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10996A - Structure with improved turbulent flow for flowmeter for dishwasher - Google Patents

Structure with improved turbulent flow for flowmeter for dishwashe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10996A
KR20230110996A KR1020220006650A KR20220006650A KR20230110996A KR 20230110996 A KR20230110996 A KR 20230110996A KR 1020220006650 A KR1020220006650 A KR 1020220006650A KR 20220006650 A KR20220006650 A KR 20220006650A KR 20230110996 A KR20230110996 A KR 2023011099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gion
flow
flow meter
dishwasher
blad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06650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박민구
Original Assignee
에스케이매직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케이매직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스케이매직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2000665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110996A/en
Publication of KR2023011099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10996A/en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5/00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 A47L15/42Details
    • A47L15/4244Water-level measuring or regulating arrangemen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5/00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 A47L15/42Details
    • A47L15/4214Water supply, recirculation or discharge arrangements; Devices therefor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FMEASURING VOLUME, VOLUME FLOW, MASS FLOW OR LIQUID LEVEL; METERING BY VOLUME
    • G01F1/00Measuring the volume flow or mass flow of fluid or fluent solid material wherein the fluid passes through a meter in a continuous flow
    • G01F1/05Measuring the volume flow or mass flow of fluid or fluent solid material wherein the fluid passes through a meter in a continuous flow by using mechanical effects
    • G01F1/10Measuring the volume flow or mass flow of fluid or fluent solid material wherein the fluid passes through a meter in a continuous flow by using mechanical effects using rotating vanes with axial admission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2401/00Automatic detection in controlling methods of 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e.g. information provided by sensors entered into controlling devices
    • A47L2401/14Water pressure or flow rat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Fluid Mechan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asuring Volume Flow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중심에 회전축을 구비하는 원통형의 임펠러 회전바디와, 상기 회전바디의 외주면에 일정 각도 간격으로 이격되어 배치되고, 전면과 후면에 대칭이 되도록 형성되는 유량제어돌기를 구비하는 복수개의 블레이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기세척기용 플로우미터 난류 유동 개선 구조를 개시한다. The present invention discloses a flow meter turbulent flow improving structure for a dishwasher, characterized in that it includes a cylindrical impeller rotating body having a rotating shaft at the center, and a plurality of blades having flow control protrusions dispos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rotating body at predetermined angular intervals and formed symmetrically on the front and rear surfaces.

Description

식기세척기용 플로우미터의 난류 유동 개선 구조 {STRUCTURE WITH IMPROVED TURBULENT FLOW FOR FLOWMETER FOR DISHWASHER} Turbulent flow improvement structure of flow meter for dishwasher {STRUCTURE WITH IMPROVED TURBULENT FLOW FOR FLOWMETER FOR DISHWASHER}

본 발명은 식기세척기용 플로우미터의 난류 유동 개선 구조에 대한 것으로서, 보다 자세하게는 블레이드의 형상을 개선하여 급수되는 물의 양을 정확하게 제어하여 세척 시 필요한 물의 양을 정확히 판단할 수 있는 식기세척기용 플로우미터의 난류 유동 개선 구조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tructure for improving flow of turbulence in a flow meter for a dishwasher, and more particularly, to a structure for improving flow of turbulence in a flow meter for a dishwasher, which can accurately determine the amount of water required for washing by accurately controlling the amount of water supplied by improving the shape of a blade.

식기세척기에 정량의 물을 급수하여 이를 제어하고자 할 때, 일반적으로 상수로부터 원수를 공급받아 에어브레이크 내 조립된 홀IC(hall IC)를 포함한 플로우미터를 통해 급수량을 감지하고, 1회전 당 펄스 주기를 적산하여 에어브레이크에 물을 공급한다.When you want to control this by supplying a fixed amount of water to the dishwasher, it is generally supplied with raw water from a constant source, detects the amount of water supplied through a flow meter including a hall IC assembled in the air brake, and accumulates the pulse cycle per rotation to supply water to the air brake.

기존 식기세척기에서 적용되고 있는 플로우미터를 이용할 경우 급수 편차가 발생하여 품질 문제를 야기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종래 플로우미터가 적용된 경우 급수되는 물의 양을 명확히 판단하기 어려우며, 그에 따라 석션 소음에 의해 추가 급수가 이루어지거나, 에너지 효율이 저감되고, 세척 성능이 감소되는 등 장치의 효율을 떨어뜨릴 수 있다. In the case of using a flow meter applied in an existing dishwasher, water supply deviation may occur and cause quality problems. Specifically, when a conventional flow meter is applied, it is difficult to clearly determine the amount of water to be supplied, and accordingly, the efficiency of the device may be reduced, such as additional water supply due to suction noise, reduced energy efficiency, or reduced washing performance.

도 1을 참조하면, 종래기술에서 공급된 급수의 압력에 의한 속도 그래프(a)와 급수의 유선(b)을 확인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ure 1, it can be seen that the velocity graph (a) and the streamline (b) of the water supply by the pressure of the supplied water in the prior art.

이에 따르면 플로우미터 임펠러에 급수가 부딪치며 와류가 생성되고 시간에 따라 속도의 편차가 발생하는 것을 알 수 있다. According to this, it can be seen that the feed water collides with the flow meter impeller, generates vortices, and causes a deviation in speed over time.

일본 특허출원번호 P2004-248116 '날개차식 유량계'(이하 '특허문헌 1'이라 함)에서는 계측 결과의 정확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임펠러 날개에 요철부를 형성시키는 기술을 개시하고 있다. 하지만, 급수의 흐름은 요철의 개수, 위치, 형상에 따라 민감하게 변화되기 때문에 이에 대한 구체적인 연구가 병행되지 않는 한 단순히 요철을 형성시키는 것만으로 플로우미터의 성능을 향상시키는 것은 어렵다. Japanese Patent Application No. P2004-248116 'impeller type flow meter' (hereinafter referred to as 'Patent Document 1') discloses a technique of forming concavo-convex parts on impeller blades to improve the accuracy of measurement results. However, since the flow of feed water is sensitively changed according to the number, location, and shape of irregularities, it is difficult to improve the performance of a flow meter simply by forming irregularities unless a specific study on this is conducted in parallel.

또한, 일본 특허출원번호 P2016-82825 '유량계' (이하 '특허문헌 2'라 함)에서는 임펠러에 추를 부착하여 적은 유량에서 고감도 검출이 가능한 유량계를 개시하고 있다. 하지만, 특허문헌 2는 임펠러 자체 구조를 개량하여 플로우미터 성능을 향상시키는 것이 아니라 별도의 추 부재를 부가하여야 한다는 점에서 장치의 무게나 부피가 커진다는 문제가 있다. In addition, Japanese Patent Application No. P2016-82825 'flow meter' (hereinafter referred to as 'patent document 2') discloses a flow meter capable of highly sensitive detection at a small flow rate by attaching a weight to the impeller. However, Patent Document 2 has a problem in that the weight or volume of the device increases in that a separate weight member must be added rather than improving the flowmeter performance by improving the structure of the impeller itself.

