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11513A - 폐열회수장치용 자동필터장치 - Google Patents

폐열회수장치용 자동필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11513A
KR20230111513A KR1020220007459A KR20220007459A KR20230111513A KR 20230111513 A KR20230111513 A KR 20230111513A KR 1020220007459 A KR1020220007459 A KR 1020220007459A KR 20220007459 A KR20220007459 A KR 20220007459A KR 20230111513 A KR20230111513 A KR 2023011151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lter
waste
filter body
inlet
hou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0745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길상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에프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에프원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에프원
Priority to KR102022000745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111513A/ko
Publication of KR2023011151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1151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8HEAT EXCHANGE IN GENERAL
    • F28FDETAILS OF HEAT-EXCHANGE AND HEAT-TRANSFER APPARATUS, OF GENERAL APPLICATION
    • F28F19/00Preventing the formation of deposits or corrosion, e.g. by using filters or scrapers
    • F28F19/01Preventing the formation of deposits or corrosion, e.g. by using filters or scrapers by using means for separating solid materials from heat-exchange fluids, e.g. filt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5/00Filtering devices having feature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or for application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Auxiliary devices for filtration; 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01D35/02Filters adapted for location in special places, e.g. pipe-lines, pumps, stop-coc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5/00Filtering devices having feature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or for application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Auxiliary devices for filtration; 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01D35/16Cleaning-out devices, e.g. for removing the cake from the filter casing or for evacuating the last remnants of liqui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8HEAT EXCHANGE IN GENERAL
    • F28DHEAT-EXCHANGE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ANOTHER SUBCLASS, IN WHICH THE HEAT-EXCHANGE MEDIA DO NOT COME INTO DIRECT CONTACT
    • F28D21/00Heat-exchange apparatus not covered by any of the groups F28D1/00 - F28D20/00
    • F28D21/0001Recuperative heat exchangers
    • F28D21/0012Recuperative heat exchangers the heat being recuperated from waste water or from condensat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8HEAT EXCHANGE IN GENERAL
    • F28FDETAILS OF HEAT-EXCHANGE AND HEAT-TRANSFER APPARATUS, OF GENERAL APPLICATION
    • F28F2265/00Safety or protection arrangements; Arrangements for preventing malfunction
    • F28F2265/20Safety or protection arrangements; Arrangements for preventing malfunction for preventing development of microorganis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Heat-Exchange Devices With Radiators And Conduit Assembl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열교환기에 공급되는 폐온수의 이물질을 포집하고 동시에 열교환기에서 열교환 후 배출되는 폐냉수를 여과된 이물질과 함께 배출하여 자동으로 필터를 청소할 수 있으며, 빈번한 역세를 위한 수동작업의 불편을 해소할 수 있으며 수도물의 낭비가 불필요하고, 매일 포집된 이물질의 직접적인 제거로 인한 불편을 해소할 수 있고, 필터의 자동 청소로 필터링 기능을 지속적으로 유지할 수 있으며, 필터의 필터링 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필터기의 필터를 자동으로 청소하여 이물질이 여과된 폐온수를 공급함으로써 열교환기의 유지관리가 용이하며, 열교환기의 수명을 연장할 수 있는 폐열회수장치용 자동필터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폐열회수장치용 자동필터장치{AUTOMATIC FILTER DEVICE FOR WASTE HEAT RECOVERY APPARATUS}
본 발명은 폐열회수장치용 자동필터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열교환기에 공급되는 폐온수의 이물질을 포집하고 동시에 열교환기에서 열교환 후 배출되는 폐냉수를 여과된 이물질과 함께 배출하여 자동으로 필터를 청소할 수 있으며, 빈번한 역세를 위한 수동작업의 불편을 해소할 수 있으며 수돗물의 낭비가 불필요하고, 매일 포집된 이물질의 직접적인 제거로 인한 불편을 해소할 수 있고, 필터의 자동 청소로 필터링 기능을 지속적으로 유지할 수 있으며, 필터의 필터링 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필터기의 필터를 자동으로 청소하여 이물질이 여과된 폐온수를 공급함으로써 열교환기의 유지관리가 용이하며, 열교환기의 수명을 연장할 수 있는 폐열회수장치용 자동필터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목욕탕, 사우나 혹은 공장에서 발생되는 고온의 폐수로부터 열교환장치를 이용하여 폐온수의 열에너지로 공급수를 가열하도록 하는 폐열회수방법 및 장치가 널리 알려져 있다.
즉 상기와 같은 시설에서는 소정의 온도로 가열된 물을 많이 사용하므로 에너지 소모가 많으며, 이러한 시설에서 사용된 여전히 고온 상태의 폐수를 그대로 방류됨으로써, 에너지 낭비가 많은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따라 사용된 고온 상태의 폐수로부터 열교환에 의해 공급수를 가열시키는 폐열회수장치를 사용하고 있다.
그리고 이러한 시설에서는 필연적으로 머리카락을 비롯한 여러가지의 이물질이 폐수와 함께 방류됨에 따라 폐수 유로가 막히는 문제가 발생되었으며, 이러한 이물질 제거를 위해 종래에는 헤어캐쳐를 폐수열회수기 전단에 설치하여 온수사용처에서 버린 폐온수를 열교환기로 유입되기 전에 머리카락을 포함한 이물질 등을 제거하도록 하였다.
