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11352A - 오버헤드 이동식 곤돌라장치 - Google Patents

오버헤드 이동식 곤돌라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11352A
KR20230111352A KR1020220007080A KR20220007080A KR20230111352A KR 20230111352 A KR20230111352 A KR 20230111352A KR 1020220007080 A KR1020220007080 A KR 1020220007080A KR 20220007080 A KR20220007080 A KR 20220007080A KR 20230111352 A KR20230111352 A KR 2023011135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st
cage
upper frame
support
mov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0708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599944B1 (ko
Inventor
홍근철
홍지환
Original Assignee
대한곤돌라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한곤돌라주식회사 filed Critical 대한곤돌라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2000708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99944B1/ko
Publication of KR2023011135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1135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9994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9994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9/00Kinds or types of lifts in, or associated with, buildings or other structures
    • B66B9/16Mobile or transportable lifts specially adapted to be shifted from one part of a building or other structure to another part or to another building or structure
    • B66B9/187Mobile or transportable lifts specially adapted to be shifted from one part of a building or other structure to another part or to another building or structure with a liftway specially adapted for temporary connection to a building or other structure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3/00Scaffolds essentially supported by building constructions, e.g. adjustable in height
    • E04G3/28Mobile scaffolds; Scaffolds with mobile platform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3/00Scaffolds essentially supported by building constructions, e.g. adjustable in height
    • E04G3/28Mobile scaffolds; Scaffolds with mobile platforms
    • E04G2003/286Mobile scaffolds; Scaffolds with mobile platforms mobile vertically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5/00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for scaffolds
    • E04G2005/008Hois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as part of a scaffold system

Abstract

본 발명은 건물의 옥상 등과 같은 설치장소의 바닥면 상에서 횡방향으로 이동할 때에 간단한 구조에 의해 다른 구조물에 의한 걸림이 없이 편리하게 이동 가능하도록 된 오버헤드 이동식 곤돌라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와이어로프(22)에 의해 승강되는 케이지(21)와, 상기 케이지(21)의 하중을 지탱함과 동시에 설치장소 상에서 이동 가능하도록 된 이동대차(30)를 포함한 이동식 곤돌라장치에 있어서; 상기 이동대차(30)는 설치장소의 바닥면으로부터 일정 높이에 위치된 상태로 수평 연장되어 상기 와이어로프(22)를 걸도록 된 어퍼프레임(31)과; 상기 어퍼프레임(31)의 일측을 지지하도록 수직 연장되는 전방포스트(32)와; 상기 전방포스트(32)에 대해 일정 간격을 두고 상기 어퍼프레임(31)의 타측을 지지하도록 수직 연장되는 후방포스트(33)와; 상기 후방포스트(33) 상에 설치되어 상기 케이지(21)의 하중을 지탱하도록 된 중량체의 카운터웨이트(36)와; 상기 전방포스트(32)의 하단에 설치되어 설치장소의 바닥면에 구름운동 가능하도록 된 전방휠(34)과; 상기 후방포스트(33)의 하단에 설치되어 설치장소의 바닥면에 구름운동 가능하도록 구비된 후방휠(35)을 포함하는 오버헤드 이동식 곤돌라장치가 제공된다.