또한, 대한민국 공개실용신안 제20-2015-0000874호 '임펠러를 구비한 유량계' (이하 '특허문헌 3'이라 함)에서는 이물질 제거용 돌기부가 형성된 임펠러를 이용해 임펠러가 원활하게 회전할 수 있게 하는 기술을 개시하고 있다. 하지만 특허문헌 3의 돌기부는 가이드홈 내부에 점착되는 이물질을 제거하기 위한 것일 뿐 급수의 흐름을 제어하는 것이 불가능하다. In addition, Korean Utility Model Publication No. 20-2015-0000874 'Flowmeter with Impeller' (hereinafter referred to as 'Patent Document 3') discloses a technology that allows the impeller to rotate smoothly using an impeller having protrusions for removing foreign substances. However, the protrusion of Patent Document 3 is only for removing foreign substances adhering to the inside of the guide groove, and it is impossible to control the flow of water supply.

일본 특허출원번호 P2004-248116Japanese Patent Application No. P2004-248116 일본 특허출원번호 P2016-82825Japanese Patent Application No. P2016-82825 대한민국 공개실용신안 제20-2015-0000874호Republic of Korea Utility Model Publication No. 20-2015-0000874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플로우미터에 적용되는 임펠러 블레이드의 형상을 개선하여 급수되는 물의 양을 정확하게 제어하여 세척 시 필요한 물의 양을 정확히 판단할 수 있는 식기세척기용 플로우미터의 난류 유동 개선 구조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d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turbulent flow improvement structure of a flow meter for a dishwasher that can accurately determine the amount of water required for washing by accurately controlling the amount of water supplied by improving the shape of an impeller blade applied to the flow meter.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중심에 회전축을 구비하는 원통형의 임펠러 회전바디와, 상기 회전바디의 외주면에 일정 각도 간격으로 이격되어 배치되고, 전면과 후면에 대칭이 되도록 형성되는 유량제어돌기를 구비하는 복수개의 블레이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기세척기용 플로우미터 난류 유동 개선 구조를 개시한다. 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s, the present invention discloses a flow meter turbulent flow improvement structure for a dishwasher, characterized in that it includes a cylindrical impeller rotating body having a rotating shaft at the center, and a plurality of blades having flow control protrusions disposed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t predetermined angular intervals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rotating body and formed symmetrically on the front and rear surfaces.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복수개의 블레이드는 서로 20°간격을 갖는 9개의 블레이드들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기세척기용 플로우미터 난류 유동 개선 구조를 개시한다.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lurality of blades discloses a turbulent flow improvement structure for a flow meter for a dishwasher, characterized in that it includes nine blades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by 20°.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블레이드들은 가장 외측의 제1 영역과, 상기 제1 영역에 연결되는 제2 영역과, 상기 제2 영역에 연결되고 상기 회전바디에 인접한 제3 영역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기세척기용 플로우미터 난류 유동 개선 구조를 개시한다.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blades include an outermost first region, a second region connected to the first region, and a third region connected to the second region and adjacent to the rotation body.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2 영역은 돌출형상이 존재하지 않는 평탄면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유량제어돌기는 상기 제3 영역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기세척기용 플로우미터 난류 유동 개선 구조를 개시한다.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structure for improving turbulent flow of a flow meter for a dishwasher is disclosed, wherein the second region is made of a flat surface with no protruding shape, and the flow control protrusion is formed in the third region.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1 영역은 블레이드의 길이방향에서 뒤쪽을 향해 30°이상 45°이하로 기울어지도록 형성되는 경사면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기세척기용 플로우미터 난류 유동 개선 구조를 개시한다.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low meter turbulent flow improvement structure for a dishwasher is disclosed, wherein the first region includes an inclined surface formed to be inclined backward by 30° or more and 45° or les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blade.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1 영역 내지 제3 영역은 서로 동일한 길이를 갖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기세척기용 플로우미터 난류 유동 개선 구조를 개시한다.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structure for improving turbulent flow in a flow meter for a dishwasher is disclosed, wherein the first to third areas are formed to have the same length.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경사면은 제1 영역 길이의 1/3 지점에서 시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기세척기용 플로우미터 난류 유동 개선 구조를 개시한다.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structure for improving turbulent flow in a flow meter for a dishwasher is disclosed, wherein the slope starts at 1/3 of the length of the first region.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유량제어돌기는 모서리 부분이 라운드진 마름모 형상을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기세척기용 플로우미터 난류 유동 개선 구조를 개시한다.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structure for improving turbulent flow in a flow meter for a dishwasher is disclosed, wherein the flow control protrusion has a rounded rhombus shape.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유량제어돌기의 일단부가 상기 제2 영역에 접하도록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기세척기용 플로우미터 난류 유동 개선 구조를 개시한다.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structure for improving turbulent flow in a flow meter for a dishwasher is disclosed, wherein one end of the flow control protrusion is disposed to be in contact with the second region.

또한, 본 발명은 내부에 원통형의 중공을 포함하는 바디와, 상기 중공의 중심부에 장착되고 원통형의 회전바디와 복수개의 블레이드들을 포함하는 임펠러와, 상기 복수개의 블레이드들 중 가장 하단의 블레이드의 전면에 배치되고 상기 중공으로 물이 유입되는 유입구와, 상기 가장 하단의 블레이드의 후면에 배치되고 상기 중공을 거친 물이 배출되는 토출구를 포함하며, 상기 블레이드들은 상기 회전바디의 외주면에 일정 각도 간격으로 이격되어 배치되고, 전면과 후면에 대칭이 되도록 형성되는 유량제어돌기를 구비하는 복수개의 블레이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로우미터를 개시한다.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body including a cylindrical hollow therein, an impeller mounted in the center of the hollow and including a cylindrical rotating body and a plurality of blades, an inlet disposed on the front surface of the lowermost blade among the plurality of blades and through which water flows into the hollow, and a discharge port disposed on the rear surface of the lowermost blade and through which water passes through the hollow is discharged, the blades are arranged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rotating body at regular angular intervals, and the front and rear surfaces are symmetrical Disclosed is a flow meter comprising a plurality of blades having flow control protrusions formed to be formed.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블레이드들은 가장 외측의 제1 영역과, 상기 제1 영역에 연결되는 제2 영역과, 상기 제2 영역에 연결되고 상기 회전바디에 인접한 제3 영역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1 영역은 블레이드의 길이방향에서 뒤쪽을 향해 30°이상 45°이하로 기울어지도록 형성되는 경사면을 포함하고, 상기 제2 영역은 돌출형상이 존재하지 않는 평탄면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3 영역에는 상기 유량제어돌기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로우미터를 개시한다.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blades are composed of an outermost first region, a second region connected to the first region, and a third region connected to the second region and adjacent to the rotation body, wherein the first region includes an inclined surface formed to incline backward at 30 ° or more and 45 ° or les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blade, the second region is made of a flat surface without a protruding shape, and the flow control protrusion is formed in the third region. Start the flow meter.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유량제어돌기는 모서리 부분이 라운드진 마름모 형상을 이루며, 상기 마름모 형상의 일단부가 상기 제2 영역에 접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로우미터를 개시한다.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low control protrusion has a rounded diamond shape, and one end of the diamond shape is formed to contact the second region.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블레이드들은 서로 서로 20°간격을 갖는 9개의 블레이드들로 이루어지며, 상기 경사면은 블레이드의 길이방향에서 뒤쪽을 향해 30°이상 45°이하로 기울어지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로우미터를 개시한다.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blades are composed of nine blades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by 20 °, and the inclined surface is formed to be inclined at 30 ° or more and 45 ° or less toward the rear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blade. Discloses a flow meter, characterized in that.

