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11537A - A dust collector to remove dust - Google Patents

A dust collector to remove dust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11537A
KR20230111537A KR1020220007499A KR20220007499A KR20230111537A KR 20230111537 A KR20230111537 A KR 20230111537A KR 1020220007499 A KR1020220007499 A KR 1020220007499A KR 20220007499 A KR20220007499 A KR 20220007499A KR 20230111537 A KR20230111537 A KR 2023011153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ust
chamber
unit
air
purific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07499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김시광
이준성
김명철
이도현
Original Assignee
유한회사 청정산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한회사 청정산업 filed Critical 유한회사 청정산업
Priority to KR102022000749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111537A/en
Publication of KR2023011153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11537A/en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50/00Combinations of methods or devices for separating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50/10Combinations of devices covered by groups B01D45/00, B01D46/00 and B01D47/00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5/00Filtering devices having feature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or for application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Auxiliary devices for filtration; 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01D35/02Filters adapted for location in special places, e.g. pipe-lines, pumps, stop-coc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5/00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by gravity, inertia, or centrifugal forces
    • B01D45/04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by gravity, inertia, or centrifugal forces by utilising inertia
    • B01D45/08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by gravity, inertia, or centrifugal forces by utilising inertia by impingement against baffle separa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5/00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by gravity, inertia, or centrifugal forces
    • B01D45/12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by gravity, inertia, or centrifugal forces by centrifugal forces
    • B01D45/14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by gravity, inertia, or centrifugal forces by centrifugal forces generated by rotating vanes, discs, drums or brush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46/0027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with additional separating or treating functions
    • B01D46/0035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with additional separating or treating functions by wetting, e.g. using surfaces covered with oi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7/00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air or vapours by liquid as separating agent
    • B01D47/06Spray cleaning
    • B01D47/063Spray cleaning with two or more jets impinging against each other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Separation Of Particles Using Liqui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분진을 포함하는 공기로부터 상기 분진을 제거하기 위한 집진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챔버의 내부로 유입되는 공기를 전처리부에서 1차로 분진을 제거하고, 필터부를 통해 2차로 분진을 제거한 후 정화부의 세퍼레이터를 통해 최종적으로 분진을 제거하는 한편, 전처리부에서 사용되는 정화수와 정화부에서 사용되는 정화수가 지속적으로 세퍼레이터를 통해 정화되도록 함으로써, 분진의 제거가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분진을 제거하기 위한 집진기에 관한 기술분야가 개시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ust collector for removing dust from air containing dust. More specifically, the air introduced into the chamber firstly removes dust in a pretreatment unit, secondarily removes dust through a filter unit, and finally removes dust through a separator in the purification unit, while continuously purifying the purified water used in the pretreatment unit and the purified water used in the purification unit through the separator, thereby enabling smooth removal of dust. The technical field related to a dust collector for removing is disclosed.

Description

분진을 제거하기 위한 집진기{A dust collector to remove dust}A dust collector to remove dust {A dust collector to remove dust}

본 발명은 분진을 포함하는 공기로부터 상기 분진을 제거하기 위한 집진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챔버의 내부로 유입되는 공기를 전처리부에서 1차로 분진을 제거하고, 필터부를 통해 2차로 분진을 제거한 후 정화부의 세퍼레이터를 통해 최종적으로 분진을 제거하는 한편, 전처리부에서 사용되는 정화수와 정화부에서 사용되는 정화수가 지속적으로 세퍼레이터를 통해 정화되도록 함으로써, 분진의 제거가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분진을 제거하기 위한 집진기에 관한 기술분야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ust collector for removing dust from air containing dust. More specifically, the air introduced into the chamber firstly removes dust in a pretreatment unit, secondarily removes dust through a filter unit, and finally removes dust through a separator in the purification unit, while continuously purifying the purified water used in the pretreatment unit and the purified water used in the purification unit through the separator, thereby enabling smooth removal of dust. It is a technical field related to a dust collector for removing

일반적으로, 산업 발달에 따라 제조공정 및 각종 연소 작업 또는 생산과정에서 불가피하게 발생되고 있는 분진과 같은 미세입자가 대기에 포함되어 발생되는 피해를 방지하기 위해 대기 중이나 특정한 환경 하에 존재하는 미세입자들을 제어하는 기술들은 과학, 기술분야에서 광범위하게 응용되고 있다.In general, in order to prevent damage caused by the inclusion of fine particles such as dust in the atmosphere, which are inevitably generated in manufacturing processes and various combustion operations or production processes according to industrial development, techniques for controlling fine particles present in the atmosphere or under a specific environment are widely applied in science and technology fields.

미세입자들을 제어하여 액체나 고체의 입자를 기계적으로 대기에서 분리하는 조작을 위한 목적으로 집진장치가 사용되고 해당 장치는 입자에 유효한 작용력에 따라 중력, 관성력, 원심력, 부착력, 친수력 및 전기력 등의 집진방식이 적용되어 중력 집진장치, 관성력 집진장치, 원심력 집진장치, 음파 집진장치, 세정 집진장치, 여과 집진장치, 전기 집진장치 등의 분리기구로 구분할 수 있다. 또한 집진장치의 실제 산업현장 적용을 위해서는 보수관리, 운전비, 안정성 및 내구성 등의 여러 가지 요소가 복합적으로 만족되어야 한다.A dust collector is used for the purpose of mechanically separating liquid or solid particles from the atmosphere by controlling fine particles, and the device can be divided into separation mechanisms such as gravity dust collector, inertial force dust collector, centrifugal force dust collector, sonic dust collector, washing dust collector, filter dust collector, electric dust collector, etc., as dust collection methods such as gravity, inertia force, centrifugal force, adhesive force, hydrophilic force, and electric force are applied according to the action force effective on the particles. In addition, in order to apply the dust collector to the actual industrial site, various factors such as maintenance management, operating cost, stability and durability must be complexly satisfied.

위와 같이 산업공정에 의해 발생되는 분진 및 미세입자 제거를 위해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576654호에는 도 1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관성충돌식 다중 집진장치에 있어서, 오염공기를 인입 받는 유입구가 상부 일 측에 형성되고, 오염공기에 포함된 분진을 낙하 배출시키는 분진배출구가 하부에 형성되며, 미세분진을 포함하는 배기공기를 배출시키는 배기구가 상부 중앙에 형성되는 원심력집진기와 상기 원심력집진기의 배기구에서 배출된 배기공기를 이송 받는 유입구가 일 측에 형성되고 하나 이상의 여과필터를 구비하며 여과필터에서 여과된 정화공기를 배출하는 배기구가 형성되는 여과집진기 및 상기 원심력집진기의 배기구에 인접되어 구비되되, 외부공기를 공급받아 배기공기 배출방향의 반대방향으로 외부공기를 분사하는 분사장치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관성충돌식 다중 집진장치가 공지되어 있다.As shown in FIG. 1 in Republic of Korea Patent Registration No. 10-1576654 in order to remove dust and fine particles generated by the industrial process as above, in the inertial collision type multiple dust collector, an inlet for receiving contaminated air is formed on one side of the upper part, a dust outlet for dropping and discharging dust contained in the contaminated air is formed on the lower part, and an exhaust port for discharging exhaust air containing fine dust is formed in the upper center of the centrifugal dust collector and the centrifugal force An inertial collision type multiple dust collector comprising an inlet for receiving exhaust air discharged from the exhaust port of the dust collector is formed on one side, has one or more filtering filters, and an exhaust port for discharging purified air filtered by the filter is formed, and a dust collector provided adjacent to the exhaust port of the centrifugal dust collector, and including a spraying device for receiving external air and injecting external air in a direction opposite to the direction in which the exhaust air is discharged.

