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12460A - 신청자 맞춤 방식의 증명서 발급 중개 시스템 - Google Patents

신청자 맞춤 방식의 증명서 발급 중개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12460A
KR20230112460A KR1020220008738A KR20220008738A KR20230112460A KR 20230112460 A KR20230112460 A KR 20230112460A KR 1020220008738 A KR1020220008738 A KR 1020220008738A KR 20220008738 A KR20220008738 A KR 20220008738A KR 20230112460 A KR20230112460 A KR 2023011246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ertificate
applicant
issuance
editing
issu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0873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동기
Original Assignee
(주) 아이앤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 아이앤텍 filed Critical (주) 아이앤텍
Priority to KR102022000873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112460A/ko
Publication of KR2023011246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1246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6Government or public services
    • G06Q50/265Personal security, identity or safet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1/00Security arrangements for protecting computers, components thereof, programs or data against unauthorised activity
    • G06F21/30Authentication, i.e. establishing the identity or authorisation of security principals
    • G06F21/31User authentication
    • G06F21/33User authentication using certificat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40/00Handling natural language data
    • G06F40/10Text processing
    • G06F40/103Formatting, i.e. changing of presentation of documen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40/00Handling natural language data
    • G06F40/10Text processing
    • G06F40/166Editing, e.g. inserting or delet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10Office automation; Time manageme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Artificial Intelligence (AREA)
  • Marketing (AREA)
  • Economics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Computational Linguistics (AREA)
  • Audiology, Speech & Language Pathology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신청자가 증명서의 내용을 직접 작성하고 발급자가 해당 증명서 내용을 확인한 후 발급 기관의 인증 정보를 추가하여, 해당 증명서를 발행하는, 신청자 맞춤 방식의 증명서 발급 중개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신청자 및 상기 발급기관을 회원으로 등록하고 회원 계정을 생성하는 회원 관리부; 상기 신청자의 입력에 따라, 증명서를 편집하여 제1 증명서를 생성하는 증명서 편집부; 상기 신청자의 요청에 따라, 상기 제1 증명서의 발급을 요청하는 발급 요청부; 상기 발급자의 입력에 따라, 발급이 요청된 상기 제1 증명서에 상기 발급기관의 인증정보를 삽입하여 제2 증명서를 생성하는 인증정보 삽입부; 및, 상기 발급자의 요청에 따라, 상기 제2 증명서를 전자문서로 생성하여 발급하는 증명서 발급부를 포함하는 구성을 마련한다.
상기와 같은 시스템에 의하여, 신청자가 증명서를 직접 작성하고 발급자가 해당 증명서에 인증 정보를 추가하게 함으로써, 신청자 입장에서 자신이 원하는 증명서를 발급받을 수 있고 발급자 입장에서 증명서 작성 시간을 절약할 수 있다.

Description

신청자 맞춤 방식의 증명서 발급 중개 시스템 { A certificate issuance brokerage system tailored to the applicant }
본 발명은 신청자가 증명서의 내용을 직접 작성하고 발급자가 해당 증명서 내용을 확인한 후 발급 기관의 인증 정보를 추가하여, 해당 증명서를 발행하는, 신청자 맞춤 방식의 증명서 발급 중개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특정 자격 시험의 주관기관 또는 이직하고자 하는 기업에서 요구하는 경우, 자신의 이전 업무 경력을 증명하기 위하여 경력증명서 등의 전자문서를 제출해야만 한다. 이렇게 제출되는 전자문서는 다양한 종류가 있을 수 있으며, 성적 증명서, 졸업 증명서나 납부 영수증 등을 예시로 들 수 있다. 이러한 경력증명서를 발급하기 위해서는 증명서 발급기관(재퇴직 기업)에 직접 방문하거나 유선 연락하여 경력 증명서 발급을 요청하고, 해당 기업이 경력증명서를 생성/발급하여 대면 전달 또는 우편 발송을 통하여 본인 직접 원본 경력증명서 수령하게 된다. 그리고, 수령기관에 직접 방문, 우편 발송, 이메일 전송 등의 방법으로 경력증명서를 제출하는 방식으로 제출할 수밖에 없어, 번거롭지 않을 수 없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최근에는 온라인 상에서 증명서를 발급하는 기술이 제시되고 실제 이용되고 있다[특허문헌 1,2]. 상기 선행기술들은 온라인 상에서 증명서 발급을 요청하면 해당 증명서를 전자문서로 발급하는 기술들이다. 특히, 온라인 상에서 사용자 인증을 수행하거나, 발급 기관을 대행하여 발급 서버를 운영한다. 그런데 상기 선행기술들은 발급 기관 또는 그 대행 기관이 증명서를 직접 발급하며, 이를 위해, 발급 기관 또는 그 대행 기관 내에서 증명서 발급 시스템을 개발하고 운영해야 한다.
따라서, 중/소기업, 중소 기관, 또는 개인 기업들도 자체적으로 각종 증명서 등 문서를 발급하는 시스템을 운영하려면, 위변조 방지용 2차원 바코드가 탑재된 QR 코드, 캡처 방지, 프린트 매수제한, 화면 캡처 방지, 타임스탬프, 전자서명 수단 등을 개발해야 한다. 또한, 해당 중소 업체들은 인터넷으로 증명서를 발급하거나 전자 증명서를 발급하려면, 이외에도 시스템적으로 갖춰야 할 각종 보안 시스템을 구성해야 한다. 따라서 중소 업체가 인터텟을 통한 각종 증명서 발급을 위한 시스템 구축 비용, 운영상의 인력 및 관리 등 부담으로 현실적으로 인터넷 증명발급 시스템을 운영하기 어렵다.