또한, 본 발명은 복수개의 노즐을 포함하는 세척임펠러와, 상기 노즐에 일정한 유속과 수압의 물을 제공하는 플로우미터를 포함하며, 상기 플로우미터는 물이 유입되는 유입구와, 상기 노즐에 공급하는 물을 배출시키는 토출구와, 상기 유입구와 배출구 사이에 배치되어 배출되는 물의 속도와 압력을 제어하는 임펠러를 포함하며, 상기 임펠러는 원통형의 회전바디와, 상기 회전바디의 외주면에 일정 각도 간격으로 이격되어 배치되고, 전면과 후면에 대칭이 되도록 형성되는 유량제어돌기를 구비하는 복수개의 블레이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기세척기를 개시한다.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washing impeller including a plurality of nozzles, and a flow meter supplying water at a constant flow rate and water pressure to the nozzles, wherein the flow meter includes an inlet through which water flows in, a discharge port through which water supplied to the nozzle is discharged, and an impeller disposed between the inlet and the outlet to control the speed and pressure of the water discharged, wherein the impeller includes a cylindrical rotating body and is spaced apart from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rotating body at a predetermined angular interval, Disclosed is a dishwasher comprising a plurality of blades having flow control protrusions formed to be symmetrical on front and rear surfaces.

본 발명에 따르면 상수도에서 급수되는 물의 양을 정확하게 제어하여 세척 시 필요한 물의 양을 정확하게 판단할 수 있으며 급수시 발생하는 오류를 쉽게 해결할 수 있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accurately determine the amount of water required for washing by accurately controlling the amount of water supplied from the water supply, and it is possible to easily solve errors occurring during water supply.

또한, 회전축을 중심으로 대칭이 되는 임펠러 형상에 라운드를 포함한 마름모 형상의 돌기를 부가하여 장치 초기 동작의 안정성을 확보하고 일정한 유속을 확보할 수 있게 한다. 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secure the stability of the initial operation of the device and to secure a constant flow rate by adding a rhombus-shaped protrusion including a round to the impeller shape that is symmetrical about the rotation axis.

아울러, 종래의 플로우미터와는 다르게 와류 뿐 아니라 속도편차까지 개선하여 효율적으로 급수를 제어할 수 있게 된다. In addition, unlike conventional flow meters, it is possible to efficiently control water supply by improving not only vortex flow but also speed deviation.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공급된 급수의 압력에 의한 속도 그래프(a)와 급수의 유선(b)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식기세척기용 플로우미터의 개념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식기세척기용 플로우미터 임펠러의 사시도이다.
도 4는 임펠러 블레이드의 구체적인 형상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임펠러를 적용하였을 때 급수의 압력에 의한 속도 그래프(a)와 급수의 유선(b)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급수의 유선과 블레이드의 형상과의 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a)는 종래의 임펠러가 적용되었을 때 장치동작 후 일정 시간이 지났을 때의 유속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7(b)는 본 발명의 임펠러가 적용되었을 때 장치동작 후 일정 시간이 지났을 때의 유속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1 is a diagram showing a speed graph (a) and a streamline (b) of the supplied water according to the pressure of the supplied water according to the prior art.
2 is a conceptual diagram of a flow meter for a dishwash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perspective view of a flow meter impeller for a dishwash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conceptual diagram for explaining a specific shape of an impeller blade.
5 is a diagram showing a speed graph (a) and a streamline (b) of the water supply according to the pressure of the water supply when the impeller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Figure 6 is a diagram for explaining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streamline of the water supply and the shape of the blade.
Figure 7 (a) is a graph showing the flow rate when a certain time has elapsed after the operation of the device when a conventional impeller is applied.
Figure 7 (b) is a graph showing the flow rate when a certain time has passed after the device operation when the impeller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이하, 본 발명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명세서에서는 서로 다른 실시예라도 동일·유사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유사한 참조번호를 부여하고, 그 설명은 처음 설명으로 갈음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In this specification, the same or similar reference numerals are assigned to the same or similar components even in different embodiments, and the description is replaced with the first description. Singular expressions used herein include plural expressions unless the context clearly dictates otherwise.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It should be understood that when an element is referred to as being “connected” or “connected” to another element, it may be directly connected or connected to the other element, but other elements may exist in the middle. On the other hand, when an element is referred to as “directly connected” or “directly connected” to another element,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no other element exists in the middle.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는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Terms used in this specification are only used to describe specific embodiments, and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present invention. Singular expressions include plural expressions unless the context clearly dictates otherwise. In this specification, the terms "comprise" or "have" are intended to designate that a feature, number, step, operation, component, part, or combination thereof described in the specification exists, but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presence or addition of one or more other features or numbers, steps, operations, components, parts, or combinations thereof is not excluded in advance.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 "...유닛", "...모듈"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나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In addition, terms such as "...unit", "...unit", and "...module" described in the specification mean a unit that processes at least one function or operation, which may be implemented by hardware, software, or a combination of hardware and software.

또한,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한 구성 요소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In addition, in the description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re given to the same components regardless of reference numerals, and overlapping descriptions thereof will be omitted. In describing the present invention, if it is determined that a detailed description of related known technologies may unnecessarily obscure the subject matter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etailed description will be omitted.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식기세척기용 플라우미터(100)의 개념도이다. 2 is a conceptual diagram of a flow meter 100 for a dishwash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를 참조하면, 플라우미터(100)는 임펠러(120)가 배치되는 중공(112)을 구비하는 바디(111)와, 상기 바디(111)에 물이 유입되는 유입구(113)와, 식기세척기 구동 시 필요한 물을 제공하는 토출구(114) 등을 포함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2, the flow meter 100 may include a body 111 having a hollow 112 in which an impeller 120 is disposed, an inlet 113 through which water flows into the body 111, and an outlet 114 for supplying water necessary for driving the dishwasher.