Description

오버헤드 이동식 곤돌라장치{Overhead moving type gondola apparatus}
본 발명은 오버헤드 이동식 곤돌라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건물의 옥상 등과 같은 설치장소의 바닥면 상에서 횡방향으로 이동할 때에 간단한 구조에 의해 다른 구조물에 의한 걸림이 없이 편리하게 이동 가능하도록 된 오버헤드 이동식 곤돌라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곤돌라장치는 와이어로프에 의해 지지되는 케이지를 승강시키면서 케이지 상에 탑승한 작업자가 건물의 외벽이나 교량 등의 시공이나 유지보수 작업을 할 수 있도록 설치된 것으로, 대개 작업자가 탑승하여 건물의 외벽을 따라 승강되는 케이지를 와이어로프에 지지하도록 연결되는 지지프레임과 이 지지프레임을 건물 상에 포설된 레일을 이용하여 움직이거나 대차에 장착된 이동휠을 이용하여 움직일 수 있는 이동대차가 설치되는 것이다.
이러한 레일수단이나 이동대차에는 와이어로프를 풀거나 감도록 된 권취드럼과 이 권취드럼을 회전구동하는 모터 등으로 구성된 권취수단이 탑재되거나 케이지의 하중을 지탱하기 위한 카운터웨이트와 같은 중량체가 탑재되는데, 통상적으로 이동휠이 구비된 이동대차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케이지를 단순히 수직방향으로 승강시키면서 건물의 일부 벽면만을 작업하는 것이 아니라 건물의 외벽을 전체적으로 작업하기 위해 케이지를 횡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된 것이다.
그런데 통상적으로 이동휠은 차대의 전후에 좌우로 배치되는 전방휠과 후방휠로 구성되는데, 종래에는 이러한 전방휠과 후방휠을 상호 연결하는 차대의 구성이 옥상의 바닥면에 근접된 저상구조로 구비되는 것으로, 이러한 종래의 저상구조의 차대는 옥상에 공조설비나 태양광패널 또는 화단이나 환기구조물 등과 같은 다양한 형태의 구조물이 설치되어 있는데, 종래의 차대구조에 의해서는 곤도라를 횡방향으로 이동시킬 때에 전술된 바와 같은 구조물에 간섭됨으로 인해 이동이 불가능하거나 억지로 장치를 분해 또는 조립하여 이동시켜야 하는 작업상의 번거로움이 큰 것이다.
한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443626호(2009. 02. 24)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은 간단한 구조에 의해 건물의 옥상 등에 이미 설치된 다른 구조물에 걸림이 없이 횡방향으로 이동이 가능하도록 구비되고, 이에 의해 케이지의 위치를 용이하게 이동시켜 건물의 외벽을 작업하는 데에 편리함을 제공함과 동시에 장치 자체의 구조가 매우 컴팩트하여 제작이나 설치 등의 편리함을 제공할 수 있는 오버헤드 이동식 곤돌라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르면, 와이어로프(22)에 의해 승강되는 케이지(21)와, 상기 케이지(21)의 하중을 지탱함과 동시에 설치장소 상에서 이동 가능하도록 된 이동대차(30)를 포함한 이동식 곤돌라장치에 있어서;
상기 이동대차(30)는
설치장소의 바닥면으로부터 일정 높이에 위치된 상태로 수평 연장되어 상기 와이어로프(22)를 걸도록 된 어퍼프레임(31)과;
상기 어퍼프레임(31)의 일측을 지지하도록 수직 연장되는 전방포스트(32)와;
상기 전방포스트(32)에 대해 일정 간격을 두고 상기 어퍼프레임(31)의 타측을 지지하도록 수직 연장되는 후방포스트(33)와;
상기 후방포스트(33) 상에 설치되어 상기 케이지(21)의 하중을 지탱하도록 된 중량체의 카운터웨이트(36)와;
상기 전방포스트(32)의 하단에 설치되어 설치장소의 바닥면에 구름운동 가능하도록 된 전방휠(34)과;
상기 후방포스트(33)의 하단에 설치되어 설치장소의 바닥면에 구름운동 가능하도록 구비된 후방휠(35)을 포함하며;
상기 전방포스트(32)와 후방포스트(33)는 상기 어퍼프레임(31)에 의해서 결합되어 n자 형태로 된 통과공간(S)을 형성하게 되며, 이동대차(30)의 이동시에 상기 통과공간(S)에 의해 설치장소에 설치된 다른 구조물(11)에 간섭되지 않는 상태로 이동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버헤드 이동식 곤돌라장치가 제공된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어퍼프레임(31) 상에 일정 거리를 두고 전방포스트(32)와 후방포스트(33)가 위치되어 이동대차(30)의 이동시에 설치장소에 설치된 다른 구조물(11)에 간섭되지 않음에 따라, 이동대차(30)를 옥상 등에서 용이하게 이동시켜 건물의 외벽을 전체적으로 작업하는 데에 매우 편리할 뿐만 아니라 이동대차(30)의 이동을 위해 별도의 분리나 조립작업이 불필요하여 작업시간이나 작업의 난이도를 대폭적으로 줄일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어퍼프레임(31)과 전방포스트(32) 및 후방포스트(33)로 구성된 프레임구조에 의해 장치 자체의 구성이 매우 컴팩트할 뿐만 아니라 이로 인해 장치 자체의 제작이나 이를 조립하여 설치하는 작업 및 경량의 장치구조에 의한 장치의 이동을 편리하게 행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도시한 측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평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정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배면도
