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11984A - 파이프 어셈블리 및 그 제작 방법 - Google Patents

파이프 어셈블리 및 그 제작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11984A
KR20230111984A KR1020220008094A KR20220008094A KR20230111984A KR 20230111984 A KR20230111984 A KR 20230111984A KR 1020220008094 A KR1020220008094 A KR 1020220008094A KR 20220008094 A KR20220008094 A KR 20220008094A KR 20230111984 A KR20230111984 A KR 2023011198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pe
unit
injection
pipe unit
injection hea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0809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진백
이지형
Original Assignee
한수테크니칼서비스(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수테크니칼서비스(주) filed Critical 한수테크니칼서비스(주)
Priority to KR102022000809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111984A/ko
Publication of KR2023011198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1198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23/00Flanged joints
    • F16L23/16Flanged joints characterised by the sealing means
    • F16L23/165Flanged joints characterised by the sealing means comprising a viscous mass, e.g. hardenabl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13/00Non-disconnectible pipe-joints, e.g. soldered, adhesive or caulked joints
    • F16L13/10Adhesive or cemented joints
    • F16L13/103Adhesive joi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Injection Moulding Of Plastics Or The Like (AREA)

Abstract

파이프 어셈블리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파이프 어셈블리는, 제1 파이프 유닛과 제2 파이프 유닛을 구비하는 파이프 유닛; 상기 제1 파이프 유닛과 상기 제2 파이프 유닛을 종방향으로 결합하는 플랜지 유닛; 상기 제1 파이프 유닛과 상기 제2 파이프 유닛 사이의 경계를 감싸며, 상기 파이프 유닛에 부착되는 커버 유닛; 그리고 상기 커버 유닛의 외면에 부착되는 컴파운드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파이프 어셈블리 및 그 제작 방법{PIPE ASSEMBLY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본 발명은 파이프 어셈블리 및 그 제작 방법에 관한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은 파이프 연결 부위를 효과적으로 밀봉하는 파이프 어셈블리 및 그 제작 방법에 관한 것이다.
배관(pipe)을 연결하여 유체(fluid)를 공급하는 시스템에 있어서, 배관의 연결 부위에 이물질이 침투되는 것을 방지(또는 억제)할 필요가 발생할 수 있다. 특히 초순수(ultrapure water)를 공급하는 시설의 경우, 초순수를 공급하는 배관에 이물질이 침투되면 성능 저하가 발생될 수 있다. 즉, 배관 연결 부위에 이물질이 침투되지 않도록 배관 연결 부위를 밀봉할 필요가 있다.
종전 기술의 경우, 배관 연결 부위를 밀봉하기 위하여, 배관 연결 부위에 컴파운드를 부착하여 배관 연결 부위를 밀봉하였다. 그러나 배관 연결 부위에 단순히 컴파운드를 부착하는 경우, 배관 연결 부위에 이물질이 침투되는 확률이 상당할 수 있다.
KR 10-2021-0066259 A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 및 다른 문제를 해결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배관(pipe) 연결 부위에 커버 유닛을 부착하여 배관 연결 부위를 효과적으로 밀봉하는 파이프 어셈블리를 제공하는 것을 다른(another)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배관 연결 부분을 수용하여 밀봉하는 몰드 하우징을 포함하는 파이프 어셈블리를 제공하는 것을 다른(another) 목적으로 한다.
상기 또는 다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제1 파이프 유닛과 제2 파이프 유닛을 구비하는 파이프 유닛; 상기 제1 파이프 유닛과 상기 제2 파이프 유닛을 종방향으로 결합하는 플랜지 유닛; 상기 제1 파이프 유닛과 상기 제2 파이프 유닛 사이의 경계를 감싸며, 상기 파이프 유닛에 부착되는 커버 유닛; 그리고 상기 커버 유닛의 외면에 부착되는 컴파운드를 포함하는, 파이프 어셈블리가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another) 측면에 따르면, 제1 파이프 유닛과 제2 파이프 유닛을 결합하여 밀봉하는 파이프 어셈블리 제작 방법(S10)에 있어서, 상기 제1 파이프 유닛과 상기 제2 파이프 유닛을 종방향으로 정렬하는, 파이프 유닛 정렬 단계(S100); 플랜지 유닛이 제1 파이프 유닛과 상기 파이프 유닛을 결합시키는, 플랜지 유닛 결합 단계(S200); 그리고 상기 제1 파이프 유닛과 상기 제2 파이프 유닛 사이를 밀봉하는, 밀봉 단계(S300)를 포함하고, 상기 밀봉 단계(S300)는, 커버 유닛이 상기 제1 파이프 유닛과 상기 제2 파이프 유닛 사이의 경계를 감싸는, 커버 유닛 장착 단계(S310)를 포함하는, 파이프 어셈블리 제작 방법(S10)이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파이프 어셈블리의 효과에 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실시 예들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하면, 배관(pipe) 연결 부위에 커버 유닛을 부착하여 배관 연결 부위를 효과적으로 밀봉하는 파이프 어셈블리가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들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하면, 배관 연결 부분을 수용하여 밀봉하는 몰드 하우징을 포함하는 파이프 어셈블리가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적용 가능성의 추가적인 범위는 이하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명백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경 및 수정은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으므로, 상세한 설명 및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와 같은 특정 실시 예는 단지 예시로 주어진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파이프 어셈블리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파이프 어셈블리를 정면에서 바라본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파이프 유닛으로서 파이프 헤드의 결합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도 1의 파이프 어셈블리(10)를 A1-A2로 자른 단면을 나타낸 분해사시도이다.