또한 이물질이 열교환기에 공급됨으로써 이물질의 지속적인 고착으로 생성된 스케일로 인해 열교환 효율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와 같은 헤어캐처에서 사용되는 필터의 예로 망과 같은 걸름망을 사용하였으나, 이러한 필터는 헤어와 같은 이물질이 채워지면 이물질이 걸름망의 구멍을 막게 되어 폐온수의 흐름 속도를 저하시키고, 걸름망의 구멍을 통해 머리카락과 같은 이물질이 누출되어 열교환기를 막는 문제점이 있었으며,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주기적으로 필터를 청소를 해야 하는 문제점 있었다.
그리고 상기와 같은 종래의 필터를 청소하는 방법은 헤어캐처에 포집된 머리카락과 같은 이물질을 수작업에 의해 제거해야 하므로 설비관리자의 작업이 불편하고, 악취 발생과 위생상의 문제점이 있었다.
근래에는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머리카락이나 이물질을 배출하기 위해 수돗물 등 사용수를 강제로 폐수열회수기에서 헤어캐쳐(필터) 쪽으로 폐수가 흐르는 방향과 반대방향으로 공급하여 즉, 역세를 해주어 이물질을 바이패스라인과 연결된 역세라인을 통해 배출하도록 하였다.
그러나, 이러한 역세방식의 구조에서는 역세시에는 사용수의 낭비가 많으며, 주기적으로 필터에 걸려진 이물질을 정기적으로 세척해야 하고, 이러한 세척 작업중에는 폐열을 회수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대한민국 특허등록 제2269969호(2021, 06. 22. 등록) 대한민국 특허등록 제1553146호(2015. 09. 08. 등록)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열교환기에 공급되는 폐온수의 이물질을 포집하고 동시에 열교환기에서 열교환 후 배출되는 폐냉수를 여과된 이물질과 함께 배출하여 자동으로 필터를 청소할 수 있는 폐열회수장치용 자동필터장치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은 빈번한 역세를 위한 수동작업의 불편을 해소할 수 있으며 수도물의 낭비가 불필요하고, 매일 포집된 이물질의 직접적인 제거로 인한 불편을 해소할 수 있는 폐열회수장치용 자동필터장치를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필터의 자동 청소로 필터링 기능을 지속적으로 유지할 수 있으며, 필터의 필터링 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폐열회수장치용 자동필터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은 필터기의 필터를 자동으로 청소하여 이물질이 여과된 폐온수를 공급함으로써 열교환기의 유지관리가 용이하며, 열교환기의 수명을 연장할 수 있는 폐열회수장치용 자동필터장치를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목욕탕, 호텔 기숙사, 체육시설과 상업시설, 식품 가공공장, 전자공장, 플라스틱 가공 공장, 제지 공장 등 산업시설에 적용할 수 있는 폐열회수장치용 자동필터장치를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원통형상으로 상부가 개방되는 하우징 본체(110)가 구비되며, 상기 하우징 본체(110)의 하부 일측에 폐온수가 하우징 본체(110) 내부로 유입되도록 유입구(120)가 구비되며, 상기 유입구(120)와 대응되는 하우징 본체(110)의 하부 타측에 폐냉수가 배출되는 배출구(130)가 구비되는 하우징(100); 상기 하우징 본체(110) 내부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어 유입구(120)를 통해 하우징 본체(110) 내부로 유입되는 폐온수의 이물질을 여과하여 열교환기(500)로 이송하고, 열교환기(500)에서 열교환된 폐냉수와 여과된 이물질을 배출구(130)로 배출하도록 구비되는 원통형 필터기(200); 원판형상으로 상기 하우징(100)의 상부에 결합되는 뚜껑 본체(310)가 구비되며, 일측에 유입구(120)를 통해 하우징 본체(110) 내부로 유입되어 원통형 필터(200)를 통과하여 이물질이 여과된 폐온수가 열교환기(500)로 이송되도록 이송관(320)이 구비되며, 타측에는 열교환기(500)에서 열교환된 후 배출되는 폐냉수가 유입되도록 유입관(330)이 구비되는 하우징 뚜껑(300); 및 상기 하우징 본체(110) 하부에 원통형 필터기(200)를 회전시키도록 구비되는 모터(4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원통형 필터기(200)는 원통형으로 상부와 하부가 개방되며, 내부에 폐온수와 폐냉수가 유입되도록 구비되는 필터기 본체(210); 상기 필터기 본체(210)의 내부 중앙에 상하로 연장되어 모터(400)의 회전축(410)이 삽입되어 결합되도록 구비되는 회전축 결합봉(220); 상기 필터기 본체(210)의 방사상의 위치 내주면에 일측단이 결합되며, 타측단은 회전축 결합봉(220) 외주면에 결합되고, 필터기 본체(210)의 하부로 돌출되어 필터기 본체(210) 내부를 복수 개의 유입공간(231)으로 분할하는 복수 개의 분할판(230); 상기 필터기 본체(210)의 내측에 필터기 본체(210)와 이격되도록 필터기 본체(210)의 직경보다 작은 직경으로 분할판(230) 상부에 구비되는 지지링(240); 상기 필터기 본체(210)의 하부로 이격되어 복수 개의 분할판(230) 하부에 분할판(230)을 지지하며, 상부면은 회전축 결합봉(220)에서 외측 테두리로 갈수록 낮아지는 원호 형상의 경사면(251)을 이루며, 상기 지지링(240) 내경보다 작은 직경으로 상부에 필터 하부 삽입홈(252)이 구비되는 지지플레이트(250); 상기 지지링(240)의 내측 분할판(230)의 양측면에 상하로 연장되도록 구비되는 필터 측면 삽입홈(260); 상기 복수 개로 분할된 