그러나 이를 위한 집진장치 구성은 원심력집진기와 필터를 이용한 여과집진기를 병합한 다중 구조로써 설비의 복잡도가 가중되어 운영과 유지보수의 관리적인 어려움이 발생될 수 있고, 설치비용 증가와 설비를 위한 공간적 제약이 발생될 수 있다. 또한 다중 구조 중 하나인 여과필터를 이용한 필터형 집진 구조에서 여과공에 수분함유 분진의 고착으로 인한 집진효율이 저하되는 문제점은 계속적으로 잔재해 있다.However, the configuration of the dust collector for this purpose is a multi-structure that combines a centrifugal dust collector and a filter using a filter, and the complexity of the facility increases, which may cause administrative difficulties in operation and maintenance, and increase installation costs and space restrictions for facilities. May occur. In addition, in the filter-type dust collection structure using a filter, which is one of the multiple structures, the problem of deterioration in dust collection efficiency due to the adhesion of dust containing moisture to the filter hole continues to remain.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576654호(2015.12.04.)Republic of Korea Patent No. 10-1576654 (2015.12.04.)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기술에 따른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안출된 기술로서, 산업공정으로 발생된 분진이 포함된 공기가 챔버로 유입됨과 동시에 회전날개에 충돌되어 상기 분진이 분리될 수 있도록 하고, 상기 회전날개의 상부에 물을 분사하여 공기에 포함된 분진의 분리가 보다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며, 필터부를 통해 물에 의해 분리되지 못한 분진을 제거한 후 정화부의 세퍼레이터에 필터부를 통과한 공기가 정화수와 함께 유입되어 최종적으로 분진이 제거되도록 함으로써, 보다 효율적으로 분진의 제거가 이루어지도록 하는 집진기를 통하여 제공하는 것을 주된 목적으로 하는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is a technology that has been devised to solve the above-mentioned problems in the prior art. Air containing dust generated in an industrial process is introduced into a chamber and simultaneously collides with a rotating blade so that the dust can be separated, and water is sprayed on the top of the rotating blade to make it easier to separate the dust contained in the air. After removing the dust that has not been separated by water through the filter unit, the air that has passed through the filter unit flows into the separator of the purification unit together with the purified water to finally remove the dust , the main purpose of which is to provide through a dust collector so that the dust can be removed more efficiently.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소기의 목적을 실현하고자, 일측 전방 하부에 흡입구(110)가 형성되고, 타측 전방 상부에 배출구(120)가 형성되며, 상기 배출구(120)에 제1흡입블로워(130)가 설치되는 한편, 내부 중앙에 전후방으로 구획벽(170)이 형성된 챔버(100);와 상기 챔버(100)의 내부 일측에 설치되어 상기 흡입구(110)로 유입된 공기의 이물질을 제거하는 전처리부(200);와 상기 구획벽(170)의 후방 상부에 설치되고, 타측에 제2흡입블로워(310)가 구비되는 필터부(300); 및 상기 챔버(100)의 내부 타측에 설치되어 상기 구획벽(170)에 의해 상기 전처리부(200)와 구획되고, 상기 필터부(300)를 통과한 공기의 이물질을 제거하는 정화부(40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described object, the present invention has a suction port 110 formed at the lower front portion of one side, an outlet port 120 formed at the upper portion of the front side of the other side, and a first suction blower 130 installed at the outlet port 120, while a chamber 100 having partition walls 170 formed in the front and rear at the center of the inside; A pre-processing unit 200 for removing substances; and a filter unit 300 installed on the rear upper part of the partition wall 170 and having a second suction blower 310 on the other side; And a purification unit 400 installed on the other side of the inside of the chamber 100, partitioned from the preprocessing unit 200 by the partition wall 170, and removing foreign substances from the air passing through the filter unit 300. It is characterized by being configured to include.

또한, 본 발명의 상기 전처리부(200)는 복수 개의 회전날개(212)를 구비하여 상기 챔버(100)의 내부 일측 전방 하부에 측방향으로 회전가능하도록 설치되되, 상기 흡입구(110)의 타측에 설치되고, 상기 흡입구(110)를 통해 흡입되는 공기가 상기 회전날개(212)에 충돌하여 회전되는 낙하부재(210);와 상기 낙하부재(210)의 후방에 설치되되, 상기 낙하부재(210)의 회전에 따라 함께회전되도록 설치되어 흡입된 공기가 후방으로 송풍되도록 하는 송풍팬(220);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preprocessing unit 200 of the present invention is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rotary blades 212 and is installed so as to be rotatable in the lateral direction at the front lower part of one side inside the chamber 100, and is installed on the other side of the suction port 110, and air sucked through the suction port 110 collides with the rotary blades 212 and rotates; and a falling member 210 installed at the rear of the dropping member 210 , a blowing fan 220 installed to rotate together with the rotation of the dropping member 210 so that the sucked air is blown to the rear; characterized in that it is configured to include.

또한, 본 발명의 상기 정화부(400)는 제1회수관(440)에 설치되는 정화필터(460);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배출구(120)는 상기 챔버(100)의 타측 전방 상부에 설치되되, 상기 정화탱크(410)의 타측 상부와 연통되도록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purification unit 400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onfigured to include a purification filter 460 installed in the first recovery pipe 440, and the outlet 120 is installed on the front upper part of the other side of the chamber 100, and is installed to communicate with the upper part of the other side of the purification tank 410.

또한, 본 발명의 상기 정화부(400)는 상기 정화탱크(410)로부터 물탱크(230)로 정화수가 공급되도록 상기 정화탱크(410)의 후방 하부와 상기 물탱크(230)를 연결하는 제2공급관(470);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제2공급관(470)은 상기 정화탱크(410)의 후방 하부와 연결되되, 상기 제1공급관(430)보다 상부에 위치되도록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purification unit 400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onfigured to include a second supply pipe 470 connecting the rear lower part of the purification tank 410 and the water tank 230 so that the purified water is supplied from the purification tank 410 to the water tank 230, and the second supply pipe 470 is connected to the rear lower part of the purification tank 410 so as to be positioned above the first supply pipe 430. .

또한, 본 발명의 상기 챔버(100)는 일측 하부에 설치되되, 내부 일측 하부와 연통되는 포집및회수부(140);와 상기 포집및회수부(140)와 상기 정화탱크(410)를 연결하는 제2회수관(150); 및 상기 제2회수관(150)에 설치되는 회수펌프(16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chamber 100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on one lower side, and the collection and recovery part 140 communicates with the inner one side lower part; and the collection and recovery part 140 and the purification tank 410. A second recovery pipe 150 connecting; and a recovery pump 160 installed in the second recovery pipe 150.

또한, 본 발명의 상기 전처리부(200)는 상기 챔버(100)의 일측 전방 상부에 설치되는 물탱크(230);와 상기 챔버(100)의 내부 일측 전방 상부에 설치되되, 상기 물탱크(230)와 연결되도록 설치되는 복수 개의 분사노즐(240);과 상기 챔버(100)의 내부 일측 후방에 설치되어 상기 챔버(100)의 내부 일측을 전방과 후방으로 구획하고, 중앙 하부에 관통홀(252)이 형성되는 낙하벽(250); 및 상기 챔버(100)의 내부 일측 후방에 설치되되, 상기 낙하벽(250)의 후방에 설치되고, 상기 관통홀(252)의 후방에 복수 개의 팬이 위치되어 상기 관통홀(252)을 통해 유입된 공기에 의해 회전되는 상승팬(260);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pre-processing unit 200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water tank 230 installed on the front upper part of one side of the chamber 100; and a plurality of spray nozzles 240 installed on the front upper part of the inner one side of the chamber 100 and installed to be connected to the water tank 230; 252) is formed on the falling wall 250; And installed at the rear of one side of the inside of the chamber 100, installed at the rear of the falling wall 250, and a plurality of fans located at the rear of the through hole 252. An ascending fan 260 rotated by air introduced through the through hole 252.

또한, 본 발명의 상기 정화탱크(410)는 정화수가 일정량 저장되되, 상기 배출구(120)의 위치보다 낮은 위치까지 정화수가 저장되어 이후에 세퍼레이터(420)를 통과한 공기가 제1흡입블로워(130)를 통해 원활하게 배출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purification tank 410 of the present invention stores a certain amount of purified water, and the purified water is stored up to a position lower than the position of the discharge port 120, and then the air passing through the separator 420 is first suction.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configured to be smoothly discharged through the blower 130.