도 5는, 플랜지 유닛이 파이프 유닛을 결합한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커버 유닛이 파이프 유닛을 감싼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다른 몰드 하우징이 파이프 유닛에 결합된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은 도 7의 파이프 어셈블리를 B1-B2로 자른 단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9 및 도 10은, 주입 유닛을 서로 다른 방향으로 바라본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파이프 어셈블리 제작 방법(S10)을 나타낸 플로우차트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되,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요소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 및 "부"는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거나 혼용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서로 구별되는 의미 또는 역할을 갖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첨부된 도면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일 뿐,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적 사상이 제한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한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면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구성 요소들이 그 크기가 과장 또는 축소될 수 있다. 예컨대, 도면에서 나타난 각 구성의 크기 및 두께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임의로 나타내었으므로, 본 발명이 반드시 도시된 바에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실시예가 달리 구현 가능한 경우에 특정한 공정 순서는 설명되는 순서와 다르게 수행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연속하여 설명되는 두 공정이 실질적으로 동시에 수행될 수도 있고, 설명되는 순서와 반대의 순서로 진행될 수 있다.
이하의 실시예에서, 막, 영역, 구성 요소 등이 연결되었다고 할 때, 막, 영역, 구성 요소들이 직접적으로 연결된 경우뿐만 아니라 막, 영역, 구성요소들 중간에 다른 막, 영역, 구성 요소들이 개재되어 간접적으로 연결된 경우도 포함한다. 예컨대, 본 명세서에서 막, 영역, 구성 요소 등이 전기적으로 연결되었다고 할 때, 막, 영역, 구성 요소 등이 직접 전기적으로 연결된 경우뿐만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막, 영역, 구성 요소 등이 개재되어 간접적으로 전기적 연결된 경우도 포함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파이프 어셈블리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파이프 어셈블리를 정면에서 바라본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파이프 어셈블리(10)는 파이프 유닛(100)을 포함할 수 있다. 파이프 유닛(100)은, 복수로 제공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파이프 유닛(100)은, 제1 파이프 유닛(101)과 제2 파이프 유닛(102)을 포함할 수 있다. 파이프 유닛(100)은, 제1 파이프 유닛(101)과 제2 파이프 유닛(102) 중 적어도 하나를 의미할 수 있다.
파이프 유닛(100)은, 플라스틱(plastic) 또는 합성수지를 포함하는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파이프 유닛(100)은, PVDF(Polyvinylidene fluoride, 이소불화비닐)을 포함하는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파이프 유닛(100)은, PVC(폴리염화비닐, Polyvinyl Chloride)을 포함하는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파이프 유닛(100)은, 금속을 포함하는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파이프 유닛(100)은, 강관(steel pipe)일 수 있다. 예를 들어, 파이프 유닛(100)은, 탄소 강관(carbon steel pipe)일 수 있다. 예를 들어, 파이프 유닛(100)은, 흑관 또는/및 백관일 수 있다. 예를 들어, 파이프 유닛(100)은, 강관에 아연(zinc)이 도금된 상태일 수 있다. 예를 들어, 파이프 유닛(100)은, 스테인리스 강관일 수 있다. 예를 들어, 파이프 유닛(100)은, SUS 파이프 또는 STS 파이프일 수 있다.파이프 유닛(100)은, 파이프 바디(110)를 포함할 수 있다. 파이프 바디(110)는, 파이프(pipe)의 형상을 형성할 수 있다. 파이프 바디(110)는, 종방향(longitudinal direction)으로 연장된 형상을 형성할 수 있다. 파이프 어셈블리(10)의 종방향은, 파이프 바디(110)의 종방향일 수 있다.
파이프 유닛(100)은, 파이프 헤드(120)를 포함할 수 있다. 파이프 헤드(120)는, 파이프 유닛(100)의 단부를 형성할 수 있다. 파이프 헤드(120)는, 파이프 바디(110)로부터 종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다. 파이프 헤드(120)의 외경(outer diameter)은, 파이프 바디(110)의 외경 보다 클 수 있다.
파이프 유닛(100)은, 파이프 넥(130, pipe neck)을 포함할 수 있다. 파이프 넥(130)은, 파이프 바디(110)와 파이프 바디(110)의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파이프 넥(130)의 외면은, 파이프 바디(110)의 외면과 경사를 형성할 수 있다.
