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11105A - 이미지와 키워드를 이용한 검색 시스템 및 그 동작방법 - Google Patents

이미지와 키워드를 이용한 검색 시스템 및 그 동작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11105A
KR20230111105A KR1020220006903A KR20220006903A KR20230111105A KR 20230111105 A KR20230111105 A KR 20230111105A KR 1020220006903 A KR1020220006903 A KR 1020220006903A KR 20220006903 A KR20220006903 A KR 20220006903A KR 20230111105 A KR20230111105 A KR 2023011110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arch
image
keyword
search result
smartpho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0690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강소영
Original Assignee
강소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강소영 filed Critical 강소영
Priority to KR102022000690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111105A/ko
Publication of KR2023011110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11105A/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5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of still image data
    • G06F16/53Querying
    • G06F16/532Query formulation, e.g. graphical query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4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of multimedia data, e.g. slideshows comprising image and additional audio data
    • G06F16/43Querying
    • G06F16/432Query formulation
    • G06F16/434Query formulation using image data, e.g. images, photos, pictures taken by a use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5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of still image data
    • G06F16/53Querying
    • G06F16/538Presentation of query resul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5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of still image data
    • G06F16/58Retrieval characterised by using metadata, e.g. metadata not derived from the content or metadata generated manually
    • G06F16/583Retrieval characterised by using metadata, e.g. metadata not derived from the content or metadata generated manually using metadata automatically derived from the content
    • G06F16/5846Retrieval characterised by using metadata, e.g. metadata not derived from the content or metadata generated manually using metadata automatically derived from the content using extracted tex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Library & Information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Information Retrieval, Db Structures And Fs Structures Therefo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미지에 포함된 객체의 설명을 의미하는 설명 키워드, 객체의 검색 목적을 의미하는 목적 키워드 및 이미지를 포함하는 입력정보를 생성하는 스마트폰 및 상기 입력정보에 대응하는 검색결과정보를 스마트폰에게 제공하는 검색서버를 포함하는 이미지와 키워드를 이용한 검색 시스템 및 그 동작방법을 개시한다.

Description

이미지와 키워드를 이용한 검색 시스템 및 그 동작방법{SEARCHING SYSTEM USING IMAGE AND KEYWORD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이미지에 포함된 객체의 설명을 의미하는 설명 키워드와 객체의 검색 목적을 의미하는 목적 키워드를 이용하여 검색을 제공하는 검색 시스템 및 그 동작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부 사용자는 영상 콘텐츠를 제공하는 애플리케이션을 통하여 영상을 재생할 수 있고, 영상에 출현하는 출현자의 의상 또는 액세서리에 관심을 가질 수 있다.
종래에는 선행기술로 기재된 특허문헌 1과 특허문헌 2와 같이 영상에서 프레임을 선택하고, 선택된 프레임에서 사용자가 원하는 객체를 추출하며, 추출된 객체 기반의 이미지를 검색하여 객체와 관련된 상품을 검색할 수 있다.
종래에는 객체에 대한 이미지 검색을 원하는 사용자가 상품을 구매하는 구매자, 상품을 판매하는 판매자, 상품을 제조하는 디자이너 및 상품을 홍보하는 마케터일 수 있고, 각각의 대상마다 검색하는 의도나 목적이 다를 수 있다.
그러나 종래에는 특허문헌들과 같이 이미지 검색 기반의 상품구매를 지원하는 검색 서비스의 목적으로만 이루어지는 문제점이 있고, 더욱 상세하게는 하나의 이미지 또는 조합된 이미지 기반의 검색으로만 이루어져 사용자별로 의도하는 검색목적을 달성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한국공개특허 제10-2020-0023094호 한국등록특허 제10-2078417호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검색서버가 이미지와 설명 키워드의 조합으로 검색하여 제1 검색결과를 생성하고, 제1 검색결과에 목적 키워드를 적용하여 제2 검색결과를 생성하며, 제2 검색결과를 포함하는 검색결과정보를 스마트폰에게 제공하는 이미지와 키워드를 이용한 검색 시스템 및 그 동작방법을 제공한다.