따라서 전문 중개 기관이 각종 보안 기능들이 탑재된 인터넷 증명발급 시스템을 온라인 상의 사이트에서 운영하고, 문서 발급이 필요한 기업, 기관, 또는 개인들이 해당 증명발급 시스템에 접속하여 이용하는 기술이 필요하다.
한편, 신청자가 전자문서의 발급을 요청하면 담당자가 직접 전자문서를 작성하여 발급해주는 기술이 제시되고 있다[특허문헌 3]. 상기 선행기술은 담당자가 직접 전자문서를 작성한다는 점에서 문제점이 있다. 즉, 신청자가 특별한 이력 내용이 필요한 경우, 이에 맞는 맞춤형 전자문서를 발급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다.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10-2331591호(2021.11.29.공고)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10-2093600호(2020.03.26.공고)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10-2178405호(2020.11.13.공고)
본 발명의 목적은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신청자가 증명서의 내용을 직접 작성하고 발급자가 해당 증명서 내용을 확인한 후 발급 기관의 인증 정보를 추가하여, 해당 증명서를 발행하는, 신청자 맞춤 방식의 증명서 발급 중개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신청자가 발급 중개 서버에 접속하여 간단한 회원가입 절차를 진행하고, 해당 서버 사이트에서 제공하는 리포팅 기능을 통해 필요한 증명서를 직접 편집하고 입력하여 생성하는, 신청자 맞춤 방식의 증명서 발급 중개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신청자에 의해 생성된 증명서에 대하여, 발급 기관의 담당자가 기업/기관/개인의 관인 및 직인 등을 입력하여 필요한 위치에 배치하고, 법인 인증서, 또는 대표자 개인 인증서, 본인 실명확인된 개인 인증서 등으로 서명 처리하여 증명서 생성을 완성하는, 신청자 맞춤 방식의 증명서 발급 중개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발급이 완성된 증명서에 대하여, 신청자에게 전송하여 직접 출력하게 제공하거나, 공인 전자문서 유통 시스템을 통해 전송하거나, 카카오톡 등 소셜 네트워크(sns)나 이메일 등으로 전송하여 출력 발급 받게 하거나, 전자증명서로 발급하게 하는, 신청자 맞춤 방식의 증명서 발급 중개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신청자의 신청자 단말과, 발급기관의 발급자 단말과 연결되는, 신청자 맞춤 방식의 증명서 발급 중개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신청자 및 상기 발급기관을 회원으로 등록하고 회원 계정을 생성하는 회원 관리부; 상기 신청자의 입력에 따라, 증명서를 편집하여 제1 증명서를 생성하는 증명서 편집부; 상기 신청자의 요청에 따라, 상기 제1 증명서의 발급을 요청하는 발급 요청부; 상기 발급자의 입력에 따라, 발급이 요청된 상기 제1 증명서에 상기 발급기관의 인증정보를 삽입하여 제2 증명서를 생성하는 인증정보 삽입부; 및, 상기 발급자의 요청에 따라, 상기 제2 증명서를 전자문서로 생성하여 발급하는 증명서 발급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신청자 맞춤 방식의 증명서 발급 중개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시스템은, 각 발급기관 별 증명서의 양식을 등록하는 문서양식 등록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증명서 편집부는 해당 발급 기관의 증명서 양식을 가져와서 해당 증명서 양식을 편집하여 상기 제1 증명서를 편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신청자 맞춤 방식의 증명서 발급 중개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제1 증명서는 표, 틀, 도형 중 어느 하나 이상의 객체로 구성되는 구조적 구조를 가진 형식의 문서로 작성되고, 해당 객체의 입력란에 속성으로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신청자 맞춤 방식의 증명서 발급 중개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증명서 편집부는 상기 제1 증명서를 편집할 때, 상기 발급기관의 인증정보의 편집을 제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신청자 맞춤 방식의 증명서 발급 중개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증명서 편집부는 상기 제1 증명서를 편집할 때, 이미지 데이터 또는 인코딩 데이터인 경우 편집을 제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신청자 맞춤 방식의 증명서 발급 중개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증명서 편집부는 상기 제1 증명서를 편집할 때, 사전에 정해진 속성을 가진 부분에서의 편집을 제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신청자 맞춤 방식의 증명서 발급 중개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인증정보는 직인이나 관인 등 날인 이미지, 또는, 전자 서명, 위변조방지 데이터, 타임스탬프 중 어느 하나 이상의 인코딩 데이터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신청자 맞춤 방식의 증명서 발급 중개 시스템에 의하면, 신청자가 증명서를 직접 작성하고 발급자가 해당 증명서에 인증 정보를 추가하게 함으로써, 신청자 입장에서 자신이 원하는 증명서를 발급받을 수 있고 발급자 입장에서 증명서 작성 시간을 절약할 수 있는 효과가 얻어진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신청자 맞춤 방식의 증명서 발급 중개 시스템에 의하면, 신청자는 온라인 상으로 자신의 증명서를 직접 작성하여 발급받음으로써, 각종 제증명서를 발급 받기 위하여 전 직장을 방문해야 하는 등 번거러움과 시간적 손실을 해소할 수 있는 효과가 얻어진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신청자 맞춤 방식의 증명서 발급 중개 시스템에 의하면, 증명서를 작성하고 발급하는 중개 시스템을 제공함으로써, 업체들이 직접 증명서 발급 시스템을 개발하거나 대용하지 않더라도 온라인 상의 발급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얻어진다.
도 1은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전체 시스템에 대한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신청자 맞춤 방식의 증명서 발급 중개 시스템의 구성에 대한 블록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증명서의 템플릿을 등록하는 예시 화면.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증명서의 양식 편집 도구에 대한 예시 화면.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증명서의 인증정보 편집 도구에 대한 예시 화면.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완성된 증명서를 출력하는 예시로서, (a) 증명서가 완성되어 전자서명 값의 확인 및 인정정보 표시 예시 화면, 및, (b) 인쇄하여 출력하는 예시 화면.
