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11039A - 배터리 모듈 및 그 배터리 모듈의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배터리 모듈 및 그 배터리 모듈의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11039A
KR20230111039A KR1020220006749A KR20220006749A KR20230111039A KR 20230111039 A KR20230111039 A KR 20230111039A KR 1020220006749 A KR1020220006749 A KR 1020220006749A KR 20220006749 A KR20220006749 A KR 20220006749A KR 20230111039 A KR20230111039 A KR 2023011103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ttery
electrode lead
bus bar
bending
vertical dire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0674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호진
Original Assignee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2000674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111039A/ko
Priority to US18/090,371 priority patent/US20230231279A1/en
Priority to DE102022134885.7A priority patent/DE102022134885A1/de
Publication of KR2023011103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1103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10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 H01M50/172Arrangements of electric connectors penetrating the casing
    • H01M50/174Arrangements of electric connectors penetrating the casing adapted for the shape of the cells
    • H01M50/178Arrangements of electric connectors penetrating the casing adapted for the shape of the cells for pouch or flexible bag cel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42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rvicing or maintenance of secondary cells or secondary half-cells
    • H01M10/48Accumulators combined with arrangements for measuring, testing or indicating the condition of cells, e.g. the level or density of the electrolyt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42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rvicing or maintenance of secondary cells or secondary half-cells
    • H01M10/48Accumulators combined with arrangements for measuring, testing or indicating the condition of cells, e.g. the level or density of the electrolyte
    • H01M10/482Accumulators combined with arrangements for measuring, testing or indicating the condition of cells, e.g. the level or density of the electrolyte for several batteries or cells simultaneously or sequentially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20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 H01M50/204Racks, modules or packs for multiple batteries or multiple cells
    • H01M50/207Racks, modules or packs for multiple batteries or multiple cell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 H01M50/209Racks, modules or packs for multiple batteries or multiple cell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adapted for prismatic or rectangular cel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20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 H01M50/204Racks, modules or packs for multiple batteries or multiple cells
    • H01M50/207Racks, modules or packs for multiple batteries or multiple cell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 H01M50/211Racks, modules or packs for multiple batteries or multiple cell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adapted for pouch cel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02Interconnectors for connecting terminals of adjacent batteries; Interconnectors for connecting cells outside a battery casing
    • H01M50/514Methods for interconnecting adjacent batteries or cel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02Interconnectors for connecting terminals of adjacent batteries; Interconnectors for connecting cells outside a battery casing
    • H01M50/514Methods for interconnecting adjacent batteries or cells
    • H01M50/516Methods for interconnecting adjacent batteries or cells by welding, soldering or braz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31Electrode connections inside a battery casing
    • H01M50/533Electrode connections inside a battery casing characterised by the shape of the leads or tab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31Electrode connections inside a battery casing
    • H01M50/54Connection of several leads or tabs of plate-like electrode stacks, e.g. electrode pole straps or bridg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43Termina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43Terminals
    • H01M50/547Terminals characterised by the disposition of the terminals on the cells
    • H01M50/55Terminals characterised by the disposition of the terminals on the cells on the same side of the cell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43Terminals
    • H01M50/552Terminal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 H01M50/553Terminals adapted for prismatic, pouch or rectangular cel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43Terminals
    • H01M50/552Terminal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 H01M50/553Terminals adapted for prismatic, pouch or rectangular cells
    • H01M50/557Plate-shaped termina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43Terminals
    • H01M50/564Terminals characterised by their manufacturing process
    • H01M50/566Terminals characterised by their manufacturing process by welding, soldering or braz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69Constructional details of 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detecting conditions inside cells or batteries, e.g. details of voltage sensing termina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2220/00Batteries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H01M2220/20Batteries in motive systems, e.g. vehicle, ship, plan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onnection Of Batteries Or Terminals (AREA)

Abstract

전극 조립체와 상기 전극 조립체를 수용하는 외장재와 일 측이 상기 전극 조립체에 연결되고 타 측이 상기 외장재의 외측으로 돌출되는 전극 리드를 포함하는 배터리가 적층된 구조를 갖는 배터리 적층체; 및 상기 배터리 적층체의 일 측에 구비되고 상기 전극 리드에 접합되는 버스바를 포함하는 센싱 어셈블리; 를 포함하고, 상기 전극 리드는, 제1 전극 리드; 및 상기 제1 전극 리드와 다른 극성을 갖는 제2 전극 리드; 를 포함하고, 상기 배터리는, 제1 배터리; 및 상기 제1 배터리로부터 상하 방향(H)으로 상방 이격되는 제2 배터리; 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배터리에 구비되는 상기 제1 전극 리드와 상기 제2 배터리에 구비되는 상기 제2 전극 리드가 서로 마주보는 영역은, 상기 제1 배터리에 구비되는 상기 제1 전극 리드와 상기 버스바가 서로 마주보는 영역은 상기 상하 방향(H)으로 서로 이격되는 배터리 모듈이 개시된다.