상기와 같이 제시된 본 발명에 의한 분진을 제거하기 위한 집진기는 충돌분리와 와류에 의한 관성력을 이용하여 공기중의 분진을 제거함과 동시에 습식에 의해 분진이 제거되도록 함으로써, 공기중의 분진의 제거가 용이한 효과와, 필터부를 통해 습식에 의해 제거되지 않은 미세분진 또는 유해물질의 제거가 이루어지도록 하여 공기중에 포함된 분진의 제거가 보다 용이한 효과 및 워터 세퍼레이터에 공급되는 정화수에 함께 필터부를 통과한 공기가 함께 유입되도록 함으로써, 공기중의 분진을 보다 효율적으로 제거할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The dust collector for removing dus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presented above removes dust in the air using the inertial force caused by collision separation and vortex and at the same time removes the dust by wet method, so that the fine dust or harmful substances not removed by the wet method can be removed through the filter unit, so that the removal of dust contained in the air is easier and the purified water supplied to the water separator passes through the filter unit By allowing air to be introduced together, an effect of more efficiently removing dust in the air can be obtained.

또한, 본 발명은 정화탱크에 저장된 정화수를 천저리부에 공급하여 분사되도록 하고, 분진을 포함하는 정화수를 다시 정화탱크로 회수하여 세퍼레이터를 통해 정화되도록 함으로써, 분진처리 및 정화수의 수질을 유지하여 집진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를 효과를 얻을 수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supplies the purified water stored in the purification tank to the bottom part to be sprayed, and recovers the purified water containing dust to the purification tank and purifies it through the separator, thereby maintaining the quality of the dust treatment and purified water to improve the dust collection efficiency.

도 1은 종래의 관성충돌식 다중 집진장치를 나타낸 정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분진을 제거하기 위한 집진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럭도.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분진을 제거하기 위한 집진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분진을 제거하기 위한 집진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좌측 투영도.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분진을 제거하기 위한 집진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우측 투영도.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분진을 제거하기 위한 집진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평면 투영도.
1 is a front sectional view showing a conventional inertial collision type multiple dust collector.
Figure 2 is a block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a dust collector for removing dust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dust collector for removing dust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is a left projection schematically showing a dust collector for removing dust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5 is a right projection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dust collector for removing dust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6 is a planar projection schematically showing a dust collector for removing dust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은 다양한 산업공정에서 발생되는 분진이 포함된 공기로부터 상기 분진을 제거하기 위한 집진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챔버(100)의 내부로 유입되는 공기를 전처리부(200)를 통과하도록 하여 1차로 분진을 제거하고, 1차로 분진이 제거된 공기가 필터부(300)를 통과하며 2차로 분진이 제거되며, 2차로 분진지 제거된 공기를 정화수와 함께 세퍼레이터(420)에 공급되도록 하여 최종적으로 분진이 제거되도록 함으로써, 분진의 제거가 용이한 집진기에 관한 기술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ust collector for removing dust from air containing dust generated in various industrial processes. More specifically, the air introduced into the chamber 100 is passed through a pretreatment unit 200 to firstly remove dust, the air from which dust is first removed passes through a filter unit 300 to secondarily remove dust, and secondarily removes dust from the air with purified water. 420) so that the dust is finally removed, so that the dust is easily removed.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을 달성하기 위한 구성은 일측 전방 하부에 흡입구(110)가 형성되고, 타측 전방 상부에 배출구(120)가 형성되며, 상기 배출구(120)에 제1흡입블로워(130)가 설치되는 한편, 내부 중앙에 전후방으로 구획벽(170)이 형성된 챔버(100);와 상기 챔버(100)의 내부 일측에 설치되어 상기 흡입구(110)로 유입된 공기의 이물질을 제거하는 전처리부(200);와 상기 구획벽(170)의 후방 상부에 설치되고, 타측에 제2흡입블로워(310)가 구비되는 필터부(300); 및 상기 챔버(100)의 내부 타측에 설치되어 상기 구획벽(170)에 의해 상기 전처리부(200)와 구획되고, 상기 필터부(300)를 통과한 공기의 이물질을 제거하는 정화부(40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The configuration for achieving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has a suction port 110 formed in the lower part of the front side of one side, an outlet port 120 formed in the upper part of the front side of the other side, and a first suction blower 130 installed in the outlet 120, while a chamber 100 having partition walls 170 formed in the front and rear at the center of the inside; and installed on one side of the inside of the chamber 100 to remove foreign substances from the air introduced into the suction port 110. a pre-processing unit 200; and a filter unit 300 installed on the rear upper portion of the partition wall 170 and having a second suction blower 310 on the other side; And a purification unit 400 installed on the other side of the inside of the chamber 100, partitioned from the preprocessing unit 200 by the partition wall 170, and removing foreign substances from the air passing through the filter unit 300. It is characterized by being configured to include.

또한, 본 발명의 상기 전처리부(200)는 복수 개의 회전날개(212)를 구비하여 상기 챔버(100)의 내부 일측 전방 하부에 측방향으로 회전가능하도록 설치되되, 상기 흡입구(110)의 타측에 설치되고, 상기 흡입구(110)를 통해 흡입되는 공기가 상기 회전날개(212)에 충돌하여 회전되는 낙하부재(210);와 상기 낙하부재(210)의 후방에 설치되되, 상기 낙하부재(210)의 회전에 따라 함께회전되도록 설치되어 흡입된 공기가 후방으로 송풍되도록 하는 송풍팬(220);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preprocessing unit 200 of the present invention is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rotary blades 212 and is installed so as to be rotatable in the lateral direction at the front lower part of one side inside the chamber 100, and is installed on the other side of the suction port 110, and air sucked through the suction port 110 collides with the rotary blades 212 and rotates; and a falling member 210 installed at the rear of the dropping member 210 , a blowing fan 220 installed to rotate together with the rotation of the dropping member 210 so that the sucked air is blown to the rear; characterized in that it is configured to include.

또한, 본 발명의 상기 정화부(400)는 제1회수관(440)에 설치되는 정화필터(460);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배출구(120)는 상기 챔버(100)의 타측 전방 상부에 설치되되, 상기 정화탱크(410)의 타측 상부와 연통되도록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purification unit 400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onfigured to include a purification filter 460 installed in the first recovery pipe 440, and the outlet 120 is installed on the front upper part of the other side of the chamber 100, and is installed to communicate with the upper part of the other side of the purification tank 410.

또한, 본 발명의 상기 정화부(400)는 상기 정화탱크(410)로부터 물탱크(230)로 정화수가 공급되도록 상기 정화탱크(410)의 후방 하부와 상기 물탱크(230)를 연결하는 제2공급관(470);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제2공급관(470)은 상기 정화탱크(410)의 후방 하부와 연결되되, 상기 제1공급관(430)보다 상부에 위치되도록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purification unit 400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onfigured to include a second supply pipe 470 connecting the rear lower part of the purification tank 410 and the water tank 230 so that the purified water is supplied from the purification tank 410 to the water tank 230, and the second supply pipe 470 is connected to the rear lower part of the purification tank 410 so as to be positioned above the first supply pipe 430. .

또한, 본 발명의 상기 챔버(100)는 일측 하부에 설치되되, 내부 일측 하부와 연통되는 포집및회수부(140);와 상기 포집및회수부(140)와 상기 정화탱크(410)를 연결하는 제2회수관(150); 및 상기 제2회수관(150)에 설치되는 회수펌프(16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chamber 100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on one lower side, and the collection and recovery part 140 communicates with the inner one side lower part; and the collection and recovery part 140 and the purification tank 410. A second recovery pipe 150 connecting; and a recovery pump 160 installed in the second recovery pipe 150.