유입공간(231)의 내부에서 상단부는 지지링(240)의 내주면에 밀착되어 지지되고, 양측면은 상기 분할판(230)의 필터 측면 삽입홈(260)에 삽입되도록 결합되며, 하단부는 지지플레이트(250)의 필터 하부 삽입홈(252)에 삽입되도록 결합되어 하우징(100)의 유입구(120) 내측에서는 유입공간(231)으로 유입되는 폐온수의 이물질을 여과하고, 배출구(130)의 내측에서는 이물질을 배출하도록 구비되는 여과필터(270); 원판형상으로 상기 필터기 본체(210)의 상부에 구비되는 필터기 본체 덮개(28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여과 필터(270)는 직육면체 형상으로 이물질을 여과하는 필터 본체(271); 상기 필터 본체(271)의 상단부 테두리를 따라 테두리를 감싸 필터 본체(171)의 상부 테두리 강성이 유지되며, 외측면이 지지링(240)의 내측면에 원호형상으로 밀착되어 지지되도록 구비되는 상부 테두리 프레임(272); 상기 필터 본체(271)의 양측 테두리를 따라 테두리를 감싸 필터 본체(271)의 양측 테두리 강성이 유지되며, 분할판(230)의 필터 측면 삽입홈(260)에 삽입되도록 구비되는 측면 테두리 프레임(273); 상기 필터 본체(271)의 하단부 테두리를 따라 테두리를 감싸 필터 본체(271)의 하부 테두리 강성이 유지되며, 지지플레이트(250)의 필터 하부 삽입홈(252)에 삽입되도록 구비되는 하부 테두리 프레임(274); 및 상기 필터 본체(271)의 전면과 후면 상부 테두리 프레임(272)과 하부 테두리 프레임(274) 사이에 상하 일정한 간격으로 이격되어 양측단은 측면 테두리 프레임(273)에 연결되어 필터 본체(271)의 중간부분 강성을 유지하도록 구비되는 복수 개의 중간 프레임(275)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필터기 본체 덮개(280)는 원판 형상으로 필터기 본체(210)의 직경과 동일한 직경으로 하우징 뚜껑(300)의 뚜껑 본체(310) 하부에 결합되도록 구비되는 덮개 본체(281); 하우징 뚜껑(300)의 이송관(320) 하부에 위치되도록 덮개 본체(281) 일측에 상하로 관통되어 분할판(230) 사이 유입공간(231)으로 유입된 폐온수가 이송관(320)으로 이송되도록 구비되는 이송공(282); 하우징 뚜껑(300)의 유입관(300) 하부에 위치되도록 이송공(282)와 대응되는 위치 덮개 본체(281)의 타측에 상하로 관통되어 열교환기(500)에서 배출되는 폐냉수가 분할판(230) 사이 유입공간(231)으로 유입되도록 구비되는 유입공(283)을 포함하며, 덮개 본체(281)의 이송공(282)의 하부에는 부채꼴 형상으로 외측 테두리는 지지링(240) 내측에 위치되도록 구비되는 이송 가이드공(284); 덮개 본체(281)의 유입공(283) 하부에는 부채꼴 형상으로 외측 테두리는 필터기 본체(210) 내측에 위치되도록 구비되는 유입 가이드공(285)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폐열회수장치용 자동필터장치는 열교환기에 공급되는 폐온수의 이물질을 포집하고 동시에 열교환기에서 열교환 후 배출되는 폐냉수를 여과된 이물질과 함께 배출하여 자동으로 필터를 청소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은 빈번한 역세를 위한 수동작업의 불편을 해소할 수 있으며 수도물의 낭비가 불필요하고, 매일 포집된 이물질의 직접적인 제거로 인한 불편을 해소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필터의 자동 청소로 필터링 기능을 지속적으로 유지할 수 있으며, 필터의 필터링 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은 필터기의 필터를 자동으로 청소하여 이물질이 여과된 폐온수를 공급함으로써 열교환기의 유지관리가 용이하며, 열교환기의 수명을 연장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폐열회수장치용 자동필터장치는 목욕탕, 호텔 기숙사, 체육시설과 상업시설, 식품 가공공장, 전자공장, 플라스틱 가공 공장, 제지 공장 등 산업시설에 적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폐열회수장치용 자동필터장치를 나타낸 예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폐열회수장치용 자동필터장치의 단면을 나타낸 예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폐열회수장치용 자동필터장치의 원통형 필터기를 나타낸 예시도.
도 4 는 본 발명에 따른 폐열회수장치용 자동필터장치의 원통형 필터기 평면을 나타낸 예시도.
도 5 는 본 발명에 따른 폐열회수장치용 자동필터장치의 여과 필터를 나타낸 예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폐열회수장치용 자동필터장치의 필터기 본체 덮개르를 나타낸 예시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폐열회수장치용 자동필터장치의 필터기 본체 덮개가 원통형 필터기의 상부에 배치된 상태를 나타낸 예시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폐열회수장치용 자동필터장치의 원통형 필터기가 회전된 상태의 필터기 본체 덮개 평면을 나타낸 예시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폐열회수장치용 자동필터장치의 작용상태를 나타낸 예시도.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폐열회수장치용 자동필터장치의 다른 실시 예를 나타낸 예시도.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면 중 미설명 부호 500은 열교환기이며, 600은 폐온수에 포함된 이물질이다.