Description

배터리 모듈 및 그 배터리 모듈의 제조 방법{BATTERY MODUL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본 발명은 배터리 모듈 및 그 배터리 모듈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배터리 모듈에는 배터리 모듈에 구비되는 배터리의 전압을 측정하기 위해 전압 센싱 어셈블리가 구비되는 경우가 일반적이다. 보다 상세하게, 전압 센싱 어셈블리에는 버스바가 구비되고 버스바는 배터리 모듈에 탑재되는 배터리의 전극 리드와 용접에 의해 접합된다.
종래 기술에 따르면, 배터리에 구비되는 양극 리드와 음극리드, 그리고 버스바를 3층 구조로 적층한 후 용접하는 3중 용접 방식으로 버스바와 전극 리드를 접합하였다.
그러나, 종래 기술에 따르면, 전술한 3중 용접 방식의 경우 3개의 모재가 용접되는 것이므로 용접의 난이도가 높아 용접의 불량이 발생할 가능성이 높다는 문제가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배터리 모듈의 전극 리드와 버스바 간의 용접 품질을 향상시킴으로써 배터리 모듈에 형성되는 용접 영역의 품질을 향상시키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전극 조립체와 상기 전극 조립체를 수용하는 외장재와 일 측이 상기 전극 조립체에 연결되고 타 측이 상기 외장재의 외측으로 돌출되는 전극 리드를 포함하는 배터리가 적층된 구조를 갖는 배터리 적층체; 및 상기 배터리 적층체의 일 측에 구비되고 상기 전극 리드에 접합되는 버스바를 포함하는 센싱 어셈블리; 를 포함하고, 상기 전극 리드는, 제1 전극 리드; 및 상기 제1 전극 리드와 다른 극성을 갖는 제2 전극 리드; 를 포함하고, 상기 배터리는, 제1 배터리; 및 상기 제1 배터리로부터 상하 방향(H)으로 상방 이격되는 제2 배터리; 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배터리에 구비되는 상기 제1 전극 리드와 상기 제2 배터리에 구비되는 상기 제2 전극 리드가 서로 마주보는 영역은, 상기 제1 배터리에 구비되는 상기 제1 전극 리드와 상기 버스바가 서로 마주보는 영역은 상기 상하 방향(H)으로 서로 이격되는 배터리 모듈이 제공된다.
상기 제1 배터리에 구비되는 상기 제1 전극 리드와 상기 제2 배터리에 구비되는 상기 제2 전극 리드가 접합되어 제1 접합부가 형성되고, 상기 제1 배터리에 구비되는 상기 제1 전극 리드와 상기 버스바가 접합되어 제2 접합부가 형성되고, 상기 제1 접합부와 상기 제2 접합부는 상기 상하 방향(H)으로 서로 이격될 수 있다.
상기 제1 배터리에 구비되는 상기 제1 전극 리드는, 상기 제1 배터리에 구비되는 상기 외장재로부터 수평 방향(W)으로 돌출되는 제1 돌출 영역; 및 상기 제1 돌출 영역으로부터 상기 제2 배터리에 구비되는 상기 제2 전극 리드를 향해 절곡되는 제1 절곡 영역; 을 포함하고, 상기 제2 배터리에 구비되는 상기 제2 전극 리드는, 상기 제2 배터리에 구비되는 상기 외장재로부터 상기 수평 방향(W)으로 돌출되는 제2 돌출 영역; 및 상기 제2 돌출 영역으로부터 상기 제1 배터리에 구비되는 상기 제1 전극 리드를 향해 절곡되는 제2 절곡 영역; 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절곡 영역의 상기 상하 방향(H) 길이는 상기 제2 절곡 영역의 상기 상하 방향(H) 길이보다 길 수 있다.
상기 제2 절곡 영역의 상기 상하 방향(H) 길이는 상기 제1 절곡 영역의 상기 상하 방향(H) 길이의 절반에 대응될 수 있다.
상기 제1 접합부는 상기 제2 접합부로부터 상방으로 이격될 수 있다.
상기 제2 절곡 영역은 상기 버스바로부터 상방으로 이격될 수 있다.
상기 제1 절곡 영역은 상기 제2 절곡 영역보다 상기 수평 방향(W)으로 내측에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1 절곡 영역은 상기 버스바보다 상기 수평 방향(W)으로 내측에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1 배터리에 구비되는 상기 제1 전극 리드와 상기 버스바는 서로 동일한 재질일 수 있다.
상기 제1 배터리에 구비되는 상기 제1 전극 리드와 상기 제2 배터리에 구비되는 상기 제2 전극 리드는 서로 다른 재질일 수 있다.
상기 제1 배터리에 구비되는 상기 제1 전극 리드는 음극 리드이고, 상기 제2 배터리에 구비되는 상기 제2 전극 리드는 양극 리드일 수 있다.