또한, 본 발명의 상기 전처리부(200)는 상기 챔버(100)의 일측 전방 상부에 설치되는 물탱크(230);와 상기 챔버(100)의 내부 일측 전방 상부에 설치되되, 상기 물탱크(230)와 연결되도록 설치되는 복수 개의 분사노즐(240);과 상기 챔버(100)의 내부 일측 후방에 설치되어 상기 챔버(100)의 내부 일측을 전방과 후방으로 구획하고, 중앙 하부에 관통홀(252)이 형성되는 낙하벽(250); 및 상기 챔버(100)의 내부 일측 후방에 설치되되, 상기 낙하벽(250)의 후방에 설치되고, 상기 관통홀(252)의 후방에 복수 개의 팬이 위치되어 상기 관통홀(252)을 통해 유입된 공기에 의해 회전되는 상승팬(260);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pre-processing unit 200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water tank 230 installed on the front upper part of one side of the chamber 100; and a plurality of spray nozzles 240 installed on the front upper part of the inner one side of the chamber 100 and installed to be connected to the water tank 230; 252) is formed on the falling wall 250; And installed at the rear of one side of the inside of the chamber 100, installed at the rear of the falling wall 250, and a plurality of fans located at the rear of the through hole 252. An ascending fan 260 rotated by air introduced through the through hole 252.

또한, 본 발명의 상기 정화탱크(410)는 정화수가 일정량 저장되되, 상기 배출구(120)의 위치보다 낮은 위치까지 정화수가 저장되어 이후에 세퍼레이터(420)를 통과한 공기가 제1흡입블로워(130)를 통해 원활하게 배출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purification tank 410 of the present invention stores a certain amount of purified water, and the purified water is stored up to a position lower than the position of the discharge port 120, and then the air passing through the separator 420 is first suction.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configured to be smoothly discharged through the blower 130.

또한, 상기 본 발명의 상기 정화부(400)는 상기 챔버(100)의 내부 타측 전방에 설치되고, 정화수가 저장되는 정화탱크(410);와 상기 챔버(100)의 내부 타측 후방에 설치되는 세퍼레이터(420);와 상기 정화탱크(410)로부터 세퍼레이터(420)로 정화수가 공급되도록 상기 정화탱크(410)의 후방 하부와 상기 세퍼레이터(420)의 외주연 상부를 연결하는 제1공급관(430);과 상기 세퍼레이터(420)를 통해 정화된 정화수가 상기 정화탱크(410)로 회수될 수 있도록 상기 세퍼레이터(420)의 상부와 상기 정화탱크(410)의 후방 상부를 연결하는 제1회수관(440); 및 상기 제2흡입블로워(310)와 상기 제1공급관(430)을 연결하여 상기 제2흡입블로워(310)를 통해 흡입된 공기가 정화수와 함께 상기 세퍼레이터(420)에 공급될 수 있도록 하는 공기공급관(450);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purification unit 400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purification tank 410 installed at the front of the other inside of the chamber 100 and storing purified water; a separator 420 installed at the rear of the other inside of the chamber 100; A supply pipe 430; and a first return pipe 440 connecting the upper part of the separator 420 and the rear upper part of the purification tank 410 so that the purified water purified through the separator 420 can be returned to the purification tank 410; And an air supply pipe 450 that connects the second suction blower 310 and the first supply pipe 430 so that the air sucked through the second suction blower 310 can be supplied to the separator 420 together with purified water. It is characterized by being configured to include.

또한, 상기 본 발명의 상기 세퍼레이터(420)는 하부에 형성되는 배출관(422);과 상기 배출관(422)에 설치되는 배출밸브(424);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separator 420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configured to include a discharge pipe 422 formed at the bottom and a discharge valve 424 installed in the discharge pipe 422.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 2 내지 6을 참고하여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S. 2 to 6 showing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을 달성하기 위한 주요 구성요소인 챔버(100)는The chamber 100, which is a major component for achieving the present invention,

일측 전방 하부에 흡입구(110)가 형성되고, 타측 전방 상부에 배출구(120)가 형성되며, 상기 배출구(120)에 제1흡입블로워(130)가 설치되는 한편, 내부 중앙에 전후방으로 구획벽(170)이 형성되는 것으로서, 상기 구획벽(170)에 의해 이후에 자세히 설명될 전처리부(200)가 내부 일측에 설치되고, 내부 타측에 이후에 자세히 설명될 정화부(400)가 설치된다.A suction port 110 is formed in the lower part of the front side of one side, an outlet 120 is formed in the upper part of the front side of the other side, the first suction blower 130 is installed in the outlet 120, while a partition wall 170 is formed in the front and rear directions at the center of the inside. ) is installed.

아울러, 본 발명의 챔버(100)는 일측 하부에 설치되되, 내부 일측 하부와 연통되는 포집및회수부(140)와, 상기 포집및회수부(140)와 이후에 자세히 설명될 정화부(400)의 정화탱크(410)를 연결하는 제2회수관(150) 및 상기 제2회수관(150)에 설치되는 회수펌프(16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chamber 100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on one lower side, bu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configured to include a collection and recovery unit 140 that communicates with the lower one side of the interior, a second recovery pipe 150 connecting the collection and recovery unit 140 and the purification tank 410 of the purification unit 400 to be described in detail later, and a recovery pump 160 installed in the second recovery pipe 150.

상기 포집및회수부(140)는 이후에 자세히 설명될 전처리부(200)의 분사노즐(240)로부터 분사되는 물 즉, 정화수가 공기중에 포함된 분진과 함께 포집되도록 함으로써, 상기 회수펌프(160)에 의해 상기 제2회수관(150)을 통해 이후에 자세히 설명될 정화탱크(410)로 정화수가 회수될 수 있도록 한다.The collection and recovery unit 140 collects the water, that is, the purified water injected from the spray nozzle 240 of the pretreatment unit 200, which will be described in detail later, together with the dust contained in the air, so that the purified water can be recovered by the recovery pump 160 through the second recovery pipe 150 to the purification tank 410, which will be described in detail later.

이때, 상기 포집및회수부(140)는 전방 하부 즉, 상기 제2회수관(150)과 근접한 하부에 하부방향으로 돌출형성되는 축적부(미표시)를 포함하여 구성되는데, 상기 축적부는 분사된 정화수가 포집된 후 상기 정화수에 포함된 무겁고 크기가 큰 분진이 상기 회수펌프(160)를 통해 회수되지 않고 축적되도록 하여 상기 회수펌프(160)의 작동효율이 향상될 수 있도록 한다.At this time, the collection and recovery unit 140 is configured to include an accumulation unit (not shown) protruding downward from the front lower portion, that is, the lower portion adjacent to the second recovery pipe 150. After the injected purified water is collected, the heavy and large dust contained in the purified water is accumulated without being recovered through the recovery pump 160, so that the operational efficiency of the recovery pump 160 can be improved.

부가하여, 상기 축적부는 도시되지 않았지만 드레인밸브 또는 개폐가능한 유지보수도어가 구비되어 작업자가 축적된 분진을 제거할 수 있음은 자명할 것이다.In addition, although the accumulator is not shown, it will be apparent that a drain valve or a maintenance door that can be opened and closed is provided so that a worker can remove accumulated dust.

상기와 연관하여, 상기 흡입구(110)는 이후에 자세히 설명될 제2흡입블로워(310)에 의해 분진이 포함된 공기가 전처리부(200)의 전방 하부 즉, 챔버(100)의 일측 전방 하부로 유입되도록 하고, 상기 배출구(120)는 상기 제1흡입블로워(130)에 의해 분진이 제거된 공기가 외부로 배출되도록 한다.In connection with the above, the inlet 110 allows air containing dust by the second suction blower 310, which will be described in detail later, to flow into the front lower part of the pretreatment unit 200, that is, to the front lower part of one side of the chamber 100, and the outlet 120 allows the air from which dust has been removed by the first suction blower 130 to be discharged to the outside.