이하, 본 발명의 실시를 위한 구체적인 내용을 도면에 따라서 설명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하는데 있어서 동일 부분은 동일 부호를 붙이고, 그 반복 설명은 생략한다.
먼저,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전체 시스템의 구성에 대하여 도 1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전체 시스템은 증명서를 신청하는 신청자의 신청자 단말(10), 발급기관의 담당자가 사용하는 발급자 단말(20), 및, 증명서의 발급을 관리하고 중개하는 발급중개 서버(30)로 구성된다. 신청자 단말(10) 또는 발급자 단말(20)과, 발급중개 서버(30)는 인터넷 등 네트워크(80)를 통해 서로 연결된다. 또한, 발급 정보 등을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40), 증명서를 확인하고자 하는 업체 담당자가 사용하는 확인자 단말(50), 또는, 전자문서를 유통하는 문서유통망(60) 등을 추가적으로 구성될 수 있다.
먼저, 신청자 단말(10)은 신청자가 이용하는 컴퓨팅 단말로서, PC, 노트북, 스마트폰, 태블릿PC 등 통상의 컴퓨팅 기능을 구비한 스마트 단말이다. 특히, 신청자 단말(10)은 어플리케이션 또는, 모바일용 어플리케이션(또는 앱, 어플) 등이 설치되어 실행될 수 있는 단말이다.
신청자는 발급 기관에 자신의 증명서를 신청하고자 하는 자이다. 증명서는 통상의 문서로서, 일례로서, 이력 증명서, 졸업 증명서 등을 말한다. 예를 들어, 신청자는 자신이 근무하였던 업체(발급 기관)에 대하여 증명서(경력 증명서 등)의 발급을 요청할 수 있다.
신청자는 신청자 단말(10)을 통해 발급중개 서버(30)에 접속하여, 자신이 원하는 증명서의 종류를 선택하고, 증명서의 내용을 작성하고, 작성된 증명서의 발급을 요청한다.
특히, 신청자 단말(10)에서 증명서를 편집하여 작성할 수 있다. 이때, 신청자 단말(10)에는 발급중개 서버(30)의 클라이언트 도구로서 문서 편집 도구 등이 설치되거나, 웹브라우저 등 클라이언트를 통해 온라인 상의 편집 도구를 이용할 수 있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신청자 단말(10)에서 증명서를 편집할 때, 사전에 정해진 양식 또는 템플릿을 선택하고 선택된 양식 또는 템플릿을 이용하여 증명서를 편집할 수 있다.
한편, 신청자는 발급중개 서버(30)의 관리자에 의해 대행되어, 관리자가 신청자 단말(10)을 통해 증명서의 작성 및 발급 요청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다음으로, 발급자 단말(20)은 발급자가 이용하는 컴퓨팅 단말로서, PC, 노트북, 스마트폰, 태블릿PC 등 통상의 컴퓨팅 기능을 구비한 스마트 단말이다. 특히, 발급자 단말(20)은 어플리케이션 또는, 모바일용 어플리케이션(또는 앱, 어플) 등이 설치되어 실행될 수 있는 단말이다.
발급자는 발급 기관의 담당자로서, 증명서의 발급을 최종 승인하고 처리하는 자를 말한다. 발급 기관은 증명서를 발급하는 기관으로서, 기업체인 경우 이력 증명서 등을 발급하고, 학교 등인 경우 졸업 증명서, 성적 증명서 등을 발급한다.
발급자는 발급자 단말(20)을 통해 발급중개 서버(30)에 접속하여, 자신의 기관(발급 기관)으로 요청된 증명서를 확인하고, 확인된 증명서에 발급기관의 인증정보를 추가하여 해당 증명서를 완성시킨다. 발급기관의 인증정보는 인장 이미지 등을 삽입하는 날인 정보, 인증서를 통한 전자 서명, 발급 고유 정보 부여 등에 의해 수행된다.
또한, 발급자 단말(20)에 의해, 증명서의 내용을 수정하여 편집할 수 있다.
또한, 발급자 단말(20)은 해당 발급 기관에서 발급하는 증명서의 양식 또는 템플릿을 등록할 수 있다.
이때, 발급자 단말(20)에는 발급중개 서버(30)의 클라이언트 도구로서 인증정보 편집 도구 등이 설치되거나, 웹브라우저 등 클라이언트를 통해 온라인 상의 편집 도구를 이용할 수 있다.
다음으로, 확인자 단말(50)은 확인자가 이용하는 컴퓨팅 단말로서, PC, 노트북, 스마트폰, 태블릿PC 등 통상의 컴퓨팅 기능을 구비한 스마트 단말이다. 특히, 확인자 단말(50)은 어플리케이션 또는, 모바일용 어플리케이션(또는 앱, 어플) 등이 설치되어 실행될 수 있는 단말이다.
확인자는 확인 기관의 담당자로서, 신청자의 경력 등을 확인하기 위하여 신청자의 증명서를 확인하려는 자이다. 예를 들어, 확인자는 기업체의 인사 담당자 등이 될 수 있다.
확인자는 확인자 단말(10)을 통해 발급중개 서버(30)에 접속하여, 신청자의 증명서의 발급 확인, 진위 여부 등을 확인한다.
다음으로, 문서유통망(60)은 통상의 전자문서의 유통을 위한 네트워크(또는 유통 시스템)로서, 공인전자문서 유통 시스템이나, 블록체인 기반 문서 유통 시스템 등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문서유통망(60)은 메일링 시스템이나 소셜 네트워크(SNS) 등의 문서 유통 체계도 포함될 수 있다.