본 발명에 따른 폐열회수장치용 자동필터장치는 도 1과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우징(100)과 원통형 필터기(200), 하우징 뚜껑(300), 모터(400)로 구성된다.
상기 하우징(100)은 원통형상으로 상부가 개방되는 하우징 본체(110)가 구비되며, 상기 하우징 본체(110)의 하부 일측에 폐온수가 하우징 본체(110) 내부로 유입되도록 유입구(120)가 구비되며, 상기 유입구(120)와 대응되는 하우징 본체(110)의 하부 타측에 폐냉수가 배출되는 배출구(130)가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하우징 본체(110) 내부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어 유입구(120)를 통해 하우징 본체(110) 내부로 유입되는 폐온수의 이물질을 여과하여 열교환기(500)로 이송하고, 열교환기(500)에서 열교환된 폐냉수와 여과된 이물질을 배출구(130)로 배출하도록 구비되는 원통형 필터기(20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통형으로 상부와 하부가 개방되며, 내부에 폐온수와 폐냉수가 유입되는 필터기 본체(210)가 구비되며, 상기 필터기 본체(210)의 내부 중앙에는 상하로 연장되어 모터(400)의 회전축(410)이 삽입되어 결합되는 회전축 결합봉(220)이 구비된다.
또한 상기 필터기 본체(210)의 내주면과 회전축 결합봉(220)의 외주면 방사상의 위치에 일측단이 필터기 본체(210) 내주면에 결합되며, 타측단은 회전축 결합봉(220) 외주면에 결합되고, 필터기 본체(210)의 하부로 돌출되어 필터기 본체(210) 내부를 복수 개의 유입공간(231)으로 분할하는 복수 개의 분할판(230)이 구비되며, 상기 필터기 본체(210)의 내측에 필터기 본체(210)와 이격되도록 필터기 본체(210)의 직경보다 작은 직경으로 분할판(230) 상부에 지지링(240)이 구비된다.
그리고 원판형상으로 상기 필터기 본체(210)의 하부로 이격되어 복수 개의 분할판(230) 하부에 분할판(230)을 지지하며, 상부면은 회전축 결합봉(220)에서 외측 테두리로 갈수록 낮아지는 원호 형상의 경사면(251)을 이루며, 상기 지지링(240) 내경보다 작은 직경으로 상부에 필터 하부 삽입홈(252)이 구비되는 지지플레이트(250)가 구비된다.
또한 상기 지지링(240)의 내측 분할판(230)의 양측면에는 상하로 연장되는 필터 측면 삽입홈(260)이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복수 개로 분할된 유입공간(231)의 내부에서 상단부는 지지링(240)의 내주면에 밀착되어 지지되고, 양측면은 상기 분할판(230)의 필터 측면 삽입홈(260)에 삽입되도록 결합되며, 하단부는 지지플레이트(250)의 필터 하부 삽입홈(252)에 삽입되도록 결합되어 하우징(100)의 유입구(120) 내측에서는 유입공간(231)으로 유입되는 폐온수의 이물질을 여과하고, 배출구(130)의 내측에서는 이물질을 배출하는 여과필터(270)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직육면체 형상으로 이물질을 여과하는 필터 본체(271)가 구비되며, 상기 필터 본체(271)의 상단부 테두리를 따라 테두리를 감싸 필터 본체(271)의 상부 테두리 강성이 유지되며, 외측면이 지지링(240)의 내측면에 원호형상으로 밀착되어 지지되는 상부 테두리 프레임(272)이 구비된다.
또한 상기 필터 본체(271)의 양측 테두리를 따라 테두리를 감싸 필터 본체(271)의 양측 테두리 강성이 유지되며, 분할판(230)의 필터 측면 삽입홈(260)에 삽입되는 측면 테두리 프레임(273)이 구비되며, 상기 필터 본체(271)의 하단부 테두리를 따라 테두리를 감싸 필터 본체(271)의 하부 테두리 강성이 유지되며, 지지플레이트(250)의 필터 하부 삽입홈(252)에 삽입되는 하부 테두리 프레임(274)이 구비되고, 상기 필터 본체(271)의 전면과 후면 상부 테두리 프레임(272)과 하부 테두리 프레임(274) 사이에 상하 일정한 간격으로 이격되어 양측단은 측면 테두리 프레임(273)에 연결되어 필터 본체(271)의 중간부분 강성이 유지되도록 복수 개의 중간 프레임(275)이 구비된다.
이때 상기 상부 테두리 프레임(272)과 측면 테두리 프레임(273), 하부 테두리 프레임(274), 중간 프레임(275)은 구부러질 수 있으며, 탄성이 있는 실리콘 또는 합성수지 재질로 실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원판형상으로 상기 필터기 본체(210)의 상부에 구비되는 필터기 본체 덮개(280)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판 형상으로 필터기 본체(210)의 직경과 동일한 직경으로 하우징 뚜껑(300)의 뚜껑 본체(310) 하부에 결합되는 덮개 본체(281)가 구비되며, 하우징 뚜껑(300)의 이송관(320) 하부에 위치되도록 덮개 본체(281) 일측에 상하로 관통되어 분할판(230) 사이 유입공간(231)으로 유입된 폐온수가 이송관(320)으로 이송되도록 이송공(282)이 구비되고, 하우징 뚜껑(300)의 유입관(300) 하부에 위치되도록 이송공(282)와 대응되는 위치 덮개 본체(281)의 타측에 상하로 관통되어 열교환기(500)에서 배출되는 폐냉수가 분할판(230) 사이 유입공간(231)으로 유입되도록 유입공(283)이 구비된다.