본 발명을 달성하기 위한 주요 구성요소인 전처리부(200)는The pre-processing unit 200, which is a major component for achieving the present invention,

상기 챔버(100)의 내부 일측에 설치되어 상기 흡입구(110)로 유입된 공기의 이물질을 제거하는 것으로서, 이후에 자세히 설명될 필터부(300)에 설치되는 제2흡입블로워(310)에 의해 내부의 공기가 챔버(100) 내부 타측으로 이동되면 흡입구(110)를 통해 분진이 포함된 공기가 유입되어 분진이 1차로 제거될 수 있도록 한다.It is installed on one side of the inside of the chamber 100 to remove foreign substances from the air introduced into the inlet 110, and when the air inside is moved to the other side inside the chamber 100 by the second suction blower 310 installed in the filter unit 300 to be described in detail later, the air containing dust is introduced through the inlet 110 so that the dust can be removed first.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전처리부(200)는 복수 개의 회전날개(212)를 구비하여 상기 챔버(100)의 내부 일측 전방 하부에 측방향으로 회전가능하도록 설치되되, 상기 흡입구(110)의 타측에 설치되고, 상기 흡입구(110)를 통해 흡입 즉, 유입되는 공기가 상기 회전날개(212)에 충돌하여 회전되는 낙하부재(210)와, 상기 낙하부재(210)의 후방에 설치되되, 상기 낙하부재(210)의 회전에 따라 함게회전되도록 설치되어 흡입된 공기가 후방으로 송풍되도록 하는 송풍팬(22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Specifically, the preprocessing unit 200 of the present invention is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rotary blades 212, which are installed so as to be rotatable in the lateral direction at the front lower part of one side inside the chamber 100, and are installed on the other side of the suction port 110, and the falling member 210 that is sucked through the suction port 110, that is, the air introduced is rotated by colliding with the rotary blade 212, and the falling member 210 at the rear of the dropping member 210. It is installed, and is configured to include a blowing fan 220 installed to rotate together with the rotation of the dropping member 210 so that the sucked air is blown to the rear.

상기 낙하부재(210)는 복수 개의 회전날개가 구비되어 상기 흡입구(110)를 통해 흡입 즉, 유입되는 공기가 충돌하여 분진이 하부로 낙하되도록 하고, 이후에 자세히 설명될 분사노즐(240)로부터 분사되는 정화수에 의해 분진의 낙하가 보다 원활하게 이루어지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The falling member 210 is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rotary blades, so that the dust falls to the bottom by colliding with air sucked through the suction port 110, and the spray nozzle 240 to be described in detail later. The effect of the dust falling more smoothly by the purified water sprayed can be obtained.

이때, 상기 회전날개(212)는 일반적인 선풍기의 팬과 같은 형상으로 형성되지 않고, 상기 흡입구(110)와 수직한 면을 가지도록 형성되어 상기 흡입구(110)를 통해 유입되는 공기가 보다 원활하게 충돌될 수 있도록 한다.At this time, the rotary blades 212 are not formed in the same shape as a fan of a general electric fan, but are formed to have a surface perpendicular to the inlet 110 so that the air introduced through the inlet 110 collides more smoothly.

상기 송풍팬(220)은 유입되는 공기에 의해 상기 낙하부재가 회전되면 함께 회전될 수 있도록 상기 낙하부재(210)의 회전축(미표시)에 설치되되, 상기 낙하부재의 후방에 설치되어 회전됨에 따라 충돌과 정화수에 의해 분진이 1차로 제거된 공기가 후방으로 이동되도록 한다.The blower fan 220 is installed on the rotating shaft (not shown) of the falling member 210 so that it can be rotated together when the falling member is rotated by the inflowing air.

아울러, 본 발명의 전처리부(200)는 상기 챔버(100)의 일측 전방 상부에 설치되는 물탱크(230)와, 상기 챔버(100)의 내부 일측 전방 상부에 설치되되, 상기 물탱크(230)와 연결되도록 설치되는 복수 개의 분사노즐(240)과, 상기 챔버(100)의 내부 일측 후방에 설치되어 상기 챔버(100)의 내부 일측을 전방과 후방으로 구획하고, 중앙 하부에 관통홀(252)이 형성되는 낙하벽(250) 및 상기 챔버(100)의 내부 일측 후방에 설치되되, 상기 낙하벽(250)의 후방에 설치되고, 상기 관통홀(252)의 후방에 복수 개의 팬이 위치되어 상기 관통홀(252)을 통해 유입된 공기에 의해 회전되는 상승팬(260)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preprocessing unit 200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water tank 230 installed on the front upper portion of one side of the chamber 100, a plurality of spray nozzles 240 installed on the front upper portion of the inner side of the chamber 100 and connected to the water tank 230, installed on the rear side of the inner side of the chamber 100 to divide the inner side of the chamber 100 into front and rear parts, and a through hole 2 in the lower center 52) is formed at the rear of the falling wall 250 and the inside of the chamber 100, installed at the rear of the falling wall 250, and a plurality of fans are located at the rear of the through hole 252.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rising fan 260 rotated by air introduced through the through hole 252.

상기 물탱크(230)는 이후에 자세히 설명될 정화부(400)의 정화탱크(410)와 연결되어 정화수를 공급받고 분사펌프(미도시)가 구비되어 상기 분사노즐(240)을 통해 정화수가 상기 챔버(100)의 일측 전방에 분사되도록 함으로써, 유입된 공기가 앞서 설명된 낙하부재(210)에 충돌이 이루어져 분진이 제거됨과 동시에 분사되는 정화수에 의해 보다 효과적으로 분진이 제거되도록 한다.The water tank 230 is connected to the purification tank 410 of the purification unit 400, which will be described in detail later, to receive purified water, and is equipped with a spray pump (not shown) so that the purified water is sprayed to the front of one side of the chamber 100 through the spray nozzle 240, so that the introduced air collides with the falling member 210 described above to remove dust and at the same time, dust is more effectively removed by the sprayed purified water.

상기 낙하벽(250)은 상기 챔버(100)의 내부 일측 즉, 전처리부(200)에서 상기 송풍팬(220)에 의해 후방으로 이동되는 공기가 다시한번 충돌에 의해 분진과 수분이 제거되도록 함으로써, 이후에 자세히 설명될 필터부(300)의 정화성능이 급격하게 저하되는 것을 최소화하는 효과를 실현케 함과 동시에 정화수의 회수가 상기 포집및회수부(140)를 통해 보다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하는 효과를 실현케 한다.The drop wall 250 removes dust and moisture by collision of the air moved backward by the blower fan 220 at one side of the inside of the chamber 100, that is, in the pre-processing unit 200, thereby realizing an effect of minimizing a rapid deterioration in the purification performance of the filter unit 300 to be described in detail later and at the same time making the collection of purified water more smoothly through the collection and recovery unit 140. make it

상기 상승팬(260)은 앞서 설명된 송풍팬(220)에 의해 후방으로 이동되는 공기가 상기 낙하벽(250)에 관통형성된 관통홀(252)을 통과하면 상기 공기가 충돌됨과 동시에 회전되어 공기중에 포함된 분진이 낙하되도록 함은 물론 구획벽(170)의 후방 상부에 설치되는 이후에 자세히 설명될 필터부(300)를 통해 공기가 보다 원활하게 이동될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실현케 한다. 이때, 본 발명의 챔버(100)는 일측 후방 하부에 상기 상승팬(260)에 의해 낙하된 분진을 제거할 수 있는 제거도어(미표시)가 형성된다.When the air moved backward by the blowing fan 220 described above passes through the through-hole 252 formed through the falling wall 250, the air collides and rotates at the same time, so that the dust contained in the air falls, and also realizes the effect of allowing the air to move more smoothly through the filter unit 300, which will be described in detail after being installed on the rear upper part of the partition wall 170. At this time, the chamber 100 of the present invention is formed with a removal door (not shown) capable of removing the dust dropped by the lifting fan 260 at the lower rear side of one side.