다음으로, 발급중개 서버(30)는 증명서 발급을 중개하는 중개 업체의 서버로서, 통상의 어플리케이션 서버이다. 특히, 발급중개 서버(30)는 신청자 단말(10)의 요청에 따라 증명서 작성 및 요청 작업을 수행하고, 발급자 단말(20)의 요청에 따라 증명서를 완성시켜서 발급(발행)한다.
이때, 발급중개 서버(30)는 인터넷 상의 웹 서비스 형태 또는 모바일 앱 형태 등 온라인 상으로 증명서 발급 서비스(또는 증명서 발급 중개 서비스)를 신청자 단말(10) 또는 발급자 단말(20)에 제공한다. 한편, 바람직하게는, 신청자 단말(10) 또는 발급자 단말(20)에는 웹브라우저, 모바일 앱 등의 클라이언트(미도시)가 설치되고, 클라이언트와 발급중개 서버(30)가 통상의 클라이언트와 서버의 구성 방법에 따라 구현될 수 있다. 즉, 전체 시스템의 기능들을 클라이언트의 성능이나 서버와 통신량 등에 따라 분담될 수 있다.
또한, 발급중개 서버(30)는 신청자 및 발급자(또는 발급 기관)를 회원으로 등록한다. 특히, 회원 등록시 신청자 정보, 발급자 정보 등을 함께 등록한다. 회원 계정은 신청자 계정과 발급자 계정으로 구분된다. 회원 계정은 아이디/패스워드 등 사용자의 인증정보를 통해 인증되어야 통과된다. 신청자 또는 발급자 정보 등은 회원 계정으로 통해 관리된다.
또한, 발급중개 서버(30)는 발급자 단말(20)의 요청에 따라, 해당 발급자 계정의 증명서의 템플릿(또는 양식)을 등록한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발급중개 서버(30)는 발급자 단말(20) 또는 발급자 계정에 대하여, 증명서의 양식 또는 템플릿 편집 도구를 제공하여, 증명서의 양식 또는 템플릿을 편집하는 서비스를 제공한다. 또한, 편집된 양식 또는 템플릿을 해당 발급자 계정으로 등록한다.
또한, 발급중개 서버(30)는 신청자 단말(10)의 요청에 따라, 증명서 종류를 선택받고, 해당 증명서의 작성을 지원한다. 이를 위해, 발급중개 서버(30)는 증명서 편집 도구를 제공하여, 증명서를 편집하는 서비스를 제공한다. 이때, 발급중개 서버(30)는 증명서의 템플릿을 이용하여 편집하는 서비스를 제공한다.
또한, 발급중개 서버(30)는 신청자 단말(10)에 의해, 작성된 증명서에 대한 발급을 발급자 단말(20)에 요청한다. 이때, 발급중개 서버(30)는 발급자 단말(20)에 문자 메시지 또는 SNS 메시지 등을 전송하여 요청할 수 있다. 또한, 해당 메시지에 요청한 증명서(작성된 증명서)에 직접 접속할 수 있는 주소(URL 등)을 포함시킬 수 있다. 따라서 발급자는 요청 정보를 메시지로 수신하고, 메시지에 포함된 주소를 통해 바로 접속할 수 있다.
또한, 발급중개 서버(30)는 발급자 단말(20)의 요청에 따라, 편집되어 요청된 증명서에 발급기관의 인증정보를 추가 삽입하는 편집을 지원한다. 이를 위해, 발급중개 서버(30)는 인증정보 편집 도구를 제공하여, 증명서의 인증정보를 편집하는 서비스를 제공한다.
또한, 발급중개 서버(30)는 신청자 단말(10)의 요청에 따라 증명서(최종 완성된 증명서)의 전자문서를 출력(발행)하는 서비스를 제공한다. 전자문서는 통상의 전자문서로 신청자 단말(10)에 전송되거나, 메일, 소셜 네트워크(SNS) 등으로 전송되거나, 전자문서 유통망(60) 등으로 유통된다. 또는, 확인자 단말(50) 등의 요청에 따라 전송될 수 있다.
한편, 발급중개 서버(30)는 증명서의 송수신할 때, 비밀 번호 등 전송을 위한 인증정보를 사용할 수 있다. 즉, 기업이나 개인이 증명서를 발급 또는 요청하기 위해 주고 받을 때 서로의 보안을 위해 비밀번호를 설정할 수 있고, 안전한 문서의 송수신을 위해 문서들을 암호화 주고 받을 수 있다.
신청자가 기관 또는 기업에 증명서 발급를 요청하여 신청자가 원하는 기관 또는 기업에 직접 증명서를 전송 요청을 원하는 경우, 전송하는 문서의 보안을 위해 암호를 설정할 수 있다. 한편, 이 암호는 발급을 요청하는 신청자가 지정을 청하거나 발급하는 기업에서 임의로 지정해서 보내고, 요청한 신청자에게 별도로 암호를 전달할 수 있다
다음으로, 데이터베이스(40)는 신청자 및 발급기관 정보를 저장하는 회원정보DB(41), 증명서의 문서 양식이나 템플릿 정보를 저장하는 문서양식DB(42), 및 요청되거나 발급된 증명서 정보를 저장하는 발급문서DB(43) 등을 포함한다. 그러나 상기 데이터베이스(40)의 구성은 바람직한 일실시예일 뿐이며, 구체적인 장치를 개발하는데 있어서, 접근 및 검색의 용이성 및 효율성 등을 감안하여 데이터베이스 구축이론에 의하여 다른 구조로 구성될 수 있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신청자 맞춤 방식의 증명서 발급 중개 시스템의 구성에 대하여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신청자 맞춤 방식의 증명서 발급 중개 시스템(300)은 신청자 및 발급 기관을 회원으로 등록하여 관리하는 회원관리부(31), 증명서의 양식을 등록하는 문서양식 등록부(32), 증명서를 편집하는 증명서 편집부(33), 생성된 증명서의 발급을 요청하는 발급 요청부(34), 편집된 증명서에 인증정보를 부가하는 인증정보 삽입부(35), 및, 증명서를 발급하는 증명서 발급부(36)로 구성된다. 추가적으로, 증명서를 출력하는 증명서 출력부(37)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먼저, 회원관리부(31)는 신청자 및 발급 기관을 회원으로 등록하고 회원 계정(또는 신청자 계정, 발급자 계정 등)을 생성한다. 회원에 관한 정보는 모두 회원 계정에 의해 식별되어 관리된다. 특히, 증명서의 요청 및 발급 과정, 및, 그 이력 등의 모든 정보가 회원 계정에 의해 관리된다.
