300);을 포함하는
현관문에 장착되는 방범 보조문.
A main opening 100 formed to a certain size to pass through the front and rear sides of the front door;
An outer guard 200 disposed on the front side of the main opening 100 and having guard wings 210 protruding toward the center of the main opening 100 to reduce the size of the main opening 100;
an auxiliary door 400 inserted into the main opening 100 and opening or closing the main opening 100;
It is coupled to the front part of the auxiliary door 400, is formed in a smaller size than the auxiliary door 400, forms a step with the auxiliary door 400, and contacts the inner rim of the guard wing 210 A guard plate 410 located on the same plane as the outer guard 200; and
It is disposed on the rear side of the main opening 100, closes and fixes the auxiliary door 400 through a locking lever 430 provided at the top, and folds the auxiliary door 400 vertically or horizontally. Inner frame 300 provided with a hinge 440,
A security auxiliary door mounted on the front door.
제1항에 있어서,
현관문의 전면측을 촬영하는 카메라(420)가 상기 보조도어(400)의 전면부에 장착되며,
상기 카메라(420)에서 촬영한 영상을 출력하는 모니터(421)가 상기 보조도어(400)의 후면에 구비되는
현관문에 장착되는 방범 보조문.
According to claim 1,
A camera 420 for photographing the front side of the front door is mounted on the front side of the auxiliary door 400,
A monitor 421 outputting an image taken by the camera 420 is provided on the rear side of the auxiliary door 400
A security auxiliary door mounted on the front door.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도어(400)에 구비되는 보조창(500)은
상기 보조도어(400)의 전,후측을 관통하도록 형성되는 보조개구부(510);
상기 보조개구부(510)를 수직방향으로 가로지르도록 배치되며, 상기 보조개구부(510)를 폐쇄하는 가림막(523)이 형성되고, 상단에 개방기어(521)가 형성되며, 하단에는 축자석(522)이 형성되는 복수개의 창살축(520);
상기 보조개구부(510)의 상단에서 수평방향으로 배치되며, 하부에 상기 개방기어(521)와 치합되는 래크(532)가 형성되는 하부레일(531)이 형성되고, 상부에 상기 개방기어(521)의 직경보다 더 큰 폭을 가지는 상부레일(534)이 형성되는 가이드레일(530);
상기 축자석(522)과 다른 극성을 띄는 제1자석(541)이 구비되며, 상기 축자석(522)과 같은 극성을 띄는 제2자석(542)이 구비되고, 상기 제1자석(541)과 제2자석(542)의 중간에 배치되어 제1자석(541)과 제2자석(542)의 위치를 반전시키는 자석레버(543)가 돌출 형성되는 개방자석(540); 및
상기 보조개구부(510)의 하단에서 수평방향으로 형성되며, 상기 자석레버(543)가 후측으로 돌출되는 슬라이드홈(550);을 포함하는
현관문에 장착되는 방범 보조문.
According to claim 1,
The auxiliary window 500 provided in the auxiliary door 400 is
Auxiliary opening 510 formed to pass through the front and rear sides of the auxiliary door 400;
Arranged to cross the auxiliary opening 510 in the vertical direction, a shield 523 for closing the auxiliary opening 510 is formed, an open gear 521 is formed at the upper end, and a plurality of grate shafts 520 in which magnets 522 are formed at the lower end;
A guide rail 530 having an upper rail 534 having a width larger than the diameter of the open gear 521;
A first magnet 541 having a polarity different from that of the shaft magnet 522 is provided, and a second magnet 542 having the same polarity as the shaft magnet 522 is provided. ); and
A slide groove 550 formed in the horizontal direction at the lower end of the auxiliary opening 510 and protruding to the rear side of the magnet lever 543;
A security auxiliary door mounted on the front door.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래크(532)는 상기 창살축(520)의 갯수만큼 구비되며, 상기 개방기어(521)의 원호 길이의 1/4만큼 길이가 형성되고,
상기 래크(532)와 치합된 개방기어(521)의 회전각은 최대 90°로 회전하는
현관문에 장착되는 방범 보조문.