또한 상기 덮개 본체(281)의 이송공(282)의 하부에는 부채꼴 형상으로 외측 테두리는 지지링(240) 내측에 위치되는 이송 가이드공(284)이 구비되며, 덮개 본체(281)의 유입공(283) 하부에는 부채꼴 형상으로 외측 테두리는 필터기 본체(210) 내측에 위치되는 유입 가이드공(285)이 구비된다.
한편 하우징 뚜껑(300)은 도 1,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판형상으로 상기 하우징(100)의 상부에 결합되는 뚜껑 본체(310)가 구비되고, 일측에 유입구(120)를 통해 하우징 본체(110) 내부로 유입되어 원통형 필터(200))를 통과하여 이물질이 여과된 폐온수가 열교환기(500)로 이송되도록 이송관(320)이 구비되며, 타측에는 열교환기(500)에서 열교환된 후 배출되는 폐냉수가 유입되도록 유입관(330)이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하우징 본체(110) 하부에는 원통형 필터기(200)를 회전시키도록 모터(400)가 구비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폐열회수장치용 자동필터장치의 작용에 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하우징(100)의 상부에 구비된 하우징 뚜껑(300)의 이송관(320)와 유입관(330)에는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열교환기(500)가 연결된다.
그리고 목욕탕, 사우나 혹은 공장에서 발생되는 고온의 폐수는 순환펌프(도면에 미도시)를 이용하여 일정한 압력으로 하우징(100)의 유입구(120)를 통해 하우징 본체(110) 내부로 유입되어 원통형 필터기(200)의 필터기 본체(210) 하부와 지지플레이트(250) 상부면 사이로 유입된다.
상기와 같이 필터기 본체(210) 하부와 지지플레이트(250) 상부면 사이로 유입되는 폐온수는 양 측면 테두리 프레임(273)이 분할판(230)의 필터 측면 삽입홈(260)에 삽입되어 결합되고, 하부 테두리 프레임(274)은 지지플레이트(250)의 필터 하부 삽입홈(252)에 삽입되어 결합되며, 상부 테두리 프레임(272)은 지지핑(240) 내측면에 밀착되어 지지되는 여과필터(270)의 필터 본체(271)를 통과하면서 이물질(600)이 여과된 상태에서 분할판(230)과 분할판(230) 사이 유입공간(231)으로 유입된다.
이때 상기와 같이 여과필터(270)의 필터 본체(271) 상단부는 지지링(240)에 지지되고, 양측면과 하단부는 필터 측면 삽입홈(260)과 필터 하부 삽입홈(252)에 삽입되도록 결합됨으로써 강성이 유지되어 순환펌프의 폐온수 압력에 의해 필터 본체(271)가 휘어지거나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와 같이 유입공간(231)으로 유입된 폐온수는 순환펌프의 압력에 의해 필터기 본체(210) 상부에 구비된 필터기 본체 덮개(280)의 덮개 본체(281) 일측에 구비된 이송 가이드공(284)에 가이드되어 이송공(282)으로 이송되며, 상기 이송공(282) 상부에 구비된 하우징 뚜껑(300)의 이송관(320)을 통해 열교환기(500)로 이송된다.
이때 상기 원통형 필터기(200)의 유입공간(231)으로 유입된 폐온수는 지지플레이트(250)의 외측 테두리에서 회전축 결합봉(220)으로 갈수록 원호 형상으로 높아지는 경사면(251)을 따라 용이하게 필터기 본체 덮개(280)의 이송공(282)으로 이송된다.
상기와 같이 열교환기(500)로 이송된 폐온수는 열교환을 통해 공급수를 가열한 후 폐냉수 상태로 하우징 뚜껑(300)의 일측에 구비된 유입관(330)을 통해 필터기 본체 덮개(280)의 유입공(283)으로 유입되어 하우징(100)의 배출구(130) 내측에 위치된 원통형 필터기(200)의 분할판(230)과 분할판(230) 사이 유입공간(231)으로 유입된다.
그리고 상기와 같이 필터기 본체 덮개(280)의 유입공(283)으로 유입되는 폐냉수의 일부는 유입공(283) 하부에 구비된 유입 가이드공(285)에 가이드되어 필터기 본체(210)와 지지링(240) 사이로 유입되어 여과필터(270)의 필터 본체(271) 외면으로 유입된다.
상기와 같이 하우징(100)의 배출구(130) 내측 원통형 필터기(200)의 유입공간(231)과 필터기 본체(210)와 지지링(240) 사이로 여과필터(270)의 필터 본체(271) 외면으로 유입된 폐냉수는 지지플레이트(250)의 회전축 결합봉(220)에서 외측 테두리로 갈수록 낮아지는 원호 형상의 경사면(251)을 따라 용이하게 필터 본체(271)를 통과하여 배출구(130)로 배출된다.