상기 제1 절곡 영역은 상기 제1 돌출 영역으로부터 수직으로 절곡되고, 상기 제2 절곡 영역은 상기 제2 돌출 영역으로부터 수직으로 절곡될 수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제1 전극 리드를 포함하는 제1 배터리, 상기 제1 전극 리드와 다른 극성을 갖는 제2 전극 리드를 포함하는 제2 배터리 및 버스바를 포함하는 센싱 어셈블리를 준비하는 준비 단계; 상기 제1 배터리에 구비되는 상기 제1 전극 리드와 상기 제2 배터리에 구비되는 상기 제2 전극 리드가 상하 방향(H)으로 서로 마주보도록 상기 제1 배터리와 상기 제2 배터리를 적층하는 적층 단계; 수평 방향(W)으로 상기 제1 배터리에 구비되는 상기 제1 전극 리드의 외측 영역을 상기 제2 전극 리드를 향해 절곡하고, 상기 수평 방향(W)으로 상기 제2 배터리에 구비되는 상기 제2 전극 리드의 외측 영역을 상기 제1 전극 리드를 향해 절곡하는 절곡 단계; 상기 제1 전극 리드와 상기 제2 전극 리드의 일 측에 상기 버스바를 배치하는 버스바 배치 단계; 및 상기 제1 전극 리드, 상기 제2 전극 리드 및 상기 버스바를 용접하여 접합부를 형성하는 용접 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용접 단계에서, 상기 제1 배터리에 구비되는 상기 제1 전극 리드와 상기 제2 배터리에 구비되는 상기 제2 전극 리드가 접합되어 제1 접합부가 형성되고, 상기 제1 배터리에 구비되는 상기 제1 전극 리드와 상기 버스바가 접합되어 제2 접합부가 형성되고, 상기 제1 접합부와 상기 제2 접합부는 상기 상하 방향(H)으로 서로 이격되는 배터리 모듈의 제조 방법이 제공된다.
상기 절곡 단계에서, 상기 제1 전극 리드 중 상기 제2 전극 리드를 향해 절곡되는 제1 절곡 영역은 상기 제2 전극 리드 중 상기 제1 전극 리드를 향해 절곡되는 제2 절곡 영역보다 상하 방향(H)으로 길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용접 단계에서, 상기 제1 접합부는 상기 제2 접합부로부터 상방으로 이격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버스바 배치 단계에서, 상기 버스바는 상기 제2 절곡 영역으로부터 하방으로 이격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절곡 단계에서, 상기 제1 절곡 영역이 상기 제2 절곡 영역보다 상기 수평 방향(W)으로 내측에 구비되도록 상기 제1 전극 리드 및 상기 제2 전극 리드가 절곡될 수 있다.
상기 버스바 배치 단계에서, 상기 제1 절곡 영역이 상기 버스바보다 상기 수평 방향(W)으로 내측에 구비되도록 상기 버스바가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배터리 모듈의 전극 리드와 버스바 간의 용접 품질을 향상시킴으로써 배터리 모듈에 형성되는 용접 영역의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배터리 모듈에 구비되는 배터리 적층체의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배터리 모듈에 구비되는 배터리 적층체의 구조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배터리 모듈의 구조를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배터리 모듈에서 전극 리드와 버스바를 접합 구조를 확대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배터리 모듈 및 배터리 모듈의 제조 방법을 설명한다.
배터리 모듈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배터리 모듈에 구비되는 배터리 적층체의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배터리 모듈에 구비되는 배터리 적층체의 구조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배터리 모듈의 구조를 도시한 정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배터리 모듈에서 전극 리드와 버스바를 접합 구조를 확대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에 따른 배터리 모듈(10)은 배터리 적층체를 포함할 수 있다. 배터리 적층체는 전극과 분리막이 교대로 적층된 구조를 갖는 전극 조립체와 전극 조립체를 수용하는 외장재(120)와 일 측이 전극 조립체에 연결되고 타 측이 외장재(120)의 외측으로 돌출되는 전극 리드(130)를 포함하는 배터리(100)가 복수로 적층된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일 예로, 외장재(120)는 파우치형 외장재일 수 있다. 그러나, 외장재(120)의 종류는 전술한 내용에 의해 제한되지 않는다.
전극 리드(130)는 제1 전극 리드(131) 및 제1 전극 리드(131)와 다른 극성을 갖는 제2 전극 리드(132)를 포함할 수 있다. 전술한 제1 전극 리드(131) 및 제2 전극 리드(132)는 배터리 적층체에 구비되는 배터리(100)에 각각 구비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4에는 배터리 적층체에 배터리(100)가 상하 방향(H)으로 적층되고 전극 리드(130)가 배터리(100)의 외장재(120)로부터 수평 방향(W)의 일 측으로 돌출된 모습이 도시되어 있다. 일 예로, 제1 전극 리드(131) 및 제2 전극 리드(132)는 외장재(120)의 일 측으로부터 동일한 방향으로 돌출될 수 있다.