According to claim 3,
The rack 532 is provided as much as the number of the grate shafts 520 and has a length equal to 1/4 of the arc length of the open gear 521,
The rotation angle of the open gear 521 meshed with the rack 532 rotates at a maximum of 90 °
A security auxiliary door mounted on the front door.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2자석(542)은 경사지게 형성되어 상기 축자석(522)과의 척력이 대각방향으로 작용하며,
상기 제2자석(542)과 축자석(522)의 척력으로 상기 개방기어(521)는 상부레일(534)에서 개방방향으로 이동하는
현관문에 장착되는 방범 보조문.
According to claim 3,
The second magnet 542 is inclined so that the repulsive force with the axis magnet 522 acts in a diagonal direction,
With the repulsive force of the second magnet 542 and the shaft magnet 522, the opening gear 521 moves in the opening direction in the upper rail 534.
A security auxiliary door mounted on the front door.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자석(541)이 상부에 위치한 상태에서 상기 개방자석(540)을 개방방향으로 이동시에 상기 가림막(523)은 상기 보조개구부(510)의 전,후측방향으로 배치되고 상기 보조개구부(510)는 상기 창살축(520)에 의해 가려지며,
상기 제2자석(542)이 상부에 위치한 상태에서 상기 개방자석(540)을 개방방향으로 이동시에 상기 보조개구부(510)는 개방되는
현관문에 장착되는 방범 보조문.
According to claim 3,
When the opening magnet 540 is moved in the opening direction with the first magnet 541 located at the top, the shielding film 523 is disposed in the front and rear directions of the auxiliary opening 510, and the auxiliary opening 510 is covered by the grate shaft 520,
When the opening magnet 540 is moved in the opening direction in a state where the second magnet 542 is located at the top, the auxiliary opening 510 is opened.
A security auxiliary door mounted on the front door.
KR1020220008785A 2022-01-20 2022-01-20 Security Auxiliary Door on The Front Door KR20230112480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08785A KR20230112480A (en) 2022-01-20 2022-01-20 Security Auxiliary Door on The Front Doo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08785A KR20230112480A (en) 2022-01-20 2022-01-20 Security Auxiliary Door on The Front Door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12480A true KR20230112480A (en) 2023-07-27

Family

ID=874334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08785A KR20230112480A (en) 2022-01-20 2022-01-20 Security Auxiliary Door on The Front Door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112480A (en)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85718A (en) 2014-01-16 2015-07-24 정석준 storage device for parcel delivery
KR20180005645A (en) 2017-12-27 2018-01-16 윤재근 Simple unmanned courier storage for front door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85718A (en) 2014-01-16 2015-07-24 정석준 storage device for parcel delivery
KR20180005645A (en) 2017-12-27 2018-01-16 윤재근 Simple unmanned courier storage for front door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887138B1 (en) Camera tampering protection
US8061599B2 (en) Structural system for optimizing performance of a millimeter wave concealed object detection system
US10405677B2 (en) Food display friction hinge
US4005662A (en) Armor window
KR102359747B1 (en) Folding door locking apparatus
US20130292066A1 (en) Window covering system with magnetic positioning
KR20230112480A (en) Security Auxiliary Door on The Front Door
EP1950370A1 (en) Locking device for door and window shutters and the like
US20110100405A1 (en) Installation for defense or protection allowing the control of the entry of people
KR102113867B1 (en) Speed Gate
KR200488517Y1 (en) Ceiling inspection implement with shock absorber
KR20090042721A (en) An apparatus for crime prevetion
KR101104992B1 (en) Safety door for the entrance
BR112020005391A2 (en) automatic system for identifying and controlling people and regulating access to restricted areas
CN212973973U (en) Fire hydrant box
CN211777074U (en) Rolling slats door protection architecture
KR100681848B1 (en) Security receipt door in the front door of an apartment house
KR100676466B1 (en) Acknowledge apparatus of an outsider using door of houses
JP6894854B2 (en) Slide restriction device
JP2003148070A (en) Shutter device for building
KR200316822Y1 (en) The entrance door having function of aid-door
JP2016186198A (en) Window sash with screen
KR101733112B1 (en) Hinge device for the front door
KR102468221B1 (en) Folding door having swing and sliding function
KR101818844B1 (en) A security Mothproof watch for hinged window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