중공(112)은 원통형의 공간을 형성하며, 중공(112)의 중심부에 임펠러(120)의 회전축(122)이 고정되어 중공(112)의 내부에서 임펠러(120)가 회전할 수 있게 한다.The hollow 112 forms a cylindrical space, and the rotation shaft 122 of the impeller 120 is fixed to the center of the hollow 112 so that the impeller 120 can rotate inside the hollow 112.

유입구(113)로 유입된 물은 임펠러(120)에 의해 분배되어 적절한 유압과 속도로 토출구(114)로 배출된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플라우미터(100)는 식기세척기에 정량의 물을 급수한다. 플라우미터(100)는 에어브레이크 내 조립된 홀 IC(hall IC)를 포함하며 상수로부터 15℃ 내외의 원수를 공급받아 1회전 당 펄스 주기를 적산하여 에어브레이크에 물을 공급한다. Water introduced into the inlet 113 is distributed by the impeller 120 and discharged to the outlet 114 at an appropriate hydraulic pressure and speed. Specifically, the flow meter 100 of the present invention supplies a fixed amount of water to the dishwasher. The flow meter 100 includes a hall IC assembled in the air brake, receives raw water of around 15 ° C from a constant, and supplies water to the air brake by integrating the pulse cycle per rotation.

이하에서는 도 3 내지 도 7b를 참조하여 임펠러(120)의 구조를 개선하여 와류는 물론 속도편차까지 개선하여 효율적으로 공급수를 제어할 수 있는 방법을 설명한다. Hereinafter, a method of efficiently controlling supply water by improving the structure of the impeller 120 to improve eddy currents as well as speed deviations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3 to 7B.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식기세척기용 플라우미터(100) 임펠러(120)의 사시도이고, 도 4는 임펠러(120) 블레이드의 구체적인 형상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3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impeller 120 of the flow meter 100 for a dishwash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4 is a conceptual diagram for explaining a specific shape of a blade of the impeller 120.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임펠러(120)는 원통형의 회전바디(121)와, 회전바디(121)의 중심에 배치되는 회전축(122)과, 회전바디(121)의 외주면에 일정 각도 간격으로 이격되어 배치되는 복수개의 블레이드들을 포함할 수 있다. 3 and 4, the impeller 120 may include a cylindrical rotating body 121, a rotating shaft 122 disposed at the center of the rotating body 121, and a plurality of blades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t regular angular intervals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rotating body 121.

도시된 바에 따르면 9개의 블레이드들이 20°간격으로 배치되어 있다. As shown, nine blades are arranged at 20° intervals.

본 발명에서 블레이드들은 제1 영역(I), 제2 영역(II), 제3 영역(III) 3개의 영역으로 형성된다.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blades are formed of three areas: a first area (I), a second area (II), and a third area (III).

3개의 영역은 서로 동일한 길이를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즉, 블레이드의 길이를 3등분하여 제일 외측 영역을 제1 영역(I), 중간 영역을 제2 영역(II), 내측 영역을 제3 영역(III)으로 구분할 수 있다. 여기서 말하는 동일한 길이라 함은 설계오차 또는 제조상 편의에 따라 발생하는 미세한 차이를 포함할 수 있다. The three regions may be formed to have the same length as each other. That is, by dividing the length of the blade into three parts, the outermost area may be divided into a first area (I), the middle area into a second area (II), and the inner area into a third area (III). The same length referred to herein may include minute differences caused by design errors or convenience in manufacturing.

제1 영역(I)은 경사면을 포함한다. 경사면은 제1 영역(I)의 단부에 형성되며 플라우미터(100)의 유입구(113)로 유입되는 물이 블레이드의 저항을 적게 받고 뒤쪽으로 흘러갈 수 있게 한다. 경사면은 블레이드의 길이방향에서 뒤쪽을 향해 대략 30°~ 45°기울어지도록 형성된다. 경사면의 시작지점은 제1 영역(I) 길이의 1/3 정도 위치가 적절하다. 이는 후술하는 수평면이 형성되기 위한 조건에 해당한다. The first region (I) includes an inclined surface. The inclined surface is formed at the end of the first region (I) and allows water flowing into the inlet 113 of the flow meter 100 to flow backward with less resistance from the blade. The inclined surface is formed to incline by approximately 30 ° to 45 ° toward the rear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blade. The starting point of the slope is appropriately located at about 1/3 of the length of the first region (I). This corresponds to a condition for forming a horizontal plane to be described later.

경사면의 끝에는 블레이드의 길이방향과 수직방향으로 배치되는 수평면이 연결된다. 상기 수평면은 경사면을 지나 임펠러(120)의 외측으로 흐름의 방향이 바뀐 물이 다시 토출구(114) 방향으로 흐르도록 가이드한다. At the end of the inclined surface, a horizontal surface dispos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the vertical direction of the blade is connected. The horizontal surface guides the water, whose flow direction has changed to the outside of the impeller 120 through the inclined surface, to flow toward the outlet 114 again.

제2 영역(II)은 평탄면으로 구성된다. 평탄면은 돌출형상이 없이 블레이드의 길이방향으로 길게 연장된 평면을 의미하며 평탄면의 일단부는 제1 영역(I)까지 연장될 수 있다. 평탄면의 타단부는 제3 영역(III)까지 연장되거나 제3 영역(III)의 유량제어돌기와 접할 수 있다. The second region II is composed of a flat surface. The flat surface means a flat surface extending long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blade without a protruding shape, and one end of the flat surface may extend to the first region (I). The other end of the flat surface may extend to the third region (III) or contact the flow control protrusion of the third region (III).

제3 영역(III)은 유량제어돌기를 포함한다. 유량제어돌기는 블레이드의 두께 방향으로 돌출된 형상을 이루며, 블레이드의 앞쪽(A)과 뒤쪽(B)의 한쌍이 서로 대칭이 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The third region (III) includes a flow control protrusion. The flow control protrusion forms a shape protruding in the thickness direction of the blade, and a pair of the front (A) and the rear (B) of the blade may be arranged so that they are symmetrical to each other.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유량제어돌기는 마름모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고, 이 때 마름모의 모서리 부분이 라운드진 곡면을 이루는 것도 가능하다.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low control protrusion may be formed in a diamond shape, and at this time, it is also possible to form a curved surface with rounded corners of the diamond shape.