파이프 넥(130)은, 파이프 바디(110)로부터 연장되어 파이프 헤드(120)에 이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파이프 넥(130)의 일단은, 파이프 바디(110)에 연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파이프 넥(130)의 타단은, 파이프 헤드(120)에 연결될 수 있다. 파이프 넥(130)의 타단은, 파이프 헤드(120)와 단차(step)를 형성할 수 있다.
파이프 넥(130)의 일단의 외경은, 파이프 바디(110)의 외경과 동일할 수 있다. 파이프 넥(130)의 타단의 외경은, 파이프 넥(130)의 일단의 외경 보다 크고, 파이프 헤드(120)의 외경 보다 작을 수 있다.
제1 파이프 유닛(101)의 파이프 헤드(120)는 제2 파이프 유닛(102)의 파이프 헤드(120)를 마주할 수 있다. 제1 파이프 유닛(101)의 파이프 헤드(120)는 제2 파이프 유닛(102)의 파이프 헤드(120)에 결합될 수 있다.
파이프 어셈블리(10)는 개스킷(200, gasket)을 포함할 수 있다. 개스킷(200)은, 제1 파이프 유닛(101)과 제2 파이프 유닛(102)의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개스킷(200)은, 제1 파이프 유닛(101)의 파이프 헤드(120)와 제2 파이프 유닛(102)의 파이프 헤드(120)의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개스킷(200)은, 제1 파이프 유닛(101)과 제2 파이프 유닛(102) 사이를 밀봉(sealing)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개스킷(200)은, 제1 파이프 유닛(101)의 파이프 헤드(120)와 제2 파이프 유닛(102)의 파이프 헤드(120) 사이를 밀봉할 수 있다.
개스킷(200)의 마모계수는 작을 수 있다. 개스킷(200)은 무독성일 수 있다. 개스킷(200)은 PTFE(폴리테트라 플루오로에틸렌, Polytetrafluoroethylene)를 포함하는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어, 개스킷(200)은, EPDM (Ethylene propylene diene monomer)을 포함하는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어, 개스킷(200)은, 금속을 포함하는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파이프 유닛으로서 파이프 헤드의 결합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파이프 헤드(120)는 결합면(121)을 포함할 수 있다. 결합면(121)은, 파이프 헤드(120)의 면(surface) 중에서 일 면일 수 있다. 파이프 유닛(100)의 결합면(121)은, 인접하는 파이프 유닛(100)을 마주할 수 있다. 파이프 유닛(100)의 결합면(121)은, 인접하는 파이프 유닛(100)에 결합될 수 있다.
파이프 헤드(120)는 결합 그루브(125)를 포함할 수 있다. 결합 그루브(125)는, 결합면(121)에 형성될 수 있다. 결합 그루브(125)는, 결합면(121)에서 함몰되어 형성된 홈(groove)일 수 있다. 결합 그루브(125)는, 환형(annular)일 수 있다.
파이프 유닛(100)은 파이프 홀(140)을 포함할 수 있다. 파이프 홀(140)은, 파이프 유닛(100)에 형성된 중공부일 수 있다. 파이프 홀(140)은, 파이프 헤드(120)에 형성된 개구에 연결되거나 연통될 수 있다. 결합 그루브(125)는, 파이프 헤드(120)의 개구를 감싸는 형상을 형성할 수 있다.
파이프 홀(140)은, 파이프 유닛(100)의 종방향을 따라 형성될 수 있다. 파이프 홀(140)은, 유체(fluid)의 통로(passage)를 형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초순수(ultrapure water)는 파이프 홀(140)에서 유동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어, 파이프 홀(140)은 스팀(steam)의 통로를 형성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어, 파이프 홀(140)은 온수(hot water)의 통로를 형성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어, 파이프 홀(140)은 냉각수의 통로를 형성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어, 파이프 홀(140)은 화학약품을 포함하는 유체의 통로를 형성할 수 있다.
도 4는, 도 1의 파이프 어셈블리(10)를 A1-A2로 자른 단면을 나타낸 분해사시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개스킷(200)은 제1 파이프 유닛(101)과 제2 파이프 유닛(102)의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개스킷(200)의 형상은, 파이프 헤드(120)의 결합면(121)의 형상에 대응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개스킷(200)은, 파이프 헤드(120)의 개구에 대응되는 개구를 포함할 수 있다.
개스킷(200)은, 제1 파이프 유닛(101)의 파이프 헤드(120)와 제2 파이프 유닛(102)의 파이프 헤드(120)의 사이를 밀봉할 수 있다. 이로써, 제1 파이프 유닛(101)에서 유동하는 유체는, 제2 파이프 유닛(102)으로 이동하여 제2 파이프 유닛(102)에서 유동할 수 있다.