또한, 회원관리부(31)는 회원 등록시, 회원의 이름/명칭, 주소, 연락처(전화번호, 이동단말 번호, 이메일 주소, 소셜네트워크 계정 등) 등을 입력받아 등록한다.
또한, 회원관리부(31)는 접속되는 회원(신청자 또는 발급기관)에 대하여 회원 인증(또는 사용자 인증)을 수행한다. 사용자 인증은 아이디(계정 아이디)과 비밀번호, 인증서, 생체 인증 등 통상의 인증 방식에 의해 수행된다.
다음으로, 문서양식 등록부(32)는 발급자 단말(20)의 요청에 따라 각 발급 기관 별 증명서의 양식 또는 템플릿을 등록한다. 다른 실시예로서, 문서양식 등록부(32)는 각 발급 기관 별 증명서의 종류를 등록받고, 각 증명서의 종류에 따른 증명서의 양식을 등록한다.
즉, 증명서의 종류 또는 양식은 발급자에 의해 등록되고, 해당 발급자의 회원 계정(또는 발급자 계정)에 의한 종류 또는 양식으로 등록된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문서양식 등록부(32)는 발급자 단말(20)의 요청에 따라증명서의 종류를 선택 또는 입력받아, 발급 가능한 문서의 종류를 등록한다. 또는 증명서의 종류는 기본 설정(default)으로 사전에 설정된 종류들을 자동으로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업체 A는 근무 경력 증명서, 사업 참여 이력 증명서 등의 종류를 등록할 수 있다.
도 3은 증명서의 템플릿을 등록하는 화면을 예시하고 있다.
특히, 더욱 바람직하게는, 문서양식 등록부(32)는 기타 종류를 추가로 등록할 수 있다. 기타 종류는 정해지지 않는 양식의 증명서로서, 사전에 정해진 양식에 구애되지 않고 작성할 수 있는 증명서 종류이다.
또한, 문서양식 등록부(32)는 각 발급 기관 별 증명서의 양식을 등록한다. 특히, 각 증명서의 종류에 따른 증명서 양식을 등록한다. 하나의 증명서 종류에 적어도 2 이상의 증명서 양식을 등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증명서 종류 a에 대하여 증명서 양식 a1, 증명서 양식 a2 등 2개의 양식을 등록할 수 있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문서양식 등록부(32)는 증명서 양식 또는 템플릿을 편집하여 등록할 수 있다. 즉, 문서양식 등록부(32)는 증명서 양식을 편집하여 생성하기 위한 증명서 양식 편집 도구를 지원할 수 있다. 증명서 양식 편집 도구는 통상의 전자문서 양식의 편집 프로그램으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문서양식 등록부(32)는 이미 저장된 증명서 양식(템플릿)을 불러와서 해당 증명서 양식을 편집하여 새로운 증명서 양식을 생성할 수 있다.
한편, 증명서 종류를 별도로 설정하지 않는 실시예의 경우, 문서양식 등록부(32)는 증명서 양식만을 등록한다. 이때, 신청자는 등록된 증명서 양식 중에서 선택하여 증명서 양식을 편집하여 증명서를 생성하거나, 증명서 양식 없이 처음부터 증명서를 편집하여 생성할 수 있다. 한편, 등록된 증명서 양식은 해당 업체별로 등록된다.
또한, 문서양식 등록부(32)는 관리자에 의해 증명서 양식이 등록될 수 있고, 이때, 해당 증명서 양식은 어느 사용자라도 사용할 수 있도록 양식이 제공될 수 있다. 즉, 신청자는 해당 업체의 양식이 없는 경우, 관리자에 의해 등록된 공통 양식을 이용하여 증명서를 작성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일 실시예로서, 증명서 양식은 XML 등 구조적 문서 형식(구조화된 문서 형식)에 의해 저장된다. 즉, 특정 위치 또는 특정 셀에서의 입력되는 데이터를 태그 등을 통해 속성화 하여 인식할 수 있는 문서 형식에 의해 저장된다. 예를 들어, <이름>의 입력 란에 입력되는 데이터는 <이름>이라는 속성을 가지는 것을 설정할 수 있다. 또한, 증명서 양식은 표, 틀(frame) 형태로 구조화 되거나, 각 영역/셀 내에 속성으로 설정되거나, 객체의 입력란 등에 태그 등으로 속성으로 설정될 수 있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다른 실시예로서, 증명서 양식은 워드프로세서의 표 객체 또는 도형 객체로 구성된 문서 형식으로 저장될 수 있다. 즉, 이 경우에도, 양식의 형태가 표, 틀(frame) 형태로 구조화 될 수 있다. 즉, 각 입력란에 어떤 속성을 갖는지를 설정할 수 있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편집 도구는 위지윅(WISWIG) 형태로 제공되어, 화면 상에 나타나는 형태를 보면서 편집할 수 있도록 제공된다.
또한, 문서양식 등록부(32)는 발급자 단말(20)에 의해, 관인이나 직인 등 날인 이미지를 등록받을 수 있다.