유량제어돌기는 임펠러(120)가 회전할 때 블레이드를 따라 유량이 위쪽으로 올라가는 것을 줄이고 와류가 발생하는 것을 억제시킬 수 있다. 하지만, 돌기의 위치에 따라 오히려 역효과가 발생할 우려가 있기 때문에 유량제어돌기의 영역의 구분과 돌기의 위치를 정확히 파악할 필요가 있다. The flow control protrusion can reduce the upward movement of the flow along the blade when the impeller 120 rotates and suppress the generation of vortex. However, since adverse effects may occur depending on the location of the protrusion, it is necessary to accurately identify the area of the flow control protrusion and the location of the protrusion.

이하에서는 수많은 실험을 통해 확보한 데이터를 토대로, 가장 효율적인 블레이드 영역 구분과 돌기 위치를 결정하고, 이러한 구조에 따라 물의 흐름이 어떻게 변화하는지 도면을 통해 구체적으로 살펴본다. In the following, based on the data obtained through numerous experiments, the most efficient blade area division and protrusion location are determined, and how the water flow changes according to these structures is examined in detail through drawings.

도 5는 본 발명의 임펠러(120)를 적용하였을 때 급수의 압력에 의한 속도 그래프(a)와 급수의 유선(b)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6은 급수의 유선과 블레이드의 형상과의 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5 is a diagram showing a speed graph (a) and a streamline (b) of the feedwater by the pressure of the feedwater when the impeller 120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and FIG. 6 is a diagram for explaining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feedwater streamline and the shape of the blade.

도 5 및 도 6을 참조하면, 장치 구동 초기에 유입되는 유량은 유입구(113)쪽의 블레이드(123')를 따라 위아래로 나뉘며 블레이드(123')의 뒤쪽으로 흘러간다. Referring to Figures 5 and 6, the flow rate introduced at the beginning of the device operation is divided up and down along the blade 123' on the inlet 113 side and flows to the rear of the blade 123'.

보다 구체적으로, 도시된 것과 같이 본 실시예에서는 임펠러(120)가 9개의 블레이드를 구비하기 때문에 각 블레이드들은 서로 20°간격으로 서로 이격되어 있다. 이에 따르면 앞쪽 블레이드(123')는 아래쪽 방향에서 20°만큼 경사져 있으므로 앞쪽 블레이드의 경사면(123a')은 아래쪽 방향을 기준으로 10°내지 25°만큼 경사를 가지며, 이러한 비교적 적은 경사 때문에 유입되는 유량의 저항이 커져 뒤로 밀리는 힘을 받게 된다. More specifically, as shown in the present embodiment, since the impeller 120 has 9 blades, each blade is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t an interval of 20°. According to this, since the front blade 123' is inclined by 20 ° in the downward direction, the inclined surface 123a' of the front blade has an inclined surface by 10 ° to 25 ° relative to the downward direction.

경사면(123a')을 따라 위쪽으로 흐르는 물은 유량제어돌기(123c')에 가로막혀 더이상 위쪽으로 흐르지 못하고 블레이드(123')의 측면을 따라 뒤쪽으로 흘러가게 된다(L1). Water flowing upward along the inclined surface 123a' is blocked by the flow control protrusion 123c' so that it no longer flows upward and flows backward along the side of the blade 123' (L1).

경사면(123a')을 따라 아래쪽으로 흐르는 물은 블레이드의 수평면(123d')을 따라 하방으로 굽어진 흐름(L2)을 형성하며 이렇게 흐르는 물은 도 6에 도시된 것과 같이 뒤쪽 블레이드(123)의 단부에 인접하여 흘러가게 된다. 즉, 뒤쪽 블레이드(123)에 가로막히지 않고 뒤쪽 블레이드(123)의 단부를 감싸듯이 흘러가기 때문에 와류를 생성시키지 않고 비교적 일정한 유속을 유지할 수 있게 된다. The water flowing downward along the inclined surface 123a' forms a downward curved flow L2 along the horizontal surface 123d' of the blade, and the water flowing in this way flows adjacent to the end of the rear blade 123 as shown in FIG. That is, since it flows like wrapping around the end of the rear blade 123 without being blocked by the rear blade 123, it is possible to maintain a relatively constant flow rate without generating a vortex.

도 6을 참조하면 블레이드의 영역 구분과 경사면, 수평면, 유량제어돌기의 위치가 적절히 조합되어 안정적인 물의 흐름을 만들어 낼 수 있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6, it can be seen that a stable flow of water can be created by appropriately combining the area division of the blade, the inclined surface, the horizontal surface, and the location of the flow control protrusion.

구체적으로, 앞쪽 블레이드(123')의 경사면(123a')이 뒤쪽 블레이드(123)의 평탄면(123b)과 오버랩되기 때문에 앞쪽 블레이드(123')의 경사면(123a') 양 옆으로 흘러지나가는 물은 뒤쪽 블레이드(123)의 평탄면(123b)을 만나게 되고 평탄면(123b)은 돌출된 형상이 없이 편평하기 때문에 편탄면(123b)에 부딪친 물의 흐름이 변경되지 않고 일정한 유속을 유지하게 된다. Specifically, since the inclined surface 123a' of the front blade 123' overlaps the flat surface 123b of the rear blade 123, the water flowing on both sides of the inclined surface 123a' of the front blade 123' meets the flat surface 123b of the rear blade 123, and since the flat surface 123b is flat without a protruding shape, the flow of water hitting the flat surface 123b It maintains a constant flow rate without change.

앞쪽 블레이드(123')의 단부를 지나 흐르는 물(L2)은 뒤쪽 블레이드(123)의 단부를 감싸듯이 흘러가며 중공(112)의 경계를 따라 안쪽으로 흘러드는 물과 합류된다. 이렇게 합류된 물은 뒤쪽 블레이드(123)의 단부 뒤쪽에서 굵은 줄기를 이루게 된다. 이렇게 주류를 이루는 물의 흐름에 의하여 주변의 작은 유선들이 흩어지지 않고 일정한 방향성을 갖게 된다. The water L2 flowing past the end of the front blade 123' flows as if wrapping around the end of the rear blade 123 and joins the water flowing inward along the boundary of the hollow 112. The water thus joined forms a thick stem behind the end of the rear blade 123. By the flow of the mainstream water like this, the surrounding small streamlines do not scatter and have a certain direction.