배터리 모듈(10)은 전술한 배터리 적층체의 일 측에 구비되고 전극 리드(130)에 접합되는 버스바(210)를 포함하는 센싱 어셈블리(200)를 포함할 수 있다. 센싱 어셈블리(200)는 배터리 모듈(10)에 구비되는 배터리(100)의 전압을 측정하기 위한 구성일 수 있다. 이를 위해, 센싱 어셈블리(200)에 구비되는 버스바(210)는 배터리(100)의 전극 리드(130)에 접합될 필요가 있다.
일 예로, 배터리 적층체에 구비되는 배터리(100)는 제1 배터리(100a) 및 제1 배터리(100)로부터 상하 방향(H)으로 상방으로 이격되는 제2 배터리(100b)를 포함할 수 있다. 배터리 적층체는 제1 배터리(100a) 및 제2 배터리(100b) 뿐만 아니라 더 많은 수의 배터리를 더 포함할 수 있으나, 설명의 편의상 하기에서는 제1 배터리(100a)와 제2 배터리(100b)를 위주로 배터리 적층체에 대해 설명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각각의 배터리(100)에는 제1 전극 리드(131) 및 제2 전극 리드(132)를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제1 배터리(100a)에는 제1 전극 리드(131)가 구비될 수 있고, 제2 배터리(100b)에는 제2 전극 리드(132)가 구비될 수 있다.
이때, 본 발명에 따르면 제1 배터리(100a)에 구비되는 제1 전극 리드(131)와 제2 배터리(100b)에 구비되는 제2 전극 리드(132)가 접합되어 제1 접합부(B1)가 형성될 수 있고, 제1 배터리(100a)에 구비되는 제1 전극 리드(131)와 센싱 어셈블리(200)의 버스바(210)가 접합되어 제2 접합부(B2)가 형성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 도 1을 참고하면, 제1 배터리(100a)에 구비되는 제1 전극 리드(131)와 제2 배터리(100b)에 구비되는 제2 전극 리드(132)가 서로 마주보는 영역은, 제1 배터리(100a)에 구비되는 제1 전극 리드(131)와 버스바(210)가 서로 마주보는 영역은 상하 방향(H)으로 서로 이격될 수 있다. 이때, 제1 접합부(B1)는 제1 배터리(100a)에 구비되는 제1 전극 리드(131)와 제2 배터리(100b)에 구비되는 제2 전극 리드(132)가 서로 마주보는 영역에 형성될 수 있고, 제2 접합부(B2)는 제1 배터리(100a)에 구비되는 제1 전극 리드(131)와 버스바(210)가 서로 마주보는 영역에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르면, 제1 접합부(B1)와 제2 접합부(B2)는 상하 방향(H)으로 서로 이격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제1 배터리(100a)에 구비되는 제1 전극 리드(131)와 제2 배터리(100b)에 구비되는 제2 전극 리드(132)가 서로 마주보는 영역은, 제1 배터리(100a)에 구비되는 제1 전극 리드(131)와 버스바(210)가 서로 마주보는 영역은 상하 방향(H)으로 서로 이격되므로 전극 리드(130)와 버스바(210)가 3층 구조가 아닌 2층 구조로 적층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르면, 종래 기술과 달리 전극 리드(130)와 버스바(210)를 용접에 의해 접합하는 난이도가 낮아질 수 있으므로, 접합부(B1, B2)에서 용접의 품질이 현저하게 향상될 수 있다.
한편, 도면을 참고하면, 본 발명에 따른 제1 전극 리드(131) 및 제2 전극 리드(132)는 절곡된 구조를 가질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 제1 배터리(100a)에 구비되는 제1 전극 리드(131)는 제1 배터리(100a)에 구비되는 외장재(120)로부터 수평 방향(W)으로 돌출되는 제1 돌출 영역(131a) 및 제1 돌출 영역(131a)으로부터 제2 배터리(100b)에 구비되는 제2 전극 리드(132)를 향해 절곡되는 제1 절곡 영역(131b)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예로, 제1 전극 리드(131)는 대략 제2 배터리(100b)를 향해 절곡되는 L자 형상을 갖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또한, 제2 배터리(100b)에 구비되는 제2 전극 리드(132)는 제2 배터리(100b)에 구비되는 외장재(120)로부터 수평 방향(W)으로 돌출되는 제2 돌출 영역(132a) 및 제2 돌출 영역(132a)으로부터 제1 배터리(100a)에 구비되는 제1 전극 리드(131)를 향해 절곡되는 제2 절곡 영역(132b)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예로, 제2 전극 리드(132)는 대략 제1 배터리(100a)를 향해 절곡되는 L자 형상을 갖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이 제1 접합부(B1)와 제2 접합부(B2)가 상하 방향(H)으로 서로 이격될 수 있도록 제1 절곡 영역(131b)의 상하 방향(H) 길이는 제2 절곡 영역(132b)의 상하 방향(H) 길이보다 길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르면, 제1 절곡 영역(131b) 중 일부는 제2 절곡 영역(132b)과 마주봄으로써 제1 접합부(B1)가 형성될 수 있고, 제2 절곡 영역(132b) 중 다른 일부는 버스바(210)와 마주봄으로써 제2 접합부(B2)가 형성될 수 있다. 일 예로, 제2 절곡 영역(132b)의 상하 방향(H) 길이는 제1 절곡 영역(131b)의 상하 방향(H) 길이의 절반에 대응될 수 있다.