다음으로, 증명서 편집부(33)는 신청자 단말(10)을 통해 신청자의 입력에 따라, 증명서(또는 증명서 초안, 제1 증명서)를 편집하여 생성한다. 즉, 초안 증명서는 신청자에 의해 편집되어 생성된다.
또한, 증명서 편집부(33)는 증명서(또는 증명서 초안)를 편집하여 생성하기 위한 증명서 편집 도구를 지원할 수 있다. 증명서 편집 도구는 통상의 전자문서의 편집 프로그램으로 구현될 수 있다.
도 4는 증명서의 양식 편집 도구를 예시하고 있다. 도 4a는 증명서 편집을 처음부터 작성하는 초기 화면을 나타내고, 도 4b는 증명서 편집이 완료된 화면을 예시하고 있다.
바람직하게는, 증명서 편집 도구는 위지윅 형태로 제공된다. 증명서 문서(증명서 파일)는 XML 등 구조적 문서 형식(구조화된 문서 형식)에 의해 저장되거나, 워드프로세서의 표나 틀 형태의 문서로 저장된다.
특히, 증명서 편집부(33)는 증명서의 형태 및 내용을 편집하여 생성할 수 있다. 여기서, 증명서의 형태는 증명서의 틀(frame) 구조를 나타내며, 증명서의 내용은 증명서에서 증명하고자 하는 내용으로서 텍스트 형식의 데이터를 나타낸다.
또한, 증명서 편집부(33)는 증명서 양식을 불러와서 해당 증명서 양식을 편집할 수 있다. 한편, 증명서 편집부(33)는 해당 업체의 증명서 양식 또는, 공통 양식(서버 또는 시스템에서 제공하는 양식)을 이용하여 편집할 수 있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증명서 편집부(33)는 증명서의 인증 정보를 나타내는 데이터를 삽입하거나 편집할 수 없도록 제한한다.
인증정보의 삽입/편집을 제한하는 방식은 다음 2가지 방식을 사용한다.
제1 방식은 데이터 형식에 의한 제한 방식이다. 직인 또는 관인 등 도장 날인을 위해서는 날인 이미지를 편집해야 한다. 따라서 증명서 편집부(33)는 이미지 데이터의 편집이나 삽입을 제한한다. 특히, 증명서에 원래 삽입되어 있던 이미지(증명서 양식을 가져오는 경우 해당 양식 내에 이미지가 삽입되는 경우가 있다)에 대해서는 위치 변경이나 크기 변경만 편집이 가능하게 하고, 그외 새로운 이미지의 삽입이나, 이미지 자체 편집 기능을 제한한다.
제2 방식은 구조화된 문서의 속성(태그)에 의해 제한하는 방식이다. 증명서의 속성 중에서 특정 속성을 가진 부분에서의 편집을 제한한다. 예를 들어, <문서 발급 번호>가 삽입되는 부분(박스, 틀, 표의 셀 등) 내에서의 편집을 불가하도록 제한한다.
다음으로, 발급 요청부(34)는 신청자 단말(10)에 의해, 증명서(증명서 초안/초안 증명서 또는 제1 증명서)를 생성하여 생성된 증명서(또는 증명서 초안)의 발급을 요청한다.
이때, 초안 증명서의 생성은 증명서 편집부(33)에 의해 편집되어 생성될 수 있다. 즉, 발급 요청부(34)는 증명서 편집부(33)를 통해 증명서(또는 증명서 초안)를 편집하게 한다.
또한, 발급 요청부(34)는 신청자 단말(10)의 입력에 의해, 발급 기관을 선택한다. 바람직하게는, 발급 요청부(34)는 등록된 발급 기관의 계정(회원 계정)을 리스트로 표시하거나, 검색 기능을 통해 특정 발급기관 계정(또는 발급 기관)을 표시하게 한다. 신청자는 리스트나 검색 기능을 통해 용이하게 자신이 원하는 업체(발급 기관)을 찾을 수 있다.
또한, 발급 요청부(34)는 증명서의 종류 또는 증명서 양식을 선택할 수 있다. 즉, 선택된 발급 기관에 의해 등록된 증명서 종류 또는 증명서 양식의 리스트를 표시하고, 해당 리스트 중에서 신청자가 원하는 증명서의 종류/양식을 선택할 수 있다.
이때, 발급 요청부(34)는 증명서 편집부(33)를 통해, 선택된 증명서의 종류/양식에 대해 편집하게 제어한다.
또한, 발급 요청부(34)는 증명서의 편집이 완료된 후, 신청자의 요청에 따라 증명서의 발급을 요청한다. 신청자는 편집 생성된 증명서의 발급을 요청한다. 즉, 증명서 편집부(33)를 통해 증명서가 편집되어 생성되고, 생성이 완료되면 발급 요청부(34)를 통해 증명서의 발급이 요청된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발급 요청부(34)는 증명서 편집부(33)에서 편집된 증명서 내의 입력 사항을 검증할 수 있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증명서는 구조화된 문서 형식을 가지고 있으므로, 사전에 정해진 속성의 입력란에 데이터 형식을 정의해두고, 해당 데이터 형식으로 해당 입력란에 입력되어 있는지를 검증한다. 예를 들어, 주민등록번호 입력란에 주민등록번호 데이터 형식의 데이터가 입력되었는지를 검증할 수 있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발급 요청부(34)는 편집된 증명서 내의 입력 사항을 검증하고, 검증이 통과된 후에 증명서의 발급을 요청한다.
한편, 발급 요청부(34)는 발급자 단말(20)에 문자 메시지 또는 SNS 메시지 등을 전송하여 요청할 수 있다. 또한, 해당 메시지에 요청한 증명서(작성된 증명서)에 직접 접속할 수 있는 주소(URL 등)을 포함시킬 수 있다. 따라서 발급자는 요청 정보를 메시지로 수신하고, 메시지에 포함된 주소를 통해 바로 접속할 수 있다.