앞쪽 블레이드(123')의 평탄면(123b')은 아래쪽 방향을 기준으로 20°기울어져 있기 때문에 유입구(113)로 유입된 물은 위쪽 방향으로 살짝 굽어져 흘러가게 된다. 이렇게 굽어져 흘러가는 물은 뒤쪽 블레이드(123)의 제3 영역(III)에 도달하게 된다. 뒤쪽 블레이드(123)의 제3 영역(III)에는 유량제어돌기(123c)가 존재하며 유량제어돌기(123c)에 부딪친 물은 위아래로 갈라지며 속도가 증가하게 된다. 베르누이 원리에 따라 유량제어돌기(123c)를 지나 속도가 빨리진 물 주위의 압력이 줄어들기 때문에 제3 영역(III)에 도달한 물은 위아래로 퍼지지 않고 중심을 향해 보여서 흐르게 된다. 즉, 블레이드(123)의 위쪽 제3 영역(III)을 흐르는 물도 서로 모여 주류를 이루게 되어 주변의 작은 유선들이 흩어지지 않고 일정한 방향성을 갖게 한다. Since the flat surface 123b' of the front blade 123' is inclined by 20° relative to the downward direction, the water introduced into the inlet 113 is slightly bent upward and flows. The water bent and flowing in this way reaches the third region III of the rear blade 123. A flow control protrusion 123c is present in the third region III of the rear blade 123, and water hitting the flow control protrusion 123c splits up and down and increases in speed. According to Bernoulli's principle, since the pressure around the water speeding up after passing through the flow control protrusion 123c is reduced, the water reaching the third area III does not spread up and down and flows toward the center. That is, water flowing in the upper third region III of the blade 123 also gathers together to form a mainstream, so that small streamlines around it do not scatter and have a constant direction.

도 7(a)는 종래의 임펠러(120)가 적용되었을 때 장치동작 후 일정 시간이 지났을 때의 유속을 나타낸 그래프이고, 도 7(b)는 본 발명의 임펠러(120)가 적용되었을 때 장치동작 후 일정 시간이 지났을 때의 유속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Figure 7 (a) is a graph showing the flow rate when a certain time has passed after the device operation when the conventional impeller 120 is applied, Figure 7 (b) is a graph showing the flow rate when a certain time has passed after the device operation when the impeller 120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도 7a 및 도 7b를 참조하면, 임펠러(120) 구동 초기 뿐 아니라 임펠러(120)를 지속적으로 구동시킬 때도 와류가 발생하지 않고 안정적으로 유속을 제어할 수 있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S. 7A and 7B , it can be seen that the flow rate can be stably controlled without generation of vortex even when the impeller 120 is continuously driven as well as at the initial stage of driving the impeller 120 .

구체적으로, 도 7a에 도시된 바에 따르면 유입구(113)를 통해 유입되는 물은 앞쪽 블레이드의 위쪽 방향과 아래쪽 방향으로 나뉘어 흐르게 되고, 위쪽 방향으로 흐르는 물은 임펠러(120) 회전바디(121)에 부딪쳐 와류를 형성하게 된다. 또한, 임펠러(120) 회전바디(121)를 감싸고 뒤쪽으로 흐르기 때문에 뒤쪽 블레이드의 위쪽 부분에 물의 흐름이 몰리게 된다. 아래쪽 방향으로 흐르는 물은 위쪽에서 생성된 와류의 영향을 받게 되고 주류를 생성하는데 방해를 받게 된다. Specifically, as shown in FIG. 7A, the water introduced through the inlet 113 flows in the upper and lower directions of the front blade, and the water flowing in the upper direction hits the rotating body 121 of the impeller 120 to form a vortex. In addition, since the impeller 120 surrounds the rotating body 121 and flows backward, the flow of water is concentrated on the upper part of the rear blade. Water flowing in a downward direction is affected by vortices generated from above and is prevented from forming a mainstream.

이러한 현상들에 의해 물의 흐름이 고루 분포되지 않고 상하부 주류 흐름이 생성되지 않아 유속이 불규칙하게 변화하게 된다. 도 7a 를 보면 앞쪽 블레이드와 뒤쪽 블레이드 사이에 파란색 영역이 넓고 앞쪽 블레이드 주위에는 빨간색 영역이 넓게 형성되며 뒤쪽 블레이드까지 노란색 영역이 형성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Due to these phenomena, the water flow is not evenly distributed and the upper and lower mainstream flows are not generated, resulting in irregular flow rates. Referring to FIG. 7A , it can be seen that a wide blue area is formed between the front blade and the rear blade, a wide red area is formed around the front blade, and a yellow area is formed up to the rear blade.

또한, 속도 그래프를 확인하면, 와류 발생에 의해 불규칙한 주기로 속도가 증가했다가 감소하고 있으며 속도 편차도 불규칙해서 토출되는 물의 속도와 양을 정확히 계산하는 것이 불가능하다는 것을 알 수 있다. In addition, when checking the speed graph, it can be seen that the speed increases and then decreases at irregular intervals due to the generation of vortexes, and the speed deviation is also irregular, making it impossible to accurately calculate the speed and amount of discharged water.

이에 반해 도 7b를 참조하면 본 발명이 적용된 임펠러(120)의 경우 안정적이고 규칙적으로 물의 흐름을 제어하여 토출되는 물의 양과 속도를 계산할 수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referring to FIG. 7B , it can be seen that in the case of the impeller 120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the amount and speed of discharged water can be calculated by controlling the flow of water stably and regularly.

구체적으로, 도 7b에 도시된 바에 따르면 유입구(113)를 통해 유입되는 물은 앞쪽 블레이드의 위쪽 방향과 아래쪽 방향으로 나뉘어 흐르게 되고, 위쪽 방향으로 흐르는 물은 위쪽의 유량제어돌기에 가로막혀 임펠러(120) 바디(111)쪽으로 흐르지 않는다. 또한, 앞쪽 블레이드의 평탄면을 지나 뒤쪽으로 흐르는 물은 고루 분포되어 뒤쪽 블레이드의 제3 영역에 도달하게 된다. 아래쪽 방향으로 흐르는 물은 블레이드의 단부를 감싸고 흐르며 속도 편차가 없는 강한 주류 흐름을 생성하게 된다. Specifically, as shown in FIG. 7B, the water introduced through the inlet 113 is divided into the upper and lower directions of the front blade and flows, and the water flowing upward is blocked by the upper flow control protrusion. It does not flow toward the body 111 of the impeller 120. In addition, water flowing backward through the flat surface of the front blade is evenly distributed and reaches the third area of the rear blade. The downward flowing water wraps around the ends of the blades and creates a strong mainstream flow with no velocity deviation.

이에 따라 물의 흐름이 고루 분포되고 항부와 하부에 주류 흐름이 생성되어 유속이 일정하고 유선이 안정적이게 된다. 도 7b 를 보면 앞쪽 블레이드와 뒤쪽 블레이드 사이에 파란색 영역이 좁고 와류의 생성이 없으며, 뒤쪽 블레이드를 지나며 안정된 흐름을 형성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As a result, the flow of water is evenly distributed and a mainstream flow is generated at the port and bottom, so that the flow rate is constant and the streamline is stable. Referring to FIG. 7B , it can be seen that the blue area between the front blade and the rear blade is narrow, no vortex is generated, and a stable flow is formed passing through the rear blade.