한편,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배터리(100a)에 구비되는 제1 전극 리드(131)와 제2 배터리(100b)에 구비되는 제2 전극 리드(132)가 서로 마주보는 영역은, 제1 배터리(100a)에 구비되는 제1 전극 리드(131)와 버스바(210)가 서로 마주보는 영역은 상하 방향(H)으로부터 상방으로 이격될 수 있다. 따라서, 제1 접합부(B1)는 제2 접합부(B2)로부터 상방으로 이격될 수 있다. 또한, 제2 절곡 영역(132b)은 버스바(210)로부터 상방으로 이격될 수 있다.
계속해서 도 4를 참고하면, 제1 절곡 영역(131b)은 제2 절곡 영역(132b)보다 수평 방향(W)으로 내측에 구비될 수 있다.
일 예로, 제1 전극 리드(131)의 녹는점은 제2 전극 리드(132)의 녹는점보다 낮을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용접 과정에서 용접 장치(미도시)는 두 전극 리드 중 수평 방향(W)으로 외측에 구비된 전극 리드의 수평 방향(W)의 외측면과 마주보는 상태로 구비될 수 있다.
이때, 상대적으로 녹는점이 낮은 전극 리드, 즉, 제1 전극 리드(131)의 외측면이 용접 장치와 직접 마주보는 경우에는, 용접 과정에서 녹는점이 낮은 제1 전극 리드(131)가 손상되어 용접 불량이 발생할 가능성이 현저하게 높아질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르면, 상대적으로 낮은 녹는점을 가진 제1 전극 리드(131)가 제2 전극 리드(132)보다 수평 방향(W)으로 내측에 구비되도록 함으로써 제1 전극 리드(131)가 용접 장치와 직접적으로 마주보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그에 따라, 제1 전극 리드(131)가 용접 과정에서 손상되어 용접의 품질이 저하되는 문제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절곡 영역(131b)은 버스바(210)보다 수평 방향(W)으로 내측에 구비될 수 있다.
일 예로, 제1 전극 리드(131)의 녹는점은 버스바(210)의 녹는점보다 낮을 수 있다. 한편, 용접 과정에서 용접 장치(미도시)는 전극 리드(130)와 버스바(210) 중 수평 방향(W)으로 외측에 구비된 구성의 수평 방향(W) 외측면과 마주보는 상태로 구비된다.
이때, 상대적으로 녹는점이 낮은 제1 전극 리드(131)의 외측면이 용접 장치와 직접 마주보는 경우에는, 용접 과정에서 녹는점이 낮은 제1 전극 리드(131)가 손상되어 용접 불량이 발생할 가능성이 현저하게 높아질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르면, 상대적으로 낮은 녹는점을 가진 제1 전극 리드(131)가 버스바(210)보다 수평 방향(W)으로 내측에 구비되도록 함으로써 제1 전극 리드(131)가 용접 장치와 직접적으로 마주보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그에 따라, 제1 전극 리드(131)가 용접 과정에서 손상되어 용접의 품질이 저하되는 문제를 방지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르면, 제1 배터리(100a)을 포함하여 배터리(100)에 구비되는 제1 전극 리드(131)와 버스바(210)는 서로 동일한 재질일 수 있다. 반면, 제1 배터리(100a)를 포함하여 배터리(100)에 각각 구비되는 제1 전극 리드(131)와 제2 배터리(100b)를 포함하여 배터리(100)에 각각 구비되는 제2 전극 리드(132)는 서로 다른 재질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전극 리드(131)와 버스바(210)는 구리 재질일 수 있고, 제2 전극 리드(132)는 알루미늄 재질일 수 있다. 또한, 제1 배터리(100a)를 포함하여 배터리(100)에 각각 구비되는 제1 전극 리드(131)는 음극 리드일 수 있고, 제2 배터리(100b)를 포함하여 배터리(100)에 각각 구비되는 제2 전극 리드(132)는 양극 리드일 수 있다.
한편,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절곡 영역(131b)은 제1 돌출 영역(131a)으로부터 수직으로 절곡될 수 있고, 제2 절곡 영역(132b)은 제2 돌출 영역(132a)으로부터 수직으로 절곡될 수 있다. 그러나, 전술한 바와 달리 제1 절곡 영역(131b)은 제1 돌출 영역(131a)으로부터 예각으로 절곡될 수도 있고, 제2 절곡 영역(132b)은 제2 돌출 영역(132a)으로부터 예각으로 절곡될 수도 있다.