다음으로, 인증정보 삽입부(35)는 발급자 단말(20)을 통해 발급자의 입력에 따라 증명서(생성된 증명서 초안)에 발급기관의 인증정보를 삽입한다.
특히, 인증정보 삽입부(35)는 증명서 초안에 인증정보를 삽입하기 위한 인증정보 편집 도구를 지원할 수 있다. 인증정보 편집 도구는 통상의 전자문서의 편집 프로그램으로 구현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인증정보 편집 도구는 위지윅 형태로 제공된다.
도 5는 증명서 초안에 인증정보를 삽입하는 인증정보 편집 도구를 예시하고 있다.
증명서 문서(증명서 파일)는 XML 등 구조적 문서 형식(구조화된 문서 형식)에 의해 저장되거나, 워드프로세서의 표나 틀 형태의 문서로 저장된다.
인증정보는 직인이나 관인 등 날인 이미지(또는 날인 이미지 정보)와, 전자 서명, 위변조방지 데이터 등 인코딩 데이터로 구분된다. 한편, 바람직하게는, 인코딩 데이터는 2차원 바코드, QR 코드 등 2차원 이미지로 변환된 데이터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인증정보는 하나의 객체 데이터로 처리된다. 즉, 이미지나 인코딩 데이터가 하나의 객체로서 일체화 되어 처리되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인증정보 삽입부(35)는 사전에 저장된 발급자 계정의 인증서를 통해 전자 서명 등의 인코딩을 수행하고, 해당 인코딩 데이터(전자 서명 등)를 발급기관의 인증정보로서 삽입한다. 이때, 인증서는 법인 인증서, 대표자의 개인 인증서, 본인 실명화된 개인 인증서 등이다.
또한, 인증정보 삽입부(35)는 타임 스탬프 등 보안 정보를 생성하여 함께 인증정보로서 삽입할 수 있다.
한편, 인증정보 삽입부(35)는 인코딩 데이터를 바코드 등 2차원 이미지로 변환하기 위한 인코딩 변환 도구, 또는, 전자서명을 수행하는 전자서명 도구, 타임 스탬프 생성 도구 등을 구비할 수 있다.
다음으로, 증명서 발급부(36)는 발급자 단말(20)에 의해, 인증정보가 삽입된 증명서를 최종 증명서(또는 제2 증명서)로 생성하여 발급한다. 즉, 발급자가 발급을 승인하면, 해당 최종 증명서를 생성하여 발급한다.
특히, 증명서 발급부(36)는 증명서 초안의 발급 요청을 받으면, 인증정보 삽입부(35)를 통해 발급 기관의 인증정보를 해당 증명서 초안에 삽입하게 하고, 인증정보가 삽입된 증명서를 최종 증명서로 생성한다. 생성된 최종 증명서가 발급된 증명서가 된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증명서 발급부(36)는 증명서 편집부(33)를 통해, 증명서 초안을 수정할 수 있다. 즉, 발급자가 증명서 초안에서 잘못된 정보를 일부 수정하도록 허용한다.
바람직하게는, 증명서 발급부(36)는 인증정보가 삽입된 증명서, 즉, 최종 증명서를 전자문서 형태로 변환하여 발급한다. 최종 발급되는 증명서는 사전에 정해진 파일 형식을 갖는다. 예를 들어, 유통을 위한 전자문서 파일 형식은, PDF 파일 형식이나, XML 형식 등의 파일 형식을 가질 수 있다. 이와 같이, 최종 전자문서 파일 형식으로 변환되어, 최종 증명서(발급된 증명서)가 완성된다.
다음으로, 증명서 출력부(37)는 발급된 증명서(최종 증명서)를 출력한다. 이때, 출력 방식은 신청자 단말(10)로의 증명서 파일 전송, 증명서 파일 보관, 증명서 파일의 연락처(이메일, 소셜 네트워크 주소 등) 전송, 전자문서 유통망에 전송 등 다양한 형태로 전송될 수 있다.
도 6은 증명서를 출력하는 예시로서, 도 6a는 증명서가 완성되어 전자서명 값을 확인하고 인정정보를 표시하는 화면을 예시한 것이고, 도 6b는 증명서를 인쇄 등을 통해 출력하는 화면을 예시한 것이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증명서 출력부(37)는 확인자 단말(50)의 요청에 따라, 발급되어 보관된 증명서 파일을 가져와서, 확인자 단말(50)로 해당 증명서 파일을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증명서 출력부(37)는, 발행된 증명서를 직원이나 퇴직자가 요청시에는 요청자의 메일로 전송하거나, 요청자가 원하는 상대의 메일 주소 또는 전자증명서로 발송할 수 있다. 또한, 더불어 발송할 때 링크가 되어 있는 URL 페이지를 전송하여, 직접 출력하거나 전자증명서를 직접 다운해서 사용하게 할 수 있다. 이때, 링크된 페이지를 출력하거나 전자문서를 다운로드 할때 전자서명 및 위변조 방지 및 타임 스탬프 각종 보안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이를 통해, 법적 효력이 갖춰진 증명서를 직접 발급 받을 수 있다.
또한, 증명서 출력부(37)는, 메일 또는 카톡과 같은 메신저 등으로 증명서 파일을 전송하거나, 요청한 신청자 단말(10)에게 증명서의 발급 재전송 상태, 발급의 완료 상태 등을 알려줄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자에 의해서 이루어진 발명을 실시 예에 따라 구체적으로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그 요지를 이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여러 가지로 변경 가능한 것은 물론이다.