상기의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를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미지와 키워드를 이용한 검색 시스템은, 이미지에 포함된 객체의 설명을 의미하는 설명 키워드, 객체의 검색 목적을 의미하는 목적 키워드 및 이미지를 포함하는 입력정보를 생성하는 스마트폰(100) 및 상기 입력정보에 대응하는 검색결과정보를 스마트폰에게 제공하는 검색서버(200)를 포함하고, 상기 검색서버는, 이미지와 설명 키워드의 조합으로 검색하여 제1 검색결과를 생성하고, 제1 검색결과에 목적 키워드를 적용하여 제2 검색결과를 생성하는 검색처리부(220) 및 상기 제2 검색결과를 포함하는 검색결과정보를 스마트폰에게 전송하는 통신부(210)를 포함하여, 상기 객체의 검색 목적에 대응하는 검색결과정보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미지와 키워드에 대한 입력을 수신하여 입력정보를 생성하는 스마트폰 및 입력정보에 대응하는 검색결과정보를 스마트폰에게 제공하는 검색서버를 포함하는 이미지와 키워드를 이용한 검색 시스템의 동작방법은, 상기 스마트폰은 이미지에 포함된 객체의 설명을 의미하는 설명 키워드를 입력받고, 객체의 검색 목적을 의미하는 목적 키워드를 입력받는 단계 및 상기 이미지, 설명 키워드 및 목적 키워드를 포함하는 입력정보를 검색서버에게 전송하고, 검색서버로부터 검색결과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상기 객체의 검색 목적에 대응하는 검색결과정보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객체를 설명하는 설명 키워드와 이미지의 조합으로 검색하여 이미지에 포함된 객체를 정확하게 검색할 수 있고, 객체와 유사한 분야지만 관련성이 낮은 검색결과를 제거하여 제1 검색결과의 신뢰도를 향상시킬 수 있으며, 이미지 검색에 설명 키워드를 조합되어 검색 범위를 감소시켜 검색속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은 제1 검색결과에 목적 키워드를 적용하여 사용자의 의도나 목적에 대응하는 제2 검색결과를 제공함으로써, 검색 정확도를 더욱 향상시킬 수 있고, 사용자별 니즈를 만족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검색 시스템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2는 도 1의 스마트폰을 상세하게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3은 도 1의 검색서버를 상세하게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4는 이미지와 키워드 검색을 위한 스마트폰의 동작화면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5는 검색처리를 위한 검색서버의 동작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이하 첨부 도면들 및 첨부 도면들에 기재된 내용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지만, 본 발명이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검색 시스템을 도시한 블록도로서, 검색 시스템(10)은 스마트폰(100) 및 검색서버(200)를 포함한다. 본 발명은 스마트폰(100)이 아니라도 검색서버(200)와 통신이 가능한 단말기로 대체할 수 있다.
검색서버(200)는 복수의 스마트폰(100)과 통신이 가능하고, 스마트폰(100)에서 송신되는 입력정보로 검색하여 검색결과정보를 생성하고, 생성된 검색결과정보를 스마트폰(100)에게 제공한다.
도 2는 도 1의 스마트폰을 상세하게 도시한 블록도로서, 스마트폰(100)은 입출력부(110), 제어부(120) 및 송수신부(130)를 포함한다. 입출력부(110)는 터치패드일 수 있고, 음성이나 화면으로 입출력을 제공할 수 있다.
입출력부(110)는 이미지에 포함된 객체의 설명을 의미하는 설명 키워드를 입력받고, 객체의 검색 목적을 의미하는 목적 키워드를 입력받는다. 이미지는 사용자가 촬영한 촬영 이미지일 수 있고, 재생되는 영상에서 추출된 관심영역 이미지일 수 있다.