배터리 모듈의 제조 방법
도면을 참고하면, 본 발명에 따른 배터리 모듈의 제조 방법은 제1 전극 리드(131)를 포함하는 제1 배터리(100a), 제1 전극 리드(131)와 다른 극성을 갖는 제2 전극 리드(132)를 포함하는 제2 배터리(100b) 및 버스바(210)를 포함하는 센싱 어셈블리(200)를 준비하는 준비 단계, 제1 배터리(100a)에 구비되는 제1 전극 리드(131)와 제2 배터리(100b)에 구비되는 제2 전극 리드(132)가 상하 방향(H)으로 서로 마주보도록 제1 배터리(100a)와 제2 배터리(100b)를 적층하는 적층 단계, 수평 방향(W)으로 제1 배터리(100a)에 구비되는 제1 전극 리드(131)의 외측 영역을 제2 전극 리드(132)를 향해 절곡하고 수평 방향(W)으로 제2 배터리(100b)에 구비되는 제2 전극 리드(132)의 외측 영역을 제1 전극 리드(131)를 향해 절곡하는 절곡 단계 및 제1 전극 리드(131)와 제2 전극 리드(132) 및 버스바(210)를 용접하여 접합부(B1, B2)를 형성하는 용접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용접 단계에서, 제1 배터리(100a)에 구비되는 제1 전극 리드(131)와 제2 배터리(100b)에 구비되는 제2 전극 리드(132)가 접합되어 제1 접합부(B1)가 형성될 수 있고, 제1 배터리(100a)에 구비되는 제1 전극 리드(131)와 버스바(210)가 접합되어 제2 접합부(B2)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1 접합부(B1)와 제2 접합부(B2)는 상하 방향(H)으로 서로 이격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절곡 단계에서, 제1 전극 리드(131) 중 제2 전극 리드(132)를 향해 절곡되는 제1 절곡 영역(131b)은 제2 전극 리드(132) 중 제1 전극 리드(131)를 향해 절곡되는 제2 절곡 영역(132b)보다 상하 방향(H)으로 길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용접 단계에서, 제1 접합부(B1)는 제2 접합부(B2)로부터 상방으로 이격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버스바 배치 단계에서, 버스바(210)는 제2 절곡 영역(132b)으로부터 하방으로 이격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절곡 단계에서, 제1 절곡 영역(131b)이 제2 절곡 영역(132b)보다 수평 방향(W)으로 내측에 구비되도록 제1 전극 리드(131) 및 제2 전극 리드(132)가 절곡될 수 있다. 이는, 전술한 바와 같이 용접 과정에서 상대적으로 녹는점이 낮은 제1 절곡 영역(131b)이 용접 과정에서 손상되는 것을 최소화하기 위한 것일 수 있다.
또한, 상기 버스바 배치 단계에서, 제1 절곡 영역(131b)이 버스바(210)보다 수평 방향(W)으로 내측에 구비되도록 버스바가 배치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배터리 모듈의 구조와 관련하여 전술한 내용은 본 발명에 따른 배터리 모듈의 제조 방법에 대해서도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고, 그 반대의 경우에도 마찬가지이다.
이상에서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이것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특허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한 실시가 가능함은 물론이다.
10 : 배터리 모듈
100 : 배터리
100a : 제1 배터리
100b : 제2 배터리
120 : 외장재
130 : 전극 리드
131 : 제1 전극 리드
131a : 제1 돌출 영역
131b : 제1 절곡 영역
132 : 제2 전극 리드
132a : 제2 돌출 영역
132b : 제2 절곡 영역
200 : 센싱 어셈블리
210 : 버스바
B1 : 제1 접합부
B2 : 제2 접합부
H : 상하 방향
W : 수평 방향

Claims (19)

  1. 전극 조립체와 상기 전극 조립체를 수용하는 외장재와 일 측이 상기 전극 조립체에 연결되고 타 측이 상기 외장재의 외측으로 돌출되는 전극 리드를 포함하는 배터리가 적층된 구조를 갖는 배터리 적층체; 및
    상기 배터리 적층체의 일 측에 구비되고 상기 전극 리드에 접합되는 버스바를 포함하는 센싱 어셈블리; 를 포함하고,
    상기 전극 리드는,
    제1 전극 리드; 및
    상기 제1 전극 리드와 다른 극성을 갖는 제2 전극 리드; 를 포함하고,
    상기 배터리는,
    제1 배터리; 및
    상기 제1 배터리로부터 상하 방향(H)으로 상방 이격되는 제2 배터리; 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배터리에 구비되는 상기 제1 전극 리드와 상기 제2 배터리에 구비되는 상기 제2 전극 리드가 서로 마주보는 영역은, 상기 제1 배터리에 구비되는 상기 제1 전극 리드와 상기 버스바가 서로 마주보는 영역은 상기 상하 방향(H)으로 서로 이격되는 배터리 모듈.