이때 상기 원통형 필터기(200)의 유입공간(231)에서 하우징(100)의 배출구(130)로 배출되는 폐냉수에 의해 필터 본체(271)의 외면에 부착된 이물질(600)이 필터 본체(271)로부터 분리되어 함께 배출됨으로써 자동으로 필터 본체(271)가 청소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폐열회수장치용 자동필터장치는 열교환기(500)에 공급되는 폐온수의 이물질을 포집하고 동시에 열교환기(500)에서 열교환된 후 배출되는 폐냉수를 여과된 필터 본체(271)에 부착된 이물질과 함께 배출하여 자동으로 필터 본체(271)를 청소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와 같은 방법으로 폐열회수장치용 자동필터장치의 장시간 사용으로 하우징(100)의 유입구(120) 내측에 위치된 여과필터(270)의 필터 본체(271)를 청소할 경우에는 하우징(100)의 하부에 구비된 모터(400)를 작동하여 회전축(410)이 회전축 결합봉(220)에 결합된 원통형 필터기(200)의 지지플레이트(250)와 필터기 본체(210)을 일정한 각도로 회전시킨다.
상기와 같이 원통형 필터기(200)를 일정한 각도로 회전됨에 따라 사용되던 여과필터(270)는 하우징(100)의 유입구(120) 내측에서 배출구(130) 방향으로 이송되며, 유입구(120) 내측에는 사용되던 여괴필터(270)의 일측에 구비된 다른 여과필터(270)가 위치되어 다시 폐온수의 이물질을 여과하고, 배출구(130) 내측에 위치된 필터 본체(271) 외면에 부착된 이물질은 배출구(130)로 배출되며 청소된다.
이때 상기 모터(400)에는 타이머(도면에 미도시)를 설치하여 일정 시간이 경과되면 자동으로 원통형 필터기(200)가 회전되도록 실시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빈번한 역세를 위한 수동작업의 불편을 해소할 수 있으며 수도물의 낭비가 불필요하고, 매일 포집된 이물질의 직접적인 제거로 인한 불편을 해소할 수 있으며, 필터의 자동 청소로 필터링 기능을 지속적으로 유지할 수 있으며, 필터의 필터링 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그리고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통형 필터기(200)의 회전각도를 조절하여 하우징(100)의 유입구(120)와 배출구(130) 내측에 필터기 본체 덮개(280)의 이송공(282)과 유입공(283) 하부에 각각 하나의 유입공간(231)이 개방되거나,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필터기 본체 덮개(280)의 이송공(282)과 유입공(283) 하부에 각각 두 개의 유입공간(231)이 개방되도록 실시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로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우징(100)의 일측에 구비된 유입구(120)와 타측에 구비된 배출구(130)에 열교환기(500)가 연결된다.
그리고 목욕탕, 사우나 또는 공장에서 발생되는 고온의 폐수는 순환펌프(도면에 미도시)를 이용하여 일정한 압력으로 하우징 뚜껑(300)의 뚜껑 본체(310) 일측에 구비된 이송관(320)으로 유입되며, 뚜껑 본체(310) 하부에 구비된 원통형 필터기(200)의 필터기 본체 덮개(280)의 덮개 본체(281) 일측 이송공(282)과 이송 가이드공(284)을 통해 분할판(230) 사이 유입공간(231)으로 유입된다.
상기와 같이 유입공간(231)으로 유입되는 폐온수는 지지플레이트(250)의 상부면에 구비된 경사면(251)을 따라 여과필터(270)을 통과하여 하우징(100)의 유입구(120)로 이송된다.
이때 상기 폐온수에 포함된 이물질(600)은 여과필터(270)의 필터 본체(271) 내측에 여과되어 포집되고, 이물질(600)이 여과된 폐온수만이 하우징(100)의 유입구(120)로 이송된다.
그리고 상기와 같이 하우징(100)의 유입구(120)로 이송된 폐온수는 순환펌프의 압력에 의해 열교환기(500)로 이송되며. 열교환기(500)로 이송된 폐온수는 열교환을 통해 공급수를 가열한 후 폐냉수 상태로 하우징(100)의 배출구(130)로 유입된다.
이때 상기 원통형 필터기(200)는 일정 시간 사용으로 이송 가이드공(284) 하부에 위치되어 폐온수가 유입되는 여과필터(270)의 필터 본체(271) 내면에 이물질(600)이 일정량 포집되면 하우징(100) 하부에 구비된 모터(400)를 작동하여 원통형 필터기(200)를 하우징 본체(110) 내부에서 일정한 각도로 회전시켜 이물질 내측면에 포집된 필터 본체(271)를 하우징(100)의 배출구(130) 내측에 위치시킨다.
그리고 상기와 같은 상태에서 열교환기(500)의 열교환된 폐냉수가 배출구(130)로 유입되면 폐냉수는 배출구(130) 내측에 위치된 필터 본체(271)를 통과하여 유입공간(231)으로 유입되며, 지지플레이트(250)의 경사면(251)을 따라 상부로 이송되어 필터기 본체 덮개(280)의 덮개 본체(281) 일측에 구비된 유입 가이드공(285)에 가이드되어 유입공(283)을 통해 하우징 뚜껑(300)의 뚜껑 본체(310) 일측에 구비된 유입관(330)을 통해 하우징(100) 외부로 배출된다.