스마트폰(100)은 촬영 이미지를 생성하기 위한 촬영 기능 또는 관심영역 이미지를 추출하기 위한 추출 기능을 포함할 수 있다. 추출 기능은 영상의 특정 프레임을 캡쳐하고, 캡쳐된 이미지에서 관심영역만 리사이징하여 관심영역 이미지를 추출할 수 있다. 추출 기능은 영상의 재생을 일시정지하고, 일시정지된 프레임에서 관심영역의 이미지를 추출할 수 있다.
설명 키워드를 객체를 설명하는 키워드로서 객체의 명칭이나 형상에 관한 키워드일 수 있다. 목적 키워드를 객체를 검색하는 목적의 키워드로서 객체의 가격, 브랜드, 디자이너 또는 유사상품명에 관한 키워드일 수 있다. 설명 키워드 또는 목적 키워드는 영상에 출연하는 출연자 또는 상기 출연자의 또 다른 영상에 관한 정보일 수 있다.
송수신부(130)는 이미지, 설명 키워드 및 목적 키워드를 포함하는 입력정보를 검색서버(200)에게 전송하고, 검색서버(200)로부터 검색결과정보를 수신한다.
제어부(120)는 입출력부(110)의 입출력 인터페이스와 통신부(130)의 통신 인터페이스를 제어하며, 검색 서비스를 위한 애플리케이션의 동작을 제어한다. 송수신부(130)는 검색서버(200) 또는 앱스토어를 통하여 애플리케이션을 다운받을 수 있다. 스마트폰(100)은 애플리케이션을 저장하기 위한 저장부(1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3은 도 1의 검색서버를 상세하게 도시한 블록도로서, 검색서버(200)는 통신부(210) 및 검색처리부(220)를 포함한다. 검색처리부(220)는 이미지와 설명 키워드의 조합으로 검색하여 제1 검색결과를 생성하고, 제1 검색결과에 목적 키워드를 적용하여 제2 검색결과를 생성한다. 통신부(210)는 제2 검색결과를 포함하는 검색결과정보를 스마트폰(100)에게 전송한다.
본 발명은 객체를 설명하는 설명 키워드와 이미지의 조합으로 검색하여 이미지에 포함된 객체를 정확하게 검색할 수 있고, 객체와 유사한 분야지만 관련성이 낮은 검색결과를 제거하여 제1 검색결과의 신뢰도를 향상시킬 수 있으며, 이미지 검색에 설명 키워드를 조합되어 검색 범위를 감소시켜 검색속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은 제1 검색결과에 목적 키워드를 적용하여 사용자의 의도나 목적에 대응하는 제2 검색결과를 제공함으로써, 검색 정확도를 더욱 향상시킬 수 있고, 사용자별 니즈를 만족시킬 수 있다.
검색서버(200)는 데이터베이스(230)를 더 포함할 수 있고, 데이터베이스(230)는 사용자별 회원정보를 저장할 수 있고, 검색처리를 위한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도 4는 이미지와 키워드 검색을 위한 스마트폰의 동작화면을 도시한 흐름도로서, 스마트폰(100)은 영상을 재생하는 도중에 사용자의 입력에 대응하여 영상을 정지시키거나 영상의 특정 프레임을 캡쳐할 수 있다. 스마트폰(100)은 특정 프레임에서 관심영역만 리사이징하여 관심영역 이미지를 추출할 수 있다.
스마트폰(100)은 관심영역 이미지의 추출이 완료되면 객체의 설명 키워드와 목적 키워드의 입력을 제공하고, 키워드의 입력이 완료되면 입력정보를 검색서버(200)에게 제공하며, 검색서버(200)로부터 검색결과정보를 수신한다.
스마트폰(100)은 복수의 관심영역 이미지에 대안 입력을 제공할 수 있고, 이때 각각의 설명 키워드의 입력은 다를 수 있고, 각각의 목적 키워드의 입력은 공통일 수 있다.