10 : 신청자 단말 20 : 발급자 단말
30 : 발급중개 서버 31 : 회원 관리부
32 : 문서양식 등록부 33 : 증명서 편집부
34 : 발급 요청부 35 : 인증정보 삽입부
36 : 증명서 발급부 37 : 증명서 출력부
40 : 데이터베이스 50 : 확인자 단말
60 : 문서유통망 80 : 네트워크

Claims (7)

  1. 신청자의 신청자 단말과, 발급기관의 발급자 단말과 연결되는, 신청자 맞춤 방식의 증명서 발급 중개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신청자 및 상기 발급기관을 회원으로 등록하고 회원 계정을 생성하는 회원 관리부;
    상기 신청자의 입력에 따라, 증명서를 편집하여 제1 증명서를 생성하는 증명서 편집부;
    상기 신청자의 요청에 따라, 상기 제1 증명서의 발급을 요청하는 발급 요청부;
    상기 발급자의 입력에 따라, 발급이 요청된 상기 제1 증명서에 상기 발급기관의 인증정보를 삽입하여 제2 증명서를 생성하는 인증정보 삽입부; 및,
    상기 발급자의 요청에 따라, 상기 제2 증명서를 전자문서로 생성하여 발급하는 증명서 발급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청자 맞춤 방식의 증명서 발급 중개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시스템은, 각 발급기관 별 증명서의 양식을 등록하는 문서양식 등록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증명서 편집부는 해당 발급 기관의 증명서 양식을 가져와서 해당 증명서 양식을 편집하여 상기 제1 증명서를 편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청자 맞춤 방식의 증명서 발급 중개 시스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증명서는 표, 틀, 도형 중 어느 하나 이상의 객체로 구성되는 구조적 구조를 가진 형식의 문서로 작성되고, 해당 객체의 입력란에 속성으로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청자 맞춤 방식의 증명서 발급 중개 시스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증명서 편집부는 상기 제1 증명서를 편집할 때, 상기 발급기관의 인증정보의 편집을 제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청자 맞춤 방식의 증명서 발급 중개 시스템.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증명서 편집부는 상기 제1 증명서를 편집할 때, 이미지 데이터 또는 인코딩 데이터인 경우 편집을 제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청자 맞춤 방식의 증명서 발급 중개 시스템.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증명서 편집부는 상기 제1 증명서를 편집할 때, 사전에 정해진 속성을 가진 부분에서의 편집을 제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청자 맞춤 방식의 증명서 발급 중개 시스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인증정보는 직인이나 관인 등 날인 이미지, 또는, 전자 서명, 위변조방지 데이터, 타임스탬프 중 어느 하나 이상의 인코딩 데이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청자 맞춤 방식의 증명서 발급 중개 시스템.
KR1020220008738A 2022-01-20 2022-01-20 신청자 맞춤 방식의 증명서 발급 중개 시스템 KR2023011246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08738A KR20230112460A (ko) 2022-01-20 2022-01-20 신청자 맞춤 방식의 증명서 발급 중개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08738A KR20230112460A (ko) 2022-01-20 2022-01-20 신청자 맞춤 방식의 증명서 발급 중개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12460A true KR20230112460A (ko) 2023-07-27

Family

ID=874333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08738A KR20230112460A (ko) 2022-01-20 2022-01-20 신청자 맞춤 방식의 증명서 발급 중개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112460A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93600B1 (ko) 2019-04-19 2020-03-26 주식회사 비브로스 전자문서 발급 업무 대행 서비스 제공 방법 및 그 장치
KR102178405B1 (ko) 2019-12-16 2020-11-13 주식회사 디지털존 전자문서 온라인 발급 시스템
KR102331591B1 (ko) 2019-01-24 2021-11-29 주식회사 브리지텍 비대면 증명서 발급 시스템 및 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31591B1 (ko) 2019-01-24 2021-11-29 주식회사 브리지텍 비대면 증명서 발급 시스템 및 방법
KR102093600B1 (ko) 2019-04-19 2020-03-26 주식회사 비브로스 전자문서 발급 업무 대행 서비스 제공 방법 및 그 장치
KR102178405B1 (ko) 2019-12-16 2020-11-13 주식회사 디지털존 전자문서 온라인 발급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093652B2 (en) Web-based method and system for applying a legally enforceable signature on an electronic document
US11038677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encryption and authentication
US10454906B1 (en) Systems and methods for encryption and authentication
US8949706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distributed electronic signature documents
US20090271321A1 (en) Method and system for verification of personal information
US20140041006A1 (en) Secure messaging center
CN112740216B (zh) 文档认证和公布的系统和基于计算机的方法
US8086632B2 (en) Credential management
US20040015699A1 (en) Identification and contact information
EP4044026A1 (en) Method and system for verifying documents
KR20230112460A (ko) 신청자 맞춤 방식의 증명서 발급 중개 시스템
JP4002759B2 (ja) 株主情報管理方法及び株主情報管理プログラム
KR20020029926A (ko) 투표자 등록자들과 같은 등록자를 등록하기 위한 방법,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 투표자 등록 컴퓨터 시스템
KR20090036036A (ko) 인터넷 환경 기반의 학력조회 검증 서비스 시스템
JP2002259897A (ja) 電子書類処理装置及び方法
KR100508914B1 (ko) 인터넷을 이용한 제증명서 발급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제증명서 발급방법
KR101578172B1 (ko) 전자 문서 교환 관리 장치
KR20030010817A (ko) 인터넷을 이용한 민원 증명서 발급 시스템 및 그 방법
TW200400451A (en) A computer system for automating the controlled distribution of documents
KR20060110530A (ko) 웹브라우저를 이용한 애니폼 서비스 제공시스템
JP2002215827A (ja) 電子文書の保管と活用方法
JP2008252154A (ja) 電子オンラインシステム
KR20050004975A (ko) 공개키 기반구조의 공인인증서를 이용한 전자문서 유통시스템 및 방법
JP2003122936A (ja) 手続システムのサーバ装置
WO2005107359A2 (en) A system and method for verifying and exchanging informat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