도 4에서 표시되지 않았으나, 개스킷(200)은 결합 그루브(125)에 대응되는 돌출부를 포함할 수 있다. 개스킷(200)의 돌출부(protrusion)는, 환형(annular)일 수 있다. 개스킷(200)의 돌출부는, 파이프 헤드(120)의 결합 그루브(125)에 삽입되어 결합될 수 있다. 이로써, 제1 파이프 유닛(101)과 제2 파이프 유닛(102) 사이의 밀봉이 효과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결합 그루브(125)에 오링(O-ring)이 결합될 수 있다. 특히 파이프 유닛(100)이 금속 재질로 형성되는 경우, 결합 그루브(125)에 오링이 결합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어, 결합면(121)은 평평할 수 있다. 달리 말하면, 결합면(121)에 결합 그루브(125)가 형성되지 않을 수 있다. 개스킷(200)의 형상은, 결합면(121)의 형상에 대응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개스킷(200)의 양면(both surface)은, 평평할 수 있다. 개스킷(200)의 양면은, 제1 파이프 유닛(101)의 결합면(121)과 제2 파이프 유닛(102)의 결합면(121)을 각각 마주할 수 있다.도 5는, 플랜지 유닛이 파이프 유닛을 결합한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파이프 어셈블리(10)는 플랜지 유닛(300)을 포함할 수 있다. 플랜지 유닛(300)은, 플랜지(301, 302)를 포함할 수 있다. 플랜지(301, 302)는 복수로 제공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플랜지(301, 302)는, 제1 플랜지(301)와 제2 플랜지(302)를 포함할 수 있다. 플랜지(301, 302)는, 제1 플랜지(301)와 제2 플랜지(302) 중 적어도 하나를 의미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제1 플랜지(301)는 제1 파이프 유닛(101)에 결합되고, 제2 플랜지(302)는 제2 파이프 유닛(102)에 결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플랜지(301)는, 제1 파이프 유닛(101)의 파이프 헤드(120)에 결합될 수 있다. 제1 플랜지(301)는, 제1 파이프 유닛(101)의 파이프 넥(130)에 끼워질 수 있다. 제1 파이프 유닛(101)의 파이프 헤드(120)는, 제1 플랜지(301)와 제2 파이프 유닛(102)의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플랜지(302)는, 제2 파이프 유닛(102)의 파이프 헤드(120)에 결합될 수 있다. 제2 플랜지(302)는, 제2 파이프 유닛(102)의 파이프 넥(130)에 끼워질 수 있다. 제2 파이프 유닛(102)의 파이프 헤드(120)는, 제2 플랜지(302)와 제1 파이프 유닛(101)의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플랜지 유닛(300)은, 체결 모듈(310)을 포함할 수 있다. 체결 모듈(310)은, 제1 플랜지(301)와 제2 플랜지(302)를 결합시킬 수 있다. 체결 모듈(310)은, 체결 로드(311, coupling rod)를 포함할 수 있다. 체결 로드(311)는, 제1 플랜지(301)와 제2 플랜지(302)를 관통할 수 있다.
체결 로드(311)의 종방향은, 파이프 어셈블리(10)의 종방향일 수 있다. 체결 로드(311)는, 일단에서 연장되어 타단으로 이어지는 형상을 형성할 수 있다. 체결 로드(311)의 일단은, 제1 플랜지(301)에 인접할 수 있다. 체결 로드(311)의 타단은, 제2 플랜지(302)에 인접할 수 있다.
체결 로드(311)는 나사(또는 볼트) 형상을 형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체결 로드(311)의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될 수 있다. 체결 로드(311)는 금속을 포함하는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체결 모듈(310)은, 체결 헤드(312, coupling head)를 포함할 수 있다. 체결 헤드(312)는 복수로 제공될 수 있다. 체결 헤드(312)는, 체결 로드(311)의 단부에 결합될 수 있다. 체결 로드(311)의 양단에 체결되는 양 체결 헤드(312)의 사이에, 플랜지(301, 302)가 위치할 수 있다.
체결 헤드(312)는 너트 형상을 형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체결 헤드(312)의 내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될 수 있다. 체결 헤드(312)의 나사산은, 체결 로드(311)의 나사산에 결합될 수 있다.
체결 모듈(310)에 의해 제1 플랜지(301)와 제2 플랜지(302)가 결합되면, 제1 플랜지(301)와 제2 플랜지(302)는 서로 접근하는 방향으로 힘(또는 압력)을 제공받을 수 있다.
제1 플랜지(301)와 제2 플랜지(302)가 서로 접근하는 방향으로 힘(또는 압력)을 제공받으면, 제1 플랜지(301)는 제2 파이프 유닛(102)을 향하는 방향으로 제1 파이프 유닛(101)의 파이프 헤드(120)를 밀고, 제2 플랜지(302)는 제1 파이프 유닛(101)을 향하는 방향으로 제2 파이프 유닛(102)의 파이프 헤드(120)를 밀 수 있다.
이로써, 제1 파이프 유닛(101)과 제2 파이프 유닛(102)이 결합될 수 있다. 달리 말하면, 플랜지 유닛(300)은, 제1 파이프 유닛(101)과 제2 파이프 유닛(102) 사이의 결합력을 제공할 수 있다.