즉, 본 발명의 전처리부(200)는 낙하부재(210)를 통한 1차 충돌에 의해 공기중에 포함된 분진이 제거되도록 함과 동시에 분사노즐(240)로부터 분사되는 정화수에 의해 부진이 제거되도록 하고, 낙하벽(250)을 통해 분진과 수분을 제거할 뿐만 아니라 상승팬(260)을 통해 다시한번 분진의 제거와 공기의 이동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보다 효율적으로 공기중의 분진이 제거되도록 하는 효과를 실현케 한다.That is, the preprocessing unit 200 of the present invention removes dust contained in the air by the primary collision through the falling member 210 and at the same time removes the sluggish dust by the purified water sprayed from the spray nozzle 240, removes dust and moisture through the falling wall 250, and removes dust and moves the air again through the rising fan 260, so that dust in the air is more efficiently removed. to realize the effect of

이때, 상기 송풍팬(220)과 낙하부재(210) 및 상승팬(260)은 별도의 구동장치와 연결되지 않고 제2흡입블로워(310)에 의해 이동되는 공기에 의해 회전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한데, 이는 수분이 다량 함유된 공기의 수분의 일부가 상기 낙하부재(210)와 상승팬(260)에 충돌하여 낙하되어 제거되도록 하고, 다량의 수분에 의한 전기적인 누전 및 기타 사고가 발생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At this time, it is preferable that the blowing fan 220, the dropping member 210, and the rising fan 260 are rotated by the air moved by the second suction blower 310 without being connected to a separate driving device. This is to prevent a large amount of moisture from causing an electrical short circuit and other accidents by colliding with the dropping member 210 and the rising fan 260 so that a portion of moisture in the air containing a large amount of moisture collides with the dropping member 210 and the rising fan 260. is

본 발명을 달성하기 위한 주요 구성요소인 필터부(300)는The filter unit 300, which is a major component for achieving the present invention,

상기 구획벽(170)의 후방 상부에 설치되고, 타측에 제2흡입블로워(310)가 구비되는 것으로서, 상기 제2흡입블로워(310)를 통해 상기 챔버(100)의 흡입구(110)로 분진이 포함된 공기가 전처리부(200)로 유입되도록 하고, 상기 전처리부(200)에서 1차로 분진이 제거된 공기의 분진 및 오염물질을 제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t is installed on the rear upper part of the partition wall 170, and a second suction blower 310 is provided on the other side, and the air containing dust is introduced into the pre-processing unit 200 through the second suction blower 310 through the suction port 110 of the chamber 100.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필터부(300)는 전처리부(200)를 통과한 공기중의 수분의 일부를 제거하기 위한 엘리미네이터(eliminator)(미도시)와 상기 엘리미네이터의 타측에 설치되는 데미스터(demister)(미도시)를 포함하여 구성된다.Specifically, the filter unit 300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n eliminator (not shown) for removing some of the moisture in the air that has passed through the pretreatment unit 200 and a demister (not shown) installed on the other side of the eliminator.

상기 엘이미네이터는 스테인레스 재질로 구성되어 반 영구적인 제습, 제진 기능을 수행하고, 상기 데미스터는 공기에 포함된 미량의 잔류 유분 분진을 걸러내에 제거되도록 한다.The eliminator is made of stainless steel and performs a semi-permanent dehumidification and dust removal function, and the demister filters out a small amount of residual oil dust contained in the air so that it is removed.

즉, 본 발명의 필터부(300)는 상기 제2흡입블로워(310)를 통해 챔버(100)의 내부 일측 즉, 전처리부(200)의 공기가 흡입되도록 하여 분진이 제거되도록 하고, 이후에 자세히 설명될 세퍼레이터(420)에 상기 제2흡입블로워(310)에 의해 배출되는 공기가 공급될 수 있도록 한다. 이때, 본 발명의 챔버(100)는 후방 상부에 상기 필터부(300)의 유지보수를 위한 도어(미표시)가 설치된다.That is, the filter unit 300 of the present invention allows air from one side of the inside of the chamber 100, that is, the preprocessing unit 200 to be sucked in through the second suction blower 310 so that dust is removed, and the air discharged by the second suction blower 310 can be supplied to the separator 420 to be described later. At this time, a door (not shown) for maintenance of the filter unit 300 is installed at the rear upper portion of the chamber 100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을 달성하기 위한 주요 구성요소인 정화부(400)는The purification unit 400, which is a major component for achieving the present invention,

상기 챔버(100)의 내부 타측에 형성되어 상기 구획벽(170)에 의해 상기 전처리부(200)와 구획되고, 상기 필터부(300)를 통과한 공기의 이물질 즉, 분진과 앞서 설명된 전처리부(200)에 분사되어 분진이 포함된 정화수가 이후에 설명될 정화탱크(410)로 회수되면 상기 분진이 제거될 수 있도록 하여 정화수를 장기간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t is formed on the other side of the inside of the chamber 100 and is partitioned from the pre-processing unit 200 by the partition wall 170, and foreign substances in the air passing through the filter unit 300, that is, dust, and the previously described pre-processing unit 200. When purified water containing dust is returned to the purification tank 410 to be described later, the dust can be removed so that the purified water can be used for a long period of time.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정화부(400)는 상기 챔버(100) 내부 타측 전방에 설치되, 정화수가 저장되는 정화탱크(410)와, 상기 챔버(100)의 내부 타측 후방에 설치되는 세퍼레이터(420)와, 상기 정화탱크(410)로부터 세퍼레이터(420)로 정화수가 공급되도록 상기 정화탱크(410)의 후방 하부와 상기 세퍼레이터(420)의 외주연 상부를 연결하는 제2공급관(470)과, 상기 세퍼레이터(420)를 통해 정화된 정화수가 상기 정화탱크(410)로 회수될 수 있도록 상기 세퍼레이터(420)의 상부와 상기 정화탱크(410)의 후방 상부를 연결하는 제1회수관(440) 및 상기 제2흡입블로워(310)와 상기 제1공급관(430)을 연결하여상기 제2흡입블로워(310)를 통해 흡입된 공기가 정화수와 함께 세퍼레이터(420)에 공급될 수 있도록 하는 공기공급관(45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Specifically, the purification unit 400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purification tank 410 installed at the front of the other side inside the chamber 100 to store purified water, a separator 420 installed at the rear of the other side inside the chamber 100, and a second supply pipe connecting the lower rear of the purification tank 410 and the upper part of the outer circumference of the separator 420 so that purified water is supplied from the purification tank 410 to the separator 420. 470 and the first recovery pipe 440 connecting the upper part of the separator 420 and the rear upper part of the purification tank 410, and the second suction blower 310 and the first supply pipe 430 so that the purified water purified through the separator 420 can be returned to the purification tank 410 so that the air sucked through the second suction blower 310 along with the purified water It is configured to include an air supply pipe 450 to be supplied to 420.

상기 정화탱크(410)는 정화수가 일정량 저장되되, 상기 배출구(120)의 위치보다 낮은 위치까지 정화수가 저장되어 이후에 세퍼레이터(420)를 통과한 공기가 제1흡입블로워(130)를 통해 원활하게 배출될 수 있도록 한다.The purification tank 410 stores a certain amount of purified water, and the purified water is stored up to a position lower than the position of the outlet 120 so that the air passing through the separator 420 can be smoothly discharged through the first suction blower 130.

상기 세퍼레이터(420)는 상기 제1공급관(430)을 통해 공급되는 정화수를 공급받아 상기 정화수를 정화하는데, 상기 제1공급관(430)이 상기 정화탱크(410)의 후방 하부에 연결되어 있으므로 앞서 설명된 포집및회수부(140)에서 분진이 포함된 상태로 회수된 정화수의 분진이 포함된 정화수를 공급받아 정화될 수 있도록 한다.The separator 420 receives the purified water supplied through the first supply pipe 430 and purifies the purified water. Since the first supply pipe 430 is connected to the lower rear portion of the purification tank 410, the purified water collected in the collecting and collecting unit 140 as described above receives the purified water containing the dust and is purified so that it can be purified.

또한, 상기 세퍼레이터(420)는 상기 제1공급관(430)과 제2흡입블로워(310)가 공기공급관(450)을 통해 연결되어 상기 제1공급관(430)을 통해 공급되는 정화수와 함께 상기 제2흡입블로워(310)를 통해 흡입된 공기를 정화수와 함께 공급받고, 이에 따라 상기 정화수의 정화와 함께 상기 공기중에 포함된 분진이 최종적으로 제거되도록 한다.In addition, in the separator 420, the first supply pipe 430 and the second suction blower 310 are connected through an air supply pipe 450, so that the purified water supplied through the first supply pipe 430 and the air sucked through the second suction blower 310 are supplied together with purified water, thereby purifying the purified water and finally removing dust contained in the air.