이때 상기 하우징(100)의 배출구(130)를 통해 원통형 필터기(200)의 유입공간(231)으로 유입되는 폐냉수에 의해 필터 본체(271)의 내면에 부착되어 포집된 이물질(600)이 필터 본체(271)로부터 분리되어 폐냉수와 함깨 배출됨으로써 자동으로 필터 본체(271)가 청소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폐열회수장치용 자동필터장치는 열교환기(500)에 공급되는 폐온수의 이물질을 포집하고 동시에 열교환기(500)에서 열교환 후 배출되는 폐냉수를 여과된 필터 본체(271)에 부착된 이물질과 함께 배출하여 자동으로 필터 본체(271)를 청소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은 필터기의 필터를 자동으로 청소하여 이물질이 여과된 폐온수를 공급함으로써 열교환기의 유지관리가 용이하며, 열교환기의 수명을 연장할 수 있으며, 이러한 본 발명의 폐열회수장치용 자동필터장치는 목욕탕, 호텔 기숙사, 체육시설과 상업시설, 식품 가공공장, 전자공장, 플라스틱 가공 공장, 제지 공장 등 산업시설에 적용할 수 있다.
100 : 하우징
110 : 하우징 본체 120 : 유입구
130 : 배출구
200 : 원통형 필터기
210 : 필터기 본체 220 : 회전출 결합봉
230 : 분할판 231 : 유입공간
240 : 지지링 250 : 지지플레이트
251 : 경사면 252 : 필터 하부 삽입홈
260 : 필터 측면 삽입홈 270 : 여과필터
271 : 필터 본체 272 : 상부 테두리 프레임
273 : 측면 테두리 프레임 274 : 하부 테두리 프레임
275 : 중간 프레임 280 : 필터기 본체 덮개
281 : 덮개 본체 282 : 이송공
283 : 유입공 284 : 이송 가이드공
285 : 유입 가이드공
300 : 하우징 뚜껑
310 : 뚜껑 본체 320 : 이송관
330 : 유입관
400 : 모터 410 : 회전축

Claims (5)

  1. 원통형상으로 상부가 개방되는 하우징 본체(110)가 구비되며, 상기 하우징 본체(110)의 하부 일측에 폐온수가 하우징 본체(110) 내부로 유입되도록 유입구(120)가 구비되며, 상기 유입구(120)와 대응되는 하우징 본체(110)의 하부 타측에 폐냉수가 배출되는 배출구(130)가 구비되는 하우징(100);
    상기 하우징 본체(110) 내부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어 유입구(120)를 통해 하우징 본체(110) 내부로 유입되는 폐온수의 이물질을 여과하여 열교환기(500)로 이송하고, 열교환기(500)에서 열교환된 폐냉수와 여과된 이물질을 배출구(130)로 배출하도록 구비되는 원통형 필터기(200);
    원판형상으로 상기 하우징(100)의 상부에 결합되는 뚜껑 본체(310)가 구비되며, 일측에 유입구(120)를 통해 하우징 본체(110) 내부로 유입되어 원통형 필터(200))를 통과하여 이물질이 여과된 폐온수가 열교환기(500)로 이송되도록 이송관(320)이 구비되며, 타측에는 열교환기(500)에서 열교환된 후 배출되는 폐냉수가 유입되도록 유입관(330)이 구비되는 하우징 뚜껑(300); 및
    상기 하우징 본체(110) 하부에 원통형 필터기(200)를 회전시키도록 구비되는 모터(4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열회수장치용 자동필터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원통형 필터기(200)는
    원통형으로 상부와 하부가 개방되며, 내부에 폐온수와 폐냉수가 유입되도록 구비되는 필터기 본체(210);
    상기 필터기 본체(210)의 내부 중앙에 상하로 연장되어 모터(400)의 회전축(410)이 삽입되어 결합되도록 구비되는 회전축 결합봉(220);
    상기 필터기 본체(210)의 방사상의 위치 내주면에 일측단이 결합되며, 타측단은 회전축 결합봉(220) 외주면에 결합되고, 필터기 본체(210)의 하부로 돌출되어 필터기 본체(210) 내부를 복수 개의 유입공간(231)으로 분할하는 복수 개의 분할판(230);
    상기 필터기 본체(210)의 내측에 필터기 본체(210)와 이격되도록 필터기 본체(210)의 직경보다 작은 직경으로 분할판(230) 상부에 구비되는 지지링(240);
    상기 필터기 본체(2100의 하부로 이격되어 복수 개의 분할판(230) 하부에 분할판(230)을 지지하며, 상부면은 회전축 결합봉(220)에서 외측 테두리로 갈수록 낮아지는 원호 형상의 경사면(251)을 이루며, 상기 지지링(240) 내경보다 작은 직경으로 상부에 필터 하부 삽입홈(252)이 구비되는 지지플레이트(250);
    상기 지지링(240)의 내측 분할판(230)의 양측면에 상하로 연장되도록 구비되는 필터 측면 삽입홈(260);
    상기 복수 개로 분할된 유입공간(231)의 내부에서 상단부는 지지링(240)의 내주면에 밀착되어 지지되고, 양측면은 상기 분할판(230)의 필터 측면 삽입홈(260)에 삽입되도록 결합되며, 하단부는 지지플레이트(250)의 필터 하부 삽입홈(252)에 삽입되도록 결합되어 하우징(100)의 유입구(120) 내측에서는 유입공간(231)으로 유입되는 폐온수의 이물질을 여과하고, 배출구(130)의 내측에서는 이물질을 배출하도록 구비되는 여과필터(270); 및
    원판형상으로 상기 필터기 본체(210)의 상부에 구비되는 필터기 본체 덮개(28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열회수장치용 자동필터장치.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여과 필터(270)는
    직육면체 형상으로 이물질을 여과하는 필터 본체(271);
    상기 필터 본체(271)의 상단부 테두리를 따라 테두리를 감싸 필터 본체(171)의 상부 테두리 강성이 유지되며, 외측면이 지지링(2400)의 내측면에 원호형상으로 밀착되어 지지되도록 구비되는 상부 테두리 프레임(272);
    상기 필터 본체(271)의 양측 테두리를 따라 테두리를 감싸 필터 본체(271)의 양측 테두리 강성이 유지되며, 분할판(230)의 필터 측면 삽입홈(260)에 삽입되도록 구비되는 측면 테두리 프레임(273);
    상기 필터 본체(271)의 하단부 테두리를 따라 테두리를 감싸 필터 본체(271)의 하부 테두리 강성이 유지되며, 지지플레이트(250)의 필터 하부 삽입홈(252)에 삽입되도록 구비되는 하부 테두리 프레임(274); 및
    상기 필터 본체(271)의 전면과 후면 상부 테두리 프레임(272)과 하부 테두리 프레임(274) 사이에 상하 일정한 간격으로 이격되어 양측단은 측면 테두리 프레임(273)에 연결되어 필터 본체(271)의 중간부분 강성을 유지하도록 구비되는 복수 개의 중간 프레임(275)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열회수장치용 자동필터장치.