도 6은 커버 유닛이 파이프 유닛을 감싼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을 참조하면, 파이프 어셈블리(10)는 커버 유닛(400)을 포함할 수 있다. 커버 유닛(400)은, 파이프 유닛(100)을 감쌀 수 있다. 예를 들어, 커버 유닛(400)은, 제1 파이프 유닛(101)과 제2 파이프 유닛(102) 사이의 경계를 감쌀 수 있다. 커버 유닛(400)은 가요성의 필름 형상일 수 있다.
커버 유닛(400)은, 높은 내마모성을 가질 수 있다. 커버 유닛(400)은 높은 내화학성을 가질 수 있다. 커버 유닛(400)은, 높은 기계적 강도를 가질 수 있다. 커버 유닛(400)은, PVDF(폴리비닐리덴 플로라이드, Polyvinylidene fluoride, 이소불화비닐)를 포함하는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어, 커버 유닛(400)은, EPDM(ethylene propylene diene monomer), 폴리올레핀(polyolefine), 그리고 PTFE(폴리테트라 플루오로에틸렌, Polytetrafluoroethylene)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커버 유닛(400)은, 제1 플랜지(301)와 제2 플랜지(302)의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커버 유닛(400)은, 제1 파이프 유닛(101)과 제2 파이프 유닛(102) 사이를 밀봉할 수 있다.
커버 유닛(400)이 제1 파이프 유닛(101)과 제2 파이프 유닛(102) 사이를 효과적으로 밀봉하기 위하여, 커버 유닛(400)이 파이프 유닛(100)에 밀착될 필요가 발생할 수 있다.
도 4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파이프 유닛(100)이 금속을 포함하는 소재로 형성되는 경우, 파이프 헤드(120)에 체결 모듈(310)이 직접 결합될 정도로, 파이프 헤드(120)의 강성이 확보될 수 있다.
즉, 파이프 유닛(100)이 금속을 포함하는 소재로 형성되는 경우, 제1 파이프 유닛(101)의 파이프 헤드(120) 및 제2 파이프 유닛(102)에 각각 홀(hole)이 형성되고, 체결 로드(311)가 파이프 헤드(120)의 홀(hole)에 삽입되어 체결 헤드(312)에 의해 고정될 수 있다. 이 경우, 파이프 헤드(120)는 그 자체로 플랜지(301, 302)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다른 몰드 하우징이 파이프 유닛에 결합된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은 도 7의 파이프 어셈블리를 B1-B2로 자른 단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에서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주입 유닛(700)과 개스킷(200, 도 2 참조)의 표시가 생략될 수 있다.
도 6 내지 도 8을 참조하면, 파이프 어셈블리(10)는 몰드 하우징(600)을 포함할 수 있다. 몰드 하우징(600)은, 파이프 유닛(100)에 결합될 수 있다. 몰드 하우징(600)은, 내부에 공간을 형성할 수 있다. 몰드 하우징(600)은, 플랜지 유닛(300)을 수용할 수 있다. 몰드 하우징(600)과 파이프 유닛(100) 사이의 경계는 밀봉될 수 있다.
커버 유닛(400)과 몰드 하우징(600)의 사이에 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 몰드 하우징(600)의 내부에 컴파운드(500, compound)가 주입될 수 있다. 컴파운드(500)는 페이스트(paste) 상태일 수 있다.
컴파운드(500)는, 커버 유닛(400)에 압력을 제공할 수 있다. 이로써, 커버 유닛(400)은 파이프 유닛(100)에 효과적으로 밀착되어 파이프 유닛(100)을 밀봉할 수 있다. 컴파운드(500)는, 커버 유닛(400)과 파이프 유닛(100) 사이를 밀봉할 수 있다.
파이프 어셈블리(10)는 몰드 하우징(600)의 내부에 컴파운드를 주입하는 주입 유닛(700)을 포함할 수 있다. 주입 유닛(700)은 몰드 하우징(600)에 결합될 수 있다. 주입 유닛(700)은, 외부 장치로부터 컴파운드를 제공받을 수 있다. 주입 유닛(700)은 제공받은 컴파운드를 몰드 하우징(600)에 전달할 수 있다.
몰드 하우징(600)은 파이프 유닛(100)의 연결 부위 외에도 설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파이프 유닛(100)에 누수가 발생되면, 그 지점에 몰드 하우징(600)이 설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파이프 유닛(100)에 리크(leak)가 발생되면, 그 지점에 커버 유닛(400)이 감싸지고, 몰드 하우징(600)이 리크 부위를 수용하도록 설치되며, 몰드 하우징(600)의 내부에 컴파운드가 주입될 수 있다. 이로써, 파이프 유닛(100)에 발생된 리크에 대응할 수 있다.
도 9 및 도 10은, 주입 유닛을 서로 다른 방향으로 바라본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9 및 도 10을 참조하면, 주입 유닛(700)은, 주입 헤드(710)와 주입 연결부(720)를 포함할 수 있다.