상기 제1회수관(440)은 상기 세퍼레이터(420)를 통과한 정화수와 공기가 상기 정화탱크(410)로 회수될 수 있도록 하여 상기 정화수가 순환될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상기 정화탱크(410)의 내부로 분진이 제거된 공기가 회수되어 배출구(120)를 통해 외부로 배출될 수 있도록 한다.The first recovery pipe 440 allows purified water and air that have passed through the separator 420 to be returned to the purification tank 410 so that the purified water can be circulated, and at the same time, air from which dust has been removed is recovered and discharg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discharge port 120.

이때, 상기 배출구(120)는 상기 챔버(100)의 타측 전방 상부에 설치되되, 상기 정화탱크(410)의 타측 상부와 연통되도록 설치됨으로써, 상기 제1회수관(440)을 통해 상기 정화탱크(410)로 회수된 공기가 외부로 배출될 수 있도록 한다.At this time, the outlet 120 is installed on the upper part of the front side of the chamber 100 and communicates with the upper part of the other side of the purification tank 410, so that the air recovered to the purification tank 410 can be discharg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first recovery pipe 440.

부가하여, 상기 배출구(120)는 수분이 포함된 공기가 배출될 때, 상기 제1흡입블로워(130)의 고장을 방지하기 위해 배출구(120)의 일측에 엘이미네이터(미도시)가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when the air containing moisture is discharged from the outlet 120, an eliminator (not shown) is installed on one side of the outlet 120 to prevent failure of the first suction blower 130. It is preferable.

상기와 연관하여, 상기 세퍼레이터(420)는 하부에 형성되는 배출관(422)과 상기 배출관(422)에 설치되는 배출밸브(424)를 포함하여 구성되는데, 상기 배출관(422)에 분진이 축적되면 상기 배출밸브(424)를 개방하여 상기 분진을 쉽게 제거할 수 있도록 한다. 이때, 상기 배출관(422)은 투명한 재질로 형성되어 작업자가 육안으로 분진의 축적량을 쉽게 확인하여 보다 용이하게 분진의 제거가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relation to the above, the separator 420 is configured to include a discharge pipe 422 formed at the bottom and a discharge valve 424 installed in the discharge pipe 422. When dust accumulates in the discharge pipe 422, the discharge valve 424 is opened so that the dust can be easily removed. At this time, it is preferable that the discharge pipe 422 is formed of a transparent material so that the worker can easily check the accumulated amount of dust with the naked eye so that the dust can be removed more easily.

아울러, 본 발명의 정화부(400)는 상기 제1회수관(440)에 설치되는 정화필터(46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데, 상기 정화필터(460)는 카트리지 필터로 이루어져 앞서 설명된 세퍼레이터(420)보다 미세한 입자의 분진과 이물질이 여과 및 정화될 수 있도록 하여 정화수의 수질을 향상시킨다.In addition, the purification unit 400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onfigured to include a purification filter 460 installed in the first collection pipe 440. The purification filter 460 is made of a cartridge filter, so that dust and foreign substances of finer particles than the separator 420 described above can be filtered and purified to improve the quality of purified water.

상기와 연관하여, 본 발명의 정화부(400)는 상기 정화탱크(410)로부터 전처리부(200)의 물탱크(230)로 정화수가 공급되도록 상기 정화탱크(410)의 후방 하부와 상기 물탱크(230)를 연결하는 제2공급관(47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In connection with the above, the purification unit 400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second supply pipe 470 connecting the lower rear portion of the purification tank 410 and the water tank 230 so that purified water is supplied from the purification tank 410 to the water tank 230 of the pretreatment unit 200.

이때, 상기 제2공급관(470)은 상기 정화탱크(410)의 후방 하부와 연결되되, 상기 제1공급관(430)보다 상부에 위치되도록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데, 이는 상기 제1공급관(430)을 통해 포집및회수부(140)에 회수된 분진이 세퍼레이터(420)로 공급됨과 동시에 분진이 포함되지 않은 정화수가 물탱크(230)에 공급되어 전처리부(200)에서 공기에 포함된 분진의 제거가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하는 효과를 실현케 한다.At this time, the second supply pipe 470 is connected to the rear lower part of the purification tank 410, characterized in that it is connected so as to be located above the first supply pipe 430, which means that the dust collected in the collection and recovery unit 140 through the first supply pipe 430 is supplied to the separator 420, and at the same time, purified water without dust is supplied to the water tank 230 so that the air in the pretreatment unit 200 It realizes the effect of smoothly removing the dust contained in the

한편, 상기 제1공급관(430)과 제2공급관(470)은 세퍼레이터(420)와 물탱크(230)로 정화탱크(410)의 정화수가 공급될 수 있도록 각각 제1공급펌프(미표시)와 제2공급펌프(미표시)가 설치된다.Meanwhile, a first supply pump (not shown) and a second supply pump (not shown) are installed in the first supply pipe 430 and the second supply pipe 470 so that the purified water in the purification tank 410 can be supplied to the separator 420 and the water tank 230.

결과적으로, 본 발명의 분진을 제거하기 위한 집진기는 습식으로 공기중에 포함된 수분과 분진이 보다 원활하게 제거될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충돌에 의해 분진이 제거되도록 하고, 분진의 제거를 위해 사용된 정화수를 지속적으로 정화하여 재사용될 수 있도록 함으로서, 분진이 효율적으로 제거됨과 동시에 장기간 정화수를 사용가능토록 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As a result, the dust collector for removing dust of the present invention allows the moisture and dust contained in the air to be more smoothly removed in a wet manner, and at the same time, the dust is removed by collision, and the purified water used for the removal of dust is continuously purified and reused, so that the dust can be efficiently removed and the purified water can be used for a long period of time.

상기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하였으며,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고, 상기의 실시예를 통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변경으로 실시할 수 있는 것이다.The above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is not limited to the above embodiments, and those skilled in the art through the above embodiments do not deviate from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can be implemented with various changes.

100 : 챔버 110 : 흡입구
120 : 배출구 130 : 제1흡입블로워
140 : 포집및회수부 150 : 제2회수관
160 : 회수펌프 170 : 구획벽
200 : 전처리부 210 : 낙하부재
212 : 회전날개 220 : 송풍팬
230 : 물탱크 240 : 분사노즐
250 : 낙하벽 252 : 관통홀
260 : 상승팬 300 : 필터부
310 : 제2흡입블로워 400 : 정화부
410 : 정화탱크 420 : 세퍼레이터
422 : 배출관 424 : 배출밸브
430 : 제1공급관 440 : 제1회수관
450 : 공기공급관 460 : 정화필터
470 : 제2공급관
100: chamber 110: inlet
120: discharge port 130: first suction blower
140: collection and recovery unit 150: second collection pipe
160: recovery pump 170: partition wall
200: pre-processing unit 210: falling member
212: rotary blade 220: blowing fan
230: water tank 240: spray nozzle
250: falling wall 252: through hole
260: rising fan 300: filter unit
310: second suction blower 400: purification unit
410: purification tank 420: separator
422: discharge pipe 424: discharge valve
430: first supply pipe 440: first recovery pipe
450: air supply pipe 460: purification filter
470: second supply pipe

Claims (8)