상술한 본 발명의 목적, 특징들 및 장점은 다음의 상세한 설명을 통하여 보다 분명해질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에 의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내지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건물의 옥상 등과 같은 설치장소 상에 일정 높이로 돌출되게 설치된 화단이나 실외기 또는 환기설비나 태양광설비와 같은 구조물(11)에 간섭되지 않은 상태로 용이하게 이동이 가능하도록 간격을 둔 포스트 상단에 어퍼프레임(31)을 결합한 오버헤드 이동방식으로 된 것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곤돌라장치(20)는 작업자가 탑승하여 작업을 행할 수 있도록 된 케이지(21)와 이 케이지(21)를 와이어로프(22)에 의해 매단 상태로 하중을 지탱함과 동시에 작업과정 중에 상기 케이지(21)를 건물의 외벽을 따라 좌우방향으로 이동시키거나 작업 전후나 유지보수를 위해 케이지(21)를 건물 내외로 이동시키기 위해 난간(10)의 전후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도록 된 이동대차(30)가 구비된 것이다.
여기에서, 상기 이동대차(30)는 난간(10)을 넘어 건물의 외벽측으로 수평 연장되는 어퍼프레임(31)이 구비되는데, 어퍼프레임(31)의 선단에는 와이어로프(22)를 걸어 작업자가 탑승 가능한 케이지(21)를 승강시킬 수 있도록 구비되고, 상기 케이지(21) 상에는 자체적으로 와이어로프(22)를 감거나 풀 수 있도록 된 와인더(23)가 탑재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 이동대차(30)는 어퍼프레임(31)의 양측을 각각 지지하도록 된 전방포스트(32)와 후방포스트(33)가 구비되는데, 상기 전방포스트(32)는 상기 케이지(21)가 위치되는 어퍼프레임(31)의 전방 일측을 지지하도록 설치장소의 바닥면으로부터 수직방향으로 상향 연장되고, 상기 후방포스트(33)는 어퍼프레임(31)의 후방 단부에 결합되도록 상기 전방포스트(32)에 대응되어 상향 연장되는데, 이 전방포스트(32)와 후방포스트(33)는 상기 어퍼프레임(31)의 하부에서는 직접적으로 상호 연결되는 것을 배제하여 상기 어퍼프레임(31)에 의해서만 결합상태를 유지하고, 상기 전방포스트(32)와 어퍼프레임(31) 및 후방포스트(33)는 대략 n자 형태의 프레임구조를 이루어 전술된 바와 같은 구조물(11)이 통과 가능한 통과공간(S)을 형성하게 된다.
여기에서, 상기 이동대차(30)는 하나의 케이지(21)의 양측을 각각 지탱하도록 2대를 나란하게 배치하여 안정적으로 지지하도록 구비되는데, 장치의 크기에 따라서는 하나의 이동대차(30)에 의해서 하나의 케이지(21)를 지탱하도록 구비될 수도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 전방포스트(32)와 후방포스트(33)의 하단에는 각각 전방휠(34)과 후방휠(35)이 장착되어 설치장소의 바닥면 상에서 구름운동 가능하게 되고, 상기 후방포스트(33) 측에는 일정 중량으로 된 중량체의 카운터웨이트(36)가 장착되어 케이지(21)의 하중을 지탱하게 되는데, 이러한 전방포스트(32)와 후방포스트(33)의 세부적인 구조를 도 4와 도 5에 의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전방포스트(32)는 난간(10)측에서 후방을 바라볼 때에 메인포스트(40)의 하단에 좌우로 연장되는 받침대(41)가 구비되고, 이 받침대(41)의 양측 하단에 전술된 바와 같은 전방휠(34)이 결합되며, 이 받침대(41) 상에는 양측으로부터 경사지게 상향 연장되어 상기 메인포스트(40)의 상단측에서 수렴하도록 된 보조프레임(42)이 더 구비되어 안정적인 지지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구비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후방포스트(33)는 하나의 메인포스트의 하단에 좌우로 수평 연장되는 받침대가 장착되고, 이 받침대의 양측 하단에 전술된 바와 같은 후방휠을 좌우로 구비되며, 상기 받침대 상에 메인포스트의 좌우 양측에 각각 중량체로 된 카운터웨이트가 탑재되는데, 이 카운터웨이트는 일정 무게로 된 복수개의 중량체를 가감하여 탑재하거나 복수개의 중량체를 안정적으로 거치할 수 있도록 된 거치대 등이 구비될 수 있는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함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백할 것이다.
10: 난간 11: 구조물
20: 곤돌라장치 21: 케이지
22: 와이어로프 30: 이동대차
31: 어퍼프레임 32: 전방포스트
33: 후방포스트 34: 전방휠
35: 후방휠 36: 카운터웨이트
40: 메인포스트 41: 받침대
42: 보조프레임 50: 메인포스트
51: 받침대