또한, 속도 그래프를 확인하면, 일정시간이 지난 후 유속이 일정한 값을 유지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이를 통해 토출되는 물의 속도와 양을 정확히 계산하여 장치를 효율적으로 관리할 수 있게 됨을 알 수 있다. In addition, when checking the speed graph, it can be confirmed that the flow rate maintains a constant value after a certain period of time has elapsed. Through this, it can be seen that the device can be managed efficiently by accurately calculating the speed and amount of water discharged.

위에서 살펴본 적어도 하나의 실시예에 따르면, 상수도에서 급수되는 물의 양을 정확하게 제어하여 세척 시 필요한 물의 양을 정확하게 판단할 수 있으며 급수시 발생하는 오류를 쉽게 해결할 수 있고, 회전축을 중심으로 대칭이 되는 임펠러 형상에 라운드를 포함한 마름모 형상의 돌기를 부가하여 장치 초기 동작의 안정성을 확보하고 일정한 유속을 확보할 수 있으며, 종래의 플로우미터와는 달리 와류 뿐 아니라 속도편차까지 개선하여 효율적으로 급수를 제어할 수 있게 되는 등 종래기술에 비해 향상된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According to at least one embodiment described above, the amount of water supplied from the water supply can be precisely controlled to accurately determine the amount of water required for washing, errors occurring during water supply can be easily solved, and a diamond-shaped protrusion including a round is added to the impeller shape symmetrical about the rotation axis to secure the stability of the initial operation of the device and secure a constant flow rate. Unlike conventional flow meters, it is possible to efficiently control water supply by improving not only vortex but also speed deviation. An improved effect can be expected.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실시예와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에 포함되는 기술적 사상의 일부를 예시적으로 설명하는 것에 불과하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므로,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님은 자명하다. 본 발명의 명세서 및 도면에 포함된 기술적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당업자가 용이하게 유추할 수 있는 변형예와 구체적인 실시예는 모두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The embodiments described in this specification and the accompanying drawings merely illustrate some of the technical ideas included in the present invention by way of example. Therefore, since the embodiments disclosed herein are intended to explain rather than limit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obvious that the scope of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by these embodiments. All modifications and specific examples that can be easily inferre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within the scope of the technical idea included in the specification and drawings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construed as being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100 : 플로우미터
111 : 바디
112 : 중공
113 : 유입구
114 : 토출구
120 : 임펠러
121 : 회전바디
122 : 회전축
123 : 블레이드
123a : 경사면
123b : 평탄면
123c : 유량제어돌기
123d : 수평면
123' : 앞쪽 블레이드
123a' : 경사면
123b' : 평탄면
123c' : 유량제어돌기
123d' : 수평면
I : 제1 영역
II : 제2 영역
III : 제3 영역
100: flow meter
111: body
112: hollow
113: inlet
114: discharge port
120: impeller
121: rotation body
122: axis of rotation
123: blade
123a: slope
123b: flat surface
123c: flow control projection
123d: horizontal plane
123 ': front blade
123a': slope
123b': flat surface
123c': flow control projection
123d': horizontal plane
I: first area
II: Second area
III: Third Area

Claims (14)