스마트폰(100)은 제1 관심영역 이미지에 대한 제1 설명 키워드와 제2 관심영역 이미지에 대한 제2 설명 키워드를 입력받고, 제1 관심영역 이미지와 제2 관심영역 이미지의 공통에 대한 목적 키워드를 입력받을 수 있다.
스마트폰(100)은 키워드 입력시 영상화면에 팝업 형태로 입력화면을 노출시킬 수 있고, 별도의 입력화면의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도 5는 검색처리를 위한 검색서버의 동작방법을 도시한 흐름도로서, 검색서버(200)는 제1 관심영역 이미지와 제1 설명 키워드의 조합으로 검색하여 제1 전처리결과를 생성하고, 제2 관심영역 이미지와 제2 설명 키워드의 조합으로 검색하여 제2 전처리결과를 생성할 수 있다.
검색서버(200)는 제1 전처리결과와 제2 전처리결과의 조합으로 검색하여 제1 검색결과를 생성하고, 제1 검색결과에 공통의 목적 키워드를 적용하여 제2 검색결과를 생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복수의 이미지를 입력받을 때 더욱 검색처리를 세분화함으로써, 검색 신뢰도를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스마트폰(100)은 영상, 객체 및 검색 목적 순으로 카테고리를 계층화하여 저장부(140)에 저장할 수 있고, 검색결과정보를 카테고리에 업데이트할 수 있으며, 카테고리별 검색결과정보의 비교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사용자가 객체에 관한 상품을 구매하는 자뿐만 아니라 객체를 개발하고 홍보하는 자일 수 도 있으므로, 검색결과정보를 카테고리화하는 것이다.
일부 사용자는 검색결과정보를 보고 검색범위를 좀 더 확장시키기 위해 검색에 필요한 추가적인 이미지나 키워드가 발생할 수 있고, 스마트폰(100)은 이러한 사용자의 추가검색을 위하여 검색결과정보의 범위를 감소시키거나 확장시키는 입력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은 객체에 관한 상품을 개발하거나 연구하는 자일 수 있으므로, 검색결과정보에 국한하지 않고, 검색범위를 확장시켜 사용자의 니즈를 만족시킬 수 있다.
종래에는 검색결과 내 재검색을 제공하였지만, 본 발명은 검색결과보다 좀 더 확장시킬 수 있는 재검색을 제공할 수 있으므로, 본 발명은 종래에 제공하지 못한 검색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고, 사용자가 원하는 검색범위의 확장을 제공할 수 있다.
10: 검색 시스템 100: 스마트폰
110: 입출력부 120: 제어부
130: 송수신부 140: 저장부
200: 검색서버 210: 통신부
220: 검색처리부 230: 데이터베이스

Claims (2)

  1. 이미지에 포함된 객체의 설명을 의미하는 설명 키워드, 객체의 검색 목적을 의미하는 목적 키워드 및 이미지를 포함하는 입력정보를 생성하는 스마트폰(100) 및
    상기 입력정보에 대응하는 검색결과정보를 스마트폰에게 제공하는 검색서버(200)를 포함하는 이미지와 키워드를 이용한 검색 시스템(10)에 있어서,
    상기 검색서버는,
    이미지와 설명 키워드의 조합으로 검색하여 제1 검색결과를 생성하고, 제1 검색결과에 목적 키워드를 적용하여 제2 검색결과를 생성하는 검색처리부(220) 및
    상기 제2 검색결과를 포함하는 검색결과정보를 스마트폰에게 전송하는 통신부(210)를 포함하여,
    상기 객체의 검색 목적에 대응하는 검색결과정보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미지와 키워드를 이용한 검색 시스템.