  2. 청구항 1에서,
    상기 제1 배터리에 구비되는 상기 제1 전극 리드와 상기 제2 배터리에 구비되는 상기 제2 전극 리드가 접합되어 제1 접합부가 형성되고,
    상기 제1 배터리에 구비되는 상기 제1 전극 리드와 상기 버스바가 접합되어 제2 접합부가 형성되고,
    상기 제1 접합부와 상기 제2 접합부는 상기 상하 방향(H)으로 서로 이격되어 있는 배터리 모듈.
  3. 청구항 2에서,
    상기 제1 배터리에 구비되는 상기 제1 전극 리드는,
    상기 제1 배터리에 구비되는 상기 외장재로부터 수평 방향(W)으로 돌출되는 제1 돌출 영역; 및
    상기 제1 돌출 영역으로부터 상기 제2 배터리에 구비되는 상기 제2 전극 리드를 향해 절곡되는 제1 절곡 영역; 을 포함하고,
    상기 제2 배터리에 구비되는 상기 제2 전극 리드는,
    상기 제2 배터리에 구비되는 상기 외장재로부터 상기 수평 방향(W)으로 돌출되는 제2 돌출 영역; 및
    상기 제2 돌출 영역으로부터 상기 제1 배터리에 구비되는 상기 제1 전극 리드를 향해 절곡되는 제2 절곡 영역; 을 포함하는 배터리 모듈.
  4. 청구항 3에서,
    상기 제1 절곡 영역의 상기 상하 방향(H) 길이는 상기 제2 절곡 영역의 상기 상하 방향(H) 길이보다 긴 배터리 모듈.
  5. 청구항 4에서,
    상기 제2 절곡 영역의 상기 상하 방향(H) 길이는 상기 제1 절곡 영역의 상기 상하 방향(H) 길이의 절반에 대응되는 배터리 모듈.
  6. 청구항 4에서,
    상기 제1 접합부는 상기 제2 접합부로부터 상방으로 이격되어 있는 배터리 모듈.
  7. 청구항 4에서,
    상기 제2 절곡 영역은 상기 버스바로부터 상방으로 이격되어 있는 배터리 모듈.
  8. 청구항 3에서,
    상기 제1 절곡 영역은 상기 제2 절곡 영역보다 상기 수평 방향(W)으로 내측에 구비되는 배터리 모듈.
  9. 청구항 3에서,
    상기 제1 절곡 영역은 상기 버스바보다 상기 수평 방향(W)으로 내측에 구비되는 배터리 모듈.
  10. 청구항 1에서,
    상기 제1 배터리에 구비되는 상기 제1 전극 리드와 상기 버스바는 서로 동일한 재질인 배터리 모듈.
  11. 청구항 1에서,
    상기 제1 배터리에 구비되는 상기 제1 전극 리드와 상기 제2 배터리에 구비되는 상기 제2 전극 리드는 서로 다른 재질인 배터리 모듈.
  12. 청구항 1에서,
    상기 제1 배터리에 구비되는 상기 제1 전극 리드는 음극 리드이고,
    상기 제2 배터리에 구비되는 상기 제2 전극 리드는 양극 리드인 배터리 모듈.
  13. 청구항 3에서,
    상기 제1 절곡 영역은 상기 제1 돌출 영역으로부터 수직으로 절곡되고,
    상기 제2 절곡 영역은 상기 제2 돌출 영역으로부터 수직으로 절곡되는 배터리 모듈.
  14. 제1 전극 리드를 포함하는 제1 배터리, 상기 제1 전극 리드와 다른 극성을 갖는 제2 전극 리드를 포함하는 제2 배터리 및 버스바를 포함하는 센싱 어셈블리를 준비하는 준비 단계;
    상기 제1 배터리에 구비되는 상기 제1 전극 리드와 상기 제2 배터리에 구비되는 상기 제2 전극 리드가 상하 방향(H)으로 서로 마주보도록 상기 제1 배터리와 상기 제2 배터리를 적층하는 적층 단계;
    수평 방향(W)으로 상기 제1 배터리에 구비되는 상기 제1 전극 리드의 외측 영역을 상기 제2 전극 리드를 향해 절곡하고, 상기 수평 방향(W)으로 상기 제2 배터리에 구비되는 상기 제2 전극 리드의 외측 영역을 상기 제1 전극 리드를 향해 절곡하는 절곡 단계;
    상기 제1 전극 리드와 상기 제2 전극 리드의 일 측에 상기 버스바를 배치하는 버스바 배치 단계; 및
    상기 제1 전극 리드, 상기 제2 전극 리드 및 상기 버스바를 용접하여 접합부를 형성하는 용접 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용접 단계에서,
    상기 제1 배터리에 구비되는 상기 제1 전극 리드와 상기 제2 배터리에 구비되는 상기 제2 전극 리드가 접합되어 제1 접합부가 형성되고, 상기 제1 배터리에 구비되는 상기 제1 전극 리드와 상기 버스바가 접합되어 제2 접합부가 형성되고, 상기 제1 접합부와 상기 제2 접합부는 상기 상하 방향(H)으로 서로 이격되는 배터리 모듈의 제조 방법.