  4.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필터기 본체 덮개(280)는
    원판 형상으로 필터기 본체(210)의 직경과 동일한 직경으로 하우징 뚜껑(300)의 뚜껑 본체(310) 하부에 결합되도록 구비되는 덮개 본체(281);
    하우징 뚜껑(300)의 이송관(320) 하부에 위치되도록 덮개 본체(281) 일측에 상하로 관통되어 분할판(230) 사이 유입공간(231)으로 유입된 폐온수가 이송관(320)으로 이송되도록 구비되는 이송공(282);
    하우징 뚜껑(300)의 유입관(300) 하부에 위치되도록 이송공(282)와 대응되는 위치 덮개 본체(281)의 타측에 상하로 관통되어 열교환기(500)에서 배출되는 폐냉수가 분할판(230) 사이 유입공간(231)으로 유입되도록 구비되는 유입공(283)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열회수장치용 자동필터장치.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필터기 본체 덮개(280)는
    덮개 본체(281)의 이송공(282)의 하부에는 부채꼴 형상으로 외측 테두리는 지지링(240) 내측에 위치되도록 구비되는 이송 가이드공(284);
    덮개 본체(281)의 유입공(283) 하부에는 부채꼴 형상으로 외측 테두리는 필터기 본체(210) 내측에 위치되도록 구비되는 유입 가이드공(285)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열회수장치용 자동필터장치.
KR1020220007459A 2022-01-18 2022-01-18 폐열회수장치용 자동필터장치 KR2023011151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07459A KR20230111513A (ko) 2022-01-18 2022-01-18 폐열회수장치용 자동필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07459A KR20230111513A (ko) 2022-01-18 2022-01-18 폐열회수장치용 자동필터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11513A true KR20230111513A (ko) 2023-07-25

Family

ID=874287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07459A KR20230111513A (ko) 2022-01-18 2022-01-18 폐열회수장치용 자동필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111513A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53146B1 (ko) 2014-02-27 2015-10-01 고려엠지주식회사 무동력 자동세척 필터링장치
KR102269969B1 (ko) 2020-12-10 2021-06-28 김후배 스팀을 이용한 필터세척 폐열회수 시스템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53146B1 (ko) 2014-02-27 2015-10-01 고려엠지주식회사 무동력 자동세척 필터링장치
KR102269969B1 (ko) 2020-12-10 2021-06-28 김후배 스팀을 이용한 필터세척 폐열회수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422738B2 (en) Filter apparatus with filter cleaning arrangement
EP2771292B1 (en) Water filter
US7537689B2 (en) Tertiary filter
KR100842098B1 (ko) 공기 정화용 에어 필터의 자동 세척장치
KR20230111513A (ko) 폐열회수장치용 자동필터장치
KR20060021848A (ko) 액체에서 입자를 연속 여과하는 방법 및 장치
KR100768080B1 (ko) 스크린 브러쉬를 구비한 필터 장치
EP3148326B1 (en) Filtering device for aquariums and the like
JP2001162114A (ja) 自動ストレーナ
CN213141679U (zh) 一种生活污水再利用装置
KR101672517B1 (ko) 폐수열원 히트펌프 열교환기의 오염물질제거를 위한 전처리장치
US4239626A (en) Filter for removing fines
KR102015536B1 (ko) 다중 에어필터 자동세척 장치
JPS6031769Y2 (ja) 自動逆洗式ストレ−ナ−
CN208493416U (zh) 一种能够自动清洗的过滤器
CN207671789U (zh) 一种养殖污水过滤装置
CN211677695U (zh) 一种酚醛树脂生产用冷凝回收装置
CN219964109U (zh) 一种蒸汽管道蒸汽回收过滤装置
RU200280U1 (ru) Фильтр для очистки воды от механических примесей
EP1055444A1 (en) Rotating drum filter
RU199036U1 (ru) Фильтр для очистки жидкостей от механических примесей последовательного действия
CN220328131U (zh) 一种手自一体滤芯结构
CN210656512U (zh) 一种超滤膜过滤组件
KR102642842B1 (ko) 옥습기용 정수장치
CN216824827U (zh) 一种防堵型立式再沸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