Claims (1)

  1. 와이어로프(22)에 의해 승강되는 케이지(21)와, 상기 케이지(21)의 하중을 지탱함과 동시에 설치장소 상에서 이동 가능하도록 된 이동대차(30)를 포함한 이동식 곤돌라장치에 있어서;
    상기 이동대차(30)는
    설치장소의 바닥면으로부터 일정 높이에 위치된 상태로 수평 연장되어 상기 와이어로프(22)를 걸도록 된 어퍼프레임(31)과;
    상기 어퍼프레임(31)의 일측을 지지하도록 수직 연장되는 전방포스트(32)와;
    상기 전방포스트(32)에 대해 일정 간격을 두고 상기 어퍼프레임(31)의 타측을 지지하도록 수직 연장되는 후방포스트(33)와;
    상기 후방포스트(33) 상에 설치되어 상기 케이지(21)의 하중을 지탱하도록 된 중량체의 카운터웨이트(36)와;
    상기 전방포스트(32)의 하단에 설치되어 설치장소의 바닥면에 구름운동 가능하도록 된 전방휠(34)과;
    상기 후방포스트(33)의 하단에 설치되어 설치장소의 바닥면에 구름운동 가능하도록 구비된 후방휠(35)을 포함하며;
    상기 전방포스트(32)와 후방포스트(33)는 상기 어퍼프레임(31)에 의해서 결합되어 n자 형태로 된 통과공간(S)을 형성하게 되며, 이동대차(30)의 이동시에 상기 통과공간(S)에 의해 설치장소에 설치된 다른 구조물(11)에 간섭되지 않는 상태로 이동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버헤드 이동식 곤돌라장치.
KR1020220007080A 2022-01-18 2022-01-18 오버헤드 이동식 곤돌라장치 KR10259994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07080A KR102599944B1 (ko) 2022-01-18 2022-01-18 오버헤드 이동식 곤돌라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07080A KR102599944B1 (ko) 2022-01-18 2022-01-18 오버헤드 이동식 곤돌라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11352A true KR20230111352A (ko) 2023-07-25
KR102599944B1 KR102599944B1 (ko) 2023-11-08

Family

ID=874286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07080A KR102599944B1 (ko) 2022-01-18 2022-01-18 오버헤드 이동식 곤돌라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99944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7758991A (zh) * 2024-02-22 2024-03-26 山西二建集团有限公司 单梁附着式吊篮吊设机构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43626Y1 (ko) 2008-09-23 2009-03-04 (주)한터사람들 착탈되는 자동와이어 드럼을 갖는 곤돌라 지지대
KR100909879B1 (ko) * 2008-12-11 2009-07-30 (주) 제일곤도라 높낮이 조절용 안전곤도라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43626Y1 (ko) 2008-09-23 2009-03-04 (주)한터사람들 착탈되는 자동와이어 드럼을 갖는 곤돌라 지지대
KR100909879B1 (ko) * 2008-12-11 2009-07-30 (주) 제일곤도라 높낮이 조절용 안전곤도라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7758991A (zh) * 2024-02-22 2024-03-26 山西二建集团有限公司 单梁附着式吊篮吊设机构
CN117758991B (zh) * 2024-02-22 2024-04-19 山西二建集团有限公司 单梁附着式吊篮吊设机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99944B1 (ko) 2023-11-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9826411B (zh) 一种建筑用爬架及其运行方法
CN113321121A (zh) 一种装配式建筑预制构件的吊装装置
JP2006233486A (ja) 横行式作業装置およびこれによる作業方法
KR20230111352A (ko) 오버헤드 이동식 곤돌라장치
JP4067096B2 (ja) 建屋外壁作業用の電動式バランスアーム装置
CN110388066B (zh) 一种单元式幕墙板块施工机械
CN210795435U (zh) 一种同步施工升降机
CN113200446B (zh) 一种方便对货物进行夹持的起重机
KR20040104223A (ko) 수직 이동식 작업대를 갖는 비계
CN210659199U (zh) 附着式可拆卸多功能高空作业平台
CN2637458Y (zh) 轻型货物起吊机
JP2008063873A (ja) 天井の搬送機構及び施工方法
KR102590849B1 (ko) 이중레일구조의 곤돌라장치
JPH0530758B2 (ko)
CN116545186B (zh) 一种用于发电机定子检修的环形滑轨轿厢作业车
CN210105265U (zh) 一种建筑用爬架
CN214406282U (zh) 一种空调器室外机安装支架
CN217478912U (zh) 组装式屋面采光顶玻璃单元板块吊运装置
CN217947456U (zh) 一种花架式电动葫芦门式起重机
CN211644267U (zh) 快装式乘客电梯
CN219261668U (zh) 一种建筑施工脚手架
CN216443533U (zh) 一种货车防雨布自动覆盖装置
CN217106077U (zh) 一种外墙作业装置
CN220014372U (zh) 一种建筑施工支架
JP4914030B2 (ja) 機械室レスエレベータ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