  15. 청구항 14에서,
    상기 절곡 단계에서,
    상기 제1 전극 리드 중 상기 제2 전극 리드를 향해 절곡되는 제1 절곡 영역은 상기 제2 전극 리드 중 상기 제1 전극 리드를 향해 절곡되는 제2 절곡 영역보다 상하 방향(H)으로 길게 형성되는 배터리 모듈의 제조 방법.
  16. 청구항 15에서,
    상기 용접 단계에서,
    상기 제1 접합부는 상기 제2 접합부로부터 상방으로 이격되도록 형성되는 배터리 모듈의 제조 방법.
  17. 청구항 15에서,
    상기 버스바 배치 단계에서,
    상기 버스바는 상기 제2 절곡 영역으로부터 하방으로 이격되도록 배치되는 배터리 모듈의 제조 방법.
  18. 청구항 15에서,
    상기 절곡 단계에서,
    상기 제1 절곡 영역이 상기 제2 절곡 영역보다 상기 수평 방향(W)으로 내측에 구비되도록 상기 제1 전극 리드 및 상기 제2 전극 리드가 절곡되는 배터리 모듈의 제조 방법.
  19. 청구항 15에서,
    상기 버스바 배치 단계에서,
    상기 제1 절곡 영역이 상기 버스바보다 상기 수평 방향(W)으로 내측에 구비되도록 상기 버스바가 배치되는 배터리 모듈의 제조 방법.
KR1020220006749A 2022-01-17 2022-01-17 배터리 모듈 및 그 배터리 모듈의 제조 방법 KR20230111039A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06749A KR20230111039A (ko) 2022-01-17 2022-01-17 배터리 모듈 및 그 배터리 모듈의 제조 방법
US18/090,371 US20230231279A1 (en) 2022-01-17 2022-12-28 Battery modul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DE102022134885.7A DE102022134885A1 (de) 2022-01-17 2022-12-28 Batteriemodul und verfahren zur herstellung desselb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06749A KR20230111039A (ko) 2022-01-17 2022-01-17 배터리 모듈 및 그 배터리 모듈의 제조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11039A true KR20230111039A (ko) 2023-07-25

Family

ID=869906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06749A KR20230111039A (ko) 2022-01-17 2022-01-17 배터리 모듈 및 그 배터리 모듈의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20230231279A1 (ko)
KR (1) KR20230111039A (ko)
DE (1) DE102022134885A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230231279A1 (en) 2023-07-20
DE102022134885A1 (de) 2023-07-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309593B2 (en) Flexible circuit board and frame assembly including same
JP6806314B2 (ja) バッテリパック
US8956753B2 (en) Secondary battery and secondary battery module
US7794870B2 (en) Battery suitable for preparation of battery module
US20160233478A1 (en) Rectangular electricity storage device and method for producing the same
KR102056361B1 (ko) 전극 리드 연결 구조물, 전극 리드 연결 구조물을 포함하는 전지 모듈과 이를 포함하는 전지 팩
US11811017B2 (en) Battery unit and battery module
US10056587B2 (en) Assembled battery
EP2375474B1 (en) Secondary battery and secondary battery module
KR101227916B1 (ko) 전기 화학 디바이스
KR102366429B1 (ko) 전극탭의 용접 특성을 개선한 전극 및 이를 포함하는 이차전지
KR102094210B1 (ko) 레이저 용접된 전극 탭과 전극리드를 구비한 전지셀
WO2014024802A1 (ja) 蓄電装置の製造方法、超音波溶接用の補助板及び蓄電装置
KR20110092042A (ko) 배터리모듈 및 그 제조방법
JP5296105B2 (ja) 電極端子接続部材及び絶縁性接合部材を有する中または大型バッテリーモジュール
US20150333312A1 (en) Assembled battery
WO2015034172A1 (ko) 둘 이상의 부재들로 이루어진 전지케이스를 포함하는 각형 전지셀
EP2884558B1 (en) Rechargeable battery
JP3686242B2 (ja) 電池用積層電極の接続方法と電池
US10714714B2 (en) Electrical energy store, specifically a battery cell, with spatially-optimized electrode interconnection
KR102035126B1 (ko) 전지팩 및 그의 제조방법
KR20230111039A (ko) 배터리 모듈 및 그 배터리 모듈의 제조 방법
CN112117497A (zh) 电芯及电芯成型方法
JP2018010843A (ja) 組電池及び組電池の製造方法
JP7462772B2 (ja) 改善された電極リード接続構造を有するバッテリーモジュール、それを含むバッテリーパック及び自動車