주입 헤드(710)는 주입 헤드 바디(711)를 포함할 수 있다. 주입 헤드 바디(711)는 주입 헤드(710)의 골격을 형성할 수 있다. 주입 헤드 바디(711)는, 일방향으로 연장된 형상을 형성할 수 있다. 주입 헤드 바디(711)는 다각형 기둥의 형상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주입 헤드 바디(711)는 육각 기둥의 형상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주입 헤드 바디(711)는 일단에서 연장되어 타단에 이어질 수 있다. 주입 헤드 바디(711)의 일단은 주입 연결부(720)에 연결될 수 있다.
주입 헤드(710)는 주입 헤드 홀(712)을 포함할 수 있다. 주입 헤드 홀(712)은 주입 헤드 바디(711)에 형성될 수 있다. 주입 헤드 홀(712)은, 주입 헤드 바디(711)의 외면에서 함몰된 형상을 형성할 수 있다.
주입 헤드 홀(712)은, 주입 연결부(720)에 연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주입 헤드 홀(712)은, 주입 연결부 홀(722)에 연결될 수 있다. 주입 연결부 홀(722)은, 주입 연결부(720)에 형성된 홀(또는 중공부)일 수 있다.
주입 헤드 홀(712)은, 복수로 제공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주입 헤드 홀(7212)은, 제1 주입 헤드 홀(7121), 제2 주입 헤드 홀(7122), 그리고 제3 주입 헤드 홀(7123)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주입 헤드 홀(7121), 제2 주입 헤드 홀(7122), 그리고 제3 주입 헤드 홀(7123)은, 서로 연통될 수 있다. 제1 주입 헤드 홀(7121), 제2 주입 헤드 홀(7122), 그리고 제3 주입 헤드 홀(7123)은, 주입 연결부 홀(722)에 연통될 수 있다.
제1 주입 헤드 홀(7121) 및 제2 주입 헤드 홀(7122)은, 주입 헤드 바디(711)의 측면에 형성될 수 있다. 제3 주입 헤드 홀(7123)은, 주입 헤드 바디(711)의 타단에 형성될 수 있다.
주입 연결부(720)는 주입 연결부 바디(721)를 포함할 수 있다. 주입 연결부 바디(721)는, 일단에서 연장되어 타단에 이어질 수 있다. 주입 연결부 바디(721)는 주입 연결부(720)의 골격을 형성할 수 있다. 주입 연결부 바디(721)는, 주입 헤드(710)에서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다.
주입 연결부 바디(721)의 일단은, 몰드 하우징(600)에 삽입될 수 있다. 주입 연결부 바디(721)의 타단은, 주입 헤드(710)에 연결될 수 있다. 주입 연결부 바디(721)의 외경은, 주입 헤드(710)의 외경 보다 작을 수 있다. 주입 연결부 바디(721)와 주입 헤드 바디(711)는, 단차(step)를 형성할 수 있다.
주입 연결부 바디(721)의 외면에 나사산이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주입 연결부 바디(721)는, 몰드 하우징(600)에 나사 결합될 수 있다. 주입 연결부 바디(721)는 원기둥 형상일 수 있다.
주입 연결부(720)는 중공부를 형성할 수 있다. 주입 연결부(720)는, 주입 연결부 홀(722)을 포함할 수 있다. 주입 연결부 홀(722)은, 주입 연결부 바디(721)의 일단에서 함몰 연장되어 타단에 이어질 수 있다. 주입 연결부 홀(722)은, 주입 헤드 홀(712)에 연통될 수 있다.
주입 헤드 홀(712)에 컴파운드(500, 도 8 참조)가 주입될 수 있다. 주입 헤드 홀(712)에 주입된 컴파운드(500, 도 8 참조)는, 주입 연결부 홀(722)을 통과하여 몰드 하우징(600, 도 8 참조)의 내부로 제공될 수 있다.
제1 주입 헤드 홀(7121), 제2 주입 헤드 홀(7122), 그리고 제3 주입 헤드 홀(7123) 중, 하나에 컴파운드(500, 도 8 참조)가 주입되고, 다른 2개는 마개에 의해 막힐 수 있다. 따라서 주입 유닛(700)의 설치 환경에 맞추어 컴파운드(500, 도 8 참조)를 효과적으로 주입할 수 있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파이프 어셈블리 제작 방법(S10)을 나타낸 플로우차트이다. 파이프 어셈블리 제작 방법(S10)은, 도 1 내지 도 10에 도시된 파이프 어셈블리(10)를 제작하는 방법에 관한 것일 수 있다.
도 1 내지 도 11을 참조하면, 파이프 어셈블리 제작 방법(S10)은, 파이프 유닛(100)을 정렬하는 단계(S100)를 포함할 수 있다. 이 단계(S100)에서, 제1 파이프 유닛(101)과 제2 파이프 유닛(102)이 정렬될 수 있다. 이 단계(S100)에서 개스킷(200)이 파이프 유닛(100)에 결합될 수 있다.