중심에 회전축을 구비하는 원통형의 임펠러 회전바디; 및
상기 회전바디의 외주면에 일정 각도 간격으로 이격되어 배치되고, 전면과 후면에 대칭이 되도록 형성되는 유량제어돌기를 구비하는 복수개의 블레이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기세척기용 플로우미터 난류 유동 개선 구조.
A cylindrical impeller rotating body having a rotating shaft at the center; and
A flow meter turbulent flow improving structure for a dishwasher, comprising a plurality of blades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on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rotating body at predetermined angular intervals and having flow control protrusions formed symmetrically on front and rear surfaces.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개의 블레이드는,
서로 20°간격을 갖는 9개의 블레이드들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기세척기용 플로우미터 난류 유동 개선 구조.
According to claim 1,
The plurality of blades,
A flow meter turbulent flow improving structure for a dishwasher, comprising nine blades spaced 20° apart from each other.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블레이드들은,
가장 외측의 제1 영역;
상기 제1 영역에 연결되는 제2 영역; 및
상기 제2 영역에 연결되고 상기 회전바디에 인접한 제3 영역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기세척기용 플로우미터 난류 유동 개선 구조.
According to claim 2,
The blades are
an outermost first region;
a second region connected to the first region; and
A flow meter turbulent flow improving structure for a dishwasher,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third region connected to the second region and adjacent to the rotating body.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영역은 돌출형상이 존재하지 않는 평탄면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유량제어돌기는 상기 제3 영역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기세척기용 플로우미터 난류 유동 개선 구조.
According to claim 3,
The second region is made of a flat surface with no protruding shape,
The turbulent flow improvement structure for a flow meter for a dishwasher, characterized in that the flow control protrusion is formed in the third region.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영역은,
블레이드의 길이방향에서 뒤쪽을 향해 30°이상 45°이하로 기울어지도록 형성되는 경사면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기세척기용 플로우미터 난류 유동 개선 구조.
According to claim 4,
The first region,
A turbulent flow improving structure for a flow meter for a dishwasher,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n inclined surface formed to incline backward by 30° or more and 45° or les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blade.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영역 내지 제3 영역은 서로 동일한 길이를 갖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기세척기용 플로우미터 난류 유동 개선 구조.
According to claim 3,
The flow meter turbulent flow improving structure for a dishwasher, characterized in that the first to third regions are formed to have the same length as each other.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경사면은,
제1 영역 길이의 1/3 지점에서 시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기세척기용 플로우미터 난류 유동 개선 구조.
According to claim 5,
The slope is
A flow meter turbulent flow improving structure for a dishwasher, characterized in that it starts at a point 1/3 of the length of the first region.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량제어돌기는,
모서리 부분이 라운드진 마름모 형상을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기세척기용 플로우미터 난류 유동 개선 구조.
According to claim 1,
The flow control protrusion,
A flow meter turbulent flow improvement structure for a dishwasher, characterized in that the corner portion forms a rounded rhombus shape.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유량제어돌기의 일단부가 상기 제2 영역에 접하도록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기세척기용 플로우미터 난류 유동 개선 구조.
According to claim 4,
A structure for improving turbulent flow in a flow meter for a dishwasher, characterized in that one end of the flow control protrusion is disposed to be in contact with the second region.
내부에 원통형의 중공을 포함하는 바디;
상기 중공의 중심부에 장착되고 원통형의 회전바디와 복수개의 블레이드들을 포함하는 임펠러;
상기 복수개의 블레이드들 중 가장 하단의 블레이드의 전면에 배치되고 상기 중공으로 물이 유입되는 유입구; 및
상기 가장 하단의 블레이드의 후면에 배치되고 상기 중공을 거친 물이 배출되는 토출구를 포함하며,
상기 블레이드들은,
상기 회전바디의 외주면에 일정 각도 간격으로 이격되어 배치되고, 전면과 후면에 대칭이 되도록 형성되는 유량제어돌기를 구비하는 복수개의 블레이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로우미터.
A body including a cylindrical hollow therein;
an impeller mounted in the hollow center and including a cylindrical rotating body and a plurality of blades;
an inlet disposed in front of the lowermost blade among the plurality of blades and through which water flows into the hollow; and
A discharge port disposed on the rear surface of the lowermost blade and through which the water passed through the hollow is discharged,
The blades are
A flow meter comprising a plurality of blades disposed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t predetermined angular intervals on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rotating body and having flow control protrusions formed to be symmetrical to the front and rear surfaces.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블레이드들은 가장 외측의 제1 영역과, 상기 제1 영역에 연결되는 제2 영역과, 상기 제2 영역에 연결되고 상기 회전바디에 인접한 제3 영역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1 영역은 블레이드의 길이방향에서 뒤쪽을 향해 30°이상 45°이하로 기울어지도록 형성되는 경사면을 포함하고, 상기 제2 영역은 돌출형상이 존재하지 않는 평탄면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3 영역에는 상기 유량제어돌기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로우미터.
According to claim 10,
The blades consist of an outermost first region, a second region connected to the first region, and a third region connected to the second region and adjacent to the rotating body,
The first region includes an inclined surface formed to incline backward by 30 ° or more and 45 ° or les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blade, the second region is made of a flat surface on which no protruding shape exists, and the flow rate control protrusion is formed in the third region. Flow meter, characterized in that.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유량제어돌기는,
모서리 부분이 라운드진 마름모 형상을 이루며, 상기 마름모 형상의 일단부가 상기 제2 영역에 접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로우미터.
According to claim 11,
The flow control protrusion,
The flow meter, characterized in that the corner portion forms a rounded rhombus shape, and one end of the rhombus shape is formed to contact the second region.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블레이드들은 서로 서로 20°간격을 갖는 9개의 블레이드들로 이루어지며, 길이방향에서 뒤쪽을 향해 30°이상 45°이하로 기울어지도록 형성되는 경사면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로우미터.
According to claim 10,
The flow meter, characterized in that the blades are composed of nine blades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by 20 ° and include an inclined surface formed to be inclined at 30 ° or more and 45 ° or less toward the rear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복수개의 노즐을 포함하는 세척임펠러; 및
상기 노즐에 일정한 유속과 수압의 물을 제공하는 플로우미터를 포함하며,
상기 플로우미터는,
물이 유입되는 유입구;
상기 노즐에 공급하는 물을 배출시키는 토출구;
상기 유입구와 배출구 사이에 배치되어 배출되는 물의 속도와 압력을 제어하는 임펠러를 포함하며,
상기 임펠러는
원통형의 회전바디; 및
상기 회전바디의 외주면에 일정 각도 간격으로 이격되어 배치되고, 전면과 후면에 대칭이 되도록 형성되는 유량제어돌기를 구비하는 복수개의 블레이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기세척기.
Washing impeller including a plurality of nozzles; and
It includes a flow meter that provides water at a constant flow rate and water pressure to the nozzle,
The flow meter is
an inlet through which water enters;
a discharge port through which water supplied to the nozzle is discharged;
An impeller disposed between the inlet and the outlet to control the speed and pressure of the discharged water,
The impeller
Cylindrical rotating body; and
The dishwasher comprising a plurality of blades disposed on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rotating body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t predetermined angular intervals and having flow rate control protrusions formed symmetrically on front and rear surfaces.
KR1020220006650A 2022-01-17 2022-01-17 Structure with improved turbulent flow for flowmeter for dishwasher KR20230110996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06650A KR20230110996A (en) 2022-01-17 2022-01-17 Structure with improved turbulent flow for flowmeter for dishwashe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06650A KR20230110996A (en) 2022-01-17 2022-01-17 Structure with improved turbulent flow for flowmeter for dishwasher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10996A true KR20230110996A (en) 2023-07-25

Family

ID=874290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06650A KR20230110996A (en) 2022-01-17 2022-01-17 Structure with improved turbulent flow for flowmeter for dishwasher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110996A (en)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00874U (en) 2013-08-20 2015-03-02 (주) 원티엘 Meter's impeller
KR20160082825A (en) 2014-12-29 2016-07-11 주식회사 포스코아이씨티 Inverter System Connected to Power Grid based on Communication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00874U (en) 2013-08-20 2015-03-02 (주) 원티엘 Meter's impeller
KR20160082825A (en) 2014-12-29 2016-07-11 주식회사 포스코아이씨티 Inverter System Connected to Power Grid based on Communication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305434B1 (en) Turbomachinery
JP4436248B2 (en) Inducer and pump with inducer
CN104937213A (en) Structures and methods for forcing coupling of flow fields of adjacent bladed elements of turbomachines, and turbomachines incorporating the same
JP4934198B2 (en) Plug-in sensor with optimized outflow
JPH0681817A (en) Fluid oscillator and flow meter with said oscillator
KR101105820B1 (en) Regenerative type fluid machinery having guide vane on channel wall
JP5815437B2 (en) Ultrasonic fluid measuring device
KR20230110996A (en) Structure with improved turbulent flow for flowmeter for dishwasher
JP5835687B2 (en) Fluid machinery
JP5268811B2 (en) Drophead / weir water turbine equipment
JPH08297038A (en) Karman vortex flowmeter
CN107449527B (en) method for improving measurement accuracy of stagnation type total temperature probe
JPH09112203A (en) Turbine nozzle
EP3276312A1 (en) Liquid meter having flow-stabilizing fins
CN209660107U (en) A kind of drip emitter and drip irrigation zone
JP4820032B2 (en) Fluidic element manufacturing method, fluidic element, fluidic flow meter, and composite flow meter
US5889213A (en) Apparatus for measuring a fluid flow rate, the apparatus including at least one element for modifying the speed profile of said fluid flow
CN109673482A (en) A kind of drip emitter and drip irrigation zone
JP2006009748A (en) Centrifugal compressor
KR101721200B1 (en) Flowmeter
RU2776167C2 (en) Turbine counter
CN216385853U (en) Impeller device and water meter for water flow metering
KR101038971B1 (en) Asembly of flow meter and profiler
JP2011122472A (en) Seal structure of fluid machine, and fluid machine
JPH0599115A (en) Runner for francis turbin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