  2. 이미지와 키워드에 대한 입력을 수신하여 입력정보를 생성하는 스마트폰 및 입력정보에 대응하는 검색결과정보를 스마트폰에게 제공하는 검색서버를 포함하는 이미지와 키워드를 이용한 검색 시스템의 동작방법에 있어서,
    상기 스마트폰은 이미지에 포함된 객체의 설명을 의미하는 설명 키워드를 입력받고, 객체의 검색 목적을 의미하는 목적 키워드를 입력받는 단계 및
    상기 이미지, 설명 키워드 및 목적 키워드를 포함하는 입력정보를 검색서버에게 전송하고, 검색서버로부터 검색결과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상기 객체의 검색 목적에 대응하는 검색결과정보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미지와 키워드를 이용한 검색 시스템의 동작방법.
KR1020220006903A 2022-01-17 2022-01-17 이미지와 키워드를 이용한 검색 시스템 및 그 동작방법 KR2023011110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06903A KR20230111105A (ko) 2022-01-17 2022-01-17 이미지와 키워드를 이용한 검색 시스템 및 그 동작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06903A KR20230111105A (ko) 2022-01-17 2022-01-17 이미지와 키워드를 이용한 검색 시스템 및 그 동작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11105A true KR20230111105A (ko) 2023-07-25

Family

ID=874288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06903A KR20230111105A (ko) 2022-01-17 2022-01-17 이미지와 키워드를 이용한 검색 시스템 및 그 동작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111105A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23094A (ko) 2018-08-24 2020-03-04 십일번가 주식회사 간편 이미지 검색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서비스 장치
KR102078417B1 (ko) 2019-07-04 2020-04-07 최상규 영상 기반 이미지 정보검색 및 구매지원 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23094A (ko) 2018-08-24 2020-03-04 십일번가 주식회사 간편 이미지 검색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서비스 장치
KR102078417B1 (ko) 2019-07-04 2020-04-07 최상규 영상 기반 이미지 정보검색 및 구매지원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947025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search capability and targeted advertising for audio, image, and video content over the internet
KR101343609B1 (ko) 증강 현실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는 어플리케이션 자동 추천 장치 및 방법
US9760778B1 (en) Object recognition and navigation from ongoing video
US20110019919A1 (en) Automatic modification of web pages
KR101123175B1 (ko) 레코멘데이션 정보 평가 장치 및 레코멘데이션 정보 평가 방법
EP1324223A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searching multimedia objects
JP2014241151A (ja) 画像から得られる情報のインターネットおよびその他の検索エンジンのための検索基準としての使用
WO2012105069A1 (ja) 情報提供装置
JP6674942B2 (ja) インタラクションを用いたメッセンジャー検索方法、ならびに、これを実現したサーバおよびアプリケーション
CN113806588B (zh) 搜索视频的方法和装置
JP6498750B2 (ja) 情報検索方法及び装置
JP3614756B2 (ja) 個人適応型情報案内方法およびシステム
CN104199876A (zh) 关联乐曲与图片的方法和装置
CN104462590A (zh) 信息搜索方法及装置
CN110309324B (zh) 一种搜索方法及相关装置
CN114372172A (zh) 生成视频封面图像的方法、装置、计算机设备及存储介质
KR101307325B1 (ko) 관심영역 설정을 이용한 이미지 이중 검색 시스템
JP5552987B2 (ja) 検索結果出力装置、検索結果出力方法及び検索結果出力プログラム
WO2015140922A1 (ja) 情報処理システム、情報処理方法、および情報処理プログラム
US20220292173A1 (en) Systems, Methods and Apparatuses For Integrating A Service Application Within An Existing Application
KR20230111105A (ko) 이미지와 키워드를 이용한 검색 시스템 및 그 동작방법
KR102142986B1 (ko) 학습에 기반한 검색결과 표시 방법 및 장치
KR20200089123A (ko) 장치 속성에 기반한 공유 데이터의 제공 방법 및 그 전자 장치
JP2022181319A (ja) 動画検索装置、動画検索システム及びプログラム
JP2018106524A (ja) 対話装置、対話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