파이프 어셈블리 제작 방법(S10)은, 플랜지 유닛 결합 단계(S200)를 포함할 수 있다. 이 단계(S200)에서, 플랜지 유닛(300)은 파이프 유닛(100)에 결합되어 파이프 유닛(100)에 결합력을 제공할 수 있다.
파이프 어셈블리 제작 방법(S10)은, 밀봉 단계(S300)를 포함할 수 있다. 밀봉 단계(S300)는, 커버 유닛 장착 단계(S310)를 포함할 수 있다. 커버 유닛 장착 단계(S310)에서, 커버 유닛(400)이 제1 파이프 유닛(101)과 제2 파이프 유닛(102)의 경계를 감쌀 수 있다.
밀봉 단계(S300)는, 컴파운드 예비 부착 단계(S320)를 포함할 수 있다. 이 단계(S320)에서, 컴파운드(500)는 커버 유닛(400)에 부착될 수 있다. 이 단계(S320)에서, 컴파운드(500)는 플랜지 유닛(300)과 커버 유닛(400)의 사이 경계에 부착될 수 있다. 이 단계(S320)에서, 컴파운드(500)는 플랜지 유닛(300)과 파이프 유닛(100)의 사이 경계에 부착될 수 있다.
파이프 어셈블리 제작 방법(S10)은, 몰드 하우징 결합 단계(S400)를 포함할 수 있다. 이 단계(S400)에서, 몰드 하우징(600)은 플랜지 유닛(300)을 수용할 수 있다. 이 단계(S400)에서, 몰드 하우징(600)은 파이프 유닛(100)에 결합될 수 있다.
파이프 어셈블리 제작 방법(S10)은, 컴파운드 주입 단계(S500)를 포함할 수 있다. 이 단계(S500)에서, 컴파운드(500)는 주입 유닛(700)을 통해 몰드 하우징(600)의 내부로 주입될 수 있다.
앞에서 설명된 본 발명의 어떤 실시예 또는 다른 실시예들은 서로 배타적이거나 구별되는 것은 아니다. 앞서 설명된 본 발명의 어떤 실시예들 또는 다른 실시예들은 각각의 구성 또는 기능이 병용되거나 조합될 수 있다.
본 발명은 본 발명의 정신 및 필수적 특징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른 특정한 형태로 구체화될 수 있음은 당업자에게 자명하다. 상기의 상세한 설명은 모든 면에서 제한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고 예시적인 것으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의 합리적 해석에 의해 결정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등가적 범위 내에서의 모든 변경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
10: 파이프 어셈블리 100: 파이프 유닛
101: 제1 파이프 유닛 102: 제2 파이프 유닛
110: 파이프 바디 120: 파이프 헤드
121: 결합면 125: 결합 그루브
130: 파이프 넥 140: 파이프 홀
200: 개스킷 300: 플랜지 유닛
400: 커버 유닛 500: 컴파운드
600: 몰드 하우징 700: 주입 유닛

Claims (15)

  1. 제1 파이프 유닛과 제2 파이프 유닛을 구비하는 파이프 유닛;
    상기 제1 파이프 유닛과 상기 제2 파이프 유닛을 종방향으로 결합하는 플랜지 유닛;
    상기 제1 파이프 유닛과 상기 제2 파이프 유닛 사이의 경계를 감싸며, 상기 파이프 유닛에 부착되는 커버 유닛; 그리고
    상기 커버 유닛의 외면에 부착되는 컴파운드를 포함하는,
    파이프 어셈블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 유닛은,
    가요성의 필름 형상인,
    파이프 어셈블리.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 유닛은,
    PVDF(이소불화비닐)를 포함하는 소재로 형성된,
    파이프 어셈블리.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파이프 유닛과 상기 제2 파이프 유닛에 각각 결합되고, 상기 플랜지 유닛을 수용하며, 내부에 공간을 형성하는, 몰드 하우징을 더 포함하며,
    상기 몰드 하우징의 내부에 상기 컴파운드가 주입되는,
    파이프 어셈블리.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몰드 하우징에 결합되고, 상기 컴파운드를 외부 장치에서 제공받아 상기 몰드 하우징의 내부로 제공하는, 주입 유닛을 더 포함하는,
    파이프 어셈블리.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주입 유닛은,
    상기 외부 장치에 연결되는 주입 헤드; 그리고
    상기 주입 헤드에 연결되고 상기 몰드 하우징에 결합되는 주입 연결부를 포함하는,
    파이프 어셈블리.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주입 헤드는,
    일단에서 연장되어 타단에 이어져 형성되는 주입 헤드 바디; 그리고
    상기 주입 헤드 바디의 외면에서 함몰되어 형성되고, 상기 주입 연결부에 형성된 중공부에 연통되는, 주입 헤드 홀을 포함하는,
    파이프 어셈블리.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주입 헤드 홀은,
    상기 주입 헤드 바디의 상기 외면 중 측면에 형성되는 제1 주입 헤드 홀 및 제2 주입 헤드 홀; 그리고
    상기 주입 헤드 바디의 상기 외면 중 단부에 형성되는 제3 주입 헤드 홀을 포함하는,
    파이프 어셈블리.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내지 제3 주입 헤드 홀은,
    서로 연통된,
    파이프 어셈블리.