일측 전방 하부에 흡입구(110)가 형성되고, 타측 전방 상부에 배출구(120)가 형성되며, 상기 배출구(120)에 제1흡입블로워(130)가 설치되는 한편, 내부 중앙에 전후방으로 구획벽(170)이 형성된 챔버(100);와
상기 챔버(100)의 내부 일측에 설치되어 상기 흡입구(110)로 유입된 공기의 이물질을 제거하는 전처리부(200);와
상기 구획벽(170)의 후방 상부에 설치되고, 타측에 제2흡입블로워(310)가 구비되는 필터부(300); 및
상기 챔버(100)의 내부 타측에 설치되어 상기 구획벽(170)에 의해 상기 전처리부(200)와 구획되고, 상기 필터부(300)를 통과한 공기의 이물질을 제거하는 정화부(40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진을 제거하기 위한 집진기.
A suction port 110 is formed in the lower part of the front side of one side, an outlet port 120 is formed in the upper part of the front side of the other side, and a first suction blower 130 is installed in the discharge port 120, while a partition wall 170 is formed in the front and rear chambers 100 at the center of the inside;
A pre-processing unit 200 installed on one side of the inside of the chamber 100 to remove foreign substances from the air introduced into the suction port 110;
A filter unit 300 installed on the rear upper portion of the partition wall 170 and having a second suction blower 310 on the other side; and
A purification unit 400 installed on the other side of the inside of the chamber 100, partitioned from the pretreatment unit 200 by the partition wall 170, and removing foreign substances from the air passing through the filter unit 300; Dust collector for removing dust, characterized in that it is configured to includ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처리부(200)는
복수 개의 회전날개(212)를 구비하여 상기 챔버(100)의 내부 일측 전방 하부에 측방향으로 회전가능하도록 설치되되, 상기 흡입구(110)의 타측에 설치되고, 상기 흡입구(110)를 통해 흡입되는 공기가 상기 회전날개(212)에 충돌하여 회전되는 낙하부재(210);와
상기 낙하부재(210)의 후방에 설치되되, 상기 낙하부재(210)의 회전에 따라 함께회전되도록 설치되어 흡입된 공기가 후방으로 송풍되도록 하는 송풍팬(220);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진을 제거하기 위한 집진기.
According to claim 1,
The pre-processing unit 200
A plurality of rotary blades 212 are installed so as to be rotatable laterally at the front lower part of one side inside the chamber 100, and installed on the other side of the suction port 110, and the air sucked through the suction port 110 collides with the rotary blades 212 and rotates the falling member 210;
A blower fan 220 installed at the rear of the dropping member 210 and installed to rotate together with the rotation of the dropping member 210 so that the sucked air is blown backward. Dust collector for removing dust, characterized in that it is configured to includ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정화부(400)는
제1회수관(440)에 설치되는 정화필터(46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진을 제거하기 위한 집진기.
According to claim 1,
The purification unit 400
A dust collector for removing dust, characterized in that it is configured to include; a purification filter 460 installed in the first recovery pipe 44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배출구(120)는
상기 챔버(100)의 타측 전방 상부에 설치되되, 상기 정화탱크(410)의 타측 상부와 연통되도록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진을 제거하기 위한 집진기.
According to claim 1,
The outlet 120 is
A dust collector for removing dust, characterized in that it is installed on the upper part of the front side of the chamber 100 and communicates with the upper part of the other side of the purification tank 4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정화부(400)는
상기 정화탱크(410)로부터 물탱크(230)로 정화수가 공급되도록 상기 정화탱크(410)의 후방 하부와 상기 물탱크(230)를 연결하는 제2공급관(470);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제2공급관(470)은
상기 정화탱크(410)의 후방 하부와 연결되되, 상기 제1공급관(430)보다 상부에 위치되도록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진을 제거하기 위한 집진기.
According to claim 1,
The purification unit 400
A second supply pipe 470 connecting the lower rear portion of the purification tank 410 and the water tank 230 so that purified water is supplied from the purification tank 410 to the water tank 230;
The second supply pipe 470 is
A dust collector for removing dust, characterized in that connected to the rear lower portion of the purification tank 410 and connected to be located above the first supply pipe 43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챔버(100)는
일측 하부에 설치되되, 내부 일측 하부와 연통되는 포집및회수부(140);와
상기 포집및회수부(140)와 상기 정화탱크(410)를 연결하는 제2회수관(150); 및
상기 제2회수관(150)에 설치되는 회수펌프(16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진을 제거하기 위한 집진기.
According to claim 1,
The chamber 100 is
Doedoe installed on the lower part of one side, the collection and recovery unit 140 communicating with the lower part of the inner one side; and
a second recovery pipe 150 connecting the collection and recovery unit 140 and the purification tank 410; and
A dust collector for removing dust, characterized in that it is configured to include; a recovery pump 160 installed in the second recovery pipe 15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처리부(200)는
상기 챔버(100)의 일측 전방 상부에 설치되는 물탱크(230);와
상기 챔버(100)의 내부 일측 전방 상부에 설치되되, 상기 물탱크(230)와 연결되도록 설치되는 복수 개의 분사노즐(240);과
상기 챔버(100)의 내부 일측 후방에 설치되어 상기 챔버(100)의 내부 일측을 전방과 후방으로 구획하고, 중앙 하부에 관통홀(252)이 형성되는 낙하벽(250); 및
상기 챔버(100)의 내부 일측 후방에 설치되되, 상기 낙하벽(250)의 후방에 설치되고, 상기 관통홀(252)의 후방에 복수 개의 팬이 위치되어 상기 관통홀(252)을 통해 유입된 공기에 의해 회전되는 상승팬(260);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진을 제거하기 위한 집진기.
According to claim 1,
The pre-processing unit 200
A water tank 230 installed on the front upper part of one side of the chamber 100; and
A plurality of spray nozzles 240 installed on the upper part of the front side of the chamber 100 and connected to the water tank 230;
a falling wall 250 installed at the rear of one side of the inside of the chamber 100 to divide the inside of the chamber 100 into front and rear parts, and having a through hole 252 formed in the lower center; and
It is installed at the rear of one side of the inside of the chamber 100, is installed at the rear of the falling wall 250, and a plurality of fans are located at the rear of the through hole 252, and the air introduced through the through hole 252. An ascending fan 260 rotated; a dust collector for removing dust, characterized in that it is configured to include.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정화탱크(410)는
정화수가 일정량 저장되되, 상기 배출구(120)의 위치보다 낮은 위치까지 정화수가 저장되어 이후에 세퍼레이터(420)를 통과한 공기가 제1흡입블로워(130)를 통해 원활하게 배출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진을 제거하기 위한 집진기.
According to claim 4,
The purification tank 410 is
A certain amount of purified water is stored, and the purified water is stored to a position lower than the position of the outlet 120 so that the air passing through the separator 420 is smoothly discharged through the first suction blower 130. Dust collector for removing dust, characterized in that.
KR1020220007499A 2022-01-18 2022-01-18 A dust collector to remove dust KR20230111537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07499A KR20230111537A (en) 2022-01-18 2022-01-18 A dust collector to remove dust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07499A KR20230111537A (en) 2022-01-18 2022-01-18 A dust collector to remove dust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11537A true KR20230111537A (en) 2023-07-25

Family

ID=874288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07499A KR20230111537A (en) 2022-01-18 2022-01-18 A dust collector to remove dust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111537A (en)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76654B1 (en) 2015-08-27 2015-12-10 박성민 Multi-dust separator type of inertia clash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76654B1 (en) 2015-08-27 2015-12-10 박성민 Multi-dust separator type of inertia clash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28076B1 (en) a dust clearing device
KR101609512B1 (en) Wet Scrubber
KR100824033B1 (en) Dehumidifier with a screw type of passage
KR100482926B1 (en) Washer type air conditioner device
KR102095722B1 (en) Impinger
KR102021789B1 (en) Wet scrubber
KR20160139799A (en) Air cleaner with humidification of wet type
KR102191152B1 (en) Apparatus for reducing dust
KR101595218B1 (en) Gas purification apparatus
KR101256512B1 (en) Wet-type dust collector having advanced purification performance
CN114269453A (en) Wet dust collecting unit and wet dust collecting device using same
KR102051460B1 (en) a dust collecting apparatus for dust of paint
KR20230111537A (en) A dust collector to remove dust
US7306639B2 (en) Demisting chamber with elbow strainer
KR101979002B1 (en) Noxious gas dust remover using separation method
JP6726465B2 (en) Air purifier
CN212119396U (en) Exhaust treatment mechanism of patching machine
KR101366975B1 (en) Apparatus for filtering particle
KR100913031B1 (en) A complex type dust collector
KR102512124B1 (en) Multi filtering system of a prayed paint
KR200478851Y1 (en) Wet Dust Collector
JP2011189326A (en) Mist collector
KR100458865B1 (en) A Dust Collector for VOCs, Dusts and Mists Removal
KR20050091371A (en) Reclaimer of an organic compound
CN216756911U (en) High-efficient cascade cabinet of getting rid of coating cloud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