  10.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주입 연결부는,
    일단에서 연장되어 타단에 이어져 형성되고, 상기 주입 헤드에 연결되고, 주입 연결부 바디; 그리고
    상기 주입 연결부 바디의 상기 일단에서 연장되어 상기 타단에 이어지고, 상기 주입 헤드 홀에 연통되는, 주입 연결부 홀을 포함하는,
    파이프 어셈블리.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주입 연결부 바디의 외측면에 나사산이 형성되어 상기 몰드 하우징에 결합되고,
    상기 주입 헤드 홀에 제공되는 상기 컴파운드는, 상기 주입 연결부 홀을 통해 상기 몰드 하우징의 내부로 주입되는,
    파이프 어셈블리.
  12. 제1 파이프 유닛과 제2 파이프 유닛을 결합하여 밀봉하는 파이프 어셈블리 제작 방법(S10)에 있어서,
    상기 제1 파이프 유닛과 상기 제2 파이프 유닛을 종방향으로 정렬하는, 파이프 유닛 정렬 단계(S100);
    플랜지 유닛이 제1 파이프 유닛과 상기 파이프 유닛을 결합시키는, 플랜지 유닛 결합 단계(S200); 그리고
    상기 제1 파이프 유닛과 상기 제2 파이프 유닛 사이를 밀봉하는, 밀봉 단계(S300)를 포함하고,
    상기 밀봉 단계(S300)는,
    커버 유닛이 상기 제1 파이프 유닛과 상기 제2 파이프 유닛 사이의 경계를 감싸는, 커버 유닛 장착 단계(S310)를 포함하는,
    파이프 어셈블리 제작 방법(S10).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밀봉 단계(S300)는,
    상기 커버 유닛에 컴파운드를 부착하는, 컴파운드 예비 부착 단계(S320)를 더 포함하는,
    파이프 어셈블리 제작 방법(S10).
  14.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밀봉 단계(S300) 이후, 상기 플랜지 유닛을 수용하는 몰드 하우징을 상기 제1 및 제2 파이프 유닛에 결합시키는, 몰드 하우징 결합 단계(S400)를 더 포함하는,
    파이프 어셈블리 제작 방법(S10).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몰드 하우징 결합 단계(S400) 이후, 상기 몰드 하우징 내부로 컴파운드를 주입하는, 컴파운드 주입 단계(S500)를 더 포함하는,
    파이프 어셈블리 제작 방법(S10).
KR1020220008094A 2022-01-19 2022-01-19 파이프 어셈블리 및 그 제작 방법 KR2023011198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08094A KR20230111984A (ko) 2022-01-19 2022-01-19 파이프 어셈블리 및 그 제작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08094A KR20230111984A (ko) 2022-01-19 2022-01-19 파이프 어셈블리 및 그 제작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11984A true KR20230111984A (ko) 2023-07-26

Family

ID=874278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08094A KR20230111984A (ko) 2022-01-19 2022-01-19 파이프 어셈블리 및 그 제작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111984A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66259A (ko) 2019-11-28 2021-06-07 르노삼성자동차 주식회사 배기 파이프용 클램프 및 이를 갖는 배기 파이프 구조물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66259A (ko) 2019-11-28 2021-06-07 르노삼성자동차 주식회사 배기 파이프용 클램프 및 이를 갖는 배기 파이프 구조물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645301A (en) Fluid transport coupling
KR20200132834A (ko) 개스킷의 장착 구조
EP0905428B1 (en) Adjustable leak-proof coupling
US20150295346A1 (en) Sealed connector with an extended seal sleeve and an anti-water pooling retainer
JP6805045B2 (ja) 樹脂製管継手
EP1113205A1 (en) Check valve
US20120291905A1 (en) Connector for a fluid line and fluid line
KR102566389B1 (ko) 유체 기기의 접속 구조
US20090284004A1 (en) Double containment system, fittings for fluid flow components and associated methods
KR20230111984A (ko) 파이프 어셈블리 및 그 제작 방법
US5056831A (en) Fitting construction for connection of pipes and pipe assembly
CN212455884U (zh) 一种编织管总成
KR100532555B1 (ko) 배관 연결장치
JP7011310B2 (ja) 脈動吸収機能付きコネクタ
CN216020928U (zh) 通道密封装置及可密封锁紧的注液阀
KR20040017760A (ko) 유체 이송용 관의 연결장치
US9553440B2 (en) Wire seal assembly
US20060130921A1 (en) Fluid transfer apparatus
CN216618523U (zh) 一种无线接收器导线密封装置
US20020135180A1 (en) Connector and pipe connecting assembly
JP2006234129A (ja) 樹脂配管の接続端部構造
JP6853211B2 (ja) ガスケット
JP7030175B2 (ja) 樹脂製管継手
CN220268740U (zh) 一种聚四氟乙烯密封件
CN115451219A (zh) 一种管道连接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